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1087B1 - 인쇄용지의 열변형 방지를 위한 프린터 냉각 장치를 이용한 프린터 냉각 방법 - Google Patents

인쇄용지의 열변형 방지를 위한 프린터 냉각 장치를 이용한 프린터 냉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1087B1
KR101941087B1 KR1020180075090A KR20180075090A KR101941087B1 KR 101941087 B1 KR101941087 B1 KR 101941087B1 KR 1020180075090 A KR1020180075090 A KR 1020180075090A KR 20180075090 A KR20180075090 A KR 20180075090A KR 101941087 B1 KR101941087 B1 KR 101941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temperature
printing
printing paper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딜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딜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딜리
Priority to KR1020180075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0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Structure thereof only for on-demand ink jet heads
    • B41J2/14016Structure of bubble jet print heads
    • B41J2/1408Structure dealing with thermal variations, e.g. cooling device, thermal coefficients of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4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 B41J2/04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pressure, e.g.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 B41J2/04501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 B41J2/0454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involving calculation of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77Cooling or ventil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인쇄용지의 열변형 방지를 위한 프린터 냉각 장치를 이용한 프린터 냉각 방법에 있어서, 인쇄용지(29)에 인쇄를 수행하는 헤드 캐리지부(10); 상기 헤드 캐리지부(10)의 하측(下側) 방향으로 배치된 확장 냉각부(20-1); 상기 확장 냉각부(20-1)는 상기 헤드 캐리지부(10)와 대응하는 중앙부(20-22); 상기 중앙부(20-22)의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확장된 제1,2 확장부(20-21,20-23); 상기 제1 확장부(20-21)에 온도를 검출하는 제1 온도 검출부(20-51); 상기 중앙부(20-22)에 온도를 검출하는 제2 온도 검출부(20-52); 상기 제2 확장부(20-23)에 온도를 검출하는 제3 온도 검출부(20-53); 상기 제1 확장부(20-21)에 온도를 제어하는 제1 냉매 제어부(20-31); 상기 중앙부(20-22)에 온도를 제어하는 제2 냉매 제어부(20-32); 상기 제2 확장부(20-23)에 온도를 제어하는 제3 냉매 제어부(20-33); 상기 헤드 캐리지부(10)에서 인쇄 직전(直前)에 상기 인쇄용지(29)를 냉각시키는 상기 제1 확장부(20-21); 상기 헤드 캐리지부(10)에 발생하는 열에 의해서 인쇄 중 상기 인쇄용지(29)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냉각시키는 상기 중앙부(20-22); 상기 헤드 캐리지부(10)에서 인쇄 직후(直後)에 상기 인쇄용지(29)를 냉각시키는 상기 제2 확장부(20-23)를 포함하며; 상기 인쇄용지(29)는 비닐(Vinyl), 수지(Resin), 가죽, 스타킹(Stacking) 중에서 선택하며; 상기 인쇄용지의 열변형 방지를 위한 프린터 냉각 장치를 이용한 프린터 냉각 방법은, 상기 제1 확장부(20-21)의 제1 온도 검출부(20-51)에서 검출된 온도를 제1 냉매 제어부(20-31)로 가져오는 제1 단계; 상기 중앙부(20-22)의 제2 온도 검출부(20-52)에서 검출된 온도를 제2 냉매 제어부(20-32)로 가져오는 제2 단계; 상기 제2 확장부(20-23)의 제3 온도 검출부(20-53)에셔 검출된 온도를 제3 냉매 제어부(20-33)로 가져오는 제3 단계; 인쇄용지(29)에 인쇄를 수행하는 헤드 캐리지부(10)에서 인쇄 직전(直前)에 상기 인쇄용지(29)가 변형되지 않도록 설정된 온도로 냉각하는 제4 단계; 상기 헤드 캐리지부(10)에서 인쇄가 진행되는 인쇄용지(29)를 인쇄 중에 냉각하는 제5 단계; 상기 헤드 캐리지부(10)에서 인쇄용지(29)를 인쇄 직후(直後)에 변형이 없는 온도로 냉각하는 제6 단계; 상기 1 내지 6 단계를 통하여 상기 제1,2,3 냉매 제어부(20-31,20-32,20-33)는 상기 인쇄용지(29)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인쇄 직전(直前) : 제1 확장부(20-21), 인쇄 중 : 중앙부(20-22), 인쇄 직후(直後) : 제2 확장부(20-23)의 온도를 각각 개별적으로 검출 및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지의 열변형 방지를 위한 프린터 냉각 장치를 이용한 프린터 냉각 방법을 제안한다.

Description

인쇄용지의 열변형 방지를 위한 프린터 냉각 장치를 이용한 프린터 냉각 방법{Printer Cooling Method Using Printer Cooling Apparatus to Prevent Thermal Deformation of Printing Substrates}
본 발명은 인쇄용지의 열변형 방지를 위한 프린터 냉각 장치를 이용한 프린터 냉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잉크젯 프린터의 UV 램프를 포함하는 헤드 캐리지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서 인쇄하는 용지의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다양한 인쇄용지가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비닐(Vinyl), 수지(Resin), 옷감, 의류, 가죽 등 열에 비교적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재료에도 인쇄를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열에 약한 인쇄용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디지털 잉크젯 프린터의 냉각 장치를 이용한 프린터 냉각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 냉각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1999-0007047호, 공개일 1999. 01. 25.(이하 [특허문헌1]이라함)에서는 능동 냉각 셀을 갖는 잉크젯 방식의 프린트 카트리지를 공개하고 있다. 상기 [특허문헌1]에서는 잉크젯 방식의 프린터 카트리지에 있어서, 히터 칩(heater chip)을 포함하는 프린터 헤드에서, 상기 히터 칩에 연결되는 펠티에 효과 냉각 셀(Peltier effect cooling cell)로서, 상기 냉각 셀은 히터 칩에 대하여 에너지 흐름의 함수로서, 상기 프린터 에너지 공급회로로부터 전류를 수신하는 펠티에 효과 냉각 셀을 포함하는 잉크젯 방식의 프린터 카트리지를 제안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2444호, 공고일 2013. 06. 07.(이하 [특허문헌2]이라함)에서는 프린터 건조 장치를 공개하고 있다. 상기 [특허문헌2]에서는 프린팅된 건조를 위해 제공되는 열품을 간단한 구조의 열풍공급부로 형성하도록 하여서 건조 효율을 향상시키고, 열풍 공급 후에 별도의 냉풍 건조공정을 병행하여 열을 갖는 원단을 실온 온도로 냉각시켜 원단의 열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프린터 건조 장치를 제안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9370호, 공고일 2011. 11. 2.(이하 [특허문헌3]이라함)에서는 잉크젯 헤드 및 잉크젯 헤드의 제조방법을 공개하고 있다. 상기 [특허문헌3]에서는 잉크의 온도를 제어하여 인쇄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유로 플레이트, 노즐 플레이트, 중간 플레이트 및 상기 유로 플레이트 및 상기 노즐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에 잉크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열 교환 유로가 형성되는 온도 제어부를 포함하는 잉크젯 헤드 및 잉크젯 헤드의 제조 방법을 제안하였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1999-0007047호, 공개일 1999. 01. 25. [특허문헌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2444호, 공고일 2013. 6. 7. [특허문헌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9370호, 공고일 2011. 11. 2.