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4994B1 - 회전 부재와 가이드 부재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는 페이즈쉬프터 - Google Patents

회전 부재와 가이드 부재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는 페이즈쉬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4994B1
KR100894994B1 KR1020070100539A KR20070100539A KR100894994B1 KR 100894994 B1 KR100894994 B1 KR 100894994B1 KR 1020070100539 A KR1020070100539 A KR 1020070100539A KR 20070100539 A KR20070100539 A KR 20070100539A KR 100894994 B1 KR100894994 B1 KR 100894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shaft
rotation
guide
arm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0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5315A (ko
Inventor
김지훈
오병일
노형준
Original Assignee
(주)에이스안테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스안테나 filed Critical (주)에이스안테나
Priority to KR1020070100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4994B1/ko
Priority to PCT/KR2007/005136 priority patent/WO2009044951A1/en
Priority to EP07833445A priority patent/EP2201640A4/en
Priority to US12/681,606 priority patent/US8344827B2/en
Priority to CN200780100971.1A priority patent/CN101821899B/zh
Publication of KR20090035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5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18Phase-shifters
    • H01P1/184Strip line phase-shif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18Phase-shifters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부재와 가이드 부재가 결합되어 마찰 등에 의한 손실을 감소시키는 페이즈 쉬프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 페이즈 쉬프터는 회전 부재, 제 1 회전축, 제 1 암부, 제 1 가이드 부재 및 힘 전달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회전축은 상기 회전 부재와 결합한다. 상기 제 1 암부는 상기 제 1 회전축과 연결되며, 상기 제 1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제 1 회전축의 외부 방향으로 길이 연장된다.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 1 회전축 및 상기 제 1 암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암부를 회전시킨다. 상기 힘 전달 부재는 상기 회전 부재 및 상기 제 1 회전축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를 연결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 1 암부의 일측면에는 도체인 제 1 선로가 배열된다. 상기 페이즈 쉬프터는 힘 전달 부재를 통하여 가이드 부재와 회전 부재를 연결시키므로, 구동 부재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다시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마찰 등으로 인한 힘의 손실이 감소하여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에 따른 회전력이 암부로 잘 전달될 수 있다.
페이즈 쉬프터, PHASE SHIFTER, 가이드, 유전체 기판, 회전축

Description

회전 부재와 가이드 부재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는 페이즈 쉬프터{PHASE SHIFTER WHERE A RORATION MEMBER IS COMBINED WITH A GUIDE MEMBER}
본 발명은 페이즈 쉬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 부재와 가이드 부재가 결합되어 마찰 등에 의한 손실을 감소시키는 페이즈 쉬프터에 관한 것이다.
페이즈 쉬프터는 안테나 소자와 연결되어 안테나 소자로 전송되는 신호의 위상을 가변시키는 소자로서, 일반적으로 아래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페이즈 쉬프터를 도시한 상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페이즈 쉬프터의 하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페이즈 쉬프터는 유전체 기판(100), 제 1 선로(102), 제 2 선로(104), 입력 선로(106), 출력 선로(108), 회전축(110), 암부(Arm section, 112) 및 가이드 부재(114)를 포함한다.
유전체 기판(100)은 소정 유전율을 가지는 유전체 물질로 이루어지며, 그의 하부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접지판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선로(102)는 도체로서 유전체 기판(100) 위에 형성되며, 그의 종단들은 제 1 및 2 복사 소자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2 선로(104)는 도체로서 유전체 기판(100) 위에 형성되며, 그의 종단들은 제 3 및 4 복사 소자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입력 선로(106)는 도체로서 RF 신호를 수신한다. 이렇게 수신된 RF 신호는 유전체 기판(100) 중 출력 선로(108)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1 유전체 기판 영역을 통하여 제 5 복사 소자로 출력되거나 회전축(110)에서 커플링(Coupling)된 후 유전체 기판(100) 중 암부(112)의 하부에 위치된 제 2 유전체 기판 영역으로 진행된다. 여기서, 암부(112)의 하부면에는 도체인 제 3 선로(미도시)가 형성된다. 이어서, 상기 제 2 유전체 기판 영역으로 진행된 RF 신호는 상기 제 3 선로의 종단과 제 1 및 2 선로들(102 및 104) 사이에서 커플링된 후 해당 복사 소자들로 전송된다.
출력 선로(108)는 도체로서 상기 복사 소자들로 이루어진 배열 안테나의 빔 특성을 위하여 상기 RF 신호의 위상을 변화시키지 않고 상기 RF 신호 그 자체로 상기 제 1 복사 소자로 출력시킨다.
회전축(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 휠(200)과 결합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부(112) 및 가이드 부재(114)와 연결된다. 여기서, 기어 휠(200)은 기어 웜(202)의 회전에 응답하여 회전하며, 결과적으로 상기 회전에 따른 회전력이 가이드 부재(114)를 통하여 암부(112)로 전달된다. 즉, 종래의 페이즈 쉬프터는 상기 복사 소자들로 전송되는 신호들의 위상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기어 웜(202)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원하는 횟수만큼 회전시켜서 암부(112)를 회전 시켰다.
이하, 상기 페이즈 쉬프터의 결합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겠다.
도 3은 도 1의 페이즈 쉬프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회전축(110)은 기어 휠(200)과 결합하고, 유전체 기판(100)을 관통한 상태로 암부(112) 및 가이드 부재(114)와 연결된다.
가이드 부재(114)는 회전축(110)에 연결되어 회전축(110)의 회전에 응답하여 회전하며, 가이드 기본 부재(114A), 측면부(114B), 지지부(114C) 및 돌출부(114D)를 포함한다.
가이드 기본 부재(114A)는 암부(112)의 상부면에 위치한다.
지지부(114C)는 측면부(114B)로부터 회전축(110) 방향으로 길이 연장되고, 유전체 기판(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유전체 기판(100)에 의해 지지된다.
돌출부(114D)는 가이드 기본 부재(114A)로부터 돌출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부(112)의 일부분에 삽입된다. 결과적으로, 암부(112)는 가이드 부재(114)에 고정되며, 따라서 회전축(110)의 회전시 가이드 부재(114)와 함께 회전한다.
