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6807B1 - 휠체어용 차양 지붕 - Google Patents

휠체어용 차양 지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6807B1
KR101936807B1 KR1020170105783A KR20170105783A KR101936807B1 KR 101936807 B1 KR101936807 B1 KR 101936807B1 KR 1020170105783 A KR1020170105783 A KR 1020170105783A KR 20170105783 A KR20170105783 A KR 20170105783A KR 101936807 B1 KR101936807 B1 KR 101936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chair
roof
connecting member
shielding film
fast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수
Original Assignee
박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수 filed Critical 박기수
Priority to KR1020170105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8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0Telescoping systems
    • F16B7/14Telescoping systems locking in intermediate non-discrete posi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부착이 용이한 휠체어용 차양 지붕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 부재(110), 상기 베이스 부재(110) 상에 적층되는 열차단 부재(120) 및 상기 열차단 부재(120) 상에 적층되는 충격 차단 부재(130)를 포함하는 다층 구조의 차양 지붕(100); 상기 다층 구조의 차양 지붕(100)의 일측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제1 차양 지붕 지지 파이프(210), 및 일단부에 상기 제1 차양 지붕 지지 파이프(210)가 삽입 결합되고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적어도 2개의 제2 차양 지붕 지지 파이프(220)를 포함하는 차양 지붕 거치부(200); 및 일 측면에 상기 제2 차양 지붕 지지 파이프(220)의 타단부가 고정 설치되고,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2개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연결부재(310), 및 상기 제1 연결부재(310)의 체결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연결 부재(310)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하여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제2 연결부재(3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재(310)의 체결공과 상기 제2 연결부재(320)의 체결공을 관통하여 볼트봉(330)이 삽입되고 상기 제1 연결부재(310)와 상기 제2 연결부재(320)의 이격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볼트봉(330)의 나사 산에 너트(340)가 체결되는 휠체어 탈부착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휠체어 탈부착부(300)는 상기 제1 연결부재(310)와 상기 제2 연결부재(320)의 이격부에 휠체어의 손잡이가 삽입되고 상기 제1 연결부재(310)와 상기 제2 연결부재(320)의 이격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볼트봉(330)과 상기 너트(340)가 체결됨으로써 착탈 가능하게 휠체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휠체어용 차양 지붕{Wheelchair sunproof loop}
본 발명은 휠체어용 차양 지붕에 관한 것으로 휠체어 본체에 탈부착이 가능한 휠체어용 차양 지붕에 관한 것이다.
휠체어란 다리가 자유롭지 못한 사람이나 몸이 불편한 사람이 앉은 채로 이동할 수 있게 바퀴를 단 의자를 지칭한다. 상기 휠체어는 다리가 자유롭지 못한 사람이나 몸이 불편한 사람이 앉은 채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를 단 의자이며, 주로 중환자용 의자로 쓰이는 운송수단이다.
이러한 휠체어는 다리를 사용하지 못하는 장애인이 이동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으로서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휠을 회동시켜 이동하는 수동식 휠체어와 모터의 구동에 따른 바퀴의 회전 동작에 따라 이동되는 전동 휠체어로 구분된다.
오늘날 널리 이용하는 휠체어는 모터의 동력을 통한 전동 휠체어가 주로 사용되며, 손으로 방향 전환을 함으로써 추진할 수 있으며 레버로 작동해 추진력을 얻고 독립적으로 바퀴의자를 직접 조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휠체어는 햇빛이나 비를 차단할 수 있는 구성이 존재하지 않아 외부 공간에서 주행시 뜨거운 햇빛(특히 여름)에 노출된 채 이동하여야 하고, 갑작스럽게 비, 눈, 우박이 내릴 경우 빗물, 눈, 우박에 그대로 노출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 기술은 차양막이 설치된 다기능 휠체어가 개발되었다(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90703호) 그러나 이러한 다기능 휠체어는 종래 사용하는 휠체어를 활용하지 못하고 새로운 다기능 휠체어로 구입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차량 등에 실을 때 차양막 구조의 부피 때문에 불편한 문제가 있었고, 차양막으로 이용되는 것이 얇은 커버 부재이어서 외부 충격에 약하고 강한 햇빛이나 열기를 차단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휠체어에 탈부착 가능한 휠체어용 방풍우 장치(등록실용신안 제20-0414857호)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휠체어용 방풍우 장치는 휠체어 중 링겔대를 꽂는 삽입 구에 삽입됨으로써 휠체어에 결합되므로 그 결합이 약해 바람이 강하게 불때나 외부 충격이 있을 때 방풍우 장치가 무너지거나 휠체어와의 결합이 훼손될 위험이 있다. 또한, 프레임에 커버 부재가 결합되는 형태로서 보통 커버 부재는 투명한 비닐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고려해볼 때 외부 충격에 약하며 햇빛의 자외선이나 열기를 차단하는데도 한계가 존재하였다.
