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2045B1 - 툴체인지형 클램핑 조작장치 - Google Patents

툴체인지형 클램핑 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2045B1
KR102022045B1 KR1020180027921A KR20180027921A KR102022045B1 KR 102022045 B1 KR102022045 B1 KR 102022045B1 KR 1020180027921 A KR1020180027921 A KR 1020180027921A KR 20180027921 A KR20180027921 A KR 20180027921A KR 102022045 B1 KR102022045 B1 KR 102022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ing
opening
outside air
unit
ai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길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인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인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인이엔지
Priority to KR1020180027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20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0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su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툴체인지형 클램핑 조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클램핑 조작장치에 장착되는 클램핑 툴을 이송대상물에 따라 신속하고 손쉽게 교체 장착할 수 있도록 하고, 이송대상물의 탈거시 주름관 내부의 잔압을 신속히 배출하여 이송대상물의 신속한 탈거작업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툴체인지형 클램핑 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흡입펌프에 연결되는 주름관의 길이방향 일측에 설치되어 이송대상물을 클램핑하는 클램핑 조작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름관(10)의 길이방향 일측에 내부가 연통되게 설치되되 외기의 유입을 위한 외기유입공(110)과 잔압제어공(120)이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과 연통되는 파지부(200)를 매개로 연결되게 설치되되 길이방향 일측에 이탈제한콕(320)이 마련된 상태로 외주연에 다수개의 흡기공(310)이 형성된 흡기관(300); 상기 흡기관(300)의 길이방향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이탈제한콕(320)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면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이송대상물을 클램핑할 수 있도록 하는 클램핑 툴(400);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대상물의 클램핑시에는 상기 외기유입공(110)의 개방면적을 조절하여 외기유입량을 제어하고, 상기 이송대상물을 상기 클램핑 툴(400)로부터 탈거시에는 상기 외기유입공(110)의 개방 후 상기 잔압제어공(120)의 개방면적을 조절하여 외기유입으로 인한 상기 주름관 내부의 잔압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외기제어수단(5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툴체인지형 클램핑 조작장치{TOOL CHANGE TYPE CLAMPING OPERA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툴체인지형 클램핑 조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클램핑 조작장치에 장착되는 클램핑 툴을 이송대상물에 따라 신속하고 손쉽게 교체 장착할 수 있도록 하고, 이송대상물의 탈거시 주름관 내부의 잔압을 신속히 제거하여 이송대상물의 신속한 탈거작업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툴체인지형 클램핑 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글래스패널이나 금속판재, 석재와 같은 판재를 작업공정에 따라 이동하거나 적재하기 위한 수단으로 클램핑장치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클램핑장치는 유리공자, 디스플레이 생산라인, 건축공사 현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클램핑장치는 천장에 설치되는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호이스트에 의해 이송대상물을 파지하거나 걸어 들어올리는 방식이나 글래스패널과 같은 이송대상물을 진공흡착하는 방식이 있으며, 호이스트에 의해 이송대상물을 일정한 장소로 옮기는 클램핑장치의 경우, 천장에 설치되는 레일을 따라 이동되므로 레일의 설치에 따른 시공비 상승의 문제가 있고, 이송대상물을 옮기는 작업의 진행시 후크에 이송대상물을 걸어 놓은 상태로 별도로 마련된 조작스위치를 조작하여 상기 후크에 감아올리는 방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시간의 지연은 물론 작업능률의 저하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또한, 진공흡착에 의해 이송대상물을 클램핑하는 장치의 경우, 주름관에 흡착장치가 연결되어 그 흡착장치를 통해 일정한 중량을 갖는 이송대상물을 진공흡착하여 적치장소로 이송하고, 적치장소로 이송되면 핸들링을 통해 흡착장치의 내부 진공압을 해제하여 이송대상물이 상기 흡착장치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흡착방식에 의해 이송대상물을 이송하는 클램핑장치는 핸들링을 통해 외기의 유입량을 제어하는데 상당한 기술적 노하우가 필요하여 전문가가 아니면 핸들링을 수행하기에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또한, 흡착방식에 의해 이송대상물을 이송하는 클램핑장치는 중량이나 크기가 크기 때문에 두손을 모두 사용하여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고, 흡착장치의 조작시 피로도가 증가됨에 따라 작업성이 현저히 감소됨은 물론 피로도 증가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률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흡착펌프의 구동을 중지하지 않는 상태에서 이송대상물을 정리하거나 주변정리를 수행하는 등의 잠깐동안의 휴지시 흡착펌프의 지속적인 구동에 의해 상기 주름관이 수축되어 클램핑장치가 작업자의 신체보다 높게 