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986B1 - 카메라 모듈용 브라켓 체결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용 브라켓 체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986B1
KR101940986B1 KR1020170052697A KR20170052697A KR101940986B1 KR 101940986 B1 KR101940986 B1 KR 101940986B1 KR 1020170052697 A KR1020170052697 A KR 1020170052697A KR 20170052697 A KR20170052697 A KR 20170052697A KR 101940986 B1 KR101940986 B1 KR 101940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camera module
axis direction
fastening
seating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2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9237A (ko
Inventor
김태균
전태진
김지홍
최규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워로직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워로직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워로직스
Priority to KR1020170052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986B1/ko
Publication of KR20180119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3Feeding one by one by other means than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용 브라켓 체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브라켓 체결 장치는, 프레임,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스테이지, 스테이지 상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 모듈이 안착된 카메라 모듈 안착 지그, 스테이지 상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라켓이 안착된 브라켓 안착 지그, 스테이지의 양 측에 Y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레일, 레일을 따라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브라켓 체결 지지대, 브라켓 체결 지지대에 설치되어 Y축 방향과 직교하는 X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X축 구동 유닛 및 X축 구동 유닛에 설치되고, 브라켓 안착 지그에 안착된 브라켓을 픽업하여 카메라 모듈 안착 지그에 안착된 카메라 모듈에 체결하는 브라켓 체결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용 브라켓 체결 장치{APPARATUS FOR COUPLING BRACKET FOR CO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용 브라켓 체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태블릿 컴퓨터, 카메라 폰, PDA, 스마트 폰, 장난감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분야, 나아가서는 감시 카메라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정보단말 등의 화상입력기기용으로 소형 카메라 모듈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스마트 폰은 소형화된 디자인을 선호하는 소비자의 수요 증가에 따라 작은 사이즈의 카메라 모듈을 개발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CCD (Charge Coupled Device)나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계열의 이미지 센서 칩을 이용하여 제조되며, 이미지 센서 칩에 렌즈를 통하여 사물을 집광하고,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LCD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디스플레이 매체에 사물이 표시될 수 있도록 영상을 전달한다.
종래에는, 카메라 모듈 제조시 일부 공정이 수작업으로 진행되었다. 특히, 카메라 모듈에 브라켓(bracket)을 체결하는 공정이 수작업으로 진행이 되었는바, 브라켓 체결 공정에 긴 시간이 소요되었고, 작업자들의 부담도 증가하였다.
또한 브라켓 체결 공정이 수작업으로 진행되면서 전체 택 타임(tack time)이 길어졌을 뿐만 아니라 브라켓 체결 높이가 일정하지 않아 불량품 발생 비율이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라켓을 동시에 카메라 모듈에 체결함으로써 택 타임을 단축하고, 작업자들의 부담 및 불량품 발생 비율을 저감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용 브라켓 체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브라켓 체결 장치는 프레임,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스테이지, 스테이지 상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 모듈이 안착된 카메라 모듈 안착 지그(jig), 스테이지 상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라켓이 안착된 브라켓 안착 지그, 스테이지의 양 측에 Y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레일, 레일을 따라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브라켓 체결 지지대, 브라켓 체결 지지대에 설치되어 Y축 방향과 직교하는 X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X축 구동 유닛 및 X축 구동 유닛에 설치되고, 브라켓 안착 지그에 안착된 브라켓을 픽업하여 카메라 모듈 안착 지그에 안착된 카메라 모듈에 체결하는 브라켓 체결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브라켓 체결 장치는, 프레임,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스테이지, 스테이지 상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 모듈이 안착된 카메라 모듈 안착 지그, 스테이지 상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라켓이 안착된 브라켓 안착 지그, 스테이지의 양 측에 Y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레일, 레일을 따라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브라켓 체결 지지대, 브라켓 체결 지지대에 설치되어 Y축 방향과 직교하는 X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제1 