요컨대, 종래의 페이즈 쉬프터는 위상 변화를 제어하기 위하여 기어 웜(202) 및 기어 휠(200)을 회전시켜 가이드 부재(114)를 원하는 길이만큼 회전시켰으며, 결과적으로 가이드 부재(114)에 연결된 암부(112)가 원하는 위상차만큼 회전되었다. 그러나, 상기 페이즈 쉬프터에서 기어 웜(202)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다시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기어 웜(202)과 기어 휠(200) 사이의 마찰 및 힘 전달 과정에서의 손실 등으로 인하여 상기 회전력이 암부(112)에 전달되기까지 2회전 이상의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암부로 전달되는 힘의 손실이 감소하도록 힘 전달 부재를 통하여 상기 회전 부재와 가이드 부재를 연결시키는 페이즈 쉬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즈 쉬프터는 회전 부재; 상기 회전 부재와 결합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외부 방향으로 길이 연장된 암부; 상기 회전축 및 상기 암부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암부를 회전시키는 가이드 부재; 상기 회전 부재 및 상기 회전축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가이드 부재를 연결시키는 힘 전달 부재; 및 상기 회전 부재와 상기 암부 사이에 위치하는 유전체 기판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암부의 일측면에는 도체인 제 1 선로가 배열되며, 상기 제 1 회전축은 상기 유전체 기판을 관통하고, 상기 유전체 기판의 일측면에는 도체인 제 2 선로가 배열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암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기본 부재; 상기 유전체 기판의 하면에서 상기 유전체 기판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힘 전달 부재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힘 전달 부재와 결합하는 가이드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유전체 기판을 관통하는 회전축 기본 부재; 상기 회전축 기본 부재의 종단에서 상기 회전축 기본 부재의 외부 방향으로 원형 형상을 가지고 형성된 상부 부재; 및 상기 상부 부재의 하면에 형성된 십자형 돌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기본 부재의 일측면에는 상기 십자형 돌출부를 수용하는 십자형 수용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이즈 쉬프터는 회전 부재; 상기 회전 부재와 결합하는 제 1 회전축; 상기 제 1 회전축과 연결되며, 상기 제 1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제 1 회전축의 외부 방향으로 길이 연장된 제 1 암부; 상기 제 1 회전축 및 상기 제 1 암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암부를 회전시키는 제 1 가이드 부재; 상기 회전 부재 및 상기 제 1 회전축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를 연결시키는 힘 전달 부재; 상기 제 1 회전축과 결합하는 제 2 회전축; 상기 제 2 회전축과 연결되며, 상기 제 2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제 2 회전축의 외부 방향으로 길이 연장된 제 2 암부; 및 상기 제 2 회전축 및 상기 제 2 암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 2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2 암부를 회전시키는 제 2 가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암부의 일측면에는 도체인 제 1 선로가 배열되며, 상기 제 2 암부의 일측면에는 도체인 제 3 선로가 배열된다.
상기 제 1 회전축은 제 1 회전축 기본 부재; 및 상기 제 1 회전축 기본 부재의 종단에서 상기 제 1 회전축 기본 부재의 외부 방향으로 원형 형상을 가지고 형성된 제 1 회전축 결합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회전축 결합 부재의 일측면에는 십자형 제 1 회전축 돌출부와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 삽입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회전축은 상기 제 2 회전축 기본 부재; 및 상기 제 2 회전축 기본 부재의 종단에서 상기 제 1 회전축 결합 부재와 마주보며, 원형 형상을 가지는 제 2 회전축 결합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회전축 결합 부재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 1 회전축 돌출부를 수용하는 제 1 회전축 수용부 및 상기 회전축 삽입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회전축 돌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 삽입부는 홀이다.
상기 제 1 회전축 결합 부재의 타측면에는 십자형 제 3 회전축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 3 회전축 돌출부를 수용하는 제 1 가이드 수용부가 형성된다.
상기 페이즈 쉬프터는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와 상기 제 2 암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유전체 기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 2 회전축은 상기 제 2 유전체 기판을 관통하고, 상기 제 2 유전체 기판의 일측면에는 도체인 제 4 선로가 배열된다. 또한,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 2 암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제 2 가이드 기본 부재; 및 상기 제 2 유전체 기판의 하면에서 상기 제 2 유전체 기판에 의해 지지되는 제 2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의 제 2 지지부가 수용되도록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의 종단에서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로부터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 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부 수용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의 일측면에는 제 2 가이드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의 제 2 지지부에는 상기 제 2 가이드 돌출부를 수용하는 제 2 가이드 수용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이즈 쉬프터는 회전 부재; 상기 회전 부재와 결합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외부 방향으로 길이 연장된 암부; 상기 회전축 및 상기 암부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암부를 회전시키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회전 부재 및 상기 회전축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가이드 부재를 연결시키는 힘 전달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암부의 일측면에는 도체인 제 1 선로가 배열되며, 상기 힘 전달 부재에는 상기 가이드 부재가 끼워질 수 있는 홈 또는 홀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에는 삽입부가 형성되되, 상기 힘 전달 부재의 일 종단은 상기 회전 부재 및 상기 회전축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고, 타종단은 상기 가이드 부재의 삽입부에 삽입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페이즈 쉬프터는 힘 전달 부재를 통하여 가이드 부재와 회전 부재를 연결시키므로, 구동 부재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다시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마찰 등으로 인한 힘의 손실이 감소하여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에 따른 회전력이 암부로 잘 전달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페이즈 쉬프터는 회전축을 분리형으로 구현하여 복수의 서브 페이즈 쉬프터들을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페이즈 쉬프터의 활용도가 증가되고 상기 페이즈 쉬프터를 사용할 때 사용상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페이즈 쉬프터를 도시한 상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페이즈 쉬프터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페이즈 쉬프터의 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페이즈 쉬프터의 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게다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페이즈 쉬프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페이즈 쉬프터(Phase Shifter)는 복사 소자들(미도시)에 연결되어 상기 복사 소자들로 전송되는 신호들의 위상을 변화시키는 소자로서, 유전체 기판(400), 제 1 선로(402), 제 2 선로(404), 입력 선로(406), 출력 선로(408), 회전축(410), 암부(Arm section, 412), 가이드 부재(414), 회전 부재(600) 및 힘 전달 부재(602)를 포함한다.
