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7850B1 -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7850B1
KR101937850B1 KR1020150029204A KR20150029204A KR101937850B1 KR 101937850 B1 KR101937850 B1 KR 101937850B1 KR 1020150029204 A KR1020150029204 A KR 1020150029204A KR 20150029204 A KR20150029204 A KR 20150029204A KR 101937850 B1 KR101937850 B1 KR 101937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ffect
cut
section
production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9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9923A (ko
Inventor
이현철
김효
김지한
임대현
김병관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9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850B1/ko
Priority to US14/988,467 priority patent/US10013786B2/en
Priority to JP2016017268A priority patent/JP6140316B2/ja
Priority to CN201610077837.5A priority patent/CN105938500B/zh
Priority to TW105106278A priority patent/TWI616841B/zh
Publication of KR20160129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9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레이어를 포함하는 제1 컷을 추가하는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도록 제어하는 컷 입력 제어부; 상기 하나 이상의 레이어에 적용되는 제1 이펙트의 종류를 입력 받을 수 있도록 제어하는 이펙트 입력 제어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레이어가 상기 제1 이펙트를 사용자로부터의 사용자 이벤트와 대응시켜 표현할 수 있도록 제1 최종 컷을 생성하는 컷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펙트 입력 제어부는, 상기 제1 이펙트와 대응하여, 상기 제1 이펙트의 연출 시작 위치 및 연출 종료 위치를 각각 입력 받도록 제어하고, 상기 컷 생성부는, 상기 제1 이펙트의 상기 연출 시작 위치로부터 상기 연출 종료 위치 사이의 영역을 제1 연출 구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이펙트가 상기 제1 연출 구간에서 연출되도록 제1 최종 컷을 생성하는,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GENERATING CATOON DATA, AND APPARATUS FOR VIEWING CATOON DATA}
본 발명은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컷에 포함된 이펙트를 사용자가 지정한 연출 구간 안에서 연출되도록 만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입력된 사용자 이벤트와 대응시켜 상기 이펙트가 지정된 연출 구간 동안 연출되도록 표시하는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만화는 익살, 해학, 풍자 등을 통해 대상의 성격을 과장하거나 생략하여 인생이나 사회를 풍자, 비판하는 그림으로서, 그 내용에 따라 순정, 무협, 액션, 코믹, 스포츠, SF 등 다양하게 구분된다. 만화는 그림(이미지)과 글자(텍스트)라는 시각적 체계를 사용하여 사람들의 복잡한 태도를 드러냄으로써, 단순 글자만으로 이루어진 일반 서적에 비해 독자들의 관심을 끄는데 보다 효과적이다.
한편, 근래에 들어 통신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만화는 전통적인 만화책에서 벗어나 인터넷 등을 통하여도 서비스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만화 데이터 생성자의 의도대로 만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만화 데이터에 포함된 이펙트의 연출 구간을 생성자의 지정 구간으로 설정하여 상기 이펙트가 상기 연출 구간 안에서 연출되도록 만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 이벤트와 대응시켜 생성자가 지정한 연출 구간 동안 이펙트가 표시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는 하나 이상의 레이어를 포함하는 제1 컷을 추가하는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도록 제어하는 컷 입력 제어부; 상기 하나 이상의 레이어에 적용되는 제1 이펙트의 종류를 입력 받을 수 있도록 제어하는 이펙트 입력 제어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레이어가 상기 제1 이펙트를 사용자로부터의 사용자 이벤트와 대응시켜 표현할 수 있도록 제1 최종 컷을 생성하는 컷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펙트 입력 제어부는, 상기 제1 이펙트와 대응하여, 상기 제1 이펙트의 연출 시작 위치 및 연출 종료 위치를 각각 입력 받도록 제어하고, 상기 컷 생성부는, 상기 제1 이펙트의 상기 연출 시작 위치로부터 상기 연출 종료 위치 사이의 영역을 제1 연출 구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이펙트가 상기 제1 연출 구간에서 연출되도록 제1 최종 컷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펙트의 상기 연출 종료 위치는 상기 제1 이펙트의 상기 연출 시작 위치를 기준으로 하단의 영역 중 하나로 결정되고, 상기 제1 이펙트의 상기 연출 시작 위치 및 상기 연출 종료 위치는 만화 데이터의 진행 방향과 수직이 되는 선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컷 입력 제어부는 하나 이상의 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컷의 후속 컷인 제2 컷을 추가하는 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이펙트 입력 제어부는 상기 제2 컷에 포함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레이어에 적용되는 제2 이펙트를 입력 받을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이펙트의 연출 시작 위치 및 연출 종료 위치를 입력 받도록 제어하고, 상기 컷 생성부는 상기 제2 이펙트의 연출 시작 위치 및 연출 종료 위치 사이의 영역을 제2 연출 구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 이펙트가 상기 제2 연출 구간에서 연출되도록 제2 최종 컷을 생성하고, 상기 제2 연출 구간은 상기 제1 연출 구간의 전부 또는 일부와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출 구간은 상기 제1 이펙트의 수, 종류, 상기 제1 컷의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넓어지거나, 좁아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연출 구간의 길이와 컷의 높이를 기초로 설정된 기준 연출 구간 