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8396B1 - 증강현실 기반의 이미지출력물 제작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증강현실 기반의 이미지출력물 제작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8396B1
KR102178396B1 KR1020190155435A KR20190155435A KR102178396B1 KR 102178396 B1 KR102178396 B1 KR 102178396B1 KR 1020190155435 A KR1020190155435 A KR 1020190155435A KR 20190155435 A KR20190155435 A KR 20190155435A KR 102178396 B1 KR102178396 B1 KR 102178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gmented reality
subject
photographing
reality content
imag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구
마승령
Original Assignee
이민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구 filed Critical 이민구
Priority to KR1020190155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83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00Machines for printing and issuing tick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8Conditioning data for presenting it to the physical printing elements
    • G06K15/1801Input data handling means
    • G06K9/00335
    • G06K9/4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Abstract

증강현실 기반의 이미지출력물 제작 방법 및 장치 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촬영을 개시하는 단계, 상기 촬영의 대상이 되는 하나 이상의 피사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피사체에 증강현실 영상처리 모듈을 통해 사전 저장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적용하여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가 적용되어 촬영된 이미지를 삽입하여 이미지출력물을 제작 및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피사체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피사체의 인원을 입력받거나 상기 증강현실 영상처리 모듈을 통해 자동으로 인식하고, 상기 피사체의 특징을 추출하여 증강현실 영상처리 모듈에 설정 및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를 적용하여 촬영하는 단계는, 상기 증강현실 영상처리 모듈을 통해 상기 피사체의 얼굴 및 손을 포함하는 신체부위에 대한 랜드마크 특징점을 추출하고, 상기 랜드마크 특징점을 기반으로 상기 피사체를 실시간 인식 및 트래킹하며,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의 크기를 상기 피사체의 크기에 따라 자동으로 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는 서버에 저장 및 관리한다.

Description

증강현실 기반의 이미지출력물 제작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IMAGE OUTPUT BASED ON AUGMENTED REALITY}
본 발명은 증강현실 기반의 이미지출력물 제작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적용하여 촬영한 이미지를 삽입하여 이미지출력물을 제작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영화관 또는 극장 등에서의 티켓 판매가 점원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정보통신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다수의 영업점은 키오스크와 같은 무인 티켓 발권기를 구비하였다. 무인 티켓 발권기로 인해 기존의 데스크 및 점원을 통한 발권 방식이 대체되는 추세이고, 고객은 점원없이도 스스로 티켓 구입 및 발권이 가능하다. 고객은 웹 서비스 및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등을 통해 미리 예약을 해놓은 티켓을 무인 티켓 발권기를 이용하여 발권할 수 있고, 현장에서 직접 항목을 선택하여 구매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토티켓(Photo Ticket)은 특정 사진 등의 이미지를 삽입하여 출력한 형태의 티켓을 의미한다. 종래의 티켓에는 해당 티켓의 목적이 되는 영화 또는 공연 등에 대한 정보만이 기재되어 있었으나, 다양한 서비스 제공 및 홍보를 위해 티켓의 형태가 다양해졌으며, 티켓이 포함하고 있는 컨텐츠도 풍부해졌다. 문화 산업에서 홍보가 차지하는 역할이 매우 중요하고, 기존보다 더욱 다양한 서비스가 요구되는 산업분야의 특성을 고려할 때, 포토티켓은 다양한 분야에서 독창적인 홍보 수단 중 하나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포토티켓은 사용자가 예약 단계에서 원하는 이미지를 삽입하여 제작하거나, 영화 또는 공연 관람 후 포토티켓 제작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최근에는 현장에서 포토티켓 제작 장치를 통해 이미지를 직접 촬영하고 삽입하여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은 현실(Reality)에 기반하여 정보를 증강(Augmented)하여 제공하는 기술로서, 현실의 이미지에 가상의 이미지를 추가하여 보여주는 기술이다. 이는,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이 제공하는 이미지 모두를 가상의 이미지로 구성하여 보여주는 것과 비교되는 기술이다. 현재 증강현실 관련 기술은 네비게이션 시스템 또는 촬영 화면 등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페이스 얼라인먼트(Face Alignment) 기술은 얼굴 이미지를 인식하고 트래킹하는 기술이다.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시스템이 다수의 얼굴 데이터베이스를 학습하고, 이를 기반으로 얼굴에서 특징점의 위치를 예측하고 추출하여 추적하는 기술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38207호, 2019.01.0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피사체에 증강현실 컨텐츠를 적용하여 촬영하고, 이를 기초로 독창적인 이미지를 생성 및 삽입한 이미지출력물을 제작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적용하여 촬영하는 과정에 있어서, 지나가는 행인 등의 실제 모습이 촬영 이미지에 그대로 포함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다양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적용하고, 획일화되지 않은 이미지출력물을 출력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이미지출력물 제작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영화 또는 공연의 이미지출력물 제작 방법에 있어서, 촬영을 개시하는 단계;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피사체 중에서 촬영 대상에 해당되는 피사체를 설정하는 단계; 사용자의 인원, 티켓 정보, 관람 정보 및 예매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증강현실 컨텐츠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촬영 대상에 해당되는 피사체의 제스쳐 및 촬영 방향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촬영 대상에 해당되는 피사체의 제스쳐에 매칭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해당 피사체의 촬영 방향을 고려하여 적용하고 촬영 화면으로 제공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증강현실 컨텐츠가 적용되어 촬영된 이미지를 삽입하여 이미지출력물을 제작 및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 화면으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 대상에 해당되는 피사체의 얼굴 및 손을 포함하는 신체부위에 대한 랜드마크 특징점을 추출하고, 상기 랜드마크 특징점을 기반으로 상기 피사체를 실시간 인식 및 트래킹하며,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의 크기를 상기 피사체의 크기에 따라 자동으로 조정하고, 상기 사용자가 특정 영화를 관람하고 티켓 정보를 입력한 경우 상기 특정 영화와 관련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추출하고, 상기 촬영 대상에 해당되는 피사체의 위치, 표정, 제스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피사체 분석정보를 기초로 하여 증강현실 컨텐츠를 자동으로 매칭 및 추천해주고, 상기 특정 영화에 대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상기 촬영 대상에 해당되는 피사체에게 적용하는 경우, 상기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피사체 중에서 촬영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 피사체에게 상기 특정 영화의 캐릭터 또는 배경화면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적용하고, 화면을 차지하는 면적을 기준으로 상기 촬영 대상에 해당되는 피사체와 상기 촬영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 피사체를 구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방법에서 상기 촬영을 개시하는 단계는, 촬영영역에 임의의 피사체가 특정 사이즈 이상으로 인지되는 경우, 상기 임의의 피사체에 