X축 구동 유닛, 제1 X축 구동 유닛에 설치되고, 브라켓 안착 지그에 안착된 브라켓을 픽업하여 카메라 모듈 안착 지그에 안착된 카메라 모듈에 체결하는 브라켓 체결 유닛, 레일을 따라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브라켓 체결 지지대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센서 지지대, 센서 지지대에 설치되어 X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제2 X축 구동 유닛 및 제2 X축 구동 유닛에 설치되고, 카메라 모듈에 체결된 브라켓의 체결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 측정 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브라켓 체결 장치는 택 타임을 단축하고 작업자들의 부담을 저감함으로써 생산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불량품 발생 비율을 저감함으로써 제품 신뢰도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브라켓 체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브라켓 안착 지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브라켓 안착 지그에 안착된 브라켓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카메라 모듈 안착 지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브라켓 체결 유닛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픽업 수단에 의해 브라켓이 픽업되는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브라켓 체결 유닛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브라켓 체결 유닛에 의해 브라켓이 카메라 모듈에 체결되는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브라켓 체결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편의상 특정 용어를 본원에 정의한다. 본원에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사용된 과학 용어 및 기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질 것이다. 또한, 문맥상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이며, 복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단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브라켓 체결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브라켓 체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브라켓 안착 지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브라켓 안착 지그에 안착된 브라켓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카메라 모듈 안착 지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브라켓 체결 유닛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픽업 수단에 의해 브라켓이 픽업되는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브라켓 체결 유닛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브라켓 체결 유닛에 의해 브라켓이 카메라 모듈에 체결되는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브라켓 체결 장치(1)는 프레임(100), 스테이지(120), 레일(140), 브라켓 체결 지지대(160), X축 구동 유닛(180), 브라켓 체결 유닛(200), 높이 측정 센서(220), 제어 유닛(240), 브라켓 안착 지그(260), 카메라 모듈 안착 지그(28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0)은 카메라 모듈용 브라켓 체결 장치(1)의 나머지 구성요소들이 실장되는 설비로, 프레임(100)의 높이는 작업자의 키에 맞추어 설계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00) 내부 공간에는 각종 전자 장치 등이 구비되거나 작업자의 물품이 수납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브라켓 체결 장치(1)는 프레임(100)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100)을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스테이지(120)는 프레임(10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테이지(120)는 프레임(100) 상에 설치되고, 스테이지(120) 상에는 카메라 모듈 안착 지그(280) 및 브라켓 안착 지그(26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스테이지(120)의 양 측에는 레일(140)이 배치될 수 있다.
레일(140)은 스테이지(120)의 양 측에 Y축 방향(Y)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레일(140)에는 브라켓 체결 지지대(160)가 Y축 방향(Y)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브라켓 체결 지지대(160)는 레일(140)을 따라 Y축 방향(Y)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라켓 체결 유닛(200) 및 높이 측정 센서(220)는 브라켓 체결 지지대(160)에 의해 Y축 방향(Y)으로 이동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브라켓 체결 지지대(160)는 제1 지지부(162), 제2 지지부(164), 바디부(16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162)는 스테이지(120)의 일측에 배치된 레일(140)에 연결되고, 제2 지지부(164)는 스테이지(120)의 타측에 배치된 레일(14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162) 및 제2 지지부(164)는 X축 방향(X) 및 Y축 방향(Y)과 직교하는 Z축 방향(Z)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1 지지부(162)와 제2 지지부(164) 사이에는 바디부(166)가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166)는 제1 지지부(162)와 제2 지지부(164) 사이를 연결하도록 X축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바디부(166)에는 X축 방향(X)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보조 레일(170)이 구비될 수 있다. X축 구동 유닛(180)은 이러한 보조 레일(170)을 따라 X축 방향(X)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다.
