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9191B1 - 천공 장치 - Google Patents

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9191B1
KR101929191B1 KR1020180069320A KR20180069320A KR101929191B1 KR 101929191 B1 KR101929191 B1 KR 101929191B1 KR 1020180069320 A KR1020180069320 A KR 1020180069320A KR 20180069320 A KR20180069320 A KR 20180069320A KR 101929191 B1 KR101929191 B1 KR 101929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weight
workpiece
horizontal frame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9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기호
Original Assignee
진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기호 filed Critical 진기호
Priority to KR1020180069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91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9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9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16Perforating by tool or tools of the dril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9/00General-purpos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ets of boring and/or drilling machines
    • B23B39/16Drilling machines with a plurality of working-spindles; Drilling automatons
    • B23B39/161Drilling machines with a plurality of working-spindles; Drilling automatons with parallel work 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2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with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28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7/00Wood-turning machines; Equipment therefor
    • B27C7/04Devices for centering or chuck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7/00Wood-turning machines; Equipment therefor
    • B27C7/06Arrangements for guiding or supporting the tool, e.g. tool 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2007/2657Auxiliary carriages for moving the tool hold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천공 장치는 직선으로 연장 형성되고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슬라이드 레일을 지지하는 고정 지지대와, 슬라이드 레일 상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슬라이드 구동지지체와, 슬라이드 구동지지체에 연결되고, 회전력을 전달받아 피가공물에 구멍을 형성하는 복수의 천공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천공 장치{PUNC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가공물에 구멍을 가공하는 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목재, 금속 재질의 피가공물에 동시에 구멍을 가공하는 천공 장치의 경우 각각의 천공구의 위치와 피가공물의 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을 경우 가공 오차가 발생할 확률이 매우 높다.
특히, 천공구와 피가공물이 가공 방향으로 근접 또는 이격됨에 따라 가공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천공구 또는 피가공물이 움직여 가공 오차가 생긴다. 피가공물의 가공 구멍의 위치가 상이할 경우 천공구와 피가공물의 위치 조정이 불가피하나 이로 인해 가공 오차 발생 확률이 더욱 증가할 따름이다.
따라서, 천공구와 피가공물의 고정 및 해제 시 천공구의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함과 동시에 반복되는 고정 및 해제에도 견고하고 정밀한 고정이 가능한 구조가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537920호
본 발명은 천공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드 고정지지체 및 슬라이드 가공지지체에 고정패드가 부착됨에 따라 천공구와 피가공물의 위치 조정에 따른 슬라이드 고정지지체 및 슬라이드 가공지지체의 이동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위치 고정이 가능하며, 클램퍼와 피가공물의 접촉 부분에도 고정패드가 부착됨에 따라 피가공물의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고, 반복되는 고정 및 해제에도 고정력이 유지될 수 있는 천공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공 장치는 직선으로 연장 형성되고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슬라이드 레일을 지지하는 고정 지지대; 상기 슬라이드 레일 상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슬라이드 구동지지체; 및 상기 슬라이드 구동지지체에 연결되고, 회전력을 전달받아 피가공물에 구멍을 형성하는 복수의 천공구를 포함하는 천공구 어레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상이한 직경을 갖는 둘 이상의 원동풀리가 동축상에 결합된 구조를 가지고, 각각의 상기 슬라이드 구동지지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각각의 회전축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원동풀리 결합체들을 포함하는 원동풀리 결합체 어레이; 서로 상이한 직경을 갖는 둘 이상의 종동풀리가 동축상에 결합된 구조를 가지고, 각각의 상기 슬라이드 구동지지체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각각의 회전축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각각이 동일한 슬라이드 구동지지체에 연결된 맞은편의 원동풀리 결합체와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종동풀리 결합체를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천공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종동풀리 결합체 어레이; 직선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레일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을 지지하며 상기 수평프레임이 상하로 이동하도록 연장 또는 축소 가능한 수직프레임을 포함하는 가변 지지대; 및 상기 수평프레임의 연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수평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피가공물을 지지하는 복수의 슬라이드 가공지지체; 및 상기 수평프레임의 연장방향과 평행하게 놓인 상기 피가공물을 상기 수평프레임의 연장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양측에서 가압 고정하도록, 상기 수평프레임의 연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각각의 상기 슬라이드 가공지지체에 연결되는 복수의 클램퍼를 더 포함하며, 고정 시 상기 피가공물과 접촉하는 부분에 부착되어 상기 피가공물의 고정 시 상기 피가공물과 상기 클램퍼의 접촉면에서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플라스틱 조성물로 제조된 고정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 구동지지체와 상기 고정 지지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슬라이드 구동지지체의 고정 시 상기 슬라이드 구동지지체와 상기 고정 지지대의 접촉면에서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플라스틱 조성물로 제조된 고정패드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 가공지지체와 상기 수평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슬라이드 가공지지체의 고정 시 상기 슬라이드 가공지지체와 상기 수평프레임의 접촉면에서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고정패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천공구와 피가공물의 정확한 위치 고정에 따라 가공 오차가 현저히 감소함으로써 제품 수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피가공물 및 천공구 고정에 복잡한 고정 구조물이 필요 없이 간단한 구조만으로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공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천공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천공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천공 장치(100)는 고정 지지대(110)와, 슬라이드 구동지지체(120)와, 원동풀리 결합체 어레이(130)와, 종동풀리 결합체 어레이(140)와, 천공구 어레이(150)와, 가변 지지대(160)와, 슬라이드 가공지지체(170)를 포함한다.
