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7790B1 - 연결번역 기반의 디지털 만화콘텐츠 저작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연결번역 기반의 디지털 만화콘텐츠 저작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7790B1
KR101307790B1 KR1020130073376A KR20130073376A KR101307790B1 KR 101307790 B1 KR101307790 B1 KR 101307790B1 KR 1020130073376 A KR1020130073376 A KR 1020130073376A KR 20130073376 A KR20130073376 A KR 20130073376A KR 101307790 B1 KR101307790 B1 KR 101307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lation
connection
file
text
auth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3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찬의
류영형
신경철
김병군
Original Assignee
홍찬의
대원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찬의, 대원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찬의
Priority to KR1020130073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77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7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7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802D [Two Dimensional] animation, e.g. using spri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이북 리더 등의 디지털 단말장치로 감상할 수 있는 디지털 만화콘텐츠를 효과적으로 저작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외국의 만화작품을 번역한 만화콘텐츠를 저작함에 있어서 종래에 번역 과정에서 원본 만화이미지에 표시된 원본문자를 번역문자로 대체하고 교정 과정에서 텍스트를 변경하거나 문자형태를 변경할 때마다 저작권 이슈가 반복적으로 야기되어 만화콘텐츠 저작 프로세스가 지연되었던 문제점을 정보통신 기술을 통해 극복함으로써 디지털 만화콘텐츠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저작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국의 만화작품을 번역한 만화콘텐츠를 저작함에 있어서 원본 만화이미지를 변화없이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번역 및 교정 과정에서 매 단계마다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을 필요가 없어 번역본 디지털 만화콘텐츠를 신속하게 저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연결번역 기반의 디지털 만화콘텐츠 저작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Authoring method for digital cartoon contents by linked-translation,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이북 리더 등의 디지털 단말장치로 감상할 수 있는 디지털 만화콘텐츠를 효과적으로 저작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외국의 만화작품을 번역한 만화콘텐츠를 저작함에 있어서 종래에 번역 과정에서 원본 만화이미지에 표시된 원본문자를 번역문자로 대체하고 교정 과정에서 텍스트를 변경하거나 문자형태를 변경할 때마다 저작권 이슈가 반복적으로 야기되어 만화콘텐츠 저작 프로세스가 지연되었던 문제점을 정보통신 기술을 통해 극복함으로써 디지털 만화콘텐츠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저작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 책자 형태의 만화콘텐츠가 많은 사랑을 받아왔다. 이러한 만화콘텐츠는 작가가 펜으로 원화를 그린 후에 인쇄지에 대량으로 복사 인쇄하여 책자 형태로 제본한 것이다. 일본과 미국에는 만화콘텐츠 산업이 발달하였기에 우수한 작품이 많이 나오고 있으며, 그에 따라 외국의 만화작품를 번역하여 만든 만화작품이 국내에서도 인기를 끌고 있다.
저작권법상 만화는 어문저작물과 회화저작물의 성격을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에 외국의 만화작품을 번역하여 새로운 만화콘텐츠를 만드는 과정은 굉장히 복잡하고 시간도 많이 소요된다.
만화에 포함된 텍스트는 내용을 전달하는 어문의 성격도 가지고 있지만 그 자체로 만화이미지의 일부를 구성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내용 진행을 위해 포함된 텍스트가 만화이미지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번역 과정에서 텍스트를 국문으로 변경하는 것은 회화저작물에 변화를 가하는 것이어서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아야 한다. 마찬가지로 교정 과정에서 일어나는 텍스트 변경, 폰트나 폰트사이즈의 변경, 텍스트 배치 변경 또한 회화저작물에 변화를 가하는 것이어서 매번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아야 한다.
소설이나 수필과 같은 일반적인 문학작품과는 달리 이처럼 만화는 회화저작물의 성격으로 인해 번역작업이 매우 복잡하다. 현재 외국의 만화작품을 번역하여 만화콘텐츠를 상품화하는 데에 1년 이상이 소요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길게는 2년까지도 걸린다. 이러한 기간의 상당 부분은 번역 과정과 교정 과정에서 저작권자의 동의를 얻기 위해 대기하는 시간이다. 이처럼 최종 상품화까지 과도한 기간이 걸림에 따라 제작단가의 상승이 불가피하며, 이로 인해 만화콘텐츠를 풍부하게 제공하지 못하는 결과로 나타난다.
이러한 문제는 만화콘텐츠를 제공하는 업체와 만화콘텐츠를 제공받는 소비자 모두에게 전혀 바람직하지 못하다. 하지만 이는 만화라는 장르의 본질에 기인하는 것이어서 저작권법이 개정되기 전에는 감수할 수밖에 없다는 인식이 관련 업계에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져 있다.
