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1231B1 - 색상 수정·보정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색상 수정·보정장치 - Google Patents

색상 수정·보정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색상 수정·보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1231B1
KR101941231B1 KR1020170143556A KR20170143556A KR101941231B1 KR 101941231 B1 KR101941231 B1 KR 101941231B1 KR 1020170143556 A KR1020170143556 A KR 1020170143556A KR 20170143556 A KR20170143556 A KR 20170143556A KR 101941231 B1 KR101941231 B1 KR 101941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correction
value
elements
color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홍
명상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Priority to KR1020170143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231B1/ko
Priority to US16/175,872 priority patent/US10621949B2/en
Priority to JP2018205635A priority patent/JP6761454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 G09G5/0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using colour palettes, e.g. look-up ta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6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image enhancement, e.g. vertical detail restoration, cross-colour elimination, contour correction, chrominance trapping fil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46Measurement of colour; Colour measuring devices, e.g. colorimeters
    • G01J3/52Measurement of colour; Colour measuring devices, e.g. colorimeters using colour charts
    • G06T5/00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90Dynamic range modification of images or parts thereof
    • G06T5/92Dynamic range modification of images or parts thereof based on global image properti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 G09G5/026Control of mixing and/or overlay of colours in gener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 G09G5/0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using circuits for interfacing with colour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6Colour space transform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색상 수정·색상 보정 작업들에 의한 이미지 처리 결과를 프로파일 형태로 데이터 화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저장된 프로파일 중에서 선택된 색상 수정·색상 보정 작업들의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처리의 결과를 타겟 이미지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색상 수정·보정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색상 모델에 따라 단일의 색상 요소가 아닌 조정의 실질적인 대상이 되는 조합된 색상 요소에 기반하여 색상의 수정·보정이 수행될 수 있다.

Description

색상 수정·보정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색상 수정·보정장치{METHOD FOR COLOR GRADING AND COLOR CORRECTION,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색상 수정·보정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색상 수정·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색상의 요소에 기초하는 일률적인 색상 변경을 지양하고, 조정의 실질적인 대상이 되는 조합된 색상 요소가 표현하는 색상 관점에서 색상을 수정·보정할 수 있는 색상 수정·보정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색상 수정·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 처리(image processing) 또는 화상 처리는 넓게는 입출력이 영상인 모든 형태의 정보 처리를 가리키며, 사진이나 동영상을 처리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대부분의 영상 처리에 있어서 영상을 2차원 신호로 보고 여기에 신호 처리 기법이 적용되는 방법이 사용된다.
영상 처리 기법 중에서 디지털 이미지,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디지털 사진의 명도, 대비 등의 색상 보정과 색 사상, 색 조화, 양자화 혹은 다른 색 공간으로의 색 변환을 위한 다양한 영상 처리 기본이 존재한다. 그리고 이러한 영상 처리 기법은 다양한 종류의 이미지 리터칭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디지털 이미지의 색상에 리터칭(retouching)을 가하여 다양한 효과를 얻기 위해, 예를 들어 밝기, 대비, 레벨, 커브, 밸런스, 색조 및 채도 등의 인자를 변경하는데 복잡한 연산을 처리해야 했다. 또한, 이미지 처리를 통해 얻고자 하는 효과에 대응하여 이미지 처리 작업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이미지 처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또한, 이미지 처리 회수의 증가로 인해 원본 이미지의 색상 정보가 변경되기도 했다. 더 나아가 원본 대비 색상, 해상도 면에서 품질이 현저히 떨어지는 이미지 처리 결과로 인해서 사용자들은 되돌리기 버튼을 클릭해서 이미지 처리 작업을 취소하는 경우도 발생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해 수행되는 이미지 색상 보정방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RGB 색상 모델에서 (R: 216, G: 109, B: 53)으로 표현되는 색과 (R: 216, G: 220, B: 249)로 표현되는 색은 서로 구별된다. 전자는 소위 벽돌색에 가까운 색이고, 후자는 연보라에 가까운 색이다. 그런데 디지털 사진에 나타나는 붉은 톤을 낮추기 위해 R 요소가 조정되어야 하는 경우,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디지털 사진의 각 픽셀에 대해 일률적으로 R 요소의 값을 작게 하는 이미지 처리가 수행되었다. 그리고 색상 요소의 조정으로 시각적으로 붉은 톤이 낮게 되는 효과 이외에 다른 톤의 색상까지 보정되는 결과가 발생하기도 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결과로 인해 R 요소의 조정에 따라 붉은 톤의 벽돌색 이외에 생각지도 않았던 연보라 색상까지도 보정을 당하게 된다.
