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8138Y1 - 급수헤드 - Google Patents

급수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8138Y1
KR200388138Y1 KR20-2005-0010046U KR20050010046U KR200388138Y1 KR 200388138 Y1 KR200388138 Y1 KR 200388138Y1 KR 20050010046 U KR20050010046 U KR 20050010046U KR 200388138 Y1 KR200388138 Y1 KR 2003881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water supply
water
head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00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창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창
Priority to KR20-2005-00100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81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81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81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샤워부스나 세면대, 싱크대 등에 사용되며, 간단한 조작에 의해 2개의 토출구를 통하여 서로 다른 토출 형태로 급수가 가능하고, 특히 상기 2개의 토출구가 사용자에게 최적의 급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배치된 급수헤드를 개시한다.
이러한 급수헤드는, 서로 독립된 지점에 2개의 토출구가 형성된 급수헤드로서,
급수를 위한 일정한 크기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헤드 본체;
상기 헤드 본체에서 상기 내부 공간을 덮는 상태로 배치되며 물이 토출되기 위한 영역을 제공하는 토출판;
상기 토출판 내에서 서로 다른 지점에 이격 배치되는 2개의 토출부;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2개의 토출부에 선택적으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2개의 볼부재에 의해 제어되는 2개의 유로를 가지는 밸브부;
상기 밸브부에 의해 상기 2개의 토출구가 동시에 차단된 상태 또는 어느 하나가 개방된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레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급수헤드{water cock}
본 고안은 급수헤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샤워부스나 세면대, 싱크대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서로 다른 형태로 물이 토출되는 2개의 토출구가 서로 독립된 지점에 위치되어 최적의 급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급수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급수헤드는, 샤워부스나 세면대, 싱크대 등에서 수도관과 직결되거나 호스 등으로 연결되며, 이러한 연결 상태에서 헤드 본체에 일체로 부착된 레버의 조작에 의해 한 갈래의 물줄기 또는 여러 갈래의 물줄기 형태로 토출 상태의 전환이 용이한 급수 환경을 제공한다.
상기 급수헤드의 일반적인 구조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수도관이나 호스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통로와 연통된 내부 공간을 가지는 헤드 본체와, 이 헤드 본체에서 상기 내부 공간을 덮는 상태로 위치되고 물이 토출되기 위한 제1 및 제2토출부가 형성되는 토출판과,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2개의 토출부에 대응하는 2개의 분배 유로가 1개의 볼부재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되거나 차단되는 볼밸브부와, 이 볼밸브부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레버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2개의 토출부 중에서 상기 제1토출부는 단일의 통로로 이루어지며 상기 토출판의 중심에서 상기 볼밸브부의 어느 하나의 분배 유로를 통하여 한 갈래로 물줄기가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2토출부는 상기 토출판에서 상기 제1토출부의 통로를 둘러싸는 형태로 이격 형성되는 다수개의 홀들로 이루어지고, 이 각각의 홀들을 통하여 상기 볼밸브부의 다른 하나의 분배 유로를 경유하면서 여러 갈래로 물줄기가 토출된다.
상기 제1토출부와 제2토출부는 상기 토출판 영역내에서 서로 공간을 점유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밸브부의 분배 유로들을 통하여 물이 공급되면서 급수가 이루어진다.
즉, 상기 밸브부는 상기 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기 2개의 분배 유로 중에서 상기 볼부재에 의해 어느 하나가 차단된 상태에서는 다른 하나가 개방된 상태가 되므로 이와 같은 레버의 스위칭 조작에 의해 상기 2개의 토출부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물이 공급되면서 토출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급수헤드는, 상기 제1토출부와 제2토출부가 상기 단일의 토출판 영역에서 서로 공간을 점유하는 형태로 위치되므로 이와 같은 구조는 예를들어, 상기 2개의 토출부 중에서 상기 제2토출부를 통하여 물이 토출될 때에 상기 제1토출부가 점유하는 영역에 의해 도우넛(donut) 형태로 토출되면서 중심부에 유휴(遊休) 공간이 발생되므로 만족할 만한 급수 효율을 얻기가 어렵다.
