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3646B1 - 이륜차 배기가스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이륜차 배기가스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3646B1
KR101943646B1 KR1020180099101A KR20180099101A KR101943646B1 KR 101943646 B1 KR101943646 B1 KR 101943646B1 KR 1020180099101 A KR1020180099101 A KR 1020180099101A KR 20180099101 A KR20180099101 A KR 20180099101A KR 101943646 B1 KR101943646 B1 KR 101943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fastening
frame
exhaus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9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택
Original Assignee
한솜바이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솜바이크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솜바이크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9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36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5/00Testing of engines
    • G01M15/04Testing internal-combustion engines
    • G01M15/10Testing internal-combustion engines by monitoring exhaust gases or combustion flame
    • G01M15/102Testing internal-combustion engines by monitoring exhaust gases or combustion flame by monitoring exhaust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04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involving forked supports of brackets for holding a whee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토바이 등의 이륜차의 배기가스를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구현한 이륜차 배기가스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측정 장치의 몸체를 형성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 전단에 설치되며, 이륜차를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고정할 수 있도록 이륜차의 앞바퀴를 체결하는 체결부; 이륜차의 뒷바퀴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 후단에 설치되며, 이륜차의 뒷바퀴의 회전에 대응하여 함께 회전하는 회전부; 및 이륜차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측정하는 가스 측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륜차 배기가스 측정 장치{MOTORCYCLE EXHAUST GAS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은 이륜차 배기가스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토바이 등의 이륜차의 배기가스를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구현한 이륜차 배기가스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석연료를 주된 연료로 하는 오토바이 또는 자동차 등의 운송수단의 대중화에 따라 대기오염의 수준이 날로 그 심각성이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대기오염으로 인한 시정장애현상이 1980년 이후부터 계속 심화되고 있으며, 대기오염 현상의 하나인 스모그는 가정용 연료의 연소와 노천소각 등의 일부 원인과 함께 화석연료를 연료로 한 운송수단의 배출물질에 의해 복합적으로 유발되고 있다.
한편, 자동차는, 1 ~ 4년 마다 의무적으로, 지정된 검사소에서 각종 검사를 받아야 하며, 이때,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를 측정하는 과정은 필수적으로 수행된다.
검사소에서 배출가스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검사직원은 배출가스 측정부와 연결되어 있는 배출가스 측정 프로브를 자동차의 하단에 부착되어 있는 배기관에 장착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이륜차 배기가스 측정 장치는, 단순히 측정 프로브를 새워져 있는 이륜차의 배기구에 삽입하여 배출되는 가스를 측정하는 것에 국한되어 있으며, 배기가스 측정을 위한 이륜차를 효율적으로 거치시킬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엇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03088호 한국등록특허 제10-1215853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오토바이 등의 이륜차의 배기가스를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배기가스 측정 시 이륜차의 앞바퀴를 체결하여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이륜차 배기가스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 배기가스 측정 장치는, 측정 장치의 몸체를 형성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 전단에 설치되며, 이륜차를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고정할 수 있도록 이륜차의 앞바퀴를 체결하는 체결부; 이륜차의 뒷바퀴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 후단에 설치되며, 이륜차의 뒷바퀴의 회전에 대응하여 함께 회전하는 회전부; 및 이륜차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측정하는 가스 측정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부는, 반원통(semicylinder)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 공간에 이륜차의 앞바퀴를 거치하는 거치 프레임; 상기 거치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거치 프레임에 거치된 이륜차의 앞바퀴를 일측으로 밀착시켜 체결하는 체결 프레임; 일측이 상기 체결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상기 거치 프레임의 다른 일측의 상부 및 하부를 각각 관통하고 삽입되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체결 프레임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두 개의 연결봉; 상기 연결봉의 다른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연결봉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조절 프레임; 및 일측에 형성된 나사산이 상기 거치 프레임의 다른 일측에 연결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조절 프레임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다른 일측에 형성된 레버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나사산이 회전하여 상기 거치 프레임의 다른 일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 이동함에 따라 상기 조절 프레임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절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HDPE) 110 ~ 130 중량부, 탈크(Talc) 170 ~ 190 중량부, 게르마늄 분말 1 ~ 10 중량부,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15 ~ 25 중량부, 아교 2 ~ 7 중량부, 코르크 분말 5 ~ 10 중량부, 자당(C12H22O11) 분말 1 ~ 4 중량부, 배반 2 ~ 5 중량부 및 보헤마이트(Boehmite, AlO(OH)) 3 ~ 8 중량부를 포함하며 1.02 ~ 1.10의 비중을 갖는 플라스틱 조성물로 제조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플라스틱 조성물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다수 겹의 보호 외피가 외측면에 순차적으로 부착되며, 상기 보호 외피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수지 30 ~ 9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비닐알콜(PVA) 1 ~ 30 중량부, 물 10 ~ 30 중량부, 탄산칼슘 5 ~ 30 중량부, 계면활성제 0.1 ~ 1 중량부, 요변성 부여제 1 ~ 20 중량부, 소듐 실리케이트 3 ~ 7 중량부, 이황화 몰리브덴(MoS2) 1 ~ 5 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 5 ~ 10 중량부 및 용매인 물 10 ~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주제와, 톨루엔-디이소시아테이트(toluen-diisocyanate, TDI), 수소화 TDI, 트리메틸 프로판-TDI(trimethyl propane-TDI),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tripehnylmethane-triisocyanate, TTI),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dipehenylmethane-4,4-diisocianate, MDI), 수소화 MDI, 및 헥산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diisocyanate, HDI) 중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포함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지며,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해서 1 ~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경화제로 이루어진 접착제 조성물에 의해 상기 손잡이에 부착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이륜차의 배출가스 측정 시 앞바퀴를 균형있게 체결함으로써 배출가스 측정 시 이륜차가 기울어지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 배기가스 측정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체결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체결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3의 충격 흡수부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 배기가스 측정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 배기가스 측정 장치(10)는, 본체부(100), 체결부(200), 회전부(300) 및 가스 측정부(4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측정 장치의 몸체를 형성하며, 상부 전단에 체결부(200)가 설치되고, 상부 후단에 회전부(300)가 설치된다.
