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7530A - 다중 빔 형성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 - Google Patents

다중 빔 형성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7530A
KR20140017530A KR1020137019183A KR20137019183A KR20140017530A KR 20140017530 A KR20140017530 A KR 20140017530A KR 1020137019183 A KR1020137019183 A KR 1020137019183A KR 20137019183 A KR20137019183 A KR 20137019183A KR 20140017530 A KR20140017530 A KR 20140017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output
drive
drive member
communication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9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4955B1 (ko
Inventor
랄프 핸취
슈테판 베르거
Original Assignee
카트라인-베르케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트라인-베르케 카게 filed Critical 카트라인-베르케 카게
Publication of KR20140017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7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3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 H01Q3/32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by mechan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 F16H37/02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 F16H37/06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005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remotely controlled antenna positioning or scan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 F16H37/02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 F16H37/06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 F16H37/065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빔 형성 장치(100, 200)를 구비하는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1)와 관련이 있으며, 이때 상기 다중 빔 형성 장치는 구동 가능한 구동 부재(110, 210)(drive element), 적어도 두 개의 아웃풋(output), 적어도 두 개의 이상기(20)(phase shifter) 및 전환 장치(changeover device)를 구비하며, 이 경우 상기 구동 부재(110, 210)는 드라이브 샤프트(111)(drive shaft)를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아웃풋은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에 대하여 실제로 평행한 아웃풋 샤프트(121, 221)(output shaft) 및 상기 아웃풋 샤프트(121, 221)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 연결된 아웃풋 기어(122, 222)(output gear)를 각각 하나씩 구비하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이상기(20)는 각각 하나의 구동 장치(10)를 통해서 상기 각각 하나의 아웃풋에 기능적으로 결합 되고, 상기 전환 장치에 의해서는 상기 구동 부재(110, 210)가 선택적으로 상기 아웃풋 기어(122, 222) 중에 적어도 하나의 아웃풋 기어에 기능적으로 결합 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빔 형성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 {MOBILE RADIO ANTENNA COMPRISING A MULTI BEAM FORMING DEVICE}
본 발명은 다중 빔 형성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다중 빔 형성 장치에 의해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 내부에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이상기(phase shifter)가 작동될 수 있다.
빔 형성 장치는 특히 이동 무선 통신 기술에 사용되는데, 다시 말하자면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의 키 소스(key source)를 자체 복사각(angle of radiation)에 대해 상이하게 설정하기 위하여 이동 무선 통신 기지국에서 사용된다. 상기 복사각(통상적으로는 "다운 틸트(down tilt)"로도 불림)에 따라서 관련 이동 무선 통신 셀이 상이한 크기로 조명되고 설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빔 형성 장치는 통상적으로 RET-유닛으로서 언급되는데, 다시 말하자면 이러한 빔 형성 장치는 예를 들어 WO 02/061877 A2호에 공지된 바와 같이 소위 "리모트 일렉트리컬 틸트(remote electrical tilt)"-장치로서 언급된다. 그러나 빔 형성 장치에 의해서는, 예를 들어 이상기의 상이한 설정에 의해서 상이한 다운-틸트-각이 고도 방향(elevation direction)으로 설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특히 다수의 열(column)을 갖는 안테나 어레이에서는 예를 들어 이상기를 사용해서 안테나 설비의 조준(boresight) 및 그와 더불어 키 소스가 수평 방향으로,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상이한 방위각(azimuth angle)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빔 형성 장치에 의해서는, 안테나 설비의 조준이 고도 방향으로 그리고/또는 방위 방향으로 상이하게 정렬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주 로브(main lobe)의 반치 빔폭(half power beam width)을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기 위하여 빔의 폭도 방위 방향으로뿐만 아니라 고도 방향으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그와 마찬가지로, 안테나의 기계적인 각을 위한 설정, 즉 "롤(roll)", "핏치(pitch)" 및 "요(yaw)"를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말로 설명하자면, 앞에서 공지된 안테나들은 일반적으로 안테나용으로 제공된 기계식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안테나 하우징의 하부 장착 플랜지(montage flange)에 소위 RET-유닛이 설치될 수 있도록 구현되었으며, 이 경우 상기 RET-유닛은 전자 장치 이외에 모터까지도 구비하고, 상기 모터는 기계적인 변환을 통해서 안테나 내부에 집적된 이상기를 가동시킨다. 이와 같은 구현에 의해서 달성되는 위상 변동은 빔 특성에, 다시 말하자면 안테나의 다운-틸트-각에 직접적으로 작용을 미친다.
상기와 같은 RET-유닛에 의해서는 원칙적으로 다중 안테나 설비의 빔 특성이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RET-모터는 안테나의 조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수직 방향으로 (다시 말해 상이한 다운-틸트 각을 설정하기 위하여 고도 방향으로) 뿐만 아니라 그리고 또한 주 로브의 반치 빔폭을 설정하기 위하여 수평 방향으로도 (다시 말해 방위 방향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사이트-셰어링-시나리오(Site-Sharing-Scenario)(이 시나리오에서는 네트워크 조작자가 일 현 위치를 분배함)에 의해 기인하여 그리고 소위 코-사이팅-시나리오(Co-Siting-Scenario)(이 시나리오에서는 네트워크 조작자가 일 현 위치에서 경우에 따라 상이한 이동 무선 통신 발생 혹은 이동 무선 통신 기술의 다수의 기지국을 조작함)에서는 각각의 현 위치마다 점점 더 많은 개수의 안테나가 설치된다. 늦어도 UMTS의 도입 이후로는 다수의 설치된 안테나가 궁극적으로 안테나의 빔 특성을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시스템에 의해서 보완된다. 이와 같은 시스템으로서는 하강 각을 원격 제어하여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전술된 RET-구성이 사용된다.
WO 2009/102775 A2호에는 예를 들어 다중-RET-장치의 형태로 형성된 다중 빔 형성 장치가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장치는 이를 통해 예를 들어 세 개의 별도의 안테나 어레이를 가동할 수 있기 위하여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는 세 개의 설정 축을 구비한다. 전체 구조를 단순화하기 위하여 세 개의 모든 빔 형성 장치에 대하여 공통된 하나의 제어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된다.
또한, WO 2009/102774 A2호에는 마찬가지로 안테나 장치를 가동하기 위한 상응하는 입력- 및 출력 축을 구비하는 다중 빔 형성 장치도 공지되어 있다. 상기 장치에서는 비교적 용이한 방식으로 이상기-제어 버튼을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기 위하여 구동 장치의 직류 모터를 이상기-설정 샤프트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제안되었다.
상기 선행 기술에서의 공통점은, 각각의 대역의 다중-대역-안테나에 하나의 "싱글-RET-액추에이터"가 장착되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안테나를 가동시키기 위해서는 각각의 안테나를 위한 안테나 어레이 내부에 입력- 혹은 가동 축이 반드시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선행 기술을 배경으로 하는 본 발명의 과제는, 적어도 두 개의 대역에서 방출 작용을 하는 일 안테나에서 혹은 다수의 안테나에서 빔 특성들이 각각의 현 위치에서 종래의 해결책에 비해 개선된 및 특히 단순화된 방식으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는, 다중 빔 형성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를 위한 한 가지 개선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안테나 정면에서 가급적 적은 공간이 사용되어야만 하는데, 그 이유는 상기 안테나 정면에 이미 예를 들어 다수의 동축 플러그(coaxial plug)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이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른 청구항 1에 기재된 특징들에 상응하여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재현되어 있다.
본 발명의 틀 안에서는 다중 빔 형성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의 선행 기술에 비해 훨씬 더 바람직한 한 가지 해결책이 제안되며, 이와 같은 해결책에서는 예를 들어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의 정면에 단 하나의 구동 부재 및 상황에 따라서는 조정 구동 부재가 제공된다. 전동기를 구비하는 다중 빔 형성 장치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의 형상에서는 안테나 정면에 단 하나의 드라이브 인터페이스 및 전환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하나의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가 하나의 다중 빔 형성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제안되었으며, 이 경우 상기 다중 빔 형성 장치는 드라이브 샤프트(drive shaft)를 갖춘 구동 가능한 구동 부재를 구비한다. 더 나아가 상기 다중 빔 형성 장치는 적어도 두 개의 아웃풋을 구비하며, 상기 아웃풋들은 각각 드라이브 샤프트에 대하여 실제로 평행한 아웃풋 샤프트를 하나씩 그리고 상기 아웃풋 샤프트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 연결된 아웃풋 기어를 하나씩 구비한다.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 내부에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이상기는 각각 하나의 구동 연결부를 통해서 상기 아웃풋들 중에 일 아웃풋에 각각 기능적으로 결합 된다. 상기 다중 빔 형성 장치는 또한 전환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전환 장치에 의해서는 상기 구동 부재가 선택적으로 상기 아웃풋 기어들 중에 일 아웃풋 기어에 기능적으로 결합 될 수 있다.