유전체 기판(400)은 소정 유전율을 가지는 유전체 물질로 이루어지며, 그의 하부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접지판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접지판은 유전체 기판(400)의 하부에 형성되지 않고 유전체 기판(400) 내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선로(402)는 도체로서 유전체 기판(400) 위에 예를 들어 곡선 형상을 가지고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선로(402)의 종단들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복사 소자들 중 일부(예를 들어, 제 1 및 2 복사 소자들)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2 선로(404)는 도체로서 유전체 기판(400) 위에 예를 들어 곡선 형상을 가지고 형성되며, 그의 종단들은 상기 복사 소자들 중 일부(예를 들어, 제 3 및 4 복사 소자들)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선로(404)는 제 1 선로(402)의 호 길이보다 작은 호 길이를 가지며, 따라서 제 2 선로(404)는 제 1 선로(402)보다 작은 위상 변화를 일으킨다. 예를 들어, 제 1 선로(402)의 하부에 위치하는 유전체 기판 영역을 통하여 진행되는 신호의 위상이 2θ 변화하는 동안 제 2 선로(404)의 하부에 위치하는 유전체 기판 영역을 통하여 진행하는 신호의 위상은 θ만큼 변화할 수 있다.
이러한 선로들(402 및 404)은 도 4에는 특정한 모양을 가지지 않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더 큰 위상 변화를 위해서 해당 호 부분은 빗(Comb)살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패턴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입력 선로(406)는 도체로서 RF 신호를 수신한다. 이렇게 수신된 RF 신호는 유전체 기판(400) 중 출력 선로(408)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1 유전체 기판 영역을 통하여 해당 복사 소자로 출력되거나 회전축(410)에서 커플링(Coupling)된 후 유전체 기판(400) 중 암부(412)의 하부에 형성된 제 3 선로(미도시)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2 유전체 기판 영역으로 진행된다.
출력 선로(408)는 도체로서 상기 복사 소자들로 이루어진 배열 안테나의 빔 특성을 위하여 상기 RF 신호의 위상을 변화시키지 않고 상기 RF 신호 그 자체로 해당 복사 소자로 출력시킨다.
즉, 상기 RF 신호는 위상이 변화되지 않은 채로 출력 선로(408)를 통하여 상기 복사 소자들 중 제 1 복사 소자로 출력된다. 또한, 상기 RF 신호는 회전축(410)에서 커플링된 후 상기 제 3 선로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2 유전체 기판 영역을 통하여 진행한다. 여기서, 회전축(410)에서 커플링된 신호 중 제 1 선로(402) 방향으로 진행된 신호는 암부(412)의 일 종단, 즉 상기 제 3 선로의 일 종단과 제 1 선로(402) 사이에서 커플링되고, 그런 후 제 1 선로(402)의 하부에 위치하는 유전체 기판 영역을 통하여 상기 복사 소자들 중 제 2 복사 소자 및 제 3 복사 소자로 출력된다. 또한, 회전축(410)에서 커플링된 신호 중 제 2 선로(404) 방향으로 진행된 신호는 암부(412)의 타종단, 즉 상기 제 3 선로의 타종단과 제 2 선로(404) 사이에 서 커플링되고, 그런 후 제 2 선로(404)의 하부에 위치하는 유전체 기판 영역을 통하여 상기 복사 소자들 중 제 4 복사 소자 및 제 5 복사 소자로 출력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복사 소자들로 이루어진 배열 안테나는 소정 빔 패턴을 가지며, 이러한 빔 패턴은 상기 페이즈 쉬프터의 위상 변화에 응답하여 변화된다.
회전축(410)은 암부(412) 및 가이드 부재(414)와 연결되며, 후술하는 회전 부재(600)의 동작에 따라 회전한다. 결과적으로, 암부(412)는 상기 페이즈 쉬프터의 위상 변화 범위 내에서, 즉 선로들(402 및 404)의 호 범위 내에서 회전축(41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암부(412)의 하부면에는 도체인 제 3 선로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414)는 회전축(410) 및 암부(412)와 연결되어 회전축(410)의 회전에 따른 힘을 암부(412)로 전달하며, 결과적으로 암부(412)가 상기 전달된 힘에 의해 가이드 부재(414)와 함께 회전한다.
이러한 가이드 부재(41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기본 부재(414A), 측면부(414B), 지지부(414C), 가이드 돌출부(414D) 및 측면 지지부(414E)를 포함한다.
가이드 기본 부재(414A)는 암부(412)의 상부면에서 암부(412)와 연결되며, 측면부(414B)는 암부(412)의 측면에 위치한다.
지지부(414C)는 측면부(414B)로부터 회전축(410) 방향으로 길이 연장되며, 유전체 기판(4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유전체 기판(400)에 의해 지지된다. 결과적으로, 유전체 기판(400)이 가이드 부재(414)를 지지하므로, 가이드 부재(414)는 흔들 림없이 현재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측면 돌출부(441E)는 암부(412)의 측면에 위치하여 암부(412)를 고정시키며, 회전축(410)을 통하여 제공된 힘을 암부(412)에 전달하여 암부(412)를 회전시킨다.