길이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연출 구간의 길이가 상기 기준 연출 구간 길이를 초과한 경우, 상기 제1 연출 구간의 길이를 상기 기준 연출 구간 길이로 설정하는 연출 구간 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화 데이터 생성 방법은 입력부가 만화 데이터에 포함되고, 하나 이상의 레이어들을 포함하는 제1 컷을 추가하는 신호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부가 상기 하나 이상의 레이어에 적용되는 제1 이펙트의 종류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하나 이상의 레이어가 상기 제1 이펙트를 사용자로부터의 사용자 이벤트와 대응시켜 표현할 수 있도록 제1 최종 컷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펙트의 종류를 입력 받는 단계는 상기 제1 이펙트와 대응하여, 상기 제1 이펙트의 연출 시작 위치 및 연출 종료 위치를 입력 받고, 상기 제1 최종 컷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이펙트의 상기 연출 시작 위치로부터 상기 연출 종료 위치 사이의 영역을 제1 연출 구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이펙트가 상기 제1 연출 구간에서 연출되도록 제1 최종 컷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는 만화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인 표시 영역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 영역에 포함된 컷의 이펙트의 연출 시작 위치 및 연출 종료 위치를 고려하여, 연출 구간을 설정하는 연출 구간 산출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이벤트를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사용자 이벤트와 대응되는 이동 거리를 산출하는 이벤트 처리부; 및 상기 이동 거리 만큼 상기 만화 데이터를 이동 시키면서, 상기 이펙트의 연출 시작 위치가 표시 영역의 기준 연출선을 통과할 때부터 상기 이펙트의 연출 종료 위치가 상기 기준 연출선을 통과할 때까지 상기 이펙트가 연출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출 구간 산출부는 상기 연출 구간과 상기 컷의 높이를 기초로 설정된 기준 연출 구간을 비교하여, 상기 연출 구간을 재 설정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만화 데이터 생성자의 의도대로 만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만화 데이터에 포함된 이펙트의 연출 구간을 생성자의 지정 구간으로 설정하여 상기 이펙트가 상기 연출 구간 안에서 연출되도록 만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이벤트와 대응시켜 생성자가 지정한 연출 구간 동안 이펙트가 표시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화 데이터 제공 시스템(1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2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제어부(21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4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제어부(41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이펙트에 설정된 연출 구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화 데이터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연출 구간 산출 단계(S130)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화 데이터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연출 구간 산출 단계(S2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을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만화 데이터는 만화 데이터 생성자, 만화 작가에 의해 작성된 데이터로, 하나의 만화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컷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컷은 하나의 장면을 포함하는 데이터로,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만화 데이터는 각각의 컷을 이미지 파일로 개별적으로 포함되거나, 포함된 하나 이상의 컷을 포함하는 하나의 이미지 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영역은 만화 데이터 중에서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영역 및 상기 영역에 표시되는 만화 데이터를 말한다. 만화 데이터는 사용자 이벤트와 대응되어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만화 데이터의 이동을 통해 표시 영역은 변경되고, 그에 따라 표시되는 만화 데이터 역시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이펙트는 만화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에 포함되는 애니메이션 동작을 말하며, 레이어 또는 컷에 포함되는 애니메이션 동작을 말한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레이어의 이동, 분열, 내려가기, 올라가기, 팽창, 천천히 이동, 빠르게 이동 또는 색변경을 일으키는 동작 또는 컷의 원근감, 시간 차 이동, 회전, 투명하게 처리, 스케일 변경, 클리핑 영역 설정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다른 유형의 이펙트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컷 또는 레이어는 속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컷 또는 레이어의 속성 정보는 위치 정보, 계층 정보, 연출 시작 위치 또는 연출 종료 위치, 연출 구간 또는 그 외의 이펙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위치 정보는 이동 또는 시간 차 이펙트 등과 같이 고정되지 않고 이동하는 레이어 또는 컷과 관련된 정보로서, 이펙트가 설정된 레이어 또는 컷이 표시되는 위치를 말한다. 상기 위치 정보는 컷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표시되어야 하는 위치를 픽셀값 또는 퍼센트 값으로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레이어를 포함하는 제1 컷을 가정하면, 제1 레이어의 최초 위치 및 최종 위치는 제1 컷에서의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계층 정보는 컷 또는 레이어 등에 포함된 복수의 레이어들의 표시 순서에 대한 정보로서, 제일 위에 표시되어야 하는 레이어부터 제일 밑에 표시되어야 하는 레이어까지 순차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숫자로 설정될 수 있다. 설정된 계층 정보에 따라 하나의 컷 또는 레이어에 포함된 복수의 레이어들은 표시되며, 위에 표시되는 레이어 및 밑에 표시되는 레이어는 일부 영역이 겹치는 경우, 위에 표시되는 레이어만 표시되게 할 수 있다.
