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5029B1 - 인쇄 및 접착 기능을 겸비한 수지층을 가지는 열전사 필름 - Google Patents

인쇄 및 접착 기능을 겸비한 수지층을 가지는 열전사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5029B1
KR101945029B1 KR1020180093377A KR20180093377A KR101945029B1 KR 101945029 B1 KR101945029 B1 KR 101945029B1 KR 1020180093377 A KR1020180093377 A KR 1020180093377A KR 20180093377 A KR20180093377 A KR 20180093377A KR 101945029 B1 KR101945029 B1 KR 101945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layer
weight
parts
film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문선
구본일
최성환
김정섭
송종율
Original Assignee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3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50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2Condu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5Printability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 및 접착 기능을 겸비한 수지층을 가지는 열전사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피전사체에 배치되고 고온 및 압력으로 전사되는 열전사 필름에 있어서, 기재필름; 상기 기재필름의 일면에 형성되는 이형층 및 상기 이형층 일면에 형성되어 인쇄 및 접착 기능을 동시에 가지는 수지층을 포함하는 인쇄 및 접착 기능을 겸비한 수지층을 가지는 열전사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쇄 및 접착 기능을 겸비한 수지층을 가지는 열전사 필름{Thermal Transfer Film with Resin layer Combining Printing and Adhesion}
본 발명은 인쇄 및 접착 기능을 겸비한 수지층을 가지는 열전사 필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종래의 인쇄층과 접착층을 각각 코팅하여 구성된 열전사 필름을 인쇄 기능 및 접착 기능을 동시에 가지는 수지층으로 코팅하여 구성시킴으로써, 제조 및 전사 작업의 편리성 및 효율성이 향상된 인쇄 및 접착 기능을 겸비한 수지층을 가지는 열전사 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몇 년 동안, 구매자들이 선택한 디자인, 메시지, 일러스트레이션 등(이하, 통합하여 "이미지"라 함)을 티셔츠, 스웨터, 셔츠, 가죽제품과 같은 제품에 인쇄하는 주요 산업이 발전하였다. 이러한 이미지는 특정 최종 용도에 따라 재단되고 이형지 또는 전사지 상에 인쇄되어 상업적인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고객이 열전사 필름 상에 이미지를 생성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이미지는 열과 압력의 방법을 통하여 제품에 전사되고, 이후에 이형지 또는 전사지가 제거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열전사 필름은 이형지 위에 인쇄층을 형성한 뒤 다양한 형태와 색상을 갖는 상표, 도형, 캐릭터, 문자, 마크 등의 이미지를 인쇄하고 접착제층을 도포하여 형성된 전사지를 피전사체 표면에 접착층이 접촉하도록 배치한 후, 고온과 압력을 가하여 피전사체에 전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일 예로, 한국등록특허 제10-1145165호(발명의 명칭: 부분엠보/광택 데코타일용 열전사 필름)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인쇄층을 코팅하여 건조시켜 형성한 뒤 이미지를 인쇄한 후 다시 접착제층을 코팅하여 건조시켜야되는 번거로움이 있고, 제조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사 시 필름이 여러층으로 구성되어 있어 전사 작업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제조시간을 단축시키고 작업의 편리성이 향상된 열전사 필름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종래의 인쇄층과 접착층을 각각 코팅하여 구성된 열전사 필름을 인쇄 기능 및 접착 기능을 동시에 가지는 수지층(1Layer)을 코팅하여 구성시킴으로써, 제조 및 전사 작업의 편리성 및 효율성이 향상된 인쇄 및 접착 기능을 겸비한 수지층을 가지는 열전사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사 필름은 피전사체에 배치되고 고온 및 압력으로 전사되는 열전사 필름에 있어서, 기재필름; 상기 기재필름의 일면에 형성되는 이형층 및 상기 이형층 일면에 형성되어 인쇄 및 접착 기능을 동시에 가지는 수지층을 포함하는 인쇄 및 접착 기능을 겸비한 1Layer를 가지는 열전사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재필름은 50 내지 120㎛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형층은 실리콘, 왁스, 불소 및 폴리에틸렌(PE) 중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지층은 바인더, 무기안료 및 용매를 포함하고, 상기 바인더는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폴리스티렌, 폴리아마이드, 폴리올레핀 및 폴리이미드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기안료는 실리카, 이산화티타늄, 점토(Clay), 탈크, 수산화알루미늄, 알루미나, 탄산칼슘, 새틴화이트, 지르코니아, 제올라이트 및 산화아연 중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지층은 상기 바인더 50 내지 90중량부, 무기안료 5 내지 25중량부 및 용매 5 내지 3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층은 30 내지 100㎛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지층은 