가이드 돌출부(414D)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414C)로부터 힘 전달 부재(602) 방향으로 길이 연장되며, 도 6에 도시된 힘 전달 부재(602) 중 삽입부(604)에 삽입되어 힘 전달 부재(602)와 결합된다. 결과적으로, 회전 부재(600)의 회전에 의해 생성되는 회전력이 회전축(410) 및 가이드 부재(414)를 통하여 암부(412)로 전달될 뿐만 아니라 힘 전달 부재(602) 및 가이드 부재(414)를 통하여서도 암부(412)로 전달된다. 여기서, 힘 전달 부재(60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부재(600), 예를 들어 기어 휠의 상부면에 연결되며, 가이드 돌출부(414D)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부(60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축(4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4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 삽입부(608)의 내부에 삽입되고, 힘 전달 부재(602)는 회전 부재(600)의 상부면에서 회전축 삽입부(608)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힘 전달 부재(602)는 회전 부재(600)가 아닌 회전축(410)에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604)는 요부 또는 홀로서, 가이드 돌출부(414D)가 결합될 수 있는 한 그의 형태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회전 부재(600)는 회전축(410)을 회전시키는 소자로서, 예를 들어 기어 휠(Gear Wheel)이다. 이 경우, 회전 부재(6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부 재(606), 예를 들어 기어 웜(Gear Worm)의 회전에 응답하여 회전한다. 즉, 사용자가 외부에서 모터 등을 이용하여 기어 웜(606)을 특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회전 부재(600)는 기어 웜(606)의 회전에 응답하여 회전하고, 상기 회전에 따른 회전력을 회전축(410) 및 힘 전달 부재(602)를 통하여 가이드 부재(414) 및 암부(412)로 전달하여 가이드 부재(414) 및 암부(412)를 회전시킨다. 물론, 회전 부재(600) 및 구동 부재(606)는 헬리컬 기어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즉 회전축(410)으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한 특별한 제한이 없다.
이하, 이러한 페이즈 쉬프터에서 각 구성 요소들의 결합 관계를 도 8을 참조하여 더 자세히 살펴보겠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410)은 회전 부재(600)와 연결되며, 유전체 기판(400)을 관통하여 가이드 부재(414)와 연결된다.
가이드 부재(414)는 가이드 기본 부재(414A), 측면부(414B), 지지부(414C) 및 가이드 돌출부(414D), 측면 돌출부(414E) 외에 암부(412)를 고정시키는 끼움부(414F) 및 텐션부(Tension section, 414G)를 더 포함한다.
끼움부(414F)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부(412)를 고정시키고 있으므로, 회전축(410)을 통하여 제공되는 회전력이 암부(412)에 더 잘 전달될 수 있다.
지지부(414C)는 유전체 기판(400)의 하부면에 의해 지지되며, 가이드 돌출부(414D)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지부(414C)로부터 연장되어 힘 전달 부재(602)와 결합한다.
텐션부(414G)는 암부(412)와 유전체 기판(400) 사이에 일정 간격이 형성되도 록 보조하여 상기 페이즈 쉬프터가 원하는 위상값을 구현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회전축(410) 및 가이드 부재(414)는 회전 부재(600)의 회전력을 암부(412)로 전달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페이즈 쉬프터와 종래의 페이즈 쉬프터를 비교하겠다.
종래의 페이즈 쉬프터는 기어 웜을 제어하여 기어 휠을 회전시키고, 상기 기어 휠의 회전에 따른 회전력을 회전축 및 가이드 부재를 통하여 암부에 전달하였다. 여기서, 상기 기어 웜이 정방향으로 회전한 후 역방향으로 다시 회전하는 경우, 상기 기어 웜과 상기 기어 휠의 마찰 및 힘 전달 과정에서의 손실 등으로 인하여 상기 암부로 전달되기까지 회전력이 많이 손실되었다. 결과적으로, 상기 기어 웜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회전력이 상기 암부로 충분하게 전달되지 못하였다.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특정 회전력을 가하여 상기 페이즈 쉬프터의 위상을 특정 각도만큼 변화시키고자 하였지만 상기 회전력의 큰 손실로 인하여 상기 위상을 정밀하게 변화시킬 수 없었다.
반면에, 본 실시예의 페이즈 쉬프터는 회전 부재(600)의 회전에 따른 회전력을 회전축(410) 및 가이드 부재(414)를 통하여 암부(412)로 전달할 뿐만 아니라 힘 전달 부재(602) 및 가이드 부재(414)를 통하여서도 암부(412)로 전달한다. 물론, 본 실시예의 페이즈 쉬프터에서도 구동 부재(606)를 이용하여 회전 부재(600)를 회전시키는 경우, 구동 부재(606)와 회전 부재(600) 사이의 마찰 및 전달 과정에서의 손실 등으로 인하여 암부(412)로 전달되는 힘의 손실이 발생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페이즈 쉬프터는 힘 전달 부재(602) 및 가이드 부재(414)를 통하여도 상기 회 전력을 암부(412)로 전달되므로, 종래의 페이즈 쉬프터에서보다 힘의 손실이 감소한다. 예를 들어, 기어 웜(606)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다시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종래의 페이즈 쉬프터에서는 2 회전 이상의 힘의 손실이 발생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페이즈 쉬프터에서는 1회전 이하의 힘의 손실이 발생하였다. 즉, 본 실시예의 페이즈 쉬프터는 종래의 페이즈 쉬프터보다 힘의 손실이 감소하였으며, 따라서 좀 더 정밀하게 위상 변화를 제어할 수 있다.
위에서는 본 실시예의 페이즈 쉬프터가 5개의 신호들을 해당 복사 소자들로 출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출력되는 신호들의 수는 구현하고자 하는 안테나 소자의 특징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이 경우, 선로들의 수 및 배열은 상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변화될 것이다.
또한, 위에서는 접지판의 전면에 유전체 기판(400)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접지판의 전면 중 일부에 유전체 기판(400)과 다른 유전체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가이드 부재(414)와 회전 부재(600)(또는 회전축(410))를 힘 전달 부재(602)를 통하여 연결시키는 한 유전체 기판 및 선로의 구조와 배열 등이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위에서는, 가이드 부재(414)의 지지부(414C)에 가이드 돌출부(414D)가 형성되고 가이드 돌출부(414D)가 힘 전달 부재(602)의 삽입부(604)로 삽입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부재에 가이드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고 힘 전달 부재가 'ㄴ'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힘 전달 부재 중 일 종단이 회전 부재에 연결되며, 타 종단이 상기 가이 드 부재의 지지부의 하면에 형성된 요부에 삽입되어 상기 힘 전달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가 결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힘 전달 부재가 상기 회전 부재(또는 회전축)와 상기 가이드 부재를 연결시키는 한 상기 힘 전달 부재의 모양이나 상기 힘 전달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또는 상기 회전축) 및 상기 가이드 부재와의 연결 방법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페이즈 쉬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페이즈 쉬프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페이즈 쉬프터는 제 1 유전체 기판(900), 제 2 유전체 기판(902), 회전축(904), 제 1 암부(906), 제 1 가이드 부재(908), 제 2 암부(910) 및 제 2 가이드 부재(912)를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의 페이즈 쉬프터는 2개의 서브 페이즈 쉬프터들을 하나로 구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서브 페이즈 쉬프터는 각기 하나의 페이즈 쉬프터로서 동작한다.
