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8793B1 - 면진형 판상 마감재 - Google Patents

면진형 판상 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8793B1
KR101938793B1 KR1020180025579A KR20180025579A KR101938793B1 KR 101938793 B1 KR101938793 B1 KR 101938793B1 KR 1020180025579 A KR1020180025579 A KR 1020180025579A KR 20180025579 A KR20180025579 A KR 20180025579A KR 101938793 B1 KR101938793 B1 KR 101938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late portion
attachment
finishing material
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보성
서보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원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원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원테크
Priority to KR1020180025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87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metal or with an outer layer of metal or enameled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내외 벽체 및 천장 등에 부착되는 금속제 판상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 활동부착판(30)이 자유롭게 활동 가능하도록 장착된 유도판(20)이 판체(10) 외곽에 설치되어, 판체(10)와 건물간 부착점이 변동됨으로써 면진(免震) 작용을 도모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판상 마감재 설치 건물에 지진 등으로 인한 진동이 발생되어도 마감재와 건물간 부착점이 변동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며, 이로써 마감재 및 관련 부품의 탈락이 억제되어, 낙하물로 인한 인적, 물적 피해를 경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면진형 판상 마감재{SEISMIC ISOLATION TYPE SKIN BOARD}
본 발명은 건물 내외 벽체 및 천장 등에 부착되는 금속제 판상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 활동부착판(30)이 자유롭게 활동 가능하도록 장착된 유도판(20)이 판체(10) 외곽에 설치되어, 판체(10)와 건물간 부착점이 변동됨으로써 면진(免震) 작용을 도모한 것이다.
건물의 벽체 및 천장 등 노출면에는 미관은 물론 건축물의 내식성(耐蝕性) 및 내후성(耐朽性)을 확보하기 위하여 판상 마감재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건축물용 판상 마감재는 금속, 석재, 목재, 콘크리트, 유리 또는 합성수지 등 다양한 소재가 적용될 수 있는데, 이중 금속은 중량에 비하여 강도가 크고 성형성이 뛰어나며 규격화가 용이하여 건축용 판상 마감재의 소재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금속제 판상 마감재 관련 종래기술로는 특허 제1492009호 등을 들 수 있다.
특허 제1492009호를 비롯한 종래의 금속제 판상 마감재는 마감재 자체를 시공 대상 건물의 벽면 또는 천장 등 시공면에 부착하거나, 마감재에 부착된 브래킷을 시공면에 결속하는 등의 방식으로 시공된다.
즉, 종래의 판상 마감재는 마감재와 시공면간의 견고한 고정 자체에 주안점을 둔 방식으로 시공되는 것으로, 일단 부착된 마감재는 시공면과의 결속 지점이 고정 불변의 상태로 운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건물의 시공면과 판상 마감재는 구조적으로 일체화되어 거동하게 되고, 시공면과 마감재간 연결점에 일체의 유동성이 부여되지 않는 바, 건물에 예기치 않은 진동 또는 충격이 가해짐에 따라 판상 마감재와 시공면간 연결점에 순간적인 변위 내지 변형이 발생되면, 판상 마감재 자체 또는 브래킷 등 판상 마감재와 시공면간 연결 수단이 순간적인 변위 내지 변형을 수용하지 못하고 시공면에서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판상 마감재 또는 연결 수단의 시공면 이탈은 해당 마감재의 자체의 낙하 또는 브래킷 등 관련 부품의 낙하로 이어져 인적, 물적 피해를 야기할 수 밖에 없으며, 특히 금속제 판상 마감재가 대형 고층 건물의 외벽 또는 대규모 다중 이용시설의 천장 등에 주로 시공되는 점을 감안하면, 진동 또는 충격에 취약한 종래의 판상 마감재에는 지진 등 각종 재해 발생시 심각한 인명 피해를 초래할 위험이 상존한다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금속제 판체(10)로 구성되는 판상 마감재에 있어서, 다수의 체결공(27)이 형성된 결착판부(25)와, 결착판부(25)와 직각을 이루는 벽판부(23)와, 벽판부(23) 말단부 단면이 확대되어 형성되는 확대판부(21)로 구성되는 유도판(20)이 판체(10)의 배면 외곽에 다수 용접된 스터드볼트(15)에 체결공(27)이 결속되어 부착되고, 판체(10)와 평행한 부착판부(35)와, 부착판부(35)와 직각을 이루는 지지판부(33)와 지지판부(33)에서 부착판부(35)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말단부 단면이 확대된 결합판부(31)로 구성되는 활동부착판(30)이 유도판(20)의 확대판부(21) 내측면에 종방향으로 형성된 활동홈(22)에 결합판부(31)가 자유롭게 활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설치되며, 활동부착판(30)의 부착판부(35)가 시공 대상 건물에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형 판상 마감재이다.