고정 지지대(110)는 직선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드 레일(111)을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지지한다. 고정 지지대(110)는 슬라이드 레일(111)이 형성되는 수평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을 양단에서 지지하는 수직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 지지대(110)의 슬라이드 레일(111) 상에는 복수의 슬라이드 구동지지체(120)가 연결된다. 각각의 슬라이드 구동지지체(120)는 슬라이드 레일(110)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그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슬라이드 구동지지체(120)는 별도의 고정구(미도시)에 의해 조정된 위치 상에 고정될 수 있다.
피가공물(10)에 가공할 구멍의 간격을 고려하여 각각의 슬라이드 구동지지체(120) 간의 간격을 조정하고 고정시킬 수 있다. 정밀한 가공을 요하는 점에서 웜스크류 방식 등 공지의 선형 운동 방식을 채용하여 슬라이드 레일(110) 상에서 슬라이드 구동지지체(120)의 미세한 슬라이드 이동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이동 방향 외의 방향으로의 불측의 오차를 방지하도록 슬라이드 구동지지체(120)는 리니어 가이드 등의 선형 운동 보조기구에 연결되어 안정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드 구동지지체(120)와 고정 지지대(110) 사이에 개재되어 슬라이드 구동지지체(120)의 고정 시 슬라이드 구동지지체(120)와 고정 지지대(110)의 접촉면에서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고정패드(18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고정패드(181)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상세하게 후술될 것이다.
각각의 슬라이드 구동지지체(120)에는 원동풀리 결합체(131)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원동풀리 결합체 어레이(130)는 복수의 슬라이드 구동지지체(120)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의 원동풀리 결합체(131)를 포함한다. 각각의 원동풀리 결합체(131)는 별도의 동력원(미도시)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는다.
원동풀리 결합체(131)는 서로 상이한 직경을 갖는 둘 이상의 원동풀리가 동축상에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원동풀리 결합체(131)는 슬라이드 구동 지지체(120)의 일측에 연결된다. 각각의 원동풀리 결합체(131)의 회전축은 서로 평행하며, 슬라이드 구동지지체(120)의 슬라이드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다.
또한, 각각의 슬라이드 구동지지체(120)에는 종동풀리 결합체(141)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종동풀리 결합체 어레이(140)는 복수의 슬라이드 구동지지체(120)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의 종동풀리 결합체(141)를 포함한다.
종동풀리 결합체(141)는 서로 상이한 직경을 갖는 둘 이상의 종동풀리가 동축상에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종동풀리 결합체(141)는 각각의 슬라이드 구동지지체(120)의 원동풀리 결합체(131) 맞은편에 연결된다. 각각의 종동풀리 결합체(141)의 회전축은 서로 평행하며, 슬라이드 구동지지체(120)의 슬라이드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다.
종동풀리 결합체(141)는 각각이 동일한 슬라이드 구동지지체(120)에 연결된 맞은편의 원동풀리 결합체(131)와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된다. 원동풀리 결합체(131)의 하나의 풀리와 종동풀리 결합체(141)의 하나의 풀리가 구동벨트(142)에 의해 연결되어 원동풀리 결합체(131)로부터 종동풀리 결합체(141)로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토크와 속도를 고려하여 원동풀리 결합체(131)와 종동풀리 결합체(141)에 구동벨트(142)가 연결되는 풀리를 적절하게 선정할 수 있다.
종동풀리 결합체(141)로 전달된 회전력은 천공구(151)로 전달된다. 천공구 어레이(150)는 각각의 종동풀리 결합체(141)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고정된 복수의 천공구(151)를 포함한다. 복수의 천공구(151)는 각각의 종동풀리 결합체(14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피가공물(10)에 구멍을 형성한다. 천공구(151)는 종동풀리 결합체(141)의 직하방에 고정되어 종동풀리 결합체(141)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며 슬라이드 구동지지체(120)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수평 이동할 수 있다. 천공구(151)는 가공할 구멍의 깊이와 직경에 따라 조정 가능한 구성을 가지는 공지의 다양한 천공수단을 포함한다.
피가공물(10)은 가변 지지대(160) 상에 놓인다. 가변 지지대(160)는 직선으로 연장 형성되고 슬라이드 레일(110)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수평프레임(161)과, 수평프레임(161)을 지지하며 수평프레임(161)이 상하로 이동하도록 연장 또는 축소 가능한 수직프레임(162)을 포함한다.
수평프레임(161)에는 복수의 슬라이드 가공지지체(17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슬라이드 가공지지체(170)는 수평프레임(161)의 연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 또는 수평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평프레임(161)에 연결된다. 복수의 슬라이드 가공지지체(170)는 피가공물(10)에 가공될 구멍의 위치에 따라 수평프레임(161) 상에서 위치 조정되며, 상방으로 피가공물(10)을 견고하게 지지한다.
슬라이드 가공지지체(170)와 수평프레임(161) 사이에 개재되어 슬라이드 가공지지체(170)의 고정 시 슬라이드 가공지지체(170)와 수평프레임(161)의 접촉면에서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고정패드(18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고정패드(182)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상세하게 후술될 것이다.