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 잉크젯 프린터의 UV 램프를 포함하는 헤드 캐리지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서 인쇄하는 용지의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최근 산업의 발전으로 인하여 특히 비닐(Vinyl), 수지(Resin), 옷감, 의류, 가죽 등 열에 비교적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재료에도 인쇄를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비닐(Vinyl), 수지(Resin), 옷감, 의류, 가죽 등 열에 비교적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재료에도 인쇄가 가능한 인쇄용지의 열변형 방지를 위한 프린터 냉각 장치를 이용한 프린터 냉각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인쇄용지의 열변형 방지를 위한 프린터 냉각 장치를 이용한 프린터 냉각 방법을 위하여 첫째, 디지털 잉크젯 프린터의 UV 램프를 포함하는 헤드 캐리지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하여 비닐(Vinyl), 수지(Resin), 옷감, 의류, 가죽 등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캐리지 대응 냉각부(20); 둘째, 상기 캐리지 대응 냉각부(20)에 냉매 공급을 제어하는 냉매 제어부(20-3) 및 냉매 튜브(20-4); 셋째, 상기 캐리지 대응 냉각부(20)를 확장시킨 확장부(20-2)를 상기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의 아래쪽에 배치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인쇄용지의 열변형 방지를 위한 프린터 냉각 장치를 이용한 프린터 냉각 방법으로 인하여 첫째, 디지털 잉크젯 프린터의 UV 램프를 포함하는 헤드 캐리지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하여 비닐(Vinyl), 수지(Resin), 옷감, 의류, 가죽 등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에서도 안정적으로 인쇄가 가능하며, 둘째,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까지도 다양한 색상으로 안정적인 인쇄가 가능한 매우 상승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디지털 잉크젯 프린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디지털 잉크젯 프린터의 제1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디지털 잉크젯 프린터의 제2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디지털 잉크젯 프린터의 제3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잉크젯 프린터의 제1 세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잉크젯 프린터의 제2 세부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잉크젯 프린터의 제3 세부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잉크젯 프린터를 나타낸 제1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잉크젯 프린터를 나타낸 제2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잉크젯 프린터를 나타낸 제3 사시도
도 11은 냉각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잉크젯 프린터의 정면도
도 12는 제안된 수평형 냉각장치의 제1 구성도
도 13은 제안된 수평형 냉각장치의 제2 구성도
도 14는 제안된 수평형 냉각장치의 제3 구성도
도 15는 제안된 수직형 냉각장치의 제1 구성도
도 16은 제안된 수직형 냉각장치의 제2 구성도
도 17은 제안된 수직형 냉각장치의 제3 구성도
도 18은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재료
본 발명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디지털 잉크젯 프린터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종래의 디지털 잉크젯 프린터에서는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가 공급롤(23)에 감겨있다. 상기 인쇄용지(29)는 제1 가이드(27)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보조롤(25)을 통과하면서 상기 인쇄용지(29)의 장력이 제어되면서 디지털 잉크젯 프린터의 헤드 캐리지부(10)로 입력된다.
상기 디지털 잉크젯 프린터에서 제1롤(21)과 제2롤(22) 사이에 위치하는 헤드 캐리지부(10)를 통하여 인쇄가 이루어지며, 상기 인쇄 이후에 제2 가이드(28)에 연결되어 있는 제2 보조롤(26)를 통하여 출력된 인쇄용지(29)의 장력이 제어되면서, 회수롤(24)을 통하여 인쇄가 완료된 인쇄용지를 회수하게 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디지털 잉크젯 프린터에서는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가 헤드 캐리지부(10)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하여 인쇄용지(29)의 변형이 발생하며, 디지털 인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디지털 잉크젯 프린터의 제1 구성도를 나타낸다.
상기 도 2의 제안된 디지털 잉크젯 프린터의 제1 구성도에서는 상기 헤드 캐리지부(10)의 하측(下側) 방향으로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 바로 아래에는 캐리지 대응 냉각부(20)가 배치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리지 대응 냉각부(20)는 상기 헤드 캐리지부(10)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서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에서도 변형이 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 캐리지 대응 냉각부(20)의 온도는 온도 검출부(20-5)에 의해서 검출되어 냉매 제어부(20-3)로 센싱되며, 온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냉매 튜브(20-4)에 의해서 연결된 냉매 제어부(20-3)에 의해서 상기 캐리지 대응 냉각부(20)의 온도가 상기 인쇄용지(29)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특정(特定) 온도 이하로 제어되는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디지털 잉크젯 프린터의 제2 구성도를 나타낸다.
상기 도 3의 제안된 디지털 잉크젯 프린터의 제2 구성도에서는 상기 헤드 캐리지부(10)의 하측(下側) 방향으로 인쇄되는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가 위치한다. 또한 상기 인쇄용지(29)의 하측(下側) 방향으로 확장 냉각부(20-1)가 배치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장 냉각부(20-1)는 도 2의 캐리지 대응 냉각부(20)보다 넓은 영역에서 냉각을 시키며,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의 열적인 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매우 우수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확장 냉각부(20-1)는 헤드 캐리지부(10)와 대응하는 중앙부(20-22), 상기 중앙부(20-22)의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확장된 제1,2 확장부(20-21,20-23)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장 냉각부(20-1)부는 상기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의 인쇄 진행방향에 따라서 제1 확장부(20-21)에서 상기 인쇄용지(29)를 미리 냉각을 시키며, 중앙부(20-22)에서 헤드 캐리지부(10)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며, 제2 확장부(20-23)에서 상기 인쇄용지(29)의 인쇄 후의 냉각을 시키는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확장부(20-21)에는 제1 온도 검출부(20-51)에 의해서 검출되며, 중앙부(20-22)에는 제2 온도 검출부(20-52)에 의해서 검출되며, 제2 확장부(20-23)에는 제3 온도 검출부(20-53)에 의해서 검출되며, 상기 제1,2,3, 온도 검출부(20-51,20-52,20-53)는 제1,2,3 온도 검출선(20-61,20-62,20-63)을 통하여 냉매 제어부(20-3)로 센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장 냉각부(20-1)를 통하여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를 제1 단계: 인쇄 직전에 미리 냉각하는 단계; 제2 단계: 인쇄 중에 냉각하는 단계; 제3 단계: 인쇄 이후에 냉각하는 단계; 상기 제1,2,3 단계에서 각각 제1,2,3, 온도 검출부(20-51,20-52,20-52)에서 온도를 검출하여 상기 제1,2,3 온도 검출선(20-61,20-62,20-63)을 통하여 냉매 제어부(20-3)로 센싱하며, 냉매 튜브(20-4)에 의해서 연결된 확장 냉각부(20-1)를 제어하므로, 상기 인쇄용지(29)가 열에 의해서 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안정적으로 인쇄가 가능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디지털 잉크젯 프린터의 제3 구성도를 나타낸다.
상기 도 4의 제안된 디지털 잉크젯 프린터의 제3 구성도에서는 상기 헤드 캐리지부(10)의 하측(下側) 방향으로 인쇄되는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가 위치한다. 또한 상기 인쇄용지(29)의 하측(下側) 방향으로 확장 냉각부(20-1)가 배치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장 냉각부(20-1)는 도 2의 캐리지 대응 냉각부(20)보다 넓은 영역에서 냉각을 시키며,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의 열적인 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매우 우수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확장 냉각부(20-1)는 헤드 캐리지부(10)와 대응하는 중앙부(20-22), 상기 중앙부(20-22)의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확장된 제1,2 확장부(20-21,20-23)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장 냉각부(20-1)부는 상기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의 인쇄 진행방향에 따라서 제1 확장부(20-21)에서 상기 인쇄용지(29)를 미리 냉각을 시키며, 중앙부(20-22)에서 헤드 캐리지부(10)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며, 제2 확장부(20-23)에서 상기 인쇄용지(29)의 인쇄 후의 냉각을 시키는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확장부(20-21)에는 제1 온도 검출부(20-51)에 의해서 검출되며, 중앙부(20-22)에는 제2 온도 검출부(20-52)에 의해서 검출되며, 제2 확장부(20-23)에는 제3 온도 검출부(20-53)에 의해서 검출되며, 상기 제1,2,3, 온도 검출부(20-51,20-52,20-53)는 제1,2,3 온도 검출선(20-61,20-62,20-63)을 통하여 제1,2,3 냉매 제어부(20-31,20-32,20-33)로 센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장 냉각부(20-1)를 통하여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를 제1 단계: 인쇄 직전에 미리 냉각하는 단계; 제2 단계: 인쇄 중에 냉각하는 단계; 제3 단계: 인쇄 이후에 냉각하는 단계; 상기 제1,2,3 단계에서 각각 제1,2,3, 온도 검출부(20-51,20-52,20-52)에서 온도를 검출하여 상기 제1,2,3 온도 검출선(20-61,20-62,20-63)을 통하여 상기 제1,2,3 냉매 제어부(20-31,20-32,20-22)로 센싱한다.
