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321B1 - 적재성능이 향상된 진공흡착장치 - Google Patents

적재성능이 향상된 진공흡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321B1
KR101935321B1 KR1020170086476A KR20170086476A KR101935321B1 KR 101935321 B1 KR101935321 B1 KR 101935321B1 KR 1020170086476 A KR1020170086476 A KR 1020170086476A KR 20170086476 A KR20170086476 A KR 20170086476A KR 101935321 B1 KR101935321 B1 KR 101935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adsorption
outside air
vacuum
extension pipe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길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인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인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인이엔지
Priority to KR1020170086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3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49/00Aspects relating to conveying systems for the manufacture of fragile sheets
    • B65G2249/04Arrangements of vacuum systems or suction c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재성능이 향상된 진공흡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흡착수단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신체보다 높은 위치로 흡착대상물을 이송시키는 경우, 상기 진공흡착수단에 연결된 벤딩연장구가 관절부를 매개로 굴절되게 함으로써 흡착대상물의 용이한 적재작업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적재성능이 향상된 진공흡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기의 유입을 제어하기 위한 외기유입제어부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진공흡착수단; 상기 진공흡착수단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되 관절부에 의해 구부림 동작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벤딩연장구; 상기 벤딩연장구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외기유입제어부를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연장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적재성능이 향상된 진공흡착장치{VACUUM ADSORPTION APPARATUS HAVING IMPROVED LOAD PERFORMANCE}
본 발명은 적재성능이 향상된 진공흡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흡착수단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신체보다 높은 위치로 흡착대상물을 이송시키는 경우, 상기 진공흡착수단에 연결된 벤딩연장구가 관절부를 매개로 굴절되게 함으로써 흡착대상물의 용이한 적재작업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적재성능이 향상된 진공흡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흡착장치는 글래스패널이나 금속판재, 석재와 같은 판재를 작업공정에 따라 이동하거나 적재하는데 사용되는 장치로서, 유리공장, 디스플레이 생산라인, 건축공사 현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특히, 글래스 패널은 사용되는 분야에 따라 소형 글래스 패널과 대형 글래스 패널로 나누어 생산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소형 글래스 패널을 다른 위치로 운반하고자 할때, 작업자는 글래스 패널의 표면을 흡착시키는 휴대용 진공흡착유닛을 사용하여 직접 운반하게 된다.
반면, 대형 글래스 패널은 그 크기와 무게가 상당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직접 들어서 운반하는 것이 어려워 크레인 방식을 이용한 진공흡착장치를 사용하여 운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진공흡착장치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8954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3168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1692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종래 진공흡착장치 중에서 주름관에 흡착장치가 연결되어 그 흡착장치를 통해 일정한 중량을 갖는 흡착대상물을 진공흡착하여 적치장소로 이송하고, 적치장소로 이송되면 핸들링을 통해 흡착장치의 내부 진공압을 해제하여 흡착대상물이 상기 진공흡착장치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진공흡착장치는 핸들링을 통해 외기의 유입량을 제어하는데 상당한 기술적 노하우가 필요하여 전문가가 아니면 핸들링을 수행하기에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진공흡착장치는 중량이나 크기가 크기 때문에 흡착대상물을 진공흡착하는 경우, 두 손을 모두 사용하여야 하는 번거럽고, 진공흡착장치의 조작시 피로도를 증가됨에 따라 작업성이 현저히 감소됨은 물론 피로도 증가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률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1739814호에서와 같이 한 손으로 진공흡착장치를 파지하여 흡착대상물을 진공흡착 이송을 신속하고 간편히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흡착장치를 이용하여 흡착대상물을 이송하여 적재시, 작업자의 신체 높이에 근접되는 위치 즉 상기 진공흡착장치를 파지할 수 있는 높이까지만 흡착대상물을 적재할 수 있어 작업자의 신체보다 높은 위치로의 흡착대상물 적재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가 진공흡착수단을 이용하여 작업자의 신체보다 높은 위치로 흡착대상물을 이송하여 적재시, 상기 진공흡착수단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벤딩연장구가 관절부에 의해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흡착대상물의 적재작업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적재성능이 향상된 진공흡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흡입펌프에 연결되는 관로의 끝단에 주름관을 매개로 설치되되 외기가 유입된 외기유입공(111)이 형성된 관형 본체부(110)와, 상기 본체부(110)의 내측과 연통되게 연결된 상태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형성되어 작업자가 한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중공형 한 손 파지부(120)와, 상기 한 손 파지부(120)의 내측과 연통되게 설치된 