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670B1 - 고정 치구 및 에어리스 타이어 고정용 치구 - Google Patents

고정 치구 및 에어리스 타이어 고정용 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670B1
KR101935670B1 KR1020170062371A KR20170062371A KR101935670B1 KR 101935670 B1 KR101935670 B1 KR 101935670B1 KR 1020170062371 A KR1020170062371 A KR 1020170062371A KR 20170062371 A KR20170062371 A KR 20170062371A KR 101935670 B1 KR101935670 B1 KR 101935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pad member
extending
members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2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7055A (ko
Inventor
강남철
전지찬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62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670B1/ko
Publication of KR20180127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7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5/00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치구는, 피고정체의 외주면 상에 배치되는 패드 부재; 및 상기 패드 부재 상에 배치되어 상기 패드 부재를 상기 피고정체에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 부재는 복수 개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 개의 패드 부재는 상기 피고정체의 외주면 상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고정 부재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패드 부재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Description

고정 치구 및 에어리스 타이어 고정용 치구{FIXING TOOL AND TOOL FOR FIXING AIRLESS TIRE}
본 발명은 고정 치구 및 에어리스 타이어 고정용 치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기존 휠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에어리스 타이어를 용이하게 교체시킬 수 있는 고정 치구 및 에어리스 타이어 고정용 치구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는 자동차를 구성하는 부품 중의 하나로 노면에 직접 접촉한다. 타이어 내부의 공기는 스프링과 같은 완충작용을 하여 노면의 요철에 의해 생기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승차감을 한층 높여준다.
차량의 조종성을 구현시킬 수 있는 타이어는 구조에 따라 래디얼 타이어, 에어리스 타이어, 그리고 솔리드 타이어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 중에서 승용차 및 특수목적을 제외한 자동차에는 대부분 래디얼 타이어(radial tire)가 사용되고 있다. 래디얼 타이어는 그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공기압을 수시로 점검해야 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주행 중 외부물질에 의한 찔림과 충격으로 타이어가 파손될 수 있는 안전성의 문제가 있다.
에어리스 타이어는, 이러한 공기압 타이어와는 달리, 소재와 공정의 단순화를 통해 생산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 사용량 및 유해물질 발생량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공정과 구조로 이루어진 타이어이다. 또한, 에어리스 타이어는 공기압의 부족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래디얼 타이어에서 발생 되는 스탠딩 웨이브 (standing wave) 형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회전저항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에어리스 타이어의 구조에 대하여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2015년 1월 5일에 출원된 KR 10-2015-0000448에는 '에어리스 타이어'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기존 휠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또는 수평으로 에어리스 타이어를 용이하게 교체시킬 수 있고, 필요한 경우 휠 또는 에어리스 타이어를 단독으로 교체시킬 수 있는 고정 치구 및 에어리스 타이어 고정용 치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휠의 분리 없이 에어리스 타이어의 교체가 가능하고, 에어리스 타이어의 교체 시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지 않으며, 에어리스 타이어의 교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고정 치구 및 에어리스 타이어 고정용 치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고정 부재에 의해 복수 개의 패드 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피고정체의 외경에 따라서 피고정체의 외주면에 복수 개의 패드 부재를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고정 치구 및 에어리스 타이어 고정용 치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에어리스 타이어뿐만 아니라 피고정체에 고정체를 장착하는 경우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 고정 치구 및 에어리스 타이어 고정용 치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치구는, 피고정체의 외주면 상에 배치되는 패드 부재; 및 상기 패드 부재 상에 배치되어 상기 패드 부재를 상기 피고정체에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 부재는 복수 개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 개의 패드 부재는 상기 피고정체의 외주면 상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고정 부재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패드 부재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패드 부재 상에서 상기 피고정체의 외주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 요소; 상기 연장 요소 상에서 이동 가능한 이동 요소; 및 일단은 상기 이동 요소에 연결되고 타단은 인접한 패드 부재에 연결되는 와이어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 요소 상에서 상기 이동 요소의 이동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패드 부재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연장 요소의 외측면에는 제1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 요소에는 상기 제1 나사산과 맞물리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연장 요소 및 상기 이동 요소의 상대 회전에 의해 상기 이동 요소가 상기 연장 요소 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이동 요소는 복수 개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 개의 이동 요소는, 상기 연장 요소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연장 요소의 일단을 향하여 이동되는 제1 이동 요소; 및 상기 연장 요소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연장 요소의 타단을 향하여 이동되는 제2 이동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 요소 및 상기 제2 이동 요소 사이의 간격이 넓어질수록 상기 복수 개의 패드 부재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고, 상기 제1 이동 요소 및 상기 제2 이동 요소 사이의 간격이 좁아질수록 상기 복수 개의 패드 부재 사이의 간격이 넓어질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와이어 요소는 복수 개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 개의 와이어 요소는 상기 제1 이동 요소 및 상기 제2 이동 요소를 중심으로 양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인접한 패드 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 요소의 타단에 연결되는 연결 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요소의 이동에 의해 상기 인접한 패드 부재가 상기 패드 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피고정체의 외주면 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리스 타이어 고정용 치구는, 휠의 외주면 상에 배치되는 패드 부재; 상기 패드 부재 상에 배치되어 