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4164B1 - 유도 차량의 정확한 복선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유도 차량의 정확한 복선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4164B1
KR101944164B1 KR1020167004808A KR20167004808A KR101944164B1 KR 101944164 B1 KR101944164 B1 KR 101944164B1 KR 1020167004808 A KR1020167004808 A KR 1020167004808A KR 20167004808 A KR20167004808 A KR 20167004808A KR 101944164 B1 KR101944164 B1 KR 101944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vehicle
guide
switch
i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4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5037A (ko
Inventor
루치아노 콘솔리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에스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에스에이에스 filed Critical 지멘스 에스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60035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00Devices along the route controlled by interaction with the vehicle or train
    • B61L1/02Electric devices associated with track, e.g. rail contacts
    • B61L1/04Electric devices associated with track, e.g. rail contacts mechanically actuated by a par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04Monorai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9/00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preventing derailing, e.g. by use of guid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9/00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preventing derailing, e.g. by use of guide wheels
    • B61F9/005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preventing derailing, e.g. by use of guide wheels by use of non-mechanical means, e.g. acoustic or electromagnet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3/00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6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Transport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 차량의 유도 부재의 정확한 복선(rerailing)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설명하고, 상기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유도 레일(3)에 의해 유도 차량의 유도 부재와 협동하도록 의도된 전기 스위치(13)의 사용에 기초하고, 상기 스위치(13)는 2개의 상태, 각각 제1 상태 및 제2 상태를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태들 중 하나에서 개방되고, 상기 스위치는 다른 상태에서 폐쇄되고, 상기 스위치(13)는 상기 유도 부재와 상호작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도록 지지 구조체 상에 장착되고, 상기 스위치(13)는 상기 유도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과 상호작용함으로써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절환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도 차량의 정확한 복선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METHOD AND DEVICES FOR CONTROLLING A CORRECT RE-RAILING OF A GUIDED VEHICLE}
본 발명은 청구항 1, 6 및 13의 전제부에 따른, 유도 차량(guided vehicle)의 정확한 레일 위치를 점검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뿐만 아니라 이 기능을 위한 전용 전기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유도 차량의 유도 부재의 정확한 또는 부정확한 레일 위치의 검출 및 감시에 관한 것이다.
"유도 차량"은 버스, 트롤리버스(trolleybus), 전차(streetcar), 지하철, 열차 또는 열차 유닛 등과 같은 대중 교통 수단, 뿐만 아니라 안전이 매우 중요한 인자이고 특히 단일 레일에 의해 유도되는 천정 크레인(overhead traveling cranes)과 같은 화물 반송 수단(load transporting means)을 칭한다. 이 단일 레일은 유도 차량의 유도 부재를 유도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유도 부재는 일반적으로 유도 차량이 이동할 때 레일에 대해 지지되고 그 경로를 따른다. 유도 부재는 예를 들어, 유도 시스템이 레일에 의해 규정된 경로를 따라 유도 차량의 조향 차축을 안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차축은 예를 들어 하중 지탱 휠을 구비한다.
유도 부재의 제1 공지의 변형예는, 각각 림(rim)을 구비하고 V 형상으로 배열된, 유도 롤러라 또한 칭하는 한 쌍의 유도 휠을 포함하는데, 즉 상기 휠의 주행 평면은 V 형상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경사져 있고, 상기 휠들 중 하나의 회전축은 그 각각의 림이 끼워진 상기 롤러에 의해 형성된 조오(jaw) 내에 유도 레일을 클램핑하기 위해 상기 휠들 중 다른 하나의 회전축과 철각(salient angle)을 형성한다. 이러한 유도 부재는 예를 들어, 문헌 US 7,228,803 B2, US 6,029,579 A1, US 6,363,860 B1, 및 WO 2008/074942 A1에 설명되어 있다. 이러한 유도 부재는 차량이 정지할 때까지 차량의 안전한 유도를 보장한다. 이는 예를 들어 유도의 손실에 의해 유발되는 재료 손상을 방지하고, 대중 교통의 경우에 탑승 중인 직원 및 승객의 물리적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이 유형의 유도 부재를 포함하는 유도 차량의 작동 원리가 도 1 내지 도 3을 사용하여 설명된다. 도 1은 통상의 기술자에 공지된 유도 부재의 V 형상으로 배열된 한 쌍의 롤러(1, 2)를 도시한다. 한 쌍의 롤러(1, 2)는 이들이 접촉하고 있는 레일(3)을 클램핑하고 따라서 유도 부재를 레일(3)에 의해 규정된 경로를 따르게 강요하고, 상기 경로는 따라서 상기 유도 부재와 협동하고 있는 유도 차량의 조향 차축에 의해 추종된다. 유도 레일(3)은 특히 지면(5)에 부착된 기부판(4) 및 롤러(1, 2)가 타이어(9)를 거쳐 지지하는 레일헤드(7)를 지지하는 웨브(6)를 포함한다. 따라서, 단일 쌍의 유도 롤러 내의 롤러(1, 2)의 각각의 타이어(9)는 레일 표면(8)으로서 알려져 있고 레일헤드(7)의 상부 부분의 일 측에 대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레일헤드(7)의 표면과 접촉한다. 각각의 롤러는 공칭 위치에서, 상기 레일(3)의 레일헤드(7) 아래로 연장하여, 상기 레일헤드(7)가 자유롭게 클램핑될 수 있게 하는 림(10)을 또한 포함한다. 차량이 이동함에 따라, 롤러(1, 2)는 레일헤드(7)와 접촉하고, 그 각각의 림(10)은 공칭 모드에서 무접촉식으로 이 레일헤드를 둘러싸고, 그 아래의 웨브(6)에 접근한다. 레일헤드(7)를 둘러싸는 2개의 림(10)의 하단부(201, 101) 사이의 거리는 레일헤드(7)의 폭(C)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롤러(1, 2)의 파지부로부터 또는 타이어(9)와 림(10) 사이의 구역으로부터 레일헤드(7)의 제거는, 롤러 부착각(11), 즉 V 형상으로 배열된 한 쌍의 롤러의 대칭 평면에 의해 교차되는 한 쌍의 롤러 내의 각각의 롤러(1, 2)의 회전축에 의해 형성된 부채꼴에 대응하는 각도가 증가되는 경우에만 그리고/또는 림(10) 및/또는 레일 헤드(7)의 외부 에지가 변형되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따라서, 차량의 정확한 배향이 유도 부재의 한 쌍의 롤러를 차량의 조향 차축과 결합함으로써 얻어진다. 롤러가 유도 레일 주위에 정확하게 끼워지면, 차량은 이동할 때 레일에 의해 묘사된 경로를 따른다. 역으로, 롤러가 이들의 정상 또는 공칭 작동 위치에 있지 않으면, 예를 들어 유도 레일의 레일헤드가 타이어와 림 사이의 구역 외부로 이동하면, 차량은 레일에 의해 초기에 설정된 경로를 탈선하는 위험이 있다(도 2 참조). 실제로, 일단 롤러가 더 이상 유도 레일에 의해 부여된 방향을 따르도록 구속되지 않으면, 이들 롤러는 레일의 우측 또는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의도된 경로로부터 차량을 탈선시킨다. 이 시나리오는 차량 유도의 손실로서 설명된다. 달리 말하면, 롤러의 정확한 위치는 차량이 정확하게 조향되는 것을 보장하는 필수 조건이다.
롤러가 림을 갖지 않는 차이점을 갖는, 전술된 바와 같이, 레일헤드를 밀접하게 끼워맞추는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하는 유도 부재의 제2 변형예가 문헌 WO 2008/074942 A1에 설명되어 있다. 이 경우에, 휠 림은 롤러의 부착 기부에 단단하게 연결된 림으로 대체되고, 이들 롤러는 안전 실드(shield)에 의해 또한 보호된다. 이 구성은 더 큰 강성을 제공하는데, 이는 레일로부터 롤러를 분리하도록 요구되는 힘을 증가시킨다.
고려되는 유도 부재의 변형예에 무관하게, 레일헤드를 롤러의 파지부 외부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것은 예를 들어, 수직 상향 견인력이 롤러 또는 롤러의 부착 기부에 인가되어 부분들(롤러의 림 및/또는 레일헤드 및/또는 축)의 변형이 림들 사이의 거리가 레일 헤드의 폭을 초과하게 할 때 해당한다. 이 경우에, 롤러는 더 이상 레일을 파지하지 않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에서 벗어나서 위치될 수 있는데, 도 1에 사용된 도면 부호가 도 2에 대해 또한 사용된다.
더욱이, 작업장에서,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차량을 들어올리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 목적으로, 승강 구역이라 칭하는 상기 작업장의 적어도 하나의 구역은 상기 차량을 들어올리기 위해 사용되는 레일헤드를 갖지 않는 유도 레일(3)을 구비한다[도 3에서 상기 레일(3)의 웨브(61) 참조]. 이 레일은 그 상부 부분의 폭(C)이 유도 부재의 롤러의 2개의 림(101, 201)의 단부들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유도 부재는 레일헤드의 그리고 롤러의 기하학적 구조로부터 발생하는 레일 클램핑력으로부터 해제될 수 있고, 이어서 유도 롤러들 사이에 레일이 걸리지 않고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차량을 수직으로 들어올리는 것이 가능하다. 유지보수 작업의 완료시에, 차량은 그 주행 트랙으로 복귀되고, 롤러는 도 3에 도시된 위치로 복귀한다. 승강 구역의 출구에서, 유도 레일은 전이 구역 후에 상기 레일헤드(7)에 복귀한다.