공개특허 제10-2009-0090703호(다기능 전동 휠체어) 등록실용신안 제20-0414857호(휠체어용 방풍우 장치)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중 구조를 가져 차광효과가 뛰어나고 견고하며 휠체어에 탈부착이 용이한 휠체어용 차양 지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베이스 부재(110), 상기 베이스 부재(110) 상에 적층되는 열차단 부재(120) 및 상기 열차단 부재(120) 상에 적층되는 충격 차단 부재(130)를 포함하는 다층 구조의 차양 지붕(100); 상기 다층 구조의 차양 지붕(100)의 일측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제1 차양 지붕 지지 파이프(210), 및 일단부에 상기 제1 차양 지붕 지지 파이프(210)가 삽입 결합되고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적어도 2개의 제2 차양 지붕 지지 파이프(220)를 포함하는 차양 지붕 거치부(200); 및 일 측면에 상기 제2 차양 지붕 지지 파이프(220)의 타단부가 고정 설치되고,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2개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연결부재(310), 및 상기 제1 연결부재(310)의 체결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연결 부재(310)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하여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제2 연결부재(3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재(310)의 체결공과 상기 제2 연결부재(320)의 체결공을 관통하여 볼트봉(330)이 삽입되고 상기 제1 연결부재(310)와 상기 제2 연결부재(320)의 이격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볼트봉(330)의 나사 산에 너트(340)가 체결되는 휠체어 탈부착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휠체어 탈부착부(300)는 상기 제1 연결부재(310)와 상기 제2 연결부재(320)의 이격부에 휠체어의 손잡이가 삽입되고 상기 제1 연결부재(310)와 상기 제2 연결부재(320)의 이격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볼트봉(330)과 상기 너트(340)가 체결됨으로써 착탈 가능하게 휠체어에 결합되는 휠체어용 차양 지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다층 구조의 차양 지붕(100)은, 내측면에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에 상기 베이스 부재(110), 상기 열차단 부재(120), 상기 충격 차단 부재(130)가 끼움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층 구조의 차양 지붕(100)은, 상기 베이스 부재(110)와 상기 열차단 부재(120) 사이에 개재되며 휠체어를 감싸는 투명한 비 차단막(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층 구조의 차양 지붕(100)은, 상기 열차단 부재(120)와 상기 충격 차단 부재(130) 사이에 개재되며 휠체어를 감싸는 투명한 비 차단막(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차단 부재(120)는 압축된 발포 폴리스틸렌(압축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충격 차단 부재(130)는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차양 지붕은 상기 베이스 부재(110) 저면의 가장 자리부에 고정 설치된 비 차단막 가이드 레일(510); 상기 비 차단막 가이드 레일(510)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종단에 고리가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비 차단막 지지 러너(520); 및 상기 고리가 삽입되도록 상부에 비 차단막 지지공이 복수로 형성되고 투명한 비차단막(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차양 지붕은, 상기 제1 차양 지붕 지지 파이프(210)에 적어도 2개의 제1 체결공(2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차양 지붕 지지 파이프(220)에 적어도 2개의 제2 체결공(2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적어도 2개의 제1 체결공(211) 중 어느 하나, 상기 적어도 2개의 제2 체결공(221) 중 어느 하나를 각각 선택하여 선택된 제1 체결공(211)과 제2 체결공(221)을 관통하여 볼트봉(230)이 삽입되고 상기 볼트봉(230)에 너트(240)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차양 지붕 거치부(200)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제1 차양 지붕 지지 