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7142B1 - 교체형 장식부재를 갖는 가구용 도어 손잡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교체형 장식부재를 갖는 가구용 도어 손잡이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7142B1
KR101937142B1 KR1020180136253A KR20180136253A KR101937142B1 KR 101937142 B1 KR101937142 B1 KR 101937142B1 KR 1020180136253 A KR1020180136253 A KR 1020180136253A KR 20180136253 A KR20180136253 A KR 20180136253A KR 101937142 B1 KR101937142 B1 KR 101937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member
door
main body
handle
decora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철
Original Assignee
김두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두철 filed Critical 김두철
Priority to KR1020180136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1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84Handles or knobs with displays, signs, labels pictur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2Means for operating or controlling lock or fastening device accessories, i.e. other than the fastening members, e.g. switches, indic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함과 같은 다양한 목적의 가구에 사용되는 손잡이 잠금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식 손잡이 레버를 갖는 외측본체와, 출몰 걸림구를 갖는 내측본체로 구성된 손잡이 잠금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외측본체의 외면을 이용하여 결합되게 한 장식부재를 더 구성하고, 상기 장식부재에 형성된 기아드돌기는 외측본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결합되도록 하여 상호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외측본체 내의 손잡이 레버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잠금 상태의 해제 및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비교적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손잡이 및 잠금수단의 복합 구성이 가능한 것이며, 별도로 구비 및 조립되는 장식부재는 손잡이 장식부재 자체의 장식성은 물론 이를 포함하고 있는 가구의 장식성을 크게 향상시켜 고급스럽고 미려한 심미감을 연출하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 상기 장식부재를 소비자 혹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혹은 실내 인테리어와 부합될 수 있도록 손쉽게 교체 조립하여 장식성과 인테리어 효과를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교체형 장식부재를 갖는 가구용 도어 손잡이 잠금장치 {Furniture Door Handle Lock device}
본 발명은 사물함과 같은 다양한 목적의 가구에 사용되는 손잡이 잠금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 손잡이 잠금장치에 교체형 장식부재를 결합 형성함에 따라 손잡이 잠금장치의 장식성을 가일층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다양한 디자인의 장식부재를 통해 소비자 및 사용자의 취향이나 인테리어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가구용 도어 손잡이 잠금장치 및 그 장식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용 가구나 학생용 가구에는 다양한 물건을 수납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사물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의 사물함을 여닫기 위한 도어에는 다양한 형태로 된 손잡이 및 잠금장치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상기의 도어 손잡이는 상기와 같은 사물함을 여닫기 위한 목적을 갖는 것이고, 상기의 잠금장치는 사물함 도어가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을 갖는 것으로 통상적으로는 상기의 손잡이와 잠금장치가 분리 구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의 손잡이에 잠금장치가 함께 구비되어 있는 형태의 도어 손잡이 잠금장치도 사용되는 추세이다.