체결부(200)는, 본체부(100)의 상부 전단에 설치되며, 배기가스 측정 시 이륜차를 본체부(100)의 상부에 고정할 수 있도록 이륜차의 앞바퀴를 체결한다.
회전부(300)는, 이륜차의 뒷바퀴 위치에 대응하는 본체부(100)의 상부 후단에 연결 설치되며, 이륜차의 뒷바퀴의 회전에 대응하여 함께 회전하여 이륜차가 전방으로 전진하는 것을 방지한다.
가스 측정부(400)는, 이륜차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측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가스 측정부(400)는, 측정 프로브를 구비하여 이륜차의 배기가스 배출구에 삽입시키며, 측정 프로브로부터 전달되는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배기가스의 오염도와 배압을 측정 분석하고 출력하는 분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륜차 배기가스 측정 장치(10)는, 이륜차의 배출가스 측정 시 체결부(200)를 이용하여 앞바퀴를 균형있게 체결함으로써 배출가스 측정 시 이륜차가 기울어지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체결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체결부(200)는, 거치 프레임(210), 체결 프레임(220), 두 개의 연결봉(230-1, 230-2), 조절 프레임(240) 및 조절 레버(250)를 포함한다.
거치 프레임(210)은, 반원통(semicylinder)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 공간에 설치된 체결 프레임(220)이 일측으로 밀착되어 내부 공간에 거치된 이륜차의 앞바퀴를 체결한다.
체결 프레임(220)은, 상부 및 하부에 연결봉(230-1, 230-2)이 고정 설치되며, 거치 프레임(210)의 내부 공간에서 연결봉(230-1, 230-2)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여 거치 프레임(210)에 거치된 이륜차의 앞바퀴를 일측으로 밀착시켜 체결한다.
연결봉(230-1, 230-2)은, 일측이 체결 프레임(22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조절 프레임(24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거치 프레임(210)의 다른 일측의 상부 및 하부를 각각 관통하고 삽입되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체결 프레임(220)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여기서, 연결봉(230-1, 230-2)은, 조절 레버(250)의 이동에 대응하여 다른 일측이 고정 설치된 조절 프레임(240)의 좌우 방향의 이동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조절 프레임(240)은, 연결봉(230)의 다른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조절 레버(250)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연결봉(230)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조절 레버(250)는, 일측에 형성된 나사산(254)이 거치 프레임(210)의 다른 일측에 연결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조절 프레임(240)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다른 일측에 형성된 레버(251)를 회전시킴에 따라 나사산(254)이 회전하여 거치 프레임(210)의 다른 일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 이동함에 따라 조절 프레임(240)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레버(251)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HDPE) 110 ~ 130 중량부, 탈크(Talc) 170 ~ 190 중량부, 게르마늄 분말 1 ~ 10 중량부,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15 ~ 25 중량부, 아교 2 ~ 7 중량부, 코르크 분말 5 ~ 10 중량부, 자당(C12H22O11) 분말 1 ~ 4 중량부, 배반 2 ~ 5 중량부 및 보헤마이트(Boehmite, AlO(OH)) 3 ~ 8 중량부를 포함하며 1.02 ~ 1.10의 비중을 갖는 플라스틱 조성물로 제조되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25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손잡이(252)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HDPE) 110 ~ 130 중량부, 탈크(Talc) 170 ~ 190 중량부, 게르마늄 분말 1 ~ 10 중량부,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15 ~ 25 중량부, 아교 2 ~ 7 중량부, 코르크 분말 5 ~ 10 중량부, 자당(C12H22O11) 분말 1 ~ 4 중량부, 배반 2 ~ 5 중량부 및 보헤마이트(Boehmite, AlO(OH)) 3 ~ 8 중량부를 포함하며 1.02 ~ 1.10의 비중을 갖는 플라스틱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손잡이(252)는, 기계적 물성 및 비틀림 현상을 개선시키고, 신체의 신진 대사를 촉진시키는 원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도록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HDPE) 110 ~ 130 중량부, 탈크(Talc) 170 ~ 190 중량부, 게르마늄 분말 1 ~ 10 중량부,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15 ~ 25 중량부, 아교 2 ~ 7 중량부, 코르크 분말 5 ~ 10 중량부, 자당(C12H22O11) 분말 1 ~ 4 중량부, 배반 2 ~ 5 중량부 및 보헤마이트(Boehmite, AlO(OH)) 3 ~ 8 중량부를 포함하며 1.02 ~ 1.10의 비중을 갖는 플라스틱 조성물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손잡이(252)를 제조하기 위한 플라스틱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HDPE), 탈크 및 게르마늄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플라스틱 조성물에 의할 경우, 내열성, 내구성 등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비틀림 현상을 개선할 수 있으며, 원적외선을 방사함으로써 신진 대사 촉진 및 제조된 플라스틱 용기에 보관된 식품의 저장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라스틱 시트(제품)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수지는, 성능 대비 가격이 저렴하고, 식품이나 화장품 등의 내용물과의 접촉에도 위해성이 없는 환경친화적인 소재로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프로필렌을 중합하여 얻는 열가소성 수지이고, 내약품성, 기계적 성질, 열적 성질이 우수하다.
폴리프로필렌은, 프로필렌 단독(호모) 중합체, 랜덤 공중합체 및 블록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나, 기계적 물성의 향상을 위하여 호모 중합체와 랜덤 공중합체를 3 : 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수지는, 에틸렌을 중합하여 제조하는 합성수지로서, 높은 유동성과 강성, 내충격성, 전기절연성, 성형성, 내한성이 뛰어나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는, 전술한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혼합하여 플라스틱 시트 또는 제품 제조 시 인장력을 강화하여 성형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공지의 다양한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탈크는, 플라스틱 조성물의 강도, 내열성 등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서,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과의 혼합성을 위하여 150 ~ 200 메시(mesh)의 입자 크기를 갖는 탈크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탈크는, 다른 충전재 성분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돌로마이트 분말과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여 플라스틱 조성물의 내구성 향상에 기여할 수도 있다.
