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8539B1 -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정보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정보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8539B1
KR101938539B1 KR1020187024612A KR20187024612A KR101938539B1 KR 101938539 B1 KR101938539 B1 KR 101938539B1 KR 1020187024612 A KR1020187024612 A KR 1020187024612A KR 20187024612 A KR20187024612 A KR 20187024612A KR 101938539 B1 KR101938539 B1 KR 101938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connection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4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8697A (ko
Inventor
히데키 이와미
가츠토시 이토
요시히코 이케나가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98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8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04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wireless node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Abstract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간에서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 적절한 제어를 행한다. 정보 처리 장치는, Wi-Fi CERTIFIED Miracast 사양에 따라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사이에서 리얼타임 화상 전송을 행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 제어부는, 리얼타임 화상 전송에 관한 설정을 행하기 위한 설정 요구 정보를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하여 수신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는, 그 요구 정보에 기초하는 설정을 행하기 위한 설정 요구를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다이렉트 통신에 의해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정보 처리 방법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본 기술은 정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각종 정보의 교환을 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각종 데이터의 교환을 행하는 무선 통신 기술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2개의 무선 통신 장치간에 있어서 무선 통신에 의해 각종 정보의 교환을 행하는 정보 교환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78388호 공보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유선 회선으로 접속하지 않아도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2개의 정보 처리 장치간에 있어서 각종 정보의 교환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측의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을, 수신측의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2개의 정보 처리 장치간에 있어서 각종 정보의 교환을 행하는 경우에, 2개의 정보 처리 장치간에서 직접 통신을 행하는 경우와, 2개의 정보 처리 장치간에서 간접적으로 통신을 행하는 경우가 상정된다. 또한, 2개의 정보 처리 장치간에서 간접적으로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다른 통신 장치(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 기지국)를 통하여 2개의 정보 처리 장치간에서 간접적으로 통신을 행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2개의 정보 처리 장치간에서 직접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 2개의 정보 처리 장치간에서 간접적으로 통신을 행하도록 천이하는 것이 상정된다. 또한, 2개의 정보 처리 장치간에서 간접적으로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 2개의 정보 처리 장치간에서 직접 통신을 행하도록 천이하는 것도 상정된다. 이와 같이, 통신의 전환을 행하는 경우에는, 적절한 제어를 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기술은 이러한 상황에 비추어 안출된 것이며,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간에서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 적절한 제어를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기술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그 제1 측면은, Wi-Fi(Wireless Fidelity) CERTIFIED Miracast 사양(기술 사양서명: Wi-Fi Display)에 따라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사이에서 리얼타임 화상 전송을 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며, 상기 리얼타임 화상 전송에 관한 설정을 행하기 위한 설정 요구 정보를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하여 수신하고, 상기 설정 요구 정보에 기초하는 상기 설정을 행하기 위한 설정 요구를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다이렉트 통신에 의해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정보 처리 방법과, 당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다. 이에 의해, 설정 요구 정보를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하여 수신하고, 설정 요구를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다이렉트 통신에 의해 송신한다고 하는 작용을 초래한다.
또한, 이 제1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하여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관한 capability 정보의 교환을 행하고,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capability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 요구 정보를 생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하여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사이에서 정보 처리 장치에 관한 capability 정보의 교환을 행하고, 다른 정보 처리 장치는, capability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 요구 정보를 생성한다고 하는 작용을 초래한다.
또한, 이 제1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한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접속 상태와, 상기 다이렉트 통신에 의한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접속 상태를 전환하는 경우에는, 전환 전의 접속에 관한 포트 정보 및 IP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접속 처리를 행하도록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한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접속 상태와, 다이렉트 통신에 의한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접속 상태를 전환하는 경우에는, 전환 전의 접속에 관한 포트 정보 및 IP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접속 처리를 행한다고 하는 작용을 초래한다.
또한, 이 제1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 요구를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한 후에 상기 다이렉트 통신에 의해 Wi-Fi CERTIFIED Miracast 사양에 따른 화상 송신을 행하도록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설정 요구를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한 후에 다이렉트 통신에 의해 Wi-Fi CERTIFIED Miracast 사양에 따른 화상 송신을 행한다고 하는 작용을 초래한다.
또한, 이 제1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표시부에서의 소정 영역에 표시시키기 위한 화상의 송신을 저주파 대역의 무선 전송로에서 행하고, 상기 표시부에서의 상기 소정 영역보다 큰 영역에 표시시키기 위한 화상의 송신을 고주파 대역의 무선 전송로에서 행하도록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표시부에서의 소정 영역에 표시시키기 위한 화상의 송신을 저주파 대역의 무선 전송로에서 행하고, 표시부에서의 소정 영역보다 큰 영역에 표시시키기 위한 화상의 송신을 고주파 대역의 무선 전송로에서 행한다고 하는 작용을 초래한다.
또한, 이 제1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유저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다이렉트 통신에 의해 상기 설정 요구를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도록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유저 조작에 기초하여, 다이렉트 통신에 의해 설정 요구를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한다고 하는 작용을 초래한다.
또한, 이 제1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이렉트 통신에 의해 화상 송신을 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소정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다이렉트 통신에 의해 상기 설정 요구를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도록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다이렉트 통신에 의해 화상 송신을 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소정 순서에 기초하여, 다이렉트 통신에 의해 설정 요구를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한다고 하는 작용을 초래한다.
또한, 이 제1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 이외의 액세스 포인트 또는 기지국을 경유한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접속을 허가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허가 정보의 교환을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하여 행하고, 상기 접속을 허가하는 취지의 상기 허가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 이외의 액세스 포인트 또는 상기 기지국을 경유한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교환을 행하도록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허가 정보의 교환을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하여 행하고, 접속을 허가하는 취지의 허가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 또는 기지국을 경유한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교환을 행한다고 하는 작용을 초래한다.
또한, 이 제1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을 허가하는 취지의 상기 허가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 이외의 액세스 포인트 또는 상기 기지국을 경유하여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출력시키도록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접속을 허가하는 취지의 허가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 또는 기지국을 경유하여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출력시킨다고 하는 작용을 초래한다.
또한, 이 제1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다이렉트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정보의 교환을 행하도록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다이렉트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정보의 교환을 행한다고 하는 작용을 초래한다.
또한, 본 기술의 제2 측면은, Wi-Fi CERTIFIED Miracast 사양에 따라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사이에서 리얼타임 화상 전송을 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며, 상기 리얼타임 화상 전송에 관한 설정을 행하기 위한 설정 요구 정보를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하여 송신하고, 상기 설정 요구 정보에 기초하는 상기 설정을 행하기 위한 설정 요구를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다이렉트 통신에 의해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정보 처리 방법과, 당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다. 이에 의해, 설정 요구 정보를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하여 송신하고, 설정 요구를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다이렉트 통신에 의해 수신한다고 하는 작용을 초래한다.
또한, 본 기술의 제3 측면은, Wi-Fi CERTIFIED Miracast 사양에 따라 싱크 기기 및 복수의 소스 기기간에서 리얼타임 화상 전송을 행하는 경우에,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하여 상기 싱크 기기 및 상기 소스 기기가 접속되는 대기 모드와 다이렉트 통신에 의해 상기 싱크 기기 및 상기 소스 기기가 접속되는 화상 송신 모드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모드를 상기 소스 기기에 설정하기 위한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정보 처리 방법과, 당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다. 이에 의해, 대기 모드와 화상 송신 모드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모드를 소스 기기에 설정한다고 하는 작용을 초래한다.
또한, 이 제3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소스 기기를 나타내는 화상을 입출력부에 표시시키고, 상기 입출력부에서의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모드를 상기 소스 기기에 설정하기 위한 제어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복수의 소스 기기를 나타내는 화상을 입출력부에 표시시키고, 입출력부에서의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통신 모드를 소스 기기에 설정한다고 하는 작용을 초래한다.
또한, 이 제3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모드를 상기 소스 기기에 설정하기 위한 제어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소정 순서에 기초하여 통신 모드를 소스 기기에 설정한다고 하는 작용을 초래한다.
또한, 본 기술의 제4 측면은, Wi-Fi CERTIFIED Miracast 사양에 따라 소스 기기와의 사이에서 리얼타임 화상 전송을 행하는 싱크 기기이며,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하여 상기 리얼타임 화상 전송에 관한 설정을 상기 소스 기기에 행하기 위한 설정 요구 정보를 상기 소스 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소스 기기와의 다이렉트 통신에 의해 상기 설정 요구 정보에 기초하는 상기 설정을 행하기 위한 설정 요구를 상기 소스 기기로부터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싱크 기기와, 상기 싱크 기기 및 복수의 상기 소스 기기간에서 상기 리얼타임 화상 전송을 행하는 경우에,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하여 상기 싱크 기기 및 상기 소스 기기가 접속되는 대기 모드와 상기 다이렉트 통신에 의해 상기 싱크 기기 및 상기 소스 기기가 접속되는 화상 송신 모드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모드를 상기 소스 기기에 설정하기 위한 제어를 행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및 그 정보 처리 방법과, 당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다. 이에 의해, 싱크 기기는,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하여 설정 요구 정보를 소스 기기에 송신하고, 다이렉트 통신에 의해 설정 요구를 소스 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제어 장치는, 대기 모드와 화상 송신 모드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모드를 소스 기기에 설정한다고 하는 작용을 초래한다.
본 기술에 따르면,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간에서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 적절한 제어를 행할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기재된 효과는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 중에 기재된 어느 하나의 효과여도 된다.
도 1은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서의 통신 시스템(100)의 시스템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정보 처리 장치(200)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정보 처리 장치(300)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서의 관리 정보 유지부(390)의 유지 내용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정보 처리 장치(300)의 표시부(351)에 표시되는 화상의 천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서의 통신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각 장치간에 있어서의 통신 처리예를 도시하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 7은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서의 통신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각 장치간에 있어서의 통신 처리예를 도시하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 8은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서의 통신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각 장치간에 있어서의 통신 처리예를 도시하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 9는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서의 통신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각 장치간에 있어서의 통신 처리예를 도시하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 10은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서의 통신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각 장치간에 있어서의 통신 처리예를 도시하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 11은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서의 통신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각 장치간에 있어서의 통신 처리예를 도시하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 12는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정보 처리 장치(200)에 의한 데이터 송신 처리의 처리 수순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정보 처리 장치(300)에 의한 데이터 전송 속도 제어 처리의 처리 수순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소스 기기 및 싱크 기기간에 있어서의 통신 처리예를 도시하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 15는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소스 기기 및 싱크 기기간에 있어서의 통신 처리예를 도시하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 16은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소스 기기 및 싱크 기기간에 있어서의 통신 처리예를 도시하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 17은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통신 시스템(700)의 시스템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통신 시스템(700)의 설치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제어 장치(740)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0은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그룹 관리 정보 유지부(750)의 유지 내용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제어 장치(740)의 입출력부(743)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표시 장치(731)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의 천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기술의 기초로 되는 소스 기기 및 싱크 기기간에 있어서의 통신 모드의 전환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소스 기기 및 싱크 기기간에서 행해지는 접속 처리예를 도시하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 25는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통신 시스템(700)을 구성하는 각 장치간에 있어서의 통신 처리예를 도시하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 26은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통신 시스템(700)을 구성하는 각 장치간에 있어서의 통신 처리예를 도시하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 27은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정보 처리 장치(710)에 의한 데이터 송신 처리의 처리 수순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8은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정보 처리 장치(710)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9는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정보 처리 장치(710)에 의한 데이터 송신 처리의 처리 수순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0은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정보 처리 장치(710)에 의한 데이터 송신 처리의 처리 수순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1은 본 기술의 제3 실시 형태에서의 정보 처리 장치(710)에 의한 데이터 송신 처리의 처리 수순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2는 본 기술의 제4 실시 형태에서의 정보 처리 장치(710)에 의한 데이터 송신 처리의 처리 수순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3은 본 기술의 제4 실시 형태에서의 정보 처리 장치(710)에 의한 데이터 송신 처리의 처리 수순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4는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통신 시스템(700)을 구성하는 각 장치간에 의해 교환되는 WFD IE 포맷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5는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통신 시스템(700)을 구성하는 각 장치간에 의해 교환되는 WFD IE 포맷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6은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통신 시스템(700)을 구성하는 각 장치간에 의해 교환되는 WFD IE 포맷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7은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통신 시스템(700)을 구성하는 각 장치간에 의해 교환되는 WFD IE 포맷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8은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통신 시스템(700)을 구성하는 각 장치간에 의해 교환되는 WFD IE 포맷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9는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통신 시스템(700)을 구성하는 각 장치간에 의해 교환되는 ASP(Application Service Platform)용 신규 메시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0은 스마트폰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1은 카 내비게이션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기술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이하, 실시 형태라고 칭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명은 이하의 순서에 의해 행한다.
1. 제1 실시 형태(유저 정보나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예)
2. 제2 실시 형태(액세스 포인트를 경유한 소스 기기 및 싱크 기기간의 접속과, 소스 기기 및 싱크 기기간의 다이렉트 접속을 전환하는 예)
3. 제3 실시 형태(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소스 기기 및 싱크 기기간의 그룹 인증을 개시하는 예)
4. 제4 실시 형태(소스 기기가 액세스 포인트 또는 싱크 기기에 자동적으로 접속되는 예)
5. 응용예
<1. 제1 실시 형태>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
도 1은,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서의 통신 시스템(100)의 시스템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통신 시스템(100)은, 정보 처리 장치(200)와, 정보 처리 장치(300)와, 정보 처리 장치(400)를 구비한다. 또한, 통신 시스템(100)은, 정보 처리 장치(200) 및 정보 처리 장치(4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예를 들어,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를 정보 처리 장치(300)가 수신하는 통신 시스템이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200, 300, 400)는,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송수신 기기이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200, 300, 400)는,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나 휴대형 정보 처리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단말기)이다. 또한,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200, 300, 400)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IEEE 802.15, IEEE 802.16,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사양(예를 들어,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등록 상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2, LTE(Long Term Evolution), LTE-A(Advanced))에 준거한 무선 통신 장치이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200, 300, 400)는,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각종 정보의 교환을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서, 정보 처리 장치(200) 및 정보 처리 장치(300)간, 또는 정보 처리 장치(400) 및 정보 처리 장치(300)간에서 무선 LAN(Local Area Network)을 사용한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경우의 예를 설명한다.
이 무선 LAN으로서,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TDLS(Tunneled Direct Link Setup), 애드혹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시스템(100)에 사용되는 근거리 무선 AV(Audio Visual) 전송 통신으로서, 예를 들어 Wi-Fi CERTIFIED Miracast(기술 사양서명: Wi-Fi Display)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Wi-Fi CERTIFIED Miracast는, Wi-Fi Direct나 TDLS의 기술을 이용하여, 한쪽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음성이나 표시 화상을 다른 단말기에 송신하고, 다른 단말기에서도 마찬가지로 그 음성, 화상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미러링 기술이다.
또한, Wi-Fi CERTIFIED Miracast에서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상에서 UIBC(User Input Back Channel)를 실현하고 있다. UIBC는, 한쪽 단말기로부터 다른쪽 단말기로 마우스나 키보드 등의 입력 기기의 조작 정보를 송신하는 기술이다. 또한, Wi-Fi CERTIFIED Miracast 대신에, 다른 리모트 디스크탑 스프트웨어(예를 들어, VNC(Virtual Network Computing))를 적용하도록 해도 된다.
여기서, Wi-Fi CERTIFIED Miracast에서는, 화상(영상)을, 예를 들어 H.264를 사용하여 압축ㆍ전개하는 것이 정해져 있다. 또한, 예를 들어 Wi-Fi CERTIFIED Miracast에서는, H.264를 송신측에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H.264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H.265(예를 들어,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 SHVC(scalable video coding extensions of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4, JPEG(Joint 1Photographic Experts Group) 2000에도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1 라인 이상을 묶어 압축하거나, 2 라인 이상을 2×2 이상의 매크로블록으로 분할하여 압축ㆍ전개를 행하는 라인 베이스 코덱(예를 들어, Wavelet, DCT(Discrete Cosine Transform))에도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특정한 부호량 영역(Picture 또는 복수 라인의 다발 또는 매크로블록 등)의 전부호량 영역과의 차분을 구함으로써 DCT나 Wavelet 등의 압축을 행하지 않고 전송 레이트를 저감시키는 코덱에도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비압축으로 화상(영상)을 송신ㆍ수신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200)는, 촬상 동작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송신 대상으로 하는 예를 나타낸다. 또한,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400)는, 기억부(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에 보존되어 있는 콘텐츠(예를 들어,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송신 대상으로 하는 예를 나타낸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200)로서, 카메라를 탑재한 전자 기기(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게임기, 스마트폰, 태블릿 단말기)를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300)로서, 표시부를 구비하는 다른 전자 기기(예를 들어, 촬상 장치, 게임기, 스마트폰, 태블릿 단말기)를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400)가 테더링 기능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무선 또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ISP(Internet Services Provider)에 보존된 콘텐츠를 송신 대상으로 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200)의 촬상 동작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가 정보 처리 장치(300)에 송신되고, 그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11)이 정보 처리 장치(300)의 표시부(351)에 표시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400)의 기억부(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에 보존되어 있는 콘텐츠가 정보 처리 장치(300)에 송신되고, 그 콘텐츠에 기초하는 화상(12)이 정보 처리 장치(300)의 표시부(351)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소스측의 정보 처리 장치(소스 기기)를 정보 처리 장치(200, 400)로 하고, 싱크측의 정보 처리 장치(싱크 기기)를 정보 처리 장치(300)로 하는 예를 나타낸다.
또한, 도 1에서는, P2P(Peer to Peer) 다이렉트 접속에 의해,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300)가 직접 통신할 수 있는 범위를 정보 전달 범위(101)로서 도시한다. 이 정보 전달 범위(101)는, 정보 처리 장치(300)를 기준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정보 전달 범위(서비스 범위)이다.
[정보 처리 장치(소스 기기)의 구성예]
도 2는,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정보 처리 장치(200)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400)의 무선 통신에 관한 기능 구성은, 정보 처리 장치(200)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다. 이로 인해,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200)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정보 처리 장치(400)의 설명을 생략한다.
정보 처리 장치(200)는, 안테나(210)와, 무선 통신부(220)와, 제어 신호 수신부(230)와, 제어부(240)와, 화상ㆍ음성 신호 생성부(250)와, 화상ㆍ음성 압축부(260)와, 스트림 송신부(270)를 구비한다.
무선 통신부(220)는, 제어부(240)의 제어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다른 정보 처리 장치(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300))와의 사이에서 각 정보(예를 들어,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을 안테나(210)를 통하여 행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화상 데이터의 송신 처리가 행해지는 경우에는, 화상ㆍ음성 신호 생성부(250)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가 화상ㆍ음성 압축부(260)에 의해 압축되고, 이 압축된 화상 데이터(화상 스트림)가 무선 통신부(220)를 경유하여 안테나(210)로부터 송신된다.
또한, 무선 통신부(220)는, 복수의 주파수 채널을 이용하여, 다른 정보 처리 장치(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300))와의 사이에서 각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한다.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무선 통신부(220)가 2.4GHz, 5GHz, 60GHz의 3종류의 주파수 채널을 송수신 가능한 기능을 구비하는 예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소스 기기가, 복수의 주파수 채널을 송수신 가능한 기능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싱크 기기(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300))는, 각 소스 기기에 어느 주파수 채널을 사용시킬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신호 수신부(230)는, 무선 통신부(220)에 의해 수신된 각 정보 중에서, 다른 정보 처리 장치(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300))로부터 송신된 제어 신호(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300)와의 교환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어 신호 수신부(230)는, 그 취득된 제어 신호를 제어부(240)에 출력한다.
제어부(240)는, 정보 처리 장치(200)로부터 송신되는 각 정보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제어 신호 수신부(230)에 의해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화상ㆍ음성 신호 생성부(250) 및 화상ㆍ음성 압축부(260)에 대한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송신 대상으로 되는 화상 데이터의 해상도나 음성의 채널수를 변경시키기 위한 제어나, 송신 대상으로 되는 화상 데이터의 화상 영역을 변경시키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즉, 제어부(240)는, 제어 신호 수신부(230)에 의해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송신 대상으로 되는 스트림의 전송 제어(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 속도 제어, 스케일러빌리티 전송 레이트 제어)를 행한다.
또한, 제어부(240)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싱크 기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행해지고 있을 때의 전파 전반 상황(링크 전파 전반 상황)을 측정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그 측정 결과(전파 전반 측정 정보)를 싱크 기기에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여기서, 전파 전반 측정 정보는, 예를 들어 싱크 기기와의 회선 품질이,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는 품질인지 여부를 판단할 때 사용되는 정보이다. 또한, 전파 전반 측정 정보는, 예를 들어 스트림의 전송 제어(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 속도 제어, 스케일러빌리티 전송 레이트 제어)를 행할 때 사용된다. 또한, 전파 전반 측정 정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전파 전반 측정 정보 대신에, 제어부(240)로부터 동일 패킷의 재송 횟수를 카운트시키고, 이 카운트수에 따라, 스트림의 전송 제어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여기서, 데이터 전송 속도는, 주로, 통신로의 점유율을 의미하며, 통신 속도나 통신 용량의 의미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해상도는, 예를 들어 화상 데이터의 화면 프레임(세로ㆍ가로의 픽셀수), 화상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압축률) 등의 요소로 구성되는 화질의 지표로 정의한다. 또한, 화질의 지표로서는, 스트림의 스루풋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음성의 채널수는, 모노럴(1.0ch), 스테레오(2.0ch) 등의 음성의 기록 재생 방법의 의미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음성의 채널수는, 음성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압축률)나 채널수 등의 요소로 구성되는 음질의 지표로 정의한다. 또한, 음질의 지표로서는, 스트림의 스루풋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데이터 레이트 제어로는 안정화할 수 없는 상태를 개선시키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싱크 기기(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300))와의 정보 교환에 의해, 싱크 기기의 시스템 성능 정보를 파악한다. 여기서, 시스템 성능 정보는, 예를 들어 싱크 기기의 시스템에 관한 성능 정보이다. 예를 들어, 시스템 성능 정보는, 사용 가능한 주파수 채널, 해상도,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이다. 또한, 시스템 성능 정보는, 예를 들어 암호화 방법의 대응, SD(Standard Definition)/HD(High Definition) 대응, 저소비 전력 모드의 대응의 각각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싱크 기기가 저소비 전력 모드에 대응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통신 시스템(100)의 시스템 전체의 안정도를 더 향상시키는 스트림의 전송 제어(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 속도 제어, 스케일러빌리티 전송 레이트 제어)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정보 처리 장치(300)와의 정보 교환 중에, 정보 처리 장치(200)가 모바일 기기인지 여부의 정보를 넣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200)에 관한 capability 정보에, 정보 처리 장치(200)가 모바일 기기인지 여부의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300)는, 정보 처리 장치(200)가 모바일 기기임을 파악하면, 별도로 접속한 정보 처리 장치와의 관련에 기초하여, 정보 처리 장치(200)를 동작시킬 필요가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200)를 동작시킬 필요가 없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200)는, 정보 처리 장치(300)로부터 송신 정지 커맨드를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240)는, 그 송신 정지 커맨드를 파악하면, 화상ㆍ음성 신호 생성부(250)와, 화상ㆍ음성 압축부(260)와, 스트림 송신부(270)의 각각의 기능의 전원을 일정 시간 다운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무선 통신부(220)에 대해서도 간헐 수신(정보 처리 장치(300)로부터 커맨드를 수신할 수 있을 정도로 정기적으로 기동하고, 다른 것은 전원을 다운시키는 모드)으로 이행할 수 있다.
화상ㆍ음성 신호 생성부(250)는, 제어부(240)의 제어에 기초하여, 출력 대상으로 되는 데이터(화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며, 생성된 데이터를 화상ㆍ음성 압축부(260)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화상ㆍ음성 신호 생성부(250)는, 촬상부(도시하지 않음) 및 음성 취득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이 촬상부(예를 들어, 렌즈, 촬상 소자, 신호 처리 회로)는, 피사체를 촬상하여 화상(화상 데이터)을 생성하는 것이다. 또한, 음성 취득부(예를 들어, 마이크)는, 그 화상 데이터의 생성시에 있어서의 주위 음성을 취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생성된 데이터는, 다른 정보 처리 장치(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300))에의 송신 대상으로 된다.
화상ㆍ음성 압축부(260)는, 제어부(240)의 제어에 기초하여, 화상ㆍ음성 신호 생성부(250)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압축(인코드)하는 것이다. 그리고, 화상ㆍ음성 압축부(260)는, 그 압축된 데이터(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스트림 송신부(270)에 출력한다. 또한, 화상ㆍ음성 압축부(260)는, 소프트웨어에 의한 인코드의 실행에 의해 실현하도록 해도 되고, 하드웨어에 의한 인코드의 실행에 의해 실현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화상ㆍ음성 압축부(260)는, 코덱으로서 기능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지만, 비압축의 화상 또는 음성을 취급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화상ㆍ음성 압축부(260)는, 스케일러블ㆍ코덱으로서도 기능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스케일러블ㆍ코덱은, 예를 들어 수신측의 정보 처리 장치(싱크 기기)의 해상도나 네트워크 환경 등에 따라, 자유롭게 적응할 수 있는 코덱을 의미한다.
