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7377B1 - 공기호스가 구성된 욕창 방지용 매트 - Google Patents

공기호스가 구성된 욕창 방지용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7377B1
KR101937377B1 KR1020180075555A KR20180075555A KR101937377B1 KR 101937377 B1 KR101937377 B1 KR 101937377B1 KR 1020180075555 A KR1020180075555 A KR 1020180075555A KR 20180075555 A KR20180075555 A KR 20180075555A KR 101937377 B1 KR101937377 B1 KR 101937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hose
hose
mat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휘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굿유니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굿유니폼 filed Critical 주식회사굿유니폼
Priority to KR1020180075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3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84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ventilating means, e.g. mattress or cushion with ventilating holes or venti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34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공기호스가 구성된 욕창 방지용 매트(10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메시 형상의 하부시트(110)와, 상기 하부시트(110)의 상면에 배선되고 공기가 분출되는 배기공(123)이 형성된 것으로서 일측 종단부(S)는 개방되고 상대측 종단부(T)는 마감된 공기호스(120)와, 상기 공기호스(120)와 함께 상기 하부시트(110)를 덮는 것으로서, 상기 공기호스(120)의 양측을 따라서 상기 하부시트(110)에 박음질되는 메시 형상의 상부시트(130)를 포함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요양병원 내지는 요양원 및 일반병원에서 장시간 누워 있어야 하는 환자에게 적용할 경우, 간단한 구조로서 쿠션 기능이 가능하면서도 환자의 신체에 여과되고 제습된 공기를 제공하므로 욕창 예방 및 욕창 치료가 가능하다.

Description

공기호스가 구성된 욕창 방지용 매트 {ANTI-SICKNESS MAT WITH AIR HOSE}
본 발명은 공기호스가 구성된 욕창 방지용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지그재그 형으로 반복해서 굽혀진 공기호스에 의해서 쿠션 기능이 가능하면서 도 공기를 배기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공기호스 내부에 제습재가 수용되므로 제습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호스가 구성된 욕창 방지용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 병원 내지는 요양 병원 및 요양원 등에서 장시간 병상에 누워 있는 환자들의 경우, 욕창으로 인한 피해가 심각한 실정이다. 물론, 요양보호사들이 환자를 수시로 돌려서 눕히므로 욕창의 예방이 가능하겠지만, 대부분 50대 이상이고 여성인 요양보호사들이 환자를 돌려 눕히는 것은 여간 힘든 일이 아니어서 제대로 케어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요양보호사 1명이 7명에서 10명의 환자를 돌보는 현 실정에서는 일일이 환자를 돌보기 어렵기 때문에 욕창을 효율적으로 예방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아래 기재한 선행기술문헌에서는 다음과 같은 욕창 방지용 매트를 시사하고 있다.
스티로폼이나 다공성 발포제 등으로 구성된 시트 형상의 것으로서 상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홈이 형성된 쿠션원단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쿠션원단에 형성된 홈에 수용되어 상기 공기홈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팬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쿠션원단의 상면을 마감하는 것으로서 다수의 홀이 천공된 다공원단이 구성되고, 상기 다공원단의 상면을 커버하는 메시원단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상기 팬을 작동시키게 되면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홈을 통해서 유입된 후 상기 다공원단과 메시원단을 통해서 상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욕창 방지용 매트 위에 환자가 눕게 되면 신체에 공기를 공급하여 건조시키므로 욕창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한다.
그런데, 상기 욕창 방지용 매트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다.
첫째, 실내 또는 실외 공기가 다습하고 먼지 등에 오염된 경우, 상기 팬을 작동시키게 되면 다습하고 오염된 공기를 환자의 신체에 분출하게 되므로 오히려 없던 욕창이 발현되고, 있던 욕창은 더 심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다습한 공기를 자주 사용하게 되면 상기 공기홈과 다공원단 및 메시원단에 세균이 번식하게 되어 욕창 뿐만 아니라 다른 피부병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환자의 대소변이 유출될 경우, 상기 메시원단과 다공원단을 통해서 공기홈으로 유입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며, 이로 인해서 악취가 발생하며 세균의 온상이 되어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 상기 세 번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세척해야 할 필요성이 있지만, 쿠션원단의 상면을 다공시트와 메시시트가 겹겹이 마감된 상태에서 상기 공기홈 내부로 물을 분사할 수 없기 때문에 세척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다섯째, 상기 쿠션원단의 상면에 순차적으로 다공원단과 메시원단을 접착재를 이용하여 부착하므로 사용 시 접착제 냄새가 발생하게 되어 환자에게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었다.