즉, 등록특허 제10-1432948호와 같이 외부 자물쇠를 사용하지 않고 자체 자물쇠에 의한 잠금이 가능하게 하여 매립형 손잡이에서 자물쇠 사용에 따른 불편과 분실 우려를 해소하고, 열쇠 분실시 마스터 키에 의해 도어 개방이 가능하고 도어 개방 후에는 본체에서 자물쇠를 용이하게 분리 교환할 수 있도록 하여 자물쇠를 절단 해체하는 데 따른 낭비를 줄이고, 학기초마다 매번 반복되는 업무 수요를 줄일 수 있는 매립형 사물함 잠금장치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857202호와 같이 가구본체에 대한 잠금이 간편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개폐문을 열 때 한 손으로 용이하게 잠금상태를 해제함과 동시에 개폐문의 개방동작을 수행하도록 되어 사용상의 편의를 구현하도록; 전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비품을 수납하도록 된 가구본체의 개구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개폐문의 설치공에 매립되며 사용자의 손이 수용되어 잡을 수 있도록 된 손잡이홈을 가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직선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일단이 상기 가구본체에 형성된 걸림홈에 끼움 및 해제되도록 걸림링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구용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상기 걸림링크가 직선이동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걸림링크의 종단이 외부로 출몰하도록 일단이 개방된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홈에는, 상기 슬라이드 홈을 관통하여 공간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자물쇠의 고리가 관통되면서 고정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잠금돌부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링크에는, 상기 걸림링크의 종단이 상기 가구본체의 걸림홈에 수용되는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관통공과 일치하여 상기 자물쇠의 고리가 관통되면서 고정되는 잠금공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과 상기 걸림링크의 종단은, 서로 자력에 의해 결합하도록 되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걸림링크를 직선 이동시키어 상기 걸림홈에서 상기 걸림링크의 종단이 분리되도록 하는 개폐수단이 구비된 가구용 손잡이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가구용 손잡이 또는 손잡이 잠금장치는 비교적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생산성이 우수하지 못한 것이고, 설치 및 조립성이 뛰어나지 못한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특히, 기존의 가구용 도어 손잡이 잠금장치는 단순히 가구의 사물함을 여닫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어 있어 장식성이 떨어지는 동시에 상기의 손잡이에 잠금장치를 추가로 구성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가구의 장식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손잡이 잠금장치는 가구의 제작과정에서 조립된 형태 그대로를 사용하기 때문에 쉽게 식상해지는 것은 물론 다양한 장식성을 연출할 수 없어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1432948 (2014.08.14.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1857202 (2018.05.04. 등록)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회전식 손잡이 레버를 갖는 외측본체와, 출몰 걸림구를 갖는 내측본체로 구성된 손잡이 잠금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외측본체의 외면을 이용하여 결합되게 한 장식부재를 더 구성하고, 상기 장식부재에 형성된 기아드돌기는 외측본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결합되도록 하여 상호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각종 가구의 도어를 손쉽게 여닫는 동시에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간편한 조립이 가능한 장식부재를 통해 손잡이 잠금장치의 장식성을 가일층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필요에 따라 상기 장식부재를 간편하게 교체 조립할 수 있어 손잡이 잠금장치 자체는 물론 가구 전체의 장식성 및 인테리어 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의 교체형 장식부재를 갖는 가구용 도어 손잡이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측본체와 내측본체 및 장식부재로 구성되어, 일측에 확장 외경의 전면플랜지부가 형성된 상기 외측본체는 전면에 안치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치홈부 내에는 손잡이 레버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손잡이 레버에는 외측본체의 후측으로 돌출되는 작동편을 형성하고, 일측에 밀착플랜지가 확장 형성된 상기 내측본체는 상기 작동편과 간섭되어 내측본체의 일측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출몰되게 한 출몰 걸림구가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게 하되,
상기 장식부재의 중앙에는 외측본체의 전면플랜지부 외면이 삽입되게 한 끼움공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공의 내측으로는 가이드돌기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외측본체의 전면플랜지부 배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와 대응하는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장식부재를 갖는 외측본체는 가구의 도어에 형성된 설치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외측본체의 전면플랜지부 및 장식부재의 배면이 도어의 전면에 밀착되게 하고 내측본체의 밀착플랜지는 도어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외측본체와 내측본체가 서로 볼트 결합되게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외측본체 내의 손잡이 레버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잠금 상태의 해제 및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비교적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손잡이 및 잠금수단의 복합 구성이 가능한 것이며, 별도로 구비 및 조립되는 장식부재는 손잡이 장식부재 자체의 장식성은 물론 이를 포함하고 있는 가구의 장식성을 크게 향상시켜 고급스럽고 미려한 심미감을 