상기 제1 냉매 제어부(20-31)는 상기 제1 확장부(20-21)의 온도를 제어하며, 상기 제2 냉매 제어부(20-32)는 상기 중앙부(20-22)의 온도를 제어하며, 상기 제3 냉매 제어부(20-33)는 상기 제2 확장부(20-23)의 온도를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1 확장부(20-21), 중앙부(20-22) 및 제2 확장부(20-23)의 온도를 각각 제어하므로 상기 인쇄용지(29)가 열에 의해서 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매우 안정적으로 인쇄가 가능한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잉크젯 프린터의 제1 세부 구성도를 나타낸다.
상기 도 5의 제안된 디지털 잉크젯 프린터의 제1 세부 구성도에서는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가 공급롤(23)에 감겨있으며, 제1 내지 제5 종이 공급롤(36-38)에 의해서 코로나 처리기(47)로 이동된다. 상기 제1 내지 3 종이 공급롤(36-38)을 통하여 공급된 인쇄용지(29)는 제1 내지 제5 코로나 처리롤(51-55)을 통하여 상기 코로나 처리기(47)를 통과함을 통하여 상기 인쇄용지(29)에 코로나 처리를 함을 통하여 잉크가 더욱 잘 흡수하도로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코로나 처리기(47)는 상기 인쇄용지(29)에 매우 미세한 크랙(Crack)을 형성시킴을 통하여 더욱 인쇄가 잘 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로나 처리기(47)를 통과한 상기 인쇄용지(29)는 제1,2 웹 가이드(Web Guide)롤(42,43) 사이에 위치한 제1 웹 가이드(Web Guide)(41)를 통하여 헤드 캐리지부(10)에 상기 인쇄용지(29)가 똑바르게 입력되도록 조절하며, 제1,2 이송롤(61,62) 및 제1 장력 유지롤(67)을 통하여 헤드 캐리지부(10)에 상기 인쇄용지(29)의 장력을 제어하게 되고, 제3,4 이송롤(63,64)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헤드 캐리지부(10)에서는 상기 인쇄용지(29)에 다양한 색상으로 인쇄가 된다.
상기 헤드 캐리지부(10)를 통과한 인쇄용지(29)는 제5,6 이송롤(65,66) 및 제2 장력 유지롤(68)을 통하여 상기 헤드 캐리지부(10)에서 출력되는 상기 인쇄용지(29)의 장력을 제어하게 되고, 상기 인쇄용지(29)는 제3,4 웹 가이드(Web Guide)롤(45,46) 사이에 위치한 제2 웹 가이드(Web Guide)(44)를 통하여 인쇄용지(29)가 똑바르게 출력되며, 제1,2 종이 출력롤(56,57)을 통하여 종이 출력 메인롤(58)에 감기게 된다.
상기 헤드 캐리지부(10)의 하측(下側) 방향으로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 바로 아래에는 캐리지 대응 냉각부(20)가 배치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리지 대응 냉각부(20)는 상기 헤드 캐리지부(10)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서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에서도 변형이 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 캐리지 대응 냉각부(20)의 온도는 온도 검출부(20-5)에 의해서 검출되어 냉매 제어부(20-3)로 센싱되며, 온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냉매 튜브(20-4)에 의해서 연결된 냉매 제어부(20-3)에 의해서 상기 캐리지 대응 냉각부(20)의 온도가 상기 인쇄용지(29)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특정(特定) 온도 이하로 제어되는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잉크젯 프린터의 제2 세부 구성도를 나타낸다.
상기 도 6의 제안된 디지털 잉크젯 프린터의 제2 세부 구성도에서는 상기 헤드 캐리지부(10)의 하측(下側) 방향으로 인쇄되는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가 위치한다. 또한 상기 인쇄용지(29)의 하측(下側) 방향으로 확장 냉각부(20-1)가 배치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장 냉각부(20-1)는 도 5의 캐리지 대응 냉각부(20)보다 넓은 영역에서 냉각을 시키며,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의 열적인 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매우 우수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확장 냉각부(20-1)는 헤드 캐리지부(10)와 대응하는 중앙부(20-22), 상기 중앙부(20-22)의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확장된 제1,2 확장부(20-21,20-23)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장 냉각부(20-1)부는 상기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의 인쇄 진행방향에 따라서 제1 확장부(20-21)에서 상기 인쇄용지(29)를 미리 냉각을 시키며, 중앙부(20-22)에서 헤드 캐리지부(10)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며, 제2 확장부(20-23)에서 상기 인쇄용지(29)의 인쇄 후의 냉각을 시키는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확장부(20-21)에는 제1 온도 검출부(20-51)에 의해서 검출되며, 중앙부(20-22)에는 제2 온도 검출부(20-52)에 의해서 검출되며, 제2 확장부(20-23)에는 제3 온도 검출부(20-53)에 의해서 검출되며, 상기 제1,2,3, 온도 검출부(20-51,20-52,20-53)는 제1,2,3 온도 검출선(20-61,20-62,20-63)을 통하여 냉매 제어부(20-3)로 센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장 냉각부(20-1)를 통하여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를 제1 단계: 인쇄 직전에 미리 냉각하는 단계; 제2 단계: 인쇄 중에 냉각하는 단계; 제3 단계: 인쇄 이후에 냉각하는 단계; 상기 제1,2,3 단계에서 각각 제1,2,3, 온도 검출부(20-51,20-52,20-52)에서 온도를 검출하여 상기 제1,2,3 온도 검출선(20-61,20-62,20-63)을 통하여 냉매 제어부(20-3)로 센싱하며, 냉매 튜브(20-4)에 의해서 연결된 확장 냉각부(20-1)를 제어하므로, 상기 인쇄용지(29)가 열에 의해서 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안정적으로 인쇄가 가능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잉크젯 프린터의 제3 세부 구성도를 나타낸다.
상기 도 7의 제안된 디지털 잉크젯 프린터의 제3 세부 구성도에서는 상기 헤드 캐리지부(10)의 하측(下側) 방향으로 인쇄되는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가 위치한다. 또한 상기 인쇄용지(29)의 하측(下側) 방향으로 확장 냉각부(20-1)가 배치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장 냉각부(20-1)는 도 5의 캐리지 대응 냉각부(20)보다 넓은 영역에서 냉각을 시키며,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의 열적인 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매우 우수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확장 냉각부(20-1)는 헤드 캐리지부(10)와 대응하는 중앙부(20-22), 상기 중앙부(20-22)의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확장된 제1,2 확장부(20-21,20-23)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장 냉각부(20-1)부는 상기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의 인쇄 진행방향에 따라서 제1 확장부(20-21)에서 상기 인쇄용지(29)를 미리 냉각을 시키며, 중앙부(20-22)에서 헤드 캐리지부(10)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며, 제2 확장부(20-23)에서 상기 인쇄용지(29)의 인쇄 후의 냉각을 시키는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확장부(20-21)에는 제1 온도 검출부(20-51)에 의해서 검출되며, 중앙부(20-22)에는 제2 온도 검출부(20-52)에 의해서 검출되며, 제2 확장부(20-23)에는 제3 온도 검출부(20-53)에 의해서 검출되며, 상기 제1,2,3, 온도 검출부(20-51,20-52,20-53)는 제1,2,3 온도 검출선(20-61,20-62,20-63)을 통하여 제1,2,3 냉매 제어부(20-31,20-32,20-33)로 센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장 냉각부(20-1)를 통하여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를 제1 단계: 인쇄 직전에 미리 냉각하는 단계; 제2 단계: 인쇄 중에 냉각하는 단계; 제3 단계: 인쇄 이후에 냉각하는 단계; 상기 제1,2,3 단계에서 각각 제1,2,3, 온도 검출부(20-51,20-52,20-52)에서 온도를 검출하여 상기 제1,2,3 온도 검출선(20-61,20-62,20-63)을 통하여 상기 제1,2,3 냉매 제어부(20-31,20-32,20-22)로 센싱한다.
