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8207B1 - 포토티켓을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포토티켓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포토티켓을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포토티켓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8207B1
KR101938207B1 KR1020160095148A KR20160095148A KR101938207B1 KR 101938207 B1 KR101938207 B1 KR 101938207B1 KR 1020160095148 A KR1020160095148 A KR 1020160095148A KR 20160095148 A KR20160095148 A KR 20160095148A KR 101938207 B1 KR101938207 B1 KR 101938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
ticket
image
user
generat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5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2400A (ko
Inventor
장영수
이한수
신은수
김혜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오로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오로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오로라
Priority to KR1020160095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8207B1/ko
Priority to PCT/KR2016/010743 priority patent/WO2018021617A2/ko
Publication of KR20180012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2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00Machines for printing and issuing tic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Leisure, hobby or sport articles, e.g. toys, games or first-aid kits; Hand tools; Toolbox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00Machines for printing and issuing tickets
    • G07B1/08Machines for printing and issuing tickets portab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udio Devices (AREA)
  • Ticket-Dispensing Machine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포토티켓을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포토티켓 생성 장치 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포토티켓 생성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티켓의 예매 정보 또는 티켓의 현장구입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포토티켓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포토 객체를 상기 포토티켓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포토 객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포토 객체 및 상기 포토티켓 장치의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상기 사용자의 사진을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합성 이미지에 대한 확인 입력이 수신되거나 소정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상기 합성 이미지 및 티켓 정보가 인쇄된 포토티켓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토티켓을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포토티켓 생성 장치{METHOD FOR GENERATING PHOTO TICKET AND PHOTO TICKET GENERATING APPARATUS IMPLEMENTING THE SAME}
본 발명은 포토티켓을 생성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영화관, 극장 또는 경기장 등과 같은 티켓 발권 현장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가 포함된 티켓을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영화관 또는 극장 등에서는 티켓을 구입하는 데스크 이외에 키오스크와 같은 무인 티켓 발권기를 구비함으로써, 티켓을 예약한 사용자 또는 현장에서 티켓을 구매하려는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티켓을 발급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티켓 예약 사용자가 예약 시 미리 업로드한 이미지를 이러한 무인 티켓 발권기에서 티켓 정보와 함께 인쇄되도록 하는 서비스가 점차 도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기존의 무인 티켓 발권기는 사용자가 예약 시 미리 업로드한 사진은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현장에서 티켓을 발권하는 경우 기존 업로드한 사진이 마음에 들지 않더라도 어쩔 수 없이 미리 등록한 사진만을 티켓에 인쇄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무인 티켓 발권기는 티켓에 인쇄되고자 하는 이미지를 인터넷 예약등과 같은 제한적인 시점과 조건하에서만 반영시키므로, 티켓 발권 현장에서 사용자의 촬영 사진 또는 다른 이미지를 삽입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니즈를 충족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41089호(2007.04.18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티켓구매 또는 티켓발권 현장에 구비된 포토티켓 생성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촬영하되, 미리 준비된 포토객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사진과 포토객체가 합성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포토티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현장에서 생성된 합성 이미지 또는 예약 과정에서 업로드 된 이미지가 마음에 들지 않는 경우, 이미지를 불러올 수 있는 QR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즉석으로 포토티켓에 포함될 이미지를 변경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를 촬영하고 포토객체와 사용자 사진을 합성하는 과정에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적인 보정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보다 좋은 품질의 포토티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포토티켓 생성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티켓의 예매 정보 또는 티켓의 현장구입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포토티켓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포토 객체를 상기 포토티켓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포토 객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포토 객체 및 상기 포토티켓 장치의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상기 사용자의 사진을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합성 이미지에 대한 확인 입력이 수신되거나 소정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상기 합성 이미지 및 티켓 정보가 인쇄된 포토티켓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포토 객체 및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되는 사용자의 프리뷰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의 촬영 요청 또는 미리 설정된 정책에 의해 상기 표시 중인 포토 객체 및 프리뷰 영상을 캡쳐하는 단계; 및 캡쳐된 화면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확인 입력이 수신되거나 소정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상기 캡쳐된 화면 이미지를 상기 합성 이미지로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포토티켓 생성 방법은, 상기 캡쳐된 화면 이미지 또는 상기 생성된 합성 이미지와 다른 이미지를 요청하는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 장치로부터 QR 코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QR 코드 정보에 포함된 URL 주소를 참조하여 외부 서버에 저장된 업로드 이미지를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업로드 이미지 및 상기 티켓 정보가 인쇄된 포토티켓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포토티켓 생성 방법은, 상기 포토티켓 생성 장치의 소정 범위 내 조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조도를 기반으로 상기 카메라부에서 조사되는 광원의 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사진과 상기 선택된 포토 객체에 대하여 채널별 영상 보정을 수행한 후 상기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포토티켓 생성 방법에서, 상기 영상 보정은, 히스토그램 매칭, 필터링 및 컬러 보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히스토그램 매칭은 채널별 최소값, 최대값을 추정하고 추정된 최소값과 최대값을 기준으로 히스토그램 스트레칭을 수행하고, 상기 필터링은 바이래터럴 필터를 사용하여 영상 처리하고, 상기 컬러 보정은 전체 영상에 대해 컬러 보정하거나, 얼굴 감지를 통한 피부색 보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토티켓 생성 장치가 현장에서 촬영되는 사용자의 사진과 미리 준비된 포토 객체를 티켓에 인쇄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특별한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티켓 예약 시 업로드한 이미지 또는 현장에서 촬영한 이미지가 마음에 들지 않을 경우, 외부 서버에서 이미지를 불러올 수 있는 QR 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즉석에서 포토티켓에 인쇄될 이미지를 간편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의 광원을 하드웨어적으로 조절하고, 포토 객체와 사용자 사진을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보정함으로써 보다 나은 품질의 이미지가 인쇄된 포토티켓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포토티켓 생성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포토티켓 생성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포토티켓 생성 장치에서 포토티켓을 인쇄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티켓예약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예약된 포토티켓을 발권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스타포토 티켓을 