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5049B1 - Rice transplanter - Google Patents

Rice transplan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5049B1
KR101945049B1 KR1020120048574A KR20120048574A KR101945049B1 KR 101945049 B1 KR101945049 B1 KR 101945049B1 KR 1020120048574 A KR1020120048574 A KR 1020120048574A KR 20120048574 A KR20120048574 A KR 20120048574A KR 101945049 B1 KR101945049 B1 KR 101945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dth adjustment
seedling
width
pto clutch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85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25967A (en
Inventor
야스타카 히키다
유키노리 키무라
카즈키 카나타니
사토루 오카다
히데히로 유키
료우헤이 노가미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04612A external-priority patent/JP5788708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04611A external-priority patent/JP5702662B2/en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25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59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0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과제)
이앙기(1)에 있어서, 폭 정리 작업의 작업성 및 묘재대(29)의 정지 위치의 정밀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폭 정리 작업의 실행을 직감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한다.
(해결 수단)
본원 발명의 이앙기(1)는 좌우 횡이송 가능한 묘재대(29) 및 복수의 식부 클로(30)를 갖고 또한 주행 기체(2)의 후방부에 장착된 모종 식부 장치(23)와, 상기 모종 식부 장치(23)로의 동력 전달을 연결/차단하는 PTO 클러치(75)와, 상기 묘재대(29)를 좌우 한쪽의 이동단까지 횡이송해서 정지시키는 폭 정리 모드를 실행시키기 위한 폭 정리 버튼(71)을 구비한다. 상기 폭 정리 버튼(71)에는 상기 폭 정리 모드를 개시하는 기능과 실행중의 상기 폭 정리 모드를 중지시키는 기능을 갖게 한다.
(assignment)
The workability of the width adjustment work and the accuracy of the stop position of the weeding section 29 can be improved and the execution of the width adjustment work can be intuitively grasped in the plowing machine 1.
(Solution)
The rice planting machine (1)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eedling plant unit (23) having a seedling plant (29) capable of lateral transportation and a plurality of food claws (30) and mount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traveling body (2) A PTO clutch 75 for connecting / disconnecting power transmission to the apparatus 23, a width arrangement button 71 for executing a width arrangement mode for horizontally transporting the weighing platform 29 to the left and right movable ends, Respectively. The width organizing button 71 has a function of starting the width organizing mode and a function of stopping the width organizing mode being executed.

Figure R1020120048574
Figure R1020120048574

Description

이앙기{RICE TRANSPLANTER}Rice transplantation {RICE TRANSPLANTER}

본원 발명은 좌우 횡이송 가능한 묘재대 및 복수의 식부 클로를 갖고 또한 주행 기체에 장착된 모종 식부 장치와 상기 모종 식부 장치로의 동력 전달을 연결/차단하는 PTO 클러치를 구비하고, 연속적으로 모종 식부 작업을 행하는 이앙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edling plant having a seedling support capable of being horizontally transported and a plurality of food claws and also mounted on a traveling body and a PTO clutch for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power transmission to the seedling plant apparatus, And the like.

일반적으로, 이앙기의 모종 식부 작업은 모종 매트가 적재된 묘재대를 소정 간격으로 간헐적으로 좌우 횡이송하면서 묘재대의 하부에 배치된 식부 클로에 의해 모종 매트의 모종을 소정량 잘라서 잡고, 그대로 포장에 식부함으로써 행해진다. 모종 식부 작업시에는 묘재대 상에 모종 매트를 세팅하기 전에 묘재대를 좌우 한쪽의 이동단까지 이동시켜서 정지시키는 폭 정리 작업이 행해진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것은 모종 식부 작업의 개시시에 모종 매트의 좌우 횡이송 도중의 개소로부터 식부 클로가 모종을 잘라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Generally, a seedling type work of a rice planting period is carried out by cutting a seedling of a seedling mat by a predetermined amount by a food chloe arranged at the lower part of the seedling rearing bed while interposing the seedling rearing bed with a seedling mat intermittently horizontally transversely at predetermined intervals, . When the seedling is to be worked, the weighing work is performed to move the seedling rearing table to one of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weighing mat and stop the seedling rearing before setting the seedling mat on the weighing rearing stand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This is to prevent the food clovers from cutting off the seedlings from the positions in the middle of the lateral transfer of the seedlings mat at the start of the seedlings.

특허문헌 1의 이앙기에서는 묘재대 및 식부 클로가 부착된 모종 식부 장치를 승강 조작하는 식부 레버에 연동하여 모종 식부 장치로의 동력 전달을 연결/차단하는 PTO 클러치를 접속/차단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폭 정리 작업시에는 식부 레버를 식부 위치로 조작해서 PTO 클러치를 접속으로 하고, 묘재대의 좌우 횡이송을 개시한다. 그리고, 묘재대가 좌우 한쪽의 이동단에 도달한 것을 눈으로 확인하면 식부 레버를 중립 위치로 조작해서 PTO 클러치를 차단으로 하고, 묘재대의 좌우 횡이송을 정지시키는 것이다.In the rearing period of Patent Document 1, the PTO clutch for connecting / disconnecting the power transmission to the seedling type apparatus is interlocked / disconnected by interlocking with an eating lever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seedling rearing apparatus with the seedling rearing stand and food part claw . At the time of the width laying work, the food lever is operated to the food portion position, and the PTO clutch is connected, and the lateral transfer of the seedling stand is started. When the grain restraint is visually confirmed that the grain restraint reaches one of the left and right moving ends, the food lever is operated to the neutral position to cut off the PTO clutch to stop the transverse feeding of the grain restraint.

일본 특허 공개 평 10-313629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313629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구성에서는 모종 식부 장치가 조종 좌석의 후방에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후방을 향하여 눈으로 묘재대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식부 레버를 중립 위치로 조작하지 않으면 안되어 작업성의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또한, 식부 레버의 수동 조작과 눈으로 확인하는 것을 조합시켜서 폭 정리 작업을 행하기 때문에 묘재대의 정지 위치의 정밀도(묘재대가 좌우 한쪽의 이동단에서 정지할 수 있었는가)가 낮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However, in the structure of Patent Document 1, since the seedling-type feeding device is located behind the steering seat, the operator has to manipulate the feeding lever to the neutral position while confirming the position of the seedling rearing seat with his eyes toward the rear. There was room. In addition, since the width adjustment work is performed by combining the manual operation of the food lever and the checking by eyes, the problem that the accuracy of the stop position of the weighing stand (whether the weed stand can be stopped at the left or right movable end) there was.

또한, 모종 식부 작업용의 조작구와 폭 정리 작업용의 조작구는 모두 식부 레버로 공통이기 때문에, 식부 레버의 조작 상태에서만으로는 모종 식부 작업을 위해서 식부 레버를 조작하고 있는 것인지, 폭 정리 작업을 위해서 식부 레버를 조작하고 있는 것인지를 적확하게[시인(視認)에 의해 직감적으로] 파악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작업성의 점뿐만 아니라 작금 제창되는 유니버설 디자인(가능한 한 많은 사람들이 간단하게 또한 스무스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의 점에서도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operation tool for the seedling type work and the operation tool for the width dimension work are both common to the food lever,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whether the food lever is operated for the seedling operation only by operating the food lever, It can not be grasped [intuitively by the poet] whether it is operating. For this reason, there was room for improvement not only in workability but also in terms of universal design (designing for as simple and smooth use as possible by as many people as possible).

그래서,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현재의 상태를 개선하여 폭 정리 작업의 작업성 및 묘재대의 정지 위치의 정밀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폭 정리 작업의 실행을 직감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이앙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는 것이다.Theref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current state as described above to improve the workability of the width adjustment work and the accuracy of the stop position of the weeding section, and to provide a rice miller who can intuitively understand the execution of the width adjustment work. The task is to do.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한 이앙기는 좌우 횡이송 가능한 묘재대 및 복수의 식부 클로를 갖고 주행 기체의 후방부에 장착된 모종 식부 장치와, 상기 모종 식부 장치로의 동력 전달을 연결/차단하는 PTO 클러치와, 상기 묘재대를 좌우 한쪽의 이동단까지 횡이송해서 정지시키는 폭 정리 모드를 실행시키기 위한 폭 정리 조작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폭 정리 조작구에는 상기 폭 정리 모드를 개시하는 기능과 실행중의 상기 폭 정리 모드를 중지시키는 기능을 갖게 하고 있다는 것이다.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edling machine comprising a seedling unit mounted on a rear portion of a traveling body and having a seedling stand capable of being horizontally transported and a plurality of food compartments, a PTO clutch connecting / disconnecting power transmission to the seedling- And a width regulating operation port for carrying out the width regulating mode in which the graft regiment is horizontally conveyed to the left and right movable ends to stop the width regulating operation. The width regulating operation port is provided with a function of starting the width regulating mode, And the function of stopping the width adjustment mode is provided.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PTO 클러치를 접속/차단 조작하기 위한 클러치 조작구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클러치 조작구에는 그 클러치 차단 조작에 의해 실행중의 상기 폭 정리 모드를 중지시키는 기능을 부가하고 있다고 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aring machine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further comprising a clutch operation port for connecting / disconnecting the PTO clutch, wherein the clutch operation port And a function of stopping the mode is added.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한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PTO 클러치가 접속 상태에서 상기 폭 정리 모드를 개시한 후 상기 폭 정리 조작구를 조작했을 경우에는 상기 폭 정리 모드의 중지 후에도 상기 PTO 클러치를 접속 상태로 유지한다고 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aring station according to the first or second aspect, when the width regulating operation port is operated after the PTO clutch is in the connected state and the width regulating mode is started, And the PTO clutch is kept in the connected state.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한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PTO 클러치가 차단 상태에서 상기 폭 정리 모드를 개시한 후 상기 폭 정리 조작구를 조작했을 경우에는 상기 폭 정리 모드의 중지에 따라 상기 PTO 클러치를 차단으로 리턴시킨다고 하는 것이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4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rearing station according to claim 1 or claim 2, when the width adjustment operation unit is operated after the PTO clutch is in the cutoff state and the width adjustment mode is started, And the PTO clutch is returned to the cut-off state.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한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주행 기체의 진행 방향 및 주행 속도를 조작하기 위한 주행 변속 조작구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주행 변속 조작구가 중립 위치 이외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폭 정리 조작구를 조작해도 상기 폭 정리 모드를 실행시키지 않는다고 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juvenation machine according to the first or second aspect, further comprising a travel shift manipulation member for manipulating a traveling direction and a traveling speed of the traveling airframe, The width regulation mode is not executed even if the width regulation operation port is operated.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한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폭 정리 모드의 실행중에 상기 주행 변속 조작구를 중립 위치 이외로 조작했을 경우에는 상기 폭 정리 모드를 중지시킨다고 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aring period according to the first or second aspect, when the traveling shift operation member is operated to a position other than the neutral position during the execution of the widthwise arrangement mode, the width maintenance mode is stopped.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한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묘재대는 본체측 묘재대와 분할측 묘재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할측 묘재대가 상기 본체측 묘재대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고, 상기 묘재대를 좌우 한쪽의 이동단까지 횡이송해서 정지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분할측 묘재대가 상기 본체측 묘재대보다 상기 주행 기체의 좌우폭 중앙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다고 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assembly period according to the first or second aspect, wherein the gravestone rearing basin comprises a main side gravestone graft reinforcement and a split side gravest graft reinforcement, , And the division side gravestone graft stand is located at a position away from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traveling graft body from the center of gravity side of the graft graft graft rest in a state in which the gravest graft is transversely transferred to the left and right moving ends and stopped.

