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3599B1 - 바이텍스 추출물을 이용한 모기 기피제. - Google Patents

바이텍스 추출물을 이용한 모기 기피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3599B1
KR101933599B1 KR1020160180669A KR20160180669A KR101933599B1 KR 101933599 B1 KR101933599 B1 KR 101933599B1 KR 1020160180669 A KR1020160180669 A KR 1020160180669A KR 20160180669 A KR20160180669 A KR 20160180669A KR 101933599 B1 KR101933599 B1 KR 101933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tex
extract
mosquito repellent
limonifolia
mosquit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0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6472A (ko
Inventor
정용식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씨비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씨비엠씨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씨비엠씨
Priority to KR1020160180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599B1/ko
Publication of KR20180076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5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 Y10S514/919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텍스(Vitex limonifolia)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 기피제에 관한 것으로서, 바이텍스를 용매 추출법으로 추출한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모기 기피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 추출물로 이루어진 모기 기피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바이텍스 추출물을 이용한 모기 기피제.{MOSQUITO REPELLENT USING VITEX LIMONIFOLIA EXTRACTS}
본 발명은 바이텍스 추출물을 이용한 모기 기피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이텍스를 용매추출법으로 추출한 추출물을 이용한 모기 기피제에 관한 것이다.
바이텍스(Vitex limonifolia)는 마편초과(Verbenaceae)에 속하는 식물로서 주로 인도, 태국, 미얀마 등 열대지방 및 아열대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 미얀마에서는 전통적으로 바이텍스를 감기에 걸렸을 때 사용하고 있다.
바이텍스를 활용한 다양한 연구가 알려져 있는데,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127929호에서는 바이텍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아토피용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125778호에서는 바이텍스 유래의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암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8-0090745호에서는 바이텍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바이텍스를 모기 기피제로서 활용한 예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바이텍스 나무를 재배하는 과정에서 일반적인 해충 및 모기가 근처에 서식하지 않는 점에 착안하여 추출물 이용한 모기 기피제 및 기능성 화장품, 식품의 첨가원료로 개발하고자 연구를 지속해 오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12792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12577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8-0090745호
전희진, Vitex limonifolia의 식물화학성분 연구, 가톨릭대학교 석사논문(201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바이텍스 추출물을 이용한 모기 기피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기 기피제는 바이텍스(Vitex limonifolia)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바이텍스 추출물은 바이텍스를 발효 주정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일 수 있고, 바이텍스를 정제수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기 기피제는 상기 바이텍스 추출물을 분리 동정한 분획물을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기 기피제는 상기 추출물을 농축한 농축액을 효모로 발효한 발효 원액을 함유하는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기 기피제는 바이텍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으로서 우수한 모기 기피의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 추출물을 활용한 모기 기피제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바이텍스(Vitex rotundifolia)는 순비기나무로 알려진 한국, 중국, 일본이 원산지인 꿀풀과의 갈잎 떨기나무이나,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바이텍스(Vitex limonifolia)는 인도, 태국, 미얀마 등 열대지방 및 아열대 지방에 분포하는 마편초과 식물로서 전희진, Vitex limonifolia의 식물화학성분 연구, 가톨릭대학교 석사논문(2016)에서는 바이텍스의 EtOAc 분획에 대한 성분 분리를 시도하여 2종의 benzoic acid계열 화합물과 7종의 flavonoid 계열 화합물, 6종의 diterpene을 분리 하고 있으며, 분리한 화합물들의 구조를 NMR, MS, UV 등의 분광학적 기기분석법을 통하여 규명함으로써, protocatechuic acid, (+)-taxifolin, luteolin, quercetin, 7-O-methylquercetin, (-)-eriodictyol, 4-hydroxybenzoic acid, cirisimaritin, cirsilineol, (+)-limonidilactone, (+)-acuminolide, (+)-limonifolide으로 동정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바이텍스 추출물의 모기 기피제로서의 성능을 시험하였다.
바이텍스 추출물을 얻기 위한 바이텍스는 잎, 줄기, 꽃, 뿌리를 포함하는 전체를 사용하였다.
바이텍스 추출물은 일반적인 용매 추출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즉, 99%의 발효주정을 용매로 이용하여 추출하거나 정제수를 이용하여 48℃의 온도에서 추출할 수도 있다. 또한, 발효주정 대신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부탄올 중 어느 하나의 알코올 또는 알코올과 정제수의 혼합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99%의 발효주정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과정에서 초음파를 인가하여 추출 효율을 상승시킬 수도 있다.
얻어진 추출물은 증류수에 현탁시킨 후 용매의 극성에 따라 n-Hexane, EtOAc, n-BuOH로 순차 분획하여 분획물을 제조한 후 이를 모기 기피제의 성분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추출액을 농축한 농축액을 효모로 발효한 발효 원액을 모기 기피제로 사용할 수도 있다. 발효 원액의 제조를 위해서는 Bacillus subtilis, Aspergillus 속, Leuconostoc 속, Lactobacillus 속, Weisella 속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미생물을 접종하여 발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추출액, 분획물, 농축액을 모기 퇴치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증류수로 희석하여 분무액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액체 형태로 피부에 도포할 수도 있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의 성분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화장료 조성물의 성분으로 사용할 경우, 상기 바이텍스 추출물은 5 내지 30 중량%의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이텍스 추출물을 지나치게 적게 사용하면 모기 기피의 효과를 나타내기 어렵고 너무 많이 사용할 경우 피부 부작용, 제형의 불안정화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팩, 피부 점착타입 화장료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고,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치, 분무제와 같은 경피 투여형 제형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바이텍스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필요에 따라, 계피 추출물, 봉선화 추출물, 목초 정제액 등의 부가적인 천연 방충제 성분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모기 기피제로서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바이텍스를 99%의 발효주정으로 추출한 추출물을 농축한 후 효모를 사용하여 발효한 원액을 이용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자연상태에 서식하는 집모기를 포집하여 밀폐된 투명한 유리상자형 공간에 50마리를 방사하였다. 이 공간에 손이 들어 갈 수 있는 구조로 구멍을 내고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모기 기피제를 도포한 후 모기포집상자에 180초 동안 노출하여 모기에 물리는 횟수를 관측하여 효능을 측정하였다.
시험은 바이텍스 추출물의 발효원액만으로 이루어진 모기 기피제(실시예 1), 바이텍스 추출물의 발효원액 250㎖에 봉선화 추출물 125㎖, 계피 추출물 100㎖을 혼합한 모기 기피제(실시예 2) 및 바이텍스 추출물 발효원액 250㎖에 봉선화 추출물 125㎖, 계피 추출물 100㎖, 목초액 정제액 50㎖을 혼합한 모기 기피제(실시예 3)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비교실험을 위하여 천연 모기 기피제로 계피 추출물 100㎖와 초피 추출물 100㎖로 혼합한 모기 기피제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표 1과 같다.
물린 횟수 노출시간
비교예 10 180초
실시예1 4 180초
실시예2 2 180초
실시예3 0 180초
표 1의 결과를 살펴보면, 바이텍스 추출물의 발효원액을 사용하면 천연 모기 기피제인 비교예에 비하여 모기에게 물린 횟수가 절반 이하로 감소하여 모기 기피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다른 천연 추출물과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모기 기피의 효과는 더 증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바이텍스 추출물을 알려진 천연 추출물과 적절히 배합하면 효과가 우수한 모기 기피제를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Claims (5)