여섯째, 상기 쿠션원단에 팬이 수용되는 홈과 공기홈을 성형시켜야 하므로 쿠션원단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을 별도로 제작해서 성형 과정을 거쳐야 하고, 상기 다공원단의 경우에도 시트를 구비한 후 천공 작업을 거쳐야 하므로 제조 과정이 복잡하고 생산단가가 비싸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곱째, 작동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 일일이 팬에 연결된 스위치를 번거롭게 온오프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한국 실용신안 공개 제20-2008-0006372호 (2008년 12월 18일)
본 발명에 의한 공기호스가 구성된 욕창 방지용 매트를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내 또는 실외 공기가 다습하고 먼지 등에 오염된 경우,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다습하고 오염된 공기를 환자의 신체에 분출하게 되므로 오히려 없던 욕창이 발현되고, 있던 욕창은 더 심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둘째, 다습한 공기를 자주 사용하게 되면 상기 공기홈과 다공원단 및 메시원단에 세균이 번식하게 되어 욕창 뿐만 아니라 다른 피부병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셋째, 환자의 대소변이 유출될 경우, 상기 메시원단과 다공원단을 통해서 공기홈으로 유입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며, 이로 인해서 악취가 발생하며 세균의 온상이 되어 비위생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넷째, 상기 세 번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세척해야 할 필요성이 있지만, 쿠션원단의 상면을 다공시트와 메시시트가 겹겹이 마감된 상태에서 상기 공기홈 내부로 물을 분사할 수 없기 때문에 세척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다섯째, 상기 쿠션원단의 상면에 순차적으로 다공원단과 메시원단을 접착재를 이용하여 부착하므로 사용 시 접착제 냄새가 발생하게 되어 환자에게 부적합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여섯째, 상기 쿠션원단에 팬이 수용되는 홈과 공기홈을 성형시켜야 하므로 쿠션원단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을 별도로 제작해서 성형 과정을 거쳐야 하고, 상기 다공원단의 경우에도 시트를 구비한 후 천공 작업을 거쳐야 하므로 제조 과정이 복잡하고 생산단가가 비싸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일곱째, 작동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 일일이 팬에 연결된 스위치를 번거롭게 온오프시켜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호스가 구성된 욕창 방지용 매트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메시 형상의 하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의 상면에 배선되고 공기가 분출되는 배기공이 형성된 것으로서 일측 종단부는 개방되고 상대측 종단부는 마감된 공기호스와, 상기 공기호스와 함께 상기 하부시트를 덮는 것으로서, 상기 공기호스의 양측을 따라서 상기 하부시트에 박음질되는 메시 형상의 상부시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기호스의 내부에 수용된 제습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습재가 수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공기호스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공기호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메시로 이루어진 메시호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기호스의 양 측방에 형성되고 하방을 향하여 연장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공은 상기 공기호스의 내측에서 상기 돌기의 단부를 향하여 관통된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기호스의 내부에 수용된 압력센서와, 상기 압력센서에 연계되어 전원의 온오프를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계되어 작동 여부가 결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일측 종단부에 연결되는 공기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펌프가 오프 상태에서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증가된 압력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면 상기 공기펌프를 온(ON)시키도록 하고, 상기 공기펌프가 온(ON) 상태에서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감소된 압력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면 상기 공기펌프를 오프(OFF)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호스가 구성된 욕창 방지용 매트는 상기 해결수단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첫째, 공기가 다습하고 먼지 등으로 오염되었더라도 상기 제습재에 의해서 건조하고 여과된 공기를 환자의 신체에 분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욕창 예방이 가능하고, 욕창이 이미 발현된 환자는 치료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둘째, 공기의 제습이 가능하므로 본원에 세균이 번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욕창 치료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른 피부병이 야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환자의 대소변이 유출되더라도 상기 돌기가 하방으로 연장된 형상이므로 상기 배기공으로 대소변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환자의 대소변이 유출되어 오염되더라도 용이하게 세척이 가능하므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본원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박음질을 통해서 상부시트와 하부시트를 부착하기 때문에 접착제의 악취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본원은 