생성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7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포토티켓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디스플레이부에서 노출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포토티켓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포토티켓 생성 장치가 위치한 현장에서 포토티켓을 생성하는 과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스타포토 촬영 및 이에 따른 포토 티켓을 생성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포토티켓을 SNS에서 공유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포토티켓 생성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포토티켓 생성 장치가 카메라 연결을 통해 사진 촬영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토티켓 생성 장치가 조도 센서와 투명 액정을 이용하여 광원 제어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도 센서와 투명 액정을 이용하여 광원 제어를 수행하는 포토티켓 생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포토티켓 생성 장치가 광원의 밝기를 추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포토티켓 생성 장치가 광원의 밝기를 보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포토티켓 생성 장치가 사용자에 대한 촬영 사진과 포토 객체를 합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포토티켓 생성 장치가 컬러 및 대비를 향상시켜 이미지를 합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포토티켓 생성 장치가 선호 피부색 재현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포토티켓 생성 장치가 선호 피부색 재현을 수행한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입력 영상 및 피부색 보정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언급되는 ‘포토 티켓’은 티켓 예약 시 사용자가 서버(300)에 업로드한 이미지, 현장에서 포토 객체와 함께 촬영되는 사용자의 이미지 또는 사용자가 외부 서버(500)에 업로드한 이미지가 인쇄된 티켓을 의미한다. 이 경우, 티켓 예약 시 사용자가 서버(300)에 업로드한 이미지는 ‘예약 포토’로, 현장에서 포토 객체와 함께 촬영되는 사용자의 이미지는 ‘스타 포토’로 지칭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예약 포토’와 ‘스타 포토’는 ‘포토’의 하위 개념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언급되는 ‘스타 포토’는 티켓발권 현장에 설치된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에서 사용자가 포토 객체와 함께 증강현실 기법을 이용하여 촬영을 한 후, 티켓(티켓구매시) 또는 카드에 인쇄되는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언급되는 ‘포토 객체’는 연예인 또는 유명인, 특정 캐릭터 또는 특정 배경 등을 모두 포함하는 사전 제작된 이미지 내지 영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포토티켓 생성 시스템(10)의 구성도이다. 도 1의 설명을 위한 대략적인 참조를 위해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포토티켓 생성 시스템(10)은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 서버(300) 및 네트워크(4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포토티켓 생성 시스템(10)은 추가적으로 사용자 장치(200), 티켓 서버(500) 및 외부 서버(60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백화점, 극장 또는 경기장 등과 같은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어 포토티켓을 생성 및 프린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네트워크(400)를 통해 사용자 장치(200), 서버(300) 또는 외부서버(400)와 통신연결할 수 있으며, 도 2와 같이 키오스크 또는 무인 발권기와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장치(200)은 사용자가 휴대하거나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사용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로서, 예컨대 스마트폰, 테블릿, PC, 데스크탑, 노트북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관련될 수 있는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치(200)은 웹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포토티켓과 관련된 예약, 구매, 이미지 업로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200)은 내부에 저장된 근거리 통신 모듈(예: NFC 모듈,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을 통해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와 직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200)은 QR 코드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노출시킬 수 있다. QR 코드에는 특정 이미지를 외부서버(400)에서 불러오기 위한 URL 주소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QR 코드가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의 QR 코드 스캐너(180)에 의해 인식됨으로써 포토티켓에 인쇄될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다.
서버(300)는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에서 포토티켓을 출력하는 기능, 티켓의 예약기능 및 현장에서의 포토티켓 생성 기능과 관련하여 필요한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또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다르면, 서버(300)는 스타포토 백오피스 서버 및 컨텐츠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타포토 백오피스 서버는 관리자가 스타포토 티켓의 레이아웃을 관리하고,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와 연동하여 포토티켓의 레이아웃을 업데이트하며, 스타포토와 관련된 컨텐츠를 관리할 수 있는 서버이다. 그리고, 컨텐츠 서버는 포토 객체와 촬영된 사진 등과 같이 포토 티켓에 포함되는 사진이 업로드되며, QR 코드를 이용하여 사진 파일이 요청되면,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티켓 서버(500)는 티켓팅과 관련된 업체(에: 영화관의 운영업체)에서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러한 티켓 서버(500)는 티켓의 예매/결제 등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티켓 서버(500)는 사용자가 예매한 예매 정보(예: 영화 정보, 예약 포토 또는 스타 포토 구매 정보 등)가 기록/관리할 수 있다.
외부 서버(600)는 사용자가 업로드한 이미지가 저장된 로컬 또는 클라우드 형태의 저장 공간일 수 있다. 사용자는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가 구비된 현장에서 예약포토 또는 스타포토 대신 QR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서버(600)에 저장된 이미지를 포토티켓의 일부 구성으로 출력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에서 포토티켓을 인쇄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러한 도 3의 동작은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에서 스타포토 티켓을 생성하는 동작을 먼저 기술한 것이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티켓의 예매 정보 또는 티켓의 현장구입 요청을 입력받을 수 있다(S310). 그리고, 포토티켓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S320)하는 것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포토 객체를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S330).
그러면, 사용자는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포토 객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예: 터치입력),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선택된 포토 객체를 디스플레이부(140)를 출력함과 동시에, 순차적으로, 또는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카메라부(150)와 조명부(160)를 활성화시켜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이 경우, 선택된 포토 객체와 사용자의 프리뷰 영상은 증강현실과 유사한 형태로 중첩되어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될 수 있으며,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 또는 타이머에 따라 포토 객체 및 사용자의 화상이 포함된 화면을 촬영할 수 있다(S340).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화상을 촬영하는 과정에서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조도 센서부(120), 조명부(160) 및 카메라부(150)에 포함된 투명 액정을 이용하여 카메라부(150)에서 조사되는 광원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어서,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포토 객체와 사용자의 촬영 사진이 포함되는 합성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S350). 이 경우, 합성이미지 생성 시 추가적으로 포토 객체와 사용자 사진의 보정 동작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합성 이미지 및 티켓 정보가 포함된 포토티켓을 출력할 수 있다(S360).
이에 의해, 사용자는 티켓관련 현장에 설치된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를 통해 증강현실 오브젝트인 포토 객체와 함께 사진을 촬영할 수 있고, 생성된 합성 이미지를 티켓에 인쇄함으로써 특별한 엔터테인먼트 기능이 제공된 티켓 발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티켓예약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러한 도 4의 동작들은 온라인 또는 모바일을 통한 티켓 구매 과정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인 예약포토와 스타포토가 포함된 티켓을 발급받을 수 있는 ‘예약 포토 티켓” 및 “스타포토 티켓” 기능을 선택하는 내용에 관한 것이다. 도 4에서는 티켓의 종류를 영화 티켓으로 가정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사용자는 인터넷과 같은 웹 환경 또는 어플리케이션 모바일 환경에서 영화 티켓을 구입하기 위한 티켓 정보(예: 영화 정보)를 선택/입력할 수 있다(S405). 이 경우, 사용자 장치(200)에는 서버(300)와 연동될 수 있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될 수 있다. 한정되지 않는 예로서, 영화 정보는 영화 종류, 시간 정보, 좌석 정보, 인원 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예약포토 티켓을 신청할 수 있으며(S410), 이 경우 사용자는 예약포토 티켓의 수량을 선택할 수 있다(S415). 이와 유사하게, 사용자는 스타포토 티켓 또한 예약포토 티켓과 독립적으로 신청이 가능하며(S420), 마찬가지로 스타포토 티켓의 수량을 선택할 수 있다(S425).