파이프(210)와 상기 제2 차양 지붕 지지 파이프(220)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이나 외부 충격에도 견고하며, 열차단 효과 및 충격 차단 효과가 뛰어난 휠체어용 차양 지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휠체어의 손잡이에 탈부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휠체어의 종류와 상관없이 모든 종류의 휠체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는 경우 간단히 탈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휠체어용 차양 지붕의 거치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버스 등의 차량에 탑승하는 경우 차량의 높이를 고려하여 차양 지붕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용 차양 지붕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용 차양 지붕에서 다층 구조의 차양지붕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용 차양 지붕에서 비 차단막이 설치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용 차양 지붕이 부착된 휠체어의 모습을 보여 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용 차양 지붕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용 차양 지붕이 휠체어에 부착된 모습을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용 차양 지붕은 다층 구조의 차양 지붕(100), 차양 지붕 거치부(200), 휠체어 탈부착부(300)를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이하 상기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는 다층 구조의 차양 지붕(100)의 구성 및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다층 구조의 차양 지붕(1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상기 다층 구조의 차양 지붕(100)은 태양에 의한 강한 자외선 등을 차광하기 위한 구성이며, 이와 동시에 낙하하는 물체나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휠체어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다층 구조의 차양 지붕(100)은 베이스 부재(110), 상기 베이스 부재(110) 상에 적층되는 열차단 부재(120) 및 상기 열차단 부재 상에 적층되는 충격 차단 부재(130)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부재(110), 열차단 부재(120), 충격 차단 부재(130)를 지지 결합시키는 지지 프레임(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부재(110)는 다른 구성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의 역할을 하며,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지붕(100)의 전체 무게를 고려하여 목재 또는 금속재 중 어느 하나(특히, 알루미늄은 견고하고 가벼워 바람직 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열차단 부재(120)는 태양의 열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단열 기능이 뛰어난 압축된 발포 폴리스틸렌(압축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두께는 차양 지붕의 무게와 두께, 최적의 단열 효과 등을 고려해 볼 때 10mm 내지 2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충격 차단 부재(130)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차양 지붕의 무게와 충격 차단 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볼 때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외부 충격을 차단하는 부재들은 상당한 견고함을 요하기 때문에 상당한 두께와 무게가 나간다. 그러나, 차양 지붕이 무거워지면 그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지붕이 무너질 수 있으며, 휠체어에 부착된 채 항상 이동하는 점에 비추어 차양 지붕이 무거워지면 주행 중 지붕이 기울어져 휠체어 운전자가 다칠 수 있는 문제도 발생할 수 있고, 또한 차양 지붕의 무게가 무거워지면 휠체어에 탈부착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점 때문에 종래에는 충격을 차단하는 부재를 휠체어용 차양 지붕에 사용하지 못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상기 충격 차단 부재(130)를 폴리카보네이트로 하여, 차양 지붕의 무게도 가볍게 하면서 충격 차단 효과도 최대화하였다.