연출하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 상기 장식부재를 소비자 혹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혹은 실내 인테리어와 부합될 수 있도록 손쉽게 교체 조립하여 장식성과 인테리어 효과를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잠금장치의 전체 전면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잠금장치의 전체 후면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잠금장치의 측면 분리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잠금장치의 설치 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잠금장치의 사용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잠금장치의 장식부재에 대한 다른 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잠금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전면 분리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잠금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후면 분리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잠금장치의 작동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잠금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확대도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잠금장치의 전체 전면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잠금장치의 전체 후면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잠금장치의 측면 분리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도어 손잡이 잠금장치는, 가구의 도어 외측으로부터 삽입 결합되는 외측본체(10)와 도어의 내측으로부터 삽입 결합되는 내측본체(30)로 구성되는 것이고, 상기 외측본체(10)에는 별도로 구비된 장식부재(50)가 결합되어 상기 장식부재(50)가 도어의 전면으로 노출됨에 따라 설치가 완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외측본체(10)는 전면에 안치홈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형 단면의 외측본체(10) 외경에 비하여 보다 큰 외경으로 된 전면플랜지부(12)가 전면 끝단부로부터 확장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외측본체(10)의 외면과 상기 전면플랜지부(12)의 사이에는 일정 깊이의 간극홈(1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면플랜지부(12)의 배면측 끝단에는 일정 깊이의 가이드홈(13)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의 가이드홈(13)과 간극홈(14)을 이용하여 상기의 장식부재(50)가 외측본체(10)의 전면플랜지부(12) 외면에 결합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어, 상기와 같은 외측본체(10)의 안치홈부(11) 내측에는 별도 구비의 손잡이 레버(20)가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손잡이 레버(20)는 외측본체(10)의 안치홈부(11)로부터 회전될 수 있도록 힌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 레버(20)의 배면측 끝단에는 상기 외측본체(10)를 관통하여 돌출된 간섭편(22)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손잡이 레버(20)는 평상시에는 안치홈부(11)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가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 레버(20)를 들어올리듯 회전시키면, 도어에 대한 당김력이 부여되는 동시에 내측본체(30)에 결합된 출몰 걸림구(40)를 잠금 해제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의 내측본체(30)는 상기 외측본체(10)를 향하는 일측 끝단에 확장 외경의 밀착플랜지(3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내측본체(30)의 일측에는 내측본체(30)로부터 횡방향으로 출몰되게 한 출몰 걸림구(40)가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출몰 걸림구(40)는 내측본체(30)에 내장된 스프링(도면에서는 생략함)에 의해 탄력 지지되어 있어 항상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려는 힘을 받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외측본체(10)의 손잡이 레버(20)를 들어올리듯 회전시키면 후측의 간섭편(22)이 이동을 하게 되고, 상기 간섭편(22)과 맞물림 상태에 있는 출몰 걸림구(40)는 상기 손잡이 레버(20)의 작동에 따라 간섭편(22)을 통해 출몰 작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출몰 걸림구(40)가 돌출된 상태에서는 도어의 잠금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손잡이 레버(20)의 작동을 통해 출몰 걸림구(40)가 후퇴 함몰되면 도어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서 손잡이 레버(20)를 잡아당겨 손쉽게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장식부재(50)는 중앙에 상기 외측본체(10)의 전면플랜지부(12) 외경과 일치하는 내경의 끼움공(5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끼움공(51)의 내측으로는 상기 전면플랜지부(12)의 가이드홈(13)과 대응하는 가이드돌기(52)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돌기(52)의 끝단에는 전기한 외측본체(10)의 간극홈(14)으로 삽입되는 끼움리브(53)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외측본체(10)의 후측으로부터 장식부재(50)를 결합하되, 장식부재(50)의 가이드돌기(52)는 외측본체(10)의 가이드홈(13)으로 삽입되도록 하면 일정한 위치로 가이드돌기(52)가 결합될 수 있는 것이고, 장식부재(50)의 끼움리브(53)는 외측본체(10)의 간극홈(14)에 긴밀하게 삽입됨에 따라 외측본체(10)와 장식부재(50) 간의 견고하고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도 4의 도시와 같이 도어(100)에 관통 형성된 설치공(101)으로 상기 외측본체(10) 및 내측본체(30)를 각기 도어(100)의 전면 및 배면으로부터 삽입하되, 외측본체(10)와 내측본체(30)를 서로 밀착하여 볼트 고정하게 되면 외측본체(10)의 전면플랜지부(12)는 도어(100)의 전면에 밀착되고 내측본체(30)의 밀착플랜지(31)는 도어(100)의 배면에 밀착되면서 상호 간의 틈새 발생 없이 견고하게 조립 고정되는 것이고, 상기의 장식부재(50)는 외측본체(10)와 함께 도어의 전면에 밀착되면서 도 5의 도시와 같이 장식부재(50) 자체가 갖고 있는 미려한 장식성을 연출하게 된다.