청구항 8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한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폭 정리 모드의 실행중에 그 취지를 통지하는 통지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고 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n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notifying member for notifying of the fact during the execution of the width adjusting mode in the rearing period according to claim 1 or claim 2.

청구항 9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한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주행 기체에 탑재된 엔진의 동력을 변속하는 유압식 무단 변속기와, 상기 주행 기체에 설치된 밟기식의 주행 변속 페달과, 상기 주행 변속 페달의 밟음량에 따라 상기 유압식 무단 변속기의 변속 출력을 조절하는 전동 액츄에이터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폭 정리 모드에서는 상기 주행 변속 페달을 소정량 이상 밟음으로써 상기 PTO 클러치를 통해서 상기 모종 식부 장치에 동력 전달하여 상기 묘재대의 횡이송 이동을 개시시키고, 상기 밟음량이 소정량 이상이면 상기 유압식 무단 변속기로부터의 변속 동력을 상기 밟음량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유지한다고 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 ni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juvenation machine according to the first or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juvenation machine comprising a hydraulic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for shifting the power of an engine mounted on the traveling vehicle, a step- And an electric actuator for adjusting a speed change output of the hydraulic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pedal depression amount. In the width adjustment mode, power is transmitted to the seedling-type vehicle through the PTO clutch by depressing the speed- And when the stepping amoun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amount, the shift power from the hydraulic step-variable transmission is kept constant regardless of the stepping amount.

(발명의 효과)(Effects of the Invention)

본원 발명에 의하면, 좌우 횡이송 가능한 묘재대 및 복수의 식부 클로를 갖고 주행 기체의 후방부에 장착된 모종 식부 장치와, 상기 모종 식부 장치로의 동력 전달을 연결/차단하는 PTO 클러치와, 상기 묘재대를 좌우 한쪽의 이동단까지 횡이송해서 정지시키는 폭 정리 모드를 실행시키기 위한 폭 정리 조작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폭 정리 조작구에는 상기 폭 정리 모드를 개시하는 기능과 상기 폭 정리 모드의 실행을 도중에 중지시키는 기능을 갖게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폭 정리 조작구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상기 묘재대를 횡이송 이동시켜서 간단하게 폭 정리할 수 있다. 따라서, 오퍼레이터가 후방을 향하여 눈으로 상기 묘재대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상기 PTO 클러치를 차단하는 조작을 할 필요가 없어 폭 정리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묘재대의 정지 위치의 정밀도도 향상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edling type feeding device comprising a seedling feeding device mounted on a rear portion of a traveling body having a seedling rearing table and a plurality of food loops capable of being horizontally transported, a PTO clutch for connecting / disconnecting power transmission to the seedling feeding device, And a width adjustment operation port for carrying out a width adjustment mode in which the remainder is transported to the left and right movable ends by a lateral movement, wherein the width adjustment operation port includes a function of starting the width adjustment mode, It is possible to simply arrange the weights by transversely moving the weighing platform by simply operating the weighing operation tool.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perform an operation of shutting off the PTO clutch while confirming the position of the seedlings with eyes visually rearward, and workability of the width adjustment work can be improved. In addition, the accuracy of the stop position of the tombstones is also improved.

또한, 오퍼레이터는 폭 정리 작업을 행하고 싶을 경우에 상기 폭 정리 조작구를 조작하면 되는 것을 상기 폭 정리 조작구를 보면 직감적이고 또한 확실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유저 프렌들리성이 우수하다. 상기 폭 정리 모드를 도중에 중지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상기 폭 정리 조작구를 한번 더 누름 조작하는 것만으로 상기 묘재대의 횡이송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고, 조작 순서를 알기 쉽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Further, when the operator wants to perform the width adjustment operation, the operator can intuitively understand the width adjustment operation section and can reliably grasp that the width adjustment operation section can be operated. Therefore, the user friendliness is excellent. When it is desired to stop the width sorting mode in the midd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stop the lateral transfer movement of the gravestone merely by pushing the width sorting operation port once again, and to easily understand the operation sequence.

특히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PTO 클러치를 접속/차단 조작하기 위한 클러치 조작구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클러치 조작구에는 그 클러치 차단 조작에 의해 실행중의 상기 폭 정리 모드를 중지시키는 기능을 부가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폭 정리 조작구 이외에 상기 폭 정리 모드를 중지시킬 수 있는 조작구로서, 통상은 상기 PTO 클러치를 접속/차단 조작하는 상기 클러치 조작구를 이용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순간적인 경우라도 상기 폭 정리 모드의 중지가 쉽고, 이앙기에서의 폭 정리 작업을 포함하는 각종 작업성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2, there is further provided a clutch operation port for connecting / disconnecting the PTO clutch, and the clutch operation port is provided with a function of stopping the width adjustment mode being executed by the clutch disconnection operation It is possible to use the clutch operating member for normally connecting / disconnecting the PTO clutch as an operating member capable of stopping the width adjustment mode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width adjustment operation member. Therefore, even in the case of an instant, for example, it is easy to stop the width adjustment mode, and it is possible to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various workability including width adjustment work in the pasture stage.

도 1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승용형 이앙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승용형 이앙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모종 식부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모종 식부 장치에 있어서의 동력 전달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묘재대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묘재대의 분해 평면도이다.
도 7은 폭 정리 검출 센서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8은 식부 작업 컨트롤러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9는 조종 핸들을 생략한 운전 조작부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폭 정리 모드 제어의 플로우차트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ide view of a passive type reed unit in the embodiment; Fig.
Fig. 2 is a plan view of the passive type rice miller.
3 is a front view of the seedling feeding apparatus.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in the seedling type plant.
5 is a side view of the tombstones.
6 is an exploded plan view of the tombstones.
FIG. 7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widthwise arrangement detection sensor. FIG.
Fig. 8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food processing controller.
Fig. 9 is a plan view of a driving operation portion in which a steering handle is omitted. Fig.
10 is a flowchart of the width adjustment mode control.

이하에, 본원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형태를 8조 심기식의 승용형 이앙기(1)에 적용했을 경우의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주행 기체(2)의 진행 방향을 향해서 좌측을 단지 좌측이라고 칭하고, 마찬가지로 진행 방향을 향해서 우측을 단지 우측이라고 칭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embody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hen applied to the passenger-type transfer unit 1 of the 8th planting system.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left side toward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traveling base 2 is referred to as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toward the traveling direction is referred to as the right side only.

(1). 승용형 이앙기의 개요(One). Outline of passenger-type rice milling machine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승용형 이앙기(1)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의 승용형 이앙기(1)는 좌우 한 쌍의 전차륜(3)과 마찬가지로 좌우 한 쌍의 후차륜(4)에 의하여 지지된 주행 기체(2)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 기체(2)의 전방부에는 엔진(5)이 탑재되어 엔진(5)으로부터의 동력을 이 후방의 미션 케이스(6)에 전달하고, 전차륜(3) 및 후차륜(4)을 구동함으로써 전후진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6)의 좌우 측방에 프론트 액슬 케이스(7)를 돌출시키고, 프론트 액슬 케이스(7)에 전차륜(3)을 지휘 가능하게 배치한다. 미션 케이스(6)의 후방에 통형 프레임(8)을 돌출시키고, 통형 프레임(8)의 후단측에 리어 액슬 케이스(9)를 고정하고, 리어 액슬 케이스(9)에 후차륜(4)을 배치한다.First, the outline of the passive type buncher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g. The passenger-type transfer machine 1 of the embodiment includes a traveling base 2 supported by a pair of left and right rear wheels 4 in the same manner as the pair of front wheels 3 on the left and right. An engine 5 is mount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traveling base 2 to transmit the power from the engine 5 to the rear transmission case 6 and drive the front wheels 3 and rear wheels 4 And is configured to travel forward and backward. The front axle case 7 is projected to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transmission case 6 and the front wheels 3 are disposed so as to be able to be guided in the front axle case 7. [ The rear axle case 9 is fixed to the rear end side of the tubular frame 8 and the rear wheel 4 is placed in the rear axle case 9 by projecting the tubular frame 8 behind the transmission case 6 do.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 기체(2)의 전방부 및 중앙부의 상면측에는 오퍼레이터 탑승용의 작업 스텝(차체 커버)(10)이 설치되어 있다. 작업 스텝(10)의 전방부의 상방에는 프론트 보닛(11)이 배치되고, 프론트 보닛(11)의 내부에 엔진(5)을 설치하고 있다. 작업 스텝(10)의 상면 중 프론트 보닛(11)의 후방부 측방에 밟기 조작용의 주행 변속 페달(12)이 배치되어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주행 변속 페달(12)의 밟음량에 따른 변속 전동 모터(84)의 구동에 의해 미션 케이스(6)의 유압 무단 변속기(85)로부터 출력되는 변속 동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8 참조).As shown in Figs. 1 and 2, a work step (body cover) 10 for boarding an operator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traveling base 2 and on the upper side of the central portion. A front bonnet 11 is disposed above the front portion of the work step 10 and an engine 5 is provided inside the front bonnet 11. [ A step-change pedal 12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front bonnet 1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 step 10. The embodiment is configured to adjust the transmission power output from the hydraulic CVT 85 of the transmission case 6 by driving the transmission electric motor 84 in accordance with the depression amount of the transmission shift pedal 12 Reference).

또한, 프론트 보닛(11)의 후방부 상면측에 있는 운전 조작부(13)에는 조종 핸들(14)과 주행 주변속 레버(15)와 작업 레버(16)가 설치되어 있다. 작업 스텝(10)의 상면 중 프론트 보닛(11)의 후방에는 시트 프레임(17)을 통해서 조종 좌석(18)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 보닛(11)의 좌우 측방에는 작업 스텝(10)을 사이에 두고 좌우의 예비 묘재대(24)가 설치되어 있다.A steering handle 14, a running peripheral speed lever 15 and a working lever 16 are provided on a driving operation portion 13 on the rear upper surface side of the front bonnet 11. A steering seat 18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front bonnet 11 in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 step 10 through a seat frame 17.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bonnet 11, left and right preliminary seedlings 24 are provided with a work step 10 therebetween.