X축 구동 유닛(180)은 브라켓 체결 지지대(160)에 설치되어 Y축 방향(Y)과 직교하는 X축 방향(X)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X축 구동 유닛(180)은 브라켓 체결 지지대(160)(즉, 바디부(166))에 설치된 보조 레일(170)을 따라 X축 방향(X)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X축 구동 유닛(180)에는 브라켓 체결 유닛(200)(즉, 제1 승하강 실린더(도 7의 206) 및 제2 승하강 실린더(도 7의 208))이 설치될 수 있고, X축 구동 유닛(180)에 의해 브라켓 체결 유닛(200)이 X축 방향(X)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또한 X축 구동 유닛(180)에는 높이 측정 센서(220)가 설치될 수 있고, X축 구동 유닛(180)에 의해 높이 측정 센서(220)가 X축 방향(X)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브라켓 안착 지그(260)는 스테이지(120) 상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라켓(B)이 브라켓 안착 지그(260)에 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라켓 안착 지그(260)는 카메라 모듈 안착 지그(280)와 Y축 방향(Y)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 체결 지지대(160)의 시작 위치(도 1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카메라 모듈 안착 지그(280)보다 멀리 위치할 수 있다.
물론, 브라켓 안착 지그(260)는 브라켓 체결 지지대(160)의 시작 위치로부터 카메라 모듈 안착 지그(280)보다 가까이 위치할 수도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브라켓 안착 지그(260)가 브라켓 체결 지지대(160)의 시작 위치로부터 카메라 모듈 안착 지그(280)보다 멀리 위치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브라켓 안착 지그(260)에 브라켓(B)이 반전된 상태로 안착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브라켓(B)이 반전된 상태라는 의미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B)의 다리 부분(L)이 아래 방향을 가리키고 있는 상태(즉, 아래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브라켓 안착 지그(260)에 안착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브라켓 안착 지그(260)에는 브라켓 안착 홀(262)과 브라켓 안착 지그 고정 홀(264)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라켓 안착 홀(26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고, 각각의 브라켓 안착 홀(262)에는 브라켓(B)이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라켓 안착 홀(262)은 동일 간격으로 X축 방향(X) 및 Y축 방향(Y)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동일하다의 의미는 제조 공정 상 오차 범위 내의 차이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 안착 지그 고정 홀(264)은 스테이지(120)에 브라켓 안착 지그(260)를 고정시킬 때 사용될 수 있다. 즉, 볼트 또는 삽입 막대 등이 브라켓 안착 지그 고정 홀(264)에 삽입됨으로써 스테이지(120)와 브라켓 안착 지그(260)가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 안착 지그(280)는 스테이지(120) 상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 모듈(CM)이 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메라 모듈 안착 지그(280)는 브라켓 안착 지그(260)와 Y축 방향(Y)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6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 안착 지그(280)에는 카메라 모듈 안착 홀(282), 카메라 모듈 안착 지그 고정 홀(284), 브라켓 체결 유닛 고정 홀(286)이 구비될 수 있다.
참고로, 카메라 모듈 안착 지그(280)에는 브라켓 체결 유닛 고정 홀(286)이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카메라 모듈 안착 지그(280)에 브라켓 체결 유닛 고정 홀(286)이 구비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부연 설명을 하자면, 카메라 모듈 안착 지그(280)에 브라켓 체결 유닛 고정 홀(286)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도 7의 브라켓 체결 유닛(200)의 일 예가 적용될 수 있고, 카메라 모듈 안착 지그(280)에 브라켓 체결 유닛 고정 홀(286)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도 9의 브라켓 체결 유닛(200)의 다른 예가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메라 모듈 안착 홀(28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고, 각각의 카메라 모듈 안착 홀(282)에는 카메라 모듈(CM)이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 모듈 안착 홀(282)은 동일 간격으로 X축 방향(X) 및 Y축 방향(Y)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카메라 모듈 안착 홀(282)의 X축 방향(X) 이격 간격은 브라켓 안착 홀(262)의 X축 방향(X) 이격 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물론, 카메라 모듈 안착 홀(282)의 Y축 방향(Y) 이격 간격도 브라켓 안착 홀(262)의 Y축 방향(Y) 이격 간격과 동일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카메라 모듈 안착 홀(282)의 Y축 방향(Y) 이격 간격과 브라켓 안착 홀(262)의 Y축 방향(Y) 이격 간격이 서로 다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카메라 모듈 안착 홀(282)의 X축 방향(X) 이격 간격은 브라켓 체결 유닛(200)의 픽업 수단(202)의 X축 방향(X) 이격 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 안착 지그 고정 홀(284)은 스테이지(120)에 카메라 모듈 안착 지그(280)를 고정시킬 때 사용될 수 있다. 즉, 볼트 또는 삽입 막대 등이 카메라 모듈 안착 지그 고정 홀(284)에 삽입됨으로써 스테이지(120)와 카메라 모듈 안착 지그(280)가 고정될 수 있다.