한편, 각각의 슬라이드 가공지지체(170)는 피가공물(10)을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클램퍼(171)를 구비할 수 있다. 클램퍼(171)는 수평프레임(161)의 연장방향과 평행하게 놓인 피가공물(10)을 수평프레임(161)의 연장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가압 고정하도록, 수평프레임(161)의 연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각각의 슬라이드 가공지지체(170)에 연결된다. 하나의 슬라이드 가공지지체(170)에 구비된 두 개의 클램퍼(171)는 피가공물(10)의 고정 시 피가공물(10)의 맞은편에 접촉하여 피가공물(10)을 가압하도록 서로 근접하고, 피가공물(10)의 해제 시 피가공물(10)이 분리 가능하도록 서로 이격된다.
피가공물(10)과 접촉하는 클램퍼(171)의 고정면에는 클램퍼(171)와 피가공물(10)의 접촉면에서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고정패드(183)가 부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고정패드(181, 182, 183)의 조성물 및 부착 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먼저, 고정패드(181)는 슬라이드 구동지지체(120)의 하면에 부착되어 슬라이드 구동지지체(120)의 고정 시 슬라이드 구동지지체(120)와 고정 지지대(110) 사이의 고정력을 증가시켜 슬라이드 구동지지체(120)의 견고한 고정을 가능케 한다. 이동 시에는 고정패드(181)와 고정 지지대(110)의 접촉이 해제되며 고정 시에만 고정패드(181)와 고정지지대(110)가 접촉하도록 가압됨으로써 슬라이드 구동지지체(120)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고정패드(182)는 슬라이드 가공지지체(170)의 하면에 부착되어 슬라이드 가공지지체(170)의 고정 시 슬라이드 가공지지체(170)와 수평프레임(161) 사이의 고정력을 증가시켜 슬라이드 가공지지체(170)의 견고한 고정을 가능케 한다. 이동 시에는 고정패드(182)와 수평프레임(161)의 접촉이 해제되며 고정 시에만 고정패드(182)와 수평프레임(161)이 접촉하도록 가압됨으로써 슬라이드 가공지지체(170)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고정패드(183)는 클램퍼(171)의 측면에 부착되어 피가공물(10)의 고정 시 클램퍼(171)와 피가공물(10) 사이의 고정력을 증가시켜 피가공물(10)의 견고한 고정을 가능케 한다. 피가공물(10)의 분리 시에는 고정패드(183)와 피가공물(10)의 접촉이 해제되며 고정 시에만 고정패드(183)와 피가공물(10)이 접촉하도록 가압됨으로써 피가공물(10)이 고정될 수 있다.
고정패드(181, 182, 183)은 기계적 물성 및 비틀림 현상을 개선시키고, 신체의 신진 대사를 촉진시키는 원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도록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HDPE) 110 ~ 130 중량부, 탈크(Talc) 170 ~ 190 중량부, 게르마늄 분말 1 ~ 10 중량부,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15 ~ 25 중량부, 아교 2 ~ 7 중량부, 코르크 분말 5 ~ 10 중량부, 자당(C12H22O11) 분말 1 ~ 4 중량부, 배반 2 ~ 5 중량부 및 보헤마이트(Boehmite, AlO(OH)) 3 ~ 8 중량부를 포함하며 1.02 ~ 1.10의 비중을 갖는 플라스틱 조성물로 제조되며, 상부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보호 시트가 후술하는 접착제 조성물에 의해 상부에 부착된다.
상기 플라스틱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HDPE), 탈크 및 게르마늄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플라스틱 조성물에 의할 경우, 내열성, 내구성 등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비틀림 현상을 개선할 수 있으며, 원적외선을 방사함으로써 신진 대사 촉진 및 제조된 플라스틱 용기에 보관된 식품의 저장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라스틱 시트(제품)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수지는, 성능 대비 가격이 저렴하고, 식품이나 화장품 등의 내용물과의 접촉에도 위해성이 없는 환경친화적인 소재로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프로필렌을 중합하여 얻는 열가소성 수지이고, 내약품성, 기계적 성질, 열적 성질이 우수하다.
폴리프로필렌은, 프로필렌 단독(호모) 중합체, 랜덤 공중합체 및 블록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나, 기계적 물성의 향상을 위하여 호모 중합체와 랜덤 공중합체를 3 : 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수지는, 에틸렌을 중합하여 제조하는 합성수지로서, 높은 유동성과 강성, 내충격성, 전기절연성, 성형성, 내한성이 뛰어나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는, 전술한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혼합하여 플라스틱 시트 또는 제품 제조 시 인장력을 강화하여 성형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공지의 다양한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탈크는, 플라스틱 조성물의 강도, 내열성 등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서,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과의 혼합성을 위하여 150 ~ 200 메시(mesh)의 입자 크기를 갖는 탈크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탈크는, 다른 충전재 성분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돌로마이트 분말과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여 플라스틱 조성물의 내구성 향상에 기여할 수도 있다.
게르마늄은, 은백색의 준금속으로,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과 음이온 등을 다량 방사하여 신진 대사를 촉진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게르마늄은, 반도체적 성질로 인해 피부에 접촉하면 게르마늄 이온(외곽전자)이 체내에 들어가 생명력을 높이는 작용을 하며, 체내에 들어가면 각종 유해물질과 함께 20 ~ 30시간 안에 몸 밖으로 배출되므로 중독이나 부작용이 전혀 없다.