위지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클램핑장치를 파지하기 위해 흡착펌프의 구동을 멈추거나 작업대의 상부로 올라가 클램핑장치를 끌어내리는 등의 불필요한 작업이 이루어져 작업능률을 상당히 저하시키게 되고, 상기 주름관이 최대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흡착펌프가 지속적으로 구동하는 경우, 흡착펌프의 과부하로 인한 고장으로 작업이 중지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클램핑장치에 진공흡착된 이송대상물을 소정의 장소에 내려놓기 위한 탈거 작업시 상기 주름관의 내부에 잔압이 형성됨에 따라 클램핑장치에서 이송대상물의 신속한 탈거작업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08015호의 에어밸런싱 진공흡착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송대상물을 클램핑 하기 위한 클램핑 툴을 이송대상물에 따라 신속하고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고, 클램핑 툴에 클램핑 된 이송대상물을 소정의 위치에서 탈거시 핑거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외기의 유입을 제어함으로써 주름관 내부의 잔압을 신속히 제거하여 이송대상물의 신속한 탈거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툴체인지형 클램핑 조작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흡입펌프에 연결되는 주름관의 길이방향 일측에 설치되어 이송대상물을 클램핑하는 클램핑 조작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름관(10)의 길이방향 일측에 내부가 연통되게 설치되되 외기의 유입을 위한 외기유입공(110)과 잔압제어공(120)이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과 연통되는 파지부(200)를 매개로 연결되게 설치되되 길이방향 일측에 이탈제한콕(320)이 마련된 상태로 외주연에 다수개의 흡기공(310)이 형성된 흡기관(300); 상기 흡기관(300)의 길이방향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이탈제한콕(320)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면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이송대상물을 클램핑할 수 있도록 하는 클램핑 툴(400);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대상물의 클램핑시에는 상기 외기유입공(110)의 개방면적을 조절하여 외기유입량을 제어하고, 상기 이송대상물을 상기 클램핑 툴(400)로부터 탈거시에는 상기 외기유입공(110)의 개방 후 상기 잔압제어공(120)의 개방면적을 조절하여 외기유입으로 인한 상기 주름관 내부의 잔압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외기제어수단(5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기제어수단(500)은,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조작되는 핑거조작부(510)와, 상기 핑거조작부(510)의 조작에 의해 상기 외기유입공(110)과 잔압제어공(120)을 순차적으로 개방하는 개폐부(520)와, 상기 핑거조작부(51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핑거조작부(510)의 조작을 제어하는 조작제어부(53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개폐부(520)는, 상기 핑거조작부(510)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대상물의 클램핑시 상기 핑거조작부(510)의 조작에 의해 상기 외기유입공(110)를 개폐하는 외기개폐구(521)와, 상기 이송대상물의 탈거시 상기 외기개폐구(521)에 의한 상기 외기유입공(110)의 개방 후 상기 핑거조작부(510)의 조작에 의해 상기 잔압제어공(120)을 개방하는 탄성개폐판(522)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조작제어부(530)는, 상기 핑거조작부(51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핑거조작부(510)의 조작를 제어하는 메인제어유닛(540)과, 상기 탄성개폐판(522)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에 상기 메인제어유닛(540)과 연동되게 설치되는 가압유닛(55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클램핑 툴은, 상기 이탈제한콕(320)에 의해 이탈이 방지된 상태로 상기 흡기관(300)의 길이방향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흡기관(300)의 내부와 연통되게 장착되는 탈착구(410)와, 상기 탈착구(410)에 장착되어 이송대상물의 클램핑 시 내부관로의 차단에 의해 외기의 유입이 방지되고, 이송대상물이 클램핑 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내부 관로의 개방에 의해 외기가 유입되는 툴부재(42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툴부재(420)는, 상기 탈착구(410)의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되 내주연에 걸림차단패킹(433)이 설치된 중공형 바디구(430)와, 상기 바디구(430)의 내측에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이송대상물의 클램핑시 상기 걸림차단패킹(433)에 걸림되어 상기 흡기관(300)방향으로 외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외기차단유닛(440)과, 상기 바디구(43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외기차단유닛(440)의 왕복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편(450)과,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가이드편(45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외기차단유닛(440)에 연결되어 이송대상물을 클램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외기차단유닛(440)을 이동시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구(46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대상물에 따란 클램핑 툴을 신속하고 손쉽게 교체할 수 있어 현장적응성의 향상은 물론 작업능률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고, 이송대상물의 탈거시 핑거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주름관 내부의 