먼저, 선행기술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95224호(2017.01.05.)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색상 보정방법 그리고 그것을 이용한 출력 영상의 색상 보정을 위한 호스트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선행기술은,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에 상관없이 디스플레이 화면과 인쇄 출력물과의 색상을 일치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 소개하고자 하는 색상 모델에서 단일의 색상 요소가 아닌, 색상 요소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조합 요소에 기반하여 색상을 보정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지는 않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공되는 기술은 조정의 실질적인 대상이 되는 조합된 색상 요소를 이용하여 색상을 보정하는 기술로서 상기 살펴본 선행기술과 구별되고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색상 모델에 따라 단일의 색상 요소가 아닌 색상 요소의 조합에 의해 조정의 실질적인 대상이 되는 조합된 색상을 제공하고, 조합된 색상 요소에 기반하여 색상의 수정·보정을 수행하는 색상 수정·보정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색상 수정·보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추가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양한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효과에 대응하는 각각의 이미지 처리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던 종래의 기술을 보완하여 단일 과정을 통해 복합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색상의 수정·보정을 수행하는 색상 수정·보정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색상 수정·보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추가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양한 효과를 제공하는 이미지 처리 과정의 결과를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함으로써 검색에 의해 원하는 효과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하고 이를 실행함으로써 색상 수정·보정에 의해 구현하고자 하는 효과를 수치화하여 재현할 수 있는 색상 수정·보정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색상 수정·보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추가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기술에 따라 다양한 효과 재현을 위해 복수의 이미지 처리로 인한 색상 정보가 손상되던 것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효과를 단일의 과정을 통해 얻고 색상 정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색상 수정·보정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색상 수정·보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색상 수정·보정방법은, 다양한 종류의 색상 수정(color grading)·색상 보정(color correction) 작업들에 의한 이미지 처리(image processing) 결과를 프로파일 형태로 데이터 화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저장된 프로파일(profile) 중에서 선택된 색상 수정·색상 보정 작업들의 프로파일 정보(profile information)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처리의 결과를 타겟 이미지(target image)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색상 값(color value)을 표현하는 방식은, 최대 공약수(greatest common divisor) 원리에 기초하여 색상 모델(color model)에 따라 색상 요소(component of color)를 조합하여 생성된 조합 요소(combined component)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화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방식에 의해 표현된 색상 값을 포함하는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에 해당하는 엔 컬러 테이블 차트(n color table chart, NCTC)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화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색상 수정·색상 보정 작업들에 의한 이미지 처리를 샘플 이미지(sample image)에 적용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처리에 의해 변환된 이미지의 색상 값에 관한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색상 수정·색상 보정 작업들의 종류와 이에 대응하는 프로파일 정보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파일 정보는, 상기 NCTC의 색상 값과 상기 디지털 이미지 처리에 의해 변환된 색상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타겟 이미지에 적용하는 단계는, 타겟 이미지의 색상 값이 상기 조합 색상의 색상 값을 표현하는 방식에 의해 표현되도록 타겟 이미지의 색상 값을 변경하는 단계; 타겟 이미지에 적용하고자 하는 선택된 색상 수정·색상 보정 작업들에 해당하는 프로파일을 데이터화에 의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프로파일의 프로파일 정보에 따라, 타겟 이미지의 색상 값을 변환함으로써 선택된 색상 수정·색상 보정 작업들이 적용된 타겟 이미지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색상 값을 표현하는 방식은, 색상 요소 중에서 복수 개를 조합하여 생성된 조합 요소 및 조합 후에 남는 색상 요소를 이용하여 이미지 픽셀의 색상을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조합은, 각 색상 요소에서 공통 수치 범위의 색상 값을 갖는 색상 요소들을 공통 수치 범위 내에서 서로 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조합 요소의 색상 값은, RGB 색상 모델 및 CMYK 색상 모델을 포함하는 색상 모델에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색상 수정·보정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색상 수정·색상 보정 작업들에 의한 이미지 처리(image processing) 결과를 데이터 화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생성부; 및 저장된 프로파일 중에서 선택된 색상 수정·색상 보정 작업들의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처리의 결과를 타겟 이미지(target image)에 적용하는 컬러 보정 엔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색상 값을 표현하는 방식은, 최대 공약수 원리에 기초하여 색상 모델에 따라 색의 요소를 조합하여 생성된 조합 요소(combined element)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생성부는, 상기 방식에 의해 표현된 색상 값을 포함하는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에 해당하는 엔 컬러 테이블 차트(n color table chart, NCTC)를 생성하는 차트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생성부는, 색상 수정·색상 보정 작업들에 의한 이미지 처리를 샘플 이미지(sample image)에 적용하는 시연 모듈; 상기 이미지 처리에 의해 변환된 이미지의 색상 값에 관한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프로파일 생성 모듈; 및 색상 수정·색상 보정 작업들의 종류와 이에 대응하는 프로파일 정보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데이터베이스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파일 정보는, 상기 NCTC의 색상 값과 상기 디지털 이미지 처리에 의해 변환된 색상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컬러 보정 엔진은, 타겟 이미지의 색상 값이 상기 조합 색상의 색상 값을 표현하는 방식에 의해 표현되도록 타겟 이미지의 색상 값을 변경하는 색상변경 모듈; 타겟 이미지에 적용하고자 하는 선택된 색상 수정·색상 보정 작업들에 해당하는 프로파일을 데이터화에 의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검색 모듈; 및 검색된 프로파일의 프로파일 정보에 따라, 타겟 이미지의 색상 값을 변환하는 색상변환 모듈을 포함하고, 선택된 색상 수정·색상 보정 작업들이 적용된 타겟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색상 값을 표현하는 방식은, 색상 요소 중에서 복수 개를 조합하여 생성된 조합 요소 및 조합 후에 남는 색상 요소를 이용하여 이미지 픽셀의 색상을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조합은, 각 색상 요소에서 공통 수치 범위의 색상 값을 갖는 색의 요소들을 공통 수치 범위 내에서 서로 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조합 요소의 색상 값은, RGB 색상 모델 및 CMYK 색상 모델을 포함하는 색상 모델에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차트생성 모듈은, RGB 색상 모델에서, 적(red), 녹(green), 청(blue) 3개의 