한 가지 상응하는 다중 빔 형성 장치는 매우 콤팩트하게 구성되는데, 그 이유는 적어도 두 개의 아웃풋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단 하나의 구동부만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다중 빔 형성 장치의 콤팩트한 치수 설계로 인해 상기 다중 빔 형성 장치는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의 안테나 정면에 우수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중 빔 형성 장치는 외부로부터 수동으로 혹은 기계식으로도 작동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작동 가능성에 의해서는 상기 다중 빔 형성 장치가 상대적으로 적은 에러- 및 고장 발생 가능성을 갖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 상기 전환 장치가 전환 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전환 기어는 구동 기어 및 드라이브 샤프트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 연결되어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전환 기어가 전환 장치에 의해 드라이브 샤프트 상에서 병진 운동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구동 부재는 두 개 아웃풋 기어 중에 적어도 하나의 아웃풋 기어에 기능적으로 결합할 수 있게 된다.
그로 인해 본 발명에서는 전환 기어와 드라이브 샤프트 사이에서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되었지만 이동이 가능한 연결부가 형성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드라이브 샤프트는 구동 부재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에서는 비-원 대칭의 횡단면 형상을 갖게 되며, 그리고 전환 기어는 중앙에 전환 기어 개구를 갖게 되고, 상기 전환 기어 개구는 드라이브 샤프트의 횡단면 형상에 상응한다. 그럼으로써, 상기 전환 기어는 드라이브 샤프트와 단단히 연결되지만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의 세로 연장부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응하게 형성된 한 가지 빔 형성 장치는 작은 직경을 가지며, 그 결과 상기 빔 형성 장치는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의 안테나 정면에서 적은 공간 소비를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빔 형성 장치에 의해서는 전환 기어가 상응하는 두께를 갖는 경우에 다수의 아웃풋 샤프트 및 그와 더불어 다수의 이상기가 동시에 가동될 수도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전환 기어는 다수의 아웃풋 기어에 동시에 기능적으로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일 실시 예에서, 아웃풋 샤프트들은 정면을 투영했을 때 원 섹션 상에서 원 중심으로서의 드라이브 샤프트 둘레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아웃풋 샤프트 및 아웃풋 기어는 드라이브 샤프트 둘레에 나선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적어도 두 개의 아웃풋이 또한 각각 적어도 하나의 제 2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기어가 개별 아웃풋 샤프트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제 2 기어는 하나 또는 다수의 평면에 배치되게 되며, 그로 인해 전환 기어는 적어도 두 개의 제 2 기어에 동시에 기능적으로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의 한 가지 상응하는 형상은 특히 콤팩트하게 구성되는데, 그 이유는 아웃풋 샤프트 및 아웃풋 기어가 드라이브 샤프트 둘레에 나선형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의 한 가지 상응하는 형상은 아웃풋 샤프트의 소위 "중앙 로킹"을 가능하게 하는데, 그 이유는 전환 기어가 모든 아웃풋 기어에 기능적으로 결합 되는 한 가지 위치를 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모든 아웃풋 기어와 전환 기어의 기능적인 결합으로 인해, 개별 아웃풋 기어들은 또한 서로 기능적으로 결합 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결합 상태는 개별 아웃풋 샤프트의 상호 안정화를 유도한다. 다른 한 편으로 예를 들어 구동 부재를 구동시키기 위해 전동기가 사용되면, 모든 아웃풋 기어와 전환 기어의 기능적인 결합에 의해서 상기 전동기의 정지 토크(holding torque)로 인해 개별 아웃풋 샤프트들이 동시에 회전하게 되는 상황이 피해질 수 있다. 제 2 기어들은 또한 다수의 평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자면, 적어도 두 개의 제 2 기어가 아웃풋 샤프트에 대하여 수직으로 방향 설정된 하나의 평면을 규정하게 된다. 구동 부재가 하나의 공통 평면에 배치된 제 2 기어에 기능적으로 결합 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이상기의 임의의 조합들을 동시에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전술된 구동 부재 및/또는 전환 기어 및 아웃풋 기어는 톱니 기어로서 형성되었으며, 이 경우 상기 구동 부재 및/또는 상기 전환 기어 및 아웃풋 기어들의 개별 톱니들은 양면에 챔퍼(chamfer)를 갖는다. 톱니 기어들의 상응하는 형상에 의해 톱니 기어들이 서로 간단히 맞물림 결합 될 수 있음으로써, 개별 기어들의 상호 로킹이 피해지게 된다.
바람직하게 전환 기어 및 아웃풋 기어들의 톱니들의 개별 톱니 정면도 양면에 챔퍼를 갖는다. 개별 톱니 정면들의 상응하는 형상에 의해서 전환 기어의 이동시에 상기 전환 기어 및 관련 아웃풋 기어가 상호 정렬될 수 있도록 보증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전환 기어 및 상기 아웃풋 기어는 서로 신뢰할만하게 맞물리게 된다.
바람직한 추가의 일 실시 예에서, 전환 장치는 구동 부재에 기능적으로 결합 되어 있고 전환 장치에 의해서 움직일 수 있는 전환 기어를 구비한다. 전환 기어의 움직임에 의해서는 구동 부재가 상기 전환 기어를 통해서 적어도 두 개의 아웃풋 기어 중에 일 아웃풋 기어에 기능적으로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구동 부재는 예를 들어 단지 드라이브 샤프트만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전환 기어는 드라이브 샤프트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개별 구동부가 선형으로 배열된 경우에는 전환 기어가 선형으로 움직임으로써, 다시 말하자면 이동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전환 기어는 직선상에 배치된 아웃풋 기어들 중에 일 아웃풋 기어에 기능적으로 결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다른 한 편으로 개별 아웃풋 샤프트 및 아웃풋 샤프트 상에 배치된 아웃풋 기어들이 일 원 섹션 상에 배치된 경우에는 전환 기어가 선회 중심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선회 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 전환 기어가 선회할 때에 중심이 되는 상기 선회 중심은 개별 아웃풋 샤프트들이 배치되어 있는 상기 원 섹션의 원 중심이다. 이 경우에 상기 전환 기어는 유성 기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의 상응하는 일 실시 예는 특히 평탄하게 구성되며, 더 나아가 구동 연결부를 위해서 예를 들어 커넥팅 로드 혹은 보덴 케이블(bowden cable)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실시 예가 병진 방식의 힘 전달을 위해서 특히 적합하다.
바람직하게 다중 빔 형성 장치는 또한 구동 부재 및/또는 조정 구동 부재를 구동시키기 위해서 형성된 전동기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중 빔 형성 장치는 바람직하게 모터가 구동 부재에 또는 조정 구동 부재에 기능적으로 결합 되도록 하기 위해서 형성된 클러치도 구비한다.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의 상응하는 일 형상에 의해서는, 다중 빔 형성 장치의 구동을 위해서 혹은 전환을 위해서 단 하나의 전동기만이 필요하다.
그와 마찬가지로 상기 다중 빔 형성 장치는 클러치를 절약하면서 두 개의 액추에이터, 다시 말해 드라이브 인터페이스를 움직이기 위한 하나의 액추에이터 및 전환 인터페이스를 움직이기 위한 하나의 액추에이터를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이동 통신 안테나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빔 형성 장치의 일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다중 빔 형성 장치의 부분을 하우징 없이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다중 빔 형성 장치의 부분을 하우징 없이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드라이브 샤프트의 사시도이고;
도 6a 내지 도 6b는 전환 기어의 사시도이며;
도 7은 시프터(shifter)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다중 빔 형성 장치의 구동 열(drive train) 및 전환 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두 개의 구동부를 구비하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빔 형성 장치의 한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네 개의 구동부를 구비하는 다중 빔 형성 장치의 일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a, 도 11b 및 도 11c는 톱니 기어의 정면도, 측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 12는 소위 "중앙 로킹 장치"를 구비하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빔 형성 장치의 일 부분에 대한 일 변형 예이며;
도 13a, 도 13b 및 도 13c는 소위 중앙 로킹 장치를 구비하는 다중 빔 형성 장치의 도 12에 도시된 부분을 하우징 없이 도시한 측면도, 전방 정면도 및 후방 정면도이고;
도 14a 내지 도 14d는 제동 장치가 활성화된 그리고 제동 장치가 비활성화된 본 발명의 추가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빔 형성 장치의 일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빔 형성 장치의 일 부분이 그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안테나 하우징의 일 부분 혹은 하우징의 일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6은 선회 장치를 구비하는 도 15에 도시된 하우징 부분의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17은 도 14a 내지 도 14d 그리고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대하여 변형된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때 상기 선회 장치는 직접 구동된다.