잔압을 신속히 제거할 수 있어 이송대상물의 탈거작업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툴체인지형 클램핑 조작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툴체인지형 클램핑 조작장치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 툴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 툴의 배면분리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 툴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 툴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외기제어수단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툴체인지형 클램핑 조작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툴체인지형 클램핑 조작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툴체인지형 클램핑 조작장치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 툴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 툴의 배면분리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 툴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 툴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외기제어수단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툴 체인지형 클램핑 조작장치는 흡입펌프에 연결되는 주름관(10)의 길이방향 일측에 설치되어 이송대상물을 클램핑하는 클램핑 조작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름관(10)의 길이방향 일측에 내부가 연통되게 설치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과 연통되는 파지부(200)를 매개로 연결되게 설치되는 흡기관(300)과, 상기 흡기관(300)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클램핑 툴(400)과,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외기제어수단(500)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툴 체인지형 클램핑 조작장치는 한 손으로 클램핑조작장치를 파지한 상태에서 이송대상물을 상기 클램핑 툴(400)에 의해 클램핑하는 경우, 상기 주름관(10)이 수축되면서 상기 이송대상물이 들어올려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흡입펌프의 계속적인 흡입구동에 의해 상기 주름관(10)의 과도한 수축이 발생되므로 상기 파지부(2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의 구부림동작에 의해 상기 외기제어수단(500)을 조작하여 적절한 양의 외기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주름관(10)의 과도한 수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클램핑 툴(400)에 클램핑 된 이송대상물을 내려놓은 탈거과정에서 상기 주름관(10)의 내부에 형성된 잔압의 신속한 제거를 통해 이송대상물의 탈거작업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이송대상물에 따라 작업현장에서 상기 클램핑 툴(400)을 선택적으로 손쉽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본체부(100)는 통체의 형상으로 상기 주름관(10)의 길이방향 일측에 내부가 연통되게 설치되되 외기의 유입을 위한 외기유입공(110)과 잔압제어공(120)이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00)에는 상기 파지부(200)의 내부와 연통되는 연통공(13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부(100)에는 상기 외기유입공(110)과 잔압제어공(120)의 개폐를 위한 상기 외기제어수단(500)이 설치되는데, 상기 외기제어수단(500)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흡기관(300)은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와 연통되는 중공형 파지부(200)를 매개로 연결되게 설치되되 길이방향 일측에 이탈제한콕(320)이 마련된 상태로 외주연에 다수개의 흡기공(310)이 형성된다.
즉, 상기 파지부(200)의 길이방향 일측은 상기 연통공(130)이 형성된 위치의 상기 본체부(100)의 하측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측에는 상기 흡기관(300)이 연결되게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탈제한콕(320)은 상기 흡기관(300)의 길이방향 일측에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흡기관(300)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구(321)와 상기 돌출구(321)의 길이방향 일측 가장자리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걸림구(322)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클램핑 툴(400)은 상기 흡기관(300)의 길이방향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이탈제한콕(320)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면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이송대상물을 클램핑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클램핑 툴(400)을 상기 흡기관(300)의 길이방향 일측에 끼워 회전시키게되면 상기 이탈제한콕(320)의 돌출걸림구(322)에 걸림되어 상기 흡기관(3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일 실시예로써의 클램핑 툴(400)은 이송대상물을 걸어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이탈제한콕(320)에 의해 이탈이 방지된 상태로 상기 흡기관(300)의 길이방향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흡기관(300)의 내부와 연통되게 장착되는 탈착구(410)와, 상기 탈착구(410)에 장착되어 상기 이송대상물의 클램핑 시 내부 관로의 차단에 의해 외기의 유입이 방지되고, 이송대상물이 클램핑 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관로의 개방에 의해 외기가 유입되는 툴부재(420)로 이루어진다.