상기 제1 냉매 제어부(20-31)는 상기 제1 확장부(20-21)의 온도를 제어하며, 상기 제2 냉매 제어부(20-32)는 상기 중앙부(20-22)의 온도를 제어하며, 상기 제3 냉매 제어부(20-33)는 상기 제2 확장부(20-23)의 온도를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1 확장부(20-21), 중앙부(20-22) 및 제2 확장부(20-23)의 온도를 각각 제어하므로 상기 인쇄용지(29)가 열에 의해서 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매우 안정적으로 인쇄가 가능한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잉크젯 프린터를 나타낸 제1 사시도를 나타낸다.
상기 도 8의 냉각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잉크젯 프린터는 공기흡입구(71) 및 공기흡입기(72)가 있으며, 상기 헤드 캐리지부(10)의 하측(下側) 방향으로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 바로 아래에는 캐리지 대응 냉각부(20)가 배치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리지 대응 냉각부(20)는 상기 헤드 캐리지부(10)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서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에서도 변형이 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 캐리지 대응 냉각부(20)의 온도는 온도 검출부(20-5)에 의해서 검출되어 냉매 제어부(20-3)로 센싱되며, 온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냉매 튜브(20-4)에 의해서 연결된 냉매 제어부(20-3)에 의해서 상기 캐리지 대응 냉각부(20)의 온도가 상기 인쇄용지(29)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특정(特定) 온도 이하로 제어되는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잉크젯 프린터를 나타낸 제2 사시도를 나타낸다.
상기 도 9의 냉각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잉크젯 프린터는 공기흡입구(71) 및 공기흡입기(72)가 있으며, 상기 헤드 캐리지부(10)의 하측(下側) 방향으로 인쇄되는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가 위치한다. 또한 상기 인쇄용지(29)의 하측(下側) 방향으로 확장 냉각부(20-1)가 배치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장 냉각부(20-1)는 도 8의 캐리지 대응 냉각부(20)보다 넓은 영역에서 냉각을 시키며,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의 열적인 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매우 우수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확장 냉각부(20-1)는 헤드 캐리지부(10)와 대응하는 중앙부(20-22), 상기 중앙부(20-22)의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확장된 제1,2 확장부(20-21,20-23)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장 냉각부(20-1)부는 상기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의 인쇄 진행방향에 따라서 제1 확장부(20-21)에서 상기 인쇄용지(29)를 미리 냉각을 시키며, 중앙부(20-22)에서 헤드 캐리지부(10)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며, 제2 확장부(20-23)에서 상기 인쇄용지(29)의 인쇄 후의 냉각을 시키는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확장부(20-21)에는 제1 온도 검출부(20-51)에 의해서 검출되며, 중앙부(20-22)에는 제2 온도 검출부(20-52)에 의해서 검출되며, 제2 확장부(20-23)에는 제3 온도 검출부(20-53)에 의해서 검출되며, 상기 제1,2,3, 온도 검출부(20-51,20-52,20-53)는 제1,2,3 온도 검출선(20-61,20-62,20-63)을 통하여 냉매 제어부(20-3)로 센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장 냉각부(20-1)를 통하여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를 제1 단계: 인쇄 직전에 미리 냉각하는 단계; 제2 단계: 인쇄 중에 냉각하는 단계; 제3 단계: 인쇄 이후에 냉각하는 단계; 상기 제1,2,3 단계에서 각각 제1,2,3, 온도 검출부(20-51,20-52,20-52)에서 온도를 검출하여 상기 제1,2,3 온도 검출선(20-61,20-62,20-63)을 통하여 냉매 제어부(20-3)로 센싱하며, 냉매 튜브(20-4)에 의해서 연결된 확장 냉각부(20-1)를 제어하므로, 상기 인쇄용지(29)가 열에 의해서 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안정적으로 인쇄가 가능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잉크젯 프린터를 나타낸 제3 사시도를 나타낸다.
상기 도 10의 냉각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잉크젯 프린터는 공기흡입구(71) 및 공기흡입기(72)가 있으며, 상기 헤드 캐리지부(10)의 하측(下側) 방향으로 인쇄되는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가 위치한다. 또한 상기 인쇄용지(29)의 하측(下側) 방향으로 확장 냉각부(20-1)가 배치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장 냉각부(20-1)는 도 8의 캐리지 대응 냉각부(20)보다 넓은 영역에서 냉각을 시키며,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의 열적인 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매우 우수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확장 냉각부(20-1)는 헤드 캐리지부(10)와 대응하는 중앙부(20-22), 상기 중앙부(20-22)의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확장된 제1,2 확장부(20-21,20-23)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장 냉각부(20-1)부는 상기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의 인쇄 진행방향에 따라서 제1 확장부(20-21)에서 상기 인쇄용지(29)를 미리 냉각을 시키며, 중앙부(20-22)에서 헤드 캐리지부(10)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며, 제2 확장부(20-23)에서 상기 인쇄용지(29)의 인쇄 후의 냉각을 시키는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확장부(20-21)에는 제1 온도 검출부(20-51)에 의해서 검출되며, 중앙부(20-22)에는 제2 온도 검출부(20-52)에 의해서 검출되며, 제2 확장부(20-23)에는 제3 온도 검출부(20-53)에 의해서 검출되며, 상기 제1,2,3, 온도 검출부(20-51,20-52,20-53)는 제1,2,3 온도 검출선(20-61,20-62,20-63)을 통하여 제1,2,3 냉매 제어부(20-31,20-32,20-33)로 센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장 냉각부(20-1)를 통하여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를 제1 단계: 인쇄 직전에 미리 냉각하는 단계; 제2 단계: 인쇄 중에 냉각하는 단계; 제3 단계: 인쇄 이후에 냉각하는 단계; 상기 제1,2,3 단계에서 각각 제1,2,3, 온도 검출부(20-51,20-52,20-52)에서 온도를 검출하여 상기 제1,2,3 온도 검출선(20-61,20-62,20-63)을 통하여 상기 제1,2,3 냉매 제어부(20-31,20-32,20-22)로 센싱한다.
상기 제1 냉매 제어부(20-31)는 상기 제1 확장부(20-21)의 온도를 제어하며, 상기 제2 냉매 제어부(20-32)는 상기 중앙부(20-22)의 온도를 제어하며, 상기 제3 냉매 제어부(20-33)는 상기 제2 확장부(20-23)의 온도를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1 확장부(20-21), 중앙부(20-22) 및 제2 확장부(20-23)의 온도를 각각 제어하므로 상기 인쇄용지(29)가 열에 의해서 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매우 안정적으로 인쇄가 가능한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11은 냉각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잉크젯 프린터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상기 도 11의 냉각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잉크젯 프린터의 정면도에서는 헤드 캐리지부(10)의 하측(下側) 방향으로 인쇄되는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캐리지 대응 냉각부(20)가 배치된 테이블(Table)(70)이 위치하며, 상기 캐리지 대응 냉각부(20)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냉매 제어부(20-3)는 상기 캐리지 대응 냉각부(20)와 연결된 냉매 튜브(20-4)를 통하여 상기 캐리지 대응 냉각부(20)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12는 제안된 수평형 냉각장치의 제1 구성도를 나타낸다.