색상 요소를 이용하여 3개의 색상 요소가 조합된 적녹청(RGB), 2개의 색상 요소가 조합된 적녹(RG), 녹청(GB) 및 청적(BR) 그리고 나머지 하나의 색상 요소들 적(red), 녹(green) 및 청(blue)에 대한 7개의 차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차트생성 모듈은, CMYK 색상 모델에서, C, M, Y 및 K, 4개의 색상 요소들을 이용하여 4개의 색상 요소들이 조합된 CMYK, 3개의 색상 요소들이 조합된 CMY, CMK, CYK 및 MYK, 2개의 색상 요소들이 조합된 CM, CY, CK, MY, MK 및 YK, 그리고 나머지 하나의 색상 요소들 C, M, Y 및 K에 대한 15개의 차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각 차트는, 각 차트에 해당하는 조합 요소를 구성하는 색상 요소의 수치에 따라 색상을 단계별로 표시하는 256개의 패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각 차트는, 각 차트에 해당하는 조합 요소를 구성하는 색상 요소의 수치에 따라 색상을 단계별로 표시하는 100개의 패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색상변환 모듈은, 적, 녹 및 청(R=G=B) 조합 요소의 변환된 색상 값, 적녹, 녹청 및 청적(R=G/G=B/B=R) 조합 요소 중에서 어느 한 조합 요소의 변환된 색상 값 그리고 적(red), 녹(green) 및 청(blue)의 나머지 색의 요소 중에서 어느 한 색상 요소의 변환된 색상 값을 포함하는 집합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상 값의 합산에 의해 상기 타겟 이미지의 색상 값을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타겟 이미지는, 상기 이미지 처리에 의해 색상 정보가 변경되지 않는 형식의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색상 모델에 따라 단일의 색상 요소가 아닌 색상 요소의 조합에 의해 조정의 실질적인 대상이 되는 조합된 색상이 제공되고, 조합된 색상 요소에 기반하여 색상의 수정·보정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단일 과정을 통해 복합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색상의 수정·보정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효과를 제공하는 이미지 처리 과정의 결과를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함으로써 검색에 의해 원하는 효과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하고 이를 실행함으로써 색상 수정·보정에 의해 구현하고자 하는 효과가 수치화되어 재현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효과를 단일의 과정을 통해 얻고 색상 정보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해 수행되는 이미지 색상 보정방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색상 수정·보정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색상 수정·보정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색상 수정·보정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색상 수정·보정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RGB 모델의 조합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RGB 모델의 엔 컬러 테이블 차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MYK 모델의 엔 컬러 테이블 차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RGB 모델의 RGB 패치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RGB 모델의 RG, BG 및 BR 패치의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RGB 모델의 R, G 및 B 패치의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색상 수정·보정방법 이를 이용하는 색상 수정·보정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색상 수정·보정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색상 수정·보정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시스템은 색상 수정·보정장치(100)에 해당하는 다양한 종류의 사용자 단말(100), 데이터베이스(200), 서버(300) 및 네트워크(40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디지털 이미지의 색상을 수정·보정하는 장치로서, 비디오를 포함하는 디지털 이미지를 생성하고 편집할 수 있는 이미지 출력 전용의 장치, 이미지 에디터, 이미지 편집 장치, 또는 이미지의 생성 및 편집 이외에 범용의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장치, 단말기(terminal) 및 무선단말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0)에 해당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색상 수정·보정장치(1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색상 수정·보정방법을 구성하는 컴퓨터 명령어를 포함하는 색상 수정·보정 애플리케이션 모듈을 인스톨된 형태로 저장한다.
상기 무선단말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셀룰러 전화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PDA), 무선 모뎀,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컴퓨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촬영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게이밍(gaming) 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음악저장 및 재생 가전제품, 무선 인터넷 접속 및 브라우징이 가능한 인터넷 가전제품뿐만 아니라 그러한 기능들의 조합들을 통합하고 있는 휴대형 유닛 또는 단말기들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베이스(2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화된 정보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200)는 서버(300) 측에 직접 연결되거나 사용자 단말(100) 측에 직접 연결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화된 정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서버(300)는 파일 서버, 업데이트 서버, FTP 서버, 웹 서버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 단말(100)에 저장된 색상 수정·보정 애플리케이션 모듈의 업데이트를 위해 필요한 각종 파일, 예를 들어 새로운 패치, 확장 프로그램 및 서비스 팩을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의 접속을 허용하여 파일 다운로딩에 의한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를 제공한다. 또한, 서버(3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축된 데이터베이스(20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400)는 LAN, WAN 형태의 유선 네트워크, WiFi, 블루투스, 지그비 등의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및 다양한 종류의 셀룰러 무선통신망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색상 수정·보정장치(100)는 인스톨되지 않은 색상 수정·보정 애플리케이션 모듈이 저장된 미디어를 읽고, 이를 인스톨하여 색상 수정·보정장치(100) 내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미디어는 광학 저장 미디어, 예를 들어 CD-ROM 및 DVD-ROM을 포함한다. 또한, 색상 수정·보정 애플리케이션 모듈이 서버(300)로부터 내려 받은(downloaded) 바이너리 파일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색상 수정·보정장치(100)는 네트워크(400)를 통해서 서버(300)로부터 각종 파일을 내려 받아 상기 애플리케이션 모듈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기 색상 수정·보정장치(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색상 수정·보정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색상 수정·보정장치(100)는 입력 디바이스(input device)(110), 디스플레이(display)(120), 출력 디바이스(output device)(130), 저장 장치(storage device)(140), 통신 장치(communication device)(150), 전원 장치(power device)(160) 및 제어부(control unit)(170)를 포함한다.