배경기술처럼 별도의 금형을 제작하여 성형할 필요 없이, 이미 시판되고 있는 재료를 통해서 제조가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고 생산단가를 배경기술에 비해서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본원은 압력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은 제어부에 의해서 공기펌프를 온오프시키는 구조로 인해서 일일이 공기펌프를 스위치로 손으로 켜고 끄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호스가 구성된 욕창 방지용 매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호스가 구성된 욕창 방지용 매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호스가 구성된 욕창 방지용 매트에 공기펌프가 연결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호스가 구성된 욕창 방지용 매트에서 공기호스의 일부를 절개하여 내부에 수용된 제습재를 노출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에서 F-F'선을 따라 취한 것으로서 공기가 돌기에 형성된 배기구를 통해서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물이 상부로부터 분사되어 세척되는 과정을 도시한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호스가 구성된 욕창 방지용 매트에서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서 온오프 가능하도록 하는 단속부를 도시한 블록도.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욕창 방지용 매트(100)의 상세한 실시예와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호스가 구성된 욕창 방지용 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호스가 구성된 욕창 방지용 매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호스가 구성된 욕창 방지용 매트에 공기펌프가 연결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호스가 구성된 욕창 방지용 매트에서 공기호스의 일부를 절개하여 내부에 수용된 제습재를 노출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서 F-F'선을 따라 취한 것으로서 공기가 돌기에 형성된 배기구를 통해서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물이 상부로부터 분사되어 세척되는 과정을 도시한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호스가 구성된 욕창 방지용 매트에서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서 온오프 가능하도록 하는 단속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신체에 부합하도록 직방형 내지는 정방형으로 형성된 메시 형상의 하부시트(11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시트(110)의 상면에 배선되고 공기가 분출되는 배기공(123)이 형성된 것으로서 일측 종단부(S)는 개방되고 상대측 종단부(T)는 마감된 공기호스(12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공기호스(120)와 함께 상기 하부시트(110)에 대응되어 덮이는 것으로서, 도 5 및 도 6에서처럼, 상기 공기호스(120)의 양측을 따라서 상기 하부시트(110)에 박음질되는 메시 형상의 상부시트(130)가 구성된다. 도 5 및 도 6에서는 공기호스(120)의 양측에 박음질 부분(M)이 표시되어 있다.
상기 하부시트(110) 및 상부시트(130)는 일례로서 모기장으로 제조되는 메시형의 시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호스(120)는 폴리에틸렌 내지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것으로서 반복되는 지그재그 형으로 굽혀진 보일러관처럼 배선된 것이다. 이러한 공기호스(120)는 하나로 배선될 수도 있고, 도 1 및 도 2에서처럼, 양측으로 대응되게 배선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일측 종단부(S)는 하부시트(110) 밖으로 연장되어 후술하는 공기펌프(180)에 연결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투명한 재질의 것으로 구성하므로 태양빛에 의해서 내부 살균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후술하는 제습재(140)가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것일 경우 용이하게 투과하여 환자의 신체를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공기호스(120)는 환자가 누웠을 때 체중에 의해서 찌그러지지 않을 정도로 강성을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납작하게 찌그러진다면 공기가 유입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신체의 하중에 의해서 전혀 형상이 변형하지 않을 정도로 강성을 구비한 것이면 신체에 베길 수 있기 때문에 신체의 하중에 대해서 단면이, 측방으로 벌어진 타원형이 되도록, 변형되면서 완충이 가능하도록 강성을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에서처럼, 상기 공기호스(120)의 내부에 수용된 제습재(140)가 구성되는데, 상기 제습재(140)는, 상기 공기호스(120)의 내부에 수용되어 공기호스(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메시로 이루어진 메시호스(150)에 수용되어 구성된다. 상기 메시호스(150)의 양측 종단부가 마감되어 제습재(140)의 유출이 방지됨은 물론이다. 상기 제습재(140)는 일례로서 숯 내지는 황토 비드(bead) 등이 가능하다. 숯은 상기 공기호스(120)에 수용될 정도로 절단된 것이 바람직한데, 도 5에서처럼 메시호스(150)의 단면은 공기호스(120) 단면의 1/4∼1/3이 되도록 하므로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면서도 공기의 제습 및 여과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메시호스(150)는 뱀처럼 사행(蛇行) 모양 즉 지그재그 모양으로 만곡된 형상이 되도록 하므로 통과하는 공기와의 접촉면적이 증가하도록 하여 제습과 여과 효과가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서처럼, 상기 공기호스(120)의 양 측방에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 형성되고 하방을 향하여 연장된 돌기(121)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공(123)은 상기 공기호스(120)의 내측에서 상기 돌기(121)의 단부(K)를 향하여 관통된다. 