상기 휠의 외주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 부재; 상기 연장 부재를 따라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이동 부재; 및 일단은 상기 한 쌍의 이동 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은 인접한 패드 부재에 연결되는 한 쌍의 와이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이동 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패드 부재가 상기 휠의 외주면 상에 고정된 다음 에어리스 타이어가 상기 패드 부재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패드 부재 상에서 상기 연장 부재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레일 부재; 및 상기 패드 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리스 타이어의 결합을 유지시키는 잠금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리스 타이어는 상기 레일 부재를 따라 상기 휠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인접한 패드 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와이어 부재의 타단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이동 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연결 요소가 이동되고, 상기 연결 요소의 이동에 의해 상기 인접한 패드 부재가 상기 패드 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휠의 외주면 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치구 및 에어리스 타이어 고정용 치구에 의하면, 기존 휠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또는 수평으로 에어리스 타이어를 용이하게 교체시킬 수 있고, 필요한 경우 휠 또는 에어리스 타이어를 단독으로 교체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치구 및 에어리스 타이어 고정용 치구에 의하면, 휠의 분리 없이 에어리스 타이어의 교체가 가능하고, 에어리스 타이어의 교체 시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지 않으며, 에어리스 타이어의 교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치구 및 에어리스 타이어 고정용 치구에 의하면, 고정 부재에 의해 복수 개의 패드 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피고정체의 외경에 따라서 피고정체의 외주면에 복수 개의 패드 부재를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치구 및 에어리스 타이어 고정용 치구에 의하면, 에어리스 타이어뿐만 아니라 피고정체에 고정체를 장착하는 경우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치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치구의 정면도이다.
도 3a 및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치구가 휠 상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치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치구의 정면도이고, 도 3a 및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치구가 휠 상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치구(100)는 패드 부재(110) 및 고정 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치구(100)는 휠 상에 장착될 수 있으며, 휠 상에 에어리스 타이어를 결합 또는 분리하는 데 적용될 수 있다.
이에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치구(100)를 에어리스 타이어 고정용 치구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피고정체(A)는 타이어가 장착될 휠이 될 수 있고, 고정체는 에어리스 타이어가 될 수 있다.
상기 패드 부재(110)는 예를 들어 피고정체의 외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패드 부재(110)는 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패드 부재(110)의 형상은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피고정체 및 고정체의 형상에 따라서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예를 들어, 피고정체 및 고정체가 원형 단면을 구비하는 경우 패드 부재(110)의 형상은 호 형상으로 마련되고, 피고정체 및 고정체가 다각형 단면을 구비하는 경우 패드 부재(110)의 형상은 평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패드 부재(110)는 피고정체에 대하여 밀착 또는 접착이 용이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무 재질로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 및 2에는 패드 부재(110)가 1개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패드 부재(110)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피고정체의 외주면 상에 복수 개의 패드 부재(110)가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 또는 3b를 참조하여, 피고정체(A)의 외주면 상에 제1 패드 부재(112)가 배치되고, 제1 패드 부재(112)의 일측으로부터 외주 방향으로 이격되게 제2 패드 부재(114)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패드 부재(112)의 타측으로부터 외주 방향으로 이격되게 제3 패드 부재(116)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패드 부재(112)를 사이에 두고 제2 패드 부재(114) 및 제3 패드 부재(116)가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패드 부재(110) 상에는 패드 부재(110)를 피고정체에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1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120)는 연장 요소(122, 또는 연장 부재), 이동 요소(124, 또는 이동 부재), 와이어 요소(126, 또는 와이어 부재) 및 연결 요소(128, 또는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 요소(122)는 패드 부재(110) 상에서 피고정체의 외주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연장 요소(122)의 양단부 및 중앙은 패드 부재(11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요소(124)는 연장 요소(122) 상에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요소(124)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이동 요소(124)는 연장 요소(124)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연장 요소의 일단을 향하여 이동되는 제1 이동 요소(1242) 및 연장 요소(124)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연장 요소의 타단을 향하여 이동되는 제2 이동 요소(124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장 요소(122)의 외측면에는 제1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동 요소(124)에는 제1 나사산과 맞물리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 요소(122) 및 이동 요소(124)의 상대 회전에 의해 이동 요소(124)가 연장 요소(122) 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
도 1 및 2에는 패드 부재(110) 상에 연장 요소(122)가 고정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연장 요소(122)는 패드 부재(1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연장 요소(122)의 회전에 의해 제1 나사산과 이동 요소(124)에 형성된 제2 나사산이 맞물려 회전하면서 이동 요소(124)가 연장 요소(122) 상에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연장 요소(122)의 외측면에서 제1 이동 요소(1242)가 이동되는 부분에 형성된 나사산의 방향과 연장 요소(122)의 외측면에서 제2 이동 요소(1244)가 이동되는 부분에 형성된 나사산의 방향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고, 제1 이동 요소(1242) 및 제2 이동 요소(1244) 각각에 서로 대응되도록 나사산의 방향이 형성되어, 연장 요소(122)의 회전에 의해 제1 이동 요소(1242) 및 제2 이동 요소(1244)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장 요소(122) 상에서 이동 요소(122)가 이동되는 구성은 전술된 것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연장 요소(122) 상에서 이동 요소(122)가 이동되어 복수 개의 패드 부재(1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다.
