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0791Y1 - 디지털 미디어 제어 키오스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미디어 제어 키오스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0791Y1
KR200360791Y1 KR20-2004-0015486U KR20040015486U KR200360791Y1 KR 200360791 Y1 KR200360791 Y1 KR 200360791Y1 KR 20040015486 U KR20040015486 U KR 20040015486U KR 200360791 Y1 KR200360791 Y1 KR 2003607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diting
image
image data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54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상안
정한채
Original Assignee
차상안
정한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상안, 정한채 filed Critical 차상안
Priority to KR20-2004-00154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07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07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07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26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printing, stamping, franking, typing or teleprinting apparatus
    • G07F17/266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printing, stamping, franking, typing or teleprinting apparatus for the use of a photocopier or pr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21Employing a record carrier using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06F2212/214Solid state disk
    • G06F2212/2146Solid state disk being detachable, e.g.. USB memory

Abstract

본 고안은 비용 결제를 담당하는 결제부와, 메모리카드에 저장된 이미지 정보를 읽어 들이는 메모리카드 리더부와, 이미지 정보를 저장한 장치와의 USB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USB 인터페이스부와, 이미지 편집을 위한 각종 편집 서비스를 제공하는 편집부와, 편집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편집용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료저장부와, 각종 데이터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저장된 기준 색 데이터 정보에 따라 인화될 이미지 데이터를 정상 상태의 휘도 또는/ 및 컨트라스트의 이미지 데이터로 보정하는 이미지 보정부와, 이미지 데이터를 인화하는 프린터, 및 상기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결제부를 통해 결제된 금액이 사용 금액이면 상기 메모리카드 리더부 또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의 이미지 데이터를 읽어 들이고 상기 편집부를 통해 편집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편집부에 의해 편집된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이미지 보정부를 통해 보정되게 한 후 상기 프린터로 출력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미디어 제어 키오스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지털 미디어 제어 키오스크 시스템{Kiosk system to control Digital media}
본 고안은 키오스크(kiosk)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카메라 또는 카메라 기능을 가진 이동단말기 또는 디지털 이미지 정보를 저장한 기억매체에 저장된 디지털 이미지를 사용자에 의해 편집하고 인화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미디어 제어 키오스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기술과 영상처리기술의 발달로 인해, 피사체를 디지털 데이터로 기억장치에 저장시키는 디지털 카메라와 이동단말기가 등장하였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자신이 촬영한 사진을 해당 장치의 화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사용자는 디지털 데이터를 읽는 리더기와 고성능 프린터 및 컴퓨터를 구비하면 쉽게 사진을 출력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고객의 욕구에 따라 상기 리더기, 고성능 프린터 및 컴퓨터에서 기억장치에 저장된 디지털 이미지를 사진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기능만을 집약하고 있는 장비가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개발된 장비들은 디지털 카메라 또는 이동단말기 또는 기억장치에 저장된 디지털 이미지를 단순히 저장된 이미지 그대로의 사진으로 출력하는 기능만을 할 뿐,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편집된 사진으로 만들어 출력하지 못하여,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저장된 디지털 이미지를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편집하여 그 즉시로 인화할 수 있게 하는 디지털 미디어 제어 키오스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미디어 제어 키오스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미디어 제어 키오스크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의 편집 기능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입력 편집 기능의 예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 분할 처리 기능을 보인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목적 사진 변환 기능을 보인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 색상 밸런스 조절 기능을 보인 도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비용 결제를 담당하는 결제부; 메모리카드에 저장된 이미지 정보를 읽어 들이는 메모리카드 리더부; 이미지 정보를 저장한 장치와의 USB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USB 인터페이스부; 이미지 편집을 위한 각종 편집 서비스를 제공하는 편집부; 편집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편집용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료저장부; 각종 데이터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이미지 데이터를 인화하는 프린터; 및 상기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결제부를 통해 결제된 금액이 사용 금액이면 상기 메모리카드 리더부 또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의 이미지 데이터를 읽어 들이고 상기 편집부를 통해 편집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편집부에 의해 편집된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프린터로 출력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미디어 제어 키오스크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은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미디어 제어 키오스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키오스크 시스템은 결제부(10), 메모리카드 리더부(20), USB 인터페이스부(30), 편집부(40), 제어부(50), 임시저장부(60), 자료저장부(70), 디스플레이부(80), 스피커(90), 이미지 보정부(100) 및 프린터(110)를 포함한다.