브라켓 체결 유닛 고정 홀(286)은 브라켓 체결 유닛(200)의 브라켓(B) 체결 동작시, 브라켓 체결 유닛(200)이 정확한 카메라 모듈 위치에 흔들리지 않고 브라켓(B)을 체결할 수 있도록 브라켓 체결 유닛(200)을 고정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즉, 브라켓 체결 유닛(200)에 장착된 볼트 또는 삽입 막대(예를 들어, 도 9의 209) 등이 브라켓 체결 유닛 고정 홀(286)에 삽입됨으로써 브라켓 체결 유닛(200)과 카메라 모듈 안착 지그(280)가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브라켓 체결 유닛(200)은 X축 구동 유닛(180)에 설치되고, 브라켓 안착 지그(260)에 안착된 브라켓(B)을 픽업하여 카메라 모듈 안착 지그(280)에 안착된 카메라 모듈(CM)에 체결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7을 참조하면, 브라켓 체결 유닛(200)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브라켓 체결 유닛(200)은 픽업 수단(202), 가압 수단(204), 제1 승하강 실린더(206), 제2 승하강 실린더(20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픽업 수단(202)은 브라켓 안착 지그(260)에 안착된 브라켓(B)을 픽업할 수 있고, 제1 승하강 실린더(206)에 의해 Z축 방향(Z)으로 승하강될 수 있다.
또한 픽업 수단(20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업 수단(202)은 Z축 방향(Z)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X축 방향(X)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업 수단(202)은 브라켓 안착 지그(26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라켓(B)을 동시에 픽업 가능하다.
도 8에는 Z축 방향(Z)으로 승하강되는 픽업 수단(202)에 의해 브라켓 안착 지그(260)에 안착된 브라켓(B)이 픽업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가압 수단(204)은 픽업된 브라켓(B)의 상단을 가압하여 픽업된 브라켓(B)을 카메라 모듈(CM)에 체결시킬 수 있고, 제2 승하강 실린더(208)에 의해 Z축 방향(Z)으로 승하강될 수 있다.
또한 가압 수단(204)은 X축 방향(X)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미도시)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업 수단(20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관통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의 X축 방향(X) 이격 간격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업 수단(202)의 X축 방향(X) 이격 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업 수단(20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통해 가압 수단(204)의 하단으로 돌출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업 수단(202)에 의해 픽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라켓(B)은 가압 수단(204)에 의해 동시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 모듈(CM)로 체결될 수 있다.
제1 승하강 실린더(206)는 X축 구동 유닛(180)에 설치되어 픽업 수단(202)을 Z축 방향(Z)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승하강 실린더(208)는 X축 구동 유닛(180)에 설치되어 가압 수단(204)을 Z축 방향(Z)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다.
즉, 브라켓 체결 유닛(200)은 브라켓 체결 지지대(도 1의 160)에 의해 Y축 방향(Y)으로 이동 가능하고, X축 구동 유닛(도 1의 180)에 의해 X축 방향(X)으로 이동 가능하며, 제1 승하강 실린더(206) 및 제2 승하강 실린더(208)에 의해 Z축 방향(Z)으로 승하강이 가능하다.