전술된 이동 요소(124)에는 와이어 요소(126)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요소(126)의 일단은 이동 요소(124)에 연결되고, 와이어 요소(126)의 타단은 복수 개의 패드 부재(110) 중 인접한 패드 부재(11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요소(126)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와이어 요소(126)는 제1 이동 요소(1242) 및 제2 이동 요소(1244)를 중심으로 양측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와이어 요소(126)는 제1 와이어 요소(1262), 제2 와이어 요소(1264), 제3 와이어 요소(1266) 및 제4 와이어 요소(126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와이어 요소(1262)는 일단이 제1 패드 부재 상에 배치된 제1 이동 요소(1242)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패드 부재 상에 배치된 제1 연결 요소(1282)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와이어 요소(1264)는 일단이 제1 패드 부재 상에 배치된 제2 이동 요소(1244)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패드 부재 상에 배치된 제1 연결 요소(1282)의 타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3 와이어 요소(1266)는 일단이 제1 이동 요소(1242)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3 패드 부재 상에 배치된 제2 연결 요소(1282)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4 와이어 요소(1268)는 일단이 제2 이동 요소(1244)의 타측에 연결되고 제3 패드 부재 상에 배치된 제2 연결 요소(1282)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이동 요소(1242) 및 제2 이동 요소(1244)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 때는 제1 와이어 요소(1262) 및 제2 와이어 요소(1264)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3 와이어 요소(1266) 및 제4 와이어 요소(1268) 또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반면, 제1 이동 요소(1242) 및 제2 이동 요소(1244)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제1 와이어 요소(1262) 및 제2 와이어 요소(1264)는 서로 대칭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고, 제3 와이어 요소(1266) 및 제4 와이어 요소(1268) 또한 서로 대칭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연장 요소(122) 및 이동 요소(124)가 배치된 패드 부재(110)와 인접한 패드 부재에는 연결 요소(128)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요소(128)는 제1 연결 요소(1282) 및 제2 연결 요소(128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연결 요소(1282)에는 제1 와이어 요소(1262) 및 제2 와이어 요소(1264)의 타단이 연결되고 제2 연결 요소(1284)에는 제3 와이어 요소(1266) 및 제4 와이어 요소(1268)의 타단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연결 요소(128)는 제1 패드 부재와 인접한 패드 부재, 예를 들어 제2 패드 부재 및 제3 패드 부재 상에 고정되어, 연결 요소(128)의 이동에 의해 제2 패드 부재 및 제3 패드 부재가 제1 패드 부재를 중심으로 피고정체의 외주면 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치구(100)는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피고정체(A)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도 3a를 더 참조하여, 우선 피고정체(A) 상에 복수 개의 패드 부재(110), 예를 들어 제1 패드 부재(112), 제2 패드 부재(114) 및 제3 패드 부재(116)를 포함한다.
이때, 복수 개의 패드 부재(110) 중 일부, 예를 들어 제1 패드 부재(112)에는 연장 요소(122), 이동 요소(124) 및 와이어 요소(126)가 구비되고, 복수 개의 패드 부재(110) 중 나머지 일부, 예를 들어 제2 패드 부재(114) 및 제3 패드 부재(116)에는 연결 요소(128)가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연장 요소(122), 이동 요소(124) 및 와이어 요소(126)가 구비된 패드 부재(110)와 연결 요소(128)가 구비된 패드 부재(110)가 서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고정체(A)의 외경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 제1 이동 요소(1242) 및 제2 이동 요소(1244)를 연장 요소(122)의 중앙을 향하여 이동시켜 제1 이동 요소(1242) 및 제2 이동 요소(1244) 사이의 간격을 좁아지게 한다.