특히, 상기와 같이 여러 갈래의 물줄기가 토출되는 제2토출구는 대부분 샤워를 할 때에 주로 사용되므로 샤워 시에 많은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상기 볼밸브부는 2개의 분배 유로가 1개의 볼부재에 의해 어느 하나의 유로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다른 하나의 유로는 개방된 상태가 되면서 상기 2개의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에 한정되므로 예를들어, 사용자가 상기 헤드 본체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단수(斷水) 상태로 조작하려면 수도관과 연결된 메인 레버를 작동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상기 2개의 토출부가 상기 토출판 영역에서 서로 공간을 점유하는 형태로 배치되면 상기 토출부들의 토출 위치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식별하기 어렵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조작에 의해 토출 형태의 전환은 물론이거니와 급수 및 단수 상태로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특히 서로 다른 영역에 배치된 2개의 토출구를 통하여 한층 향상된 급수 환경을 얻을 수 있는 급수헤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서로 독립된 지점에 2개의 토출구가 형성된 급수헤드로서,
급수를 위한 일정한 크기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헤드 본체;
상기 헤드 본체에서 상기 내부 공간을 덮는 상태로 배치되며 물이 토출되기 위한 영역을 제공하는 토출판;
상기 토출판 내에서 서로 다른 지점에 이격 배치되는 2개의 토출부;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2개의 토출부에 선택적으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2개의 볼부재에 의해 제어되는 2개의 유로를 가지는 밸브부;
상기 밸브부에 의해 상기 2개의 토출구가 동시에 차단된 상태 또는 어느 하나가 개방된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레버를 포함하는 급수헤드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샤워부스에 설치되는 구조를 일예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급수헤드의 전체 외형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면 부호 2는 헤드 본체(2)를 지칭한다.
상기 헤드 본체(2)는 도 2에서와 같이 일정한 크기의 내부 공간(4)이 형성되고, 이 공간(4)은 샤워부스의 벽체 등에 설치된 수도관과 연결된 호스(6)가 끼워지는 유입통로(8)와 연통된다.
상기 헤드 본체(2)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위한 그립부(2a)와, 물이 토출되기 위한 헤드부(2b)로 구성되어 이 각부들이 도 1에서와 같은 형상을 가지며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헤드 본체(2)에는 상기 내부 공간(4)에 대응하여 물이 토출되기 위한 영역을 제공하는 토출판(10)이 설치된다. 이 토출판(10)은 상기 내부 공간(4) 전체를 가릴 수 있는 면적을 가지며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내부 공간(4) 전체를 덮는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토출판(10)은 합성수지가 사용되며, 상기 헤드 본체(2)측에 끼워질 때에 이들의 접촉 부위에 시일이 유지될 수 있도록 이미 잘 알려진 고무패킹이 설치된다.
상기 토출판(10)은 상기 헤드 본체(2)측에서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거나 끼움 결합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상기 토출판(10)은 상기 내부 공간(4)에 담겨지는 물의 수압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상기 헤드 본체(2)측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토출판(10)의 영역내에는 2개의 토출부 즉, 여러 갈래의 물줄기로 토출되는 제1토출부(12)와, 한 갈래의 물줄기로 토출되는 제2토출부(14)가 도 2에서와 같이 형성된다.
상기 제1토출부(12)는 상기 헤드 본체(2)에서 그립부(2a)와 헤드부(2b)의 경계 지점에 근접되어 상기 토출판(10)에서 도 2에서와 같이 일정한 면적을 점유하는 형태로 다수개의 토출홀(H1)들이 관통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토출홀(H1)들은 상기 토출판(10)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도 1에서와 같이 배열되며, 이 각각의 토출홀(H1)들을 통하여 상기 토출판(10)의 제1토출부(12) 영역에서 여러 갈래의 물줄기가 토출되면서 급수가 이루어진다.
상기 토출판(10) 영역에는 상기 제1토출부(12)와 독립된 지점에 제2토출부(14)가 형성되고, 이 제2토출부(14)는 도 2에서와 같이 형성된 단일의 토출구(H2)로 이루어진다.
상기 토출구(H2)는 일정한 크기의 지름을 갖는 통로로 형성되고, 이 통로를 통하여 상기 제1토출부(12)와 이격된 지점에서 한 갈래의 물줄기가 토출되면서 급수가 이루어진다.
상기 토출구(H2)의 배출측에는 다수개의 미세 통공을 가지는 메쉬(mesh) 형태의 토출캡(16)이 도 2에서와 같이 설치될 수 있다. 이 토출캡(16)은 상기 토출구(H2)를 통하여 물이 배출될 때에 미세 통공들에 의해 균일한 토출 상태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토출부(12)와 제2토출부(14)는 상기 헤드 본체(2)의 내부 공간(4)에 설치된 밸브부(18)에 의해 물이 공급되거나 차단된다.
상기 밸브부(18)는, 상기 내부 공간(4)에서 상기 2개의 토출부(12, 14)에 대응하는 2개의 분배 유로(L1, L2)를 가지는 밸브 판체(20)와, 상기 2개의 분배 유로(L1, L2)에 대응하는 2개의 볼부재(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밸브 판체(20)는, 상기 헤드 본체(2)의 내부 공간(4)에 도 2에서와 같이 수평한 자세로 배치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2개의 분배 유로(L1, L2) 중에서 1개의 유로(L1)는 상기 제1토출부(12)측을 향하여 물이 패스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다른 하나의 분배 유로(L2)는 도면에서와 같이 "ㄱ"자 모양의 구간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4)에서 상기 제2토출부(14)의 아래측에 형성된 보조 공간(22)과 연통된다.