증강현실 컨텐츠가 적용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소리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추출 단계는, 사전에 학습된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하여 피사체에 대한 나이, 성별, 표정 및 제스쳐를 인식하여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증강현실 컨텐츠를 자동으로 매칭하여 추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방법에서 상기 이미지출력물을 제작하는 단계는, 복수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이미지를 출력영역에 분배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출력물의 종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에서 상기 이미지출력물의 종류는, 렌티큘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이미지출력물 제작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상기 언급된 증강현실 기반의 이미지출력물 제작 방법을 실행하며, 매체에 저장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이미지출력물 제작 장치는, 증강현실 기반의 영화 또는 공연의 이미지출력물 제작 장치에 관한 것으로, 피사체를 촬영하되, 증강현실 기능을 갖춘 전자기기를 구비한 촬영부; 피사체를 인식하기 위한 센서부; 상기 피사체 및 증강현실 컨텐츠가 나타나는 촬영화면 및 출력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가 적용되어 촬영된 이미지를 삽입하여 제작 및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출력물 제작 장치는,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피사체 중에서 촬영 대상에 해당되는 피사체를 설정하고, 사용자의 인원, 티켓 정보, 관람 정보 및 예매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증강현실 컨텐츠를 추출하고, 상기 촬영 대상에 해당되는 피사체의 제스쳐 및 촬영 방향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촬영 대상에 해당되는 피사체의 제스쳐에 매칭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해당 피사체의 촬영 방향을 고려하여 적용하고 촬영 화면으로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증강현실 컨텐츠가 적용되어 촬영된 이미지를 삽입하여 이미지출력물을 제작 및 출력하고, 상기 촬영 대상에 해당되는 피사체의 얼굴 및 손을 포함하는 신체부위에 대한 랜드마크 특징점을 추출하고, 상기 랜드마크 특징점을 기반으로 상기 피사체를 실시간 인식 및 트래킹하며,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의 크기를 상기 피사체의 크기에 따라 자동으로 조정하고, 상기 사용자가 특정 영화를 관람하고 티켓 정보를 입력한 경우 상기 특정 영화와 관련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추출하고, 상기 촬영 대상에 해당되는 피사체의 위치, 표정, 제스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피사체 분석정보를 기초로 하여 증강현실 컨텐츠를 자동으로 매칭 및 추천해주고, 상기 특정 영화에 대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상기 촬영 대상에 해당되는 피사체에게 적용하는 경우, 상기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피사체 중에서 촬영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 피사체에게 상기 특정 영화의 캐릭터 또는 배경화면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적용하고, 화면을 차지하는 면적을 기준으로 상기 촬영 대상에 해당되는 피사체와 상기 촬영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 피사체를 구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영화관 및 공연장 등에서 일반 티켓과 차별화된 티켓으로서, 증강현실 컨텐츠가 적용된 이미지가 삽입된 이미지출력물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원하는 이미지 생성에 있어서 사용자는 증강현실 기능을 갖춘 전자기기를 통해 직접 촬영하는 과정을 통해 재미를 느낄 수 있고, 관리자 입장에서는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함으로써 홍보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대상 이미지를 촬영할 때 사용자 외의 지나가는 행인의 얼굴 등이 그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 사회적 이슈 중 하나인 개인의 초상권을 침해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고, 사용자 입장에서도 원하지 않는 대상이 이미지에 그대로 포함되는 것을 피할 수 있으므로 보다 만족스러운 이미지 생성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취하는 제스쳐 및 촬영 방향 등의 동작에 따라 대응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적용하고, 다양한 형태 및 재질로 이미지출력물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다채롭고 재미있는 이미지출력물 제작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이미지출력물 제작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이미지출력물 제작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이미지출력물 제작 방법에서 증강현실 컨텐츠를 적용하여 촬영하는 단계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가 적용되기 전과 후의 이미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가 복수인 경우 증강현실 컨텐츠가 적용된 이미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의 촬영방향이 옆모습에 해당할 때 증강현실 컨텐츠가 적용되기 전과 후의 이미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이미지를 구분된 영역에 삽입 및 조합하여 출력된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작된 이미지출력물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이미지가 삽입된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출력물 제작 장치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이미지출력물'은 티켓의 목적이 되는 영화 또는 공연 등에 대한 정보와 함께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가 삽입된 형태의 출력물을 의미한다. 구체적인 예로, 포토티켓(Photo ticket)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미지가 삽입되어 출력된 임의의 출력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피사체'는 이미지출력물에 삽입될 이미지를 촬영할 때, 대상이 되는 사용자 등의 촬영 주체 또는 촬영화면에 포함되는 제3의 주체 등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증강현실 컨텐츠'는 증강현실 기술 기반으로 이미지에 삽입되는 컨텐츠를 의미한다. 증강현실 컨텐츠는 티켓의 목적이 되는 영화 또는 공연 등과 관련된 컨텐츠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무관한 컨텐츠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메인컨텐츠(41)'는 사용자로 특정된 피사체에 적용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서브컨텐츠(43)'는 사용자로 특정되지 않은 피사체에 적용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촬영영역'은 이미지 촬영에 이용되는 전자기기를 통해 촬영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기기가 증강현실 기능을 갖춘 카메라인 경우, 해당 카메라 렌즈로부터 수 미터 이내의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촬영방향'은 사용자가 촬영을 위해 전자기기 앞에 서있는 방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정면으로 전자기기를 바라보고 있을 수 있고, 사용자의 측면으로서, 왼쪽 또는 오른쪽 면이 전자기기를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렌티큘러(Lenticular)'는 평면의 이미지를 3D 그래픽 기술을 통해 입체적인 이미지 또는 보는 각도에 따라 다른 이미지로 보이도록 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랜드마크 특징점'은 피사체의 신체 일부(예를 들어, 얼굴, 손 등) 또는 전부를 식별하기 위한 특징이 되는 요소를 의미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티켓을 통해 구매여부 및 자격을 확인하는 산업분야 전반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영화관 또는 극장, 공연장, 콘서트장, 경기장 및 페스티벌 등에 입장하기 위한 티켓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목적이 되는 영화 또는 공연 등을 관람하기 위해 티켓을 구매하는 사용자뿐만 아니라, 단순히 티켓만을 제작 및 출력하는 것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지나가는 행인의 관심을 유발하여 특정 서비스를 독창적으로 홍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이미지출력물 제작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증강현실 기반의 이미지출력물 제작 시스템(100)은 서버(10) 및 이미지출력물 제작장치(20)를 포함한다.