주행 기체(2)의 후단부에 링크 프레임(19)을 세워서 설치한다. 링크 프레임(19)에는 로어 링크(20) 및 톱 링크(21)로 이루어지는 평행 링크 기구(22)를 통해서 8조 심기용의 모종 식부 장치(23)가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도 1 참조). 오퍼레이터는 작업 스텝(10)의 측방에 있는 승강 스텝(25)으로부터 작업 스텝(10) 상에 탑승하고, 운전 조작에 의해 포장 내를 이동하면서 모종 식부 장치(23)를 구동시켜서 포장에 모종을 식부하는 모종 식부 작업(모내기 작업)을 실행시킨다. 또한, 모종 식부 작업중에 있어서 모종 식부 장치(23)에는 예비 묘재대(24) 상의 모종 매트를 오퍼레이터가 수시 보급한다.A link frame (19) is installed upright at the rear end of the traveling base (2). The seedling planting device 23 for planting the 8-row planting is connected to the link frame 19 via the parallel link mechanism 22 comprising the lower link 20 and the top link 21 so as to be able to ascend and descend (see FIG. 1) . The operator rides on the work step 10 from the elevation step 25 on the side of the work step 10 and drives the seedling type feeding apparatus 23 while moving the inside of the pavement by the driving operation, (Rice planting work). In addition, during the seedling type work, the seedling mat on the preliminary seedlings stand 24 is occasionally supplied to the seedling type seedling machine 23 by the operator.

(2). 모종 식부 장치의 구조(2). Structure of seedlings

이어서, 종전의 도면에 추가하여 도 3-도 6도 참조하면서 모종 식부 장치(23)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종 식부 장치(23)는 엔진(5)으로부터 미션 케이스(6)를 경유한 동력이 전달되는 식부 입력 케이스(26)와, 식부 입력 케이스(26)에 연결되는 8조용 4세트(2조가 1세트)의 식부 전동 케이스(27)와, 각 식부 전동 케이스(27)의 후단측에 설치된 모종 식부 기구(28)와, 8조 심기용의 묘재대(29)와, 각 식부 전동 케이스(27)의 하면측에 배치된 논바닥 균평용의 플로트(32)를 구비하고 있다. 모종 식부 기구(28)에는 1조분 2개의 식부 클로(30)를 갖는 로터리 케이스(31)가 설치되어 있다. 식부 전동 케이스(27)에 2조분의 로터리 케이스(31)가 배치되어 있다. 로터리 케이스(31)의 1회전에 의해 2개의 식부 클로(30)가 각각 1포기씩의 모종을 잘라내어 잡고, 플로트(32)에 의해 정지(整地)된 논바닥에 식부하게 된다.Next, the structure of the seedling type feeding device 2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in addition to the previous drawings. 3 and 4, the seedling type feeding device 23 includes a feeding input case 26 through which power from the engine 5 is transmitted via the transmission case 6, A seedling feeding mechanism 28 provided on the rear end side of each feeding transmission case 27 and a seedling harvesting device 29 for planting eight seedling, And a float 32 for paddy bottom leveling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side of each eating-comprehension transmission case 27. The seedling type cooking implement 28 is provided with a rotary case 31 having two food compartments 30 for one bowl. Two rotary casings 31 are disposed in the food-feeding transmission case 27. Two food claws 30 each cut and hold a seedling by one turn by one rotation of the rotary case 31 and are fed to the paddy field grounded by the float 32. [

도시는 생략하지만, 엔진(5)으로부터 미션 케이스(6)를 경유한 동력은 전차륜(3) 및 후차륜(4)에 전달될 뿐만 아니라 모종 식부 장치(23)의 식부 입력 케이스(26)에도 전달된다. 이 경우, 미션 케이스(6)로부터 모종 식부 장치(23)를 향하는 동력은 리어 액슬 케이스(9)의 우측 상부에 설치된 포기간 변속 케이스에 일단 전달되고, 포기간 변속 케이스로부터 식부 입력 케이스(26)에 동력 전달된다. 상기 전달된 동력에 의해 각 모종 식부 기구(28)나 묘재대(29)가 구동된다. 포기간 변속 케이스에는 식부되는 모종의 포기간을, 예를 들면 성기게 심기, 표준 심기 또는 베게 심기 등으로 스위칭하는 포기간 변속 기구와, 모종 식부 장치(23)로의 동력 전달을 연결/차단하는 PTO 클러치(75)(도 8 참조)가 내장되어 있다. PTO 클러치(75)는 운전 조작부(13)에 있는 작업 레버(16)의 조작에 의거하는 PTO 클러치 모터(76)(도 8 참조)의 구동에 의해 접속(동력 접속) 상태와 차단(동력 차단) 상태로 스위칭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power from the engine 5 via the transmission case 6 is transmitted to the front wheel 3 and the rear wheel 4 as well as to the food input case 26 of the seedling- . In this case, the power from the transmission case 6 to the seedling-type attachment device 23 is once transmitted to the four-speed period change case provided o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rear axle case 9, Lt; / RTI > And each of the seedling type vegetation mechanism 28 and the seedling stand 29 is driven by the transmitted power. The speed change case includes a four-speed period transmission mechanism for switching the forging period of a seedling to be fed by, for example, a breech-rate planting, a standard planting or a paddle planting, and a PTO for connecting / disconnecting power transmission to the seedling- And a clutch 75 (see Fig. 8) is built therein. The PTO clutch 75 is engaged and disconnected (power cut-off) by driving of the PTO clutch motor 76 (see Fig. 8)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work lever 16 in the drive operating portion 13, State.

도 2,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묘재대(29)의 상면은 묘대 리브(33)에 의해 칸막이되어 있고, 묘재대(29)의 상면에 8조분의 모종 매트 적재면(34)이 형성되어 있다. 묘재대(29)의 각 모종 매트 적재면(34)에는 모종 종이송 기구(35)가 설치되어 있다. 모종 종이송 기구(35)는 모종 인출 방향으로 경사시킨 묘재대(29)의 하단측에 설치된 좌우 가로로 긴 구동측 롤러(36)와, 묘재대의 중도부에 설치된 좌우 가로로 긴 종동측 롤러(37)와, 일부가 모종 매트 적재면(34)측에 노출되도록 구동측 롤러(36) 및 종동측 롤러(37)에 감긴 무단띠 형상의 모종 종이송 벨트(38)를 구비하고 있다. 각 모종 매트 적재면(34)에 직사각형상의 2매의 모종 매트(39)를 직렬로 적재하고, 모종 종이송 벨트(38)를 간헐 구동시킴으로써 모종 매트 적재면(34)의 모종 인출측[묘재대(29)의 경사 하단측]을 향해서 모종 매트(39)가 종이송 반송된다. 또한, 각 모종 매트 적재면(34)에 대하여 모종 종이송 벨트(38)는 좌우 한 쌍 배치되어 있다. 또한, 모종 종이송 벨트(38)의 모종 이송 작용면의 길이는 1매의 모종 매트(39)의 길이보다 길다.6, the top surface of the seedling stand 29 is partitioned by the seedling ribs 33, and eight seedling mat mounting surfaces 34 are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seedling stand 29, Respectively. A seedling paper transfer mechanism (35) is provided on each seedling mat mounting surface (34) of the seedling rearing unit (29). The seedling-type paper feeding mechanism (35) is provided with a drive side roller (36) which is provided on the lower end side of the seedling stand (29) which is inclined in the seedling drawing direction and a long drive side roller And an endless belt-shaped seedling paper feeding belt 38 wound around the driving-side roller 36 and the driven-side roller 37 so that a part thereof is exposed on the seedling mat mounting surface 34 side. Two seedling mat 39 in a rectangular shape are loaded in series on each seedling mat mounting surface 34 and the seedling paper feeding belt 38 is intermittently driven so that the seedling mat loading surface 34 of the seedling mat loading surface 34 (The inclined lower end side of the seedling mat 29). Further, the seedling paper conveyor belts 38 are arrang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seedling mat mounting surface 34. The length of the seedling transfer action surface of the seedling paper conveyor belt 38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one seedling mat 39.

도 2, 도 4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부 입력 케이스(26)의 후방에는 모종 인출구(40)를 갖는 모종 인출판(41)이 대략 수평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묘재대(29)에 있어서의 이면측[모종 매트 적재면(34)과 반대측]의 하부에 하부 레일 프레임(42)이 대략 수평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고착되어 있다. 모종 인출판(41)에 설치된 하부 슬라이드 슈(43)가 하부 레일 프레임(4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방으로부터 끼워넣어져 있다. 한편, 묘재대(29)에 있어서의 이면측의 상부에는 상부 레일 프레임(44)이 대략 수평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고착되어 있다. 식부 입력 케이스(26)에 묘대 지주 프레임(45)이 세워서 설치되고, 묘대 지주 프레임(45)에 설치된 상부 슬라이드 슈(46)가 상부 레일 프레임(4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방으로부터 끼워넣어져 있다. 즉, 하부 레일 프레임(42)에 하부 슬라이드 슈(43)를 끼워넣음과 아울러 상부 레일 프레임(44)에 상부 슬라이드 슈(46)를 끼워 넣음으로써, 묘재대(29)는 좌우 폭방향으로 횡이송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도 3 및 도 4 참조).As shown in Figs. 2, 4, and 6, a seedling draw-out plate 41 having a seedling draw-out port 40 is arranged in the rear of the food-input case 26 so as to extend in a substantially horizontal direction. The lower rail frame 42 is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edling reamer 29 (the side opposite to the seedling mat mounting surface 34) so as to extend in a substantially horizontal transverse direction. The lower slide shoe 43 provided on the seedling drawer plate 41 is slidably fitted in the lower rail frame 42 from below. On the other hand, the upper rail frame 44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back side of the weighing platform 29 so as to extend in a substantially horizontal horizontal direction. A grapple holding frame 45 is installed upright in the food input case 26 and an upper slide shoe 46 provided on the grapple holding frame 45 is slidably fitted into the upper rail frame 44 from below. That is, by fitting the lower slide shoe 43 into the lower rail frame 42 and fitting the upper slide shoe 46 into the upper rail frame 44, the weighing platform 29 is horizontally traversed in the left- And is movably supported (see Figs. 3 and 4).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부 입력 케이스(26)에는 횡이송 구동 기구(47)와 모종 종이송 구동 기구(48)가 배치되어 있다. 횡이송 구동 기구(47)의 이송체(49)는 묘재대(29)의 이면 하부측에 연결되어 있고, 하부 레일 프레임(42) 및 상부 레일 프레임(44)을 따르는 좌우 폭방향으로 묘재대(29)를 횡이송 이동시킨다. 이 때문에, 묘재대(29) 상의 모종 매트(39)는 연속적으로 왕복으로 횡이송 반송된다. 한편, 모종 종이송 구동 기구(48)의 종이송 구동축(50)에는 한 쌍의 종이송 구동 캠(51)이 고착되어 있다. 묘재대(29)가 왕복 이동단(왕복 이동의 반환점)에 도달하면, 종이송 구동축(50)에 의한 각 종이송 구동 캠(51)의 회전 구동에 의해 모종 종이송 벨트(38)를 구동시켜서 묘재대(29) 상의 모종 매트(39)가 간헐적으로 종이송 반송된다.As shown in Fig. 3, a lateral feed drive mechanism 47 and a seedling paper feed drive mechanism 48 are disposed in the food part input case 26. As shown in Fig. The conveying body 49 of the lateral conveyance drive mechanism 47 is connected to the underside of the underside 29 and is movabl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long the lower rail frame 42 and the upper rail frame 44 29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or this reason, the seedling mat 39 on the seedling stand 29 is continuously traversed and transported in a reciprocating manner. On the other hand, a pair of paper-feeding driving cams 51 are fixed to the paper-feeding driving shaft 50 of the seedling-paper-feeding driving mechanism 48. When the seedling reamer 29 reaches the reciprocating moving end (turning point of reciprocating movement), the seedling paper feeding belt 38 is driven by the rotation driving of the paper feeding driving cams 51 by the paper feeding driving shaft 50 The seedling mat 39 on the seedling stand 29 is intermittently fed and transported.