예약포토 티켓의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배트맨 대 슈퍼맨’ 영화를 선택하고 이와 관련된 영화 정보를 입력한 후 예약포토 티켓을 2장 선택하였다고 가정한 경우, 사용자는 ‘배트맨 대 슈퍼맨’ 의 영화 정보와 함께 티켓에 인쇄될 2장의 이미지를 서버(300)에 업로드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사용자가 ‘배트맨 대 슈퍼맨’ 영화를 선택하고, 이와 관련된 영화 정보를 입력한 후 스타포토 티켓을 2장 선택하였다고 가정한 경우, 사용자는 영화 관람을 위해 현장 방문시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에서 스타포토 촬영을 2번 실시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200), 티켓서버(500) 및 서버(300)를 통해 선택한 영화, 예약포토 또는 스타포토에 대한 결재를 처리할 수 있다(S430).
결재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200)을 통해 예매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S435). 이 경우, 서버(300)는 포토티켓(즉, 예약포토 또는 스타포토)에 대한 구매가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고(S440), 구매가 되었다면,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200)를 통해 이미지를 서버(300) 또는 외부서버(600)에 업로드할 수 있다(S445).
여기서, 서버(300) 또는 외부서버(600)에 업로드되는 이미지는 사용자가 예약포토로 사용할 이미지, 예약포토 티켓 또는 스타포토 티켓 발권과정에서 대체할 수 있는 다른 이미지일 수 있다.
이미지가 업로드된 경우, 사용자 장치(200) 또는 서버(300)는 QR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S450). 이러한 QR 코드는 서버(300)에 또는 외부서버(600)에 업로드된 이미지에 접근할 수 있는 URL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예약된 포토티켓을 발권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스타포토 티켓을 생성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 및 도 6의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포토티켓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디스플레이부(140)에서 노출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현장에 설치된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에서 예매 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S505).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도 7과 같이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40)에서 표시되는 예매 발권 아이템(705)을 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40)에서는 미리 설정된 광고 표시 영역(701, 703)이 재생되는 상태일 수 있다.
예매 발권 아이템(705)이 선택되면,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도 8과 같이 예매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예매번호를 입력하면,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도 9와 같이 티켓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예약포토 티켓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510). 존재하는 경우,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서버(300)에 미리 저장된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고(S515), 확인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약포토 티켓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후술할 스타포토 티켓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이미지 교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520). 이미지 교체 입력이 수신되지 않는다면 스타포토 티켓 존재 여부 판단과정으로 분기할 수 있으나, 이미지 교체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QR 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S525).
구체적으로,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의 QR 코드 스캐너(180)를 통해 사용자 장치(200)에 출력된 QR 코드를 스캔할 수 있고, 스캔된 QR 코드 정보의 URL 주소를 참조하여 서버(300) 또는 외부 서버(600)에 포함된 이미지를 불러올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는 전술한 도 4의 S445 동작 및 S450 동작을 통한 티켓 예약과정에서 업로드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사용자는 임의의 시점에서 서버(300) 또는 외부서버(600)에 이미지를 업로드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0) 또는 별도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업로드된 이미지에 접근할 수 있는 QR 코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기존 업로드된 이미지를 사용자 장치(200)를 통해 인식된 QR 코드에 해당하는 이미지로 변경할 수 있다(S530).
다음으로,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스타포토 티켓에 대한 사용자 요청이 입력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535). 이러한 사용자 요청 입력은 도 7의 스타포토 아이템(707)을 터치하는 입력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매 티켓을 발권하는 다른 메뉴에서 입력될 수도 있다.
스타포토 티켓에 대한 사용자 요청이 입력되면,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도 6으로 분기하여 컨텐츠 선택을 할 수 있는 UI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S610). 예를 들어,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도 10과 같은 컨텐츠 선택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를 선택하면,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40)의 화면을 통해 도 11과 같이 포토 객체가 미리 설정된 위치에 고정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카메라부(150)를 활성화시킬 수 있고, 해당 포토 객체와 함께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프리뷰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의 입력 또는 소정 시간을 체크하는 타이머에 의해,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40)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촬영(예: 캡쳐)할 수 있다(S630).
그러면,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포토 객체와 사용자의 사진을 합성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영상 보정이 수행될 수 있다(S650). 사진 합성 및 영상 보정과 관련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어서,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합성 이미지에 대하여 필터 및 수량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S670). 이러한 화면의 예시로 도 12와 같은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필터 및 수량이 선택되면,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도 5의 S540 단계로 분기하여 스타포토 또는 예약포토를 통해 작업된 이미지가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미지가 생성되었다면,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서버(300)에 해당 이미지를 업로드할 수 있다(S545).
작업된 이미지가 없거나, 이미지 업로드 단계(S545)에 이어서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포토티켓 또는 포토카드를 프린트할 수 있다(S550).
예를 들어,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포토티켓 또는 포토카드를 인쇄하는 과정에서 도 13과 같이 티켓 출력 중임을 나타내는 화면을 표시한 후, 이어서 도 14와 같이 포토티켓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포토티켓의 일면(예: 앞면)에는 예약포토, 스타포토 또는 QR 코드를 참조하여 불러온 이미지가 인쇄될 수 있으며, 나머지 면(예: 뒷면)에는 티켓 정보가 인쇄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현장에서 티켓구매 없이 스타포토만 촬영한 경우에는 티켓 정보가 없는 포토카드만이 인쇄되어 출력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가 위치한 현장에서 포토티켓을 생성하는 과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러한 도 15의 동작들은 현장 구매 시나리오로서, 사용자가 도 7의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에서 표시되는 현장구매 아이템(709)을 선택(예: 터치)하는 것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15에서 개시되는 내용 중 전술한 도면에서 설명된 내용과 예시는 생략되거나 간략히 처리될 수 있으며, 도 15에서의 티켓 구매 또한 영화티켓을 예시로서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현장에서 영화 정보를 선택함에 따라(S1510),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업로드 이미지를 호출할 것인지를 문의할 수 있다(S1520). 업로드 이미지를 호출한다는 사용자의 별도 입력 또는 사용자 장치(200)에 출력된 QR 코드를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에 직접 근접시키는 사용자의 행위가 발생하는 경우,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QR 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S1530).