흡기관(121)에 장착되어 흡착대상물을 진공흡착하는 진공흡착부(130)와, 상기 본체부(110)에 설치되어 상기 외기유입공(111)을 개폐하여 외기유입을 제어하는 외기유입제어부(140)로 구성된 진공흡착수단(100); 상기 진공흡착수단(100)에 마련되는 상기 한 손 파지부(120)에 결합되는 결합구(210)와, 상기 결합구(210)에 연결된 상태로 일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메인연장관(220)과, 상기 메인연장관(220)에 관절부(300)를 매개로 연결되어 연장되게 형성되는 파지연장관(230)으로 구성되어 상기 관절부(300)에 의해 구부림동작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벤딩연장구(200); 상기 벤딩연장구(2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외기유입제어부(140)를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되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외기유입제어부(14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파지연장관(230)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작와이어(510)와, 상기 파지연장관(230)에 설치되어 상기 조작와이어(510)를 잡아당겨 상기 외기유입제어부(14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조작수단(520)으로 이루어진 연장조작부(500);로 구성되고, 상기 진공흡착수단(100)에는, 상기 진공흡착수단(100)의 흡기관(121) 일측에 결합되되 다수개의 배기공(611)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패킹부재(610)와, 상기 패킹부재(610)의 배기공(611)에 설치되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패킹부재(61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코일스프링(620)과, 상기 코일스프링(620)의 일측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배기공(611)을 개폐하는 개폐부재(630)로 구성되어 흡착대상물을 흡착하는 흡입압의 해제시 상기 진공흡착수단(100)에 발생하는 잔압을 배기하기 위한 잔압배기밸브(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절부(300)는 상기 벤딩연장구(200)에 설치되는 관절조작키(400)의 조작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흡착대상물을 작업자의 신체보다 높은 위치로 이송시, 상기 벤딩연장구(200)가 구부려질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흡착대상물을 작업자의 신체보다 높은 위치로 이송하여 적재하는 경우, 상기 진공흡수단에 설치되는 벤딩연장구가 관절부를 매개로 구부려짐에 따라 흡착대상물을 높은 위치까지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어 적재공간의 활용성 및 적재작업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성능이 향상된 진공흡착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흡착수단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절조작키에 의해 구동되는 관절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절조작키에 의해 구동되는 관절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장조작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잔압배기밸브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잔압배기밸브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나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적재성능이 향상된 진공흡착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성능이 향상된 진공흡착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흡착수단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절조작키에 의해 구동되는 관절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절조작키에 의해 구동되는 관절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장조작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재성능이 향상된 진공흡착장치는 외기의 유입을 제어하기 위한 외기유입제어부(140)가 설치된 진공흡착수단(100)와, 상기 진공흡착수단(100)로부터 일측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벤딩연장구(200)와, 상기 벤딩연장구(200)에 설치되어 상기 외기유입제어부(140)를 조작하는 연장조작부(5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진공흡착수단(100)은 외기의 유입을 제어하기 위한 외기유입제어부(140)가 설치된 것으로, 상기 외기유입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흡착대상물을 흡착하기 위한 흡착공기의 흡입량을 제어하게 된다.
일 실시예로써의 진공흡착수단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진공흡착수단(100)은 작업자가 한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진공흡착수단로써 흡입펌프에 연결되는 관로의 끝단에 주름관을 매개로 설치되는 관형 본체부(110)와, 상기 본체부(110)의 내측과 연통되게 연결된 상태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형성되어 작업자가 한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중공형 한 손 파지부(120)와, 상기 한 손 파지부(120)의 내측과 연통되게 설치된 흡기관(121)에 장착되어 흡착대상물을 진공흡착하는 진공흡착부(130)와, 상기 본체부(110)에 설치된 상태로 외기유입을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외기유입제어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외기유입제어부(140)는 상기 본체부(110)에 형성된 외기유입공(111)을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즉, 상기 진공흡착수단(100)은 흡착대상물을 진공흡착하게 되는 경우, 상기 주름관이 수축되면서 흡착대상물이 들어올려 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흡입펌프의 계속적인 흡입구동에 의해 상기 주름관의 과도한 수축이 발생됨은 물론 흡착대상물의 파손을 가져오게 되므로 상기 외기유입제어부(140)의 조작에 의해 적절한 양의 외기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주름관의 과도한 수축방지 및 흡착대상물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외기유입제어부(140)는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탄성복귀수단(15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외기유입공(111)을 폐쇄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복귀수단(150)에는 상기 한 손 파지부(120)의 내측을 개폐하는 개폐부(153)가 설치된다.