스트림 송신부(270)는, 제어부(240)의 제어에 기초하여, 화상ㆍ음성 압축부(260)에 의해 압축된 데이터(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스트림으로서 무선 통신부(220)를 경유하여 안테나(210)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200)는, 상술한 각 부 이외에도, 표시부, 음성 출력부, 조작 접수부 등을 구비할 수 있지만, 이들에 대해서는, 도 2에서의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200)가, 송신 대상으로 되는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예를 나타내지만, 정보 처리 장치(200)는, 송신 대상으로 되는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200)는, 마이크로폰을 갖는 Web 카메라로부터, 송신 대상으로 되는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200)는, 정보 처리 장치(200)의 내부, 외부에 상관없이, 기억 장치(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에 보존되어 있는 콘텐츠(예를 들어,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송신 대상으로 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 그 기억 장치에 보존되어 있는 콘텐츠가 압축 완료된 콘텐츠인 경우도 상정된다. 이 경우에, 그 압축 완료된 콘텐츠가, 통신 시스템(100)에서 채용되고 있는 규격에서 정의된 인코드 방식으로 압축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압축 완료된 콘텐츠를 복호(디코드)하지 않고 그대로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정보 처리 장치(200)의 표시부(도시하지 않음)는, 예를 들어 화상ㆍ음성 신호 생성부(250)에 의해 생성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이다. 또한, 표시부로서, 예를 들어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크리스탈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Crystal LED Display),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표시 패널을 사용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200)의 음성 출력부(도시하지 않음)는, 예를 들어 화상ㆍ음성 신호 생성부(250)에 의해 생성된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예를 들어, 스피커)이다. 또한, 화상에 대해서는, 송신 기기 및 수신 기기의 양쪽으로부터 출력할 수도 있지만, 음성에 대해서는 어느 한쪽에서만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보 처리 장치(200)의 조작 접수부(도시하지 않음)는, 유저에 의해 행해진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 접수부이며,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게임 패드, 터치 패널, 카메라, 마이크이다. 또한, 조작 접수부 및 표시부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그 손가락을 표시면에 접촉 또는 근접시킴으로써 조작 입력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터치 패널을 사용하여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싱크 기기)의 구성예]
도 3은,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정보 처리 장치(300)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정보 처리 장치(300)는, 안테나(310)와, 무선 통신부(320)와, 스트림 수신부(330)와, 화상ㆍ음성 전개부(340)와, 화상ㆍ음성 출력부(350)와, 유저 정보 취득부(360)와, 제어부(370)와, 제어 신호 송신부(380)와, 관리 정보 유지부(390)를 구비한다.
무선 통신부(320)는, 제어부(370)의 제어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다른 정보 처리 장치(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200))와의 사이에서 각 정보(예를 들어,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을 안테나(310)를 통하여 행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화상 데이터의 수신 처리가 행해지는 경우에는, 안테나(310)에 의해 수신된 화상 데이터가, 무선 통신부(320), 스트림 수신부(330)를 경유하여 화상ㆍ음성 전개부(340)에 의해 전개(복호)된다. 그리고, 그 전개된 화상 데이터가 화상ㆍ음성 출력부(350)에 공급되고, 그 전개된 화상 데이터에 따른 화상이 화상ㆍ음성 출력부(350)로부터 출력된다. 즉, 그 전개된 화상 데이터에 따른 화상이 표시부(351)에 표시된다.
또한, 무선 통신부(320)는, 복수의 주파수 채널을 이용하여, 다른 정보 처리 장치(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200))와의 사이에서 각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한다.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무선 통신부(320)가 2.4GHz, 5GHz, 60GHz의 3종류의 주파수 채널을 송수신 가능한 기능을 구비하는 예를 나타낸다. 즉, 무선 통신부(320)는, 제1 주파수대를 사용하는 통신과, 제1 주파수대보다 고속의 데이터 전송 속도의 제2 주파수대를 사용하는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370)는, 각 소스 기기와의 무선 통신에, 복수의 주파수 채널 중 어느 주파수 채널을 사용시킬지를 제어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200) 및 정보 처리 장치(300)간의 링크와, 정보 처리 장치(400) 및 정보 처리 장치(300)간의 링크는 동일한 주파수 채널로 하도록 해도 되고, 상이한 주파수 채널로 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무선 통신부(320)가 2.4GHz, 5GHz, 60GHz의 3종류의 주파수 채널을 송수신 가능한 기능을 구비하는 예를 나타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320)가, 다른 주파수 채널이나, 2 또는 4 이상의 주파수 채널을 송수신 가능한 기능을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스트림 수신부(330)는, 제어부(370)의 제어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부(320)에 의해 수신된 각 정보 중에서, 각 소스 기기와의 교환 정보 및 스트림(예를 들어, 화상 스트림, 음성 스트림)을 수신하는 것이다. 그리고, 스트림 수신부(330)는, 수신한 커맨드 정보를 제어부(370)에 출력하고, 수신한 스트림을 화상ㆍ음성 전개부(340) 및 제어부(370)에 출력한다.
여기서, 각 소스 기기와의 교환 정보는, 소스 기기(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200))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이며,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300)의 시스템 성능 정보의 취득 요구를 포함한다. 이 시스템 성능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 가능한 주파수 채널, 해상도, TCP, UDP나, 암호화 방법의 대응, SD/HD 대응, 저소비 전력 모드의 대응의 각각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스트림 수신부(330)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싱크 기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행해지고 있을 때의 전파 전반 상황(링크 전파 전반 상황)을 측정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그리고, 스트림 수신부(330)는, 그 측정 결과(전파 전반 측정 정보)를 제어부(370)에 출력한다. 또한, 전파 전반 측정 정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화상ㆍ음성 전개부(340)는, 제어부(370)의 제어에 기초하여, 다른 정보 처리 장치(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200))로부터 송신된 스트림(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을 전개(디코드)하는 것이다. 그리고, 화상ㆍ음성 전개부(340)는, 그 전개된 데이터(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화상ㆍ음성 출력부(350)에 출력한다. 또한, 화상ㆍ음성 전개부(340)는, 소프트웨어에 의한 디코드의 실행에 의해 실현하도록 해도 되고, 하드웨어에 의한 디코드의 실행에 의해 실현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화상ㆍ음성 전개부(340)는, 코덱으로서 기능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지만, 비압축의 화상 또는 음성을 취급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화상ㆍ음성 전개부(340)는, 스케일러블ㆍ코덱으로서도 기능하는 것으로 한다.
화상ㆍ음성 출력부(350)는, 표시부(351) 및 음성 출력부(352)를 구비한다.
표시부(351)는, 화상ㆍ음성 전개부(340)에 의해 전개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각 화상(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하는 화상(11, 12))을 표시하는 표시부이다. 또한, 표시부(351)로서, 예를 들어 유기 EL 패널, 크리스탈 LED 디스플레이, LCD 패널 등의 표시 패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351)로서, 사용자가 그 손가락을 표시면에 접촉 또는 근접시킴으로써 조작 입력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터치 패널을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음성 출력부(352)는, 화상ㆍ음성 전개부(340)에 의해 전개된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는 각종 음성(표시부(351)에 표시된 화상에 관한 음성 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예를 들어, 스피커)이다. 여기서, 음성의 출력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중앙 채널(메인 화상)에 할당된 소스 기기의 음성만을 스피커로부터 재생하여 주변 채널(서브 화상)에 할당된 소스 기기의 음성을 재생하지 않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음성의 출력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중앙 채널에 할당된 소스 기기의 음성의 음량을 메인으로 하고, 주변 채널에 할당된 소스 기기의 음성의 음량을 낮추어 재생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이외의 음성의 출력 방법을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유저 정보 취득부(360)는, 유저에 관한 정보(유저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며, 그 취득된 유저 정보를 제어부(370)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유저 정보 취득부(360)는, 유저가 표시 방법을 직접 설정할 수 있는 조작 접수부(키보드, 마우스, 리모콘, 게임 패드, 터치 패널)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함으로써 유저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조작 접수부는, 예를 들어 표시부(351)에 표시되는 화상에서의 임의의 영역을 지정하기 위한 조작 부재이다. 또한, 예를 들어 유저 정보 취득부(360)는, 카메라, 마이크, 각종 센서(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 인체를 감지하는 센서) 등과 같이 유저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는 디바이스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함으로써 유저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 정보 취득부(360)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다른 정보 처리 장치(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스트림에 기초하는 정보가 화상ㆍ음성 출력부(350)로부터 출력되고 있을 때의 유저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유저 정보를 취득한다. 이 유저 정보는, 예를 들어 표시부(351)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에 관한 유저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유저 정보이다. 예를 들어, 유저 정보는, 표시부(351)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에 관한 유저 조작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정보이다.
제어부(370)는, 스트림 수신부(330)에 의해 취득된 각 정보를 관리 정보 유지부(390)에 유지시키고, 관리 정보 유지부(390)에 유지되어 있는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각 소스 기기를 관리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370)는, 복수의 소스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스트림을 시스템 전체에서 안정도가 향상되도록 스트림의 전송 제어(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 속도 제어, 스케일러빌리티 전송 레이트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70)는, 유저 정보 취득부(360)에 의해 취득된 유저 정보와, 관리 정보 유지부(390)에 유지되어 있는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스트림의 전송 제어(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 속도 제어, 스케일러빌리티 전송 레이트 제어)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70)는, 관리 정보 유지부(390)에 유지되어 있는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스트림의 전송 제어(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 속도 제어, 스케일러빌리티 전송 레이트 제어)를 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소스 기기마다 생성하고, 이 생성된 제어 신호를 제어 신호 송신부(380)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70)는, 유저 정보 및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부(351)에 표시되는 화상의 해상도를 변경하고, 이 해상도와 동등한 송신 레이트를 각 소스 기기에 요구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부(370)는, 유저 정보 및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부(351)에서의 화상의 표시 영역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부(370)는, 유저 정보 및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부(351)에서의 화상의 사이즈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370)는, 유저 정보 및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하는 주파수 채널과 해상도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70)는, 무선 통신부(320)가 구비하는 복수의 주파수 채널에 대하여, 사용하는 주파수 채널을 소스 기기마다 설정한다. 또한, 제어부(370)는, 주파수 채널마다, 소비 전력 모드가 상이한 경우에는, 각각의 모드를 파악하고, 모바일 기기의 소비 전력을 케어한 주파수 채널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어부(370)는, 제1 주파수대에 관한 제1 소비 전력 모드와, 제1 주파수대보다 고속의 데이터 전송 속도의 제2 주파수대에 관한 제2 소비 전력 모드를 별개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 신호 송신부(380)는, 제어부(370)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를 무선 통신부(320), 안테나(310)를 통하여, 다른 무선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관리 정보 유지부(390)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300)에 접속되는 각 소스 기기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관리 정보)를 유지하는 테이블이다. 또한, 관리 정보 유지부(390)의 유지 내용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관리 정보 유지부의 유지 내용예]
도 4는,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서의 관리 정보 유지부(390)의 유지 내용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관리 정보 유지부(390)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300)에 접속되는 각 소스 기기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관리 정보)를 유지하는 테이블이다. 예를 들어, 관리 정보 유지부(390)에는, 단말기 식별 정보(391)와, 주파수 채널(392)과, 전파 전반 측정 정보(393)와, 기기 정보(394)와, 대역 사용 레벨(395)과, 표시 형태(396)와, 스탠바이/웨이크업(397)과, 멀티 수신 다이버시티 대응(398)이 관련지어져 유지된다.
단말기 식별 정보(391)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300)에 접속되는 소스 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가 저장된다.
주파수 채널(392)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300)에 접속되는 소스 기기가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 채널이 저장된다.
전파 전반 측정 정보(393)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300)에 접속되는 소스 기기에 관한 전파 전반 측정 정보가 저장된다. 이 전파 전반 측정 정보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300)에 접속되는 소스 기기마다 스트림 수신부(330)에 의해 측정된다.
전파 전반 측정 정보(393)로서, 예를 들어 PER(Packet Error Rate), BER(Bit Error Rate), 패킷의 재송 횟수, 스루풋이 저장된다. 또한, 전파 전반 측정 정보(393)로서, 예를 들어 프레임 드롭, SIR(Signal to Interference Ratio),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가 저장된다. 여기서, SIR 대신에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전파 전반 측정 정보(393)는 일례이며, 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도록 해도 되고, 다른 전파 전반 측정 정보를 스트림 수신부(330)가 측정하여 저장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소스 기기에 의해 측정된 전파 전반 측정 정보를 취득하여 저장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수신측이 수취하는 패킷 지연을 판단하고, 이 패킷 지연에 관한 정보를 전파 전반 측정 정보로서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이 패킷 지연은, 예를 들어 에러 발생시에, 레이어 2에서의 재송 처리에 의해 수신측으로의 전송에 지연이 발생되기 때문에, 전파 전반에 관한 하나의 지표로 된다. 또한, 패킷 지연은, 예를 들어 복수의 장치에서 무선 대역을 공유하고 있는 무선 시스템에서는, 어느 곳의 링크 특성이 열화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된다.
기기 정보(394)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300)에 접속되는 소스 기기의 종별(소스 기기의 속성)이 저장된다. 예를 들어, 소스 기기의 종별로서, 모바일 기기 또는 거치 기기 중 어느 하나가 저장된다. 또한, 소스 기기의 종별로서, 전원을 누르면서 사용하는 기기, 또는 그 이외의 기기 중 어느 하나를 저장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소스 기기의 종별로서, 배터리 구동의 기기, 또는 그 이외의 기기 중 어느 하나를 저장하도록 해도 된다.
대역 사용 레벨(395)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300)에 접속되는 소스 기기에 의한 대역의 사용 레벨이 저장된다. 대역 사용 레벨로서는, 예를 들어 해상도나 스루풋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대역 사용 레벨에는, 사용 중인 스루풋을 저장하도록 해도 되고, 미리 결정된 테이블을 준비하고, 그 테이블의 어느 범위에 상당하는지를 나타내는 번호를 저장하여 관리하도록 해도 된다.
표시 형태(396)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300)에 접속되는 소스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스트림에 기초하는 데이터의 표시 형태(출력 형태)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소스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스트림에 기초하는 화상 데이터의 표시부(351)에서의 표시 형태(메인 화상(중앙 채널), 서브 화상(주변 채널))가 저장된다. 또한, 예를 들어 소스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스트림에 기초하는 음성 데이터의 음성 출력부(352)로부터의 출력 형태(메인 음성, 서브 음성)가 저장된다. 또한, 표시 형태에 따라, 주변 채널을 표시하지 않는다고 하는 형식이어도 된다.
스탠바이/웨이크업(397)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300)에 접속되는 소스 기기의 모드(스탠바이 모드, 웨이크업 모드)가 저장된다. 또한, 스탠바이 모드 및 웨이크업 모드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멀티 수신 다이버시티 대응(398)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300)에 접속되는 소스 기기가 멀티 수신 다이버시티에 대응하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이와 같이, 관리 정보 유지부(390)에 유지되는 관리 정보는, 다른 정보 처리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단말기 식별 정보(391))와,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관한 capability 정보를 결부시켜 관리하는 정보이다. 또한, 관리 정보 유지부(390)에 유지되는 관리 정보는,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관한 capability 정보로서,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통신에 관한 전파 전반 측정에 관한 정보(전파 전반 측정 정보(393))와, 소비 전력에 관한 정보(스탠바이/웨이크업(397))를 적어도 포함한다. 또한, 관리 정보 유지부(390)에 유지되는 관리 정보는,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관한 capability 정보로서, 화상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형태에 관한 정보(표시 형태(396))를 적어도 포함한다. 이 표시 형태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화상 정보를 메인 표시 또는 서브 표시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화상의 천이예]
도 5는,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정보 처리 장치(300)의 표시부(351)에 표시되는 화상의 천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의 a에는, 화상(11)을 중앙 채널로 하고, 화상(12)을 주변 채널로 하여, 정보 처리 장치(300)의 표시부(351)에 화상(11) 및 화상(12)을 표시하는 표시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5의 b에는, 화상(11)을 주변 채널로 하고, 화상(12)을 중앙 채널로 하여, 정보 처리 장치(300)의 표시부(351)에 화상(11) 및 화상(12)을 표시하는 표시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200) 및 정보 처리 장치(400)의 각각이, 표준적인 해상도의 스트림(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을 정보 처리 장치(300)에 송신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200)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11)과, 정보 처리 장치(400)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12)의 각각의 사이즈가 동일하게 되도록, 정보 처리 장치(300)의 표시부(351)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주어진 해상도와 표시 영역을 동일하다고 정의하고 있지만, 표시부(351)에 스케일러 기능을 추가하고, 화상(11), 화상(12)을 리스케일하여 표시부(351)에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단, 본 기술의 실시 형태에서는, 설명을 간략화시키기 위해, 이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전제로 설명을 행한다.
또한, 화상(11) 및 화상(12)의 각각의 표시 형태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전회의 통신시에 설정된 표시 형태를 유지해 두고, 이 표시 형태에 따라 화상(11 및 12)을 정보 처리 장치(300)의 표시부(351)에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300)에 접속된 순서에 기초하여, 화상(11) 및 화상(12)의 각각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200)가 정보 처리 장치(300)에 최초로 접속되고, 이 접속 후에 정보 처리 장치(400)가 정보 처리 장치(300)에 접속된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에는, 화상(11)을 중앙 채널로 하고, 화상(12)을 주변 채널로 하여, 정보 처리 장치(300)의 표시부(351)에 화상(11) 및 화상(12)을 표시한다. 즉, 정보 처리 장치(300)에의 접속 순서에 기초하여, 중앙 채널, 주변 채널의 순서대로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상(11)을 중앙 채널로 하고, 화상(12)을 주변 채널로 하여, 표시부(351)에 화상(11) 및 화상(12)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화상(12)을 중앙 채널로 하는 유저 정보가 유저 정보 취득부(360)에 의해 취득된 경우를 상정한다. 예를 들어, 시청자가 리모콘이나 제스처 등의 포인터를 사용하여 화상(12)을 중앙 채널로 하기 위한 조작을 행함으로써, 화상(12)을 중앙 채널로 하는 유저 정보가 유저 정보 취득부(360)에 의해 취득된다. 이 경우에는, 도 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상(12)을 중앙 채널로 하고, 화상(11)을 주변 채널로 하여, 표시부(351)에 화상(11) 및 화상(12)이 표시된다. 또한, 표시부(351)의 표시면에서의 화상(11) 및 화상(12)의 표시 위치에 대해서도, 유저 정보 취득부(360)에 의해 취득되는 유저 정보(예를 들어, 수동 조작, 시선)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통신예]
도 6 내지 도 8은,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서의 통신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각 장치간에 있어서의 통신 처리예를 도시하는 시퀀스 차트이다. 또한, 도 6 내지 도 8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200) 및 정보 처리 장치(300)간에 있어서의 통신 처리예를 도시한다.
또한, 도 6 내지 도 8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200)를 구성하는 각 부 중, 화상ㆍ음성 신호 생성부(250), 화상ㆍ음성 압축부(260) 및 스트림 송신부(270)를 데이터 송신계(201)로서 도시한다. 또한, 안테나(210), 무선 통신부(220), 제어 신호 수신부(230) 및 제어부(240)를 회선 제어계(202)로서 도시한다.
또한, 도 6 내지 도 8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300)를 구성하는 각 부 중, 안테나(310), 무선 통신부(320), 스트림 수신부(330), 제어부(370) 및 제어 신호 송신부(380)를 회선 제어계(301)로서 도시한다. 또한, 화상ㆍ음성 전개부(340), 화상ㆍ음성 출력부(350) 및 유저 정보 취득부(360)를 입출력계(302)로서 도시한다.
또한, 도 6 내지 도 8에서는, 처음에, 정보 처리 장치(200)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을, 주변 채널로서 정보 처리 장치(300)의 표시부(351)에 표시시키고, 정보 처리 장치(200)에 있어서 저소비 전력 모드를 설정하는 예를 도시한다.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200)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을, 중앙 채널로서 표시부(351)에 표시시키고, 정보 처리 장치(200)에 있어서 통상의 소비 전력 모드를 설정하는 예를 도시한다. 즉, 도 6 내지 도 8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200) 및 정보 처리 장치(300)의 접속 셋업 예와, 정보 처리 장치(200)에서의 소비 전력 모드의 천이예를 도시한다.
처음에, 정보 처리 장치(300)의 전원이 온되었을 때에는, 정보 처리 장치(300)의 출력 형태(화상 표시 형태, 음성 출력 형태)로서 전회의 출력 형태(정보 처리 장치(300)의 전원 오프시의 출력 형태)가 설정된다(501). 또한, 정보 처리 장치(300)의 제어부(370)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300)에 접속되어 있는 각 소스 기기의 관리 정보를 관리 정보 유지부(390)(도 4에 도시함)에 유지시킨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300)의 제어부(370)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회의 출력 형태에 기초하여, 정보 처리 장치(200) 및 정보 처리 장치(400)의 각각으로부터 송신된 2개의 스트림에 대응하는 화상(11, 12)을 표시부(351)에 표시시킨다.
계속해서, 유저에 의한 출력 형태의 설정 조작(변경 조작)이 행해진 경우를 상정한다(502). 이 경우에는, 그 설정 조작에 따른 제어 신호가 유저 정보로서 유저 정보 취득부(360)에 취득되고, 그 유저 정보가 제어부(370)에 출력된다. 그리고, 제어부(370)는, 그 유저 정보에 기초하여, 관리 정보 유지부(390)(도 4에 도시함)에서의 유지 내용을 변경한다(503, 504). 예를 들어, 도 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200)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11)을 주변 채널로 하기 위한 설정 조작(변경 조작)이 행해진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에는, 제어부(370)는, 관리 정보 유지부(390)에서의 정보 처리 장치(200)의 표시 형태(396)(도 4에 도시함)를 「서브」로 변경한다(503, 504).
또한, 정보 처리 장치(200)는,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개시시만도 포함함)으로, 모드 테이블 요구(해상도/음질, 저소비 전력 모드 등의 문의 요구)를 정보 처리 장치(300)에 송신한다(505, 506). 이 모드 테이블 요구는, 정보 처리 장치(300)에 있어서 관리되고 있는 각 정보(정보 처리 장치(300)에 관한 관리 정보이며, 정보 처리 장치(200)와의 통신을 행하는 데 있어서 사용하는 정보(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200)가 표시 가능한 해상도 정보 등))의 송신을 요구하는 것이다.
모드 테이블 요구를 수신하면(506), 정보 처리 장치(300)는, 그 모드 테이블 요구에 따른 커맨드 정보를 송신한다(507, 508). 이 커맨드 정보는, 정보 처리 장치(300)가, 전파 전반 환경과 표시 형태를 가미하여 정보 처리 장치(200)에 설정 요망하기 위한, 정보 처리 장치(200)에 관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커맨드 정보는, 해상도/음질의 출력 형태 정보(예를 들어, 중앙 채널, 주변 채널), 저소비 전력 모드에의 대응 가부, 메이커명, 멀티 수신 다이버시티 기능의 유무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또한, 예를 들어 커맨드 정보는, 해상도/음질, 화상ㆍ음성 코덱의 종류, 3D 기능의 유무, 콘텐츠 프로텍션의 유무, 디스플레이 기기의 표시 사이즈, 토폴로지 정보, 사용 가능한 프로토콜, 이들 프로토콜의 설정 정보(포트 정보 등), 접속 인터페이스 정보(커넥터 타입 등), 수평 동기ㆍ수직 동기의 위치, 소스 기기의 성능 프라이오리티 요구 정보, 저소비 전력 모드에의 대응 가부 등의 모드 제어 테이블 회답, 무선에서의 송신 최대 스루풋 또는 수신 가능한 최대 스루풋, CPU(Central Processing Unit) 파워, 전지 잔량, 전원 공급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또한, 이들 각 정보는 capability 정보의 일부에 포함된다. 여기서, 정보 처리 장치(200)에 관한 해상도/음질의 출력 형태 정보는,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200)로부터의 데이터의 표시 형태가, 메인(중앙 채널)인지 서브(주변 채널)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300)는, 정보 처리 장치(300)의 시점에서, 해상도/음질이나 저소비 전력 모드의 설정에 관한 요망을 파라미터로 하여 커맨드 정보에 포함시켜 송신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300)는, 정보 처리 장치(200)에 관한 각 정보 외에, 모든 소스 기기에 관한 각 정보를 커맨드 정보로서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정보 처리 장치(200)가 자장치용 정보만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또한, Wi-Fi CERTIFIED Miracast 준거의 장치인 경우, RTSP Message로서 정의되는 wfd-audio-codecs, wfd-video-formats, wfd-content-protection, wfd-displayedid, wfd-coupledsink, wfd-client-rtpports, wfd-I2C, wfd-uibccapability, wfd-connectortype, wfd-standby-resume-capability 등에 대응하지만, 본 커맨드에 있어서, 송신하는 메시지 내용에는 한정은 없는 것으로 한다.
커맨드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508), 정보 처리 장치(200)의 제어부(240)는, 커맨드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처리 장치(200)로부터의 데이터의 출력 형태가 메인인지 서브인지를 특정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200)의 제어부(240)는, 커맨드 정보에 기초하여, 소비 전력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기능을 정보 처리 장치(300)가 구비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200)의 제어부(240)는, 그 특정된 출력 형태로 설정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모드 설정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300)에 송신한다(509, 510). 여기서는, 정보 처리 장치(200)로부터의 데이터의 출력 형태가 서브인 것이 특정된 것으로 한다. 또한, 저소비 전력 모드에 대응하는 기능을 정보 처리 장치(300)가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정보 처리 장치(200)의 제어부(240)는, 그 특정된 출력 형태(서브)로 설정하는 취지와, 저소비 전력 모드를 설정하는 취지를 통지하기 위한 모드 설정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300)에 송신한다(509, 510).
또한, 이 예에서는, 커맨드 정보에 기초하여, 중앙 채널인지 주변 채널인지를 특정하여 저소비 전력 모드를 설정하는 예를 나타내지만, 중앙 채널인지 주변 채널인지를 판단 기준으로서 사용하지 않고 저소비 전력 모드를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저소비 전력 모드로 이행 가능한 허가 플래그의 교환을 소스 기기 및 싱크 기기간에서 행함으로써, 저소비 전력 모드를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200)의 제어부(240)는, 송신 모드로서 화상 송신 모드(주변 채널)를 설정한다(511). 이에 의해, 데이터 송신계(201)에서는, 주변 채널을 표시하기 위한 해상도와, 서브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음질이 설정된다(512). 또한, 회선 제어계(202)에서는, 저소비 전력 모드가 설정된다(513).