이어서, 도 9를 참조하면, 브라켓 체결 유닛(200)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도 9에서는 제1 승하강 실린더(206)를 생략하고, 제2 승하강 실린더(208)의 일부만을 도시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도 9의 브라켓 체결 유닛(200)은 도 7의 브라켓 체결 유닛(200)과 달리, 체결용 보조 바(20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체결용 보조 바(209)는 가압 수단(204)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브라켓 체결 유닛(200)의 브라켓 체결 동작시 브라켓 체결 유닛(200)을 카메라 모듈 안착 지그(28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브라켓 체결 유닛(200)의 브라켓 체결 동작시 카메라 모듈 안착 지그(280)의 브라켓 체결 유닛 고정 홀(286)에 체결용 보조 바(209)가 삽입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체결용 보조 바(209)가 브라켓 체결 유닛 고정 홀(286)에 삽입됨으로써, 브라켓 체결 유닛(200)은 흔들리지 않고 정확한 카메라 모듈(CM) 위치에 브라켓(B)을 체결시킬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높이 측정 센서(220)는 X축 구동 유닛(180)에 설치되고, 카메라 모듈(CM)에 체결된 브라켓(B)의 체결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높이 측정 센서(220)는 카메라 모듈(CM)에 체결된 브라켓(B)의 체결 높이를 측정하고, 측정된 브라켓(B)의 체결 높이와 관련된 정보를 제어 유닛(24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높이 측정 센서(220)는 브라켓 체결 지지대(160)에 의해 Y축 방향(Y)으로 이동 가능하고, X축 구동 유닛(180)에 의해 X축 방향(X)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어 유닛(240)은 높이 측정 센서(220)로부터 측정된 브라켓(B)의 체결 높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유닛(240)은 높이 측정 센서(220)로부터 브라켓(B)의 체결 높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브라켓(B)의 체결 높이와 관련된 정보를 토대로 브라켓(B)의 정상 체결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유닛(240)은 브라켓 체결 지지대(160), X축 구동 유닛(180), 브라켓 체결 유닛(200) 및 높이 측정 센서(220)와 통신할 수 있고, 브라켓 체결 지지대(160), X축 구동 유닛(180), 브라켓 체결 유닛(200) 및 높이 측정 센서(22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어 유닛(240)은 높이 측정 센서(220)로부터 제공받은 브라켓(B)의 체결 높이와 관련된 정보를 토대로 브라켓(B)의 정상 체결 여부를 판정하여, 브라켓 체결 높이 불량 발견시, 브라켓 체결 지지대(160), X축 구동 유닛(180), 브라켓 체결 유닛(200)의 구동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어 유닛(240)은 디스플레이부와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브라켓 체결 지지대(160), X축 구동 유닛(180), 브라켓 체결 유닛(200) 및 높이 측정 센서(220)의 제어 상태 또는 브라켓(B)의 정상 체결 여부를 표시할 수 있고,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브라켓 체결 장치(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라켓(B)을 동시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 모듈(CM)에 체결함으로써 택 타임을 단축하고 작업자들의 부담을 저감하여 생산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브라켓 체결 장치(1)는 높이 측정 센서(220)를 통해 측정된 브라켓 체결 높이를 토대로 브라켓(B)의 정상 체결 여부를 판정하고, 브라켓 체결 높이 불량 발견시, 브라켓 체결 지지대(160), X축 구동 유닛(180), 브라켓 체결 유닛(200)의 구동을 보정함으로써 불량품 발생 비율을 저감하고, 나아가 제품 신뢰도를 개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브라켓 체결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브라켓 체결 장치의 사시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브라켓 체결 장치(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브라켓 체결 장치(1)와 일부 구성요소 및 효과를 제외하고는 동일한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브라켓 체결 장치(2)는 도 1의 카메라 모듈용 브라켓 체결 장치(1)와 달리, 센서 지지대(360)와 제2 X축 구동 유닛(3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1의 카메라 모듈용 브라켓 체결 장치(2)의 프레임(100), 스테이지(120), 레일(140), 브라켓 체결 지지대(160), 제1 X축 구동 유닛(180), 제어 유닛(240), 브라켓 안착 지그(260), 카메라 모듈 안착 지그(280)는 도 1의 카메라 모듈용 브라켓 체결 장치(1)의 프레임(100), 스테이지(120), 레일(140), 브라켓 체결 지지대(160), X축 구동 유닛(180), 제어 유닛(240), 브라켓 안착 지그(260), 카메라 모듈 안착 지그(280)와 동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 지지대(360)는 레일(140)을 따라 Y축 방향(Y)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브라켓 체결 지지대(160)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높이 측정 센서(220)는 센서 지지대(360)에 의해 Y축 방향(Y)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센서 지지대(360)는 제3 지지부(362), 제4 지지부(364), 제2 바디부(366)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브라켓 체결 지지대(160)는 제1 지지부(162), 제2 지지부(164), 제1 바디부(166)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바디부(166)는 도 1의 바디부(166)와 동일할 수 있다.