상기 탈착구(410)는 상기 흡기관(300)에 끼워지도록 길이방향 일측에 개구부(411)가 형성된 상태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통체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 상기 개구부(411)와 대응되는 위치의 타측에는 상기 이탈제한콕(320)과 대응되는 대응홈(41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탈착구(410)의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 내주연에는 원형 띠 형상의 패킹부재(413)가 설치되고, 상기 흡기관(300)의 흡기공(310)과 연통되는 연통대응공(414)이 형성되며, 상기 연통대응공(414)에는 상기 툴부재(420)의 일측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즉, 상기 탈착구(410)를 상기 흡기관(300)의 길이방향 일측에 끼워 밀어넣은 후, 상기 이탈제한콕(320)이 상기 대응홈(41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면 상기 탈착구(41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돌출걸림구(322)가 상기 탈착구(410)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걸림됨에 따라 상기 탈착구(410)가 상기 흡기관(3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툴부재(420)는 상기 탈착구(410)의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되 내주연에 걸림차단패킹(433)이 설치된 중공형 바디구(430)와, 상기 바디구(430)의 내측에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이송대상물의 클램핑시 상기 걸림차단패킹(433)에 걸림되어 상기 흡기관(300)방향으로 외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외기차단유닛(440)과, 상기 바디구(43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외기차단유닛(440)의 왕복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편(450)과,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가이드편(45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외기차단유닛(440)에 연결되어 이송대상물을 클램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외기차단유닛(440)을 이동시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구(46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바디구(430)는 상기 연통대응공(414)에 고정되게 끼움결합되는 중공형 고정장착구(431)와 상기 고정장착구(431)의 하측단에 일체로 연결되되 내주연에 상기 걸림차단패킹(433)이 돌출되게 형성된 중공형 연장바디(43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정장착구(431)와 연장바디(432)의 내부는 상호 연통된 상태에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외기차단유닛(440)은, 상기 연장바디(432)의 내부에 상하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하측이 상기 걸림차단패킹(433)에 걸림되고, 외주연에 다수개의 유동공(442)이 형성된 왕복이동구(441)와, 상기 왕복이동구(441)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연장바디(432)의 하측외부로 연장되어 단부에 이송대상물이 클램핑되는 클램핑걸이구(44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가이드편(450)은 상기 연장바디(432)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외기의 유입을 위한 다수개의 유입홀(45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클램핑걸이구(443)가 관통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홀(45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구(460)는 상기 왕복이동구(441)와 가이드편(450) 사이의 클램핑걸이구(443)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클램핑걸이구(443)에 이송대상물이 클램핑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탄성에 의해 상기 왕복이동구(441)를 상기 연장바디(432)의 상측방향으로 밀어 올려 외기가 상기 왕복이동구(441)의 내측을 통해 상기 흡기관(300)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클램핑걸이구(443)에 이송대상물이 클램핑되어 상기 왕복이동구(441)의 하측이 상기 걸림차단패킹(433)에 걸림되어 외기의 유입이 방지되는 경우 상기 왕복이동구(441)의 이동에 의해 압축된 상태에 있게 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써의 클램핑 툴은 상기 탈착구(410)와 대응되는 구성을 갖는 상태로 상기 흡기관(300)의 길이방향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체(470)와, 이송대상물에 밀착되는 흡착패드(480)와, 상기 흡착패드(48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체(470)에 연결되는 연결몸체(490)로 이루어진다.