여기서, 이와 같이, 저소비 전력 모드를 설정하는 경우에는, 싱크 기기 및 소스 기기의 양쪽이 그 기능을 구비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예를 들어, 휴대 전화, 스마트폰, 태블릿 단말기)는, 배터리 구동에 의해 동작을 행하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자장치로부터의 데이터의 출력 형태가 메인이 아닌 경우(서브인 경우)에는, 자장치의 배터리 소비를 최대한 저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싱크 기기에서의 출력 형태가 서브로 설정되어 있는 소스 기기에 대해서는, 저소비 전력 모드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설정 처리(512)에 있어서, 중앙 채널에 할당된 소스 기기의 음성만을 스피커로부터 재생하여 주변 채널에 할당된 소스 기기의 음성을 재생하지 않는 설정을 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중앙 채널에 할당된 소스 기기의 음성의 음량을 메인으로 하고, 주변 채널에 할당된 소스 기기의 음성의 음량을 낮추어 재생하는 설정을 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300)의 제어부(370)는, 출력 형태가 주변 채널(서브 표시)로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정보 처리 장치(200)에 저소비 전력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즉, 정보 처리 장치(300)의 제어부(370)는, 스트림에 기초하여 화상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351)의 출력 형태에 기초하여 정보 처리 장치(200)에서의 소비 전력 모드를 설정하는 제어를 행한다.
이와 같이, 저소비 전력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는(513), 정보 처리 장치(200)의 제어부(240)는, 간헐 송신을 개시한다(514 내지 522).
구체적으로는, 정보 처리 장치(200)는, 일정 시간만 송신 처리를 정지시키고, 각 부를 슬립시킨다(514). 계속해서, 일정 시간 경과하면(514), 정보 처리 장치(200)는, 송신 처리를 행하기 위해, 정보 처리 장치(200)의 각 부를 웨이크업(WakeUp)시키고, 정보 처리 장치(300)에 송신 처리를 행한다(515 내지 520).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200)의 제어부(240)는, 정보 처리 장치(300)에 있어서 어떠한 변경(예를 들어, 출력 형태의 변경)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문의 메시지를 정보 처리 장치(300)에 송신한다(515, 516).
문의 메시지를 수신하면(516), 정보 처리 장치(300)의 제어부(370)는, 어떠한 변경(예를 들어, 출력 형태의 변경)이 있는지 여부를 통지하기 위한 응답 메시지를 정보 처리 장치(200)에 송신한다(517, 518). 여기서는, 정보 처리 장치(300)에 있어서 변경(예를 들어, 출력 형태의 변경)이 없는 것으로 한다. 이로 인해, 정보 처리 장치(300)의 제어부(370)는, 변경(예를 들어, 출력 형태의 변경)이 없는 취지를 통지하기 위한 응답 메시지를 정보 처리 장치(200)에 송신한다(517, 518).
이와 같이, 변경(예를 들어, 출력 형태의 변경)이 없는 취지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518), 정보 처리 장치(200)에 있어서 설정의 변경을 행할 필요가 없다. 이로 인해, 정보 처리 장치(200)의 제어부(240)는, 주변 채널 및 서브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스트림을 정보 처리 장치(300)에 송신한다(519, 520). 이와 같이, 스트림을 수신하면(520), 정보 처리 장치(300)는, 수신한 스트림에 기초하는 화상 및 음성을 출력시킨다(521). 예를 들어, 도 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200)로부터의 스트림에 기초하는 화상(11)이 주변 채널로서 표시부(351)에 표시된다.
또한, 송신 처리가 종료되면(519), 정보 처리 장치(200)는, 일정 시간만 송신 처리를 정지시키고, 각 부를 슬립시킨다(522). 또한, 정보 처리 장치(300)로부터의 변경 요구가 있을 때까지의 사이, 간헐 송신이 계속해서 행해진다.
여기서, 간헐 송신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200)로부터 스트림이 송신되지 않는 기간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정보 처리 장치(300)는, 마지막으로 정보 처리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스트림에 대응하는 화상을 보간하여 표시하는 표시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정보 처리 장치(300)가 보간 처리 기능을 구비하지 않는 것도 상정된다. 이 경우에는, 슬립 기간 중에, 정보 처리 장치(200)로부터의 화상을 표시부(351)에 표시시켜 둘 수 없다. 이로 인해, 정보 처리 장치(300)가 보간 처리 기능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200)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의 송신을 계속해서 행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200)로부터의 송신 대상으로 되는 스트림 중, 송신 정지시에 있어서의 마지막 화상 데이터를 송신 버퍼에 유지시킨다. 그리고, 슬립 기간 중에는, 정보 처리 장치(200)의 화상 처리를 정지시키지만, 무선 링크에 대해서는 송신 처리를 계속해서 행하고, 그 송신 버퍼에 유지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의 송신을 계속해서 행하도록 한다.
또한, 슬립 기간 중에는, 정보 처리 장치(400)로부터 송신된 스트림에 대응하는 화상만을 표시부(351)에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400)로부터 송신된 스트림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부(351)의 전체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유저에 의한 출력 형태의 설정 조작(변경 조작)이 행해진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유저에 의한 출력 형태의 설정 조작(변경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는(531),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370)는, 그 설정 조작에 따른 유저 정보에 기초하여, 관리 정보 유지부(390)(도 4에 도시함)에서의 유지 내용을 변경한다(532, 533). 예를 들어, 도 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200)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11)을 중앙 채널로 하기 위한 설정 조작(변경 조작)이 행해진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에는, 제어부(370)는, 관리 정보 유지부(390)에서의 정보 처리 장치(200)의 표시 형태(396)(도 4에 도시함)를 「메인」으로 변경한다(532, 533).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200)에 있어서 저소비 전력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200)가 슬립으로 되어 있는 것이 상정된다. 이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200)가 슬립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유저에 의한 출력 형태의 설정 조작(변경 조작)이 행해진 취지를 정보 처리 장치(200)에 통지할 수 없다.
따라서, 유저에 의한 출력 형태의 설정 조작(변경 조작)이 행해지고(531), 관리 정보 유지부(390)(도 4에 도시함)에서의 유지 내용이 변경된 경우에는(532, 533), 정보 처리 장치(300)의 제어부(370)는 변경 트리거를 설정한다(534). 이 변경 트리거는, 정보 처리 장치(200)로부터 문의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유저에 의한 출력 형태의 설정 조작(변경 조작)이 행해진 취지를 정보 처리 장치(200)에 통지하기 위한 트리거이다. 이 변경 트리거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200)가 Standby 모드로 되어 있는 상태를 해제시키고, 유저에 의한 출력 형태의 설정 조작(변경 조작)이 행해진 취지를 정보 처리 장치(200)에 통지한다.
여기서, 정보 처리 장치(200)의 각 부가 웨이크업되고, 정보 처리 장치(300)에 송신 처리가 개시된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300)의 제어부(370)는, Standby 해제 메시지를 정보 처리 장치(200)에 송신한다(535, 536).
Standby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면(536), 정보 처리 장치(200)의 제어부(240)는, 응답 메시지를 정보 처리 장치(300)에 송신한다(537, 538).
이와 같이, 싱크 기기로부터의 Standby 모드 해제 요구에 의해(535 내지 538), 정보 처리 장치(200)에 있어서 설정 상황을 문의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정보 처리 장치(200)의 제어부(240)는, 모드 테이블 요구를 정보 처리 장치(300)에 송신한다(539, 540). 이 모드 테이블 요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300)에 있어서 관리되고 있는 각 정보(정보 처리 장치(200)에 관한 관리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각 처리(535 내지 538)에 있어서, 변경(예를 들어, 출력 형태의 변경)이 있는 취지의 교환(예를 들어, 각 처리(515 내지 518)에서의 문의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을 하도록 해도 된다.
모드 테이블 요구를 수신하면(540), 정보 처리 장치(300)는, 그 모드 테이블 요구에 따른 커맨드 정보를 송신한다(541, 542). 여기서, 정보 처리 장치(300)로부터 정보 처리 장치(200)로 커맨드 정보가 이미 송신되어 있는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200)는, 그 커맨드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에 대해서는 이미 취득하고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여기서는, 정보 처리 장치(300)는, 그 모드 테이블 요구에 따른 커맨드 정보로서, 차분 정보만을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541, 542). 이 차분 정보는 변경에 관한 정보이며,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200)에 관한 해상도/음질의 출력 형태 정보이다.
커맨드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542), 정보 처리 장치(200)의 제어부(240)는, 커맨드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처리 장치(200)로부터의 데이터의 출력 형태가 메인인지 서브인지를 특정한다.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200)의 제어부(240)는, 그 특정된 출력 형태로 설정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모드 설정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300)에 송신한다(543, 544). 여기서는, 정보 처리 장치(200)로부터의 데이터의 출력 형태가 메인인 것이 특정된 것으로 한다. 따라서, 정보 처리 장치(200)의 제어부(240)는, 그 특정된 출력 형태(메인)로 설정하는 취지와, 통상의 소비 전력 모드를 설정하는 취지를 통지하기 위한 모드 설정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300)에 송신한다(543, 544). 또한, 각 처리(539 내지 544)는, Wi-Fi CERTIFIED Miracast 준거의 장치인 경우, Capability Re-negotiation에서 행하도록 해도 된다. Capability Re-negotiation의 경우, 처리(534)에서 출력 형태에 변화가 없는 설정값에 관해서는 다시 네고시에이션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wfd-displayedid, wfd-client-rtpports, wfd-I2C, wfd-connectortype 등을 들 수 있다.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200)의 제어부(240)는, 송신 모드로서 화상 송신 모드(중앙 채널)를 설정한다(545). 이에 의해, 데이터 송신계(201)에서는, 중앙 채널을 표시하기 위한 해상도와, 메인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음질이 설정된다(546). 또한, 회선 제어계(202)에서는, 통상의 소비 전력 모드가 설정된다(547).
이와 같이, 통상의 소비 전력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는(547), 정보 처리 장치(200)의 제어부(240)는, 통상의 송신 처리를 개시한다(548, 549). 즉, 정보 처리 장치(200)는, 중앙 채널 및 메인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스트림을 정보 처리 장치(300)에 송신한다(548, 549). 이와 같이, 스트림을 수신하면(549), 정보 처리 장치(300)는, 수신한 스트림에 기초하는 화상 및 음성을 출력시킨다(550). 예를 들어, 도 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200)로부터의 스트림에 기초하는 화상(11)이 중앙 채널로서 표시부(351)에 표시된다.
또한, 이 예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300)의 전원이 온된 경우에 있어서, 표시부(351)의 표시 형태는, 전회의 출력 형태(정보 처리 장치(300)의 전원 오프시의 출력 형태)를 설정하는 예를 나타내었다. 단, 정보 처리 장치(300)의 전원이 온된 경우에는, 다른 출력 형태를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300)의 전원이 온된 경우에는, 디폴트의 출력 형태를 항상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는, 정보 처리 장치(300)에 접속된 순서에 기초하여, 출력 형태를 결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6 내지 도 8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200)가, 정보 처리 장치(300)의 설정 정보를 문의하여, 수신한 파라미터 정보를 바탕으로, 송신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예를 도시하였다. 단, 정보 처리 장치(200)가 설정하고 싶은 파라미터를 정보 처리 장치(300)에 설정 의뢰하고, 정보 처리 장치(300)가 문제없는 취지의 응답을 수신한 시점에서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 예를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다.
[통신예]
도 9 내지 도 11은,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서의 통신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각 장치간에 있어서의 통신 처리예를 도시하는 시퀀스 차트이다. 또한, 도 9 및 도 10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통신 처리예의 일부를 변형한 것이다. 이로 인해, 도 9 및 도 10에서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통신 처리예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이들 설명의 일부를 생략한다. 또한, 도 11은, 도 9에 도시하는 통신 처리예의 일부를 변형한 것이다. 이로 인해, 도 11에서는, 도 9에 도시하는 통신 처리예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이들 설명의 일부를 생략한다.
도 9에 도시하는 각 처리(561 내지 564)는, 도 6에 도시하는 각 처리(501 내지 504)에 대응한다.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300)의 제어부(370)는, 유저에 의해 설정된 출력 형태를 통지하기 위한 모드 스테이터스 통지를 정보 처리 장치(200)에 송신한다(565, 566). 이 모드 스테이터스 통지는, 유저에 의해 설정된 출력 형태(예를 들어, 메인인지 서브인지)와 함께, 정보 처리 장치(200)가 설정 가능한 해상도/음질, 화상ㆍ음성 코덱의 종류, 3D 기능의 유무, 콘텐츠 프로텍션의 유무, 디스플레이 기기의 표시 사이즈, 토폴로지 정보, 사용 가능한 프로토콜, 이들 프로토콜의 설정 정보(포트 정보 등), 접속 인터페이스 정보(커넥터 타입 등), 수평 동기ㆍ수직 동기의 위치, 소스 기기의 성능 프라이오리티 요구 정보, 저소비 전력 모드에의 대응 가부 등의 모드 제어 테이블 회답, 무선에서의 송신 최대 스루풋 또는 수신 가능한 최대 스루풋, CPU 파워, 전지 잔량, 전원 공급 정보 등을 통지하기 위한 정보이다.
이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300)에 있어서 유저에 의한 출력 형태의 설정 조작이 행해진 직후에, 그 설정 조작에 따른 출력 형태를 통지하기 위한 모드 스테이터스 통지를 정보 처리 장치(200)에 송신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접속되어 있는 정보 처리 장치(200) 및 정보 처리 장치(300)간에 있어서의 설정 시간(변경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모드 스테이터스 통지를 수신하면(566), 정보 처리 장치(200)의 제어부(240)는, 수신한 모드 스테이터스 통지에 의해 특정되는 스테이터스 파라미터와, 자장치의 스테이터스 파라미터를 비교한다.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200)의 제어부(240)는, 그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설정 내용(예를 들어, 해상도/음성, 소비 전력 모드)을 결정한다.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200)의 제어부(240)는, 그 결정된 설정 내용(예를 들어, 해상도/음성, 소비 전력 모드)을 통지하기 위한 모드 설정 요구를 정보 처리 장치(300)에 송신한다(567, 568).
모드 설정 요구를 수신하면(568), 정보 처리 장치(300)의 제어부(370)는, 수신한 모드 설정 요구에 의해 특정되는 설정 내용(예를 들어, 해상도/음성, 소비 전력 모드)을 허가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300)의 제어부(370)는, 그 판단 결과를 통지하기 위한 모드 설정 가부 커맨드를 정보 처리 장치(200)에 송신한다(569, 570).
모드 설정 가부 커맨드를 수신하면(570), 정보 처리 장치(200)의 제어부(240)는, 모드 설정 가부 커맨드의 내용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200)가 송신한 모드 설정 요구에 따른 설정 내용을 허가하는 취지의 모드 설정 가부 커맨드를 수신한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200)의 제어부(240)는, 송신 모드로서 화상 송신 모드(주변 채널)를 설정한다(571).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각 처리(571 내지 574)는, 도 6에 도시하는 각 처리(511 내지 514)에 대응한다.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각 처리(575 내지 578)는, 도 7에 도시하는 각 처리(519 내지 522)에 대응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200)가 송신한 모드 설정 요구에 따른 설정 내용을 허가하지 않는 취지의 모드 설정 가부 커맨드를 수신한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200)의 제어부(240)는, 새롭게 설정 내용(예를 들어, 해상도/음성, 소비 전력 모드)을 결정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200)의 제어부(240)는, 그 새롭게 결정된 설정 내용(예를 들어, 해상도/음성, 소비 전력 모드)을 통지하기 위한 모드 설정 요구를 정보 처리 장치(300)에 송신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각 처리(581 내지 583)는, 도 7에 도시하는 각 처리(531 내지 533)에 대응한다.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300)의 제어부(370)는, 유저에 의해 변경된 출력 형태를 통지하기 위한 모드 스테이터스 변경 통지를 정보 처리 장치(200)에 송신한다(584, 585). 이 모드 스테이터스 변경 통지는, 유저에 의해 변경된 출력 형태(예를 들어, 메인인지 서브인지)와 함께, 정보 처리 장치(200)가 설정 가능한 해상도/음질, 저소비 전력 모드에의 대응 가부 등을 통지하기 위한 정보이다.
모드 스테이터스 변경 통지를 수신하면(585), 정보 처리 장치(200)의 제어부(240)는, 설정 내용(예를 들어, 해상도/음성, 소비 전력 모드)을 결정한다. 이 설정 내용의 결정 처리에 대해서는, 상술한 결정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200)의 제어부(240)는, 그 결정된 설정 내용(예를 들어, 해상도/음성, 소비 전력 모드)을 통지하기 위한 모드 변경 요구를 정보 처리 장치(300)에 송신한다(586, 587).
모드 변경 요구를 수신하면(587), 정보 처리 장치(300)의 제어부(370)는, 수신한 모드 변경 요구에 의해 특정되는 설정 내용(예를 들어, 해상도/음성, 소비 전력 모드)을 허가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300)의 제어부(370)는, 그 판단 결과를 통지하기 위한 모드 설정 가부 커맨드를 정보 처리 장치(200)에 송신한다(588, 589).
모드 설정 가부 커맨드를 수신하면(589), 정보 처리 장치(200)의 제어부(240)는, 모드 설정 가부 커맨드의 내용을 확인하고, 송신 모드를 설정한다(590). 또한, 이 확인 처리에 대해서는, 상술한 확인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각 처리(590 내지 595)는, 도 8에 도시하는 각 처리(545 내지 550)에 대응한다.
여기서, 소스 기기는, 주변 채널 및 중앙 채널의 전환을 행한 경우에, 그 전환 타이밍을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GOP(Group of Picture)의 선두를 파악하는 정보나 Picture 선두를 파악하는 정보)를 스트림에 포함시켜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소스 기기는, 메인 표시 및 서브 표시의 전환을 행하는 경우에, 그 전환 타이밍을 나타내는 정보를 싱크 기기에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그 스트림을 수신한 싱크 기기는, 그 타이밍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주변 채널 및 중앙 채널의 전환을 적절한 타이밍에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도 6 내지 도 10에서는, 싱크 기기에 접속되어 있는 소스 기기의 스탠바이ㆍ웨이크업을 제어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단, 싱크 기기에 접속되어 있는 소스 기기의 스탠바이ㆍ웨이크업에 기초하여, 싱크 기기의 스탠바이ㆍ웨이크업을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싱크 기기에 접속되어 있는 모든 소스 기기가 스탠바이로 된 경우에 싱크 기기를 스탠바이로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싱크 기기에 접속되어 있는 소스 기기 중 적어도 하나가 웨이크업인 경우에는, 싱크 기기를 웨이크업으로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각 처리(565 내지 570)에 있어서, 처리(564)에서 유지된 유지 내용이 변경된 것을 싱크 기기로부터 소스 기기로 통지하고, 소스 기기로부터 모드 테이블 요구를 송신하는 경우의 변형예를 도 11에 도시한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300)는, 출력 형태가 변경된 것(564)을 정보 처리 장치(200)에 통지함과 함께, 정보 처리 장치(200)로부터 모드 설정 요구의 송신을 재촉하기 위해, 모드 스테이터스 통지를 송신한다(565, 566). 이 모드 스테이터스 통지를 수신한 정보 처리 장치(200)는, 대응이 가능한 경우에는, 모드 스테이터스 통지를 승인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모드 스테이터스 통지 승인을 정보 처리 장치(300)에 송신한다(851, 852).
이와 같이, 모드 스테이터스 통지 승인이 송신된 후에(851), 각 처리가 행해진다(853 내지 858). 또한, 이 각 처리(853 내지 858)는, 도 6에 도시하는 각 처리(505 내지 510)에 대응한다. 이와 같이, 모드 스테이터스 통지 승인이 송신된 후에(851), 각 처리(853 내지 858)를 행함으로써, 상태 변화(출력 형태의 변경(564))에 대하여, 스트림의 전송 제어(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 속도 제어, 스케일러빌리티 전송 레이트 제어)를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Wi-Fi CERTIFIED Miracast에서 준비되어 있는 커맨드에 있어서, wfd-triggered-method를 포함하는 RTSPM5 Message는, 현 상황, 정보 처리 장치(200)가 정보 처리 장치(300)에 송신하는 커맨드로서 정의되어 있다. 단, wfd-triggered-method를 포함하는 RTSPM5 Message를, 정보 처리 장치(300)가 정보 처리 장치(200)에 송신하는 커맨드로서 확장할 수 있는 경우, wfd-triggered-method를 포함하는 RTSPM5 Message를 정보 처리 장치(200)가 수신하고, 정보 처리 장치(200)는 정보 처리 장치(300)와의 사이에서, Capability Re-negotiation을 개시할 수 있다. 즉, wfd-triggered-method를 포함하는 RTSPM5 Message를 사용하여 관리 정보의 교환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300)의 제어부(370)는, Wi-Fi CERTIFIED Miracast 사양에 정해지는 wfd-triggered-method를 포함하는 RTSPM5 Message를, 관리 정보가 변경된 경우에 그 변경을 정보 처리 장치(200)에 통지하기 위한 커맨드로서 정보 처리 장치(200)에 송신하는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커맨드 외에 신규로 커맨드를 정의하고, 동등한 것이 가능하도록 해도 된다.
[정보 처리 장치(소스 기기)의 동작예]
도 12는,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정보 처리 장치(200)에 의한 데이터 송신 처리의 처리 수순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2에서는, 처음에, 정보 처리 장치(200)가, 표준적인 해상도의 스트림(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을 정보 처리 장치(300)에 송신하고 있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300)에는, 그 스트림에 기초하는 출력이 행해지고 있는 것으로 한다.
처음에, 제어부(240)는, 모드 테이블 요구를 정보 처리 장치(300)에 송신한다(스텝 S901). 계속해서, 제어부(240)는, 커맨드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300)로부터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902), 커맨드 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감시를 계속해서 행한다. 또한, 어느 일정 시간을 대기해도, 커맨드 정보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는 타임 아웃하고, 처리를 종료해도 된다. 예를 들어, Wi-Fi CERTIFIED Miracast에서는, 상황에 따라 5초 내지 9초의 타임 아웃 시간을 설정하고 있다.
커맨드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경우에는(스텝 S902), 제어부(240)는, 수신한 커맨드 정보에 기초하여 모드를 설정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모드 설정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300)에 송신한다(스텝 S903).
계속해서, 제어부(240)는, 수신한 커맨드 정보에 기초하여 모드를 설정한다(스텝 S904). 또한, 제어부(240)는, 해상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변경 요구가 커맨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변경 요구에 따라, 화상 및 음성의 해상도를 설정한다. 또한, 제어부(240)는, 해상도를 저하시키기 위한 변경 요구가 커맨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변경 요구에 따라, 화상의 해상도 및 음성의 음질을 설정한다.
계속해서, 제어부(240)는, 그 설정에 따라 스트림을 정보 처리 장치(300)에 송신하는 송신 처리를 행한다(스텝 S905).
계속해서, 제어부(240)는, 저소비 전력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906), 저소비 전력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즉, 통상의 소비 전력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911로 진행한다. 한편, 저소비 전력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스텝 S906), 제어부(240)는 일정 시간 슬립으로 한다(스텝 S907).
계속해서, 제어부(240)는, 문의 메시지를 정보 처리 장치(300)에 송신한다(스텝 S908). 계속해서, 제어부(240)는, 응답 메시지를 정보 처리 장치(300)로부터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909),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감시를 계속해서 행한다. 어느 일정 시간을 대기해도,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는 타임 아웃하고, 처리를 종료해도 된다. 예를 들어, Wi-Fi CERTIFIED Miracast에서는, 상황에 따라 5초 내지 9초의 타임 아웃 시간을 설정하고 있다.
응답 메시지를 정보 처리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경우에는(스텝 S909), 제어부(240)는, 그 응답 메시지에 변경 요구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910). 그리고, 그 응답 메시지에 변경 요구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스텝 S910), 스텝 S901로 복귀한다.
그 응답 메시지에 변경 요구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910), 제어부(240)는, 변경 요구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911). 그리고, 변경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는(스텝 S911), 스텝 S901로 복귀한다. 한편, 변경 요구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911), 제어부(240)는, 송신 정지 조작이 행해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912). 그리고, 송신 정지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는(스텝 S912), 데이터 송신 처리의 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송신 정지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912), 스텝 S905로 복귀한다.
[정보 처리 장치(싱크 기기)의 동작예]
도 13은,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정보 처리 장치(300)에 의한 데이터 전송 속도 제어 처리의 처리 수순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300)가, 스트림(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을 수신하고 있는 경우에, 소스 기기에 관한 설정 내용(예를 들어, 해상도, 소비 전력 모드)을 결정하는 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300)의 제어부(370)는, 중앙 채널로 하기 위한 유저 정보나, 정보 처리 장치(300) 및 각 소스 기기간의 링크 전파 전반 환경에 따라, 사용하는 해상도나 사용하는 주파수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a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화상(12)을 선택하기 위한 유저 조작이 행해진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에는, 화상(12)에 관한 해상도를 업시키고, 화상(11)의 해상도를 다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각 소스 기기의 링크 전파 전반 환경에 기초하여, 화상(11) 및 화상(12)에 있어서의 최적의 해상도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300)는, 복수의 주파수 채널에, 해당하는 스루풋에 상당하는 데이터를 흘려 보아, 전파 전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300)는, 복수의 주파수 채널마다 이상적인 스루풋을 파악하는 테이블을 유지해 둔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300)는, 동시에 사용하고 있는 소스 기기의 수와 PER에 기초하여, 사용하는 주파수 채널의 이용 가능 데이터 전송 속도를 파악하고, 주파수 채널마다 최적의 주파수 채널을 선택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370)는, 관리 정보 유지부(390)로부터 관리 정보를 취득하고, 유저 정보 취득부(360)로부터 유저 정보를 취득한다(스텝 S921). 계속해서, 제어부(370)는, 취득된 관리 정보 및 유저 정보에 기초하여, 출력 형태를 결정한다(스텝 S922). 이 결정된 출력 형태에 기초하여, 복수의 소스 기기의 각각으로부터 송신된 2개의 스트림에 대응하는 화상이 표시부(351)에 표시된다.