입력 디바이스(110)는 색상 수정·보정에 필요한 데이터 및 사용자 작업 환경의 각종 파라미터 설정을 위한 정보 입력을 수행하는 키보드, 터치스크린, 마우스, 전자펜 및 음성 입력장치,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질적으로 사용자 입력을 통해 입력 디바이스(110)는 색상 수정·보정에 필요한 명령을 입력한다. 여기서, 색상 수정(color grading)은 왜곡은 없으나 다른 효과를 위한 프로세스를 지칭하고, 색상 보정(color correction)은 왜곡을 수정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지칭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미지 처리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색상, 색조 및 색감의 변경, 변환 및 전환을 지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색상 수정·보정을 위한 편집 화면의 프레임 출력을 수행하는 브라운관(cathode-ray tube, CRT),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발광다이오드 (light emitting diode, 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력 디바이스(130)는 프린터, 플로터, 빔프로젝터, 텍스트 음성 변환(text to sound, TTS) 장치와 스피커 및 이어폰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저장 장치(140)는 색상 수정·보정장치(100)로부터 분리가 가능/불가능한 모든 형태로서, 자기테이프, 자기드럼, 플로피 디스크, ZIP 드라이브 및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와 같은 자기 방식의 저장장치, SD 카드, USB 메모리 및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SSD)와 같은 플래시 메모리를 이용하는 전기 방식의 저장장치 및 CD-ROM 드라이브, DVD-ROM 드라이브,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 드라이브와 같은 광학 방식의 저장장치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 장치(150)는 유무선 통신망(300)의 각종 통신망에 대응하는 통신 모듈, 예를 들어 블루투스 모듈, WiFi 모듈, 이더넷 인터페이스 카드, USB 모듈, 셀룰러 무선통신 모듈, 모뎀 및 무선 공유기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원 장치(160)는 AC를 DC로 변환하는 파워 서플라이, 어댑터, SMPS와 리튬이온 전지, 납축전지, 연료 전지 및 바이오에탄올 전지와 같은 2차 전지와 1차 전지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7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색상 수정·보정방법이 구현되도록 색상 수정·보정장치(100) 내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제어부(17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3의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프로세서(CPU), 운영체제 및 색상 수정·보정 애플리케이션 모듈이 로드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제어부(170)는 메모리 영역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색상 수정·보정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명령어가 포함된 색상 수정·보정 애플리케이션 모듈 내에서 데이터베이스 생성부(171) 및 컬러 보정 엔진(172)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색상 수정·보정장치(100)가 입력 디바이스(11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받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색상 수정·보정방법에 따른 색상 수정·보정 프로세스, 색상이 수정·보정된 이미지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120)를 통한 화면 프레임의 출력 프로세스, 출력 디바이스(130)를 통한 색상이 수정·보정된 이미지를 종이, 직물, 플라스틱과 같은 인쇄가 가능한 면 위에 출력하는 프로세스, 색상이 수정·보정된 이미지를 저장 장치(140)에 저장하는 프로세스, 색상 수정·보정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색상이 수정·보정된 이미지를 통신 장치(150)를 이용하여 네트워크(400)를 통해 서버(300) 또는 외부 단말에 전송하는 프로세스 및 전원 장치(160)를 통한 파워 공급 프로세스를, 제어부(170) 내에 구성된 프로세서(CPU), 운영체제(OS)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색상 수정·보정방법에 관한 컴퓨터 명령어를 포함하는 문서작성 애플리케이션 모듈이 로드된 메모리를 이용하여 제어한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색상 수정·보정장치(100)는 제어부(170) 내에서 데이터베이스 생성부(171) 및 컬러 보정 엔진(176)을 포함한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 생성부(171)는 차트생성 모듈(172), 효과시연 모듈(173), 프로파일생성 모듈(174) 및 데이터베이스 모듈(175)을 포함하고, 컬러 보정 엔진(176)은 색상변경 모듈(177), 검색 모듈(178) 및 색상변경 모듈(178)을 포함한다.
먼저, 데이터베이스 생성부(110)는 다양한 종류의 색상 수정·색상 보정 작업들에 의한 이미지 처리(image processing) 결과를 데이터화하여 저장한다.
그 중에서 차트생성 모듈(172)은 상기 방식에 의해 표현된 색상 값을 포함하는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에 해당하는 엔 컬러 테이블 차트(n color table chart, NCTC)를 생성한다. 또한, 효과시연 모듈(173)은 색상 수정·색상 보정 작업들에 의한 이미지 처리를 샘플 이미지(sample image)에 적용한다. 또한, 프로파일생성 모듈(174)은 상기 이미지 처리에 의해 변환된 이미지의 색상 값에 관한 프로파일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모듈(175)은 색상 수정·색상 보정 작업들의 종류와 이에 대응하는 프로파일 정보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컬러 보정 엔진(120)은 저장된 프로파일 중에서 선택된 색상 수정·색상 보정 작업들의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처리의 결과를 타겟 이미지(target image)에 적용한다.
그 중에서 색상변경 모듈(177)은 타겟 이미지의 색상 값이 상기 조합 색상의 색상 값을 표현하는 방식에 의해 표현되도록 타겟 이미지의 색상 값을 변경한다. 또한, 검색 모듈(178)은 타겟 이미지에 적용하고자 하는 선택된 색상 수정·색상 보정 작업들에 해당하는 프로파일을 데이터화에 의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다. 또한, 색상변환 모듈(179)은 검색된 프로파일의 프로파일 정보에 따라, 타겟 이미지의 색상 값을 변환한다. 그리고 선택된 색상 수정·색상 보정 작업들이 적용된 타겟 이미지가 출력된다.
컴퓨팅 장치(500)에 해당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색상 수정·보정장치(100)는 다른 실시 예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색상 수정·보정장치(500)의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500)에 해당하는 색상 수정·보정장치(5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51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520), 메모리(531), 저장장치(532), 전원 장치(540), 프로세서(55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560), 무선통신 장치(570) 및 버스(580)를 포함한다.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51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색상 수정·보정에 필요한 문자 또는 개체를 입력한다.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510)는 키보드(Keyboard),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마우스(Mouse), 전자펜(Stylus Pen) 및 펜 태블릿(Pen Tablet)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520)는 문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및 이미지를 프린트 출력하는 프린터(printer)를 포함한다. 또한,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520)는 문서 내의 문자를 음성합성(Text to Speech, TTS) 엔진을 이용하여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speaker), 헤드폰(head-phone) 및 헤드셋(head-set)을 포함한다.
프로세서(550)는 메모리(531) 및/또는 저장 장치(532)에 저장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색상 수정·보정방법에 관한 색상 수정·보정 애플리케이션 모듈이 포함하고 있는 컴퓨터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55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531)와 저장 장치(532)는 휘발성 저장 매체 및/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531)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통신 장치(570)는 근거리 무선통신, 무선 데이터 통신 및 무선 음성 통신을 위한 장치를 포함한다.
문서출력 장치(5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58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한다.
이하 상기 설명한 색상 수정·보정장치(100)가 색상 수정·보정 애플리케이션 모듈이 포함하는 컴퓨터 명령의 실행을 통해 실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색상 수정·보정방법을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색상 수정·보정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색상 수정·보정방법은 S110 내지 S123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데이터베이스 생성부(110)는 다양한 종류의 색상 수정·색상 보정 작업들에 의한 이미지 처리(image processing) 결과를 데이터화하여 저장한다(S110).