그 외의 이펙트 정보는 이동 정보, 속도 정보, 음악 정보, 진동 정보, 색상 정보, 이펙트 표시 시작 시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펙트 정보는 레이어 또는 컷의 최초 위치, 최종 위치, 시간 시점, 또는 종료 시점이거나 색 변경이 되는 시점 또는 지점에 대한 정보, 최초 색 정보인 제1 색, 변경되는 색 정보인 제2 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펙트 정보는 2배, 3배, 1/2 배, 1/3 배와 같이 이동 속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화 데이터 제공 시스템(1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화 데이터 제공 시스템(10)은 만화 데이터 서버(100),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200), 통신망,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만화 데이터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로 만화 데이터 또는 만화 데이터 표시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만화 데이터 서버(100)는 작가별, 회차별, 작품별, 요일별로 구분하여 제공되는 만화 데이터를 제공하며, 연재가 종료된 작품도 제공할 수 있다. 만화 데이터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선택적으로 만화 데이터를 제공한다. 만화 데이터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로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400)를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통신망(300)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만화 데이터 서버(100)는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200)로부터 생성된 만화 데이터를 전달받아 저장할 수 있다.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200)는 만화 데이터 생성자(예를 들어, 만화 작가)에게 만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200)는 2차원의 만화 데이터를 간편하게 생성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200)는 만화 데이터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컷 생성 기능, 컷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레이어 생성 기능, 또는 레이어에 이펙트를 적용하는 이펙트 입력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200)는 이펙트를 포함하는 레이어에 대해서 상기 이펙트가 사용자에게 적절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레이어를 변경하여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200)는 컷 또는 레이어에 이펙트를 설정하면서 이펙트의 연출 구간을 지정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200)는 이펙트의 연출 구간 안에서 상기 이펙트가 연출될 수 있도록 컷 또는 레이어를 생성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200)들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여기서,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200)는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201)일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202)일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휴대용 단말기(202)가 스마트폰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웹 브라우징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단말은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200)는 컴퓨터(예를 들면, 데스크톱, 랩톱, 태블릿 등), 미디어 컴퓨팅 플랫폼(예를 들면, 케이블, 위성 셋톱박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면, PDA, 이메일 클라이언트 등), 핸드폰의 임의의 형태, 또는 다른 종류의 컴퓨팅 또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의 임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400)는 만화 데이터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만화 데이터 또는 저장된 만화 데이터를 사용자 이벤트에 대응시켜 표시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만화 데이터는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400)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 일 수 있다.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400)는 만화 데이터의 첫 컷부터 마지막 컷까지를 하나의 페이지에서 표시하거나 복수의 페이지로 분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400)는 사용자 이벤트에 대응시켜 만화 데이터를 이동시키면서 사용자 단말기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표시 영역을 변경하면서 만화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400)는 이펙트와 함께 지정된 연출 구간 안에서 상기 이펙트가 연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400)는 사용자 이벤트와 현재 표시되는 제1 영역에 포함된 컷에 대한 정보(이펙트의 종류 및 수, 레이어의 종류 및 수, 텍스트의 글자수 등), 상기 만화 데이터의 평균 독해 속도, 또는 상기 사용자의 평균 독해 속도 등에 따라 만화 데이터의 이동 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400)는 사용자 이벤트와 현재 표시되는 제1 영역에 포함된 컷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만화 데이터의 이동 거리를 조정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400)들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여기서,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400)는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401)일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402)일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휴대용 단말기(402)가 스마트폰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웹 브라우징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단말은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400)는 컴퓨터(예를 들면, 데스크톱, 랩톱, 태블릿 등), 미디어 컴퓨팅 플랫폼(예를 들면, 케이블, 위성 셋톱박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면, PDA, 이메일 클라이언트 등), 핸드폰의 임의의 형태, 또는 다른 종류의 컴퓨팅 또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의 임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통신망(300)은 복수 개의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400)들과 만화 데이터 서버(1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통신망(300)은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400)들이 만화 데이터 서버(100)에 접속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통신망(300)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2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200)는 제어부(210), 통신부(220), 저장부(230), 입력부(240), 표시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입력부(240)를 통해 입력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 파일(이하, 레이어)을, 입력된 이펙트, 이펙트에 대한 속성 정보를 고려하여 최종 만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복수의 레이어들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이펙트를 포함하여 표현될 수 있도록 최종 만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200)와 만화 데이터 서버(100)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20)는, 근거리 통신부, 이동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만화 데이터 서버(100)와 통신하여, 만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고, 만화 데이터 서버(100)로부터 만화 데이터 표시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획득할 수도 있다.
