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4607B1 - 화상 표시 장치용 방현 시트 - Google Patents

화상 표시 장치용 방현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4607B1
KR101934607B1 KR1020147002874A KR20147002874A KR101934607B1 KR 101934607 B1 KR101934607 B1 KR 101934607B1 KR 1020147002874 A KR1020147002874 A KR 1020147002874A KR 20147002874 A KR20147002874 A KR 20147002874A KR 101934607 B1 KR101934607 B1 KR 101934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uminance
diffusion
transmission
transparent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2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2865A (ko
Inventor
겐 후루이
마코토 혼다
다카시 고다마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72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2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4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4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06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multicolour or other optical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3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formed of particles, e.g. chips, granules, powd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an irregular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dispersed p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2Antiglare, refractive index matching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4Diffusing, scattering, diffrac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2Composition of the impregnated, bonded or embedded layer
    • B32B2260/025Particulat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23Vinyl resin fibres
    • B32B2262/023Aromatic vinyl resin,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23Vinyl resin fibres
    • B32B2262/0238Vinyl halide,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8Matt, dull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4Transluc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8Refra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Abstract

광택 있는 흑색감, 암소 흑색미, 동화 용도로 방현성이 우수하고, 고도의 화질 실현에 적합한 방현 시트를 얻는 것. 투명 기재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확산 입자 및 제 1 바인더로 이루어지는 요철화 층, 및 제 2 바인더로 이루어지는 평활화 층이 상기 투명 기재로부터 순서대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방현층을 갖는 방현 시트로서, 상기 요철화 층은 상기 투명 기재와는 반대 측의 면에 상기 확산 입자에 기초하는 제 1 볼록부를 갖고, 상기 평활화 층은 상기 투명 기재와는 반대 측의 면에 상기 제 1 볼록부에 기초하는 제 2 볼록부를 갖고, 상기 방현 시트에 상기 투명 기재 측으로부터 수직으로 가시광선을 조사했을 때의 정투과 방향의 휘도를 Q, 정투과로부터 30 도 방향의 휘도를 Q30, 정투과로부터 +2 도 방향의 휘도와 정투과로부터 +1 도 방향의 휘도를 잇는 직선, 및, 정투과로부터 -2 도 방향의 휘도와 정투과로부터 -1 도 방향의 휘도를 잇는 직선을 각각 정투과에 외삽한 투과 강도의 평균값을 U 로 했을 때, 하기의 (식 1) 및 (식 2)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시트.
(식 1) 10 < Q/U < 36
(식 2) Log10(Q30/Q) < -6

Description

화상 표시 장치용 방현 시트{ANTI-GLARE SHEET FOR 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흑채감, 암소 (暗所) 흑색미, 동화 (動畵) 용도에서의 방현성 (동화 방현성) 이 우수하고, 고도의 화질 실현에 적합한 화상 표시 장치용 방현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음극선관 표시 장치 (CRT), 액정 디스플레이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PDP), 일렉트로루미네선스 디스플레이 (ELD)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최표면에는 반사 방지를 위한 광학 적층체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반사 방지용 광학 적층체는, 광의 확산이나 간섭에 의해 이미지의 비침을 억제하거나 반사율을 저감시키는 것이다.
반사 방지용 광학 적층체의 하나로서, 투명성 기재의 표면에 요철 형상을 갖는 방현층을 형성한 방현 시트가 알려져 있다. 이 방현 시트는, 표면의 요철 형상에 따라 외광을 확산시켜 외광의 반사나 이미지의 비침에 의한 시인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종래의 방현 시트로는, 예를 들어, 투명 기재 필름의 표면에 이산화규소 (실리카) 등의 필러를 포함하는 수지를 도공하여 방현층을 형성한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 참조).
이들 방현 시트는, 응집성 실리카 등의 입자의 응집에 의해 방현층의 표면에 요철 형상을 형성하는 타입, 유기 필러를 수지 중에 첨가하여 층 표면에 요철 형상을 형성하는 타입, 혹은 층 표면에 요철을 가진 필름을 라미네이트하여 요철 형상을 전사하는 타입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현 시트는, 어느 타입이라도, 방현층의 표면 형상의 작용에 의해 광 확산·방현 작용을 얻도록 하고 있으며, 방현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요철 형상을 크고 많게 할 필요가 있지만, 요철이 크고 많아지면, 도막의 담가 (헤이즈값) 가 상승하여 변색이 발생하고, 이것에 수반하여 명실에서의 콘트라스트가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가정에서도 영화 등의 고도의 화질을 표시한 디스플레이를 감상할 기회가 늘어났기 때문에, 암실에서의 흑색 화면의 검음 (이하, 「암소 흑색미」 라고 한다) 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표면 요철에 의해 발현하는 헤이즈를 「표면 헤이즈」, 상기 표면 요철을, 표면 요철을 형성하는 수지 또는 그 수지와의 굴절률 차가 적어도 0.02 이내인 수지를 사용하여 평활화했을 때에 발현하는 헤이즈를 「내부 헤이즈」 라고 정의하며, JIS K 7136 (2000) 에 준거하여 측정한다.
콘트라스트를 간편하게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헤이즈값이나 내부 헤이즈와 총 헤이즈의 비가 일반적으로 이용되어 왔다. 즉, 광학 시트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헤이즈값을 제어하도록 재료의 특정, 제조 조건 등을 제어함으로써, 콘트라스트의 저하가 적은 광학 시트를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었다 (특허문헌 1 ∼ 3 참조).
그러나, 동일한 헤이즈값이라도 콘트라스트가 상이한 경우도 보이며, 예를 들어, 헤이즈값 및 내부 헤이즈와 총 헤이즈의 비를 지표로 하여 제조해도, 반드시 양호한 화상 표시 장치용 방현 시트를 안정적으로 얻을 수는 없다.
또, 방현층 상에 추가로 저굴절의 간섭층을 형성함으로써, 반사율을 저감시키는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지만, 100 ㎚ 정도의 막을 양호한 정밀도로 형성할 필요가 있어, 매우 고가의 것으로 되어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원세그를 비롯한 다양한 배신 (配信) 시스템의 보급이나 대형화의 진전 등에 따라 시청 환경도 다양한 양태가 출현하여, 방현 시트에 요구되는 성능도 보다 광범위하고 또한 개성이 강한 것으로 되어 왔다.
예를 들어, 영화 감상 등을 할 기회의 증가에 따라, 영화관 수준의 고도의 시청 환경에서 즐기기 위해서, 암실에서 동화상을 고화질로 재현하는 것이 요구되거나, 모바일 용도의 증가에 따라, 밝은 옥외에서 정지 화상 및 동화상을 비추기 위해서, 물리적인 강도를 갖고 또한 명실 (明室) 에서 동화 및 정지화 (靜止畵) 의 균형 잡힌 화질이 요구되고 있다.
즉, 디스플레이 단말에 요구되는 화상 품질은 변화하고 있고, 시청 환경에 적합한 성능을 갖는 화상 표시 장치용 방현 시트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시청 환경에 따라 요구가 상이한 것의 예를 나타내는 특허문헌 4 및 5 에는, 정지 화상과 동화상에서는 요구 성능은 상이하고, 또, 관찰자의 시청 상태도 상이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예의 검토한 결과, 종래 생각되고 있던 바와 같이, 단순히 내부 확산과 표면 확산의 합이 총 헤이즈가 되는 것이 아니라, 총 헤이즈는, 내부 확산과 표면 확산 이외에 확산 입자와 표면 요철의 위치 관계에도 영향받는 것을 알아내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암실 및 명실에서의 고도의 흑색미 및 고도의 동화상과 정지 화상의 공용에 적합한 화상 표시 장치용,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용 방현 시트에 대한 요구 성능을 예의 검토한 결과, 암실에서의 고도의 흑색미를 얻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고려된 적이 없었던 「미광 (迷光) 성분」 을 거의 발생하지 않는 확산 특성으로 해야 하는 것을 알아내었다 (이하, 화상 표시 장치를 간단히 액정 표시 장치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미광 성분」 이란, 방현 시트의 표면 및/또는 내부에 존재하는 확산 요소에 의해 (예를 들어, 표면의 경우에는, 요철 형상 그 자체가, 내부의 경우에는, 요철 형상을 형성하기 위한 입자 등이 확산 요소가 된다), 방현 시트 내부에 입사한 광 중, 방현 시트 내부에 있어서 목적으로 하는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주행하는 제어 불가능한 광 성분을 말하며, 방현 시트 내부에서 반복 반사하는 경우가 많다.
또, 명실에서의 동화상과 정지 화상에 대해서는 영상광의 미광 성분을 고려하면서, 지금까지는 방지하는 것만이 요구되고 있던 외광의 정반사 성분을 적당히 갖게 하는 것이 감상할 수 있는 화질을 얻기 위해서 중요한 것임을 알아내었다.
즉, 상기 서술한 미광 성분은, 암부 (暗部) (예를 들어 흑색) 와 명부 (明部) (예를 들어 백색) 가 동일 화면 내에 존재할 때에, 명부의 영상광이 광학 시트의 확산 요소에 의해 일부가 미광이 되고, 암부로부터 출광하는 소위 플레어가 되어 콘트라스트의 저하, 특히 암실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입체감이 없어져 평면적이고 변화가 부족한 화상이 되어 버린다.
또한, 미광 성분은, 정면에서 본 경우에는 영향이 적고, 경사 방향에서 본 경우에는 보다 강하게 영향을 끼치기 쉽다.
또, 외광의 정반사 성분에 대해서는, 정반사가 극단적으로 적은 광학 시트는 사람의 관능 특성의 영향을 받아, 화상이 의태물로서 검지되는 데에 반해, 정반사 성분을 적당히 갖는 광학 시트는 화상이 실태물로서 검지되기 쉬워져, 소위, 동화상 화면에 특유한 화상의 광택 및 반짝임을 증가시키게 되어, 약동감이 있는 화상이 되는 것을 알아내었다.
또한, 이와 같은 동화상에 요구되는, 콘트라스트, 입체감 및 약동감을 겸비한 성능 (예를 들어, 푸른 하늘 아래의 젊은이의 장면을 예로 들면, 화면에 표시된 흑발의 머리카락은 찰랑찰랑한 감이 있는 흑색이고, 검은 눈동자는 윤택이 있는 흑색이고, 또한, 피부에 젊은이 특유의 광택이 있어 생생하게 보이는 등) 을 「흑채감」 이라고 칭한다.
게다가, 조명하에서 영화 감상을 하는 경우나, 모바일 용도에서는, 동화상의 감상시에도 동화상의 감상에 대응한 내 (耐) 비침성 (방현성) 이 요구되고 있다. 그와 같은, 완전히 화상 표시 장치 앞 물체의 비침이 없는 것은 아니고, 동화를 관측하는 관측자의 윤곽이나 배경에 있는 대상물의 윤곽이나 경계선이 희미해지는 정도의 미약한 내비침성을 「동화 방현성」 이라고 칭한다.
또한 최근, 영화 감상 등의 고도의 감상 조건하, 즉 외광이 없는 암실 조건이고, 또한, 표시 장치의 호감 영역 내 (정면 휘도의 33.3 % 이상의 휘도로 볼 수 있는 감상 범위) 에서의 감상에 있어서, 현저하고 고수준의 흑색미인 「암소 흑색미」 가 우수한 액정 표시 장치용 방현 시트가 요구되고 있다.
또, 정지 화상에 콘트라스트와 한층 내비침성이 우수한 화상이 요구되고, 이와 같은 정지 화상에 요구되는 콘트라스트와 내비침성을 겸비한 성능을 「화상 선명도」 라고 칭한다.
즉, 흑채감과 화상 선명도가 우수한 액정 표시 장치용 방현 시트여야 한다는 요망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화질 평가로는, 특허문헌 6 에는 「흑색 선명성」 이, 특허문헌 7 에는 「광택 있는 흑색감」 이 기재되어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의 원리적인 결함인 화각의 좁음을 개선하기 위해서, 방현 시트에 확산성을 부여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확산성 부여는, 특히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초래한다.
흑색 선명성은, 이 화각 확대와 콘트라스트의 타협을 평가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를 바로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전원 off 시의 흑색미, 전원 on 시의 흑색미 (검은 화상) 를 비교하여, 흑색미가 강할수록 화면의 선명감도 강하다는 관능 비교이다.
정면에서는 매우 약하고, 비스듬할수록 강하게 인지되기 쉬워지는 미광 성분 이외에, 액정 디스플레이에서는 그 시스템 구성 상, 흑색 표시에 있어서도 액정 표시 소자 그 자체로부터 누설되는 광 (누설광) 이 존재하므로, 바로 정면에서 본 전원 on 시의 흑색미란, 전술한 누설광과 외광 반사를 합한 경우의 검음의 가감이며, 전술한 전원 off 시의 흑색미란, 영상광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외광 반사만이 있을 때의 흑색미이다.
바꾸어 말하면, 흑색 선명성이란, 외광에도 누설광에도 흑색미가 강하게 되어, 전술한 흑채감과는 달리, 미광 성분은 고려되지 않았고, 또, 적당히 필요한 정반사 성분이 고려되지 않았기 때문에, 비록 콘트라스트는 높아도 화상의 광택 및 반짝임이 떨어져, 약동감은 발생하지 않고, 흑채감은 높아지지 않는다. 특히, 확산을 크게 하여 화각을 확대하는 것이 우선되므로 미광 성분이 발생하기 쉬워, 암소 흑색미가 저하되기 쉽다.