그러면,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인식된 QR 코드에 포함된 URL 주소를 참조하여 서버(300) 또는 외부서버(600)에 저장된 이미지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S1540).
한편, 상기와 같은 이미지 호출 이외에,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타포토 티켓을 이용할 것인지를 문의할 수 있다(S1550). 스타포토 티켓을 이용한다면,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전술한 도 6의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스타포토 티켓을 이용하지 않는다면,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S1560 내지 S1580 단계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S1560 내지 S1580 단계의 동작들은 전술한 도 5의 S540 내지 S560 단계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스타포토 촬영 및 이에 따른 포토 티켓을 생성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러한 도 16의 동작들은 스타포토를 구매하는 시나리오로서, 전술한 도 7의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에 출력된 스타포토 아이템(707)을 선택(예: 터치)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도 16에 대한 내용도 전술한 도면들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생략하거나 간략히 하도록 한다.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컨텐츠 선택 화면을 출력할 수 있고(S1610), 포토 객체와 사용자 화상을 촬영하여(S1620) 합성 이미지를 생성/보정할 수 있다(S1630). 사용자에 의해 필터 및 수량이 선택되면(S1640),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할인 및 결제 안내화면 및 관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S1650).
스타포토 이미지 사용여부(S1660)에 따라,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스타포토 이미지를 서버(300)에 업로드할 수 있고(S1670), 이어서 포토티켓 또는 포토카드를 프린트할 수 있다(S1680).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포토티켓을 SNS에서 공유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러한 도 17의 동작들은 포토티켓을 SNS상에서 공유하는 시나리오로서, 이전 설명된 도면들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에서 프린트된 포토티켓의 티켓 정보에는 QR 코드가 인쇄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QR 코드를 스캔할 수 있고(S1710),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이미지가 사용자 장치(20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S1730). 그러면, 사용자는 SNS 공유 기능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이미지를 SNS 서버상에서 공유할 수 있다(S1750).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의 블록도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통신부(110), 조도 센서부(120), 저장부(130), 디스플레이부(140), 카메라부(150), 조명부(160), 출력부(170), QR 코드 스캐너(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도 18의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통신부(110)는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를 네트워크(400)를 통해 사용자 장치(200), 서버(300), 티켓서버(500) 및 외부서버(600)와 통신 연결하고, 포토티켓 의 예약/생성/출력/관리와 관련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예컨대 셀룰러 모듈, Wifi 모듈, BT 모듈, GPS 모듈, NFC 모듈, 모바일 네트워크 모듈, RF 송/수신 모듈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와 같은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조도 센서부(120)는 조명 제어에 이용하기 위해 상기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의 소정 범위 내 조도(illuminance)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조도 센서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측정된 조도를 제어부(190)로 전달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제어부(190)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되거나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메모리(memory), 캐시(cash), 버퍼(buffer)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130)는 보정 프로그램(13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정 프로그램(131)은 실행 시에 제어부(190)가 포토 객체 및 사용자의 촬영 사진을 보정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어, 루틴, 또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보정 프로그램(131)은 카메라부(150)에서 획득된 사용자의 화상에서 광원을 추정하고 이를 추가적으로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조도 센서부(120)에 의해 측정된 조도를 기반으로 조명의 밝기 및 투명액정패널의 개폐를 제어하여 카메라부(150)에서 조사되는 광원의 양을 하드웨어 적으로 조절/제어할 수 있고, 이와 함께 상기 보정 프로그램(131)을 통해 소프트웨어 적으로도 조절/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디스플레이부(140)는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에서 생성되는 정보들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을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40)는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은 액정 표시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입력부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140)는 일반 터치 입력, 근접 터치 입력, 제스처 입력, 또는 전자 펜 입력 등을 수신할 수 있는 패널, 시트, 또는 디지타이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에서 포토티켓의 생성 및 출력 기능을 운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다양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카메라부(150)는 예를 들면,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 ISP(image signal processor), 또는 플래시(flash)(예: LED 또는 xenon lamp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50)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카메라부(150)를 구동하여 사용자를 촬상/촬영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부(150)는 투명액정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액정패널은 카메라부(150)의 전면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으며,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또한, 상기 투명액정패널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150)에 조사되는 광원의 투과율을 마치 창문에 부착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태양 빛의 양을 제어하는 블라인드처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조도 센서부(120)에 의해 측정된 조도를 기반으로 하여 투명액정패널의 개폐를 제어하되, 종국적으로는 이를 통해 상기 카메라부(150)에 조사되는 광원의 투과율을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에 의해 촬영되는 사진에 대한 광원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조명부(160)는 사용자를 촬영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 대한 광원을 조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조명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70)는 합성 이미지 또는 합성 이미지에 추가적인 필터 처리가 수행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으며, 한정되지 않는 예로서 프린터기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출력부(170)는 프린터, 포토 프린터와 같이 사진을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모든 프린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QR 코드 스캐너(180)는 사용자 장치(200)에서 표시되는 QR 코드 정보를 스캔할 수 있고, 스캔된 정보를 제어부(19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의 전원 공급 제어 등과 같은 전반적인 동작 및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의 내부 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9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90)는 사용자의 입력을 기반으로 혹은 미리 정해진 설정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의 화면에 사용자의 화상과 함께 배치될 포토 객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사용자의 화상과 포토 객체를 합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혹은 미리 입력된 명령에 따라 상기 합성된 객체(예: 합성 이미지)에 추가적인 필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카메라부(150)로부터 사용자 화상을 획득하여 화면을 통해 재현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포토 객체와 실시간 카메라 화상을 상기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 내 화면에 동시에 표현하기 위해 사진 촬영 전/후의 포토 객체들을 사진 또는 애니메이션 등의 형태로 상기 카메라 화상 위에 오버랩(overlap)하여 화면 상에 표현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가 카메라 연결을 통해 사진 촬영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9를 참고하면,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으며,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를 통해 사진 촬영을 수행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청 또는 입력 등에 따라 사용자의 사진 촬영을 수행하기 위해 카메라에 대한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카메라는 사용자의 화상을 실시간으로 내부 또는 외부 화면(예: 디스플레이부(140))을 통해 재생할 수 있으며, 위와 같이 화면을 통해 사용자의 화상을 재생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의 사진 촬영 준비가 완료된 상태임을 전제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실시간 카메라 화상과 포토 객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동시에 표현하기 위해, 이미지 혹은 동영상으로 표현될 수 있는 포토 객체를 실시간 카메라 영상에 연결할 수 있다.
