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8809B1 - 미스트 발생유닛을 가진 밸브조립체 - Google Patents

미스트 발생유닛을 가진 밸브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8809B1
KR101938809B1 KR1020170156660A KR20170156660A KR101938809B1 KR 101938809 B1 KR101938809 B1 KR 101938809B1 KR 1020170156660 A KR1020170156660 A KR 1020170156660A KR 20170156660 A KR20170156660 A KR 20170156660A KR 101938809 B1 KR101938809 B1 KR 101938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ischarge
unit
mist
dis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혜성
Original Assignee
김기원
유승민
김길현
황순주
김화숙
김경원
조승환
이대윤
최성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원, 유승민, 김길현, 황순주, 김화숙, 김경원, 조승환, 이대윤, 최성희 filed Critical 김기원
Priority to KR1020170156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88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1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the form of a fine jet, e.g. for use in wind-screen wa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스트 발생유닛을 가진 밸브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게하게는 선택적으로 물을 토출하거나 물을 무화시켜 미스트를 토출할 수 있는 미스트 발생유닛을 가진 밸브조립체이다.
본 발명의 미스트발생유닛을 가진 밸브조립테는 물공급관과 연결되며 밸브가 설치되어 물의 배출을 단속하고, 물을 배출하는 배출부를 구비하는 밸브유닛과; 상기 밸브유닛의 배출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부를 통과한 물을 배출시키거나 미스트를 발생시키기 위한 토출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미스트 발생유닛을 가진 밸브조립체{A valve assembly having a mist generating unit}
본 발명은 미스트 발생유닛을 가진 밸브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게하게는 선택적으로 물을 토출하거나 물을 무화시켜 미스트를 토출할 수 있는 미스트 발생유닛을 가진 밸브조립체이다.
일반적으로 세면대, 욕실, 싱크대에는 냉,온수의 혼합 및 물을 토출할 수 있는 밸브가 설치된다. 이러한 밸브는 물의 공급을 단속하는 것으로 기능성 물을 배출할 수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88302호에는 수전,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5814호에는 분수형수도꼭지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한 수전은 물을 분무방식으로 토출시켰으나, 물이 하방으로만 분무되어 얼굴에 직접 수분공급을 할 수 있는 기능을 발휘할 수 없으며, 물이 분무방식으로만 토출되어 세수 또는 양치를 위해 세면대, 컵 등에 물을 모으기 어려워 실생활에서 사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분수형수도꼭지는 얼굴 등에 직접 물이 분사할 수 있도록 구비되었으나, 물이 무화되지 않고 분사되기 때문에 물의 미립자에 의한 피부수분공급 기능을 발휘할 수 없으며, 이 역시 물이 상방으로만 토출되기 때문에 실제 적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88302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581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피부에 수분공급을 할 수 있도록 물을 무화시켜 미스트를 분사할 수 있는 미스트 발생유닛을 가진 밸브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물을 토출하거나 물을 무화시켜 미스트를 토출할 수 있는 미스트 발생유닛을 가진 밸브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스트 발생유닛을 가진 밸브조립체는 물공급관과 연결되며 물이 배출되는 배출부를 구비하는 밸브유닛과; 상기 밸브유닛의 배출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부를 통과한 물을 배출시키거나 미스트를 발생시키기 위한 토출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토출유닛은 일측이 상기 배출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2 연결유로가 형성된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타측에 상기 제1연결유로와 연결되어 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물토출부와, 상기 물토출부와 인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연결유로와 연결되어 물을 무화시켜 미스트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미스트발생부와. 상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선택적으로 상기 물토출부 또는 상기 미스트발생부로 연결하도록 상기 제1,2연결유로와 연통되는 제1,2연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2연결공이 개폐되도록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에 구비된 절환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미스트발생부는 회전부재의 타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2연결유로와 연결되는 노즐몸체와, 상기 노즐몸체와 결합되며 미스트분사공이 형성된 캡과, 상기 노즐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미스트분사공에 인입되는 와류발생부를 구비한 가압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미스트 발생유닛을 가진 밸브조립체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회전각도제한부가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미스트 발생유닛을 가진 밸브조립체는 물을 무화시킨 미스트를 사용자의 얼굴에 직접 분사시켜 피부수분공급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미스트 발생유닛을 가진 밸브조립체는 필요에 따라 물을 물줄기 형태로 토출하거나 무화시켜 미스트로 토출할 수 있어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미스트 발생유닛을 가진 밸브조립체는 회전부재의 회전만으로 물의 토출형태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용이하며, 종래 수도꼭지에 적용이 가능하여 실용성이 높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스트 발생유닛을 가진 밸브조립체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미스트 발생유닛을 가진 밸브조립체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회전부재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밸브조립체의 물의 흐름을 보여주는 일부절개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회전부재가 회전되었을 시 밸브조립체의 물의 흐름을 보여주는 일부절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스트 발생유닛을 가진 밸브조립체가 도시된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미스트 발생유닛을 가진 밸브조립체의 일부절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스트 발생유닛을 가진 밸브조립체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미스트 발생유닛을 가진 밸브조립체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미스트 발생유닛을 가진 밸브조립체(1)는 물공급관(A)과 연결되어 물을 배출하는 배출부를 구비하는 밸브유닛(10)과, 밸브유닛(10)의 배출부(15)에 설치되어 배출부(15)를 통과한 물을 물줄기 형태로 배출시키거나 물을 무화시켜 미스트로 토출시키는 토출유닛(20)을 구비한다.