따라서, 도 5에서처럼, 상기 공기호스(12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돌기(121)에 의해서 하방으로 공기가 분사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공기가 분사되면서 세척을 위해서 상부에서 물을 분사하더라도 도 6에서처럼, 공기호스(120)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현상은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7에서처럼, 상기 공기호스(120)의 내부에 압력센서(160)가 수용되는데, 공기호스(120)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구성되는 게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압력센서(160)에 연계되어 전원의 온오프를 결정하는 제어부(170)가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170)에 연계되어 작동 여부가 결정되는 공기펌프(180)가 구성된다. 상기 공기펌프(180)는 상기 공기호스(120)의 개방된 일측 종단부(S)에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공기펌프(180)가 오프(OFF) 상태에서 상기 압력센서(160)로부터 증가된 압력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면 상기 공기펌프(180)를 온(ON)시키도록 하고, 상기 공기펌프(180)가 온(ON) 상태에서 상기 압력센서(160)로부터 감소된 압력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면 상기 공기펌프(180)를 오프(OFF)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공기호스가 구성된 욕창 방지용 매트(100)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공기펌프(180)가 오프된 상태에서 환자가 본 발명의 상방으로 눕게 되면 상기 공기호스(120)는 환자의 체중에 의해서 측방으로 벌어진 타원형으로 변형하게 되므로 쿠션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공기호스(120) 내부의 공기가 상기 배기공(123)으로 배기되지만 순간적으로는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압력 상승을 상기 압력센서(160)가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70)로 발신하게 되면, 상기 공기펌프(180)에 전기를 인가하여 공기호스(12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그러면, 도 5에서처럼, 공기호스(12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지그재그 모양으로 굽혀진 메시호스(150)를 통과하면서 먼지 등의 오염물질과 습기가 제거된 상태로 상기 배기공(123)을 통해서 배기된다. 이때, 상기 돌기(121)에 의해서 하방으로 배기된 공기는 본 발명이 지지된 바닥에 부딪친 후 상승하여 환자의 신체에 닿게 된다. 따라서, 환자의 신체에 먼지 등의 오염물질이 제거되고 제습된 공기를 공급하게 되므로 욕창을 예방하게 되고, 이미 발현된 욕창을 치유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는 기능도 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습재(140)를 통해서 공기를 정화 및 제습하므로 본 발명에 세균이 번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악취가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위생적인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제습재를 숯으로 사용할 경우, 살균 기능이 탁월하므로 환자들에게 더욱 깨긋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공기호스(120)가 투명한 재질의 것일 때에는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제습재(140), 이를테면, 숯이나 황토 비드 등의 원적외선을 용이하게 투과시켜 환자의 건강이 도움이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공기호스(120)의 내부에 공기가 충전된 상태에서 쿠션 기능이 더욱 향상되도록 함은 물론이다.
이 상태에서 환자가 일어나게 되면, 상기 공기펌프(180)가 켜진 상태에서 공기호스(120) 내부의 압력이 하강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압력센서(160)가 압력이 하강된 신호를 발신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신호를 수신한 후 공기펌프(180)의 전원을 오프시키게 된다. 따라서, 일일이 공기펌프(180)를 켜고 끌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압력센서(160) 및 제어부(170) 없이 공기펌프(180)를 스위치로 직접 온오프시키는 구성도 포함한다.
이렇게 사용하다가 환자의 대소변이 유출되어 오염될 경우에는 본 발명을 세탁장 내지는 실외에서 바닥에 놓고, 도 6에서처럼, 상부에서 물을 분사한다. 그러면, 메시인 상부시트(130)와 하부시트(110)를 통해서 물이 통과하면서 오물이 제거된다. 이때, 상기 돌기(121)가 하방으로 연장된 상태이므로 상기 배기공(123)을 통해서 물이 유입되는 현상은 방지된다. 그러고나서, 본 발명을 태양광으로 건조시키면 세탁이 용이하게 완료된다. 이때, 태양광의 열이 내부의 제습재(140)를 가열하게 되므로 공기호스(120)의 일측 종단부(S)를 통해서 제습재(140)에 흡수된 습기가 증기가 되어 배출된다. 특히, 공기호스(120)가 투명재인 경우에는 보다 효율적으로 제습재(140)를 가열시켜서 건조시킬 수 있는데, 그 원리는 비닐하수스의 온실 효과를 통해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하방으로 연장된 상기 돌기(121)로 인해서 상기 배기공(123)으로 대소변이 유입되어 공기호스(120)의 내부를 오염시키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원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박음질을 통해서 상부시트(130)와 하부시트(110)를 부착하기 때문에 접착제의 악취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은 배경기술처럼 별도의 금형을 제작하여 성형할 필요 없이, 이미 시판되고 있는 재료를 통해서 제조가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고 생산단가를 배경기술에 비해서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살펴본 본 발명에 의하면, 요양병원 내지는 요양원 및 일반병원에서 장시간 누워 있어야 하는 환자에게 적용할 경우, 간단한 구조로서 쿠션 기능이 가능하면서도 환자의 신체에 여과되고 제습된 공기를 제공하므로 욕창 예방 및 욕창 치료가 가능한 것이다.