이에 의해 제1 와이어 요소(1262) 및 제2 와이어 요소(1264)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3 와이어 요소(1266) 및 제4 와이어 요소(1268) 또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연결 요소(1282) 및 제2 연결 요소(1284)는 제1 이동 요소(1242) 및 제2 이동 요소(1244)로부터 멀리 위치되어, 제1 패드 부재(112)와 제2 패드 부재(114) 사이의 간격 및 제1 패드 부재(112)와 제3 패드 부재(116)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 부재(120)에 의해 피고정체(A)의 외경에 따라서 복수 개의 패드 부재(110)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게 조절될 수 있고, 피고정체(A)의 외주면 상에 복수 개의 패드 부재(110)가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고, 그런 다음 피고정체(A) 상에 고정체가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고정체(A)의 외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 제1 이동 요소(1242) 및 제2 이동 요소(1244)를 연장 요소(122)의 양단부를 향하여 이동시켜 제1 이동 요소(1242) 및 제2 이동 요소(1244) 사이의 간격을 넓어지게 한다.
이에 의해 제1 와이어 요소(1262) 및 제2 와이어 요소(1264)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3 와이어 요소(1266) 및 제4 와이어 요소(1268) 또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연결 요소(1282) 및 제2 연결 요소(1284)는 제1 이동 요소(1242) 및 제2 이동 요소(1244)로부터 가까이 위치되어, 제1 패드 부재(112)와 제2 패드 부재(114) 사이의 간격 및 제1 패드 부재(112)와 제3 패드 부재(116)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거나, 제1 패드 부재(112), 제2 패드 부재(114) 및 제3 패드 부재(116)가 서로 이격되지 않고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 부재(120)에 의해 피고정체(A)의 외경에 따라서 복수 개의 패드 부재(11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조절될 수 있고, 피고정체(A)의 외주면 상에 복수 개의 패드 부재(110)가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고, 그런 다음 피고정체(A) 상에 고정체가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고정 부재(120)가 고정체를 결합 또는 분해되게 하는 레일 요소(또는 레일 부재) 및 고정체를 피고정체 상에 고정시키는 잠금 요소(또는 잠금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예를 들어, 레일 요소는 패드 부재(110) 상에서 연장 요소(122)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잠금 요소는 레일 요소의 단부 또는 패드 부재(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레일 요소 및 잠금 요소의 구성은 패드 부재(110) 상에 고정체를 횡방향으로 또는 수평하게 결합 또는 분해시킬 수 있다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치구는 에어리스 타이어 고정용 치구로 적용되어, 차체로부터 휠의 분리 없이 에어리스 타이어의 교체가 가능하고, 에어리스 타이어의 교체 시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지 않으며, 에어리스 타이어의 교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고정 부재에 의해 복수 개의 패드 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휠의 외경에 따라서 휠의 외주면에 복수 개의 패드 부재를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고정 치구
110: 패드 부재
120: 고정 부재
122: 연장 요소
124: 이동 요소
126: 와이어 요소
128: 연결 요소

Claims (9)

  1. 피고정체의 외주면 상에 배치되는 패드 부재; 및
    상기 패드 부재 상에 배치되어 상기 패드 부재를 상기 피고정체에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 부재는 복수 개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 개의 패드 부재는 상기 피고정체의 외주면 상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고정 부재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패드 부재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패드 부재 상에서 상기 피고정체의 외주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 요소;
    상기 연장 요소 상에서 이동 가능한 이동 요소;
    일단은 상기 이동 요소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패드 부재의 양측에 인접한 패드 부재에 연결되는 와이어 요소; 및
    상기 패드 부재의 양측에 인접한 패드 부재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 요소의 타단에 연결되는 연결 요소;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패드 부재 중 상기 연장 요소, 상기 이동 요소 및 상기 와이어 요소가 구비된 패드 부재와 상기 연결 요소가 구비된 패드 부재가 상기 피고정체의 외주 방향을 따라서 서로 교대로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 요소에 의해서 상기 복수 개의 패드 부재가 연결되어, 상기 복수 개의 패드 부재 및 상기 고정 부재가 일체로서 상기 피고정체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장착되는 고정 치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요소 상에서 상기 이동 요소의 이동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패드 부재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고정 치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요소의 외측면에는 제1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 요소에는 상기 제1 나사산과 맞물리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연장 요소 및 상기 이동 요소의 상대 회전에 의해 상기 이동 요소가 상기 연장 요소 상에서 이동되는 고정 치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요소는 복수 개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 개의 이동 요소는,
    상기 연장 요소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연장 요소의 일단을 향하여 이동되는 제1 이동 요소; 및
    상기 연장 요소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연장 요소의 타단을 향하여 이동되는 제2 이동 요소;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 요소 및 상기 제2 이동 요소 사이의 간격이 넓어질수록 상기 복수 개의 패드 부재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고, 상기 제1 이동 요소 및 상기 제2 이동 요소 사이의 간격이 좁아질수록 상기 복수 개의 패드 부재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는 고정 치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요소는 복수 개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 개의 와이어 요소는 상기 제1 이동 요소 및 상기 제2 이동 요소를 중심으로 양측에 연결되는 고정 치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의 이동에 의해 상기 인접한 패드 부재가 상기 패드 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피고정체의 외주면 상에서 이동되는 고정 치구.