도 1은 다중 빔 형성 장치(100, 200)가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1)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1)의 하부 에지 영역에는 하우징(30)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은 구동 부재(110, 210) 및 조정 구동 부재(134) 혹은 로킹 볼트(250)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 부재(110, 210) 및 상기 조정 구동 부재(134) 혹은 상기 로킹 볼트(250)는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1)의 외부로부터 작동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0)의 내부는 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구동 부재(110, 210) 및 조정 구동 부재(134) 혹은 로킹 볼트(250)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혹은 구동시키기 위해서 형성된 전동기가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1)에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구동 부재(110, 210) 및 상기 조정 구동 부재(134) 혹은 상기 로킹 볼트(250) 대신에 대안적으로는 드라이브 인터페이스 및 전환 인터페이스도 하우징(30)에 제공될 수 있다.
하우징(30)으로부터는 도 1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아웃풋 인터페이스(124)가 외부로 돌출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1)의 예에서 상기 아웃풋 인터페이스(124)에는 여섯 개의 구동 연결부(10)가 기능적으로 결합 되어 있다. 상기 여섯 개의 구동 연결부(10)는 자신의 마주 놓인 개별 단부들에서 여섯 개의 이상기(20)에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개별 이상기(20)는 - 도시된 바와 같이 - 예를 들어 웜(worm)의 형태로 형성된 조정 부재 혹은 작동 부재를 각각 하나씩 구비한다. 더 나아가 상기 개별 이상기(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 기어의 형태로 형성된 전달- 및/또는 설정 장치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개별 구동 연결부(10)는 바람직하게 유연한 하나의 축 또는 유연한 하나의 샤프트로 이루어지지만, 아웃풋 인터페이스(124)로부터 이상기(20)의 연결 인터페이스까지의 연결을 보증하기 위하여 상기 유연한 개별 축(10) 또는 유연한 샤프트(10)가 강성의 샤프트- 및 축 섹션으로 이루어지도록 그리고 상기 유연한 개별 축(10) 또는 유연한 샤프트(10)가 각각 탄성적인 또는 유연한 축- 또는 샤프트 중간 섹션, 카아던 조인트(cardan joint) 등으로 보완 되도록 설계 및 형성될 수도 있다. 힘- 혹은 토크 전달의 필수적인 방향 변경을 위해서 예컨대 베벨 기어, 중간 기어와 같은 기어 단이 제공되는 경우에는, 단지 강성의 샤프트 섹션으로만 이루어진 구동 연결부의 구현도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구동 연결부(10)는 또한 튜브 형태의 피복 내부에서 케이블 윈치가 스프링 장치의 힘에 대항하여 세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되는 일종의 보덴 케이블-장치(10)일 수도 있다.
하우징(30)은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1) 내부에서 실시 예에 도시된 것보다 더 위에, 중간에 또는 심지어 상기 안테나(1)의 상부 영역에 제공될 수도 있다. 그와 동시에 하우징(30) 및 구동 부재(110, 210)와 조정 구동 부재(134, 250) 사이에 상응하는 길이의 샤프트 섹션들이 삽입되면, 상기 샤프트 섹션들은 안테나(1)의 하부 면으로부터 접근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 경우에는 구동 연결부(10) 중에 몇몇 또는 모든 구동 연결부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하우징(30)의 다른 측에, 예컨대 하부 면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1)는 단 하나의 구동 부재(110, 210) 및 조정 구동 부재(134) 혹은 로킹 볼트(25)를 구비하며, 상기 로킹 볼트에 의해서는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여섯 개의 이상기(20)가 작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30)의 내부가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내부 부재는 반드시 하우징(30) 내에 배치될 필요가 없으며, 오히려 대안적으로는 직접 안테나 하우징 내부에, 다시 말해 직접 레이돔(radome)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시된 각각의 도면에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동일한 컴포넌트 혹은 동일한 특징을 지시하기 때문에, 앞에서 이미 기술된 설명을 반복하는 설명은 피하도록 할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중 빔 형성 장치(100)의 하우징(30)의 내부는 구동 부재(110)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 부재는 예를 들어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1)의 외부로부터 작동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부재(110)는 바람직하게 구동 톱니 기어(110)의 형상을 가질 수 있는 구동 기어(110)의 형태로 형성되었다. 상기 구동 부재(100)는 예를 들어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전동기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동기는 안테나 하우징 내부에 또는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부재(110)는 드라이브 샤프트(111)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 연결되어 있다.
더 나아가 하우징(3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다섯 개의 아웃풋을 구비하며, 상기 아웃풋들은 드라이브 샤프트(111)에 대하여 실제로 평행한 아웃풋 샤프트(121) 및 상기 아웃풋 샤프트(121)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 연결된 아웃풋 기어(122)를 각각 하나씩 구비한다. 도 3 및 도 4에서 아웃풋 샤프트(121) 및 아웃풋 기어(122)의 할당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 3 및 도 4에서 아웃풋 기어(122)에는 도면 부호 122a 내지 122e가 제공되고, 아웃풋 샤프트(121)에는 도면 부호 121a 내지 121e가 제공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도 4의 투시도와 도 3의 측면도 사이에서 정확한 할당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각각의 아웃풋 샤프트(121a 내지 121e)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구동 연결부(10)에 의해 개별 이상기(20)에 기능적으로 결합 된 개별 아웃풋 인터페이스(124a 내지 124e) 내에서 끝난다.
더 나아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빔 형성 장치(100)의 하우징(30) 내부는 전환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전환 장치는 조정 구동 부재(134) 및 상기 조정 구동 부재(134)와 상호 작용을 하고 나선형 스핀들(135)로서 형성된 조정 장치(135)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전환 장치는 시프터(136)로서 형성된 슬라이드(136)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의 한 단부에서는 전환 기어(131)가 상기 시프트(136)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시프터(136)는 내부에 나선을 갖는 관통 보어(137)를 구비하며, 상기 내부 나선은 상기 나선형 스핀들(135)의 나선과 상호 작용을 하도록 형성되었다. 상기 시프터(136)는 상기 관통 보어(137)의 내부 나선을 통해서 상기 나선형 스핀들(135)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환 기어(131)는 재차 구동 부재(110) 및 드라이브 샤프트(111)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 연결되었고, 드라이브 샤프트(111)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시프터(136)는 조(136a 및 136b)(jaw)의 단부에 두 개의 원통형 비틀림 방지 장치(138)를 구비하며, 상기 비틀림 방지 장치는 드라이브 샤프트(111)를 구비한다. 상기 비틀림 방지 장치에 의해서는 시프터(136)가 나선형 스핀들(135)에 대하여 비틀리는 현상이 방지되며, 이와 같은 방지 효과에 의해서 시프터(136)는 상기 나선형 스핀들(135)의 회전 운동 중에 병진 운동을 실행하게 된다.
조정 구동 기어(134)로서 형성된 조정 구동 부재(134)의 작동 혹은 회전에 의해서 상기 조정 구동 부재(134)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 연결된 나선형 스핀들(135)이 회전된다. 나선형 스핀들(135)의 이와 같은 회전 운동은 시프터(136)의 병진 운동으로 변환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나선형 스핀들(135)의 회전 운동은 전환 기어(131)의 병진 운동으로 변환된다.
나선형 스핀들(135) 대신에 망원경 장치도 조정 장치(135)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조정 장치의 단부에 시프터(136) 혹은 슬라이드(136)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응하는 망원경 장치가 전동식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조정 구동 부재(134)도 전동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전환 기어(131)에 마주 놓인 상기 시프터(136)의 단부에서는 지시기 장치(139)가 시프터(136)에 고정되어 있다. 핀 혹은 막대(shaft)로서 형성된 상기 지시기 장치(139)는 하우징(30)의 개구를 통해서 외부 면으로 돌출하고, 상기 개구에 의해서 지지가 되며, 그로 인해 시프터(136)의 회전을 저지하게 된다. 하우징(30)에 대한 또는 안테나 하우징에 대한 상기 지시기 장치(39)의 위치를 참조해서 전환 기어(131)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아웃풋 기어(122a 내지 122e) 중에 어느 아웃풋 기어가 전환 기어(131)에 기능적으로 결합 되는지가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지시기 장치(139)가 또한 전자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정보는 시프터(136) 및 그와 더불어 전환 기어(131)의 위치를 통해서 전자식 처리 유닛으로 출력될 수 있게 된다.