상기 탄성복귀수단(150)의 일 실시예로써 상기 외기유입제어부(140)에 길이방향 일측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본체부(110)의 내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연장돌출봉(151)과,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연장돌출봉(151)의 길이방향 타측에 힌지결합되는 링크구(152)와, 상기 본체부(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링크구(152)의 길이방향 타측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한 손 파지부(120)의 내측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개폐부(153)로 구성된다.
즉, 상기 연장조작부(500)의 조작에 의해 상기 본체부(110)의 외기유입공(111)이 개폐되는 과정에서 상기 연장돌출봉(151)과 링크구(152)가 이동되어 상기 개폐부(153)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한 손 파지부(120)의 내측을 개방하거나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벤딩연장구(200)는 상기 진공흡착수단(100)로부터 일측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되 관절부(300)에 의해 구부림 동작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즉, 상기 흡착대상물을 작업자의 신체보다 높은 위치로 이송시키는 경우, 상기 벤딩연장구(200)가 상기 관절부(300)를 매개로 굴절되어 상기 진공흡착부(130)에 진공흡착된 흡착대상물을 작업자의 신체보다 높은 위치로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벤딩연장구(200)는 일 실시예로써 상기 진공흡착수단(100)에 마련되는 상기 한 손 파지부(120)에 결합되는 결합구(210)와, 상기 결합구(210)에 연결된 상태로 일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메인연장관(220)과, 상기 메인연장관(220)에 상기 관절부(300)를 매개로 연결되어 연장되게 형성되는 파지연장관(230)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메인연장관(220)과 파지연장관(230)의 길이는 상호 동일하게 하거나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메인연장관(220)과 파지연장관(230)을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사용환경에 따라 상기 벤딩연장구(200)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여기서, 상기 결합구(210)에는 후술되는 상기 연장조작부(500)의 조작와이어(510)의 왕복이동을 안내하도록 하는 가이드공(21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파지연장관(23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파지손잡이(231)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관절부(300)는 상기 메인연장관(220)과 파지연장관(230)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 실시예로써의 관절부(300)는 상기 메인연장관(220)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1결속구(310)와 상기 파지연장관(230)에 설치되는 제2결속구(311)가 관통핀(313)에 의해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메인연장관(220)과 상기 파지연장관(230)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관통핀(313)에 의한 상기 제1,2결속구(310,311)의 결속력은 상기 진공흡착부(130)에 의해 흡착대상물을 들어올려져 상기 벤딩연장구(200)를 파지하는 위치가 상기 흡착대상물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흡착대상물의 중량에 의해 자연스럽게 구부려질 수 있도록 하는 결속력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진공흡착수단(100)에 흡착대상물이 진공흡착되어 작업자의 신체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메인연장관(220)과 파지연장관(230)이 상기 관절부(300)를 매개로 굴절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진공흡착수단(100)에 흡착대상물이 진공흡착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진공흡착수단(100)의 자체 중량에 의해서 상기 메인연장관(220)과 파지연장관(230)이 굴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관절부(300)의 일 실시예로써 상기 제1,2결속구(310,311)에 의해 일 방향으로 굴절가능하도록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니버셜조인트와 같은 구성을 채용하여 다방향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변경하여 구성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관절부(300)의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메인연장관(220)의 단부와 파지연장관(230)의 단부 사이에 고탄성의 스프링부재를 설치하여 흡착대상물을 작업자의 신체보다 높은 위치로 이송시키는 경우에는 고탄성의 탄성스프링부재가 탄성굴절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흡착대상물을 내려놓게 되면 상기 스프링부재가 복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관절부(300)를 상기 스프링부재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프링부재의 탄성복귀시, 급격한 탄성복귀를 방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탄성지연구성(미도시)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관절부(300)는 상기 벤딩연장구(200)에 설치되는 관절조작키(400)의 조작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흡착대상물을 작업자의 신체보다 높은 위치로 이송시, 상기 벤딩연장구(200)가 구부려질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관절조작키(400)는 작업자가 상기 벤딩연장구(200)를 파지하고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흡착대상물을 작업자의 신체보다 높은 위치로 이송시, 상기 관절조작키(400)를 조작하여 상기 관절부(300)를 구동시킴으로써 적절한 각도로 상기 벤딩연장구(200)가 구부려질 수 있도록 하여 작업안정성 및 작업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관절조작키(400)에 의해 상기 벤딩연장구(200)가 굴절되는 일 실시예를 살펴보면, 상기 관절부(300)는 상기 메인연장관(220)의 단부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파지연장관(230)에 힌지결합되는 장착구(320)와, 상기 관절조작키(400)의 조작신호에 의해 상기 파지연장관(230)상에서 왕복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왕복이동구(321)와, 상기 장착구(320)와 왕복이동구(321)에 길이방향 양측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바(323)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관절조작키(400)를 조작하게 되면 조작신호에 의해 상기 장착구(320)가 상기 파지연장관(230)상에서 왕복이동되어 상기 메인연장관(220)과 파지연장관(230)가 일정각도로 굴절되어 작업자의 신체보다 높은 위치로의 흡착대상물 이송시 용이한 이송을 가능케한다.