상기 전이 구역에서, 유도 차량의 유도 부재의 정확한 레일 위치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관련된 주행 트랙 상에 유도 차량을 재차 떨구고 차량을 전이 구역으로 이동시킬 때, 유도 차량의 각각의 유도 부재의 롤러의 정확한 레일 위치를 보장하도록 감시되어야 한다. 레일의 레일헤드가 한 쌍의 유도 롤러 사이에 정확하게 결합되지 않으면, 상기 유도 부재는 더 이상 차량을 유도할 수 없으며, 하드웨어, 직원 및 승객에 대한 심각한 결과를 갖는다.
따라서, 유도 차량의 유도 롤러의 정확한 레일 위치를 점검하는 것이 상기 유도 차량의 작동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중요한 단계이다. 이 점검은 자동 차량의 경우에도, 항상 수동으로 수행된다. 현존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은 이미 유도 차량의 온-레일 상태(on-rail state)로부터 탈선 상태(derailed state)로의 변화(예를 들어, WO 2011/012176) 및 레일의 존재(예를 들어, WO 2010/102676 또는 US 2010/0065692)의 모두를 검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지만, 이들 디바이스 및 방법은 각각의 쌍의 유도 롤러 상에 설치되어야 하는 탑재형 하드웨어(on-board hardware)에 기초하는데, 이는 시기 부적절하게 결함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시키고 설치 및 유지보수 비용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상기 레일 상의 레일헤드의 존재 또는 결여에 무관하게, 특히 작업장에서 유도 레일 상의 롤러의 정확한 레일 위치를 점검하기 위한 간단하고, 안전하고, 신뢰적인 자동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전기 스위치, 감시 시스템 및 방법이 청구항 1, 6 및 13의 내용에 설명되어 있다.
종속 청구항의 세트가 또한 본 발명의 장점을 설명하고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적어도 하나의 유도 레일에 의해 유도되는 차량의 유도 부재와 협동하도록 설계된 전기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스위치는 예를 들어 제1 접촉부 및 제2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2개의 상태, 각각 제1 또는 초기 상태 및 제2 또는 일시적 상태를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상태들 중 하나에서 개방되고 - 즉, 전기 회로 내의 전류의 흐름을 방지하도록 구성됨,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치의 상기 접촉부들은 서로로부터 전기적으로 격리되고 개방 전기 회로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함 - 다른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는 폐쇄되고 - 즉, 상기 전기 회로 내의 상기 전류의 흐름을 재설정하도록 구성됨, 예를 들어 상기 접촉부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폐쇄 전기 회로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함 -, 상기 스위치는 특히 지면에 단단하게 연결된 하중 지탱 구조체 상에 조립되고/부착되어 상기 유도 부재가 상기 하중 지탱 구조체에 접근할 때 상기 유도 부재와 상호작용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유도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과 상호작용함으로써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절환가능하고, 상기 스위치는 일단 상기 상호작용이 중지되면, 예를 들어 상호작용이 중단되거나 종료될 때, 상기 제1 상태로 자동으로 복귀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일단 상기 중단이 중지되면, 상기 스위치는 그 초기 상태, 즉 상기 제1 상태로 자동으로 복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기 스위치는 유도 부재의 상기 부분과 무접촉식으로 상호작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목적으로, 상기 전기 스위치는 상기 유도 부재에 접촉하지 않고 상기 유도 부재의 상기 부분의 존재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무접촉식 센서를 포함한다. 이러한 센서는 예를 들어, 광학, 유도성, 용량성 또는 초음파 센서이고, 상기 상호작용은 각각 광학적 상호작용(예를 들어, 상기 유도 부재의 상기 부분의 통과에 의해 절단되고 상기 하중 지탱 구조체 부근에서 유도 부재의 결여시에 재설정되는 빔), 자기 상호작용(예를 들어, 상기 유도 부재의 상기 부분의 존재시에 상기 센서에 의해 방출된 자기장의 수정), 전기적 상호작용(예를 들어, 유도 부재의 상기 부분의 존재시에 상기 센서의 부근에서 전기장의 수정), 또는 음향 상호작용(예를 들어, 상기 센서에 의해 방출되고 유도 부재의 상기 부분의 존재에 의해 유도된 파의 수정)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기 스위치는 유도 부재의 상기 부분과 기계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스위치는 예를 들어, 전기 스위치의 상기 레버가 예를 들어 림 또는 롤러와 같은 유도 부재의 부분과 기계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중 지탱 구조체를 사용하여 위치된 레버 스위치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기 스위치는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들은 상기 하중 지탱 구조체 상에 장착되고/부착되어 예를 들어 상기 유도 부재와 상기 접촉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기계적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하중 지탱 구조체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도 레일이고, 상기 접촉부들은 특히 서로 종방향으로 나란하게 또는 서로의 상부에, 예를 들어 상기 유도 레일 상에 또는 이들의 측면들 중 적어도 하나 상에, 또는 이들의 측면들의 각각 상에, 또는 심지어 상기 유도 레일의 레일헤드의 아래에 배열되고, 상기 접촉부들은 또한 상기 유도 레일로부터 전기적으로 격리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유도 부재의 적어도 상기 부분과의 기계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절환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기계적 상호작용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접촉부를 상기 제2 접촉부에 접속함으로써 스위치가 폐쇄되게 하고(전기 회로 폐쇄, 전류가 상기 회로를 통해 흐르는 것을 가능하게 함) 또는 상기 제1 접촉부를 상기 제2 접촉부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상기 스위치가 개방되게 한다(전기 회로 개방, 상기 회로를 통해 전류가 계속 흐르는 것을 방지함).
상기 부하 지탱 구조체는 특히 예를 들어 상기 전기 스위치, 및 특히 이들의 센서 또는 상기 접촉부들을 지탱하도록 배열되어, 유도 부재가 상기 부하 지탱 구조체 부근에 있을 때 상기 전기 스위치가 유도 부재의 상기 부분과 무접촉식으로 또는 기계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부하 지탱 구조체는 예를 들어, 지면 또는 간단히 레일, 또는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치가 위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를 갖는, 상기 레일의 부근에서 지면에 부착되도록 의도된 기계적 지지 요소일 수도 있다. 상기 센서는 특히 상기 유도 부재가 상기 레일 상에 정확하게 위치되면 상기 상호작용이 발생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위치된다. 예로서, 도 12는 상기 유도 부재의 부근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스위치의 상이한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위치의 상태의 변화는 특히 상기 유도 부재의 상기 부분과 상기 스위치 사이의 기계적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된다. 기계적 상호작용의 예는:
- 스위치의 상기 접촉부들 상의 유도 부재의 상기 부분의 기계적 마찰, 상기 마찰은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 사이에 적어도 일시적 전기적 접속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기계적 마찰의 결여는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를 분리함,
- 상기 스위치의 가동부의 유도 부재의 상기 부분에 의한 기계적 이동, 상기 상호작용은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가 서로로부터 전기적으로 격리되는 공칭 위치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가 접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일시적 위치로 상기 가동부의 이동을 유발하고, 상기 상호작용의 중단은 이들의 공칭 위치로의 상기 가동부의 복귀를 자동으로 야기하고, 상기 이동은 예를 들어 상기 가동부의 병진 이동 또는 회전축 둘레의 상기 가동부의 회전이다.
유도 부재의 상기 부분은 예를 들어, 상기 유도 레일의 상부면에 대해 지지하도록 의도되고 상기 접촉부들의 상부면 상의 마찰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상기 유도 부재의 슬라이딩 접촉 디바이스이다. 예를 들어, 상기 슬라이딩 접촉 디바이스는 레일에 대해, 예를 들어 상기 유도 레일의 상기 상부면에 대해 지탱하도록 의도된 도전성 표면을 포함한다. 더욱이, 유도 부재의 상기 부분은 유도 롤러의 림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상기 롤러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도 있고, 상기 림 또는 롤러의 각각은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치의 상기 가동부의 이동을 유발하거나 또는 상기 전기 스위치의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가능한 물리적 크기의 수정을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물리적 크기는 예를 들어 전기장 또는 자기장 또는 방사선 강도 또는 파장의 값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는 접촉 스트립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하중 지탱 구조체에 부착된 격리 기부 상에 단단히 장착되고, 상기 접촉부들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격리 기부의 면 상에서 서로 종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고, 상기 격리 기부의 다른 면은 상기 하중 지탱 구조체에 부착되도록 배열된다. 특히, 상기 다른 면은 유도 레일의 상부면에, 예를 들어 상기 유도 레일의 레일헤드에 또는 레일헤드를 갖지 않는 유도 레일의 상단부에 부착될 수도 있고, 상기 표면 또는 상기 유도 레일의 상단부는 바람직하게는 유도 차량이 상기 유도 레일 위에 있을 때 유도 차량의 섀시에 대면한다.