제 1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빔 형성 장치(110)의 하우징(30) 내부에 대한 전방 투시도인 도 4로부터는 개별 아웃풋 기어(122a 내지 122e)가 투영적으로 겹쳐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도 3으로부터는, 개별 아웃풋 기어(122a 내지 122e)가 하우징의 정면으로부터 상이한 간격을 가짐으로써 결국에 개별 아웃풋 기어(122a 내지 122e)가 서로 접촉하지 않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응하는 하나의 장치는 특히 공간 절약적인데, 그 이유는 아웃풋 기어들이 투영적으로 서로 중첩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본 발명은 아웃풋 기어(122) 및 아웃풋 샤프트(121)의 상응하는 배열에 한정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각각 상호 분리된 아웃풋 샤프트들이 하나의 공통된 축 선을 따라서 배치될 수 있고, 전환 기어가 상기 아웃풋 샤프트들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드라이브 샤프트 상에서 이동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전환 기어는 아웃풋 기어들 중에 적어도 하나의 아웃풋 기어에 선택적으로 기능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아웃풋 샤프트는 예를 들어 탄성적인 구동 연결부를 통해서 또는 편향 장치를 구비하는 구동 연결부를 통해서 개별 이상기에 기능적으로 결합 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부재(110)로부터 아웃풋 인터페이스(124a 내지 124e) 중에 일 아웃풋 인터페이스로의 힘 전달 혹은 토크 전달은 구동 부재(110)의 구동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구동 부재는 드라이브 샤프트(111)를 통해서 전환 기어(131)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환 기어(131)뿐만 아니라 상기 아웃풋 기어(122a 내지 122e)도 톱니 기어로서 형성되었다. 상기 전환 톱니 기어(131)가 아웃풋 기어(122a 내지 122e) 중에 일 아웃풋 기어와 맞물리면, 구동 부재(110)에 작용을 하는 힘 혹은 작용을 하는 토크가 상응하는 아웃풋 샤프트(121a 내지 121e)로 전달된다.
도 2 및 도 4로부터는 아웃풋 샤프트(121a 내지 121e)가 정면 투시에서 원 중심으로서의 드라이브 샤프트(111) 둘레에 배치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개별 아웃풋 기어(122a 내지 122e)가 하우징(30)의 정면으로부터 혹은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 하우징의 정면으로부터 공간적으로 변위 되었기 때문에, 개별 아웃풋 기어(122a 내지 122e)는 나선형 레일 상에서 드라이브 샤프트(111) 둘레에 배치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에서 전환 기어(131)는 개별 아웃풋 기어(122a 내지 122e)의 간격으로 인해 상기 아웃풋 기어(122a 내지 122e) 중에 단 하나의 아웃풋 기어만이 각각 상기 전환 기어(131)에 기능적으로 결합 될 정도의 폭을 갖는다. 하지만, 대안적으로 전환 기어(131)는 상기 전환 기어가 두 개 또는 다수의 아웃풋 기어(122)에 기능적으로 결합 될 정도의 폭을 가질 수도 있다.
*도 5는 아웃풋 샤프트(111)의 등축도(isometrical drawing)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아웃풋 샤프트(111)는 자신의 세로 측에서 구동 부재(110)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에 두 개의 그루우브(112)를 구비한다. 도 6에 도시된 전환 기어(131)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전환 기어(131)는 전환 기어 개구(132) 내부에 두 개의 스프링(133) 혹은 두 개의 장부(tenon)를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 혹은 장부는 드라이브 샤프트(131)의 그루우브(112) 내부에 삽입 결합 될 수 있다. 결국, 전환 기어(131)와 드라이드 샤프트(111) 사이에서는 그루우브-스프링-연결부가 생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환 기어(131)는 드라이브 샤프트(111)의 횡단면 형상에 상응하는 전환 기어 개구(132)를 갖게 되고, 상기 전환 기어(131)는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111)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 연결되어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111)의 세로 연장부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전환 기어의 양 정면에는 원통형의 돌출부(140)가 형성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상기와 같은 형상은 전환 기어(131)와 드라이브 샤프트(111) 간에 이루어지는 일체로 회전하는 고정 연결을 위해서 충분하며, 이 경우에는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111)가 구동 부재(110)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에서 비-원대칭의 횡단면 형상을 갖도록 그리고 상기 전환 기어가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111)의 횡단면 형상에 상응하는 전환 기어 개구(132)를 중앙에 구비하도록 상기 전환 기어(131)가 드라이브 샤프트(111)에 대하여 이동 가능해야만 한다. 결국, 예를 들어 드라이브 샤프트(111)는 상기 구동 부재(110)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에서 타원형의 형상을 갖게 된다. 그에 상응하게 전환 기어의 전환 기어 개구(132)도 타원형의 형상을 가져야만 한다.
도 7은 시프터(136)의 사시도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시프터(136)는 내부 나선을 갖는 관통 개구(137)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시프터(136)는 전환 기어(131) 쪽을 향하는 단부에 비틀림 방지 장치(138) 혹은 수용부(138)를 구비하며, 상기 비틀림 방지 장치 혹은 수용부는 전환 기어(131)에 있는 원통형의 돌출부(140) 및 드라이브 샤프트와 상호 작용을 하여 상기 시프터(136)가 나선형 스핀들(135)에 대하여 비틀리는 현상을 방지해준다. 상기 수용부(138)는 드라이브 샤프트(111) 및 전환 기어가 회전시에 상기 수용부(138)에 의해서 방해를 받지 않도록 전환 기어의 돌출부(140)에 올려진다. 상기 수용부(138)는 시프터(136)의 두 개의 조(136a 및 136b)에 형성되어 있다. 전환 기어(131)가 시프터(136)의 두 개의 조(136a와 136b) 사이에 위치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전환 기어(131)는 상기 시프터(136)의 병진 운동에 의해서 드라이브 샤프트(111)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빔 형성 장치(100) 내에 있는 전환 장치의 일 조립 예를 보여주고 있다. 드라이브 샤프트(111)는 구동 부재(100)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 연결되어 있다.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111) 상에서 전환 기어(131)는 드라이브 샤프트(111)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 연결되어 있다. 전환 기어 개구(132) 내부에 있는 스프링(133) 혹은 장부(133)가 드라이브 샤프트(111)의 그루우브(112) 내부에 삽입 결합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전환 기어(131)는 드라이브 샤프트(111)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전환 기어(131)는 시프터(136)의 조(136a와 136b)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시프터(136)의 관통 개구(137)를 통해서 나선형 스핀들(135)이 돌출한다. 상기 시프터(136)가 전환 기어 돌출부(140) 및 드라이브 샤프트(111)와 상호 작용을 하는 비틀림 방지 장치(138) 때문에 나선형 스핀들(135)에 대하여 비틀릴 수 없기 때문에, 상기 나선형 스핀들(135)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 연결된 조정 구동 부재(134)의 회전에 의해서는 상기 나선형 스핀들(135)의 회전 운동이 시프터(136)의 병진 운동으로 변환된다. 이와 같은 시프터(136)의 병진 운동은 전환 기어(131)로 전달된다. 수용부(138)에 마주 놓인 상기 시프터(136)의 측에서는 핀의 형태로 형성된 지시기 장치(139)가 시프터(136)에 연결되어 있다.
도 9에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장치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서는 상기 장치에 두 개의 아웃풋이 부가되어 있다. 두 개의 아웃풋 샤프트(121)가 드라이브 샤프트(111)에 대하여 그리고 나선형 스핀들(135)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아웃풋 샤프트(121) 상에서는 각각 하나의 아웃풋 기어(122)가 아웃풋 샤프트(121)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 연결되어 있다. 전환 기어(131)가 전술된 전환 장치에 의해 이동함으로써, 상기 전환 기어(131)는 임의의 일 아웃풋 기어(122)에 기능적으로 결합 된다.
도 10은 도 9에서와 동일한 장치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10에서는 두 개의 아웃풋에 두 개의 추가 아웃풋이 부가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장치 내에는 총 네 개의 아웃풋이 제공된다. 조정 구동 부재(134)의 작동에 의해서, 전환 기어(131)는 임의의 일 아웃풋 기어(122)에 기능적으로 결합 될 수 있다.
도 11a, 도 11b 및 도 11c는 바람직하게 형성된 톱니 기어의 상이한 관점들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톱니 기어는 구동 부재(110)로서, 아웃풋 기어(122)로서 그리고 전환 기어(131)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도 11a는 톱니 기어의 정면도를 보여주고 있고, 도 11b는 톱니 기어의 측면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그리고 도 11c는 톱니 기어의 사시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톱니 기어는 모든 톱니에서 톱니 기어 정면에 대하여 챔퍼 혹은 경사부(F3, F4)를 갖는다. 추가로, 상기와 같은 챔퍼 혹은 경사부로부터 결과적으로 얻어지는 각각의 톱니 정면에 하나의 챔퍼(F1, F2)가 양면에 제공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도 11a에 따른 정면도에서는 각각의 톱니에서 하나의 정면 에지가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은 형상에 의해서는, 전환 기어(131)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전환 기어(131)의 톱니들이 상기 아웃풋 기어(121)의 톱니들과 충돌할 때에 상기 두 개의 톱니 기어가 상호 이동하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톱니들의 신뢰할만한 삽입 결합이 보증되고, 그 결과 아웃풋 기어(122)와 전환 기어(131)의 신뢰할만한 맞물림 상태에 도달하게 된다.