상기 결제부(10)는 본 고안의 키오스크 시스템에 대한 사용료를 결제하기 위한 구성으로, 동전이나 지폐 등의 현금을 투입이 가능하고 투입된 현금을 인식하여 금액을 카운터하는 현금결제부이다. 결제부(10)는 투입된 금액의 카운터 결과를 제어부(50)에 제공한다.
본 고안은 상기 신용카드의 결제와 이동단말기의 결제를 가능하도록 하는 경우에, 네트워크망에 연결되어 해당 기관(금융기관, 이동통신사업자)의 서버로부터 결제승인을 받는 통신부(미도시)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외선 수신기는 IrDA 칩을 내장한 이동단말기를 위한 것이다. 즉 적외선 수신기는 IrDA 칩이 내장된 이동단말기와 적외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교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적외선 통신 방식은 케이블 없이 적외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을 말하는 것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한 문서나 멀티미디어 정보를 전달하는데 매우 유용한 기술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메모리카드 리더부(20)는 다수개의 메모리 카드 수납구(미도시)를 구비하며, 상기 메모리 카드 수납구에 삽입된 특정 메모리 카드(예컨대, MMC, SD, SM,CF, MS 등)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읽어 들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메모리 카드 리더부(20)는 디지털 카메라를 직접 연결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자체적으로 읽어 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30)는 직렬 통신 방식을 통해 이동단말기 또는 디지털 카메라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인터페이싱(interfacing)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이동단말기 또는 디지털 카메라의 시리얼 포트를 USB 인터페이스부(30)에 연결하면, 이동단말기 또는 디지털 카메라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본 고안의 키오스크 시스템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USB 인터페이스부(30)는 각 이동단말기 또는 디지털 카메라의 시리얼 포트 구조에 대응되는 USB 커넥터를 다수개 구비하여 해당 이동단말기의 시리얼 포트에 연결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편집부(40)는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며, 디지털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편집 프로그램을 가진다.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편집이란 디지털 이미지 즉, 사진을 명함 사진크기, 반명함 사진크기, 증명 사진크기로 사이즈 조절과, 특정영역의 이미지를 복사, 잘라내기, 삭제, 붙이기와, 하나의 이미지를 다수의 이미지로 분할처리, 흑백사진으로 변형, 원톤 사진으로 변형, 밝기 조절, 선명도 조절, 배경화면 변경 등을 말한다. 상기 편집부(40)의 편집 기능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다.
상기 임시저장부(60)는 상기 메모리카드 리더부(20), USB 인터페이스부(30)를 통해 제공된 디지털 이미지를 임시 저장하여, 사용자가 임시저장된 디지털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게 한다.
자료저장부(70)는 편집부(40)의 편집 동작에 사용될 다수의 이미지 자료가 저장되어 있으며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된 이미지 자료를 편집부(40)에 제공한다. 디스플레이부(80)는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카드 리더부(20) 또는 USB 인터페이스부(30)를 통해 읽어 들인 디지털 이미지 및 편지할 디지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며, 각종 서비스 항목 및 그에 따른 내용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상기 스피커(90)는 인화 처리과정에 필요한 절차를 음성으로 출력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이미지 보정부(100)는 최적의 사진 상태에 대한 색 데이터 정보를 기준 색 데이터로 저장하고 있으며, 프린터(110)로 출력 요구된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기준 색 데이터와 동일한 색 상태로 이미지 데이터를 보정한 후 프린터(110)로 출력한다. 여기서, 최적의 사진 상태이란 사진의 밝기(휘도) 및 콘트라스트가 최적인 사진 상태를 뜻하며, 그에 따라 기준 색 데이터는 최적의 휘도 및 콘트라스트에 대한 색 데이터이다.