즉, 다른 실시예로써의 클램핑 툴은 대형 판유리나 판재 등과 같은 이송대상물을 진공흡착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흡착패드(480)를 이송대상물의 상측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흡입펌프의 구동에 의한 진공흡입압에 의해 상기 이송대상물을 들어올려 소정의 위치에 이송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외기제어수단(500)은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대상물의 클램핑시에는 상기 외기유입공(110)의 개방면적을 조절하여 외기유입량을 제어하고, 상기 이송대상물을 상기 클램핑 툴(400)로부터 탈거시에는 상기 외기유입공(110)의 개방 후 상기 잔압제어공(120)의 개방면적을 조절하여 상기 잔압제어공(120)을 통한 외기유입으로 상기 주름관(10) 내부의 잔압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클램핑 툴(400)에 이송대상물을 클램핑 한 후 이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외기제어수단(500)을 조작하여 상기 외기유입공(110)의 개방면적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외기유입공(110)을 통한 상기 주름관(10)의 내부로의 외기유입량을 조절하여 상기 주름관(10)의 신축을 제어하고, 상기 클램핑 툴(400)에서 이송대상물을 탈거시 상기 외기유입공(110)의 개방과 함께 상기 잔압제어공(120)이 개방되도록 하여 많은 양의 외기가 상기 주름관(10)의 내부로 순간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주름관(10)의 내부 잔압을 신속히 제거하여 이송대상물의 탈거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외기제어수단(500)의 일 실시예로써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조작되는 핑거조작부(510)와, 상기 핑거조작부(510)의 조작에 의해 상기 외기유입공(110)과 잔압제어공(120)을 순차적으로 개방하는 개폐부(520)와, 상기 핑거조작부(51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핑거조작부(510)의 조작을 제어하는 조작제어부(530)로 이루어진다.
즉, 이송대상물을 클램핑하여 이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핑거조작부(510)를 조작하여 상기 개폐부(520)에 의해 상기 외기유입공(110)만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이송대상물의 탈거시에는 상기 외기유입공(110)의 개방 후 상기 잔압제어공(120)을 개방함으로써 많은 양의 외기가 상기 주름관(10)의 내부로 순간 유입되게 하여 주름관 내부 잔압을 신속히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핑거조작부(510)는 상기 본체부(100)의 하측면에 장착되는 회전지지구(14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을 걸 수 있도록 "ㄱ"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개폐부(520)는 상기 핑거조작부(5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대상물의 클램핑시 상기 핑거조작부(510)의 조작에 의해 상기 외기유입공(110)을 개폐하는 외기개폐구(521)와, 상기 이송대상물의 탈거시 상기 외기개폐구(521)에 의한 상기 외기유입공(110)의 개방 후 상기 핑거조작부(510)의 조작에 의해 상기 잔압제어공(120)을 개방하는 탄성개폐판(522)으로 구성된다.
즉, 이송대상물의 클램핑시 상기 핑거조작부(510)를 상기 파지부(200)방향으로 일정길이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외기유입공(110)을 막고 있는 상기 외기개폐구(521)가 열리면서 상기 외기유입공(110)이 개방되어 일정량의 외기가 유입되고, 이송대상물의 탈거시 상기 핑거조작부(510)를 상기 파지부(200)방향으로 잡아당겨 밀착시키게 되면 상기 잔압제어공(120)을 막고 있는 상기 탄성개폐판(522)이 열리게 되어 많은 양의 외기가 상기 주름관(10)의 내부로 순간 유입되어 그 주름관 내부의 잔압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핑거조작부(510)에는 상기 잔압제어공(120)의 개방 시 상기 탄성개폐판(522)이 열리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개방조절구(511)가 설치되고, 상기 개방조절구(511)는 상기 핑거조작부(510)에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클램핑 툴(400)에 클램핑 되는 이송대상물의 크기, 중량, 종류 등에 따라 상기 잔압제어공(120)의 최대 개방면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송대상물의 안전한 탈거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상기 외기개폐구(521)는 단면상 상기 파지부(200)방향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높아지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되 하측면에서 상측면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지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외기개폐구(521)가 