100: 공기호스가 구성된 욕창 방지용 매트
110: 하부시트
120: 공기호스
121: 돌기
123: 배기공
130: 상부시트
140: 제습재
150: 메시호스
160: 압력센서
170: 제어부
180: 공기펌프

Claims (5)

  1. 메시 형상의 하부시트(110)와,
    상기 하부시트(110)의 상면에 배선되고 공기가 분출되는 배기공(123)이 형성된 것으로서 일측 종단부(S)는 개방되고 상대측 종단부(T)는 마감된 공기호스(120)와,
    상기 공기호스(120)와 함께 상기 하부시트(110)를 덮는 것으로서, 상기 공기호스(120)의 양측을 따라서 상기 하부시트(110)에 박음질되는 메시 형상의 상부시트(13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호스(120)의 양 측방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하방을 향하여 연장된 돌기(121)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공(123)은 상기 공기호스(120)의 내측에서 상기 돌기(121)의 단부(K)를 향하여 관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호스가 구성된 욕창 방지용 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호스(120)의 내부에 수용된 제습재(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호스가 구성된 욕창 방지용 매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재(140)가 수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공기호스(120)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공기호스(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메시로 이루어진 메시호스(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호스가 구성된 욕창 방지용 매트.
  4. 삭제
  5. 제1항에서 제3항까지의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호스(120)의 내부에 수용된 압력센서(160)와,
    상기 압력센서(160)에 연계되어 전원의 온오프를 결정하는 제어부(170)와,
    상기 제어부(170)에 연계되어 작동 여부가 결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일측 종단부(S)에 연결되는 공기펌프(18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공기펌프(180)가 오프(OFF) 상태에서 상기 압력센서(160)로부터 증가된 압력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면 상기 공기펌프(180)를 온(ON)시키도록 하고, 상기 공기펌프(180)가 온(ON) 상태에서 상기 압력센서(160)로부터 감소된 압력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면 상기 공기펌프(180)를 오프(OFF)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호스가 구성된 욕창 방지용 매트.
KR1020180075555A 2018-06-29 2018-06-29 공기호스가 구성된 욕창 방지용 매트 KR101937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555A KR101937377B1 (ko) 2018-06-29 2018-06-29 공기호스가 구성된 욕창 방지용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555A KR101937377B1 (ko) 2018-06-29 2018-06-29 공기호스가 구성된 욕창 방지용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7377B1 true KR101937377B1 (ko) 2019-01-11

Family

ID=65028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555A KR101937377B1 (ko) 2018-06-29 2018-06-29 공기호스가 구성된 욕창 방지용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737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1706B1 (ko) 2016-05-02 2017-07-26 (재)예수병원유지재단 욕창방지 기능을 갖는 환자용 침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1706B1 (ko) 2016-05-02 2017-07-26 (재)예수병원유지재단 욕창방지 기능을 갖는 환자용 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2238B1 (ko) 특히 돌보는 시설 및 병원에서 사용되는 매트리스
US4944060A (en) Mattress assembly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ecubitus ulcers
JP5179599B2 (ja) 揺籃式の負圧看護ベッド
US20100088821A1 (en) Nursing bed of thermal insulation type
CN102481441A (zh) 用于移除和容纳人体排泄物的设备和方法
JP2018047234A (ja) エアマットレス
JPS6226059A (ja) マツトレス用液体排出ユニツト
CA2843370A1 (en) Multi-layered support system
EP1868553A1 (en) Bedding device for a person, and bed comprising a bedding device
JP2009045151A (ja) 介護用ベッド装置
KR101937377B1 (ko) 공기호스가 구성된 욕창 방지용 매트
CN110548168A (zh) 一种具有消毒功能并预防褥疮的成人护理垫
KR101283458B1 (ko) 강제송풍식 요
CN209662031U (zh) 一种卧床智能护理仪
JP2005118097A (ja) 体圧分散マットレス
CN207575362U (zh) 床垫
DE202016007277U1 (de) Matratze für ein Pflegebett
KR200331819Y1 (ko) 쿳션, 통풍 및 위생기능 등 다기능을 수행하는 의료용보조 매트리스
JP3226100U (ja) 除臭及び毒素の除去が可能な多機能マット
CN218605847U (zh) 一种多功能沙发床
US10882288B2 (en) Multifunction mat
CN214806227U (zh) 一种重症护理专用垫
CN216164344U (zh) 一种猫咪消毒箱
KR20050013747A (ko) 쿳션, 통풍 및 위생기능 등 다기능을 수행하는 의료용보조 매트리스
JP2005034611A (ja) 敷物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