특히, 상기의 장식부재(50)는 전기한 끼움공(51)의 내경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으로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과일 형태나 도 6의 도시와 같이 꽃 모양 혹은 음표 모양과 같이 적용하고자 하는 가구의 특성이 종류에 따라 혹은 소비자 및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으로 설계 및 제작과 교체 조립이 가능한 것이다.
이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손잡이 잠금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장식부재(50)를 외측본체(10)로부터 일정 각도 회전시키면 손잡이 레버(20)의 작동이 제한되거나 그 제한 상태가 해제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도 7 및 도 8의 도시와 같이 장식부재(50)의 끼움공(51) 내측으로 별도의 잠금편(54)을 돌출 형성함에 따라 상기의 잠금편(54)을 통해 상기의 손잡이 레버(20)에 대한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의 장식부재(50)에는 끼움공(51)의 내측으로 잠금편(54)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외측본체(10)의 외면에는 상기의 잠금편(54)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한 유동공(15)을 형성하되, 상기의 유동공(15)은 잠금편(54)이 일정 각도로 회전 유동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갖고 형성되어야 할 것이고, 상기 유동공(15)은 외측본체(10)의 외면으로부터 내측의 안치홈부(11) 까지 관통 형성되어 있어 상기의 잠금편(54)이 안치홈부(11)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구성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외측본체(1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13)의 경우에도 장식부재(50)의 가이드돌기(52)와 동일한 형태 및 크기를 갖고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가이드홈(13)을 확장 형성하여 상기 장식부재(50)에 대한 회전 작용에 따라 가이드돌기(52)가 가이드홈(13)의 폭 내부에서 회전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할 것이고, 상기 손잡이 레버(20)에는 안치홈부(11)로 돌출 형성되는 잠금편(54)과 중첩된 위치로 돌출되게 한 간섭편(22)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잠금편(54)이 손잡이 레버(20)의 간섭편(22)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손잡이 레버(20)가 상향 회전될 수 없을 것이므로 도어의 잠금 상태가 유지될 수 밖에 없을 것이고, 사용자가 상기 장식부재(50)를 도 9의 도시와 같이 외측본체(10)로부터 회전시켜 장식부재(50)의 잠금편(54)이 손잡이 레버(20)의 간섭편(22)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면 상기 손잡이 레버(20)의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손잡이 레버(20)의 회전 및 잠금 상태의 해제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손잡이 잠금장치는 기존과 같이 자물쇠 등을 이용하여 잠금 상태가 임의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을 것이나, 상기와 같은 장식부재(50)를 이용하여 타인이 눈치채지 못하게 잠금 상태가 은밀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보안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장식부재(50)의 회전 작용만으로 손잡이 레버(20)의 작동을 규제하는 상태 또는 규제의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이 매우 뛰어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손잡이 잠금장치는 장식부재를 통해 손잡이 잠금장치의 장식성과 인테리어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장식부재를 이용하여 잠금장치의 록킹 상태 또는 록킹 해제 상태가 빠르고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장식부재를 이용한 잠금 혹은 해제 작용을 인지하거나 학습하지 못한 자는 상기와 같은 잠금 또는 해제 작용을 알 수 없어 사물함 및 보관함 등의 보안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장식부재(50)에 형성되는 잠금편(54)은 끼움공(51)의 내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인해 외측본체(10)와 