서버(10)는 증강현실 컨텐츠 및 사용자의 예약정보 등을 저장 및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서버(10)는 이미지출력물 제작장치(20)와 데이터를 송수신 한다.
이미지출력물 제작장치(20)는 통신부(21), 센서부(22), 입력부(23), 촬영부(24), 표시부(25) 및 출력부(26)를 포함한다.
통신부(21)는 상기 서버(10)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센서부(22)는 촬영 대상이 되는 피사체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일 실시예로, 센서부(22)는 피사체의 홍채 검출 및 분석을 위한 홍채 인식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3)는 피사체의 인원, 티켓 정보 및 관람 정보 등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서버(10)에 촬영의 대상이 되는 하나 이상의 피사체를 설정 및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는 방법은 물리적인 버튼을 통한 입력, 터치스크린을 통한 입력 및 QR 코드(Quick Response Code) 또는 바코드(Barcode) 스캔을 통한 입력 등이 가능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촬영부(24)는 촬영할 수 있는 전자기기를 구비하고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자기기의 예로는, 증강현실 기능을 갖춘 카메라 또는 렌티큘러 카메라(Lenticular Camera)가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증강현실 기능을 갖춘 카메라는 피사체의 얼굴 등의 신체부위를 인식하여 트래킹하는 페이스 얼라인먼트(Face Alignment) 기술이 적용되고, 촬영 화면에 증강현실 콘텐츠를 적용할 수 있는 카메라를 의미한다.
상기 렌티큘러 카메라는 렌티큘러 사진 촬영을 목적으로 하는 다수의 렌즈를 갖춘 카메라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로, 촬영부(24)는 증강현실 영상처리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증강현실 영상처리 모듈은 하나 이상의 피사체에 사전 저장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적용하여 촬영하되, 상기 피사체의 얼굴 및 손을 포함하는 신체부위에 대한 랜드마크 특징점을 추출하고, 상기 랜드마크 특징점을 기반으로 상기 피사체를 실시간 인식 및 트래킹하며,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의 크기를 상기 피사체의 크기에 따라 자동으로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촬영부(24)는 피사체의 특징을 추출하여 증강현실 영상처리 모듈에 설정 및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증강현실 영상처리 모듈은 촬영부(24)와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로, 증강현실 영상처리 모듈은 인공지능 기술,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 기술 및 딥 러닝(Deep learing)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증강현실 영상처리 모듈은 사전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및 학습한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하여 피사체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나이, 성별, 인종, 모션 등)을 피사체로부터 입력받지 않고서 자동으로 인식 및 분석할 수 있다. 다른 구체적인 예로, 증강현실 영상처리 모듈은 피사체의 위치, 표정, 제스쳐 등의 피사체에 대한 분석정보를 기초로 증강현실 컨텐츠를 자동으로 매칭 및 추천할 수 있다.표시부(25)는 피사체 및 증강현실 컨텐츠가 나타나는 촬영화면 및 출력화면을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는 표시부(25)를 통해 촬영화면을 확인하며 이미지 촬영이 가능하고, 출력될 이미지를 미리 확인하고 출력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출력부(26)는 이미지출력물에 촬영된 이미지를 삽입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출력부(26)는 출력하는 이미지출력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티큘러 카드(Lenticular Card) 형태의 이미지출력물을 출력하는 경우는, 렌티큘러 필름을 구비하고, 이를 출력할 수 있는 장비가 포함된다.
이미지출력물의 종류는 플라스틱 카드(Plastic Card), 종이(Paper), 열상인화지 및 렌티큘러 카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미지를 삽입하여 출력할 수 있는 재질의 임의의 형태를 포함한다. 또한, 이미지출력물은 물리적인 출력물 형태뿐만 아니라 모바일 컨텐츠 형태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이미지출력물 제작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증강현실 기반의 이미지출력물 제작 방법은, 촬영을 개시하는 단계(S110), 상기 촬영의 대상이 되는 하나 이상의 피사체를 설정하는 단계(S120), 상기 하나 이상의 피사체에 증강현실 컨텐츠를 적용하여 촬영하는 단계(S130) 및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가 적용되어 촬영된 이미지를 삽입하여 이미지출력물을 제작 및 출력하는 단계(S140)를 포함한다.