상기 바인더가 아크릴일 경우, 히드라진 유도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및 접착 기능을 겸비한 수지층을 가지는 열전사 필름은 종래의 인쇄층과 접착층을 각각 코팅하여 구성된 열전사 필름 대신에 인쇄 기능 및 접착 기능을 동시에 가지는 수지층(1Layer)을 코팅하여 구성시킴으로써, 제조 및 전사 작업의 편리성 및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및 접착기능을 겸비한 수지층을 가지는 열전사 필름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및 접착기능을 겸비한 수지층을 가지는 열전사 필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및 접착기능을 겸비한 수지층을 가지는 열전사 필름은 피전사체에 배치되고 고온 및 압력으로 전사되는 것으로, 종래의 인쇄층과 접착층을 각각 코팅하여 구성된 열전사 필름 대신에 인쇄 기능 및 접착 기능을 동시에 가지는 수지층(1Layer)을 코팅하여 구성시킴으로써, 제조 및 전사 작업의 편리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및 접착기능을 겸비한 수지층을 가지는 열전사 필름은 기재필름(10), 이형층(20) 및 수지층(3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기재필름(10)은 피전사체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전사 시 피전사체에 이미지가 표현되도록 이송 역할을 수행하며, 이미지가 형성된 수지층(30)이 피전사체에 용이하게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재필름(10)은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 필름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재필름(10)은 라이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 폴리올레핀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에터설폰 필름, 폴리아크릴계 수지 필름, 폴리우레탄계수지 필름, 폴리에스터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술폰 필름, 폴리메틸펜텐 필름, 폴리에터케톤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다이아세틸렌셀룰로오스 필름, 아세테이트뷰틸레이트셀룰로오스 필름, (메타)아크릴나이트릴 필름 등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기재필름(10)은 발포필름 등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기재필름(1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 100중량부에 대하여 TPAE(Thermoplastic Polyamide Elastomers) 5 내지 30중량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TPAE의 배합량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30중량부가 가장 바람직하다.
TPAE의 배합량이 5 중량부 미만일 경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의 성형성에 대한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3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와 혼용성이 떨어져 기재필름(10)이 가지고 있는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기재필름(10)은 50㎛ 내지 120㎛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기재필름(10)이 50㎛ 미만일 경우 전사과정에서 가열가압 시에 주름이 발생하여 수지층(30)에 인쇄된 이미지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고, 120㎛보다 두꺼울 경우 전사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비효율적이다.
이형층(20)은 전사 시 수지층(30)의 박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기재필름(1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형층(20)은 실리콘, 왁스, 불소 및 폴리에틸렌(PE)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형성을 가지는 이형지라면 어떠한 방법으로든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형층(20)은 0.5㎛ 내지 5㎛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이형층(20)의 두께가 0.5㎛ 미만일 겨우 이형층(20)과 수지층(30) 사이에 박리가 일어날 수 있으며, 5㎛를 초과할 경우 전사 시 수지층(30)과의 박리가 무거워져 이미지가 피전사체와의 전사가 잘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수지층(30)은 인쇄 및 접착 기능을 동시에 가지는 하나의 층으로, 이미지가 인쇄되어 피전사체에 접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지층(30)은 인쇄 및 접착 기능을 동시에 가지기 위하여, 바인더, 무기안료 및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인더는 인쇄기능과 접착기능을 동시에 가질 수 있는 바인더로써,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폴리스티렌, 폴리아마이드, 폴리올레핀 및 폴리이미드 중 하나일 수 있고, 접착기능을 가지고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무기안료는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키고, 열전사 필름 권취 시 서로 들러붙는 블록킹을 방지하기 위해 포함되는 것으로, 실리카, 이산화티타늄, 점토(Clay), 탈크, 수산화알루미늄, 알루미나, 탄산칼슘, 새틴화이트, 지르코니아, 제올라이트 및 산화아연 중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한 것일 수 있으며, 실리카가 가장 바람직하다.