상기 도 12에서 제안된 수평형 냉각장치의 제1 구성도는 캐리지 대응 냉각부(20)에 가로방향(X:수평방향)으로 길며, 세로방향(Y:수직방향)으로 짧게 냉매튜브(20-4)를 배치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온도 검출부(20-5)에 의해서 온도가 검출되며, 온도 검출선(20-6)을 통하여 냉매 제어부(20-3)로 센싱되며, 상기 냉매 제어부(20-3)는 상기 캐리지 대응 냉각부(20)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헤드 캐리지부(10)의 하측(下側) 방향으로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 바로 아래에는 캐리지 대응 냉각부(20)가 배치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리지 대응 냉각부(20)는 상기 헤드 캐리지부(10)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서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에서도 변형이 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 캐리지 대응 냉각부(20)의 온도는 온도 검출부(20-5)에 의해서 검출되어 냉매 제어부(20-3)로 센싱되며, 온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냉매 튜브(20-4)에 의해서 연결된 냉매 제어부(20-3)에 의해서 상기 캐리지 대응 냉각부(20)의 온도가 상기 인쇄용지(29)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특정(特定) 온도 이하로 제어되는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13은 제안된 수평형 냉각장치의 제2 구성도를 나타낸다.
상기 도 13에서 제안된 수평형 냉각장치의 제2 구성도는 확장 냉각부(20-1)에 가로방향(X:수평방향)으로 길며, 세로방향(Y:수직방향)으로 짧게 냉매튜브(20-4)를 배치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장 냉각부(20-1)는 헤드 캐리지부(10)와 대응하는 중앙부(20-22), 상기 중앙부(20-22)의 좌우로 확장되어 배치되는 제1 확장부(20-21) 및 제2 확장부(20-22)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확장 냉각부(20-1)는 도 12의 캐리지 대응 냉각부(20)보다 넓은 영역에서 냉각을 시키며,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의 열적인 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매우 우수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확장 냉각부(20-1)는 헤드 캐리지부(10)와 대응하는 중앙부(20-22), 상기 중앙부(20-22)의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확장된 제1,2 확장부(20-21,20-23)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장 냉각부(20-1)부는 상기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의 인쇄 진행방향에 따라서 제1 확장부(20-21)에서 상기 인쇄용지(29)를 미리 냉각을 시키며, 중앙부(20-22)에서 헤드 캐리지부(10)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며, 제2 확장부(20-23)에서 상기 인쇄용지(29)의 인쇄 후의 냉각을 시키는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확장부(20-21)에는 제1 온도 검출부(20-51)에 의해서 검출되며, 중앙부(20-22)에는 제2 온도 검출부(20-52)에 의해서 검출되며, 제2 확장부(20-23)에는 제3 온도 검출부(20-53)에 의해서 검출되며, 상기 제1,2,3, 온도 검출부(20-51,20-52,20-53)는 제1,2,3 온도 검출선(20-61,20-62,20-63)을 통하여 제1,2,3 냉매 제어부(20-31,20-32,20-33)로 센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장 냉각부(20-1)를 통하여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를 제1 단계: 인쇄 직전에 미리 냉각하는 단계; 제2 단계: 인쇄 중에 냉각하는 단계; 제3 단계: 인쇄 이후에 냉각하는 단계; 상기 제1,2,3 단계에서 각각 제1,2,3, 온도 검출부(20-51,20-52,20-52)에서 온도를 검출하여 상기 제1,2,3 온도 검출선(20-61,20-62,20-63)을 통하여 상기 제1,2,3 냉매 제어부(20-31,20-32,20-33)로 센싱한다.
상기 제1 냉매 제어부(20-31)는 상기 제1 확장부(20-21)의 온도를 제어하며, 상기 제2 냉매 제어부(20-32)는 상기 중앙부(20-22)의 온도를 제어하며, 상기 제3 냉매 제어부(20-33)는 상기 제2 확장부(20-23)의 온도를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1 확장부(20-21), 중앙부(20-22) 및 제2 확장부(20-23)의 온도를 각각 제어하므로 상기 인쇄용지(29)가 열에 의해서 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매우 안정적으로 인쇄가 가능한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14는 제안된 수평형 냉각장치의 제3 구성도를 나타낸다.
상기 도 14에서 제안된 수평형 냉각장치의 제3 구성도는 확장 냉각부(20-1)에 가로방향(X:수평방향)으로 길며, 세로방향(Y:수직방향)으로 짧게 냉매튜브(20-4)를 배치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장 냉각부(20-1)는 헤드 캐리지부(10)와 대응하는 중앙부(20-22), 상기 중앙부(20-22)의 좌우로 확장되어 배치되는 제1 확장부(20-21) 및 제2 확장부(20-23)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확장 냉각부(20-1)는 도 12의 캐리지 대응 냉각부(20)보다 넓은 영역에서 냉각을 시키며,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의 열적인 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매우 우수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확장 냉각부(20-1)는 헤드 캐리지부(10)와 대응하는 중앙부(20-22), 상기 중앙부(20-22)의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확장된 제1,2 확장부(20-21,20-23)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장 냉각부(20-1)부는 상기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의 인쇄 진행방향에 따라서 제1 확장부(20-21)에서 상기 인쇄용지(29)를 미리 냉각을 시키며, 중앙부(20-22)에서 헤드 캐리지부(10)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며, 제2 확장부(20-23)에서 상기 인쇄용지(29)의 인쇄 후의 냉각을 시키는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확장부(20-21)에는 제1 온도 검출부(20-51)에 의해서 검출되며, 중앙부(20-22)에는 제2 온도 검출부(20-52)에 의해서 검출되며, 제2 확장부(20-23)에는 제3 온도 검출부(20-53)에 의해서 검출되며, 상기 제1,2,3, 온도 검출부(20-51,20-52,20-53)는 제1,2,3 온도 검출선(20-61,20-62,20-63)을 통하여 제1,2,3 냉매 제어부(20-31,20-32,20-33)로 센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장 냉각부(20-1)를 통하여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를 제1 단계: 인쇄 직전에 미리 냉각하는 단계; 제2 단계: 인쇄 중에 냉각하는 단계; 제3 단계: 인쇄 이후에 냉각하는 단계; 상기 제1,2,3 단계에서 각각 제1,2,3, 온도 검출부(20-51,20-52,20-53)에서 온도를 검출하여 상기 제1,2,3 온도 검출선(20-61,20-62,20-63)을 통하여 상기 제1,2,3 냉매 제어부(20-31,20-32,20-33)로 센싱한다.
상기 제1 냉매 제어부(20-31)는 상기 제1 확장부(20-21)의 온도를 제어하며, 상기 제2 냉매 제어부(20-32)는 상기 중앙부(20-22)의 온도를 제어하며, 상기 제3 냉매 제어부(20-33)는 상기 제2 확장부(20-23)의 온도를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1 확장부(20-21), 중앙부(20-22) 및 제2 확장부(20-23)의 온도를 각각 제어하므로 상기 인쇄용지(29)가 열에 의해서 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매우 안정적으로 인쇄가 가능한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15는 제안된 수직형 냉각장치의 제1 구성도를 나타낸다.