특히,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의 각각은 이들이 그 길이를 따라 서로 측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될 때 상기 접촉부들의 상기 측면들이 함께 무접촉식으로 끼워지도록 기하학적으로 구조화된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포함하는 도전성 재료의 세장형 판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촉부들은 특히 이들이 상기 격리 기부 상에 배열될 때, 동일한 평면에 배열된 편평한 상부면을 각각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면은 사인곡선형(sinusoidal) 또는 총안형(crenellated)(예를 들어, 직사각형)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접촉부들 중 하나의 측면은 접촉부들이 함께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접촉부들 중 다른 하나의 측면에 상보적인 기하학적 형상을 갖는다. 명백하게, 통상의 기술자는 상기 접촉부들을 위한 다른 기하학적 배열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할 것인데, 이는 간단하게 서로 평행하게 나란히 또는 서로 나란히 지그재그 배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격리 기부는 일정한 종방향 사다리꼴 섹션의 세장형 판이고, 종방향 섹션은 단면에 대조적으로 판의 면들 중 하나에 수직으로 그리고 판의 길이를 따라 취해진 섹션이다. 특히, 상기 사다리꼴의 큰 기부는 상기 하중 지탱 구조체에 대해, 예를 들어 상기 레일의 길이를 따라 상기 레일에 대해 지탱되도록 의도되고, 사다리꼴의 작은 기부는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를 지탱하도록 설계되고, 큰 기부의 인접각은 엄격하게 90° 미만이어서, 예를 들어 상기 접촉부들로 이어지는 경사 평면을 형성한다. 유리하게, 상기 격리 기부의 사다리꼴 형상은, 유도 부재의 상기 부분이 슬라이딩 접촉부이면, 상기 하중 지탱 구조체의 상단부 또는 표면의 레벨과 상기 접촉부들의 상기 상부면의 레벨 사이에 임의의 단차부 없이 하중 지탱 구조체의(예를 들어, 상기 유도 레일의) 상단부 또는 표면으로부터 상기 접촉부들의 상부면으로 상기 슬라이딩 접촉부의 연속적인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데, 상기 단차부는 잠재적으로는 상기 이동을 방해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유도 레일에 의해 유도되는 차량의 레일 위치를 점검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유도 차량은 도전성 슬라이딩 접촉부를 구비한 상기 유도 레일에 의해 묘사된 경로를 따르도록 상기 유도 차량을 강요하도록 의도된 적어도 하나의 유도 부재를 갖고, 상기 유도 부재는 잠재적으로는 도전성 슬라이딩 접촉부를 구비한 상기 유도 레일을 클램핑하고 그에 대해 지탱하도록 설계된 V형으로 배열된 한 쌍의 롤러, 즉 상기 유도 차량이 상기 유도 레일 상에 정확하게 위치될 때 상기 유도 레일과 접촉하도록 배열된 상기 유도 레일과의 전기 접촉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 시스템은 전동식이고,
- 전술된 바와 같은 m개의 전기 스위치로서, 여기서 m≥1이고, 특히 m은 적어도 2개이고, 각각의 전기 스위치는 유도 차량의 유도 부재의 부분과 기계적으로 또는 무접촉식으로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는 전기 스위치,
- 상기 전기 스위치, 예를 들어 상기 전기 스위치의 상기 접촉부의 각각을 레일 위치 신호화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 상기 신호화 시스템은 입력 단자(A) 및 출력 단자(B), 상기 입력 단자(A)와 상기 출력 단자(B) 사이의 각각의 상기 전기 스위치의 접속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상기 전기 스위치는 입력 단자(A)와 출력 단자(B) 사이에 접속되어, 출력 단자(B)에서 측정가능한 레일 위치 신호의 값은 변화하고 단지 각각의 스위치가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절환하는 경우에 공칭값으로부터 일시적 값으로 절환하고, 각각의 상기 스위치는 특히 상기 상호작용의 결여시에 초기에 동일한 상태에 있는데, 즉 모두 개방되거나 모두 폐쇄되고, 역으로 상기 신호화 시스템은 출력 단자(B)에서 측정가능한 상기 레일 위치 신호의 상기 값이 이어서 일단 스위치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1 상태로 복귀하면 상기 초기값으로 복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레일 위치 신호는 바람직하게는 A로부터 B로 절환하도록 의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호화 시스템은 각각의 전기 스위치가 상기 제1 상태에 있을 때 개방 상태에 있으면 입력 단자(A)와 출력 단자(B) 사이의 각각의 전기 스위치의 직렬 접속, 또는 각각의 전기 스위치가 상기 제1 상태에 있을 때 폐쇄 상태에 있으면 입력 단자(A)와 출력 단자(B) 사이의 각각의 전기 스위치의 병렬 접속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은 각각의 스위치가 상기 상호작용의 결여시에 상기 제1 상태에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 단자(A)는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전기 스위치에 의해 출력 단자(B)에 접속된다. 유리하게는, 입력 단자(A)로부터 출력 단자(B)로 통과하거나 전파되도록 의도된 레일 위치 신호는 출력 단자(B)에서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출력 단자(B)에서 단지 2개의 가능한 값만을 가질 것인데, 상기 공칭값은 상기 스위치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안내 부재의 상기 부분과의 상호작용의 결여를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일시적 값은 상기 유도 차량의 유도 부재의 상기 부분과의 각각의 전기 스위치의 동시 상호작용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들 전기 스위치가 모두 동일한 상태, 즉 유도 부재의 상기 부분과의 상기 상호작용의 결여시에 상기 제1 상태에 있는 것을 보장하도록 제공된 전기 스위치의 직렬 또는 병렬 접속은 상기 유도 차량의 복수의 유도 부재에 대한 정확한 레일 위치의 동시 검출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상기 유도 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가 레일 상에 부정확하게 위치되면 부정확한 레일 위치가 신호화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더 구체적으로, 각각의 전기 스위치는 단지 유도 부재의 상기 부분과의 상호작용의 경우에만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절환한다. 따라서, 출력 단자(B)에서 측정가능한 상기 레일 위치 신호의 공칭값은 단지 입력 단자(A)와 출력 단자(B) 사이에 직렬로 또는 병렬로 접속된 각각의 전기 스위치가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절환되는 경우에만 상기 일시적 값에 대해 변화한다. 실제로, 공칭값은 상기 전기 스위치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1 상태에 있으면 출력 단자(B)에서 측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신호화 시스템은 2진값을 포함하는 레일 위치 신호에 의해 특징화되는 출력 단자(B)를 포함할 수도 있고, 상기 "2진" 레일 위치 신호는 일시적 값 및 공칭값을 갖고, 상기 2진 레일 위치 신호는 단지 각각의 전기 스위치가 유도 부재의 상기 부분과 상호작용하는 경우에만 일시적 값을 채택하고, 상기 전기 스위치들 중 적어도 하나가 유도 차량의 유도 부재들 중 하나의 상기 부분과 상호작용하지 않으면 상기 공칭값을 채택하고, 상기 일시적 값은 상기 공칭값과는 상이하다.
특히, 제1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전기 스위치는 상기 직렬 접속을 형성하도록 상기 단자들에 직렬로 접속되고, 제1 "개방" 상태에 의해 특징화된다. 이 경우에,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전기 스위치의 개방 상태에 대응하기 때문에, 각각의 전기 스위치는 이어서 상기 상호작용의 결여시에 개방되고, 상기 레일 위치 신호는 단지 각각의 전기 스위치가 유도 차량의 유도 부재들 중 하나의 상기 부분과 상호작용하는 경우에 입력 단자(A)로부터 출력 단자(B)로 통과할 수 있고, 상기 상호작용은 상기 전기 스위치의 상태를 "개방"으로부터 "폐쇄"로 변화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제1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레일 위치 신호가 상기 입력 단자(A)에서 값(A0)을 가지면, A0의 일시적 값은 각각의 스위치가 상기 유도 부재들 중 하나의 상기 부분과 상호작용하는 경우에 상기 출력 단자(B)에서만 측정가능하다. 반대의 경우에, 상기 전기 스위치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부분과 상호작용하지 않으면, 값(A0)과는 상이한 공칭값이 상기 출력 단자(B)에서 측정가능하다. 따라서, 전기 레일 위치 신호는 단지 각각의 상기 스위치의 상태가 동일하고 폐쇄되는 경우에만 입력 단자(A)로부터 출력 단자(B)로 통과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전기 스위치는 입력 단자(A)와 출력 단자(B) 사이에 병렬로 접속되고, 제1 "폐쇄" 상태에 의해 특징화된다. 이 경우에, 임의의 상호작용의 결여시에, 전기 스위치가 폐쇄되기 때문에, 상기 레일 위치 신호가 유도 부재의 상기 부분과 상기 전기 스위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상호작용의 결여시에 입력 단자(A)와 출력 단자(B) 사이에서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입력 단자(A)에서 값(A0)을 갖는 레일 위치 신호는 이어서 상기 출력(B)에서 공칭값으로서 상기 값(A0)을 또한 가질 것이다. 역으로, 각각의 전기 스위치는 출력 단자(B)에서 측정가능하도록 상기 값(A0)과는 상이한 일시적 값(BT)에 대해 유도 차량의 유도 부재들 중 하나의 부분과 상호작용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시스템은 상기 출력 단자(B)에서 측정가능한 상기 레일 위치 신호의 값을 보유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보유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메모리 또는 쌍안정성 릴레이이다. 특히, 상기 보유 디바이스는 입력 단자(ME) 및 출력 단자(MS)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단자(ME)는 상기 출력 단자(B)에 접속되고, 상기 출력 단자(MS)는 레일 위치 지시기에 접속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유 디바이스는 그 출력 단자(MS)에서, 2개의 값, 즉 상기 레일 위치 신호의 공칭값에 동일한 제1 값 및 상기 레일 위치 신호의 일시적 값에 동일한 제2 값에 의해 특징화되는 보유 신호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유 디바이스는 레일 위치 신호가 그 공칭값으로부터 그 일시적 값으로 변화할 때마다 제1 값으로부터 제2 값으로, 이어서 제2 값으로부터 제1 값으로, 등으로 보유 신호의 값을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레일 위치 신호는 그 일시적 값으로부터 그 공칭값으로 변화하여 따라서 상기 보유 신호의 변화를 유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보유 디바이스는
a. 그 입력 단자(ME)에서 수신된 상기 레일 위치 신호가 제1 시간 동안 일시적 값을 채택할 때, 이 보유 신호의 값이 상기 제1 값으로부터 상기 제2 값으로 변화하도록 그리고 이어서 상기 레일 위치 신호가 제1 시간 동안 그 공칭값으로 복귀할 때 그 출력 단자(MS)에 공급된 상기 보유 신호를 위한 상기 제2 값을 보유하기 위해 그 출력 단자(MS)에 공급된 보유 신호의 값을 변화시키고,
b. 그 입력 단자(ME)에서 수신된 상기 레일 위치 신호가 제2 시간 동안 상기 공칭값으로부터 상기 일시적 값으로 변화할 때, 이 보유 신호의 값이 상기 제2 값으로부터 상기 제1 값으로 변화하도록 그리고 이어서 상기 레일 위치 신호가 제2 시간 동안 그 공칭값으로 복귀할 때 그 출력 단자(MS)에 공급된 상기 보유 신호를 위한 상기 제1 값을 보유하기 위해 그 출력 단자(MS)에 공급된 보유 신호의 값을 변화시키고,
c. 상기 레일 위치 신호가 그 공칭값으로부터 그 일시적 값으로 변화할 때마다 연속적으로 상기 단계 (a) 및 (b)를 반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보유 디바이스는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도 레일 상의 상기 유도 차량의 이동 방향의 고려시에 상기 m개의 전기 스위치의 하류측에서, 상기 하중 지탱 구조체 상에, 예를 들어 상기 유도 레일 상에 배열되도록 구성된 전기 스위치를 포함한다. 이 전기 스위치는 이하에 전술된 상기 m개의 전기 스위치로부터 이를 구별하기 위해 "보충 전기 스위치"라 칭한다. 구체적으로, m개의 전기 스위치의 가장 가까운 전기 스위치로부터 보충 전기 스위치를 분리하는 거리는 상기 유도 차량의 또는 상기 유도 차량의 단일의 객차(coach)의 2개의 연속적인 유도 부재의 상기 부분을 분리하는 거리보다 작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충 전기 스위치는 전기 스위치들이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라 직렬로 접속될 때 상기 m개의 전기 스위치에 병렬로 상기 입력 및 출력 단자(A, B)에 접속된다. 다른 바람직한 변형예에 따르면, 상기 m개의 전기 스위치는 상기 입력 단자(A)와 공통 노드 사이에 병렬로 접속되고, 상기 보충 전기 스위치는 상기 m개의 전기 스위치와 직렬로 상기 공통 노드에 그리고 상기 출력 단자(B)에 접속된다.