특히, 무기게르마늄의 입자가 사람의 피부와 접하게 되면 외곽전자의 침투압 활동으로 피부조직 속으로 반도체 성질이 들어간다. 피하조직 속의 모세혈관까지 침투한 게르마늄은 혈관벽을 통해서 혈관 속에 있는 전자를 이동시키며, 혈액정화작용을 하여 혈액을 정상화시키고, 과잉 전자 흐름을 방전시켜 통증을 면하게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게르마늄은, 분말 형태로 사용할 수 있고, 게르마늄 원석을 3cm 이하로 잘게 절단한 후, 절단된 게르마늄 원석을 80 ~ 100 메쉬의 입도 크기로 분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플라스틱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110 ~ 130 중량부, 탈크 170 ~ 190 중량부 및 게르마늄 분말 1 ~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라스틱 조성물을 이용하여 고정패드(181, 182, 183)를 제조할 경우, 뒤틀림 현상 등을 배제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조성물의 비중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한데, 비중은 1.02 ~ 1.1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3 ~ 1.0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즉,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가 110 중량부 미만이거나, 탈크가 170 중량부 미만이면, 내구성 등의 기계적 물성을 강화 시키기 제한되고,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가 130 중량부를 초과하거나, 탈크가 190 중량부를 초과하면, 플라스틱 조성물의 비중이 늘어나 성형성이 불량해질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게르마늄 분말이 1 중량부 미만이면, 게르마늄으로 인한 원적외선 방출 효과 등이 발현되기 힘들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다른 성분과의 혼합성이 저해되어 성형성이 불량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플라스틱 조성물은, 내충격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Fiberglass Reinforced Plastic, FRP)은, 유리계 광물질을 주원료로 하고, 유리계 광물질에 방향족 나일론 섬유 및 열경화성 수지를 결합한 물질이다.
유리계 광물질은, 규사, 석회석, 장석 및 소다회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열경화성 수지는, 공지의 다양한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터, 에폭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은, 유리계 광물질 등의 재료를 혼합하여 용융로에 넣어 제조할 수 있고, 유리섬유 사이에 밀봉된 각각의 공기층이 단열층으로 작용하여 불연성, 흡음성, 시공성이 우수하다.
또한, 철보다 강하고, 알루미늄보다 가벼우며, 녹슬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으며, 불연성이 우수하여 열에 변형되지 않고, 가공하기 용이하다.
이때,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펠렛 형태)과 PVC 등과의 혼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아교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교는, 동물의 가죽, 창자, 뼈 등을 고아 그 액체를 고형화한 물질로서, 각 성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면서도 환경 호르몬 배출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및 아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각각 15 ~ 25 중량부 및 2 ~ 7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해당 범위보다 적을 경우, 내충격성 강화 및 배합성이 떨어질 수 있고, 해당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 제품 생산 시 깨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비경제적이다.
일 실시예에서, 플라스틱 조성물을 이용하여 고정패드(181, 182, 183)를 제작 시 탄성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코르크 분말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코르크 분말은, 굴참나무의 껍데기를 제거한 후, 분쇄하여 준비할 수 있다. 코르크 분말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과의 혼합성을 위하여 400 메쉬(mesh) 이상의 망으로 거른 미분쇄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르크 분말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5 ~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코르크 분말이 5 중량부 미만인 경우, 탄성도의 향상 정도가 미미하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제품 제조 시 내부에 형성된 공극이 커져 내구성이 약화될 수 있다.
또한, 코르크 분말과 타 성분과의 혼합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자당(C12H22O11) 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자당은, 코르크 분말 사이에 형성된 공극을 매끄럽게 할 뿐만 아니라, PVC 등과의 혼합 과정에서 점성이 생겨 이취 문제를 발생시키는 분자를 잡을 수도 있어 이취 문제 해결에도 기여할 수 있다.
자당은, 500 메쉬(mesh) 망으로 거른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1 ~ 4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자당이 1 중량부 미만인 경우, 자당에 의해 발현되는 효과가 미미하고, 4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제품의 기계적 물성을 약화시킬 우려가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라스틱 조성물은, 백반 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백반은 칼륨 백반(황산알루미늄칼륨, AlK(SO4)2ㅇ12H2O)을 사용할 수 있고, 천연의 명반석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명반석을 물에 풀어서 거른 다음 끊이고, 식힌 후 불규칙한 모양의 결정이 생기면, 이를 건조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백반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2 ~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백반의 함량이 2 중량부 미만인 경우, 백반에 의한 효과가 미미하고,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비경제적이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의한 플라스틱 조성물은 항균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보헤마이트(Boehmite, AlO(OH))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헤마이트는 γ-보헤마이트, α-보헤마이트 및 유사 보헤마이트(Pseudo-Boehmite)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결정성이 뛰어나서 열 안정성 및 화학적 안정성이 뛰어나고, 구조적으로 중성이며, 항균 특성이 뛰어난 γ-보헤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γ-보헤마이트는, 물(순수)과 알루미늄(Al)만의 초임계 합성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보헤마이트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3 ~ 8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보헤마이트의 함량이 3 중량부 미만이면 달성하고자 하는 항균 효과를 발현시키기 힘들고, 8 중량부를 초과하면 타 성분과의 혼합성이 저해될 우려가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의한 플라스틱 조성물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프로필렌 수지 180kg,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HDPE) 200kg, 탈크 310kg, 게르마늄 분말 15kg을 혼합하여 플라스틱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이를 실시예 1로 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36kg, 아교 9kg을 더 혼합하여 플라스틱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이를 실시예 2로 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제조하되, 코르크 분말 9kg, 자당 분말 5kg, 백반 분말 5kg, γ-보헤마이트 9kg을 더 혼합하여 플라스틱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이를 실시예 3으로 하였다.