게르마늄은, 은백색의 준금속으로,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과 음이온 등을 다량 방사하여 신진 대사를 촉진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게르마늄은, 반도체적 성질로 인해 피부에 접촉하면 게르마늄 이온(외곽전자)이 체내에 들어가 생명력을 높이는 작용을 하며, 체내에 들어가면 각종 유해물질과 함께 20 ~ 30시간 안에 몸 밖으로 배출되므로 중독이나 부작용이 전혀 없다.
특히, 무기게르마늄의 입자가 사람의 피부와 접하게 되면 외곽전자의 침투압 활동으로 피부조직 속으로 반도체 성질이 들어간다. 피하조직 속의 모세혈관까지 침투한 게르마늄은 혈관벽을 통해서 혈관 속에 있는 전자를 이동시키며, 혈액정화작용을 하여 혈액을 정상화시키고, 과잉 전자 흐름을 방전시켜 통증을 면하게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게르마늄은, 분말 형태로 사용할 수 있고, 게르마늄 원석을 3cm 이하로 잘게 절단한 후, 절단된 게르마늄 원석을 80 ~ 100 메쉬의 입도 크기로 분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플라스틱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110 ~ 130 중량부, 탈크 170 ~ 190 중량부 및 게르마늄 분말 1 ~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라스틱 조성물을 이용하여 손잡이(252)를 제조할 경우, 뒤틀림 현상 등을 배제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조성물의 비중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한데, 비중은 1.02 ~ 1.1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3 ~ 1.0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즉,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가 110 중량부 미만이거나, 탈크가 170 중량부 미만이면, 내구성 등의 기계적 물성을 강화시키는 것이 제한되고,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가 130 중량부를 초과하거나, 탈크가 190 중량부를 초과하면, 플라스틱 조성물의 비중이 늘어나 성형성이 불량해질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게르마늄 분말이 1 중량부 미만이면, 게르마늄으로 인한 원적외선 방출 효과 등이 발현되기 힘들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다른 성분과의 혼합성이 저해되어 성형성이 불량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플라스틱 조성물은, 내충격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Fiberglass Reinforced Plastic, FRP)은, 유리계 광물질을 주원료로 하고, 유리계 광물질에 방향족 나일론 섬유 및 열경화성 수지를 결합한 물질이다.
유리계 광물질은, 규사, 석회석, 장석 및 소다회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열경화성 수지는, 공지의 다양한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터, 에폭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은, 유리계 광물질 등의 재료를 혼합하여 용융로에 넣어 제조할 수 있고, 유리섬유 사이에 밀봉된 각각의 공기층이 단열층으로 작용하여 불연성, 흡음성, 시공성이 우수하다.
또한, 철보다 강하고, 알루미늄보다 가벼우며, 녹슬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으며, 불연성이 우수하여 열에 변형되지 않고, 가공하기 용이하다.
이때,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펠렛 형태)과 PVC 등과의 혼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아교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교는, 동물의 가죽, 창자, 뼈 등을 고아 그 액체를 고형화한 물질로서, 각 성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면서도 환경 호르몬 배출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및 아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각각 15 ~ 25 중량부 및 2 ~ 7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해당 범위보다 적을 경우, 내충격성 강화 및 배합성이 떨어질 수 있고, 해당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 제품 생산 시 깨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비경제적이다.
일 실시예에서, 플라스틱 조성물을 이용하여 손잡이(252)를 제작 시 탄성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코르크 분말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코르크 분말은, 굴참나무의 껍데기를 제거한 후, 분쇄하여 준비할 수 있다. 코르크 분말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과의 혼합성을 위하여 400 메쉬(mesh) 이상의 망으로 거른 미분쇄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르크 분말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5 ~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코르크 분말이 5 중량부 미만인 경우, 탄성도의 향상 정도가 미미하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제품 제조 시 내부에 형성된 공극이 커져 내구성이 약화될 수 있다.
또한, 코르크 분말과 타 성분과의 혼합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자당(C12H22O11) 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자당은, 코르크 분말 사이에 형성된 공극을 매끄럽게 할 뿐만 아니라, PVC 등과의 혼합 과정에서 점성이 생겨 이취 문제를 발생시키는 분자를 잡을 수도 있어 이취 문제 해결에도 기여할 수 있다.
자당은, 500 메쉬(mesh) 망으로 거른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1 ~ 4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자당이 1 중량부 미만인 경우, 자당에 의해 발현되는 효과가 미미하고, 4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제품의 기계적 물성을 약화시킬 우려가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라스틱 조성물은, 백반 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백반은 칼륨 백반(황산알루미늄칼륨, AlK(SO4)2·12H2O)을 사용할 수 있고, 천연의 명반석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명반석을 물에 풀어서 거른 다음 끊이고, 식힌 후 불규칙한 모양의 결정이 생기면, 이를 건조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백반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2 ~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백반의 함량이 2 중량부 미만인 경우, 백반에 의한 효과가 미미하고,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비경제적이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의한 플라스틱 조성물은 항균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보헤마이트(Boehmite, AlO(OH))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헤마이트는 γ-보헤마이트, a-보헤마이트 및 유사 보헤마이트(Pseudo-Boehmite)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결정성이 뛰어나서 열 안정성 및 화학적 안정성이 뛰어나고, 구조적으로 중성이며, 항균 특성이 뛰어난 γ-보헤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γ-보헤마이트는, 물(순수)과 알루미늄(Al)만의 초임계 합성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보헤마이트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3 ~ 8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보헤마이트의 함량이 3 중량부 미만이면 달성하고자 하는 항균 효과를 발현시키기 힘들고, 8 중량부를 초과하면 타 성분과의 혼합성이 저해될 우려가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의한 플라스틱 조성물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프로필렌 수지 180kg,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HDPE) 200kg, 탈크 310kg, 게르마늄 분말 15kg을 혼합하여 플라스틱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이를 실시예 1로 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36kg, 아교 9kg을 더 혼합하여 플라스틱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이를 실시예 2로 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제조하되, 코르크 분말 9kg, 자당 분말 5kg, 백반 분말 5kg, γ-보헤마이트 9kg을 더 혼합하여 플라스틱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이를 실시예 3으로 하였다.