밸브유닛(10)은 세면대 등에 설치되는 수도꼭지로, 양측에 각각 물을 유입하는 유입부(13)와 물을 배출하는 배출부(15)가 마련된 밸브본체(12)와, 유입부와 배출부(15)가 형성하는 유로를 개폐하도록 밸브본체(12)에 설치되는 밸브(11)를 구비한다.
밸브본체(12)의 유입부(13)는 물공급관(A)과 연결되는 곳으로 물공급관(A)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밸브본체(12)의 내부에 형성된 메인유로에 들어올 수 있도록 한다.
배출부(15)는 밸브(11)에 의해 메인유로가 개폐됨에 따라 물을 배출하는 곳으로 토출유닛(20)의 결합부(37)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간(16)이 형성된다. 배출부(15)의 결합공간(16)은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공간(16)의 내측단부(17)에는 유입부를 통해 밸브본체(12)의 메인유로로 공급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15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술할 토출유닛(20)의 절환유닛(4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회전축이 설치되는 제1회전축홈(17a)과, 회전제한부(70)의 회전제한디스크(71)의 디스크결합돌기(미도시)가 삽입되는 회전제한디스크결합홈(17b)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11)는 외부로 돌출된 손잡이(11a)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를 파지하여 밸브(11)를 조작함에 따라 밸브본체(12)에 형성된 메인유로를 개폐하여 배출부(15)의 배출구(15a)로 물을 토출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토출유닛(20)은 일측이 배출부(1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부재(30)와, 회전부재(30)에 설치되어 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물토출부(50)와, 회전부재(30)에 설치되어 물을 무화시켜 미스트를 토출하는 미스트발생부(60)와, 배출부(15)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선택적으로 물토출부(50) 또는 미스트발생부(60)로 연결하도록 회전부재의 일측에 설치된 절환유닛(40)을 구비한다.
회전부재(30)는 배출부(15)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배출부(15)의 결합공간(16)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37)가 일측에 형성되고 하방으로 개구가 형성된 회전본체(35)와, 회전본체(35)의 개구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본체헤드(39)를 구비한다.
회전본체(35)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나 회전본체(35)의 결합부(37)는 배출부(15)의 결합공간(16)에 삽입될 수 있도록 외주연이 배출부(15)의 내주연보다 작게 형성된다. 결합부(37)의 외주연에는 요홈(37a)들이 형성되어 배출부(15)의 결합공간(16)에 삽입될 시 회전가능하나 내부를 통과하는 물이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회전결합부재(32)와 패킹부재(34)가 설치된다. 회전본체(35)는 결합부(37)의 단부에서 개구로 각각 연통되는 제1,2연결유로(31)(33)가 형성되어 있다.
제1연결유로(31)는 결합부(37)의 단부에서 개구의 내부 측면까지 일직선으로 연통되어 형성되며, 제2연결유로(33)의 경우 결합부(37)의 단부에서는 단일로 형성되나 개구가 형성된 회전본체(35)의 내부에서 미스트의 설치수에 따라 나뉘어 제1미스트유로(33a)와 제2미스트유로(33b)로 분기되고, 제1미스트유로(33a)와 제2미스트유로(33b)는 개구의 내부 상부측면으로 연통되어 형성된다.