상기 제어부(50)는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여 메모리카드 리더부(20) 또는 USB 인터페이스부(30)를 통해 입력된 디지털 이미지를 사용자가 편집부(40)에서 제공하는 편집 기능과 자료 저장부(70)에 저장된 이미지 자료를 이용하여 편집할 수 있게 하고, 편집된 이미지를 보정부(100)를 거쳐 보정한 이미지를 프린터(1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미디어 제어 키오스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미디어 제어 키오스크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지 않은 전원 온 상태에서는 디폴트(default)된 초기화면을 디스플레이부(80)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S201).
초기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본 고안의 시스템을 이용하고자하는 사용자는 메모리카드 리더부(20)에 편집할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카드를 삽입하거나 또는, 이동단말기 또는 디지털카메라의 USB 포트를 USB 인터페이스부(30)에 연결하고, 초기화면에서 편집할 이미지 데이터의 위치를 알려 데이터 저장소(즉 메모리카드 리더부 또는 USB 인터페이스부)와의 연결을 요구한다(S202).
제어부(50)는 사용자의 데이터 저장소 연결 요구를 입력하면, 사용자가 지정한 데이터 저장소(즉 메모리카드 리더부 또는 USB 인터페이스부)를 구동시켜 편집할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한다(S203). 제어부(50)는 입력한 이미지 데이터를 임시저장부(60)에 저장시키고, 읽어 들인 이미지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80)를 통해 표시한다. 이때 표시되는 이미지의 정보는 사용자가 저장시 설정한 파일이름일 수 있고, 또는/및 JPEG. tif, bmp. GIF 등의 이미지 일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80)를 통해 이미지 정보가 표시되면, 이중에서 편집할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고, 제어부(50)는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를 편집 이미지로 설정한다(S204).
이렇게 사용자가 편집할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면, 제어부(50)는결제부(10)를 구동시켜 디스플레이부(80) 또는/및 스피커(90)를 통해 사용료 결제를 안내한다(S205). 이에 사용자는 결제부(10)를 통해 현금지불 결제를 수행하며, 이러한 사용자의 결제동작은 결제부(10)에 입력된다.
결제부(10)는 사용자가 지불한 결제금액을 확인하여 사용자가 결제한 금액이 설정된 사용금액인지를 비교하고 그 결과를 제어부(50)에 제공한다.
제어부(50)는 결제부(10)에서 제공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의 사용료 지불(결제)을 판단하는데(S206), 사용자가 사용료를 결제하였다고 판단하면 편집부(40)를 구동시키고 사용자가 사용료를 결제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사용자에게 사용료 지불을 재촉하거나 서비스를 중지한다.
사용자가 사용료를 결제한 경우이면, 편집부(40)는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편집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편집 프로그램은 편집용 메인 화면을 표시한다. 편집용 메인 화면에는 편집 서비스 항목과 사용자가 선택한 편집할 이미지가 표시된다.
사용자가 편집 서비스 항목 중에서 원하는 편집 서비스 항목을 선택하면(S207), 편집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선택한 편집 서비스 항목에 관계된 동작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제공한 이미지 데이터를 편집한다(S208).
이하, 편집부(40)에서의 편집 서비스를 첨부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의 편집 기능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시스템은 사용자가 제공한 이미지 데이터(Id)에 대하여 편집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편집 기능인 메시지 입력, 사진 색상 밸런스 조절, 사진 분할 처리, 목적 사진 변환 등을 처리하여 새로운 이미지 데이터(Id1)를 생성한다. 이때 목적 사진은 여권사진, 증명사진, 명함사진 등을 말한다.