저장부(230)는 통신부(220)를 통해 획득된 만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입력부(240)는 사용자가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이벤트, 또는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440)에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부(240)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440)는, 만화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이벤트, 스크롤 입력, 방향키 입력, 소정의 방향을 가지는 움직임이 있는 터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표시부(250)는 만화 데이터의 생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250)는 입력부(24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이벤트 및 사용자가 추가한 컷, 레이어 등을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따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표시부(250)와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표시부(25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표시부(25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제어부(21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210)은 컷 입력 제어부(211), 이펙트 입력 제어부(213), 컷 생성부(215), 표시 제어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컷 입력 제어부(211)는 사용자가 생성한 만화 데이터에 추가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컷을 입력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컷은 만화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로서, 만화 데이터 중에서 하나의 장면을 표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컷은 하나 이상의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레이어는 컷에 포함되어 표시되는 2차원 데이터로서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컷 또는 레이어는 아무것도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컷 또는 레이어는 여백으로 표현될 수 있도록 만화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컷 입력 제어부(211)는 사용자가 추가하거나 선택한 컷에 포함되어야 하는 하나 이상의 레이어를 입력하도록 제어하는 레이어 입력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레이어 입력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발생된 레이어 추가 이벤트와 대응시켜 컷에 레이어가 포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컷 입력 제어부(211)는 하나의 만화 데이터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컷을 입력 받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컷 입력 제어부(211)는 만화 데이터에 포함되는 제1 컷과 상기 제1 컷의 후속 컷인 제2 컷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펙트 입력 제어부(413)는 하나의 컷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레이어에 포함되어야 하는 이펙트의 종류를 입력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이펙트의 종류는 레이어에 포함되는 애니메이션 동작을 말하며, 레이어의 이동, 원근감, 분열, 내려가기, 올라가기, 팽창, 천천히 이동, 빠르게 이동 또는 색변경을 일으키는 동작, 회전, 투명하게 처리, 스케일 변경, 클리핑 영역 설정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다른 유형의 이펙트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펙트 입력 제어부(213)는 이펙트의 연출 시작 위치 또는 연출 종료 위치가 입력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이펙트의 연출 시작 위치 또는 연출 종료 위치는 상기 이펙트의 연출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컷의 높이에 대한 비율 등과 같은 상대적 위치 또는 픽셀 등과 같은 절대적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연출 시작 위치 및/또는 연출 종료 위치는 해당 컷으로부터 위쪽으로 10퍼센트, 해당 컷으로부터 아래쪽으로 50퍼센트 등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연출 시작 위치가 특정 지점으로 입력되고, 연출 종료 위치는 상기 연출 시작 위치로부터 거리로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출 종료 위치는 컷의 높이의 200퍼센트 또는 300픽셀과 같이 입력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연출 시작 위치 및/또는 연출 종료 위치는 컷의 시작 위치 및/또는 종료 위치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이펙트 입력 제어부(213)는 제1 컷 및/또는 제2 컷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레이어 각각 또는 전부가 이펙트를 포함하도록 입력받고, 이펙트에 대한 연출 시작 위치 및/또는 연출 종료 위치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컷 생성부(215)는 상기 입력된 이펙트를 상기 컷 또는 레이어에 추가하여 최종 컷을 생성할 수 있다. 컷 생성부(215)는 상기 입력된 이펙트가 연출 시작 위치 및/또는 연출 종료 위치 사이에서 연출되도록 최종 컷을 생성할 수 있다. 컷 생성부(215)는 제1 이펙트의 연출 시작 위치가 표시 영역의 연출 기준선을 통과할 때, 상기 제1 이펙트가 연출되기 시작하고, 상기 제1 이펙트의 연출 종료 위치가 표시 영역의 연출 기준선을 통과할 때, 상기 제1 이펙트의 연출이 종료될 수 있도록 최종 컷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연출 기준선은 표시 영역에 포함되는 만화 데이터와 상관 없이 절대적으로 설정된 선으로, 표시 영역의 상단으로부터 소정의 퍼센트에 해당하는 점들을 연결한 선 일 수 있고, 만화 데이터의 진행 방향과 수직 또는 수평인 선일 수 있다.
또한, 컷 생성부(215)는 컷에 포함된 이펙트의 연출 시작 위치 및/또는 연출 종료 위치 사이를 연출 구간으로 산출할 수 있다. 만화 데이터 생성자의 의도에 따라 제1 컷에 포함된 이펙트의 연출 구간 및 제2 컷에 포함된 이펙트의 연출 구간은 중첩될 수 있는데, 이런 경우, 컷 생성부(215)는 상기 제1 컷에 포함된 이펙트의 연출 종료 시점이 되기 전에 상기 제2 컷에 포함된 이펙트의 연출이 시작되도록 최종 컷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컷 영역을 벗어나 컷에 포함된 이펙트의 연출 구간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컷 생성부(215)는 연출 구간의 길이를 조절하는 연출 구간 조정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연출 구간 조정부는 이펙트의 연출 시작 시점 및 연출 종료 시점 사이의 연출 구간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연출 구간 조정부는 제1 컷의 높이를 기초로 기준 연출 구간 길이를 산출하고, 상기 기준 연출 구간 길이가 기 설정된 최대 연출 구간 길이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기준 연출 구간 길이가 기 설정된 최대 연출 구간 길이를 초과한 경우, 상기 연출 구간의 길이를 상기 기준 연출 구간의 길이로 설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연출 구간의 길이와 최대 연출 구간 길이를 비교한다. 연출 구간 조정부는 상기 연출 구간의 길이가 최대 연출 구간 길이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연출 구간의 길이를 상기 최대 연출 구간 길이로 설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연출 구간의 길이를 유지한다. 여기서, 최대 연출 구간의 길이는 컷의 높이, 표시 영역의 길이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컷에 포함된 이펙트의 연출 구간이 사용자에게 인식되지 않을 정도로 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펙트의 연출 구간이 이펙트의 연출을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을 정도로 증가시킬 수 있다.
표시 제어부(216)는 표시부(250)를 통해 만화 데이터의 생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표시 제어부(216)는 만화 데이터의 생성, 컷의 추가, 레이어의 추가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레이어에 포함될 수 있는 이펙트 설정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200)는 컷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레이어에 이펙트를 설정할 수 있게 하고, 각 레이어가 이펙트 대로 재생될 수 있도록 변환하고, 변환된 레이어를 포함하는 최종 컷을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4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400)는 제어부(410), 통신부(420), 표시부(430), 입력부(440), 저장부(450), 음향 출력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10)는 표시부(430)를 통해 만화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제어부(410)는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200)에 의해 생성된 만화 데이터가 적절하게 표시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410)는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200)에 의해 만화 작가의 설정대로 표시 되도록 생성된 만화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제어부(410)는 만화 데이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컷, 상기 컷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레이어, 레이어나 컷 단위로 적용되는 이펙트가 적절하게 표시될 수 있도록 만화 데이터의 이동 속도 또는 이동 거리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410)는 표시 영역에 포함된 컷의 이펙트의 연출 구간 안에서 상기 이펙트가 연출되도록 제어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어부(410)는 표시 영역에 포함된 컷의 이펙트의 연출 시작 위치가 표시 영역의 기준 연출선을 통과할 때부터, 상기 이펙트의 연출 종료 위치가 상기 기준 연출선을 통과할 때까지 상기 이펙트가 연출되도록 제어한다.