[비교예 1]
탈크만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고, 이를 비교예 1로 하였다.
[실험예 1 : 내충격성 평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및 비교예 1의 플라스틱 조성물을 이용하여 시편(20cm * 30cm, 두께 20mm)을 제조하였고, 3kg의 추를 2m 높이에서 떨어뜨린 후, 각 시편의 파손 정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084017766-pat00001
상기 표 1을 통해 알 수 있듯이, 탈크를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에 비해 탈크를 포함하는 실시예들은 내충격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실시예 2 및 3의 경우, 가장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실험예 2 : 내열성 평가]
실험예 1의 시편을 80℃로 유지되는 열풍 순환식 가열로에서 3시간 가열한 후 황변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084017766-pat00002
상기 표 2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은 비교예 1과 달리 황변되는 부분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실시예의 내열성이 비교예 1에 비해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 항균성 평가]
실시예 1, 실시예 3 및 비교예 1에 대해 항균력 테스트(JIS Z 2801)를 실시하였다. 시험균주는 Aspergillus niger ATCC 9642(곰팡이)를 사용하였고, 항균력(항균 활성치)을 평가하여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Figure 112018084017766-pat00003
항균 활성치란 일정시간 동안 배양된 균주의 수를 비교하여 항균정도를 평가한 값으로서, 그 값이 1 이상이면 90% 이상의 균주가, 2 이상이면 99% 이상의 균주가, 3 이상이면 99.9% 이상의 균주가, 4 이상이면 99.99% 이상의 균주가, 5 이상이면 99.999% 이상의 균주가 사멸되어 항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본다.
상기 표 3를 통해 알 수 있듯이, γ-보헤마이트를 포함하는 실시예 3의 경우, 다른 케이스보다 항균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었다.
일 실시예에서, 손잡이(252)는, 상술한 플라스틱 조성물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다수 겹의 보호 외피(253)가 외측면에 순차적으로 부착되어 마모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호 외피(253)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수지 30 ~ 9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비닐알콜(PVA) 1 ~ 30 중량부, 물 10 ~ 30 중량부, 탄산칼슘 5 ~ 30 중량부, 계면활성제 0.1 ~ 1 중량부, 요변성 부여제 1 ~ 20 중량부, 소듐 실리케이트 3 ~ 7 중량부, 이황화 몰리브덴(MoS2) 1 ~ 5 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 5 ~ 10 중량부 및 용매인 물 10 ~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주제와, 톨루엔-디이소시아테이트(toluen-diisocyanate, TDI), 수소화 TDI, 트리메틸 프로판-TDI(trimethyl propane-TDI),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tripehnylmethane-triisocyanate, TTI),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dipehenylmethane-4,4-diisocianate, MDI), 수소화 MDI, 및 헥산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diisocyanate, HDI) 중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포함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지며,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해서 1 ~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경화제로 이루어진 접착제 조성물에 의해 손잡이(252)에 부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조성물에 의해 제조된 보호 외피(253)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수지 30 ~ 9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비닐알콜(PVA) 1 ~ 30 중량부, 물 10 ~ 30 중량부, 탄산칼슘 5 ~ 30 중량부, 계면활성제 0.1 ~ 1 중량부, 요변성 부여제 1 ~ 20 중량부, 소듐 실리케이트 3 ~ 7 중량부, 이황화 몰리브덴(MoS2) 1 ~ 5 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 5 ~ 10 중량부 및 용매인 물 10 ~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주제와, 톨루엔-디이소시아테이트(toluen-diisocyanate, TDI), 수소화 TDI, 트리메틸 프로판-TDI(trimethyl propane-TDI),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tripehnylmethane-triisocyanate, TTI),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dipehenylmethane-4,4-diisocianate, MDI), 수소화 MDI, 및 헥산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diisocyanate, HDI) 중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포함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지며,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해서 1 ~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경화제로 이루어진 접착제 조성물에 의해 손잡이(252)의 외측면에 순차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호 외피(253)의 부착에 사용되는 접착제 조성물은, 주제 및 경화제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로서, 주제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수지 30~90 중량부, 폴리비닐알콜(PVA) 1~30 중량부, 물 10~30 중량부, 탄산칼슘 5~30 중량부, 계면활성제 0.1~1 중량부 및 요변성 부여제 1~20 중량부를 포함하고, 경화제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 조성물은, 주제와 경화제로 이루어진 수용성 2액형 접착제 조성물로서, 이를 도포 및 경화하여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를 제조할 수 있으며,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으면서도, 접착성, 내열성 등 물리적 특성이 우수하여 합판과 같은 목질 보드나 마그네슘 보드와 같은 무기질 보드, PVC 등의 여러가지 플라스틱 재질의 시트에 사용될 수 있다.
주제는, 기본적으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수지, 폴리비닐알콜(PVA), 물, 탄산칼슘, 계면활성제 및 요변성 부여제를 포함하는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는 주제의 주성분으로서, 응집력이 강하여 제조되는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강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종래에는 에폭시 수지를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주성분으로 사용하였는데,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는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경우 벤젠 톨루엔과 같은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방출하여 환경 및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에폭시 수지를 배제함으로써 환경문제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폴리비닐알콜(PVA)은, 제조되는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내열성과 내수성 및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폴리비닐알콜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30~90 중량부에 대해서, 1 ~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폴리비닐알콜이 1 중량부 미만인 경우, 내열성 등을 향상시키기 힘들고, 3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의 상대적인 함량이 줄어들어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응집력이 약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돌 마루 등에 사용될 때, 폴리비닐알콜의 기능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폴리비닐알콜과 함께 산화안티몬 및 산화지르코늄을 사용할 수도 있다.
산화안티몬 및 산화지르코늄은, 제조되는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내열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30 ~ 90 중량부에 대해서 각각 5 ~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 미만에서는 내열성 증진 효과가 미미하고, 상기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 비경제적이다.