또, 광택 있는 흑색감이란, 외부로부터 광학 적층체에 입사한 광의 정반사광 성분 이외의 확산을 억제하고, 이 정반사광 이외에는 관측자의 눈에 닿지 않게 함으로써, 명실 환경하에서 화상 표시 장치를 흑색 표시했을 때의 흑색의 재현성, 즉, 흑색의 계조 표현의 풍부함이며, 광학 적층체의 필름면과 반대 측에 크로스 니콜의 편광판 혹은 광학 필름용 아크릴계 점착제 (전광선 투과율 90 % 이상, 헤이즈 0.5 % 이하, 막 두께 10 ∼ 55 ㎛ 의 제품, 예를 들어 MHM 시리즈:니치에이 가공 (주) 제조, 히타치 화성 공업 (주) 사 제조, 상품명 「L8010」 등) 를 개재한 흑색 아크릴 판에 부착한 후, 삼파장 형광하에서 관능 평가를 실시한다.
즉, 그 측정법으로부터 봐도, 동화 평가는 아니고, 영상광의 미광 성분의 영향도 전혀 고려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비록 광택 및 반짝임은 높아도, 암실 콘트라스트 및 입체감은 발생하지 않아, 흑채감은 높아지지 않는다.
콘트라스트란 흑색 휘도에 대한 백색 휘도의 비이며, 흑색 휘도의 절대값은 백색 휘도에 비해 매우 작으므로 콘트라스는 흑색 휘도의 영향을 보다 강하게 받는다. 콘트라스트가 우수한 화상을 얻기 위해서는 화각 확대를 도모하는 데에 있어서의 명실 흑색미인 「흑색 선명함」, 절대적인 검음인 「암소 흑색미」 및 흑색 영역에서의 계조 표현의 풍부함인 「광택 있는 흑색감」 이 우수한 (이하, 흑색 재현력이 우수하다고 한다) 것이 필요하다.
또한, 정지화와 동화의 양립을 도모하는 데에는, 적어도 입체감 및 약동감을 갖는 흑채감이 우수한 것이 필요하다.
또한, 방현 시트의 확산 특성을 한정하는 특허문헌 8 및 9 에서는, 콘트라스트는 양호해지기는 하지만, 실용에 불가피한 성능인 밀착성, 하드 코트성 등의 물리 성능이나 번쩍임, 동화와 정지화의 양립 등의 과제는 고려되지 않아, 충분한 성능이 얻어지지 않았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67818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334294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17626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81089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89658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264113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32845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60924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60925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하에서, 저굴절 간섭층을 이용하지 않고도, 특히, 암소에서의 고도의 흑색미 (암소 흑색미) 및 흑채감, 광택 있는 흑색감이 우수하고, 동화 용도로 허용할 수 있는 방현성 (동화 방현성) 을 가지며, 실사용에 제공하는 데에 적합한, 음극선관 표시 장치 (CRT), 액정 디스플레이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PDP), 일렉트로루미네선스 디스플레이 (ELD) 등의 화상 표시 장치용 방현 시트 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의 화각과 화질에는 트레이드 오프의 관계가 있다. 지금까지, 액정 텔레비전은 화각이 좁고, 등방성인 CRT 의 대체로서의 관점에서는 결함으로 간주되고, 방현 필름도 화각 확대 기능을 갖는 것이 요망되고 있었다.
그런데, 본 발명자들은 액정 텔레비전을 새로운 디스플레이라고 파악함과 함께, 시청 환경의 변화를 감안하여, 화각이 좁고 등방성이 없는 것을 결함으로서 파악하지 않고, 정면 화질 우선의 사상 아래, 화각과 화질의 트레이드 오프의 속박으로부터 개방되기 위해서 이하의 수단을 강구하였다.
지금까지, 콘트라스트나 방현성은 표면 요철의 JIS B-0601-1994 에 기초하는 산술 평균 조도 (Ra), 10 점 평균 조도 (Rz), 표면 요철의 평균 간격 (Sm) 이나, 고사카 연구소 제조의 표면 조도 측정기 SE-3400 의 취급 설명서 (1995. 07. 20 개정) 에 기재되는 정의에 의한, 요철의 평균 경사각 (θa) 등의 표면 형상에 의존하는 것으로 생각되었거나, 내부 확산제와 바인더의 굴절률 차나 내부 확산 입자의 형상 등에 의한 외광의 반사 상태에 의존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었다. 즉 표면 요철과 내부 확산 요소의 상호 효과가 고려되는 경우가 없었다.
여기서, θa 의 산출 정의를 설명한다.
기준 길이 L 범위 내에 존재하는 요철 형상에 있어서, 하나의 산으로부터 다음 산에 도달할 때까지, 산에는 가장 높은 정수리부:볼록부가 있고, 또한 그 양단에는 오목부가 존재하고 있다. 오목부의 위치는 각각 동일한 높이에 있다고는 할 수 없다.
이 상이한 오목부 위치 각각으로부터 그 삼각형의 정수리부까지의 높이를 h1, h2 로 한다. 동일하게, 기준 길이 범위의 모든 산에 대해, 오목부로부터 볼록부까지의 높이를 구하고, (하나의 산은 2 개의 높이를 갖는다) 높이의 합을 구하고, 기준 길이 L 로 나눈 값의 아크탄젠트를 계산함으로써 구해지는 각도이다.
θa = tan-1[(h1 + h2 + h3 + h4 + ····· + hn)/L]
본 발명자들은, 도 8a 내지 도 8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확산 입자와 바인더의 굴절률 차에 의해, 확산 입자에 입사한 영상광 및 외광의 확산 입자를 투과하는 광 및 반사하는 광의 확산 특성은 크게 달라, 확산 입자와 바인더 수지의 굴절률 차가 클수록 확산 입자에 의한 반사광량이 증가하고, 또한, 확산 입자를 투과하는 광의 확산 각도가 커지므로, 영상광에 의한 미광 성분의 발생 증가와 외광의 반사광량이 증가하고 콘트라스트를 저하시키는 것을 알아내었다.
또 나아가, 도 7a의 1-1 내지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영상광에 있어서는 확산 입자와 표면 요철의 위치 관계에 따라, 확산 입자를 투과한 영상광의 투과 및 반사 특성이나, 해상도나 콘트라스트를 열화시키는 미광 성분의 발생 상황도 크게 상이한 것, 나아가서는, 도 7b의 2-1 내지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광에 있어서도, 확산 입자와 표면 요철의 위치 관계에 따라, 확산층 내부에 침입한 외광의 확산 입자에 의한 반사광의 반사 특성이나 콘트라스트를 열화시키는 미광 성분의 발생 상황도 크게 상이한 것을 알아내어, 본원 방현 시트의 표면 요철의 형상, 확산 입자의 특성, 및 표면 요철과 내부 확산 입자의 상대 관계도 가미함으로써, 콘트라스트나 동화 방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흑채감 (동화상) 과 화상 선명도 (정지 화상) 도 우수한 방현 시트를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 도 7b의 확산 입자 2-2 와 같이, 확산 입자에 의해 반사되는 외광의 확산이 커지는 표면 요철과 확산 입자의 위치 관계에 있는 경우에는, 도 7a의 1-2 와 같이, 영상광에 관해서도 확산이 크고 미광 성분이 발생하기 쉬운 조건이 되어, 영상광에 의한 콘트라스트 저하도 초래하기 쉬워졌다.
즉, 영상광의 미광 성분에 의한 콘트라스트 저하의 대소 관계는 외광의 반사 특성에 근사하여 고려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미광 성분에 의한 흑채감 (동화상) 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 방현층에 강도는 작아도 큰 각도의 확산을 갖게 함으로써 LCD 의 누설광을 넓게 확산시키는 종래의 화각 중시의 방법은, 전술한 미광 성분의 발생을 촉진하게 되어, 특히 암실에서의 고도의 흑색미가 부족한 것이었다.
즉, 지금까지와 같은, 총 헤이즈나 내부 헤이즈 등에 의한 확산 특성의 관리나, 산술 평균 조도 (Ra), 10 점 평균 조도 (Rz), 표면 요철의 평균 간격 (Sm), 평균 경사각 (θa) 등의 표면 형상의 관리를 실시해도 우수한 방현 필름을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자들은, 흑채감이 우수한 동화상을 얻기 위해서는, 내부로부터의 영상광의 지향성이 높은 상태 (광이 있는 방향으로 집중되어 있는 상태) 에 있는 것, 즉, 액정 표시 장치용 방현 시트의 투과 확산이 작고 정투과 강도가 적당히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외광 및 영상광의 미광 성분을 줄일수록 양호해지는 것을 알아내었다.
이에 반해 투과 확산이 크면 미광 성분이 발생하고, 내부 영상광의 지향성이 낮아져 (광이 확산하고, 방향성을 가져 집중되지 않는 상태), 영상이 변색된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살구색 등의 표시에 대해 생생한 표시가 되지 않는다.
한편, 화상 선명도가 우수한 정지 화상을 얻기 위해서는, 콘트라스트와 내비침성을 양립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내비침성을 개선할 목적으로, 소위 방현성을 강하게 하면 반사 확산이 커져 콘트라스트가 저하되어 버려, 화상 선명도는 악화되어 버린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이 화상 선명도 (정지화) 에 관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관찰자에게 있어 비침이 거슬리는 원인은, 정지 화상 감상시에 관찰자의 초점이, 화상 표시 장치 최표면에 비친, 외부에 존재하는 무엇인가의 이미지 (예를 들어, 관찰자 자신의 이미지나 배경에 존재하는 물체가 비친 이미지) 에 자주 맞춰져, 본래의 화상에 시점이 안정되지 않기 때문인 것이 판명되었다.
그리고, 추가적인 검토 결과, 정지화 감상시에 비친, 외부에 존재하는 무엇인가의 이미지의 윤곽을 선명하지 않게 함으로써, 비침은 거슬리지 않게 되고, 또한 콘트라스트의 저하도 억제할 수 있어, 화상 선명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을 알아내었다.
그런데, 동화 방현성이란, 동화 감상시에 한정된 미약한 내비침성이다. 정지 화상 쪽이 동화상보다 비침에 대한 느낌은 강하여, 동화보다 강한 내비침성이 필요하다. 즉, 화상 선명도를 만족하고 있으면, 동화 방현성을 동시에 만족하고 있게 된다. 한편, 동화 감상에 한정되면, 정지 화상에서의 화상 선명도를 만족하지 않아도, 미약한 내비침성인 동화 방현성을 만족하고 있으면 된다.
즉, 정지 화상에 요구되는 화상 선명도와 동화상의 흑채감을 양립시키기 위해서는, 투과 확산의 정투과 강도 성분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또한, 비친 외부 영상의 윤곽을 선명하지 않게 하거나, 작은 반사 확산을 적당히 갖게 하면서 미광 성분을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한 것임을 알아내었다.
이것은, 정반사 강도 성분을 정반사 근방의 확산으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하의 (a) ∼ (c) 를 고려함으로써, 정지 화상 선명도와 동화상의 흑채감의 양립을 도모한 방현 시트가 얻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즉, (a) 투과 확산이 작을 (정투과 강도가 높다) 것, (b) 정반사 강도 성분이 작을 것, (c) 정반사 근방의 확산으로 변환할 것의 3 요소를 만족시키는 것이다.
방현 시트는, 일반적으로는 대전 방지 기능을 갖게 하기 위한 도전 입자의 첨가나, 번쩍거림의 방지나 표면 요철 부형 (賦型) 을 위해서 미세 입자를 첨가하는 경우가 많고, 표면 요철에 의한 확산 (이하 외부 확산이라고 한다) 이외에 내부 확산을 갖고 있다.
도 1 은, 일례로서 굴절률 1.50 의 수지 도막의 표면 반사율 및, 상기 수지 도막 중에 분산시킨 구상 (球狀) 확산제 입자 표면의 반사율을 입자의 굴절률을 바꾸어 시뮬레이션한 결과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확산 인자에 의한 반사 강도는 외부 확산에 의한 반사 강도에 비해 대폭 작으므로, 확산 반사 강도는 표면 확산이 지배적이다.
또, 표면 형상에 의한 투과광의 확산은, θ 인 경사면으로부터의 출사 각도를 ψ, 도막의 굴절률을 n 으로 했을 때, 스넬의 법칙으로부터 n × sinθ = sin ψ 이고, 출사 각도 ψ 는 arcsin(n × sinθ) - θ 가 된다.
한편, 반사는 반사의 법칙에 의해 θ 인 경사면의 2 배의 변화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반사 각도 ψ 는 2 × θ 가 된다. 그 때문에, 일반적인 도막의 굴절률 및 방현 시트의 표면 형상 범위 내에 있어서는, 굴절률 1.50 의 수지 표면의 경우의 계산 결과인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경사 각도에 대한 반사 및 투과의 확산 각도는 비례하는 것으로 간주해도 된다.
즉, 정반사 강도가 작은 것은 정투과 강도가 작은 것이고, 정반사 근방의 확산을 증가시키는 것은 정투과 근방의 확산을 증가시키는 것이 되므로, 전술한 정지 화상의 내비침성과 동화상의 흑채감의 양립을 도모한 방현 시트에 요구되는 3 요소를 모두 투과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전술한 기재로부터, 동화 방현성을 만족하는 데에 있어서도 동일한 변환을 실시할 수 있다.
즉, 상기 (a) ∼ (c) 는, 각각 (a) 투과 확산이 작을 것 (정투과 강도가 높을 것), (b') 정투과 강도 성분이 작을 것, (c') 정투과 근방의 확산으로 변환할 것으로 바꾸어 말할 수 있다.
또한, (b') 및 (c') 는 정투과 강도 (Q) 와 정투과 근방의 확산 강도 (q) 의 비 Q/q 가 작은 것을 나타내고 있고, 한편, (a) 는 Q/q 가 큰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 액정 표시 장치용 방현 시트에 사용되어 온 헤이즈값은 JIS K7136 (200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광선에 대해, 정투과로부터 2.5 도 이상 확산된 광의 비율이기 때문에, 헤이즈값으로부터는, 상기와 같은 정투과 근방의 확산 (특히, 2.5 도 미만의 확산) 을 이용한 생각에는 상도 (想到) 할 수 없다.