통신부(420)는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400)와 만화 데이터 서버(100)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420)는, 근거리 통신부, 이동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420)는 만화 데이터 서버(100)와 통신하여, 만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고, 만화 데이터 서버(100)로부터 만화 데이터 표시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획득할 수도 있다.
표시부(430)는 만화 데이터를 표시하고, 만화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이벤트와 대응시켜 상기 만화 데이터를 이동 시키면서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430)는 사용자 이벤트 및 만화 데이터에 포함된 속성 정보를 고려한 이동 속도 및 이동 거리에 따라 만화 데이터를 이동시키면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표시부(430)와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표시부(43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표시부(43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440)는 사용자가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440)에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부(440)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440)는, 만화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이벤트, 스크롤 입력, 방향키 입력, 소정의 방향을 가지는 움직임이 있는 터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저장부(450)는 통신부(420)를 통해 획득된 만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460)는 통신부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460)는 만화 데이터에 포함된 효과음, 배경음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460)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부(460)는 진동 모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모터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터는 오디오 데이터 또는 이미지 데이터(예컨대, 만화 데이터에 포함된 효과음, 배경음)의 출력에 대응하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진동 모터는 터치스크린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5는 제어부(41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410)는 이벤트 처리부(411), 표시 제어부(412), 연출 구간 산출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 처리부(411)는 입력부(24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이벤트와 대응되는 만화 데이터의 이동 거리 또는 이동 속도를 산출하거나 산출된 이동 거리 또는 이동 속도 데이터에 따라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다. 이벤트 처리부(411)는 사용자 이벤트에 대응하여 표시 영역에 포함된 컷의 이동 속도 또는 이동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이벤트 처리부(411)는 사용자 이벤트에 대응하여, 만화 데이터의 이동 속도 또는 이동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이동 속도로 만화 데이터가 상기 이동 거리만큼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벤트 처리부(411)는 사용자 이벤트 즉, 스크롤 입력, 방향키 입력, 움직임이 있는 터치 입력의 입력 시간 및 방향을 고려하여 이동 속도 또는 이동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연출 구간 산출부(412)는 표시부(430)를 통해 표시되는 표시 영역에 포함된 컷의 이펙트의 연출 시작 위치 및 연출 종료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이펙트의 연출 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연출 구간과 상기 컷의 높이를 기초로 설정된 기준 연출 구간을 고려하여, 상기 연출 구간을 재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연출 구간은 컷의 높이를 기초로 설정되는 값으로, 예를 들어, 기준 연출 구간은 컷의 높이와 동일한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연출 구간 산출부(412)는 컷의 이펙트에 대해서 설정된 연출 시작 위치 및 연출 종료 위치 사이를 연출 구간으로 설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연출 구간은 연출 시작 위치 및 연출 종료 위치는 진행 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임의의 선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연출 구간 산출부(412)는 이펙트의 연출 구간의 길이를 컷의 높이를 기초로 설정된 값인 기준 연출 구간의 길이와 비교하여, 이펙트의 연출 구간의 길이가 상기 기준 연출 구간의 길이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이펙트의 연출 구간의 길이를 상기 기준 연출 구간의 길이로 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연출 구간 산출부(412)는 이펙트의 연출 구간의 길이를 기 설정된 최대 연출 구간의 길이와 비교하여, 이펙트의 연출 구간의 길이가 최대 연출 구간의 길이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이펙트의 연출 구간의 길이를 상기 최대 연출 구간의 길이로 재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이펙트의 연출 구간의 길이를 재 설정하게 되면, 연출 구간 산출부(412)는 이펙트의 연출 시작 위치 및/또는 연출 종료 위치를 상기 연출 구간의 길이에 따라 조절하게 된다. 예를 들어, 연출 구간의 길이를 줄이는 경우에는, 이펙트의 연출 시작 위치를 컷의 시작선과 가깝게 수정하거나, 이펙트의 연출 종료 위치를 컷의 종료선과 가깝게 수정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413)는 이벤트 처리부에 의해 산출된 이동 거리 만큼 상기 만화 데이터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이펙트의 연출 시작 위치가 표시 영역의 기준 연출선을 통과할 때부터 상기 이펙트의 연출 종료 위치가 상기 기준 연출선을 통과할 때까지 상기 이펙트가 연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이펙트에 설정된 연출 구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200)는 컷의 높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구간을 연출 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으나,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200)는 컷의 높이를 초과하는 길이를 가지는 구간을 연출 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6(b)의 경우, A2에 포함된 이펙트의 연출 시작 위치는 601a이고, 연출 종료 위치는 601b가 된다. 즉, A2에 포함된 이펙트는 연출 시작 위치(601b)가 기준 연출 선을 통과할 때부터 연출 종료 위치(602b)를 통과할 때까지 연출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화 데이터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만화 데이터 생성 방법은 컷 추가 신호 입력 단계(S110), 이펙트 종류 및 속성 정보 입력 단계(S120), 연출 구간 산출 단계(S130), 최종 컷 생성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S110에서는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200)는 사용자가 생성한 만화 데이터에 추가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컷을 입력하도록 제어한다.