또한, 상기 판체(10)의 외곽부가 배면측으로 직각 절곡되어 곽판부(11)가 형성되고, 유도판(20)의 벽판부(23) 외측 면이 곽판부(11) 내측 면에 밀착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형 판상 마감재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판상 마감재 설치 건물에 지진 등으로 인한 진동이 발생되어도 마감재와 건물간 부착점이 변동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며, 이로써 마감재 및 관련 부품의 탈락이 억제되어, 낙하물로 인한 인적, 물적 피해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시공 과정에 있어서도, 판상 마감재와 건물간 연결점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시공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판상 마감재의 다양한 배열이 가능하여 해당 건물의 외관을 다채롭게 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배면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 발췌 부분절단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대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 정면 예시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이 건물의 벽체에 시공되는 상황을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 마감재인 본 발명의 판체(10) 외곽부에는 다수의 활동부착판(30)이 구성되고, 이 활동부착판(30)이 시공 대상 건물에 고정 나사 등을 통하여 부착되는 방식으로 시공된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정면 외관 및 배면 외관을 도시한 것으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각형 금속제 판체(10)로 구성되는 판상 마감재로서, 판체(10) 배면의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외곽에는 각각 유도판(20)이 부착되고, 유도판(20)에는 종방향 즉, 유도판(20)과 평행한 방향으로 활동홈(22)이 형성되며, 유도판(20)의 활동홈(22)에는 활동부착판(30)이 자유롭게 활동(sliding)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판체(10), 유도판(20) 및 활동부착판(30)의 결합 방식을 도시한 도 4 및 이들 구성의 세부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도 5에서와 같이, 판체(10) 외곽부에 부착되는 유도판(20)은 다수의 체결공(27)이 형성된 결착판부(25)와, 결착판부(25)와 직각을 이루는 벽판부(23)와, 벽판부(23) 말단부 단면이 외측으로 확대되어 형성되는 확대판부(21)로 구성되며, 판체(10)의 배면 외곽에 다수 용접된 스터드볼트(15)에 유도판(20)의 체결공(27)이 결속되는 방식으로 판체(10)와 유도판(20)이 상호 결착된다.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판체(10) 배면 외곽부에 다수 용접되는 스터드볼트(15)는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판체(10)와의 접합부에 확경(擴徑)된 용접부(19)가 형성된 봉체(棒體)로서, 유도판(20)의 체결공(27)이 스터드볼트(15)에 결합되면, 스터드볼트(15)의 말단부가 체결공(27)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되고, 이 노출부에 너트가 체결됨으로써, 유도판(20)이 판체(10)에 부착되는데, 스터드볼트(15)에 너트를 체결하여 유도판(20)의 결착판부(25)를 판체(10) 배면에 압착함으로써 유도판(20)과 판체(10)가 견고하게 결착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판체(10)와 유도판(20)간의 결착력은 유도판(20)의 결착판부(25)가 판체(10)의 배면에 압착됨에 따라 조성되는 결착판부(25) 표면과 판체(10) 표면간의 마찰력으로서, 별도의 용접 또는 접착제 도포 없이도 유도판(20)과 판체(10)간의 강력한 면대면 부착이 가능하며, 이로써 판체(10)와 유도판(20)이 구조적 단일체로서 긴밀하게 일체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도판(20)은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기본적으로 결착판부(25)와 벽판부(23)가 L자형으로 연결, 접합 내지 절곡된 판체(10)로서, 금속판을 다중 절곡하여 제작되거나, 유도판(20) 전체 연장에 걸쳐 동일한 단면이 형성하는 바, 압연은 물론 금속 또는 합성수지의 압출성형 방식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도판(20)에 형성되는 활동홈(22)에는 활동부착판(30)이 자유롭게 활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설치되는데, 이러한 활동부착판(30)은 판체(10)와 평행한 부착판부(35)와, 부착판부(35)와 직각을 이루는 지지판부(33)와 지지판부(33)에서 부착판부(35)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말단부 단면이 확대된 결합판부(31)로 구성되며, 활동부착판(30)의 결합판부(31)와 유도판(20)의 활동홈(22)은 단면 형상이 상호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활동부착판(30)의 자유로운 활동은 보장되되, 유도판(20)에 결합된 상태에서 활동부착판(30)의 불필요한 요동은 억제된다.