물은 주제의 용매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와 달리 휘발성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아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물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30~90 중량부에 대해서, 10 ~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물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등을 효과적으로 용해시킬 수 없고, 3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너무 묽어져서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강도가 낮아질 수 있다.
탄산칼슘은, 접착제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고, 경화 시 수축 현상을 감소시킨다.
탄산칼슘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수지 30~90 중량부에 대해서, 5 ~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탄산칼슘이 5 중량부 미만인 경우, 경화 시 충분한 수축이 일어나지 않아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경도가 불량해질 수 있고, 3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점도가 너무 빡빡하여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산칼슘을 대체하여 경탄류, 클레이류의 여러가지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일 예로, 돌로마이트 및/또는 활석(Talc)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돌로마이트 및 활석을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분말은 150 ~ 200 메시(mesh)의 입자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150 ~ 200 메시의 입자크기를 갖도록 미분쇄된 분말을 사용하게 되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등의 다른 성분과 혼합성이 향상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접착제 조성물의 혼합시 표면장력을 줄이고, 도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계면활성제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30 ~ 90 중량부에 대해서, 0.1 ~ 1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는, 공지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표면장력을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하여 탄소 원자 8 ~ 14개의 알킬 사슬을 포함하는 제미니형 음인온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변성 부여제는, 접착제 조성물이 도포되어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가 될 때, 주제와 경화제의 분리 현상을 억제하여 접착제 조성물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실리카류, 아크릴 코폴리머 등의 여러가지 공지의 다양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나, 클레이(clay)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레이는, 가느다란 함수 규산염 광물의 집합체로서, 적당량의 물을 섞어 반죽하면 가소성이 생기고, 건조시키면 강성을 나타내며, 높은 온도에서 구우면 소결하는 물질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해포석, 흄드 실리카 및 벤토나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분말을 사용할 수 있으나, 가장 좋은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흄드 실리카와 벤토나이트가 1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변성 부여제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30 ~ 90 중량부에 대해서, 1 ~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요변성 부여제가 1 중량부 미만이면, 흐름성을 충분히 제어할 수 없고,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흐름성이 너무 사라져서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주제는, 제조되는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소듐실리케이트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소듐 실리케이트(sodium silicate)는, 기존의 접착제와는 달리 공해를 유발시키지 않아 환경 친화적이며, 접착력이 우수하다.
소듐 실리케이트는, 고형분 기준으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30 ~ 90 중량부에 대해서, 3 ~ 7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소듐 실리케에트가 3 중량부 미만인 경우, 접착 성능의 향상 정도가 미미하고, 7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다른 성분과의 혼합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주제는, 제조되는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황화 몰리브덴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황화 몰리브덴(MoS2)은, 화강암 속에 함유되어 얇은 광맥으로 발견되어 채굴하는 재료로서, 윤활성분으로 사용된다.
이황화 몰리브덴(MoS2)은, 그래파이트(graphite)와 같이 전단이 발생하기 쉬운 형태의 육각형의 결정 구조의 고유한 특성을 가지나, 윤활 작용은 그래파이트보다 우수하다.
이황화 몰리브덴은, 고형분 기준으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30 ~ 90 중량부에 대해서, 1 ~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황화 몰리브덴이 1 중량부 미만인 경우, 내마모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없고,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오히려 접착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
이때, 이황화 몰리브덴과 함께 구리 분말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주제는, 제조되는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난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난연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난연제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1 ~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난연제가 1 중량부 미만인 경우, 난연성의 향상 정도가 미미하고,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타 성분과의 혼합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난연제는, 백반 분말을 사용할 수 있는데, 백반은 칼륨 백반(황산알루미늄칼륨, AlK(SO4)2·12H2O)을 사용할 수 있고, 천연의 명반석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명반석을 물에 풀어서 거른 다음 끊이고, 식힌 후 불규칙한 모양의 결정이 생기면, 이를 건조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주제는, 제조되는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항균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산화알루미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수산화알루미늄은, 보헤마이트(Boehmite, AlO(OH))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헤마이트는 γ-보헤마이트, a-보헤마이트 및 유사 보헤마이트(Pseudo-Boehmite)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결정성이 뛰어나서 열 안정성 및 화학적 안정성이 뛰어나고, 구조적으로 중성이며, 항균 특성이 뛰어난 γ-보헤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γ-보헤마이트는, 물(순수)과 알루미늄(Al)만의 초임계 합성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수산화알루미늄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30 ~ 90 중량부에 대해서, 5 ~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수산화알루미늄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달성하고자 하는 항균 효과를 발현시키기 힘들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타 성분과의 혼합성이 저해될 우려가 있다.
경화제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물에 대한 우수한 용해성으로 경화제가 주제에 균일하게 혼합되어 적당한 점도와 경도를 유지함으로써 경화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주제와 경화제 혼합시 가사시간(pot life)을 연장시켜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1 분자 중에 2 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인 것이 좋으며, 특히 톨루엔-디이소시아테이트(toluen-diisocyanate, TDI), 수소화 TDI, 트리메틸 프로판-TDI(trimethyl propane-TDI),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tripehnylmethane-triisocyanate, TTI),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dipehenylmethane-4,4-diisocianate, MDI), 수소화 MDI, 또는 헥산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diisocyanate, HDI)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화제는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해서, 1~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접착제 조성물은,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수용성 2액형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한 후, 작업 현장에 도포 및 경화시켜 제조되는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상기 구성 성분의 일부를 제외하거나 상기 구성 성분 모두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분산제, 소포제, 방부제, 증점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고, 제조되는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색소 성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4]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80 중량부, 폴리비닐알콜 20 중량부, 물 25 중량부, 탄산칼슘 10 중량부, 계면활성제 1 중량부, 요변성 부여제 5 중량부로 혼합하여 주제를 제조하고, 톨루엔-디이소시아테이트(toluen-diisocyanate, TDI)를 포함하는 경화제 25 중량부를 혼합한 후, 도포 및 경화하여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를 제조하였고, 이를 실시예 4로 하였다.