여기서, 다양한 종류의 색상 수정·색상 보정 작업은 레벨(level), 대비(contrast), 색상 균형(color balance), 명도(brightness)/대비, 색조(tone)/채도(chroma), 색상 일치(color coincidence), 색상 대체(color alteration), 색상 선택(color selection), 응용 필터(application filter), 반전(reverse) 및 균일화(equalization)를 포함하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데이터화는 상기 이미지 처리 결과에 따라 색상 모델에서 표현되는 색상 값의 수치가 이미지 처리 전과 후에 어떻게 변동되는지 그 대응 관계를 수치로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RGB 모델의 조합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RGB 모델에서 R 요소의 수치가 64, G 요소의 수치가 128 그리고 B 요소의 수치가 192인 색상이 (A)에 나타나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RGB 모델에서 표현되는 각 요소의 색상 값을 조정하는 이미지 처리를 수행한다. 따라서 종래의 이미지 처리 기술에 따른 각 요소의 수치 변동의 결과로서 디스플레이 또는 프린터와 같은 출력 디바이스를 통해 시각적으로 감지되는 색상은 사용자가 예상했던 범위 밖에 있는 경우가 많다. 이는 색상의 각 요소를 독립적으로 그리고 일률적으로 조정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색상 값을 표현하는 방식은, 최대 공약수 원리에 기초하여 색상 모델에 따라 색의 요소를 조합하여 생성된 조합 요소(combined element)를 이용한다. 상기 조합은, 각 색상의 요소에서 공통 수치 범위의 색상 값을 갖는 색의 요소들을 공통 수치 범위 내에서 서로 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RGB 모델에서 R 요소의 수치가 64, G 요소의 수치가 128 그리고 B 요소의 수치가 192인 색상이 조합 요소에 의해 표현된 (B)가 나타나 있다. 최대 공약수의 원리에 따라, R, G, B의 각 색상 요소에서 서로 공통된 수치의 범위에 해당하는 64에 대해서, R=G=B=64에 의한 RGB 조합 요소가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RGB: 64는 64-0에 의해 산출된다. 같은 방법으로 G=B=64에 의한 GB 조합 요소가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GB: 64는 128-64에 의해 산출된다. 그리고 나머지 색상 요소인 G 요소가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G: 64는 192-128에 의해 산출된다. 그 밖에 RGB 생상 요소 중에서 3개 요소가 공통된 수치의 범위가 없는 경우, 예를 들어 R: 0, G: 128, B: 192인 경우, 조합 요소는 RGB: 0, GB: 128, B: 64로 설정될 수 있고, 또는 2개 요소가 공통된 수치의 범위도 없는 경우, 예를 들어 R: 0, G: 0, B: 192인 경우, 조합 요소는 RGB: 0, GB: 0, B: 192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색상 값을 표현하는 방식은, 색의 요소 중에서 복수 개를 조합하여 생성된 조합 요소 및 조합 후에 남는 색의 요소를 이용하여 이미지 픽셀의 색상을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S110 단계를 구성하는 세부 단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S110 단계는 다음의 S111 내지 S114 단계를 포함한다.
차트생성 모듈(172)은 상기 방식에 의해 표현된 색상 값을 포함하는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에 해당하는 엔 컬러 테이블 차트(n color table chart, NCTC)를 생성한다(S111).
차트생성 모듈(172)은, RGB 색상 모델에서, 적(red), 녹(green), 청(blue) 3개의 색의 요소를 이용하여 3개 색의 요소가 조합된 적녹청(RGB), 2개 색의 요소가 조합된 적녹(RG), 녹청(GB) 및 청적(BR) 그리고 나머지 하나의 색의 요소들 적(red), 녹(green) 및 청(blue)에 대한 7개의 차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RGB 모델의 엔 컬러 테이블 차트이다.
도 8을 참조하면, RGB 모델에서 색상의 3요소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조합 요소가 나타나 있다. 여기서, RGB 조합 요소로서 최대 수치 대비 50% 수치를 갖는 색상 요소의 조합에 의해 생성된 것이 대표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기존의 RGB 모델과 비교하여 전체 색상을 구성하는 색상 요소가 7개의 조합 요소로 대표되는 인자로 확장된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합 인자를 이용하여 색상이 표현되는 경우 색상 수정·색상 보정으로 변동되는 색상이 기존 RGB 모델 대비 더욱 정밀하게 표현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합 요소의 색상 값은, RGB 색상 모델 및 CMYK 색상 모델을 포함하는 색상 모델에서 표현될 수 있다.
RGB 모델은 색을 섞을수록 명도가 높아지는 가산혼합(additive color mixing) 색상 모델이고, CMYK 모델은 색을 섞을수록 명도가 낮아지는 감산혼합(subtractive color mixing) 색상 모델이다.
청록색(cyan, 사이안), 자홍색(magenta, 마젠타), 노란색(yellow), 검정색(blacK)의 약자를 이용하여 표시되는 CMYK 색상 모델은 잉크에 기초한 색상 구현 원리를 따르기 때문에 색을 더할수록 명도가 낮아지고 어두워진다. 색이 혼합될수록 빛의 양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차트생성 모듈(172)은, CMYK 색상 모델에서, C, M, Y 및 K, 4개의 색상 요소들을 이용하여 4개의 색상 요소들이 조합된 CMYK, 3개의 색상 요소들이 조합된 CMY, CMK, CYK 및 MYK, 2개의 색상 요소들이 조합된 CM, CY, CK, MY, MK 및 YK, 그리고 나머지 하나의 색상 요소들 C, M, Y 및 K에 대한 15개의 차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MYK 모델의 엔 컬러 테이블 차트이다.
도 9를 참조하면, CMYK 모델에서 색상의 4요소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조합 요소가 나타나 있다. 여기서, K 요소가 포함된 조합 요소로서 최대 수치 대비 50% 수치를 갖는 색상 요소의 조합에 의해 생성된 것이 대표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CMYK 는 RGB 보다 나타낼 수 있는 색상 영역이 적지만, 인쇄 출력물 등 잉크로 표현되는 모든 출력물은 CMYK 색상 모델을 따른다. 디스플레이 상에서 확인된 색상이 실제 인쇄했을 때 나온 색상과 차이가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포스터, 브로슈어, 팸플릿, 포트폴리오와 같은 인쇄물의 색상 표현에는 CMYK 색상 모델이 이용된다.