한편, 정보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스마트폰, 태블릿 PC, 이북 리더와 같은 디지털 단말장치가 빠르게 보급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이들 디지털 단말장치에서 소비하기 위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서도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콘텐츠로는 이북, 영화, 음악, 게임, 만화 등이 존재하는데 단말장치의 보급이 늘어남에 따라 향후 책자를 대체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설명한 외국 만화를 번역한 작품도 디지털 단말장치에서 볼 수 있도록 디지털 콘텐츠로서 온라인으로 제공되고 있다. 종래에는 번역을 완료하고 식자작업을 거쳐 만화책자를 출판한 후에 이를 다시 디지털 이미지로 스캐닝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따라서 책자(서적) 형태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만화콘텐츠 제공 형태를 변경하더라도 여전히 기존의 복잡한 과정을 그대로 거쳐야 했다. 디지털 기술에 의해 제작기간이 절감되는 효과는 없으며 오히려 디지털화하는 단계를 더 거칠 뿐이었다.
만화콘텐츠의 제공 방식이 종래의 책자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넘어가는 트랜드 변화에 발맞추어 정보통신 기술을 적극적으로 적용함으로써 만화 번역물의 저작 과정을 최적화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만화콘텐츠가 저작권법에서 특수하게 다루어짐으로 인해 번역 과정과 교정 과정에서 반복적으로 저작권자의 동의를 얻어야만 하여 상품화 기간이 과다하게 길어지는 불합리함을 개선함으로써 외국의 유명 만화작품에 대한 번역물을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관련기술문헌]
1. 특허출원 10-2011-0069674호, 발명의 명칭 "단말장치용 만화콘텐츠 저작 표현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2. 특허출원 10-2007-0088437호, 발명의 명칭 "전자만화 배신 서버, 번역 전자만화 작성 장치, 번역 전자만화 작성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외국의 만화작품을 번역한 만화콘텐츠를 저작함에 있어서 종래에 번역 과정에서 원본 만화이미지에 표시된 원본문자를 번역문자로 대체하고 교정 과정에서 텍스트를 변경하거나 문자형태를 변경할 때마다 저작권 이슈가 반복적으로 야기되어 만화콘텐츠 저작 프로세스가 지연되었던 문제점을 정보통신 기술을 통해 극복함으로써 디지털 만화콘텐츠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저작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본의 만화이미지로부터 연결번역 기반의 디지털 만화콘텐츠를 저작하는 방법으로서, 원본의 만화이미지 파일을 제공받는 제 1 단계; 저작 소프트웨어의 연결번역 편집 UI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2 단계; 연결번역 편집 UI에 만화이미지를 로딩하는 제 3 단계; 연결번역 편집 UI 상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만화이미지 상에 하나이상의 연결영역을 설정하는 제 4 단계; 연결번역 편집 UI 상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위 설정된 연결영역의 각각에 대응하는 번역텍스트를 연결 설정하는 제 5 단계; 연결번역 편집 UI 상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위 연결 설정된 번역텍스트에 적용할 연결표시 이펙트를 설정하는 제 6 단계; 연결영역 및 연결영역에 대응하여 설정된 번역텍스트 및 연결표시 이펙트를 취합하여 만화이미지 파일에 대응하는 연결번역 파일을 생성하는 제 7 단계; 만화이미지 파일과 연결번역 파일을 패키지하여 디지털 만화콘텐츠를 설정하는 제 8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연결번역 파일은, 위 설정된 하나이상의 연결영역의 각각에 대해서 만화이미지 내의 위치 정보와 위 설정된 연결영역에 적용할 연결표시 이펙트 정보를 구비하는 연결영역 메타파일; 위 설정된 하나이상의 연결영역의 각각에 대해서 연결영역과의 대응정보와 번역텍스트의 내용을 구비하는 번역텍스트 파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연결번역 파일에서 연결영역 메타파일의 하나에 대해 번역텍스트의 번역 대상인 랭기지 별로 구분된 복수 개의 번역텍스트 파일이 마련된다. 