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2676B1 - 안테나 및 이상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 및 이상 제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42676B1 KR101942676B1 KR1020177027370A KR20177027370A KR101942676B1 KR 101942676 B1 KR101942676 B1 KR 101942676B1 KR 1020177027370 A KR1020177027370 A KR 1020177027370A KR 20177027370 A KR20177027370 A KR 20177027370A KR 101942676 B1 KR101942676 B1 KR 1019426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antenna
- driving
- manual
- rota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3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 H01Q3/32—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by mechanical mea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8—Combinations of substantially independent non-interacting antenna units or systems
Landscapes
- Waveguide Switches, Polarizers, And Phase Shifter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안테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와, 안테나 소자가 송수신하는 신호의 위상을 조정하는 이상기와, 복수의 안테나 소자 및 이상기를 수용하는 커버(11)와, 커버(11)에 장착되고 삽입구가 형성된 케이싱(30)과, 삽입구에 삽입되어 장착됨과 아울러 이상기에 위상을 조정하게 하기 위한 구동력을 공급하는 전동 유닛(50)을 구비한다. 이 케이싱(30)은 전동 유닛(50)과 교환하여, 삽입구에 삽입되어 장착됨과 아울러 수동으로 회전됨으로써 이상기에 위상을 조정하게 하는 수동 유닛(70)을 장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안테나의 위상의 조정을 수동으로 행하는 태양과 구동력을 이용하여 행하는 태양으로 전환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안테나 및 이상(移相 : phase shift)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의 기지국용의 안테나(기지국 안테나)에는 다이폴 안테나(dipole antenna) 등의 안테나 소자를 어레이(array) 형상으로 늘어놓은 어레이 안테나가 많이 이용된다. 그리고, 이상기(移相器)에 의해 어레이 안테나의 각각의 안테나 소자에 공급되는 입력 신호 또는 각각의 안테나 소자가 수신한 출력 신호의 위상이 제어됨으로써 어레이 안테나의 지향성이 설정된다.
특허 문헌 1에는 전자 제어 회로와 전동기를 포함한 안테나 제어 장치가 설치되고, 가동식 무선 안테나의 보호 커버의 외측에 또는 바람직하게는 보호 커버의 하방에 완성 유닛으로서도 안테나 제어 장치를 추가 장착하여 구비할 수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안테나의 위상을 조정하는 태양으로서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행하는 태양과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이용하는 태양이 생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테나의 위상의 조정을 수동으로 행하는 태양과 구동력을 이용하여 행하는 태양으로 전환 가능하게 하는 것에 있다.
또, 안테나에 설치된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안테나의 위상을 비켜 놓는(조정하는) 태양이 생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 구동원이 고장난 경우 등에 있어서는 구동원을 교환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테나의 위상을 조정하게 하기 위한 구동력을 공급하는 구동원의 교환을 용이하게 하는 것에 있다.
또, 안테나의 위상을 조정하는 태양으로서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행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위상의 조정 후에는 위상의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테나의 위상의 조정 후에 위상의 어긋남이 발생하는 것을 용이하게 억제 가능하게 하는 것에 있다.
또, 안테나의 위상을 조정하는 태양으로서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행하는 태양과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이용하는 태양이 생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테나의 위상의 조정을 구동 유닛을 교환하는 일이 없이 수동으로 행하는 태양과 구동력을 이용하여 행하는 태양으로 전환 가능하게 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목적 하에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안테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와,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가 송수신하는 신호의 위상을 조정하는 이상체와,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 및 상기 이상체를 수용하는 안테나 케이스와, 상기 안테나 케이스에 장착되고 개구가 형성된 유닛 케이스와, 당해 개구에 삽입되어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이상체에 위상을 조정하게 하기 위한 구동력을 공급하는 구동 기구를 가지는 구동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유닛 케이스는, 상기 구동 기구와 교환되어, 상기 개구에 삽입되어 장착됨과 아울러 수동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이상체에 위상을 조정하는 회전 기구를 장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구동 기구 또는 상기 회전 기구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이상체에 위상을 조정하기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구동 기구 또는 상기 회전 기구가 상기 개구에 삽입하는 것에 수반하여 상기 구동 기구 또는 상기 회전 기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이다.
여기서, 상기 유닛 케이스는, 상기 구동 기구 혹은 상기 회전 기구를 상기 개구에 삽입하는 것에 수반하여 당해 구동 기구 혹은 당해 회전 기구와 서로 걸리고, 당해 구동 기구 혹은 당해 회전 기구가 삽입 방향에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이동 억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가 있다. 이 경우에 구동 유닛의 유닛 케이스에 대한 고정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 상기 유닛 케이스는, 상기 구동 기구 혹은 상기 회전 기구에 의해 회전시켜지는 회전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구동 기구 혹은 상기 회전 기구가 상기 개구에 삽입되는 것에 수반하여 당해 구동 기구 혹은 당해 회전 기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가 있다. 이 경우에 구동 유닛의 장착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 상기 유닛 케이스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수반하여 미리 정한 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이상체에 위상을 조정하는 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 각도에 따라서, 당해 이동부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하는 부분의 길이를 변화시키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가 있다. 이 경우에 돌출부의 길이에 의해 회전부의 회전 각도를 파악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유닛 케이스의 상기 개구는,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저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가 있다. 이 경우에 개구로부터 물방울이나 분진 등이 진입하는 것이 억제된다.
삭제
삭제
또,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안테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와,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가 송수신하는 신호의 위상을 조정하는 이상체와,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 및 상기 이상체를 수용함과 아울러 개구가 형성된 안테나 케이스와,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삽입되고, 상기 이상체에 상기 위상을 조정하게 하기 위한 구동력을 공급하는 구동 기구와,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 기구가 상기 개구에 삽입되는 것에 수반하여 당해 구동 기구와 연결되고 당해 구동 기구로부터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고, 상기 이상체에 위상을 조정하기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체와,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 기구가 삽입되는 것에 수반하여 당해 구동 기구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당해 구동 기구에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접속체를 구비하는 안테나이다.
여기서,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접속체를 통해 제어 신호를 받아 구동하는 구동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가 있다. 이 경우에 구동 기구의 구성을 간단하고 쉽게 할 수가 있다.
또, 상기 구동 기구는, 당해 구동 기구가 상기 안테나 케이스에 삽입된 상태로 당해 안테나 케이스로부터 돌출하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가 있다. 이 경우에 구동 기구의 교환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저부로부터 상측을 향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가 있다. 이 경우에 접속 기구가 물방울이나 분진 등의 영향을 받는 것이 억제된다.
또,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저부로부터 상측을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선단측에 상기 접속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가 있다. 이 경우에 접속 기구가 물방울이나 분진 등의 영향을 받는 것이 억제된다.
또, 다른 관점으로부터 파악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상 제어 장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와, 당해 복수의 안테나 소자가 송수신하는 신호의 위상을 조정하는 이상체와, 당해 복수의 안테나 소자 및 당해 이상체를 수용함과 아울러 개구가 형성된 안테나 케이스를 구비하는 안테나 본체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상기 개구로부터 삽입되고, 당해 이상체에 당해 위상을 조정하게 하기 위한 구동력을 공급하는 구동 기구를 가지는 구동체와, 상기 구동체가 상기 개구에 삽입되는 것에 수반하여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회전체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 기구로부터의 구동력을 당해 회전체에 전달하는 전달체와, 상기 구동체가 삽입되는 것에 수반하여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접속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당해 접속체로부터 상기 구동 기구의 제어 신호를 받는 피접속체를 구비하고, 상기 이상체를 제어하는 이상 제어 장치이다.
또,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안테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와,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가 송수신하는 신호의 위상을 조정하는 이상체와,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 및 상기 이상체를 수용함과 아울러 개구가 형성된 안테나 케이스와,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삽입됨과 아울러, 구동력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이상체에 위상을 조정하게 하는 구동 기구와, 수동으로 회전됨으로써 당해 이상체에 위상을 조정하게 하는 수동 기구를 가지는 구동 유닛과,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유닛이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상기 개구로부터 삽입되는 것에 수반하여 당해 구동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구동 기구로부터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유닛이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상기 개구로부터 삽입되는 것에 수반하여 당해 구동 유닛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구동 기구에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접속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안테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와,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가 송수신하는 신호의 위상을 조정하는 이상체와,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 및 상기 이상체를 수용하는 안테나 케이스와, 상기 안테나 케이스에 장착되고, 개구가 형성된 유닛 케이스와, 상기 개구에 삽입됨과 아울러, 수동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이상체에 위상을 조정하게 하는 수동 회전 기구와, 당해 수동 회전 기구를 미리 정한 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당해 수동 회전 기구의 회전을 규제하는 규제 기구를 가지는 수동 유닛과, 상기 유닛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동 유닛이 상기 개구에 삽입되는 것에 수반하여 상기 수동 유닛과 연결된 상기 수동 유닛으로부터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고, 상기 이상체에 위상을 조정하기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안테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와,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가 송수신하는 신호의 위상을 조정하는 이상체와,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 및 상기 이상체를 수용하는 안테나 케이스와, 상기 안테나 케이스에 장착되고, 개구가 형성된 유닛 케이스와, 상기 개구에 삽입됨과 아울러, 수동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이상체에 위상을 조정하게 하는 수동 회전 기구와, 당해 수동 회전 기구를 미리 정한 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당해 수동 회전 기구의 회전을 규제하는 규제 기구를 가지는 수동 유닛과, 상기 유닛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동 유닛이 상기 개구에 삽입되는 것에 수반하여 상기 수동 유닛과 연결된 상기 수동 유닛으로부터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고, 상기 이상체에 위상을 조정하기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동 회전 기구는, 회전을 이상체에 전달하기 위한 구동부를 가지고, 상기 규제 기구는, 상기 수동 회전 기구가 상기 미리 정한 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구동부가 들어맞는 오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가 있다. 이 경우에 간단하고 쉬운 구성에 의해 위상의 어긋남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미리 정한 한 방향은, 상기 수동 유닛의 삽입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가 있다. 이 경우에 간단하고 쉬운 조작에 의해 위상의 어긋남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수동 유닛은, 상기 수동 회전 기구가 상기 삽입 방향에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제한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가 있다. 이 경우에 회전 기구에 대한 회전의 규제가 벗어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이상체는, 상기 신호의 위상을 조정하기 위해서 회전시켜지는 회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규제 기구는, 상기 수동 회전 기구의 회전을 규제하는 것에 수반하여,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가 있다. 이 경우에 수동 회전 기구가 회전하는 것이 억제되고 또 위상의 어긋남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 다른 관점으로부터 파악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상 제어 장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와, 당해 복수의 안테나 소자가 송수신하는 신호의 위상을 조정하는 이상체와, 당해 복수의 안테나 소자 및 당해 이상체를 수용하는 안테나 케이스와, 당해 안테나 케이스에 장착되고, 개구가 형성된 유닛 케이스를 구비하는 안테나 본체의 당해 개구에 삽입되는 것에 수반하여 회전부와 연결됨과 아울러, 수동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당해 이상체에 위상을 조정하게 하는 수동 회전 기구와, 상기 수동 회전 기구를 미리 정한 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당해 수동 회전 기구의 회전을 규제하는 규제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이상체를 제어하는 이상 제어 장치이다.
또,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안테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와,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가 송수신하는 신호의 위상을 조정하는 이상체와,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 및 상기 이상체를 수용함과 아울러 개구가 형성된 안테나 케이스와,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삽입됨과 아울러, 구동력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이상체에 위상을 조정하게 하는 구동 기구와, 수동으로 회전됨으로써 당해 이상체에 위상을 조정하게 하는 수동 기구를 가지는 구동 유닛과,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유닛이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상기 개구로부터 삽입되는 것에 수반하여 당해 구동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구동 기구로부터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유닛이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상기 개구로부터 삽입되는 것에 수반하여 당해 구동 유닛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구동 기구에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접속체를 구비하는 안테나이다.
여기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수동 기구 및 상기 구동 기구에 택일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당해 수동 기구 또는 당해 구동 기구로부터의 힘을 받아 회전하고 상기 이상체에 위상을 조정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검출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가 있다. 이 경우에 검출체가 이상체의 위상을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구동 기구를 통해 상기 이상체가 위상을 조정하는 제1 태양과, 상기 수동 기구를 통해 당해 이상체가 위상을 조정하는 제2 태양을 전환하는 전환 기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가 있다. 이 경우에 구동 기구가 구동할 때에 수동 기구가 회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전환 기구는, 상기 수동 기구를 미리 정한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수반하여, 상기 제1 태양으로부터 상기 제2 태양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가 있다. 이 경우에 간단하고 쉬운 조작에 의해 제1 태양으로부터 제2 태양으로 전환할 수가 있다.
또,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미리 정한 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상기 수동 기구를 부세(付勢)하고, 상기 제1 태양으로 유지하는 부세 기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가 있다. 이 경우에 수동 기구가 외력을 받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 제2 태양으로 유지할 수가 있다.
