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1779B1 - 전개식 벌크 백 - Google Patents

전개식 벌크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1779B1
KR101941779B1 KR1020170092411A KR20170092411A KR101941779B1 KR 101941779 B1 KR101941779 B1 KR 101941779B1 KR 1020170092411 A KR1020170092411 A KR 1020170092411A KR 20170092411 A KR20170092411 A KR 20170092411A KR 101941779 B1 KR101941779 B1 KR 101941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surfaces
adjacent
bag
rope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2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형근
Original Assignee
추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형근 filed Critical 추형근
Priority to KR1020170092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7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22Large containers flexible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역이나 다시마, 굴이나 홍합 등과 같은 각종 해산물을 배에서 부두로 하역하거나 이를 가공공장 등으로 운반하는데 적합한 벌크 백으로, 바닥면(10)과, 상기 바닥면(10)의 외곽에 일측이 연결된 복수의 측면(20a~20d)과, 상기 복수의 측면(20a~20d) 중 인접하는 측면과 측면 사이에 양측이 연결되며 복수의 측면(20a~20d)을 펼친 상태에서는 상기 바닥면(10)과 측면(20a~20d)이 이루는 평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고, 복수의 측면(20a~20d)을 접어 세운 상태에서 상기 인접하는 측면(20a~20d)의 내측으로 주름진 상태로 접히는 복수의 연장면(30a~30d)과, 상기 연장면(30a~30d)이 연결된 인접한 측면(20a~20d)에 각각 설치되는 결속부재(40a,40b)와, 상기 연장면(30a~30d)의 외곽을 따라 설치된 복수의 링형 고리(50)와, 상기 복수의 측면(20a~20d) 중 대향하는 측면(20a,20b)에 양단이 고정되고 상기 연장면(30a~30d)의 외곽에 설치된 링형 고리(50)에 끼워지며, 상기 대향하는 측면(20a,20b)과 인접하는 타 측면(20c,20d)의 외곽으로 연장된 로프(60a,60b)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개식 벌크 백{A Spread out type bulk-bag}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미역이나 다시마, 굴이나 홍합 등과 같은 각종 해산물을 배에서 부두로 하역하거나 이를 가공공장 등으로 운반하는데 적합한 벌크 백에 관한 것으로, 벌크 백을 보자기처럼 평탄하게 펼친 상태에서 해산물을 담은 후 인양용 로프를 크레인이나 지게차 포크게 걸어서 당겨주게 되면 측면이 접히면서 세워져 자루 형태를 이루게 되며, 세워진 측면 사이를 버클이나 슬라이드화스너 등의 결속부재로 결속시키게 되면 잡아당긴 로프를 놓더라도 마대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벌크 백(bulk-bag)은 농수산물이나 공업용 원료 등을 벌크 상태로 저장하고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원통 형태 또는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상부가 개방되며, 바닥에는 내용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폐쇄가 가능한 배출구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미역이나 다시마 또는 양식한 굴이나 홍합 등의 각종 해산물을 채취하여 이를 부두로 한꺼번에 하역하거나 이를 가공공장으로 보낼 때 위와같은 벌크 백을 사용할 경우에는, 이를 넘어지지 않도록 붙잡아 세운 상태에서 채취한 해산물을 담아주어야 하는데, 벌크 백을 세우기 위한 도구나 보조작업자가 필요하게 되고, 장비를 사용하여 한꺼번에 많은 양을 담을 경우 입구가 작아 담는 작업이 매우 불편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으며, 보조작업자가 벌크 백을 붙잡고 있다가 장비나 해산물에 의해 상해를 입게 될 우려도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로, 특허문헌 1에는 개방형 기능성 톤백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육면체형 톤백의 측면을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펼쳤을 때 바닥면과 측면 사이가 벌어진 상태를 이루게 되어 해산물을 담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담긴 상태에서 인접하는 측면 사이를 체결수단을 결속하는 작업에서도 외부로 나온 해산물로 인해 지장을 초래하게 되어 실용성이 없다.