  7. 휠의 외주면 상에 배치되는 패드 부재;
    상기 패드 부재 상에 배치되어 상기 휠의 외주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 부재;
    상기 연장 부재를 따라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이동 부재; 및
    일단은 상기 한 쌍의 이동 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은 인접한 패드 부재에 연결되는 한 쌍의 와이어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이동 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패드 부재가 상기 휠의 외주면 상에 고정된 다음 에어리스 타이어가 상기 패드 부재 상에 결합되고,
    상기 패드 부재 상에서 상기 연장 부재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레일 부재; 및
    상기 패드 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리스 타이어의 결합을 유지시키는 잠금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리스 타이어는 상기 레일 부재를 따라 상기 휠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에어리스 타이어 고정용 치구.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패드 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와이어 부재의 타단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이동 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연결 부재가 이동되고,
    상기 연결 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인접한 패드 부재가 상기 패드 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휠의 외주면 상에서 이동되는 에어리스 타이어 고정용 치구.
KR1020170062371A 2017-05-19 2017-05-19 고정 치구 및 에어리스 타이어 고정용 치구 KR101935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371A KR101935670B1 (ko) 2017-05-19 2017-05-19 고정 치구 및 에어리스 타이어 고정용 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371A KR101935670B1 (ko) 2017-05-19 2017-05-19 고정 치구 및 에어리스 타이어 고정용 치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055A KR20180127055A (ko) 2018-11-28
KR101935670B1 true KR101935670B1 (ko) 2019-01-04

Family

ID=64561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2371A KR101935670B1 (ko) 2017-05-19 2017-05-19 고정 치구 및 에어리스 타이어 고정용 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567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944B1 (ko) * 2009-10-19 2010-03-05 (주)한국친환경연구원 관 연결용 커플링 연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944B1 (ko) * 2009-10-19 2010-03-05 (주)한국친환경연구원 관 연결용 커플링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055A (ko) 2018-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3843B1 (ko) 비공기압 타이어
ES2576030T3 (es) Estabilizador de vehículo
JP2016040161A (ja) 非空気圧ホイール
US20110132510A1 (en) Wheel-tire combination for vehicles
CA2718410A1 (en) Hinging arrangement for a wheel axle suspension
US20170326915A1 (en) Non-pneumatic tire
KR20110006766A (ko) 신호등 지지용 가로보
TW200624297A (en) Pneumatic tire
KR101935670B1 (ko) 고정 치구 및 에어리스 타이어 고정용 치구
WO2009054345A1 (ja) 棒状部材に対する部材取付け構造
WO2006112574A1 (en) Spring wheel
US9027981B2 (en) Resin product for vehicle
US20150151570A1 (en) Irrigation Wheel Traction Lug
KR20120106884A (ko) 타이어를 위한 스키드 방지 장치
KR101843141B1 (ko) 타이어 및 타이어 제조 방법
RU2671918C1 (ru) Вставка колесная
KR102274103B1 (ko) 스페어 타이어 고정 장치
FI3785941T3 (fi) Nastatappi ja nastarengas
KR101711129B1 (ko) 스터드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NL2016681B1 (en) Bicycle wheel having a spoke nipple, spoke nipple.
JP7412941B2 (ja) グリーンタイヤ保持装置
US20060219345A1 (en) Vehicle wheel rim assembly for motor vehicle
KR20130087256A (ko) 접철 스프링과 그것을 이용하는 스프링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SE540124C2 (en) An arrangement for mounting a hollow rounded tube to a mudguard and a vehicle with such an arrangement
GB2413783A (en) Wheel rim with tyre anti-breaking and anti-knocking pro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