S120에서는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200)는 하나의 컷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레이어에 포함되어야 하는 이펙트의 종류 및/또는 이펙트의 속성 정보를 입력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속성 정보는 이펙트의 연출 구간을 정의할 수 있는 연출 시작 위치 및/또는 연출 종료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S130에서는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200)는 컷에 포함된 이펙트의 연출 시작 위치 및/또는 연출 종료 위치 사이를 상기 이펙트의 연출 구간으로 산출할 수 있다.
S140에서는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200)는 상기 입력된 이펙트를 상기 컷 또는 레이어에 추가하여 최종 컷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200)는 상기 입력된 이펙트가 연출 시작 위치 및/또는 연출 종료 위치 사이에서 연출되도록 최종 컷을 생성할 수 있다.
도 8은 연출 구간 산출 단계(S130)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연출 구간 산출 단계를 통해,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200)는 이펙트의 연출구간이 과도하게 길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컷의 높이 및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400)의 표시부를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적절히 표시될 수 있도록 이펙트의 연출 구간의 길이를 재조정한다. 여기서, 이펙트의 연출 구간의 길이는 연출 구간의 연출 시작 위치와 연출 종료 위치 사이의 거리가 될 수 있으며, 여기서, 거리는 진행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최단 거리가 될 수 있다.
연출 연출 구간이 구간 산출 단계(S130)는 S131, S132, S133, S134, S135, S136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131에서는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200)는 이펙트의 연출 구간을 산출하는 과정 중에서, 이펙트가 설정된 컷의 높이를 기초로 기준 연출 구간 길이를 산출한다.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200)는 컷의 높이에 비례하는 기준 연출 구간 길이를 산출한다.
S132에서는,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200)는 기준 연출 구간 길이와 최대 연출 구간 길이를 비교한다. 여기서, 최대 연출 구간 길이는 연출 구간의 최대 임계값으로,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값이다.
S133에서는,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200)는 기준 연출 구간 길이가 최대 연출 구간의 길이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이펙트의 연출 구간의 길이를 기준 연출 구간 길이로 설정한다.
S134에서는,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200)는 기준 연출 구간 길이가 최대 연출 구간의 길이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이펙트의 연출 구간의 길이와 최대 연출 구간 길이를 비교한다.
S135에서는,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200)는 이펙트의 연출 구간의 길이가 최대 연출 구간 길이를 초과하는 경우, 연출 구간의 길이를 최대 연출 구간 길이로 설정한다.
S136에서는,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200)는 이펙트의 연출 구간의 길이가 최대 연출 구간 길이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이펙트의 연출 구간의 길이를 유지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화 데이터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만화 데이터 표시 방법은 표시 영역 표시 단계(S210), 연출 구간 산출 단계(S220), 사용자 이벤트 입력 단계(S230), 만화 데이터 표시 단계(S240)를 포함할 수 있다.
S210에서는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400)는 저장되거나 만화 데이터 제공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만화 데이터를 표시한다.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400)는 만화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인 표시 영역을 표시부를 통해 표시한다. 만화 데이터의 표시 영역은 사용자 이벤트와 대응하여 이동하게 된다.
S220에서는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400)는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표시 영역에 포함된 컷의 이펙트의 연출 시작 위치 및/또는 연출 종료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이펙트의 연출 구간을 설정한다. S220의 세부 동작에 대해서는 도 10에 대한 설명에서 상세히 하겠다.
S230에서는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400)는 입력부(410)를 통해 사용자 이벤트를 입력 받고, 상기 사용자 이벤트와 대응되는 만화 데이터의 이동 거리 또는 이동 속도를 산출한다.
S240에서는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400)는 만화 데이터를 상기 산출된 이동 거리 만큼 이동시키면서, 상기 이펙트가 상기 연출 구간 동안 연출되도록 제어한다.
도 10은 연출 구간 산출 단계(S2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연출 구간 산출 단계를 통해,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400)는 이펙트의 연출구간이 과도하게 길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컷의 높이 및 표시부를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적절히 표시될 수 있도록 이펙트의 연출 구간의 길이를 재조정한다.
연출 구간 산출 단계(S220)는 S221, S222, S223, S224, S225, S226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221에서는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400)는 이펙트의 연출 구간을 산출하는 과정 중에서, 이펙트가 설정된 컷의 높이를 기초로 기준 연출 구간 길이를 산출한다.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400)는 컷의 높이에 비례하는 기준 연출 구간 길이를 산출한다.
S222에서는,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400)는 기준 연출 구간 길이와 최대 연출 구간 길이를 비교한다. 여기서, 최대 연출 구간 길이는 연출 구간의 최대 임계값으로,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값이다.
S223에서는,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400)는 기준 연출 구간 길이가 최대 연출 구간의 길이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이펙트의 연출 구간의 길이를 기준 연출 구간 길이로 설정한다.
S224에서는,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400)는 기준 연출 구간 길이가 최대 연출 구간의 길이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이펙트의 연출 구간의 길이와 최대 연출 구간 길이를 비교한다.