또한, 상기 관절조작키(400)에 의해 상기 벤딩연장구(200)가 굴절되는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관절부(300)는 상기 메인연장관(220)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1연장결속구(330)와, 상기 파지연장관(230)의 단부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제1연장결속구(330)와 힌지결합되는 제2연장결속구(331)와, 상기 제2연장결속구(331)에 길이방향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부(334) 및 상기 몸체부(334)에 신축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단부가 상기 제1연장결속구(33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로드부(335)로 이루어진 실린더부재(333)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관절조작키(400)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실린더부재(333)의 로드부(335)가 신축되면서 상기 메인연장관(220)과 파지연장관(230)을 일정각도로 굴절시킬 수 있게 되어 작업편의성 및 흡착대상물의 이송높이에 따른 상황에 적절히 대응하여 굴절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관절조작키의 조작에 의해 상기 메인연장관(220)과 파지연장관(230)이 굴절되는 상태를 여러 실시예를 통해 살펴보았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관절조작키(400)를 조작하면 상기 관절부(300)를 매개로 상기 메인연장관(220)과 파지연장관(230)가 굴절될 수 있는 여러 다른 실시예가 있을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한편, 상기 연장조작부(500)는 상기 벤딩연장구(2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외기유입제어부(140)를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연장조작부(500)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외기유입제어부(14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파지연장관(230)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작와이어(510)와, 상기 파지연장관(230)에 설치되어 상기 조작와이어(510)를 잡아당겨 상기 외기유입제어부(14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조작수단(52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조작와이어(510)의 일측은 상기 결합구(210)에 형성된 가이드공(211)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흡착대상물을 진공흡착시, 외기의 유입을 조절하는 경우 상기 와이어조작수단(520)을 조작하게 되면 상기 조작와이어(510)가 잡아당겨져 상기 외기유입제어부(140)가 상기 본체부(110)의 외기유입공(111)을 일정면적 개방하게 되어 외기가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주름관의 적절한 수축을 통한 흡착대상물의 용이한 리프팅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주름관의 과도한 수축 및 흡착대상물에 가해지는 과도한 진공흡입압의 조절을 손쉽게 이룰 수 있어 흡입대상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진공흡착수단(100)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대상물을 흡착하는 흡입압의 해제시 상기 진공흡착수단(100)에 발생하는 잔압을 배기하기 위한 잔압배기밸브(60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잔압배기밸브(600)는 상기 흡기관(121)의 타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흡착대상물을 흡착하는 흡입압의 해제시, 상기 한 손 파지부(120)와 상기 진공흡착부(130) 사이에 발생하는 잔압을 배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흡착대상물을 소정의 위치에 하차시키기 위해 상기 연장조작부(500)를 매개로 상기 외기유입제어부(140)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탄성복귀수단(150)의 구동에 의해 상기 개폐부(153)가 상기 파지부(120)의 내측을 폐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한 손 파지부(120)와 상기 진공흡착부(130) 사이에는 일정한 잔압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진공흡착부(130)에 흡착된 흡착대상물이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흡기관(121)의 타측에 상기 잔압배기밸브(600)를 설치하여 상기 개폐부(153)에 의해 상기 한 손 파지부(120)의 내측이 폐쇄되면 상기 한 손 파지부(120)와 진공흡착부(130) 사이에 형성된 잔압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흡착대상물의 신속하고 용이한 하차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잔압배기밸브(600)의 일 실시예로써 상기 흡기관(121)에 결합되되 다수개의 