또한, 연결표시 이펙트 정보는 번역텍스트를 오버레이 표시할 배경색상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제 6 단계는 오버레이 영역의 부근을 추출하여 배경색상으로 디폴트 지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연결영역 메타파일은 연결영역의 위치 정보로서 페이지 번호, 연결영역 번호, 영역 좌표정보를 구비하고 연결표시 이펙트 정보로서 폰트사이즈, 폰트색상, 강조여부, 배경사용 여부, 배경색상, 배경 투명도의 하나이상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번역텍스트 파일에서 연결영역과의 대응정보는 페이지 번호와 연결영역 번호의 조합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제 5 단계에서 번역텍스트는 메뉴를 통해 번역언어가 지정된 상태에서 입력되고, 제 7 단계는 언어 옵션을 지정한 연결번역 익스포트에 의해 수행되는데 번역텍스트 중에서 메뉴를 통해 지정된 번역언어와 언어 옵션에서 지정된 언어가 대응되는 번역텍스트 데이터를 추출하여 언어 옵션에 따른 번역텍스트 파일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만화이미지는 하나이상의 씬을 구비한 하나이상의 페이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제 4 단계 내지 제 6 단계는 원본 만화이미지의 하나이상의 씬에 대해서 반복 수행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연결영역 메타파일과 번역텍스트 파일은 XML 포맷 또는 JSON 포맷에 따라 필드 포맷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연결번역 기반의 디지털 만화콘텐츠 저작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국의 만화작품을 번역한 만화콘텐츠를 저작함에 있어서 원본 만화이미지를 변화없이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번역 및 교정 과정에서 매 단계마다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을 필요가 없어 번역본 디지털 만화콘텐츠를 신속하게 저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만화콘텐츠 저작이 신속해짐에 따라 번역 만화콘텐츠의 제작단가가 낮아지고, 그로 인해 외국에서 출간되는 우수한 만화콘텐츠를 국내에 풍부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원본 만화작품으로부터 여러 나라의 번역 작품을 제작하는 과정이 간편해져서 우수한 만화작품을 다수의 나라에 출판할 수 있게 되어 만화콘텐츠 산업의 규모 확대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만화콘텐츠의 제공 방식이 책자 형태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넘어가는 트랜드 변화에 발맞추어 번역작업, 식자작업, 책자출판, 디지털스캐닝이라는 종래의 번거로운 디지털 출판과정을 정보통신 기술로 최적화함으로써 만화콘텐츠 출판에 대한 비용을 절감하고 디지털 만화콘텐츠의 유통구조를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저작권법상 만화콘텐츠의 특수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디지털 만화콘텐츠 저작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XML 포맷으로 생성한 연결영역 메타파일과 번역텍스트 파일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디지털 만화콘텐츠 저작장치에서 사용되는 연결번역 편집 UI 화면의 상단메뉴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번역 편집 UI 화면에서 번역텍스트의 연결표시 이펙트를 설정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연결번역 편집 UI 화면에 의해 편집된 번역텍스트와 씬과의 연결설정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번역 기반의 디지털 만화콘텐츠 저작 방법의 전체 프로세스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일본의 원본 만화를 번역하여 디지털 만화콘텐츠를 저작 표시하는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에서 만화콘텐츠의 원본 만화이미지를 연결번역 편집 UI 화면으로 로딩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서 저작 소프트웨어의 연결번역 편집 UI 화면에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연결영역 설정 및 그에 대응하는 번역텍스트 연결 설정의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외국의 원작 만화를 번역하여 저작한 디지털 만화콘텐츠를 단말장치에서 표시하는 개념을 설명한다. [도 8(a)]는 일본의 원작 만화의 한 장면을 나타내고, [도 8(b)] 내지 [도 8(f)]는 본 발명에 따라 원작 만화를 번역하여 생성한 디지털 만화콘텐츠를 디지털 단말장치에서 표시하는 다양한 예를 나타낸다.
순서대로 살펴보면, [도 8(b)]는 원어 텍스트 위에 번역텍스트를 오버레이 덮어쓰기 표시하였고, [도 8(c)] 내지 [도 8(f)]는 원어 텍스트에 대해 순차적으로 번역텍스트를 마련하여 별도 마련된 번역표시 영역에 표시하였다. 사용자가 클릭이나 터치 조작함에 따라 만화의 씬(scene)이 진행하면서 원어 텍스트도 예컨대 하나씩 진행된다. 현재 번역텍스트가 제공되고 있는 원어 텍스트를 표시하는 방식은 하이라이트하는 것도 가능하고([도 8(c), 도 8(d)]) 원어 텍스트 바로 옆에 넘버링하는 것도 가능하다([도 8(e), 도 8(f)]).