S225에서는,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400)는 이펙트의 연출 구간의 길이가 최대 연출 구간 길이를 초과하는 경우, 연출 구간의 길이를 최대 연출 구간 길이로 설정한다.
S226에서는,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400)는 이펙트의 연출 구간의 길이가 최대 연출 구간 길이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이펙트의 연출 구간의 길이를 유지한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매체는 네트워크 상에서 전송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는 무형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또는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및 유통이 가능한 형태의 매체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 만화 데이터 제공 시스템 100: 만화 데이터 제공 서버
200: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 300: 통신망
400: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

Claims (9)

  1. 하나 이상의 레이어를 포함하는 제1 컷을 추가하는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도록 제어하는 컷 입력 제어부;
    상기 하나 이상의 레이어에 적용되는 제1 이펙트의 종류를 입력 받을 수 있도록 제어하는 이펙트 입력 제어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레이어가 상기 제1 이펙트를 사용자로부터의 사용자 이벤트와 대응시켜 표현할 수 있도록 제1 최종 컷을 생성하는 컷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펙트 입력 제어부는,
    상기 제1 이펙트와 대응하여, 상기 제1 이펙트의 연출 시작 위치 및 연출 종료 위치를 각각 입력 받도록 제어하고,
    상기 컷 생성부는,
    상기 제1 이펙트의 상기 연출 시작 위치로부터 상기 연출 종료 위치 사이의 영역을 제1 연출 구간으로 설정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사용자 이벤트에 따라 상기 연출 시작 위치가 표시되는 시점부터 상기 연출 종료 위치가 표시되는 시점까지 상기 제1 이펙트가 연출되도록 제1 최종 컷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연출 구간이 상기 제1 최종 컷의 이전 컷의 연출 구간과 중첩되는 경우, 상기 제1 이펙트는 상기 제1 최종 컷의 이전 컷에 포함된 이펙트의 연출 종료 시점이 되기 전에 연출되기 시작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펙트의 상기 연출 종료 위치는
    상기 제1 이펙트의 상기 연출 시작 위치를 기준으로 하단의 영역 중 하나로 결정되고,
    상기 제1 이펙트의 상기 연출 시작 위치 및 상기 연출 종료 위치는
    만화 데이터의 진행 방향과 수직이 되는 선으로 설정되는,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컷 입력 제어부는
    하나 이상의 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컷의 후속 컷인 제2 컷을 추가하는 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이펙트 입력 제어부는
    상기 제2 컷에 포함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레이어에 적용되는 제2 이펙트를 입력 받을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이펙트의 연출 시작 위치 및 연출 종료 위치를 입력 받도록 제어하고,
    상기 컷 생성부는
    상기 제2 이펙트의 연출 시작 위치 및 연출 종료 위치 사이의 영역을 제2 연출 구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 이펙트가 상기 제2 연출 구간에서 연출되도록 제2 최종 컷을 생성하고,
    상기 제2 연출 구간은
    상기 제1 연출 구간의 전부 또는 일부와 중첩되는,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출 구간은
    상기 제1 이펙트의 수, 종류, 상기 제1 컷의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넓어지거나, 좁아지는,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출 구간의 길이와 컷의 높이를 기초로 설정된 기준 연출 구간 길이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연출 구간의 길이가 상기 기준 연출 구간 길이를 초과한 경우, 상기 제1 연출 구간의 길이를 상기 기준 연출 구간 길이로 설정하는 연출 구간 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
  6. 입력부가 만화 데이터에 포함되고, 하나 이상의 레이어들을 포함하는 제1 컷을 추가하는 신호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부가 상기 하나 이상의 레이어에 적용되는 제1 이펙트의 종류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하나 이상의 레이어가 상기 제1 이펙트를 사용자로부터의 사용자 이벤트와 대응시켜 표현할 수 있도록 제1 최종 컷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펙트의 종류를 입력 받는 단계는
    상기 제1 이펙트와 대응하여, 상기 제1 이펙트의 연출 시작 위치 및 연출 종료 위치를 입력 받고,
    상기 제1 최종 컷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이펙트의 상기 연출 시작 위치로부터 상기 연출 종료 위치 사이의 영역을 제1 연출 구간으로 설정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사용자 이벤트에 따라 상기 연출 시작 위치가 표시되는 시점부터 상기 연출 종료 위치가 표시되는 시점까지 상기 제1 이펙트가 연출되도록 제1 최종 컷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연출 구간이 상기 제1 최종 컷의 이전 컷의 연출 구간과 중첩되는 경우, 상기 제1 이펙트는 상기 제1 최종 컷의 이전 컷에 포함된 이펙트의 연출 종료 시점이 되기 전에 연출되기 시작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만화 데이터 생성 방법.