판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핑거조작부(510)를 조금만 잡아당기더라도 상기 외기유입공(110)의 전 면적이 순간 개방되어 외기유입의 미세조절이 어려운 문제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외기개폐구(521)를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도록 하여 상기 외기유입공(110)의 개방시, 개방면적이 점차 넓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기유입의 미세조절을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개폐판(522)은 상기 본체부(100)의 하측에 고정구(150)를 매개로 설치되어 상기 잔압제어공(120)의 형성된 부위의 본체부(100)하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잔압제어공(120)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조작제어부(530)는 상기 핑거조작부(51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핑거조작부(510)의 조작을 제어하는 메인제어유닛(540)과, 상기 탄성개폐판(522)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에 상기 메인제어유닛(540)과 연동되게 설치되는 가압유닛(550)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메인제어유닛(540)은 상기 핑거조작부(510)의 상측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외기개폐구(521)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로 연장되는 연장봉체(541)와, 상기 연장봉체(541)의 단부에 힌지결합된 상태로 상기 본체부(100)의 연통공(130) 방향으로 연장되는 링크봉체(542)와, 상기 링크봉체(542)에 힌지결합된 상태로 상기 연통공(130)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부(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편(543)과, 상기 링크봉체(542)에 길이방향 일측이 장착된 상태로 타측이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링크봉체(542)를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외기개폐구(521)가 상기 외기유입공(110)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스프링(54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제어유닛(540)의 구동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핑거조작부(510)를 손가락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외기개폐구(521)가 상기 외기유입공(110)을 개방하게 되고, 그와 동시에 상기 탄성스프링(544)은 인장되며, 상기 조작편(543)은 상기 연통공(130)을 차단하게 된다. 이후, 상기 핑거조작부(510)의 파지 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상기 탄성스프링(54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링크봉체(542)가 잡아당겨져 상기 외기개폐구(521)가 상기 외기유입공(110)을 가리게 되고, 상기 조작편(543)은 상기 연통공(130)을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압유닛(550)은 상기 링크봉체(542)의 하측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밀착봉체(551)와 상기 밀착봉체(551)에서 상기 잔압제어공(120)을 지나 상기 탄성개폐판(522)에 연결되는 가압봉체(552)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핑거조작부(510)를 손가락으로 잡아당겨 상기 외기유입공(110)을 개방하게 되면 상기 링크봉체(542)가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하측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송대상물의 탈거를 위해 상기 핑거조작부(510)를 상기 파지부(200)방향으로 더욱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링크봉체(542)가 상기 밀착봉체(551)에 밀착되면서 그 밀착봉체를 상기 본체부(100)의 하측방향으로 밀게 된다.
이후, 상기 밀착봉체(551)에 연결된 상기 가압봉체(552)가 상기 탄성개폐판(522)을 가압함에 따라 그 탄성개폐판이 상기 고정구(150)를 축으로 열려 상기 잔압제어공(120)이 개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툴체인지형 클램핑 조작장치는 이송대상물을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툴을 이송대상물에 따라 신속하고 손쉽게 교체할 수 있고, 이송대상물의 탈거시 핑거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많은 양의 외기가 순간 유입됨에 따라 주름관 내부의 잔압을 신속히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무부하 상태에서 클램핑 조작장치의 빠른 하강을 이룰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된다.