본 발명에서는 단말장치에서 번역텍스트를 표시할 때, 번역텍스트가 표시된 만화 이미지를 미리 다운로드받아 표시하는 방식이 아니다. 대신, 단말장치에서는 만화 콘텐츠의 원본 이미지와 번역 표시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마련해두었다가, 사용자에게 만화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점에서 뷰어 프로그램이 전자적 프로세싱을 통하여 번역텍스트를 원본 이미지 위에 오버레이시킨 디스플레이를 생성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번역 기반의 디지털 만화콘텐츠 저작 기술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장치(이하, '디지털 만화콘텐츠 저작장치'라 함 : 1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2]의 디지털 만화콘텐츠 저작장치(10) 상에서 수행되는 연결번역 기반의 디지털 만화콘텐츠 저작 방법의 전체 프로세스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털 만화콘텐츠 저작장치(10)는 입출력부(11), 저작제어부(12), 저장부(13), I/O 인터페이스(14)를 포함한다. 또한, 저작제어부(12)는 연결번역 생성모듈(12a)과 임포트/익스포트 모듈(12b)을 구비하고, 연결번역 생성모듈(12a)은 연결영역 생성수단(12a1), 번역텍스트 생성수단(12a2), 연결이펙트 생성수단(12a3)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을 중심으로 디지털 만화콘텐츠 저작장치(10)의 동작을 살펴본다. 먼저, 저작제어부(12)의 연결번역 생성모듈(12a)은 I/O 인터페이스(14)를 통해 외부로부터 [도 1]에서 살펴본 것과 같은 원본 만화이미지 파일을 수신하여 일단 저장부(13)에 저장한다(S11).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만화이미지는 일반적으로 복수의 페이지로 이루어지고 개별 페이지는 다시 하나이상의 씬(scene)으로 이루어진다. 씬은 만화 전개를 위해 마련된 그림박스 영역을 의미하는데, [도 1(a)]는 3개의 씬으로 이루어져 있고 [도 1(b)]는 2개의 씬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원본 만화이미지 파일이 제공되면 여기에 XML 또는 JSON 포맷으로 구성된 연결번역 파일을 결합시켜 만화콘텐츠를 생성한다. 이러한 XML 또는 JSON 포맷에서는 만화콘텐츠의 각 씬을 식별하기 위한 씬 넘버 필드(scene number field)를 각 페이지별로 마련해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라 저작된 만화콘텐츠는 원어(저작자 언어, 예: 일본어)로 표기된 원본 만화이미지 파일([도 1] 및 [도 8(a)] 참조) 및 XML 또는 JSON 포맷의 연결번역 파일의 패키지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연결번역 파일은 연결영역 메타파일과 번역텍스트 파일로 이루어진다. 다만, 본 발명에서 패키지란 물리적으로 단일 파일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그룹으로 다루어지는 것으로 충분하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종래기술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원본의 만화이미지를 수정하면 원 저작권자의 동의를 얻어야 하므로 원본 만화이미지 파일을 최대한 유지하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다만, 본 발명이 원 저작자로부터 제공받은 원본 만화이미지를 전혀 변경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변경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연결번역 파일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XML 포맷을 기준으로 설명을 전개한다.
단계(S11) 이후, 디지털 만화콘텐츠 저작장치(10)는 미리 설치되어 있던 저작 소프트웨어를 구동하여 저작제어부(12)를 기동하고(S12), 만화콘텐츠의 원본 만화이미지를 [도 9]와 [도 10]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저작 소프트웨어의 연결번역 편집 UI 화면으로 로딩한다(S13).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에서 만화콘텐츠의 원본 만화이미지를 연결번역 편집 UI 화면으로 로딩한 2가지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와 [도 10]의 연결번역 편집 UI를 통해 저작 소프트웨어의 사용자는 원본 만화이미지에 연결번역을 생성할 수 있는데, 연결번역 편집 UI는 만화콘텐츠에서 특정 페이지의 만화이미지를 선택하는 기능, 만화이미지에 연결영역을 정의하는 기능, 해당 연결영역에 대응되는 번역텍스트를 입력하는 기능, 해당 연결영역에 번역텍스트를 연결 구현할 때의 이펙트를 설정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때, 이펙트로는 글자크기, 글자색상, 폰트 설정(볼드, 이탤릭, 언더라인 등), 배경색 사용여부(하이라이트), 배경투명도(알파블랜딩)을 들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저작 소프트웨어의 사용자는 만화콘텐츠의 저작을 수행하기 위해 연결번역 편집 UI 화면 상에서 연결번역 생성을 위한 각종의 조작을 입력하고, 그에 의해 원본 만화이미지에 대해서 연결영역을 설정하고 그에 대응하는 번역텍스트 및 연결표시 이펙트의 설정이 이루어진다(S14).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서 저작 소프트웨어의 연결번역 편집 UI 화면에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연결영역을 설정하고 그에 대응하는 번역텍스트 및 연결표시 이펙트를 설정하는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1]는 만화이미지의 말풍선 영역에 번역텍스트를 입력하되 배경색을 말풍선과 동일하게 설정하고 배경투명도를 디스에이블시킴으로써 오버레이 덮어쓰기 효과를 구현하려는 것이다. 이때,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본 만화이미지에서 오버레이 영역이 설정되면 저작 소프트웨어는 오버레이 영역의 터치 지점의 부근을 추출하여 번역텍스트의 배경 색상으로 디폴트로 지정하는 동작을 자동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자연스러운 번역텍스트 표시가 가능하고 추가로 저작 작업의 편이를 제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는 만화이미지에서 해당 원어 텍스트 영역은 하이라이트 표시하고 페이지 하단에 번역텍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번역표시 영역을 구현하려는 것이다. 만화 콘텐츠의 내용이 진행됨에 따라 하이라이트 표시도 예컨대 씬 단위 또는 원어 텍스트 단위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 번역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번역텍스트로 업데이트된다. 마지막으로, [도 13]는 만화이미지에서 해당 원어 텍스트 영역에는 마킹 표시하고 페이지 하단에 번역텍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번역표시 영역을 구현하려는 것이다.
