KR101945164B1 - 편광판, 화상 표시 장치 및 편광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편광판, 화상 표시 장치 및 편광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45164B1 KR101945164B1 KR1020187003117A KR20187003117A KR101945164B1 KR 101945164 B1 KR101945164 B1 KR 101945164B1 KR 1020187003117 A KR1020187003117 A KR 1020187003117A KR 20187003117 A KR20187003117 A KR 20187003117A KR 101945164 B1 KR101945164 B1 KR 1019451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arizer
- protective film
- polarizing plate
- film
- laminat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편광판(1A)은 편광자(2)와 그 양면에 적층된 보호 필름(3, 3)을 구비하고 있다. 보호 필름(3, 3)은 모두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된 것이며, 보호 필름(3, 3)은 각각 편광자(2)의 편면의 전면에 적층되어 있고, 편광자(2)의 적어도 일부의 단부(2a)가 적어도 한쪽의 보호 필름(3)의 단부(3a)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편광판, 화상 표시 장치 및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액정 표시 장치 등을 구성하는 광학 부품의 하나로서 편광판이 알려져 있다. 편광판은 일반적으로, 편광자의 편면 또는 양면에 보호 필름이 적층되어 있어, 편광자의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내수성 등이 보완되어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편광자의 편면 또는 양면에, 폴리머에 의한 도포층으로서 또는 필름의 라미네이트층으로서, 투명 보호층(보호 필름)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보호 필름이 적층된 편광자의 주면에 관해서는 소기의 보호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편광자의 단부(측면측)에 관해서는 보호가 충분하지 않다. 실제로, 편광판을 액정 셀에 접착할 때나 그 후의 핸들링에 있어서, 편광자의 단부에 손상이나 크랙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편광자의 단부가 충분히 보호된 편광판 및 그 편광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편광판을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편광자와 그 양면에 적층된 보호 필름을 구비하고, 보호 필름이 모두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된 것이며, 보호 필름이 각각 편광자의 편면의 전면에 적층되어 있고, 편광자의 적어도 일부의 단부가 적어도 한쪽의 보호 필름의 단부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편광판을 제공한다.
이 편광판에서는, 편광자의 단부가 적어도 한쪽의 보호 필름의 단부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편광자의 단부가 물리적으로 보호된다. 따라서, 편광판의 핸들링에 있어서 편광판의 측면이 충격을 받은 경우에, 편광자의 단부에 손상이나 크랙이 생기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서는, 편광자의 적어도 일부의 단부가, 양쪽의 보호 필름의 단부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편광자의 양면으로부터 편광자의 단부가 보호되게 되므로, 편광자의 단부에 손상이나 크랙이 생기는 것이 한층 더 방지된다.
또한, 편광자의 모든 단부가, 적어도 한쪽의 보호 필름의 단부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편광자의 모든 단부가 보호된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평면에서 본 형상이, 상기 편광판을 접착하는 영역의 형상에 일치하는 형상이어도 좋고, 예컨대 평면에서 볼 때 사각형이어도 좋다. 이러한 형상이면, 액정 표시 장치 등 여러가지 물품에 적용하기 쉽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어느 한쪽의 보호 필름의 편광자가 적층되어 있지 않은 측에, 점착제층을 통해 세퍼레이터가 적층되어 있고, 다른쪽의 보호 필름의 편광자가 적층되어 있지 않은 측에, 임시 보호 필름이 적층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보호 필름이 손상, 마모되는 것이 방지됨과 함께, 편광판의 사용시에는 세퍼레이터를 박리하여 점착제층을 노출시키고, 그 점착력에 의해 상기 편광판을 다른 물품에 접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편광판을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예컨대 상기 편광판을 액정 셀 등에 접착시킨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한 경우에도, 편광자의 단부가 물리적으로 보호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된 제1 보호 필름에, 편면의 전면이 제1 보호 필름에 덮이도록 편광자를 적층하고, 이 편광자에, 편광자의 다른쪽 편면의 전면을 덮도록 제2 보호 필름을 적층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편광자가 제1 보호 필름 및 제2 보호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보호 필름의 적어도 일부의 단부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제1 보호 필름, 편광자 및 제2 보호 필름을 적층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상기 편광판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편광자의 단부가 충분히 보호된 편광판, 및 그 편광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광판을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편광판의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도 1의 IIa-IIa 단면도이다. (b)는 도 1의 IIb-IIb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의 (a)는 도 1의 IIa-IIa 단면도이다. (b)는 도 1의 IIb-IIb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 각 도면에서 동일 부분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각 도면의 치수 비율은 반드시 실제의 것과 일치하는 것은 아니며, 특히 두께에 관해서는 과장하여 도시되어 있다.