임의의 모호성을 회피하기 위해, 정의에 의해, "상류측" 및 "하류측"은 각각 이동이 그로부터 오는 방향 및 이동이 레일을 참조하여 각각 진행하는 방향을 칭한다. 물체와 관련하여 전기 스위치의 하류측 위치라는 것은, 하류측으로 이동하는 유도 차량이 그 경로 상에서 제1 상기 물체에 조우하고, 이어서 역으로 다른 물체와 관련하여 전기 스위치의 상기 하류측 위치에 대해 상기 전기 스위치에 조우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시 시스템은 전기 스위치의 수가 상기 유도 차량의 객차에 끼워진 유도 부재의 수에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기 스위치는 상기 하중 지탱 구조체 상에, 예를 들어 상기 유도 레일 상에 배열되어, 상기 스위치들 중 하나가 유도 부재의 상기 부분과 상호작용할 때, 유도 부재가 레일 상에 정확하게 위치되면 모든 다른 스위치가 또한 유도 부재의 상기 부분과 또한 상호작용하게 되도록 설계된다. 구체적으로, 서로로부터 전기 스위치를 분리하는 거리는 서로로부터 상기 유도 부재들의 상기 부분들을 분리하는 거리에 동일하여, 유도 레일을 따라 상기 하중 지탱 구조체 상의 상기 전기 스위치의 배열이 상기 유도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객차에 끼워진 상기 유도 부재들의 상기 부분들의 배열에 경면대칭하게 된다. 따라서, 유도 부재의 부분이 상기 전기 스위치들 중 하나와 상호작용하는 것이 가능한 위치에 있을 때, 유도 차량의 또는 상기 유도 차량의 객차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유도 부재의 부분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감시 시스템의 하나의 다른 전기 스위치와 상호작용하는 것이 가능한 위치에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유도 부재에 의해 유도되는 차량용 유도 레일에 관한 것이며, 상기 유도 레일은 전술된 바와 같은 총 m≥1개의 전기 스위치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전기 스위치의 수(m)는 상기 유도 차량의 객차에 끼워진 유도 부재의 수와 동일하며, 상기 전기 스위치들 중 하나가 유도 부재의 상기 부분과 상호작용할 때, 상기 유도 부재가 레일 상에 정확하게 위치되면 모든 다른 스위치가 유도 부재의 상기 부분과 또한 상호작용하게 되도록 상기 스위치가 상기 유도 레일 상에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유도 레일은 상기 유도 차량의 섀시에 대면하도록 의도된 상부 부분에, 상기 유도 레일로부터 중공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낮은 릴리프(relief)를 포함하고, 각각의 낮은 릴리프는 각각의 상기 전기 스위치가 상기 낮은 릴리프 내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m개의 전기 스위치 중 하나를 수용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전기 스위치는 상기 접촉부의 상부면이 동일한 평면에 있도록 낮은 릴리프 내에 배열되고, 상기 평면은 유도 차량의 상기 섀시에 대면하도록 의도된 상기 상부 부분의 상부면을 또한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유도 부재를 갖는 ki개의 객차를 갖고, i는 0 내지 n-1의 범위이고, n은 적어도 하나의 유도 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유도 차량의 객차의 수인 유도 차량의 하나 이상의 유도 부재의 유도 레일 상의 정확한 위치를 자동으로 점검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방법은
a. 제1 감시 지점으로의 상기 유도 차량의 객차(ki)의 제1 이동 단계로서, 상기 제1 감시 지점은 상기 유도 차량의 레일 위치를 감시하기 위해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 스위치의 하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전기 스위치는 상기 유도 부재와 상호작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이동은 유도 차량의 객차(ki)의 유도 부재의 부분의 위치와 각각의 전기 스위치의 위치를 정합하도록 상기 제1 감시 지점까지 이루어지고, 상기 부분은 상기 전기 스위치의 상태의 변화를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전기 스위치와 협동하는 것이 가능한, 제1 이동 단계,
b. 단지 상기 유도 부재가 상기 유도 레일 상에 정확하게 위치되는 경우에만 상기 유도 부재의 상기 부분과의 상호작용에 의한 상기 전기 스위치의 상태의 변화 단계,
c. 단지 각각의 전기 스위치가 상태가 변화된 경우에만 신호가 상기 유도 차량의 정확한 레일 위치를 지시하는 단계;
d. 단지 상기 정확한 레일 위치 신호가 송신되는 경우에만 상기 감시 지점의 하류측의 상기 유도 차량의 상기 객차(ki)의 제2 이동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감시 지점은 상기 유도 차량의 객차(ki)의 모든 유도 부재에 대해, 유도 부재의 상기 부분과 협동하도록 배열된 전기 스위치의 유도 레일 상의 위치와 상기 객차의 각각의 유도 부재의 상기 부분의 위치를 동시에 정합하도록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객차(ki)의 제2 이동은 상기 제1 감시 지점으로부터 제2 감시 지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감시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 감시 지점을 분리하는 거리는 객차(ki)가 제2 감시 지점에 있을 때, 객차(ki+1)가 제1 감시 지점에 있도록 상기 유도 차량의 일 객차의 길이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방법은 상기 유도 차량의 모든 유도 부재의 레일 위치를 점검하기 위해 상기 유도 차량의 각각의 객차(ki)에 대해 단계 (a) 내지 (d)의 반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보조하기 위해, 예시적인 실시예 및 용례가 이하에 의해 제공된다.
도 1은 유도 레일 상에 정확하게 위치된 유도 부재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는 탈선된 유도 부재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은 레일헤드를 갖지 않는 유도 레일 상에 정확하게 위치된 유도 부재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스위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5는 유도 부재와 협동하는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 레일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시스템과 유도 부재의 협동의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작동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작동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스위치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2는 상기 전기 스위치의 예시적인 위치의 도면이다.
동일한 도면 부호가 동일한 또는 유사한 물체를 표현하기 위해 상이한 도면에 사용된다.