즉,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혹은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에 기 설정된 명령에 따라 선택된 포토 객체의 파일을 열고, 해당 파일 즉, 상기 선택된 포토 객체를 사진 혹은 애니메이션 등의 형태로서 카메라 영상 위에 오버랩(overlap)하여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나타낼 수 있다.
그 후,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혹은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 내 미리 설정된 타이머에 의해 사진 촬영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 때 촬영된 사진은 사용자의 화상만을 포함할 수도 있으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포토 객체와 사용자의 화상이 함께 포함된 하나의 사진일 수도 있다.
한편, 도 19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후술할 예정인 바와 같이 측정된 조도를 기반으로 조명의 밝기 제어 및 투명액정패널의 개폐 제어를 수행하여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에 의해 생성될 사진에 적용될 광원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이와 함께 혹은 이와는 별도로 상기 사진 촬영 후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카메라부(150)로부터 획득된 사진에서 광원(예를 들어, 광원의 밝기 등)을 추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사진의 광원 등을 소프트웨어적으로도 보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사진이나 영상 등은 주변 광원의 영향으로 합성하려는 포토 객체와 색 불일치가 발생하여 만족할 만한 화질의 영상을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주변 광원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조도 센서부(120)에 의해 측정된 조도를 기반으로 조명의 밝기 및 투명액정패널의 개폐를 제어하여 카메라에 조사되는 광원의 양을 하드웨어 적으로 조절/제어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혹은 별도로 촬영이 완료된 화상에 대하여 광원의 밝기를 추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진을 보정하는 소프트웨어적인 조절/제어도 가능하다.
이러한 소프트웨어적인 조절에 대해 예를 들면, 물체에서 반사되는 빛 에너지를 이용하여 주위 광원의 효과를 상쇄시켜 물체의 고유색을 인지하는 컬러 항상성에 기반한 레티넥스(retinex) 알고리즘을 통하여 상기 사진 또는 영상의 광원 밝기를 추정하고 보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RGB 영상을 YCbCr공간(Color Space)으로 변환하고, 그 중 밝기 채널에 다양한 크기의 가우시안 커널을 적용하여 광원의 밝기성분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밝기를 보상하기 위해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계산된 광원의 밝기를 사진 또는 영상의 밝기 채널로 나누어 주어서 상기 사진 또는 영상 내 광원의 밝기를 보상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레티넥스 알고리즘을 반복적으로 적용하는 다중 레티넥스를 수행할 수도 있다.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위와 같은 과정 등에 따라 광원 보정이라는 전처리를 거친 사진 등을, 상기 포토 객체와 합성하기 위해, 이들 각각의 컬러와 대비를 조절하여 서로 유사하게 변환한 후 합성을 수행할 수 있다.
a) 대비 조절
사진 또는 영상이 잘 표현되기 위해서는 각 채널의 계조가 균등하게 분포하도록 조절 되어야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RGB 색공간에서는 채널간의 상관으로 사진 또는 영상의 색도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이러한 색의 왜곡을 줄이기 위해 색공간 변환을 통한 밝기와 색도를 분리하고 밝기 성분만을 추출하여 분석한다.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밝기 성분만 추출한 후 밝기의 히스토그램 비교를 통한 계조의 증가 및 그레이(gray) 계조의 각 단계별 분포를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히스토그램의 모양을 비슷하게 유지하면서, 전역적으로 수행했을 때 나타나는 오버 인해스먼트(over-enhancement) 결점을 줄일 수 있다.
b) 채도 조절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에서 밝기가 개선된 사진 또는 영상에서 채도 조절을 통해 컬러를 향상시킬 수 있다. 대비조절과 같이 CIELAB 및 HSV와 같은 색도와 밝기 성분을 분리할 수 있는 컬러 공간 변환을 이용하여 밝기에 따른 채도(saturation) 성분 만을 추출하여 이를 증가시킴으로서 보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지역적으로 피부색을 추정하여 선호하는 피부색으로 컬러를 재현하도록 보정할 수도 있다. 이들에 대해서는 이하 도 22 내지 도 27에서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가 조도 센서와 투명 액정을 이용하여 광원 제어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며,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도 센서와 투명 액정을 이용하여 광원 제어를 수행하는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먼저 도 2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가 조도 센서와 투명 액정을 이용하여 광원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 내 조도 센서부(120)는 상기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의 소정 범위 내 조도를 측정할 수 있다.
즉,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의 전면부에는 사진 촬영을 위한 소정의 공간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소정의 공간은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의 촬영이 가능한 범위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사진 촬영을 위한 소정의 공간에서 사진 촬영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조도 센서부(120)는 상기 소정의 공간 범위의 조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조도라 함은 상기 소정의 공간 범위에 투사되는 광속을 상기 소정의 공간 범위의 면적으로 나누어 측정한 값을 의미하며, 상기 소정의 공간 범위의 밝기를 말한다. 조도의 단위는 룩스(lux) 또는 칸델라(candela: cd)를 사용할 수 있고 이 때, 1룩스는 1촉광(candle-power)의 광원으로부터 1m(미터) 떨어진 곳이며, 그 빛에도 직각인 면의 밝기를 의미한다. 또한, 조도는 광원으로부터의 거리가 2배가 되면 1/4, 3배가 되면 1/9, 4배가 되면 1/16이 될 수 있다.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의 제어부(190)는 조도 센서부(120)에 의해 측정된 조도를 기반으로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의 사진 촬영 시 이용되는 조명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조명부(160)에 의해 제공되는 조명의 밝기 단계는 로우(Low), 노멀(Normal) 또는 하이(High) 중 어느 하나로 구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어디까지나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더욱 세분화되어 구분되거나 혹은 간명하게 구분될 수도 있다.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 내 조명부(160)는 조명의 밝기 단계 중 조도 센서부(120)에 의해 측정된 조도에 대응되는 밝기 단계로 설정하여 상기 조명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도 센서부(120)에 의해 측정된 조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보다 낮은 저조도(low illuminance)인 경우, 조명부(160)는 상기 조명의 밝기를 하이(High)로 설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조명의 밝기가 더욱 강해지기 때문에 상기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가 사진 촬영 시 더욱 많은 양의 광원이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된 조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보다 높은 고조도(high illuminance)인 경우, 조명부(160)는 조명의 밝기를 로우(Low)로 설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조명의 밝기가 상대적으로 약해지기 때문에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가 사진 촬영 시 적은 양의 광원만이 유입될 수 있다.