본체헤드(39)는 물토출부(50)와 미스트발생부(60)가 설치되는 곳으로, 회전본체(35)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본체헤드(39)는 제1연결유로(31)와 연결되는 제1유로연결공(39a)이 일측에 형성되고 하방에 물토출부(50)가 설치될 수 있는 물토출부설치홈(50a)이 제1유로연결공(39a)과 연통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1,2미스트유로(33a)(33b)와 연통되도록 본체헤드(39)의 상부면에서 하부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1,2미스트발생부설치홀(60a)이 형성되어 미스트발생부(60)가 관통되어 설치될 수 있다.
미스트발생부(60)는 제1,2미스트발생부설치홀(60a)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노즐몸체(61)와, 노즐몸체(61)에 결합되며 미스트분사공(62a)이 형성된 캡(62)과, 노즐몸체(61)의 내부에 구비되어 미스트분사공(62a)에 인입되는 와류발생부(68)를 포함하는 가압부재(65)를 구비한다.
노즐몸체(61)는 양측이 개방된 관형으로 일측이 제1,2미스트유로(33a)(33b)와 연결되어 제1,2미스트유로(33a)(33b)를 통과한 물이 내부로 인입되고, 타측은 미스트분사공(62a)이 형성된 노즐캡(62)이 결합된다.
노즐캡(62)은 노즐몸체(61)의 타측을 밀폐하도록 결합되나 미스트분사공(62a)이 형성되어 노즐몸체(61)의 내부를 통과하는 물은 미스트분사공(62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미스트분사공(62a)은 노즐캡(62)의 내측면 중심에서 외주연이 점점 작아지게 인입되어 형성된다.
가압부재(65)는 노즐몸체(61)의 내부에서 제1,2미스트유로(33a)(33b)측에 위치하는 후미핀(66)과, 노즐캡(62)측에 위치하는 와류발생부(68), 후미핀(66)과 와류발생부(68)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체(67)로 구분된다. 후미핀(66)은 제1,2미스트유로(33a)(33b)를 통과하여 노즐몸체(61)로 공급되는 물의 토출압력을 인접한 탄성체(67)로 전달하도록 구비된다. 탄성체(67)는 탄성스프링으로 노즐몸체(61) 내부에 물이 공급될 시 후미핀(66)에 인가되는 압력을 인접한 와류발생부(68)에 전달하며, 노즐몸체(61) 내부에 물이 차단되면 가압부재(65)가 원래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한다.
와류발생부(68)는 일단이 미스트분사공(62a)에 인입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핀형상의 부재로, 노즐몸체(61) 내부에 물이 공급될 시 탄성체(67)에 의해 전해진 압력에 의해 일단이 미스트분사공(62a)으로 인입된다. 이때, 노즐몸체(61)로 공급된 물이 미스트분사공(62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시 통로가 좁아짐에 따라 큰 압력을 받고 와류가 발생하며, 미스트분사공(62a)에서 외부로 배출될 시 압력이 급격히 완화됨에 따라 물이 무화되며 미스트로 분사된다.
도시된 바와 달리 미스트발생부(60)는 종래의 미스트발생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물토출부(50)는 물이 물줄기형태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본체헤드(39)의 물토출부설치홈(50a)에 장착되고 일측에 외부로 물을 토출하는 다수의 물토출구(51a)가 형성된 물토출하우징(51)과, 제1유로연결공(39a)을 통해 물토출하우징(51)의 내부로 공급된 물이 상기 물토출구(51a)를 통해 토출될 시 수압이 상승되도록 다수의 수압상승구(55a)가 형성된 제1필터부(55)와, 물토출하우징(51)의 내부에 상기 제1필터부(55)보다 물토출구(51a)에 가깝도록 설치되고 제1필터부(55)에서 토출된 물의 수압을 더욱 높여주는 수압증폭구(53a)가 형성된 제2필터부(53)를 구비한다.