저작 소프트웨어의 사용자는 연결번역 편집 UI 화면을 통해 이상과 같이 원본 만화이미지 상에 연결영역을 설정하면서 그에 대응하는 번역텍스트 입력 및 연결이펙트를 정의할 수 있다. 번역된 형태의 디지털 만화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원본 만화이미지에 포함된 번역대상 원본 텍스트에 대해 이상의 작업을 수행해주어야 하며, 이러한 설정 정보는 저작 소프트웨어가 내부 데이터로서 예컨대 프로젝트라는 형식으로 관리한다.
단계(S14) 이후, 저작제어부(12)는 저작 작업에 대응하는 연결영역 메타 데이터와 번역텍스트 데이터를 내부적으로 생성한다(S15). 연결영역 생성수단(12a1)은 만화콘텐츠의 만화이미지에 대한 연결영역 정의를 취합하여 연결영역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고 번역텍스트 생성수단(12a2)은 그에 대응하는 번역텍스트를 취합하여 번역텍스트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연결이펙트 생성수단(12a3)은 저작 작업을 통해 설정된 번역텍스트를 연결 표시할 때 적용할 이펙트를 취합하여 바람직하게는 연결영역 메타 데이터에 반영한다.
단계(S15) 이후, 임포트/익스포트 모듈(12b)은 연결번역 익스포트 기능을 수해함에 따라 연결영역 메타파일과 번역텍스트 파일을 생성한다(S16). 보다 구체적으로, 임포트/익스포트 모듈(12b)은 XML이나 JSON 포맷으로 생성된 연결영역 메타파일 및 이 연결영역 메타파일의 각 항목과 매칭되어 번역텍스트 파일을 XML이나 JSON 포맷으로 저장부(13)에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XML 포맷으로 생성한 연결영역 메타파일과 번역텍스트 파일의 예를 나타낸다. 그에 따라, 원래의 만화이미지에 대해 연결영역 메타파일과 번역텍스트 파일을 패키지로 묶어 번역 버전의 디지털 만화콘텐츠가 저작되었다.
이때, 번역 랭기지 설정에 따라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포맷을 활용하여 언어별 익스포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익스포트를 수행할 때 메뉴를 통해 하나이상의 언어 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데, 번역랭기지 선택 아이콘(fc)을 통해 번역텍스트의 언어를 지정하였기에 그에 대응되는 번역텍스트를 추출하여 해당 언어에 대한 번역텍스트 파일을 생성한다.
이처럼 연결번역 익스포트를 통해 생성된 연결영역 메타파일과 번역텍스트 파일은 디지털 단말장치의 만화콘텐츠 뷰어 소프트웨어에서 활용되는데, 만화콘텐츠 뷰어 소프트웨어에서는 연결영역 메타파일과 번역텍스트 파일에 대한 연결번역 임포트 기능을 수행한다. 즉, 임포트/익스포트 모듈(12b)은 사용자의 랭기지 선택 입력에 따라 연결영역 메타파일과 언어별 번역텍스트 파일을 개별적으로 임포트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도 2]의 디지털 만화콘텐츠 저작장치(10)가 [도 7]의 연결번역 기반의 디지털 만화콘텐츠 저작 방법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연결영역 메타파일"은 연결번역 생성모듈(12a)의 연결영역 생성수단(12a1)과 연결이펙트 생성수단(12a3)이 생성하는 것으로서 만화콘텐츠의 개별 만화이미지에 대해서 번역텍스트를 대응시킬 연결영역의 위치와 연결표시 이펙트를 XML이나 JSON 포맷으로 정의하는 파일이다. 또한 "번역텍스트 파일"은 연결번역 생성모듈(12a)의 번역텍스트 생성수단(12a2)이 생성하는 것으로 각각의 연결영역에 대응하는 번역텍스트를 정의하는 파일이다.
본 발명에서 번역텍스트 파일은 배급하려는 언어별로 각각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파일 명을 통해 해당 언어를 식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나의 원작으로부터 배급하려는 각 언어별로 만화컨텐츠를 저작할 때 바람직하게는 번역텍스트 파일만 변경하면 충분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연결번역 파일을 연결영역 메타파일과 번역텍스트 파일로 구분하여 관리하는 이유는 연결번역 파일의 경량화와 다국어 지원의 유연화를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에서 연결번역 생성모듈(12a)이 생성하는 연결번역 파일의 구조는 하기의 [표 1]과 같다. 여기에서 번역텍스트 파일의 명칭에 포함된 "국가코드"는 영어국가 축약어를 사용하며 중복을 고려하여 영문 풀네임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연결영역 메타파일 : 만화컨텐츠에서 번역텍스트가 제공되는 영역을 정의하는 데이터 파일명 : 만화명_caption_area.xml(.json)

Ex) 원피스_1화_caption_area.xml
번역텍스트 파일 : 특정 언어에 대한 번역텍스트 데이터 파일명 : 만화명_caption_국가코드.xml(.json)

Ex) 원피스_1화_caption_kor.xml(한국어 번역)
원피스_1화_caption_jpn.xml(일본어 번역)
원피스_1화_caption_eng.xml(영어 번역)
[도 3(a)]는 본 발명에서 XML 포맷으로 생성한 연결영역 메타파일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연결영역 메타파일을 구성하는 XML 포맷의 각 엘리먼트에 대한 설명을 [표 2]에 나타낸다.