장식부재(50) 간의 상호 조립에 방해가 될 것이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해, 도 10의 도시와 같이 상기 잠금편(54)은 장식부재(50)와는 별개로 금속재 등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제작한 후, 외측본체(10)에 대하여 장식부재(50)를 선 조립한 후 상기 독립적으로 제작된 잠금편(54)을 외측본체(10)의 유동공(15)으로 삽입하며 장식부재(50)의 배면에 형성된 안치홈(55)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이를 견고하게 볼트 고정함에 따라 상호 간의 조립성이 향상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손잡이 잠금장치는 가구의 도어를 개방시키는 손잡이의 역할과 상기의 도어가 임의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수단의 역할 및 상기 걸림수단이 임의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락의 역할을 겸하게 되는 것이고, 이와 같은 기능 이외에도 장식부재 자체의 장식성을 통해 가구의 미려한 심미감 및 인테리어 효과를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외측본체 11 : 안치홈부
12 : 전면플랜지부 13 : 가이드홈
14 : 간극홈 15 : 유동공
20 : 손잡이 레버 21 : 작동편
22 : 간섭편
30 : 내측본체 31 : 밀착플랜지
40 : 출몰 걸림구
50 : 장식부재 51 : 끼움공
52 : 가이드돌기 53 : 끼움리브
54 : 잠금편 55 : 안치홈
100 : 도어 101 : 설치공

Claims (5)

  1. 외측본체(10)와 내측본체(30) 및 장식부재(50)로 구성되어, 일측에 확장 외경의 전면플랜지부(12)가 형성된 상기 외측본체(10)는 전면에 안치홈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안치홈부(11) 내에는 손잡이 레버(20)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손잡이 레버(20)에는 외측본체(10)의 후측으로 돌출되는 작동편(21)을 형성하고, 일측에 밀착플랜지(31)가 확장 형성된 상기 내측본체(30)는 상기 작동편(21)과 간섭되어 내측본체(20)의 일측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출몰되게 한 출몰 걸림구(40)가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게 하되,
    상기 장식부재(50)의 중앙에는 외측본체(10)의 전면플랜지부(12) 외면이 삽입되게 한 끼움공(51)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공(51)의 내측으로는 가이드돌기(52)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외측본체(10)의 전면플랜지부(12) 배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52)와 대응하는 가이드홈(13)을 형성하여, 장식부재(50)를 갖는 외측본체(10)는 가구의 도어(100)에 형성된 설치공(101)으로 삽입되어 상기 외측본체(10)의 전면플랜지부(12) 및 장식부재(50)의 배면이 도어(100)의 전면에 밀착되게 하고 내측본체(30)의 밀착플랜지(31)는 도어(100)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외측본체(10)와 내측본체(30)가 서로 볼트 결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장식부재를 갖는 가구용 도어 손잡이 잠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외측본체(10)의 외면과 전면플랜지부(12)의 사이에는 간극홈(14)을 형성하고, 상기 장식부재(50)의 끼움공(51) 내측에는 가이드돌기(52)의 끝단으로부터 연결 형성된 끼움리브(53)를 형성함에 따라, 외측본체(10)에 대한 장식부재(50)의 결합 과정에서 상기 끼움리브(53)가 간극홈(14)으로 삽입되면서 상호 결합 고정력이 향상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장식부재를 갖는 가구용 도어 손잡이 잠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외측본체(10)의 전면플랜지부(12)에 형성된 가이드홈(13)은 일정 간격을 갖고 적어도 2개체 이상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홈(13)과 대응하는 장식부재(50)의 가이드돌기(52)는 단일 개체로 구성하여,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홈(13)에 대한 가이드돌기(52)의 결합 위치에 따라 장식부재(50)의 조립 각도가 가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장식부재를 갖는 가구용 도어 손잡이 잠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외측본체(10)의 전면플랜지부(12)에 형성된 가이드홈(13)을 확장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홈(13)의 