<제1 실시형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편광판(1A)은, 박막형으로 형성된 편광자(2)의 양면의 전면에 보호 필름(3, 3)이 적층되어 이루어져 있다. 보호 필름(3, 3)은 모두 평면에서 볼 때 장방형과 동일한 형태로 성형되어 있고, 이 형상이 편광판(1A)의 외관 형상으로도 되어 있다. 즉, 편광판(1A)은 평면에서 볼 때 장방형을 이루고 있다.
편광판(1A)의 주면의 크기, 즉 보호 필름(3, 3)의 크기는, 편광판(1A)의 적용 대상에 따라서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대각선의 길이로는, 5∼250 cm, 10∼150 cm, 12∼100 cm을 들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변의 길이의 비, 즉 편광판(1A)의 종횡비는, 1:9∼5:5인 것이 바람직하고, 2:8∼5: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7∼5: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편광자(2)의 단부(2a)는, 그 전체 둘레에 걸쳐, 보호 필름(3, 3)의 단부(3a, 3a)보다 내측으로 들어가 위치하고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단면도에 있어서, 편광판(1A)의 측면은, 편광자(2)의 측면이 보호 필름(3, 3)의 측면에 대하여 들어간 오목형상을 이루고 있다. 여기서, 편광자(2)의 단부(2a)는, 보호 필름(3, 3)의 단부(3a, 3a)보다 1∼500 ㎛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300 ㎛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0 ㎛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편광자(2)의 단부(2a)가 이러한 범위에 위치하고 있으면, 편광자(2)의 단부(2a)를 물리적으로 보호하는 효과가 특히 높고, 화상 표시 장치를 구성한 경우에도 표시면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편광자(2)는, 그 전체 둘레에 걸쳐, 보호 필름(3)의 단부(3a)에 대하여 편광자(2)의 단부(2a)가 동일한 길이로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상기 길이가 전체 둘레에서 동일하지 않은 경우는, 편광판(1A)은 장소에 따라 적층 상태가 상이해져, 편광판(1A)에 컬이 생겼을 때에 복잡한 컬이 되는 것이 예상된다. 따라서, 편광판(1A)의 측면은, 그 전체 둘레에 걸쳐, 편광자(2)의 측면이 보호 필름(3, 3)의 측면에 대하여 동일한 길이로 들어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편광자(2)는 연신 필름이어도 좋고, 그 경우, 광축(흡수축)의 방향과 수직이 되는 측면에서의 편광자(2)의 단부(2a)가, 보호 필름(3, 3)의 단부(3a, 3a)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광축에 평행한 측면은 내충격성이 높지만, 광축에 수직인 측면 또는 광축에 대하여 기울기(예컨대 40° 이상 140° 이하)를 갖는 측면은, 내충격성이 낮다. 따라서, 광축에 수직인 측면에 있어서 편광자(2)의 단부(2a)가, 보호 필름(3, 3)의 단부(3a, 3a)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으면, 편광자(2)의 단부(2a)가 보호되는 효과가 특히 발휘된다.