상기 도 15에서 제안된 수직형 냉각장치의 제1 구성도는 캐리지 대응 냉각부(20)에 세로방향(Y:수직방향)으로 길며, 가로방향(X:수직방향)으로 짧게 냉매튜브(20-4)를 배치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온도 검출부(20-5)에 의해서 온도가 검출되며, 온도 검출선(20-6)을 통하여 냉매 제어부(20-3)로 센싱되며, 상기 냉매 제어부(20-3)는 상기 캐리지 대응 냉각부(20)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헤드 캐리지부(10)의 하측(下側) 방향으로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 바로 아래에는 캐리지 대응 냉각부(20)가 배치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리지 대응 냉각부(20)는 상기 헤드 캐리지부(10)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서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에서도 변형이 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 캐리지 대응 냉각부(20)의 온도는 온도 검출부(20-5)에 의해서 검출되어 냉매 제어부(20-3)로 센싱되며, 온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냉매 튜브(20-4)에 의해서 연결된 냉매 제어부(20-3)에 의해서 상기 캐리지 대응 냉각부(20)의 온도가 상기 인쇄용지(29)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특정(特定) 온도 이하로 제어되는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16은 제안된 수직형 냉각장치의 제2 구성도를 나타낸다.
상기 도 16에서 제안된 수직형 냉각장치의 제2 구성도는 확장 냉각부(20-1)에 세로방향(Y:수직방향)으로 길며, 가로방향(X:수평방향)으로 짧게 냉매튜브(20-4)를 배치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장 냉각부(20-1)는 헤드 캐리지부(10)와 대응하는 중앙부(20-22), 상기 중앙부(20-22)의 좌우로 확장되어 배치되는 제1 확장부(20-21) 및 제2 확장부(20-22)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확장 냉각부(20-1)는 도 15의 캐리지 대응 냉각부(20)보다 넓은 영역에서 냉각을 시키며,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의 열적인 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매우 우수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확장 냉각부(20-1)는 헤드 캐리지부(10)와 대응하는 중앙부(20-22), 상기 중앙부(20-22)의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확장된 제1,2 확장부(20-21,20-23)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장 냉각부(20-1)부는 상기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의 인쇄 진행방향에 따라서 제1 확장부(20-21)에서 상기 인쇄용지(29)를 미리 냉각을 시키며, 중앙부(20-22)에서 헤드 캐리지부(10)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며, 제2 확장부(20-23)에서 상기 인쇄용지(29)의 인쇄 후의 냉각을 시키는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확장부(20-21)에는 제1 온도 검출부(20-51)에 의해서 검출되며, 중앙부(20-22)에는 제2 온도 검출부(20-52)에 의해서 검출되며, 제2 확장부(20-23)에는 제3 온도 검출부(20-53)에 의해서 검출되며, 상기 제1,2,3, 온도 검출부(20-51,20-52,20-53)는 제1,2,3 온도 검출선(20-61,20-62,20-63)을 통하여 제1,2,3 냉매 제어부(20-31,20-32,20-33)로 센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장 냉각부(20-1)를 통하여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를 제1 단계: 인쇄 직전에 미리 냉각하는 단계; 제2 단계: 인쇄 중에 냉각하는 단계; 제3 단계: 인쇄 이후에 냉각하는 단계; 상기 제1,2,3 단계에서 각각 제1,2,3, 온도 검출부(20-51,20-52,20-53)에서 온도를 검출하여 상기 제1,2,3 온도 검출선(20-61,20-62,20-63)을 통하여 상기 제1,2,3 냉매 제어부(20-31,20-32,20-33)로 센싱한다.
상기 제1 냉매 제어부(20-31)는 상기 제1 확장부(20-21)의 온도를 제어하며, 상기 제2 냉매 제어부(20-32)는 상기 중앙부(20-22)의 온도를 제어하며, 상기 제3 냉매 제어부(20-33)는 상기 제2 확장부(20-23)의 온도를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1 확장부(20-21), 중앙부(20-22) 및 제2 확장부(20-23)의 온도를 각각 제어하므로 상기 인쇄용지(29)가 열에 의해서 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매우 안정적으로 인쇄가 가능한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17은 제안된 수직형 냉각장치의 제3 구성도를 나타낸다.
상기 도 17에서 제안된 수직형 냉각장치의 제2 구성도는 확장 냉각부(20-1)에 세로방향(Y:수직방향)으로 길며, 가로방향(X:수평방향)으로 짧게 냉매튜브(20-4)를 배치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장 냉각부(20-1)는 헤드 캐리지부(10)와 대응하는 중앙부(20-22), 상기 중앙부(20-22)의 좌우로 확장되어 배치되는 제1 확장부(20-21) 및 제2 확장부(20-23)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확장 냉각부(20-1)는 도 15의 캐리지 대응 냉각부(20)보다 넓은 영역에서 냉각을 시키며,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의 열적인 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매우 우수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확장 냉각부(20-1)는 헤드 캐리지부(10)와 대응하는 중앙부(20-22), 상기 중앙부(20-22)의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확장된 제1,2 확장부(20-21,20-23)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장 냉각부(20-1)부는 상기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의 인쇄 진행방향에 따라서 제1 확장부(20-21)에서 상기 인쇄용지(29)를 미리 냉각을 시키며, 중앙부(20-22)에서 헤드 캐리지부(10)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며, 제2 확장부(20-23)에서 상기 인쇄용지(29)의 인쇄 후의 냉각을 시키는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확장부(20-21)에는 제1 온도 검출부(20-51)에 의해서 검출되며, 중앙부(20-22)에는 제2 온도 검출부(20-52)에 의해서 검출되며, 제2 확장부(20-23)에는 제3 온도 검출부(20-53)에 의해서 검출되며, 상기 제1,2,3, 온도 검출부(20-51,20-52,20-53)는 제1,2,3 온도 검출선(20-61,20-62,20-63)을 통하여 제1,2,3 냉매 제어부(20-31,20-32,20-33)로 센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장 냉각부(20-1)를 통하여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29)를 제1 단계: 인쇄 직전에 미리 냉각하는 단계; 제2 단계: 인쇄 중에 냉각하는 단계; 제3 단계: 인쇄 이후에 냉각하는 단계; 상기 제1,2,3 단계에서 각각 제1,2,3, 온도 검출부(20-51,20-52,20-53)에서 온도를 검출하여 상기 제1,2,3 온도 검출선(20-61,20-62,20-63)을 통하여 상기 제1,2,3 냉매 제어부(20-31,20-32,20-33)로 센싱한다.
상기 제1 냉매 제어부(20-31)는 상기 제1 확장부(20-21)의 온도를 제어하며, 상기 제2 냉매 제어부(20-32)는 상기 중앙부(20-22)의 온도를 제어하며, 상기 제3 냉매 제어부(20-33)는 상기 제2 확장부(20-23)의 온도를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1 확장부(20-21), 중앙부(20-22) 및 제2 확장부(20-23)의 온도를 각각 제어하므로 상기 인쇄용지(29)가 열에 의해서 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매우 안정적으로 인쇄가 가능한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18은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재료를 나타낸다.
도 18(a)는 비닐(Vinyl), 도 18(b)는 수지(Resin), 도 18(c)는 가죽, 도 18(d)는 스타킹(Stacking). 도 18(e)는 옷감 및 도 18(f)는 의류를 나타낸다.