도 12는 다중 빔 형성 장치(100)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30) 내부에 대한 제 1 실시 예의 일 변형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도 12에 도시된 장치의 측면도, 도 12에 따른 장치의 전방 투시도 혹은 도 12에 따른 장치의 후방 투시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 경우에 각각 하우징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장치는, 각각의 아웃풋이 각각 하나의 제 2 기어(123)를 더 구비하고, 상기 기어가 개별 아웃풋 샤프트(121)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 연결되었다는 점에서 지금까지 기술된 장치와 구별된다. 상기 제 2 기어(123)가 하나의 평면에서 상기 아웃풋 샤프트(121)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전환 기어(131)는 모든 제 2 기어(123)와 동시에 기능적으로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제 2 기어(123)를 구비하는 아웃풋의 상응하는 장치 혹은 형상은 "중앙 로킹 장치"로서도 표기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전환 기어(131)가 각각의 제 2 기어(123)와 기능적으로 결합 될 때에 상기 각각의 제 2 기어(123)가 전환 기어(131)를 통해서 재차 상호 기능적으로 결합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웃풋 샤프트들 서로 간에 상호 안정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와 달리 구동 부재 및/또는 조정 구동 부재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전동기가 사용되고, 그에 따라 전환 기어(131)가 모든 제 2 기어(123)와 맞물림 결합 되도록 위치 설정되면, 상기 전동기의 정지 토크가 또한 아웃풋 샤프트(121)의 비틀림을 방지해준다. 결국, 아웃풋 샤프트(121)의 상호 안정화에 의해서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전동기의 정지 토크에 의해서 중앙 로킹이 야기된다.
도 13b 및 도 13c에서는, 전방 투시에서 개별 아웃풋 기어(122)가 서로 겹쳐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동일한 내용이 개별 제 2 기어(123)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이와 같이 개별 제 2 기어(123)가 겹쳐진 상태는 도 13c의 후방 투시도에서 볼 수 있다. 개별 제 2 기어(123)가 투영 측에서 겹치지 않는 것, 다시 말해 상기 제 2 기어들이 서로 삽입 결합 되지 않는 것은 절대적으로 필요한데, 그 이유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제 2 기어(123)가 충돌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응하는 크기로 치수 설계된 모터에 의해서는, 상기 변형 실시 예에서 모든 이상기를 동시에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한 편으로, 조정될 이상기와 상호 작용을 하는 제 2 아웃풋 기어(123)가 전술된 제 2 기어(123)를 위한 평면에서 단지 아웃풋 샤프트 상에만 위치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상기의 임의의 조합이 동시에 조정될 수 있다. 심지어는, 제 3의 아웃풋 기어를 위한 또는 아웃풋 샤프트 당 더 많은 개수의 아웃풋 기어를 위한 추가의 평면들도 구현될 수 있음으로써, 이상기의 추가의 조합들이 동시에 조정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빔 형성 장치(200)의 일 부분이 도 14a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빔 형성 장치(200)의 일 부분의 사시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14a의 상부 영역에는 아웃풋 샤프트(221) 및 상기 아웃풋 샤프트(221)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 연결되어 아웃풋 톱니 기어(222)로서 형성된 아웃풋 기어(222)로 이루어진 아웃풋이 도시되어 있다. 도 14a에 도시된 다중 빔 형성 장치(200)의 부분 내부에는 도 15에 별도로 도시되어 있는 플레이트 형태의 재료 내에 있는 여섯 개의 아웃풋이 지지가 되어 있다.
플레이트 형태의 벽(31)은 하우징(30)의 부분 혹은 안테나 하우징 혹은 레이돔 자체의 부분일 수 있다. 도 15는 하우징 벽 내부에 통합된 혹은 삽입된 아웃풋이 없는 상응하는 하우징 벽(31)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하우징 벽(31)은 원 섹션 상에 배치되어 있는 여섯 개의 베어링 보어(32a 내지 32f)를 구비한다. 상기 원 섹션의 중점에는 베어링 핀(33)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개별 베어링 보어(32a 내지 32f) 사이에는 선회 톱니(260)의 형태로 형성된 스크롤 장치(260)(scroll device)가 각각 하나씩 배치되어 있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하우징 벽(31)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 경우 베어링 핀(33) 상에는 선회 장치(24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선회 장치(240)는 도 16의 상부 영역에 별도로 재차 도시되어 있다. 상기 선회 장치(240)는 베어링 보어(241)의 형태로 형성된 제 1 고정 장치(241) 및 베어링 핀(242)의 형태로 형성된 제 2 고정 장치(242)를 구비한다. 더 나아가 상기 선회 장치(240)는 제동 오목부(243a 내지 243f)의 형태로 형성된 여섯 개의 제동 장치(243a 내지 243f)를 구비한다. 상기 선회 장치(240)는 제 1 고정 장치(241)에 의해서 하우징 벽(31)의 베어링 핀(33)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가 되어 있다. 상기 개별 제동 장치(243a 내지 243f)는 상응하는 베어링 보어(32a 내지 32f)에 할당되어 있다.
도 14a에는 여섯 개 아웃풋의 아웃풋 샤프트(221)가 여섯 개 베어링 보어(32a 내지 32f) 내부에 지지가 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아웃풋 기어(222a 내지 222f)는 상기 베어링 보어(32a 내지 32f)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가 되어 있다.
아웃풋 기어(222b)는 유성 기어로서 형성된 전환 기어(231)에 기능적으로 결합 되어 있다. 상기 유성 기어(231)는 선회 장치(240)의 제 2 고정 장치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가 되어 있다. 상기 유성 기어(231)는 재차 구동 톱니 기어로서 형성된 구동 부재(21)에 기능적으로 결합 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 부재는 선회 장치(240) 상에 배치되어 있고, 하우징 벽(31)의 베어링 핀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가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 부재(210)는 하우징 벽(31)에 대하여 그리고 선회 장치(24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가 되어 있다.
선회 장치(240)의 로킹 개구(243b) 혹은 로킹 홈(243b) 내부에 로킹 볼트(250)가 삽입 결합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선회 장치(240)는 하우징 벽(31)에 대하여 더 이상 회전될 수가 없다. 따라서, 상기 로킹 볼트(250)는 한 가지 로킹 위치(V)를 취하게 된다. 로킹 볼트(250)가 로킹 개구(243b) 내부에 삽입 결합 되는 상기 로킹 위치(V)에서는 유성 기어(231)가 아웃풋 기어(222b) 및 구동 부재(210)에 기능적으로 결합 된다. 상기와 같은 기능적인 결합으로 인해, 상기 구동 부재(210)의 구동에 의해서 아웃풋 기어(222b) 및 상기 아웃풋 기어에 연결된 아웃풋 샤프트(221)가 구동된다. 상기 아웃풋 샤프트(221)에는 재차 도 14a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구동 연결부가 기능적으로 결합 되며, 상기 구동 연결부는 재차 도 14a에 마찬가지로 도시되어 있지 않은 이상기에 기능적으로 결합 된다. 따라서, 도 14a에 도시된 선회 장치(240)의 위치에서는 구동 부재(210)의 구동에 의해서 아웃풋 기어(222b) 및 상기 아웃풋 기어에 연결된 이상기가 작동된다.
도 14a 내지 도 14d에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하우징 벽(31)에 대한 기어(210, 222, 231)의 축 방향 위치 보호 장치 및 로킹 볼트(250)의 가이드 부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상기 부재들은 예를 들어 하우징 벽(321)에 대하여 평행하게 놓인 추가의 하우징 벽 내부에 있는 성형 부재에 의해서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구동 부재(210)는 또한 다른 구동 기어(222a, 222c 내지 222f)에도 기능적으로 결합 될 수 있다. 도 14b 내지 도 14d의 도면을 참조해서는, 상기 구동 부재(210)가 예를 들어 아웃풋 기어(222c)에 어떻게 기능적으로 결합 될 수 있는지가 도시된다. 도 14b에서 로킹 볼트(250)는 더 이상 로킹 개구(243b)에 결합되지 않는다. 결국, 선회 장치(240)는 베어링 핀(33)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다. 구동 부재(210)의 구동에 의해 상기 구동 부재(210)에 기능적으로 결합 되는 유성 기어(231)가 구동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유성 기어(231)는 아웃풋 기어(222b)를 통해서 그리고 아웃풋 기어(222b)와 아웃풋 기어(222c)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스크롤 장치(260)를 통해서 스크롤링 된다. 상기 유성 기어(231)는 아웃풋 기어(222b)를 통해서 스크롤링 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 아웃풋 기어(222b)가 소정의 저항을 나타내는 이상기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저항은 재차 로킹 되지 않은 선회 장치(240)의 회전 저항보다 더 크다. 아웃풋 기어(222b)와 아웃풋 기어(222c)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선회 톱니(260)의 형태로 형성된 스크롤 장치(260)는 상기 유성 기어(231)의 소정의 위치에서, 즉 상기 유성 기어가 더 이상 상기 아웃풋 기어(222b)와 맞물리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유성 기어(231)가 선회 톱니(260) 내부에 삽입 결합 되어 상기 선회 톱니 위로 스크롤링 되도록 해주는 기능을 갖는다.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상기 개별 아웃풋 기어(222a 내지 222f) 사이에 배치된 선회 톱니들은 - 아웃풋 기어(222a 내지 222f)에 대해서 상이한 위치를 취하도록 하기 위하여 - 로킹 볼트(250)의 프리 런닝(free running) 위치(F)에서 유성 기어가 선회 톱니(260) 위로 스크롤링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로킹 볼트(250)는 예를 들어 선형 액추에이터 또는 전동기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전동기 뒤에는 회전 운동을 병진 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기어가 접속되어 있다.