즉, 유도판(20)의 활동홈(22)에 결합되는 활동부착판(30)은 유도판(20)의 확대판부(21) 내측면에 종방향으로 형성된 활동홈(22)을 따르는 종방향의 활동은 보장되지만 타 방향의 요동 및 활동홈(22) 이탈은 억제되는 것이며,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동부착판(30)의 유도판(20) 결합시 지지판부(33)의 판체(10) 외측 표면이 확대판부(21)의 판체(10) 내측 표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활동부착판(30) 부착판부(35)의 판체(10)측 면이 유도판(20)의 확대판부(21) 말단부 표면에 밀착됨으로써, 활동부착판(30)의 자세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판체(10)의 외곽부가 배면측으로 직각 절곡되어 곽판부(11)가 형성되고, 유도판(20)의 벽판부(23) 외측 면이 곽판부(11) 내측 면에 밀착 지지됨과 동시에, 확대판부(21)의 판체(10)측 단부가 곽판부(11) 말단부와 밀착됨으로써, 판체(10)와 유도판(20)간의 일층 긴밀하고 견고하며 정밀한 접합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판상 마감재를 구성하는 판체(10)와 유도판(20)은 판체(10) 배면에 용접된 스터드볼트(15)를 통하여 상호 결착되는데, 스터드볼트(15)의 용접점 위치 및 스터드볼트(15)의 접합 각도에 오차가 발생되면 유도판(20)의 결착 위치에도 오차가 발생되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판(20)의 결착판부(25)에 천공 형성되는 체결공(27)을 원형공이 아닌 장공으로 형성할 뿐 아니라, 그 내경 역시 스터드볼트(15)의 직경을 충분히 초과하도록 형성하게 된다.
특히, 도 6의 타원내 확대부에서와 같이, 스터드볼트(15)와 판체(10) 배면간 접합점에 확경 형성되는 용접부(19)를 수용할 수 있도록 체결공(27)에 충분한 유격(裕隔)을 부여하게 되며, 이러한 체결공(27)의 유격을 통하여, 설령 스터드볼트(15) 용접부(19)의 위치 및 직경에 소폭의 오차가 발생되어도 이를 수용하고 유도판(20)을 정확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이러한 체결공(27)의 유격은 유도판(20)의 부착 작업시 정밀한 사전 위치 조정 작업을 요구할 뿐 아니라, 판상 마감재의 장기간 사용에 따른 스터드볼트(15)와 체결공(27)간 결속력의 이완시 유도판(20)의 정위치 이탈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판체(10)를 후방측으로 절곡하여 곽판부(11)를 형성함으로써, 부착 작업 과정에서 유도판(20)의 안정적이고 정확한 위치 설정 및 기 부착된 유도판(20)의 견고한 지지를 도모한다.