제3 지지부(362)는 스테이지(120)의 일측에 배치된 레일(140)에 연결되고, 제4 지지부(364)는 스테이지(120)의 타측에 배치된 레일(14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3 지지부(362) 및 제4 지지부(364)는 X축 방향(X) 및 Y축 방향(Y)과 직교하는 Z축 방향(Z)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3 지지부(362)와 제4 지지부(364) 사이에는 제2 바디부(366)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바디부(366)는 제3 지지부(362)와 제4 지지부(364) 사이를 연결하도록 X축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2 바디부(366)에는 X축 방향(X)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제2 보조 레일(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X축 구동 유닛(380)은 이러한 제2 보조 레일을 따라 X축 방향(X)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다.
참고로, 브라켓 체결 지지대(160)의 제1 바디부(166)에는 X축 방향(X)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제1 보조 레일(170)이 구비될 수 있고, 제1 X축 구동 유닛(180)은 이러한 제1 보조 레일(170)을 따라 X축 방향(X)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다.
제2 X축 구동 유닛(380)은 센서 지지대(360)에 설치되어 X축 방향(X)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X축 구동 유닛(380)은 센서 지지대(360)(즉, 제2 바디부(366))에 설치된 제2 보조 레일을 따라 X축 방향(X)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X축 구동 유닛(380)에는 높이 측정 센서(220)가 설치될 수 있고, 제2 X축 구동 유닛(380)에 의해 높이 측정 센서(220)가 X축 방향(X)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높이 측정 센서(220)는 제2 X축 구동 유닛(380)에 설치되고, 카메라 모듈(CM)에 체결된 브라켓(B)의 체결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높이 측정 센서(220)는 카메라 모듈(CM)에 체결된 브라켓(B)의 체결 높이를 측정하고, 측정된 브라켓(B)의 체결 높이와 관련된 정보를 제어 유닛(24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높이 측정 센서(220)는 센서 지지대(360)에 의해 Y축 방향(Y)으로 이동 가능하고, 제2 X축 구동 유닛(380)에 의해 X축 방향(X)으로 이동 가능하다.
참고로, 높이 측정 센서(220)는 브라켓 체결 유닛(200)에 의해 브라켓 안착 지그(260)에 안착된 모든 브라켓(B)이 카메라 모듈(CM)에 체결된 후 측정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고, 브라켓 체결 유닛(200)의 브라켓 체결 작업과 교대로 번갈아 가며 측정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교대로 번갈아 가며 작업이 수행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먼저, 브라켓 체결 유닛(200)에 의해 브라켓 안착 지그(260)의 일 행(row)에 안착된 브라켓(B)이 카메라 모듈(CM)에 체결되면, 높이 측정 센서(220)가 체결된 브라켓(B)의 체결 높이를 측정하고, 측정 작업이 끝나면, 브라켓 체결 유닛(200)에 의해 브라켓 안착 지그(260)의 다음 행(row)에 안착된 브라켓(B)이 카메라 모듈(CM)에 체결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브라켓 체결 작업과 체결 높이 측정 작업이 교대로 반복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브라켓 체결 장치(2)는 센서 지지대(360)와 제2 X축 구동 유닛(380)을 더 포함하는바, 브라켓 체결 지지대(160)와 제1 X축 구동 유닛(180)의 작업 부하를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제품 수명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카메라 모듈용 브라켓 체결 장치 100: 프레임
120: 스테이지 140: 레일
160: 브라켓 체결 지지대 180: X축 구동 유닛
200: 브라켓 체결 유닛 220: 높이 측정 센서
240: 제어 유닛 260: 브라켓 안착 지그
280: 카메라 모듈 안착 지그

Claims (15)

  1.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스테이지;
    상기 스테이지 상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 모듈이 안착된 카메라 모듈 안착 지그;
    상기 스테이지 상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라켓이 안착된 브라켓 안착 지그;
    상기 스테이지의 양 측에 Y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브라켓 체결 지지대;