도 1은 통상의 기술자에 공지된 유도 부재의 V 형상으로 배열된 한 쌍의 롤러(1, 2)를 도시한다. 한 쌍의 롤러(1, 2)는 이들이 접촉하고 있는 유도 레일(3)을 클램핑하고, 따라서 레일(3)에 의해 규정된 경로를 따르도록 유도 부재를 강요하고, 상기 경로는 따라서 상기 유도 부재와 협동하는 유도 차량의 조향 차축에 의해 추종된다. 본 발명은 유도 차량의 유도 부재의 모든 롤러(1, 2)가 특히 상기 유도 차량이 점검 구역을 통해 통과할 때, 레일 상에 정확하게 위치되는지를 신속하고 신뢰적으로 점검하도록 의도된다(도 1 및 도 3 참조). 이 점검 구역은 바람직하게는 측선(siding) 또는 작업장의 출구(유도 레일이 레일헤드를 갖지 않는), 스위치 후(유도 레일의 변화), 또는 팽창 조인트를 구비한 유도 레일(불연속적인 레일) 이후와 같이, 유도의 손실이 가장 가능성이 있는 위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감시 시스템은 유도 레일(3) 상에 바람직하게 설치된 전기 스위치(13) 및 지면 상에 설치될 수도 있는 신호화 시스템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신호화 시스템은 전술된 바와 같은 보유 디바이스 및/또는 지면 상에(예를 들어, 신호등) 또는 유도 차량 상에(예를 들어, 발광 지시기) 설치된 레일 위치 지시기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스위치(13)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 4에 도시된다. 상기 전기 스위치(13)는 격리 기부(14) 및 상기 격리 기부(14) 상에 단단히 조립된 2개의 접촉부, 각각 제1 접촉부(15) 및 제2 접촉부(16)를 포함한다. 상기 격리 기부 및 상기 접촉부들을 포함하는 유닛은 접촉부 스트립을 형성한다. 상기 접촉부의 각각은 접속 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신호화 시스템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촉부의 각각에 대해, 도전성 케이블은 상기 접촉부의 일 단부(151, 161)가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상기 신호화 시스템에 접속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1 접촉부(14) 및 제2 접촉부(15)는 특히 서로로부터 격리된다. 그러나, 전도성 물체가 동시에 상기 접촉부들, 예를 들어 상기 접촉부들의 상부면(153, 163)에 접촉하면, 단부(151, 161) 및 상기 단부들에 접속된 케이블은 이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스위치는 이어서 폐쇄된 접촉기 또는 스위치로서 작용한다.
상기 전기 스위치(13)는 바람직하게는 유도 레일 상에 설치되는데, 유도 차량의 섀시에 대면하는 것이 가능한 상기 유도 레일의 상부면에 직접 부착되거나(도 5 참조), 또는 상기 유도 레일의 상부 부분(75)의 질량체 내에 형성된 리세스 내에 부착되어(도 6 참조), 상기 접촉부들의 상부면이 상기 유도 레일(3)의 상기 상부 부분(75)의 상부면(31)과 동일한 레벨에 있게 되고, 상기 리세스의 깊이는 상기 전기 스위치의 두께와 동일하다. 유리하게는, 상기 유도 레일의 상부 부분의 중공 형성된 리세스 또는 낮은 릴리프(17)가 유도 레일(3)의 상부면(31)의 레벨 및 상기 접촉부들의 상부면(153, 163)의 레벨에 일치하도록 배열되어, 레일(3)의 상기 상부면(31)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의도된 유도 부재의 부분(121)이 레일(3)의 상기 상부면(31)으로부터 상기 접촉부들(15, 16)의 상기 상부면(153, 163)으로 이동할 때 임의의 단차부들에 부닥치지 않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기 스위치(13)가 레일(3)의 상부 부분(75)에 직접 부착되면, 격리 기부(14)가 이어서 레일(3)의 상부면(31)의 레벨과 전기 스위치의 상부면(153, 163)의 레벨 사이의 경사부를 그 길이방향 단부들의 각각에 포함하도록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어, 이에 의해 상기 면들과 상부면들 사이의 단차부의 형성을 회피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위치의 폭(L)은 유도 부재의 롤러의 타이어(9)(도 2 참조)를 분리하는 최소 거리(D) 미만이다. 더욱이, 상기 접촉부들의 단부의 각각에 각각 접속된 케이블이 유도 부재의 롤러에 의해 방해되고/절단되지 않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레일(3)은 특히 레일 상에 정확하게 위치될 때 예를 들어 레일헤드(7)를 둘러싸는 2개의 림(10)의 하단부(201, 101)의 위치 아래의 상기 레일의 웨브의 하부 부분과,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기 스위치가 배열되어 있는 상부 부분 사이에서, 상기 유도 레일의 본체 내부에 복도(corridor)를 생성하도록 그 본체 내에 형성된 2개의 구멍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15, 16)를 폐쇄하는 전도성 물체는 유도 부재가 레일 상에 정확하게 위치될 때, 상기 유도 레일과 접촉하거나 폐쇄하도록 배열된 유도 부재의 부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전기 스위치와 유도 부재의 현존하는 전도성 부분 사이의 상호작용, 특히 기계적 상호작용을 생성하도록 의도된다. 달리 말하면, 본 발명은 상기 스위치를 "결합"/"분리"하기 위해 유도 부재의 기하학적 구성을 독창적으로 사용한다. 상기 현존하는 부분은 푸시 버튼 전기 스위치, 레버 스위치 또는 무접촉식 센서 상에 작용할 수 있는 림의 하단부(201, 101)일 수도 있고, 또는 상기 현존하는 부분은 상기 레일(3)과 전기적 접촉하게 되도록 의도된 도전성 표면(19)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접촉부(121)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촉부(15, 16)의 상부면(153, 163) 위의 상기 슬라이딩 접촉부(121)의 상기 도전성 표면(19)의 통과는 상기 접촉부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 및 전류가 접촉부(15, 16) 사이에 전달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슬라이딩 접촉부(121)는 특히 레일 위치가 정확하면 그 전도성 표면(19)과 상기 유도 레일(3)의 상기 상부 부분 사이에 접촉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유도 부재로의 부착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일단, 유도 롤러가 정확한 레일 위치를 손실하면(도 8 참조), 상기 도전성 표면(19)과 상기 접촉부(15, 16) 사이의 접촉은 파괴되고, 상기 전기 스위치는 이어서 개방 접촉기 또는 스위치로서 작동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스위치(13)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8에서와는 달리, 본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전기 스위치(13)가 적어도 상기 레일(3)의 웨브(6)의 일 측에서, 상기 레일(3)의 레일헤드 아래에서 상기 레일(3)의 웨브(6)에 부착되어, 유도 부재의 롤러(1, 2) 중 적어도 하나의 주행 평면(Pr) 내에 있게 되고 상기 레일을 따른 유도 부재의 이동 중에 상기 전기 스위치의 가동부 상에 상기 롤러의 림 또는 유도 휠의 압력에 의해 작동될 수 있게 된다. 스위치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림에 의해 가압될 때, 고정된 접촉부(15)에 접촉하는 것이 가능한 가동 접촉부(16) 상의 림 또는 유도 휠의 압력에 의해 기계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푸시버튼이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시스템은 복수의 유도 부재의 정확한 레일 위치를 동시에 점검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제로, 예를 들어, 유도 차량의 객차의 각각의 차축이 상기 차축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유도 부재를 포함하면(도 9 및 도 10 참조),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중 지탱 구조체 상에, 특히 유도 레일(3) 상에 상기 객차의 유도 부재의 수에 동일한 다수의 전기 스위치를 배치하는 것을 제안한다. 특히, 전기 스위치들을 서로로부터 분리하는 거리는 서로로부터 유도 부재의 상기 부분을 분리하는 거리에 동일하여, 상기 전기 스위치들 중 하나가 유도 부재들 중 하나의 부분과 상호작용할 때, 상기 유도 레일의 다른 전기 스위치의 각각이 다른 유도 부재의 부분과 또한 상호작용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1 감시 지점(20)이 상기 유도 차량에 의해 도달될 때, 4개의 전기 스위치(13A, 13B, 13C, 13D)는 유도 차량의 객차의 유도 부재의 부분과, 예를 들어 상기 유도 부재의 슬라이딩 접촉부와 각각 동시에 상호작용한다. 따라서, 유도 차량의 객차의 4개의 유도 부재의 레일 위치는 동시에 점검될 수 있다.
도 9a는 감시 지점(20)에 도달하기 전에, 유도 차량, 예를 들어 열차를 표현하고 있다. 전기 스위치(13A, 13B, 13C, 13D)는 특히 입력 단자(A)와 출력 단자(B)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다. 특히, 상기 전기 스위치의 어느 것도 유도 부재의 상기 부분(121)과 상호작용하지 않으면, 상기 전기 스위치는 개방 상태에 있다. 따라서, 상기 유도 차량이 감시 지점(20)에 도달하기 전에, 어떠한 전류도 입력 단자(A)와 출력 단자(B) 사이에 흐르지 않을 수 있다. 유도 차량이 감시 지점(20)에 도달할 때(도 9b 참조), 각각의 전기 스위치는 레일 위치가 정확하면 유도 부재의 상기 부분과 상호작용하는데, 예를 들어 4개의 전기 스위치(13A, 13B, 13C, 13D)의 제1 및 제2 접촉부는 유도 부재의 상기 부분(121), 예를 들어 슬라이딩 접촉부의 도전성 표면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동시에 접속된다. 따라서, 입력 단자(A) 및 출력 단자(B)는 단지 각각의 유도 부재의 레일 위치가 정확하면 서로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실제로, 하나 이상의 유도 부재의 레일 위치가 부정확하면, 입력 단자(A)와 출력 단자(B) 사이의 전기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도 10a 내지 도 10f는 감시 시스템이 유도 차량의 일 객차의 길이에 동일한 거리로 이격되고 제1 및 제2 객차를 갖는 유도 차량의 레일 위치를 감시하도록 설계된 2개의 감시 지점, 각각 제1 감시 지점(20) 및 제2 감시 지점(21)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1 감시 지점 및 이어서 제2 감시 지점을 지나는 각각의 객차의 통과는, 특히 제1 및 제2 레일 위치 지시기(22, 23)에 의해, 단지 모든 롤러의 레일 위치가 정확한 경우에만 상기 제1 감시 지점 및 이어서 제2 감시 지점을 지나 차량을 이동시키는 것의 허용을 지시하는 것이 가능한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시스템에 의해 점검된다. 상기 레일 위치 지시기들은 예를 들어 신호등이고, 바람직하게는 도 10a 내지 도 10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시 지점들 중 하나의 하류측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레일 위치 지시기(22, 23)의 각각은 제1 신호(221, 231) 및 제2 신호(222, 232)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제1 신호는 부정확한 레일 위치를 지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제2 신호는 정확한 레일 위치를 지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 차량이 제1 감시 지점(20)을 향해 이동하면, 예를 들어 레일(3) 상에 배열된 전기 스위치(13A, 13B, 13C, 13D)는 제1 개방 상태로부터 제2 폐쇄 상태로 동시에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입력 및 출력 단자(A, B)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고, 특히 항상 서로 동일한 상태를 지시하는 레일 위치 지시기(22, 23)는 상기 제1 신호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유도 부재의 탈선 상태를 지시하여, 상기 차량이 제1 감시 지점(20)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유도 차량이 제1 감시 지점(20)에 도달되면, 각각의 전기 스위치(13A, 13B, 13C, 13D)는 유도 차량의 제1 객차의 유도 부재들 중 하나의 상기 부분과 동시에 상호작용하여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절환한다. 따라서, 입력 단자(A)는 출력 단자(B)에 접속되고, 신호가 상기 입력 단자(A)로부터 상기 출력 단자(B)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신호는 상기 레일 위치 지시기(22, 23)에 의해 제공된 레일 위치 지시의 변화를 트리거링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들 레일 위치 지시기는 상기 제2 신호에 의해 제1 객차의 유도 부재의 정확한 레일 위치를 결과로서 지시하여, 이에 의해 상기 유도 차량의 이동을 허용한다.