계속해서, 제어부(370)는,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PER이 역치 이하로 되는 소스 기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923).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PER이 역치 이하로 되는 소스 기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스텝 S923), 제어부(370)는, 그 소스 기기의 해상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변경 요구를 결정한다(스텝 S924). 또한, 유저 정보에 기초하는 출력 형태에 따라, 중앙 채널에 많은 데이터 전송 속도를 할당하는 제어를 제어부(370)가 행한다. 이 변경 요구는, 예를 들어 커맨드 정보(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하는 커맨드 정보)에 포함시켜 그 소스 기기에 송신된다. 또한, 그 소스 기기의 해상도를 향상시킨 후의 스루풋이 역치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스트림의 레이트를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PER이 역치 이하로 되는 소스 기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스텝 S923), 제어부(370)는,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각 소스 기기의 스루풋이 역치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925). 즉, 각 링크의 스루풋이 현재의 주파수 채널에서도 문제가 없는지 여부가 판단된다(스텝 S925).
각 소스 기기의 스루풋이 역치 이하가 아닌 경우에는(스텝 S925), 스텝 S921로 복귀한다. 한편, 각 소스 기기의 스루풋이 역치 이하인 경우에는(스텝 S925), 제어부(370)는,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저소비 전력 모드에 대응하는 소스 기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926).
저소비 전력 모드에 대응하는 소스 기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스텝 S926), 제어부(370)는, 그 저소비 전력 모드에 대응하는 소스 기기에 대하여 저소비 전력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변경 요구를 결정한다(스텝 S928). 이 변경 요구는, 예를 들어 커맨드 정보(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하는 커맨드 정보)에 포함시켜 그 소스 기기에 송신된다.
저소비 전력 모드에 대응하는 소스 기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스텝 S926), 제어부(370)는, 그 소스 기기(PER이 역치 이하로 되는 소스 기기)의 해상도를 저하시키기 위한 변경 요구를 결정한다(스텝 S927). 이 변경 요구는, 예를 들어 커맨드 정보(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하는 커맨드 정보)에 포함시켜 그 소스 기기에 송신된다.
또한, 수신 정지 조작이 행해졌는지 여부가 판단되고(스텝 S929), 수신 정지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는, 데이터 전송 속도 제어 처리의 동작을 종료하고, 수신 정지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921로 복귀한다. 또한, 저소비 전력 모드의 설정에 의해 슬립 상태로 되어 있는 소스 기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300)에 접속하는 소스 기기의 수가 줄어든다. 이 경우에는, 스텝 S925에서의 스루풋 역치를 변경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스루풋 역치를 변경한 후에, 스텝 S925에 상당하는 스텝을 더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싱크 기기가 회선 환경을 일정 시간 트레이닝하고, 안정적인 영상 통신을 행할 수 있는 해상도를 소스 기기에 통지하는 제어 프로토콜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소스 기기가 회선 환경을 일정 시간 트레이닝하고, 안정적인 영상 통신을 행할 수 있는 해상도를 요구하고, 싱크 기기가 응답하는 제어 프로토콜로 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300)의 제어부(370)는, 관리 정보 유지부(390)의 관리 정보와 유저 정보 취득부(360)에 의해 취득된 유저 정보에 기초하여, 각 소스 기기의 각각으로부터 송신된 2개의 스트림의 전송 제어(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 속도 제어, 스케일러빌리티 전송 레이트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200) 및 정보 처리 장치(400)의 각각으로부터 송신된 2개의 스트림의 합계 데이터 전송 속도를 최소로 하도록 제어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그 합계 데이터 전송 속도의 최대 허용값을 수신측의 정보 처리 장치(300)의 제어부(370)에 설정한다. 그리고, 제어부(370)는, 비트 레이트를 저하시키기 위한 변경 요구를 정보 처리 장치(200)에 송신한 후에, 정보 처리 장치(200 및 400)의 각각으로부터 송신된 2개의 스트림의 비트 레이트를 스트림 수신부(330)로부터 취득한다. 계속해서, 제어부(370)는, 취득된 2개의 스트림의 합계 데이터 전송 속도를 계산한다. 계속해서, 제어부(370)는, 설정된 최대 허용값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정보 처리 장치(400)로부터 송신되는 스트림의 비트 레이트를 결정하고, 이 비트 레이트에 향상시키기 위한 변경 요구를 정보 처리 장치(400)에 송신한다. 또한, 최저 비트 레이트로 설정해도 PER이 커서 동일 주파수 채널에 수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다른 주파수 채널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화상(중앙 채널, 주변 채널)이 일정 시간 이상 멈춰 있는 경우에는, 유저로부터의 조작(예를 들어, 포인팅)이 발생하지 않는 한, 화상 데이터를 정지시켜 두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소스 기기로부터 송신된 복수의 스트림을 하나의 싱크 기기에서 수신하는 경우에도, 유저의 조작ㆍ상황ㆍ의도에 따른 적절한 스트림의 전송 제어(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 속도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의 조작ㆍ상황ㆍ의도에 따라, 복수의 화상ㆍ음성 스트림 중 일부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저감시키고, 나머지 스트림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싱크 기기가 복수의 스트림을 수신하여 표시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때에 따라 유저가 설정한 바와 같이, 중요한 화상ㆍ음성을 고품질로 즐길 수 있다. 또한, 그렇지 않은 화상ㆍ음성에 대해서는, 그 데이터 전송 속도를 자동적으로 최적의 주파수 채널, 소비 전력, 전송 레이트로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 정보 유지부(390)에 유지되는 관리 정보에 대하여, 예를 들어 관리 정보 교환은, Wi-Fi CERTIFIED Miracast에서 준비되어 있는 커맨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Wi-Fi Display 사양에서 정해지는 capability negotiation 또는 capability re-negotiation에서 행할 수 있다. 여기서, capability negotiation 또는 capability re-negotiation으로서, 예를 들어 RFC5939나 Wi-Fi CERTIFIED Miracast 사양을 들 수 있다. 단, capability negotiation 또는 capability re-negotiation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장치 성능 정보의 교환으로 정의한다. 이 Wi-Fi CERTIFIED Miracast 사양 커맨드를 사용한 교환의 통신예를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한다.
[Wi-Fi CERTIFIED Miracast 사양 커맨드를 사용한 교환의 통신예]
도 14 내지 도 16은,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소스 기기 및 싱크 기기간에 있어서의 통신 처리예를 도시하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 14 내지 도 16에서는, RTSP 프로토콜을 사용한 교환의 통신예를 도시한다. 또한, 소스 기기(820)는 정보 처리 장치(200, 400)에 대응하고, 싱크 기기(830)는 정보 처리 장치(300)에 대응한다.
처음에,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도 14의 점선의 직사각형(840) 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스 기기로부터 싱크 기기로 송신되는 「RTSP M3 Request」(RTSP GET_PARAMETER Request) 메시지와, 이것에 응답하여 싱크 기기로부터 소스 기기로 송신되는 「RTSP M3 Response」(RTSP GET_PARAMETER Response) 메시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교환 처리는,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하는 처리(505 내지 508), 도 8에 도시하는 처리(539 내지 542)에 대응한다. 한편, 소스 기기로부터 싱크 기기로 적절히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RTSP M3 Request」(RTSP GET_PARAMETER Request) 메시지와, 「RTSP M3 Response」(RTSP GET_PARAMETER Response) 메시지의 교환을 생략하고, 소스 기기로부터 싱크 기기로 송신되는 메시지에 관리 정보를 포함시켜, 소스 기기로부터 싱크 기기로 관리 정보를 송신하고, 싱크 기기가 정보를 선택하여 관리 정보 유지부(390)에 유지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콘텐츠 프로텍션 설정을 행하는 경우, M3 Response 후에 링크 프로텍션 세트업을 행한다. 이로 인해, M4 이상의 메시지만을 행함으로써, 한번 설정된 링크의 비화성을 확보한 채, 통신을 행할 수 있을 것이 요망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소비 전력 모드에 관한 정보의 교환에 대해서는, RTSP 프로토콜을 사용한 소정의 메시지로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하의 (1) 내지 (3)의 3종류의 관리 정보의 교환을 행할 수 있다.
(1) "Standby 모드에의 설정"
(2) "소스 기기가 Stanby 모드를 해제하는 경우 또는 소스 기기가 싱크 기기의 Standby 모드를 해제하는 경우"
(3) "싱크 기기가 Standby 모드를 해제하는 경우 또는 싱크 기기가 소스 기기의 Standby 모드를 해제하는 경우"
처음에,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Wi-Fi CERTIFIED Miracast에서 준비되어 있는 커맨드를 사용하는 경우, 상술한 (1) "Standby 모드에의 설정"의 교환에서는, 소스 기기(820)로부터 싱크 기기(830)로 송신되는 「RTSP M12 Request」(RTSP SET_PARAMETER(with WFD-standby)) 메시지와, 이것에 응답하여 싱크 기기(830)로부터 소스 기기(820)로 송신되는 「RTSP M12 Response」(RTSP OK) 메시지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싱크 기기(830)로부터 소스 기기(820)로의 Stanby 모드에의 설정도 마찬가지이다.
이어서,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2) "소스 기기가 Stanby 모드를 해제하는 경우 또는 소스 기기가 싱크 기기의 Standby 모드를 해제하는 경우", 소스 기기(820)는, 싱크 기기(830)에 송신되는 「RTSP M5 Request」(RTSP SET_PARAMETER(Request(wfd-trigger-method: PLAY)) 메시지와, 이것에 응답하여 싱크 기기(830)로부터 소스 기기(820)로 송신되는 「RTSP M5 Response」(RTSP OK) 메시지를 교환한다. 싱크 기기(830)는, 소스 기기(820)에 송신되는 「RTSP M7 Request」(RTSP PLAY Request) 메시지와, 이것에 응답하여 소스 기기(820)로부터 싱크 기기(830)로 송신되는 「RTSP M7 Response」(RTSP OK) 메시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술한 (3) "싱크 기기가 Standby 모드를 해제하는 경우 또는 싱크 기기가 소스 기기의 Standby 모드를 해제하는 경우"의 교환의 경우, 싱크 기기(830)는, 소스 기기(820)에 송신되는 「RTSP M7 Request」(RTSP PLAY Request) 메시지와, 이것에 응답하여 소스 기기(820)로부터 싱크 기기(830)로 송신되는 「RTSP M7 Response」(RTSP OK) 메시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교환은,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하는 처리(515 내지 518), 도 7에 도시하는 처리(535 내지 538)에 대응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하는 처리(565 내지 570)의 교환은, 싱크 기기(830)로부터 소스 기기(820)로 송신되는 「RTSP M12 Request」(RTSP SET_PARAMETER(with WFD-standby)) 메시지와, 이것에 응답하여 소스 기기(820)로부터 싱크 기기(830)로 송신되는 「RTSP M12 Response」(RTSP OK) 메시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하는 처리(584 내지 589)의 교환은, 싱크 기기(830)로부터 소스 기기(820)로 송신되는 「RTSP M7 Request」(RTSP PLAY Request) 메시지와, 이것에 응답하여 소스 기기(820)로부터 싱크 기기(830)로 송신되는 「RTSP M7 Response」(RTSP OK) 메시지를 사용해도 된다.
이와 같이, 무선 통신부(320)는, capability 정보의 교환을, Wi-Fi Display 사양에 정해지는 capability negotiation 또는 capability re-negotiation에서 행할 수 있다. 또한, capability 정보는, 예를 들어 capability negotiation 또는 capability re-negotiation에서의 RTSP M3 Message에 있어서 교환된다.
이와 같이,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300)의 무선 통신부(320)는, 정보 처리 장치(300)에 관한 capability 정보와, 정보 처리 장치(200)에 관한 capability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통신을 소스 기기와의 사이에서 행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200)의 무선 통신부(220)는, 정보 처리 장치(200)에 관한 capability 정보와, 정보 처리 장치(300)에 관한 capability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통신을 정보 처리 장치(300)와의 사이에서 행한다. 이들 경우에, 무선 통신부(220, 320)는, capability 정보의 교환을 capability negotiation 또는 capability re-negotiation에서 행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300)의 제어부(370)는, 정보 처리 장치(200)에 관한 capability 정보와, 정보 처리 장치(200)와의 통신에 관한 전파 전반 측정 정보와, 정보 처리 장치(300)의 사용법에 기초하여 정보 처리 장치(200)와의 스트림의 전송 제어(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 속도 제어, 스케일러빌리티 전송 레이트 제어)를 행한다. 또한, 본 기술의 실시 형태와 스트림 전송의 방법은 상이하지만, 정보 처리 장치(200)의 제어부(240)는, 정보 처리 장치(200)에 관한 capability 정보와, 정보 처리 장치(300)와의 스트림의 통신에 관한 전파 전반 측정 정보에 기초하는 정보 처리 장치(300)로부터의 제어에 기초하여 정보 처리 장치(300)와의 스트림의 전송 제어(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 속도 제어, 스케일러빌리티 전송 레이트 제어)를 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300)의 제어부(370)는, 정보 처리 장치(200)에 관한 capability 정보(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처리 장치(200)에서의 소비 전력 모드를 설정하는 제어를 행한다. 이 경우에, 제어부(370)는, 정보 처리 장치(200)에 관한 capability 정보와, 정보 처리 장치(200)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처리 장치(200)에 저소비 전력 모드를 설정하는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200)의 제어부(240)는, 정보 처리 장치(200)에 관한 capability 정보에 기초하는 정보 처리 장치(300)로부터의 제어에 기초하여 소비 전력 모드를 설정한다. 또한, 본 기술의 실시 형태에서는 소스 기기를 2대로 한 토폴로지에서의 일례를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은 본 기술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2대 이상이면, 대수분의 데이터 전송 속도 제어를 행할 필요가 있고, 상태 천이가 많기 때문에, 제어가 어려워지지만, 유익하다. 2대 이상의 소스 기기가 접속하는 토폴로지에서도 대응할 수 있다.
<2. 제2 실시 형태>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한 소스 기기 및 싱크 기기간의 접속과, 소스 기기 및 싱크 기기간의 다이렉트 접속을 전환하는 예를 나타낸다.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
도 17은,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통신 시스템(700)의 시스템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통신 시스템(700)은, 액세스 포인트(701)와, 네트워크(702)와, 정보 처리 장치(703, 704, 710, 720, 730)와, 표시 장치(731)와, 제어 장치(740)를 구비한다.
액세스 포인트(701)는, 무선 LAN(예를 들어, Wi-Fi)의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이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701)는, IEEE802.11 규격의 Infrastructure 모드의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액세스 포인트(701)는, 1 또는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예를 들어, 송신측의 정보 처리 장치(소스 기기), 수신측의 정보 처리 장치(싱크 기기))에 접속된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701)는, 유선 회선(예를 들어, Ethernet(등록 상표))을 경유하여 정보 처리 장치(730)와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701)는, 네트워크(702)를 경유하여 정보 처리 장치(730)와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701)는, 정보 처리 장치(730)의 내부 버스와 접속하여 처리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정보 처리 장치(730)의 내부 버스는,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PCI(Peripheral Components Interconnect), PCI Express이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701)와 정보 처리 장치(730)의 접속은 유선이 아니라, 무선 접속(예를 들어, 무선 LAN)으로 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무선 LAN의 경우, 네트워크(702)는 정보 처리 장치(730)에 접속되며, 정보 처리 장치(730)는, 액세스 포인트(701)와의 송수신 처리인지, 정보 처리 장치(710)와의 송수신 처리인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액세스 포인트(701)와 정보 처리 장치(703, 704, 710, 720)는, 무선 LAN(예를 들어, IEEE802.11a/b/g/n/ac/ad에 상당하는 무선 LAN)을 사용하여 접속하는 예를 나타낸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701)와 정보 처리 장치(730)는, Ethernet 회선에서 접속하는 예를 나타낸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703, 704, 710, 720)를 송신측의 정보 처리 장치(소스 기기)로 하고, 정보 처리 장치(730)를 수신측의 정보 처리 장치(싱크 기기)로 하는 예를 나타낸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703, 704, 710, 720)는, 도 2에 도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200)에 대응하고, 정보 처리 장치(730)는, 도 3에 도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300)에 대응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소스 기기로서, 주로, 정보 처리 장치(710)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정보 처리 장치(703, 704, 72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인 것으로 한다.
정보 처리 장치(710)는, 화상을 송신하는 송신측의 정보 처리 장치(소스 기기)이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710)는, Infrastructure 모드에서, 액세스 포인트(701)와의 접속이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이다.
여기서, Infrastructure 모드에서, 정보 처리 장치(710)가 액세스 포인트(701)와의 접속을 행하는 접속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정보 처리 장치(710)는, 액세스 포인트(701)로부터 송신되는 비콘 신호에 대하여, 접속 요구 신호를 액세스 포인트(701)에 송신한다. 이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710)는, 접속 요구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액세스 포인트(701)와의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동작(접속 확립 동작)을 개시한다.
이 접속 확립 동작은, 레이어 2의 레벨을 연결하기 위한 동작이다. 예를 들어, 무선 LAN에서 행해지고 있는 PID(Packet Identification)에 의한 패스워드 인증 외에, 정보 처리 장치(710)를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접속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접속 인증 처리도 필요하게 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710)는, 정보 처리 장치(730)와 P2P 다이렉트 통신(예를 들어, WiFi Direct)에 의해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710)는, 정보 처리 장치(730)와 WiFi Direct에 의해 접속하고, Wi-Fi CERTIFIED Miracast나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화상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토콜을 갖는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710)는, 액세스 포인트(701)와 접속하여, 액세스 포인트(701)를 경유하여 정보 처리 장치(730)와의 사이에서, 각종 정보의 교환만을 행하는 대기 장치로 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710)를 대기 장치로서만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710)는, 화상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토콜을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정보 처리 장치(730)는, 액세스 포인트(701), 정보 처리 장치(703, 704, 710, 720), 제어 장치(740)와 접속하기 위한 통신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730)는, 액세스 포인트(701), 정보 처리 장치(703, 704, 710, 720), 제어 장치(740)와 접속하여 전체의 프로토콜을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730)는, 구내 LAN이나 글로벌 LAN과 접속하기 위한 통신 기능을 구비한다.
여기서, 정보 처리 장치(730)와, 정보 처리 장치(703, 704, 710, 720)와의 접속을 안정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로 인해, 액세스 포인트(701)가 사용하고 있는 무선 주파수와는 상이한 주파수를, 정보 처리 장치(730)와, 정보 처리 장치(703, 704, 710, 720)와의 접속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서는, IEEE802.11a/b/g/n/ac/ad 등의 2.4GHz대, 5GHz대, 60GHz 등의 주파수대를 사용하는 예를 나타낸다. 단, 다른 무선 규격, 주파수대를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730)는, 화상을 표시시키는 표시 기능을 구비한다. 이 표시 기능은, TV(텔레비전)나 프로젝터 등의 화면 표시를 행하는 기능이다. 정보 처리 장치(730)는, 정보 처리 장치(730)가 구비하는 표시부에 화상을 표시시키도록 해도 되고, 외부의 표시 장치에 화상을 표시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730)와는 별체형의 표시 장치(731)를 설치하는 예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730)와는 별체형의 표시 장치(731)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730) 및 표시 장치(731)간을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730) 및 표시 장치(731)간을 유선 접속하는 경우에는, 유선 케이블(예를 들어, HDMI(등록 상표)(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나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DisplayPort, USB3.0)을 이용하여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730) 및 표시 장치(731)간을 무선 접속하는 경우에는, 무선 LAN을 이용하여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730)에 접속하는 표시 장치는 복수대여도 되는 것으로 한다.
제어 장치(740)는, 통신 시스템(700)을 구성하는 각 정보 처리 장치(정보 처리 장치(703, 704, 710, 720, 730))를 관리하고, 각 정보 처리 장치의 접속을 제어하는 접속 제어 장치이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740)는, 각 정보 처리 장치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단말기 식별 정보, Capability 정보), 각 정보 처리 장치의 동작 상태(예를 들어, 통신 모드, 그룹 참가 상태)를 관리하여 파악한다. 또한, 제어 장치(740)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730)와 접속된다. 이 무선 통신으로서,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730)가 구비하는 통신 방식(예를 들어, 무선 LAN)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적외선, 다른 무선 방식, 유선 회선을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어 장치(740)에 액세스 포인트(701)와 접속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구비하고, 액세스 포인트(701) 경유로 정보 처리 장치(730)와 접속하도록 해도 된다.
[통신 시스템의 설치예]
도 18은,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통신 시스템(700)의 설치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에서는, 대학 교실(30)에 통신 시스템(700)을 설치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8에서는, 인물을 원으로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이 인물에 대응하는 원 내에는 각 인물을 나타내는 명칭을 부여하여 도시한다. 예를 들어, 교실(30)의 교단측(도 18의 상측)에 선생님 1이 존재하고, 이 선생님 1이 제어 장치(740)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교실(30)의 전방측의 좌석(31)에 학생 1이 착석하고, 이 학생 1이 정보 처리 장치(710)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학생 2 내지 20이 좌석(32 내지 35)에 착석하고, 정보 처리 장치(703 내지 705, 720)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교실(30)의 후방측(도 18의 하측)에는, 출입구(36)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교실(30)에 있어서, 좌석(31 내지 35)에 착석하고 있는 학생 1 내지 20이 보이기 쉽도록, 교단측에 표시 장치(731)가 설치된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701), 네트워크(702), 정보 처리 장치(730)는, 교실(30)의 공간을 고려하여, 교실(30)의 내부 또는 교실(30)의 외부에 적절히 설치된다. 이 경우에, 액세스 포인트(701)는, 좌석(31 내지 35)에 착석하는 각 학생에 사용되는 정보 처리 장치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장소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교실(30)에 있어서, 학생이 1명씩 프리젠테이션을 행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에는, 각 학생은, 프리젠테이션에 관한 화상을 표시 장치(731)에 표시시켜 다른 학생에게 보이면서, 프리젠테이션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선생님 1은, 제어 장치(740)를 조작함으로써, 표시 장치(731)의 표시부(732)에 화상을 표시시켜야 할 학생의 정보 처리 장치를 순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 정보 처리 장치의 선택예에 대해서는, 도 2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교실(30)의 출입구(36) 부근에는, 리더/라이터 장치(37)가 설치된다. 리더/라이터 장치(37)는, 근거리 무선 통신(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을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와의 사이에서 각종 정보의 교환을 행하는 것이다. 또한, 리더/라이터 장치(37)는, 정보 처리 장치와의 사이에서 교환된 정보를, 무선 회선 또는 유선 회선을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730)에 송신한다. 또한, 리더/라이터 장치(37)를 사용하는 예에 대해서는, 본 기술의 제3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다.
[제어 장치의 구성예]
도 19는,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제어 장치(740)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제어 장치(740)는, 안테나(741)와, 무선 통신부(742)와, 입출력부(743)와, 조작 접수부(746)와, 제어부(747)와, 그룹 관리 정보 유지부(750)를 구비한다.
무선 통신부(742)는, 제어부(747)의 제어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730)와의 사이에서 각 정보의 송수신을 안테나(741)를 통하여 행하는 것이다.
조작 접수부(746)는, 유저에 의해 행해진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 접수부이며, 접수된 조작 입력에 따른 조작 정보를 제어부(747)에 출력한다. 조작 접수부(746)는,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에 의해 실현된다.
입출력부(743)는, 제어부(747)의 제어에 기초하여 각종 화상을 표시부(744)에 표시함과 함께, 표시부(744)의 표시면에 근접 또는 접촉하는 물체의 검출 상태에 기초하여 유저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입력부(745)에 의해 접수한다. 또한, 입력부(745)는, 접수된 조작 입력에 따른 제어 정보를 제어부(747)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 입출력부(743)는, 표시부(744) 및 입력부(745)가 일체로서 구성된다. 입출력부(743)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그 손가락을 표시면에 접촉 또는 근접시킴으로써 조작 입력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터치 패널을 사용하여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유저는 표시부(744)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 등의 접촉 조작(또는, 근접 조작)을 행함으로써 제어 장치(740)의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입력부(745)로서, 도전성을 갖는 물체(예를 들어, 인물의 손가락)의 접촉 또는 근접을, 정전 용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검출하는 정전식(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정전식(정전 용량 방식) 이외의 다른 터치 패널을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감압식(저항막압식)이나 광식 등의 터치 패널을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747)는, 제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740)의 각 부를 제어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747)는, Wi-Fi CERTIFIED Miracast 사양에 따라 싱크 기기 및 복수의 소스 기기간에서 리얼타임 화상 전송을 행하는 경우에, 통신 모드를 소스 기기에 설정하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이 경우에, 제어부(747)는, 복수의 소스 기기를 나타내는 화상을 입출력부(743)에 표시시키고, 입출력부(743)에서의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통신 모드를 소스 기기에 설정하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또는, 제어부(747)는, 소정 순서에 기초하여 통신 모드를 소스 기기에 설정하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여기서, 소정 순서는, 예를 들어 도 22에 도시하는 주변 채널 영역(734)에 배열하여 표시되는 화상의 순서로 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가 복수인 경우에는, 제어부(747)는, 각 표시 장치에의 전체 화면 표시나 전환 표시 등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그룹 관리 정보 유지부(750)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730)에 접속되는 각 소스 기기를 그룹 단위로 관리하기 위한 정보(그룹 관리 정보)를 유지하는 테이블이다. 또한, 그룹 관리 정보 유지부(750)의 유지 내용에 대해서는, 도 2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룹 관리 정보 유지부의 유지 내용예]
도 20은,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그룹 관리 정보 유지부(750)의 유지 내용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룹 관리 정보 유지부(750)에는, 단말기 식별 정보(751)와, 유저 정보(752)와, 통신 모드(753)와, 그룹 참가 상태(754)와, 옥외 사용(755)과, 그룹 참가 가능 시간(756)이 관련지어 유지된다.