편광판(1A)의 측면에 있어서, 편광자(2)의 측면이 보호 필름(3, 3)의 측면에 대하여 들어간 부분은, 다른 부재로 메워져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편광자(2)의 측면은 개방되어 있어, 외기와 접촉하는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상기 부분에 후술하는 접착제 등이 비어져 나와 있으면, 편광판(1A)의 다른 부분이나, 편광판(1A)을 적용한 주변 설비를 오염시켜 버릴 우려가 생긴다. 또한, 가공 처리(레이저 절단, 가열 절단 등)시의 열에 의한 보호 필름(3), 편광자(2) 등의 용융물이나, 비어져 나온 보호 필름(3, 3) 자체에 의해 편광판(1A)의 단부에서의 들어간 부분(상기 부분)을 메워 버리면, 편광판(1A)의 단부에서의 자유도가 감소하여, 단부에 있어서 파상 컬과 같은 결함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충격에 대한 간섭 부분인 상기 부분이 소실되기 때문에, 편광자(2)의 측면에 직접 충격이 전달될 우려가 생긴다. 또한 열이 원인이 되어 상기 부분에 보호 필름(3)이나 편광자(2) 등의 용융물이 비어져 나온 경우는, 편광판(1A)의 단부의 편광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편광자(2)와 보호 필름(3)의 적층은, 필름형으로 성형된 편광자(2)와 보호 필름(3)을 접착제를 통해 접합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도 1 및 도 2에서는 접착제층을 도시하지 않는다.
편광자(2)의 재료로는, 종래부터 편광판의 제조에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고, 예컨대,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EVA)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비닐알콜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보호 필름(3)과 접합하기 위해 필름형으로 성형하는 경우는, 일축 연신한 필름에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에 의한 염색을 하고, 이어서 붕산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필름형의 편광자는, 편광판의 제조시에 임의의 크기에 절취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재료로 제조된 필름형의 편광자(2)는,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내수성이 낮고, 특히 필름의 단부에 있어서 낮다. 이 때문에, 편광판 제조시의 취급에 의해, 편광자(2)의 단부에 균열이나 손상이 생기기 쉽다.
편광자(2)의 두께는, 2∼75 ㎛인 것이 바람직하고, 2∼5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3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보호 필름(3)은, 편광자(2)의 주면이나 단부의 균열이나 손상을 방지하는 필름이다. 여기서 「보호 필름」이란, 편광자(2)에 여러가지 적층될 수 있는 필름 중에서도, 편광자(2)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물리적으로 적층된 필름을 가리키고 있다.
보호 필름(3)은, 편광판의 분야에서 알려져 있는 각종 투명 수지 필름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를 대표예로 하는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대표예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노르보넨계 수지를 대표예로 하는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를 대표예로 하는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를 대표예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셀룰로오스계 수지가 대표적이다.
보호 필름(3)으로는, 광학 기능을 갖지 않는 필름이어도 좋고, 위상차 필름이나 휘도 향상 필름과 같은 광학 기능을 겸비하는 필름이어도 좋다.
보호 필름(3)의 두께는, 5∼90 ㎛인 것이 바람직하고, 5∼8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5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편광자(2)와 보호 필름(3)의 적층에 있어서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 접착제로는, 종래부터 편광판의 제조에 사용되고 있는 각종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내후성이나 굴절률, 양이온 중합성 등의 관점에서, 분자 내에 방향 고리를 포함하지 않는 에폭시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한, 활성 에너지선(자외선 또는 열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폭시 수지로는, 예컨대 수소화 에폭시 수지, 지환식 에폭시 수지, 지방족 에폭시 수지 등이 바람직하다. 에폭시 수지에 대하여, 중합 개시제(예컨대 자외선 조사에 의해 중합시키기 위한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 열선 조사에 의해 중합시키기 위한 열양이온 중합 개시제)나, 또 다른 첨가제(증감제 등)를 첨가하여, 도포용의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로는, 아크릴아미드, 아크릴레이트,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수지나, 폴리비닐알콜계의 수계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편광판(1A)은, 예컨대 액정 셀 등의 표시용 셀(화상 표시 소자)의 편면 또는 양면에 접합되는 것이다. 편광판(1A)은, 보호 필름(3) 상에 적층되는 다른 광학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광학층으로는, 어떤 종류의 편광을 투과하고, 이것과 반대의 성질을 나타내는 편광을 반사하는 반사형 편광 필름; 표면에 요철 형상을 갖는 방현 기능이 있는 필름; 표면 반사 방지 기능이 있는 필름; 표면에 반사 기능이 있는 반사 필름; 반사 기능과 투과 기능을 겸비하는 반투과 반사 필름; 시야각 보상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편광자(2)와 보호 필름(3, 3)의 3층으로 이루어진 편광판(1A)의 두께는, 10∼5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30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20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편광판(1A)은, 예컨대 이하와 같이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우선, 보호 필름(3)을 구성하는 재료로 이루어진 길이가 긴 필름 롤로부터, 2장의 보호 필름(3, 3)을 장방형으로 절취한다. 절취하는 장방형의 크기나 종횡비는, 편광판(1A)의 적용 대상에 따라서 결정한 것으로 한다. 한쪽의 보호 필름(제1 보호 필름)(3)의 편면에 접착제를 도포한다. 접착제를 도포하는 영역은 보호 필름(3)의 전면이 아니라, 필름형의 편광자(2)가 적층되는 영역으로 한다.