제 1 유전체 기판(900)은 제 1 유전율을 가지며, 그의 상면에는 소정 선로들이 형성된다.
제 2 유전체 기판(902)은 제 2 유전율을 가지며, 그의 상면에는 소정 선로들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유전율은 상기 제 1 유전율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회전축(904)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유전체 기판(900) 및 제 2 유전체 기판(902)을 관통하며, 회전 부재(미도시)의 회전에 따른 회전력을 가이드 부 재들(908 및 912)에 전달한다. 이러한 회전축(904)은 하나의 부재로서 형성될 수도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분리형으로서 서브 회전축들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암부(906)는 회전축(904)과 연결되며, 회전축(904)의 회전에 응답하여 회전한다. 여기서, 제 1 암부(906)의 하부에는 도체인 특정 선로가 형성된다.
제 2 암부(910)는 회전축(904)과 연결되며, 회전축(904)의 회전에 응답하여 회전한다. 여기서, 제 2 암부(910)의 하부에는 도체인 특정 선로가 형성된다.
제 1 가이드 부재(908)는 제 1 암부(906)를 고정시키며, 회전축(904)을 통하여 제공된 회전력을 제 1 암부(906)로 전달한다. 또한, 제 1 가이드 부재(908)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가이드 부재(912)가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제 2 가이드 부재(912)는 제 2 암부(910)를 고정시키며, 회전축(904)을 통하여 제공된 회전력을 제 2 암부(910)로 전달한다.
요컨대, 본 실시예의 페이즈 쉬프터는 제 1 유전체 기판(900), 제 1 암부(906) 및 제 1 가이드 부재(908)를 포함하는 제 1 서브 페이즈 쉬프터와 제 2 유전체 기판(902), 제 2 암부(910) 및 제 2 가이드 부재(912)를 포함하는 제 2 서브 페이즈 쉬프터를 공유 회전축(904)을 통하여 연결시킨다. 결과적으로, 회전축(904)이 회전하는 경우, 제 1 암부(906)와 제 2 암부(910)가 동시에 회전한다.
이하, 이러한 페이즈 쉬프터의 상세한 구성 및 구성 요소들 간의 결합 관계를 도 10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다만, 구동 부재, 회전 부재, 회전축(904) 및 힘 전달 부재(1000)의 결합 구조는 제 1 실시예의 구조와 유사하므로, 상기 페이즈 쉬 프터의 하부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가이드 부재(908)는 제 1 가이드 기본 부재(908A), 제 1 지지부(908B), 제 1 가이드 돌출부(908C), 제 1 끼움부(908D), 지지부 수용부(908E), 제 2 가이드 돌출부(908F), 제 1 텐션부(908G) 및 제 1 측면 돌출부(908H)를 포함한다.
제 2 가이드 부재(912)는 제 2 가이드 기본 부재(912A), 제 2 지지부(912B), 제 2 끼움부(912C), 제 2 텐션부(912D) 및 제 2 측면 돌출부(912E)를 포함한다.
제 1 가이드 기본 부재(908A)는 제 1 암부(906)의 상부에 위치한다.
제 1 지지부(908B)는 제 1 유전체 기판(900)의 하부에서 제 1 유전체 기판(900)에 의해 지지된다.
제 1 가이드 돌출부(908C)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힘 전달 부재(1000)의 삽입부로 삽입되며, 그 결과 회전 부재와 제 1 가이드 부재(908)가 연결된다.
제 1 끼움부(908D)는 제 1 암부(906)의 상부면에 형성된 요부에 끼워져서 제 1 암부(906)를 제 1 가이드 부재(908)에 고정시킨다. 결과적으로, 회전축(904)의 회전력이 제 1 암부(906)에 전달된다.
지지부 수용부(908E)는 제 2 가이드 부재(912)의 지지부(912B)를 수용하는 부분으로서, 지지부(912B)를 수용하는 한 형태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이렇게 지지부 수용부(908E)가 제 2 가이드 부재(912)를 수용하므로, 제 1 가이드 부재(908)를 가지는 제 1 서브 페이즈 쉬프터와 제 2 가이드 부재(912)를 가지는 제 2 서브 페이즈 쉬프터가 함께 안정적으로 연동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부재의 회전에 따른 회전력이 회전축(904) 및 제 2 가이드 부재(912)를 통하여 제 2 암부(910)로 전달될 뿐만 아니라 힘 전달 부재, 제 1 가이드 부재(908) 및 제 2 가이드 부재(912)를 통하여서도 제 2 암부(910)로 전달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회전 부재로부터 제 2 암부(910)로 전달되기까지의 힘의 손실이 감소할 수 있다.
제 2 가이드 돌출부(908F)는 지지부 수용부(908E)의 내부에서 제 2 가이드 부재(912)에 형성된 요부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 부재에 의해 발생한 회전력이 제 2 가이드 부재(912)로 잘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제 1 텐션부(908G)는 제 1 암부(906)에 밀착하여 제 1 암부(906)와 제 1 유전체 기판(900) 사이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보조한다.
제 1 측면 돌출부(908H)는 제 1 암부(906)의 측면을 지지하며, 제 1 암부(906)를 제 1 가이드 부재(908)에 고정시킨다.
제 2 가이드 부재(912)의 제 2 가이드 기본 부재(912A)는 제 2 암부(910)의 상부에 위치한다.
제 2 지지부(912B)는 제 2 유전체 기판(902)의 하부에서 제 2 유전체 기판(902)을 지지하며, 제 1 가이드 부재(908)의 지지부 수용부(908E)에 수용된다.
제 2 끼움부(912C)는 제 2 암부(910)의 상부면에 형성된 요부에 끼워져서 제 2 암부(910)를 제 2 가이드 부재(912)에 고정시킨다. 결과적으로, 회전축(904)의 회전력이 제 2 암부(910)에 전달된다.