상기 색상 모델 별로 생성된 차트는 이에 해당하는 조합 요소의 색 분포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RGB 색상 모델의 룩업 테이블은 조합된 색상을 조합 요소의 수치에 따라 단계 별로 표시하는 256개의 패치로 구성된 색상 분포도를 차트 별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RGB 색상 모델의 룩업 테이블은 조합된 색상을 조합 요소의 수치에 따라 단계 별로 표시하는 100개의 패치로 구성된 색상 분포도를 차트 별로 포함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RGB 모델의 RGB 패치의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RGB 조합 요소의 수치가 1 내지 255인 경우의 패치가 단계 별로 나타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RGB 모델의 RG, BG 및 BR 패치의 예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RG, GB, BR 조합 요소의 수치가 1 내지 255인 경우의 패치가 단계 별로 각각 나타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RGB 모델의 R, G 및 B 패치의 예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R, G, B 색상 요소의 수치가 1 내지 255인 경우의 패치가 단계 별로 각각 나타나 있다.
상기 각 차트에 포함된 패치 값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색상 수정·색상 보정 작업에 따라 변동되는 색상을 표현하는 기준이 된다.
다음으로, 효과시연 모듈(173)은 색상 수정·색상 보정 작업들에 의한 이미지 처리를 샘플 이미지(sample image)에 적용한다(S112). S112 단계에서는 상기에서 설명된 다양한 색상 수정·색상 보정 작업이 수행된다. 더 나아가 단일의 작업 또는 다양한 조합의 2개 이상의 복수의 작업이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그리고 기존의 각종 효과, 예를 들어 노이즈, 렌더, 브러쉬 선, 선명 효과, 스케치 효과, 스타일화, 예술 효과, 왜곡, 텍스처, 픽셀화, 흐림 효과 및 서드 파티 업체에 의해 제공되는 필터에 의해 구현되는 각종 기타 효과의 결과를 수치화하기 위해 각종 필터들에 의한 이미지 처리가 샘플 이미지에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프로파일생성 모듈(174)은 상기 이미지 처리에 의해 변환된 이미지의 색상 값에 관한 프로파일을 생성한다(S113). 각 프로파일은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고유 번호를 가지고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베이스 모듈(175)은 상기 수행된 색상 수정·색상 보정 작업들의 종류와 이에 대응하는 프로파일 정보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S114). 여기서, 프로파일 정보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NCTC의 색상 값과 상기 디지털 이미지 처리에 의해 변환된 색상 값, 그 밖에 이미지 처리에 의한 구현되는 효과의 명칭, 효과의 단계 및 색상 모델의 종류를 포함한다. 이하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타겟 이미지에 이미지 처리로 인한 효과를 적용하는 단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컬러 보정 엔진(120)은 저장된 프로파일 중에서 선택된 색상 수정·색상 보정 작업들의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처리의 결과를 타겟 이미지(target image)에 적용한다(S120).
구체적으로 S120 단계는 다음의 S121 내지 S123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색상변경 모듈(177)은 타겟 이미지의 색상 값이 상기 조합 색상의 색상 값을 표현하는 방식에 의해 표현되도록 타겟 이미지의 색상 값을 변경한다(S121). S121 단계의 결과에 따라 타겟 이미지의 각 픽셀의 색상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치가 표현하는 색상으로 표현되고, 픽셀의 실제 색상은 패치가 나타내는 수치의 합산을 통해 표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검색 모듈(178)은 타겟 이미지에 적용하고자 하는 선택된 색상 수정·색상 보정 작업들에 해당하는 프로파일을 데이터화에 의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다(S122). 상기 검색을 위해서는 데이터베이스 운용에서 실제 사용되는 각종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목적하는 이미지 처리 효과, 프로파일 번호, 색상 값, 적용 단계에 관한 키워드를 이용하여 프로파일을 검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색상변환 모듈(179) 검색된 프로파일의 프로파일 정보에 따라, 타겟 이미지의 색상 값을 변환한다(S123).
RGB 색상 모델에서 색상변환 모듈(179)은, 적, 녹 및 청(R=G=B) 조합 요소의 색상 값으로부터 변환된 색상 값, 적녹, 녹청 및 청적(R=G/G=B/B=R) 조합 요소 중에서 어느 한 조합 요소의 색상 값으로부터 변환된 색상 값 그리고 적(red), 녹(green) 및 청(blue)의 나머지 색의 요소 중에서 어느 한 색상 요소의 색상 값으로부터 변환된 색상 값을 포함하는 집합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환된 색상 값의 합산에 의해 상기 타겟 이미지의 색상 값을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색상변환 모듈(179)은 조합 요소 별로 색상 값을 변환하여 변환된 색상 값을 합산하여 픽셀 별 변환된 색상 값을 산출한다.
하나의 프로파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 처리 과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검색된 하나의 프로파일 정보에 따라 타겟 이미지의 색상 값을 변환하더라도 복수의 이미지 처리 효과를 하나의 과정을 통해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선택된 색상 수정·색상 보정 작업들이 적용된 타겟 이미지가 출력된다.
여기서 타겟 이미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에 의해 색상 정보가 변경되지 않는 형식의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PNG, TIFF 형식의 타겟 이미지 파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색상 수정·색상 보정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색상 수정·색상 보정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색상 수정·색상 보정장치는 색상 모델에 따라 단일의 색상 요소가 아닌 색상 요소의 조합에 의해 조정의 실질적인 대상이 되는 조합된 색상을 제공하고, 조합된 색상 요소에 기반하여 색상의 수정·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 및 장치는 단일 과정을 통해 복합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색상의 수정·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 및 장치는 다양한 효과를 제공하는 이미지 처리 과정의 결과를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함으로써 검색에 의해 원하는 효과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하고 이를 실행함으로써 색상 수정·보정에 의해 구현하고자 하는 효과를 수치화하여 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 및 장치는 다양한 효과를 단일의 과정을 통해 얻도록 할 수 있고 색상 정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0)

  1. 다양한 종류의 색상 수정(color grading)·색상 보정(color correction) 작업들에 의한 이미지 처리(image processing) 결과를 프로파일 형태로 데이터 화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저장된 프로파일(profile) 중에서 선택된 색상 수정·색상 보정 작업들의 프로파일 정보(profile information)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처리의 결과를 타겟 이미지(target image)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각 단계에서 처리되는 이미지 픽셀의 색상 값은,
    다수의 색상 모델에서 사용되는 색상 요소 중에서 복수 개를 조합하여 생성된 조합 요소 및 조합 후에 남는 색상 요소를 이용하여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 수정·보정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색상 값(color value)을 표현하는 방식은,
    최대 공약수(greatest common divisor) 원리에 기초하여 색상 모델(color model)에 따라 색상 요소(component of color)를 조합하여 생성된 조합 요소(combined component)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 수정·보정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화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방식에 의해 표현된 색상 값을 포함하는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에 해당하는 엔 컬러 테이블 차트(n color table chart, NCTC)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 수정·보정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화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색상 수정·색상 보정 작업들에 의한 이미지 처리를 샘플 이미지(sample image)에 적용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처리에 의해 변환된 이미지의 색상 값에 관한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색상 수정·색상 보정 작업들의 종류와 이에 대응하는 프로파일 정보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 수정·보정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정보는,
    상기 NCTC의 색상 값과 디지털 이미지 처리에 의해 변환된 색상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 수정·보정방법.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타겟 이미지에 적용하는 단계는,
    타겟 이미지의 색상 값이 조합 색상의 색상 값을 표현하는 방식에 의해 표현되도록 타겟 이미지의 색상 값을 변경하는 단계;
    타겟 이미지에 적용하고자 하는 선택된 색상 수정·색상 보정 작업들에 해당하는 프로파일을 데이터화에 의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프로파일의 프로파일 정보에 따라, 타겟 이미지의 색상 값을 변환함으로써 선택된 색상 수정·색상 보정 작업들이 적용된 타겟 이미지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 수정·보정방법.