한편,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의 제어부(190)는 조도 센서부(120)에 의해 측정된 조도를 기반으로 카메라부(150) 전면에 장착되어 사진 촬영 시 상기 카메라부에 조사되는 광원의 양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투명액정패널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투명액정패널은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의 카메라부(150) 전면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투명액정패널은 개폐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투명액정패널의 개폐 여부에 따라 카메라부(150)에 조사되는 광원의 투과율을 마치 창문에 부착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태양 빛의 양을 제어하는 블라인드처럼 제어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도 센서부(120)에 의해 측정된 조도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투명액정패널의 개폐를 제어하되, 종국적으로는 이를 통해 상기 카메라부(150)에 조사되는 광원의 투과율을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에 의해 촬영되는 사진에 대한 광원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조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조도를 기반으로 상기 조명부(160)에 따른 조명의 밝기 및/또는 상기 투명액정패널에 따른 카메라부(150)에 조사되는 광원의 투과율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의 카메라부(150)는 상기 조명부(160) 및 상기 투명액정패널의 제어 결과가 반영된 사용자의 화상을 촬영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촬영 사진을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도 20을 참고하면, 조명부(160) 및 투명액정패널의 제어 결과를 반영하여 사용자에 대한 촬영 사진을 생성한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사용자에 대한 촬영 사진을 그대로 출력하거나 혹은 사용자가 기 선택한 포토 객체와 합성을 수행한 후 출력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사용자에 대한 촬영 사진에 대하여 상기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에 기 설치된 소프트웨어(software, 예: 보정 프로그램(131))의 프로세스에 따라 추가적인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software)에 의한 프로세스에 따라 수행되는 추가적인 보정은 이하 도 22 내지 도 27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가 광원의 밝기를 추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며,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가 광원의 밝기를 보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먼저 도 22를 참고하면,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사용자에 대한 촬영 사진에 대하여 소프트웨어(software) 적인 추가 보정을 수행하기 위해 먼저,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촬영 사진의 밝기 성분을 추출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YCbCr색 공간 변환을 통한 밝기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밝기 성분을 얻기 위한 색 공간은 HSV(Hue, Saturation Value), HIS(Hue, Intensity, Saturation), CIELAB 변환 등의 사용이 가능하며,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우시안 커널(Gaussian Kernel)을 이용한 광원의 밝기 성분 추정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하기의 서로 다르게 설정된 가우시안 함수의 표준 편차(σ)를 이용하여 도 22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가우시안 커널(G1, G2, G3)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생성된 3개의 가우시안 커널을 사진의 밝기 성분에 적용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수학식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커널이 적용된 사진들에 대하여 가중치(w) 합을 한 뒤, 해당 사진에서 광원의 밝기 성분(S‘)을 추정할 수 있다.
Figure 112016072827759-pat00001
도 23을 참고하면,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촬영 사진에 대하여 소프트웨어(software)에 의한 프로세스에 따라 추가적인 보정을 수행하기 위해, 앞서 도 22의 내용에 따라 추출한 사진 광원의 밝기를 더욱 밝거나 혹은 더욱 어둡게 보정할 수 있다.
즉,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촬영 사진 내 광원의 밝기를 보상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아래의 수학식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앞서 수학식 1에 따라 추정된 광원(S‘)으로 RGB 영상의 각 채널(I)을 나눔(divide)으로서 광원의 밝기를 보상할 수 있다.
Figure 112016072827759-pat00002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촬영 사진과 포토 객체의 합성 내지 융합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대한 촬영 사진과 포토 객체를 합성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때 컬러 및 대비의 향상을 포함하여 상기 포토 객체와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촬영 사진을 합성 내지 융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광원 보정 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촬영 사진과 상기 포토 객체를 합성하기 위해, 이들 각각의 컬러와 대비를 조절하여 이들을 서로 유사하게 변환한 후 합성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인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촬영 사진과 상기 포토 객체의 대비를 분석하기 위해, 먼저 각 채널간의 히스토그램 범위를 계산하여 최소값, 최대값을 추정하고 두 객체 간 이를 일치시켜주는 히스토그램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촬영 사진에 추가적으로 필터와 컬러를 조절하여 상기 포토 객체와 합성할 수도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포토티켓 생성 장치가 사용자에 대한 촬영 사진과 포토 객체를 합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24를 참고하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사용자에 대한 촬영 사진과 포토 객체를 합성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앞서 설명한 방법에 따라 조도를 이용하여 조명의 밝기 및 카메라에 유입되는 광원의 양을 조절하거나 혹은 사용자에 대한 촬영 사진에 대하여 광원을 추정하고 보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각각 혹은 모두 거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촬영 사진을, 상기 포토 객체와 영상 융합 기술을 통해 합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영상 융합 기술은 현재까지 출시된 영상을 결합하거나 합성하는 기술과 앞으로 새롭게 나올 모든 영상을 결합하거나 합성하는 모든 기술을 전부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융합은 컬러 및 대비의 향상을 통한 영상 융합과 피부색 및 그레이 계조의 보정을 통한 영상 융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상기 영상 융합을 통해 생성된 합성 이미지를 사진 출력이 가능한 프린터로 전송하여 출력할 수도 있으며, 이와 달리 상기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 내 화면을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가 컬러 및 대비를 향상시켜 이미지를 합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25를 참고하면, 상기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선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합성을 수행하는 대상인 포토 객체와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촬영 사진을 이용하여 히스토그램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히스토그램 매칭이라 함은, 포토 합성 장치가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촬영 사진과 상기 포토 객체 각각에서 각 채널별 최소값, 최대값을 추정하고, 이 중 가장 작은 최소값 또는 가장 큰 최대값을 기준으로 히스토그램 스트레칭 기법을 이용하여 채널간의 값의 범위를 일치 시켜주는 것을 의미한다.