또, 다른 관점으로부터 파악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상 제어 장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와, 당해 복수의 안테나 소자가 송수신하는 신호의 위상을 조정하는 이상체와, 당해 복수의 안테나 소자 및 당해 이상체를 수용함과 아울러 개구가 형성된 안테나 케이스를 구비하는 안테나 본체의 당해 안테나 케이스의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삽입되고, 구동력을 공급함으로써 당해 이상체에 위상을 조정하게 하는 구동 기구와, 수동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이상체에 위상을 조정하게 하는 수동 기구를 가지는 구동체와, 상기 구동체가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삽입되는 것에 수반하여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회전체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 기구로부터의 구동력을 당해 회전체에 전달하는 전달체와, 상기 구동체가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삽입되는 것에 수반하여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접속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당해 접속체로부터 상기 구동 기구의 제어 신호를 받는 피접속체를 구비하고, 상기 이상체를 제어하는 이상 제어 장치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안테나의 위상의 조정을 수동으로 행하는 태양과 구동력을 이용하여 행하는 태양으로 전환 가능하게 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안테나의 위상을 조정하게 하기 위한 구동력을 공급하는 구동원의 교환이 용이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안테나의 위상의 조정 후에 위상의 어긋남이 발생하는 것을 용이하게 억제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안테나의 위상의 조정을 구동 유닛을 교환하는 일이 없이 수동으로 행하는 태양과 구동력을 이용하여 행하는 태양으로 전환 가능하게 할 수가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안테나의 설명도이다.
도 2는 이상 제어기의 설명도이다.
도 3은 케이싱의 사시도이다.
도 4는 고정 기구의 설명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피구동체의 설명도이다.
도 6은 이동체의 설명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기판 본체의 설명도이다.
도 8은 전동 유닛의 설명도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전동 유닛의 상측 단부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전동 유닛의 고정 태양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수동 유닛의 설명도이다.
도 12(a) 및 도 12 (b)는 수동 유닛에 있어서의 잠금 기구의 설명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구동부 및 제3 지지판의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조부(claw part) 및 핸들부(handle part)의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15는 구동부 및 피구동체의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16은 수동 유닛의 고정 태양의 설명도이다.
도 17은 복합 유닛의 설명도이다.
도 18은 복합 유닛을 외내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부터 본 도이다.
도 19는 구동 전환부 및 그 주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전동 상태 및 수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1은 전동 상태로부터 수동 상태로의 전환 동작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22는 수동 상태로부터 전동 상태로의 전환 동작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2는 이상 제어기의 설명도이다.
도 3은 케이싱의 사시도이다.
도 4는 고정 기구의 설명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피구동체의 설명도이다.
도 6은 이동체의 설명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기판 본체의 설명도이다.
도 8은 전동 유닛의 설명도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전동 유닛의 상측 단부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전동 유닛의 고정 태양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수동 유닛의 설명도이다.
도 12(a) 및 도 12 (b)는 수동 유닛에 있어서의 잠금 기구의 설명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구동부 및 제3 지지판의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조부(claw part) 및 핸들부(handle part)의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15는 구동부 및 피구동체의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16은 수동 유닛의 고정 태양의 설명도이다.
도 17은 복합 유닛의 설명도이다.
도 18은 복합 유닛을 외내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부터 본 도이다.
도 19는 구동 전환부 및 그 주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전동 상태 및 수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1은 전동 상태로부터 수동 상태로의 전환 동작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22는 수동 상태로부터 전동 상태로의 전환 동작을 설명하는 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안테나(1)>
도 1(a) 내지 도 1(c)는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안테나(1)의 설명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a)은 안테나(1)의 정면도이며, 도 1(b)는 안테나(1)의 측면도이며, 도 1(c)는 안테나(1)의 배면도이다. 또한 도 1(a) 내지 도 1(c)에 있어서는, 작도의 형편상, 커버 본체(111)를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듯이, 안테나의 일례인 안테나(1)는 안테나 소자(3)와, 반사판(5)과, 빔 틸트 각(beam tilt angle)을 변경하는 이상기(移相器)(이상체(移相體))(7)와, 이상기(7)를 제어하는 이상(移相) 제어기(10)와, 이들 구성 부재를 수용하는 커버(안테나 케이스의 일례)(11)를 구비한다.
도시의 안테나(1)에 있어서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3)가 판면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반사판(5)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또, 이상기(7) 및 이상 제어기(10)는 커버(11)의 내부에 있어서, 반사판(5)을 사이에 두고 안테나 소자(3)와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 1(c)에 나타내듯이, 이상기(7)는 원호 형상의 스트립(strip) 선로(미도시)가 형성된 유도체 기판(720)과, 일단이 유도체 기판(7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스트립 선로를 따라 회전하는 회전 암(arm)(730)을 구비한다.
또, 커버(11)는 대략 원통 형상의 커버 본체(111)와, 커버 본체(111)의 일방(상측)의 단부를 덮는 상(上)뚜껑(113)과 커버 본체(111)의 타방(하측)의 단부를 덮는 하(下)뚜껑(115)을 구비한다.
또, 도시의 예에 있어서는, 이상 제어기(10)는 커버(11)의 하뚜껑(저부)(115)에 설치되어 있다. 또, 이상 제어기(10)에 있어서는, 접속 부재(375)(후술)가 이상기(7)의 회전 암(730)에 대해서 접속된다. 그리고, 이 접속 부재(375)가 이동함으로써, 회전 암(730)이 회전하고, 결과적으로 안테나(1)의 빔 틸트 각(beam tilt angle)이 변경된다.
또한 이하의 각 구성 부재의 설명에 있어서는, 안테나(1)에 장착된 배치(도 1 참조)를 기준으로 하여 각 방향을 설명하는 일이 있다.
즉, 안테나(1)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을, 단지 상하 방향이라고 부르는 일이 있다. 또, 이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을 상측, 타방을 하측이라고 부르는 일이 있다. 또, 안테나(1)에 장착된 배치에 있어서 안테나(1)의 폭 방향을, 단지 폭 방향이라고 부르는 일이 있다. 이 폭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을 일방측, 타방을 타방측이라고 부르는 일이 있다. 또, 안테나(1)에 장착된 배치에 있어서 안테나(1)의 외내 방향을, 단지 외내 방향이라고 부르는 일이 있다. 이 외내(內外)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을 외측, 타방을 내측이라고 부르는 일이 있다.
<이상 제어기(10)>
도 2는 이상 제어기(10)의 설명도이다.
도 2에 나타내듯이, 이상 제어기(10)는 커버(11)(하뚜껑(115))에 설치되는 케이싱(30)과, 케이싱(30)에 대해서 각각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동 유닛(50) 및 수동 유닛(70)을 구비한다.
여기서, 전동 유닛(50) 및 수동 유닛(70)은 케이싱(30)에 대해서 각각 삽입 및 인발(引拔)이 가능하다. 또, 전동 유닛(50) 및 수동 유닛(70)의 어느 일방이 삽입되어 있을 때는, 타방은 그 삽입 개소에 삽입할 수 없다. 바꿔 말하면, 전동 유닛(50) 및 수동 유닛(70)은 택일적으로 케이싱(30)에 삽입되어 커버(11)의 내부에 배치된다. 자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전동 유닛(50) 및 수동 유닛(70)은 교환 가능하게 되도록 서로 대응하는 치수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설명의 형편상, 이상 제어기(10)가 전동 유닛(50) 및 수동 유닛(70)의 양자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여 설명을 하지만, 이상 제어기(10)가 전동 유닛(50) 및 수동 유닛(70)의 어느 일방을 구비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케이싱(30)>
도 3은 케이싱(30)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내듯이, 유닛 케이스의 일례인 케이싱(30)은 하뚜껑(115)(도 1 참조)에 고정되는 본체(31)와, 본체(3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체(35)와, 회전체(35)의 회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체(37)와, 전동 유닛(50)(도 2 참조)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케이싱 단자(39)를 구비한다. 또한 이들 본체(31), 회전체(35), 및 이동체(37)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메틸렌(POM) 등의 수지에 의해 형성되지만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주조하여 형성해도 좋다.
본체(31)는 중심축이 상하 방향을 따르는 대략 원통 형상의 부재이다.
유닛 케이스의 일례인 본체(31)는 하측 단부에 직경 방향 외측으로 퍼지는 확개부(擴開部)(플랜지)(310)를 구비한다. 또, 본체(31)에 있어서의 하측에 형성된 개구는, 전동 유닛(50)(및 수동 유닛(70))이 삽입되는 삽입 구멍(개구)(311)이다. 또한 케이싱(30) 및 전동 유닛(50)은 구동 유닛의 일례이다.
또, 본체(31)의 내주면은, 전동 유닛(50)(및 수동 유닛(70))을 지지하는 유닛 지지부(313)이다. 또한 유닛 지지부(313)는 상측 단부에, 상측으로 나아감에 따라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314)를 구비한다.
또, 본체(31)의 상측 단부는 회전체(35)의 하측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315)이다. 이 회전 지지부(315)는 유닛 지지부(313)보다 소경의 대략 원통 형상의 부분이다.
또, 본체(31)는 이동체(37)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동체 지지부(317)를 구비한다. 도시의 예에 있어서는, 이동체 지지부(317)는 확개부(31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 관통공(3171), 및 상하 방향을 따라 설치된 레일(3173)이다. 또한 이 관통공(3171)은 슬라이드 게이지(slide gauge)(373)(후술)가 삽입되고 또한 슬라이드 게이지(373)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치수이다.
또, 본체(31)는 케이싱 단자(39)를 지지하는 단자 지지부(319)를 구비한다. 도시의 예에 있어서는, 단자 지지부(319)는 본체(31)(유닛 지지부(313))의 상측 단부에서, 본체(31)의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이다. 그리고, 이 관통공에 케이싱 단자(39)가 삽입된다.
또한, 본체(31)는 본체(31)에 삽입된 전동 유닛(50)(혹은 수동 유닛(70))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고정 기구(321)를 구비한다. 또한 이 고정 기구(321)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도시의 예에 있어서는, 본체(31)는 서로 감합되는 2개의 부재에 의해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체(31)는 본체(31)의 외측 측면을 구성하는 외측 부재(324)와, 본체(31)의 내측 측면을 구성하는 내측 부재(326)를 구비한다.
회전체(35)는 외주면에 나사 홈(groove)(351)이 형성된 회전축(352)과, 회전축(352)의 하측 단부에 설치된 피구동체(내치(內齒) 기어, 회전부)(353)를 구비한다. 회전축(352)은 중심축이 상하 방향을 따르는 원기둥 형상의 부재이다. 또, 피구동체(353)는 본체(31)의 회전 지지부(315)에 의해 지지된다. 또, 도시의 예에 있어서는, 회전축(352) 및 피구동체(353)는 일체로 하여 형성된다. 또한 피구동체(353)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동부의 일례인 이동체(37)는 회전축(352)에 설치된 슬라이드 블록(371)과, 이 슬라이드 블록(371)에 일단이 고정되고 슬라이드 블록(371)으로부터 하측으로 뻗는 슬라이드 게이지(돌출부)(373)와, 슬라이드 블록(371)에 일단이 고정되고 슬라이드 블록(371)으로부터 상측으로 뻗는 접속 부재(375)를 구비한다. 또한 이동체(37)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케이싱 단자(39)는 단자 지지부(319)에 삽입되는 기판 본체(패드 기판)(391)와, 기판 본체(391)에 접속된 케이블(395)을 구비한다. 이 케이싱 단자(39)는 전동 유닛(50)(도 2 참조)에 대해서 공급되는 전력이나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케이싱 단자(39) 및 피구동체(353)는 접속 기구의 일례이다. 또한 기판 본체(391)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고정 기구(321)>
도 4는 고정 기구(321)의 설명도이다.
다음에, 도 4를 참조하면서 고정 기구(321)에 대해 설명을 한다.
도 4에 나타내듯이, 고정 기구(321)는 본체(31)의 확개부(310)에 설치된다. 이 고정 기구(321)는 확개부(310)의 하측면(312)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돌출되어 설치된 조부(claw part)(323)와, 하측면(312)에 설치된 나사 구멍(325)을 구비한다.
이동 억제부의 일례인 조부(323)는 전동 유닛(50)의 플랜지(58)(후술), 혹은 수동 유닛(70)의 고정판(74)(후술)과 서로 걸리고, 전동 유닛(50) 혹은 수동 유닛(70)의 이동을 제한한다.
또, 나사 구멍(325)은 볼트(61)(후술)를 통해, 전동 유닛(50)(혹은 수동 유닛(70))을 고정(이동을 제한)한다.
<피구동체(353)>
도 5(a) 내지 도 5(c)는 피구동체(353)의 설명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5(a)는 피구동체(353)의 사시도이며, 도 5(b)는 피구동체(353)를 하측으로부터 본 도이며, 도 5(c)는 피구동체(353)의 상하 방향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다음에,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서 피구동체(353)에 대해 설명을 한다.
도 5(a)에 나타내듯이, 피구동체(353)는 대략 원기둥 형상이며, 하측면에 단면 대략 원 형상의 개구(354)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 개구(354)의 내주면에는 내치(內齒)(355)가 형성된다. 또한, 내치(355)는 상하 방향의 하측의 위치에 사다리꼴 세레이션(serration)(357)을 구비한다.