범위 내에서 가이드돌기(52)가 유동되게 함에 따라 외측본체(10)로부터 장식부재(50)가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외측본체(10)의 외면에는 안치홈부(11)를 향해 관통된 유동공(15)을 형성하며, 상기 장식부재(50)의 끼움공(51) 내측으로는 상기 유동공(15)으로 삽입되는 잠금편(54)을 돌출 형성하여 상기 잠금편(54)이 외측본체(10)의 안치홈부(11)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손잡이 레버(20)의 일측에는 간섭편(22)을 돌출 형성하여, 상기 외측본체(10)에 대한 장식부재(5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잠금편(54)이 간섭편(22) 상에 위치되거나 이탈되면서 상기 손잡이 레버(20)의 작동을 구속하거나 구속 해제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장식부재를 갖는 가구용 도어 손잡이 잠금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장식부재(50)의 잠금편(54)은 장식부재(50)와 별개로 구분 제작되어 장식부재(50)의 배면에 형성된 안치홈(55)을 이용하여 볼트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장식부재를 갖는 가구용 도어 손잡이 잠금장치.
KR1020180136253A 2018-11-08 2018-11-08 교체형 장식부재를 갖는 가구용 도어 손잡이 잠금장치 KR101937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253A KR101937142B1 (ko) 2018-11-08 2018-11-08 교체형 장식부재를 갖는 가구용 도어 손잡이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253A KR101937142B1 (ko) 2018-11-08 2018-11-08 교체형 장식부재를 갖는 가구용 도어 손잡이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7142B1 true KR101937142B1 (ko) 2019-01-10

Family

ID=65020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253A KR101937142B1 (ko) 2018-11-08 2018-11-08 교체형 장식부재를 갖는 가구용 도어 손잡이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71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474B1 (ko) 2020-02-27 2020-11-13 유연순 자동 단속구조의 가구용 도어핸들 잠금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899B1 (ko) 2009-03-18 2009-11-23 장근대 사물함 손잡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899B1 (ko) 2009-03-18 2009-11-23 장근대 사물함 손잡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474B1 (ko) 2020-02-27 2020-11-13 유연순 자동 단속구조의 가구용 도어핸들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4933B1 (en) Handle and housing assembly
US3390558A (en) High security lock
KR100921200B1 (ko) 도어락
KR20160000788A (ko) 푸시풀 도어락 어셈블리
KR20180065173A (ko) 잠금장치를 포함한 창호용 그립 손잡이
KR101937142B1 (ko) 교체형 장식부재를 갖는 가구용 도어 손잡이 잠금장치
CN102913056A (zh) 私密闩锁
US2814194A (en) Key lock construction for doors or closures
US5749612A (en) Oval door knob construction
KR102178474B1 (ko) 자동 단속구조의 가구용 도어핸들 잠금장치
JP3076588U (ja) 電子錠の開閉制御構造
KR20190028581A (ko) 푸쉬풀 도어 잠금장치
GB2515729A (en) Improvements to cylinder locks with thumb-turns
KR200441795Y1 (ko) 슬라이딩도어 잠금장치용 손잡이
TWM584361U (zh) 隱藏式門窗扣結構
KR200384262Y1 (ko) 미닫이 창문의 개폐 장치
JP2008208524A (ja) 建具用ロック具及びこれを利用した開閉体錠
KR102523293B1 (ko) 창호용 크리센트
KR20070107293A (ko) 일체형 이중록킹구조의 원터치 도어록
AU2014203281B2 (en) A locking device
CN219864500U (zh) 一种集成锁芯的一体式执手锁锁控结构
JP2019107265A (ja) 家具におけるハンドルケース
JP2004225384A (ja) プッシュ・プル錠
US2958553A (en) Cylindrical locks
KR200486599Y1 (ko) 창문 안전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