용매는 무기안료 분산을 위해 포함되는 것으로, 물, 메탄올, 에탄올 및 아이소프로필 알코올 중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한 것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바인더, 무기안료 및 용매는 수지층(30)에 각각 50 내지 90 중량부, 5 내지 25중량부 및 5 내지 30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바인더 함량이 50중량부 미만일 경우 전사 기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9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출력 후 잉크의 발색에 영향을 주어 인쇄성 및 컬러재현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무기안료 함량이 5중량부 미만일 경우 열전사 필름 사이의 들러붙는 블록킹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2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전사 후 피전사체와의 부착력이 저하되어 박리가 일어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용매 함량이 5중량부 미만일 경우 무기안료를 분산시키기에 미흡하고, 3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수지층(30)이 코팅시키기에 적절하지 않은 점도로 형성되어 코팅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수지층(30)은 불포화칼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불포화칼슘은 수지층(30)의 경도를 높여 내스크레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불포화칼슘은 수지층(30)에 3 내지 8중량부 더 포함될 수 있다.
불포화칼슘이 3중량부 미만일 경우 경도 증가 효과가 미미하며, 8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제품의 제조단가가 상승하여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이다.
또한, 수지층(30)은 바인더가 아크릴일 경우, 히드라진 유도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드라진 유도체는 아크릴의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와 가교반응하여 수지층(30)을 치밀하게 형성시켜 수지층(30)과 피전사체의 밀착성 및 수치층(30)의 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아크릴은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헥실아크릴레이트, 옥틸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 헥실 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아틸메타아클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스티렌,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히드라진 유도체는 수지층(30)에 1 내지 3중량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1중량부 미만일 경우 밀착성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3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인쇄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수지층(30)은 대전방지제, 습윤분산제, 레벨링제, 소포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외에 가소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전방지제는 수지층(30)에 포함되어 전사 시 정전기로 인한 잉크번짐을 방지하여 고해상도의 인쇄 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대전방지제는 인산 에스테르, 알킬 아민옥사이드(alkyl amineoxide), 알킬 포스핀옥사이드(alkylphosphineoxide), 알킬설폭사이드(alkylsulfoxide), 4차 알킬 암모늄 할라이드(alkyl quaternary ammonium halide), 알킬 이미다졸염할라이드(alkyl imidazolium halide), 알킬 피리디늄 할라이드(alkyl pyridinium halide), 알킬 설포니움 할라이드(alkyl sulfonium halide) 및 알킬 포스포늄 할라이드(alkyl phosphonium hal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대전방지제는 수지층(30)에 0.5 내지 2 중량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대전방지제가 0.5중량부 미만일 경우 정전기 방지 기능이 미미하여 고해상도 구현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고, 2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투명도가 낮아지고 경제성이 저하될 수 있다.
라벨링제는 수지층(30)의 표면장력을 낮춰 조막특성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수지층(30)에 0.5 내지 1중량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라벨링제가 0.5 중량부 미만일 경우 조막특성을 해칠 수 있으며 1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기재필름(10)과의 밀착성이 저하되고 전자 시 잉크 흡수를 저해할 수 있다.
소포제는 수지층(30)에 0.1 내지 1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소포제가 0.1중량부 미만일 경우 수지층(30) 소포 효과가 저하되어 기포층이 발생할 수 있으며, 1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바인더의 레벨링성을 저하시켜 수지층(30) 표면의 크레이터, 핀홀 등의 조막특성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가소제는 수지층(30)에 포함됨으로써, 수지층(30)이 코팅된 후 건조 과정에서 컬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소제는 피전사체와 수지층(30)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소제는 프탈산 에스테르, 벤조산 에스테르, 인산 에스테르, 트리멜리트산 에스테르, 시트르산 에스테르, 아디프산 에스테르, 에폭시 화합물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소성을 갖는 용매들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소제는 수지층(30)에 0.1 내지 4 중량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가소제가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컬 방지 기능 및 밀착력이 저하될 수 있고, 4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수지층(30)의 물성이 저하되어 인쇄성 및 해상도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수지층(30)은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는 선형 구조를 가지며, 유리전이온도(Tg)가 -8 내지 12℃일 수 있다.