도 5(b) 및 도 5(c)에 나타내듯이, 사다리꼴 세레이션(357)은 내치(355)의 일부로서 형성되고, 상측으로 나아감에 따라 직경이 작아지는 경사 부분이다. 더 설명을 하면, 사다리꼴 세레이션(357)에 있어서의 치간(齒間)의 피치(pitch)는 하측보다 상측이 작다(좁다).
또, 도 5(c)에 나타내듯이, 사다리꼴 세레이션(357)에 있어서의 경사 각도 α는, 예를 들면 5도 내지 30도이며, 바람직하게는 10도 내지 25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15도 내지 20도이다.
<이동체(37)>
도 6은 이동체(37)의 설명도이다.
다음에, 도 6을 참조하면서 이동체(37)에 대해 설명을 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체(37)는 슬라이드 블록(371)과, 슬라이드 게이지(373)와, 접속 부재(375)를 구비한다.
슬라이드 블록(371)은 대략 직방체 형상의 부재이며, 회전축(352)이 관통하는 관통공(372)을 구비한다. 이 관통공(372)의 내주면에는 회전축(352)의 나사 홈(groove)(수나사)(351)과 서로 맞물리는 나사 홈(암나사, 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게이지(373)는 장척 형상의 부재이다. 이 슬라이드 게이지(373)는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도시의 예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게이지(373)의 하측 단부는 본체(31)의 이동체 지지부(317)에 의해 지지되고, 슬라이드 게이지(373)의 상측 단부는 슬라이드 블록(371)에 대해서 고정된다. 또한, 슬라이드 게이지(373)는 길이 방향을 따라 눈금(미도시)이 형성된다.
접속 부재(375)는 장척 형상의 부재이다. 이 접속 부재(375)는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도시의 예에 있어서는, 접속 부재(375)의 하측 단부는 슬라이드 블록(371)에 고정되고, 접속 부재(375)의 상측 단부는 이상기(7)의 회전 암(730)의 일단에 접속된다(도 1(c) 참조).
다음에, 도 6을 참조하면서 회전체(35) 및 이동체(37)의 동작에 대해 설명을 한다.
우선, 회전체(35)의 회전축(352)이 회전하면, 회전축(352)에 설치된 슬라이드 블록(371)은 회전축(352)과 함께 회전하려고 한다. 한편, 슬라이드 블록(371)은 슬라이드 게이지(373)를 통해, 본체(31)의 이동체 지지부(317)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 블록(371)이 회전축(352)과 함께 회전하는 것은 억제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 있어서, 회전축(352)이 회전하면, 슬라이드 블록(371)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슬라이드 블록(371)의 이동에 따라, 접속 부재(375)가 회전 암(730)(도 1 참조)을 회전시킨다. 그 결과, 빔 틸트 각(beam tilt angle)이 변경된다.
또한 슬라이드 블록(371)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슬라이드 게이지(373)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상하 방향의 이동에 의해, 슬라이드 게이지(373)가 관통공(3171)으로부터 돌출하는 양(도 중의 거리 P1 참조)이 변화한다. 그리고, 이 돌출하는 양을 슬라이드 게이지(373)의 표면에 형성된 눈금(미도시)에 의해 파악함으로써, 회전축(352)의 회전 각도(빔 틸트 각(beam tilt angle))를 외부로부터 검지할 수 있다.
<기판 본체(391)>
도 7(a) 내지 도 7(c)는 기판 본체(391)의 설명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7(a)은 기판 본체(391)의 상하 방향 하측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며, 도 7(b)는 기판 본체(391)와 본체(31)의 배치를 설명하는 도이며, 도 7(c)는 기판 본체(391)와 외측 부재(324)의 배치를 설명하는 도이다.
다음에,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서 기판 본체(391)를 설명한다.
도 7(a)에 나타내듯이, 기판 본체(391)는 케이블(395)이 접속되는 측과 대향하는 대향 단부에 형성된 만곡 노치(notch)(393)와, 이 대향 단부에 설치되고 대향 단부의 폭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397)를 구비한다. 도시의 예에 있어서는, 만곡 노치(notch)(393)를 사이에 두고 2개의 돌기(397)를 가진다.
또, 도 7(b)에 나타내듯이, 기판 본체(391)는 본체(31)에 설치된 단자 지지부(319)에 의해 지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판 본체(391)는 본체(31)을 구성하는 외측 부재(324) 및 내측 부재(326)를 서로 감합하기 전에, 외측 부재(324)의 내주면측으로부터 기판 본체(391)를 단자 지지부(319)로 삽입하여 설치된다.
단자 지지부(319)에 삽입된 기판 본체(391)는 만곡 노치(393)가 형성된 측이 본체(31)의 내부에 위치하고, 케이블(395)이 접속되는 측이 본체(31)의 외부로 돌출된 배치로 된다. 더 설명을 하면, 도 7(c)에 나타내듯이, 만곡 노치(393)는 본체(31)의 회전 지지부(315)의 내주면을 따르도록 배치된다.
또, 도 7(b) 및 도 7(c)에 나타내듯이, 기판 본체(391)는 본체(31)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외측 부재(324) 및 내측 부재(326)에 끼워진 배치로 된다. 이에 의해 기판 본체(391)가 본체(31)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전동 유닛(50)>
도 8은 전동 유닛(50)의 설명도이다.
다음에, 도 8을 참조하면서 전동 유닛(50)에 대해 설명을 한다.
도 8에 나타내듯이, 구동 기구 및 이상 제어 장치의 일례인 전동 유닛(50)은 케이싱(30)의 본체(31)(도 3 참조)에 삽입되는 유닛 본체(51)와, 유닛 본체(51)의 내부에 수용되는 모터(52)와, 모터(52)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포텐쇼미터(potentiometer)(53)와, 유닛 본체(51) 내로의 물방울이나 분진의 진입을 억제하는 개스킷(54)을 구비한다. 또, 전동 유닛(50)은 유닛 본체(51)의 일단에 케이싱(30)의 케이싱 단자(39)(도 3 참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유닛 단자(55)와, 회전체(35)(도 3 참조)와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구동부(외치(外齒) 기어)(56)를 구비한다. 또, 전동 유닛(50)은 유닛 본체(51)의 타단에 유닛 본체(51)의 삽입 및 인발(引拔)을 행할 때에 작업자가 파지하는 손잡이(57)와, 유닛 본체(51)의 외주에 설치된 플랜지(58)와, 플랜지(58)에 설치된 관통공(59)을 구비한다. 또한 유닛 단자(55) 및 구동부(56)는 접속 기구의 일례이다.
여기서, 전동 유닛(50)의 유닛 본체(51)는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시의 유닛 본체(51)는 단면의 형상이 대략 타원이다. 이 유닛 본체(51)는 유닛 지지부(313)(도 3 참조)에 대응하는 형상이다. 또, 이 유닛 본체(51)는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더 설명을 하면, 유닛 본체(51)의 상측에 유닛 단자(55) 및 구동부(56)가 배치되고, 유닛 본체(51)의 하측에 손잡이(57) 및 플랜지(58)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단면 형상을 대략 타원 형상으로 함으로써, 이 유닛 본체(51)를 유닛 지지부(313)(도 3 참조)에 삽입할 때에도 용이하게 위치 결정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자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전동 유닛(50)이 케이싱(30)의 본체(31)(도 3 참조)에 삽입되는 것에 수반하여, 유닛 본체(51)의 선단에 설치된 구동부(56)가 케이싱(30)의 피구동체(353)(도 3 참조)와 서로 맞물린다. 또, 유닛 본체(51)의 선단에 설치된 유닛 단자(55)가 케이싱(30)의 케이싱 단자(39)(도 3 참조)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전동 유닛(50)은 케이싱 단자(39)를 통해 제어 신호를 받는다. 제어 신호를 받은 전동 유닛(50)은 모터(52)를 구동하고, 구동부(56)를 통해 피구동체(353)를 회전시킨다. 이 피구동체(353)의 회전에 수반하여 접속 부재(375)(도 1 참조)가 이동하고, 결과적으로 안테나(1)(도 1 참조)의 빔 틸트 각(beam tilt angle)이 변경된다. 즉, 전동 유닛(50)은 전동으로 안테나(1)의 빔 틸트 각(beam tilt angle)을 변경한다.
그런데, 도시의 예에 있어서는, 유닛 본체(51)의 내부에 모터(52)와 포텐쇼미터(53) 등이 수용된 일체 구조이다. 즉, 전동 유닛(50)은 모듈화한 구성이다.
또한 도시의 예에 있어서의 유닛 본체(51)의 내부에서는, 모터(52)와 포텐쇼미터(53)가 상하 방향으로 늘어놓아 설치된다. 부언하면, 모터(52)와 포텐쇼미터(53)가 상하 방향으로 늘어놓임으로써, 유닛 본체(51)의 단면적이 억제되고, 결과적으로 하뚜껑(115)에 있어서 전동 유닛(50)이 차지하는 면적이 억제된다.
<전동 유닛(50)의 상측 단부>
도 9(a) 내지 도 9(d)는 전동 유닛(50)의 상측 단부의 설명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9(a)는 전동 유닛(50)의 구동부(56) 주변의 사시도이며, 도 9(b)는 구동부(56)의 측면도이며, 도 9(c)는 상측으로부터 본 구동부(56)의 정면도이며, 도 9(d)는 전동 유닛(50)의 유닛 단자(55) 주변의 사시도이다.
다음에, 도 9(a) 내지 도 9(d)를 참조하면서 전동 유닛(50)의 상측 단부에 대해 설명을 한다. 또한 이 전동 유닛(50)의 상측 단부는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는 전동 유닛(50)의 삽입 방향에 있어서의 선단측 단부이다.
우선, 도 9(a)에 나타내듯이, 전동 유닛(50)의 상측 단부에는, 구동부(56)가 설치된다. 도 9(b)에 나타내듯이, 구동부(56)는 대략 원기둥이며, 외주면에는 피구동체(353)의 내치(內齒)(355)(도 5(a) 참조)와 서로 맞물리는 외치(外齒)(561)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9(c)에 나타내듯이, 외치(561)의 상측(선단측) 단부에는 모따기(56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동부(56)는 피구동체(353)의 개구(354)(도 5(a) 참조) 내로 진입함으로써, 피구동체(353)와 서로 맞물려 모터(52)의 구동력을 전달한다. 바꿔 말하면, 구동부(56) 및 피구동체(353)는 모터(52)의 출력을 전달하는 전달부로서 기능한다.
더 설명을 하면, 전동 유닛(50)을 삽입할 때에, 내치(355)와 외치(561)의 회전 각도가 벗어나 있는 상태라도, 개구(354) 내로 구동부(56)가 진입하는 동작에 있어서, 구동부(56)의 외치(561)가 내치(355)의 사다리꼴 세레이션(357)(도 5(a) 참조)을 누른다. 이에 수반하여 피구동체(353)가 수동적으로 회전하고, 내치(355)와 외치(561)의 각도가 맞는다. 그 결과, 내치(355)와 외치(561)가 서로 맞물리는 상태로 된다. 바꿔 말하면, 사다리꼴 세레이션(357)이 내치(355)와 외치(561)의 회전 각도를 조정한다. 특히 전술한 것처럼 사다리꼴 세레이션(357)에 있어서의 경사 각도 α를 적절한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보다 순조롭게 구동부(56)는 피구동체(353)의 개구(354)(도 5(a) 참조) 내로 진입시킬 수가 있다.
그런데, 도 9(d)에 나타내듯이, 전동 유닛(50)의 상측 단부에는, 유닛 단자(55)가 설치된다. 이 유닛 단자(55)는 탄성변형 가능한 접점(소위 스프링식 접점)에 의해 구성된다.
유닛 단자(55)는 케이싱(30)의 기판 본체(391)(도 7(a) 참조)와 접촉함으로써, 기판 본체(391)와의 사이에서, 전동 유닛(50)의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또, 유닛 단자(55)는 탄성변형 함으로써, 전동 유닛(50)의 상하 방향의 위치가 변동했을 때에도, 기판 본체(391)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유지한다.
여기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전동 유닛(50)이 케이싱(30)(도 3 참조)의 본체(31)(도 3 참조)에 삽입됨으로써, 구동부(56)가 피구동체(353)와 서로 맞물림(감합함)과 아울러, 유닛 단자(55)가 케이싱 단자(39)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전동 유닛(50)은 케이싱(30)에 삽입됨으로써, 케이싱(30)에 대해서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유닛 단자(55)의 위치를 전동 유닛(50)의 상측 단부로 했지만, 이 위치는 상측 단부에 한정하지 않고, 상측 측면부나 전동 유닛(50)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 등이라도 좋다.
그런데,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예를 들면 안테나(1)(도 1 참조) 설치 후에, 전동 유닛(50)이 구비하는 모터(52)가 고장난 경우라도, 안테나(1)를 정파(停波)시키지 않고 고장에 대응할 수 있다. 더 설명을 하면, 안테나(1) 전체를 떼어내는 일 없이, 안테나(1)를 가동시킨 상태로 고장난 전동 유닛(50)을 인발(引拔), 새로운 전동 유닛(50)으로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1)를 분해하지 않고 모터(52)를 교환할 수 있다.