배기공(611)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패킹부재(610)와, 사기 패킹부재(610)의 배기공(611)에 설치되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패킹부재(61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코일스프링(620)과, 상기 코일스프링(620)의 일측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배기공(611)을 개폐하는 개폐부재(63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630)와 패킹부재(610)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개폐부재(630)의 왕복이동을 가이드하면서 상기 개폐부재(630)와 패킹부재(610)간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간격조절구(64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간격조절구(640)는 상기 개폐부재(630)를 거쳐 상기 패킹부재(610)를 관통하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흡기관(121)의 내측에 노출되는 가이드볼트구(641)와 상기 흡기관(121)의 내측에 노출되는 상기 가이드볼트구(641)에 나사결합되는 조절너트구(642)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개폐부재(630)와 패킹부재(610)간 간격을 조절하는 경우에 상기 조절너트구(642)의 회전조작을 통해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 잔압배기밸브(600)의 구동상태를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흡착대상물을 흡착하는 과정에서는 흡착대상물을 흡입하는 흡입압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630)가 상기 패킹부재(610)에 밀착되어 상기 배기공(611)을 막게 된다. 이때, 상기 코일스프링(620)은 압축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후, 흡착대상물을 소정의 위치에 하차시키기 위해 상기 개폐부(153)를 통해 상기 한 손 파지부(120)의 내측을 폐쇄하게 되면, 상기 한 손 파지부(120)와 진공흡착부(130) 사이에 일정한 잔압이 형성되고, 그 잔압과 상기 코일스프링(620)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63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면서 상기 배기공(611)이 개방되어 잔압이 용이하게 배출되며, 그로 인해 상기 진공흡착부(130)에 흡착된 흡착대상물의 흡착상태가 즉시 해제되어 소정의 위치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하차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등록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진공흡착수단 110: 본체부
120: 한 손 파지부 130: 진공흡착부
140: 외기유입제어부 150: 탄성복귀수단
151: 연장돌출봉 152: 링크구
153: 개폐부 200: 벤딩연장구
210: 결합구 220: 메인연장관
230: 파지연장관 300: 관절부
310: 제1결속구 311: 제2결속구
320: 장착구 321: 왕복이동구
323: 구동바 330: 제1연장결속구
331: 제2연장결속구 333: 실린더부재
400: 관절조작키 500: 연장조작부
510: 조작와이어 520: 와이어조작수단
600: 잔압배기밸브 610: 패킹부재
620: 코일스프링 630: 개폐부재
640: 간격조절구

Claims (6)

  1. 흡입펌프에 연결되는 관로의 끝단에 주름관을 매개로 설치되되 외기가 유입된 외기유입공(111)이 형성된 관형 본체부(110)와, 상기 본체부(110)의 내측과 연통되게 연결된 상태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형성되어 작업자가 한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중공형 한 손 파지부(120)와, 상기 한 손 파지부(120)의 내측과 연통되게 설치된 흡기관(121)에 장착되어 흡착대상물을 진공흡착하는 진공흡착부(130)와, 상기 본체부(110)에 설치되어 상기 외기유입공(111)을 개폐하여 외기유입을 제어하는 외기유입제어부(140)로 구성된 진공흡착수단(100);
    상기 진공흡착수단(100)에 마련되는 상기 한 손 파지부(120)에 결합되는 결합구(210)와, 상기 결합구(210)에 연결된 상태로 일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메인연장관(220)과, 상기 메인연장관(220)에 관절부(300)를 매개로 연결되어 연장되게 형성되는 파지연장관(230)으로 구성되어 상기 관절부(300)에 의해 구부림동작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벤딩연장구(200);
    상기 벤딩연장구(2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외기유입제어부(140)를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되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외기유입제어부(14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파지연장관(230)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작와이어(510)와, 상기 파지연장관(230)에 설치되어 상기 조작와이어(510)를 잡아당겨 상기 외기유입제어부(14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조작수단(520)으로 이루어진 연장조작부(500);로 구성되고,