상기 촬영을 개시하는 단계(S110)는, 이미지출력물 제작장치(20)가 이미지출력물 제작을 위해 작동하는 단계이다.
일 실시예로, 이미지출력물 제작장치(20)가 사용자로부터 직접 이미지출력물 제작요청을 입력받는 경우가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사용자가 직접 이미지출력물 제작장치(20)에 이미지출력물 제작을 요청하지 않더라도 이미지출력물에서 근접하게 위치한 피사체를 센서를 통해 인식하고, 해당 피사체의 이미지에 증강현실 컨텐츠를 적용한 것을 화면에 표시함으로서 이미지출력물 제작을 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주목을 끌기 위해 소리를 동반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이미지출력물 제작장치(20)는 촬영영역에 임의의 피사체가 특정 사이즈 이상으로 인지되는 경우, 상기 임의의 피사체에 증강현실 컨텐츠가 적용된 화면을 표시하고, 주목을 끌기 위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미지출력물 제작장치(20)는 비록 이미 티켓을 구매한 고객이 아니더라도, 특정 서비스를 홍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촬영의 대상이 되는 하나 이상의 피사체를 설정하는 단계(S120)는, 센서부(22)를 통해 감지된 다수의 피사체들 중에서 촬영 대상이 되는 피사체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등의 전자기기를 통해 특정 피사체를 촬영하고자 할 때, 해당 피사체 외의 다수의 피사체가 배경 등에 포함되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원치 않는 대상이 촬영화면에 포함되어 만족도가 떨어지고, 주변의 행인 등이 의지와 상관없이 촬영화면에 포함되게 되어 초상관 침해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 증강현실 컨텐츠를 적용함에 있어서도 불필요한 대상에까지 증강현실 컨텐츠가 적용되어 원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데 불편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촬영대상이 되는 피사체를 정확하게 설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상기 촬영의 대상이 되는 피사체를 설정하는 단계(S120)에서는, 피사체를 설정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정보에는 피사체의 인원, 나이, 성별, 인종, 티켓 정보, 관람 정보, 예약 정보, 사용자의 신체부위, 모션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입력된 정보들은 증강현실 컨텐츠를 적용하는 단계에서 적용할 증강현실 컨텐츠를 추출(S133)하는데 기초자료로 이용된다.
서버(10)는 이미지출력물 제작장치(20)를 통해 상기 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기초로 피사체를 특정하여 설정 및 저장한다. 이 과정에서, 촬영부(24)는 페이스 얼라인먼트(Face Alignment) 기술을 이용하여 다른 주체와 구별될 수 있을 정도로 신체의 특징(예를 들어, 랜드마크 특징점)을 인식하여 저장한다.
예를 들어, 촬영부(24)는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고 눈썹, 눈, 코, 입술 및 귀 등의 모양과 피부색, 머리카락길이, 머리카락색깔 및 얼굴비율 등의 특징을 캐치하고 특징이 될만한 항목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피사체에 증강현실 컨텐츠를 적용하여 촬영하는 단계(S130)는, 촬영화면에 나타난 피사체에 증강현실 컨텐츠를 적용하여, 촬영부(24)를 통해 촬영하는 단계이다. 세부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가 적용되어 촬영된 이미지를 삽입하여 이미지출력물을 제작 및 출력하는 단계(S140)는, 전 단계를 통해 촬영 및 생성한 이미지를 이미지출력물에 삽입하고, 사용자가 획득할 수 있는 형태로 출력하여 제공하는 단계이다.
S140 단계에서 사용자는 표시부(25)를 통해 출력화면을 미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이미지들 중에서 삽입할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고, 삽입되는 이미지는 복수일 수 있다.
사용자가 복수의 이미지를 삽입하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 삽입 형태를 선택할 수 있다.
삽입 형태의 실시예로는, 이미지가 삽입되는 영역을 이미지의 개수에 맞춰 분할하여 각각의 영역에 삽입하는 형태가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일부 이미지는 이미지출력물의 전면에, 나머지 이미지는 이미지출력물의 후면에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직접 촬영한 이미지가 아니더라도, 관람한 영화 포스터나 관련 정보 등을 특정한 면의 특정한 영역에 삽입하여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삽입 형태 및 삽입할 이미지를 선택한 후에는 출력 형태를 결정해야 한다. 즉, 이미지출력물의 종류를 선택해야 한다.
이미지출력물의 실시예로는, 플라스틱 카드(Plastic Card), 종이(Paper), 열상인화지 및 렌티큘러 카드(Lenticular Card) 형태가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미지를 삽입하여 출력할 수 있는 재질의 임의의 형태를 포함한다. 또한, 이미지출력물은 물리적인 출력물 형태뿐만 아니라 모바일 컨텐츠 형태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렌티큘러 카드 형태를 선택한 경우, 복수의 이미지가 보는 각도에 따라 보여지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출력물의 면과 시선이 이루는 각도가 수직인 지점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좌측 각도에서 봤을 때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적용하기 전의 이미지가 보이고, 우측 각도에서 봤을 때는 증강현실 컨텐츠가 적용된 이미지가 보일 수 있다.