단말기 식별 정보(751)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300)에 접속되는 소스 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가 저장된다.
유저 정보(752)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300)에 접속되는 소스 기기를 소유하는 유저에 관한 정보(유저 정보)가 저장된다. 이 유저 정보로서, 예를 들어 유저의 성명, 닉네임, 식별 정보(예를 들어, 학적 번호, 사원 번호, 회원 번호), 화상(예를 들어, 유저의 얼굴 화상, 유저의 초상화)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유저 정보(752)에 저장되어 있는 유저 정보는, 입출력부(743)에 표시된다. 또한, 유저 정보는, 예를 들어 소스 기기를 소유하는 유저에 의해, 제어 장치(740)에 미리 등록해 둘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300)에 접속될 때마다, 제어 장치(740)에 등록하도록 해도 된다.
통신 모드(753)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300)에 접속되는 소스 기기에 설정되어 있는 통신 모드가 저장된다. 이 통신 모드로서, 예를 들어 대기 모드, 화상 송신 모드(중앙 채널), 화상 송신 모드(주변 채널) 중 어느 하나가 저장된다. 이들 각 통신 모드에 대해서는, 도 2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룹 참가 상태(754)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300)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740)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소스 기기에 대해서는, 정보 처리 장치(300)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도 상정된다. 이로 인해, 그룹 참가 상태(754)를 참조함으로써, 제어 장치(740)에 등록되어 있지만, 정보 처리 장치(300)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소스 기기를 파악할 수 있다.
옥외 사용(755)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300)에 접속되는 소스 기기가 특정한 액세스 포인트 이외의 기지국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즉, 옥외 사용(755)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300)에 접속되는 소스 기기가, 특정한 장소 이외의 장소로 이동한 경우에도 그 소스 기기를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그룹 참가 가능 시간(756)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300)에 접속되는 소스 기기가 그룹에 참가하는 것이 가능한 시간대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기밀성이 높은 발표나 회의, 중요도가 높은 발표나 회의, 외부에 공개하고 싶지 않은 미팅 등을 행하는 시간대에 대해서는, 일부 유저를 불허가로 할 수 있다.
[제어 장치의 표시예]
도 21은,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제어 장치(740)의 입출력부(743)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입출력부(743)에는, 제어 장치(740)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1 또는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화상(선생님 1, 학생 1 내지 20)이 표시된다. 또한, 입출력부(743)에는, 프리젠테이션 영역(748) 및 대기 영역(749)이 설정된다.
도 21에서는,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학 교실(30)에 통신 시스템(700)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교실(30)에 존재하는 선생님 1과 학생 1 내지 20을 나타내는 화상(예를 들어, 아이콘)이 표시된다. 또한, 도 21에서는, 선생님을 나타내는 화상에 대응하는 직사각형 내에는, 선생님이라는 문자와 함께 선생님을 식별하기 위한 숫자를 부여하여 도시한다. 또한, 학생을 나타내는 화상에 대응하는 직사각형 내에는, 학생이라는 문자와 함께 학생을 식별하기 위한 숫자를 부여하여 도시한다. 또한, 학생을 식별하기 위한 다른 정보(예를 들어, 학적 번호, ID, 얼굴 화상, 성명, 닉네임)를 부여한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도 21에서는, 학생 1 내지 20을 나타내는 화상을, 학생에게 부여된 번호 순서대로 격자형으로 배치하는 예를 도시하지만, 다른 배치로 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각 학생이 존재하는 장소에 따른 배치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학생이 소유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위치 정보(예를 들어, 위도 및 경도)를 취득하고, 이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각 정보 처리 장치의 절대적인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정된 각 정보 처리 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각 정보 처리 장치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여 각 학생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각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에 의해 위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각 정보 처리 장치의 상대적인 위치에 대해서는, 전파를 이용하여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730)는,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전파 강도를 취득하고, 이들 전파 강도에 기초하여, 삼각 측량의 측량 방법을 이용하여,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상대적인 위치(자장치의 위치)를 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해진 상대적인 위치를 제어 장치(740)가 취득하여, 각 학생을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그룹에 참가하고 있는 각 소스 기기는, 소비 전력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로, 액세스 포인트(701) 또는 정보 처리 장치(730)에 커맨드를 발신하는 등의 처리를 행한다. 이 커맨드를 직접 수신한 경우, 또는 액세스 포인트(701)를 경유하여 간접적으로 수신한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730)는, 커맨드를 수신한 소스 기기에 관한 정보를 제어 장치(740)에 통지한다. 이에 의해, 제어 장치(740)는, 소스 기기가 그룹으로부터 이탈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740)는, 그룹에 참가하고 있는 소스 기기가 그룹으로부터 이탈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이탈한 소스 기기를 검출한 경우에는, 그 이탈한 소스 기기에 대응하는 화상(예를 들어, 아이콘)을 입출력부(743)로부터 삭제한다. 예를 들어, 도 21에 도시하는 학생 17에 대응하는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커맨드를, 소정 시간 이상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제어 장치(740)는, 학생 17에 대응하는 정보 처리 장치가 그룹으로부터 이탈하였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740)는, 그 이탈한 정보 처리 장치에 대응하는 화상(학생 17)을 입출력부(743)로부터 삭제한다.
프리젠테이션 영역(748)은, 대기 모드로부터 화상 송신 모드(중앙 채널, 주변 채널)로 전환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영역이다.
대기 영역(749)은, 화상 송신 모드로부터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영역이다.
또한,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730)에 접속되어 있는 1 또는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를 제어 장치(740)가 관리하고, 제어 장치(740)의 입출력부(743)에 각 정보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는 예를 나타낸다. 단, 정보 처리 장치(730)에 접속되어 있는 1 또는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를, 정보 처리 장치(730)가 관리하고, 정보 처리 장치(730)의 표시부 또는 표시 장치(731)에 각 정보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표시 장치의 표시예]
도 22는,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표시 장치(731)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의 천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에서는, 소스 기기의 통신 모드에 따라 전환되는 표시 화면의 천이예를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스 기기가 싱크 기기와 접속되어 있는 상태(그룹에의 참가가 허가된 경우)에서는, 소스 기기에 있어서 대기 모드 및 화상 송신 모드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모드가 설정된다.
여기서, 화상 송신 모드는, 소스 기기로부터 싱크 기기로의 화상 송신을 행하는 통신 모드이며, 소스 기기 및 싱크 기기간이 P2P에 의해 직접 접속된다. 화상 송신 모드는, 중앙 채널의 화상을 송신하는 화상 송신 모드(중앙 채널)와, 주변 채널의 화상을 송신하는 화상 송신 모드(주변 채널)를 포함한다.
화상 송신 모드(중앙 채널)는, 싱크 기기의 표시부에서의 중앙 채널(중앙 채널 영역(733))에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한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통신 모드이다. 화상 송신 모드(중앙 채널)에서는, 예를 들어 고주파 대역의 무선 전송로에서 화상 데이터가 송신된다.
화상 송신 모드(주변 채널)는, 싱크 기기의 표시부에서의 중앙 채널(주변 채널 영역(734))에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한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통신 모드이다. 화상 송신 모드(주변 채널)에서는, 예를 들어 저주파 대역의 무선 전송로에서 화상 데이터가 송신된다.
또한, 대기 모드는, 소스 기기로부터 싱크 기기로의 화상 송신을 행하지 않고, 소스 기기 및 싱크 기기간에서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한 접속 상태가 유지되는 통신 모드이다. 즉, 대기 모드는, 싱크 기기 및 제어 장치(740)에 의해 네트워크 참가자로서 인식되고 있을 때에 설정되는 모드이다.
이와 같이, 화상 송신 모드에서는, 소스 기기로부터 싱크 기기로의 화상 송신을 행할 수 있지만, 대기 모드에서는, 소스 기기로부터 싱크 기기로의 화상 송신을 행할 수 없는 것으로 한다. 단, 대기 모드에서도 간단한 메시징 등이면, 소스 기기로부터 싱크 기기로의 송신을 행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소스 기기에 있어서, 예를 들어 대기 모드→화상 송신 모드(주변 채널)→화상 송신 모드(중앙 채널)→대기 모드…와 같이, 통신 모드가 순차적으로 전환되는 것으로 한다.
도 22의 a에는, 정보 처리 장치(710)에 있어서 대기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의 표시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710)에 있어서 대기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710)는, 액세스 포인트(701)를 경유하여 정보 처리 장치(730)와 접속된다. 이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710)로부터 정보 처리 장치(730)로의 화상 송신은 행해지지 않는다. 이로 인해, 표시 장치(731)의 표시부(732)에는, 정보 처리 장치(710)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달리는 말)이 표시되지 않는다.
도 22의 b에는, 정보 처리 장치(710)에 있어서 화상 송신 모드(주변 채널)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의 표시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710)에 있어서 화상 송신 모드(주변 채널)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710)는, 액세스 포인트(701)를 경유하지 않고 정보 처리 장치(730)와 접속된다. 이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710)로부터 정보 처리 장치(730)로의 화상 송신이 행해진다. 그리고, 표시 장치(731)의 표시부(732)에서의 주변 채널 영역(734)에는, 정보 처리 장치(710)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달리는 말)이 표시된다.
여기서, 주변 채널 영역(734)에는, 중앙 채널 영역(733)에 화상이 표시되는 순서로, 각 소스 기기의 화상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주변 채널 영역(734)의 가장 하측에 표시되는 화상을 송신하고 있는 소스 기기가, 이어서 중앙 채널 영역(733)에 화상을 표시하는 소스 기기로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주변 채널 영역(734)의 밑에서부터 2번째에 표시되는 화상을 송신하고 있는 소스 기기가, 그 다음에, 중앙 채널 영역(733)에 화상을 표시하는 소스 기기로 된다. 즉, 프리젠테이션의 순서에 따라, 주변 채널 영역(734)에 화상(서브 화상)을 배열하여 표시시킬 수 있다.
도 22의 c에는, 정보 처리 장치(710)에 있어서 화상 송신 모드(중앙 채널)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의 표시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710)에 있어서 화상 송신 모드(중앙 채널)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710)는, 액세스 포인트(701)를 경유하지 않고 정보 처리 장치(730)와 접속된다. 이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710)로부터 정보 처리 장치(730)로의 화상 송신이 행해진다. 그리고, 표시 장치(731)의 표시부(732)에서의 중앙 채널 영역(733)에는, 정보 처리 장치(710)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달리는 말)이 표시된다.
[소스 기기의 통신 모드의 전환예]
여기서, 소스 기기의 통신 모드(대기 모드, 화상 송신 모드)를 전환하는 경우의 전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다음 (B1) 내지 (B3)을, 소스 기기의 통신 모드의 전환 트리거로 할 수 있다.
(B1) 소스 기기를 사용한 전환(예를 들어, 소스 기기를 사용한 유저 조작에 의한 능동적인 전환)
(B2) 제어 장치를 사용한 전환(예를 들어, 제어 장치(740)를 사용한 유저 조작에 의한 전환(원격 조작 전환))
(B3) 싱크 기기를 사용한 전환(예를 들어, 싱크 기기를 사용한 유저 조작에 의한 전환)
또한, 각 장치에서의 유저 조작(전환 조작)은, 예를 들어 각 장치가 구비하는 조작 접수부(예를 들어, 조작 부재, 터치 패널)를 사용한 유저 조작이나, 각 장치가 구비하는 유저 정보 취득부(예를 들어, 제스처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사용한 유저 조작이다.
(B1)은, 예를 들어 소스 기기에 미리 내장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이나 조작 부재의 조작 입력을 전환 트리거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기기에 있어서 전환 조작이 행해지면, 통신 모드의 전환에 관한 커맨드가 싱크 기기(정보 처리 장치(730))에 송신된다. 이 커맨드를 수신한 경우에는, 싱크 기기(정보 처리 장치(730))는, 그 밖의 대역을 포함시켜 제어하면서, 그 커맨드를 송신한 소스 기기의 대역을 증감시켜 가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 싱크 기기(정보 처리 장치(730))는, 그 커맨드를 송신한 소스 기기의 통신 모드를 전환한 취지의 정보를 제어 장치(740)에 송신한다. 이 경우에, 제어 장치(740)는, 통신 모드를 전환한 취지의 통지 정보를 출력(표시, 음성 출력)하도록 해도 된다.
(B2)는, 예를 들어 싱크 기기(정보 처리 장치(730))에서의 유저 조작을 전환 트리거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싱크 기기(정보 처리 장치(730))에 있어서 소스 기기의 전환 조작이 행해지면, 그 밖의 대역을 포함시켜 제어하면서, 그 전환 조작이 행해진 소스 기기의 대역을 증감시켜 가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 싱크 기기(정보 처리 장치(730))는, 그 전환 조작이 행해진 소스 기기의 통신 모드를 전환한 취지의 정보를 제어 장치(740)에 송신한다. 이 경우에는, (B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어 장치(740)는, 통신 모드를 전환한 취지의 통지 정보를 출력하도록 해도 된다.
(B3)은, 예를 들어 제어 장치(740)에서의 유저 조작을 전환 트리거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740)에 있어서 소스 기기의 전환 조작이 행해지면, 그 전환 조작이 행해진 소스 기기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단말기 식별 정보)를 싱크 기기(정보 처리 장치(730))에 송신한다. 그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싱크 기기(정보 처리 장치(730))는, 그 밖의 대역을 포함시켜 제어하면서, 그 전환 조작이 행해진 소스 기기의 대역을 증감시켜 가는 제어를 행한다.
여기서, 제어 장치(740)에서의 유저 조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도 21에 도시하는 표시 화면에 있어서, 대기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정보 처리 장치(학생 17)를 화상 송신 모드(주변 채널)로 전환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학생 17)에 대응하는 화상을, 프리젠테이션 영역(748)까지 이동시키는 조작을 행한다. 예를 들어, 드래그&드롭 조작을 행한다. 이에 의해, 대기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정보 처리 장치(학생 17)를 화상 송신 모드(주변 채널)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21에 도시하는 표시 화면에 있어서, 화상 송신 모드(중앙 채널, 주변 채널)로 설정되어 있는 정보 처리 장치(학생 13)를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학생 13)에 대응하는 화상을, 대기 영역(749)까지 이동시키는 조작을 행한다. 예를 들어, 드래그&드롭 조작을 행한다. 이에 의해, 화상 송신 모드(중앙 채널, 주변 채널)로 설정되어 있는 정보 처리 장치(학생 13)를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B1), (B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어 장치(740)는, 통신 모드를 전환한 취지의 통지 정보를 출력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어 장치(740)는, 각 정보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화상(예를 들어, 도 21에 도시하는 학생 1 내지 20)을, 통신 모드마다 상이한 표시 형태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화상 송신 모드(중앙 채널)로 설정되어 있는 정보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화상의 윤곽을 굵은 선으로 하고, 화상 송신 모드(주변 채널)로 설정되어 있는 정보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화상의 윤곽을 가는 선으로 한다. 또한, 대기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정보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화상의 윤곽을 점선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화상 송신 모드(중앙 채널)로 설정되어 있는 정보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화상의 색을 적색으로 하고, 화상 송신 모드(주변 채널)로 설정되어 있는 정보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화상의 색을 청색으로 한다. 또한, 대기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정보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화상의 색을 백색으로 할 수 있다.
[통신 모드의 전환예]
도 23은, 본 기술의 기초로 되는 소스 기기 및 싱크 기기간에 있어서의 통신 모드의 전환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대기 모드에서는, 액세스 포인트(611)를 경유하여 소스 기기(610) 및 싱크 기기(612)를 간접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방식을 채용한다. 또한, 화상 송신 모드에서는, 액세스 포인트(611)를 경유하지 않고 소스 기기(610) 및 싱크 기기(612)를 직접 접속하는 접속 방식을 채용한다.
예를 들어, 대기 모드에서의 접속(613)으로부터 화상 송신 모드에서의 접속(614)으로 전환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즉, 액세스 포인트(611)를 경유하여 접속되는 대기 모드(613)로부터, 액세스 포인트(611)를 경유하지 않고 접속되는 화상 송신 모드(614)로 전환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와 같이 전환을 행하는 경우에는, 도 24에 도시하는 Wi-Fi Direct 제어(P2P Device Discovery, P2P Service Discovery, GO Negociation), 무선 LAN의 시큐리티 인증을 행하는 4Way 핸드쉐이크(Handshake), IP(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를 취득하는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액세스, RTSP(Real Time Streaming Protocol)의 포트 설정의 교환 등을 행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대기 모드에서의 접속(613)으로부터 화상 송신 모드에서의 접속(614)으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수초 정도의 접속 시간(D1)이 발생한다.
여기서, 액세스 포인트(611) 및 소스 기기(610)간, 소스 기기(610) 및 싱크 기기(612)간이, 동일한 그룹 인증 내인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에는, 액세스 포인트(611) 및 소스 기기(610)간에서 시큐리티 인증이 행해지고 있다. 이로 인해, 액세스 포인트(611) 및 소스 기기(610)간의 설정값을, 소스 기기(610) 및 싱크 기기(612)간의 접속 처리에 사용해도 시큐리티상 문제가 없다고 상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소스 기기 및 싱크 기기간의 시큐리티 인증을 생략하여, 보다 연속적인 접속 전환을 행하는 예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HDCP(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 system)의 IP 취득,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의 포트 설정 등의 처리를 유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접속 방식이 상이한 통신 모드로의 전환(대기 모드로부터 화상 송신 모드로의 전환, 화상 송신 모드로부터 대기 모드로의 전환)을 행하는 경우에도, 신속한 접속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저에게 접속이 계속되고 있는 것 같이 느끼게 할 수 있다.
또한, 소스 기기 및 싱크 기기가 TDLS(Tunneled Direct Link Setup) 기능에 대응하고 있는 경우에는, TDLS 프로토콜을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접속 처리예]
도 24는,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소스 기기 및 싱크 기기간에서 행해지는 접속 처리예를 도시하는 시퀀스 차트이다. 또한, 도 24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소스 기기)(710) 및 정보 처리 장치(싱크 기기)(730)간에 있어서의 접속 처리예를 도시한다.
처음에, 정보 처리 장치(710)는 Device Discovery를 행한다(615). 이 Device Discovery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730)가 검출되면, 정보 처리 장치(710)는, 정보 처리 장치(730)와의 사이에서, Formation에 의해 친자 관계의 결정이나 인증 처리를 행한다(620). 이들 각 처리가 완료되면, 정보 처리 장치(710) 및 정보 처리 장치(730)간의 접속이 확립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710)는, 정보 처리 장치(730)와의 사이에서 다이렉트 통신(Operation)을 행한다(616).
여기서, Formation(6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처음에, 정보 처리 장치(710) 및 정보 처리 장치(730)간에서, GO_Negotiation이 행해진다. 이 GO_Negotiation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710) 및 정보 처리 장치(730)의 각각이, 그룹 오너(GO)로서 동작하는 우선도를 교환하고, 우선도가 높은 정보 처리 장치가 그룹 오너(GO)로서 동작하는 것을 결정한다. 도 24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730)의 우선도가 높아, 정보 처리 장치(730)가 그룹 오너(GO)로서 결정되는 예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정보 처리 장치(710)가 GO_Negotiation_Request를 정보 처리 장치(730)에 송신한다(621). 이 GO_Negotiation_Request를 수신하면(621), 정보 처리 장치(730)는, GO_Negotiation_Response를 정보 처리 장치(710)에 송신한다(622). 이 GO_Negotiation_Response를 수신하면(622), 정보 처리 장치(710)는, GO_Negotiation_Confirmation을 정보 처리 장치(730)에 송신한다(623).
이들 교환(621 내지 623))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730)가 그룹 오너(GO)로서 결정되고, 정보 처리 장치(710)가 클라이언트로서 결정된다.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710) 및 정보 처리 장치(730)는, WPS(Wi-Fi Protected Access)_exchange를 실행한다(624). 이 WPS_exchange의 실행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710) 및 정보 처리 장치(730)는, 크레덴셜(예를 들어, SSID(Service Set Identifier), WPS2(Wi-Fi Protected Access 2)-PSK(Pre-Shared Key)를 공유한다.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710) 및 정보 처리 장치(730)는, 4-way_handshake를 실행한다(625).
[통신예]
도 25 및 도 26은,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통신 시스템(700)을 구성하는 각 장치간에 있어서의 통신 처리예를 도시하는 시퀀스 차트이다. 또한, 도 25 및 도 26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소스 기기)(710), 정보 처리 장치(싱크 기기)(730), 액세스 포인트(701)간에 있어서의 통신 처리예를 도시한다.
또한, 도 25 및 도 26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싱크 기기)(730)가 그룹 인증 서버로서 기능하는 예를 도시한다. 즉, 정보 처리 장치(싱크 기기)(730)는, 그룹 인증 기능을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도 34 내지 도 38은,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통신 시스템(700)을 구성하는 각 장치간에 의해 교환되는 WFD IE 포맷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9는,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통신 시스템(700)을 구성하는 각 장치간에 의해 교환되는 ASP(Application Service Platform)용 신규 메시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처음에, 정보 처리 장치(710)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730)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정보 처리 장치(710)에 미리 인스톨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된다(631). 이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은, 예를 들어 유저 조작(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버튼의 누름 조작)에 의해 행해진다.
여기서, 도 25 및 도 26에서는, 디폴트로, 소스 기기가 액세스 포인트에 직접 접속한 후에 각 처리를 개시하는 예를 도시한다. 즉, 정보 처리 장치(710)는, 미리 인스톨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고, 특정한 액세스 포인트(액세스 포인트(701)) 경유로 싱크 기기(정보 처리 장치(730))에의 접속 요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정보 처리 장치(710)는, 액세스 포인트(701)에 접속한 후에, 기기 발견(도 24에 도시하는 Device Discovery(615)에 상당)을 행하고, 접속 가능한 싱크 기기를 표시부(711)에 표시시킨다.
여기서, 기기 발견의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WiFi Direct의 프로토콜을 액세스 포인트(701) 경유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하고, Probe Request 등의 메시지를 수신하여, 기기 발견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701)에 접속된 Station간에서 UPnP(Universal Plug and Play)로 대표되는 Device Service Type를 교환하여, 기기 발견을 행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는, Device Discovery 또는 Service Discovery의 제어 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정보 처리 장치(710)(소스 기기)는, 액세스 포인트(701)를 경유하여, 정보 처리 장치(730)(싱크 기기)에 Probe Request를 송신하고, P2P 접속 가능한 장치를 서치한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730)(싱크 기기)가 P2P 접속 가능한 장치인 경우에는, 액세스 포인트(701)를 경유하여, Probe Response를 수신함으로써, P2P 접속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채널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는, 정보 처리 장치(730)(싱크 기기)가 P2P 접속 가능한 기기임을 상정하고, Probe Response를 수신할 수 있었던 것을 전제로 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처리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710)(소스 기기)는, 정보 처리 장치(730)(싱크 기기)와 P2P 접속하기 위한 주파수 채널을 파악하고, P2P 접속의 커넥션을 확립한다.
P2P 접속의 커넥션을 확립한 후, 정보 처리 장치(710)(소스 기기)는, 정보 처리 장치(730)(싱크 기기)와 TCP 커넥션 또는 RTSP 커넥션의 링크를 확립한 후에, 다음 (C1) 내지 (C4)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교환을 행한다.
(C1) P2P IE(Information Element)
(C2) WFD IE(Information Element)
(C3) ASP(Application Service Platform)(예를 들어, ASP의 포맷 커맨드로 신규 포맷)
(C4) UPnP 표준에서의 프로토콜
예를 들어, Probe Request나 Probe Response의 페이로드 부분에 WFD IE를 캡슐화시켜, 교환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C2)의 WFD IE를 사용한 포맷예를, 도 34 내지 도 38에 도시한다. 도 34 내지 도 36은, 이미 Miracast Release1로 할당되어 있는 포맷이다. 단, 도 36에 도시하는 Subelement ID(11)에, 신규 비트를 할당한다. 구체적으로는, 이 Subelement ID(11)에 대응하는 신규 Field에 대해서는, 도 37, 도 38에 도시한다.
도 38에 있어서, New Device Information 필드의 [5:0]은, 정보 처리 장치(730)(싱크 기기)가 P2P 접속에 있어서, 최적의 주파수 채널을 판단하기 위한 정보이다.