<전동 유닛(50)의 고정 태양>
도 10은 전동 유닛(50)의 고정 태양의 설명도이다.
다음에, 도 10을 참조하면서 전동 유닛(50)을 케이싱(30)에 고정하는 태양에 대해 설명을 한다.
도 10에 나타내듯이, 전동 유닛(50)은 케이싱(30)의 조부(323), 및 볼트(61)를 통해 케이싱(30)에 대해서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면, 전동 유닛(50)의 플랜지(58)가 조부(323) 및 볼트(61)에 의해 압압(押壓)된다. 이에 의해 전동 유닛(50)이 고정(상하 방향의 이동을 제한)된 상태로 된다.
다음에, 전동 유닛(50)이 케이싱(30)에 삽입되고 나서 고정될 때까지의 동작에 대해 설명을 한다.
우선, 전동 유닛(50)이 삽입될 때에는 조부(323)가 탄성변형 하면서 전동 유닛(50)의 통과 경로로부터 퇴피한다. 그리고, 전동 유닛(50)이 삽입 방향으로 이동하고 플랜지(58)가 통과하면, 조부(323)가 플랜지(58)에 서로 걸리는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작업자가 잘못하여 손을 떼어 놓아 버린 경우라도, 전동 유닛(50)이 케이싱(30) 밖으로 빠지는(낙하하는) 일이 억제된다. 부언하면, 조부(323)는 전동 유닛(50)이 낙하하는 것을 억제하는 낙하 억제 기구로서 파악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 상태로 플랜지(58)에 형성된 관통공(59)에 볼트(61)가 고정된다. 바꿔 말하면, 조부(323)에 의해 전동 유닛(50)을 가고정(간이 잠금(lock))한 후에, 볼트(61)로 더 고정한다고 하는 2단계로 고정이 실시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2단계 중의 1단계째에서, 전동 유닛(50)이 가고정됨으로써, 예를 들면 작업자가 전동 유닛(50)으로부터 손을 떼어 놓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작업자가 볼트(61)를 죄는 작업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또한 2단계 중의 2단계째에서 볼트(61)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전동 유닛(50)이 외력을 받았을 때에도, 유닛 단자(55)(도 9(d) 참조)와 케이싱 단자(39)(도 9(d) 참조)와의 전기적인 접속이 확보된다.
그런데, 도시의 예에 있어서는, 조부(323) 및 볼트(61)는 대략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 플랜지(58)의 길이 방향 양단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 배치에 의해 케이싱(30) 내에 삽입된 전동 유닛(50)이 회전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 도시의 플랜지(58)는 외주에 노치(581)을 구비한다. 이 노치(581)는 조부(323)를 받는 치수로 되어 있다. 이 노치(581)에 의해서도 전동 유닛(50)이 회전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 도 10에 나타내듯이, 전동 유닛(50)이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는, 플랜지(58) 및 손잡이(57)가 케이싱(30)의 외부로 노출한다. 더 설명을 하면, 손잡이(57)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동 유닛(50)을 인발을 할 때에, 작업자가 손잡이(57)를 파지하기 쉬워진다.
또한, 도시의 예에 있어서는, 전동 유닛(50)이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는, 케이싱(30)의 삽입 구멍(311)보다 상측에 구동부(56)(도 9(d) 참조) 및 유닛 단자(55)(도 9(d) 참조)가 배치된다. 따라서, 구동부(56) 및 유닛 단자(55)가 삽입 구멍(311)과 전동 유닛(50)의 사이로부터 침입할 수 있는 물방울이나 분진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이 억제된다. 또,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동 유닛(50)은 개스킷(54)(도 8 참조) 등을 설치한 방수 방진 구조로 하고 있다. 따라서, 전동 유닛(50)의 내부의 구성 부재가 물방울이나 분진 등의 영향을 받는 것이 개스킷(54) 등에 의해 억제된다.
<수동 유닛(70)>
도 11은 수동 유닛(70)의 설명도이다.
다음에, 도 11을 참조하면서 수동 유닛(70)에 대해 설명을 한다.
도 11에 나타내듯이, 회전 기구 및 이상 제어 장치의 일례인 수동 유닛(70)은 원통부(71)와, 원통부(71)의 축방향을 따라 복수 설치되고 원통부(71)를 지지하는 지지판(73)(제1 지지판(731), 제2 지지판(733), 제3 지지판(735))과, 제1 지지판(731)의 하측면에 고정된 고정판(74)과, 작업자가 조작하는 핸들부(손잡이)(75)와, 원통부(71)를 관통하여 설치됨과 아울러 일단이 핸들부(75)와 접속되는 축부(76)와, 축부(76)의 타단에 설치되는 구동부(외치(外齒) 기어)(77)를 구비한다. 또한 도시의 예에서는, 수동 유닛(70)은 예를 들면 폴리옥시메틸렌(POM) 등의 수지에 의해 형성되지만 알루미늄 등의 금속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원통부(71)는 중심축이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도시의 예에 있어서의 원통부(71)는 양단을 제1 지지판(731) 및 제3 지지판(735)에 의해 끼워져 설치된다.
지지판(73)(제1 지지판(731), 제2 지지판(733), 제3 지지판(735))은 대략 타원형의 판부재이다. 또, 지지판(73)의 각각에는 관통공(7310, 7330, 7350)이 형성되고, 원통부(71)가 삽입되고, 접착재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지지판(73)은 케이싱(30)의 유닛 지지부(313)(도 3 참조)에 대응하는 형상이다. 더 설명을 하면, 지지판(73)의 외형은 전동 유닛(50)(도 8 참조)의 유닛 본체(51)의 외형과 대응하는 치수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지지판(73)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길이와 유닛 본체(51)의 단면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길이 L1과 일치한다(도 8 참조). 또, 전술한 것과 같이 지지판(73)과 원통부(71)가 고정됨으로써, 수동 유닛(70)을 순조롭게 케이싱(30)의 유닛 지지부(313)에 삽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동 유닛(50) 및 수동 유닛(70)에 있어서의 케이싱(30)에 삽입되는 부분을 대응하는 치수(동일한 치수)로 형성함으로써, 전동 유닛(50)과 수동 유닛(70)을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제3 지지판(735)은 상측면에 관통공(7350)과 동축에 설치된 형공(型孔)(736)을 구비한다(자세한 것은 후술).
고정판(74)은 관통공(740)이 형성되고 원통부(71)가 삽입된다. 이 고정판(74)은 대략 타원형의 판부재이다. 이 고정판(74)은 지지판(73)보다 큰 치수이다. 또, 고정판(74)은 하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조부(732)와, 외주에 형성된 노치(734)와, 고정판(74)의 두께 방향(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된 관통공(737)을 구비한다.
핸들부(75)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부재이며, 고정판(74)보다 하측에 설치된다. 이 핸들부(75)는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 외주 홈(751)과, 둘레 방향에 서로 이간하여 설치된 오목부(753)를 구비한다. 이 오목부(753)는 작업자의 손가락을 받는 부분이며, 도시의 예의 핸들부(75)에 있어서는, 3개소의 오목부(753)가 형성되어 있다.
축부(76)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부재이다. 이 축부(76)는 원통부(71)를 관통하여 설치됨과 아울러, 하측 단부에 핸들부(75)가 접속되고, 상측 단부에 구동부(77)가 접속된다. 여기서, 축부(76)는 원통부(71)보다 긴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더 설명을 하면, 핸들부(75) 및 구동부(77)가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축부(76)는 핸들부(75) 및 구동부(77)의 사이를 원통부(71)의 길이보다도 길게 되는 거리에서 보유한다. 즉, 축부(76)는 원통부(71)에 대해서 스러스트(thrust) 방향으로 유격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축부(76)는 외측 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식별부(761)(후술하는 도 12(a) 참조)를 구비한다. 이 식별부(761)는 축부(76)의 둘레 방향으로 형성된 외주 홈에 착색이 실시된 부분이다.
구동부(77)는 상술의 전동 유닛(50)의 구동부(56)(도 9(a) 참조)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구동부(77)는 대략 원기둥이며, 외주면에는 피구동체(353)의 내치(355)(도 5(a) 참조)와 서로 맞물리는 외치(771)가 형성되어 있다. 또, 외치(771)의 상측(선단측) 단부에는 모따기(77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핸들부(75) 및 구동부(77)는 수동 회전 기구의 일례이다.
이 수동 유닛(70)은 케이싱(30)의 본체(31)(도 3 참조)에 삽입됨으로써, 수동 유닛(70)의 선단에 설치된 구동부(77)가 케이싱(30)의 피구동체(353)(도 3 참조)와 서로 맞물린다. 그리고, 작업자가 핸들부(75)를 회전시킴으로써, 축부(76) 및 구동부(77)를 통해 힘이 전달되어 피구동체(353)가 회전한다. 이 피구동체(353)의 회전에 수반하여 접속 부재(375)(도 1 참조)가 이동하고, 결과적으로 안테나(1)의 빔 틸트 각(beam tilt angle)이 변경된다. 즉, 수동 유닛(70)은 수동으로 안테나(1)의 빔 틸트 각(beam tilt angle)을 변경한다.
여기서, 구동부(77)는 피구동체(353)의 개구(354)(도 5(a) 참조) 내로 진입함으로써, 피구동체(353)와 서로 맞물려 핸들부(75)가 받은 힘을 피구동체(353)에 전달한다. 바꿔 말하면, 구동부(77) 및 피구동체(353)는 작업자로부터 받는 힘을 전달하는 전달부로서 기능한다.
더 설명을 하면, 상술의 구동부(56)(도 9(a) 참조)와 마찬가지로 내치(355)(도 5(a) 참조)와 외치(771)의 회전 각도가 벗어나 있는 상태라도, 개구(354) 내로 구동부(77)가 진입할 때에, 피구동체(353)가 수동적으로 회전하고, 내치(355)와 외치(771)가 서로 맞물린다.
<잠금 기구>
도 12(a) 및 도 12(b)는 수동 유닛(70)에 있어서의 잠금 기구의 설명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2(a)는 회전 억제 상태의 수동 유닛(70)을 나타내는 도이며, 도 12(b)는 억제 해제 상태의 수동 유닛(70)을 나타내는 도이다.
다음에,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서 수동 유닛(70)에 있어서의 잠금 기구를 설명한다.
우선, 수동 유닛(70)은 작업자가 핸들부(75)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핸들부(75), 축부(76), 및 구동부(77)의 회전이 억제된 상태, 즉 회전 억제 상태(도 12(a) 참조)와 이러한 회전의 억제가 해제된 상태, 즉 억제 해제 상태(도 12(b) 참조)가 전환된다. 따라서, 수동 유닛(70)에 있어서는, 간단하고 쉬운 조작에 의해 잠금을 할 수 있다. 또, 이 잠금에 의해 핸들부(75) 등의 의도하지 않는 회전이 억제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억제 상태 및 억제 해제 상태에 대해 더 설명을 한다.
도 12(a)에 나타내듯이, 회전 억제 상태에 있어서는, 핸들부(75), 축부(76), 및 구동부(77)가 하측(미리 정한 한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이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구동부(77)가 제3 지지판(735)과 서로 걸리고, 제3 지지판(735)에 의해 구동부(77)의 회전이 제한된다(자세한 것은 후술). 또, 고정판(74)의 조부(제한 기구)(732)가 핸들부(75)의 외주 홈(751)과 서로 걸리고, 조부(732)에 의해 핸들부(75)의 상하 방향의 이동이 제한된다(자세한 것은 후술).
한편, 도 12(b)에 나타내듯이, 억제 해제 상태에 있어서는, 핸들부(75), 축부(76), 및 구동부(77)가 상측으로 이동한 상태이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구동부(77)가 제3 지지판(735)으로부터 이간하고, 제3 지지판(735)은 구동부(77)의 회전을 허용한다. 또, 조부(732)가 핸들부(75)의 외주 홈(751)으로부터 빗나가 조부(732)는 핸들부(75)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허용한다.
여기서, 구동부(77), 제3 지지판(735), 고정판(74) 및 핸들부(75)는 수동 유닛(70)의 잠금 기구로서 기능한다.
이하에서는, 구동부(77) 및 제3 지지판(735)의 동작, 고정판(74)의 조부(732) 및 핸들부(75)의 동작, 구동부(77) 및 피구동체(353)(도 5(a) 참조)의 동작에 대해 차례로 설명한다.
<구동부(77) 및 제3 지지판(735)의 동작>
도 13(a) 내지 도 13(c)는 구동부(77) 및 제3 지지판(735)의 동작의 설명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3(a)은 상측으로부터 본 제3 지지판(735)의 사시도이며, 도 13(b)는 회전 억제 상태의 구동부(77) 및 제3 지지판(735)을 나타내는 도이며, 도 13(c)는 억제 해제 상태의 구동부(77) 및 제3 지지판(735)을 나타내는 도이다.
다음에, 도 13(a) 내지 도 13(c)를 참조하면서 구동부(77) 및 제3 지지판(735)의 동작에 대해 설명을 한다.