  1. 바이텍스 리모니폴리아(Vitex limonifolia) 추출물을 농축한 농축액을 효모로 발효한 발효 원액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 기피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이텍스 리모니폴리아 추출물은 바이텍스 리모니폴리아를 발효 주정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 기피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이텍스 리모니폴리아 추출물은 바이텍스 리모니폴리아를 정제수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 기피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180669A 2016-12-28 2016-12-28 바이텍스 추출물을 이용한 모기 기피제. KR101933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669A KR101933599B1 (ko) 2016-12-28 2016-12-28 바이텍스 추출물을 이용한 모기 기피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669A KR101933599B1 (ko) 2016-12-28 2016-12-28 바이텍스 추출물을 이용한 모기 기피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472A KR20180076472A (ko) 2018-07-06
KR101933599B1 true KR101933599B1 (ko) 2018-12-28

Family

ID=62921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669A KR101933599B1 (ko) 2016-12-28 2016-12-28 바이텍스 추출물을 이용한 모기 기피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35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703A (ko) 2019-05-31 2020-12-09 주식회사 그린팜네이처 천연 모기기피제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69582A1 (en) * 2002-11-19 2006-11-30 Alpha-Biocare Gmbh Arthropod repellent comprising extracts and/or parts of the plant vitex agnus-castus
CN104739730A (zh) * 2015-04-21 2015-07-01 吉首大学 一种除菌、止痒、驱蚊花露水的制作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69582A1 (en) * 2002-11-19 2006-11-30 Alpha-Biocare Gmbh Arthropod repellent comprising extracts and/or parts of the plant vitex agnus-castus
CN104739730A (zh) * 2015-04-21 2015-07-01 吉首大学 一种除菌、止痒、驱蚊花露水的制作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703A (ko) 2019-05-31 2020-12-09 주식회사 그린팜네이처 천연 모기기피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472A (ko) 201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38427B (zh) 一种洗发香波
CN106214579A (zh) 一种诺丽酵素美白防晒霜及其制备方法
KR101625163B1 (ko) 자연동굴 조건에서 발효시킨 차가버섯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17861B1 (ko) 황칠나무와 한약재료의 효소 추출물을 이용하는 탈모개선 샴푸의 제조 방법
KR20190009435A (ko) D-판토테닐알코올로 이루어지는 멜라닌 생성억제제, 및 그 멜라닌 생성억제제를 포함하는 미백화장료
KR100986249B1 (ko) 관중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항균, 방부제 조성물.
KR101533947B1 (ko) 모란꽃 식물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항염,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1806800B1 (ko)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Prommaban et al. Comparison of chemical profiles, antioxidation, inhibition of skin extracellular matrix degradation, and anti-tyrosinase activity between mycelium and fruiting body of Cordyceps militaris and Isaria tenuipes
KR101918673B1 (ko) 해양 유래 신규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KR101933599B1 (ko) 바이텍스 추출물을 이용한 모기 기피제.
KR20110085371A (ko) 천연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두피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89935B1 (ko) 쑥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KR20190045455A (ko) 갈대 추출물의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137952A (ko) 마스크 팩
KR101580107B1 (ko) 버섯균사체 발효 제비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25713B1 (ko) 아레카야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89999B1 (ko) 장미숙성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66711A (ko) 미백 및 주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102364A (ko) 항노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101694500B1 (ko) 벼뿌리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53544A (ko) 겨우살이, 편백나무, 참나무 및 동백나무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8601B1 (ko) 홍화의 상황버섯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 조성물
KR101850085B1 (ko) 산자나무 오일 및 산자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KR102021322B1 (ko) 닥나무 및 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