특허문헌 2에는 측면 개방형 톤백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 또한 특허문헌 1과 같이 일 측면이 인접하는 측면과 체결수단으로 연결되어 톤백 형태를 유지하고, 체결수단을 풀어주는 것에 의해 측면이 개방됨으로써 내용물의 삽입과 인출을 용이하게 할 수는 있지만, 일 측면의 전개만 가능하고, 일 측면이 전개된 상태에서 미역이나 다시마 같은 해산물을 안에 한꺼번에 담는 작업을 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특허문헌 3에도 측면의 일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된 컨테이너 백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 또한 특허문헌 3과 마찬가지로 완전 전개가 불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특허문헌 4에는 미역이나 다시마 등의 해산물을 채취하여 선박에서 부두로 하역하거나 다른 선박으로 옮겨 실을 때 사용하는 하역 보자기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하역 보자기의 둘레가 상방으로 약간 들려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벌크 백 형태로의 전환은 불가능하고, 바닥에 내려놓게 되면 원래의 상태로 펼쳐지게 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하역작업에는 적합하지만 하역한 상태 그대로 가공공장까지 운반하는데는 적합하지 않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23125호(2010.03.04.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88096호(2016.12.14.등록)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20-2017-0000240호(2017.01.18.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80316호(2016.05.02.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보자기 형태로완전하게 펼칠 수 있고, 내용물을 담은 상태에서 상부가 개방된 마대 형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여 이의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전개식 벌크 백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외곽에 일측이 연결된 복수의 측면과, 상기 복수의 측면 중 인접하는 측면과 측면 사이에 양측이 연결되며 보수의 측면을 펼친 상태에서는 상기 바닥면과 측면이 이루는 평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고, 복수의 측면을 접어 세운 상태에서 상기 인접하는 측면의 내측으로 주름진 상태로 접히는 복수의 연장면과, 상기 연장면이 연결된 인접한 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결속부재와, 상기 연장면의 외곽을 따라 설치된 복수의 링형 고리와, 상기 복수의 측면 중 대향하는 측면에 양단이 고정되고 상기 연장면의 외곽에 설치된 링형 고리에 끼워지며, 상기 대향하는 2개의 측면과 인접하는 타 측면의 외곽으로 연장된 로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로프를 늘어뜨린 상태로 두면 바닥면과 측면 및 연장면이 하나의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보자기 형태로 펼쳐지고, 상기 로프를 지게차의 포크나 크레인의 후크에 걸어 들어올리면 로프가 당겨지면서 측면 사이의 연장면이 주름지게 되면서 접혀서 복수의 측면이 모두 세워지게 되어 인접하는 측면 사이의 결속부재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상부가 개방된 마대 형태로 전환되는 전개식 벌크 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역이나 다시마와 같은 부피가 크고 부정형인 물품은 물론, 굴이나 홍합과 같은 각종 해산물 등을 포함하는 각종 수산물의 대량 하역과 운반시 보자기 형태로 넓게 펼친 상태에서 그 위에 해(수)산물을 올린 후, 로프를 크레인이나 지게차의 포크에 걸어 들어올리게 되면 마대(톤백) 형태로 전환되게 되므로 이의 하역작업은 물론 하역 후 가공공장까지의 운반을 매우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전개식 벌크 백의 전개상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로프를 약간 당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로프를 당겨서 벌크 백 상태가 되도록 변형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전개식 벌크 백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벌크 백의 로프를 당겨서 인양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례를 도시한 전개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전개식 벌크 백이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 예에 의한 전개식 벌크 백(1)은 바닥면(10)과, 상기 바닥면(10)의 외곽에 일측이 연결된 복수의 측면(20a,20b,20c,20d)과, 상기 복수의 측면(20a,20b,20c,20d) 중 인접하는 측면과 측면 사이에 양측이 연결되며 복수의 측면(20a,20b,20c,20d)을 펼친 상태에서는 상기 바닥면(10)과 측면(20a,20b,20c,20d)이 이루는 평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고, 복수의 측면(20a,20b,20c,20d)을 접어 세운 상태에서 상기 인접하는 측면(20a,20b,20c,20d)의 내측으로 주름진 상태로 접히는 복수의 연장면(30a,30b,30c,30d)과, 상기 연장면(30a,30b,30c,30d)이 연결된 인접한 측면(20a,20b,20c,20d)에 각각 설치되는 결속부재(40a,40b)와, 상기 연장면(30a,30b,30c,30d)의 외곽을 따라 설치된 복수의 링형 고리(50)와, 상기 복수의 측면(20a,20b,20c,20d) 중 대향하는 