[비교예 1]
탈크만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고, 이를 비교예 1로 하였다.
[실험예 1 : 내충격성 평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및 비교예 1의 플라스틱 조성물을 이용하여 시편(20cm * 30cm, 두께 20mm)을 제조하였고, 3kg의 추를 2m 높이에서 떨어뜨린 후, 각 시편의 파손 정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059001873-pat00001
상기 표 1을 통해 알 수 있듯이, 탈크를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에 비해 탈크를 포함하는 실시예들은 내충격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실시예 2 및 3의 경우, 가장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실험예 2 : 내열성 평가]
실험예 1의 시편을 80℃로 유지되는 열풍 순환식 가열로에서 3시간 가열한 후 황변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059001873-pat00002
상기 표 2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은 비교예 1과 달리 황변되는 부분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실시예의 내열성이 비교예 1에 비해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 항균성 평가]
실시예 1, 실시예 3 및 비교예 1에 대해 항균력 테스트(JIS Z 2801)를 실시하였다. 시험균주는 Aspergillus niger ATCC 9642(곰팡이)를 사용하였고, 항균력(항균 활성치)을 평가하여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Figure 112018059001873-pat00003
항균 활성치란 일정시간 동안 배양된 균주의 수를 비교하여 항균정도를 평가한 값으로서, 그 값이 1 이상이면 90% 이상의 균주가, 2 이상이면 99% 이상의 균주가, 3 이상이면 99.9% 이상의 균주가, 4 이상이면 99.99% 이상의 균주가, 5 이상이면 99.999% 이상의 균주가 사멸되어 항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본다.
상기 표 3를 통해 알 수 있듯이, γ-보헤마이트를 포함하는 실시예 3의 경우, 다른 케이스보다 항균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었다.
보호 시트는 고정패드와 동일한 플라스틱 조성물로 제조되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수지 30 ~ 9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비닐알콜(PVA) 1 ~ 30 중량부, 물 10 ~ 30 중량부, 탄산칼슘 5 ~ 30 중량부, 계면활성제 0.1 ~ 1 중량부, 요변성 부여제 1 ~ 20 중량부, 소듐 실리케이트 3 ~ 7 중량부, 이황화 몰리브덴(MoS2) 1 ~ 5 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 5 ~ 10 중량부 및 용매인 물 10 ~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주제와, 톨루엔-디이소시아테이트(toluen-diisocyanate, TDI), 수소화 TDI, 트리메틸 프로판-TDI(trimethyl propane-TDI),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tripehnylmethane-triisocyanate, TTI),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dipehenylmethane-4,4-diisocianate, MDI), 수소화 MDI, 및 헥산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diisocyanate, HDI) 중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포함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지며,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해서 1 ~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경화제로 이루어진 접착제 조성물에 의해 고정패드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패드의 상부에 부착된다.
보호 시트의 부착에 사용되는 접착제 조성물은, 주제 및 경화제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로서, 주제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수지 30~90 중량부, 폴리비닐알콜(PVA) 1~30 중량부, 물 10~30 중량부, 탄산칼슘 5~30 중량부, 계면활성제 0.1~1 중량부 및 요변성 부여제 1~20 중량부를 포함하고, 경화제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 조성물은, 주제와 경화제로 이루어진 수용성 2액형 접착제 조성물로서, 이를 도포 및 경화하여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를 제조할 수 있으며,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으면서도, 접착성, 내열성 등 물리적 특성이 우수하여 합판과 같은 목질 보드나 마그네슘 보드와 같은 무기질 보드, PVC 등의 여러가지 플라스틱 재질의 시트에 사용될 수 있다.
주제는, 기본적으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수지, 폴리비닐알콜(PVA), 물, 탄산칼슘, 계면활성제 및 요변성 부여제를 포함하는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는 주제의 주성분으로서, 응집력이 강하여 제조되는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강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종래에는 에폭시 수지를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주성분으로 사용하였는데,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는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경우 벤젠 톨루엔과 같은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방출하여 환경 및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에폭시 수지를 배제함으로써 환경문제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폴리비닐알콜(PVA)은, 제조되는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내열성과 내수성 및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폴리비닐알콜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30~90 중량부에 대해서, 1 ~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폴리비닐알콜이 1 중량부 미만인 경우, 내열성 등을 향상시키기 힘들고, 3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의 상대적인 함량이 줄어들어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응집력이 약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돌 마루 등에 사용될 때, 폴리비닐알콜의 기능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폴리비닐알콜과 함께 산화안티몬 및 산화지르코늄을 사용할 수도 있다.
산화안티몬 및 산화지르코늄은, 제조되는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내열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30 ~ 90 중량부에 대해서 각각 5 ~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 미만에서는 내열성 증진 효과가 미미하고, 상기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 비경제적이다.
물은 주제의 용매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와 달리 휘발성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아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물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30~90 중량부에 대해서, 10 ~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물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등을 효과적으로 용해시킬 수 없고, 3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너무 묽어져서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강도가 낮아질 수 있다.