여기서 도 4를 참조로 하여 편집부(40)의 메시지 입력 기능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입력 편집 기능의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부(40)의 편집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된 편집 기능 항목 중에서 사용자가 메시지 입력 항목을 선택하면, 편집부(40)는 화면에서 사진이 디스플레이된 영역에 겹치지 않게 텍스트가 입력될 부분(field)을 마련한다. 이때 텍스트가 입력될 부분은 화면을 기준으로 하단, 상단, 좌측, 우측 중 하나인 것이 양호하다.
상기와 같이 텍스트가 입력될 부분이 마련되면, 편집부(40)는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를 상기 텍스트가 입력될 부분에 표시한다.
도 5를 참조로 하여 편집부(40)의 사진 분할 처리 기능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 분할 처리 기능을 보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부(40)는 사용자가 사진 분할 처리를 요구하고 분할 개수를 입력하면, 4 부분 또는 9부분, 또는 25부분 등으로 이미지를 분할 처리한다.
도 6을 참조로 하여 편집부(40)의 목적 사진 변환 기능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목적 사진 변환 기능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부(40)는 사용자가 목적 사진 변환 기능을 선택하면, 사용자가 지정한 영역을 사용자가 선택한 목적 사진의 크기로 자동 변환시킨다. 이때 목적 사진 변환 기능은 이미지 데이터를 복수개(2개, 4개, 8개 등)로 만드는 기능을 더불어 가긴다.
그리고 도 7을 참조로 하여 편집부(40)의 사진 색상 밸런스 조절 기능을 설명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부(40)는 사용자가 제공한 이미지(입력된 사진)에 대하여 흑백 사진 변환, 원톤 사진 변환, 사용자 설정에 따른 밝기 조절, 사용자 설정에 따른 선명도 조절 등의 색상 밸런스 처리를 한다.
전술한 편집부(40)를 이용한 이미지 데이터의 편집이 완료되면, 편집 완료된 이미지 데이터는 임시 저장부(60)에 저장된다. 이후 사용자는 제어부(50)에게 인화를 요구한다(S209).
이에 제어부(50)는 임시 저장부(60)에 저장되어 있는 편집 완료된 이미지 데이터를 이미지 보정부(100)에 제공하고, 이미지 보정부(100)는 저장된 기준 색 데이터에 따라 상기 편집 완료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하여 이미지 보정을 수행한다(S210). 이렇게 이미지 보정부(100)에 의한 이미지 보정 동작에 의해, 너무 밝게 찍혀진 사진이나 흐리게 찍힌 사진 등이 최적의 휘도와 컨트라스트로 조절된, 선명한 사진(이미지) 데이터로 보정된다.
그리고 이미지 보정부(100)는 이미지 데이터 보정을 완료하면 이를 프린터(110)에 제공하고, 프린터(110)는 입력한 이미지 데이터를 사진으로 출력한다(S210). 결국 프린터(110)를 통해 인화된 사진은 너무 밝게 찍었더라도 정상사진에 가깝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미지 보정부(100)의 동작은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이미지 보정부(100)의 동작을 지시하는 별도의 핫 키를 마련하여 사용자에 의해 그 동작이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가 사진을 출력되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제어부(50)는 더 이상 추가 사용이 없다고 판단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를 종료한다(S212). 반면에 추가 사용을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추가 사용을 위해 본 고안의 시스템을 조작하게 되고, 이러한 추가 사용 조작은 제어부(50)에 입력되며, 제어부(5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각 구성의 기능을 제어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본 고안은 소정의 사용료만으로 사용자가 기억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편집하고 인화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형태로 편집된 사진을 즉석에서 얻을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비용 결제를 담당하는 결제부;
    메모리카드에 저장된 이미지 정보를 읽어 들이는 메모리카드 리더부;
    이미지 정보를 저장한 장치와의 USB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USB 인터페이스부;
    이미지 편집을 위한 각종 편집 서비스를 제공하는 편집부;
    편집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편집용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료저장부;
    각종 데이터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저장된 기준 색 데이터 정보에 따라 인화될 이미지 데이터를 정상 상태의 휘도 또는/ 및 컨트라스트의 이미지 데이터로 보정하는 이미지 보정부;
    이미지 데이터를 인화하는 프린터; 및
    상기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결제부를 통해 결제된 금액이 사용 금액이면 상기 메모리카드 리더부 또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의 이미지 데이터를 읽어 들이고 상기 편집부를 통해 편집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편집부에 의해 편집된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이미지 보정부를 통해 보정되게 한 후 상기 프린터로 출력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미디어 제어 키오스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부는 이미지 데이터를 다수개로 분할하는 분할 기능,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을 반명함사진 크기, 증명사진크기, 여권사진크기와 같이 특정 사이즈로 설정된 사진으로 자동변환시키는 기능, 상기 자료저장부에 저장된 편집용 이미지를 합성시키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함하는 디지털 미디어 제어 키오스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부는 현금을 입력받고 입력된 현금의 액수를 산출하는 현금 결제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미디어 키오스크 시스템.