단, 내부 확산이 전혀 없는 방현 시트에서는, 번쩍거림을 억제할 수 없으므로, 약간이라도 내부 확산을 갖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내부 확산에 의한 확산의 크기는 2.5 도를 넘지 않는 확산이어도 되고, 이 경우에는 내부 확산에 의한 헤이즈는 제로가 된다.
여기서, 등방 확산인 경우의 정투과 근방의 확산 강도에 대해 고찰한다.
도 3 의 모식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확산 강도는, a 인 확산 투과 강도 분포를 갖는 투명 기판에, b 인 확산 투과 강도 분포를 갖는 층을 적층하면, 0 도에 가까울수록 확산 투과 강도의 감소 비율은 크기 때문에, 0 도에 가까울수록 강도의 저하가 커져, c 인 확산 투과 강도 분포를 갖는 방현 시트가 된다.
또, 화상 표시 장치용 방현 시트는 일반적으로 내부 확산 요소 및 외부 확산 요소는 성기게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확산 특성의 강도 분포는, 상기 확산 요소에 의한 확산 강도 분포와, 확산 요소가 존재하지 않고 정투과만에 강도를 갖는 2 개의 강도 분포의 합이 된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투과 ±1 도 및 정투과 ±2 도의 강도의 기울기를 정투과에 외삽했을 때의 강도를 가상 정투과 강도 (U) 로 했을 때, U 는, 확산 요소에 의한 확산 특성의 정투과 강도를 근사한 것이 되고, Q/U 는 「확산 요소를 갖지 않는 부분 (Q)」 과「확산 요소 부분의 정투과 강도 (U)」 의 비, 즉, 「투과 확산하지 않고 정투과한 강도 (Q)」 와「투과 확산에 의해 0 도 방향으로 유도된 정투과 강도 (U)」 의 비가 되어, 소위 정투과 근방의 확산 상태의 척도가 되어 있다.
또, 도 3 및 도 4 로부터 정투과 근방의 강도가 클수록 U 는 커지는 것과, 초기의 확산 각도가 큰 경우일수록 Q 에 대한 U 의 변화량이 작은 것은 분명하다.
바꾸어 말하면, 정투과 근방의 강도 q 로 바꾸어 U 를 사용하는 것이, 전술한 (a) 의 투과 확산의 크기도 가미한 형태가 된다.
이상과 같이, Q/U 의 범위를 특정 범위로 함으로써, 화상 선명도와 동화상의 흑채감을 균형 있고, 양호하게 할 수 있어, 이들 성능을 양립시킨 화상 표시 장치용 방현 시트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꾸어 말하면 Q/U 는, 표면 형상 (외부 확산 요소) 에 관해서는, 정투과가 되는 평탄부와 정투과 이외의 각도가 되는 요철부의 비율에 근사되기 때문에, 요철의 경사 각도와 요철의 존재 확률에 관련되고, 내부 확산에 관해서는, 확산 입자와 바인더의 굴절률 차, 확산 입자와의 충돌 확률 및 형상에 관련되고, 표면 형상과 내부 확산의 상호 작용에 관해서는, 상기 상호 작용을 보다 서로 약하게 하는 정도와 서로 강하게 하는 정도에 관련됨으로써, 흑채감 (동화상) 과 화상 선명도의 좋고 나쁨 (정지 화상) 을 결정하고 있다.
그러나, 고수준인 암소 흑색미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미광 방지가 요구되므로, 한층 더 미광에 대해 고찰한다.
일반적으로, 굴절률 n 의 층과 공기의 계면에 있어서, 층 내부로부터 광이 각도 θ 로 계면에 입사할 때의 계면에 있어서의 반사 비율은, p 편광인 경우를 Rp, s 편광인 경우를 Rs 로 하면, 반사의 법칙 및 스넬의 법칙에 준하여 계산함으로써 이하의 식으로 나타내어진다.
Rp = ((cosθ - n × cos(arcsin(n × sinθ))) / (cosθ + n × cos(arcsin(n × sinθ))))2
Rs = ((cos(arcsin(n × sinθ)) - n × cosθ) / (cos(arcsin(n × sinθ)) + n × cosθ))2
또, 표면 요철을 갖는 방현층에 있어서, 내부 확산이 작은 경우의 투과 확산 각도 ψ 는, 표면 요철의 경사 각도를 θs, 바인더의 굴절률을 nB 로 했을 때, 스넬의 법칙에 기초하여 산출되어,
ψ = arcsin(nB × sinθs) - θs
가 된다.
따라서, 투명 기재 측으로부터 방현층에 입사한 영상광이 경사 각도 θs 인 요철 표면 (방현층과 공기의 계면) 에 입사할 때에, 상기 식에 있어서 θ = θs, n = nB 로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요철 표면에서의 반사 비율은 상기의 Rp 및 Rs 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그것들은 상기 투과 확산 각도 ψ 의 함수로서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Rp 및 Rs 가 클수록 상기 요철 표면에서 반사되어 방현층 내부로 되돌아가는 광이 많아지기 때문에 미광 성분이 증대한다.
일반적인 바인더 수지의 굴절률 1.50 을 이용하여 상기 식을 계산한 것을 도 6 에 나타낸다. 방현층의 표면 요철은 랜덤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평균적인 반사 비율은 (Rp + Rs)/2 로 나타낼 수 있다. 도 6 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투과 확산 각도가 30 도를 초과하면 급격하게 반사가 증대하고, 즉 미광 성분이 급격하게 증대한다.
따라서, 미광 성분을 발생시키지 않기 위해서는, 30 도 이상의 투과 확산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20 도부터 반사가 증대하기 시작하므로 투과 확산을 20 도 이하로 함으로써 확실하게 미광 성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광학적 성질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내부 확산 입자가 도막층으로부터 지나치게 돌출하지 않고, 묻혀 있는 듯한 상태로, 표면 요철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종래의 확산 입자를 사용하여 표면 요철을 형성한 광학 필름에 있어서는, 확산 입자가 유기 입자인 경우, 투광성 수지의 비중차가 작으므로 도막층 중에서 잘 침강되지 않아 도막층의 표면에 확산 입자가 존재하기 쉽기 때문에, 도막층으로부터 돌출하거나, 또는, 표면을 과도하게 쌓아 올려 버려, 결과, 본원에 요구되는 흑채감이나 암소 흑색미 등을 저해하는 원인이 되고 있었다.
본 발명과 같이, 투명 기재에 확산 입자와 바인더로 이루어지고 상기 확산 입자에 기초하는 제 1 볼록부를 갖는 요철화 층을 형성하고, 추가로 그 요철화 층 상에, 상기 제 1 볼록부에 기초하는 제 2 볼록부가 잔존하는 범위 내의 두께로 제 2 바인더를 적층함으로써, 상기 서술한 확산 입자가 묻혀 있는 듯한 상태의 표면 요철의 형성을 확실히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상과 같이, Q/U 또한 및 Log10(Q30/Q) 에 대해 주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지만, 한층 더 우수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 다른 파라미터, 즉, 특허 청구의 범위의 각 청구항에 있어서 규정하는 바와 같은 각종 파라미터와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지견에 기초하여 완성한 것으로, 이하의 양태를 포함한다.
(1) 투명 기재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확산 입자 및 제 1 바인더로 이루어지는 요철화 층, 및 제 2 바인더로 이루어지는 평활화 층이 상기 투명 기재로부터 순서대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방현층을 갖는 방현 시트로서, 상기 요철화 층은 상기 투명 기재와는 반대 측의 면에 상기 확산 입자에 기초하는 제 1 볼록부를 갖고, 상기 평활화 층은 상기 투명 기재와는 반대 측의 면에 상기 제 1 볼록부에 기초하는 제 2 볼록부를 갖고, 상기 방현 시트에 상기 투명 기재 측으로부터 수직으로 가시광선을 조사했을 때의 정투과 방향의 휘도를 Q, 정투과로부터 30 도 방향의 휘도를 Q30, 정투과로부터 +2 도 방향의 휘도와 정투과로부터 +1 도 방향의 휘도를 잇는 직선, 및, 정투과로부터 -2 도 방향의 휘도와 정투과로부터 -1 도 방향의 휘도를 잇는 직선을 각각 정투과에 외삽한 투과 강도의 평균값을 U 로 했을 때, 하기의 (식 1) 및 (식 2)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시트.
(식 1) 10 < Q/U < 36
(식 2) Log10(Q30/Q) < -6
(2) 상기 방현 시트에 투명 기재 측으로부터 수직으로 가시광선을 조사했을 때의 정투과로부터 20 도 방향의 휘도를 Q20 으로 했을 때 하기의 (식 3)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시트.
(식 3) Log10(Q20/Q) < -5.5
(3) 상기 요철화 층의 두께를 L (㎛), 상기 확산 입자의 평균 입경을 R (㎛) 로 했을 때 하기의 (식 4)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시트.
(식 4) R/2 < L < R
(4) 상기 방현층의 전체 두께 T (㎛) 가 하기 (식 5)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시트.
(식 5) 3 < T < 8
(5) 방현 시트의 전체 헤이즈값을 Ha (%) 로 하고, 방현 시트의 내부 헤이즈값을 Hi (%) 로 했을 때, 하기의 (식 6)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시트.
(식 6) 0 ≤ Ha-Hi ≤ 1.3
(6)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현 시트를 사용한 편광판.
(7) (1) 내지 (5) 에 기재된 방현 시트 또는 (6) 에 기재된 편광판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
(8) 투명 기재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확산 입자 및 제 1 바인더로 이루어지는 요철화 층, 및 제 2 바인더로 이루어지는 평활화 층이 상기 투명 기재로부터 순서대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방현층을 갖는 방현 시트로서, 상기 요철화 층은 상기 투명 기재와는 반대 측의 면에 상기 확산 입자에 기초하는 제 1 볼록부를 갖고, 상기 평활화 층은 상기 투명 기재와는 반대 측의 면에 상기 제 1 볼록부에 기초하는 제 2 볼록부를 갖고, 상기 방현 시트에 상기 투명 기재 측으로부터 수직으로 가시광선을 조사했을 때의 정투과 방향의 휘도를 Q, 정투과로부터 30 도 방향의 휘도를 Q30, 정투과로부터 +2 도 방향의 휘도와 정투과로부터 +1 도 방향의 휘도를 잇는 직선, 및, 정투과로부터 -2 도 방향의 휘도와 정투과로부터 -1 도 방향의 휘도를 잇는 직선을 각각 정투과에 외삽한 투과 강도의 평균값을 U 로 했을 때, 하기의 (식 1) 및 (식 2) 를 만족하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시트의 제조 방법.
(식 1) 10 < Q/U < 36
(식 2) Log10(Q30/Q) < -6
(9) 투명 기재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확산 입자 및 제 1 바인더로 이루어지는 요철화 층, 및 제 2 바인더로 이루어지는 평활화 층이 상기 투명 기재로부터 순서대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방현층을 갖는 방현 시트를,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측에 갖는 화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요철화 층은 상기 투명 기재와는 반대 측의 면에 상기 확산 입자에 기초하는 제 1 볼록부를 갖고, 상기 평활화 층은 상기 투명 기재와는 반대 측의 면에 상기 제 1 볼록부에 기초하는 제 2 볼록부를 갖고, 상기 방현 시트에 상기 투명 기재 측으로부터 수직으로 가시광선을 조사했을 때의 정투과 방향의 휘도를 Q, 정투과로부터 30 도 방향의 휘도를 Q30, 정투과로부터 +2 도 방향의 휘도와 정투과로부터 +1 도 방향의 휘도를 잇는 직선, 및, 정투과로부터 -2 도 방향의 휘도와 정투과로부터 -1 도 방향의 휘도를 잇는 직선을 각각 정투과에 외삽한 투과 강도의 평균값을 U 로 했을 때, 하기의 (식 1) 및 (식 2)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장치의 흑채감, 암소 흑색미, 동화 방현성, 광택 있는 흑색감, 흑색 선명함을 개선하는 방법.
(식 1) 10 < Q/U < 36
(식 2) Log10(Q30/Q) < -6
(10) 상기 방현 시트에 투명 기재 측으로부터 수직으로 가시광선을 조사했을 때의 정투과로부터 20 도 방향의 휘도를 Q20 으로 했을 때 하기의 (식 3)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장치의 흑채감, 암소 흑색미, 동화 방현성, 광택 있는 흑색감, 흑색 선명함을 개선하는 방법.
(식 3) Log10(Q20/Q) < -5.5
(11) 상기 요철화 층의 두께를 L (㎛), 상기 확산 입자의 평균 입경을 R (㎛) 로 했을 때 하기의 (식 4)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장치의 흑채감, 암소 흑색미, 동화 방현성, 광택 있는 흑색감, 흑색 선명함을 개선하는 방법.
(식 4) R/2 < L < R
(12) 상기 방현층의 전체 두께 T (㎛) 가 하기 (식 5)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장치의 흑채감, 암소 흑색미, 동화 방현성, 광택 있는 흑색감, 흑색 선명함을 개선하는 방법.
(식 5) 3 < T < 8
(13) 방현 시트의 전체 헤이즈값을 Ha (%) 로 하고, 방현 시트의 내부 헤이즈값을 Hi (%) 로 했을 때, 하기의 (식 6)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장치의 흑채감, 암소 흑색미, 동화 방현성, 광택 있는 흑색감, 흑색 선명함을 개선하는 방법.