즉,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판체(10) 곽판부(11)의 내측 표면과 유도판(20) 벽판부(23)의 외측 표면이 긴밀하게 밀착되고, 벽판부(23)와 확대판부(21)간 경계부에 곽판부(11)의 말단이 치합되는 구조가 구축됨으로써, 유도판(20)의 위치 및 결착력이 정확하고 견고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또한, 도 2, 도 3 및 도 5에서와 같이, 곽판부(11)의 양측 단부에는 판체(10)의 배면측으로 폭이 확대된 곽판단부(12)를 형성함으로써, 판체(10)의 모서리 부위를 보강함과 동시에, 모서리 부위를 통하여 유도판(20)의 말단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판상 마감재의 미관을 확보하고, 활동부착판(30)의 유도판(20) 이탈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본 발명 판상 마감재의 판체(10) 측면부에 곽판부(11) 및 곽판단부(12)로 구성되는 벽체가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곽판부(11) 및 곽판단부(12)는 판체(10) 외곽부를 사전 재단한 후 절곡하는 방식으로 성형할 수 있으며, 곽판부(11)는 유도판(20)을 지지하는 역할과 동시에 활동부착판(30)의 활동 주행 공간을 제공하고, 곽판단부(12)는 판상 마감재의 모서리 부위를 보강하는 역할과 동시에 활동부착판(30)의 이탈을 억제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판상 마감재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활동부착판(30)의 자유로운 활동이 보장되는 바, 지진 등으로 인한 진동 또는 충격 발생시 건물과 판상 마감재간 연결점이 유동되면서, 판상 마감재 및 관련 부품의 급속한 붕락이 억제될 수 있으며, 이로써 낙하물로 인한 인적, 물적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실제 지진 피해 사례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진으로 인한 건물 자체의 붕괴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은 반면, 각종 내, 외장재의 순간적인 분리, 이탈 및 이로 인한 낙하물로 인한 피해가 인적, 물적 피해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을 통하여 판상 마감재 관련 지진 피해를 획기적으로 경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판상 마감재는 전술한 바와 같은 사용 과정에서의 지진 피해 경감 효과 뿐 아니라, 판상 마감재와 시공 대상 건물간의 연결점을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시공 과정에서도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 판상 마감재가 시공된 건물 표면을 예시한 것으로, 우선 도 7의 상부에는 종래기술과 동일한 방식을 적용한 사례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판상 마감재에서는 이와 같이 일반적인 방식의 시공이 가능함은 물론, 활동부착판(30)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특장점을 활용하여, 동 도면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 판체(10)를 최대한 근접시켜 부착하는 방식도 가능하며, 이로써 미관 및 피복 효과를 제고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활동부착판(30)의 위치 조정 기능을 활용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순 격자형 부착 뿐 아니라,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하 또는 좌우 판체(10)를 교호(交互)로 배치하거나, 이 밖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판체(10)를 배열할 수 있으므로, 시공면의 다양한 외관 연출이 가능함은 물론, 기 부착된 전체 판상 마감재 중 일부만을 교체하는 작업 또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유지보수에 있어서도 유리하다.