측면(20a,20b)에 양단이 고정되고 상기 연장면(30a,30b,30c,30d)의 외곽에 설치된 링형 고리(50)에 끼워지며, 상기 대향하는 측면(20a,20b)과 인접하는 타 측면(20c,20d)의 외곽으로 연장된 로프(60a,60b)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벌크 백(1)은 로프(60a,60b)를 늘어뜨린 상태로 두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10)과 측면(20a~20d) 및 연장면(30a~30d)이 하나의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넓은 보자기 형태로 펼쳐지고, 상기 로프(60a,60b)를 지게차의 포크나 크레인의 후크에 걸어 들어올리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60a,60b)가 당겨지면서 측면(20a~20d) 사이의 연장면(30a~30d)이 주름지게 되면서 접혀서 복수의 측면(20a~20d)이 모두 세워지게 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측면(20a~20d) 사이의 결속부재(40a,40b)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상부가 개방된 톤백(자루) 형태로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바닥면과 측면 및 연장면의 재질은 운반하고자 하는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서 망사 원단이나 일반 마대 원단 및 방수 원단 등 다양한 소재와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도면상에는 도시 안 된 별도의 인양고리 등을 측면 상부 모서리 측에 추가로 구비하여 지게차나 크레인에 걸어주는 작업 등을 더욱 편리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바닥면과 측면의 크기는 사용 용도에 따라서 다양한 규격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크기에 따라서 인양시 찢어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재(벨트 등)를 덧댈 수 있음도 물론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바닥면과 측면은 별도로 재단되어 봉제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바닥면과 대향하는 측면을 하나의 원단으로 재단하고, 나머지 2개의 측면을 별도로 재단하여 봉제할 수도 있다.
또,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연장면은 바닥면 및 측면과 별도로 재단되어 상호 봉제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바닥면과 측면 및 연장면을 모두 하나의 대형 원단으로 일체로 재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들 바닥면과 측면 및 연장면의 재단과 봉제방법에 대하여는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
도 1의 전개상태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정사각형 바닥면(10)의 4변에 각각 측면(20a~20d)의 일 변이 연결되어 바닥면(10)과 측면(20a~20d)이 전개되면 십(十)자 형태를 이루게 되는데, 이렇게 십(十)자 형태로 전개되게 되면 인접하는 측면 사이가 벌어져 상부에 내용물을 담을 경우 이 벌어진 부분으로 내용물이 새거나 흘러내리게 되므로 이 벌어진 부분에 연장면(30a~30d)이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넓고 평탄한 보자기 형태를 이루고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연장면(30a~30d)은 부채꼴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측면(20a~20d)에 연결되지 않은 변 즉, 외곽에는 일정 간격으로 링형 고리(5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링형 고리(50)에는 로프(60a,60b)가 끼워지게 되는데, 상기 로프(60a,60b)는 복수의 측면(20a,20b,20c,20d) 중 대향하는 측면(20a,20b)에 양단이 고정되고, 상기 연장면(30a,30b,30c,30d)의 외곽에 설치된 링형 고리(50)에 끼워지며, 상기 대향하는 측면(20a,20b)과 인접하는 타 측면(20c,20d)의 외곽으로 연장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로프(60a,60b)의 일단이 고정되는 대향하는 측면(20a,20b)은 그 좌우측변에 로프 터널(24)이 형성되어 있으며, 로프(60a,60b)가 이 로프 터널(24)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그 일단이 측면(20a,20b)의 하단부 측에 고정되거나 측면(20a,20b)의 하단부를 지나 바닥면(10)을 가로질러 대향하는 측면(20a,20b)으로 연장된 로프의 타단과 연결됨으로써 루프(loop) 상태를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로프(60a,60b)를 각각 루프 상태를 이루도록 연결할 경우에는 로프(60a,60b)자체가 벌크 백(1)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재의 역할도 겸하게 되어 인양시 바닥면이나 측면이 터지거나 배가 불러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로프(60a,60b)는 대향하는 측면(20a,20b)의 로프 터널(24)에서는 움직이지 않아도 되므로 로프 터널에 봉제를 해도 무방하나, 연장면(30a~30d)의 링형 고리(50)에서는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하며, 나머지 측면(20c,20d)부위에서는 외측(상측)으로 당길 수 있도록 아무런 구속이 되어있지 않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결속부재(40a,40b)는 1쌍으로 이루어진 암수형 버클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결속부재(40a,40b)는 인접하는 측면(20a~20d)에 상하방향으로 봉제된 보강벨트(22)에 일측이 봉제되어 있다.