또다른 예로, 좌측 각도에서 봤을 때는 사용자가 촬영한 이미지가 보이고, 우측 각도에서 봤을 때는 영화 포스터 또는 영화 관련 정보가 보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가 적용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티켓이 단순이 입장권 등의 역할만 하는 것이 아니고, 소장하고자 하는 동기를 부여하여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이미지출력물 제작 방법에서 증강현실 컨텐츠를 적용하여 촬영하는 단계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피사체에 증강현실 컨텐츠를 적용하여 촬영하는 단계(S130)는, 이미지출력물 제작장치(20)가 피사체를 감지하는 단계(S131), 이미지출력물 제작장치(20)가 증강현실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132), 이미지출력물 제작장치(20)가 촬영 이미지에 적용할 증강현실 컨텐츠를 추출하는 단계(S133), 이미지출력물 제작장치(20)가 증강현실 컨텐츠를 적용할 위치 및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S134), 이미지출력물 제작장치(20)가 촬영 이미지에 증강현실 컨텐츠를 적용하는 단계(S135) 및 이미지출력물 제작장치(20)가 촬영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S136)를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출력물 제작장치(20)가 피사체를 감지하는 단계(S131)는, 이미지출력물의 제작장치(20)가 센서부(22)를 통해 S120 단계에서 특정된 피사체를 페이스 얼라인먼트(Face Alignment) 기술을 통해 감지하는 단계이다.
상기 이미지출력물 제작장치(20)가 증강현실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132)는, 서버(10)로부터 서버(10)에 저장되어있는 증강현실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서버(10)는 증강현실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를 저장 및 관리하고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이미지출력물 제작장치(20) 자체에 증강현실 컨텐츠 데이터베이스가 미리 저장되어있을 수 있다.
상기 이미지출력물 제작장치(20)가 촬영 이미지에 적용할 증강현실 컨텐츠를 추출하는 단계(S133)는, 사용자의 인원, 티켓 정보, 관람 정보 및 예매 정보 등의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10)로부터 수신한 증강현실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서 적합한 컨텐츠를 추출하는 단계이다.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일 실시예로, 영화별로 그룹핑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특정 영화를 관람하고 티켓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가 이미지출력물 제작요청을 하였을 때, 해당 영화와 관련된 증강현실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를 추출한다.
증강현실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는 사용자의 얼굴에 적용되는 컨텐츠가 영화 캐릭터별로 저장되어 있다. 얼굴에 적용되는 컨텐츠는 전면, 측면 등 촬영방향에 따라 각각 저장되어 있다. 이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얼굴 외의 신체부위에 적용되는 컨텐츠도 사용자가 취하는 제스쳐별로 적용될 수 있도록 다양하게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바닥을 펼친 동작을 취할 때, 손가락으로 브이 모양 및 하트 모양을 만들었을 때 등 각각에 매칭되는 증강현실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미지출력물 제작장치(20)는 피사체의 제스쳐 및 촬영방향을 분석하고, 분석정보를 기초로 증강현실 컨텐츠를 자동으로 매칭 및 추천하되, 상기 피사체의 제스쳐에 매칭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제안 및 적용하고, 상기 피사체의 촬영방향을 정면 및 후면으로 구별하여 증강현실 컨텐츠를 적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촬영 이미지에 본인이 관람한 영화와 관련된 증강현실 컨텐츠가 자동으로 적용되고 특정 제스쳐를 취할 때마다 다른 컨텐츠가 적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더욱 재미있게 이미지출력물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미지출력물 제작장치(20)가 증강현실 컨텐츠를 적용할 위치 및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S134)는, S131에서 감지된 피사체의 신체부위 중 증강현실 컨텐츠가 적용될 수 있는 위치 및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증강현실 컨텐츠는 피사체의 얼굴을 포함한 신체부위에 적용될 수 있다. 이미지출력물 제작장치(20)의 센서부(22)는 서버(10)에 저장된 피사체의 특징 정보를 기초로 피사체의 신체부위를 인식 및 추적하며, 증강현실 컨텐츠를 적용할 위치를 설정한다.
증강현실 컨텐츠가 적용될 위치로 설정된 피사체의 신체부위는 촬영부(24)와의 거리 등에 따라 크기가 다양할 것이다. 따라서, 증강현실 컨텐츠는 촬영화면에 나타난 해당 피사체의 신체부위의 면적에 비례하여 크기가 자동으로 조절된다. 이에 따라, 지나치게 크거나 작은 증강현실 컨텐츠가 적용되는 촬영 이미지가 부자연스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미지출력물 제작장치(20)가 촬영 이미지에 증강현실 컨텐츠를 적용하는 단계(S135)는, 촬영 이미지에 S133에서 추출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S134에서 결정된 적용 위치에 설정된 크기로 적용하는 단계이다.
증강현실 컨텐츠는 촬영화면에 나타나는 피사체의 모습과 오버랩(Over Lap)되어 적용될 수 있고, 피사체의 신체부위의 주변에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이미지출력물 제작장치(20)가 촬영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S136)는, 촬영부(24)를 통해 촬영 이미지를 캡쳐하여 저장하는 단계이다.
일 실시예로, S136 단계에서 촬영하는 이미지는 다음과 같은 복수의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첫째로, 촬영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이미지로서, 피사체의 모습에 증강현실 컨텐츠가 적용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둘째로, 증강현실 컨텐츠가 적용되지 않은 상태로 피사체의 원래 모습 그대로가 나타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포면적으로는 한 번의 촬영이 이루어지는 것처럼 보여지지만 실질적으로는 증강현실 컨텐츠 적용 전, 후 각각을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이미지는 본 발명의 후반부에 이미지출력물을 출력하는 단계(S140)에서 활용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다양한 조합으로 이미지출력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가 적용되기 전과 후의 이미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증강현실 컨텐츠가 적용되기 전의 이미지(30)와 증강현실 컨텐츠가 적용된 이미지(40)를 확인할 수 있다.
증강현실 컨텐츠가 적용되기 전의 이미지(30)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신체부위는 다양한 부위로 구분되어 센서부(22)를 통해 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주체(31)인 피사체의 얼굴(31-1)과 피사체의 손(31-2) 부분이 각각 감지된다.