제 2 텐션부(912D)는 제 2 암부(910)에 밀착하여 제 2 암부(910)와 제 2 유 전체 기판(902) 사이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보조한다.
제 2 측면 돌출부(912E)는 제 2 암부(910)의 측면을 지지하며, 제 2 암부(910)를 제 2 가이드 부재(912)에 고정시킨다.
요컨대, 본 실시예의 페이즈 쉬프터는 2개의 서브 페이즈 쉬프터들을 적층 형태를 가지고 구현하되, 가이드 부재들(908 및 912)을 적절하게 설정하여 상기 서브 페이즈 쉬프터들을 안정적으로 연동시키고,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에 따른 회전력을 암부들(906 및 910)로 효율적으로 전달시킨다.
위에서는, 상기 페이즈 쉬프터가 2개의 서브 페이즈 쉬프터들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3개 이상의 서브 페이즈 쉬프터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페이즈 쉬프터는 2개 이상의 서브 페이즈 쉬프터들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회전축(904)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상기 서브 페이즈 쉬프터들을 각기 분리할 수 있도록 분리형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분리형 회전축(904)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 첨부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축 중 제 1 서브 회전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축 중 제 2 서브 회전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회전축(904)은 회전 부재와 연결되고 제 1 유전체 기판(900)을 관통한 상태로 제 1 유전체 기판(900)을 회전시키는 제 1 서브 회전축(904A) 및 제 2 유전체 기판(902)을 관통한 상태로 제 2 서브 페 이즈 쉬프터를 회전시키는 제 2 서브 회전축(904B)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 1 서브 회전축(904A)과 제 2 서브 회전축(904B)은 상기 제 1 서브 페이즈 쉬프터와 상기 제 2 서브 페이즈 쉬프터 사이에서 결합된다.
이하, 서브 회전축들(904A 및 904B)을 자세히 살펴보겠다.
우선, 제 1 서브 회전축(904A)에 대하여 상술하겠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 1 서브 회전축(904A)은 제 1 회전축 기본 부재(1100) 및 제 1 회전축 결합 부재(1102)를 포함한다.
제 1 회전축 기본 부재(1100)는 상기 회전 부재와 연결된다.
제 1 회전축 결합 부재(1102)는 제 1 회전축 기본 부재(1100)의 종단에 형성되며, 예를 들어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회전축 기본 부재(1100)의 폭보다 더 넓은 폭을 가지면서 원형 형상으로 구현된다.
또한, 제 1 회전축 결합 부재(1102)의 상부면에는 회전축 돌출부(1104) 및 회전축 삽입부(1106)가 형성된다.
회전축 돌출부(1104)는 서브 회전축들(904A 및 904B) 결합시 제 2 서브 회전축(904B)의 회전축 수용부(1204)에 수용되며, 예를 들어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 형상을 가지고 구현된다.
회전축 삽입부(1106)는 서브 회전축들(904A 및 904B) 결합시 제 2 서브 회전축(904B)의 회전축 돌출부(1206)가 삽입되도록 요부 또는 홀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회전축 삽입부(1106)는 회전축 돌출부(1104)의 십자 형상들 사이에 원형 형상을 가지는 요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회전축 결합 부재(1102)의 하부면에는 도 1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 돌출부(1108)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축 돌출부(1108)는 제 1 가이드 부재(908)의 상부면에 삽입된다. 이 경우, 제 1 가이드 부재(908)의 상부면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회전축 돌출부(1108)가 삽입될 수 있도록 십자형 요부를 가진다. 이렇게 회전축 돌출부(1108)가 제 1 가이드 부재(908)와 결합하면, 회전축(904)의 회전력이 제 1 가이드 부재(908)에 더 많이 전달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제 1 회전축 결합 부재(1102)의 구조는 제 1 회전축 결합 부재(1102)와 제 2 회전축 결합 부재(1202)가 결합될 수 있는 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2 서브 회전축(904B)에 대하여 상술하겠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 2 서브 회전축(904B)은 제 2 회전축 기본 부재(1200) 및 제 2 회전축 결합 부재(1202)로 이루어진다.
제 2 회전축 기본 부재(1200)는 제 2 유전체 기판(902)을 관통하며, 제 2 암부(910)에 연결된다.
제 2 회전축 결합 부재(1202)는 제 1 회전축 결합 부재(1102)와 결합하며,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 수용부(1204) 및 회전축 돌출부(1206)를 포함한다.
회전축 수용부(1204)는 제 1 서브 회전축(904A)의 회전축 돌출부(1104)를 수용하며, 따라서 회전축 돌출부(1104)가 십자 형상을 가지므로 이에 대응하여 십자 형상을 가진다.
회전축 돌출부(1206)는 제 1 서브 회전축(904A)의 회전축 삽입부(1106)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제 2 서브 회전축(904B)의 구조는 제 1 서브 회전축(904A)과 결합될 수 있는 한 특별한 제한이 없다.
요컨대, 본 실시예의 회전축(904)은 상호 결합하는 서브 회전축들(904A 및 904B)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복수의 서브 페이즈 쉬프터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서브 회전축들(904A 및 904B)을 결합시키고, 하나의 서브 페이즈 쉬프터만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 2 서브 회전축(904B)을 제 1 서브 회전축(904A)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즉, 이렇게 회전축(904)을 분리형으로 구현하면, 본 실시예의 페이즈 쉬프터를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상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위에서는, 본 발명의 페이즈 쉬프터가 2개의 서브 페이즈 쉬프터들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3개 이상의 서브 페이즈 쉬프터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축은 상기 서브 페이즈 쉬프터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3개 이상의 서브 회전축들로 이루어질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페이즈 쉬프터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페이즈 쉬프터의 하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페이즈 쉬프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페이즈 쉬프터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페이즈 쉬프터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페이즈 쉬프터의 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페이즈 쉬프터의 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페이즈 쉬프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페이즈 쉬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페이즈 쉬프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축 중 제 1 서브 회전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축 중 제 2 서브 회전축을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12)

  1. 삭제
  2. 회전 부재;
    상기 회전 부재와 결합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외부 방향으로 길이 연장된 암부;
    상기 회전축 및 상기 암부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암부를 회전시키는 가이드 부재;
    상기 회전 부재 및 상기 회전축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가이드 부재를 연결시키는 힘 전달 부재; 및
    상기 회전 부재와 상기 암부 사이에 위치하는 유전체 기판을 포함하되,
    상기 암부의 일측면에는 도체인 제 1 선로가 배열되며, 상기 제 1 회전축은 상기 유전체 기판을 관통하고, 상기 유전체 기판의 일측면에는 도체인 제 2 선로가 배열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암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기본 부재;
    상기 유전체 기판의 하면에서 상기 유전체 기판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힘 전달 부재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힘 전달 부재와 결합하는 가이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즈 쉬프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유전체 기판을 관통하는 회전축 기본 부재;
    상기 회전축 기본 부재의 종단에서 상기 회전축 기본 부재의 외부 방향으로 원형 형상을 가지고 형성된 상부 부재; 및
    상기 상부 부재의 하면에 형성된 십자형 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기본 부재의 일측면에는 상기 십자형 돌출부를 수용하는 십자형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즈 쉬프터.