도 2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묘재대(29)에 있어서의 모종 매트 적재면(34)의 상방에 모종 매트 누름 봉(52)이 배치되어 있다. 모종 매트 누름 봉(52)은 모종 매트 적재면(34) 및 모종 종이송 벨트(38)의 상방으로 모종 매트(39)가 들뜨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실시형태에서는 1개의 모종 매트 적재면(34)에 대하여 2개의 모종 매트 누름 봉(52)을 구비하고 있다. 모종 매트 누름 봉(52)은 모종 종이송 벨트(38)의 모종 이송 작용면보다 상하로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모종 매트 누름 봉(52)의 중도부는 모종 매트 적재면(34)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고 또한 모종 종이송 벨트(38)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있다. 모종 매트 누름 봉(52)의 상하 양단측은 모종 매트 적재면(34)으로부터 멀어지는 후방측으로 절곡되어 있고, 하단측은 하부 누름 봉 암(53)에, 상단측은 상부 누름 봉 암(54)에 고착되어 있다. 묘재대(29)에 있어서의 묘대 리브(33)의 하단측에 하부 누름 봉 지지 프레임(55)이 세워서 설치되고, 하부 누름 봉 지지 프레임(55)에 하부 누름 봉 암(53)이 연결되어 있다. 한편, 묘대 리브(33)의 상단측에는 상부 누름 봉 지지 프레임(56)이 세워서 설치되고, 상부 누름 봉 지지 프레임(56)에 상부 누름 봉 암(54)이 연결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6, a seedling mat push rod 52 is disposed above the seedling mat mounting surface 34 of the seedling stand 29. The seedling mat push rod 52 prevents the seedling mat 39 from being lifted above the seedling mat mounting surface 34 and the seedling paper feeding belt 38. In the embodiment, two seedling mat pushing rods 52 are provided for one seedlings mat mounting surface 34. The seedling mat pushing rod 52 is formed in an elongated shape up and down from the seedling transfer action surface of the seedling paper conveyor belt 38. The middle portion of the seedling mat push rod 52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seedling mat mounting surface 34 and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edling paper feeding belt 38.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eedling mat push rod 52 are bent toward the rear side away from the seedling mat mounting surface 34.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lower push rod arm 53 and the upper end is fixed to the upper push rod arm 54 . A lower push rod supporting frame 55 is installed upright on the lower end side of the grain ribs 33 on the seedling stand 29 and a lower push rod arm 53 is connected to the lower push rod supporting frame 55 . On the other hand, an upper push rod supporting frame 56 is installed upright on the upper end side of the gravestone rib 33, and an upper push rod arm 54 is connected to the upper push rod supporting frame 56.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의 묘재대(29)는 6조분의 본체측 묘재대(29a)와 2조분의 분할측 묘재대(29b)로 구성되고, 묘재대(29) 중 분할측 묘재대(29b)를 분리해서 묘재대(29) 전체의 좌우 가로폭을 6조분의 좌우 가로폭으로 단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분할측 묘재대(29b)가 좌측에 위치하고, 본체측 묘재대(29a)가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본체측 묘재대(29a)와 분할측 묘재대(29b)의 경계부에 위치하는 묘대 리브(33)는 본체측 묘재대(29a)의 본체측 묘대 리브(33a)와, 분할측 묘재대(29b)의 분할측 묘대 리브(33b)로 분할해서 구성되어 있다. 본체측 묘대 리브(33a) 및 분할측 묘대 리브(33b)는 상기 경계부에 위치하는 묘대 리브(33)를 종방향으로 대략 이등분으로 절단한 형상이 되어 있다. 본체측 묘대 리브(33a)와 분할측 묘대 리브(33b)를 맞댐으로써 상기 경계부에 위치하는 묘대 리브(33)로서 기능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5 and 6, the tombstones 29 of the embodiment are composed of six main body side tombstones 29a and two tombstones 29c of the tombstones 29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segment side gravestone rests 29b so as to shorten the width of the whole of the gravestone rest 29 to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six tanks. In this case, the division side gravestone rest 29b is located on the left side, and the gravestone rest 29a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The trim rib 33 locat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main body side gravestone rest 29a and the split side gravest graft rest 29b is disposed on the main body side gravest rib 33a of the main body side gravest graice element 29a and the graft side rib 29b, Side tree-shaped ribs 33b of the partition-side tree-shaped ribs 33b. The main body side gravestone ribs 33a and the dividing side gravest ribs 33b have a shape in which the gravest ribs 33 located at the boundary portions are cut substanti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unctions as a drawing rib 33 located at the boundary by abutting the main body side grape ridge 33a and the dividing side grape rib 33b.

도시는 생략하지만, 본체측 묘대 리브(33a)와 분할측 묘대 리브(33b) 중 한쪽에는 맞물림 돌기를 구비하고, 다른 쪽에는 맞물림 돌기가 끼워지는 맞물림 구멍을 갖는 맞물림편을 구비하고 있다. 맞물림편의 맞물림 구멍과 맞물림 돌기의 감합에 의해 본체측 묘대 리브(33a)에 분할측 묘대 리브(33b)가 접촉하여 8조분의 묘재대(29)가 좌우로 횡배열된다. 본체측 묘재대(29a)의 양쪽 레일 프레임(42, 44)에 갈고리 구멍체가 형성되어 있는 한편, 분할측 묘재대(29b)의 양쪽 레일 프레임(42, 44)에는 화살촉형 첨두(尖頭)를 갖는 록 암이 설치되어 있다. 각 록 암을 이것에 대응한 갈고리 구멍체에 이탈 가능하게 록킹함으로써 본체측 묘재대(29a)에 분할측 묘재대(29b)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Although not shown, one of the main body side gravestone ribs 33a and the dividing side gravest ribs 33b is provided with an engaging projection and the other side thereof is provided with an engaging piece having an engaging hole into which the engaging projection is fitted. The partition side grape ribs 33b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main body side grape ribs 33a by the engagement of the engaging holes with the engaging projections so that eight grains of the grape seedlings 29 are horizontally arranged laterally. A hook hole is formed in both rail frames 42 and 44 of the main body side weighing platform 29a while the arrowhead tip is formed on both the rail frames 42 and 44 of the division side weighing platform 29b Is provided. Each of the lock arms is releasably locked to the corresponding hook hole body so that the partition side gravestone rest 29b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side gravestone rest 29a.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할측 묘재대(29b) 중 분할측 묘대 리브(33b)와 반대측의 외측부에 록 암을 록킹/언록킹 조작하는 록 레버(62)가 부착되어 있다. 오퍼레이터가 록 레버(62)의 조작에 의해 각 갈고리 구멍체로부터 각 록 암을 이탈시킴으로써 분할측 묘재대(29b)가 본체측 묘재대(29a)로부터 분리된다. 반대로, 록 레버(62)의 조작에 의해 각 갈고리 구멍체에 각 록 암을 록킹함으로써 본체측 묘재대(29a)에 분할측 묘재대(29b)가 연결된다.As shown in Figs. 5 and 6, a lock lever 62 for locking / unlocking the lock arm i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partition side gravestone graft base 29b on the side opposite to the dividing side gravest rib 33b. The operator separates the lock arm from each hook hole by the operation of the lock lever 62 so that the split side stand gravestone rest 29b is disengaged from the main body side gravestone rest 29a. On the other hand, by locking the lock arms to the respective hook holes by the operation of the lock lever 62, the partition side gravestone rest 29b is connected to the main side gravestone rest 29a.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측 묘재대(29a)의 묘대 리브(33)에는 파이프형이고 좌우 한 쌍의 하부 받침대 프레임(63)과, 상부 록킹 프레임(64)이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한편, 분할측 묘재대(29b)에는 쥐기 암(65)과 좌우 한 쌍의 록킹 돌기(66)가 고착되어 있다. 묘재대(29) 전체의 좌우 횡폭을 6조분의 좌우 횡폭으로 단축시킬 때에는 록 레버(62)의 조작에 의해 각 갈고리 구멍체로부터 각 록 암을 이탈시킨 상태에서 쥐기 암(65)을 잡아서 분할측 묘재대(29b)를 들어올리고, 하부 받침대 프레임(63)에 록킹 돌기(66)를 끼워넣어 분할측 묘재대(29b)의 하부를 지지시킨다. 그리고, 본체측 묘재대(29a)의 상부 레일 프레임(44)에 상부 록킹 프레임(64)을 록킹하여 분할측 묘재대(29b)의 상부를 유지한다. 그 결과, 본체측 묘재대(29a)의 좌우 횡폭 내에 분할측 묘재대(29b)가 수납된다.As shown in Figs. 5 and 6, a pair of left and right lower pedestal frames 63 and an upper locking frame 64 are installed on the graft rib 33 of the main body side gravestone section 29a in a pipe shape . On the other hand, the grasping arm 65 and a pair of right and left locking projections 66 are fixed to the division side gravestone rest 29b. In order to shorten the lateral width of the entire to-be-middlelayer 29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six tanks, the holding arms 65 are held by the lock lever 62 in a state in which the lock arms are disengaged from the respective hook holes, The tombstones 29b are lifted and the locking projections 66 are inserted into the lower pedestal frame 63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division side tombstones 29b. The upper locking frame 64 is locked to the upper rail frame 44 of the main body side gravestone rest 29a to hold the upper portion of the graft side gravest rest 29b. As a result, the divided side seedlings 29b are accommodated in the lateral width of the main body side seedlings 29a.

또한, 모종 식부 장치(23)의 좌우 외측에는 묘대 지주 프레임(45)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사이드 마커(58)를 구비하고 있다. 사이드 마커(58)는 선긋기용의 마커 바퀴체(59)와, 마커 바퀴체(59)를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하는 마커 암(60)을 갖고 있다. 사이드 마커(58)는 운전 조작부(13)에 있는 작업 레버(16)의 조작에 의거하여 다음 공정에서의 기준이 되는 궤적을 논바닥에 착지해서 형성하는 작업 자세와, 마커 바퀴체(59)를 상승시켜서 논바닥으로부터 이간시킨 비작업 자세로 변경(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The side seeders 58 are rotatably supported by the gravestone padding frame 45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seedling type seedling machine 23. The side marker 58 has a marker wheel 59 for line drawing and a marker arm 60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marker wheel 59. The side marker 58 has a working posture formed by landing on the bottom of the rice paddy as a reference trajectory in the next process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working lever 16 in the driving operation section 13, So that it can be changed (pivoted) to a non-working posture separated from the floor of the rice paddy.