상기 결속부재(40a,40b)는 일반적인 배낭용 플라스틱 버클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결속부재(40a,40b)가 인접하는 측면의 대향되는 위치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되어 있어 벌크 백(1)을 인양한 상태에서 인접하는 측면의 결속부재(40a,40b)를 체결하고 결속부재의 벨트를 긴장되게 당겨서 조여주게 되면 벌크 백(1)의 인접하는 측면이 벌어지지 않고 온전한 상태의 마대(톤백) 형태를 이루게 됨으로써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벌크 백이 육면체 형태를 이루게 되어 트럭 적재함 등에 여러 개의 벌크 백을 차곡차곡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게 됨으로써 운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하역 후 임시 보관하는 과정에서도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게 되는 것은 물론 내용물의 유실이나 손상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전개식 벌크 백이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인접한 측면끼리의 결속을 위한 결속부재(40a,40b)가 상술한 실시 예의 버클 타입과는 달리 슬라이드 화스너를 사용한 차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1 내지 도 4의 실시 예에 사용된 암수형 버클 타입의 결속부재와 도 5 및 도 6의 실시 예에 슬라이드화스너식 결속부재를 병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러한 결속부재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신속하게 결속 및 분리가 가능한 형태라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것 외의 어떠한 것을 사용해도 무방할 것이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바닥면(10)에 배출구(12)가 구비된 전개식 벌크 백(1)으로, 본 실시 예에서는 바닥면(10)에 배출구(12)가 구비되어 있어 톤백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 인양하여 배출구(12)를 열면 내용물을 한꺼번에 하부로 배출하기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벌크 백이 미역이나 다시마 등의 해산물을 하역하거나 운반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폐건축자재의 처리를 위하여 사용되거나 기타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하면 벌크 백이 보자기 형태로 넓고 평탄하게 전개되어 해산물 등을 한꺼번에 하역하기가 용이하고, 인양상태에서 인접하는 측면에 구비된 결속부재를 체결하게 되면 보자기 형태에서 톤백 형태로 전환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안에 담긴 내용물이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좁은 공간에 운반과 보관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1 : 벌크 백
10 : 바닥면
12 : 배출구
20a~20d : 측면
22 : 보강 벨트
24 : 로프 터널
30a~30d : 연장면
40a,40b : 결속부재
50 : 링형 고리
60a,60b : 로프

Claims (4)

  1. 바닥면(10); 상기 바닥면(10)의 외곽에 일측이 연결된 복수의 측면(20a~20d); 상기 복수의 측면(20a~20d) 중 인접하는 측면 사이에 양측이 연결되며 복수의 측면(20a~20d)을 펼친 상태에서는 상기 바닥면(10)과 측면(20a~20d)이 이루는 평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고, 복수의 측면(20a~20d)을 접어 세운 상태에서 상기 인접하는 측면(20a~20d)의 내측으로 주름진 상태로 접히는 복수의 연장면(30a~30d); 상기 연장면(30a~30d)이 연결된 인접한 측면(20a~20d)에 각각 설치되는 결속부재(40a,40b); 상기 연장면(30a~30d)의 외곽을 따라 설치된 복수의 링형 고리(50); 상기 복수의 측면(20a~20d) 중 대향하는 측면(20a,20b)에 양단이 고정되고 상기 연장면(30a~30d)의 외곽에 설치된 링형 고리(50)에 끼워지며, 상기 대향하는 측면(20a,20b)과 인접하는 타 측면(20c,20d)의 외곽으로 연장된 로프(60a,60b)를 포함하며, 상기 로프(60a,60b)의 일단이 고정되는 대향하는 측면(20a,20b)은 그 좌우측변에 로프 터널(24)이 형성되고, 로프(60a,60b)가 상기 로프 터널(24)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그 일단이 측면(20a,20b)의 하단부를 지나 바닥면(10)을 가로질러 대향하는 측면(20a,20b)으로 연장된 로프의 타단과 연결됨으로써 루프(loop) 상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식 벌크 백.