이때, 계면활성제는 탄소수 8개의 제미니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였다. 계면활성제의 전체적인 합성과정은 다이아민과 1-브로모알케인의 반응에서 시작하였다. N,N,N',N'-테트라메틸-1,3-다이아미노프로페인(N,N,N',N'-tetramethyl-1,3-diaminopropane) 0.1 mole과 1-브로모옥테인(1-bromooctane) 0.2 mole을 아세토나이트릴(acetonitrile) 300g에 넣고 30분간 교반시켜 주었고, 이 용액을 12 시간 동안 353K에서 환류시킨 뒤, 회전농축기(rotary evaporator)를 이용해 아세토나이트릴 용매를 제거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생성물에 500g의 다이에틸 에테르(Diethylether)를 추가하여 생성물을 재결정화 시켰다. 이를 거른 후 다이에틸 에테르 500g으로 씻어주며 반응하지 않은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상기 과정을 거친 생성물을 323K의 진공 오븐에서 12 시간 동안 처리하여 잔여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제미니 계면활성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주제에 산화아티몬 5 중량부 및 산화지르코늄 5 중량부를 분말 형태로 더 첨가한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제조하였고, 이를 실시예 5로 하였다.
[실시예 6]
주제에 소듐실리케이트 5 중량부, 이황화 몰리브덴 3 중량부, 백반 3 중량부, γ-보헤마이트 8 중량부를 분말 형태로 더 첨가한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제조하였고, 이를 실시예 6으로 하였다.
[비교예 2]
종래의 에폭시 온돌마루 접착제(SEP-4300, 삼창기연㈜)를 비교예 2로 하였다.
[실험예 4 : 접착력 테스트]
실시예 및 비교예 2에 대하여 접착력 테스트(KS F 4715)를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정리하였다.
Figure 112018084017766-pat00004
LH 공사의 접착강도는 0.8 N/㎟ 이상이 합격 기준으로,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6 및 비교예 2는 모두 합격 기준을 만족하였다. 그러나,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6의 접착강도가 비교예 2에 비해 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 내열성 평가]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6 및 비교예 2의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를 80℃로 유지되는 열풍 순환식 가열로에서 8시간 가열한 후 황변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084017766-pat00005
상기 표 5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6은 비교예 2와 달리 황변되는 부분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실시예의 내열성이 비교예 2에 비해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6: 항균성 평가]
실시예 6 및 비교예 2의 접착제 조성물에 대해 항균력 테스트(JIS Z 2801)를 실시하였다. 시험균주는 Aspergillus niger ATCC 9642(곰팡이)를 사용하였고, 항균력(항균 활성치)을 평가하여 하기 표 6에 기재하였다.
Figure 112018084017766-pat00006
항균 활성치란 일정시간 동안 배양된 균주의 수를 비교하여 항균 정도를 평가한 값으로서, 그 값이 1 이상이면 90% 이상의 균주가, 2 이상이면 99% 이상의 균주가, 3 이상이면 99.9% 이상의 균주가, 4 이상이면 99.99% 이상의 균주가, 5 이상이면 99.999% 이상의 균주가 사멸되어 항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본다.
상기 표 6을 통해 알 수 있듯이, γ-보헤마이트를 포함하는 실시예 6의 경우, 비교예 2에 비해 항균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3은 도 1의 체결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체결부(200)는, 거치 프레임(210), 체결 프레임(220), 두 개의 연결봉(230-1, 230-2), 조절 프레임(240), 조절 레버(250), 적어도 하나의 충격 흡수부(260) 및 보조 프레임(270)을 포함한다. 여기서, 거치 프레임(210), 체결 프레임(220), 두 개의 연결봉(230-1, 230-2), 조절 프레임(240) 및 조절 레버(250)는, 도 2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충격 흡수부(260)는, 체결 프레임(220)과 보조 프레임(270) 사이에 설치되며, 보조 프레임(270)이 이륜차의 앞바퀴를 체결하는 경우 보조 프레임(270)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한다.
보조 프레임(270)은, 충격 흡수부(260)의 일측에 설치되며, 체결 프레임(220)이 충격 흡수부(260)를 일측으로 밀어줌에 따라 일측으로 이동하여 이륜차의 앞바퀴를 거치 프레임(210)의 내부 공간에서 일측으로 밀착시켜 체결한다.
도 4는 도 3의 충격 흡수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충격 흡수부(260)는, 제1 체결부(261), 케이스부(262), 연장부(263), 충격 완충부(264) 및 제2 체결부(265)를 포함한다.
이하, 충격 흡수부(260)의 각 구성에 관한 연결 관계(즉, 상, 하, 좌 또는 우 등)는 도 4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체결부(261)는, 직사각형의 철판 등의 철재로 형성되며, 체결 프레임(220)에 체결 수단(예를 들어 볼트, 앙카볼트 등)에 의해 체결되며, 하측에 연장부(263)의 상단이 고정 설치된다.
케이스부(262)는, 하부가 개방된 컵 형태로 형성되며, 제1 체결부(261)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내부 공간에 연장부(263), 충격 완충부(264)가 삽입되며, 하단으로 뚫린 관통홀로 연장부(263)가 상하 왕복운동을 하며, 해당 관통홀은 연장부(263)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턱보다 좁게 형성되어 연장부(263)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연장부(263)는, 케이스부(262)에 삽입되며, 상부가 제1 체결부(261)의 하단에 고정 설치(용접에 의해 강력하게 고정됨이 바람직함)되며, 하부에 케이스부(262)의 관통홀에 걸리기 위한 걸림턱을 형성하며, 하단(즉, 걸림턱의 밑 부분)에 충격 완충부(264)가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연장부(263)는, 절연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열교환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충격 완충부(264)는, 보조 프레임(270)으로부터 오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케이스부(262)에 삽입된 연장부(263)의 하측 공간에 삽입된다.
충격 완충부(264)는, 연장부(263)와 제2 체결부(265)의 사이에 형성되어 케이스부(262)에 삽입되며, 보조 프레임(270)으로부터 오는 충격을 완화한다.
일 실시예에서, 충격 완충부(264)는, 버팀부(2641) 및 탄성부(2642)를 포함한다.