상술한 (C1) 내지 (C3)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한 시퀀스 과정에서, 정보 처리 장치(710)(소스 기기)는, 각 정보를 파악함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730)(싱크 기기)와의 P2P 접속에 있어서, 최적의 주파수 채널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701) 및 정보 처리 장치(730)(싱크 기기)간의 어소시에이트된 주파수 정보(도 38에 도시하는 [23:14]의 필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730)(싱크 기기)의 무선 회선의 컨커런트 정보(도 38에 도시하는 [5:2]의 필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컨커런트 정보는, 예를 들어 동일한 주파수 채널의 시분할 접속, 다른 주파수 채널의 시분할 접속, 동일한 주파수 채널의 동시 접속, 다른 주파수 채널의 동시 접속 등의 접속 형태가 가능한지 여부의 정보이다(도 38에 도시하는 [5:2]의 필드). 또한, 예를 들어 무선 기능으로서의 단말기 능력(도 38에 도시하는 [13:8]의 필드)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701) 및 정보 처리 장치(730)(싱크 기기)간이 Ethernet 케이블이나 USB 케이블ㆍ커넥터와 같이 유선 접속 또는 커넥터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정보 처리 장치(730)(싱크 기기)가, 액세스 포인트(701)와의 접속이 유선인 것(도 38에 도시하는 [1:0])과, P2P 접속용 무선을 구비하는지 여부를 정보 처리 장치(710)(소스 기기)에 통지한다. 이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710)(소스 기기)는, 최적의 주파수 채널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730)(싱크 기기)가 유선 회선에만 대응하는 경우에는, P2P 접속으로 이행하지 않고 그대로 액세스 포인트(701)와 접속한다. 한편, 정보 처리 장치(730)(싱크 기기)가 무선 회선에도 대응하는 경우에는, 서포트하는 주파수 채널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이 Probe Request나 Probe Response의 페이로드 부분에 WFD IE를 캡슐화시킨 예이지만, 본 기술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Wi-Fi Direct Services의 Display Servie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ASP 준거의 메시지를 통하여 디바이스간에서 Service Capability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WFD IE에 포함되는 정보를, 4bit마다 구획하여 16진법수로 한 것을 text string으로 한 것을 송수신한다. 또한, WFD IE에 포함되는 정보는 현시점의 사양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39에 도시하는 Service Capability 정보를 페이로드에 포함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어소시에이트된 주파수 정보, 디바이스의 컨커런트 정보의 네고시에이션은, Device Discovery 또는 Service Discovery 처리의 일관으로서 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어소시에이트된 주파수 정보, 디바이스의 컨커런트 정보의 네고시에이션은, 전송 도중에 주파수 채널 변경이 필요한 때에 리네고시에이션해도 된다. 또한, 네고시에이션의 개시시에, (C1) 내지 (C4)의 어느 교환이 가능한지를, 정보 처리 장치(710)(소스 기기) 및 정보 처리 장치(730)(싱크 기기)간에서 네고시에이션하고, 어느 방법으로 정보의 교환을 행할지를 선택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각 처리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710)(소스 기기)는, Probe Response를 수신한 후, P2P 접속 링크의 TCP 커넥션 또는 RTSP 커넥션을 확립한 후에 (C1) 내지 (C4)를 행하는 예를 나타내었다. 단, P2P 접속 링크를 확립하기 전에, 액세스 포인트(701)를 경유하여, 정보 처리 장치(710)(소스 기기) 및 정보 처리 장치(730)(싱크 기기)가 접속된 TCP 커넥션 또는 RTSP 커넥션을 사용하여, WFD IE를 포함하는 Probe Request와 Probe Response의 교환을 행해도 된다. 또한, 이 예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710)(소스 기기)가 주도하여 행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정보 처리 장치(730)(싱크 기기)가 주도하여 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각 처리에 상관없이, 상술한 Probe Request에 P2P 접속하기 위한 주파수가 기재되어 있고, 정보 처리 장치(730)(싱크 기기)로부터의 Probe Response를 회신하는 주파수 채널은 Probe Request가 사용한 주파수 채널이 아니어도 된다. 또한, 수신은 P2P 접속 경유로 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의 실시 형태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한 직후에, 기기 발견을 행하는 예를 나타내지만, 본 기술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소스 기기 및 싱크 기기 중 적어도 하나가 NFC의 태그 기능 또는 Reader/Writer 기능을 구비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기기에서 NFC를 사용하여, NFC에 의해 터치된 타이밍에, 상술한 Device Discovery 또는 Service Discovery의 제어 방법을 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에의 접속을 개시할지 여부를 NFC에 의해 터치된 타이밍으로 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C1) 내지 (C4)의 선택 기준을 NFC를 통하여 정보 처리 장치(710)(소스 기기) 및 정보 처리 장치(730)(싱크 기기)간에서 행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다음 (D1), (D2)의 전환에 NFC의 터치 타이밍을 사용해도 된다.
(D1) 터치된 타이밍에 액세스 포인트를 절단하여 다이렉트로 접속
(D2) 터치된 타이밍에 TDLS로 접속
또한, 기기 발견 처리에 의해, 기동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싱크 기기가 복수 발견되는 것도 상정된다. 이 경우에는, 소스 기기의 표시부에, 발견된 복수의 싱크 기기로부터 원하는 싱크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화면을 표시시키고, 이 선택 화면에 있어서 유저 조작에 의해 선택시킬 수 있다. 또한, 발견된 복수의 싱크 기기 중, 소스 기기로부터 가장 가까운 기기를 자동적으로 선택하여 접속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가장 가까운 기기를 자동적으로 선택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각 기기에 의해 취득되는 위치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710)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고, 싱크 기기가 선택된다(631). 도 25 및 도 26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730)가 선택된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이와 같이 싱크 기기(정보 처리 장치(730))가 선택되면(631),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도 2에 도시하는 제어부(240)에 상당)는, 액세스 포인트(701) 경유로 싱크 기기(정보 처리 장치(730))에의 접속 요구를 행한다(632 내지 635). 이 접속 요구에는,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710)를 특정하기 위한 식별 정보(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하는 단말기 식별 정보(391))와, 기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특정하기 위한 식별 정보(애플리케이션 정보)가 포함된다.
정보 처리 장치(710)로부터의 접속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는(635), 정보 처리 장치(730)의 제어부(도 3에 도시하는 제어부(370)에 상당)는, 그룹 인증 처리를 행한다(636). 이 그룹 인증 처리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710)에 있어서 기동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동작시키는 그룹에 정보 처리 장치(710)를 참가시킬지 여부가 판단된다(636). 즉, 정보 처리 장치(730)의 제어부는, 정보 처리 장치(710)에 있어서 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기 위한 접속을 정보 처리 장치(710)에 허가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그룹 인증 처리를 행한다(636).
예를 들어, 그룹 인증 처리에서는, 동일한 그룹에 속하고, 또한 이미 접속 상태로 되어 있는 소스 기기, 싱크 기기, 제어 장치(74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710)를 허가하기 위한 유저 조작이 행해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그들 각 장치(소스 기기, 싱크 기기, 제어 장치(74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710)를 허가하기 위한 유저 조작이 행해진 것을 조건으로, 정보 처리 장치(710)를 그룹에 참가시키는 것을 허가하는 판단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장치(소스 기기, 싱크 기기, 제어 장치(740))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부에, 정보 처리 장치(710)를 허가하기 위한 유저 조작을 행하기 위한 표시 화면(예를 들어, 팝업)을 표시시킨다. 그리고, 그 표시 화면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710)를 허가하기 위한 유저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730)의 제어부는, 정보 처리 장치(710)를 그룹에 참가시키는 것을 허가하는 판단을 행한다(636).
또한, 예를 들어 제어 장치(740)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그룹 인증 처리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그룹 관리 정보 유지부(750)의 단말기 식별 정보(751)(도 20에 도시함)에 단말기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서는, 정보 처리 장치(730)의 제어부는, 그룹에 참가시키는 것을 허가하는 판단을 행한다(636). 단, 이 경우에는, 그룹 관리 정보 유지부(750)의 그룹 참가 가능 시간(756)(도 20에 도시함)의 시간 내인 경우에 한하여, 정보 처리 장치(730)의 제어부는, 그룹에 참가시키는 것을 허가하는 판단을 행한다(636).
그룹 인증 처리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710)를 그룹에 참가시키는 것을 허가한다고 판단한 경우에는(636), 정보 처리 장치(730)의 제어부는, 접속 허가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710)에 액세스 포인트(701)를 경유하여 송신한다(637 내지 640)). 여기서, 접속 허가 정보는, 정보 처리 장치(710)에 있어서 기동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동작시키는 그룹에 정보 처리 장치(710)가 참가하는 것을 허가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그룹 인증 처리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710)를 그룹에 참가시키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인증을 불허가로 한 경우)에는(636), 정보 처리 장치(730)의 제어부는, 액세스 포인트(701)를 경유하여 접속 불허가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710)에 송신한다. 여기서, 접속 불허가 정보는, 정보 처리 장치(710)에 있어서 기동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동작시키는 그룹에 정보 처리 장치(710)를 참가하는 것을 불허가로 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이 접속 불허가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710)가 수신한 경우에는, 데이터 송신 처리의 동작을 종료한다.
정보 처리 장치(730)로부터의 접속 허가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640),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정보 처리 장치(710)에 관한 Capability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730)에 액세스 포인트(701)를 경유하여 송신한다(641 내지 644). 이 Capability 정보는, 정보 처리 장치(730)와의 사이에서 Wi-Fi CERTIFIED Miracast 통신을 행하기 위한 Capability 정보이다. 또한, 이 Capability 정보에는, 정보 처리 장치(730)에 P2P 다이렉트 접속을 행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정보 처리 장치(710)로부터의 Capability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644), 정보 처리 장치(730)의 제어부는, 설정 요구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710)에 액세스 포인트(701)를 경유하여 송신한다(645 내지 648). 이 설정 요구 정보는, Wi-Fi CERTIFIED Miracast 규격에서의 화상 송신을 행하기 위한 설정을 요구하는 정보이다.
여기서, 정보 처리 장치(730)는, 정보 처리 장치(730)와 접속되어 있는 각 소스 기기의 대역 제어 및 표시 화면 제어를 행한다. 이로 인해, 새롭게 접속된 정보 처리 장치(710)에 대하여, 다른 소스 기기와의 관계에 기초하여, 그룹 공유를 가미한 파라미터의 설정을 요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정보 처리 장치(730)는, 정보 처리 장치(710)가 그룹에 참가하는 것이 허가된 후에, 정보 처리 장치(730)와 접속되어 있는 각 소스 기기에 관한 각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처리 장치(710)에 관한 설정 요구 정보를 송신한다(645 내지 648).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730)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정보 처리 장치(710)에 있어서, 최초로 대기 모드가 설정된다. 즉, 정보 처리 장치(730)로부터의 설정 요구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648), 초기 상태로서, 정보 처리 장치(710)에 있어서 대기 모드가 설정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730)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정보 처리 장치(710)에서의 통신 모드가, 대기 모드→화상 송신 모드(주변 채널)→화상 송신 모드(중앙 채널)→대기 모드…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전환된다.
여기서, 상술한 (B1) 내지 (B3) 중 어느 하나의 전환 방법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710)의 통신 모드가 전환된 경우를 상정한다. 여기서는, 정보 처리 장치(710)의 통신 모드가, 대기 모드로부터 화상 송신 모드(주변 채널)로 전환되는 예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화상 송신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는(649),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액세스 포인트(701)를 경유하는 정보 처리 장치(730)에의 액세스를 절단한다(650, 651).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정보 처리 장치(730)와 다이렉트 접속을 행하기 위한 P2P 접속 처리를 행한다(652, 653). 이 P2P 접속 처리가 완료된 후에(652, 653),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정보 처리 장치(730)로부터 수신한 설정 요구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처리 장치(730)에 접속 요구를 행한다(654, 655). 즉,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정보 처리 장치(730)로부터 수신한 설정 요구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처리 장치(730)에 접속 요구를 송신한다(654, 655). 이 접속 요구는, 레이어 3까지의 접속 설정에 관한 접속 요구이다.
접속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는(655), 정보 처리 장치(730)의 제어부는, 그 접속 요구에 대응하는 화상의 수신을 허가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확인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710)에 송신한다(656, 657). 이 확인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657),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정보 처리 장치(730)와의 사이에서 P2P 다이렉트 접속을 개시한다(658, 659).
즉,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수신한 확인 정보에 대응하는 접속 요구에 기초하여, 화상 파라미터나 음성 파라미터의 네고시에이션을 정보 처리 장치(730)와의 사이에서 행하고, 화상 데이터의 송신을 행한다(658, 659).
여기서, 상술한 (B1) 내지 (B3) 중 어느 하나의 전환 방법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710)의 통신 모드가 전환된 경우를 상정한다. 여기서는, 정보 처리 장치(710)의 통신 모드가, 화상 송신 모드(중앙 채널)로부터 대기 모드로 전환되는 예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대기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는(660),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정보 처리 장치(730)와의 다이렉트 접속을 절단한다(661, 662).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액세스 포인트(701)를 경유하여 정보 처리 장치(730)와 접속을 행하기 위한 접속 처리를 행한다(663, 664).
또한, 다이렉트 접속과, 액세스 포인트(701)를 경유한 접속을 전환하는 경우에, 그 접속 시간을 사전에 파악하고, 표시 장치(731)에 마지막으로 표시된 화상을 싱크 기기(정보 처리 장치(730))가 그대로 유지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싱크 기기(정보 처리 장치(730))는, 표시 장치(731)에서의 표시 위치를 변경시키는 처리의 사이에, 커넥션 전환을 행하도록 한다. 즉, 싱크 기기는, 유저가 절단된 것을 알기 어려운 보간 처리를 행하도록 한다. 이에 의해, 물리적으로 발생해 버리는 전환 시간을 유저가 느끼게 하지 않고 전환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소스 기기)의 동작예]
도 27은,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정보 처리 장치(710)에 의한 데이터 송신 처리의 처리 수순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7에서는, 디폴트로, 소스 기기(정보 처리 장치(710))가 액세스 포인트에 직접 접속한 후에 각 처리를 개시하는 예를 도시한다. 즉, 정보 처리 장치(710)는, 미리 인스톨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고, 특정한 액세스 포인트(액세스 포인트(701)) 경유로 싱크 기기에의 접속 요구를 행한다. 또한, 도 27에서는, 싱크 기기로서 정보 처리 장치(730)에 접속되고, 특정한 액세스 포인트로서 액세스 포인트(701)에 접속되는 예를 도시한다.
처음에, 정보 처리 장치(710)에 있어서 싱크 기기(정보 처리 장치(730))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된다(스텝 S1031). 이 기동 후에, 접속 대상으로 될 싱크 기기(정보 처리 장치(730))가 선택된다(스텝 S1031).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액세스 포인트(701)(AP) 경유로 정보 처리 장치(730)에의 접속 요구를 행한다(스텝 S1032).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액세스 포인트(701) 경유로 정보 처리 장치(730)로부터 접속 허가 정보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33). 정보 처리 장치(730)로부터 접속 허가 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1033), 데이터 송신 처리의 동작을 종료한다. 이 경우에는, 소정 시간 이내에 접속 허가 정보를 수신하지 않을 것을 조건으로, 데이터 송신 처리의 동작을 종료하도록 해도 된다.
정보 처리 장치(730)로부터 접속 허가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스텝 S1033),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정보 처리 장치(710)의 Capability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730)에 액세스 포인트(701)를 경유하여 송신한다(스텝 S1034).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액세스 포인트(701) 경유로 정보 처리 장치(730)로부터 설정 요구 정보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35). 또한, 스텝 S1035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제2 수순의 일례이다. 설정 요구 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1035), 감시를 계속해서 행한다.
설정 요구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스텝 S1035), 초기 상태로서, 정보 처리 장치(710)에 있어서 대기 모드가 설정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대기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36).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710)에 있어서 대기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스텝 S1036), 감시를 계속해서 행한다.
대기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화상 송신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는(스텝 S1036),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정보 처리 장치(710)가 그룹으로부터 이탈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37). 여기서, 정보 처리 장치(710)가 그룹으로부터 이탈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710)가 액세스 포인트 또는 싱크 기기의 어느 전파도 도달하지 않는 장소로 이동하는 경우, 그룹으로부터 이탈하기 위한 유저 조작이 행해진 경우가 상정된다. 이 유저 조작은, 예를 들어 이탈 버튼의 누름 조작(예를 들어, 조작 부재의 누름 조작, 터치 패널의 누름 조작)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그 유저 조작은, 정보 처리 장치(710), 다른 소스 기기, 싱크 기기, 제어 장치(74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행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710)가 그룹으로부터 이탈한 경우에는(스텝 S1037), 데이터 송신 처리의 동작을 종료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710)가 그룹으로부터 이탈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1037),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액세스 포인트(701)를 경유하는 정보 처리 장치(730)와의 접속을 절단한다(스텝 S1038).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정보 처리 장치(730)와 다이렉트 접속을 행하기 위한 P2P 접속 처리를 행한다(스텝 S1039). 이 P2P 접속 처리가 완료된 후에(스텝 S1039),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정보 처리 장치(730)로부터 수신한 설정 요구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처리 장치(730)에 접속 요구를 행한다(스텝 S1040). 또한, 스텝 S1040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제3 수순의 일례이다.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그 접속 요구에 대응하는 화상의 수신을 허가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확인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730)로부터 송신 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41). 확인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730)로부터 송신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1041), 감시를 계속해서 행한다.
확인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730)로부터 송신한 경우에는(스텝 S1041),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정보 처리 장치(730)와의 사이에서 P2P 다이렉트 접속을 개시한다(스텝 S1042).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수신한 확인 정보에 대응하는 접속 요구에 기초하여, 화상 파라미터나 음성 파라미터의 네고시에이션을 정보 처리 장치(730)와의 사이에서 행하고, 화상 데이터의 송신을 행한다(스텝 S1043). 또한, 스텝 S1043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제1 수순의 일례이다.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화상 송신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44).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710)에 있어서 화상 송신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스텝 S1044), 스텝 S1043으로 복귀한다.
화상 송신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대기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는(스텝 S1044),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회선이 절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45).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710)가 그룹으로부터 이탈한 경우에는, 액세스 포인트(701) 또는 정보 처리 장치(730)와의 회선이 절단된다. 그리고, 회선이 절단된 경우에는(스텝 S1045), 데이터 송신 처리의 동작을 종료한다.
회선이 절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1045),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정보 처리 장치(730)와의 다이렉트 접속을 절단한다(스텝 S1046).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액세스 포인트(701)와의 접속을 개시한다(스텝 S1047).
이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710)는, Wi-Fi CERTIFIED Miracast 사양에 따라 정보 처리 장치(730)와의 사이에서 리얼타임 화상 전송을 행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액세스 포인트(701)를 경유하여, 리얼타임 화상 전송에 관한 설정을 정보 처리 장치(710)에 행하기 위한 설정 요구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730)로부터 수신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정보 처리 장치(730)와의 다이렉트 통신에 의해 그 설정 요구 정보에 기초하는 설정을 행하기 위한 설정 요구를 정보 처리 장치(730)에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그 설정 요구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701)를 경유하여 정보 처리 장치(710) 및 정보 처리 장치(730)간에서 교환된 Capability 정보(정보 처리 장치(710)에 관한)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접속 상태를 전환하는 경우에는, 전환 전의 접속에 관한 포트 정보 및 IP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접속 처리를 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접속 상태의 전환은, 액세스 포인트(701)를 경유한 정보 처리 장치(730)와의 접속 상태로부터, 다이렉트 통신에 의한 정보 처리 장치(730)와의 접속 상태로의 전환, 또는 그 반대의 전환이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화상 송신 모드(주변 채널)에서는, 표시 장치(731)에서의 주변 채널 영역(734)에 표시시키기 위한 화상의 송신을 저주파 대역의 무선 전송로에서 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화상 송신 모드(주변 채널)에서는, 표시 장치(731)에서의 중앙 채널 영역(733)에 표시시키기 위한 화상의 송신을 고주파 대역의 무선 전송로에서 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각 장치 중 어느 하나에서의 유저 조작에 기초하여 다이렉트 통신에 의해 설정 요구를 정보 처리 장치(730)에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또는,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소정 순서(예를 들어, 주변 채널 영역(734)에 배열하여 표시되어 있는 화상의 순서)에 기초하여, 다이렉트 통신에 의해 설정 요구를 정보 처리 장치(730)에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730)의 제어부는, 액세스 포인트(701)를 경유하여, 리얼타임 화상 전송에 관한 설정을 정보 처리 장치(710)에 행하기 위한 설정 요구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710)에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730)의 제어부는, 정보 처리 장치(710)와의 다이렉트 통신에 의해 그 설정 요구 정보에 기초하는 설정을 행하기 위한 설정 요구를 정보 처리 장치(710)로부터 수신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와 다이렉트 접속의 전환을 행하는 경우에, 그 전환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소스 기기를 대역 제어하는 환경에 있어서, Infrastructure 환경과, WiFi Direct(또는, Wi-Fi CERTIFIED Miracast) 환경에 있어서, 전환 시간을 적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연속적인 접속 전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멀티 소스 환경에 있어서, 복수의 소스 기기를 그룹에 참가시키면서, 접속 순서를 설정하여, 보다 고품위의 화상에서의 화상 정보 공유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nfrastructure 환경에 참가하는 소스 기기를 싱크 기기(또는 제어 장치)에 통지할 수 있다. 또한, WiFi Direct(또는, Wi-Fi CERTIFIED Miracast) 환경에서는, Infrastructure 환경과는 상이한 주파수 채널로 다이렉트 통신에 의해 화상 송신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복수의 소스 기기가 1대의 표시 장치(싱크 기기)에 접속되는 경우라도, 안정된 화상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대역 제한에 의해, 모든 소스 기기가 화상 송신 모드로 되지 못하는 경우라도, 모든 접속을 안정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그룹 내의 접속 대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접속 제어의 오버헤드가 증가하고, 대역 이용 효율이 나빠지기 때문에, 화상 전송을 안정적으로 통과시키는 것이 어려워진다. 이에 반해, 본 기술의 실시 형태에서는, 접속 대수가 많은 환경에 있어서도, 안정된 화상 전송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기술의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간에서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 적절한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최초로 접속된 액세스 포인트 이외의 공중 회선에의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예]
이상에서는, 소스 기기가 싱크 기기에 접속하는 경우에,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한 싱크 기기에의 접속, 또는 싱크 기기에의 다이렉트 접속을 하는 예를 나타내었다. 여기서, 소스 기기가 휴대형 정보 처리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단말기)인 경우에는, 소스 기기를 사용하고 있는 유저가 이동하는 것이 상정된다. 이 경우에, 예를 들어 소스 기기를 사용하고 있는 유저가, 액세스 포인트와의 접속이 불가능한 장소까지 이동하는 것도 상정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싱크 기기에의 접속을 계속해서 행하는 것을 원하는 유저도 상정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소스 기기를 사용하고 있는 유저가, 액세스 포인트와의 접속이 불가능한 장소까지 이동하는 경우를 고려하는 예를 나타낸다.
[소스 기기의 사용예]
도 28은,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정보 처리 장치(710)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8에서는, 화살표(40)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18에 도시하는 교실(30)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710)를 사용하고 있었던 학생 1이 교실(30)의 외측으로 이동한 경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예를 들어, 학생 1이 발표를 행한 교실(30)로부터, 연구실이나 대학 밖의 장소로 이동하는 경우가 상정된다. 또한, 예를 들어 회사라면, 영업 사원이 프리젠테이션을 행한 회의실로부터 외출하는 경우가 상정된다.
또한, 도 28에서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701)와 직접 통신할 수 있는 범위(액세스 포인트(701)를 기준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전파 도달 범위)를 전파 도달 범위(705)로서 도시한다.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기지국(762)과 직접 통신할 수 있는 범위(기지국(762)을 기준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전파 도달 범위)를 전파 도달 범위(763)로서 도시한다.
공중망(761)은 전화망, 인터넷 등의 공중 회선망이다. 또한, 네트워크(702) 및 기지국(762)은, 예를 들어 공중망(761)을 통하여 접속된다.
기지국(762)은, 통신 사업자가 운용하는 기지국이며,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와 공중망(761)을 접속하여 각종 무선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무선 서비스는, 예를 들어 IEEE802.11의 핫스폿 서비스, IEEE802.15, IEEE802.16, 3GPP 사양(예를 들어, W-CDMA, GSM, WiMAX, WiMAX2, LTE, LTE-A)에 준거한 회선 서비스이다.
[정보 처리 장치(소스 기기)의 동작예]
도 29 및 도 30은,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정보 처리 장치(710)에 의한 데이터 송신 처리의 처리 수순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또한, 도 29 및 도 30에서는, 디폴트로, 소스 기기(정보 처리 장치(710))가 액세스 포인트에 직접 접속한 후에 각 처리를 개시하고, 액세스 포인트 이외의 공중 회선에의 접속도 가능하게 하는 예를 도시한다. 또한, 도 29 및 도 30은, 도 27의 변형예이기 때문에, 도 27과 공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의 일부를 생략한다.
처음에,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고(스텝 S1051), 액세스 포인트(701)(AP) 경유로 정보 처리 장치(730)에의 접속 요구가 행해진다(스텝 S1052).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액세스 포인트(701) 경유로 정보 처리 장치(730)로부터 접속 허가 정보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53). 정보 처리 장치(730)로부터 접속 허가 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1033), 데이터 송신 처리의 동작을 종료한다. 또한, 스텝 S1051 내지 S1053은, 도 27에 도시하는 스텝 S1031 내지 S1033에 대응한다.
정보 처리 장치(730)로부터 접속 허가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스텝 S1053),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그 접속 허가 정보에, 옥외에서의 이용을 허가하는 정보(옥외 사용 정보)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54). 이 옥외 사용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701) 이외의 액세스 포인트 또는 기지국을 경유한 정보 처리 장치(730)와의 접속을 허가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허가 정보이며, 그룹 관리 정보 유지부(750)의 옥외 사용(755)(도 20에 도시함)에 저장되어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730)는, 액세스 포인트(701)(AP) 경유로 수신한 접속 요구에 응답하여 접속 허가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옥외 사용 정보(허가, 불허가)를 제어 장치(740)로부터 취득하여 접속 허가 정보에 포함시켜 송신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730)는, 옥외 사용(755)에 「허가」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라도, 그룹 참가 가능 시간(756)(도 20에 도시함)에 저장되어 있는 시간대 이외의 시간대일 때에는, 불허가의 옥외 사용 정보를 접속 허가 정보에 포함시켜 송신한다. 즉, 제어 장치(740)에서 스케줄링(스케줄 관리)을 행하고, 참가자의 예정 시간을 관리하여, 그 시간대가 되었을 때에만 옥외 사용을 허가할 수 있다. 또한, 옥외 사용 정보를 Capability 정보에 포함시켜 싱크 기기로부터 소스 기기로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730)는, 허가된 옥외 사용 정보를 접속 허가 정보에 포함시켜 송신하는 경우에는, 액세스 포인트(701)의 전파가 도달하지 않는 장소에 있어서 공중망을 이용하기 위한 설정 정보를, 그 접속 허가 정보에 포함시킨다.