엘리먼트
( Element )
속성 정보
( Attribute )
설명
( Description )
caption 연결영역 메타파일의 최상위 엘리먼트
page 페이지 영역 엘리먼트
no 페이지 번호
caption 연결영역 메타 데이터 엘리먼트
no 해당 페이지 내의 연결영역 번호
scene 씬 번호(-1 인 경우 어떤 씬에도 포함되지 않음)
fontsize 폰트사이즈(문장 전체 적용)
color 폰트색상(문장 전체 적용)
bold 강조여부(문장 전체 적용)
background 배경 사용여부
backgroundColor 배경 색상
backgroundAlpha 배경 투명도(0 ~ 1의 소수점, 예: 0, 0.5, 1)
point 영역 좌표
x X 좌표
y Y 좌표
[도 3(b)]는 본 발명에서 XML 포맷으로 생성한 번역텍스트 파일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번역텍스트 파일을 구성하는 XML 포맷의 각 엘리먼트에 대한 설명을 [표 3]에 나타낸다.
엘리먼트 속성 정 설명
caption 번역텍스트 파일의 최상위 엘리먼트
content 번역텍스트 파일 엘리먼트
page 페이지 번호(연결영역 메타파일의 "page" 엘리먼트의 "no" 속성 참조)
no 번역텍스트 번호. 연결영역 메타파일의 "caption" 엘리먼트의 "no" 속성과 대응되는 값으로 이를 통해 연결영역과 번역텍스트의 대응관계가 설정됨
텍스트 번역텍스트의 내용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만화콘텐츠 저작장치(10)의 저작 소프트웨어에서 사용하는 연결번역 편집 UI 화면에 적용될 수 있는 상단메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연결번역 편집 UI 화면은 만화콘텐츠의 모션 뷰(motion view)와 프레임 뷰(frame view)에 대해 공통으로 사용가능하다. 연결번역 편집 UI 화면의 상단메뉴는 번역편집 온오프 아이콘(fa), 연결영역 지정 아이콘(fb), 번역랭기지 선택 아이콘(fc)을 포함하여 구현된다.
먼저, 번역편집 온오프 아이콘(fa)은 사용자의 온(ON)/오프(OFF) 선택에 따라 번역텍스트의 편집 기능이 인에이블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한다. 즉, 연결영역 생성수단(12a1)은 번역편집 온오프 아이콘(fa)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온(ON)으로 선택되면 번역텍스트 편집 기능을 인에이블시키고 오프(OFF)로 선택되면 번역텍스트 편집 기능을 디스에이블시킨다.
연결영역 지정 아이콘(fb)은 사용자의 선택입력에 따라 만화이미지 상에 번역텍스트 편집을 위한 연결영역을 정의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제공된다. 연결영역 생성수단(12a1)은 연결영역 지정을 위해 사각 또는 다각형 형상을 입출력부(11) 화면에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번역랭기지 선택 아이콘(fc)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하단으로 언어별 리스트가 구현되면, 이러한 구현된 언어별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언어는 현재 편집중인 번역 언어로 인식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저작 소프트웨어에서는 현재 입력중인 번역텍스트가 어떠한 언어로 번역된 것인지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즉, 번역랭기지 선택 아이콘(fc)을 영어로 설정한 상태에서 번역텍스트를 입력하는 경우에 저작 소프트웨어는 현재 입력되고 있는 텍스트가 원본 만화이미지의 일부분을 영어로 번역한 텍스트임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도 4]의 번역편집 온오프 아이콘(fa), 연결영역 지정 아이콘(fb), 번역랭기지 선택 아이콘(fc)은 연결번역 편집 UI 화면이 제공해야 하는 기능을 개념적으로 제시한 것으로, 이러한 기능이 반드시 아이콘 형식으로 제공되어야 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에 따라, [도 9]와 [도 10]의 연결번역 편집 UI 화면에서는 이들 아이콘들이 톱다운 메뉴의 개별 항목으로 처리하거나 다른 모양의 아이콘으로 처리되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만화콘텐츠 저작장치(10)에서 사용되는 연결번역 편집 UI 화면에서 번역텍스트의 연결표시 이펙트를 설정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디지털 만화콘텐츠 저작장치(10)의 연결이펙트 생성수단(12a3)이 번역텍스트의 연결표시 이펙트 설정 작업을 수행하는데, 이를 위해 연결번역 편집 UI는 번역텍스트의 글자 크기에 관한 "fontsize", 글자 색에 관한 "color", 글자 강조 여부에 관한 "bold"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제공한다. 추가로, 연결번역 편집 UI는 번역텍스트의 배경 사용 여부에 관한 "background", 배경 색상에 관한 "backgroundColor", 배경 투명도에 관한 "backgroundAlpha"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제공한다. 이렇게 설정된 값은 [표 2]를 참조하여 전술하였던 연결영역 메타파일의 각 엘리먼트에 반영된다.