상기 비닐(Vinyl), 수지(Resin), 가죽, 스타킹(Stacking). 옷감 및 의류는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재료이며,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인쇄용지의 열변형 방지를 위한 프린터 냉각 장치는 상기 캐리지 대응 냉각부(20)의 온도는 온도 검출부(20-5)에 의해서 검출되어 냉매 제어부(20-3)로 센싱되며, 온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냉매 튜브(20-4)에 의해서 연결된 냉매 제어부(20-3)에 의해서 상기 캐리지 대응 냉각부(20)의 온도가 상기 인쇄용지(29)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특정(特定) 온도 이하로 제어되는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인쇄용지의 열변형 방지를 위한 프린터 냉각 장치를 이용한 프린터 냉각 방법에 있어서, 인쇄용지(29)에 인쇄를 수행하는 헤드 캐리지부(10); 상기 헤드 캐리지부(10)의 하측(下側) 방향으로 배치된 확장 냉각부(20-1); 상기 확장 냉각부(20-1)는 상기 헤드 캐리지부(10)와 대응하는 중앙부(20-22); 상기 중앙부(20-22)의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확장된 제1,2 확장부(20-21,20-23); 상기 제1 확장부(20-21)에 온도를 검출하는 제1 온도 검출부(20-51); 상기 중앙부(20-22)에 온도를 검출하는 제2 온도 검출부(20-52); 상기 제2 확장부(20-23)에 온도를 검출하는 제3 온도 검출부(20-53); 상기 제1 확장부(20-21)에 온도를 제어하는 제1 냉매 제어부(20-31); 상기 중앙부(20-22)에 온도를 제어하는 제2 냉매 제어부(20-32); 상기 제2 확장부(20-23)에 온도를 제어하는 제3 냉매 제어부(20-33); 상기 헤드 캐리지부(10)에서 인쇄 직전(直前)에 상기 인쇄용지(29)를 냉각시키는 상기 제1 확장부(20-21); 상기 헤드 캐리지부(10)에 발생하는 열에 의해서 인쇄 중 상기 인쇄용지(29)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냉각시키는 상기 중앙부(20-22); 상기 헤드 캐리지부(10)에서 인쇄 직후(直後)에 상기 인쇄용지(29)를 냉각시키는 상기 제2 확장부(20-23)를 포함하며; 상기 인쇄용지(29)는 비닐(Vinyl), 수지(Resin), 가죽, 스타킹(Stacking) 중에서 선택하며; 상기 제1 확장부(20-21)의 제1 온도 검출부(20-51)에서 검출된 온도를 제1 냉매 제어부(20-31)로 가져오는 제1 단계; 상기 중앙부(20-22)의 제2 온도 검출부(20-52)에서 검출된 온도를 제2 냉매 제어부(20-32)로 가져오는 제2 단계; 상기 제2 확장부(20-23)의 제3 온도 검출부(20-53)에셔 검출된 온도를 제3 냉매 제어부(20-33)로 가져오는 제3 단계; 인쇄용지(29)에 인쇄를 수행하는 헤드 캐리지부(10)에서 인쇄 직전(直前)에 상기 인쇄용지(29)가 변형되지 않도록 설정된 온도로 냉각하는 제4 단계; 상기 헤드 캐리지부(10)에서 인쇄가 진행되는 인쇄용지(29)를 인쇄 중에 냉각하는 제5 단계; 상기 헤드 캐리지부(10)에서 인쇄용지(29)를 인쇄 직후(直後)에 변형이 없는 온도로 냉각하는 제6 단계; 상기 1 내지 6 단계를 통하여 상기 제1,2,3 냉매 제어부(20-31,20-32,20-33)는 상기 인쇄용지(29)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인쇄 직전(直前) : 제1 확장부(20-21), 인쇄 중 : 중앙부(20-22), 인쇄 직후(直後) : 제2 확장부(20-23)의 온도를 각각 개별적으로 검출 및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지의 열변형 방지를 위한 프린터 냉각 장치를 이용한 프린터 냉각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인쇄용지의 열변형 방지를 위한 프린터 냉각 장치를 이용한 프린터 냉각 방법에 있어서, 확장 냉각부(20-1)는 세로방향(Y:수직방향)으로 길며, 가로방향(X:수평방향)으로 짧게 냉매튜브(20-4)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지의 열변형 방지를 위한 프린터 냉각 장치를 이용한 프린터 냉각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인쇄용지의 열변형 방지를 위한 프린터 냉각 장치를 이용한 프린터 냉각 방법에 있어서, 확장 냉각부(20-1)는 가로방향(X:수평방향)으로 길며, 세로방향(Y:수직방향)으로 짧게 냉매튜브(20-4)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지의 열변형 방지를 위한 프린터 냉각 장치를 이용한 프린터 냉각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인쇄용지의 열변형 방지를 위한 프린터 냉각 장치를 이용한 프린터 냉각 방법에 있어서, 제1 온도 검출부(20-51)에서 검출된 온도를 상기 제1 냉매 제어부(20-31)로 가져오는 제1 온도 검출선(20-61); 상기 제2 온도 검출부(20-52)에서 검출된 온도를 상기 제2 냉매 제어부(20-32)로 가져오는 제2 온도 검출선(20-62); 상기 제3 온도 검출부(20-53)에서 검출된 온도를 상기 제3 냉매 제어부(20-33)로 가져오는 제3 온도 검출선(20-6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지의 열변형 방지를 위한 프린터 냉각 장치를 이용한 프린터 냉각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다양한 변형에 의하여 인쇄용지의 열변형 방지를 위한 프린터 냉각 장치를 이용한 프린터 냉각 방법에 적용시킬 수 있으며, 기술적으로 용이하게 변형시키는 기술의 범주도 본 특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인정해야 할 것이다.
10 : 헤드 캐리지부
20 : 캐리지 대응 냉각부
20-1 : 확장 냉각부
20-21 : 제1 확장부
20-22 : 중앙부
20-23 : 제2 확장부
20-3 : 냉매 제어부
20-31 : 제1 냉매 제어부
20-32 : 제2 냉매 제어부
20-33 : 제3 냉매 제어부
20-4 : 냉매 튜브
20-41 : 제1 냉매 튜브
20-42 : 제2 냉매 튜브
20-43 : 제3 냉매 튜브
20-5 : 온도 검출부
20-51 : 제1 온도 검출부
20-52 : 제2 온도 검출부
20-53 : 제3 온도 검출부
20-6 : 온도 검출선
20-61 : 제1 온도 검출선
20-62 : 제2 온도 검출선
20-63 : 제3 온도 검출선
21 : 제1롤
22 : 제2롤
23 : 공급롤
24 : 회수롤
25 : 제1 보조롤
26 : 제2 보조롤
27 : 제1 가이드
28 : 제2 가이드
29 : 열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인쇄용지
30 : 인쇄부
31 : 잉크 카트리지
35 : 종이 공급 메인롤
36 : 제1 종이 공급롤
37 : 제2 종이 공급롤
38 : 제3 종이 공급롤
41 : 제1 웹 가이드(Web Guide)기
42 : 제1 웹 가이드(Web Guide)롤
43 : 제2 웹 가이드(Web Guide)롤
44 : 제2 웹 가이드(Web Guide)기
45 : 제3 웹 가이드(Web Guide)롤
46 : 제4 웹 가이드(Web Guide)롤
47 : 코로나 처리기
48 : 코로나 처리 작업롤
51 : 제1 코로나 처리롤
52 : 제2 코로나 처리롤
53 : 제3 코로나 처리롤
54 : 제4 코로나 처리롤
55 : 제5 코로나 처리롤
56 : 제1 종이 출력롤
57 : 제2 종이 출력롤
58 : 종이 출력 메인롤
61 : 제1 이송롤
62 : 제2 이송롤
63 : 제3 이송롤
64 : 제4 이송롤
65 : 제5 이송롤
66 : 제6 이송롤
67 : 제1 장력 유지롤
68 : 제2 장력 유지롤
70 : 테이블(Table)
71 : 공기흡입구
72 : 공기흡입기
73 : 고정지지대
74 : 바퀴
81 : 이송 롤러
90 : 데이터 입력부
100 : 제어부
X : 가로방향(수평방향)
Y : 세로방향(수직방향)

Claims (14)

  1. 인쇄용지의 열변형 방지를 위한 프린터 냉각 장치를 이용한 프린터 냉각 방법에 있어서,
    인쇄용지(29)에 인쇄를 수행하는 헤드 캐리지부(10);
    상기 헤드 캐리지부(10)의 하측(下側) 방향으로 배치된 확장 냉각부(20-1);
    상기 확장 냉각부(20-1)는 상기 헤드 캐리지부(10)와 대응하는 중앙부(20-22);
    상기 중앙부(20-22)의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확장된 제1,2 확장부(20-21,20-23);
    상기 제1 확장부(20-21)에 온도를 검출하는 제1 온도 검출부(20-51);
    상기 중앙부(20-22)에 온도를 검출하는 제2 온도 검출부(20-52);
    상기 제2 확장부(20-23)에 온도를 검출하는 제3 온도 검출부(20-53);
    상기 제1 확장부(20-21)에 온도를 제어하는 제1 냉매 제어부(20-31);
    상기 중앙부(20-22)에 온도를 제어하는 제2 냉매 제어부(20-32);
    상기 제2 확장부(20-23)에 온도를 제어하는 제3 냉매 제어부(20-33);