또한, 이 예에서는, 옥외 사용의 허가, 불허가를 미리 설정해 두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소스 기기로부터의 접속 요구가 있을 때마다, 각 장치에 있어서 허가, 불허가를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다른 소스 기기(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703, 704, 720)), 싱크 기기(정보 처리 장치(730)), 제어 장치(740)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사용하여 허가, 불허가를 설정하기 위한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730)는, 제어 장치(740)의 입출력부(743)에 허가, 불허가를 선택하기 위한 표시 화면을 표시시키고, 이 표시 화면에 있어서 행해진 허가, 불허가의 선택 조작을 접수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730)는, 표시 장치(731)의 표시부(732)에 허가, 불허가를 선택하기 위한 표시 화면을 표시시키고, 이 표시 화면을 사용하여 허가, 불허가의 선택 조작을 접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 부재를 사용한 조작 입력이나, 제스처에 의한 조작 입력에 의해 허가, 불허가의 선택 조작을 접수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730)는, 다른 소스 기기(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720))의 표시부(721)에 허가, 불허가를 선택하기 위한 표시 화면(예를 들어, 팝업)을 표시시킨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730)는, 그 표시 화면에 있어서 행해진 허가, 불허가의 선택 조작을 접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스 기기로부터의 접속 요구가 있을 때마다 허가, 불허가를 설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시간대에 의해 기밀성이나 중요도가 상이한 경우라도 적절하게 허가, 불허가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싱크 기기가 그룹 인증 서버로서 기능함과 함께, 싱크 기기가, 옥외 사용을 허가할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관리를 행하는 예를 나타낸다. 단, 옥외 사용의 허가 불허가의 관리와, 소스 기기를 링크시켜 관리하는 관리 장치(예를 들어, 관리 서버)를 새롭게 설치하여, 그 관리 장치에 의해 옥외 사용을 허가할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관리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접속 허가 정보에, 옥외에서의 사용을 허가하는 옥외 사용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스텝 S1054),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옥외 사용이 허가된 취지를 표시부(711)에 표시시킨다(스텝 S1055). 예를 들어, 동일 플로어 내(액세스 포인트(701)의 전파가 도달하는 범위)에서의 사용과, 옥외 사용이 허가된 취지를 팝업 표시하여 유저에게 통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정보 처리 장치(710)에 관한 Capability 정보와, 공중망 서비스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730)에 액세스 포인트(701)를 경유하여 송신한다(스텝 S1056). 여기서, 공중망 서비스 정보는, 정보 처리 장치(710)가 공중망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정보이며, 예를 들어 접속처 전화 번호(정보 처리 장치(710)의 전화 번호), 인증 패스워드 등이다.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통신 처리를 행한다(스텝 S1057). 이 통신 처리에서는, 도 27에 도시하는 각 처리(스텝 S1035 내지 S1047)가 행해진다.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액세스 포인트(701)의 전파 전달 범위의 외측으로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58). 그리고, 액세스 포인트(701)의 전파 전달 범위의 외측으로 이동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1058), 스텝 S1057로 복귀한다.
액세스 포인트(701)의 전파 전달 범위의 외측으로 이동한 경우에는(스텝 S1058),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유저가 옥외에서의 계속 사용을 희망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1059). 예를 들어, 유저가 싱크 기기와의 접속을 절단하는 동작(예를 들어, 통신 종료 조작)을 행하는 것도 상정된다. 이로 인해, 유저가 옥외에서의 계속 사용을 희망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액세스 포인트(701)의 전파 전달 범위의 외측으로 이동한 취지와, 옥외에서의 계속 사용을 희망하는지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버튼을 포함하는 팝업을 표시부(711)에 표시시킨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그 팝업에 있어서, 옥외에서의 계속 사용을 선택하는 선택 버튼이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59). 즉,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이동 후의 장소에서의 계속 사용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59). 이동 후의 장소에서의 계속 사용이 선택되지 않는 경우에는(스텝 S1059), 데이터 송신 처리의 동작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옥외에서의 사용을 허가하는 옥외 사용 정보(허가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액세스 포인트(701) 이외의 액세스 포인트 또는 기지국을 경유한 정보 처리 장치(730)와의 교환을 행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에,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액세스 포인트(701) 이외의 액세스 포인트 또는 기지국을 경유하여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정보 처리 장치(730)로부터 수신하여 출력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액세스 포인트(701)의 전파 전달 범위의 외측에의 이동이 검출될 때마다, 옥외에서의 계속 사용의 확인을 행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옥외에서의 계속 사용의 유무를 사전 설정해 두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사전 설정을 해 둠으로써, 자동적으로 동일 플로어 내에서의 사용과 옥외 사용이 연속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동 후의 장소에서의 계속 사용이 선택된 경우에는(스텝 S1059), 이동 후의 장소에 존재하는 기지국을 경유한 정보 처리 장치(730)에 의한 접속 처리가 행해진다(스텝 S1060).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730)의 제어부는, 정보 처리 장치(710)가 액세스 포인트(701)의 전파 전달 범위의 외측으로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710)가 액세스 포인트(701)의 전파 전달 범위의 외측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730)의 제어부는, 이동 후의 장소에 존재하는 기지국을 경유하여 정보 처리 장치(710)와 접속하기 위한 접속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730)의 제어부는, 정보 처리 장치(710)로부터 수신한 공중 회선 서비스 정보에 전화 번호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그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공중망을 경유하여 정보 처리 장치(710)에 발호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정보 처리 장치(730)와의 사이에서 공중망을 경유한 접속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 액세스 포인트(701)의 전파 전달 범위의 외측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710)를 소유하는 유저는, 표시 장치(731)의 표시부(732)를 볼 수 없고, 표시 장치(731)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을 들을 수 없다고 상정된다. 따라서, 정보 처리 장치(730)는, 공중망을 경유하여 정보 처리 장치(710)와 접속한 시점에서, 정보 처리 장치(710)가 화상 및 음성을 수신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교환을 행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730)는, 정보 처리 장치(710)가 화상 및 음성의 양방을 수신 가능한지, 화상만을 수신 가능한지, 음성만을 수신 가능한지를 판단한다.
그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정보 처리 장치(730)는, 정보 처리 장치(710)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화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을 행한다. 즉,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공중망을 경유하여, 정보 처리 장치(730)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화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을 행한다. 이 데이터 통신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710) 및 정보 처리 장치(730)간에서 쌍방향의 교환이 행해진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730)의 제어부는, 표시 장치(731)의 표시부(732)에 표시되어 있는 표시 화면과, 표시 장치(731)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한다. 또한, 옥외의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710)의 표시부(711)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을 보지 못하는 것도 상정된다. 이 경우에는, 음성의 송신만으로 하도록 해도 된다. 이 송신해야 할 데이터에 대해서는, 정보 처리 장치(710)의 유저에 의해 변경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710) 및 정보 처리 장치(730)간에서 쌍방향의 데이터의 교환을 행하는 경우에, 정보 처리 장치(730)는, 공중망을 경유한 정보 처리 장치(710)까지의 전송로(예를 들어, 대역이나 통신 상황)를 확인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730)는, 그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송신해야 할 데이터를 전환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대용량의 전송로가 확보되어 있는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730)는,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의 양방을 송신하도록 한다. 또한, 예를 들어 대용량의 전송로가 확보되지 않은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730)는, 화상 데이터를 트랜스 코드시켜 용량을 삭감시키거나, 음성 데이터만을 송신하거나 하도록 한다.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공중망을 경유한 정보 처리 장치(730)와의 접속을 계속해서 행할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62).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공중망을 경유한 정보 처리 장치(730)와의 접속을 계속해서 행할지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표시 화면을 표시부(711)에 표시(상시 표시 또는 정기적으로 표시)시킨다. 그리고, 그 표시 화면에서의 선택 조작에 기초하여,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공중망을 경유한 정보 처리 장치(730)와의 접속을 계속해서 행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공중망을 경유한 정보 처리 장치(730)와의 접속을 계속해서 행하는 경우에는(스텝 S1062), 스텝 S1061로 복귀한다. 또한, 공중망을 경유한 정보 처리 장치(730)와의 접속을 계속하지 않는 경우에는(스텝 S1062),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공중망을 경유한 정보 처리 장치(730)와의 접속을 절단한다(스텝 S1063).
접속 허가 정보에, 옥외에서의 사용을 불허가로 하는 옥외 사용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스텝 S1054),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옥외 사용은 불허가인 취지를 표시부(711)에 표시시킨다(스텝 S1064).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정보 처리 장치(710)에 관한 Capability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730)에 액세스 포인트(701)를 경유하여 송신한다(스텝 S1065).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통신 처리를 행한다(스텝 S1066). 이 통신 처리에서는, 도 27에 도시하는 각 처리(스텝 S1035 내지 S1047)가 행해진다.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액세스 포인트(701)의 전파 전달 범위의 외측으로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67). 그리고, 액세스 포인트(701)의 전파 전달 범위의 외측으로 이동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1067), 스텝 S1066으로 복귀한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701)의 전파 전달 범위의 외측으로 이동한 경우에는(스텝 S1067), 스텝 S1063으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싱크 기기 및 복수의 소스 기기간에서 정보 공유를 행하는 경우에, 소스 기기의 장소에 상관없이 정보의 교환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710)를 소유하는 학생 1이, 액세스 포인트(701)의 전파 도달 범위(705)의 외측으로 이동한 경우라도, 기지국을 경유하여 정보 처리 장치(710)를 정보 처리 장치(730)에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생 1이, 발표를 행한 교실(30)로부터, 연구실이나 대학 밖의 장소로 이동하는 경우가 상정된다. 또한,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700)이 회사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영업 사원이, 프리젠테이션을 행한 회의실로부터 외출하는 경우가 상정된다. 이 경우에는, 그 영업 사원이, 옥외(예를 들어, 전철 내)에서 회의 내용을 들을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소스 기기를 액세스 포인트나 기지국에 접속시킴으로써, 소스 기기 및 싱크 기기간의 그룹 인증을 개시하는 예를 나타내었다. 단, NFC의 reader/writer 기능을 구비하는 기기가, 싱크 기기나 다른 기기와 제휴하여, 소스 기기 및 싱크 기기간의 그룹 인증을 개시하도록 해도 된다. 다른 기기는, 예를 들어 Wi-Fi CERTIFIED Miracast 사양의 기기이다. 또한, NFC의reader/writer 기능을 이용하여, 소스 기기 및 싱크 기기간의 그룹 인증을 개시하는 예에 대해서는, 본 기술의 제3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다.
<3. 제3 실시 형태>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처음에, 소스 기기를 액세스 포인트나 기지국에 접속시킴으로써, 소스 기기 및 싱크 기기간의 그룹 인증을 개시하는 예를 나타내었다.
본 기술의 제3 실시 형태에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소스 기기 및 싱크 기기간의 그룹 인증을 개시하는 예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Wi-Fi Direct over NFC의 프로토콜이나, Wi-Fi direct using NFC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그룹 인증을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FC의 기능을 구비하는 소스 기기를, NFC의 기능을 구비하는 싱크 기기에 직접 터치시킴으로써, 그룹 인증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Wi-Fi Direct over NFC의 프로토콜은, 소스 기기 및 싱크 기기의 터치에 의해 소스 기기 및 싱크 기기간을 접속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이 프로토콜은, 예를 들어 NFC용 태그를 구비하는 소스 기기를, NFC Reader/Writer 기능을 구비하는 싱크 기기에 터치(또는, 근접)함으로써, Wi-Fi Direct를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교환시키는 프로토콜이다.
이와 같이, 소스 기기를 싱크 기기에 직접 터치시키는 유저의 동작에 의해, 그룹 인증을 개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그룹에 참가할 의도가 있는 경우에는, 유저는, 그룹에 참가하기 위한 동작을 능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소스 기기 및 싱크 기기의 다이렉트 접속 후에, 액세스 포인트에의 접속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저에게 친숙한 인터페이스를 더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서는, 기기 발견에 의해 복수의 싱크 기기가 발견된 경우에는, 원하는 싱크 기기를 선택시키기 위한 선택 화면을 표시시키고, 이 선택 화면에 있어서 유저에게 원하는 싱크 기기를 선택시키는 예를 나타내었다. 이에 반해, 본 기술의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원하는 싱크 기기에 소스 기기를 터치하는 동작을 유저가 행함으로써, 원하는 싱크 기기에 자동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싱크 기기에 직접 터치시키는 대신에, 소스 기기를 다른 장치에 터치시킴으로써, 그룹 인증을 개시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8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교실(30)의 출입구(36) 부근에 설치되어 있는 리더/라이터 장치(37)에, 소스 기기를 터치시킴으로써, 그룹 인증을 개시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리더/라이터 장치(37)는, 터치된 소스 기기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단말기 식별 정보,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코드)를 싱크 기기에 송신한다. 또한, PIN 코드에 대해서는, 독자적으로 생성되는 유니크한 I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예를 들어 싱크 기기(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730)) 또는 표시 장치(예를 들어, 표시 장치(731))를 조작하기 위한 리모콘(리모트 컨트롤러)을 싱크 기기 대신에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NFC Reader/Writer 기능을 구비하는 리모콘에, 소스 기기를 터치시킴으로써, 그룹 인증을 개시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리모콘은, 터치된 소스 기기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단말기 식별 정보, PIN 코드)를 싱크 기기에 송신한다.
[정보 처리 장치(소스 기기)의 동작예]
도 31은, 본 기술의 제3 실시 형태에서의 정보 처리 장치(710)에 의한 데이터 송신 처리의 처리 수순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또한, 도 31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710)를 정보 처리 장치(730)에 직접 터치시킴으로써 그룹 인증을 개시하는 예를 도시한다. 또한, 도 31은, 도 27의 변형예이기 때문에, 도 27과 공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의 일부를 생략한다.
또한, 도 31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710)는, NFC의 태그 기능을 구비하고, 정보 처리 장치(730)는, NFC의 Reader/Writer 기능을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단, NFC의 태그 기능, NFC의 Reader/Writer 기능에 대해서는, 소스 기기 및 싱크 기기 중 어느 것에 실장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730)는, DHCP 서버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한다.
처음에,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정보 처리 장치(710)가 정보 처리 장치(730)에 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71). 정보 처리 장치(710)가 정보 처리 장치(730)에 터치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1071), 감시를 계속해서 행한다.
정보 처리 장치(710)가 정보 처리 장치(730)에 터치된 경우에는(스텝 S1071),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정보 처리 장치(730)와의 다이렉트 접속을 개시한다(스텝 S1072). 즉, 정보 처리 장치(710)가 P2P 클라이언트로 되고, 정보 처리 장치(730)가 P2P GO로 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정보 처리 장치(730)로부터 무선 파라미터를 수신하고, 이 수신한 무선 파라미터에 기초한 접속 처리를 행한다(스텝 S1073).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정보 처리 장치(730)(DHCP 서버)로부터 IP 어드레스를 취득한다(스텝 S1074).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정보 처리 장치(730)로부터 접속 허가 정보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75). 정보 처리 장치(730)로부터 접속 허가 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1075), 데이터 송신 처리의 동작을 종료한다.
정보 처리 장치(730)로부터 접속 허가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스텝 S1075),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정보 처리 장치(710)에 관한 Capability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730)에 송신한다(스텝 S1076).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정보 처리 장치(730)로부터 설정 요구 정보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77). 설정 요구 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1077), 감시를 계속해서 행한다.
설정 요구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스텝 S1077), 초기 상태로서, 정보 처리 장치(710)에 있어서 화상 송신 모드가 설정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정보 처리 장치(730)로부터 수신한 설정 요구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처리 장치(730)에 접속 요구를 행한다(스텝 S1078).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그 접속 요구에 대응하는 화상의 수신을 허가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확인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730)로부터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79). 확인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730)로부터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1079), 감시를 계속해서 행한다.
확인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730)부터 수신한 경우에는(스텝 S1079),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정보 처리 장치(730)와의 사이에서 P2P 다이렉트 접속을 개시한다(스텝 S1080).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수신한 확인 정보에 대응하는 접속 요구에 기초하여, 화상 파라미터나 음성 파라미터의 네고시에이션을 정보 처리 장치(730)와의 사이에서 행하고, 화상 데이터의 송신을 행한다(스텝 S1081).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화상 송신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82).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710)에 있어서 화상 송신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스텝 S1082), 스텝 S1081로 복귀한다.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정보 처리 장치(710)가 그룹으로부터 이탈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83).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710)가 그룹으로부터 이탈한 경우에는(스텝 S1083), 데이터 송신 처리의 동작을 종료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710)가 그룹으로부터 이탈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1083),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정보 처리 장치(730)로부터 AP 접속 정보를 수신한다(스텝 S1084). 이 AP 접속 정보는, 정보 처리 장치(710) 및 정보 처리 장치(730)간의 접속을 절단시키고, 정보 처리 장치(710)를 액세스 포인트(701)에 접속시키기 위한 정보이다.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정보 처리 장치(730)와의 다이렉트 접속을 절단한다(스텝 S1085).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액세스 포인트(701)를 경유하여 정보 처리 장치(730)와 접속을 행하기 위한 접속 처리를 행한다(스텝 S1086).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그 접속을 허가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확인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730)로부터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하여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87). 확인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730)로부터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1087), 감시를 계속해서 행한다.
확인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730)부터 수신한 경우에는(스텝 S1087), 액세스 포인트(701)를 경유하는 정보 처리 장치(730)와의 접속이 확립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대기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88).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710)에 있어서 대기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스텝 S1088), 감시를 계속해서 행한다.
대기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화상 송신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는(스텝 S1088),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회선이 절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89). 그리고, 회선이 절단된 경우에는(스텝 S1089), 데이터 송신 처리의 동작을 종료한다.
회선이 절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1089),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액세스 포인트(701)를 경유하는 정보 처리 장치(730)와의 접속을 절단하고(스텝 S1090), 스텝 S1078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예를 들어, NFC)을 이용하여 다이렉트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정보의 교환을 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 장치(740)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정보 처리 장치(730)에의 터치 조작을 유효로 할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그룹 관리 정보 유지부(750)의 단말기 식별 정보(751)(도 20에 도시함)에 단말기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서는, 정보 처리 장치(730)의 제어부는, 터치 조작을 유효로 하고, 그룹에 참가시키는 것을 허가하는 판단을 행한다. 단, 이 경우에는, 그룹 관리 정보 유지부(750)의 그룹 참가 가능 시간(756)(도 20에 도시함)의 시간 내인 경우에 한하여, 정보 처리 장치(730)의 제어부는, 그룹에 참가시키는 것을 허가하는 판단을 행한다. 또한, 터치 조작 후의 그룹에의 참가 시간을 일정 시간으로 제한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회의 시간대(예를 들어, 터치 후, 1시간 이내)에만, 그룹에의 참가 가능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터치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다른 세션 키를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NFC를 이용하여 소스 기기 및 싱크 기기간의 접속 설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유저가 직감적으로 회의 참가의 트리거를 기동할 수 있고, 보다 간단하게 회의 참가를 행할 수 있다.
<4. 제4 실시 형태>
본 기술의 제2 및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유저 조작이나 유저 동작에 의해, 소스 기기를 싱크 기기 또는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는 예를 나타내었다.
여기서, 무선 LAN을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 또는 싱크 기기에 소스 기기를 접속한 후에 그 접속을 절단한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에는, 접속의 절단 후라도 무선 LAN의 접속 설정이 소스 기기에 보존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소스 기기를 소유하는 유저가, 접속하기 위한 설정 조작 등을 행하지 않아도, 소스 기기가 자동적으로 액세스 포인트 또는 싱크 기기에 접속되어 버리는 것이 상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의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소스 기기가 액세스 포인트 또는 싱크 기기에 자동적으로 접속되는 예를 나타낸다. 또한, 소스 기기가 액세스 포인트 또는 싱크 기기에 자동적으로 접속되는 환경에서는, 각종 싱크 기기에 접속되는 액세스 포인트가 복수 존재하는 것이 상정된다. 이로 인해, 그들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에 소스 기기를 소프트 핸드오버로 계속적으로 접속시킴으로써, 그러한 환경이 실현된다.
처음에, 소스 기기가 액세스 포인트에 자동적으로 접속되는 예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구내의 무선 LAN에 자동적으로 계속 접속되는 경우가 상정된다.
[정보 처리 장치(소스 기기)의 동작예]
도 32는, 본 기술의 제4 실시 형태에서의 정보 처리 장치(710)에 의한 데이터 송신 처리의 처리 수순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또한, 도 32는, 도 27의 변형예이기 때문에, 도 27과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이들 설명의 일부를 생략한다.
처음에, 정보 처리 장치(710)가 존재하는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액세스 포인트에, 정보 처리 장치(710)가 자동적으로 핸드오버되어 접속된다(스텝 S1100).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710)를 소유하는 유저가, 그룹에 참가하기 위해, 특정한 플로어로 이동하고 있는 경우가 상정된다. 이 환경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710)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된다(스텝 S1101). 이 기동 후에,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접속을 원하는 싱크 기기의 기기 발견 처리를 시도한다.
이 기기 발견 처리에 의해, 기동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싱크 기기가 복수 발견되는 것도 상정된다. 이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710)의 표시부(711)에, 발견된 복수의 싱크 기기로부터 원하는 싱크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화면을 표시시키고, 이 선택 화면에 있어서 유저 조작에 의해 선택시킬 수 있다(스텝 S1102). 또한, 발견된 복수의 싱크 기기 중, 소스 기기로부터 가장 가까운 기기를 자동적으로 선택하여 접속하도록 해도 된다(스텝 S1102).
이어서, 소스 기기가 싱크 기기 및 액세스 포인트에 자동적으로 접속되는 예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싱크 기기의 접속 설정이 소스 기기에 보존되고, 또한 싱크 기기의 전파 도달 범위 내에 소스 기기가 이동하여 자동 접속되는 경우가 상정된다.
[정보 처리 장치(소스 기기)의 동작예]
도 33은, 본 기술의 제4 실시 형태에서의 정보 처리 장치(710)에 의한 데이터 송신 처리의 처리 수순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또한, 도 33은, 도 27의 변형예이기 때문에, 도 27과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이들 설명의 일부를 생략한다.
처음에,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정보 처리 장치(710)가 무선 LAN 기능으로서 컨커런트 기능(시분할 컨커런트 기능 또는 동시 이용 컨커런트 기능)을 구비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111). 컨커런트 기능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710)는, 액세스 포인트 및 싱크 기기의 절단 전환을 행하지 않아도, 액세스 포인트 및 싱크 기기의 양쪽에의 시분할 또는 동시 접속이 가능하다.
정보 처리 장치(710)가 컨커런트 기능을 구비하는 경우에는(스텝 S1111),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자동적으로 연결된 접속으로 레이어 3까지의 설정(IP 어드레스의 취득까지 설정)을 행한다(스텝 S1112).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하여 싱크 기기와의 접속을 시도한다(스텝 S1113). 여기서, 액세스 포인트 경유와 P2P 다이렉트 접속의 양 링크 모두 싱크 기기와 접속된 경우에는, 기기 발견 처리를 양방에서 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 경유를 우선시키고, P2P 다이렉트 접속은, 링크 접속만을 유지시키고, Wi-Fi CERTIFIED Miracast의 화상 송신을 정지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화상 송신 모드에 있어서, Wi-Fi CERTIFIED Miracast가 사용하는 주파수대의 대역을 헛되이 하지 않고, 다음 전환 시간을 고속으로 행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710)가 컨커런트 기능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는(스텝 S1111),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싱크 기기에의 접속 상태를 확인한다(스텝 S1114). 여기서, 예를 들어 싱크 기기가 P2P 다이렉트 접속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P2P 다이렉트 접속을 한번 절단하고, 액세스 포인트 경유로의 접속으로 변경한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 경유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접속을 유지한다. 또한, 컨커런트 기능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는, 접속 상태의 포트 정보나 IP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710)가 유지해 두고 유용하도록 한다.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액세스 포인트 경유로 기기 발견 처리를 행한다(스텝 S1115). 이 기기 발견 처리 후에, 정보 처리 장치(710)의 제어부는, 액세스 포인트 경유로 싱크 기기로부터 접속 허가 정보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116).
여기서, 참가 대수가 적은 환경에서는, 그대로 P2P 다이렉트 접속을 계속해서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액세스 포인트 경유로 싱크 기기로부터 접속 허가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스텝 S1116), 스텝 S1038로 진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유저가 접속 설정을 걱정하지 않아도, 현시점의 설정 정보를 적절히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와 동등한 동작으로 되도록 대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은, 본 기술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Wi-Fi Infrastructure 모드에서 접속하는 기기는, 동일한 IP 서브넷에 접속되어 있는 기기(예를 들어, Wi-Fi CERTIFIED Miracast 사양의 기기)만을 기기 발견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컨커런트 기능을 구비하는 기기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Wi-Fi Infrastructure 모드에서 접속하는 기기는, P2P에서는 동일 채널의 컨커런트 처리를 행하는 디바이스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의 실시 형태에서는, 액세스 포인트 경유에서는, 화상(영상) 또는 음성의 전송을 상정하고 있지 않지만, 본 기술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음 환경에도 본 기술의 실시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기기가, Wi-Fi Infrastructure 모드에서 동일 IP 서브넷에 접속하는 싱크 기기에, Wi-Fi Infrastructure 모드의 IP 네트워크 경유로 화상(영상) 또는 음성을 송신하는 형태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싱크 기기가, Wi-Fi Infrastructure 모드에서 동일 IP 서브넷에 접속하는 소스 기기로부터, Wi-Fi Infrastructure 모드의 IP 네트워크 경유로 화상(영상) 또는 음성을 수신하는 형태에 적용할 수 있다.