다음으로, 편광자(2)를 구성하는 재료로 이루어진 길이가 긴 필름 롤로부터, 편광자(2)를 장방형으로 절취한다. 절취하는 장방형의 크기는, 보호 필름(3)의 크기보다 작게 한다. 작게 하는 분량은, 편광자(2)의 단부(2a)를 보호 필름(3)의 단부(3a)보다 내측으로 넣으려고 하는 만큼으로 한다. 절취한 필름형의 편광자(2)를, 접착제를 도포한 보호 필름(3)의 면에 적층한다. 여기서의 적층은, 편광자(2)의 편면의 전면이 보호 필름(3)의 면의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행한다. 여기서 보호 필름(3)측에서 보면, 편광자(2)는 보호 필름에 덮여 있다. 접착제로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경우는, 여기서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접착제를 경화시킨다.
다음으로, 편광자의 다른쪽 편면의 전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나머지 1장의 보호 필름(제2 보호 필름)(3)을 적층한다. 여기서의 보호 필름(3)의 적층은, 보호 필름(3)의 면에 의해 편광자(2)의 편면의 전면이 덮이도록 행한다. 접착제로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경우는, 여기서도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접착제를 경화시킨다.
이상의 순서에 의해 편광판(1A)이 제조된다.
이상에 설명한 편광판(1A)은, 편광자(2)의 단부(2a)가 보호 필름(3)의 단부(3a)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편광자(2)의 단부가 물리적으로 보호된다. 따라서, 편광판(1A)을 예컨대 액정 셀에 접착하는 경우와 같은 핸들링에 있어서, 편광판(1A)의 측면이 충격을 받은 경우에, 보호 필름(3)의 단부(3a)만이 충격을 받게 되어, 편광자(2)의 단부에 손상이나 크랙이 생기는 것이 방지된다. 이 효과는, 편광판(1A)을 액정 셀 등에 접착한 후 다시 핸들링할 때에도 발휘된다. 또한, 편광판(1A)의 히트 쇼크 시험의 내구성 향상에도 이바지한다.
또한, 편광판(1A)은, 편광자(2)의 양면에 적층된 보호 필름(3, 3)의 단부(3a, 3a)에 의해 편광자(2)의 단부(2a)가 보호되고 있기 때문에, 특히 최근의 액정 셀의 협액연화(狹額緣化) 경향에 있어서 그 효과가 양호하게 발휘된다. 즉, 편광판(1A)이 접착된 액정 셀의 액연이 통상의 폭인 경우는, 편광자(2)에 물리적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액정 셀 자체가 보호하는 작용이 있지만, 액정 셀이 협액연이면 그 보호의 효과가 작아진다. 이 경우, 액정 셀측의 보호 필름(3)의 단부(3a)가 편광자(2)의 단부(2a)의 보호에 기여하는 비율이 커진다. 또한, 편광자(2)의 단부(2a)가 보호 필름(3, 3)의 단부(3a, 3a)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길이가 500 ㎛ 이하인 경우는, 텔레비전 화면이나 모바일 단말(휴대전화, 스마트폰 등)의 화면에 적용했을 때에 표시면을 넓게 확보하기 쉽다.