    상기 진공흡착수단(100)에는, 상기 진공흡착수단(100)의 흡기관(121) 일측에 결합되되 다수개의 배기공(611)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패킹부재(610)와, 상기 패킹부재(610)의 배기공(611)에 설치되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패킹부재(61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코일스프링(620)과, 상기 코일스프링(620)의 일측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배기공(611)을 개폐하는 개폐부재(630)로 구성되어 흡착대상물을 흡착하는 흡입압의 해제시 상기 진공흡착수단(100)에 발생하는 잔압을 배기하기 위한 잔압배기밸브(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성능이 향상된 진공흡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300)는 상기 벤딩연장구(200)에 설치되는 관절조작키(400)의 조작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흡착대상물을 작업자의 신체보다 높은 위치로 이송시, 상기 벤딩연장구(200)가 구부려질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성능이 향상된 진공흡착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70086476A 2017-07-07 2017-07-07 적재성능이 향상된 진공흡착장치 KR101935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476A KR101935321B1 (ko) 2017-07-07 2017-07-07 적재성능이 향상된 진공흡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476A KR101935321B1 (ko) 2017-07-07 2017-07-07 적재성능이 향상된 진공흡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5321B1 true KR101935321B1 (ko) 2019-01-04

Family

ID=65017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476A KR101935321B1 (ko) 2017-07-07 2017-07-07 적재성능이 향상된 진공흡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53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4293A (ko) * 2019-07-30 2021-02-09 주식회사 삼인이엔지 벤딩력이 향상된 진공흡착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6120B2 (ja) * 1999-06-30 2001-01-22 株式会社スタンス 物品払出装置
KR101228489B1 (ko) * 2011-06-17 2013-01-31 (주)금성다이아몬드 글래스 패널 이동용 진공흡착 유닛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6120B2 (ja) * 1999-06-30 2001-01-22 株式会社スタンス 物品払出装置
KR101228489B1 (ko) * 2011-06-17 2013-01-31 (주)금성다이아몬드 글래스 패널 이동용 진공흡착 유닛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4293A (ko) * 2019-07-30 2021-02-09 주식회사 삼인이엔지 벤딩력이 향상된 진공흡착장치
KR102246566B1 (ko) * 2019-07-30 2021-04-30 주식회사 삼인이엔지 벤딩력이 향상된 진공흡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17970B (zh) 用于抓钩装置的抓握组件和抓握部件
JP6514254B2 (ja) 把持ツールおよび把持システム
KR101739814B1 (ko) 한 손 조작형 진공흡착장치
CA2664645A1 (en) Double sided rack manipulator jaw actuator system
JPH03202285A (ja) ロボット装置
KR102169403B1 (ko) 진공흡착장치용 진공압형성 지지장치
KR101935321B1 (ko) 적재성능이 향상된 진공흡착장치
CN111003505A (zh) 一种吸盘夹具
JP7279956B2 (ja) 自動リフト装置
KR102263415B1 (ko) 흡착대상물의 무동력 방향전환이 가능한 진공흡착장치
JPH08323676A (ja) ロボットハンド
KR102382763B1 (ko) 이송대상물에 따른 흡착 및 클램핑의 선택조작형 범용이송장치
CN108098819A (zh) 一种机电气一体化抓吸双功能实验装置
KR101878325B1 (ko) 흡착대상물의 측면 동시 파지가 가능한 진공흡착장치용 흡착수단
JP2022094940A (ja) 対象物を吸着し、持ち上げ、移動させ、降下させ及び/又は脱離させるための負圧式操作装置
CN108000550A (zh) 玻璃工件拾取机构以及激光加工系统
CN211812249U (zh) 一种吸盘夹具
KR102022045B1 (ko) 툴체인지형 클램핑 조작장치
KR101914666B1 (ko) 한 손 조작형 클램핑장치
KR102246566B1 (ko) 벤딩력이 향상된 진공흡착장치
KR102268731B1 (ko) 흡착대상물의 리프팅 조작성이 향상된 진공흡착장치
US6948222B1 (en) Hose and tube assembly device
CN110817125A (zh) 一种平板玻璃储存箱及其配套设备
JPH0522811U (ja) 空圧式作業装置の安全装置
KR102059445B1 (ko) 이동식 워크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