도 4에는 편의를 위해 피사체의 얼굴 및 손 부위만 도시하였으나, 감지되는 피사체의 신체부위는 얼굴 및 손에 한정되지 않으며, 촬영 화면에 나타나는 모든 신체부위를 대상으로 할 수 있다.
감지된 신체부위는 위치뿐만 아니라, 크기도 감지된다.
이뿐만 아니라, 피사체의 손(31-2)을 예를 들면, 피사체가 취하는 손의 동작 및 모양에 대해서도 감지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떤 동작 및 모양을 취하느냐에 따라 적용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달리할 수 있다.
증강현실 컨텐츠가 적용된 이미지(40)를 참조하면, 피사체의 얼굴(31-1)과 피사체의 손(31-2) 부분에 각각 다른 종류의 증강현실 컨텐츠로서, 얼굴 부분에는 얼굴에 관련된 증강현실 컨텐츠(41-1)가, 손 부분에는 손에 관련된 증강현실 컨텐츠(41-2)가 적용된다. 즉, 이미지출력물 제작장치(20)는 피사체의 신체부위에 따라 증강현실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각각 다른 컨텐츠를 추출하여 적용하여 증강현실 컨텐츠가 적용된 피사체(41)를 생성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가 복수인 경우 증강현실 컨텐츠가 적용된 이미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촬영 화면에 나타나는 피사체에는 촬영 주체인 실제 사용자(31)뿐만 아니라, 촬영과 무관한 제3의 주체(33)도 포함된다.
이와 같이, 촬영 주체(31)와 무관한 제3의 주체(33)가 촬영 이미지에 포함되어 촬영되는 경우, 초상권 침해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촬영 주체 측면에서도 원치 않은 대상이 이미지에 포함되어 촬영 이미지에 대한 만족도가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차별적으로 증강현실 컨텐츠를 적용하는 바, 이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은 촬영에 앞서 촬영 주체(31)를 미리 특정하여 설정 및 저장하는 단계(S120)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증강현실 컨텐츠는 메인컨텐츠(41)와 서브컨텐츠(43)를 포함한다.
메인컨텐츠(41)는 증강현실 영상처리 모듈에 촬영 주체(31)로 특정된 피사체에 적용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의미한다. 상술한 과정에서 적용되는 증강현실 컨텐츠는 메인컨텐츠(41)에 해당한다.
서브컨텐츠(43)는 촬영 주체와 무관한 제3의 주체(33), 즉, 증강현실 영상처리 모듈에 특정되지 않은 피사체에 적용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의미한다.
서브컨텐츠(43)의 실시예로는, 이미지 초점을 탈초점 상태로 만드는 표현기법인 블러(Blur) 처리를 하거나, 제3의 주체(33)가 특정되지 않도록 모자이크(Mosaic) 처리를 하는 것이 포함된다. 또한, 메인컨텐츠(41)와 구별되는 보조적인 증강현실 컨텐츠를 적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히어로(Hero)가 등장하는 영화를 관람한 사용자라면, 촬영 주체(31)에게는 메인컨텐츠(41)로서, 해당 히어로와 관련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적용하고, 제3의 주체(33)에는 해당 영화에서 비중없는 캐릭터 또는 배경화면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촬영 주체(31)와 제3의 주체(33)를 구별하여 인식하고, 증강현실 컨텐츠를 메인컨텐츠(41) 및 서브컨텐츠(43)로 나누어 차별적으로 적용한다. 따라서, 제3의 주체가 원래 모습 그대로 촬영 이미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로, 이미지출력물 제작장치(20)는 화면을 차지하는 면적을 기준으로 촬영 주체(31)와 제3 주체를 구별할 수 있다. 즉, 특정 크기 이상의 면적을 차지하는 피사체를 촬영 주체(31)로 인식하고, 배경에 특정 크기 이하의 면적을 차지하는 피사체를 제3 주체로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미지출력물 제작장치(20)는 면적을 기준으로 인식된 피사체의 인원을 판단하고, 인식된 하나 이상의 피사체 각각을 구별하여 특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의 촬영방향이 옆모습에 해당할 때 증강현실 컨텐츠가 적용되기 전과 후의 이미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촬영 주체(31)가 촬영부(24)에 대해 정면으로 있는 경우(31)와 달리 측면으로 있는 경우(32)를 구별하여 인식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미지출력물 제작장치(20)의 센서부(22)는 촬영 주체(31)의 모습이 정면인지 측면인지를 구별하여 인식한다. 인식된 촬영 방향에 매칭되는 증강현실 컨텐츠가 적용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촬영 주체의 얼굴의 측면 모습(32)이 인지된다. 촬영 주체의 정면 모습(31)의 얼굴(41-1)에 적용되었던 증강현실 컨텐츠의 측면 모습에 대응되는 증간현실 컨텐츠(42)가 적용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촬영 방향에 따라 다른 종류의 증강 현실이 적용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게 되어 더욱 다양한 이미지출력물 제작이 가능해진다.
지금부터는 촬영한 이미지를 삽입하여 이미지출력물을 출력하는 단계(S140)에 대해서 세부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증강현실이 적용되기 전의 이미지(30), 증강현실이 적용된 후의 이미지(40), 촬영방향을 측면으로 하여 촬영한 이미지(32, 42) 포함하는 복수의 촬영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이미지출력물에는 촬영한 이미지 외에, 영화 포스터 또는 영화 정보 등의 티켓의 목적이 되는 영화 또는 공연 등에 관한 정보를 삽입할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이미지를 이미지출력물에 조합하여 삽입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로는, 한 면을 영역별로 분할하여 각각의 이미지를 삽입하는 방법, 이미지출력물의 전면/후면에 삽입되는 이미지를 달리하는 방법, 렌티큘러 필름을 활용하는 방법 등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이미지를 구분된 영역에 삽입 및 조합하여 출력된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미지출력물 제작장치(20)는 이미지출력물 제작을 위해, 복수의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이미지를 출력영역에 분배하여 배치할 수 있다.