다음으로, 지지 프레임(140)은 상기 베이스 부재(110), 상기 열차단 부재(120), 상기 충격 차단 부재(130)를 지지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내측면에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에 상기 베이스 부재(110), 상기 열차단 부재(120), 상기 충격 차단 부재(130)가 끼움 결합된다(도 3 참조). 상기 지지 프레임(140)은 강도가 강하고 가볍고 녹이 나지 않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차양 지붕이 무게가 되도록이면 가벼우면서도 견고함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차양 지붕 거치부(200)는 상기 다층 구조의 차양지붕(100)을 지탱 거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차양 지붕(100)의 일측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제1 차양 지붕 지지 파이프(210), 및 일단부에 상기 제1 차양 지붕 지지 파이프(210)가 삽입 결합되고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적어도 2개의 제2 차양 지붕 지지 파이프(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차양 지붕 지지 파이프(210)는 1차적으로 차양 지붕을 지탱시키는 역할을 하며, 차양 지붕의 무게를 견디기 위해 아연으로 이루어진 파이프가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2 차양 지붕 지지 파이프(220)는 차양 지붕을 지탱함과 동시에 휠체어 탈부착부(300)와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일단부에 제1 차양 지붕 지지 파이프(210)가 삽입 결합되며 타단부는 후술할 휠체어 탈부착부(300)의 제1 연결부재(310)와 고정 결합된다. 제2 차양 지붕 지지 파이프(220)도 금속재 중 내구성 및 내부식성이 강한 아연으로 이루어진 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차양 지붕 거치부(200)는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 추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양 지붕 거치부(200)는 상기 제1 차양 지붕 지지 파이프(210)에 적어도 2개의 제1 체결공(2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차양 지붕 지지 파이프(220)에 적어도 2개의 제2 체결공(2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적어도 2개의 제1 체결공(211) 중 어느 하나, 상기 적어도 2개의 제2 체결공(221) 중 어느 하나를 각각 선택하여 선택된 제1 체결공(211)과 제2 체결공(221)을 관통하여 볼트봉(230)이 삽입되고 상기 볼트봉(230)에 너트(240)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차양 지붕 거치부(200)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제1 차양 지붕 지지 파이프(210)와 상기 제2 차양 지붕 지지 파이프(220)가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휠체어 탈부착부(300)는 차양 지붕(100)을 휠체어에 탈부착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제1 연결부재(310), 제2 연결부재(320), 볼트봉과 너트의 체결 부재(330,340)를 구성요소로 포함한다(도 1 참조).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연결부재(310)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일 측면에 상기 제2 차양 지붕 지지 파이프(220)의 타단부가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부재(310)는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체결공이 적어도 2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연결부재(320)는 휠체어의 손잡이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제1 연결부재(310)와의 이격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제1 연결부재(310)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채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1 연결부재(310)의 체결공과 대응하는 위치마다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체결공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연결부재(310)의 체결공과 상기 제2 연결부재(320)의 체결공을 관통하여 볼트봉(330)이 삽입되고 상기 제1 연결부재(310)와 상기 제2 연결부재(320)의 이격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볼트봉(330)의 나사 산에 너트(340)가 체결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연결부재(310)와 상기 제2 연결부재(320)의 이격부에 휠체어의 손잡이가 삽입되고 상기 제1 연결부재(310)와 상기 제2 연결부재(320)의 이격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볼트봉(330)과 상기 너트(340)가 체결됨으로써 휠체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게 된다(도 1 및 도 4 참조).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용 차양 지붕은 투명한 비 차단막(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비나 눈이 올 때 측면, 정면에서 흩뿌려지는 비를 차단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비 차단막(400)이 설치될 수 있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3가지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첫번째 실시예로서, 상기 다층 구조의 차양 지붕(100)은, 상기 베이스 부재(110)와 상기 열차단 부재(120) 사이에 개재되며 휠체어를 감싸는 투명한 비 차단막(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미도시).
두번째 실시예로서, 상기 다층 구조의 차양 지붕(100)은, 상기 열차단 부재(120)와 상기 충격 차단 부재(130) 사이에 개재되며 휠체어를 감싸는 투명한 비 차단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미도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용 차양 지붕의 일 실시예로서 비 차단막이 커튼 형식으로 설치되는 구조(세번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세번째 실시예를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용 차양 지붕은 상기 베이스 부재(110) 저면의 가장 자리부에 고정 설치된 비 차단막 가이드 레일(510); 상기 비 차단막 가이드 레일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종단에 고리가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비 차단막 지지 러너(520); 및 상기 고리가 삽입되도록 상부에 비차단막 지지공이 복수로 형성되고 투명한 비차단막(400)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 차단막 가이드 레일(510)은 ㅁ자 형태로 상기 베이스 부재(110) 저면에 설치될 수 있다(참고적으로, 비차단막 가이드 레일(510)은 결착편(530)에 의해 베이스 부재(110) 저면에 설치됨). 다만, 모서리 부분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드러운 곡선으로 처리하여 비 차단막 지지 러너(520)가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비 차단막 가이드 레일(510)은 휠체어 후면 부분의 비 차단막이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510) 중 휠체어의 후면에 대응하는 부분의 양단부에 상기 가이드 레일(510)을 감싸는 형태의 브라켓(540)이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브라켓(540)은 상기 비 차단막 지지 러너(52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로서 기능한다.