편광자(2)의 단부(2a)는 전체 둘레에 걸쳐 보호 필름(3)의 단부(3a)보다 내측에 있기 때문에, 상기 효과는 편광판(1A)의 전체 둘레에 걸쳐 발휘된다.
또한, 편광판(1A)은 평면에서 볼 때 장방형이므로, 액정 표시 장치 등 여러가지 물품에 적용하기 쉽다.
<제2 실시형태>
본 발명의 편광판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광자(2) 및 보호 필름(3)의 적층체에 대하여, 세퍼레이터(4)나 임시 보호 필름(6)이 더 적층되어 있어도 좋다.
제2 실시형태의 편광판(1B)은, 제1 실시형태의 편광판(1A)의 편면에(즉, 한쪽의 보호 필름(3) 중 편광자(2)가 적층되어 있지 않은 면에) 점착제층(5)을 통해 세퍼레이터(4)가 적층되어 있다. 또한, 편광판(1A)의 다른쪽 면에(즉, 다른쪽 보호 필름(3) 중 편광자(2)가 적층되어 있지 않은 면에) 임시 보호 필름(6)이 적층되어 있다.
점착제층(5)은, 편광판(1B)을 다른 물품(예컨대 액정 셀)에 접착시킬 때에 기능하는 층이다. 점착제층(5)은, 아크릴계 수지나, 실리콘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점착제층(5)의 두께는, 2∼5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2∼20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점착제층(5)을 보호 필름(3)에 적층하는 방법으로는, 예컨대, 보호 필름(3)에 상기 수지나 임의의 첨가 성분을 포함하는 용액을 도포하는 방법이어도 좋고, 세퍼레이터(4) 상에 상기 용액으로 점착제층(5)을 형성한 후에 보호 필름(3)에 적층하는 방법이어도 좋다. 점착제층(5)의 단부(5a)는, 전체 둘레에 걸쳐 보호 필름(3)의 단부(3a)와 위치가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퍼레이터(4)는, 점착제층(5)의 보호나 이물질의 부착 방지 등을 목적으로 접착되는 박리 가능한 필름으로서, 편광판(1B)의 사용시에 박리되어 점착제층(5)이 노출된다. 세퍼레이터(4)는, 예컨대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연신 필름이 바람직하다.
세퍼레이터(4)의 단부(4a)는, 전체 둘레에 걸쳐 점착제층(5)의 단부(5a)와 위치가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세퍼레이터(4)는, 편광판(1B)의 사용시에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도록, 점착제층(5)에 접하는 면에 실리콘 수지 등에 의한 이형 처리를 해도 좋다.
세퍼레이터(4)의 두께는, 5∼2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5∼15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10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임시 보호 필름(6)은, 박리 가능한 필름이며, 임시 보호 필름(6)을 적층한 보호 필름(3)의 표면을 손상, 마모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필름이다. 임시 보호 필름(6)의 재료로는, 보호 필름(3)과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임시 보호 필름(6)은, 기재가 되는 필름 외에, 이 필름의 표면에 적층된 약한 접착성을 갖는 점착제층을 갖고 있어도 좋다. 임시 보호 필름(6)은, 보호 필름(3)에 적층된 후, 편광판(1B)의 사용시까지 보호 필름(3)에 접합되어 있고, 사용시에 있어서 보호 필름(3)으로부터 박리된다. 임시 보호 필름(6)의 단부(6a)는, 전체 둘레에 걸쳐 보호 필름(3)의 단부(3a)와 위치가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임시 보호 필름(6)의 두께는, 5∼2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5∼15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10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편광판(1B)에 의하면, 보호 필름(3)이 손상, 마모되는 것이 방지됨과 함께, 편광판(1B)의 사용시에는 세퍼레이터(4)를 박리하여 점착제층(5)을 노출시키고, 그 점착력에 의해 편광판(1B)을 다른 물품, 예컨대 액정 셀, 유기 EL 디바이스에 접착하여 화상 표시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액정 셀을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컨대 세퍼레이터(4)를 박리한 편광판(1B)을 액정 셀(8)의 양면에 접착하여 액정 패널(9)을 구성하고, 여기에 백라이트(면광원 장치; 도시 생략) 그 밖의 부재를 조합함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10)를 제작할 수 있다. 한편, 임시 보호 필름(6)을 박리하여 노출한 면에는 터치 패널 등을 설치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전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편광자(2)의 단부(2a)가 그 전체 둘레에 걸쳐 양쪽의 보호 필름(3, 3)의 단부(3a, 3a)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양태를 나타냈지만,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편광자(2)의 전체 둘레에 걸쳐 있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편광자(2)의 단부(2a)는, 보호 필름(3, 3)의 단부(3a, 3a)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부분만이 보호된다. 