위와 같은 히스토그램 매칭을 수행한 후 상기 포토 합성 장치는 필터링 및/또는 컬러 보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필터링 및/또는 컬러 보정은 상기 포토 합성 장치가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촬영 사진과 상기 포토 객체를 합성하기 전,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촬영 사진에 추가적인 필터링과 컬러 보정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필터링 및 컬러 보정은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촬영 사진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 때 전체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촬영 사진 전체 이미지를 의미하는 것이고, 부분은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촬영 사진 중 얼굴 감지를 통한 피부색 보정과 같이 이미지의 특정 부분만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필터링은 바이래터럴 필터(bilateral filter)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촬영 사진의 엣지(edge) 부분은 보존되면서, 평탄한 영역에서 존재하는 잡음을 줄여주고, 색의 경계와 번짐 현상 등을 줄여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컬러 보정은 영상의 CIELAB 및 HSV와 같은 색도와 밝기 성분을 분리할 수 있는 컬러 공간 변환을 이용하여 채도(saturation) 성분 만을 추출하고 이를 증가시킴으로서 보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가 선호 피부색 재현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인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광원 보정 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촬영 사진과 상기 포토 객체를 합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촬영 사진의 피부색과 상기 포토 객체의 피부색 간의 이질감을 감소시킨 후 합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선호 피부색을 분석하여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촬영 사진 속 객체에 대한 피부색을 검출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상기 결정된 선호 피부색을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촬영 사진에서 검출된 상기 객체의 피부색 영역에 적용하여 상기 결정된 선호 피부색으로 재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선호 피부색에 대한 분석 및 결정은 선호 피부색 실험을 통해 색도 좌표계를 통해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촬영 사진 속 객체에 대한 피부색 검출은 색공간을 이용하여 검출될 수 있다. 즉, 피부색은 다양한 색공간에서 일정한 범위 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RGB 색공간에서는 R채널의 값이 G채널이나 B채널의 값보다 적은 분포를 가지며, G채널이나 B채널보다 R채널에서의 값이 더 높은 상관도를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색공간에서의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촬영 사진 속 객체에 대한 피부색 검출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는 위와 같은 방법에 따라 결정된 선호 피부색과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촬영 사진에서 검출된 상기 객체의 피부색 간 차이를 비율적으로 계산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촬영 사진에서 검출된 상기 객체의 피부색을 상기 결정된 선호 피부색으로 재현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가 선호 피부색 재현을 수행한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입력 영상 및 피부색 보정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을 참고하면, 포토티켓 생성 장치(100)를 통해 앞서 도 26에서 설명한 방법에 따라 선호 피부색 재현을 수행하고자 하는 입력 영상(또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촬영 사진, 도 27(a))과, 상기 선호 피부색 재현을 수행한 피부색 보정 영상(도 27(b))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영상의 화질 평가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이 사람의 기억색이며, 상기 기억색은 사용자의 선호도와 화질을 개선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영상(또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촬영 사진, 도 27(a))의 피부색을 사용자가 선호하는 피부색(또는 기억색, 도 27(b))으로 재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선호하는 사진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도 1 내지 도 27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의해, 사용자에게 특별한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즉석에서 포토티켓에 인쇄될 이미지를 간편하게 변경시킬 수 있고, 보다 나은 품질의 이미지가 인쇄된 포토티켓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포토 생성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는 모든 기능은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 형태인 앱으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카메라 영상과 포토 객체를 앞서 도 1 내지 도 27을 통해 설명한 방법에 따라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는 기능 및 상기 합성된 이미지를 다른 매체에 인쇄하는 부분으로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다른 매체는 종이, 이미지 메모리처럼 합성 이미지가 이미지 형태로 출력되는 다양한 디지털 매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포토티켓 생성 시스템 100: 포토티켓 생성 장치
200: 사용자 장치 300: 서버
400: 네트워크 500: 티켓서버
600: 외부서버

Claims (10)

  1. 포토티켓 생성 장치에서 포토티켓을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로부터 티켓의 예매 정보 또는 티켓의 현장구입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포토티켓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포토 객체를 상기 포토티켓 생성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
    측정된 조도를 기반으로 카메라부에서 조사되는 광원의 양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포토 객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포토 객체 및 상기 포토티켓 생성 장치의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상기 사용자의 사진을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합성 이미지에 대한 확인 입력이 수신되거나 소정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상기 합성 이미지 및 티켓 정보가 인쇄된 포토티켓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생성된 합성 이미지와 다른 이미지를 요청하는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 장치로부터 QR 코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QR 코드 정보에 포함된 URL 주소를 참조하여 외부 서버에 저장된 업로드 이미지를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업로드 이미지가 일 면에 인쇄되고 상기 티켓 정보가 다른 일면에 인쇄된 포토티켓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포토티켓에 인쇄된 티켓 정보는, 상기 합성 이미지 또는 상기 업로드 이미지와 연동된 정보를 포함하는 QR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된 조도를 기반으로 상기 카메라부에서 조사되는 광원의 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포토티켓 생성 장치 내 조도 센서부가 상기 포토티켓 생성 장치의 소정 범위 내 조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조도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조도를 기반으로 카메라부 전면에 부착되어 있는 투명액정패널의 개폐를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부에 조사되는 광원의 투과율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조명부에 의해 제공되는 조명의 밝기 단계는 로우(Low), 노멀(Normal) 또는 하이(High) 중 어느 하나로 구분되고,
    상기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촬영 사진 광원의 밝기 성분을 추출하고, 추출한 사진 광원의 밝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촬영 사진 내 광원의 밝기를 보상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사진과 상기 선택된 포토 객체에 대하여 채널별 영상 보정을 수행한 후 상기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 사진 광원의 밝기 성분을 추출하는 것은,
    YCbCr색 공간 변환, HSV(Hue, Saturation Value), HIS(Hue, Intensity, Saturation), CIELAB 변환, 가우시안 커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촬영 사진의 밝기 성분을 추출하고,
    상기 영상 보정은,
    히스토그램 매칭, 필터링 및 컬러 보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히스토그램 매칭은 채널별 최소값, 최대값을 추정하고 추정된 최소값과 최대값을 기준으로 히스토그램 스트레칭을 수행하고,
    상기 필터링은 바이래터럴 필터를 사용하여 영상 처리하고,
    상기 컬러 보정은 전체 영상에 대해 컬러 보정하거나, 얼굴 감지를 통한 피부색 보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티켓 생성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포토 객체 및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되는 사용자의 프리뷰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의 촬영 요청 또는 미리 설정된 정책에 의해 상기 표시 중인 포토 객체 및 프리뷰 영상을 캡쳐하는 단계; 및
    캡쳐된 화면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확인 입력이 수신되거나 소정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상기 캡쳐된 화면 이미지를 상기 합성 이미지로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토티켓 생성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포토티켓을 생성하는 포토티켓 생성 장치로서,