모종 식부 작업(모내기 작업)에 있어서는 묘재대(29)의 각 모종 매트 적재면(34)에 모종 매트(39)를 적재한 뒤, 조종 좌석(18)에 오퍼레이터가 탑승하여 승용형 이앙기(1)를 포장 내에서 이동시킨다. 이동하는 동안 횡이송 구동 기구(47)에 의해 묘재대(29)를 좌우 폭방향으로 횡이송 이동시키면서 모종 매트(39)에 있어서의 모종 인출구(40) 부근의 모종 1포기분을 식부 클로(30)에 의해 긁어내고, 그 긁어낸 모종 1포기분을 플로트(32)에 의해 균평하게 정지된 논바닥(포장면)에 식부한다. 횡이송 구동 기구(47)에 의해 묘재대(29)가 횡이송 이동해서 왕복 이동단(좌우 한쪽의 이동단)에 도달하면, 모종 종이송 구동 기구(48)에 의해 모종 종이송 벨트(38)를 작동시켜 모종 매트 적재면(34) 상의 모종 매트(39)를 모종 인출 방향(후방 비스듬히 하향)으로 반송한다. 모종 종이송 벨트(38)의 모종 종이송 동작이 완료되어서 모종 종이송 벨트(38)가 정지하면, 다시 횡이송 구동 기구(47)에 의해 묘재대(29)가 좌우 다른 쪽의 이동단을 향해서 횡이송 이동한다.The seedling mat 39 is loaded on each seedling mat mounting surface 34 of the seedling stand 29 and the operator is carried on the piloting seat 18 to form the passenger- Is moved within the package. The seedlings 29 are transversely transpor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y the lateral transport driving mechanism 47 while being transported while the seedling claws 30 , And the scraped seedlings are fed to the rice paddy (packaging surface) which is evenly stopped by the float 32. The seedling paper feed driving mechanism 48 causes the seedling paper feed belt 38 to move by the lateral movement of the seedling reed 29 when the seedling rearing tray 29 moves transversely and reaches the reciprocating moving end The seedling mat 39 on the seedling mat mounting surface 34 is transported in the seedling pulling direction (backward obliquely downward). When the seedling paper conveyor belt 38 stops the seedling paper conveyance belt 38 after the seedling paper conveyance of the seedling paper conveyor belt 38 is completed and the toaster conveyor 29 is again driven by the lateral conveying drive mechanism 47 toward the left and right moving ends Lateral movement.

도 3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종 식부 장치(23)의 묘대 지주 프레임(45)에는 묘재대(29)가 좌우 한쪽의 이동단까지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폭 정리 검출수단으로서의 접촉식의 폭 정리 검출 센서(67)가 고착되어 있다. 폭 정리 검출 센서(67)는 상향으로 연장되는 감지체(68)를 갖고 있다. 상부 레일 프레임(44)에 고착된 L자 형상의 접촉 암(69)(도 5 참조)의 접촉에 의해 감지체(68)가 탄성에 저항해서 회피 회동하면 폭 정리 검출 센서(67)가 접속 작동하여 좌우 한쪽의 이동단으로의 묘재대(29)의 도달이 검출된다. 묘재대(29)의 좌우 다른 쪽으로의 횡이송 이동에 의해 접촉 암(69)이 감지체(68)로부터 떨어지면, 감지체(68)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리턴 회동하고 폭 정리 검출 센서(67)가 차단 작동한다.As shown in Figs. 3 and 7, in the gravestone supporting frame 45 of the seedling type feeding device 23, a contact type feeding device, which is a width theta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tofu rearing table 29 has reached the left and right moving ends, The widthwise detection sensor 67 is fixed. The width arrangement detection sensor 67 has a sensing element 68 extending upward. When the sensing element 68 is pivotally rotated against the elasticity by the contact of the L-shaped contact arm 69 (see Fig. 5) fixed to the upper rail frame 44, the width correction sensor 67 is connected And arrival of the tombstone 29 to the left and right movable ends is detected. When the contact arm 69 is separated from the sensing element 68 by the lateral transfer movement of the weighing stand 29 to the other lateral direction, the sensing element 68 is rotated back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and the width detection sensor 67 Blocking operation.

실시형태에서는 폭 정리 검출 센서(67)가 묘대 지주 프레임(45)의 우측 부근 부위[본체측 묘재대(29a) 부근]에 위치하고, 마찬가지로 해서 접촉 암(69)이 상부 레일 프레임(44)의 우측 부근 부위[본체측 묘재대(29a)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폭 정리 검출 센서(67)의 감지체(68)에 접촉 암(69)이 접촉한 상태에서는 분할측 묘재대(29b)가 본체측 묘재대(29a)보다 주행 기체(2)의 좌우폭 중앙으로부터 크게 떨어져서 좌외측으로 밀려나오게 된다.The width detection sensor 67 is positioned in the vicinity of the right side of the grapefruit support frame 45 (near the base side gravestone rest 29a) and similarly the contact arm 69 is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the upper rail frame 44 And is located in the vicinity (near the main body side gravestone rest 29a). In the state in which the contact arm 69 is in contact with the sensing element 68 of the widthwise detection sensor 67, the divisional side gravestone section 29b is larger than the center portion of the transit base 2 And then pushed out to the left side.

(3). 폭 정리 모드 실행을 위한 구조 및 그 작동 형태(3). Structure and Operation Mode for Executing Width Cleanup Mode

이어서, 도 8-도 10을 참조하면서 묘재대(29)를 좌우 한쪽의 이동단까지 횡이송해서 정지시키는 폭 정리 모드 실행을 위한 구조 및 그 작동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주행 기체(2)에는 주로 모종 식부 장치(23)에 관련되는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 수단으로서의 식부 작업 컨트롤러(70)가 탑재되어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식부 작업 컨트롤러(70)는 각종 연산 처리나 제어를 실행시키는 CPU 외에 제어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 ROM, 제어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RAM,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 등을 갖고 있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0, a structure and an operation mode for executing the width arranging mode in which the weighing platform 29 is horizontally conveyed to the left and right movable ends will be described. The running vehicle 2 is equipped with a food processing controller 70 as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mainly the seedling feeding device 23. Although not shown, the food processing controller 70 has a ROM for storing a control program and various data in addition to a CPU for executing various calculation processing and control, a RAM for temporarily storing a control program and various data, and an input / output interface have.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부 작업 컨트롤러(70)의 입력측에는 적어도 폭 정리 검출 센서(67)와, 폭 정리 모드 실행을 위한 폭 정리 조작구로서의 폭 정리 버튼(71)과, 주행 주변속 레버(15)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주변속 레버 센서(72)와, 작업 레버(16)의 조작 방향 및 조작 횟수를 검출하는 작업 레버 센서(73)와, PTO 클러치(75)의 연결/차단 상태를 검출하는 PTO 클러치 센서(74)와, 주행 변속 페달(12)의 밟음량을 검출하는 변속 포텐셔미터(82)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식부 작업 컨트롤러(70)의 출력측에는 적어도 PTO 클러치(75)를 스위칭 작동시키는 PTO 클러치 모터(76)의 모터 구동 회로부(77)와, 폭 정리 모드 실행중인 취지를 알리는 폭 정리 버튼 램프(78)와, PTO 클러치(75)가 동력 접속 상태인 취지를 알리는 PTO 클러치 램프(79)와, 미션 케이스(6)에 있어서의 유압식 무단 변속기(83)의 조절부를 제어하는 변속 전동 모터(84)의 모터 구동 회로부(85)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8, at the input side of the food processing controller 70, at least a width detection sensor 67, a width adjustment button 71 as a width adjustment operation port for executing the width adjustment mode, A work lever sensor 73 for detecting the operation direction and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work lever 16 and a connection lever 73 for detecting the connection / disconnection state of the PTO clutch 75 The PTO clutch sensor 74 to be detected and the speed change potentiometer 82 for detecting the amount of depression of the shift selector pedal 12 are electrically connected. A motor drive circuit 77 of the PTO clutch motor 76 for switching at least the PTO clutch 75 and a width regulating button lamp 78 informing that the width adjustment mode is being executed, A PTO clutch lamp 79 for notifying that the PTO clutch 75 is in the power connection state and a motor drive of the speed change electric motor 84 for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of the hydraulic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83 in the transmission case 6 And the circuit portion 85 is electrically connected.

폭 정리 버튼(71)은 운전 조작부(13) 중 조종 핸들(14)의 핸들축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도 9 참조). 폭 정리 버튼(71)에는 1회째의 누름 조작으로 폭 정리 모드를 개시하고, 한번 더 누름 조작으로 폭 정리 모드를 중지시킨다고 하는 기능을 갖게 하고 있다. 주변속 레버 센서(72)는 운전 조작부(13)에 있어서 조종 핸들(14)의 좌측에 배치된 주행 주변속 레버(15)의 근원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주행 주변속 레버(15)는 운전 조작부(13)에 형성된 가이드 홈(80)을 따라 조작함으로써 승용형 이앙기(1)의 주행 모드를 전진, 중립, 후진, 모종 보충 및 이동의 각 모드로 스위칭 가능하게 되어 있다. 주행 주변속 레버(15)는 주행 기체(2)의 진행 방향 및 주행 속도를 조작하기 위한 주행 변속 조작구를 구성하고 있다.The width adjustment button 71 is disposed near the handle axis of the steering wheel 14 among the driving operation portions 13 (see FIG. 9). The width regulating button 71 is provided with a function of starting the width regulating mode by the first pressing operation and stopping the width regulating mode by the pushing operation once more. The peripheral lever sensor 72 is disposed at the root of the driving peripheral lever 15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steering handle 14 in the driving operation portion 13. [ The traveling peripheral speed lever 15 is operated along the guide groove 80 formed in the driving operation portion 13 to change the traveling mode of the passive type looper 1 to each mode of forward, neutral, reverse, seedling replenishment and movement And is switchable. The running peripheral speed lever 15 constitutes a running speed change operation mechanism for operating the running direction and the running speed of the running vehicle 2. [

작업 레버 센서(73)는 조종 핸들(14)의 우측에 배치된 작업 레버(16)의 근원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작업 레버(16)는 십자 방향으로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서 모종 식부 장치(23)의 승강 조작, PTO 클러치(75)의 연결/차단 조작 및 좌우 사이드 마커(58)의 선택 조작이라고 하는 복수의 조작을 단독으로 담당하는 것이다. 작업 레버(16)는 PTO 클러치(75)를 접속/차단 조작하는 클러치 조작구를 구성하고 있다.The work lever sensor 73 is disposed at the root of the work lever 16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steering wheel 14. [ The work lever 16 is configured to be operable in the cross direction so that the work lever 16 is capable of being operated in the crosswise direction so that a plurality of operations such as a lifting operation of the seedling type device 23, a connecting / disconnecting operation of the PTO clutch 75, and a selecting operation of the left and right side markers 58 As shown in FIG. The work lever 16 constitutes a clutch operating section for connecting / disconnecting the PTO clutch 75.