일례로서, 편광자(2)의 광축의 방향과 수직이 되는 측면에서의 편광자(2)의 단부(2a)(편광자(2)가 마주 보는 2변)만이, 보호 필름(3, 3)의 단부(3a, 3a)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편광자(2)의 전체 둘레에 걸쳐 동일한 길이로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냈지만, 장소에 따라 편광자(2)가 들어가는 정도를 바꿔도 좋다. 예컨대, 편광판의 핸들링시에 충격을 받기 쉬운 부분을 미리 알고 있는 경우는, 전술한 복잡한 컬이 생길 우려가 있지만, 그 부분의 편광자의 단부의 들어가는 폭을 크게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쪽의 보호 필름(3)은 편광자(2)와 동일한 형상이어도 좋다. 즉, 한쪽의 보호 필름(3)의 단부(3a)는, 편광자(2)의 단부(2a)와 위치가 일치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편광판(1A, 1B)이 평면에서 볼 때 장방형인 예를 나타냈지만, 다른 사각형, 예컨대 사다리꼴형, 평행사변형, 정방형 등이어도 좋은 것 외에, 원형이나 타원형이어도 좋다. 즉 편광판(1A, 1B)은, 편광판(1A, 1B)을 접착하는 물품의 형상에 맞춰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고, 특히, 평면에서 본 형상이, 편광판(1A, 1B)을 접착하는 영역의 형상에 일치하는 형상이어도 좋다.
1A, 1B : 편광판
2 : 편광자
2a : 편광자의 단부
3 : 보호 필름
3a : 보호 필름의 단부
4 : 세퍼레이터
4a : 세퍼레이터의 단부
5 : 점착제층
5a : 점착제층의 단부
6 : 임시 보호 필름
6a : 임시 보호 필름의 단부
8 : 액정 셀
9 : 액정 패널
10 : 액정 표시 장치(화상 표시 장치)
2 : 편광자
2a : 편광자의 단부
3 : 보호 필름
3a : 보호 필름의 단부
4 : 세퍼레이터
4a : 세퍼레이터의 단부
5 : 점착제층
5a : 점착제층의 단부
6 : 임시 보호 필름
6a : 임시 보호 필름의 단부
8 : 액정 셀
9 : 액정 패널
10 : 액정 표시 장치(화상 표시 장치)
Claims (14)
- 편광자와 그 양면에 접착제를 통해 적층된 보호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보호 필름이 모두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된 것이며,
상기 보호 필름이 각각 상기 편광자의 편면의 전면에 적층되어 있고,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부의 단부가 적어도 한쪽의 상기 보호 필름의 단부보다 1~500 ㎛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편광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부의 단부가 양쪽의 상기 보호 필름의 단부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편광판.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모든 단부가 적어도 한쪽의 상기 보호 필름의 단부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편광판.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이 상기 편광판을 접착하는 영역의 형상에 일치하는 형상인 편광판.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 사각형인 편광판.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 중, 그의 단부가 상기 보호 필름의 단부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측면이 개방되어 외기에 접촉된 상태로 되어 있는 편광판.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가 연신 필름이고, 상기 편광자의 광축 방향에 대하여 40°이상 140°이하의 기울기를 갖고서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측면에서의 상기 편광자의 단부가 상기 보호 필름의 단부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편광판.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광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방향, 또한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측면에서의 상기 편광자의 단부가 상기 보호 필름의 단부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편광판.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어느 한쪽의 상기 보호 필름의 상기 편광자가 적층되어 있지 않은 측에, 점착제층을 통해 세퍼레이터가 적층되어 있고,
다른쪽의 상기 보호 필름의 상기 편광자가 적층되어 있지 않은 측에, 임시 보호 필름이 적층되어 있는 편광판. -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편광판을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
-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된 제1 보호 필름에, 편면의 전면이 상기 제1 보호 필름에 덮이도록 접착제를 통해 편광자를 적층하고,