다음으로, 비 차단막 지지 러너(520)는 상기 비 차단막(400)을 상기 가이드 레일(510)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차단막 가이드 레일(510)에 삽입 결합되고, 종단에 후술할 비차단막(400)의 지지공에 끼워지는 고리를 구비한다.
다음으로, 비 차단막(400)은 상부에 비차단막 지지공이 복수로 형성되어 상기 비차단막 지지 러너(520)의 고리가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휠체어를 감싸 눈, 비 등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며, 투명으로 하여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비차단막(400)은 양 단의 중앙부에 한쌍의 벨크로 파스너(미도시) 또는 극성이 다른 한쌍의 자석(미도시)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필요한 경우 비 차단막(400)을 닫고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100 다층 구조의 차양 지붕
110 베이스 부재
120 열 차단 부재
130 충격 차단 부재
140 지지 프레임
200 차양 지붕 거치부
210 제1 차양 지붕 지지 파이프
211 제1 체결공
220 제2 차양 지붕 지지 파이프
221 제2 체결공
230 볼트봉
240 너트
300 휠체어 탈부착부
310 제1 연결부재
320 제2 연결부재
330 볼트봉
340 너트
400 비 차단막
510 비 차단막 가이드 레일
520 비 차단막 지지 러너
530 결착편
540 브라켓

Claims (9)

  1. 베이스 부재(110), 상기 베이스 부재(110) 상에 적층되는 열차단 부재(120) 및 상기 열차단 부재(120) 상에 적층되는 충격 차단 부재(130)를 포함하는 다층 구조의 차양 지붕(100);
    상기 다층 구조의 차양 지붕(100)의 일측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제1 차양 지붕 지지 파이프(210), 및 일단부에 상기 제1 차양 지붕 지지 파이프(210)가 삽입 결합되고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적어도 2개의 제2 차양 지붕 지지 파이프(220)를 포함하는 차양 지붕 거치부(200); 및
    일 측면에 상기 제2 차양 지붕 지지 파이프(220)의 타단부가 고정 설치되고,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2개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연결부재(310), 및 상기 제1 연결부재(310)의 체결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연결 부재(310)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하여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제2 연결부재(3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재(310)의 체결공과 상기 제2 연결부재(320)의 체결공을 관통하여 볼트봉(330)이 삽입되고 상기 제1 연결부재(310)와 상기 제2 연결부재(320)의 이격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볼트봉(330)의 나사 산에 너트(340)가 체결되는 휠체어 탈부착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휠체어 탈부착부(300)는 상기 제1 연결부재(310)와 상기 제2 연결부재(320)의 이격부에 휠체어의 손잡이가 삽입되고 상기 제1 연결부재(310)와 상기 제2 연결부재(320)의 이격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볼트봉(330)과 상기 너트(340)가 체결됨으로써 착탈 가능하게 휠체어에 결합되는 휠체어용 차양 지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층 구조의 차양 지붕(100)은,
    내측면에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에 상기 베이스 부재(110), 상기 열차단 부재(120), 상기 충격 차단 부재(130)가 끼움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140)을 더 포함하는 휠체어용 차양 지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차단 부재(120)는 압축된 발포 폴리스틸렌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충격 차단 부재(130)는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차양 지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110) 저면의 가장 자리부에 고정 설치된 비 차단막 가이드 레일(510);
    상기 비 차단막 가이드 레일(510)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종단에 고리가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비 차단막 지지 러너(520); 및
    상기 고리가 삽입되도록 상부에 비차단막 지지공이 복수로 형성되고 투명한 비차단막(400)을 더 포함하는 휠체어용 차양 지붕.