탄산칼슘은, 접착제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고, 경화 시 수축 현상을 감소시킨다.
탄산칼슘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수지 30~90 중량부에 대해서, 5 ~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탄산칼슘이 5 중량부 미만인 경우, 경화 시 충분한 수축이 일어나지 않아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경도가 불량해질 수 있고, 3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점도가 너무 빡빡하여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산칼슘을 대체하여 경탄류, 클레이류의 여러가지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일 예로, 돌로마이트 및/또는 활석(Talc)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돌로마이트 및 활석을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분말은 150 ~ 200 메시(mesh)의 입자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150 ~ 200 메시의 입자크기를 갖도록 미분쇄된 분말을 사용하게 되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등의 다른 성분과 혼합성이 향상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접착제 조성물의 혼합시 표면장력을 줄이고, 도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계면활성제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30 ~ 90 중량부에 대해서, 0.1 ~ 1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는, 공지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표면장력을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하여 탄소 원자 8 ~ 14개의 알킬 사슬을 포함하는 제미니형 음인온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변성 부여제는, 접착제 조성물이 도포되어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가 될 때, 주제와 경화제의 분리 현상을 억제하여 접착제 조성물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실리카류, 아크릴 코폴리머 등의 여러가지 공지의 다양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나, 클레이(clay)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레이는, 가느다란 함수 규산염 광물의 집합체로서, 적당량의 물을 섞어 반죽하면 가소성이 생기고, 건조시키면 강성을 나타내며, 높은 온도에서 구우면 소결하는 물질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해포석, 흄드 실리카 및 벤토나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분말을 사용할 수 있으나, 가장 좋은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흄드 실리카와 벤토나이트가 1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변성 부여제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30 ~ 90 중량부에 대해서, 1 ~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요변성 부여제가 1 중량부 미만이면, 흐름성을 충분히 제어할 수 없고,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흐름성이 너무 사라져서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주제는, 제조되는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소듐실리케이트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소듐 실리케이트(sodium silicate)는, 기존의 접착제와는 달리 공해를 유발시키지 않아 환경 친화적이며, 접착력이 우수하다.
소듐 실리케이트는, 고형분 기준으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30 ~ 90 중량부에 대해서, 3 ~ 7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소듐 실리케에트가 3 중량부 미만인 경우, 접착 성능의 향상 정도가 미미하고, 7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다른 성분과의 혼합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주제는, 제조되는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황화 몰리브덴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황화 몰리브덴(MoS2)은, 화강암 속에 함유 되어 얇은 광맥으로 발견되어 채굴하는 재료로서, 윤활성분으로 사용된다.
이황화 몰리브덴(MoS2)은, 그래파이트(graphite)와 같이 전단이 발생하기 쉬운 형태의 육각형의 결정 구조의 고유한 특성을 가지나, 윤활 작용은 그래파이트보다 우수하다.
이황화 몰리브덴은, 고형분 기준으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30 ~ 90 중량부에 대해서, 1 ~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황화 몰리브덴이 1 중량부 미만인 경우, 내마모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없고,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오히려 접착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
이때, 이황화 몰리브덴과 함께 구리 분말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주제는, 제조되는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난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난연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난연제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1 ~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난연제가 1 중량부 미만인 경우, 난연성의 향상 정도가 미미하고,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타 성분과의 혼합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난연제는, 백반 분말을 사용할 수 있는데, 백반은 칼륨 백반(황산알루미늄칼륨, AlK(SO4)2ㅇ12H2O)을 사용할 수 있고, 천연의 명반석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명반석을 물에 풀어서 거른 다음 끊이고, 식힌 후 불규칙한 모양의 결정이 생기면, 이를 건조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주제는, 제조되는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항균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산화알루미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수산화알루미늄은, 보헤마이트(Boehmite, AlO(OH))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헤마이트는 γ-보헤마이트, α-보헤마이트 및 유사 보헤마이트(Pseudo-Boehmite)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결정성이 뛰어나서 열 안정성 및 화학적 안정성이 뛰어나고, 구조적으로 중성이며, 항균 특성이 뛰어난 γ-보헤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γ-보헤마이트는, 물(순수)과 알루미늄(Al)만의 초임계 합성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수산화알루미늄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30 ~ 90 중량부에 대해서, 5 ~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수산화알루미늄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달성하고자 하는 항균 효과를 발현시키기 힘들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타 성분과의 혼합성이 저해될 우려가 있다.
경화제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물에 대한 우수한 용해성으로 경화제가 주제에 균일하게 혼합되어 적당한 점도와 경도를 유지함으로써 경화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주제와 경화제 혼합시 가사시간(pot life)을 연장시켜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1 분자 중에 2 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인 것이 좋으며, 특히 톨루엔-디이소시아테이트(toluen-diisocyanate, TDI), 수소화 TDI, 트리메틸 프로판-TDI(trimethyl propane-TDI),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tripehnylmethane-triisocyanate, TTI),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dipehenylmethane-4,4-diisocianate, MDI), 수소화 MDI, 또는 헥산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diisocyanate, HDI)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화제는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해서, 1~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접착제 조성물은,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수용성 2액형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한 후, 작업 현장에 도포 및 경화시켜 제조되는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상기 구성 성분의 일부를 제외하거나 상기 구성 성분 모두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분산제, 소포제, 방부제, 증점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고, 제조되는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색소 성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4]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80 중량부, 폴리비닐알콜 20 중량부, 물 25 중량부, 탄산칼슘 10 중량부, 계면활성제 1 중량부, 요변성 부여제 5 중량부로 혼합하여 주제를 제조하고, 톨루엔-디이소시아테이트(toluen-diisocyanate, TDI)를 포함하는 경화제 25 중량부를 혼합한 후, 도포 및 경화하여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를 제조하였고, 이를 실시예 4로 하였다.