<5. 응용예>
본 개시에 따른 기술은, 여러가지 제품에 응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200, 300, 400, 703, 704, 710, 720, 730), 제어 장치(74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PC, 휴대형 게임 단말기 혹은 디지털 카메라 등의 모바일 단말기, 텔레비전 수상기, 프린터, 디지털 스캐너 혹은 네트워크 스토리지 등의 고정 단말기, 또는 카 내비게이션 장치 등의 차량 탑재 단말기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200, 300, 400, 703, 704, 710, 720, 730), 제어 장치(740)는, 스마트 미터, 자동 판매기, 원격 감시 장치 또는 POS(Point Of Sale) 단말기 등의, M2M(Machine To Machine) 통신을 행하는 단말기(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단말기라고도 함)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200, 300, 400, 703, 704, 710, 720, 730), 제어 장치(740)는, 이들 단말기에 탑재되는 무선 통신 모듈(예를 들어, 하나의 다이로 구성되는 집적 회로 모듈)이어도 된다.
[5-1. 제1 응용예]
도 40은, 본 개시에 따른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스마트폰(900)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스마트폰(900)은, 프로세서(901), 메모리(902), 스토리지(903), 외부 접속 인터페이스(904), 카메라(906), 센서(907), 마이크로폰(908), 입력 디바이스(909), 표시 디바이스(910), 스피커(911),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3), 안테나 스위치(914), 안테나(915), 버스(917), 배터리(918) 및 보조 컨트롤러(919)를 구비한다.
프로세서(901)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SoC(System on Chip)여도 되며, 스마트폰(900)의 애플리케이션 레이어 및 그 밖의 레이어의 기능을 제어한다. 메모리(902)는, RAM(Random Access Memory) 및 ROM(Read Only Memory)을 포함하고, 프로세서(90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한다. 스토리지(903)는, 반도체 메모리 또는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접속 인터페이스(904)는, 메모리 카드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 디바이스 등의 외장형 디바이스를 스마트폰(900)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카메라(906)는, 예를 들어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의 촬상 소자를 갖고, 촬상 화상을 생성한다. 센서(907)는, 예를 들어 측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및 가속도 센서 등의 센서군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908)은, 스마트폰(900)에 입력되는 음성을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입력 디바이스(909)는, 예를 들어 표시 디바이스(910)의 화면 상에의 터치를 검출하는 터치 센서, 키패드, 키보드, 버튼 또는 스위치 등을 포함하고, 유저로부터의 조작 또는 정보 입력을 접수한다. 표시 디바이스(91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등의 화면을 갖고, 스마트폰(900)의 출력 화상을 표시한다. 스피커(911)는, 스마트폰(900)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3)는, IEEE802.11a, 11b, 11g, 11n, 11ac 및 11ad 등의 무선 LAN 표준 중 하나 이상을 서포트하고, 무선 통신을 실행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3)는, 인프라스트럭쳐 모드에 있어서는, 다른 장치와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3)는, 애드혹 모드 또는 Wi-Fi Direct 등의 다이렉트 통신 모드에 있어서는, 다른 장치와 직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Wi-Fi Direct에서는, 애드혹 모드와는 달리 2개의 단말기 중 한쪽이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하지만, 통신은 그들 단말기간에서 직접적으로 행해진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3)는, 전형적으로는, 기저 대역 프로세서, RF(Radio Frequency) 회로 및 파워 증폭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3)는, 통신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메모리,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및 관련된 회로를 집적한 원칩의 모듈이어도 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3)는, 무선 LAN 방식 외에,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 근접 무선 통신 방식 또는 셀룰러 통신 방식 등의 다른 종류의 무선 통신 방식을 서포트해도 된다. 안테나 스위치(914)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3)에 포함되는 복수의 회로(예를 들어, 상이한 무선 통신 방식을 위한 회로)의 사이에서 안테나(915)의 접속처를 전환한다. 안테나(915)는, 단일 또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예를 들어, MIMO 안테나를 구성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갖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3)에 의한 무선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위해 사용된다.
또한, 도 40의 예에 한정되지 않고, 스마트폰(900)은, 복수의 안테나(예를 들어, 무선 LAN용 안테나 및 근접 무선 통신 방식용 안테나 등)를 구비해도 된다. 그 경우에, 안테나 스위치(914)는, 스마트폰(900)의 구성으로부터 생략되어도 된다.
버스(917)는, 프로세서(901), 메모리(902), 스토리지(903), 외부 접속 인터페이스(904), 카메라(906), 센서(907), 마이크로폰(908), 입력 디바이스(909), 표시 디바이스(910), 스피커(911),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3) 및 보조 컨트롤러(919)를 서로 접속한다. 배터리(918)는, 도면 중에 파선으로 부분적으로 도시한 급전 라인을 통하여, 도 40에 도시한 스마트폰(900)의 각 블록에 전력을 공급한다. 보조 컨트롤러(919)는, 예를 들어 슬립 모드에 있어서, 스마트폰(900)의 필요 최저한의 기능을 동작시킨다.
도 40에 도시한 스마트폰(900)에 있어서, 도 2를 사용하여 설명한 제어부(240), 도 3을 사용하여 설명한 제어부(37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3)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이들 기능 중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901) 또는 보조 컨트롤러(919)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스마트폰(900)은, 프로세서(901)가 애플리케이션 레벨에서 액세스 포인트 기능을 실행함으로써, 무선 액세스 포인트(소프트웨어 AP)로서 동작해도 된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3)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능을 가져도 된다.
[5-2. 제2 응용예]
도 41은, 본 개시에 따른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는, 프로세서(921), 메모리(922),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924), 센서(925), 데이터 인터페이스(926), 콘텐츠 플레이어(927), 기억 매체 인터페이스(928), 입력 디바이스(929), 표시 디바이스(930), 스피커(931),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 안테나 스위치(934), 안테나(935) 및 배터리(938)를 구비한다.
프로세서(921)는, 예를 들어 CPU 또는 SoC여도 되며,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의 내비게이션 기능 및 그 밖의 기능을 제어한다. 메모리(922)는, RAM 및 ROM을 포함하고, 프로세서(92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한다.
GPS 모듈(924)은,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GPS 신호를 사용하여,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의 위치(예를 들어, 위도, 경도 및 고도)를 측정한다. 센서(925)는,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및 기압 센서 등의 센서군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인터페이스(926)는,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단자를 통하여 차량 탑재 네트워크(941)에 접속되고, 차속 데이터 등의 차량측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취득한다.
콘텐츠 플레이어(927)는, 기억 매체 인터페이스(928)에 삽입되는 기억 매체(예를 들어, CD 또는 DVD)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를 재생한다. 입력 디바이스(929)는, 예를 들어 표시 디바이스(930)의 화면 상에의 터치를 검출하는 터치 센서, 버튼 또는 스위치 등을 포함하고, 유저로부터의 조작 또는 정보 입력을 접수한다. 표시 디바이스(930)는, LCD 또는 OLED 디스플레이 등의 화면을 갖고, 내비게이션 기능 또는 재생되는 콘텐츠의 화상을 표시한다. 스피커(931)는, 내비게이션 기능 또는 재생되는 콘텐츠의 음성을 출력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IEEE802.11a, 11b, 11g, 11n, 11ac 및 11ad 등의 무선 LAN 표준 중 하나 이상을 서포트하고, 무선 통신을 실행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인프라스트럭쳐 모드에 있어서는, 다른 장치와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애드혹 모드 또는 Wi-Fi Direct 등의 다이렉트 통신 모드에 있어서는, 다른 장치와 직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전형적으로는, 기저 대역 프로세서, RF 회로 및 파워 증폭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통신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메모리,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및 관련된 회로를 집적한 원칩의 모듈이어도 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무선 LAN 방식 외에,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 근접 무선 통신 방식 또는 셀룰러 통신 방식 등의 다른 종류의 무선 통신 방식을 서포트해도 된다. 안테나 스위치(934)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에 포함되는 복수의 회로의 사이에서 안테나(935)의 접속처를 전환한다. 안테나(935)는, 단일 또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갖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에 의한 무선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위해 사용된다.
또한, 도 41의 예에 한정되지 않고,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는,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해도 된다. 그 경우에, 안테나 스위치(934)는,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의 구성으로부터 생략되어도 된다.
배터리(938)는, 도면 중에 파선으로 부분적으로 도시한 급전 라인을 통하여, 도 41에 도시한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의 각 블록에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배터리(938)는 차량측으로부터 급전되는 전력을 축적한다.
도 41에 도시한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에 있어서, 도 2를 사용하여 설명한 제어부(240), 도 3을 사용하여 설명한 제어부(37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이들 기능 중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921)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기술은, 상술한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의 하나 이상의 블록과, 차량 탑재 네트워크(941)와, 차량측 모듈(942)을 포함하는 차량 탑재 시스템(또는 차량)(940)으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차량측 모듈(942)은, 차속, 엔진 회전수 또는 고장 정보 등의 차량측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를 차량 탑재 네트워크(941)에 출력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는 본 기술을 구현화하기 위한 일례를 나타낸 것이며, 실시 형태에서의 사항과, 청구범위에서의 발명 특정 사항은 각각 대응 관계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청구범위에서의 발명 특정 사항과, 이것과 동일 명칭을 붙인 본 기술의 실시 형태에서의 사항은 각각 대응 관계를 갖는다. 단, 본 기술은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실시 형태에 다양한 변형을 실시함으로써 구현화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처리 수순은, 이들 일련의 수순을 갖는 방법으로서 파악해도 되고, 또한 이들 일련의 수순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내지 그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록 매체로서 파악해도 된다. 이 기록 매체로서, 예를 들어 CD(Compact Disc), MD(Mini 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메모리 카드, 블루레이 디스크(Blu-ray(등록 상표) Disc)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한 다른 효과가 있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도 취할 수 있다.
(1) Wi-Fi(Wireless Fidelity) CERTIFIED Miracast 사양에 따라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사이에서 리얼타임 화상 전송을 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며,
상기 리얼타임 화상 전송에 관한 설정을 행하기 위한 설정 요구 정보를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하여 수신하고, 상기 설정 요구 정보에 기초하는 상기 설정을 행하기 위한 설정 요구를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다이렉트 통신에 의해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하여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관한 capability 정보의 교환을 행하고,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capability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 요구 정보를 생성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3)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한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접속 상태와, 상기 다이렉트 통신에 의한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접속 상태를 전환하는 경우에는, 전환 전의 접속에 관한 포트 정보 및 IP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접속 처리를 행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4)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 요구를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한 후에 상기 다이렉트 통신에 의해 Wi-Fi CERTIFIED Miracast 사양에 따른 화상 송신을 행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5) 상기 제어부는, 표시부에서의 소정 영역에 표시시키기 위한 화상의 송신을 저주파 대역의 무선 전송로에서 행하고, 상기 표시부에서의 상기 소정 영역보다 큰 영역에 표시시키기 위한 화상의 송신을 고주파 대역의 무선 전송로에서 행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4)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6) 상기 제어부는, 유저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다이렉트 통신에 의해 상기 설정 요구를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7)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이렉트 통신에 의해 화상 송신을 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소정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다이렉트 통신에 의해 상기 설정 요구를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8)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 이외의 액세스 포인트 또는 기지국을 경유한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접속을 허가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허가 정보의 교환을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하여 행하고, 상기 접속을 허가하는 취지의 상기 허가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 이외의 액세스 포인트 또는 상기 기지국을 경유한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교환을 행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9)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을 허가하는 취지의 상기 허가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 이외의 액세스 포인트 또는 상기 기지국을 경유하여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출력시키도록 제어하는 상기 (8)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0) 상기 제어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다이렉트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정보의 교환을 행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1) Wi-Fi CERTIFIED Miracast 사양에 따라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사이에서 리얼타임 화상 전송을 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며,
상기 리얼타임 화상 전송에 관한 설정을 행하기 위한 설정 요구 정보를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하여 송신하고, 상기 설정 요구 정보에 기초하는 상기 설정을 행하기 위한 설정 요구를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다이렉트 통신에 의해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12) Wi-Fi CERTIFIED Miracast 사양에 따라 싱크 기기 및 복수의 소스 기기간에서 리얼타임 화상 전송을 행하는 경우에,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하여 상기 싱크 기기 및 상기 소스 기기가 접속되는 대기 모드와 다이렉트 통신에 의해 상기 싱크 기기 및 상기 소스 기기가 접속되는 화상 송신 모드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모드를 상기 소스 기기에 설정하기 위한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13)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소스 기기를 나타내는 화상을 입출력부에 표시시키고, 상기 입출력부에서의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모드를 상기 소스 기기에 설정하기 위한 제어를 행하는 상기 (12)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4) 상기 제어부는, 소정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모드를 상기 소스 기기에 설정하기 위한 제어를 행하는 상기 (12)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5) Wi-Fi CERTIFIED Miracast 사양에 따라 소스 기기와의 사이에서 리얼타임 화상 전송을 행하는 싱크 기기이며,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하여 상기 리얼타임 화상 전송에 관한 설정을 상기 소스 기기에 행하기 위한 설정 요구 정보를 상기 소스 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소스 기기와의 다이렉트 통신에 의해 상기 설정 요구 정보에 기초하는 상기 설정을 행하기 위한 설정 요구를 상기 소스 기기로부터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싱크 기기와,
상기 싱크 기기 및 복수의 상기 소스 기기간에서 상기 리얼타임 화상 전송을 행하는 경우에,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하여 상기 싱크 기기 및 상기 소스 기기가 접속되는 대기 모드와 상기 다이렉트 통신에 의해 상기 싱크 기기 및 상기 소스 기기가 접속되는 화상 송신 모드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모드를 상기 소스 기기에 설정하기 위한 제어를 행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16) Wi-Fi CERTIFIED Miracast 사양에 따라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사이에서 리얼타임 화상 전송을 행하는 제1 수순과,
상기 리얼타임 화상 전송에 관한 설정을 행하기 위한 설정 요구 정보를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하여 수신하는 제2 수순과,
상기 설정 요구 정보에 기초하는 상기 설정을 행하기 위한 설정 요구를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다이렉트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제3 수순을 구비하는 정보 처리 방법.
100: 통신 시스템
200: 정보 처리 장치
210: 안테나
220: 무선 통신부
230: 제어 신호 수신부
240: 제어부
250: 화상ㆍ음성 신호 생성부
260: 화상ㆍ음성 압축부
270: 스트림 송신부
300: 정보 처리 장치
310: 안테나
320: 무선 통신부
330: 스트림 수신부
340: 화상ㆍ음성 전개부
350: 화상ㆍ음성 출력부
351: 표시부
352: 음성 출력부
360: 유저 정보 취득부
370: 제어부
380: 제어 신호 송신부
390: 관리 정보 유지부
400: 정보 처리 장치
610: 소스 기기
611: 액세스 포인트
612: 싱크 기기
700: 통신 시스템
701: 액세스 포인트
702: 네트워크
703 내지 705, 710, 720, 730: 정보 처리 장치
711, 721: 표시부
731: 표시 장치
732: 표시부
740: 제어 장치
741: 안테나
742: 무선 통신부
743: 입출력부
744: 표시부
745: 입력부
746: 조작 접수부
747: 제어부
750: 그룹 관리 정보 유지부
900: 스마트폰
901: 프로세서
902: 메모리
903: 스토리지
904: 외부 접속 인터페이스
906: 카메라
907: 센서
908: 마이크로폰
909: 입력 디바이스
910: 표시 디바이스
911: 스피커
913: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914: 안테나 스위치
915: 안테나
917: 버스
918: 배터리
919: 보조 컨트롤러
920: 카 내비게이션 장치
921: 프로세서
922: 메모리
924: GPS 모듈
925: 센서
926: 데이터 인터페이스
927: 콘텐츠 플레이어
928: 기억 매체 인터페이스
929: 입력 디바이스
930: 표시 디바이스
931: 스피커
933: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934: 안테나 스위치
935: 안테나
938: 배터리
941: 차량 탑재 네트워크
942: 차량측 모듈

Claims (18)

  1. 화상 수신을 수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는,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제1 정보 처리 장치와 제1 접속을 설정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제2 정보 처리 장치와 제2 접속을 설정하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된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표시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상기 제1 접속된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상기 제2 접속된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1 조작 정보, 제2 조작 정보 및 제3 조작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조작 정보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2 접속의 중단 없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상기 제1 접속된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1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화상을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제2 조작 정보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1 접속의 중단 없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상기 제2 접속된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2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 화상을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제3 조작 정보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1 접속 및 제2 접속의 중단 없이 직접 접속을 통해 제3 접속을 설정하도록 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작 정보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2 화상을 표시하지 않도록 하는, 정보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작 정보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1 화상을 표시하지 않도록 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조작 정보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 하여금 상기 직접 접속을 통해 상기 제3 접속된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3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3 화상을 표시하도록 하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조작 정보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1 화상 및 상기 제2 화상을 표시하지 않도록 하는, 정보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및 제2 접속은,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장치 발견 처리에 의해 발견될 때 설정되는, 정보 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접속은,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직접 접속을 통한 장치 발견 처리에 의해 발견될 때 설정되는, 정보 처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접속은 Wi-Fi Certified Miracast 사양에 따른 P2P 접속인, 정보 처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및 제2 접속은, Wi-Fi Infrastructure 모드의 IP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정보 처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 및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현재 접속된 장치들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11. 화상 송신을 수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는,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제1 정보 처리 장치와 제1 접속을 설정하고 -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제2 접속으로 제2 정보 처리 장치와 접속됨 -,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상기 제1 접속된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제1 조작 정보, 제2 조작 정보 및 제3 조작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조작 정보는,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2 접속의 중단 없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상기 제1 접속으로 송신된 제1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화상을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제2 조작 정보는,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1 접속의 중단 없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상기 제2 접속된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2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 화상을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제3 조작 정보는,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1 접속 및 제2 접속의 중단 없이 직접 접속을 통해 제3 접속을 설정하도록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접속은 Wi-Fi Certified Miracast 사양에 기초한 P2P 접속인, 정보 처리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및 제2 접속은, Wi-Fi Infrastructure 모드의 IP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정보 처리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제1 접속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와 capability 정보를 교환하도록 더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capability 정보는 HDCP(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 system)의 표시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와 교환된 상기 capability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 요구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제3 접속을 통해 상기 설정 요구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유저 조작의 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 요구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
KR1020187024612A 2014-02-12 2014-12-02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정보 처리 방법 KR101938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24016 2014-02-12
JPJP-P-2014-024016 2014-02-12
PCT/JP2014/081810 WO2015122080A1 (ja) 2014-02-12 2014-12-02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1142A Division KR102306258B1 (ko) 2014-02-12 2014-12-02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정보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697A KR20180098697A (ko) 2018-09-04
KR101938539B1 true KR101938539B1 (ko) 2019-01-14

Family

ID=5379983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1142A KR102306258B1 (ko) 2014-02-12 2014-12-02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정보 처리 방법
KR1020187024612A KR101938539B1 (ko) 2014-02-12 2014-12-02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정보 처리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1142A KR102306258B1 (ko) 2014-02-12 2014-12-02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정보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4) US9775107B2 (ko)
EP (2) EP3107347B1 (ko)
JP (1) JP6455447B2 (ko)
KR (2) KR102306258B1 (ko)
CN (2) CN105960826B (ko)
CA (1) CA2938653C (ko)
DE (1) DE202014011316U1 (ko)
TW (1) TWI665913B (ko)
WO (1) WO20151220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76304A4 (en) * 2014-03-25 2017-06-0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JP6525771B2 (ja) * 2015-06-30 2019-06-0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122801B2 (en) * 2015-07-02 2018-11-06 Qualcomm Incorporated Service discovery and topology management
US10223061B2 (en) * 2015-12-17 2019-03-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play redistribution between a primary display and a secondary display
JP2017158017A (ja) * 2016-03-01 2017-09-07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737074B2 (ja) * 2016-08-30 2020-08-0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6769204B2 (ja) * 2016-09-21 2020-10-1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US10349259B2 (en) * 2016-09-23 2019-07-09 Apple Inc. Broadcasting a device stat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2598082B1 (ko) * 2016-10-28 2023-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모바일 장치 및 그 동작방법
WO2018101514A1 (ko) * 2016-12-01 2018-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 시스템
CN106792823A (zh) * 2016-12-28 2017-05-31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Miracast的终端连接方法和装置
US11202326B2 (en) 2016-12-29 2021-12-14 Koninklijke Philips N.V.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206083B2 (en) * 2016-12-30 2019-02-12 Intel Corporation Using wireless display docking technology over infrastructure networks
KR102388049B1 (ko) * 2017-02-14 2022-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JP2018190040A (ja) * 2017-04-28 2018-11-2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R3067542A1 (fr) * 2017-06-29 2018-12-14 Orange Procede de gestion de transmission d'un contenu multimedia et equipements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JP7027769B2 (ja) * 2017-09-29 2022-03-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504292B1 (ja) 2018-03-20 2019-04-24 日本電気株式会社 入出力装置、表示方法、及び端末装置
DE102019122728A1 (de) * 2019-08-23 2021-02-2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Extraktion von Informationen aus einem Datenstrom
JP7424004B2 (ja) * 2019-11-20 2024-01-30 株式会社デンソー 通信端末装置、及び通信管理サーバ装置
CN111314177B (zh) * 2020-02-21 2022-03-0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基于无线信号的作息时段识别方法以及相关装置
KR20210123927A (ko) * 2020-04-06 2021-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디바이스
CN113691842B (zh) * 2020-05-18 2023-03-31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跨设备的内容投射方法及电子设备
CN111522361B (zh) * 2020-05-27 2021-07-27 北京理工大学 主-从模式的多无人机编队一致性控制方法
CN111787377B (zh) * 2020-08-19 2022-06-28 青岛海信传媒网络技术有限公司 显示设备及投屏方法
CN114189946A (zh) * 2020-09-15 2022-03-15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分享的方法、电子设备和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3925A1 (ja) 2012-04-10 2013-10-17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3153888A1 (ja) 2012-04-13 2013-10-17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情報処理装置および通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633B1 (ko) * 2006-06-08 2013-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US8135947B1 (en) * 2007-03-21 2012-03-13 Qurio Holdings, Inc. Interconnect device to enable compliance with rights management restrictions
JP2008278388A (ja) 2007-05-07 2008-11-13 Sony Corp 情報交換装置および情報交換方法
US7895442B1 (en) * 2007-06-18 2011-02-22 Qurio Holdings, Inc. Interconnect device to enable compliance with rights management restrictions
CN101884203A (zh) * 2007-12-07 2010-11-10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Ip媒体成流服务传送
TW201603621A (zh) * 2009-09-18 2016-01-16 內數位專利控股公司 提公具網路連接點對點通訊之方法及裝置
US9949305B2 (en) 2009-10-02 2018-04-17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eer-to-peer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JP5440123B2 (ja) * 2009-11-24 2014-03-12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521774B2 (ja) * 2010-05-25 2014-06-1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9749832B2 (en) 2010-09-24 2017-08-29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display discovery and operation with TDLS
WO2012087078A2 (ko) 2010-12-24 2012-06-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방식에서의 컨텐트 보호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20178380A1 (en) * 2011-01-07 2012-07-12 Microsoft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Techniques
US8887222B2 (en) 2011-09-14 2014-11-11 Qualcomm Incorporated Multicasting in a wireless display system
US20130166759A1 (en) * 2011-12-22 2013-06-27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of ip address discovery for tunneled direct link setup
JP2013150282A (ja) 2012-01-23 2013-08-01 Toshiba Corp 無線基地局装置、無線端末装置及び無線伝送システム
JP5977612B2 (ja) 2012-07-24 2016-08-24 シャープ株式会社 ソース機器、シンク機器、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9306992B2 (en) * 2013-06-07 2016-04-0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using Wi-Fi display transport mechanisms to accomplish voice and data communicat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3925A1 (ja) 2012-04-10 2013-10-17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3153888A1 (ja) 2012-04-13 2013-10-17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情報処理装置および通信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Wi-Fi Alliance, "Wi-Fi CERTIFIED Miracast : Extending the Wi-Fi experience to seamless video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38653C (en) 2023-04-11
JP6455447B2 (ja) 2019-01-23
US10172080B2 (en) 2019-01-01
US9775107B2 (en) 2017-09-26
JPWO2015122080A1 (ja) 2017-03-30
EP3422730A1 (en) 2019-01-02
EP3107347B1 (en) 2021-03-10
CA2938653A1 (en) 2015-08-20
US20180310239A1 (en) 2018-10-25
DE202014011316U1 (de) 2019-04-17
EP3422730B1 (en) 2020-02-19
US20170353920A1 (en) 2017-12-07
EP3107347A4 (en) 2017-08-16
US10667206B2 (en) 2020-05-26
EP3107347A1 (en) 2016-12-21
KR20160122711A (ko) 2016-10-24
TWI665913B (zh) 2019-07-11
US10034234B2 (en) 2018-07-24
CN109121127A (zh) 2019-01-01
US20160345254A1 (en) 2016-11-24
TW201543877A (zh) 2015-11-16
KR20180098697A (ko) 2018-09-04
US20190053149A1 (en) 2019-02-14
WO2015122080A1 (ja) 2015-08-20
CN105960826B (zh) 2020-04-03
CN109121127B (zh) 2019-10-18
CN105960826A (zh) 2016-09-21
KR102306258B1 (ko) 202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8539B1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정보 처리 방법
JP651591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1777493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WO2016084485A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6669076B2 (ja) 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49920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