상기 유도 차량은 이어서 제2 감시 지점(21)으로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감시 시스템에 의해 허가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제2 객차가 제1 감시 지점(20)에 도달한다. 바람직하게는, 유도 차량이 제2 감시 지점을 향해 이동할 때 레일 위치 지시기가 탈선 상태를 지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유 디바이스는 상기 차량이 상기 제2 감시 지점(21)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정확한 레일 위치 지시가 일시적으로 유지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목적으로, 상기 보유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보충 전기 스위치(135)가 유도 부재의 상기 부분과 상호작용할 때까지, 유도 차량의 정확한 레일 위치 상태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데 사용된 쌍안정성 릴레이 및 보충 전기 스위치(135)를 포함한다.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도 차량의 이동 방향에 관련하여 가장 하류측에 위치된 유도 부재의 상기 부분이 상기 보충 스위치(135)와 기계적으로 상호작용하기 시작할 때, 상기 보충 스위치는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절환한다. 이 상태의 변화는 공칭값으로부터 일시적인 값으로 절환하는 출력 단자(B)에서의 측정가능한 신호의 값을 변경하는 것을 수반한다. 상기 일시적인 값은 상기 레일 위치 지시기에 의해 공급된 상태 지시를 변화하도록 의도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여, 이들 레일 위치 지시기가 적어도 하나의 유도 부재의 탈선 상태를 지시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일시적인 값은 상기 쌍안정성 릴레이의 리셋 신호이다.
상기 유도 차량의 이동 방향에 관련하여 가장 하류측에 위치된 유도 부재의 상기 부분이 상기 보충 스위치(135)의 위치를 통과할 때, 레일 위치 지시기(22, 23)는 적어도 하나의 유도 부재의 탈선 상태를 지시한다. 전기 스위치(13A, 13B, 13C, 13D)는 상기 제1 객차가 상기 제2 감시 지점(21)에 도달할 때까지 제2 객차의 유도 부재의 부분과 동시에 상호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레일 위치 지시기는 제1 신호를 표시한다.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 차량의 제1 객차가 제2 감시 지점(21)에 도달하고 제2 객차가 제1 감시 지점(20)에 도달할 때, 전기 스위치(13A, 13B, 13C, 13D)는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절환하여, 이에 의해 입력 단자(A)를 출력 단자(B)에 접속하고 상기 레일 위치 지시기(22, 23)에 의해 표시된 신호의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데, 이들 레일 위치 지시기는 이어서 상기 제2 신호(222, 232)를 지시하여, 상기 유도 차량이 상기 제2 감시 지점(21)을 지나 이동하는 것을 허가한다.
재차, 상기 제2 감시 지점(21)의 하류측의 상기 유도 차량의 이동 중에(도 10f 참조), 상기 보충 스위치(135)는 유도 부재의 부분과 기계적으로 상호작용하고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절환한다. 이 상태의 변화는 상기 레일 위치 지시기에 의해 지시된 신호의 변화를 유발하고, 이들 레일 위치 지시기는 이어서 상기 제1 신호(221, 231)를 표시하고, 상기 제1 감시 지점(20)을 지나는 후속의 유도 차량의 임의의 이동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이에 의해 유도 차량의 모든 유도 롤러의 정확한 레일 위치를 자동으로 점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도 10a 내지 도 10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 상에 또는 상기 유도 차량에 탑재형으로 설치된 레일 위치 지시기에 의해 상기 유도 차량의 이동을 감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유도 차량의 레일 위치를 감시하기 위한 간단한 방법을 제안하여, 본 발명이 레일 위치를 감시하도록 의도된 탑재형 시스템을 갖지 않으면, 다양한 결함에 민감한 현존하는 시스템에 비교하여 그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뿐만 아니라 개발, 제조, 설치 및 특히 유지보수의 비용을 감소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유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레이저 소스와 같은 광빔(133)의 이미터(131) 및 예를 들어 CCD 센서와 같은 상기 광빔(133)의 수신기(132)를 포함하는 네거티브 검출기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고, 상기 광빔 이미터(131)는 광빔을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수신기(132)는 상기 광빔을 수신하고 상기 광빔의 수신에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네거티브 검출기는 상기 광빔의 수신에 관련된 상기 신호를 사용하여 보조 스위치(134)를 작동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보조 스위치(134)는 2개의 상태, 각각 폐쇄 상태 및 개방 상태에 의해 특징화된다. 상기 보조 스위치는 바람직하게는 입력 단자(A)와 출력 단자(B) 사이에서 상기 전기 스위치들에 병렬로 장착된다(도 10a 참조). 이미터(131) 및 수신기(132)는, 바람직하게는 유도 차량의 객차의 제1 차축(즉, 가장 하류측에 위치된 것)의 유도 부재의 정확한 레일 위치를 점검하도록 의도된 제1 감시 지점에 가장 가까운 전기 스위치(13A)의 상류측, 및 특히 상기 유도 차량의 상기 객차의 다른 차축의 유도 부재의 레일 위치를 점검하도록 의도된 전기 스위치(13C)의 하류측에서, 상기 유도 레일에 수직으로 또는 대각선으로 상기 유도 레일의 어느 하나의 측에 배열된다. 보조 스위치(134) 및 상기 네거티브 검출기는, 이미터(131)에 의해 방출된 빔(133)이 상기 수신기(132)에 도달할 때, 상기 보조 스위치가 폐쇄 상태에 있도록, 즉 입력 및 출력 단자(A, B)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그리고 이미터(131)에 의해 방출됨 빔(133)이 수신기(132)에 의해 수신되지 않으면 개방하도록 접속된다. 따라서, 네거티브 검출기의 빔(133)이 유도 차량의 객차에 의해 파괴되지 않으면, 레일 위치 지시기(22, 23)는 정확한 레일 위치를 지시하는 상기 제2 신호를 표시하도록 강요되어, 이에 의해 유도 차량의 이동을 허가한다. 상기 빔(133)이 파괴될 때, 보조 스위치(134)가 개방되고, 상기 레일 위치 지시기(22, 23)는 상기 제1 신호를 표시하여, 부정확한 레일 위치를 지시한다. 이 경우에, 유도 차량이 상기 광빔을 파괴할 때, 상기 보조 스위치는 네거티브 검출기에 의해 개방 상태로 유지되고, 레일 위치 지시기(22, 23)는 전술된 바와 같이, 단지 각각의 전기 스위치(13A, 13B, 13C, 13D)가 유도 부재의 상기 부분과 기계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경우에만 정확한 레일 위치를 지시한다. 일단 유도 차량의 최종 객차가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시스템에 의해 점검되면, 레일 위치 지시기(22, 23)는 이동하도록 허가한다. 제2 감시 지점(21)을 향한 최종 객차의 이동은 상기 광빔을 해제하고, 이 광빔은 이어서 수신기(132)에 의해 수신될 것이고, 이 수신기는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절환하도록 보조 스위치(134)에 요구하는 신호를 발생하고, 이러한 것은 레일 위치 지시기(22, 23)가 정확한 레일 위치를 지시하도록 강요한다.