(식 6) 0 ≤ Ha-Hi ≤ 1.3
본 발명에 의하면, 암소에서의 고도의 흑색미 (암소 흑색미) 및 흑채감, 광택 있는 흑색감이 우수하고, 동화 용도로 허용할 수 있는 방현성 (동화 방현성) 을 갖고, 또한, 실사용에 제공하는 데에 적합한 화상 표시 장치용 방현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구상 입자 및 수지에 의한 반사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표면 경사 각도에 대한 반사 및 투과의 각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확산 강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평가 방법의 원리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확산 투과 강도의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투과 확산 각도와 요철 표면에 있어서의 반사 비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영상광 및 외광에 있어서의 확산 입자와 표면 요철의 위치 관계에 의한 투과 및 반사광의 특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b는, 영상광 및 외광에 있어서의 확산 입자와 표면 요철의 위치 관계에 의한 투과 및 반사광의 특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c는, 영상광 및 외광에 있어서의 확산 입자와 표면 요철의 위치 관계에 의한 투과 및 반사광의 특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a는, 확산 입자와 바인더의 굴절률 차에 의한 광의 확산 특성의 차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b는, 확산 입자와 바인더의 굴절률 차에 의한 광의 확산 특성의 차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c는, 확산 입자와 바인더의 굴절률 차에 의한 광의 확산 특성의 차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d는, 확산 입자와 바인더의 굴절률 차에 의한 광의 확산 특성의 차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방현 시트의 실시형태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방현 시트를 사용한 편광판의 실시형태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편광판을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의 실시형태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하나인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유리 기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하나인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방현 시트는, 투명 기재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확산 입자 및 제 1 바인더로 이루어지는 요철화 층, 및 제 2 바인더로 이루어지는 평활화 층이 상기 투명 기재로부터 순서대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방현층을 갖는 방현 시트로서, 상기 요철화 층은 상기 투명 기재와는 반대 측의 면에 상기 확산 입자에 기초하는 제 1 볼록부를 갖고, 상기 평활화 층은 상기 투명 기재와는 반대 측의 면에 상기 제 1 볼록부에 기초하는 제 2 볼록부를 갖고, 상기 방현 시트에 상기 투명 기재 측으로부터 수직으로 가시광선을 조사했을 때의 정투과 방향의 휘도를 Q, 정투과로부터 30 도 방향의 휘도를 Q30, 정투과로부터 +2 도 방향의 휘도와 정투과로부터 +1 도 방향의 휘도를 잇는 직선, 및, 정투과로부터 -2 도 방향의 휘도와 정투과로부터 -1 도 방향의 휘도를 잇는 직선을 각각 정투과에 외삽한 투과 강도의 평균값을 U 로 했을 때, 하기의 (식 1) 및 (식 2)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시트이다.
(식 1) 10 < Q/U < 36
(식 2) Log10(Q30/Q) < -6
이하, 도 5 를 이용하여, Q 및 Q30 의 측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액정 표시 장치용 방현 시트에 대해 5 의 방향으로부터 가시광선을 조사하면, 6 의 방향으로 정투과됨과 함께, 일부의 광이 확산된다. 이 6 의 방향, 즉, 0 도에 있어서의 투과 강도가 정투과 강도 Q 이다. 또 30 도 방향의 투과 강도가 정투과 강도 Q30 이다.
또, 정투과 ±2 도와 정투과 ±1 도에서의 투과 강도를 각각 측정하고, 그 강도를 직선으로 이어, 정투과 (0 도) 에 외삽한 투과 강도의 평균을 가상 정투과 강도 (U) 라고 정의한다 (도 4 참조).
그리고, 방현 시트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Q/U 를 지표로 하여 재료의 선정, 제조 조건의 제어 등을 실시함으로써, 흑채감 (동화상) 및 동화 대응의 방현성 (동화 방현성) 이 우수하고, 나아가서는 화상 선명도 (정지 화상) 가 우수한 방현 시트를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확산 투과 강도의 측정은,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이 측정한다.
(확산 투과 강도의 측정 방법)
방현 시트의 이면 (방현 시트의 관찰자 측과 반대 측의 면) 으로부터 수직으로 가시광선을 조사한다. 광속 (光束) 이 방현 시트에 입사하고, 확산 투과한 광을 -85 도 ∼ +85 도까지의 범위에서 1 도마다 수광기를 주사함으로써 확산 투과 강도를 측정한다.
또한, 확산 투과 강도를 측정하는 장치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닛폰 전색 공업 (주) 제조 「GC5000L」 을 사용하였다. 또한, 본 측정에 있어서는, -85 도 ∼ +85 도 사이에서의 범위를 측정했지만, -1, -2, 0, +1 및 +2 도만의 측정을 실시함으로써 간편하게 가상 정투과 강도의 산출과, 정투과 강도 측정을 할 수 있으므로, 온라인으로 제조 조건 등의 변경을 하면서, 지정하는 범위 내로 자동 조정하는 것도 용이해진다.
여기서, 「GC5000L」 의 광속의 직경은 약 3 ㎜로서, 이 직경은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고니오포토미터의 평균적인 광속의 직경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사용하는 투광성 입자의 입자 직경은 미크론 오더이며, 내부 확산 요소인 입자의 직경에 대해 광속의 직경은 1000 배 정도 큰 것으로 되어 있으므로, 즉, 일반적으로 고니오포토미터의 측정에 있어서는, 광속의 직경은 입자 직경에 비해 충분히 크고, 또 입자도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으므로, 시료의 어느 포인트에 광속을 조사하였다고 해도, 측정값에 유의한 차는 발생하지 않아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Q30 및, 정투과로부터 20 도 방향의 투과 강도인 Q20 은, 상기 측정법에 의해 측정한 20 도 및 -20 도의 평균값을 Q20, 30 도 및 -30 도의 평균값을 Q30 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기 식 (x) 를 지표로 하여 제어하는 것이 특징이다.
Log10(Q30/Q) < -6 (x)
Log10(Q30/Q) 가 -6 미만이 되도록 함으로써, 흑채감 (동화상), 암소 흑색미가 우수한 방현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하기 식 (y) 를 만족함으로써, 보다 한층 암소에서의 고도의 흑색미가 우수한 방현 시트를 얻을 수 있다.
Log10(Q20/Q) < -5.5 (y)
또한, Q30 혹은 Q20 이 매우 작아서 측정기로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Log10(Q30/Q) 혹은 Log10(Q20/Q) 의 값을 -10.0 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식 (z) 를 지표로 하여 제어하는 것도 특징의 하나이다.
10 < Q/U < 36 (z)
Q/U 가 10 초과가 되도록 함으로써, 흑채감 (동화상) 이 우수함과 함께, 36 미만이 되도록 함으로써 동화 방현성이 우수한 방현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방현 시트는 상기 식 (x) 및 (z) 를 만족하는 것이다. 상기 식 (x) 및 (z) 를 만족하는 방현 시트는, 암소에서의 고도의 흑색미 (암소 흑색미) 및 흑채감, 광택 있는 흑색감이 우수하고, 동화 용도로 허용할 수 있는 방현성 (동화 방현성) 을 갖는 방현 시트가 된다.
본 발명의 방현 시트에 있어서, 상기 방현 시트는, 투명 기재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확산 입자 및 제 1 바인더로 이루어지는 요철화 층, 및 그 요철화 층 상에 적층된 제 2 바인더로 이루어지는 평활화 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바인더와 제 2 바인더는 동일한 바인더여도 되고 상이한 바인더여도 된다. 평활화 층은 1 ㎛ 초과 8 ㎛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1 ㎛ 이하에서는 입자가 충분히 묻히지 않아 흑채감을 저해하는 경사 각도가 큰 요철이 잔존할 가능성이 있다. 8 ㎛ 이상에서는, 중합 수축에 의해 방현 시트에 컬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것 외에, 제 2 볼록부가 형성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그 의미에서는 평활화 층의 두께는 1.5 내지 7 ㎛ 가 바람직하고, 2 내지 5 ㎛ 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적층된 상태는, 방현층의 단면 전자 현미경 (TEM, STEM) 관찰에 의해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바인더와 제 2 바인더가 동일한 바인더이더라도, 투명 기재로의 함침에 의한 바인더 조성의 변화나, 계면에서의 바인더 분자의 배향의 차이 등에 의해 요철화 층과 평활화 층의 계면은 출현한다.
Q/U 및, Log10(Q30/Q), Log10(Q20/Q) 를 규정하는 것에 더하여, 또한 방현층의 두께 T (㎛), 방현 시트의 총 헤이즈 Ha (%), 내부 확산에 의해 발생하는 헤이즈 Hi (%), 표면의 요철에 의한 확산 (이하 외부 확산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과 상기 내부 확산에 의한 확산의 상호 작용의 합으로서의 확산 (Ha-Hi) 의 관련 등이나, 방현층의 바인더 수지의 조합, 투명 기재 수지 등을 고려하여 선택함으로써, 방현 시트의 성능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편광판 제조 공정이나 편광판과 액정 소자의 첩합 (貼合) 에 있어서의 구부림 등에 의해 방현 시트에 가해지는 부하에 의해 크랙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특히, 바인더와 미립자의 접착이 약하면, 이 계면에서 박리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확산층의 두께가 두꺼우면, 중합 수축에 의해 계면에 가해지는 변형이 커져, 보다 박리가 발생하기 쉬워지므로, 방현층의 두께 T (㎛) 는
(식 5) 3 < T < 8
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방현층의 두께 T 가 3 ㎛ 이하이면, 하드 코트성이 떨어지고, 8 ㎛ 이상이면, 입자와의 계면의 변형이 커져, 방현 시트에 가해지는 부하에 의해 크랙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내부 확산이 작으면 번쩍거림은 해소할 수 없다. 단, 2.5 도 이상의 확산각을 갖는 내부 확산이 존재하는 경우에 내부 확산에 의해 발생하는 헤이즈 Hi 로서 카운트되므로, 비록 Hi 는 제로라도, 적당한 내부 확산을 갖고 있으면 된다. 그러나, 확산각이 큰 확산, 즉, 헤이즈로서 카운트되는 내부 헤이즈 Hi 가 지나치게 크면, 해상도의 저하, 및 미광 성분의 발생에 의한 암소 흑색미의 저하에 의해 콘트라스트의 저하가 현저해지고, 나아가서는 화상 선명도 (정지 화상) 가 악화된다.
따라서, Hi 는 30 %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 미만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콘트라스트는 저하되기는 하지만, 내부 헤이즈를 3 % 이상으로 함으로써 화각 확대 작용에 의해 흑색 선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종래 생각되고 있던 바와 같이 총 헤이즈는 내부 확산과 표면 확산의 합이 되는 것이 아니라, 총 헤이즈는 내부 확산과 표면 확산 이외에 양 확산 요소의 위치 관계가 영향을 미친다는 지견에 의한 것, 즉, 총 헤이즈는, 내부 헤이즈 + 외부 헤이즈 + 내부 확산 요소와 표면 요철의 상호 작용에 의한 헤이즈이다라고 하는 것을 기본 사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방현 시트의 헤이즈를 Ha, 내부 확산에 의해 발생하는 헤이즈를 Hi 로 하면, Ha-Hi 는 내부 확산 요소와 표면 요철의 상호 작용에 의한 헤이즈 및 외부 헤이즈의 합이라고 할 수 있다.
동화 시청의 경우에서는, 동화상의 고도의 화질 실현을 위해, 흑채감이 요구되고 있고, 또한 동화 방현성은 비치는 이미지의 윤곽을 약간 인식할 수 없을 정도 (정지 화상의 방현성보다 미약) 의 것이면 되기 때문에, 헤이즈 (Ha-Hi) 는 낮은 경향이 적합해진다. 또, 확산각이 2.5 도 미만인 경우에는 헤이즈로서 카운트되지 않기 때문에, 헤이즈 (Ha-Hi) 는 지금까지 적합하지 않다고 여겨져 온 0 이라도 Q/U 값이 원하는 범위이면 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 % 이상 1.3 % 이하이다.
또한, 번쩍거림 방지의 관점에서는, JIS K7105 에 기초하는 방현 시트의 투과 화상 선명도에서의 광학 빗 0.125 ㎜ 에 대한 광학 빗 2.0 ㎜ 의 값의 비 G 는 2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빗 0.125 ㎜ 에서의 값은 정투과 근방의 확산의 크기 (값이 작을수록 확산은 크다) 를 나타내며, 이것은 영상광의 미세한 왜곡, 즉, 번쩍거림의 원인이 된다. 한편, 2.0 ㎜ 의 광학 빗에서의 값은 보다 광범위한 확산의 크기, 즉, 번쩍거림을 눈에 띄지 않게 하는 효과를 나타내며, 값이 클수록 그 효과는 작아진다. 따라서, 투과 화상 선명도는 광학 빗 0.125 ㎜ 에서의 값은 낮을수록, 또, 광학 빗 2.0 ㎜ 에서의 값은 높을수록 번쩍거림이 나빠진다. 따라서, 상기 G 에 의해 이 관계를 나타낼 수 있으며, 2 이상이면, 번쩍거림이 눈에 띄게 된다. 상기 G 는 1.9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4 미만인 것이 더욱 보다 바람직하다.
제 1 바인더에 분산되는 확산 입자에 대하여,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확산 입자는 투광성 미립자인 것이 바람직하고, 유기 입자여도 되고, 무기 입자여도 되며, 유기 입자와 무기 입자를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구상의 유기 입자는 요철 형상을 제어하기 쉬우므로, 적어도 1 종류 이상의 구상 유기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용 방현 시트에 있어서, 사용하는 확산 입자의 평균 입경은 0.5 ∼ 10 ㎛ 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9 ㎛ 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 8.0 ㎛ 이다. 이 범위 내이면, 내부 확산 및/또는 외부 확산 및/또는 내부 확산 요소와 표면 요철의 상호 작용에 의한 확산 투과 강도 분포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요철화 층의 두께를 L (㎛) 로 했을 때, 확산 입자의 평균 입경 R 과의 관계는 하기 식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2 < L < R
R/2 초과이면 방현 시트 제조 도중에서의 상기 요철층으로부터의 확산 입자의 탈락에 의한 결함이 발생하는 경우가 없고, R 미만이면, 확산 입자를 방현층 중의 투명 기재 측에 존재시키기 쉬워지므로, 방현층 두께를 과도하게 크게 하지 않아도 확산 입자를 묻히게 할 수 있으므로, 편광판 제조시의 크랙 발생을 억제하기 쉽다.