우선, 도 13(a)에 나타내듯이, 규제 기구의 일례인 제3 지지판(735)에는 오목부의 일례인 형공(型孔)(736)이 형성되어 있다. 이 형공(736)의 내주면은 구동부(77)의 외치(771)(도 13(b) 참조)와 서로 맞물리는 형상이다. 바꿔 말하면, 형공(736)의 내주면에는 구동부(77)의 외치(771)와 서로 맞물리는 내치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 있어서는, 형공(736)의 내주를 따라 8개의 볼록부(8개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형공(736)은 관통공(7350)보다 외경이 크고, 제3 지지판(735)은 형공(736)과 관통공(7350)의 단차인 피(被)맞닿음부(738)를 구비한다.
다음에, 도 13(b)에 나타내듯이, 회전 제한 상태에 있어서는, 하측으로 이동한 구동부(77)가 형공(736)에 감입(嵌入)된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구동부(77)의 회전은 제한된 상태로 된다. 또한 하측으로 이동하는 구동부(77)는 제3 지지판(735)의 피(被)맞닿음부(738)(도 13(a) 참조)에 맞닿게 된다. 이에 의해 구동부(77)가 하측으로 인발(引拔)되는 것이 억제된다.
한편, 도 13(c)에 나타내듯이, 억제 해제 상태에 있어서는, 상측으로 이동한 구동부(77)가 형공(736)과 서로 맞물리지 않는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구동부(77)의 회전은 제한되지 않는 상태로 된다.
<조부(732) 및 핸들부(75)의 동작의 동작>
도 14(a) 내지 도 14(c)는 조부(732) 및 핸들부(75)의 동작의 설명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4(a)는 조부(732)의 측면도이며, 도 14(b)는 회전 억제 상태의 조부(732) 및 핸들부(75)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14(c)는 억제 해제 상태의 조부(732) 및 핸들부(75)를 나타내는 도이다.
다음에, 도 14(a) 내지 도 14(c)를 참조하면서 조부(732) 및 핸들부(75)의 동작에 대해 설명을 한다.
우선, 도 14(a)에 나타내듯이, 고정판(74)은 관통공(740)의 외주에 조부(732)를 구비한다. 이 조부(732)는 관통공(740)의 중심측으로 돌출하는 정부(頂部)(7321)를 구비한다.
다음에, 도 14(b)에 나타내듯이, 회전 제한 상태에 있어서는, 조부(732)가 핸들부(75)의 외주 홈(751)에 서로 걸린다, 더 설명을 하면, 조부(732)의 정부(7321)가 외주 홈(751) 내로 인입한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핸들부(75)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어 의도하지 않게 회전 제한 상태가 해제되는 것이 억제된다.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면, 핸들부(75)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정부(7321)가 외주 홈(751)의 외부로 이동할 때까지 조부(732)를 탄성변형 시킬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조부(732)가 탄성변형 하는 만큼 핸들부(75)의 이동을 위해서 가해지는 힘이 커진다.
또한 도 14(b)에 나타내듯이, 회전 제한 상태에 있어서는, 핸들부(75)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식별부(761)가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 식별부(761)를 작업자가 시인함으로써, 핸들부(75)가 회전 제한 상태, 즉 잠금이 이루어진 상태인 것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도 14(c)에 나타내듯이, 억제 해제 상태에 있어서는, 조부(732)가 핸들부(75)의 외주 홈(751)과 서로 걸리지 않는다. 더 설명을 하면, 조부(732)의 정부(7321)가 외주 홈(751)의 외부에 존재하는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핸들부(75)의 이동은 제한되지 않는 상태로 된다. 또한 억제 해제 상태에 있어서는, 식별부(761)가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없는 상태로 된다.
<구동부(77) 및 피구동체(353)의 동작의 동작>
도 15는 구동부(77) 및 피구동체(353)의 동작의 설명도이다.
다음에, 도 15를 참조하면서 구동부(77) 및 피구동체(353)의 동작에 대해 설명을 한다. 또한 도 15에 있어서는, 회전 제한 상태의 구동부(77)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억제 해제 상태의 구동부(77)를 파선으로 나타낸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 제한 상태 및 억제 해제 상태가 전환됨으로써, 구동부(77)가 상하 방향에 있어서 이동한다. 여기서, 도 15에 나타내듯이, 회전 제한 상태 및 억제 해제 상태의 어느 상태도 구동부(77) 및 피구동체(353)의 서로 맞물림은 유지된다.
더 설명을 하면, 회전 제한 상태에 있어서도, 구동부(77)의 외치(771)와 피구동체(353)의 내치(355)가 서로 맞물린다(도 중의 화살표 E1참조). 바꿔 말하면, 회전 제한 상태에 있어서, 구동부(77)의 모따기(773)와, 사다리꼴 세레이션(357)이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동일한 위치로 되지 않는다.
여기서, 회전 제한 상태, 즉 구동부(77)가 형공(736)에 감입(嵌入)된 상태에 있어서, 구동부(77)의 외치(771)와 피구동체(353)의 내치(355)가 서로 맞물려 있음으로써, 구동부(77)를 통해 피구동체(353)의 회전도 억제된다. 이 피구동체(353)의 회전이 억제됨으로써, 피구동체(353)와 연결된 접속 부재(375)(도 1 참조)가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고, 결과적으로 안테나(1)(도 1)의 빔 틸트 각(beam tilt angle)의 벗어남이 억제된다.
<수동 유닛(70)의 고정 태양>
도 16은 수동 유닛(70)의 고정 태양의 설명도이다.
다음에, 도 16을 참조하면서 수동 유닛(70)을 케이싱(30)에 고정하는 태양에 대해 설명을 한다.
수동 유닛(70)은 상술의 도 10을 이용한 전동 유닛(50)과 마찬가지의 태양으로 고정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6에 나타내듯이, 수동 유닛(70)의 고정판(74)이 조부(323) 및 볼트(61)에 의해 압압됨으로써, 수동 유닛(70)의 상하 방향이 고정(상하 방향의 이동을 제한)된 상태로 된다.
이 수동 유닛(70)이 케이싱(30)에 삽입되고 고정될 때에는, 조부(323)가 탄성변형 하면서 수동 유닛(70)의 통과 경로로부터 퇴피한 후에, 조부(323)가 고정판(74)에 서로 걸리는 상태로 된다. 그리고, 이 상태로 고정판(74)의 관통공(737)에 볼트(61)가 고정된다. 바꿔 말하면, 조부(323) 및 볼트(61)의 2단계에서 고정이 실시되는 구성이다.
또, 도 16에 나타내듯이, 수동 유닛(70)이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는, 고정판(74) 및 핸들부(75)가 케이싱(30)의 외부에 노출(돌출하고)하고 있다. 이에 의해 수동 유닛(70)을 인발을 할 때에, 작업자가 고정판(74) 및 핸들부(75)를 파지하기 쉬워진다.
여기서, 도 10 및 도 16을 참조하면서 전동 유닛(50) 및 수동 유닛(70)의 색에 대해 설명을 한다.
상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하였지만, 전동 유닛(50) 및 수동 유닛(70)은 각각 다른 색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케이싱(30)에 삽입된 전동 유닛(50)에 있어서 외부에 노출하는 부분인 플랜지(58) 및 손잡이(57)를 흑색으로 형성한다. 한편, 케이싱(30)에 삽입된 수동 유닛(70)에 있어서 외부에 노출하는 부분인 고정판(74) 및 핸들부(75)를 흰색으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전동 유닛(50) 및 수동 유닛(70)을 다른 색으로 형성함으로써, 어느 케이싱(30)에 삽입되어 있는지를 외부로부터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변형예>
그런데, 상기의 설명에 있어서는, 전동 유닛(50) 및 수동 유닛(70)을 교환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전동 유닛(50)끼리, 혹은 수동 유닛(70)끼리로 교환해도 좋다.
또한 수동 유닛(70)만을 케이싱(30)에 삽입하는 사용 형태의 경우에는, 케이싱(30)에 케이싱 단자(39)를 설치하지 않는 구성이라도 좋다. 부언하면, 케이싱 단자(39)를 설치하는 구성과 설치하지 않는 구성을 전환함으로써, 수동 유닛(70) 및 전동 유닛(50)(혹은 전동 유닛(50)만)을 삽입할 수 있는 케이싱(30)의 제조 라인과, 수동 유닛(70)만을 삽입하는 케이싱(30)의 제조 라인이 공통화 될 수 있다.
또, 전동 유닛(50)으로부터 다른 전동 유닛(50)으로 교환할 때에, 일시적으로 수동 유닛(70)을 이용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이미 장착되어 있는 전동 유닛(50)을 인발한 후에, 케이싱(30)에 대해서 수동 유닛(70)을 삽입한다. 그리고, 수동 유닛(70)의 핸들부(75)를 조작하여 회전체(35)(혹은 빔 틸트 각(beam tilt angle))를 미리 정한 각도(예를 들면 영점(zero point))로 수동으로 설정한 후에, 수동 유닛(70)을 인발(引拔)하고, 다른 전동 유닛(50)을 삽입해도 좋다. 바꿔 말하면, 수동 유닛(70)을 치구로서 이용해도 좋다.
또, 상기의 설명에 있어서는, 전동 유닛(50) 및 수동 유닛(70)의 각각의 선단에 구동부(56, 77)를 설치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동 유닛(50) 및 수동 유닛(70)을 케이싱(30)에 삽입하는 것에 수반하여, 피구동체(353)와 서로 맞물리는 위치이면, 어느 위치에 설치되어도 좋다.
또, 상기의 설명에 있어서는, 조부(323) 및 볼트(61)에 의해 전동 유닛(50) 및 수동 유닛(70)이 고정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동 유닛(50) 및 수동 유닛(7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 가능하면 좋고, 예를 들면 조부(323) 및 볼트(61)의 어느 일방에 의해 고정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 볼트(61)에 대신하여 전동 유닛(50) 및 수동 유닛(70)을 상측으로 부세하는 스프링(미도시)을 이용해도 좋다.
또, 상기의 설명에 있어서는, 핸들부(75)의 외주 홈(751)에 고정판(74)의 조부(732)가 걸리는 구성을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핸들부(75)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을 제한 가능하면, 고정판(74)의 조부(732)가 핸들부(75)의 하측 단면과 서로 걸리면서 이동을 제한하는 기구 등의 다른 구성이라도 물론 상관이 없다.
또, 상기의 설명에 있어서는, 형공(736)이 내주면에 8개의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구멍의 중심에 대하는 각도에 따라서 외형이 변화하는 형상, 즉 원형 이외의 형상이면 좋다. 또한 상기의 설명과 같이, 동일한 구성의 돌기를 둘레 방향으로 복수 설치함으로써, 구동부(77)가 형공(736)에 끼일(감합할) 때까지 구동부(77)를 회전시키는 양이 작아진다.
또, 상기의 설명에 있어서는, 핸들부(75)가 하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회전 억제 상태로 되고, 핸들부(75)가 상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억제 해제 상태로 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이 구성은, 만일 핸들부(75)(구동부(77))가 자중으로 이동하면, 회전 억제 상태로 되어, 잠금이 걸리는 상태이다. 따라서, 외부로부터의 진동을 받는 등을 하여 핸들부(75)가 하측으로 이동했을 때에, 핸들부(75)의 의도하지 않는 회전이 억제될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이 이동의 방향에 한정을 하는 것은 아니다. 핸들부(75)가 상측으로 이동하거나 혹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등의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회전 억제 상태로 되는 구성이라도 좋다.
<다른 실시 형태>
<복합 유닛(90)>
도 17은 복합 유닛(90)의 설명도이다.
도 18은 복합 유닛(90)을 외내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부터 본 도이다. 또한 도 18에 있어서는, 유닛 본체(91)의 일부를 절단한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그런데, 상기 설명에 있어서는, 전동 유닛(50) 및 수동 유닛(70)이 택일적으로 케이싱(30)에 삽입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7에 나타내는 것 같이 이상 제어 장치의 일례인 복합 유닛(90)을 케이싱(30)에 삽입하여도 좋다. 바꿔 말하면, 전동 유닛(50), 수동 유닛(70) 및 복합 유닛(90)의 3개의 유닛 중의 어느 것을 택일적으로 케이싱(30)에 삽입하는 태양이라도 좋다.
이하,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서 복합 유닛(90)에 대해 설명을 한다.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듯이, 복합 유닛(90)은 케이싱(30)의 본체(31)(도 3 참조)에 삽입되는 유닛 본체(91)와, 유닛 본체(91)의 내부에 수용되는 모터(92)와 모터(92)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포텐쇼미터(potentiometer)(93)와, 유닛 본체(91)의 내부에서 구동 전달 경로를 전환하는 구동 전환부(94)를 구비한다.
또, 복합 유닛(90)은 유닛 본체(91)의 일단에 케이싱(30)의 케이싱 단자(39)(도 3 참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유닛 단자(95)와, 회전체(35)(도 3 참조)와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구동부(외치(外齒) 기어)(96)를 구비한다. 또, 복합 유닛(90)은 유닛 본체(91)의 타단에 작업자가 파지하는 손잡이 클러치(97)와, 유닛 본체(91)의 외주에 설치된 플랜지(98)와, 플랜지(98)에 설치된 관통공(99)을 구비한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복합 유닛(90)은 유닛 본체(91) 내로의 물방울이나 분진의 진입을 억제하는 개스킷을 구비한다.