상기 편광자에, 상기 편광자의 다른쪽 편면의 전면을 덮도록 접착제를 통해 제2 보호 필름을 적층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편광자가 상기 제1 보호 필름 및 상기 제2 보호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보호 필름의 적어도 일부의 단부보다 1~500 ㎛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보호 필름, 상기 편광자, 및 상기 제2 보호 필름을 적층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 중, 그의 단부가 상기 보호 필름의 단부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측면이 개방되어 외기에 접촉된 상태로 되어 있도록, 상기 제1 보호 필름, 상기 편광자, 및 상기 제2 보호 필름을 적층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가 연신 필름이고, 상기 편광자의 광축 방향에 대하여 40°이상 140°이하의 기울기를 갖고서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측면에서의 상기 편광자의 단부가 상기 보호 필름의 단부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보호 필름, 상기 편광자, 및 상기 제2 보호 필름을 적층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광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방향, 또한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측면에서의 상기 편광자의 단부가 상기 보호 필름의 단부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보호 필름, 상기 편광자, 및 상기 제2 보호 필름을 적층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5-157955 | 2015-08-10 | ||
JP2015157955 | 2015-08-10 | ||
PCT/JP2015/083266 WO2017026078A1 (ja) | 2015-08-10 | 2015-11-26 | 偏光板、画像表示装置、及び偏光板の製造方法 |
JPPCT/JP2015/083266 | 2015-11-26 | ||
PCT/JP2016/073152 WO2017026403A1 (ja) | 2015-08-10 | 2016-08-05 | 偏光板、画像表示装置、及び偏光板の製造方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30564A KR20180030564A (ko) | 2018-03-23 |
KR101945164B1 true KR101945164B1 (ko) | 2019-02-01 |
Family
ID=57983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03117A KR101945164B1 (ko) | 2015-08-10 | 2016-08-05 | 편광판, 화상 표시 장치 및 편광판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2) | JP6279093B2 (ko) |
KR (1) | KR101945164B1 (ko) |
CN (1) | CN107850724B (ko) |
TW (1) | TWI644130B (ko) |
WO (2) | WO201702607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672533B (zh) * | 2017-11-16 | 2019-09-21 | 住華科技股份有限公司 | 偏光板 |
TWI694924B (zh) * | 2018-11-20 | 2020-06-01 | 住華科技股份有限公司 | 偏光板及包含其之顯示裝置、偏光板的製造方法、以及顯示裝置的製造方法 |
KR20220164288A (ko) * | 2021-06-04 | 2022-12-13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광학 적층체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윈도우 및 이를 적용한 자동차 또는 건물용 창호 |
KR20220164292A (ko) * | 2021-06-04 | 2022-12-13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광학 적층체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윈도우 및 이를 적용한 자동차 또는 건물용 창호 |
KR102471941B1 (ko) * | 2021-06-04 | 2022-11-29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광학 적층체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윈도우 및 이를 적용한 자동차 또는 건물용 창호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277018A (ja) | 2009-06-01 | 2010-12-09 | Sumitomo Chemical Co Ltd | 耐久性に優れた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
JP2013160885A (ja) | 2012-02-03 | 2013-08-19 | Sumitomo Chemical Co Ltd | 偏光性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偏光板の製造方法 |
JP2013186252A (ja) | 2012-03-07 | 2013-09-19 | Nitto Denko Corp | 偏光板の製造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158423U (ko) * | 1986-03-29 | 1987-10-08 | ||
JPH10206633A (ja) * | 1997-01-22 | 1998-08-07 | Casio Comput Co Ltd | 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H11254550A (ja) * | 1998-03-12 | 1999-09-21 | Nitto Denko Corp | 光学部材 |
JP4974261B2 (ja) | 2001-04-09 | 2012-07-11 | 日東電工株式会社 | 光学部材 |
JP4208187B2 (ja) * | 2002-10-28 | 2009-01-14 | 日東電工株式会社 | 粘着型光学フィルム、粘着型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
JP4335773B2 (ja) * | 2004-09-27 | 2009-09-30 | 日東電工株式会社 | フィルム積層物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製造装置 |