도 14c는 유성 기어(231)가 아웃풋 기어(222c)와 맞물림으로써 결국 상기 아웃풋 기어에 기능적으로 결합 되는 위치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로킹 볼트(250)는 구동 부재(210)의 구동에 의해서 선회 장치(240) 및 그와 더불어 유성 기어(231)도 계속해서 회전 혹은 선회하게 되는 프리 런닝 위치(F)에 있다. 도 14d에서는 로킹 볼트(250)가 로킹 개구(243c) 내부에 삽입 결합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선회 장치(240)는 로킹 되어 더 이상 베어링 핀(3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없게 된다. 그 다음에 결국 구동 부재(210)의 구동에 의해서 아웃풋 기어(222c)가 구동된다.
여섯 개의 제동 장치 혹은 로킹 개구(243a 내지 243f)는 상응하는 베어링 보어(32a 내지 32f)에 그리고 그와 더불어 상기 베어링 보어(32a 내지 32f) 내부에 지지가 된 상응하는 아웃풋 기어(222a 내지 222f)에 할당되어 있다. 따라서, 로킹 볼트(250)가 로킹 개구(243a 내지 243f) 내부에 삽입 결합 됨으로써, 유성 기어(231)는 해당 아웃풋 기어(222a 내지 222f)에 기능적으로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도 17은 도 14a 내지 도 14d 그리고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대하여 변형된 일 실시 예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 경우 선회 장치(240)는 웜 기어(240)로서 형성되었고, 웜(270)에 의해서 직접 구동된다. 상기 웜 기어가 자동 정지 방식으로 구현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선회 기어(240)는 모터가 웜(270)을 구동시키는 경우에만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선회 장치(240), 로킹 볼트(250) 및 선회 톱니(260) 내부에 로킹 개구(243)가 필요치 않다.
도 14a 내지 도 14d 그리고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서는 아웃풋 기어(222a 내지 222f)가 원 섹션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원 섹션의 중점에는 구동 부재(210)가 배치되어 있고, 유성 기어(231)에 의해서 상기 아웃풋 기어(222a 내지 222f) 중에 일 아웃풋 기어와 맞물린다. 상기 실시 예에 대한 대안으로서 상기 구동 부재(210)는 선회 가능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상응하는 형상에서는 상기 전환 기어 혹은 유성 기어(231)가 구동 부재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구동 부재(210)의 선회 운동의 선회 중심이 원의 원 중점과 일치하게 되고, 상기 원 중점 상에 아웃풋 기어(222a 내지 222f)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 부재(210)는 상응하게 지지가 되어야만 하고, 상응하는 베어링 부 내에서 상기 구동 부재(210)의 위치는 제동 장치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어야만 한다. 고정된 일 제동 장치에 의해서 구동 부재(210)는 아웃풋 기어(222a 내지 222f) 중에 일 아웃풋 기어에 기능적으로 결합 되며, 이 경우에는 구동 부재(210)와 상응하는 아웃풋 기어(222a 내지 222f) 사이에 전환 기어 혹은 유성 기어가 배치될 필요가 없다. 제동 장치가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에는, 구동 부재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구동 부재가 개별 아웃풋 기어(222a 내지 222f)를 통해 그리고 개별 스크롤 장치(260)를 통해 스크롤링 되며, 그 결과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아웃풋 기어(222a 내지 222f) 중에 임의의 일 아웃풋 기어에 기능적으로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2 실시 예의 추가의 일 대안 예에서는 개별 아웃풋 기어(222a 내지 222f)가 일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아웃풋 샤프트(221)는 하나의 공통된 평면을 설정하게 되며, 그리고 구동 부재가 상응하는 가이드 장치 내에서 구동 기어를 따라 왕복으로 움직임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구동 부재(210)는 상기 아웃풋 기어들 중에 임의의 일 아웃풋 기어에 기능적으로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2 실시 예에서도 예를 들어 선회 장치(240)에 연결될 수 있는 지시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선회 장치(240)의 위치 혹은 각도 위치에 따라 상기 선회 장치(240)에 연결된 지시기 장치의 위치도 변경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지시기 장치의 상태 혹은 위치를 참조하여 구동 부재(210)가 아웃풋 기어(222a 내지 222f) 중 어느 아웃풋 기어에 기능적으로 결합 되는지가 추론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동 장치의 위치는 전자식으로도 검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계식 지시기 장치 대신에 전자식 지시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1: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 10: 구동 연결부
20: 이상기 30: 하우징
31: 하우징 벽 32a 내지 32f: 베어링 보어
33: 베어링 핀 100: 다중 빔 형성 장치
110: 구동 부재 111: 구동 샤프트
112: (드라이브 샤프트의) 그루우브
121: 아웃풋 샤프트
122 및 122a 내지 122f: 아웃풋 기어
123: (아웃풋 샤프트 상에 있는) 제 2 기어
124: 아웃풋 인터페이스 131: 전환 기어
132: (전환 기어 내에 있는) 전환 기어 개구
133: (전환 기어 개구 내에 있는) 스프링/장부
134: (전환 장치의) 조정 구동 부재
135: (전환 장치의) 조정 장치/나선형 스핀들
136: (전환 장치의) 시프터 136a, 136b: (시프터의) 조
137: (시프터의) 관통 개구/나선형 수용부
138: 비틀림 방지 장치 139: (전환 장치의) 지시기 장치
140: 전환 기어에 있는 원통형의 돌출부
200: 다중 빔 형성 장치 210: 구동 부재
221: 아웃풋 샤프트
222 및 222a 내지 222f: 아웃풋 기어
231: 전환 기어, 유성 기어 240: (전환 장치의) 선회 장치
241: (선회 장치의) 제 1 고정 장치
242: (선회 장치의) 제 2 고정 장치
243 및 243a 내지 243f: (선회 장치의) 제동 장치, 로킹 개구
250: 로킹 볼트 260: 스크롤 장치, 선회 톱니
270: 웜
F1, F2: 톱니 정면의 챔퍼
F3, F4: 톱니 기어 정면에 대한 톱니의 챔퍼 혹은 경사부
F: 프리 런닝 위치 V: 로킹 위치

Claims (21)

  1. 다중 빔 형성 장치(100, 200)를 구비하는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1)로서,
    - 구동 가능한 구동 부재(110, 210)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부재는 드라이브 샤프트(111)를 구비하며,
    - 적어도 두 개의 아웃풋을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아웃풋은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111)에 대하여 실제로 평행한 아웃풋 샤프트(121, 221) 및 상기 아웃풋 샤프트(121, 221)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 연결된 아웃풋 기어(122, 222)를 각각 하나씩 구비하며,
    - 적어도 두 개의 이상기(20)를 구비하고, 상기 두 개의 이상기(20) 각각은 각각 하나의 구동 연결부(10)를 통해서 상기 각각 하나의 아웃풋에 기능적으로 결합 되며;
    - 전환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전환 장치에 의해서는 상기 구동 부재(110, 210)가 선택적으로 상기 아웃풋 기어(122, 222) 중 적어도 하나의 아웃풋 기어에 기능적으로 결합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
  2. 제 1 항에 있어서,
    - 상기 전환 장치가 전환 기어(131)를 구비하며, 상기 전환 기어는 상기 구동 부재(110) 및 드라이브 샤프트(111)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 연결되어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111) 상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 상기 전환 장치에 의해 상기 전환 기어(131)가 드라이브 샤프트(111) 상에서 병진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음으로써, 상기 구동 부재(110)가 상기 두 개의 아웃풋 기어(122) 중에 적어도 하나의 아웃풋 기어에 기능적으로 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
  3. 제 2 항에 있어서,
    -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111)가 상기 구동 부재(110)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에서는 비-원대칭의 횡단면 형상을 가지며;
    - 상기 전환 기어(131)가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111)의 횡단면 형상에 상응하는 전환 기어 개구(132)를 중앙에 구비함으로써, 상기 전환 기어(131)는 드라이브 샤프트(111)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 연결되어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111)의 세로 연장부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장치가
    - 조정 구동 부재(134)를 구비하며,
    - 상기 조정 구동 부재(134)에 기능적으로 결합 되는 조정 장치(135)를 구비하며, 및
    - 상기 조정 장치(135)와 상호 작용을 하는 시프터(136)를 구비하고, 상기 시프터의 한 단부에는 전환 기어(131)가 상기 시프터(136)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조정 구동 부재(134)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조정 장치(135)가 상기 시프터(136) 및 그와 더불어 전환 기어(131)의 병진 이동을 야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
  5. 제 4 항에 있어서,
    - 상기 조정 장치(135)가 나선형 스핀들(135)로서 형성되었으며;
    - 상기 시프터(136)가 내부 나선을 갖는 관통 개구(137)를 구비하며;