물토출하우징(51)은 일측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원통형부재로 개방된 일측이 물토출부설치홈(50a)에 삽입되고 개방되지 않은 타측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제1유로연결공(39a)을 통과한 물은 물토출하우징(51)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물토출하우징(51)의 내부로 공급되고 개방되지 않은 타측에 물토출구(51a)가 다수 형성되어 외부로 물을 여러가닥의 물줄기형태로 토출할 수 있다.
물토출하우징(51)의 내부에 설치된 제1필터부(55)는 원형판에 다수의 수압상승구(55a)가 관통되어 형성된 것으로, 제1유로연결공(39a)을 통과한 물이 수압상승구(53a)를 통과함에 따라 물의 토출시 수압이 상승되도록한다.
제2필터부(53)는 원형판의 중앙이 제1필터부(55) 방향으로 볼록하게 인입된 원형뿔모양의 판으로 다수의 수압증폭구(53a)가 수압상승구(55a)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제1필터부(55)를 통과한 물이 제2필터부(53)를 통해 수압이 증폭될 수 있도록 한다.
제2필터부(55)를 통과한 물은 물토출구(51a)에 의해 외부로 토출된다. 이때, 물토출구(51a)는 제2필터부(55)의 수압증폭구(55a)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에, 제2필터부(55)와 물토출구(51a) 사이에 수돗물의 흐름이 충돌되어 압력이 다시 낮아지고 이로 인하여 물토출부(50)에서 토출되는 물이 강하게 분사되지 않는다.
이처럼 물토출부(50)는 토출되는 물이 부드럽게 토출되는 연수기능을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물토출부(50)는 물을 토출할 수 있는 종래 수전의 물토출부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절환유닛(40)은 디스크형으로, 토출본체의 결합부(37)의 단부에 결합되어 배출부(15)의 결합공간(16)에 삽입된다. 결합부(37)와 접촉되는 일측에는 결합부(37)의 단부에 형성된 절환결합홈(미도시)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절환결합편(45)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내측단부(17)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제1회전축홈(17a)에 일부가 삽입된 회전축의 타측이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는 제2회전축홈(40a)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절환유닛(40)은 회전부재(30)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을 중심으로 배출부(15)에 대해 회전하게된다.
절환유닛(40)은 결합부결합부1,2연결유로(31)(33)와 연통되는 제1,2연결공(41)(43)이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1,2연결공(41)(43)은 절환유닛(40)이 회전함에 따라 배출부(15)의 배출구(15a)와 연통되거나 차단된다.
도 4과 도 5를 참조하여 회전부재(30)의 회전에 따라 절환유닛(40)이 회전되어 물을 물줄기 형태로 토출시키거나 미스트로 토출시키는 것을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4에는 절환유닛(40)에 의해 제1연결유로(31)와 연통된 제1연결공(41)이 배출구(15a)와 연결되고, 제2연결유로(33)와 연통된 제2연결공(43)은 단절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처럼 회전부재(30)가 회전하기 전에는 배출부(15)의 배출구(15a)에서 배출되는 물이 절환유닛(40)에 의해 제1연결공(41)와 연결된 제1연결유로(31)로 공급된다. 제1연결유로(31)로 공급된 물은 제1연결공(41)을 통해 물토출부(50)로 이동하고 물토출부(50)를 통해 물은 물줄기 형태로 하방으로 토출된다.
도 5에는 회전부재(30)가 회전된 후 제2연결유로(33)와 연통된 제2연결공(43)이 배출구(15a)와 연결되고, 제1연결유로(31)와 연통된 제1연결공(41)은 단절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회전부재(30)가 회전되어 회전부재(30)의 하방에 설치된 본체헤드(39)가 회전부재(30)의 상방으로 이동되고 절환유닛(40)이 회전부재(30)를 따라 회전되어 제2연결공(43)이 배출구(15a)와 연결된다. 이처럼 회전부재(30)가 회전한 후에는 배출부(15)의 배출구(15a)에서 배출되는 물이 절환유닛(40)에 의해 제2연결공(43)과 연결된 제2연결유로(33)로 공급되고 제2연결유로(33)의 제1,2미스트유로(33a)(33b)를 따라 분배되어 복수개로 구비된 미스트발생부(60)를 통해 무화되어 미스트로 상방으로 토출된다.