    디스플레이부;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포토티켓이 출력되는 출력부;
    QR 코드 스캔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포토티켓 생성 장치의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티켓의 예매 정보 또는 티켓의 현장구입 정보를 입력받고, 포토티켓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포토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포토 객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포토 객체 및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상기 사용자의 사진을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합성 이미지에 대한 확인 입력이 수신되거나 소정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상기 합성 이미지 및 티켓 정보가 인쇄된 포토티켓을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합성 이미지와 다른 이미지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QR 코드 스캔부를 통해 사용자 장치로부터 QR 코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QR 코드 정보에 포함된 URL 주소를 참조하여 외부 서버에 저장된 업로드 이미지를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업로드 이미지가 일 면에 인쇄되고 상기 티켓 정보가 다른 일 면에 인쇄된 포토티켓을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포토티켓에 인쇄된 티켓 정보는, 상기 합성 이미지 또는 상기 업로드 이미지와 연동된 정보를 포함하는 QR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포토티켓 생성 장치는,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부;
    상기 카메라부에 장착되는 투명액정패널; 및
    상기 포토티켓 생성 장치의 소정 범위 내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조도를 기반으로 카메라부 전면에 부착되어 있는 투명액정패널의 개폐를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부에 조사되는 광원의 투과율을 제어하고,
    상기 조명부에 의해 제공되는 조명의 밝기 단계는 로우(Low), 노멀(Normal) 또는 하이(High) 중 어느 하나로 구분되고,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촬영 사진 광원의 밝기 성분을 추출하고, 추출한 사진 광원의 밝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촬영 사진 내 광원의 밝기를 보상하고,
    상기 포토티켓 생성 장치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사진과 상기 선택된 포토 객체에 대하여 채널별 영상 보정을 수행한 후 상기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촬영 사진 광원의 밝기 성분을 추출하는 것은,
    YCbCr색 공간 변환, HSV(Hue, Saturation Value), HIS(Hue, Intensity, Saturation), CIELAB 변환, 가우시안 커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촬영 사진의 밝기 성분을 추출하고
    상기 영상 보정은,
    히스토그램 매칭, 필터링 및 컬러 보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히스토그램 매칭은 채널별 최소값, 최대값을 추정하고 추정된 최소값과 최대값을 기준으로 히스토그램 스트레칭을 수행하고,
    상기 필터링은 바이래터럴 필터를 사용하여 영상 처리하고,
    상기 컬러 보정은 전체 영상에 대해 컬러 보정하거나, 얼굴 감지를 통한 피부색 보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티켓 생성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60095148A 2016-07-27 2016-07-27 포토티켓을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포토티켓 생성 장치 KR101938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148A KR101938207B1 (ko) 2016-07-27 2016-07-27 포토티켓을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포토티켓 생성 장치
PCT/KR2016/010743 WO2018021617A2 (ko) 2016-07-27 2016-09-26 포토티켓을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포토티켓 생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148A KR101938207B1 (ko) 2016-07-27 2016-07-27 포토티켓을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포토티켓 생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400A KR20180012400A (ko) 2018-02-06
KR101938207B1 true KR101938207B1 (ko) 2019-04-11

Family

ID=61016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148A KR101938207B1 (ko) 2016-07-27 2016-07-27 포토티켓을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포토티켓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38207B1 (ko)
WO (1) WO2018021617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396B1 (ko) 2019-11-28 2020-11-13 이민구 증강현실 기반의 이미지출력물 제작 방법 및 장치
KR102202840B1 (ko) * 2019-11-28 2021-01-14 (주)아바비젼 크로마키와 qr코드를 이용한 합성사진 제공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7713B1 (ko) * 2019-05-21 2019-12-19 주식회사 코어닷투데이 인식 영역의 스타일을 트랜스퍼하는 시스템 및 방법
RU193936U1 (ru) * 2019-07-30 2019-11-21 Вячеслав Иванович Гонцов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чати фотографий на основе с данными билета
KR102390838B1 (ko) * 2021-07-22 2022-04-28 주식회사 엘케이벤쳐스 촬영룸 키오스크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들에 기초하여 사진 프레임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593715B1 (ko) * 2022-11-17 2023-10-24 박지호 증강 현실 사진 출력 키오스크 앱 뷰어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4241B1 (ko) * 2015-02-17 2015-12-03 알플러스컴퍼니 주식회사 Qr 코드 인식 처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6600A (ja) * 2002-02-27 2003-09-12 Konica Corp イベントチケット発券システム、発券端末及びイベントチケット発券方法並びにイベント情報提供サービス
KR200360791Y1 (ko) * 2004-06-03 2004-09-03 차상안 디지털 미디어 제어 키오스크 시스템
KR20070041089A (ko) 2005-10-14 2007-04-18 이재형 사진티켓 판매 방법 및 장치
JP5105209B2 (ja) * 2007-12-04 2012-12-26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KR101627937B1 (ko) * 2014-10-31 2016-06-08 (주)유비 이벤트용 포토 키오스크
KR20160059314A (ko) * 2014-11-18 2016-05-26 한민우 포토 티켓 발행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4241B1 (ko) * 2015-02-17 2015-12-03 알플러스컴퍼니 주식회사 Qr 코드 인식 처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396B1 (ko) 2019-11-28 2020-11-13 이민구 증강현실 기반의 이미지출력물 제작 방법 및 장치
KR102202840B1 (ko) * 2019-11-28 2021-01-14 (주)아바비젼 크로마키와 qr코드를 이용한 합성사진 제공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21617A2 (ko) 2018-02-01
WO2018021617A3 (ko) 2018-03-15
KR20180012400A (ko) 2018-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8207B1 (ko) 포토티켓을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포토티켓 생성 장치
US1172951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gital photography
CN104092953B (zh) 调光控制方法和装置及具有拍照功能的设备
CN106716876B (zh) 高动态范围编码光检测
CN108668093A (zh) Hdr图像的生成方法及装置
US20180332239A1 (en) Background replacement utilizing infrared light and visible light
JP4960840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US11483463B2 (en) Adaptive glare removal and/or color correction
US10313603B2 (en) Photograph generation apparatus that controls light source and corrects photograph
Dong et al. Printing spatially-varying reflectance for reproducing HDR images
JP2006324987A (ja) 撮影画像処理方法と撮影画像処理プログラムと撮影画像処理モジュール
JP2023021174A (ja) 撮影装置、撮影方法、及び撮影処理プログラム
JP2012165271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828280B1 (ko) 조도 센서와 투명 액정을 이용하여 광원 제어를 수행하는 포토 생성 장치
JP2007036695A (ja) カラー調整モジュールとこれを組み込んだ写真プリント注文処理機
JP2019008008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4011425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adow detection and reduction in document capture
JP2018010498A (ja)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
JP2007124112A (ja) 画像処理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プログラム
KR20180032793A (ko) 광고결합 방식의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
JP2015232832A (ja) 表示処理装置、表示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0057999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0093374A (ja) 撮影環境確認方法
JP2010093372A (ja) 撮影環境確認方法
JP2010087995A (ja) 撮影環境確認方法および撮影環境確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