    - 상기 나선형 스핀들(135)이 상기 시프터(136)의 관통 보어(137)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시프터(136)가 고정됨으로써, 상기 시프터는 나선형 스핀들(135)이 회전할 때에 함께 회전하지 않게 되며, 그 결과 상기 나선형 스핀들(135)의 회전 운동이 상기 시프터(136)의 병진 운동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아웃풋 샤프트(121)가 정면 투영시에는 원 섹션 상에서 원 중심으로서의 드라이브 샤프트(111) 둘레에 배치되어 있으며; 및
    - 적어도 두 개의 아웃풋이 각각 적어도 하나의 제 2 기어(123)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 기어가 개별 아웃풋 샤프트(121)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 2 기어(123) 중에 적어도 두 개의 제 2 기어는 하나 또는 다수의 평면에 배치되며, 그 결과 상기 전환 기어(131)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 2 기어(123)에 동시에 기능적으로 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
  7. 제 1 항에 있어서,
    - 상기 전환 장치가 상기 구동 부재(210)에 기능적으로 결합 되는 전환 기어(231)를 구비하며;
    - 상기 전환 장치에 의해 상기 전환 기어(231)가 움직일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구동 부재(210)는 상기 전환 기어(231)를 통해 상기 두 개 아웃풋 기어들 중에 일 아웃풋 기어(222)에 기능적으로 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기어(231)는 이 전환 기어(231)가 지지가 되어 있는 전환 기어 축과 함께 선회 중심으로서의 드라이브 샤프트(221)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선회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풋 샤프트(121, 221)가 정면 투영시에는 원 섹션 상에서 원 중심 둘레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210)의 선회 중심 또는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111)가 원 중심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장치가 지시기 장치(139)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시기 장치는 상기 구동 부재(110, 210)가 아웃풋 기어(122, 222) 중에 어느 아웃풋 기어에 기능적으로 결합 되는지를 보여주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
  12. 제 7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전환 장치가 선회 장치(240)를 구비하며;
    - 상기 선회 장치(240) 및 상기 구동 부재(210)가 원 섹션의 원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가 되고, 상기 원 섹션 상에는 아웃풋 샤프트(221)가 배치되어 있으며;
    - 상기 전환 기어(231)가 상기 선회 장치(24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가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전환 기어(231)는 상기 구동 부재(210)와 상호 작용을 하게 되며; 및
    - 상기 선회 장치(240)가 제동 장치(243)를 구비하고, 상기 제동 장치에 의해 상기 선회 장치(240)가 제동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선회 장치(240)가 제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구동 부재(210)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아웃풋 기어들 중에 일 아웃풋 기어(222)가 상기 구동 부재(210)를 통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
  13. 제 12 항에 있어서,
    - 상기 제동 장치(243)가 상기 선회 장치(240) 내부에 적어도 두 개의 로킹 개구(243)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각각의 로킹 개구(243)에는 상기 아웃풋 기어들 중에 일 아웃풋 기어(222)가 할당되며;
    - 상기 다중 빔 형성 장치(200)가 로킹 볼트(250)를 더 구비하고, 상기 로킹 볼트는 프리 런닝 위치(F) 및 로킹 위치(V)를 취할 수 있으며;
    - 상기 프리 런닝 위치(F)에서는 상기 로킹 볼트(250)가 상기 로킹 개구(243) 중에 어떤 로킹 개구에도 삽입 결합 되지 않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구동 부재(210)의 구동에 의해 선회 장치(240)는 제 1 고정 장치(241)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전환 기어(231)는 선회 중심으로서의 상기 제 1 고정 장치(241)를 중심으로 선회하게 되며; 및
    - 상기 로킹 위치(V)에서는 상기 로킹 볼트(250)가 상기 로킹 개구들 중에 일 로킹 개구(243) 내부에 삽입 결합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구동 부재(210)의 구동에 의해서는 상기 로킹 개구(243)에 할당된 아웃풋 기어(222)가 상기 구동 부재(210)를 통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빔 형성 장치(200)가 적어도 하나의 고정된 스크롤 장치(260)를 구비하고, 상기 스크롤 장치가 아웃풋 샤프트(221)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선회 장치(240)가 제동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구동 부재(210)가 구동할 때에는 편향 기어(210)가 상기 스크롤 장치(260)와 접촉할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구동 부재(210)에 의해 구동된 편향 기어(210)는 상기 스크롤 장치(260)를 통해 스크롤링 하게 되며, 및 선회 장치(240)가 제동된 경우에는 상기 편향 기어(210)가 상기 스크롤 장치(260)와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
  15. 제 7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빔 형성 장치(200)가 적어도 하나의 고정된 스크롤 장치(260)를 구비하고, 상기 스크롤 장치(260)가 아웃풋 샤프트(221)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구동 부재(210)가 구동할 경우에는 상기 구동 부재가 상기 스크롤 장치(260)와 접촉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상기 구동 부재(210)는 상기 스크롤 장치(260)를 통해서 스크롤링 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110, 210) 및/또는 상기 전환 기어(131, 231) 및 상기 아웃풋 기어(122, 222)가 톱니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110, 210) 및/또는 상기 전환 기어(131, 231) 및 상기 아웃풋 기어(122, 222)의 개별 톱니들이 양면에 톱니 기어 정면에 대하여 챔퍼(F3, F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기어(131) 및 상기 아웃풋 기어(122)의 톱니들의 개별 톱니 정면이 양면에 챔퍼(F1, 2F)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빔 형성 장치(100, 200)가 두 개의 액추에이터를 더 구비하며, 상기 액추에이터들은 한 편으로는 구동 부재(110, 210)를 구동시키도록 그리고 다른 한 편으로는 상기 조정 구동 부재(134)를 구동시키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
  20.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빔 형성 장치(100, 200)가 하나의 액추에이터 및 하나의 클러치를 더 구비하며, 상기 액추에이터 및 상기 클러치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구동 부재(110) 또는 상기 조정 구동 부재(134)에 기능적으로 결합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빔 형성 장치(100, 200)가 전자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전자 유닛은 드라이브 인터페이스 및 전환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이때 상기 드라이브 인터페이스는 구동 명령을 모터로 전달하도록 형성되었고, 상기 전환 인터페이스는 전환 명령을 전환 장치로 전달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
KR1020137019183A 2011-01-27 2011-12-01 다중 빔 형성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 KR1018049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09600A DE102011009600B3 (de) 2011-01-27 2011-01-27 Mobilfunkantenne mit Multi-Strahlformeinrichtung
DE102011009600.0 2011-01-27
PCT/EP2011/006033 WO2012100796A1 (de) 2011-01-27 2011-12-01 Mobilfunkantenne mit multi-strahlformein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530A true KR20140017530A (ko) 2014-02-11
KR101804955B1 KR101804955B1 (ko) 2017-12-06

Family

ID=45218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9183A KR101804955B1 (ko) 2011-01-27 2011-12-01 다중 빔 형성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722309B2 (ko)
EP (1) EP2668693B1 (ko)
KR (1) KR101804955B1 (ko)
CN (1) CN103329345B (ko)
AU (1) AU2011357310B2 (ko)
BR (1) BR112013017019A2 (ko)
DE (1) DE102011009600B3 (ko)
ES (1) ES2532705T3 (ko)
HK (1) HK1187738A1 (ko)
WO (1) WO201210079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832B1 (ko) * 2014-09-24 2016-03-08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위상 가변기 구동 시스템 및 방법
CN107528126A (zh) * 2016-06-22 2017-12-29 Ace技术株式会社 用于移相器的多驱动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46446B4 (de) * 2010-09-24 2013-05-16 Kathrein-Werke Kg Intermodulationsfeste biegsame Welle
CN103219590B (zh) * 2013-03-29 2015-07-15 京信通信技术(广州)有限公司 可实现隔离度调节的移相装置
MX357346B (es) * 2014-02-10 2018-07-05 Huawei Tech Co Ltd Aparato de ajuste de antena y antena de inclinación electrica remota.