마지막으로, 도 12는 예를 들어 그 정확한 레일 위치가 검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유도 부재의 부근에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기 스위치(13)의 상이한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기 스위치(13)는 유도 부재의 적어도 일부와 기계적으로 또는 무접촉식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다. 상기 전기 스위치(13)는,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원추형이고 단지 그 레일 위치가 정확한 경우에만 상기 유도 부재의 부분을 통과하는 검출 구역(731, 732)을 갖는 센서(73)를 포함하고[예를 들어, 센서(73)는 레일 상에 정확하게 위치된 롤러가 그 검출 구역(731)을 관통하도록 위치됨], 이에 의해 상기 유도 부재의 존재 및 그 위치된 정확한 레일이 검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역으로, 유도 부재가 레일 상에 정확하게 위치되지 않으면, 상기 유도 부재가 더 이상 상기 센서의 검출 구역(732)을 통해 통과하지 않기 때문에, 센서와 유도 부재 사이에 상호작용이 없다. 상기 전기 스위치(13), 특히 그 센서 또는 접촉부는, 단지 유도 부재의 부분이 레일 상에 정확하게 위치되는 경우에만 유도 부재의 상기 부분과 상기 전기 스위치(13)의 상기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에 상기 전기 스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상기 하중 지탱 구조체(71)에 의해 지지된다. 하중 지탱 구조체(71)는 특히 하나 이상의 지지 요소, 예를 들어 금속 지지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요소의 각각은 지면에 또는 상기 레일의지지 요소에 부착 가능하고, 예를 들어 상기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특히 상기 스위치의 위치가 유도 부재의 상기 부분에 관련하여 조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현존하는 방법 또는 디바이스에 비해 다수의 장점을 제공하는데,
- 탑재형 전자 기기 또는 신호 해석 및 전송부를 갖지 않고,
- 유도성 센서를 갖지 않아, 이에 의해 이러한 작업이 수행되게 하기 위해 정지되어야 할 것인 예방적인 차량 상의 유지보수 작업의 필요성을 회피하고,
- 감시 시스템은 강인하고 파괴가 쉽지 않고 또는 과도한 마모를 겪지 않는 점에서, 고도로 신뢰적이고,
- 유지보수 작업을 간단화하고,
- 어떠한 탑재형 장비도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유지보수 및 설치 비용을 감소시키고,
- 유도의 손실 또는 실제 문제점을 감출 수 있는 신호 필터링을 요구하지 않는다.

Claims (15)

  1. 적어도 하나의 유도 레일(3)에 의해 유도되는 차량의 유도 부재와 협동하도록 설계된 전기 스위치(13)에 있어서,
    상기 유도 부재는 V 형상으로 배열된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하여, 상기 유도 레일을 클램핑하고 유도 시스템이 유도 차량의 조향 차축을 유도 레일에 의해 규정된 경로를 따라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기 스위치(13)는 2개의 상태, 각각 제1 상태 및 제2 상태를 특징으로 하고, 상기 상태들 중 하나에서 상기 전기 스위치(13)는 개방되고, 다른 상태에서 상기 전기 스위치(13)는 폐쇄되고, 상기 전기 스위치(13)는 하중 지탱 구조체(71) 상에 장착되어 상기 유도 부재가 상기 하중 지탱 구조체(71)의 부근에서 통과할 때 상기 유도 부재와 상호작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전기 스위치(13)는 상기 유도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과 상호작용함으로써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절환하고 일단 상기 상호작용이 중단되거나 종료되면 상기 제1 상태로 자동으로 복귀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전기 스위치(13)는 하중 지탱 구조체(71) 상에 장착되고 부착되는 제1 접촉부(15) 및 제2 접촉부(16)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들(15, 16)은 유도 레일(3)로부터 전기적으로 격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위치(13).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작용은 기계적 또는 무접촉식 상호작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위치(13).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지탱 구조체(71)는 상기 유도 레일(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위치(13).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부(15) 및 상기 제2 접촉부(16)는 격리 기부(14) 상에 단단히 장착되고, 상기 접촉부들은 상기 격리 기부의 면 상에서 서로 종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고, 상기 격리 기부의 다른 면은 상기 유도 레일(3)의 상부면에 부착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위치(13).
  6. 적어도 하나의 유도 레일(3)에 의해 유도되는 차량의 레일 위치를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이며, 상기 차량은 상기 유도 차량이 상기 유도 레일(3)에 의해 묘사된 경로를 따르게 요구하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유도 부재를 갖고, 상기 감시 시스템은 전동식이고,
    -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m개의 전기 스위치(13)로서, 여기서 m≥1이고, 각각의 전기 스위치(13)는 상기 유도 차량의 유도 부재의 부분과 상호작용하도록 배열되는 전기 스위치(13),
    - 상기 전기 스위치(13)의 상기 접촉부(15, 16)의 각각을 레일 위치 신호화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 상기 신호화 시스템은 입력 단자(A) 및 출력 단자(B), 상기 입력 단자(A)와 상기 출력 단자(B) 사이의 각각의 상기 전기 스위치(13)의 접속부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스위치(13)의 수는 상기 유도 차량의 객차에 끼워진 유도 부재의 수에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자(B)에서 측정가능한 레일 위치 신호의 값을 보유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
  9. 적어도 하나의 유도 레일(3)에 의해 유도되는 차량의 레일 위치를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이며, 상기 차량은 상기 유도 차량이 상기 유도 레일(3)에 의해 묘사된 경로를 따르게 요구하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유도 부재를 갖고, 상기 감시 시스템은 전동식이고,
    -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m개의 전기 스위치(13)로서, 여기서 m≥1이고, 각각의 전기 스위치(13)는 상기 유도 차량의 유도 부재의 부분과 상호작용하도록 배열되는 전기 스위치(13),
    - 상기 전기 스위치(13)의 상기 접촉부(15, 16)의 각각을 레일 위치 신호화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한 수단,
    레일 위치 신호의 값을 보유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 상기 신호화 시스템은 입력 단자(A) 및 출력 단자(B), 상기 입력 단자(A)와 상기 출력 단자(B) 사이의 각각의 상기 전기 스위치(13)의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 위치 신호의 값은 상기 출력 단자(B)에서 측정가능하며,
    상기 보유 디바이스는 이하에 보충 전기 스위치(135)라 칭하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전기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보충 전기 스위치(135)는 상기 전기 스위치(13)의 하류측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
  10. 적어도 하나의 유도 부재에 의해 유도되는 차량용 유도 레일(3)이며, 상기 유도 레일(3)은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m≥1개의 전기 스위치(13)를 포함하는 유도 레일(3).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스위치(13)의 수(m)는 상기 유도 차량의 객차에 끼워진 유도 부재의 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레일(3).
  12. 적어도 하나의 유도 부재에 의해 유도되는 차량용 유도 레일(3)이며, 상기 유도 레일(3)은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m≥1개의 전기 스위치(13)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스위치(13)의 수(m)는 상기 유도 차량의 객차에 끼워진 유도 부재의 수와 동일하고,
    상기 유도 차량의 섀시에 대면하도록 의도된 유도 레일(3)의 상부 부분(75)에 중공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낮은 릴리프(17)를 포함하고, 각각의 낮은 릴리프(17)는 상기 m개의 전기 스위치(13) 중 하나를 수용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전기 스위치(13)는 상기 접촉부들(15, 16)의 상부면들이 동일한 평면에 있도록 낮은 릴리프(17) 내에 배열되고, 상기 평면은 유도 차량의 상기 섀시에 대면하도록 의도된 상기 상부 부분(75)의 상부면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레일(3).