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092411A 2017-07-21 2017-07-21 전개식 벌크 백 KR101941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411A KR101941779B1 (ko) 2017-07-21 2017-07-21 전개식 벌크 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411A KR101941779B1 (ko) 2017-07-21 2017-07-21 전개식 벌크 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1779B1 true KR101941779B1 (ko) 2019-01-23

Family

ID=65280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411A KR101941779B1 (ko) 2017-07-21 2017-07-21 전개식 벌크 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177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0893A (ja) * 1996-04-24 1997-11-11 Japan Steel & Tube Constr Co Ltd 砂埋め用バッグ
JP2004075137A (ja) * 2002-08-20 2004-03-11 Shinagawa Refract Co Ltd 大開口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KR20100023125A (ko) 2008-08-21 2010-03-04 김경진 개방형 기능성 톤백
KR200480316Y1 (ko) 2014-07-11 2016-05-11 서정욱 하역 보자기
KR101688096B1 (ko) 2016-03-10 2016-12-20 주식회사 이리농수산자재 측면 개방형 톤백
KR20170000240U (ko) 2015-07-09 2017-01-18 최광수 컨테이너 백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0893A (ja) * 1996-04-24 1997-11-11 Japan Steel & Tube Constr Co Ltd 砂埋め用バッグ
JP2004075137A (ja) * 2002-08-20 2004-03-11 Shinagawa Refract Co Ltd 大開口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KR20100023125A (ko) 2008-08-21 2010-03-04 김경진 개방형 기능성 톤백
KR200480316Y1 (ko) 2014-07-11 2016-05-11 서정욱 하역 보자기
KR20170000240U (ko) 2015-07-09 2017-01-18 최광수 컨테이너 백
KR101688096B1 (ko) 2016-03-10 2016-12-20 주식회사 이리농수산자재 측면 개방형 톤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02401A1 (en) Reusable packaging
US20140086512A1 (en) Palletless bulk bag
JPH11334786A (ja) クレーン・フォークリフト等の揚重機器用運搬袋及びその使用方法
WO2013192402A1 (en) Bulk bag apparatus
KR101803469B1 (ko) 외피에 삽입된 내피를 갖는 인서트 구조의 컨테이너백
GB2493359A (en) A kit and method for securing a load to be transported
KR101941779B1 (ko) 전개식 벌크 백
KR101459114B1 (ko) 다단 하이브리드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KR200480316Y1 (ko) 하역 보자기
CN203006172U (zh) 一种便于运输的柔性集装袋
JP2004345710A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バッグ、およびその使用方法
CN206345258U (zh) 吨袋
JP3100141U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CN217908984U (zh) 一种小包袋装货物专用集装袋
CN212355085U (zh) 一种可重复使用的集装袋
JP3153193U (ja) 揚重機器用運搬袋
CN109911430B (zh) 快速卸料吨袋及卸料方法
KR101891726B1 (ko) 평탄안내가이드 및 평탄안내가이드가 부착된 컨테이너백
CN203959044U (zh) 一种集装袋
CN213169545U (zh) 散装饲料包装用吨袋
JP3408778B2 (ja) クレーン・フォークリフト等の揚重機器用運搬袋
CN213009775U (zh) 一种u型锁边吊带的包装袋
JPS6030285Y2 (ja) 吊り具
JPH0348055Y2 (ko)
JP2566514B2 (ja) 大形袋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