한편, 연결번역 편집 UI 화면은 저작 도구에 대한 도킹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5]와 같이 번역텍스트의 연결표시 이펙트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별도의 윈도우로 구현할 수도 있으나, 해당 윈도우를 다른 부분에 도킹하여 [도 9] 및 [도 10]과 같은 UI를 구현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연결번역 편집 UI 화면에 의해 편집된 번역텍스트와 씬과의 연결설정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도 7]의 순서도에서 단계(S14)의 연결 설정 과정의 일 예에 해당된다.
[도 6], [도 9], [도 10]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연결번역 편집 UI 화면상에서 CaptionList 윈도우에서 번역텍스트 항목에 대한 편집 및 이펙트 설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나서, 연결번역 편집 UI 화면에 표시된 만화이미지에서 씬(2)을 선택하고, 이어서 미리 설정된 단축키(예: 기능버튼 + 문자버튼)를 누른 상태에서 CaptionList 윈도우의 특정 번역텍스트 항목을 선택한 후 해당 씬(2)의 내부 혹은 좀더 구체적으로는 해당 씬(2) 내부의 특정의 원어 텍스트 영역(3)으로 드래그함으로써 번역텍스트와 씬을 연결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특정 씬에 대해 번역텍스트 연결 과정이 수행되면 디지털 단말장치에서 만화콘텐츠를 구현하는 뷰어에서 해당 씬을 표시할 때 당해 연결된 번역텍스트가 순차적으로 화면에 표시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웨이브(예: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된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가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10: 디지털 만화콘텐츠 저작장치
11: 입출력부
12: 저작제어부
12a: 연결번역 생성모듈
12a1: 연결영역 생성수단
12a2: 번역텍스트 생성수단
12a3: 연결이펙트 생성수단
12b: 임포트/익스포트 모듈
13: 저장부
14: I/O 인터페이스

Claims (9)

  1. 원본의 만화이미지로부터 연결번역 기반의 디지털 만화콘텐츠를 저작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원본의 만화이미지 파일을 제공받는 제 1 단계;
    저작 소프트웨어의 연결번역 편집 UI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2 단계;
    상기 연결번역 편집 UI에 상기 만화이미지를 로딩하는 제 3 단계;
    상기 연결번역 편집 UI 상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만화이미지 상에 하나이상의 연결영역을 설정하는 제 4 단계;
    상기 연결번역 편집 UI 상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설정된 연결영역의 각각에 대응하는 번역텍스트를 연결 설정하는 제 5 단계;
    상기 연결번역 편집 UI 상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연결 설정된 번역텍스트에 적용할 연결표시 이펙트를 설정하는 제 6 단계;
    상기 연결영역 및 상기 연결영역에 대응하여 설정된 상기 번역텍스트 및 연결표시 이펙트를 취합하여 상기 만화이미지 파일에 대응하는 연결번역 파일을 생성하는 제 7 단계;
    상기 만화이미지 파일과 상기 연결번역 파일을 패키지하여 상기 디지털 만화콘텐츠를 설정하는 제 8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번역 파일은,
    상기 설정된 하나이상의 연결영역의 각각에 대해서 상기 만화이미지 내의 위치 정보와 상기 설정된 연결영역에 적용할 상기 연결표시 이펙트 정보를 구비하는 연결영역 메타파일;
    상기 설정된 하나이상의 연결영역의 각각에 대해서 상기 연결영역과의 대응정보와 번역텍스트의 내용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영역 메타파일의 하나에 대해 상기 번역텍스트의 번역 대상인 랭기지 별로 구분되어 개별 파일로 마련되는 번역텍스트 파일;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연결번역 기반의 디지털 만화콘텐츠 저작 방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표시 이펙트 정보는 상기 번역텍스트를 오버레이 표시할 배경색상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 6 단계는 오버레이 영역의 부근을 추출하여 상기 배경색상으로 디폴트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번역 기반의 디지털 만화콘텐츠 저작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영역 메타파일은 상기 연결영역의 위치 정보로서 페이지 번호, 연결영역 번호, 영역 좌표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표시 이펙트 정보로서 폰트사이즈, 폰트색상, 강조여부, 배경사용 여부, 배경색상, 배경 투명도의 하나이상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번역텍스트 파일에서 상기 연결영역과의 대응정보는 상기 페이지 번호와 상기 연결영역 번호의 조합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번역 기반의 디지털 만화콘텐츠 저작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에서 상기 번역텍스트는 메뉴를 통해 번역언어가 지정된 상태에서 입력되고,
    상기 제 7 단계는 언어 옵션을 지정한 연결번역 익스포트에 의해 수행되는데 상기 번역텍스트 중에서 상기 메뉴를 통해 지정된 번역언어와 상기 언어 옵션에서 지정된 언어가 대응되는 번역텍스트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언어 옵션에 따른 번역텍스트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번역 기반의 디지털 만화콘텐츠 저작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만화이미지는 하나이상의 씬을 구비한 하나이상의 페이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 4 단계 내지 상기 제 6 단계는 상기 원본 만화이미지의 상기 하나이상의 씬에 대해서 반복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번역 기반의 디지털 만화콘텐츠 저작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결영역 메타파일과 상기 번역텍스트 파일은 XML 포맷 또는 JSON 포맷에 따라 필드 포맷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번역 기반의 디지털 만화콘텐츠 저작 방법.