  13. 객차(ki)를 갖는 유도 차량의 하나 이상의 유도 부재의 유도 레일(3) 상의 정확한 위치를 자동으로 점검하기 위한 방법이며,
    여기서, i는 0 내지 n-1의 범위이고, n은 유도 차량 내의 객차의 수이고,
    상기 유도 부재는 V 형상으로 배열된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하여, 상기 유도 레일을 클램핑하고 유도 시스템이 유도 차량의 조향 차축을 유도 레일에 의해 규정된 경로를 따라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a. 제1 감시 지점(20)으로의 상기 유도 차량의 객차(ki)의 제1 이동 단계로서, 상기 제1 감시 지점(20)은 상기 유도 차량의 레일 위치를 감시하기 위해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 스위치(13)의 하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전기 스위치(13)는 상기 유도 부재의 부분과 상호작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이동은 유도 차량의 객차(ki)의 상기 유도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의 위치와 각각의 전기 스위치(13)의 위치를 정합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부분은 상기 전기 스위치(13)의 상태의 변화를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전기 스위치(13)와 협동하는 것이 가능한, 제1 이동 단계,
    b. 단지 상기 유도 부재가 상기 유도 레일(3) 상에 정확하게 위치되는 경우에만 상기 유도 부재의 상기 부분과의 상호작용에 의한 상기 전기 스위치(13)의 상태의 변화 단계,
    c. 단지 각각의 전기 스위치(13)가 상태가 변화된 경우에만 신호가 상기 유도 차량의 정확한 레일 위치를 지시하는 단계;
    d. 단지 상기 정확한 레일 위치 신호가 송신되는 경우에만 상기 제1 감시 지점(20)의 하류측의 상기 유도 차량의 상기 객차(ki)의 제2 이동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스위치(13)는 하중 지탱 구조체(71) 상에 장착되고 부착되는 제1 접촉부(15) 및 제2 접촉부(16)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들(15, 16)은 유도 레일(3)로부터 전기적으로 격리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시 지점(20)은 상기 유도 차량의 객차(ki)의 모든 유도 부재에 대해, 상기 유도 차량의 상기 객차의 유도 부재의 상기 부분과 협동하도록 배열된 전기 스위치(13)의 상기 유도 레일(3) 상의 또는 부근의 위치와 각각의 유도 부재의 상기 부분의 위치를 동시에 정합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객차(ki)의 제2 이동은 상기 제1 감시 지점(20)으로부터 제2 감시 지점(2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감시 지점(21)으로부터 상기 제1 감시 지점(20)을 분리하는 거리는 상기 유도 차량의 일 객차의 길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67004808A 2013-07-29 2014-06-26 유도 차량의 정확한 복선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KR1019441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290178.6A EP2832622B1 (fr) 2013-07-29 2013-07-29 Méthode et dispositifs de contrôle d'un enraillement correct d'un véhicle guidé
EP13290178.6 2013-07-29
PCT/EP2014/063498 WO2015014548A1 (fr) 2013-07-29 2014-06-26 Méthode et dispositifs de contrôle d'un enraillement correct d'un véhicle guid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037A KR20160035037A (ko) 2016-03-30
KR101944164B1 true KR101944164B1 (ko) 2019-01-30

Family

ID=49034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4808A KR101944164B1 (ko) 2013-07-29 2014-06-26 유도 차량의 정확한 복선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0647336B2 (ko)
EP (1) EP2832622B1 (ko)
KR (1) KR101944164B1 (ko)
CN (1) CN105431342B (ko)
BR (1) BR112016001806B1 (ko)
CA (1) CA2919562C (ko)
HK (1) HK1221201A1 (ko)
RU (1) RU2633042C2 (ko)
SA (1) SA516370477B1 (ko)
SG (1) SG11201600664YA (ko)
TW (1) TWI640447B (ko)
WO (1) WO20150145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76863A1 (fr) * 2012-06-20 2013-12-25 Siemens SAS Méthode et dispositifs de protection contre une perte de guidage d'un véhicule guidé
CA3110591A1 (en) * 2018-09-10 2020-03-19 Manuel Munoz Saiz Ultralight two-track train that does not derail
CN109501814B (zh) * 2018-11-15 2024-06-04 浙江大学山东工业技术研究院 隧道巡检机器人
FR3096950B1 (fr) * 2019-06-05 2022-07-22 Newtl Dispositif de surveillance de l’usure d’un flasque de galet
CN111129998B (zh) * 2019-12-17 2022-07-01 上海平高天灵开关有限公司 一种智能手车开关柜位置双确认保护动闭锁装置
US20230047081A1 (en) * 2020-05-06 2023-02-16 Abb Schweiz Ag Transporter and method for transporting object
CN112320239B (zh) * 2020-11-09 2022-08-23 广州市金宝生态农业有限公司 活动式自动分栏转运车
CN114802358B (zh) * 2022-05-25 2023-03-17 武汉大学 一种基于视觉识别的轨道检查车定位方法及定位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06568A (ja) * 2010-06-25 2012-01-12 Institute Of National Colleges Of Technology Japan 車両の特徴点の通過検知を用いた移動車両の地上制御装置および地上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3152A (en) * 1883-08-14 Electric-circuit track-instrument
US100442A (en) * 1870-03-01 Improved circuit-closer for electro-magnetic railroad signals
US327576A (en) * 1885-10-06 Fbank i
US182384A (en) * 1876-09-19 Improvement in electro-magnetic railroad-signals
US1385295A (en) * 1918-09-23 1921-07-19 Abric Emile Pierre Antoine Railway signaling
US1515587A (en) * 1922-07-29 1924-11-18 Arcani Domingo Automatic switch for point blades
US1647954A (en) * 1926-04-21 1927-11-01 Bruna Charles Automatic train control
US1798256A (en) * 1930-03-18 1931-03-31 Union Switch & Signal Co Apparatus responsive to the passage of railway vehicles
US2892078A (en) * 1957-03-14 1959-06-23 Itt Detecting apparatus
US3383504A (en) * 1966-06-07 1968-05-14 Westinghouse Brake & Signal Check-out device
DE2315948A1 (de) * 1973-03-30 1974-10-10 Maschf Augsburg Nuernberg Ag Vorrichtung zur seitenfuehrung von radsaetzen von schienenfahrzeugen
US4090452A (en) * 1975-12-11 1978-05-23 Westinghouse Electric Corp. Power rail, control signal rail and guide beam arrangement for a transporting system
US4168770A (en) * 1976-05-06 1979-09-25 Westinghouse Electric Corp. Power collection apparatus for a transportation system
US4365196A (en) * 1977-12-14 1982-12-21 Finch Colin M Proximity sensing transducer with simulation means
US4204478A (en) * 1978-04-18 1980-05-27 Westinghouse Electric Corp. Transportation vehicle flat tire safety apparatus
US4200855A (en) * 1978-06-01 1980-04-29 Westinghouse Air Brake Company Bolt-like railway vehicle wheel detector
US4387870A (en) * 1981-04-29 1983-06-14 Westinghouse Electric Corp. Transit vehicle shunt determination
JPH0520963A (ja) * 1991-07-11 1993-01-29 Shizuoka Prefecture 感圧導電接点
US5628479A (en) * 1995-12-12 1997-05-13 Harmon Industries, Inc. Vital wheel detector
FR2759340B1 (fr) 1997-02-11 1999-04-09 Lohr Ind Systeme de guidage le long d'au moins un rail au sol pour un essieu d'un vehicule routier
CA2302760A1 (en) * 1997-09-04 1999-03-11 Brian Neil Southon Railway wheel counter and block control systems
FR2778161B1 (fr) 1998-04-30 2000-07-21 Lohr Ind Ensemble bidirectionnel de guidage le long d'un rail autorisant un deport lateral pour un essieu routier
US6663053B1 (en) * 2002-08-30 2003-12-16 Introl Design, Inc. Sensor for railcar wheels
US20040225421A1 (en) * 2003-05-05 2004-11-11 Hengning Wu Personal transportation system
FR2865986B1 (fr) 2004-02-09 2007-04-13 Lohr Ind Galet incline de guidage a utiliser par paire pour un ensemble de guidage le long d'un rail.
DE102004033432B4 (de) * 2004-07-10 2012-07-12 Schenck Process Gmbh Vorrichtung zur Messung von Zustandsdaten an einem rollenden Radsatz eines schienengebundenen Fahrzeugs
CN2721474Y (zh) * 2004-07-16 2005-08-31 中南大学 一种列车车轮脱轨的检测报警装置
US7708232B2 (en) * 2005-05-19 2010-05-04 Progressive Rail Technologies, Inc. Railroad car lateral instability and tracking error detector
US7481400B2 (en) * 2005-07-01 2009-01-27 Portec, Rail Products Ltd. Railway wheel sensor
FR2909061B1 (fr) 2006-11-29 2009-01-09 Lohr Ind Dispositif de detection du risque de deraillement et d'evacuation de debris ou d'objets sur la voie de guidage par rail d'un vehicule.
FR2910423B1 (fr) 2006-12-22 2009-02-20 Lohr Ind Dispositif de securite anti-extraction pour un ensemble de guidage par deux galets inclines roulant sur un rail.
EP2406116B1 (fr) 2009-03-12 2018-12-12 Siemens S.A.S. Méthode et dispositif de contrôle de présence de rail
DK2459427T3 (da) * 2009-07-28 2013-07-01 Siemens Sas Fremgangsmåde og indretning til detektering af afsporing af et førerløst køretøj
EP2641806A1 (fr) * 2012-03-21 2013-09-25 Siemens S.A.S. Dispositif de maintien d'une trajectoire d'un véhicule guidé en cas de déraillement et/ou déguidag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06568A (ja) * 2010-06-25 2012-01-12 Institute Of National Colleges Of Technology Japan 車両の特徴点の通過検知を用いた移動車両の地上制御装置および地上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6001806A2 (pt) 2017-08-01
CN105431342B (zh) 2017-09-12
KR20160035037A (ko) 2016-03-30
TW201505884A (zh) 2015-02-16
SA516370477B1 (ar) 2020-08-26
CN105431342A (zh) 2016-03-23
SG11201600664YA (en) 2016-03-30
CA2919562A1 (en) 2015-02-05
EP2832622B1 (fr) 2016-05-25
RU2633042C2 (ru) 2017-10-11
EP2832622A1 (fr) 2015-02-04
CA2919562C (en) 2018-03-13
HK1221201A1 (zh) 2017-05-26
US10647336B2 (en) 2020-05-12
BR112016001806B1 (pt) 2023-01-24
TWI640447B (zh) 2018-11-11
WO2015014548A1 (fr) 2015-02-05
US20160167685A1 (en) 2016-06-16
RU2016106674A (ru) 2017-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4164B1 (ko) 유도 차량의 정확한 복선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KR101572713B1 (ko) 안내식 차량의 탈선을 감지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40138493A1 (en) Route examining system and method
US20150053827A1 (en) Route examining system and method
CN102387952B (zh) 用于核查轨道存在的方法和装置
EP2253523A1 (en) Derailment detection device and method
KR20110004936A (ko) 궤도차량 위치 검지 시스템
US8469318B2 (en) Device for the detection of the occupied or free state of a track section
CN108698623B (zh) 铁道车辆的脱轨检测方法和装置
KR101792931B1 (ko) 트램 운행 시스템 및 방법
US20170144679A1 (en) Railroad Locomotive Control System Having Switch Position Indication And Method Of Use
JP2016011067A (ja) 直流軌道回路の信号電流測定器及び短絡箇所特定方法
KR101634148B1 (ko) 선로 절손 검지 장치 및 그 방법
JP4754799B2 (ja) 索道設備における索条位置異常検出装置
KR101429258B1 (ko) 철도 궤도를 이용한 휴대용 열차 접근 경보장치와 열차 접근 경보방법
KR20240008032A (ko) 고신뢰 부정출발 방지시스템 및 그 방법
CN115180517A (zh) 一种车轮脱轨探测装置
RU2540289C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контроля наличия контакта колес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 рельсовыми путями
JP2000276227A (ja) 自走式台車の走行位置認識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