  8. 삭제
  9. 삭제
KR1020170105783A 2017-08-22 2017-08-22 휠체어용 차양 지붕 KR101936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783A KR101936807B1 (ko) 2017-08-22 2017-08-22 휠체어용 차양 지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783A KR101936807B1 (ko) 2017-08-22 2017-08-22 휠체어용 차양 지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6807B1 true KR101936807B1 (ko) 2019-01-10

Family

ID=65020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783A KR101936807B1 (ko) 2017-08-22 2017-08-22 휠체어용 차양 지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68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8476A (ko) * 2020-08-28 2022-03-08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캐노피 구조를 지닌 휠체어
US20230000699A1 (en) * 2021-06-30 2023-01-05 Devon Wooden Wheelchair Shielding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966Y1 (ko) 2000-09-07 2001-03-15 조귀종 야외용 자리를 겸한 자동차용 차양판
JP3093163U (ja) 2002-10-01 2003-04-18 青木精密工業株式会社 電動車椅子用風防屋根
KR200414857Y1 (ko) 2006-02-02 2006-04-25 윤석구 휠체어용 방풍우장치
JP2011121378A (ja) 2009-12-08 2011-06-23 Eitaro Terakawa 自転車又はバイク用風防
US20160058638A1 (en) 2014-09-02 2016-03-03 Brenda Fay Davis Protective Cover for Wheelchair Us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966Y1 (ko) 2000-09-07 2001-03-15 조귀종 야외용 자리를 겸한 자동차용 차양판
JP3093163U (ja) 2002-10-01 2003-04-18 青木精密工業株式会社 電動車椅子用風防屋根
KR200414857Y1 (ko) 2006-02-02 2006-04-25 윤석구 휠체어용 방풍우장치
JP2011121378A (ja) 2009-12-08 2011-06-23 Eitaro Terakawa 自転車又はバイク用風防
US20160058638A1 (en) 2014-09-02 2016-03-03 Brenda Fay Davis Protective Cover for Wheelchair Us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8476A (ko) * 2020-08-28 2022-03-08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캐노피 구조를 지닌 휠체어
KR102388685B1 (ko) 2020-08-28 2022-04-21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캐노피 구조를 지닌 휠체어
US20230000699A1 (en) * 2021-06-30 2023-01-05 Devon Wooden Wheelchair Shielding Device
US11850193B2 (en) * 2021-06-30 2023-12-26 Devon Wooden Wheelchair shield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6807B1 (ko) 휠체어용 차양 지붕
US7311347B1 (en) Golf cart windshield attachment
US9795526B2 (en) Protective cover for wheelchair user
US20150296990A1 (en) Covered wheelchair
US4346725A (en) Tricycle canopy
US20110297198A1 (en) Weather Shield For Use With A Mobility Device
KR101468156B1 (ko) 전동 스쿠터용 절첩식 차양대
CN210284480U (zh) 一种具有调节功能的三轮车车棚
KR102014112B1 (ko) 전동 스쿠터용 차양 지붕
KR200474244Y1 (ko) 전동 차량용 지붕
KR101500903B1 (ko) 조립식 캐노피 및 이를 장착한 운송수단
CN210810131U (zh) 组合式公寓床
KR200488310Y1 (ko) 개선된 전동식 이동 장치
KR101221334B1 (ko) 탈착식 자전거 덮개
CN201525444U (zh) 组合式电动车遮阳防雨篷
JP3093163U (ja) 電動車椅子用風防屋根
CN209883518U (zh) 一种多功能观赏用园林椅
CN217661297U (zh) 多功能动感单车
KR20130080760A (ko) 자전거 운전자 보호용 부수장치
CN204937330U (zh) 防晒防雨防风防寒多功能折叠式电动自行车遮阳棚
CN210000460U (zh) 一种休闲三轮车的顶棚车架结构
CN210212612U (zh) 一种电动车前挡板装置
JP2002035040A (ja) フード付車椅子
CN209051523U (zh) 一种电动车遮雨棚
CN109197280B (zh) 一种定位快捷的蔬菜种植用遮阳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