즉, 회전부재(30)가 회전되기 전에는 제1연결공과 배출구(15a)가 연통되어 있고 회전시킨 후에는 제2연결공(43)과 배출구(15a)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제1,2연결공(41)(43)은 회전부재(30)의 회전에 따라 개폐된다.
또한, 본 발명의 미스트 발생 유닛을 가진 밸브조립체는 회전부재(30)의 회전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회전각도제한부(7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회전각도제한부(70)는 절환유닛(40)의 일측에서 배출부(15)측으로 돌출된 제한돌기(73)와, 디스크형으로 배출부(15)의 결합공간(16)의 내측단부(17)와 절환유닛(40)의 사이에 설치되고 절환유닛(40)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되는 제한돌기(73)의 회전궤도를 따라 인입된 제한홈(75)이 형성된 회전제한디스크(71)를 구비한다.
회전제한디스크(71)는 배출구(15a)와 연통되는 유로연결공(7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서 배출부(15)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디스크결합돌기(미도시)가 배출부의 내측단부(17)의 회전제한디스크결합홈(17b)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제1,2회전축홈(17a)(40a)과 연통된 회전축홀(70a)이 형성되어, 회전축이 회전축홀(70a)과 제1,2회전축홈(17a)(40a)에 삽입되어 절환유닛(40)이 배출부(15)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제한홈(75)은 제1연결공(41)이 배출구(15a)와 연통되도록 회전부재(30)의 토출헤드가 하방으로 향할 시, 제한돌기(73)가 일측 단부에 걸리도록 형성되고, 제2연결공(43)이 배출구(15a)와 연통되도록 회전부재(30)의 본체헤드(39)가 상방으로 향할 시, 제한돌기(71)가 타측단부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즉 제한홈(75)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180의 길이로 인입되어 형성된다. 이에, 손쉽게 제1,2연결공과 배출구(15a)가 연통되는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한 본 발명의 미스트 발생유닛을 가진 밸브조립체는 본 발명의 미스트 발생유닛을 가진 밸브조립체는 물을 무화시킨 미스트를 얼굴에 직접 분사시켜 얼굴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어 피부미용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세안 또는 양치를 하는 평상시에는 물을 물줄기 형태로 토출시켜 종래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선택할 수 있어 활용도가 매우 높다. 또한, 사용자가 회전부재를 회전시킴에 따라 물의 토출형태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용이하다.
도 6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스트 발생유닛을 가진 밸브조립체(2)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미스트 발생유닛을 가진 밸브조립체(2)는 물공급관과 연결되며 물이 배출되는 배출부를 구비하는 밸브유닛(100)과, 배출부(101)를 통과한 물을 배출시키거나 물을 무화시켜 미스트를 발생시키기도록 밸브유닛의 배출부에 탈착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토출유닛(90)을 구비한다.
밸브유닛(10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을 배출할 수 있는 통상의 수도꼭지이며,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토출유닛(90)은 결합부재(80)에 의해 밸브유닛(100)의 배출부(101)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배출부(101)에서 배출된 물이 내부로 통과할 수 있도록 토출유로(95)가 형성된 토출하우징(91)과, 일측이 토출하우징(91)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설치된 회전부재(30)와, 회전부재(30)에 설치되는 물토출부(50)와 미스트발생부(60), 토출유로(95)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선택적으로 물토출부(50) 또는 미스트발생부(60)로 연결할 수 있도록 회전부재(30)의 일측에 구비된 절환유닛(40)을 구비한다.
결합부재(80)는 결합본체(81)와 결합본체의 고정력을 높여주는 고정링(87)으로 구분되며, 결합본체(81)는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의 부재로, 일단은 통상의 수도꼭지의 배출부(101)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배출부결합부분(83)과, 타단은 후술할 토출하우징(91)의 결합부분(93)과 나사결합하는 나사결합부분(85)으로 구분된다. 배출부결합부분(83)은 통상의 수도꼭지의 배출부가 억지끼움 가능도록 내주면이 배출부(101)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사결합부분(85)은 토출하우징(91)의 결합부분(93)이 삽입되고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고정링(87)은 결합부재(80)와 결합부재(80)의 배출부결합부분(83)에 삽입된 배출부(101)의 결합력을 높이도록 배출부결합부분(83)의 외주연을 따라 설치된다.