생성된 복수의 이미지는 분할된 영역인 71, 72, 73 및 74 영역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삽입되는 이미지의 종류 및 순서 등은 사용자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더욱 다양한 경우의 수의 이미지출력물 제작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예시에서는, 71 영역에 촬영 주체의 전면(31)에 증강현실 컨텐츠를 적용하기 전 모습을 삽입하고, 72 영역에는 촬영 주체의 전면(31)에 증강현실 컨텐츠를 적용한 후 모습을 삽입하고, 73 영역에는 촬영 주체의 측면(32)에 증강현실 컨텐츠를 적용하기 전 모습을 삽입하고, 74 영역에는 촬영 주체의 측면(32)에 증강현실 컨텐츠를 적용한 후 모습을 삽입하였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작된 이미지출력물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이미지가 삽입된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미지출력물의 전면, 후면에 각기 다른 이미지를 삽입하여 이미지출력물을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출력물의 전면에는 증강현실 컨텐츠가 적용되기 전의 이미지(30)를 삽입하고, 이미지출력물의 후면에는 증강현실 컨텐츠가 적용된 후의 이미지(40)를 삽입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전면에는 촬영 이미지 중 하나를 삽입하고, 후면에는 영화 포스터 또는 영화 정보를 삽입하는 방법도 가능하며,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자유롭고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출력물 제작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이미지출력물 제작장치(20)는 부스(Booth)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이미지출력물 제작장치(20)는 부스 내부에 설치되고, 사용자는 부스 내부에 입장하여 촬영 및 이미지출력물 제작을 진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외부와 차단된 상태에서 이미지출력물 제작 과정을 진행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심리적으로 편안한 상태로 이미지출력물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외부와 차단됨으로써 부스 외부에 설치된 조명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보다 품질이 향상된 이미지출력물을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서버
20 : 이미지출력물 제작장치
31: 촬영 주체의 정면 모습(증강현실 컨텐츠 적용 전)
32: 촬영 주체의 측면 모습(증강현실 컨텐츠 적용 전)
33: 제3의 주체(증강현실 컨텐츠 적용 전)
41: 촬영 주체에 적용되는 메인컨텐츠
42: 촬영 주체의 측면 모습(증강현실 컨텐츠 적용 후)
43: 제3의 주체에게 적용되는 서브컨텐츠

Claims (10)

  1.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영화 또는 공연의 이미지출력물 제작 방법에 있어서,
    촬영을 개시하는 단계;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피사체 중에서 촬영 대상에 해당되는 피사체를 설정하는 단계;
    사용자의 인원, 티켓 정보, 관람 정보 및 예매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증강현실 컨텐츠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촬영 대상에 해당되는 피사체의 제스쳐 및 촬영 방향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촬영 대상에 해당되는 피사체의 제스쳐에 매칭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해당 피사체의 촬영 방향을 고려하여 적용하고 촬영 화면으로 제공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증강현실 컨텐츠가 적용되어 촬영된 이미지를 삽입하여 이미지출력물을 제작 및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 화면으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 대상에 해당되는 피사체의 얼굴 및 손을 포함하는 신체부위에 대한 랜드마크 특징점을 추출하고, 상기 랜드마크 특징점을 기반으로 상기 피사체를 실시간 인식 및 트래킹하며,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의 크기를 상기 피사체의 크기에 따라 자동으로 조정하고,
    상기 사용자가 특정 영화를 관람하고 티켓 정보를 입력한 경우 상기 특정 영화와 관련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추출하고,
    상기 촬영 대상에 해당되는 피사체의 위치, 표정, 제스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피사체 분석정보를 기초로 하여 증강현실 컨텐츠를 자동으로 매칭 및 추천해주고,
    상기 특정 영화에 대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상기 촬영 대상에 해당되는 피사체에게 적용하는 경우, 상기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피사체 중에서 촬영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 피사체에게 상기 특정 영화의 캐릭터 또는 배경화면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적용하고,
    화면을 차지하는 면적을 기준으로 상기 촬영 대상에 해당되는 피사체와 상기 촬영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 피사체를 구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이미지출력물 제작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을 개시하는 단계는,
    촬영 영역에 임의의 피사체가 특정 사이즈 이상으로 인지되는 경우 상기 임의의 피사체에 증강현실 컨텐츠가 적용된 화면을 표시하고 소리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이미지출력물 제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추출 단계는,
    사전에 학습된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하여 피사체에 대한 나이, 성별, 표정 및 제스쳐를 인식하여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증강현실 컨텐츠를 자동으로 매칭하여 추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이미지출력물 제작 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출력물을 제작 및 출력하는 단계는,
    복수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이미지를 출력영역에 분배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출력물의 종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이미지출력물 제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출력물의 종류는, 렌티큘러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이미지출력물 제작 방법.
  9.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1항, 제3항, 제4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증강현실 기반의 이미지출력물 제작 프로그램.