버팀부(2641)는, 연장부(263)와 제2 체결부(265) 사이에 기 설정된 길이(예를 들어, 1cm 내지 3cm 등)로 형성되며, 연장부(263)가 제2 체결부(265)로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가까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연장부(263)와 제2 체결부(265)의 사이의 빈 공간에 삽입된다.
일 실시 예에서, 버팀부(2641)는, 원통형의 단단한 재질(예를 들어, 강철 또는 강화 플라스틱 등)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버팀부(2641)는, 제1 버팀부(2641-1). 다수 개의 제2 버팀부(2641-2) 및 다수 개의 제3 버팀부(264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버팀부(2641-1)는. 탄성부(2642)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부가 연장부(263)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고, 연장부(263)와 제2 체결부(265) 사이에 기 설정된 길이(예를 들어, 1cm 내지 3cm 등)로 형성되어, 연장부(263)가 제2 체결부(265)와 기 설정된 거리(예를 들어, 1cm 내지 3cm 등) 이내로 가까워지는 것을 방지한다.
제2 버팀부(2641-2)는, 제1 버팀부(2641-1)보다 짧은 길이(예를 들어, 0.8cm 내지 2.5cm 등)로 형성되며, 탄성부(2642)의 외측면을 따라 위치한 후 상부가 연장부(263)의 하측에 고정 설치된다.
제3 버팀부(2641-3)는, 제2 버팀부(2641-2) 보다 짧은 길이(예를 들어, 0.5cm 내지 2cm 등)로 형성되며, 제2 버팀부(2641-2)와 다른 제2 버팀부(2641-2)의 사이의 빈 공간에 삽입된 후 상부가 연장부(263)의 하측에 고정 설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버팀부(2641-1), 다수 개의 제2 버팀부(2641-2) 및 다수 개의 제3 버팀부(2641-3)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되 제1 버팀부(2641-1)의 직경이 제2 버팀부(2641-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2 버팀부(2641-2)의 직경이 제3 버팀부(2641-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서, 버팀부(2641)는, 다수 개의 변형을 위한 수단(즉, 제1 버팀부(2641-1), 다수 개의 제2 버팀부(2641-2) 및 다수 개의 제3 버팀부(2641-3))에 의해 충격을 다수의 단계로 흡수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충격흡수능력을 보유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버팀부(2641)는, 서로 다른 파쇄 임계치를 가지는 제1 버팀부(2641-1) 및 제2 버팀부(2641-2)에 각각의 임계치 이상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 차례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제1 버팀부(2641-1)가 파쇄된 후 제2 버팀부(2641-2)가 파쇄 될 수 있다.
탄성부(2642)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며, 연장 프레임(614)으로부터 오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연장부(263) 및 제2 체결부(265)의 사이의 공간에 삽입된다.
제2 체결부(265)는, 케이스부(262)의 하측 개방된 입구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케이스부(262)의 하측에 고정 설치된 후 보조 프레임(270)에 체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충격 흡수부(260)는 보조 프레임(270)이 이륜차의 앞바퀴를 밀착시키지 않은 경우에는 도 5와 같이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가 되어 길이가 가장 길게 유지되며, 보조 프레임(270)을 이륜차 앞바퀴 방향으로 밀착시킴에 따라 일부 수축하여 길이가 줄어들 것이다.
더 나아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 버팀부(2641)의 각각의 파쇄 임계치를 넘어서 보조 프레임(270)을 밀착시키는 경우에는, 높이가 가장 높은 제1 버팀부(2641-1)가 파쇄 되면서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게 되며, 제1 버팀부(2641-1)의 파쇄만으로도 충격이 모두 흡수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제2 버팀부(2641-2)와 다수 개의 제3 버팀부(2641-3)가 차례로 파쇄 되면서 여분의 충격을 모두 흡수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륜차 배기가스 측정 장치(10)는, 충격 흡수부(260)를 이용하여 충격을 효율적으로 완충함으로써, 각 구성들에 필요 이상의 힘이 가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이륜차 배기가스 측정 장치 100: 본체부
200: 체결부 210: 거치 프레임
220: 체결 프레임 230-1, 230-2: 연결봉
240: 조절 프레임 250: 조절 레버
251: 레버 252: 손잡이
253: 보호 외피 254: 나사산
260: 충격 흡수부 261: 제1 체결부
262: 케이스부 263: 연장부
264: 충격 완충부 265: 제2 체결부
270: 보조 프레임 300: 회전부
400: 가스 측정부

Claims (2)

  1. 측정 장치의 몸체를 형성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 전단에 설치되며, 이륜차를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고정할 수 있도록 이륜차의 앞바퀴를 체결하는 체결부;
    이륜차의 뒷바퀴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 후단에 설치되며, 이륜차의 뒷바퀴의 회전에 대응하여 함께 회전하는 회전부; 및
    이륜차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측정하는 가스 측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는, 반원통(semicylinder)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 공간에 이륜차의 앞바퀴를 거치하는 거치 프레임; 상기 거치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거치 프레임에 거치된 이륜차의 앞바퀴를 일측으로 밀착시켜 체결하는 체결 프레임; 일측이 상기 체결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상기 거치 프레임의 다른 일측의 상부 및 하부를 각각 관통하고 삽입되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체결 프레임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두 개의 연결봉; 상기 연결봉의 다른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연결봉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조절 프레임; 및 일측에 형성된 나사산이 상기 거치 프레임의 다른 일측에 연결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조절 프레임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다른 일측에 형성된 레버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나사산이 회전하여 상기 거치 프레임의 다른 일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 이동함에 따라 상기 조절 프레임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절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HDPE) 110 ~ 130 중량부, 탈크(Talc) 170 ~ 190 중량부, 게르마늄 분말 1 ~ 10 중량부,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15 ~ 25 중량부, 아교 2 ~ 7 중량부, 코르크 분말 5 ~ 10 중량부, 자당(C12H22O11) 분말 1 ~ 4 중량부, 배반 2 ~ 5 중량부 및 보헤마이트(Boehmite, AlO(OH)) 3 ~ 8 중량부를 포함하며 1.02 ~ 1.10의 비중을 갖는 플라스틱 조성물로 제조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플라스틱 조성물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다수 겹의 보호 외피가 외측면에 순차적으로 부착되며,