이때, 계면활성제는 탄소수 8개의 제미니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였다. 계면활성제의 전체적인 합성과정은 다이아민과 1-브로모알케인의 반응에서 시작하였다. N,N,N',N'-테트라메틸-1,3-다이아미노프로페인(N,N,N',N'-tetramethyl-1,3-diaminopropane) 0.1 mole과 1-브로모옥테인(1-bromooctane) 0.2 mole을 아세토나이트릴(acetonitrile) 300g에 넣고 30분간 교반시켜 주었고, 이 용액을 12 시간 동안 353K에서 환류시킨 뒤, 회전농축기(rotary evaporator)를 이용해 아세토나이트릴 용매를 제거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생성물에 500g의 다이에틸 에테르(Diethylether)를 추가하여 생성물을 재결정화 시켰다. 이를 거른 후 다이에틸 에테르 500g으로 씻어주며 반응하지 않은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상기 과정을 거친 생성물을 323K의 진공 오븐에서 12 시간 동안 처리하여 잔여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제미니 계면활성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주제에 산화아티몬 5 중량부 및 산화지르코늄 5 중량부를 분말 형태로 더 첨가한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제조하였고, 이를 실시예 5로 하였다.
[실시예 6]
주제에 소듐실리케이트 5 중량부, 이황화 몰리브덴 3 중량부, 백반 3 중량부, γ-보헤마이트 8 중량부를 분말 형태로 더 첨가한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제조하였고, 이를 실시예 6으로 하였다.
[비교예 2]
종래의 에폭시 온돌마루 접착제(SEP-4300, 삼창기연㈜)를 비교예 2로 하였다.
[실험예 4 : 접착력 테스트]
실시예 및 비교예 2에 대하여 접착력 테스트(KS F 4715)를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정리하였다.
Figure 112018059001873-pat00004
LH 공사의 접착강도는 0.8 N/㎟ 이상이 합격 기준으로,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6 및 비교예 2는 모두 합격 기준을 만족하였다. 그러나,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6의 접착강도가 비교예 2에 비해 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 내열성 평가]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6 및 비교예 2의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를 80℃로 유지되는 열풍 순환식 가열로에서 8시간 가열한 후 황변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059001873-pat00005
상기 표 5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6은 비교예 2와 달리 황변되는 부분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실시예의 내열성이 비교예 2에 비해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6: 항균성 평가]
실시예 6 및 비교예 2의 접착제 조성물에 대해 항균력 테스트(JIS Z 2801)를 실시하였다. 시험균주는 Aspergillus niger ATCC 9642(곰팡이)를 사용하였고, 항균력(항균 활성치)을 평가하여 하기 표 6에 기재하였다.
Figure 112018059001873-pat00006
항균 활성치란 일정시간 동안 배양된 균주의 수를 비교하여 항균 정도를 평가한 값으로서, 그 값이 1 이상이면 90% 이상의 균주가, 2 이상이면 99% 이상의 균주가, 3 이상이면 99.9% 이상의 균주가, 4 이상이면 99.99% 이상의 균주가, 5 이상이면 99.999% 이상의 균주가 사멸되어 항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본다.
상기 표 6을 통해 알 수 있듯이, γ-보헤마이트를 포함하는 실시예 6의 경우, 비교예 2에 비해 항균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고정 지지대
120: 슬라이드 구동지지체
130: 원동풀리 결합체 어레이
140: 종동풀리 결합체 어레이
150: 천공구 어레이
160: 가변 지지대
170: 슬라이드 가공지지체
171: 클램퍼
181, 182, 183: 고정패드
100: 천공 장치
10: 피가공물

Claims (2)

  1. 직선으로 연장 형성되고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슬라이드 레일(111)을 지지하는 고정 지지대(110);
    상기 슬라이드 레일(111) 상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슬라이드 구동지지체(120); 및
    상기 슬라이드 구동지지체(120)에 연결되고, 회전력을 전달받아 피가공물(10)에 구멍을 형성하는 복수의 천공구(151)를 포함하는 천공구 어레이(150)를 포함하되,
    서로 상이한 직경을 갖는 둘 이상의 원동풀리가 동축상에 결합된 구조를 가지고, 각각의 상기 슬라이드 구동지지체(12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각각의 회전축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원동풀리 결합체(131)들을 포함하는 원동풀리 결합체 어레이(130);
    서로 상이한 직경을 갖는 둘 이상의 종동풀리가 동축상에 결합된 구조를 가지고, 각각의 상기 슬라이드 구동지지체(120)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각각의 회전축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각각이 동일한 슬라이드 구동지지체(120)에 연결된 맞은편의 원동풀리 결합체(131)와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종동풀리 결합체(141)를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천공구(151)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종동풀리 결합체 어레이(140);
    직선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레일(111)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수평프레임(161)과, 상기 수평프레임을 지지하며 상기 수평프레임이 상하로 이동하도록 연장 또는 축소 가능한 수직프레임(162)을 포함하는 가변 지지대(160); 및
    상기 수평프레임(161)의 연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수평프레임(161)에 연결되어 상기 피가공물(10)을 지지하는 복수의 슬라이드 가공지지체(170); 및
    상기 수평프레임(161)의 연장방향과 평행하게 놓인 상기 피가공물(10)을 상기 수평프레임(161)의 연장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양측에서 가압 고정하도록, 상기 수평프레임(161)의 연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각각의 상기 슬라이드 가공지지체(170)에 연결되는 복수의 클램퍼(171)를 더 포함하며,
    고정 시 상기 피가공물(10)과 접촉하는 부분에 부착되어 상기 피가공물(10)의 고정 시 상기 피가공물(10)과 상기 클램퍼(171)의 접촉면에서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플라스틱 조성물로 제조된 고정패드(183)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 구동지지체(120)와 상기 고정 지지대(11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슬라이드 구동지지체(120)의 고정 시 상기 슬라이드 구동지지체(120)와 상기 고정 지지대(110)의 접촉면에서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플라스틱 조성물로 제조된 고정패드(181)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 가공지지체(170)와 상기 수평프레임(161)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슬라이드 가공지지체(170)의 고정 시 상기 슬라이드 가공지지체(170)와 상기 수평프레임(161)의 접촉면에서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고정패드(18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 장치(100).