  10. 증강현실 기반의 영화 또는 공연의 이미지출력물 제작 장치에 관한 것으로,
    피사체를 촬영하되, 증강현실 기능을 갖춘 전자기기를 구비한 촬영부;
    피사체를 인식하기 위한 센서부;
    상기 피사체 및 증강현실 컨텐츠가 나타나는 촬영화면 및 출력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가 적용되어 촬영된 이미지를 삽입하여 제작 및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출력물 제작 장치는,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피사체 중에서 촬영 대상에 해당되는 피사체를 설정하고,
    사용자의 인원, 티켓 정보, 관람 정보 및 예매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증강현실 컨텐츠를 추출하고,
    상기 촬영 대상에 해당되는 피사체의 제스쳐 및 촬영 방향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촬영 대상에 해당되는 피사체의 제스쳐에 매칭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해당 피사체의 촬영 방향을 고려하여 적용하고 촬영 화면으로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증강현실 컨텐츠가 적용되어 촬영된 이미지를 삽입하여 이미지출력물을 제작 및 출력하고,
    상기 촬영 대상에 해당되는 피사체의 얼굴 및 손을 포함하는 신체부위에 대한 랜드마크 특징점을 추출하고, 상기 랜드마크 특징점을 기반으로 상기 피사체를 실시간 인식 및 트래킹하며,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의 크기를 상기 피사체의 크기에 따라 자동으로 조정하고,
    상기 사용자가 특정 영화를 관람하고 티켓 정보를 입력한 경우 상기 특정 영화와 관련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추출하고,
    상기 촬영 대상에 해당되는 피사체의 위치, 표정, 제스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피사체 분석정보를 기초로 하여 증강현실 컨텐츠를 자동으로 매칭 및 추천해주고,
    상기 특정 영화에 대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상기 촬영 대상에 해당되는 피사체에게 적용하는 경우, 상기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피사체 중에서 촬영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 피사체에게 상기 특정 영화의 캐릭터 또는 배경화면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적용하고,
    화면을 차지하는 면적을 기준으로 상기 촬영 대상에 해당되는 피사체와 상기 촬영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 피사체를 구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이미지출력물 제작 장치.
KR1020190155435A 2019-11-28 2019-11-28 증강현실 기반의 이미지출력물 제작 방법 및 장치 KR102178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435A KR102178396B1 (ko) 2019-11-28 2019-11-28 증강현실 기반의 이미지출력물 제작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435A KR102178396B1 (ko) 2019-11-28 2019-11-28 증강현실 기반의 이미지출력물 제작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8396B1 true KR102178396B1 (ko) 2020-11-13

Family

ID=73398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435A KR102178396B1 (ko) 2019-11-28 2019-11-28 증강현실 기반의 이미지출력물 제작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83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4069A (ko) * 2021-09-24 2023-04-03 주식회사 더에스 컨텐츠 활용 플랫폼 시스템, 증강현실 기반의 이미지 출력물 제작방법
WO2023095935A1 (ko) * 2021-11-23 2023-06-01 이은령 증강현실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680A (ko) * 1998-10-21 1999-01-25 김완수 렌티큘러 3d 입체 스티커 사진 자판기
JP2009094946A (ja) * 2007-10-11 2009-04-30 Fujifilm Corp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における肖像権保護方法
JP2018159932A (ja) * 2014-07-10 2018-10-11 フリュー株式会社 写真シール作成装置、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8182469A (ja) * 2017-04-07 2018-11-15 株式会社メイクソフトウェア 写真撮影遊戯機、写真撮影遊技機の制御方法、及び、写真撮影遊技機の制御プログラム
KR101938207B1 (ko) 2016-07-27 2019-04-11 주식회사 아이오로라 포토티켓을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포토티켓 생성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680A (ko) * 1998-10-21 1999-01-25 김완수 렌티큘러 3d 입체 스티커 사진 자판기
JP2009094946A (ja) * 2007-10-11 2009-04-30 Fujifilm Corp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における肖像権保護方法
JP2018159932A (ja) * 2014-07-10 2018-10-11 フリュー株式会社 写真シール作成装置、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938207B1 (ko) 2016-07-27 2019-04-11 주식회사 아이오로라 포토티켓을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포토티켓 생성 장치
JP2018182469A (ja) * 2017-04-07 2018-11-15 株式会社メイクソフトウェア 写真撮影遊戯機、写真撮影遊技機の制御方法、及び、写真撮影遊技機の制御プログラ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4069A (ko) * 2021-09-24 2023-04-03 주식회사 더에스 컨텐츠 활용 플랫폼 시스템, 증강현실 기반의 이미지 출력물 제작방법
KR102561198B1 (ko) * 2021-09-24 2023-07-31 주식회사 더에스 컨텐츠 활용 플랫폼 시스템, 증강현실 기반의 이미지 출력물 제작방법
WO2023095935A1 (ko) * 2021-11-23 2023-06-01 이은령 증강현실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8000B1 (ko) 타겟 대상 표시 방법 및 디바이스
US1187556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sonalized augmented reality view
KR20190015349A (ko) 증강 현실 아이덴티티 검증
CN108351522A (zh) 注视方向映射
WO2019105411A1 (zh) 信息推荐方法、智能镜子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0025712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WO2021103610A1 (zh) 展示对象的控制方法与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178396B1 (ko) 증강현실 기반의 이미지출력물 제작 방법 및 장치
CN107293236A (zh) 自适应不同用户的智能显示装置
CN108229450A (zh) 基于屏幕显示进行补光的方法及生物特征识别系统
US1009592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gmented reality view
CN111639613B (zh) 一种增强现实ar特效生成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1625100A (zh) 图画内容的呈现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09074680A (zh) 基于通信的增强现实中实时图像和信号处理方法和系统
CN109074498A (zh) 用于pos区域的访问者跟踪方法和系统
CN114358822A (zh) 一种广告展示方法、装置、介质及设备
Lo et al. Augmediated reality system based on 3D camera selfgesture sensing
US11341612B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correction and generation of facial images
KR20200004014A (ko) 의류피팅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이용한 상품 디스플레이 방법
KR20190101620A (ko)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무빙 트릭아트 구현 방법
US20180232781A1 (en) Advertisement system and advertisement method using 3d model
JP5426441B2 (ja) 広告画像表示装置、広告画像表示方法
JP2014178909A (ja) 商取引システム
CN113766297B (zh) 视频处理方法、播放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561198B1 (ko) 컨텐츠 활용 플랫폼 시스템, 증강현실 기반의 이미지 출력물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