상기 2개의 분배 유로(L1, L2)는 이들 통로에 대응하여 2개의 볼부재(B)가 도 3에서와 같이 아암(24)에 끼워진 상태로 위치된다.
상기 2개의 볼부재(B)는 상기 2개의 분배 유로(L1, L2)를 원활하게 차단 또는 개방할 수 있도록 이에 대응하는 크기의 지름을 갖는 금속재질의 볼(ball)이 사용된다.
상기 아암(24)은 상기 내부 공간(4) 일측 지점에서 일측단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반대편 단부측에는 상기 2개의 볼부재(B)를 밸브 작용이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2개의 가이드홈(26)이 형성된다.
상기 아암(24)은 상기 회전 지점을 기준을 회전될 때에 상기 2개의 가이드(26)홈측에 끼워진 2개의 볼부재(B)가 상기 2개의 분배 유로(L1, L2)를 동시에 차단하는 상태는 물론이거니와 어느 하나의 볼부재(B)에 의해 상기 분배유로(L1, L2)중에서 어느 하나가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셋팅된다.
상기 2개의 가이드홈(26)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압축 코일스프링과 같이 수축된 상태에서 반발력을 가지는 탄성부재(28)가 설치되며, 이 탄성부재(28)들에 의해 상기 볼부재(B)가 상기 가이드홈(26)에서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상기와 같이 2개의 볼부재(B)가 상기 가이드홈(26)들에서 상기 탄성부재(28)들에 의해 탄지된 상태로 설치되면, 상기 아암(24)이 회전될 때에 상기 2개의 볼부재(B)가 상기 2개의 가이드홈(26) 내부에서 상기 2개의 분배 유로(L1, L2)를 타고 넘을 수 있도록 탄력적으로 위치가 변화되므로 상기 2개의 분배유로(L1, L2)를 차단하거나 개방시키기 위한 밸브 본연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헤드 본체(2)에는 상기 볼부재(B)들에 의해 상기 밸브 판체(20)에 형성된 2개의 분배유로(L1, L2)를 개방 또는 차단하기 위한 레버(30)가 설치된다.
상기 레버(30)는 상기 헤드 본체(2) 즉, 상기 내부 공간(4)에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아암(24)의 회전 지점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반대편 단부는 상기 헤드 본체(2)의 일측 테두리 지점에 도면에서와 같이 일정한 길이로 돌출된다.
상기 레버(30)의 고정단은 상기 내부 공간(4)의 회전 축심 상에서 상기 아암(24)의 고정단과 끼움 결합되어 상기 레버(30)가 회전 축심을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로 회전될 때에 상기 아암(24)측에 회전력이 전달되면서 상기 2개의 볼부재(B)에 의해 상기 2개의 분배 유로(L1, L2)가 개방 또는 차단 상태가 된다.
즉, 상기 레버(30)가 도 3에서와 같이 위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2개의 볼부재(B)에 의해 상기 2개의 분배 유로(L1, L2)가 도 2에서와 같이 동시에 차단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30)가 도 4에서와 같이 회전 축심을 기준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토출부(12)에 대응하는 분배 유로(L1)가 어느 하나의 볼부재(B)에 의해 도 5에서와 같이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레버(30)가 도 6에서와 같이 위치되면, 상기 제2토출부(14)에 대응하는 분배유로(L2)가 도 7에서와 같이 개방된 상태가 되므로 이러한 레버(30)의 조작에 의해 상기 2개의 분배 유로(L1, L2)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개방되거나 동시에 차단이 가능하도록 스위칭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급수헤드는, 상기 레버(30)의 조작에 의해 상기 밸브부(18) 즉, 2개의 분배 유로(L1, L2)가 동시에 차단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상기 헤드 본체(2)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샤워 부스의 벽체에 설치된 별도의 잠금 레버를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 레버(30)를 직접 조작하여 상기 제1토출부(12) 및 제2투출부(14)를 급수 상태는 물론이거니와 단수 상태로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30)의 조작에 의해 상기 밸브부(18)에서 어느 하나의 분배유로(L1, L2)가 개방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 토출부(12, 14)를 통하여 한 갈래의 물줄기 또는 여러 갈래의 물줄기 형태로 토출 상태를 용이하게 전환시킬 수 있으며, 특히 상기 2개의 토출부(12, 14)는 상기 헤드 본체(2)의 토출판(10) 영역에서 일체의 토출 공간을 점유하지 않고 서로 독립된 지점에 분리 형성되므로 이와 같이 각각 독립된 2개의 토출부(12, 14)를 이용하여 사용 용도에 따라 사용자에게 더욱 향상된 급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급수헤드는 샤워부스 이외에도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세면대나 주방의 싱크대 등에 이미 잘 알려진 방법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세면대나 싱크대 등에 설치된 상태에서 해당 용도에 따라 상기와 같이 독립된 2개의 토출부(12, 14)를 이용하여 더욱 향상된 급수 환경을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급수헤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급수헤드에 형성된 2개의 토출부가 레버의 조작에 의해 직접 제어되면서 동시에 차단된 단수 상태 또는 어느 하나의 토출부가 개방된 토출 상태로 간단하게 전환이 가능하므로 만족할 만한 사용 편의성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상기 2개의 토출부는 이들 각각의 토출 영역이 상기 급수헤드에서 서로 독립된 지점에 이격 형성되어 한 갈래의 물줄기 또는 여러 갈래의 물줄기로 