또한, 상기 본원의 성질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확산 입자의 평균 입경 R 과 방현층 두께 T 의 관계는 하기 식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7 < R/T < 0.95
방현층 두께에 대한 평균 입경의 비 R/T 가 0.95 이상이면, 확산 입자는 도막층 최표면에 돌출하고, 또는 확산 입자에 의해 발생하는 요철은 급준 (急峻) 한 것이 될 우려가 있다. 상기 R/T 가 0.7 이하이면, 요철이 충분히 형성되지 않아 비침이 강해질 우려가 있다. 상기 식을 만족함으로써, 적당한 요철 형상을 형성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균 입경은, 확산 입자 단독으로 측정하는 경우, 콜터 카운터법에 의한 중량 평균 직경 (체적 평균 직경) 으로서 계측할 수 있다. 한편, 방현층 중의 확산 입자의 평균 입경은 방현층의 투과 광학 현미경 관찰에 있어서 10 개 입자의 최대 직경을 평균한 값으로서 구해진다. 혹은 그것이 적합하지 않은 경우에는, 입자 중심 근방을 지나는 단면의 전자 현미경 (TEM, STEM 등의 투과형이 바람직하다) 관찰에 있어서, 임의의 동일한 종류로, 거의 동일한 위치의 입경으로서 관찰되는 확산 입자 30 개 선택하여 (입자의 어느 부위의 단면인지 불분명하기 때문에 n 수를 늘리고 있다) 그 단면의 최대 입경을 측정하고, 그 평균값으로서 산출되는 값이다. 모두 화상으로부터 판단하기 때문에, 화상 해석 소프트로 산출해도 된다.
또, 확산 입자의 입경의 편차가 적을수록 확산 특성에 편차가 적고, 확산 투과 강도 분포 설계가 용이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량 평균에 의한 평균 직경을 MV, 누적 25 % 직경을 d25, 누적 75 % 직경을 d75 로 했을 때, (d75-d25)/MV 가 0.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2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누적 25 % 직경이란, 입경 분포에 있어서의 입경이 작은 입자부터 카운트하여 25 중량% 가 되었을 때의 입자 직경을 말하며, 누적 75 % 직경이란, 동일하게 카운트하여 75 중량% 가 되었을 때의 입자 직경을 말한다.
입경의 편차 조정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합성 반응의 조건을 조정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고, 또, 합성 반응 후에 분급하는 것도 유력한 수단이다. 분급에서는, 그 횟수를 올리는 것이나 그 정도를 강하게 함으로써, 바람직한 분포의 입자를 얻을 수 있다. 분급에는 풍력 분급법, 원심 분급법, 침강 분급법, 여과 분급법, 정전 분급법 등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현층을 구성하는 바인더와 확산 입자의 굴절률 차가 0.005 ∼ 0.25 인 것이 바람직하다. 굴절률 차가 0.005 이상이면, 번쩍거림을 억제할 수 있고, 0.25 이하이면, 확산 투과 강도 분포 설계가 용이해진다. 이상의 관점에서, 그 굴절률 차는 0.01 ∼ 0.2 가 보다 바람직하고, 0.015 ∼ 0.15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확산 입자의 굴절률은, 굴절률이 상이한 2 종류의 용매의 혼합비를 변화시켜 굴절률을 변화시킨 용매 중, 확산 입자를 등량 분산하여 탁도를 측정하고, 탁도가 극소가 되었을 때의 용매의 굴절률을 아베 굴절계로 측정하는 것 외에, 카길 시약을 사용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또, 제 1 및 제 2 바인더의 굴절률은, 후술하는 도포용 수지 조성물로부터 확산 입자가 없는 것을 도포, 건조, 경화시킨 바인더만의 경화막을 아베 굴절계로 측정할 수 있다.
또, 확산 입자, 제 1 및 제 2 바인더의 굴절률은, 재료 자체를 측정하는 것 외에, 실제로 방현 시트로 한 후에, 입자 또는 입자의 조각, 혹은 바인더 또는 바인더의 조각을 막으로부터 꺼내어 상기 방법에 의해 측정하는 방법이나, 방현 시트의 절단면을 엘립소미터로 측정하는 방법, 방현 시트의 레이저 간섭을 측정하는 방법 ((주) 에프 케이 광학 연구소 제조의 위상 시프트 레이저 간섭 현미경이나 (주) 미조지리 광학 공업소 제조 2 광속 간섭 현미경 등) 등에 의해 측정할 수도 있다.
확산 입자가 제 1 및/또는 제 2 바인더와 굴절률이 상이한 유기 입자로서, 도액 중의 성분이 유기 입자에 침투한 함침층을 갖고, 또한, 유기 입자의 중심부에 도액 중의 성분이 함침되어 있지 않으면, 유기 입자와 제 1 및/또는 제 2 바인더의 계면의 굴절률 차가 작아져 계면에서의 반사가 억제되므로 미광 성분이 잘 발생하지 않고, 또한, 유기 입자 내부는 제 1 및/또는 제 2 바인더와의 굴절률 차가 크므로 내부 확산은 유지되기 때문에, 미광 성분 발생 방지와 번쩍거림 방지의 양립을 도모하기 쉬우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함침층의 함침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유기 입자의 가교 밀도를 낮게 하거나, 함침성 용제를 공용하거나, 도액 보관 온도를 높게 하는 등등을 선택할 수 있지만, 사전에 바람직한 함침량이 되는 조건을 선정해 두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상기 함침층을 갖는 유기 입자에 있어서는, 내부 확산 성능을 유지한다는 관점에서 도액 중의 성분이 함침되어 있지 않은 중심부가 가시광 파장 이상의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1 ㎛ 이상의 직경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중심부의 함침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직경은, 구체적으로는, 미리, 전술한 바와 같은 투과 광학 현미경 관찰 등으로 방현층 중의 입자의 평균 직경을 산출해 두고, 상기 방현층의 단면을 STEM 으로 3000 ∼ 5 만배로, 함침층이 있는 미립자가 반드시 1 개 이상 존재하고 있는 임의의 5 장면을 관찰하고, 촬영한 후에, 가장 함침되어 있는 부분을 측정하고, 평균값 (입자 5 개 이상의 평균값) 을 구한다. 그 함침부의 평균값을 본래의 평균 입경의 값으로부터 빼어 산출할 수 있다.
투광성 유기 입자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 폴리아크릴-스티렌 공중합체 입자, 멜라민 수지 입자, 폴리카보네이트 입자, 폴리스티렌 입자, 폴리염화 비닐 입자, 벤조구아나민-멜라민포름알데히드 입자, 실리콘 입자, 불소계 수지 입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또 중공이나 세공을 갖는 유기 입자 등이 사용된다.
투광성 무기 입자로는, 실리카 입자, 알루미나 입자, 지르코니아 입자, 티타니아 입자, 탤크, 마이카, 카올린, 스멕타이트, 벤토나이트 입자, 또 중공이나 세공을 갖는 무기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확산 입자는, 단입자 상태에서의 형상이 구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확산 입자의 단입자가 이와 같은 구상임으로써, 입자에 의한 광의 확산 각도가 커지지 않아, 미광 성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흑채감이 우수한 방현성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상」 이란, 예를 들어, 진구상, 타원 구상 등을 들 수 있으며, 소위 모난 부분을 갖고, 광 확산하는 부분이 많은 부정형을 제외한 의미이다.
상기 도액에 있어서의 확산 입자의 함유량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후술하는 방사선 경화형 투광성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0.5 ∼ 3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0.5 질량부 미만이면, 방현층의 표면에 충분한 요철 형상을 형성할 수 없어, 본 발명의 방현 시트의 동화 방현 성능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30 질량부를 초과하면, 상기 도액 중에서 확산 입자끼리의 응집이 생겨, 방현층의 표면에 큰 볼록부가 형성되어 원하는 성능이 얻어지지 않아, 변색이나 번쩍거림이 발생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상기 확산 입자의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 질량부,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0 질량부이다. 이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보다 상기 서술한 효과를 확실하게 할 수 있다.
거침이나 번쩍거림이 억제되는 점에서, 확산 입자는 바인더 중에서 적당히 분산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태로 하기 위해서, 확산 입자와는 별도로 평균 입경이 확산 입자의 1/2 이하인 분산 제어용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분산 제어용 입자는, 그 자체는 볼록부를 형성하지 않고, 또 확산 요소로도 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산 제어용 입자는 상기 서술한 투광성 유기 미립자 및 투광성 무기 미립자에서 선택할 수 있다. 단, 바인더와 굴절률 차가 있어 형상이 부정형이면, 내부 확산 각도가 커져 미광 성분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평균 입경 100 ㎚ 이하의 입자이면, 굴절률 차가 있어도, 내부 확산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분산 제어용 입자로서 바람직하다.
분산 제어용 입자가 투광성 무기 미립자인 경우에는, 바인더 중에서 분산 제어용 입자 자체의 분산성을 올리기 위해서, 실란 화합물 등에 의한 소수화 표면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실란 커플링제와 같은 처리 표면에 반응기를 갖게 하는 처리의 경우, 바인더 수지와 결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하드 코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방현층을 구성하는 제 1 및 제 2 바인더로는, 투광성의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방현층을 형성하려면,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투명 기재에 도포하고, 그 수지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모노머, 올리고머 및 프레폴리머를 가교 및/또는 중합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모노머, 올리고머 및 프레폴리머의 반응성 관능기로는, 전리 방사선 중합성의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광 중합성 관능기가 바람직하다.
광 중합성 관능기로는, (메트)아크릴로일기, 비닐기, 스틸릴기, 알릴기 등의 불포화의 중합성 관능기 등을 들 수 있다.
또, 프레폴리머 및 올리고머로는,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레이트,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모노머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등의 스티렌계 모노머;(메트)아크릴산 메틸, (메트)아크릴산-2-에틸헥실, 펜타에리트리톨(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에톡시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에톡시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프로폭시트리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롤프로판테트라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F EO 변성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EO 변성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르산 EO 변성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르산 EO 변성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 PO 변성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 EO 변성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롤프로판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모노머;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티오글리콜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티오프로필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티오글리콜 등의 분자 중에 2 개 이상의 티올기를 갖는 폴리올 화합물, 또, 2 이상의 불포화 결합을 갖는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나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다관능 아크릴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제 1 및 제 2 바인더로서 폴리머를 상기 수지 조성물에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폴리머로는, 예를 들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MMA),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CAP)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머를 첨가함으로써 도액의 점도 조정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도공을 용이하게 함과 함께, 입자의 응집에 의한 요철 형성의 조정이 용이해지거나, 입자의 침강 제어가 가능해진다는 이점이 있어, 표면 확산 및 내부 확산과 표면 요철의 상호 작용을 제어할 수 있다.
폴리머의 바람직한 중량 평균 분자량은 2 만 ∼ 10 만이다. 2 만 미만이면, 점도 조정하기 위해서는 첨가량을 많이 할 필요가 있어, 방현층의 경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고, 10 만 이상이면,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 도공성이 저하될 우려나, 또, 중량 평균 분자량이 지나치게 큰 화합물이 조성물에 존재하면, 경화 반응시에 가교 저해 원인이 되어 경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THF 용제에 있어서의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 (GPC) 에 의해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값으로서 구한 것이다.
상기 수지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광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첨가할 수 있다. 광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는, 아세토페논류, 벤조인류, 벤조페논류, 포스핀옥사이드류, 케탈류, 안트라퀴논류, 티오크산톤류, 아조 화합물 등이 사용된다.
아세토페논류로는, 2,2-디메톡시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p-디메틸아세토페논, 1-하이드록시-디메틸페닐케톤, 1-하이드록시-디메틸-p-이소프로필페닐케톤,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4-메틸티오-2-모르폴리노프로피오페논,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타논, 4-페녹시디클로로아세토페논, 4-t-부틸-디클로로아세토페논 등을 들 수 있으며, 벤조인류로는,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질디메틸케탈, 벤조인벤젠술폰산에스테르, 벤조인톨루엔술폰산에스테르,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 벤조페논류로는, 벤조페논, 하이드록시벤조페논, 4벤조일-4'-메틸디페닐술파이드, 2,4-디클로로벤조페논, 4,4-디클로로벤조페논 및 p-클로로벤조페논, 4,4'-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미힐러 케톤), 3,3',4,4'-테트라(t-부틸퍼옥시카르보닐)벤조페논 등이 사용 가능하다.
광 증감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그 구체예로는, n-부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폴리-n-부틸포스핀 등을 들 수 있다.
나아가서는, 상기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에 고굴절률 또는 저굴절률의 100 ㎚ 이하의 미립자를 첨가함으로써, 투명 수지의 굴절률을 조정함으로써 내부 확산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바인더 중에 오르가노 실란을 함유하면, 도액 중의 수지, 용제계, 입자의 친유, 친수 정도의 조합에 따라, 입자의 응집성 변화가 크고, 광학 특성이 안정되지 않으므로 오르가노 실란의 사용은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원인은, 1 종류의 입자라도, 예를 들어, 건조 도중에서 (통상적으로 2 종 이상 넣으므로) 용제의 휘발성 차에 의해 조성 변동이 발생하므로, 응집과 분산의 제어가 곤란해지기 때문이라고 유추하고 있다. 이것은, 특히 친유, 친수 정도가 상이한 2 종 이상의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에 현저하다. 그 때문에 급준한 요철 등이 발생하는 점 등에서, 거침이나 번쩍거림의 제어를 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또, 상기 방사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는, 통상적으로 점도를 조절하거나 각 성분을 용해 또는 분산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용제를 사용한다. 그 용제는, 사용하는 용제의 종류에 따라, 도포·건조 공정에 따라 도막의 표면 상태가 상이하기 때문에 외부 확산에 의한 투과 강도 분포를 조정할 수 있는 것 외에, 유기 미립자의 함침층 두께가 상이한 것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포화 증기압, 투명 기재로의 침투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된다.