EP3262708B1 (en) * 2015-02-24 2020-08-19 Commscope Technologies LLC Multi ret actuator having a relay configuration with positioning and driving motors
WO2016158769A1 (ja) * 2015-03-31 2016-10-06 日本電業工作株式会社 アンテナおよび移相制御装置
CN104810619B (zh) * 2015-05-05 2017-10-03 广东通宇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相器传动装置
ES2542314B1 (es) * 2015-06-02 2016-05-13 Telnet Redes Inteligentes, S.A. Sistema para el control remoto de los haces de radiación de antenas multi-haz
CN105514610B (zh) * 2015-09-29 2019-01-11 广东通宇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天线传动装置及天线
CN105508518B (zh) * 2015-12-17 2018-03-20 广东通宇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天线传动装置及天线
CN108432040B (zh) * 2015-12-31 2020-01-21 华为技术有限公司 包含波束成形装置的天线
CN105720370B (zh) * 2016-01-25 2019-01-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天线方位角调节装置
CN105633579B (zh) * 2016-01-26 2019-04-19 广东通宇通讯股份有限公司 多频基站天线及其移相器传动装置
DE102016001912A1 (de) 2016-02-18 2017-08-24 Kathrein-Werke Kg Antenne
CN107366715B (zh) * 2016-05-13 2022-01-28 康普技术有限责任公司 具有可选择联动件的致动器齿轮箱
CN109314308A (zh) * 2016-06-15 2019-02-05 康普技术有限责任公司 用于控制远程电子下倾基站天线的多个移相器的致动器
CN105964562B (zh) * 2016-07-19 2018-09-28 合肥中鼎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调节宽度机构
CN106246808B (zh) * 2016-08-30 2019-02-26 广东通宇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手调切换装置
CN106384892A (zh) * 2016-11-01 2017-02-08 广东通宇通讯股份有限公司 移相器调节系统及其切换控制装置
CN106532264B (zh) * 2016-12-30 2023-09-26 京信通信技术(广州)有限公司 一种下倾角控制装置及天线
CN106532263B (zh) * 2016-12-30 2024-01-23 京信通信技术(广州)有限公司 一种下倾角控制装置
CN106641159B (zh) * 2017-01-24 2023-06-27 昆山恩电开通信设备有限公司 换挡式多路移相器驱动传动装置
CN107069221B (zh) * 2017-03-10 2023-10-27 京信通信技术(广州)有限公司 切换选择装置、天线下倾角控制装置及天线
CN110462927B (zh) * 2017-03-31 2021-09-14 华为技术有限公司 天线下倾角调节装置及通信设备
WO2019014964A1 (zh) * 2017-07-18 2019-01-24 广东博纬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扁平的模块化传动装置及多频天线
CN107425287B (zh) * 2017-07-18 2020-05-15 广东博纬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扁平的模块化传动装置及多频天线
CN108321537B (zh) * 2017-12-29 2023-05-30 京信通信技术(广州)有限公司 天线电下倾角的控制装置
WO2019164571A1 (en) * 2018-02-23 2019-08-29 Commscope Technologies Llc Base station antennas with mechanical linkages having flexible drive shafts
WO2019212721A1 (en) * 2018-05-01 2019-11-07 Commscope Technologies Llc Base station antennas with compact remote electronic tilt actuators for controlling multiple phase shifters
DE102018113101A1 (de) 2018-06-01 2019-12-05 Kathrein Se Elektrisch adressierbares Kupplungs-Modul, insbesondere für einstellbare Mobilfunk-Baugruppen
CN109411891B (zh) * 2018-10-29 2020-11-06 京信通信技术(广州)有限公司 外置式驱动装置及电调天线
CN109659697B (zh) * 2018-12-28 2023-09-08 广州司南技术有限公司 一种多频电调天线内置rcu传动机构及其应用
CN109638461B (zh) * 2019-01-03 2023-08-18 深圳市鑫龙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电调天线换挡装置
CN111987459A (zh) 2019-05-21 2020-11-24 康普技术有限责任公司 用于多个移相器的致动器
US11984663B2 (en) 2019-09-06 2024-05-14 Commscope Technologies Llc Remote electronic tilt base station antennas and mechanical calibration for such antennas
WO2021118738A1 (en) * 2019-12-13 2021-06-17 Commscope Technologies Llc Remote electronic tilt actuators for controlling multiple phase shifters and base station antennas with remote electronic tilt actuators
WO2021118740A1 (en) 2019-12-13 2021-06-17 Commscope Technologies Llc Remote electronic tilt actuators for controlling multiple phase shifters and base station antennas with remote electronic tilt actuators
BR112023013097A2 (pt) * 2020-12-30 2023-11-14 Huawei Tech Co Ltd Mecanismo de transmissão da caixa de engrenagens de antena e antena
CN112886250B (zh) * 2021-01-04 2022-07-19 武汉虹信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换挡式电调天线传动装置及基站天线
WO2022199801A1 (en) * 2021-03-23 2022-09-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ntenna comprising at least two phase shifters
CN115207603A (zh) * 2021-04-14 2022-10-18 康普技术有限责任公司 用于基站天线的传动机构和基站天线
CN113079594B (zh) * 2021-04-14 2022-09-06 武汉盛景通联科技有限公司 一种5g基站的安装机构
CN113534716B (zh) * 2021-07-21 2023-07-04 山西大同大学 一种几何相位连续可调谐的机械式超表面控制系统及方法
CN116073129A (zh) * 2021-11-04 2023-05-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天线相位调节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6974A (en) * 1970-06-30 1972-08-29 Xerox Corp Mechanical drive arrangement
US3872578A (en) * 1974-05-06 1975-03-25 Cyclone Seeder Company Inc Method of connecting a rotating member to a shaft
US4334439A (en) * 1980-05-05 1982-06-15 Jack Kadymir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plural power-driven hand-held tools
JP2575435B2 (ja) * 1988-01-06 1997-01-22 株式会社東芝 差動遊星歯車装置
DE10104564C1 (de) * 2001-02-01 2002-09-19 Kathrein Werke Kg Steuerungsvorrichtung zum Einstellen eines unterschiedlichen Absenkwinkels insbesondere von zu einer Basisstation gehörenden Mobilfunkantennen sowie eine zugehörige Antenne und Verfahren zur Veränderung eines Absenkwinkels
US6662686B2 (en) * 2002-03-21 2003-12-16 Kwok Hung Chan Automatic motor-output-redirection system
EP2137434B9 (de) * 2007-04-05 2013-05-29 Neumayer Tekfor Holding GMBH Mit einem antriebsrad versehenes differential
CN102150374B (zh) * 2008-02-11 2015-02-25 安费诺有限公司 带有电机与离合器组件的远程电动倾斜天线
US8027703B2 (en) * 2009-02-11 2011-09-27 Amphenol Corporation Multi-beam antenna with multi-device control unit
US8217848B2 (en) * 2009-02-11 2012-07-10 Amphenol Corporation Remote electrical tilt antenna with motor and clutch assembly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832B1 (ko) * 2014-09-24 2016-03-08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위상 가변기 구동 시스템 및 방법
CN107528126A (zh) * 2016-06-22 2017-12-29 Ace技术株式会社 用于移相器的多驱动设备
US10490894B2 (en) 2016-06-22 2019-11-26 Ace Technologies Corporation Multi-drive apparatus for phase shifters
CN107528126B (zh) * 2016-06-22 2020-08-11 Ace技术株式会社 用于移相器的多驱动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4955B1 (ko) 2017-12-06
US9722309B2 (en) 2017-08-01
US20130307728A1 (en) 2013-11-21
EP2668693B1 (de) 2015-01-21
HK1187738A1 (en) 2014-04-11
ES2532705T3 (es) 2015-03-31
CN103329345A (zh) 2013-09-25
AU2011357310B2 (en) 2015-10-08
CN103329345B (zh) 2015-09-02
BR112013017019A2 (pt) 2019-09-24
EP2668693A1 (de) 2013-12-04
WO2012100796A1 (de) 2012-08-02
AU2011357310A1 (en) 2013-07-11
DE102011009600B3 (de) 201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17530A (ko) 다중 빔 형성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
US11575201B2 (en) Actuators for controlling multiple phase shifters of remote electronic downtilt base station antennas
KR20130018226A (ko) 다중-빔 형성 장치
EP2690708B1 (en) Phase adjustment device and multi-frequency antenna
CN107210519B (zh) 具有带有定位马达和驱动马达的中继构造的多ret致动器
CN107366715B (zh) 具有可选择联动件的致动器齿轮箱
CN111412261A (zh) 用于基站天线的操纵器组件
CN110212302B (zh) 一种移相器相位调节装置及电调天线
WO2023071070A1 (zh) 一种天线传动装置
US20130327166A1 (en) Multi-shaft drive device
CN106246808B (zh) 一种手调切换装置
CN113833843A (zh) 用于基站天线的可换挡传动机构
CN110778619B (zh) 一种单向驱动机构、传动切换装置及基站天线
CN108493614B (zh) 多路传动装置及电调天线传动装置
CN114542680A (zh) 传动切换装置、驱动装置和基站天线
WO2010131905A2 (ko) 안테나에 있어서 도브 테일 장치
CN111146594A (zh) 天线、传动装置及切换机构
US11575187B2 (en) Actuator device for driving a phase shifter including a lead screw that can be automatically locked
CN209370399U (zh) 用于基站天线的操纵器组件
CN112886250A (zh) 一种换挡式电调天线传动装置及基站天线
KR101753330B1 (ko) 다중 위상 가변기를 위한 멀티 구동 장치
CN116885449B (zh) 一种具有自锁功能的旋转选位移相器
US11705290B2 (en) Control module, control module assembly, and electric switch comprising the control module assembly
CN115579640A (zh) 致动器
WO2010131904A2 (ko) 안테나 및 이에 포함된 트랜스포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