  7.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6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8. 만화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인 표시 영역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 영역에 포함된 컷의 이펙트의 연출 시작 위치 및 연출 종료 위치를 고려하여, 연출 구간을 설정하는 연출 구간 산출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이벤트를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사용자 이벤트와 대응되는 이동 거리를 산출하는 이벤트 처리부; 및
    상기 이동 거리 만큼 상기 만화 데이터를 이동 시키면서, 상기 이펙트의 연출 시작 위치가 표시 영역의 기준 연출선을 통과할 때부터 상기 이펙트의 연출 종료 위치가 상기 기준 연출선을 통과할 때까지 상기 이펙트가 연출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는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출 구간 산출부는
    상기 연출 구간과 상기 컷의 높이를 기초로 설정된 기준 연출 구간을 비교하여, 상기 연출 구간을 재 설정하는,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
KR1020150029204A 2015-03-02 2015-03-02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 KR101937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204A KR101937850B1 (ko) 2015-03-02 2015-03-02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
US14/988,467 US10013786B2 (en) 2015-03-02 2016-01-05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generating cartoon content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artoon content
JP2016017268A JP6140316B2 (ja) 2015-03-02 2016-02-01 漫画データ生成装置、その方法、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漫画データ表示装置
CN201610077837.5A CN105938500B (zh) 2015-03-02 2016-02-04 产生漫画内容的设备和方法以及显示漫画内容的设备
TW105106278A TWI616841B (zh) 2015-03-02 2016-03-02 產生漫畫內容的設備和方法以及顯示漫畫內容的設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204A KR101937850B1 (ko) 2015-03-02 2015-03-02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923A KR20160129923A (ko) 2016-11-10
KR101937850B1 true KR101937850B1 (ko) 2019-01-14

Family

ID=56845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9204A KR101937850B1 (ko) 2015-03-02 2015-03-02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013786B2 (ko)
JP (1) JP6140316B2 (ko)
KR (1) KR101937850B1 (ko)
CN (1) CN105938500B (ko)
TW (1) TWI6168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47555A (zh) * 2016-10-26 2017-03-29 安徽扬远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Scrum敏捷软件开发的测试驱动方法
CN107643861B (zh) * 2017-09-27 2020-07-03 阿里巴巴(中国)有限公司 一种针对图片进行电子阅读的方法、装置和终端设备
CN113434223A (zh) * 2020-03-23 2021-09-24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特效处理方法及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9925A (ja) * 2000-08-01 2002-02-15 Katsu Miyake 漫画編集支援装置、漫画編集支援システム、および漫画編集支援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1307790B1 (ko) * 2013-06-26 2013-09-17 홍찬의 연결번역 기반의 디지털 만화콘텐츠 저작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47035A1 (fr) 2000-12-04 2002-06-13 Rice Village L.L.C Unite de generation d'informations de commande d'images d'affichage, affichage d'images, systeme de distribution d'informations d'images et systeme de distribution de donnees d'image
WO2002047034A1 (fr) 2000-12-04 2002-06-13 Rice Village L.L.C Dispositif de production d'informations de commande d'affichage d'image, procede d'affichage d'image et affichage d'image
TWI244005B (en) * 2001-09-13 2005-11-21 Newsoft Technology Corp Book producing system and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US8643667B2 (en) * 2002-08-02 2014-02-04 Disney Enterprises, Inc. Method of displaying comic books and similar publications on a computer
CN101155276A (zh) * 2006-09-28 2008-04-02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一种功能菜单动态切换的显示设备及其实现方法
CN100454243C (zh) * 2006-11-28 2009-01-21 北京龙阁创意数码科技有限公司 基于海量数据的多元动漫产品开发系统和开发方法
US8223153B2 (en) * 2008-11-13 2012-07-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of authoring animation through storyboard
JP2010134801A (ja) * 2008-12-05 2010-06-17 Sharp Corp コンテンツ作成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閲覧装置
JP2010164862A (ja) * 2009-01-19 2010-07-29 Sun Corp 画像表示装置
JP2010165309A (ja) * 2009-01-19 2010-07-29 Celsys:Kk マンガのコマ表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装置
KR101158418B1 (ko) 2010-05-07 2012-06-22 주식회사 제노웰 모바일 단말기용 디지털 만화 콘텐츠의 저작 툴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용 디지털 만화 콘텐츠의 저작 방법
JP5312420B2 (ja) * 2010-07-13 2013-10-0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コンテンツ解析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40049547A1 (en) * 2011-02-01 2014-02-20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Representing Complex Animation using Style Capabilities of Rendering Applications
CN104205171A (zh) * 2012-04-09 2014-12-10 英特尔公司 用于化身生成、渲染和动画的系统和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9925A (ja) * 2000-08-01 2002-02-15 Katsu Miyake 漫画編集支援装置、漫画編集支援システム、および漫画編集支援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1307790B1 (ko) * 2013-06-26 2013-09-17 홍찬의 연결번역 기반의 디지털 만화콘텐츠 저작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938500B (zh) 2019-10-11
JP6140316B2 (ja) 2017-05-31
TWI616841B (zh) 2018-03-01
US10013786B2 (en) 2018-07-03
TW201636954A (zh) 2016-10-16
CN105938500A (zh) 2016-09-14
JP2016162452A (ja) 2016-09-05
US20160260239A1 (en) 2016-09-08
KR20160129923A (ko) 2016-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0792B1 (ko)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
KR101937850B1 (ko)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
JP6127126B2 (ja) 漫画データ生成装置、その方法及び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並びに漫画データ表示装置
JP6215366B2 (ja) 漫画データ生成装置、漫画データ表示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その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JP6290942B2 (ja) 漫画データ生成装置、その方法、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漫画データ表示装置
US10438395B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displaying cartoon content
KR101730114B1 (ko)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6251303B2 (ja) 漫画データ生成装置、その方法及び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642946B1 (ko)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
KR101950420B1 (ko)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KR101726846B1 (ko)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 및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636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1107

Effective date: 2018092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