  4. 회전 부재;
    상기 회전 부재와 결합하는 제 1 회전축;
    상기 제 1 회전축과 연결되며, 상기 제 1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제 1 회전축의 외부 방향으로 길이 연장된 제 1 암부;
    상기 제 1 회전축 및 상기 제 1 암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암부를 회전시키는 제 1 가이드 부재;
    상기 회전 부재 및 상기 제 1 회전축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를 연결시키는 힘 전달 부재;
    상기 제 1 회전축과 결합하는 제 2 회전축;
    상기 제 2 회전축과 연결되며, 상기 제 2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제 2 회전축의 외부 방향으로 길이 연장된 제 2 암부; 및
    상기 제 2 회전축 및 상기 제 2 암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 2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2 암부를 회전시키는 제 2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암부의 일측면에는 도체인 제 1 선로가 배열되며, 상기 제 2 암부의 일측면에는 도체인 제 3 선로가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즈 쉬프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축은,
    제 1 회전축 기본 부재; 및
    상기 제 1 회전축 기본 부재의 종단에서 상기 제 1 회전축 기본 부재의 외부 방향으로 원형 형상을 가지고 형성된 제 1 회전축 결합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회전축 결합 부재의 일측면에는 십자형 제 1 회전축 돌출부와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회전축은,
    상기 제 2 회전축 기본 부재; 및
    상기 제 2 회전축 기본 부재의 종단에서 상기 제 1 회전축 결합 부재와 마주보며, 원형 형상을 가지는 제 2 회전축 결합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회전축 결합 부재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 1 회전축 돌출부를 수용하는 제 1 회전축 수용부 및 상기 회전축 삽입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회전축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즈 쉬프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삽입부는 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즈 쉬프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축 결합 부재의 타측면에는 십자형 제 3 회전축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 3 회전축 돌출부를 수용하는 제 1 가이드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즈 쉬프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즈 쉬프터는,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와 상기 제 2 암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유전체 기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 2 회전축은 상기 제 2 유전체 기판을 관통하고, 상기 제 2 유전체 기판의 일측면에는 도체인 제 4 선로가 배열되며,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 2 암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제 2 가이드 기본 부재; 및
    상기 제 2 유전체 기판의 하면에서 상기 제 2 유전체 기판에 의해 지지되는 제 2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즈 쉬프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의 제 2 지지부가 수용되도록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의 종단에서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로부터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 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부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즈 쉬프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의 일측면에는 제 2 가이드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의 제 2 지지부에는 상기 제 2 가이드 돌출부를 수용하는 제 2 가이드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즈 쉬프터.
  11. 회전 부재;
    상기 회전 부재와 결합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외부 방향으로 길이 연장된 암부;
    상기 회전축 및 상기 암부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암부를 회전시키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회전 부재 및 상기 회전축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가이드 부재를 연결시키는 힘 전달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암부의 일측면에는 도체인 제 1 선로가 배열되며, 상기 힘 전달 부재에는 상기 가이드 부재가 끼워질 수 있는 홈 또는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즈 쉬프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에는 삽입부가 형성되되,
    상기 힘 전달 부재의 일 종단은 상기 회전 부재 및 상기 회전축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고, 타종단은 상기 가이드 부재의 삽입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즈 쉬프터.
KR1020070100539A 2007-10-05 2007-10-05 회전 부재와 가이드 부재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는 페이즈쉬프터 KR100894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539A KR100894994B1 (ko) 2007-10-05 2007-10-05 회전 부재와 가이드 부재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는 페이즈쉬프터
PCT/KR2007/005136 WO2009044951A1 (en) 2007-10-05 2007-10-19 Phase shifter where a roration member is combined with a guide member
EP07833445A EP2201640A4 (en) 2007-10-05 2007-10-19 PHASE SLIDER IN WHICH A ROTATING MEMBER IS COMBINED WITH A LEADER
US12/681,606 US8344827B2 (en) 2007-10-05 2007-10-19 Phase shifter where a rotation member is combined with a guide member
CN200780100971.1A CN101821899B (zh) 2007-10-05 2007-10-19 旋转构件与导向构件相结合的移相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539A KR100894994B1 (ko) 2007-10-05 2007-10-05 회전 부재와 가이드 부재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는 페이즈쉬프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1362A Division KR100921951B1 (ko) 2009-03-12 2009-03-12 회전 부재와 가이드 부재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는 페이즈쉬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5315A KR20090035315A (ko) 2009-04-09
KR100894994B1 true KR100894994B1 (ko) 2009-04-24

Family

ID=40526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0539A KR100894994B1 (ko) 2007-10-05 2007-10-05 회전 부재와 가이드 부재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는 페이즈쉬프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344827B2 (ko)
EP (1) EP2201640A4 (ko)
KR (1) KR100894994B1 (ko)
CN (1) CN101821899B (ko)
WO (1) WO200904495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1905A2 (ko) * 2009-05-12 2010-11-18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안테나에 있어서 도브 테일 장치