  9. 청구항 1, 4 내지 8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연결번역 기반의 디지털 만화콘텐츠 저작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30073376A 2013-06-26 2013-06-26 연결번역 기반의 디지털 만화콘텐츠 저작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1307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3376A KR101307790B1 (ko) 2013-06-26 2013-06-26 연결번역 기반의 디지털 만화콘텐츠 저작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3376A KR101307790B1 (ko) 2013-06-26 2013-06-26 연결번역 기반의 디지털 만화콘텐츠 저작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7790B1 true KR101307790B1 (ko) 2013-09-17

Family

ID=49455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3376A KR101307790B1 (ko) 2013-06-26 2013-06-26 연결번역 기반의 디지털 만화콘텐츠 저작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77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80538B2 (en) 2014-04-22 2016-03-0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entence hiding and displaying system and method
US10013786B2 (en) 2015-03-02 2018-07-03 Naver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generating cartoon content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artoon content
KR20180133187A (ko) * 2017-06-05 2018-12-13 주식회사 토리웍스 모바일 웹툰 오픈 번역 서비스 제공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4286A (ja) * 2006-09-01 2008-04-10 Toshiba Corp 電子漫画配信サーバ、および翻訳電子漫画作成装置
KR20090004321A (ko) * 2007-07-06 2009-01-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콘텐츠의 효율적인 저장/관리/소비를 위한 통합저장 포맷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만화 콘텐츠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4286A (ja) * 2006-09-01 2008-04-10 Toshiba Corp 電子漫画配信サーバ、および翻訳電子漫画作成装置
KR20090004321A (ko) * 2007-07-06 2009-01-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콘텐츠의 효율적인 저장/관리/소비를 위한 통합저장 포맷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만화 콘텐츠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80538B2 (en) 2014-04-22 2016-03-0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entence hiding and displaying system and method
US10013786B2 (en) 2015-03-02 2018-07-03 Naver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generating cartoon content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artoon content
KR101937850B1 (ko) * 2015-03-02 2019-01-14 네이버 주식회사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
KR20180133187A (ko) * 2017-06-05 2018-12-13 주식회사 토리웍스 모바일 웹툰 오픈 번역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8225964A1 (ko) * 2017-06-05 2018-12-13 주식회사 토리웍스 모바일 웹툰 오픈 번역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76195B1 (ko) * 2017-06-05 2019-05-07 주식회사 토리웍스 모바일 웹툰 오픈 번역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203136C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generation of an adaptive user interface in a website building system
US8078963B1 (en) Efficient creation of documents
EP2495667A1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editing of electronic document
US20110035692A1 (en) Scalable Architecture for Dynamic Visualization of Multimedia Information
WO2016054549A1 (en) Application prototyping tool
CN104239305A (zh) 生成及展现电子文档的方法及装置
JP2008129702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2008146226A (ja) デザイン編集装置および方法およびデザイン編集プログラム
US2012019204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uilding complex documents
CN102141985A (zh) 一种文稿在线编辑器
KR101307790B1 (ko) 연결번역 기반의 디지털 만화콘텐츠 저작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1709186B1 (ko) 인터랙티브 멀티미디어 전자책 저작 장치 및 방법
KR20180046419A (ko) 클라우드 기반 인터렉티브 스마트 콘텐츠 제작 시스템
Wood Adobe Illustrator CC Classroom in a Book
US202001598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transferable, modular web pages
JP5614924B2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作成方法、デジタルコンテンツ作成用のプログラム、及びデジタルコンテンツ作成装置
JP2015200983A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Bain CorelDRAW 12: the official guide
Cox et al. Microsoft PowerPoint 2010
WO2014050960A1 (ja) 電子書籍制作装置、電子書籍制作方法、電子書籍閲覧システム、ビューワ装置、及び電子書籍閲覧方法
Padova Adobe InDesign Interactive Digital Publishing: Tips, Techniques, and Workarounds for Formatting Across Your Devices
WO2014042053A1 (ja) 電子書籍制作装置、ビューワ装置、電子書籍システム及び電子書籍制作方法
Karlins HTML5 & CSS3 for dummies
Smith et al. Adobe Creative Suite 4 Design Premium all-in-one for dummies
Padova et al. Getting Started in InDe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