급수가 가능하게 셋팅되므로 상기 각각의 토출부를 통하여 급수가 이루어질 때에 일체의 유휴 공간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만족할 만한 급수 효율 및 토출 신뢰도를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상기와 같이 2개의 토출부가 독립된 영역에 각각 형성되면 사용자가 해당 토출부의 토출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으므로 급수 중에 물이 낭비되거나 손실되는 것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급수헤드의 전체 외형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급수헤드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급수헤드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도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급수헤드의 밸브부가 레버에 의해 제어되면서 제1토출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급수헤드의 밸브부가 레버에 의해 제어되면서 제2토출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Claims (5)

  1. 서로 독립된 지점에 2개의 토출구가 형성된 급수헤드로서,
    급수를 위한 일정한 크기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헤드 본체;
    상기 헤드 본체에서 상기 내부 공간을 덮는 상태로 배치되며 물이 토출되기 위한 영역을 제공하는 토출판;
    상기 토출판 내에서 서로 다른 지점에 이격 배치되는 2개의 토출부;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2개의 토출부에 선택적으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2개의 볼부재에 의해 제어되는 2개의 유로를 가지는 밸브부;
    상기 밸브부에 의해 상기 2개의 토출구가 동시에 차단된 상태 또는 어느 하나가 개방된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레버를 포함하는 급수헤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토출부는, 상기 토출판 영역내에서 어느 하나의 토출부는 다수개의 홀들이 관통되어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의 토출부는 단일의 토출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헤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는, 상기 2개의 볼부재에 의해 상기 2개의 분배 유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분배 유로가 차단된 상태가 되면 다른 하나의 분배 유로는 개방되는 급수헤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헤드 본체 내부 공간에서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이 회전 축심을 기준으로 회전될 때에 상기 2개의 볼부재 위치가 변화되면서 상기 2개의 분배 유로에 대응하여 밸브 작용이 가능하도록 셋팅되는 급수헤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토출부는, 어느 하나의 토출부의 토출 면적이 다른 하나의 토출부의 토출 면적보다 2배 이상이 넓게 형성되는 급수헤드.
KR20-2005-0010046U 2005-04-12 2005-04-12 급수헤드 KR2003881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046U KR200388138Y1 (ko) 2005-04-12 2005-04-12 급수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046U KR200388138Y1 (ko) 2005-04-12 2005-04-12 급수헤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8138Y1 true KR200388138Y1 (ko) 2005-06-29

Family

ID=43689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0046U KR200388138Y1 (ko) 2005-04-12 2005-04-12 급수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813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51676B2 (ja) 多機能ハンドシャワー
US8573512B2 (en) Handheld water discharging device
US20080105764A1 (en) Faucet spray head
KR100905629B1 (ko) 진동 충격 분사장치
MX2007008852A (es) Cabezal de aspersion para grifo.
US10086390B2 (en) Multi-function sprayhead
KR100838999B1 (ko) 비데의 유로조절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US20050205697A1 (en) Combination showerhead with waterfall nozzle
JP3816332B2 (ja) シャワーヘッド
KR200388138Y1 (ko) 급수헤드
JP2002194782A (ja) 止水機能付シャワーヘッド
CN217450583U (zh) 一种多功能花洒
JP2003144983A (ja) 吐水ノズル
JP3599169B2 (ja) 水栓器具の水路切替用のバルブ装置
KR200415716Y1 (ko) 측면 노즐이 구비된 샤워 헤드
JP3688486B2 (ja) 止水機能付シャワーヘッド
KR20210046417A (ko) 직수 및 분수 전환형 샤워 헤드
CA2708454C (en) Handheld water discharging device
KR20020081848A (ko) 샤워기
CN113976341B (zh) 一种易于切换的出水装置
JP3172643U (ja) 蛇口用連結具
KR20190020565A (ko) 자동 복원 기능을 가지는 수전용 다방향 전환밸브
JP4199346B2 (ja) 止水機構付シャワーヘッド
KR200234597Y1 (ko) 샤워기 헤드
JP3930745B2 (ja) 吐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