이러한, 선형 구조를 갖는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는 단량체인 비닐아세테이트(Vinyl <21> acetate)에, 비닐버사테이트(Vinyl versatate),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iso-butyl acrylate), n-부틸아크릴레이트(n-Butyl acrylate), 에틸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라우릴아크릴레이트(Lauryl acrylate), 에틸렌(Ethylene) 등의 공단량체를 중합하여 선형의 중합구조를 지니도록 합성된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선형 구조를 갖는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는 수지층(30)의 점도를 조절하여 유연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수지층(30)의 점도를 조절함으로써 코팅 후 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선형 구조를 갖는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Tg)는 -8 내지 12℃가 바람직하다.
이때, 유리전이온도(Tg)가 -8℃ 미만일 경우 점도가 너무 증가하여 수지층(30)의 경화 및 물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12℃를 초과할 경우 컬 현상을 방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선형 구조를 갖는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는 수지층(30)에 5 내지 10 중량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가 5중량부 미만일 경우 컬 현상 방지 기능이 미미하고, 1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점도가 너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수지층(30)은 불포화 카르복시산계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불포화 카르복시산계 수지는 수지층(30)의 수용성을 향상시키고, 내마모성, 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불포화 카르복시산계 수지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중 하나의 군일 수 있다.
또한, 불포화 카르복시산계 수지는 수지층(30)에 12 내지 14 중량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불포화 카르복시산계 수지가 12중량부 미만일 경우 수용성 향상 후 안전성이 떨어지며,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고, 14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내수성, 건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지층(30)은 30 내지 100㎛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수지층(30)의 두께가 30㎛미만일 경우 잉크 번짐 형상 및 전사 후 피착면에 대한 밀착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100㎛를 초과할 경우 수지층(30)의 깨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잉크의 발색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및 접착 기능을 겸비한 수지층을 가지는 열전사 필름은 종래의 인쇄층과 접착층을 각각 코팅하여 구성된 열전사 필름 대신에 인쇄 기능 및 접착 기능을 동시에 가지는 수지층(1Layer)을 코팅하여 구성시킴으로써, 제조 및 전사 작업의 편리성 및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기재필름 상면에 이형층을 형성하고, 이형층 상면에 두깨가 65㎛인 수지층을 형성하여 열전사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전사지 A(레이저 출력용 전사지)
[비교예 2]
전사지 B(잉크젯 출력용 전사지)
[ 실험예 ]
상기 실시예, 비교예 1 및 2를 면에 전사시킨 후 발색, 내구성, 물빠짐 및 접착력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발색은 전사 후 육안으로 평가.
내구성은 전사 후 테이프를 붙였다가 띠어낸 후 상대 평가.
물 빠짐은 전사 후 세탁하여 육안으로 평가.
접착력은 전사 후 양손으로 1분동안 비빈 후 이물질이 떨어지는 정도 평가.
평가기준은 ◎(매우 우수), ○(우수), △(보통), Ⅹ(나쁨)으로 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발색
내구성
물 빠짐
접착력
상기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비교예 1 및 2보다 실시예가 발색, 내구성, 물빠짐, 접착력 항목 모두 월등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 실험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 또는 평가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10: 기재필름
20: 이형층
30: 수지층

Claims (8)

  1. 피전사체에 배치되고 고온 및 압력으로 전사되는 열전사 필름에 있어서,
    기재필름;
    상기 기재필름의 일면에 형성되는 이형층 및
    상기 이형층 일면에 형성되어 인쇄 및 접착 기능을 동시에 가지는 수지층을 포함하는 인쇄 및 접착 기능을 겸비한 수지층을 가지며,
    상기 수지층은,
    바인더 50 내지 90중량부, 무기안료 5 내지 25중량부 및 용매 5 내지 30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인더는,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폴리스티렌, 폴리아마이드, 폴리올레핀 및 폴리이미드 중 하나이며,
    상기 수지층은,
    불포화칼슘 3 내지 8중량부,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 5 내지 10중량부 및 불포화 카르복시산계 수지 12 내지 14중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는,
    선형 구조를 가지며, 유리전이온도(Tg)가 -8 내지 12℃이며,
    상기 기재필름은,
    50 내지 120㎛의 두께로 형성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이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100중량부에 대하여 TPAE(Thermoplastic Polyamide Elastomers) 5 내지 30중량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및 접착 기능을 겸비한 수지층을 가지는 열전사 필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층은,
    실리콘, 왁스, 불소 및 폴리에틸렌(PE) 중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및 접착 기능을 겸비한 수지층을 가지는 열전사 필름.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안료는,
    실리카, 이산화티타늄, 점토(Clay), 탈크, 수산화알루미늄, 알루미나, 탄산칼슘, 새틴화이트, 지르코니아, 제올라이트 및 산화아연 중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및 접착 기능을 겸비한 수지층을 가지는 열전사 필름.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은,
    30 내지 100㎛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및 접착 기능을 겸비한 수지층을 가지는 열전사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은,
    상기 바인더가 아크릴일 경우, 히드라진 유도체를 더 포함하는 인쇄 및 접착 기능을 겸비한 수지층을 가지는 열전사 필름.