KR20-2004-0015486U 2004-06-03 2004-06-03 디지털 미디어 제어 키오스크 시스템 KR2003607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486U KR200360791Y1 (ko) 2004-06-03 2004-06-03 디지털 미디어 제어 키오스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486U KR200360791Y1 (ko) 2004-06-03 2004-06-03 디지털 미디어 제어 키오스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0791Y1 true KR200360791Y1 (ko) 2004-09-03

Family

ID=49349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5486U KR200360791Y1 (ko) 2004-06-03 2004-06-03 디지털 미디어 제어 키오스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079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3988A1 (ko) * 2010-11-12 2012-05-18 (주)게임콘어뮤즈먼트 미니 앨범 제작 장치
WO2018021617A3 (ko) * 2016-07-27 2018-03-15 주식회사 아이오로라 포토티켓을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포토티켓 생성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3988A1 (ko) * 2010-11-12 2012-05-18 (주)게임콘어뮤즈먼트 미니 앨범 제작 장치
KR101160645B1 (ko) * 2010-11-12 2012-06-29 (주)게임콘어뮤즈먼트 미니 앨범 제작 장치
WO2018021617A3 (ko) * 2016-07-27 2018-03-15 주식회사 아이오로라 포토티켓을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포토티켓 생성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7648B2 (en) Capturing digital images to be transferred to a service provider for storage
US7158175B2 (en) System including a digital camera and a docking unit for coupling to the internet
US5666215A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selecting photographic images
EP1075138B1 (en) Print order/delivery system and method, digital camera, client information regristration device, ordering terminal, and printing system
US7467222B2 (en) Image ranking for imaging products and services
US20030025808A1 (en) Electronic camera with "utilization" selection capability
US200502540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print order files customized for a particular printer
KR20160044667A (ko)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사진 인화 시스템
US8169652B2 (en) Album creating system, album creating method and creating program with image layout characteristics
JP5515464B2 (ja) 画像処理装置、撮影編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180810B2 (ja) プリント注文システム、プリントシステム、注文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312843B1 (ko) 디지털 이미지 온라인 인화방법
KR200360791Y1 (ko) 디지털 미디어 제어 키오스크 시스템
US7130067B1 (en) Image data management system for image processing
KR100425072B1 (ko) 디지털 사진 자동 판매기와 이를 이용한 사진 제공 방법
KR100977282B1 (ko) 썸네일을 이용한 사진 인화 서비스 방법
KR20040050130A (ko) 디지털 사진 자동 인화기
JP2022034330A (ja) プリント端末及びプリントシステム
KR20050090291A (ko) 즉석에서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디지털 사진을 조작하는장치 및 그 방법
KR200362667Y1 (ko) 플래시 앨범 씨디 자동 제작시스템
JP4946674B2 (ja) 画像サーバ装置、画像サーバ装置の制御方法、画像サーバ装置制御プログラム、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画像送信システム、画像送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画像送信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5039626A (ja) 画像印刷装置、画像印刷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7009833B2 (ja) 画像プリントシステム及び画像プリント装置
JP4220749B2 (ja) 画像サービス提供装置
KR20050064523A (ko) 키오스크를 이용한 사진출력서비스 운영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