즉, 상기 클램핑 툴(400)에 이송대상물이 클램핑 되지 않은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작장치를 하측방향으로 잡아당기는 과정시, 흡입펌프의 흡입구동에 의해 조작장치를 하강시키는데 어려움이 따르게 되는데, 이때 상기 외기유입공(110)과 잔압제어공(120)을 모두 개방하여 주름관 내의 흡입압을 저하시키게 되면 조작장치의 빠른 하강동작을 수행할 수 있어 다음 작업과정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부(100)에 외기유입공(110)과 잔압제어공(120)을 각각 형성하여 이송대상물의 클램핑시나 탈거시 외기의 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상기 잔압제어공(120)을 형성하지 않고 상기 외기유입공(110)의 면전만을 크게 하여 형성하는 경우, 이송대상물의 이송과정에서 상기 핑거조작부(510)의 조작에 의한 상기 외기유입공(110)의 적절한 개방조작에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부(100)에 상기 외기유입공(110)과 잔압제어공(120)을 각각 형성하여 이송대상물의 클램핑시 상기 외기유입공(110)의 미세개방조작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면서 이송대상물의 탈거시에는 상기 외기유입공(110)의 개방이후 상기 잔압제어공(120)을 개방하여 주름관 내부의 잔압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본체부 110: 외기유입공
120: 잔압제어공 130: 연통공
140: 회전지지구 150: 고정구
200: 파지부 300: 흡기관
310: 흡기공 320: 이탈제한콕
321: 돌출구 322: 돌출걸림구
400: 클램핑 툴 410: 탈착구
411: 개구부 412: 대응홈
413: 패킹부재 414: 연통대응공
420: 툴부재 439: 바디구
431: 고정장착구 432: 연장바디
433: 걸림차단패킹 440: 외기차단유닛
441: 왕복이동구 442: 유동공
443: 클램핑걸이구 450: 가이드편
451: 유입홀 452: 관통홀
460: 탄성구 470: 회전체
480: 흡착패드 490: 연결몸체
500: 외기제어수단 510: 핑거조작부
511: 개방조절구 520: 개폐부
521: 외기개폐구 522: 탄성개폐판
530: 조작제어부 540: 메인제어유닛
541: 연장봉체 542: 링크봉체
543: 조작편 544: 탄성스프링
550: 가압유닛 551: 밀착봉체
552: 가압봉체

Claims (6)

  1. 흡입펌프에 연결되는 주름관의 길이방향 일측에 설치되어 이송대상물을 클램핑하는 클램핑 조작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름관(10)의 길이방향 일측에 내부가 연통되게 설치되되 외기의 유입을 위한 외기유입공(110)과 잔압제어공(120)이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과 연통되는 파지부(200)를 매개로 연결되게 설치되되 길이방향 일측에 이탈제한콕(320)이 마련된 상태로 외주연에 다수개의 흡기공(310)이 형성된 흡기관(300); 상기 흡기관(300)의 길이방향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이탈제한콕(320)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면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이송대상물을 클램핑할 수 있도록 하는 클램핑 툴(400);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대상물의 클램핑시에는 상기 외기유입공(110)의 개방면적을 조절하여 외기유입량을 제어하고, 상기 이송대상물을 상기 클램핑 툴(400)로부터 탈거시에는 상기 외기유입공(110)의 개방 후 상기 잔압제어공(120)의 개방면적을 조절하여 외기유입으로 인한 상기 주름관 내부의 잔압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외기제어수단(500);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기제어수단(500)은,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조작되는 핑거조작부(510)와, 상기 핑거조작부(510)의 조작에 의해 상기 외기유입공(110)과 잔압제어공(120)을 순차적으로 개방하는 개폐부(520)와, 상기 핑거조작부(51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핑거조작부(510)의 조작을 제어하는 조작제어부(530)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폐부(520)는, 상기 핑거조작부(510)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대상물의 클램핑시 상기 핑거조작부(510)의 조작에 의해 상기 외기유입공(110)를 개폐하는 외기개폐구(521)와, 상기 이송대상물의 탈거시 상기 외기개폐구(521)에 의한 상기 외기유입공(110)의 개방 후 상기 핑거조작부(510)의 조작에 의해 상기 잔압제어공(120)을 개방하는 탄성개폐판(522)으로 구성되고,
    상기 조작제어부(530)는, 상기 핑거조작부(51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핑거조작부(510)의 조작를 제어하는 메인제어유닛(540)과, 상기 탄성개폐판(522)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에 상기 메인제어유닛(540)과 연동되게 설치되는 가압유닛(5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체인지형 클램핑 조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툴은, 상기 이탈제한콕(320)에 의해 이탈이 방지된 상태로 상기 흡기관(300)의 길이방향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흡기관(300)의 내부와 연통되게 장착되는 탈착구(410)와, 상기 탈착구(410)에 장착되어 이송대상물의 클램핑 시 내부관로의 차단에 의해 외기의 유입이 방지되고, 이송대상물이 클램핑 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내부 관로의 개방에 의해 