CN100403069C (zh) * | 2005-01-20 | 2008-07-16 | 日东电工株式会社 | 偏振片的制造方法、偏振片、光学薄膜以及使用它们的图像显示装置 |
JP5058953B2 (ja) * | 2007-12-06 | 2012-10-24 | 日東電工株式会社 | 光学表示ユニット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ロール原反 |
JP4785944B2 (ja) * | 2008-04-16 | 2011-10-05 | 日東電工株式会社 | 光学表示装置の製造方法 |
JP5750848B2 (ja) * | 2010-08-26 | 2015-07-22 | 住友化学株式会社 | 画像表示装置用光学部材 |
JP2012194475A (ja) * | 2011-03-17 | 2012-10-11 | Sumitomo Chemical Co Ltd | 偏光板、偏光板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 |
JP6136093B2 (ja) * | 2011-05-31 | 2017-05-31 | 住友化学株式会社 | 複合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
KR101839651B1 (ko) * | 2012-02-03 | 2018-04-26 |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 편광성 적층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
2015
- 2015-11-26 WO PCT/JP2015/083266 patent/WO2017026078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
- 2016-08-05 JP JP2016553482A patent/JP6279093B2/ja active Active
- 2016-08-05 CN CN201680045811.0A patent/CN107850724B/zh active Active
- 2016-08-05 KR KR1020187003117A patent/KR10194516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8-05 WO PCT/JP2016/073152 patent/WO201702640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08-10 TW TW105125421A patent/TWI644130B/zh active
-
2017
- 2017-09-26 JP JP2017184956A patent/JP2018028668A/ja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277018A (ja) | 2009-06-01 | 2010-12-09 | Sumitomo Chemical Co Ltd | 耐久性に優れた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
JP2013160885A (ja) | 2012-02-03 | 2013-08-19 | Sumitomo Chemical Co Ltd | 偏光性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偏光板の製造方法 |
JP2013186252A (ja) | 2012-03-07 | 2013-09-19 | Nitto Denko Corp | 偏光板の製造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WO2017026403A1 (ja) | 2017-08-10 |
KR20180030564A (ko) | 2018-03-23 |
CN107850724A (zh) | 2018-03-27 |
WO2017026403A1 (ja) | 2017-02-16 |
TWI644130B (zh) | 2018-12-11 |
JP6279093B2 (ja) | 2018-02-14 |
TW201727281A (zh) | 2017-08-01 |
CN107850724B (zh) | 2019-04-23 |
JP2018028668A (ja) | 2018-02-22 |
WO2017026078A1 (ja) | 2017-02-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45164B1 (ko) | 편광판, 화상 표시 장치 및 편광판의 제조 방법 | |
JP6893904B2 (ja) | 偏光板 | |
KR102535072B1 (ko) |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 |
CN105445840B (zh) | 偏光板及光学层叠体 | |
JP6749294B2 (ja) | 積層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 |
KR101743884B1 (ko) |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 |
KR20160067874A (ko) | 편광판의 셋트 및 전면판 일체형 액정 표시 패널 | |
KR101727870B1 (ko) | 편광판의 셋트 및 전면판 일체형 액정 표시 패널 | |
CN105445839B (zh) | 偏光板 | |
KR20170134220A (ko) |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 |
KR102195234B1 (ko) | 적층 필름, 마크가 형성된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
KR102693081B1 (ko) |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 |
WO2020262143A1 (ja) | 光学積層体 | |
JP6782676B2 (ja) | 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 |
WO2021079623A1 (ja) | 偏光子複合体及び光学積層体 | |
KR102256908B1 (ko) | 편광판 매엽체의 제조 방법 | |
KR20220116220A (ko) | 광학 적층체 | |
JP2022044597A (ja) | 光学フィルム原反ロールの製造方法、および光学部材シート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