  7. 삭제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합은,
    각 색상 요소에서 공통 수치 범위의 색상 값을 갖는 색상 요소들을 공통 수치 범위 내에서 서로 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 수정·보정방법.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합 요소의 색상 값은,
    RGB 색상 모델 및 CMYK 색상 모델을 포함하는 색상 모델에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 수정·보정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RGB 색상 모델에서, 적(R component), 녹(G component), 청(B component) 3개의 색상 요소(color component)를 이용하여 3개의 색상 요소가 조합된 적녹청(RGB combined component), 2개의 색상 요소가 조합된 적녹(RG combined component), 녹청(GB combined component) 및 청적(BR combined component) 그리고 나머지 하나의 색상 요소들(single components), 적(red), 녹(green) 및 청(blue)에 대한 7개의 차트가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 수정·보정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CMYK 색상 모델에서, C, M, Y 및 K, 4개의 색상 요소들을 이용하여 4개의 색상 요소들이 조합된 CMYK, 3개의 색상 요소들이 조합된 CMY, CMK, CYK 및 MYK, 2개의 색상 요소들이 조합된 CM, CY, CK, MY, MK 및 YK, 그리고 나머지 하나의 색상 요소들 C, M, Y 및 K에 대한 15개의 차트가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 수정·보정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각 차트는,
    각 차트에 해당하는 조합 요소를 구성하는 색상 요소의 수치(value)에 따라 색상을 단계 별로 표시하는 256개의 패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 수정·보정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각 차트는,
    각 차트에 해당하는 조합 요소를 구성하는 색상 요소의 수치에 따라 색상을 단계 별로 표시하는 100개의 패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 수정·보정방법.
  14.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타겟 이미지의 변환된 색상 값은,
    적, 녹 및 청(R=G=B) 조합 요소의 변환된 색상 값, 적녹, 녹청 및 청적(R=G/G=B/B=R) 조합 요소 중에서 어느 한 조합 요소의 변환된 색상 값 그리고 적(red), 녹(green) 및 청(blue)의 나머지 색상 요소 중에서 어느 한 색상 요소의 변환된 색상 값을 포함하는 집합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상 값의 합산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 수정·보정방법.
  1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타겟 이미지는,
    상기 이미지 처리에 의해 색상 정보(color information)가 변경되지 않는 형식(format)의 파일(fi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 수정·보정방법.
  16. 다양한 종류의 색상 수정·색상 보정 작업들에 의한 이미지 처리(image processing) 결과를 데이터화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생성부; 및
    저장된 프로파일 중에서 선택된 색상 수정·색상 보정 작업들의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처리의 결과를 타겟 이미지(target image)에 적용하는 컬러 보정 엔진을 포함하되,
    처리되는 상기 이미지 픽셀의 색상 값은,
    다수의 색상 모델에서 사용되는 색상 요소 중에서 복수 개를 조합하여 생성된 조합 요소 및 조합 후에 남는 색상 요소를 이용하여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 수정·보정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색상 값을 표현하는 방식은,
    최대 공약수 원리에 기초하여 색상 모델에 따라 색의 요소를 조합하여 생성된 조합 요소(combination element)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 수정·보정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생성부는,
    상기 방식에 의해 표현된 색상 값을 포함하는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에 해당하는 엔 컬러 테이블 차트(n color table chart, NCTC)를 생성하는 차트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 수정·보정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생성부는,
    색상 수정·색상 보정 작업들에 의한 이미지 처리를 샘플 이미지(sample image)에 적용하는 시연 모듈;
    상기 이미지 처리에 의해 변환된 이미지의 색상 값에 관한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프로파일 생성 모듈; 및
    색상 수정·색상 보정 작업들의 종류와 이에 대응하는 프로파일 정보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데이터베이스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 수정·보정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정보는,
    상기 NCTC의 색상 값과 디지털 이미지 처리에 의해 변환된 색상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 수정·보정장치.
  21.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컬러 보정 엔진은,
    타겟 이미지의 색상 값이 조합 색상의 색상 값을 표현하는 방식에 의해 표현되도록 타겟 이미지의 색상 값을 변경하는 색상변경 모듈;
    타겟 이미지에 적용하고자 하는 선택된 색상 수정·색상 보정 작업들에 해당하는 프로파일을 데이터화에 의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검색 모듈; 및
    검색된 프로파일의 프로파일 정보에 따라, 타겟 이미지의 색상 값을 변환하는 색상변환 모듈을 포함하고, 선택된 색상 수정·색상 보정 작업들이 적용된 타겟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 수정·보정장치.
  22. 삭제
  23.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조합은,
    각 색의 요소에서 공통 수치 범위의 색상 값을 갖는 색의 요소들을 공통 수치 범위 내에서 서로 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 수정·보정장치.