투명 기재에 대한, 도액 중의 저분자량 성분의 함침량을 조정함으로써 방현층의 두께를 제어하는 것으로 이어지고, 또, 상기 투명 기재에 함침됨으로써 그 기재 표면이 유연성을 갖고, 방현층의 경화 수축을 흡수하는 작용을 가짐으로써, 결과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표면 요철 형상을 조정할 수 있다. 특히, 투명 기재가 셀룰로오스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본 수법은 유효하다. 또, 입자에 함침성을 갖는 용제를 사용함으로써, 투명 수지 성분의 적어도 일부가 입자에 침투하기 쉬워지고, 전술한 함침층의 조정이 가능해져 확산 투과 강도를 제어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용제로는, 상기 관점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구체적으로는,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계 용제나, 메틸에틸케톤 (MEK), 메틸이소부틸케톤 (MIBK),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으며, 이들은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방향족계 용제의 적어도 1 종과 케톤류의 적어도 1 종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 건조 속도를 제어하기 위해서,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등의 셀로솔브류나 셀로솔브아세테이트류,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시클로헥사놀 등의 알코올류를 혼합해도 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방현 시트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바인더에 확산 입자 이외의 첨가제가 필요에 따라 배합된다.
예를 들어, 응집 방지 효과 및 침강 방지 효과, 그 외, 레벨링성 등의 특성 향상을 위해, 각종 계면 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는, 실리콘 오일, 불소계 계면 활성제, 바람직하게는 퍼플루오로알킬기를 함유하는 불소계 계면 활성제가 방현층이 버나드 셀 구조가 되는 것을 회피하므로 바람직하다. 용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도공하고, 건조시키는 경우, 도막 내에 있어서 막 표면과 내면에 표면 장력차 등을 발생시키고, 그에 따라 막 내에 다수의 대류가 야기된다. 이 대류에 의해 생기는 구조는 버나드 셀 구조라고 불리며, 오렌지 필이나 도공 결함이 된다.
또, 상기 버나드 셀 구조는 흑채감 (동화상) 이나 화상 선명도 (정지 화상) 등에 악영향을 미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면, 이 대류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결함이나 불균일이 없는 요철막이 얻어질 뿐만 아니라, 투과 확산 휘도 특성의 조정도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방오제, 대전 방지제, 착색제 (안료, 염료), 난연제, 자외선 흡수제, 적외선 흡수제, 접착 부여제, 중합 금지제, 산화 방지제, 표면 개질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현 시트에 사용되는 투명 기재로는, 투명 수지 필름, 투명 수지판, 투명 수지 시트나 투명 유리 등, 통상적으로 화상 표시 장치용 방현 시트에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은 없다.
투명 수지 필름으로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TAC 필름),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아세틸부틸셀룰로오스 필름, 아세틸프로필셀룰로오스 필름, 고리형 폴리올레핀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에테르술폰 필름, 폴리아크릴계 수지 필름, 폴리우레탄계 수지 필름,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술폰 필름, 폴리에테르 필름, 폴리메틸펜텐 필름, 폴리에테르케톤 필름, (메트)아크릴로니트릴 필름, 폴리노르보르넨계 수지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함침성이 있기 때문에 표면 요철을 매끄럽게 하기 쉬운 것 이외에도,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용 방현 시트를 편광판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는, 편광을 흩뜨리지 않는 점에서 TAC 필름이, 내후성으로부터 고리형 폴리올레핀 필름이, 기계적 강도와 평활성을 중시하는 경우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투명 기재는 다층이어도 되고 단층이어도 되며, 도막과의 접착성을 목적으로 하여 표면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해도 된다.
또, 투명 기재와 도막층에 실질적인 굴절률 차가 있는 경우에 계면에서 발생하는 간섭 무늬를 방지하기 위해서, 투명 기재에 함침되는 도액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도, 예를 들어 투명 기판과 도막층 사이에 중간의 굴절률을 갖는 간섭 무늬 방지층을 형성하는 것이나, 표면 조도 (10 점 평균 조도 Rz) 로서 0.3 ∼ 1.5 ㎛ 정도의 요철을 형성해 두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Rz 는 JIS B0601 1994 에 준거한 방법을 바탕으로, 컷오프값을 2.5 ㎜, 평가 속도를 0.5 ㎜/s 로 해서 측정한 값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방현 시트에는, 하드 코트성, 내비침성, 반사 방지성, 대전 방지성, 방오성 등의 기능을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드 코트성은, 통상적으로 연필 경도 (JIS K5400 에 준거하여 측정) 나 스틸울 #0000 으로 하중을 가하면서 10 왕복 문지름 시험을 실시하고, 이면에 흑색 테이프를 첩부 (貼付) 한 상태로 흠집이 확인되지 않는 최대 하중으로 평가한다 (내스틸울 문지름성).
본 발명에 관련된 방현 시트에 있어서는, 연필 경도에서는 H 이상이 바람직하고, 2 H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내스틸울 문지름성에서는, 10 왕복 문지름 시험을 해도 흠집이 확인되지 않는 최대 하중은 200 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 g/㎠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700 g/㎠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방현 시트 표면에서의 정전기 방지의 점에서 대전 방지 성능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전 방지 성능을 부여하려면, 예를 들어, 도전성 미립자, 도전성 폴리머, 4 급 암모늄염, 폴리티오펜, 그 외 도전성 유기 화합물 등과 반응성 경화 수지를 포함하는 도전성 도공액을 도공하는 방법, 혹은 투명막을 형성하는 금속이나 금속 산화물 등을 증착이나 스퍼터링하여 도전성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 등의 종래 공지된 방법을 들 수 있다.
또, 대전 방지층을 하드 코트, 내비침성, 반사 방지 등의 기능층의 일부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대전 방지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표면 저항값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표면 저항값이 1012Ω/□ 이하가 바람직하고, 1011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며, 1010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 그 광학 필름을 축적할 수 있는 최대 전압인, 소위 포화대 전압으로는, 10 ㎸ 의 인가 전압에서 2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방현 시트의 최표면에는 방오층을 형성할 수 있다. 방오층은 표면 에너지를 낮추어, 친수성 혹은 친유성의 더러움이 잘 붙지 않게 하는 것이다.
방오층은 방오제의 첨가에 의해 부여할 수 있으며, 방오제로는, 불소계 화합물, 규소계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고, 특히 플로로알킬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방현 시트의 최표면에는, 그 표면에 저굴절률층이 적층되는 표면층보다 굴절률이 낮은 저굴절률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저굴절률층은, 80 ∼ 120 ㎚ 정도의 두께를 갖는 층으로서, 외광의 반사를 간섭에 의해 저감시키는 것이다. 상기 저굴절률층은 조금도 한정되지는 않지만, 다공질 또는 중공 실리카를 첨가한 자외선 경화 수지를 포함하는 도액을 도포 및 경화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액을 도포 및 경화함으로써, 방현층 표면의 볼록부에 존재한 미소하고 샤프한 요철이 스무딩되어 보다 매끄러워져, 반사 방지 효과에 더하여, 보다 한층 흑채감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현 시트는, 투명 기재에 최표면에 요철 형상을 갖는 방현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여 제조한다.
도포 방법으로는, 각종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딥 코트법, 에어 나이프 코트법, 커튼 코트법, 롤 코트법, 와이어 바 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다이 코트법, 블레이드 코트법,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트법, 스프레이 코트법, 스핀 코트법, 리버스 코트법 등의 공지된 방법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포량에 따라 투과 확산 휘도 특성이 변화하므로, 방현층을 3 ∼ 8 ㎛ 의 범위에서 안정적으로 얻기 쉬운 롤 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다이 코트법, 리버스 코트법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 중 어느 것으로 도포한 후, 용제를 건조시키기 위해서 가열된 존으로 반송시켜 각종 공지된 방법으로 용제를 건조시킨다. 여기서 용제 상대 증발 속도, 고형분 농도, 도포액 온도, 건조 온도, 건조풍의 풍속, 건조 시간, 건조 존의 용제 분위기 농도 등을 선정함으로써, 표면 요철 형상의 프로파일에 의한 외부 확산 및 상기 확산 입자나 상기 첨가제에 의한 내부 확산을 조정할 수 있다.
특히, 건조 조건의 선정에 따라 투과 확산 휘도 특성을 조정하는 방법이 간편하고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건조 온도로는 30 ∼ 120 ℃, 건조 풍속으로는 0.2 ∼ 50 m/s 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투과 확산 휘도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용제의 종류와 건조 온도·풍속을 제어함으로써, 수지 및 용제의 기재로의 침투성을 조정할 수 있다. 즉, 용제 조건이 동일한 경우에는 건조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수지 및 용제의 기재로의 침투성을 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표면 요철 형상을 제어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상기 방법 중 어느 것으로 용제를 건조시킨 후에, 전리 방사선 경화를 실시하여, 도막을 경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전리 방사선종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도막을 형성하는 경화성 조성물의 종류에 따라, 자외선, 전자선, 근자외선, 가시광, 근적외선, 적외선, X 선 등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특히 취급이 간편하고, 고에너지가 용이하게 얻어진다는 점에서 자외선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반응성 화합물을 광 중합시키는 광원으로는, 자외선을 발생하는 광원이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압 수은등, 중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초고압 수은등, 카본 아크등, 메탈 할라이드 램프, 크세논 램프, 퓨전 램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ArF 엑시머 레이저, KrF 엑시머 레이저, 엑시머 램프 또는 싱크로트론 방사광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 저압 수은등, 중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초고압 수은등, 카본 아크등, 메탈 할라이드 램프, 크세논 램프, 퓨전 램프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 조금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투명 기재로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후지 필름 (주) 제조, 두께 80 ㎛) 를 준비하였다.
제 1 바인더로서,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PETTA, 제품명:M-451, 토아 합성 (주) 제조) 70 질량부, 및 이소시아누르산 PO 변성 트리아크릴레이트 (제품명:M-313, 토아 합성 (주) 제조) 30 질량부의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굴절률 1.51).
이것에 확산 입자로서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 입자 (굴절률 1.57, 평균 입경 5 ㎛,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 제조), 분산 제어용 미립자로서 반응성 콜로이달 실리카 (제품명:MIBK-SD, 평균 입경 12 ㎚, 고형분 30 %, MIBK 용제, 닛산 화학 (주) 제조) 를, 바인더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각각 17 및 12 질량부 함유시켰다.
또한, 개시제 이르가큐어 184 (BASF 재팬 제조), 레벨링제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TSF4460, 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티리얼즈 제조) 을 각각 바인더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5 질량부, 0.02 질량부 함유시켰다.
이것에 용제로서, 톨루엔 및 시클로헥사논의 혼합 용제 (질량비 7/3) 를 바인더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180 질량부 배합하여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상기 투명 기재에 도공하고, 10 m/s 의 유속으로 50 ℃ 의 건조 공기를 15 초간 유통시킨 후, 추가로 20 m/s 의 유속으로 70 ℃ 의 건조 공기를 30 초간 유통시켜 건조시켰다.
그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공기 분위기하에서 80 mJ/㎠) 투광성 수지를 경화시키고, 요철화 층을 얻었다. 경화 후의 요철화 층 두께는 3.1 ㎛ 로 하였다.
추가로, 그 요철화 층 상에 평활화 층을 형성하였다. 제 2 바인더로서 폴리머 아크릴레이트 (BS371, 아라카와 화학 제조) 와 우레탄아크릴레이트 (UV1700B, 닛폰 합성 화학 제조) 의 혼합물 (질량비;BS371/UV1700B = 40/60) 을 사용하고, 투광성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개시제 이르가큐어 184 (BASF 재팬 제조) 를 5 질량부, 레벨링제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TSF4460, 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티리얼즈 제조) 을 0.04 질량부 함유시켰다. 이것에 용제로서 톨루엔과 시클로헥사논의 혼합 용제 (질량비 7/3) 를 바인더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190 질량부 배합하여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상기 요철화 층 상에 도공하고, 20 m/s 의 유속으로 70 ℃ 의 건조 공기를 30 초간 유통시켜 건조시켰다.
이것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질소 분위기하에서 200 mJ/㎠) 투광성 수지를 경화시키고, 방현 시트를 제조하였다. 경화 후의 방현층 두께는 전체로 7.1 ㎛ 로 하였다.
(실시예 2)
요철화 층 형성용 확산 입자를 13 질량부로 하고, 방현층 두께를 전체로 6.2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방현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요철화 층 형성용 확산 입자를 11 질량부로 하고, 방현층 두께를 전체로 5.3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방현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요철화 층 형성용 확산 입자를 12 질량부로 하고, 방현층 두께를 전체로 6.3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방현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요철화 층 형성용 확산 입자를 14 질량부로 하고, 방현층 두께를 전체로 6.8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방현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요철화 층 형성용 확산 입자를 폴리스티렌 입자 (굴절률 1.59, 평균 입경 3.5 ㎛,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 제조) 9 질량부로 하고, 요철화 층 두께를 2.2 ㎛, 방현층 두께를 전체로 4.2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방현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요철화 층 형성용 확산 입자를 10 질량부로 하고, 방현층 두께를 전체로 7.5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방현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요철화 층 형성용 확산 입자를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 입자 (굴절률 1.56, 평균 입경 3.5 ㎛,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 제조) 6 질량부로 하고, 요철화 층 두께를 2.2 ㎛, 방현층 두께를 전체로 6.7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방현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요철화 층 형성용 확산 입자를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 입자 (굴절률 1.56, 평균 입경 3.5 ㎛,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 제조) 3 질량부로 하고, 요철화 층 두께를 2.2 ㎛, 방현층 두께를 전체로 5.5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방현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투명 기재로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후지 필림 (주) 제조, 두께 80 ㎛) 를준비하였다.