이 경우, 작업 레버(16)를 1회 전경(前傾) 조작하면 모종 식부 장치(23)가 하강하고, 한번 더 전경 조작하면 PTO 클러치(75)가 접속 작동한다(동력 접속 상태가 된다). 반대로, 작업 레버(16)를 1회 후경(後傾) 조작하면 PTO 클러치(75)가 차단 작동하고(동력 차단 상태가 되고), 한번 더 전경 조작하면 모종 식부 장치(23)가 상승한다. 모종 식부 장치(23)의 승강 동작을 중지시키는 경우에는 작업 레버(16)를 역방향으로 경동(傾動) 조작한다. 예를 들면, 모종 식부 장치(23)의 하강 동작을 도중에 정지시키는 경우에는 작업 레버(16)를 후경 조작하면 좋다. 작업 레버(16)를 1회 좌측으로 경동 조작하면 좌측의 사이드 마커(58)가 작업 자세가 되고, 한번 더 좌측으로 경동 조작하면 좌측의 사이드 마커(58)는 비작업 자세로 리턴된다. 작업 레버(16)를 1회 우측으로 경동 조작하면 우측의 사이드 마커(58)가 작업 자세가 되고, 한번 더 우측으로 경동 조작하면 우측의 사이드 마커(58)는 비작업 자세로 리턴된다.In this case, when the working lever 16 is tilted forward one time, the seedling type device 23 is lowered, and once the front wheel is operated, the PTO clutch 75 is engaged (the power connection state is established). Conversely, when the work lever 16 is operated one time in the rearward direction, the PTO clutch 75 is disengaged (power cut-off state), and the seedling-type apparatus 23 is raised by operating the foreground once more. When the elevating operation of the seedling type processing device 23 is stopped, the working lever 16 is tilted in the reverse direction. For example, when the lowering operation of the seedling-type cutting device 23 is stopped in the middle, the work lever 16 may be operated in the rearward direction. When the working lever 16 is tilted once to the left, the side marker 58 on the left side becomes the working posture, and once again tilted to the left side, the side marker 58 on the left side returns to the non-working posture. When the work lever 16 is tilted to the right once, the side marker 58 on the right side becomes the work posture, and when the work lever 16 is tilted to the right again, the side marker 58 on the right side returns to the non-work posture.

폭 정리 버튼 램프(78)와 PTO 클러치 램프(79)는 폭 정리 모드 실행중을 통지하는 통지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폭 정리 버튼 램프(78)는 폭 정리 버튼(71)에 내장되어 있다. 폭 정리 버튼 램프(78)는 폭 정리 버튼(71)의 1회째의 누름 조작으로 점등하고, 한번 더 누름 조작으로 소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PTO 클러치 램프(79)는 운전 조작부(13) 중 조종 핸들(14)의 전방에 있는 액정 패널(81) 내에 배치되어 있다. PTO 클러치 램프(79)는 통상의 모종 식부 작업시 등에 PTO 클러치(75)가 동력 접속 상태이면 점등하고, 폭 정리 모드 실행중에 PTO 클러치(75)가 동력 접속 상태이면 적당한 주기로 점멸하고, PTO 클러치(75)가 동력 차단 상태이면 소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width adjustment button lamp 78 and the PTO clutch lamp 79 constitute a notification member for notifying the execution of the width adjustment mode. The width regulating button lamp 78 is built in the width regulating button 71. The width adjustment button lamp 78 is configured to be turned on by a first pressing operation of the width adjusting button 71 and turned off by a second pressing operation. The PTO clutch lamp 79 is disposed in the liquid crystal panel 81 in front of the steering wheel 14 among the driving operation portions 13. [ The PTO clutch lamp 79 is turned on when the PTO clutch 75 is in the power connection state during normal seedling work and is flickered at a proper cycle when the PTO clutch 75 is in the power connection state during the execution of the width adjustment mode, 75 are in the power cut-off state.

식부 작업 컨트롤러(70)는 폭 정리 검출 센서(67)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는 PTO 클러치(75)의 스위칭 작동에 의해 묘재대(29)를 좌우 한쪽의 이동단(실시형태에서는 좌측 이동단)까지 횡이송해서 정지시키는 폭 정리 모드를 실행시킨다. 이 경우, 도 10의 플로우차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 주변속 레버(15)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에는(S1: YES), PTO 클러치 센서(74)의 검출값을 판독하여 폭 정리 모드 직전의 PTO 클러치(75)의 연결/차단 상태를 기억한다(S2). 그리고, 폭 정리 버튼(71)을 누름 조작하면(S3: YES) 폭 정리 모드가 개시되어 폭 정리 버튼 램프(78)가 점등함과 아울러 PTO 클러치 램프(79)가 적당한 주기로 점멸하고(S4), PTO 클러치 모터(76)의 구동에 의해 PTO 클러치(75)를 접속 작동시킨다(S5).The food processing controller 70 controls the weighing platform 29 to move the weighing platform 29 to one of the left and right moving ends (the left moving end in the embodiment) by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PTO clutch 75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width- And executes a width adjustment mode for stopping the horizontal transport. In this case, as shown in the flowchart of Fig. 10, when the running peripheral speed lever 15 is in the neutral position (S1: YES), the detection value of the PTO clutch sensor 74 is read, (Step S2). When the width adjustment button 71 is pressed (S3: YES), the width adjustment mode is started, the width adjustment button lamp 78 is turned on, and the PTO clutch lamp 79 is flickered (S4) And the PTO clutch 75 is engaged by operating the PTO clutch motor 76 (S5).

폭 정리 모드에서는 오퍼레이터가 주행 변속 페달(12)을 밟으면 변속 포텐셔미터(82)가 밟음량을 검출하고, 상기 밟음량이 소정량 이상이면 변속 전동 모터(84)의 구동에 의해 유압식 무단 변속기(83)로부터의 변속 동력을 밟음량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 묘재대(29)의 횡이송 이동을 개시시킨다. 주행 변속 페달(12)의 밟기를 해제하면 유압식 무단 변속기(83)로부터의 변속 동력이 아이들링 상태가 되기 때문에 묘재대(29)는 횡이송 이동하지 않게 된다. 이렇게 제어하면, 주행 변속 페달(12)의 밟기를 트리거로 해서 묘재대(29)의 횡이송 이동 개시를 오퍼레이터가 적확하게 인식할 수 있고, 불시에 묘재대(29)가 횡이송 이동을 시작할 우려가 없다. 또한, 주행 변속 페달(12)의 과잉 밟기 조작에 의해 묘재대(29)가 오버런할 우려도 회피할 수 있다.The speed change potentiometer 82 detects the amount of depression when the operator depresses the speed change pedal 12 and if the depression amoun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amount, the hydraulic type speed changer 83 is driven by the speed change electric motor 84, And the lateral movement of the weighing platform 29 is started in this state. When the stepping on the travel transmission pedal 12 is released, the shifting power from the hydraulic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83 is put in the idling state, so that the second stage 29 does not move in the lateral direction. If the control is performed in this manner, the operator can correctly recognize the start of the lateral movement movement of the weighing platform 29 by triggering the stepping on the travel changing pedal 12, and if the weighing platform 29 suddenly starts the lateral movement There is no. It is also possible to avoid a risk of overturning the tombstead 29 due to an overpressing operation of the transmission shift pedal 12.

폭 정리 모드의 실행중에 작업 레버(16)를 1회 후경 조작[PTO 클러치(75) 차단 조작]하면(S6: YES), 스텝 S10으로 이행하여 PTO 클러치 모터(76)의 구동에 의해 PTO 클러치(75)를 차단 작동시킨다. 그리고, 폭 정리 버튼 램프(78) 및 PTO 클러치 램프(79)의 양쪽을 소등시키고(S11) 폭 정리 모드를 중지시킨다.(Step S6: YES), the routine advances to step S10, and the PTO clutch motor 76 is driven to rotate the work lever 16 by the PTO clutch 75 75). Then, both the width regulation button lamp 78 and the PTO clutch lamp 79 are turned off (S11), and the width adjustment mode is stopped.

폭 정리 모드의 실행중에 주행 주변속 레버(15)를 중립 위치 이외로 조작했을 경우(S7: YES), 및 폭 정리 버튼(71)을 한번 더 누름 조작했을 경우에는(S8: YES) 스텝 S2의 판독 결과가 PTO 클러치(75) 접속/차단 중 어느 쪽이었는지를 판별한다(S12). 스텝 S2의 판독 결과가 PTO 클러치(75) 차단이면(S12: 차단), 스텝 S10으로 이행하여 PTO 클러치 모터(76)의 구동에 의해 PTO 클러치(75)를 차단 작동시킨다. 그리고, 폭 정리 버튼 램프(78) 및 PTO 클러치 램프(79)의 양쪽을 소등시키고(S11) 폭 정리 모드를 중지시킨다. 스텝 S2의 판독 결과가 PTO 클러치(75) 접속이면(S12: 접속), 폭 정리 버튼 램프(78)를 소등시켜서 폭 정리 모드의 중지를 통지하는 한편 PTO 클러치 램프(79)를 점등시켜서 PTO 클러치(75)는 접속 상태인 것을 통지하고(S13) 폭 정리 모드를 중지시킨다.When the running peripheral speed lever 15 is operated to a position other than the neutral position (S7: YES) and when the width adjusting button 71 is pressed again (S8: YE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ad result is connection / disconnection of the PTO clutch 75 (S12). If the result of the readout of the step S2 indicates that the PTO clutch 75 is disengaged (S12: interrupt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0, and the PTO clutch 75 is disengaged by driving the PTO clutch motor 76. [ Then, both the width regulation button lamp 78 and the PTO clutch lamp 79 are turned off (S11), and the width adjustment mode is stopped. When the readout result of step S2 is the connection of the PTO clutch 75 (S12: connection), the width adjustment button lamp 78 is turned off to notify the suspension of the width adjustment mode and the PTO clutch lamp 79 is turned on, 75) is notified of the connection state (S13) and stops the width arrangement mode.

폭 정리 모드의 실행중에 폭 정리 검출 센서(67)가 접속 작동한 경우에는 묘재대(29)가 좌우 한쪽의 이동단까지 도달하고 있으므로 PTO 클러치 모터(76)의 구동에 의해 PTO 클러치(75)를 차단 작동시키고 묘재대(29)의 횡이송 이동을 정지시킨다(S10). 그리고, 폭 정리 버튼 램프(78) 및 PTO 클러치 램프(79)의 양쪽을 소등시키고(S11) 폭 정리 모드를 종료하는 것이다.When the width adjustment detection sensor 67 is connect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width adjustment mode, since the weighing platform 29 reaches the left and right moving ends, the PTO clutch motor 76 is driven to rotate the PTO clutch 75 And the lateral transfer movement of the weeding section 29 is stopped (S10). Then, both the width regulation button lamp 78 and the PTO clutch lamp 79 are turned off (S11), and the width adjustment mode is terminated.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서는 좌우 횡이송 가능한 묘재대(29) 및 복수의 식부 클로(30)를 갖고 또한 주행 기체(2)에 장착된 모종 식부 장치(23)와, 상기 모종 식부 장치(23)로의 동력 전달을 연결/차단하는 PTO 클러치(75)와, 상기 묘재대(23)를 좌우 한쪽의 이동단까지 횡이송해서 정지시키는 폭 정리 모드를 실행시키기 위한 폭 정리 버튼(71)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폭 정리 버튼(71)에 상기 폭 정리 모드를 개시하는 기능과 실행중의 상기 폭 정리 모드를 중지시키는 기능을 갖게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폭 정리 버튼(71)을 조작하는 것만으로 상기 묘재대(29)를 횡이송 이동시켜서 간단하게 폭 정리할 수 있다. 따라서, 오퍼레이터가 후방을 향하여 눈으로 상기 묘재대(29)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상기 PTO 클러치(75)를 차단 조작을 할 필요가 없어 폭 정리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묘재대(29)의 정지 위치의 정밀도도 향상된다.As apparent from the above description, in the embodiment, there are provided a seedling plant 29 which is capable of being horizontally transported and a seedling feeding apparatus 23 which has a plurality of food claws 30 and is mounted on the running vehicle 2, A PTO clutch 75 for connecting / disconnecting power transmission to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23 and a width adjustment button 71 for executing the width adjustment mode for horizontally feeding the to-be- The width adjusting button 71 has a function of starting the width adjusting mode and a function of stopping the width adjusting mode being executed. Therefore, when the width adjusting button 71 is operated The weighing platform 29 can be transported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can be simply arranged in width.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for the operator to shut off the PTO clutch 75 while confirming the position of the to-be-watermelon 29 with his eyes toward the rear, and workability of the width adjustment work can be improved. In addition, the accuracy of the stop position of the tombstones 29 is also improved.