    상기 브라켓 체결 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Y축 방향과 직교하는 X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X축 구동 유닛; 및
    상기 X축 구동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 안착 지그에 안착된 브라켓을 픽업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 안착 지그에 안착된 카메라 모듈에 체결하는 브라켓 체결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 안착 지그에는 상기 브라켓이 반전된 상태로 안착되고,
    상기 브라켓 체결 유닛은,
    상기 브라켓 안착 지그에 반전된 상태로 안착된 브라켓을 픽업하는 픽업 수단;
    상기 픽업된 브라켓의 상단을 가압하여 상기 픽업된 브라켓을 상기 카메라 모듈에 체결시키는 가압 수단; 및
    상기 가압 수단을 관통하여 돌출된 체결용 보조 바;
    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 안착 지그에는 상기 체결용 보조 바가 삽입되는 브라켓 체결 유닛 고정 홀이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용 브라켓 체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체결 유닛은,
    상기 X축 구동 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픽업 수단을 상기 X축 방향 및 상기 Y축 방향과 직교하는 Z축 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제1 승하강 실린더와,
    상기 X축 구동 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 수단을 상기 Z축 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제2 승하강 실린더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용 브라켓 체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수단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업 수단은 상기 Z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용 브라켓 체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X축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업 수단은 각각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관통하는
    카메라 모듈용 브라켓 체결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업 수단은 상기 브라켓 안착 지그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라켓을 동시에 픽업 가능한
    카메라 모듈용 브라켓 체결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체결 유닛은
    상기 브라켓 체결 지지대에 의해 상기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X축 구동 유닛에 의해 상기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 및 제2 승하강 실린더에 의해 상기 Z축 방향으로 승하강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용 브라켓 체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축 구동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에 체결된 브라켓의 체결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 측정 센서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용 브라켓 체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측정 센서로부터 상기 측정된 브라켓의 체결 높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는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측정된 브라켓의 체결 높이와 관련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브라켓의 정상 체결 여부를 판정하는
    카메라 모듈용 브라켓 체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브라켓 체결 지지대, 상기 X축 구동 유닛, 상기 브라켓 체결 유닛 및 상기 높이 측정 센서를 제어하는
    카메라 모듈용 브라켓 체결 장치.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체결 지지대에는 상기 X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보조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X축 구동 유닛은 상기 보조 레일을 따라 상기 X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카메라 모듈용 브라켓 체결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안착 지그와 상기 카메라 모듈 안착 지그는 상기 Y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카메라 모듈용 브라켓 체결 장치.