제 1 바인더로서,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PETTA, 제품명:M-451, 토아 합성 (주) 제조) 70 질량부, 및 이소시아누르산 PO 변성 트리아크릴레이트 (제품명:M-313, 토아 합성 (주) 제조) 30 질량부의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굴절률 1.51).
이것에 확산 입자로서,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 입자 (굴절률 1.56, 평균 입경 3.5 ㎛,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 제조), 분산 제어용 미립자로서 반응성 콜로이달 실리카 (제품명:MIBK-SD, 평균 입경 12 ㎚, 고형분 30 %, MIBK 용제, 닛산 화학 (주) 제조) 를, 바인더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각각 13 및 12 질량부 함유시켰다. 추가로, 개시제 이르가큐어 184 (BASF 재팬 제조), 레벨링제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TSF4460, 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티리얼즈 제조) 을 각각 바인더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5 질량부, 0.02 질량부 함유시켰다.
이것에 용제로서, 톨루엔 및 시클로헥사논의 혼합 용제 (질량비 7/3) 를 바인더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180 질량부 배합하여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상기 투명 기재 상에 도공하고, 10 m/s 의 유속으로 50 ℃ 의 건조 공기를 15 초간 유통시킨 후, 추가로 20 m/s 의 유속으로 70 ℃ 의 건조 공기를 30 초간 유통시켜 건조시켰다.
그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공기 분위기하에서 80 mJ/㎠) 투광성 수지를 경화시키고, 요철화 층을 얻었다. 경화 후의 요철화 층 두께는 2.2 ㎛ 로 하였다.
또한,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평활화 층을 형성하여 방현 시트를 제조하였다. 방현층 두께를 전체로 4.7 ㎛ 로 하였다.
(비교예 2)
요철화 층 형성용 확산 입자를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 입자 (굴절률 1.57, 평균 입경 5 ㎛,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 제조) 10 질량부로 하고, 요철화 층 두께를 4.5 ㎛, 방현층 두께를 전체로 9.4 ㎛ 로 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방현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요철화 층 형성용 확산 입자를 폴리스티렌 입자 (굴절률 1.59, 평균 입경 3.5 ㎛,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 제조) 8 질량부로 하고, 방현층 두께를 전체로 4.6 ㎛ 로 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방현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요철화 층 형성용 확산 입자를 폴리스티렌 입자 (굴절률 1.59, 평균 입경 3.5 ㎛,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 제조) 11 질량부로 하고, 방현층 두께를 전체로 4.4 ㎛ 로 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방현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요철화 층 형성용 확산 입자를 6 질량부로 하고, 요철화 층 두께를 1.5 ㎛, 방현층 두께를 전체로 2.8 ㎛ 로 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방현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6)
투명 기재로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후지 필림 (주) 제조, 두께 80 ㎛) 를 준비하였다.
제 1 바인더로서,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PETA, 제품명:PET-30, 닛폰 화약 (주) 제조) 80 질량부,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제품명:DPHA, 닛폰 화약 (주) 제조) 10 질량부, 및, 폴리메타크릴산메틸 (PMMA;중량 평균 분자량 75,000) 10 질량부의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굴절률 1.51).
이것에 확산 입자로서, 폴리스티렌 입자 (굴절률 1.59, 평균 입경 3.5 ㎛,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 제조) 를, 바인더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12 질량부 함유시켰다. 또한, 개시제 이르가큐어 184 (BASF 재팬 제조), 레벨링제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TSF4460, 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티리얼즈 제조) 을 각각 바인더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5 질량부, 0.04 질량부 함유시켰다.
이것에 용제로서, 톨루엔 및 시클로헥사논의 혼합 용제 (질량비 7/3) 를, 바인더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190 질량부 배합하여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상기 투명 기재에 도공하고 1 m/s 의 유속으로 70 ℃ 의 건조 공기를 15 초간 유통시킨 후, 추가로 20 m/s 의 유속으로 70 ℃ 의 건조 공기를 30 초간 유통시켜 건조시켰다.
그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질소 분위기하에서 200 mJ/㎠) 투광성 수지를 경화시키고, 방현 시트를 제조하였다. 평활화 층은 형성하지 않았다. 경화 후의 방현층 두께는 4.5 ㎛ 로 하였다.
[평가 방법]
1. 막 두께 [방현층 두께 T (㎛), 요철화 층 두께 L (㎛)] 의 측정 방법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 (LeicaTCS-NT:라이카사 제조:대물 렌즈 「10 ∼ 100 배」) 로 방현 시트의 단면을 관찰하고, 계면의 유무를 판단하여 하기의 평가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측정 순서
(1) 할레이션이 없는 선명한 화상을 얻기 위해서,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에 습식 대물 렌즈를 사용하고, 또한, 광학 적층체 상에 굴절률 1.518 의 오일을 약 2 ㎖ 두고 관찰하였다. 오일 사용은, 대물 렌즈와 방현층 사이의 공기층을 소실시키기 위해서 사용하였다.
(2) 1 화면에 대해 표면 형상이 대체로 평탄한 1 개소를 선택하고, 그 부분의 기재로부터의 막 두께를 측정하고, 그것을 5 화면분, 합계 5 점 측정하고, 평균값을 막 두께로서 산출하였다. 또한, 상기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으로 계면을 명확히 알 수 없는 액정 표시 장치용 방현 시트의 경우에는, 마이크로톰 등으로 단면을 제조하고, 전자 현미경 관찰에 의해 상기 (2) 와 동일하게 막 두께를 산출할 수도 있다.
요철화 층 두께 L 을 측정할 때에는 요철화 층만이 형성된 상태로 측정하고, 방현층 두께 T 를 측정할 때에는 방현층 전체가 적층된 상태로 측정하였다. 또, 평활화 층의 두께는 T-L 에 의해 얻을 수 있다.
2. 총 헤이즈:Ha (%) 측정 방법
총 헤이즈값은 JIS K-7136 (2000) 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측정 기기로서, 헤이즈 미터 HM-150 (무라카미 색채 기술 연구소) 을 사용하였다. 또한, 헤이즈는 투명 기재 면을 광원을 향해 측정한다.
3. 내부 헤이즈:Hi (%) 측정 방법
본 발명에서 사용하고 있는 내부 헤이즈는 이하와 같이 구해진다. 액정 표시 장치용 방현 시트의 관찰자면측 최표면에 있는 요철 상에, 표면 요철을 형성하는 수지와 굴절률이 동등하거나 적어도 굴절률 차가 0.02 이하인 수지, 본 발명의 경우에는 각 실시예·비교예로부터 미립자를 제거한 것을 와이어 바로 건조 막 두께가 8 ㎛ (완전히 표면의 요철 형상이 없어져, 표면을 평탄으로 할 수 있는 막 두께로 한다) 되도록 도포하고, 70 ℃ 에서 1 분간 건조 후, 100 mj/㎠ 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한다.
이에 따라, 표면에 있는 요철이 찌그러져 평탄한 표면이 된다. 단, 이 요철 형상을 갖는 방현층을 형성하는 조성물 중에 레벨링제 등이 들어가 있음으로써, 상기 리코트제가 튕겨지기 쉬워 잘 젖지 않는 경우에는, 미리 액정 표시 장치용 방현 시트를 비누화 처리 (2 ㏖/ℓ 의 NaOH (또는 KOH) 용액 55 도 3 분 담근 후, 수세하고, 킴와이프 등으로 물방울을 완전히 제거한 후, 50 도 오븐으로 1 분 건조) 에 의해, 친수 처리를 실시하면 된다.
이 표면을 평탄하게 한 시트는 표면 요철을 갖지 않고, 상호 작용도 없기 때문에, 내부 헤이즈만을 갖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시트의 헤이즈를 JIS K-7136 에 따라 총 헤이즈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고, 내부 헤이즈로서 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실시예에서 사용하고 있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기재 자체의 헤이즈는 0.2 이다. 방현층 자체의 내부 헤이즈는 상기 내부 헤이즈에서 이 기재의 헤이즈를 뺀 것이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빼지 않았다. 화상 표시 장치에는 일반적으로 적층체로서 방현층을 탑재하기 때문에, 방현층만의 내부 헤이즈가 아니라, 적층체 전체의 내부 헤이즈를 생각하는 것이 실태에 가깝기 때문에 좋다. 예를 들어, 헤이즈 0.2 정도이면 영향은 작지만, 만약 헤이즈가 높은 기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빼 버리면 적층체로서의 광학 특성 평가와는 상이한 것이 된다.
4. 정투과 강도 Q, 가상 정투과 강도 U, Q20 및 Q30 의 측정
각 실시예, 비교예에서 제조된 액정 표시 장치용 방현 시트에 대해, 명세서 본문 중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5. 하드 코트성 평가 방법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용 방현 시트에 있어서, 하드성을 갖는다는 것은, 연필 경도 시험에 있어서 2 H 이상의 연필 경도를 갖는 것을 말한다. 연필 경도는 JIS K-5400 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측정에 사용하는 기기로는, 연필 경도 시험기 (토요 정기사 제조) 를 들 수 있다. 그 연필 경도 시험은, 5 회의 연필 경도 시험 중, 4 회 이상의 흠집 등의 외관 이상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에 사용한 연필에 대한 경도를 구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2 H 연필을 사용하여 5 회 시험을 실시하고, 4 회 외관 이상이 발생하지 않으면, 그 광학 적층체의 연필 경도는 2 H 이다.
○:연필 경도가 2 H 이상인 것
×:연필 경도가 2 H 를 만족하지 않는 것
6. 크랙 평가 방법
JIS K5600-5-1 의 굴곡 시험에서 사용하는 원통형 맨드릴법의 심봉에 액정 표시 장치용 방현 시트를 감고, 크랙의 발생 정도로 평가하였다.
○:8 ㎜ 의 심봉에 감아도 크랙이 발생하지 않아 양호
×:8 ㎜ 의 심봉에 감았을 경우, 크랙이 발생하였다
7. 영상 평가
소니사 제조 액정 텔레비전 「KDL-40X2500」 의 최표면의 편광판을 박리하고, 표면 도포층이 없는 편광판을 첩부하였다.
이어서, 그 위에 각 실시예, 비교예에서 제조한 샘플을 방현층 측이 최표면이 되도록, 광학 필름용 투명 점착 필름 (전광선 투과율 91 % 이상, 헤이즈 0.3 % 이하, 막 두께 20 ∼ 50 ㎛ 의 제품, 예를 들어 MHM 시리즈:니치에이 가공 (주) 제조 등) 에 의해 첩부하였다.
그 액정 텔레비전을, 조도가 약 1,000 Lx 인 환경하의 실내에 설치하고, 미디어 팩토리사의 DVD 「오페라의 유령」 을 표시하여, 액정 텔레비전으로부터 1.5 ∼ 2.0 m 정도 떨어진 장소에서 상하, 좌우 다양한 각도에서 그 영상을 피험자 15 명이 감상함으로써, 하기 항목에 관해서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1) 흑채감:동화상 표시시, 콘트라스트 (광택 있는 흑색감 및 흑색 선명함) 가 높고, 입체감이 있으며, 또한 화상에 광택이나 반짝임이 있어, 약동감을 느끼는지 여부로 판정하였다.
◎:입체감 및 약동감이 모두 ○ 이다
○:입체감 및 약동감 중 하나가 ○ 이고 또 하나가 △ 이다
●:입체감 및 약동감이 모두 △ 이다
×:입체감 및 약동감에 하나라도 × 가 있다
또한, 입체감, 약동감은 이하의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입체감
○:양호하다고 대답한 사람이 10 명 이상
△:양호하다고 대답한 사람이 5 ∼ 9 명
×:양호하다고 대답한 사람이 4 명 이하
약동감
○:양호하다고 대답한 사람이 10 명 이상
△:양호하다고 대답한 사람이 5 ∼ 9 명
×:양호하다고 대답한 사람이 4 명 이하
(2) 동화 방현성:동화상 표시시, 내비침성 (관측자 및 관측자의 배경의 비침이 신경 쓰이지 않는 상태) 이 우수하고, 동화상이 비쳐 보이는지 여부로 판정하였다. 관측자 및 관측자의 배경의 비침이 신경 쓰이지 않는 상태란, 관측자가 있는 것은 확인되지만, 그 윤곽만은 불명료한 희미해진 상태이며, 배경에 있는 물체도 존재는 확인되지만, 윤곽이나 경계가 불명료해진 상태이다. 또, 배경에 백색 벽이 있는 경우, 백색 벽이 존재하는 것은 확인되지만, 백색이 희미해진 상태로, 벽의 경계선이 불명료한 상태이다. 이와 같이, 윤곽 등이 희미해진 것만으로, 관측자에게 있어서는 비침이 신경 쓰이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 방현성은, 종래의 방현성과 같이, 관측자나 배경이 완전히 비치지 않는, 완전히 희미해져, 불명료해지는 상태와는 다르다.
◎:양호하다고 대답한 사람이 13 명 이상
○:양호하다고 대답한 사람이 10 ∼ 12 명
●:양호하다고 대답한 사람이 5 ∼ 9 명
×:양호하다고 대답한 사람이 4 명 이하
(3) 암소 흑색미:상기 액정 텔레비전에 대해, 조도를 5 Lx 이하 환경하의 실내에 설치하고, 흑색 화면을 표시하여, 액정 텔레비전으로부터 1.5 ∼ 2.0 m 정도 떨어진 장소에서 상하, 좌우 다양한 각도에서, 그 영상을 피험자 15 명이 감상함으로써 하기 항목에 관해서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이 때의 흑색 화면 표시에 대해서는, 별도 외부 접속한 노트 퍼스널 컴퓨터 (소니 제조 VAIO) 의 화면을 표시시키고, 배경색을 전체면 「흑색」 으로 하였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암소에서의 흑색 표시에 있어서, 회색을 띠거나 유백색이 섞인 인상을 느끼지 않고, 검게 보이는지 여부로 판정하였다.