  2. 삭제
KR1020180069320A 2018-06-16 2018-06-16 천공 장치 KR101929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320A KR101929191B1 (ko) 2018-06-16 2018-06-16 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320A KR101929191B1 (ko) 2018-06-16 2018-06-16 천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9191B1 true KR101929191B1 (ko) 2018-12-17

Family

ID=65007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320A KR101929191B1 (ko) 2018-06-16 2018-06-16 천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919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7983A (zh) * 2019-01-23 2019-05-28 惠州市丰瑞印刷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更换刀头的打孔机
CN110202638A (zh) * 2019-06-12 2019-09-06 惠州市盈帆实业有限公司 一种复合电路板的沉头孔的制作方法
CN110271054A (zh) * 2019-07-24 2019-09-24 魏磊 一种实验室用的打孔器
CN110370371A (zh) * 2019-06-21 2019-10-25 繁昌县日昇服饰有限公司 一种箱包制造用定位打孔装置
CN112518869A (zh) * 2020-10-26 2021-03-19 滁州市朝友精密制造有限公司 一种配电柜生产用打孔设备
CN114102767A (zh) * 2021-11-24 2022-03-01 黄成德 一种可调节夹持力度的智能化物料切断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74364A1 (en) * 2002-10-22 2004-04-22 Pearl Technologies Inc. Multiple punch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74364A1 (en) * 2002-10-22 2004-04-22 Pearl Technologies Inc. Multiple punch assembly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7983A (zh) * 2019-01-23 2019-05-28 惠州市丰瑞印刷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更换刀头的打孔机
CN110202638A (zh) * 2019-06-12 2019-09-06 惠州市盈帆实业有限公司 一种复合电路板的沉头孔的制作方法
CN110370371A (zh) * 2019-06-21 2019-10-25 繁昌县日昇服饰有限公司 一种箱包制造用定位打孔装置
CN110271054A (zh) * 2019-07-24 2019-09-24 魏磊 一种实验室用的打孔器
CN112518869A (zh) * 2020-10-26 2021-03-19 滁州市朝友精密制造有限公司 一种配电柜生产用打孔设备
CN112518869B (zh) * 2020-10-26 2022-08-19 滁州市朝友精密制造有限公司 一种配电柜生产用打孔设备
CN114102767A (zh) * 2021-11-24 2022-03-01 黄成德 一种可调节夹持力度的智能化物料切断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9191B1 (ko) 천공 장치
KR101975170B1 (ko) 철판 절곡 장치
KR101962762B1 (ko) 자재 이송 장치
KR102017034B1 (ko) 용접장치 운반용 대차
KR101901456B1 (ko) 압출물 자동 이송 절단 장치
KR101912909B1 (ko) 철판 절곡 장치
KR101917078B1 (ko) 플라스틱 제품 자동 절단 장치
KR101924842B1 (ko) 프레임 절단 장치
CN1966262A (zh) 钢板增强片
KR101909878B1 (ko) 접착제조성물
KR101917079B1 (ko) 접착식 자동 먼지 제거 장치
KR101932101B1 (ko) 콘 크러셔
KR101927392B1 (ko) 천공장치
KR101909872B1 (ko) 높이조절장치
CN107521203A (zh) 一种超细碳酸钙改性苎麻纤维毡增强pu的汽车顶棚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909875B1 (ko) 축관기
KR101930067B1 (ko) 단열패널 적재장치
KR101928378B1 (ko) 자동테이핑장치
KR101935054B1 (ko) 배터리 셀 적층 장치
CN104629170A (zh) 选择性激光烧结快速成形pp复合材料及制备方法
KR101931169B1 (ko) 금속 환봉 트레판닝 장치
KR101947343B1 (ko) 비닐 폴딩 장치
KR101929878B1 (ko) 해머 크러셔
KR101924040B1 (ko) 방전 가공 장치용 마그네틱 지그
KR101943645B1 (ko) 전선 피복 제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