또한, 오퍼레이터는 폭 정리 작업을 행하고 싶을 경우에 상기 폭 정리 버튼(71)을 누름 조작하면 되는 것을 운전 조작부(13)에 있는 상기 폭 정리 버튼(71)을 보면 직감적이고 또한 확실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유저 프렌들리성이 우수하다. 상기 폭 정리 모드를 도중에 중지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상기 폭 정리 버튼(71)을 한번 더 누름 조작하는 것만으로 상기 묘재대(29)의 횡이송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고, 조작 순서를 알기 쉽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operator wants to perform the width adjustment operation, the operator can grasp intuitively and surely the fact that the width adjustment button 71 is pressed by looking at the width adjustment button 71 in the driving operation section 13. Therefore, the user friendliness is excellent. When it is desired to stop the width sorting mode in the midd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lateral sorting movement of the weighing reamer 29 can be stopped only by pushing the width sorting button 71 once more, .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PTO 클러치(75)가 접속 상태에서 상기 폭 정리 모드를 개시한 후 상기 폭 정리 버튼(71)을 누름 조작했을 경우에는 상기 폭 정리 모드의 중지 후에도 상기 PTO 클러치(75)를 접속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PTO 클러치(75)가 차단 상태에서 상기 폭 정리 모드를 개시한 후 상기 폭 정리 버튼(71)을 누름 조작했을 경우에는 상기 폭 정리 모드의 중지에 따라 상기 PTO 클러치(75)를 차단으로 리턴시키기 때문에, 상기 폭 정리 버튼(71)의 누름 조작으로 폭 정리 작업을 도중에 중지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폭 정리 모드 직전의 상기 PTO 클러치(75) 상태로 하게 된다. 즉, 예를 들면 상기 폭 정리 버튼(71)을 오조작했기 때문에 한번 더 상기 폭 정리 버튼(71)을 누름 조작해서 상기 폭 정리 모드를 캔슬하면 오조작 전의 원래의 상태로 리턴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모종 식부 작업을 위해서 상기 PTO 클러치(75)를 다시 접속 조작할 필요가 없고, 오퍼레이터에 있어서 조작 상태의 연속성을 알기 쉽다(파악하기 쉽다).When the width adjustment button 71 is depressed after the PTO clutch 75 starts the width adjustment mode in the connected state, the PTO clutch 75 is in the connected state even after the stop of the width adjustment mode When the width adjustment button 71 is depressed after the PTO clutch 75 is in the cutoff state and the width adjustment mode is started, the PTO clutch 75 is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stop of the width adjustment mode When the width adjustment operation is interrupted midway through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width adjustment button 71, the state of the PTO clutch 75 immediately before the width adjustment mode is set. That is, for example, since the width regulating button 71 is erroneously operated, if the width regulating button 71 is pressed once more to cancel the width regulating mode, it is possible to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before the erroneous operation.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connect the PTO clutch 75 again for the seedling work, and the continuity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operator is easy to grasp (easy to grasp).

또한, 상기 폭 정리 모드의 실행중에 그 취지를 통지하는 폭 정리 버튼 램프(78) 및 PTO 클러치 램프(79)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후방을 향하여 상기 묘재대(29)를 보지 않아도 상기 폭 정리 모드의 실행중인지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Since the width rearranging button lamp 78 and the PTO clutch lamp 79 are provided to notify the fact that the width rearrangement mode is being execute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width narrowing mode is being executed.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좌우 횡이송 가능한 묘재대(29) 및 복수의 식부 클로(30)를 갖고 또한 주행 기체(2)의 후방부에 장착된 모종 식부 장치(23)와, 상기 모종 식부 장치(23)로의 동력 전달을 연결/차단하는 PTO 클러치(75)와, 상기 PTO 클러치(75)를 접속/차단 조작하기 위한 작업 레버(16)와, 상기 묘재대(29)를 좌우 한쪽의 이동단까지 횡이송해서 정지시키는 폭 정리 모드를 실행시키기 위한 폭 정리 버튼(71)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작업 레버(16)에는 그 클러치 차단 조작에 의해 실행중의 상기 폭 정리 모드를 중지시키는 기능을 부가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폭 정리 버튼(71) 이외에 상기 폭 정리 모드를 중지시킬 수 있는 조작구로서 통상은 PTO 클러치(75)를 접속/차단 조작하는 상기 작업 레버(16)를 이용할 수 있게 되고, 예를 들면 순간적인 경우라도 상기 폭 정리 모드의 중지가 쉽다.In the embodiment, a seedling-type feeding device 23 having a seedling rearing device 29 capable of being horizontally transported and a plurality of food claws 30 and mount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running vehicle 2, A working lever 16 for connecting / disconnecting the PTO clutch 75; and a working lever 16 for connecting / disconnecting the toe harvesting device 29 to the left and right moving ends, And a width regulating button 71 for executing a width regulating mode for carrying out the width regulating mode for stopping the shifting operation and stopping the shifting opera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se the working lever 16 for connecting / disconnecting the PTO clutch 75 as an operating port for stopping the width arranging mode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width arranging button 71. For example, Even in a momentary case, It is easy to stop the node.

또한, 상기 주행 기체(2)의 진행 방향 및 주행 속도를 조작하기 위한 주행 주변속 레버(15)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주행 주변속 레버(16)가 중립 위치 이외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폭 정리 버튼(71)을 조작해도 상기 폭 정리 모드를 실행시키지 않기 때문에, 상기 폭 정리 모드를 안전하게 개시할 수 있는 상태를 확보하여 상기 폭 정리 모드의 실행중에 상기 주행 기체가 돌연히 달려나갈 우려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The traveling peripheral speed lever 15 for controlling the traveling direction and the traveling speed of the traveling vehicle 2 is provided. When the traveling peripheral speed lever 16 is located outside the neutral position, 71 is not operated, the width regulation mode is not executed. Therefore, a state in which the width regulation mode can be safely started can be ensured, and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the running vehicle from suddenly running during execution of the width adjustment mode have.

또한, 상기 폭 정리 모드의 실행중에 상기 주행 주변속 레버(15)를 중립 위치 이외로 조작했을 경우에도 상기 폭 정리 모드를 중지시키기 때문에, 상기 작업 레버(16)뿐만 아니라 상기 주행 주변속 레버(15)의 중립 위치 이외로의 조작에서도 상기 폭 정리 모드를 중지시킬 수 있게 되어, 순간적인 경우에 상기 폭 정리 모드의 중지가 한층 더 쉽다.In addition, even when the running peripheral speed lever 15 is operated to a position other than the neutral position during execution of the widthwise rearrangement mode, the widthwise rearrangement mode is stopped, so that not only the working lever 16 but also the running peripheral speed lever 15 ) Can be stopped even in an operation other than the neutral position, and it is easier to stop the width adjustment mode in an instant case.

또한, 상기 묘재대(29)는 본체측 묘재대(29a)와 분할측 묘재대(29b)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할측 묘재대(29b)가 상기 본체측 묘재대(29a)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고, 상기 묘재대(29)를 좌우 한쪽의 이동단까지 횡이송해서 정지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분할측 묘재대(29b)가 상기 본체측 묘재대(29a)보다 상기 주행 기체(2)의 좌우폭 중앙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기 때문에, 상기 폭 정리 버튼(71)의 누름 조작으로 상기 묘재대(29)를 좌우 한쪽의 이동단까지 폭 정리한 후 좌우 외측으로 밀려나온 상기 분할측 묘재대(29b)를 분리해서 수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묘재대(29) 전체의 좌우 횡폭을 6조분의 좌우 횡폭으로 단축시켜서 2톤 트럭 등의 운반차의 짐받이에 승용형 이앙기(1)를 적재해서 운반할 때에 상기 분할측 묘재대(29b)의 분리·수납 작업의 작업성이 향상되는 것이다.The seedling rearing unit 29 is composed of a main body side seedling rearing unit 29a and a dividing side seedling rearing unit 29b and the division side seedling rearing unit 29b is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side seedling rearing unit 29a (29b) is separated from the left and right width center of the traveling body (2) more than the body side tombstones (29a) in a state where the tombstones (29) The weighing section 29 is arranged to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weighing platform 29 by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weighing button 71 and then the divided weeding section 29b pushed out to the left and right outside is separated, can do. Therefore, when the transverse width of the entire to-be-seen stand 29 is shortened to the width of 6 trillion transverse widths and the transit type grass moving machine 1 is loaded and carried on the platform of a transportation vehicle such as a two- 29b can be improved.

(4). 기타(4). Other

본원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하지 않고, 농산물 이외의 여러 가지 종류의 장물 물품을 반송·분류하는 물품 분류 장치로서 널리 적용할 수 있다. 기타 각 부의 구성은 도시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원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be widely applied as an article sorting apparatus for carrying and sorting various kinds of articles other than agricultural produce. The configuration of each of the other components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승용형 이앙기 2 : 주행 기체
5 : 엔진 6 : 미션 케이스
12 : 주행 변속 페달 13 : 운전 조작부
14 : 조종 핸들
5 : 주행 주변속 레버(주행 변속 조작구)
16 : 작업 레버(클러치 조작구) 18 : 조종 좌석
23 : 모종 식부 장치 29 : 묘재대
29a : 본체측 묘재대 29b : 분할측 묘재대
30 : 식부 클로 67 : 폭 정리 검출 센서
68 : 감지체 69 : 접촉 암
70 : 식부 작업 컨트롤러 71 : 폭 정리 버튼(폭 정리 조작구)
72 : 주변속 레버 센서 73 : 작업 레버 센서
74 : PTO 클러치 센서 75 : PTO 클러치
76 : PTO 클러치 모터 77 : 모터 구동 회로부
78 : 폭 정리 버튼 램프(통지 부재) 79 : PTO 클러치 램프(통지 부재)
1: Passenger type rice planting 2:
5: Engine 6: Mission Case
12: Transmission pedal 13: Operation control unit
14: steering handle
5: Lever in the vicinity of running (operating gearbox)
16: Operation lever (clutch operating unit) 18: Pilot seat
23: seedlings planting device 29: tombstones
29a: Body side tomb rest 29b: Split side tomb rest
30: Food claw 67: Width detection sensor
68: Sensing body 69: Contact arm
70: Food processing controller 71: Width adjustment button (width adjustment operation unit)
72: Peripheral lever sensor 73: Operation lever sensor
74: PTO clutch sensor 75: PTO clutch
76: PTO clutch motor 77: motor drive circuit
78: Width adjustment button lamp (notifying member) 79: PTO clutch lamp (notifying member)