여기서, 복합 유닛(90)은 전동 유닛(50)과 마찬가지로,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케이싱(30)에 대해서 삽입 및 인발(引拔)이 가능하다. 즉, 복합 유닛(90)은 전동 유닛(50)(도 2 참조) 및 수동 유닛(70)(도 2 참조)과 컨버터블(convertible)인 구조로 되어 있다.
또, 복합 유닛(90)이 케이싱(30)의 본체(31)(도 3 참조)에 삽입되면, 플랜지(98)의 노치(981)에 조부(323)(도 10 참조)가 서로 걸린다. 또, 볼트(61)(도 10 참조)가 관통공(99)을 관통함으로써, 복합 유닛(90)은 케이싱(30)에 대해서 고정된다.
또, 복합 유닛(90)이 케이싱(30)의 본체(31)(도 3 참조)에 삽입되는 것에 수반하여, 구동부(96)가 피구동체(353)(도 3 참조)와 서로 맞물려 유닛 단자(95)가 케이싱 단자(39)(도 3 참조)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복합 유닛(90)은 케이싱 단자(39)(도 3 참조)를 통해 제어 신호를 받으면서, 모터(92)를 구동하고 피구동체(353)(도 3 참조)를 회전시킨다. 또, 복합 유닛(90)은 작업자가 손잡이 클러치(97)를 회전시킴으로써, 피구동체(353)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즉, 이 복합 유닛(90)에 있어서는, 전동 및 수동의 어느 것으로로 피구동체(353)를 회전시킨다. 더 바꿔 말하면, 복합 유닛(90)은 전동 및 수동으로 구동하는 경우를 1개의 유닛으로 양립시킨다. 그리고, 이 피구동체(353)의 회전에 의해, 접속 부재(375)(도 1 참조)가 이동하고, 결과적으로 안테나(1)(도 1 참조)의 빔 틸트 각(beam tilt angle)이 변경된다.
또한 모터(92)는 구동 기구의 일례이며, 손잡이 클러치(97)는 수동 기구의 일례이다.
<구동부(96)의 구동 기구>
도 19는 구동 전환부(94) 및 그 주변의 분해 사시도이다.
다음에,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서 구동부(96)를 구동하기 위한 기구에 대해 설명을 한다.
상기와 같이, 복합 유닛(90)에 있어서는, 구동 전환부(94)를 통해 구동 경로를 전환하면서, 모터(92) 혹은 손잡이 클러치(97)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부(96)가 회전한다. 또, 구동부(96)의 회전 각도(회전량)는 모터(92) 및 손잡이 클러치(97)의 어느 것으로부터 구동력을 받고 있는 경우라도, 검출체의 일례인 포텐쇼미터(93)에 의해 검지된다.
이하, 모터(92), 포텐쇼미터(93), 및 손잡이 클러치(97) 각각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 후에, 구동 전환부(94)의 구성에 대해 설명을 한다.
모터(92)는 모터 샤프트(921)를 가진다. 그리고, 모터(92)는 모터 샤프트(921)를 회전시킴으로써, 구동 전환부(94)를 통해 구동부(96)에 구동력을 공급한다.
포텐쇼미터(93)는 포텐쇼 샤프트(potentio-shaft)(931)를 가진다. 그리고, 포텐쇼미터(93)는 포텐쇼 샤프트(931)를 통해 구동부(96)의 회전 각도를 검출한다.
손잡이 클러치(97)는 중심축이 상하 방향을 따르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클러치 본체(971)와, 클러치 본체(971)의 하측 단부에 설치되는 손잡이부(973)를 구비한다. 또, 손잡이 클러치(97)는 클러치 본체(971)의 상측 단부에 설치되는 대경부(975)와, 클러치 본체(971)에 있어서의 대경부(975)보다 하측에 설치되는 소경부(977)와, 대경부(975)에 설치되는 내치부(979)를 가진다.
구동 전환부(94)는 모터(92)의 모터 샤프트(921)에 설치되는 모터 기어(941)와, 모터 기어(941)와 서로 맞물리는 모터 클러치(943)와, 손잡이 클러치(97)의 내치부(979)와 서로 맞물리는 구동 기어(945)와, 구동 기어(945)와 함께 회전하는 구동 샤프트(947)를 가진다. 또, 구동 전환부(94)는 구동 기어(945)와 서로 맞물리는 제1 포텐쇼 기어(potentio-gear)(949)와, 제1 포텐쇼 기어(949)와 함께 회전하는 포텐쇼 샤프트(951)와, 포텐쇼미터(93)의 포텐쇼 샤프트(931)에 설치되는 제2 포텐쇼 기어(953)를 가진다. 또한 도 19에 있어서는 기재를 생략하지만, 구동 전환부(94)는 손잡이 클러치(97)를 하측으로 부세하는 판(板) 스프링(955)(도 18 참조)을 가진다.
여기서, 모터 기어(941)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부재이다. 이 모터 기어(941)는 상측의 단면에 형성되고 모터 샤프트(921)를 받는 샤프트 구멍(941a)과, 하측의 외주면에 형성된 외치부(세레이션)(941b)와, 상측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모터 샤프트(921)를 고정하기 위한 핀 PN이 삽입되는 핀(pin) 구멍(941c)을 가진다.
전환 기구의 일례인 모터 클러치(943)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부재이다. 이 모터 클러치(943)는 상측의 단면에 형성되고 모터 기어(941)의 외치부(941b)를 받는 내부 기어부(943a)와, 상측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외치부(943b)와, 외치부(943b)보다 하측에 설치되는 소경부(943c)와, 소경부(943c)보다 하측에 설치되는 대경부(943d)를 가진다.
회전체의 일례인 구동 기어(945)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부재이다. 이 구동 기어(945)는 상측의 단면에 형성되고 구동 샤프트(947)를 받는 샤프트 구멍(945a)과, 구동 기어(945)의 상측 단부에 설치되는 제1 치부(齒部)(945b)와, 제1 치부(945b)보다 하측에 설치되는 제2 치부(945c)와, 상하 방향 중앙부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구동 샤프트(947)를 고정하기 위한 핀 PN이 삽입되는 핀 구멍(945d)을 가진다.
구동 샤프트(947)는 상측의 단부이며 구동부(96)에 삽입되는 제1 단(end)(947a)과, 하측의 단부이며 구동 기어(945)의 샤프트 구멍(945a)에 삽입되는 제2 단(end)(947b)을 가진다.
제1 포텐쇼 기어(potentio-gear)(949)는 회전축이 상하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소위 계단식 기어이다. 이 제1 포텐쇼 기어(949)는 구동 기어(945)의 제1 치부(945b)와 서로 맞물리는 제1 치부(949a)와, 제1 치부(949a)보다 하측에 설치되는 제2 치부(949b)를 가진다.
포텐쇼 샤프트(951)는 샤프트 본체(951a)와, 샤프트 본체(951a)의 상측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1 치부(951b)와, 샤프트 본체(951a)의 하측의 단부에 설치되고 제1 포텐쇼 기어(potentio-gear)(949)의 제2 치부(949b)와 서로 맞물리는 제2 치부(951c)를 가진다.
제2 포텐쇼 기어(953)는 상측의 단면에 형성되고 포텐쇼미터(93)의 포텐쇼 샤프트(931)를 받는 샤프트 구멍(953a)과, 포텐쇼 샤프트(951)의 제1 치부(951b)와 서로 맞물리는 외치부(953b)와, 외주면에 형성되고 포텐쇼 샤프트(931)를 고정하기 위한 핀 PN이 삽입되는 핀 구멍(953c)을 가진다.
그런데,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손잡이 클러치(97) 및 모터 클러치(943)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도 18에 나타내듯이, 손잡이 클러치(97) 및 모터 클러치(943)는 서로 걸리도록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손잡이 클러치(97)의 대경부(975)는 상하 방향의 양측이 모터 클러치(943)의 외치부(943b) 및 대경부(943d)에 의해 끼워지도록 설치된다. 바꿔 말하면, 대경부(975)의 이동 경로 내에는 모터 클러치(943)의 외치부(943b) 및 대경부(943d)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손잡이 클러치(97)는 작업자가 조작함으로써 상하 방향에 있어서 이동한다. 이 손잡이 클러치(97)의 이동에 따라, 모터 클러치(943)도 상하 방향에 있어서 이동한다.
또, 손잡이 클러치(97) 및 모터 클러치(943)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에 따라, 모터(92)에 의한 구동을 받아 구동부(96)가 회전하는 상태(이하, 전동 상태라고 하는 일이 있음)와, 손잡이 클러치(97)에 의한 구동을 받아 구동부(96)가 회전하는 상태(이하, 수동 상태라고 하는 일이 있다)가 전환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손잡이 클러치(97)는 수동 상태에 있어서 구동부(96)에 구동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회전시키는 조작부인 것임과 아울러, 전동 상태(제1 태양) 및 수동 상태(제2 태양)의 사이에 있어서의 전환을 행하는 조작부를 겸한 부재로서 파악할 수가 있다.
<전동 상태 및 수동 상태의 전환>
도 20(a) 및 도 20(b)는 전동 상태 및 수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20(a)은 전동 상태에 있어서의 손잡이 클러치(97) 및 모터 클러치(943) 주변의 배치를 나타내고, 도 20(b)는 수동 상태에 있어서의 손잡이 클러치(97) 및 모터 클러치(943) 주변의 배치를 나타낸다.
다음에, 도 20(a) 및 도 20(b)를 참조하면서 전동 상태 및 수동 상태의 각각에 대해 설명을 한다.
우선, 도 20(a)을 참조하면서 전동 상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을 한다.
도 20(a)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는, 손잡이 클러치(97) 및 모터 클러치(943)는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손잡이 클러치(97)가 하측에 배치되어 있으면, 손잡이 클러치(97)가 구동 기어(945)로부터 이간한 상태로 된다. 즉, 손잡이 클러치(97)의 내치부(979)가 구동 기어(945)의 제2 치부(945c)와 서로 맞물리지 않는 상태이다. 한편, 모터 클러치(943)의 외치부(943b)는 구동 기어(945)의 제2 치부(945c)와 서로 맞물리는 상태이다.
그 결과, 모터(92)의 출력이, 모터 클러치(943)로 전달된다. 그리고, 모터 클러치(943)로부터 구동 기어(945)로 전달된 출력은 구동 샤프트(947)를 통해 구동부(96)(도 18 참조)를 회전시킨다.
한편, 손잡이 클러치(97)는 구동 기어(945)로부터 떨어져 있어 프리(free) 상태이다. 따라서, 이 전동 상태에 있어서, 만일 작업자가 손잡이 클러치(97)를 회전시켰다고 해도, 손잡이 클러치(97)는 공전한다. 그리고, 손잡이 클러치(97)의 회전력은 구동부(96)(도 18 참조)로 전달되지 않는다.
다음에, 도 20(b)를 참조하면서 수동 상태에 대해 설명을 한다.
도 20(b)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는, 손잡이 클러치(97) 및 모터 클러치(943)는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손잡이 클러치(97)가 상측에 배치되어 있으면, 손잡이 클러치(97)의 내치부(979)가 구동 기어(945)의 제2 치부(945c)와 서로 맞물리는 상태로 된다. 한편, 모터 클러치(943)의 외치부(943b)는 구동 기어(945)의 제2 치부(945c)와 서로 맞물리지 않는 상태이다.
즉, 모터 클러치(943)는 구동 기어(945)로부터 떨어져 있어 프리(free) 상태이다. 따라서, 만일 모터(92)가 구동했다고 해도, 모터 기어(941) 및 모터 클러치(943)가 공전한다. 그리고, 모터(92)의 출력은 구동부(96)(도 18 참조)로 전달되지 않는다.
한편, 손잡이 클러치(97)로부터 구동 기어(945)로 전달된 출력은 구동 샤프트(947)를 통해 구동부(96)(도 18 참조)를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손잡이 클러치(97) 및 모터 클러치(943)가 상하 방향에 있어서 이동함으로써, 손잡이 클러치(97)와 구동 기어(945)의 서로 맞물림 상태로 전환됨과 아울러, 모터 클러치(943)와 구동 기어(945)의 서로 맞물림 상태로 전환된다. 바꿔 말하면, 손잡이 클러치(97)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에 의해, 구동 기어(945)가 서로 맞물리는 대상이 손잡이 클러치(97) 및 모터 클러치(943)의 사이에서 전환된다.
부언하면, 손잡이 클러치(97)를 미리 정한 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구동 기어(945)가 서로 맞물리는 대상이 손잡이 클러치(97) 및 모터 클러치(943)의 사이에서 전환된다.