WO2010131904A2 (ko) * 2009-05-12 2010-11-18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안테나 및 이에 포함된 트랜스포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06903A1 (zh) * 2011-07-19 2012-08-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移相器
DE102015003357A1 (de) * 2015-03-16 2016-09-22 Kathrein-Werke Kg Hochfrequenz-Phasenschieberbaugruppe
CN107431274A (zh) * 2015-03-31 2017-12-01 日本电业工作株式会社 天线以及移相控制装置
KR101586424B1 (ko) * 2015-10-23 2016-01-19 주식회사 선우커뮤니케이션 다중 편파 안테나의 위상변위기 구조
WO2017113120A1 (zh) * 2015-12-29 2017-07-06 华为技术有限公司 移相器、天线和无线通信设备
KR101766396B1 (ko) * 2017-01-17 2017-08-08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위상 변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KR101721475B1 (ko) * 2017-01-17 2017-03-30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위상 변위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KR102443048B1 (ko) * 2017-09-27 2022-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상 시프터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CN108879035B (zh) * 2018-06-28 2021-11-23 京信通信技术(广州)有限公司 介质滑动式移相器及基站天线
US10763560B2 (en) * 2019-01-18 2020-09-01 Commscope Technologies Llc Wiper support device for a phase shifter comprising a wiper support resiliently compressed between a substrate and a cover
CN111816959B (zh) * 2020-06-15 2021-07-13 华南理工大学 移相模块及具有其的移相器
CN111725630A (zh) * 2020-06-23 2020-09-2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阵列天线组件、天线模组及电子设备
CN114335930A (zh) * 2020-10-10 2022-04-12 罗森伯格技术有限公司 一种移相器组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103A (ja) 1996-06-24 1998-01-16 N T T Ido Tsushinmo Kk 移相器
KR20020070032A (ko) * 2001-02-28 2002-09-05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위상 천이 범위의 선택이 가능한 이상기
KR20050008882A (ko) * 2003-07-14 2005-01-24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전력 분배 기능을 구비한 위상 가변기
KR200438088Y1 (ko) 2007-01-11 2008-01-21 (주)에이스안테나 위상가변기의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8675A (en) * 1997-02-25 1998-08-25 Radio Frequency Systems, Inc. Continuously variable phase-shifter for electrically down-tilting an antenna
EP1208613A1 (en) * 1999-08-24 2002-05-29 Paratek Microwave, Inc. Voltage tunable coplanar phase shifters
WO2003019720A1 (en) * 2001-08-23 2003-03-06 Ems Technologies, Inc. Microstrip phase shifter
KR100817159B1 (ko) * 2004-08-20 2008-03-27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가변 이상기
US7298233B2 (en) * 2004-10-13 2007-11-20 Andrew Corporation Panel antenna with variable phase shif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103A (ja) 1996-06-24 1998-01-16 N T T Ido Tsushinmo Kk 移相器
KR20020070032A (ko) * 2001-02-28 2002-09-05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위상 천이 범위의 선택이 가능한 이상기
KR20050008882A (ko) * 2003-07-14 2005-01-24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전력 분배 기능을 구비한 위상 가변기
KR200438088Y1 (ko) 2007-01-11 2008-01-21 (주)에이스안테나 위상가변기의 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1905A2 (ko) * 2009-05-12 2010-11-18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안테나에 있어서 도브 테일 장치
WO2010131904A2 (ko) * 2009-05-12 2010-11-18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안테나 및 이에 포함된 트랜스포머
WO2010131905A3 (ko) * 2009-05-12 2011-02-24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안테나에 있어서 도브 테일 장치
WO2010131904A3 (ko) * 2009-05-12 2011-02-24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안테나 및 이에 포함된 트랜스포머
KR101605860B1 (ko) * 2009-05-12 2016-03-24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안테나에 있어서 도브 테일 장치
KR101618115B1 (ko) 2009-05-12 2016-05-04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안테나 및 이에 포함된 트랜스포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44951A1 (en) 2009-04-09
US20100219907A1 (en) 2010-09-02
EP2201640A4 (en) 2011-10-19
US8344827B2 (en) 2013-01-01
CN101821899B (zh) 2014-03-26
EP2201640A1 (en) 2010-06-30
KR20090035315A (ko) 2009-04-09
CN101821899A (zh) 201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4994B1 (ko) 회전 부재와 가이드 부재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는 페이즈쉬프터
KR101047321B1 (ko) 회전 부재와 가이드 부재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는 페이즈쉬프터
KR100960003B1 (ko) 안테나에 있어서 경사각 조정 장치
TW201310771A (zh) 圓極化開槽波導陣列
KR20140017530A (ko) 다중 빔 형성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
US11081789B2 (en) Base station antennas including wiper phase shifters
JP4528005B2 (ja) ダイポール部材を備えているようなビーム幅調節可能型かつ方位角走査型アンテナ
KR20090047015A (ko) 개선된 원편파 수신용 도파관 슬롯 배열 안테나
KR100921951B1 (ko) 회전 부재와 가이드 부재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는 페이즈쉬프터
JP4826624B2 (ja) 移相器及びアンテナ装置
JP3632079B2 (ja) 反射鏡
KR20000075389A (ko) 입력된 신호의 위상천이 및 감쇄를 위한 신호 처리장치
KR100721871B1 (ko) 임의의 직선 편파를 갖는 위성 신호 수신용 도파관 슬롯배열 안테나
CN113270721A (zh) 一种移相器、天线单元及天线
WO2010131905A2 (ko) 안테나에 있어서 도브 테일 장치
US6406315B1 (en) Mechanism for coupling of connector array
CN112736379B (zh) 基于“倒e”结构的单电路多比特移相器
US20190157753A1 (en) Antenna array with adjustable signal-feeding points
KR101150466B1 (ko) 일체형 구조 위상가변기
WO2016103670A1 (ja) アンテナ装置
US7352336B1 (en) Directive linearly polarized monopole antenna
KR101077045B1 (ko) 도전부를 이용하여 프린징 필드를 차단하는 페이즈 쉬프터
KR101010210B1 (ko) 안테나에 있어서 경사각 조정 장치 및 이에 포함된 엠이티 소자 및 알이티 소자
CN214754172U (zh) 一种移相器、天线单元及天线
KR20100122251A (ko) 안테나 및 이에 포함된 트랜스포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