10 : 판체
11 : 곽판부
12 : 곽판단부
15 : 스터드볼트
19 : 용접부
20 : 유도판
21 : 확대판부
22 : 활동홈
23 : 벽판부
25 : 결착판부
27 : 체결공
30 : 활동부착판
31 : 결합판부
33 : 지지판부
35 : 부착판부

Claims (2)

  1. 금속제 판체(10)로 구성되는 판상 마감재로서, 다수의 체결공(27)이 형성된 결착판부(25)와, 결착판부(25)와 직각을 이루는 벽판부(23)와, 벽판부(23) 말단부 단면이 확대되어 형성되는 확대판부(21)로 구성되는 유도판(20)이 판체(10)의 배면 외곽에 다수 용접된 스터드볼트(15)에 체결공(27)이 결속되어 부착되고, 판체(10)와 평행한 부착판부(35)와, 부착판부(35)와 직각을 이루는 지지판부(33)와 지지판부(33)에서 부착판부(35)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말단부 단면이 확대된 결합판부(31)로 구성되는 활동부착판(30)이 유도판(20)의 확대판부(21) 내측면에 종방향으로 형성된 활동홈(22)에 결합판부(31)가 자유롭게 활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설치되며, 활동부착판(30)의 부착판부(35)가 시공 대상 건물에 부착되는 면진형 판상 마감재에 있어서,
    판체(10)의 외곽부가 배면측으로 직각 절곡되어 곽판부(11)가 형성되고;
    유도판(20)의 벽판부(23) 외측 면이 곽판부(11) 내측 면에 밀착 지지되어 유도판(20)의 위치가 정확하게 설정되며, 곽판부(11)의 양측 단부에는 판체(10)의 배면측으로 폭이 확대된 곽판단부(12)가 형성되어 활동부착판(30)의 유도판(20) 이탈이 억제되고;
    활동부착판(30)의 유도판(20) 결합시 지지판부(33)의 판체(10) 외측 표면이 확대판부(21)의 판체(10) 내측 표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활동부착판(30) 부착판부(35)의 판체(10)측 면이 유도판(20)의 확대판부(21) 말단부 표면에 밀착됨으로써, 활동부착판(30)의 자세가 견고하게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형 판상 마감재.
  2. 삭제
KR1020180025579A 2018-03-05 2018-03-05 면진형 판상 마감재 KR101938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579A KR101938793B1 (ko) 2018-03-05 2018-03-05 면진형 판상 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579A KR101938793B1 (ko) 2018-03-05 2018-03-05 면진형 판상 마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8793B1 true KR101938793B1 (ko) 2019-01-23

Family

ID=65280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579A KR101938793B1 (ko) 2018-03-05 2018-03-05 면진형 판상 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879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2946A (ko) * 2014-02-05 2014-02-25 오경순 건물용 외장 패널 고정용 고정수단 및 그 고정수단을 이용한 외장 패널 시공 방법
KR101602460B1 (ko) * 2015-12-02 2016-03-10 덕인금속 주식회사 진동흡수용 내진패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2946A (ko) * 2014-02-05 2014-02-25 오경순 건물용 외장 패널 고정용 고정수단 및 그 고정수단을 이용한 외장 패널 시공 방법
KR101602460B1 (ko) * 2015-12-02 2016-03-10 덕인금속 주식회사 진동흡수용 내진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8791B1 (ko) 내진형 판상 마감재
TWI658191B (zh) 壁板的安裝具及建物的壁構造
US11352778B2 (en) Metal joint
KR200478374Y1 (ko) 외장재 고정 브라켓 및 건축 외장 벽체
KR101938793B1 (ko) 면진형 판상 마감재
KR101826762B1 (ko) 판재 접합형 판상 마감재
JP2010053661A (ja) 木製筋交の角部取付け構造
JP6348085B2 (ja) 木造建物の制震構造
JP5635749B2 (ja) Alc部材及びalc部材への取付構造
KR101649747B1 (ko) 비정형 콘크리트구조물 성형용 스틸폼 구조체
JP2007284925A (ja) 壁パネル固定構造および建築物
JP2003314080A (ja) ブレースダンパー
KR200477273Y1 (ko)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용 고정구
JP2000248776A (ja) 制震機構及びこれを使用した壁体
JP4896759B2 (ja) 耐力壁用接合金物及び制震構造
JP5442156B1 (ja) 制震構造
JP2004116036A (ja) 高耐力の壁、床、屋根パネル
JP6706118B2 (ja) 座屈防止部材及び制震ダンパー
US3205631A (en) Building construction
JP2002030828A (ja) ブレースダンパー
KR101826764B1 (ko) 판재 결속형 판상 마감재
CN110821168A (zh) 一种窗洞加固装置
JP3211790U (ja) 構造体の補強具
JP7128068B2 (ja) 外壁パネル取付構造
JP7416405B2 (ja) パネル用コーナージョイ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