또한 도시의 예에 있어서는, 모터 클러치(943)의 상하 방향의 이동에 관련되지 않고, 모터 클러치(943)의 내부 기어부(943a)는 모터 기어(941)의 외치부(941b)와 서로 맞물리는 상태가 유지된다. 바꿔 말하면, 모터 클러치(943)가 하측으로 이동한 경우(도 20(a) 참조)라도, 모터 클러치(943)의 내부 기어부(943a)와 모터 기어(941)의 외치부(941b)는 서로 이간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전동 상태로의 전환시에 기어(모터 클러치(943)의 내부 기어부(943a) 및 모터 기어(941)의 외치부(941b))가 서로 맞물리지 않는 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도시의 예에 있어서, 수동 상태 및 전동 상태의 어느 상태에 있어서도, 바꿔 말하면 모터 클러치(943)의 상하 방향의 이동에 관련되지 않고, 포텐쇼미터(93)(도 18 참조)는 포텐쇼 샤프트(951), 제1 포텐쇼 기어(potentio-gear)(949), 구동 기어(945), 및 구동 샤프트(947)를 통해 구동부(96)(도 18 참조)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포텐쇼미터(93)는 수동 상태 및 전동 상태의 어느 상태에 있어서도, 구동부(96)의 회전 각도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 설명을 하면, 도시의 예에 있어서는, 수동 상태 및 전동 상태의 사이에 있어서의 전환시에도, 포텐쇼미터(93)는 구동부(96)(도 18 참조)와 접속하고 있는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따라서, 도시의 예와는 달리 접속하고 있는 상태가 유지되지 않는 태양과 비교하여, 포텐쇼미터(93)가 구동부(96)의 회전 각도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도시의 예에 있어서는, 복합 유닛(90)의 포텐쇼미터(93)는 도 8에 나타내는 전동 유닛(50)의 포텐쇼미터(53)와 공통의 프로그램으로 작동시키기 때문에, 구동부(96)(도 18 참조)에 대한 포텐쇼미터(93)의 기어 감속비와 구동부(56)(도 8 참조)에 대한 포텐쇼미터(53)(도 8 참조)의 기어 감속비를 일치시키고 있다.
또, 도시의 예에 있어서는, 수동 상태에 있어서 구동부(96)(도 18 참조)를 회전시키는 작업자는 슬라이드 게이지(373)(도 6 참조)에 의해 구동부(96)의 회전량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도시의 예에 있어서는, 작업자가 손잡이 클러치(97)의 손잡이부(973)를 파지한 채로, 손잡이부(973)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 및 손잡이부(973)의 회전을 행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손잡이부(973)를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일도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손잡이부(973)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손잡이 클러치(97) 및 구동 기어(945)의 상대 각도에 따라서는, 손잡이 클러치(97)에 있어서의 내치부(979)의 이빨과 구동 기어(945)에 있어서의 제2 치부(945c)의 이빨이 부딪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손잡이부(973)를 회전시킴으로써 내치부(979)와 제2 치부(945c)를 서로 맞물리게 할 수가 있다.
<전동 상태로부터 수동 상태로의 전환 동작>
도 21은 전동 상태로부터 수동 상태로의 전환 동작을 설명하는 도이다.
다음에, 도 21을 참조하면서 전동 상태로부터 수동 상태로의 전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도 21(a)에 나타내듯이, 복합 유닛(90)은 전동 상태인 것으로 한다. 즉 모터 클러치(943)가 하측(도 중의 우측)에 배치되고, 모터 클러치(943)가 구동 기어(945)와 서로 맞물리는 한편, 손잡이 클러치(97)는 구동 기어(945)와 서로 맞물리지 않는 상태이다.
그리고, 도 21(b)에 나타내듯이, 작업자가 손잡이 클러치(97)를 상측(도 중의 좌측)으로 밀어넣음 조작함으로써, 손잡이 클러치(97)의 대경부(975)가 모터 클러치(943)의 외치부(943b)를 상측으로 누른다. 이에 의해 모터 클러치(943)가 상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손잡이 클러치(97)의 내치부(979)가 구동 기어(945)의 제2 치부(945c)와 서로 맞물리기 시작한다.
또, 모터 클러치(943)가 상측으로 밀어넣어지는 것에 수반하여, 손잡이 클러치(97)의 대경부(975)가 모터 클러치(943)의 외치부(943b)를 상측으로 밀어넣는다.
그리고, 도 21(c)에 나타내듯이, 모터 클러치(943)가 상측(도 중의 좌측)으로 더 밀어넣어진다. 이에 수반하여 손잡이 클러치(97)의 내치부(979)와 구동 기어(945)의 제2 치부(945c)의 맞물림 폭이 커진다. 또, 손잡이 클러치(97)의 대경부(975)가 모터 클러치(943)를 더 상측으로 밀어넣는다.
그리고, 도 21(d)에 나타내듯이, 손잡이 클러치(97)가 상측으로의 이동을 완료시키면, 복합 유닛(90)이 수동 상태로 된다. 즉, 손잡이 클러치(97)가 구동 기어(945)와 서로 맞물리는 한편, 모터 클러치(943)는 구동 기어(945)와 서로 맞물리지 않는 상태로 된다.
<수동 상태로부터 전동 상태로의 전환 동작>
도 22는 수동 상태로부터 전동 상태로의 전환 동작을 설명하는 도이다.
다음에, 도 22를 참조하면서 수동 상태로부터 전동 상태로의 전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도 22(a)에 나타내듯이, 복합 유닛(90)은 수동 상태인 것으로 한다 즉 모터 클러치(943)가 상측(도 중의 좌측)에 배치되어 손잡이 클러치(97)가 구동 기어(945)와 서로 맞물리는 한편, 모터 클러치(943)는 구동 기어(945)와 서로 맞물리지 않는 상태이다.
그리고, 도 22(b)에 나타내듯이, 작업자가 손잡이 클러치(97)를 하측(도 중의 우측)으로 인출하는 조작을 함으로써, 손잡이 클러치(97)의 대경부(975)가 모터 클러치(943)의 대경부(943d)를 하측으로 누른다. 이에 의해 모터 클러치(943)가 하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모터 클러치(943)의 외치부(943b)가 구동 기어(945)의 제2 치부(945c)와 서로 맞물리기 시작한다.
또, 모터 클러치(943)가 하측으로 인출되는 것에 수반하여, 손잡이 클러치(97)의 대경부(975)가 모터 클러치(943)의 대경부(943d)를 하측으로 밀어넣는다.
그리고, 도 22(c)에 나타내듯이, 모터 클러치(943)가 하측(도 중의 우측)으로 더 인출된다. 이에 수반하여 모터 클러치(943)의 외치부(943b)와 구동 기어(945)의 제2 치부(945c)의 맞물림 폭이 커진다. 또, 손잡이 클러치(97)의 대경부(975)가 모터 클러치(943)를 더 하측으로 밀어넣는다.
그리고, 도 22(d)에 나타내듯이, 손잡이 클러치(97)가 하측에의 이동을 완료시키면, 복합 유닛(90)이 전동 상태로 된다. 즉, 모터 클러치(943)가 구동 기어(945)와 서로 맞물리는 한편, 손잡이 클러치(97)는 구동 기어(945)와 서로 맞물리지 않는 상태로 된다.
그런데, 도시의 예에 있어서는, 손잡이 클러치(97)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전환함으로써, 수동 상태 및 전동 상태의 어느 하나가 택일적으로 선택된다. 따라서, 수동 상태이고 또한 전동 상태라고 하는 손잡이 클러치(97) 및 모터(92)의 양자로부터 구동을 받는 상태나, 수동 상태도 아니고 전동 상태도 아니라고 하는 손잡이 클러치(97) 및 모터(92)의 어느 것으로부터도 구동을 받지 않는 상태로 되는 것이 회피된다.
또, 도시의 예에 있어서는, 수동 상태 및 전동 상태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모터(92)는 손잡이 클러치(97)로부터 떼어내어 진다.
이에 의해 수동 상태에 있어서 작업자가 손잡이 클러치(97)를 돌릴 때에, 모터(92)를 돌리기 위한 회전력을 부여하는 것이 불필요하게 된다. 그 결과, 손잡이 클러치(97)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 모터(92)를 역회전(백 드라이브(back drive))시킴으로써, 예를 들면 모터(92) 내에서 기전력이 생기고 모터(92)가 구비하는 정류자(미도시) 등의 손상이 억제된다.
또한, 전동 상태에 있어서 모터(92)가 구동할 때에, 손잡이 클러치(97)가 회전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 전동 상태에 있어서 모터(92)가 구동할 때에, 작업자가 접촉하는 등을 하여 손잡이 클러치(97)가 외력을 받는 경우라도, 모터(92)에 그 외력에 의한 부하가 걸리는 것이 억제된다.
그런데, 도시의 예에 있어서는, 손잡이 클러치(97)는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힘을 받고 있음과 아울러, 부세 기구의 일례인 판 스프링(955)(도 18 참조)에 의해서도 하측(미리 정한 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다. 따라서, 도시의 예에서는, 손잡이 클러치(97)가 외력을 받고 있지 않은 때는 전동 상태로 된다. 또, 손잡이 클러치(97)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의 힘을 받으면, 전동 상태로부터 수동 상태로 전환된다.
여기서, 수동 상태에 있어서는, 손잡이 클러치(97)를 조작하기 위해서, 복합 유닛(90)이 설치되어 있는 장소에 작업자가 반드시 필요하다. 한편, 전동 상태에 있어서는, 복합 유닛(90)이 설치되어 있는 장소에 작업자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또한, 작업자가 없는 상태에 있어서, 수동 상태로 설정할 필요성도 낮다.
따라서, 도시의 예와 같이 손잡이 클러치(97)가 외력을 받고 있지 않은 때는 전동 상태로 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작업자가 손잡이 클러치(97)를 수동 상태로부터 전동 상태로 되돌리는 것을 잊은 경우라도, 모터(92)에 의해 구동부(96)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작업자가 손잡이 클러치(97)를 조작하는(밀어넣는, 또는 앞으로 당기는) 것에 수반하는 수동 상태 및 전동 상태의 사이에서의 전환을 설명하였다. 그렇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손잡이 클러치(97)의 자중이나 판 스프링(955)의 부세력에 의해 손잡이 클러치(97)를 이동시키고, 수동 상태 및 전동 상태의 사이에서의 전환을 행하여도 좋다.
<변형예>
상기의 설명에 있어서는, 모터 클러치(943) 및 손잡이 클러치(97)가 상측에 배치되어 있을 때가 전동 상태이며, 모터 클러치(943) 및 손잡이 클러치(97)가 하측에 배치되어 있을 때가 수동 상태인 것을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모터 클러치(943)가 하측에 배치되어 있을 때를 수동 상태로 하고, 상측에 배치되어 있을 때는 전동 상태라고 해도 좋다. 마찬가지로 손잡이 클러치(97)가 하측에 배치되어 있을 때를 수동 상태로 하고, 상측에 배치되어 있을 때는 전동 상태라고 해도 좋다.
또, 상기의 설명에 있어서는, 손잡이 클러치(97)가 판 스프링(955)에 의해 하측에 부세되어 있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손잡이 클러치(97)가 판 스프링(955)에 의해 상측으로 부세되는 태양이라도 좋다. 또, 판 스프링(955) 이외에 코일 스프링 등 다른 탄성 부재를 이용해도 좋다. 또, 판 스프링(955)을 이용하지 않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 상기의 설명에 있어서의 모터(92)나 포텐쇼미터(93) 등의 클러치 본체(971)에서의 배치 혹은 방향은 특히 한정을 하는 것은 아니다.
또, 상기의 설명에 있어서는, 수동 상태에 있어서, 모터(92)가 손잡이 클러치(97)로부터 떼어내어 지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모터(92)가 손잡이 클러치(97)로부터 떼어내어 지지 않은 구성이라도 좋다. 즉, 수동 상태에 있어서, 작업자가 손잡이 클러치(97)를 돌리는 힘이 모터(92)에 전달되는 구성이라도 좋다.
그런데, 상기의 설명에 있어서는, 안테나(1)가 전파를 송신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안테나(1)의 가역성에 의해 안테나(1)는 전파를 수신한다. 전파를 수신하는 경우는, 예를 들면 송신 신호를 수신 신호로서 신호의 흐름을 반대로 하면 좋다.
또, 상기의 설명에 있어서는, 이상 제어기(10)가 하뚜껑(115)에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하뚜껑(115) 이외에 커버(11)의 다른 부분, 구체적으로는 커버 본체(111)나 상뚜껑(113)에 설치되는 구성이라도 좋다.
그런데, 상기에서는 여러 가지의 실시 형태 및 변형예를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 형태나 변형예끼리를 조합하여 구성해도 물론 상관이 없다.
또, 본 개시는 상기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본 명시된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형태로 실시할 수가 있다.