◎:양호하다고 대답한 사람이 13 명 이상
○:양호하다고 대답한 사람이 10 ∼ 12 명
●:양호하다고 대답한 사람이 5 ∼ 9 명
×:양호하다고 대답한 사람이 4 명 이하
(4) 흑색 선명함:상기 액정 텔레비전을, 다시 조도가 약 1,000 Lx 인 환경하의 실내에 설치하고, 바로 정면에서 전원 off 시의 흑색미 및 전원 on 시의 흑색미 (검은 화상) 를 평가하였다. 검다는 기준으로 나타내었다.
◎:양호하다고 대답한 사람이 13 명 이상
○:양호하다고 대답한 사람이 10 ∼ 12 명
●:양호하다고 대답한 사람이 5 ∼ 9 명
×:양호하다고 대답한 사람이 4 명 이하
(5) 광택 있는 흑색감:흑색 아크릴 판에 액정 표시 장치용 방현 시트를 상기 광학 필름용 투명 점착 필름을 사용하여 첩합 (貼合) 한 시료를, 조도가 약 1,000 Lx 인 환경하의 실내에서 수평면에 두고, 삼파장 선관을 점등시킨 상태로 45 도 입사면에 대해 정반사 방향에서 피험자 15 명이 육안 관능 평가를 실시하고, 광택이 있는 흑색을 재현할 수 있는지 여부에 의해 판정한다.
◎:양호하다고 대답한 사람이 13 명 이상
○:양호하다고 대답한 사람이 10 ∼ 12 명
●:양호하다고 대답한 사람이 5 ∼ 9 명
×:양호하다고 대답한 사람이 4 명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방현 시트에 대해, 그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112014010786427-pct00001
표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에 관련된 방현 시트는, Q/U 및 Log10(Q30/Q) 가 본 발명의 범위를 만족하고 있기 때문에, 영상 평가에 있어서 우수한 것이었다. 또한, 비교예 5 는 탈락한 확산 입자에 의한 약간의 수율 저하가 보였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용 방현 시트에 의하면, 암소 흑색미, 흑채감이 우수하고, 또한 동화 방현성이 우수한 화상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1, 7 : 방현 시트
2, 8 : 방현층
3 : 확산 입자
4-1 : 제 1 바인더
4-2 : 제 2 바인더
5, 9, 11 : 투명 기재
6, 12 : 편광판
10 : 편광층
13 : 유리 기판
14 : 컬러 필터
15 : 투명 전극
16 : 액정 셀
17 : 백라이트
18 : 유리 기판 (전면판)
19 : 표시 전극 (투명 전극 + 패스 전극)
20 : 투명 유전체층
21 : MgO
22 : 유전체층
23 : 유리 기판 (배면판)
24 : 어드레스 전극
25 : 형광체
26 : 플라즈마 표시 패널 (PDP)
27 : 전면 필터
28 : 스페이서
29 : 케이싱
30 : 비스
31 : 전면 (표시면)

Claims (14)

  1. 투명 기재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확산 입자 및 제 1 바인더로 이루어지는 요철화 층, 및 제 2 바인더로 이루어지는 평활화 층이 상기 투명 기재로부터 순서대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방현층을 갖는 방현 시트로서,
    상기 요철화 층은 상기 투명 기재와는 반대 측의 면에 상기 확산 입자에 기초하는 제 1 볼록부를 갖고, 상기 평활화 층은 상기 투명 기재와는 반대 측의 면에 상기 제 1 볼록부에 기초하는 제 2 볼록부를 갖고, 상기 방현 시트에 상기 투명 기재 측으로부터 수직으로 가시광선을 조사했을 때의 정투과 방향의 휘도를 Q, 정투과로부터 30 도 방향의 휘도를 Q30, 정투과로부터 +2 도 방향의 휘도와 정투과로부터 +1 도 방향의 휘도를 잇는 직선, 및, 정투과로부터 -2 도 방향의 휘도와 정투과로부터 -1 도 방향의 휘도를 잇는 직선을 각각 정투과에 외삽한 투과 강도의 평균값을 U 로 했을 때, 하기의 (식 1) 및 (식 2)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시트.
    (식 1) 10 < Q/U < 36
    (식 2) Log10(Q30/Q) < -6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현 시트에 투명 기재 측으로부터 수직으로 가시광선을 조사했을 때의 정투과로부터 20 도 방향의 휘도를 Q20 으로 했을 때 하기의 (식 3)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시트.
    (식 3) Log10(Q20/Q) < -5.5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화 층의 두께를 L (㎛), 상기 확산 입자의 평균 입경을 R (㎛) 로 했을 때 하기의 (식 4)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시트.
    (식 4) R/2 < L < R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현층의 전체 두께 T (㎛) 가 하기 (식 5)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시트.
    (식 5) 3 < T < 8
  5. 제 1 항에 있어서,
    방현 시트의 전체 헤이즈값을 Ha (%) 로 하고, 방현 시트의 내부 헤이즈값을 Hi (%) 로 했을 때, 하기의 (식 6)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시트.
    (식 6) 0 ≤ Ha-Hi ≤ 1.3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현 시트를 사용한 편광판.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현 시트를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
  8. 투명 기재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확산 입자 및 제 1 바인더로 이루어지는 요철화 층, 및 제 2 바인더로 이루어지는 평활화 층이 상기 투명 기재로부터 순서대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방현층을 갖는 방현 시트로서, 상기 요철화 층은 상기 투명 기재와는 반대 측의 면에 상기 확산 입자에 기초하는 제 1 볼록부를 갖고, 상기 평활화 층은 상기 투명 기재와는 반대 측의 면에 상기 제 1 볼록부에 기초하는 제 2 볼록부를 갖고, 상기 방현 시트에 상기 투명 기재 측으로부터 수직으로 가시광선을 조사했을 때의 정투과 방향의 휘도를 Q, 정투과로부터 30 도 방향의 휘도를 Q30, 정투과로부터 +2 도 방향의 휘도와 정투과로부터 +1 도 방향의 휘도를 잇는 직선, 및, 정투과로부터 -2 도 방향의 휘도와 정투과로부터 -1 도 방향의 휘도를 잇는 직선을 각각 정투과에 외삽한 투과 강도의 평균값을 U 로 했을 때, 하기의 (식 1) 및 (식 2) 를 만족하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시트의 제조 방법.
    (식 1) 10 < Q/U < 36
    (식 2) Log10(Q30/Q) < -6
  9. 투명 기재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확산 입자 및 제 1 바인더로 이루어지는 요철화 층, 및 제 2 바인더로 이루어지는 평활화 층이 상기 투명 기재로부터 순서대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방현층을 갖는 방현 시트를,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측에 갖는 화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요철화 층은 상기 투명 기재와는 반대 측의 면에 상기 확산 입자에 기초하는 제 1 볼록부를 갖고, 상기 평활화 층은 상기 투명 기재와는 반대 측의 면에 상기 제 1 볼록부에 기초하는 제 2 볼록부를 갖고, 상기 방현 시트에 상기 투명 기재 측으로부터 수직으로 가시광선을 조사했을 때의 정투과 방향의 휘도를 Q, 정투과로부터 30 도 방향의 휘도를 Q30, 정투과로부터 +2 도 방향의 휘도와 정투과로부터 +1 도 방향의 휘도를 잇는 직선, 및, 정투과로부터 -2 도 방향의 휘도와 정투과로부터 -1 도 방향의 휘도를 잇는 직선을 각각 정투과에 외삽한 투과 강도의 평균값을 U 로 했을 때, 하기의 (식 1) 및 (식 2)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장치의 흑채감, 암소 흑색미, 동화 방현성, 광택 있는 흑색감, 흑색 선명함을 개선하는 방법.
    (식 1) 10 < Q/U < 36
    (식 2) Log10(Q30/Q) < -6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현 시트에 투명 기재 측으로부터 수직으로 가시광선을 조사했을 때의 정투과로부터 20 도 방향의 휘도를 Q20 으로 했을 때 하기의 (식 3)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식 3) Log10(Q20/Q) < -5.5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화 층의 두께를 L (㎛), 상기 확산 입자의 평균 입경을 R (㎛) 로 했을 때 하기의 (식 4)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식 4) R/2 < L < R
  12.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방현층의 전체 두께 T (㎛) 가 하기 (식 5)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식 5) 3 < T < 8
  13.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방현 시트의 전체 헤이즈값을 Ha (%) 로 하고, 방현 시트의 내부 헤이즈값을 Hi (%) 로 했을 때, 하기의 (식 6)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식 6) 0 ≤ Ha-Hi ≤ 1.3
  14. 제 6 항에 기재된 편광판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
KR1020147002874A 2011-10-12 2012-10-10 화상 표시 장치용 방현 시트 KR1019346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24697 2011-10-12
JPJP-P-2011-224697 2011-10-12
PCT/JP2012/076170 WO2013054805A1 (ja) 2011-10-12 2012-10-10 画像表示装置用防眩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865A KR20140072865A (ko) 2014-06-13
KR101934607B1 true KR101934607B1 (ko) 2019-01-02

Family

ID=48081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2874A KR101934607B1 (ko) 2011-10-12 2012-10-10 화상 표시 장치용 방현 시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40254021A1 (ko)
JP (1) JP6048412B2 (ko)
KR (1) KR101934607B1 (ko)
TW (1) TWI461749B (ko)
WO (1) WO20130548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1192B1 (ko) * 2013-07-05 2017-06-26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방현 필름, 편광판, 액정 패널 및 화상 표시 장치
TWI665472B (zh) * 2014-06-13 2019-07-11 美商3M創新有限公司 用於閃光抑制之光學堆疊
US9507162B1 (en) * 2014-09-19 2016-11-29 Amazon Technologies, Inc. Display component assembly
KR20160104248A (ko) * 2015-02-26 2016-09-0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방현 필름,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표시장치
WO2017057748A1 (ja) * 2015-09-30 2017-04-06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光拡散性樹脂組成物の成形体及びその用途
WO2018070300A1 (ja) * 2016-10-11 2018-04-19 株式会社ダイセル 反射防止材
KR101988548B1 (ko) * 2016-12-12 2019-06-12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JP7326702B2 (ja) * 2017-05-22 2023-08-16 Agc株式会社 防汚膜付き透明基板および静電容量型インセルタッチパネル式液晶表示装置
CN107728237B (zh) * 2017-06-30 2020-08-18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抗眩及抗反射元件
WO2020194719A1 (ja) 2019-03-28 2020-10-01 堺ディスプレイプロダクト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WO2020194720A1 (ja) 2019-03-28 2020-10-01 堺ディスプレイプロダクト株式会社 光散乱膜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23516552A (ja) * 2020-03-05 2023-04-20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防眩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8101A (ja) * 2002-02-25 2003-09-05 Fuji Photo Film Co Ltd 防眩性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6106290A (ja) * 2004-10-04 2006-04-20 Daicel Chem Ind Ltd 防眩性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37206A1 (en) * 2005-02-22 2008-06-12 Fujifilm Corporation Film,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olarization Plate Using the Film, and Liquid Crystal,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Polarizing Plate
JP2007108725A (ja) * 2005-09-15 2007-04-26 Fujifilm Corp 光学フィルム、反射防止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5220286B2 (ja) * 2006-06-15 2013-06-26 日東電工株式会社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8488079B2 (en) * 2008-10-21 2013-07-16 Dai Nippon Printing Co., Ltd. Optical sheet for use as a display surface
CN102265193A (zh) * 2008-12-23 2011-11-30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薄膜以及包括该光学薄膜的液晶显示装置
KR20120079074A (ko) * 2009-09-04 2012-07-11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광확산 필름과 그 제조 방법, 광확산성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8101A (ja) * 2002-02-25 2003-09-05 Fuji Photo Film Co Ltd 防眩性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6106290A (ja) * 2004-10-04 2006-04-20 Daicel Chem Ind Ltd 防眩性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3054805A1 (ja) 2015-03-30
US20140254021A1 (en) 2014-09-11
TW201316045A (zh) 2013-04-16
KR20140072865A (ko) 2014-06-13
JP6048412B2 (ja) 2016-12-21
WO2013054805A1 (ja) 2013-04-18
CN103858025A (zh) 2014-06-11
TWI461749B (zh) 2014-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5119B1 (ko) 화상 표시 장치용 방현 시트
KR101934607B1 (ko) 화상 표시 장치용 방현 시트
KR101858305B1 (ko) 화상 표시 장치용 방현 시트와 그 제조 방법, 및 이것을 사용한 동화상과 정지 화상의 공용에 적합한 화상 표시 장치의 흑채감 및 화상 선명도의 개선 방법
CN101341427B (zh) 防眩性光学叠层体
KR101395463B1 (ko) 방현성 광학 적층체
TWI460475B (zh) 光學片材
JP4966395B2 (ja) 動画像と静止画像との混用に適した液晶表示装置の黒彩感及び画像の切れの改善方法
WO2013099931A1 (ja) 防眩性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4059334A (ja) 光学フィルム、偏光板、液晶パネル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06886065B (zh) 光学层叠体、偏振片和图像显示装置
KR101779279B1 (ko) 광학 시트
JP5488430B2 (ja) 動画像と静止画像との混用に適した液晶表示装置の黒彩感及び画像の切れの改善方法
CN103858025B (zh) 图像显示装置用防眩片
JP2011221490A (ja) 動画像と静止画像との混用に適した液晶表示装置の黒彩感及び画像の切れの改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