  24.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조합 요소의 색상 값은,
    RGB 색상 모델 및 CMYK 색상 모델을 포함하는 색상 모델에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 수정·보정장치.
  25.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차트생성 모듈은,
    RGB 색상 모델에서, 적(red), 녹(green), 청(blue) 3개의 색상 요소를 이용하여 3개의 색상 요소가 조합된 적녹청(RGB), 2개의 색상 요소가 조합된 적녹(RG), 녹청(GB) 및 청적(BR) 그리고 나머지 하나의 색의 요소들 적(red), 녹(green) 및 청(blue)에 대한 7개의 차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 수정·보정장치.
  26.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차트생성 모듈은,
    CMYK 색상 모델에서, C, M, Y 및 K, 4개의 색상 요소들을 이용하여 4개의 색상 요소들이 조합된 CMYK, 3개의 색상 요소들이 조합된 CMY, CMK, CYK 및 MYK, 2개의 색상 요소들이 조합된 CM, CY, CK, MY, MK 및 YK, 그리고 나머지 하나의 색상 요소들 C, M, Y 및 K에 대한 15개의 차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 수정·보정장치.
  27.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각 차트는,
    각 차트에 해당하는 조합 요소를 구성하는 색상 요소의 수치에 따라 색상을 단계 별로 표시하는 256개의 패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 수정·보정장치.
  28.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각 차트는,
    각 차트에 해당하는 조합 요소를 구성하는 색상 요소의 수치에 따라 색상을 단계 별로 표시하는 100개의 패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 수정·보정장치.
  29.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색상변환 모듈은,
    적, 녹 및 청(R=G=B) 조합 요소의 변환된 색상 값, 적녹, 녹청 및 청적(R=G/G=B/B=R) 조합 요소 중에서 어느 한 조합 요소의 변환된 색상 값 그리고 적(red), 녹(green) 및 청(blue)의 나머지 색상 요소 중에서 어느 한 색상 요소의 변환된 색상 값을 포함하는 집합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상 값의 합산에 의해 상기 타겟 이미지의 색상 값을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 수정·보정장치.
  3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타겟 이미지는,
    상기 이미지 처리에 의해 색상 정보가 변경되지 않는 형식의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 수정·보정장치.
KR1020170143556A 2017-10-31 2017-10-31 색상 수정·보정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색상 수정·보정장치 KR101941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556A KR101941231B1 (ko) 2017-10-31 2017-10-31 색상 수정·보정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색상 수정·보정장치
US16/175,872 US10621949B2 (en) 2017-10-31 2018-10-31 Method of color grading and color correction, and apparatus for color grading and color correction using the same
JP2018205635A JP6761454B2 (ja) 2017-10-31 2018-10-31 色修正・補正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る色修正・補正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556A KR101941231B1 (ko) 2017-10-31 2017-10-31 색상 수정·보정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색상 수정·보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1231B1 true KR101941231B1 (ko) 2019-01-22

Family

ID=65320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556A KR101941231B1 (ko) 2017-10-31 2017-10-31 색상 수정·보정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색상 수정·보정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621949B2 (ko)
JP (1) JP6761454B2 (ko)
KR (1) KR1019412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5616B1 (ko) 2021-10-18 2022-07-01 라이트하우스(주) 예술품의 이미지 표준화 기반 교육 및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9852A (ja) * 2001-08-29 2003-03-07 Canon Inc 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328197A (ja) * 2004-05-12 2005-11-24 Canon Inc 画像処理システム並びに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JP2012119799A (ja) * 2010-11-30 2012-06-21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キャリブレーションシステム、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61274A1 (fr) * 2002-01-09 2003-07-24 Seiko Epson Corporation Procede de production d'une table de conversion de couleurs, dispositif de traitement d'images, procede de traitement d'images, programme et support d'enregistrement
JP5085268B2 (ja) * 2007-10-19 2012-11-28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とその駆動方法
KR101695224B1 (ko) 2009-05-18 2017-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색상 보정 방법 그리고 그것을 이용한 출력 영상의 색상 보정을 위한 호스트 장치
PL3022902T3 (pl) * 2013-07-16 2020-06-29 Koninklijke Philips N.V. Sposób i urządzenie do tworzenia funkcji eotf dla uniwersalnego odwzorowywania kodu dla obrazu hdr
WO2016111888A1 (en) * 2015-01-05 2016-07-14 Technicolor Us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sion of enhanced multimedia cont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9852A (ja) * 2001-08-29 2003-03-07 Canon Inc 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328197A (ja) * 2004-05-12 2005-11-24 Canon Inc 画像処理システム並びに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JP2012119799A (ja) * 2010-11-30 2012-06-21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キャリブレーションシステム、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5616B1 (ko) 2021-10-18 2022-07-01 라이트하우스(주) 예술품의 이미지 표준화 기반 교육 및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30870A1 (en) 2019-05-02
JP2019083523A (ja) 2019-05-30
US10621949B2 (en) 2020-04-14
JP6761454B2 (ja) 2020-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4518B2 (ja) 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
US7755795B2 (en) Color conversion method and profile generation method
Kriss Color management: understanding and using ICC profiles
US20070030499A1 (en) Color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9076369B2 (en) Image modulatio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CN1816815A (zh) 使用策略控制用于客户和自动色彩管理的系统
US20190104234A1 (en) Profile adjustment method, profile adjustment apparatus, and profile adjustment system
US20140126004A1 (en) Image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22040818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564841B2 (en) Switching controller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image graininess during color management profile construction
KR101941231B1 (ko) 색상 수정·보정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색상 수정·보정장치
JP2011109485A (ja) 色変換テーブル作成プログラム、色変換テーブル作成装置及び色変換テーブル作成方法
JP2012109884A (ja) 色変換テーブル管理方法、色変換テーブル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20203454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
JP5159565B2 (ja) 色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008072550A (ja) 色処理方法、色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9284488A (ja) 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5958725B1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6593246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5849549B2 (ja) 色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7324861A (ja) 色変換定義作成装置および色変換定義作成プログラム
JP2004064111A (ja) 色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014239277A (ja) プロファイル検索システム、画像処理システム、検索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10044723A1 (en) Distributing and managing color profile
JP2016096434A (ja) 色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