1…안테나
7…이상기(移相器) 10…이상(移相) 제어기
30…케이싱(casing) 39…케이싱 단자
50…전동 유닛 55…유닛 단자
56…구동부 57…손잡이
70…수동 유닛 75…핸들부
77…구동부
90…복합 유닛 97…손잡이 클러치
96…구동부
323…조부(claw part) 353…피구동체
943…모터 클러치 945…구동 기어
7…이상기(移相器) 10…이상(移相) 제어기
30…케이싱(casing) 39…케이싱 단자
50…전동 유닛 55…유닛 단자
56…구동부 57…손잡이
70…수동 유닛 75…핸들부
77…구동부
90…복합 유닛 97…손잡이 클러치
96…구동부
323…조부(claw part) 353…피구동체
943…모터 클러치 945…구동 기어
Claims (25)
- 복수의 안테나 소자와,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가 송수신하는 신호의 위상을 조정하는 이상체와,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 및 상기 이상체를 수용하는 안테나 케이스와,
상기 안테나 케이스에 장착되고 개구가 형성된 유닛 케이스와, 당해 개구에 삽입되어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이상체에 위상을 조정하게 하기 위한 구동력을 공급하는 구동 기구를 가지는 구동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유닛 케이스는, 상기 구동 기구와 교환되어, 상기 개구에 삽입되어 장착됨과 아울러 수동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이상체에 위상을 조정하는 회전 기구를 장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구동 기구 또는 상기 회전 기구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이상체에 위상을 조정하기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구동 기구 또는 상기 회전 기구가 상기 개구에 삽입하는 것에 수반하여 상기 구동 기구 또는 상기 회전 기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케이스는, 상기 구동 기구 혹은 상기 회전 기구를 상기 개구에 삽입하는 것에 수반하여 당해 구동 기구 혹은 당해 회전 기구와 서로 걸리고, 당해 구동 기구 혹은 당해 회전 기구가 삽입 방향에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이동 억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케이스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수반하여 미리 정한 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이상체에 위상을 조정하게 하는 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 각도에 따라서, 당해 이동부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하는 부분의 길이를 변화시키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케이스의 상기 개구는,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저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 복수의 안테나 소자와,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가 송수신하는 신호의 위상을 조정하는 이상체와,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 및 상기 이상체를 수용함과 아울러 개구가 형성된 안테나 케이스와,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삽입되고, 상기 이상체에 상기 위상을 조정하게 하기 위한 구동력을 공급하는 구동 기구와,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 기구가 상기 개구에 삽입되는 것에 수반하여 당해 구동 기구와 연결되고 당해 구동 기구로부터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고, 상기 이상체에 위상을 조정하기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체와,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 기구가 삽입되는 것에 수반하여 당해 구동 기구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당해 구동 기구에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접속체를 구비하는 안테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접속체를 통해 제어 신호를 받아 구동하는 구동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는, 당해 구동 기구가 상기 안테나 케이스에 삽입된 상태로 당해 안테나 케이스로부터 돌출하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저부로부터 상측을 향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저부로부터 상측을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선단측에 상기 접속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 복수의 안테나 소자와, 당해 복수의 안테나 소자가 송수신하는 신호의 위상을 조정하는 이상체와, 당해 복수의 안테나 소자 및 당해 이상체를 수용함과 아울러 개구가 형성된 안테나 케이스를 구비하는 안테나 본체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상기 개구로부터 삽입되고, 당해 이상체에 당해 위상을 조정하게 하기 위한 구동력을 공급하는 구동 기구를 가지는 구동체와,
상기 구동체가 상기 개구에 삽입되는 것에 수반하여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회전체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 기구로부터의 구동력을 당해 회전체에 전달하는 전달체와,
상기 구동체가 삽입되는 것에 수반하여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접속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당해 접속체로부터 상기 구동 기구의 제어 신호를 받는 피접속체를 구비하고, 상기 이상체를 제어하는 이상 제어 장치. - 복수의 안테나 소자와,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가 송수신하는 신호의 위상을 조정하는 이상체와,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 및 상기 이상체를 수용하는 안테나 케이스와,
상기 안테나 케이스에 장착되고, 개구가 형성된 유닛 케이스와,
상기 개구에 삽입됨과 아울러, 수동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이상체에 위상을 조정하게 하는 수동 회전 기구와, 당해 수동 회전 기구를 미리 정한 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당해 수동 회전 기구의 회전을 규제하는 규제 기구를 가지는 수동 유닛과,
상기 유닛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동 유닛이 상기 개구에 삽입되는 것에 수반하여 상기 수동 유닛과 연결된 상기 수동 유닛으로부터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고, 상기 이상체에 위상을 조정하기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체를 구비하는 안테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회전 기구는, 회전을 이상체에 전달하기 위한 구동부를 가지고,
상기 규제 기구는, 상기 수동 회전 기구가 상기 미리 정한 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구동부가 들어맞는 오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한 한 방향은, 상기 수동 유닛의 삽입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유닛은, 상기 수동 회전 기구가 상기 삽입 방향에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제한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기구는, 상기 수동 회전 기구의 회전을 규제하는 것에 수반하여,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 복수의 안테나 소자와, 당해 복수의 안테나 소자가 송수신하는 신호의 위상을 조정하는 이상체와, 당해 복수의 안테나 소자 및 당해 이상체를 수용하는 안테나 케이스와, 당해 안테나 케이스에 장착되고, 개구가 형성된 유닛 케이스를 구비하는 안테나 본체의 당해 개구에 삽입되는 것에 수반하여 회전부와 연결됨과 아울러, 수동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켜 당해 이상체에 위상을 조정하게 하는 수동 회전 기구와,
상기 수동 회전 기구를 미리 정한 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당해 수동 회전 기구의 회전을 규제하는 규제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이상체를 제어하는 이상 제어 장치. - 복수의 안테나 소자와,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가 송수신하는 신호의 위상을 조정하는 이상체와,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 및 상기 이상체를 수용함과 아울러 개구가 형성된 안테나 케이스와,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삽입됨과 아울러, 구동력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이상체에 위상을 조정하게 하는 구동 기구와, 수동으로 회전됨으로써 당해 이상체에 위상을 조정하게 하는 수동 기구를 가지는 구동 유닛과,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유닛이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상기 개구로부터 삽입되는 것에 수반하여 당해 구동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구동 기구로부터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유닛이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상기 개구로부터 삽입되는 것에 수반하여 당해 구동 유닛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구동 기구에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접속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수동 기구 및 상기 구동 기구에 택일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당해 수동 기구 또는 당해 구동 기구로부터의 힘을 받아 회전해 상기 이상체에 위상을 조정하게 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검출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구동 기구를 통해 상기 이상체가 위상을 조정하는 제1 태양과, 상기 수동 기구를 통해 당해 이상체가 위상을 조정하는 제2 태양을 전환하는 전환 기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기구는, 상기 수동 기구를 미리 정한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수반하여, 상기 제1 태양으로부터 상기 제2 태양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미리 정한 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상기 수동 기구를 부세하고, 상기 제1 태양으로 유지하는 부세 기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 복수의 안테나 소자와, 당해 복수의 안테나 소자가 송수신하는 신호의 위상을 조정하는 이상체와, 당해 복수의 안테나 소자 및 당해 이상체를 수용함과 아울러 개구가 형성된 안테나 케이스를 구비하는 안테나 본체의 당해 안테나 케이스의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삽입되고, 구동력을 공급함으로써 당해 이상체에 위상을 조정하게 하는 구동 기구와,
수동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이상체에 위상을 조정하게 하는 수동 기구를 가지는 구동체와,
상기 구동체가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삽입되는 것에 수반하여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회전체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 기구로부터의 구동력을 당해 회전체에 전달하는 전달체와,
상기 구동체가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삽입되는 것에 수반하여 상기 안테나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접속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당해 접속체로부터 상기 구동 기구의 제어 신호를 받는 피접속체를 구비하고, 상기 이상체를 제어하는 이상 제어 장치.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5074121 | 2015-03-31 | ||
JPJP-P-2015-074122 | 2015-03-31 | ||
JPJP-P-2015-074123 | 2015-03-31 | ||
JPJP-P-2015-074121 | 2015-03-31 | ||
JP2015074123 | 2015-03-31 | ||
JP2015074122A JP2016195324A (ja) | 2015-03-31 | 2015-03-31 | アンテナおよび移相制御装置 |
PCT/JP2016/059663 WO2016158769A1 (ja) | 2015-03-31 | 2016-03-25 | アンテナおよび移相制御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7597A KR20170117597A (ko) | 2017-10-23 |
KR101942676B1 true KR101942676B1 (ko) | 2019-01-25 |
Family
ID=57005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7027370A KR101942676B1 (ko) | 2015-03-31 | 2016-03-25 | 안테나 및 이상 제어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101942676B1 (ko) |
CN (1) | CN107431274A (ko) |
WO (1) | WO201615876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380976A (zh) * | 2019-08-22 | 2019-10-25 | 广州市妙伊莲科技有限公司 | 一种便于收纳的具有防尘功能的5g路由器 |
CN111952732A (zh) * | 2020-07-31 | 2020-11-17 | 江苏华灿电讯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5g八端口高频电调天线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A2097122A1 (en) * | 1992-06-08 | 1993-12-09 | James Hadzoglou | Adjustable beam tilt antenna |
EP1239536B1 (en) * | 1994-11-04 | 2005-01-12 | Andrew Corporation | Cellular base station telecommunication system, method for downtilting a beam and antenna control arrangement |
JP2001284901A (ja) * | 2000-03-30 | 2001-10-12 | Ntt Docomo Inc | 分配移相器 |
DE10104564C1 (de) * | 2001-02-01 | 2002-09-19 | Kathrein Werke Kg | Steuerungsvorrichtung zum Einstellen eines unterschiedlichen Absenkwinkels insbesondere von zu einer Basisstation gehörenden Mobilfunkantennen sowie eine zugehörige Antenne und Verfahren zur Veränderung eines Absenkwinkels |
US6573875B2 (en) * | 2001-02-19 | 2003-06-03 | Andrew Corporation | Antenna system |
JP2005254440A (ja) * | 2004-02-13 | 2005-09-22 | Fanuc Ltd | 産業用ロボットの関節構造 |
KR100774262B1 (ko) * | 2005-11-08 | 2007-11-08 | (주)에이스안테나 | 이동통신 기지국 안테나의 빔방향 가변장치 |
JP4961988B2 (ja) * | 2006-12-13 | 2012-06-27 | ソニー株式会社 | 記録制御装置、記録制御方法 |
KR100894994B1 (ko) * | 2007-10-05 | 2009-04-24 | (주)에이스안테나 | 회전 부재와 가이드 부재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는 페이즈쉬프터 |
WO2009107186A1 (ja) * | 2008-02-25 | 2009-09-03 | 日本電業工作株式会社 | 多分岐分配移相器 |
US8217848B2 (en) * | 2009-02-11 | 2012-07-10 | Amphenol Corporation | Remote electrical tilt antenna with motor and clutch assembly |
CN101826647B (zh) * | 2009-12-14 | 2014-07-09 | 京信通信系统(中国)有限公司 | 电调天线移相传动装置 |
DE102011009600B3 (de) * | 2011-01-27 | 2012-03-15 | Kathrein-Werke Kg | Mobilfunkantenne mit Multi-Strahlformeinrichtung |
CN102664310B (zh) * | 2012-05-17 | 2014-04-02 | 武汉虹信通信技术有限责任公司 | 一种高性能的二维电调天线的机械结构 |
-
2016
- 2016-03-25 WO PCT/JP2016/059663 patent/WO2016158769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03-25 CN CN201680020555.XA patent/CN107431274A/zh active Pending
- 2016-03-25 KR KR1020177027370A patent/KR101942676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7597A (ko) | 2017-10-23 |
CN107431274A (zh) | 2017-12-01 |
WO2016158769A1 (ja) | 2016-10-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766418B2 (en) | Electric retractable view device for vehicle | |
KR102090890B1 (ko) | 차량의 외부 시야 유닛을 위한 조정 기구 | |
US11383606B2 (en) | Port locking actuator device for vehicle inlet | |
KR101804955B1 (ko) | 다중 빔 형성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 | |
EP2910452A2 (en) | Steering system | |
EP2741376B1 (en) | Connector for preventing unlocking | |
KR101942676B1 (ko) | 안테나 및 이상 제어 장치 | |
US9979119B2 (en) | End-position fixing of a plug-in connection for increasing the vibration resistance | |
US10060159B2 (en) | Locking system | |
US10717389B2 (en) | Electric retractable view device for vehicle | |
DE10218505A1 (de) | Halterungsstruktur mit Kommunikationssystem zum Übertragen eines Multiplexsteuersignals zu elektrischen Fahrzeuggeräten | |
US20180105113A1 (en) | Electric retractable view device for vehicle | |
EP2592442A2 (en) | Object detection device provided with angle adjustment mechanism | |
CN108468800B (zh) | 具有释放和返回机构的致动器 | |
EP3746353B1 (en) | Improvements relating to drive units for trailers | |
US20200398685A1 (en) | Port locking actuator device for vehicle inlet | |
CN101454102A (zh) | 具有用于锯片的固定装置的往复锯 | |
US20100044194A1 (en) | Switch assembly having a mechanically actuated override | |
EP2762282B1 (en) | Cutting devices | |
JP7083353B2 (ja) | 車両インレット用ポートロックアクチュエータ装置 | |
KR101308708B1 (ko) | 충전커넥터 잠금장치 | |
CN103222025B (zh) | 用于电源电路切断装置的熔断器固定结构 | |
EP2390143B1 (en) | Connecting arrangement for an airbag module | |
EP3268175B1 (en) | Power tool with cammed throat plate | |
JP2016195324A (ja) | アンテナおよび移相制御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