Claims (9)

좌우 횡이송 가능한 묘재대 및 복수의 식부 클로를 갖고 주행 기체의 후방부에 장착된 모종 식부 장치와,
상기 모종 식부 장치로의 동력 전달을 연결/차단하는 PTO 클러치와,
상기 묘재대를 좌우 한쪽의 이동단까지 횡이송해서 정지시키는 폭 정리 모드를 실행시키기 위한 폭 정리 조작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폭 정리 조작구에는 상기 폭 정리 모드를 개시하는 기능과 상기 폭 정리 모드의 실행을 도중에 중지시키는 기능을 갖게 하고 있고,
상기 PTO 클러치가 접속 상태에서 상기 폭 정리 모드를 개시한 후 상기 폭 정리 조작구를 조작했을 경우에는 상기 폭 정리 모드의 중지 후에도 상기 PTO 클러치를 접속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A seedling plant unit mount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traveling body with a seedling stand capable of being horizontally transported and having a plurality of food compartments,
A PTO clutch for connecting / disconnecting power transmission to the seedling-based apparatus,
And a width adjustment operation port for executing the width adjustment mode for horizontally feeding the gravestone to the left and right moving ends and stopping the gravestone;
Wherein the width adjustment operation port has a function of starting the width adjustment mode and a function of stopping the execution of the width adjustment mode on the way,
Wherein the PTO clutch is maintained in a connected state even after the width adjustment mode is stopped when the width adjustment operation port is operated after the PTO clutch is started in the connection state and the width adjustment mode is started.
좌우 횡이송 가능한 묘재대 및 복수의 식부 클로를 갖고 주행 기체의 후방부에 장착된 모종 식부 장치와,
상기 모종 식부 장치로의 동력 전달을 연결/차단하는 PTO 클러치와,
상기 묘재대를 좌우 한쪽의 이동단까지 횡이송해서 정지시키는 폭 정리 모드를 실행시키기 위한 폭 정리 조작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폭 정리 조작구에는 상기 폭 정리 모드를 개시하는 기능과 상기 폭 정리 모드의 실행을 도중에 중지시키는 기능을 갖게 하고 있고,
상기 PTO 클러치가 차단 상태에서 상기 폭 정리 모드를 개시한 후 상기 폭 정리 조작구를 조작했을 경우에는 상기 폭 정리 모드의 중지에 따라 상기 PTO 클러치를 차단으로 리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A seedling plant unit mount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traveling body with a seedling stand capable of being horizontally transported and having a plurality of food compartments,
A PTO clutch for connecting / disconnecting power transmission to the seedling-based apparatus,
And a width adjustment operation port for executing the width adjustment mode for horizontally feeding the gravestone to the left and right moving ends and stopping the gravestone;
Wherein the width adjustment operation port has a function of starting the width adjustment mode and a function of stopping the execution of the width adjustment mode on the way,
And when the width adjustment operation unit is operated after the PTO clutch is in the cutoff state and the width adjustment mode is started, the PTO clutch is returned to cutoff according to the stop of the width adjustment mode.
좌우 횡이송 가능한 묘재대 및 복수의 식부 클로를 갖고 주행 기체의 후방부에 장착된 모종 식부 장치와,
상기 모종 식부 장치로의 동력 전달을 연결/차단하는 PTO 클러치와,
상기 묘재대를 좌우 한쪽의 이동단까지 횡이송해서 정지시키는 폭 정리 모드를 실행시키기 위한 폭 정리 조작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폭 정리 조작구에는 상기 폭 정리 모드를 개시하는 기능과 상기 폭 정리 모드의 실행을 도중에 중지시키는 기능을 갖게 하고 있고,
상기 주행 기체에 탑재된 엔진의 동력을 변속하는 유압식 무단 변속기와, 상기 주행 기체에 설치된 밟기식의 주행 변속 페달과, 상기 주행 변속 페달의 밟음량에 따라 상기 유압식 무단 변속기의 변속 출력을 조절하는 전동 액츄에이터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폭 정리 모드에서는 상기 주행 변속 페달을 소정량 이상 밟음으로써 상기 PTO 클러치를 통해서 상기 모종 식부 장치에 동력 전달하여 상기 묘재대의 횡이송 이동을 개시시키고, 상기 밟음량이 소정량 이상이면 상기 유압식 무단 변속기로부터의 변속 동력을 상기 밟음량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A seedling plant unit mount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traveling body with a seedling stand capable of being horizontally transported and having a plurality of food compartments,
A PTO clutch for connecting / disconnecting power transmission to the seedling-based apparatus,
And a width adjustment operation port for executing the width adjustment mode for horizontally feeding the gravestone to the left and right moving ends and stopping the gravestone;
Wherein the width adjustment operation port has a function of starting the width adjustment mode and a function of stopping the execution of the width adjustment mode on the way,
A hydraulic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for shifting the power of an engine mounted on the traveling vehicle, a stepping type transmission pedal provided on the traveling vehicle, and a transmission for controlling a shift output of the hydraulic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in accordance with a stepping amount of the traveling speed change pedal An actuator;
In the width-arranging mode, the traveling transmission pedal is stepped on by a predetermined amount to transmit power to the seedling-type device through the PTO clutch to start the lateral transfer movement of the seedling rearing device, and when the stepping amoun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amount, Wherein the shift power from the transmission is kept constant regardless of the amount of depression.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TO 클러치를 접속/차단 조작하기 위한 클러치 조작구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클러치 조작구에는 그 클러치 차단 조작에 의해 실행중의 상기 폭 정리 모드를 중지시키는 기능을 부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Further comprising a clutch operation port for connecting / disconnecting the PTO clutch,
Wherein the clutch operation opening has a function of stopping the width adjustment mode being executed by the clutch disengagement operation.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기체의 진행 방향 및 주행 속도를 조작하기 위한 주행 변속 조작구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주행 변속 조작구가 중립 위치 이외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폭 정리 조작구를 조작해도 상기 폭 정리 모드를 실행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Further comprising a travel change manipulation member for manipulating the travel direction and the travel speed of the traveling vehicle,
And the width adjustment mode is not executed even if the width adjustment operation tool is operated when the travel shift operation tool is located outside the neutral posi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폭 정리 모드의 실행중에 상기 주행 변속 조작구를 중립 위치 이외로 조작했을 경우에는 상기 폭 정리 모드를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6. The method of claim 5,
And stops the width adjusting mode when the traveling speed change operating element is operated to a position other than the neutral position during the execution of the width adjusting mode.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묘재대는 본체측 묘재대와 분할측 묘재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할측 묘재대가 상기 본체측 묘재대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고,
상기 묘재대를 좌우 한쪽의 이동단까지 횡이송하여 정지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분할측 묘재대가 상기 본체측 묘재대보다 상기 주행 기체의 좌우폭 중앙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gravestone rearing stand comprises a main body side gravestone grab and a division side gravest graft grab, the graft graft graft graft is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side gravest graft graft,
Wherein the divisional grafting section is located at a position away from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traveling body at a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grafting section in a state where the grafting section is transversely transferred to the left and right moving ends and stopped.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폭 정리 모드의 실행중에 그 취지를 통지하는 통지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a notifying member for notifying of the fact during execution of the width adjusting mode.
삭제delete
KR1020120048574A 2011-05-09 2012-05-08 Rice transplanter KR10194504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04612 2011-05-09
JP2011104612A JP5788708B2 (en) 2011-05-09 2011-05-09 Rice transplanter
JP2011104611A JP5702662B2 (en) 2011-05-09 2011-05-09 Rice transplanter
JPJP-P-2011-104611 2011-05-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5967A KR20120125967A (en) 2012-11-19
KR101945049B1 true KR101945049B1 (en) 2019-02-01

Family

ID=47116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8574A KR101945049B1 (en) 2011-05-09 2012-05-08 Rice transplant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45049B1 (en)
CN (1) CN102771234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84899A (en) * 2020-06-28 2020-09-22 浙江星莱和农业装备有限公司 Devic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movement of seat to add seedling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60439B2 (en) * 2014-04-28 2018-01-17 井関農機株式会社 Seedling transplanter
JP6206369B2 (en) * 2014-09-25 2017-10-04 井関農機株式会社 Transplant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7512A (en) * 1999-04-02 2000-10-17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Seedling placing stand for rice transplanter
JP2011015627A (en) * 2009-07-08 2011-01-27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Transplante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8010B2 (en) * 1987-06-16 1996-10-30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Combiner auger automatic discharge position moving device
EP0613614B1 (en) * 1993-03-04 1999-09-08 YANMAR AGRICULTURAL EQUIPMENT Co., Ltd. Seedling planting apparatus
JP3408946B2 (en) * 1997-05-16 2003-05-19 株式会社クボタ Rice transplanter lifting control
JP4041277B2 (en) * 2000-10-27 2008-01-30 三菱農機株式会社 Transplanter
JP4577828B2 (en) * 2005-02-03 2010-11-10 ヤンマー株式会社 Rice transplanter
JP5054575B2 (en) * 2008-03-03 2012-10-24 株式会社クボタ Rice transplanter
JP2009240317A (en) * 2009-06-15 2009-10-22 Yanmar Co Ltd Rice transplan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7512A (en) * 1999-04-02 2000-10-17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Seedling placing stand for rice transplanter
JP2011015627A (en) * 2009-07-08 2011-01-27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Transplant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84899A (en) * 2020-06-28 2020-09-22 浙江星莱和农业装备有限公司 Devic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movement of seat to add seedlings
CN111684899B (en) * 2020-06-28 2021-05-25 浙江星莱和农业装备有限公司 Devic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movement of seat to add seedl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71234B (en) 2016-01-06
CN102771234A (en) 2012-11-14
KR20120125967A (en) 2012-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5049B1 (en) Rice transplanter
JP2009028052A (en) Rice transplanter
JP5788708B2 (en) Rice transplanter
JP5754599B2 (en) Combine
JP3851858B2 (en) Combine operation structure
JP5718602B2 (en) Combine
JP6143813B2 (en) Rice transplanter
JP2020174537A (en) Work vehicle
JP2014200219A (en) Corn harvester
JP6939753B2 (en) Seedling transplanter
JP6143812B2 (en) Rice transplanter
JP2011182694A (en) Vegetable harvester
KR101961489B1 (en) Rice transplanter
JP2020137424A (en) Combine harvester
JP2004261147A (en) Operating device of combine harvester
JP5928641B2 (en) Combine
JP5702662B2 (en) Rice transplanter
JP2023071074A (en) Farm field work machine
JP4089542B2 (en) Combine
JP3230188U (en) Long root vegetable harvester
JP7482822B2 (en) Rice transplanter
JP5308113B2 (en) Combine shift control device
JP2022054646A (en) Sulky root crop harvester
JPS601568Y2 (en) reaping machine
JP2016054733A (en) comb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