  13.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스테이지;
    상기 스테이지 상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 모듈이 안착된 카메라 모듈 안착 지그;
    상기 스테이지 상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라켓이 안착된 브라켓 안착 지그;
    상기 스테이지의 양 측에 Y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브라켓 체결 지지대;
    상기 브라켓 체결 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Y축 방향과 직교하는 X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제1 X축 구동 유닛;
    상기 제1 X축 구동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 안착 지그에 안착된 브라켓을 픽업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 안착 지그에 안착된 카메라 모듈에 체결하는 브라켓 체결 유닛;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 체결 지지대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센서 지지대;
    상기 센서 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X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제2 X축 구동 유닛; 및
    상기 제2 X축 구동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에 체결된 브라켓의 체결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 측정 센서;
    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 안착 지그에는 상기 브라켓이 반전된 상태로 안착되고,
    상기 브라켓 체결 유닛은,
    상기 브라켓 안착 지그에 반전된 상태로 안착된 브라켓을 픽업하는 픽업 수단;
    상기 픽업된 브라켓의 상단을 가압하여 상기 픽업된 브라켓을 상기 카메라 모듈에 체결시키는 가압 수단; 및
    상기 가압 수단을 관통하여 돌출된 체결용 보조 바;
    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 안착 지그에는 상기 체결용 보조 바가 삽입되는 브라켓 체결 유닛 고정 홀이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용 브라켓 체결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체결 지지대에는 상기 X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제1 보조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제1 X축 구동 유닛은 상기 제1 보조 레일을 따라 상기 X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카메라 모듈용 브라켓 체결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지지대에는 상기 X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제2 보조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제2 X축 구동 유닛은 상기 제2 보조 레일을 따라 상기 X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카메라 모듈용 브라켓 체결 장치.
KR1020170052697A 2017-04-25 2017-04-25 카메라 모듈용 브라켓 체결 장치 KR101940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697A KR101940986B1 (ko) 2017-04-25 2017-04-25 카메라 모듈용 브라켓 체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697A KR101940986B1 (ko) 2017-04-25 2017-04-25 카메라 모듈용 브라켓 체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237A KR20180119237A (ko) 2018-11-02
KR101940986B1 true KR101940986B1 (ko) 2019-01-22

Family

ID=64328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697A KR101940986B1 (ko) 2017-04-25 2017-04-25 카메라 모듈용 브라켓 체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986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7107Y2 (ja) * 1991-10-28 1996-11-13 精電舎電子工業株式会社 ワーク保持装置
KR100625855B1 (ko) * 2004-10-25 2006-09-20 (주) 에스에스피 카메라 모듈의 렌즈배럴 조립장비 및 이를 이용한 조립방법
JP4809799B2 (ja) * 2007-03-30 2011-11-09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実装機、その実装方法および実装機における基板撮像手段の移動方法
KR20090044485A (ko) * 2007-10-31 2009-05-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립 칩 본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립 칩 본딩 오류 검출방법
KR101134985B1 (ko) * 2009-03-05 2012-04-09 (주)제이티 비전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237A (ko) 2018-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3149B2 (en) Camera module with anti-shake mechanism
CN109286112B (zh) 电子设备组装装置以及电子设备组装方法
CN100563418C (zh) 具有改进的元件拾起检测的拾取和放置机器
KR102398966B1 (ko) 대상물에 대하여 제1 이동체 및 제2 이동체를 직선 이동시키는 장치 및 방법
CN201575974U (zh) 电路板图像及激光检测设备
KR101972363B1 (ko) 실장 장치 및 측정 방법
KR20170135925A (ko) 부품 실장 장치 및 부품 실장 방법
US20120189188A1 (en) Component mounting system and mounting state inspection method in the component mounting system
KR101940986B1 (ko) 카메라 모듈용 브라켓 체결 장치
CN103733524A (zh) 调谐器模块、电路板以及装配电路板的方法
KR101911023B1 (ko) 카메라 모듈용 브라켓의 체결 방법
US20130180658A1 (en) Tilt correcting apparatus and bonding method using the same
JP4803006B2 (ja) Icハンドラ
US10784130B2 (en) Bonding apparatus
KR101427870B1 (ko) 배선판 측정장치
KR102430480B1 (ko) 다이 본딩 장치 및 방법
CN112771653B (zh) 顺应性裸晶附接工具、裸晶附接系统及其使用方法
JP2014093632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携帯端末
CN112684316A (zh) 检测结构和芯片检测机构
CN109564878A (zh) 接合系统
JP6999422B2 (ja) 実装装置及び実装方法
CN219533788U (zh) 信息录入装置和摄像设备生产线
US7709913B2 (en) Image sensor package and packaging method for the same
CN210670298U (zh) 薄型元件组装机构和电子设备组装装置
JP5522290B2 (ja) 電子部品ハンドラ及びハンド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