    상기 헤드 캐리지부(10)에서 인쇄 직전(直前)에 상기 인쇄용지(29)를 냉각시키는 상기 제1 확장부(20-21);
    상기 헤드 캐리지부(10)에 발생하는 열에 의해서 인쇄 중 상기 인쇄용지(29)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냉각시키는 상기 중앙부(20-22);
    상기 헤드 캐리지부(10)에서 인쇄 직후(直後)에 상기 인쇄용지(29)를 냉각시키는 상기 제2 확장부(20-23)를 포함하며;
    상기 인쇄용지(29)는 비닐(Vinyl), 수지(Resin), 가죽, 스타킹(Stacking) 중에서 선택하며;
    상기 제1 확장부(20-21)의 제1 온도 검출부(20-51)에서 검출된 온도를 제1 냉매 제어부(20-31)로 가져오는 제1 단계;
    상기 중앙부(20-22)의 제2 온도 검출부(20-52)에서 검출된 온도를 제2 냉매 제어부(20-32)로 가져오는 제2 단계;
    상기 제2 확장부(20-23)의 제3 온도 검출부(20-53)에셔 검출된 온도를 제3 냉매 제어부(20-33)로 가져오는 제3 단계;
    인쇄용지(29)에 인쇄를 수행하는 헤드 캐리지부(10)에서 인쇄 직전(直前)에 상기 인쇄용지(29)가 변형되지 않도록 설정된 온도로 냉각하는 제4 단계;
    상기 헤드 캐리지부(10)에서 인쇄가 진행되는 인쇄용지(29)를 인쇄 중에 냉각하는 제5 단계;
    상기 헤드 캐리지부(10)에서 인쇄용지(29)를 인쇄 직후(直後)에 변형이 없는 온도로 냉각하는 제6 단계;
    상기 1 내지 6 단계를 통하여 상기 제1,2,3 냉매 제어부(20-31,20-32,20-33)는 상기 인쇄용지(29)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인쇄 직전(直前) : 제1 확장부(20-21), 인쇄 중 : 중앙부(20-22), 인쇄 직후(直後) : 제2 확장부(20-23)의 온도를 각각 개별적으로 검출 및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지의 열변형 방지를 위한 프린터 냉각 장치를 이용한 프린터 냉각 방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냉각부(20-1)는 세로방향(Y:수직방향)으로 길며, 가로방향(X:수평방향)으로 짧게 냉매튜브(20-4)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지의 열변형 방지를 위한 프린터 냉각 장치를 이용한 프린터 냉각 방법
  5.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냉각부(20-1)는 가로방향(X:수평방향)으로 길며, 세로방향(Y:수직방향)으로 짧게 냉매튜브(20-4)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지의 열변형 방지를 위한 프린터 냉각 장치를 이용한 프린터 냉각 방법
  6.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 검출부(20-51)에서 검출된 온도를 상기 제1 냉매 제어부(20-31)로 가져오는 제1 온도 검출선(20-61);
    상기 제2 온도 검출부(20-52)에서 검출된 온도를 상기 제2 냉매 제어부(20-32)로 가져오는 제2 온도 검출선(20-62);
    상기 제3 온도 검출부(20-53)에서 검출된 온도를 상기 제3 냉매 제어부(20-33)로 가져오는 제3 온도 검출선(20-6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지의 열변형 방지를 위한 프린터 냉각 장치를 이용한 프린터 냉각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80075090A 2018-06-28 2018-06-28 인쇄용지의 열변형 방지를 위한 프린터 냉각 장치를 이용한 프린터 냉각 방법 KR101941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090A KR101941087B1 (ko) 2018-06-28 2018-06-28 인쇄용지의 열변형 방지를 위한 프린터 냉각 장치를 이용한 프린터 냉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090A KR101941087B1 (ko) 2018-06-28 2018-06-28 인쇄용지의 열변형 방지를 위한 프린터 냉각 장치를 이용한 프린터 냉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1087B1 true KR101941087B1 (ko) 2019-01-23

Family

ID=65280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090A KR101941087B1 (ko) 2018-06-28 2018-06-28 인쇄용지의 열변형 방지를 위한 프린터 냉각 장치를 이용한 프린터 냉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108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047A (ko) 1997-06-18 1999-01-25 맥 아들 존 존제이 능동 냉각 셀을 갖는 잉크제트 방식의 프린트 카트리지
JP2005324443A (ja) * 2004-05-14 2005-11-24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10201763A (ja) * 2009-03-03 2010-09-16 Toppan Printing Co Ltd 水舟装置
KR101079370B1 (ko) 2009-08-24 2011-11-02 삼성전기주식회사 잉크젯 헤드 및 잉크젯 헤드의 제조 방법
KR101272444B1 (ko) 2012-12-12 2013-06-07 (주)나이테산기개발 프린터의 건조장치
JP2017035870A (ja) * 2015-08-07 2017-02-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吐出装置、加湿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047A (ko) 1997-06-18 1999-01-25 맥 아들 존 존제이 능동 냉각 셀을 갖는 잉크제트 방식의 프린트 카트리지
JP2005324443A (ja) * 2004-05-14 2005-11-24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10201763A (ja) * 2009-03-03 2010-09-16 Toppan Printing Co Ltd 水舟装置
KR101079370B1 (ko) 2009-08-24 2011-11-02 삼성전기주식회사 잉크젯 헤드 및 잉크젯 헤드의 제조 방법
KR101272444B1 (ko) 2012-12-12 2013-06-07 (주)나이테산기개발 프린터의 건조장치
JP2017035870A (ja) * 2015-08-07 2017-02-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吐出装置、加湿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34310B1 (en) Drying apparatus, printing apparatus, and drying method
JP5217575B2 (ja) ターゲット搬送装置及び記録装置
JP5063441B2 (ja) 画像形成装置
US8628188B2 (en) Drying apparatus and printing apparatus
US10260805B2 (en) Heating apparatus, dryer, and printer
JP6701680B2 (ja) 乾燥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液体を吐出する装置
JP2018013420A (ja) 温度検出センサ異常判断装置、加熱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検出温度異常判断方法
KR20210118732A (ko) 인쇄 장치, 인쇄 시스템 및 인쇄 방법
US8827412B2 (en)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method
JP2018122525A (ja) 印刷装置
JP2013116638A (ja) 記録装置
KR101941087B1 (ko) 인쇄용지의 열변형 방지를 위한 프린터 냉각 장치를 이용한 프린터 냉각 방법
JP2015063031A (ja) 記録装置
JP6071040B2 (ja) 印刷乾燥システム
JP2015136859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ー
JP2005343005A (ja) 乾燥装置
JP2013086477A (ja) プリント装置
JP4613033B2 (ja) 乾燥装置
US9527309B2 (en) Liquid discharging apparatus
JP2011056900A (ja) 印刷装置、及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WO2019187300A1 (ja) インクジェット印刷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印刷装置における印刷媒体加熱方法
JP2020001282A (ja) インクジェット印刷システム
US10525753B2 (en) Drying media
JP3026558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トシステムにおけるインク温度安定化装置
JP7334500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