외기가 유입되는 툴부재(4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체인지형 클램핑 조작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툴부재(420)는, 상기 탈착구(410)의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되 내주연에 걸림차단패킹(433)이 설치된 중공형 바디구(430)와, 상기 바디구(430)의 내측에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이송대상물의 클램핑시 상기 걸림차단패킹(433)에 걸림되어 상기 흡기관(300)방향으로 외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외기차단유닛(440)과, 상기 바디구(43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외기차단유닛(440)의 왕복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편(450)과,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가이드편(45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외기차단유닛(440)에 연결되어 이송대상물을 클램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외기차단유닛(440)을 이동시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구(4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체인지형 클램핑 조작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80027921A 2018-03-09 2018-03-09 툴체인지형 클램핑 조작장치 KR102022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921A KR102022045B1 (ko) 2018-03-09 2018-03-09 툴체인지형 클램핑 조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921A KR102022045B1 (ko) 2018-03-09 2018-03-09 툴체인지형 클램핑 조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2045B1 true KR102022045B1 (ko) 2019-09-18

Family

ID=68070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921A KR102022045B1 (ko) 2018-03-09 2018-03-09 툴체인지형 클램핑 조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20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8292A (ko) * 2020-05-12 2021-11-19 최길웅 이송대상물에 따른 흡착 및 클램핑의 선택조작형 범용이송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0305A (ja) * 1998-05-26 1999-12-10 Sony Corp 吸着装置及び吸着方法並びにこの吸着装置を備える半導体製造装置
KR101591414B1 (ko) * 2015-07-28 2016-02-03 주식회사 삼인이엔지 진공흡착장치
KR101739814B1 (ko) * 2016-03-28 2017-05-25 주식회사 삼인이엔지 한 손 조작형 진공흡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0305A (ja) * 1998-05-26 1999-12-10 Sony Corp 吸着装置及び吸着方法並びにこの吸着装置を備える半導体製造装置
KR101591414B1 (ko) * 2015-07-28 2016-02-03 주식회사 삼인이엔지 진공흡착장치
KR101739814B1 (ko) * 2016-03-28 2017-05-25 주식회사 삼인이엔지 한 손 조작형 진공흡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8292A (ko) * 2020-05-12 2021-11-19 최길웅 이송대상물에 따른 흡착 및 클램핑의 선택조작형 범용이송장치
KR102382763B1 (ko) * 2020-05-12 2022-04-05 최길웅 이송대상물에 따른 흡착 및 클램핑의 선택조작형 범용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53516B (zh) 铸造机器人内外两用式自适应抓手
CN211104063U (zh) 一种工业机器人夹持装置
KR102022045B1 (ko) 툴체인지형 클램핑 조작장치
CN111003505A (zh) 一种吸盘夹具
KR101739814B1 (ko) 한 손 조작형 진공흡착장치
NL2014635B1 (en) Gripper, gripper assembly and method for gripping a tire component.
US7310865B2 (en) Gap setting tool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CN113927586A (zh) 一种可夹取不同形状工件的机械手及其使用方法
JP2015203129A (ja) 真空処理装置
CN208408217U (zh) 一种管件双头冲弧机
TWI641330B (zh) 鞋面之輸送機構
US6893070B2 (en) Integrated end effector
KR102382763B1 (ko) 이송대상물에 따른 흡착 및 클램핑의 선택조작형 범용이송장치
CN207724318U (zh) 陶瓷马桶搬运机械手
KR101914666B1 (ko) 한 손 조작형 클램핑장치
KR101935321B1 (ko) 적재성능이 향상된 진공흡착장치
CN211545205U (zh) 一种防疫手套生产线上的手套抓取设备
CN209568169U (zh) 一种籽晶铺设装置
CN209651299U (zh) 饰板清洗、检测一体输送线
CN207671120U (zh) 一种新的阳极板链输送装置
CN219603047U (zh) 一种铍铜料块的转运装置
CN212314869U (zh) 缸体自动化加工过程中平衡吊上下料使用的夹具装置
CN216736433U (zh) 一种手持式负压装置
CN221051399U (zh) 一种简易气动平衡吊手持开关装置
CN215240851U (zh) 一种双臂上下料机械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