    상기 보호 외피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수지 30 ~ 9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비닐알콜(PVA) 1 ~ 30 중량부, 물 10 ~ 30 중량부, 탄산칼슘 5 ~ 30 중량부, 계면활성제 0.1 ~ 1 중량부, 요변성 부여제 1 ~ 20 중량부, 소듐 실리케이트 3 ~ 7 중량부, 이황화 몰리브덴(MoS2) 1 ~ 5 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 5 ~ 10 중량부 및 용매인 물 10 ~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주제와, 톨루엔-디이소시아테이트(toluen-diisocyanate, TDI), 수소화 TDI, 트리메틸 프로판-TDI(trimethyl propane-TDI),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tripehnylmethane-triisocyanate, TTI),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dipehenylmethane-4,4-diisocianate, MDI), 수소화 MDI, 및 헥산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diisocyanate, HDI) 중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포함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지며,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해서 1 ~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경화제로 이루어진 접착제 조성물에 의해 상기 손잡이에 부착되고,
    상기 체결부는 적어도 하나의 충격 흡수부(2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격 흡수부(260)는, 체결 프레임(220)과 보조 프레임(27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충격 흡수부(260)는, 제1 체결부(261), 케이스부(262), 연장부(263), 충격 완충부(264) 및 제2 체결부(265)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261)는, 상기 체결 프레임(220)에 체결 수단에 의해 체결되며, 하측에 연장부(263)의 상단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부(262)는, 하부가 개방된 컵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체결부(261)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내부 공간에 상기 연장부(263), 상기 충격 완충부(264)가 삽입되며, 하단으로 뚫린 관통홀로 상기 연장부(263)가 상하 왕복운동을 하며, 상기 관통홀은 상기 연장부(263)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턱보다 좁게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263)는, 상기 케이스부(262)에 삽입되며, 상부가 상기 제1 체결부(261)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며, 하부에 상기 케이스부(262)의 관통홀에 걸리기 위한 걸림턱을 형성하며,
    상기 충격 완충부(264)는, 상기 케이스부(262)에 삽입된 상기 연장부(263)의 하측 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충격 완충부(264)는, 상기 연장부(263)와 상기 제2 체결부(265)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부(262)에 삽입되며,
    상기 제2 체결부(265)는, 케이스부(262)의 하측 개방된 입구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케이스부(262)의 하측에 고정 설치된 후 보조 프레임(270)에 체결되
    는, 이륜차 배기가스 측정 장치.
  2. 삭제
KR1020180099101A 2018-08-24 2018-08-24 이륜차 배기가스 측정 장치 KR101943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101A KR101943646B1 (ko) 2018-08-24 2018-08-24 이륜차 배기가스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101A KR101943646B1 (ko) 2018-08-24 2018-08-24 이륜차 배기가스 측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3646B1 true KR101943646B1 (ko) 2019-04-17

Family

ID=66281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9101A KR101943646B1 (ko) 2018-08-24 2018-08-24 이륜차 배기가스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364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4324A (ja) * 1994-08-17 1996-02-27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完成検査装置
KR100246138B1 (ko) * 1997-11-29 2000-03-15 정몽규 자동차 부품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080080343A (ko) * 2005-12-27 2008-09-03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접착성 조성물
KR20110103088A (ko) 2010-03-12 2011-09-20 신용호 프로브 이탈 감지 기능을 구비한 매연측정기
KR20110133790A (ko) * 2010-06-07 2011-12-14 교통안전공단 이륜자동차용 배출가스 검사 방법 및 그 장치
KR101215853B1 (ko) 2010-06-08 2012-12-31 박정익 가스 배출량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127504A (ko) * 2015-04-27 2016-11-04 박상철 가공물 고정용 바이스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4324A (ja) * 1994-08-17 1996-02-27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完成検査装置
KR100246138B1 (ko) * 1997-11-29 2000-03-15 정몽규 자동차 부품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080080343A (ko) * 2005-12-27 2008-09-03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접착성 조성물
KR20110103088A (ko) 2010-03-12 2011-09-20 신용호 프로브 이탈 감지 기능을 구비한 매연측정기
KR20110133790A (ko) * 2010-06-07 2011-12-14 교통안전공단 이륜자동차용 배출가스 검사 방법 및 그 장치
KR101215853B1 (ko) 2010-06-08 2012-12-31 박정익 가스 배출량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127504A (ko) * 2015-04-27 2016-11-04 박상철 가공물 고정용 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7034B1 (ko) 용접장치 운반용 대차
KR101929191B1 (ko) 천공 장치
Raji et al. Utilization of volcanic amorphous aluminosilicate rocks (perlite) as alternative materials in lightweight composites
KR101909876B1 (ko) 원료배합장치
KR101912909B1 (ko) 철판 절곡 장치
KR101962762B1 (ko) 자재 이송 장치
KR101901456B1 (ko) 압출물 자동 이송 절단 장치
KR101917078B1 (ko) 플라스틱 제품 자동 절단 장치
CN107266730A (zh) 一种耐摩擦橡胶缓冲垫
KR101932101B1 (ko) 콘 크러셔
KR101943646B1 (ko) 이륜차 배기가스 측정 장치
KR101909878B1 (ko) 접착제조성물
KR101918765B1 (ko) 원단 이송 장치
KR101917079B1 (ko) 접착식 자동 먼지 제거 장치
Sadik et al. Innovative high-density polyethylene/waste glass powder composite with remarkable mechanical, thermal and recyclable properties for technical applications
KR101924842B1 (ko) 프레임 절단 장치
KR101935054B1 (ko) 배터리 셀 적층 장치
KR101930067B1 (ko) 단열패널 적재장치
KR101929052B1 (ko) 콘 크러셔
KR101947343B1 (ko) 비닐 폴딩 장치
KR101931513B1 (ko) 죠 크러셔
KR100855332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928378B1 (ko) 자동테이핑장치
KR101943645B1 (ko) 전선 피복 제거 장치
KR101964465B1 (ko) 프레스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