토출하우징(91)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측면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결합부분(93)의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결합부재(91)의 타단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된다. 토출하우징(91)은 일단에는 결합공간(97)이 형성되어 회전부재(30)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설치된다. 토출하우징(91)은 결합부분(93)의 일단에서 토출하우징의 결합공간(97)의 내측단부(97a)로 관통하는 토출유로(95)가 형성되어 있다.
토출하우징(91)의 결합공간(97)의 내측단부(97a)는 상기한 본 발명의 배출부(15)의 결합공간(16)의 내측단부(17)와 같이 제1회전축홈(17a)과 제한홈(73)이 형성되고, 회전부재(30)와, 물토출부(50), 미스트발생부(60), 절환유닛(40)은 상기한 구성과 동일하되 상기한 일실시예의 배출부(15)의 배출구(15a)가 아닌 토출하우징(91)의 토출유로(95)와 연결된다.
도시된 바와 달리 본 발명의 미스트 발생유닛을 가진 밸브조립체(2)는 결합부재(80)가 생략되어 토출하우징(91)의 결합부분(93)이 배출부(101)에 직접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스트 발생유닛을 가진 밸브조립체는 통상의 수도꼭지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실용성이 높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따른 실시예에 따른 미스트 발생유닛을 가진 밸브조립체(3)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미스트 발생유닛을 가진 밸브조립체(3)는 물공급관과 연결되며 물이 배출되는 배출부(111)를 구비하는 밸브유닛(110)과, 밸브유닛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고 물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킬수 있도록 밸브(125)가 구비된 바이패스관(120)과, 바이패스관(120)의 일단에 설치되고 바이패스관(120)을 통과한 물을 무화시켜 미스트를 토출하는 미스트발생부(150)를 구비한다.
도 8에 도시된 밸브유닛(110)은 도 6 내지 도 7의 밸브유닛(100)과 같이 물을 배출할 수 있는 통상의 수도꼭지이며,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바이패스관(120)은 밸브유닛(110)의 적어도 일측에 밸브유닛(110)의 유로와 연통되는 서브유로를 형성하는 분기관으로 물공급관과 인접한 밸브유닛(110)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이패스관(120)은 서브유로를 개폐하는 밸브(125)가 일측에 설치되어 물을 미스트발생부(150)에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미스트발생부(150)는 상술한 미스트발생부(60)와 구성과 기능이 동일하며, 바이패스관(120)의 서브유로의 단부와 연결되어 서브유로를 통과한 물을 무화시켜 미스트를 발생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미스트 발생유닛을 가진 밸브조립체는 미스트발생부의 위치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미스트를 원하는 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미스트 발생유닛을 가진 밸브조립체 10 : 밸브유닛
15 : 배출부 20 : 토출유닛
50 : 물토출부 60 : 미스트발생부

Claims (7)

  1. 물공급관과 연결되며 물이 배출되는 배출부를 구비하는 밸브유닛과;
    상기 밸브유닛의 배출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부를 통과한 물을 배출시키거나 미스트를 발생시키기 위한 토출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토출유닛은 일측이 상기 배출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2 연결유로가 형성된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타측에 상기 제1연결유로와 연결되어 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물토출부와, 상기 물토출부와 인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연결유로와 연결되어 물을 무화시켜 미스트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미스트발생부와, 상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선택적으로 상기 물토출부 또는 상기 미스트발생부로 연결하도록 상기 제1,2연결유로와 연통되는 제1,2연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2연결공이 개폐되도록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에 구비된 절환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미스트발생부는 상기 제2연결유로와 연결되는 노즐몸체와, 상기 노즐몸체와 결합되며 미스트분사공이 형성된 캡과, 상기 노즐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미스트분사공에 인입되는 와류발생부를 구비한 가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회전각도제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스트 발생유닛을 가진 밸브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물공급관과 연결되며 물이 배출되는 배출부를 구비하는 밸브유닛과;
    상기 배출부를 통과한 물을 배출시키거나 물을 무화시켜 미스트를 발생시키도록 밸브유닛의 배출부에 탈착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토출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토출유닛은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배출부에 탈착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배출부에서 배출된 물이 내부로 통과할 수 있도록 토출유로가 형성된 토출하우징과, 일측이 상기 토출하우징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게 설치되며 제1,2연결유로가 형성된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타측에 상기 제1연결유로와 연결되어 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물토출부와, 상기 물토출부와 인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연결유로와 연결되어 물을 무화시켜 미스트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미스트발생부와, 상기 토출유로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선택적으로 상기 물토출부 또는 상기 미스트발생부로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제1,2연결유로와 연통되는 제1,2연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2연결공이 개폐되도록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에 구비된 절환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미스트발생부는 상기 제2연결유로와 연결되는 노즐몸체와, 상기 노즐몸체와 결합되며 미스트분사공이 형성된 캡과, 상기 노즐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미스트분사공에 인입되는 와류발생부를 구비한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스트 발생유닛을 가진 밸브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일측이 상기 밸브유닛의 배출부와 결합되는 배출부결합부분과 타측이 상기 토출하우징의 일측과 나사결합되는 나사결합부분을 구비하는 결합본체와 상기 결합본체와 배출부의 결합력을 높이도록 배출부결합부분의 외주연에 설치되는 고정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스트 발생유닛을 가진 밸브조립체.