KR1020180093377A 2018-08-09 2018-08-09 인쇄 및 접착 기능을 겸비한 수지층을 가지는 열전사 필름 KR101945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377A KR101945029B1 (ko) 2018-08-09 2018-08-09 인쇄 및 접착 기능을 겸비한 수지층을 가지는 열전사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377A KR101945029B1 (ko) 2018-08-09 2018-08-09 인쇄 및 접착 기능을 겸비한 수지층을 가지는 열전사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5029B1 true KR101945029B1 (ko) 2019-02-08

Family

ID=65365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377A KR101945029B1 (ko) 2018-08-09 2018-08-09 인쇄 및 접착 기능을 겸비한 수지층을 가지는 열전사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50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328B1 (ko) * 2020-09-17 2021-09-07 주식회사 알앤에프케미칼 박리력과 자기점착 특성이 우수한 열접착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23916A (ko) 2020-08-21 2022-03-03 효성화학 주식회사 블로킹성 및 이접착성이 개선된 나일론 필름
KR102644638B1 (ko) 2023-05-17 2024-03-11 주식회사 대하 Dtf foil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6782A (ja) * 2007-09-10 2009-04-02 Kira Shiko:Kk 滑り止めシート及び防滑層用組成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6782A (ja) * 2007-09-10 2009-04-02 Kira Shiko:Kk 滑り止めシート及び防滑層用組成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3916A (ko) 2020-08-21 2022-03-03 효성화학 주식회사 블로킹성 및 이접착성이 개선된 나일론 필름
KR102298328B1 (ko) * 2020-09-17 2021-09-07 주식회사 알앤에프케미칼 박리력과 자기점착 특성이 우수한 열접착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44638B1 (ko) 2023-05-17 2024-03-11 주식회사 대하 Dtf foil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5029B1 (ko) 인쇄 및 접착 기능을 겸비한 수지층을 가지는 열전사 필름
TWI665102B (zh) 感熱轉印記錄媒體
US5162141A (en) Polymeric sheet having an incompatible ink permanently bonded thereto
US20160046835A1 (en) Anti-corrosive, wear resistant and anti-uv coating for thermal transfer, and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of the same
US20050146590A1 (en) Print medium including a heat-sealable layer
JP6186226B2 (ja) 加飾フィルム、加飾成形品及び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KR100511575B1 (ko) 임시 표시층을 가진 인쇄용 적층체 및 이것을 이용한 인쇄 방법
US20030098906A1 (en) Ink jet transfer printing process
JP6434273B2 (ja) 加飾成形用積層体、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加飾成形品
JP2017159627A (ja) プロテクトフィルム、加飾成形用積層体、及び、加飾成形品
JP2009154503A (ja) 水転写シート及び水転写剥離シート
KR102313806B1 (ko) 네일스티커용 기록매체
US9796867B2 (en) Coating composition for hot sealable, inkjet printable image transfer material
KR102164285B1 (ko) 블록킹 방지 특성이 개선된 발포 열전사 필름
JP2009154504A (ja) 水転写シート
JP3433332B2 (ja) 転写シート
JPH0281687A (ja) 再転写シート
JP7289253B2 (ja) 昇華型熱転写受像シート
US20230311562A1 (en) Decoration material
GB2250955A (en) Printing polymeric sheet material
KR102575628B1 (ko) 장식재
KR102313807B1 (ko) 네일스티커용 기록매체
KR200295063Y1 (ko) 고광택성 합성수지 시트
KR102313808B1 (ko) 네일스티커용 기록매체
US5518985A (en) Image receiving material for thermal dye transf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