  7. 삭제
KR1020170156660A 2017-11-22 2017-11-22 미스트 발생유닛을 가진 밸브조립체 KR101938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660A KR101938809B1 (ko) 2017-11-22 2017-11-22 미스트 발생유닛을 가진 밸브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660A KR101938809B1 (ko) 2017-11-22 2017-11-22 미스트 발생유닛을 가진 밸브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8809B1 true KR101938809B1 (ko) 2019-01-15

Family

ID=65030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660A KR101938809B1 (ko) 2017-11-22 2017-11-22 미스트 발생유닛을 가진 밸브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88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5687A (ko) * 2020-12-30 2022-07-07 박길재 수도꼭지 결합형 회전식 토수방향 전환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1797A (ja) * 2005-03-30 2006-10-12 Toto Ltd 洗面化粧台
JP2009274026A (ja) * 2008-05-15 2009-11-26 Hot Kk 水栓用マイクロバブルユニット
KR101676820B1 (ko) * 2015-12-17 2016-11-30 세비앙 주식회사 수전용 마이크로 버블 전환 유닛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1797A (ja) * 2005-03-30 2006-10-12 Toto Ltd 洗面化粧台
JP2009274026A (ja) * 2008-05-15 2009-11-26 Hot Kk 水栓用マイクロバブルユニット
KR101676820B1 (ko) * 2015-12-17 2016-11-30 세비앙 주식회사 수전용 마이크로 버블 전환 유닛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5687A (ko) * 2020-12-30 2022-07-07 박길재 수도꼭지 결합형 회전식 토수방향 전환장치
KR102430778B1 (ko) 2020-12-30 2022-08-08 박길재 수도꼭지 결합형 회전식 토수방향 전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0697B2 (en) Shower head assembly
US8424781B2 (en) Power sprayer
US10086390B2 (en) Multi-function sprayhead
US7188641B2 (en) Water valve assembly for bathroom faucets
US10730060B2 (en) Convenient switching valve
KR100838999B1 (ko) 비데의 유로조절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KR101938809B1 (ko) 미스트 발생유닛을 가진 밸브조립체
CA3140620A1 (en) Pivotable dual showerhead with multiple spray modes
CN112774884A (zh) 一种带喷射功能的花洒
JP4199347B2 (ja) 止水機構付シャワーヘッド
JP2003144983A (ja) 吐水ノズル
JP4248009B2 (ja) 水栓設備における吐水装置
US7121303B1 (en) Mixed water faucet
SE2051390A1 (en) Water saving nozzle and shower head comprising such nozzle
JP4199346B2 (ja) 止水機構付シャワーヘッド
JP2003155763A (ja) サーモ型湯水混合水栓
CN214766266U (zh) 一种带喷射功能的花洒
CN213762379U (zh) 分水组件及顶喷花洒
JP2769014B2 (ja) 吐水口
KR200388138Y1 (ko) 급수헤드
JPH0838951A (ja) 切換式シャワー
JP4709266B2 (ja) 水栓設備における吐水装置
JP3441669B2 (ja) 切替コック
KR200388676Y1 (ko) 개수대용 급수전의 방향절환장치
JP2545536Y2 (ja) 吐水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