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3518B1 - 자가 스트레칭용 탄력수건 - Google Patents

자가 스트레칭용 탄력수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3518B1
KR101933518B1 KR1020170118690A KR20170118690A KR101933518B1 KR 101933518 B1 KR101933518 B1 KR 101933518B1 KR 1020170118690 A KR1020170118690 A KR 1020170118690A KR 20170118690 A KR20170118690 A KR 20170118690A KR 101933518 B1 KR101933518 B1 KR 101933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el
stretching
elastic
self
body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8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경
김병조
박진성
황제웅
안수홍
김두엽
권태우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18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5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02Towe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Exercising devices moving as a whole during exerci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63B21/0557Details of attachments, e.g. clips or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82/00Exercise devices
    • Y10S482/907Stretc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가 스트레칭용 탄력수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트레칭 동작별 운동능력의 최적화와 아울러 특정 신체부위의 근력보강을 위한 압박(taping)밴드로도 겸용할 수 있도록 한 자가 스트레칭용 탄력수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력 부여에 따른 신장 및 신전 작용에 의거 발생한 대응탄력이 특정 신체부위를 압박토록 하여 해당 신체부위의 근육이나 건, 인대를 늘여주는 운동으로 관절의 가동범위 증가를 달성하는 스트레칭 도구의 주체이되, 부위별 소재의 차등적용을 통한 압박효율 증대와 더불어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횡폭의 면적확대를 통해 신체부위 압박시 안정감이 더해질 수 있도록 한 타올체; 및, 상기 타올체의 양측 선단부에 각각 구비결합됨에 따라 사용자가 자신의 양손으로 부여잡고 상호 대향하는 양방향으로 벌리거나 원하는 방향으로 늘리는 상기 타올체의 신장과 신전 유발 도구이되, 상기 타올체의 각 선단 횡폭 범위 내에서의 위치이동으로 스트레칭 동작별 상황에 적합한 포지션 선정 및 설정이 가능케 된 복수의 파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가 스트레칭용 탄력수건{ELASTIC TOWEL FOR SELF STRETCHING}
본 발명은 자가 스트레칭용 탄력수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트레칭 동작별 운동능력의 최적화와 아울러 특정 신체부위의 근력보강을 위한 압박(taping)밴드로도 겸용할 수 있도록 한 자가 스트레칭용 탄력수건에 관한 것이다.
근골격계질환(musculoskeletal disorders; MSD)은 오랫동안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활동을 하거나 부적절한 자세로 인하여, 신체 각부의 근육·인대·관절·신경 등에 손상이 누적돼 통증이 발생하고 기능이 저하되는 건강장애(健康障碍)의 질환을 일컫는다.
예컨대, 일하다가 목이나 허리, 어깨, 팔, 무릎 등이 아픈 경험은 누구가 한번쯤 있을 것이다. 이렇듯, 허리통증(요통)에서 디스크(추간판탈출증)에 이르기까지 관절부위의 질환은 모두 근골격계질환이라 할 수 있다.
부연하자면, 목에는 경추부 염좌, 목디스크(경추추간판탈출증), 거북목증후군(forward head posture)이 나타날 수 있는바, 공부하는 학생이나 스마트폰 애용자의 경우 목 뒷부분의 근육과 인대가 긴장상태를 지속하게 되어 거북목증후군이 자주 발생한다. 이 경우, 뒷목과 어깨, 허리에 통증과 피로를 느끼게 되고, 근육이 뭉친 채로 방치하면 목디스크로 발전할 수 있다.
또한, 어깨는 다양한 움직임을 구사하기 때문에 운동범위가 넓으면서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는바, 어깨관절에 흔히 발생하는 통증질환으로는 어깨가 굳으면서 아픈 오십견(frozen shoulder), 어깨를 지나는 신경과 혈관이 압박받아 발생하는 흉곽출구증후군(thoracic outlet syndrome), 어깨 주변의 근육이 손상되어 발생하는 회전근개손상(Rotator Cuff Tear), 컴퓨터를 장시간 사용해서 생기는 VDT증후군(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 등이 있다.
그리고, 손목을 과다하게 사용하면 수근관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 / 손목굴 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는바, 손목에서 손바닥으로 뻗어있는 정중신경이 근육, 건(腱, tendon / 힘줄) 등의 주변조직에 눌리면서 통증이 나타난다.
다른 한편으로, 인간이 직립보행을 하면서 숙명적으로 앓게 되었다는 것 중 하나가 허리통증인데, 보통 허리가 아프면 대부분 디스크를 의심하지만 대부분 허리뼈를 지탱해주는 근육이나 건이 늘어나거나 파열되어 발생하는 요통(요추부염좌)일 수 있다.
그리고, 무릎관절은 몸의 무게를 지탱하면서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어느 관절보다 크고 튼튼하지만 충격을 받으면 손상의 크기가 크고 퇴행성 변화 또한 가장 잘 생기는 부위인바, 무릎에 가장 흔한 퇴행성관절염(degenerative arthritis / 골관절염), 과격한 운동이나 외상에 의해서 발생하는 반월상연골손상이나 무릎인대손상, 운동 부족과 하이힐로 인해 젊은 여성에게 많이 발생하는 슬개골연골연화증(chondromalacia of the patella), 무릎 관절의 점액낭(mucilage sac)에 염증이 생기는 점액낭염 등이 무릎관절에 통증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질환이다.
이처럼 다양한 근골격계질환의 발생원인을 단순하게 정리하면, 잘못된 자세와 반복적 동작, 퇴행성 변화, 세 가지를 들 수 있으며, 퇴행성 변화의 경우 원천봉쇄할 수는 없지만 최소한 젊은 마음가짐과 규칙적인 운동으로 변화의 속도를 늦출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절대적으로 좋은 자세는 없다고 보는 것이 옳은다. 따라서, 좋은 자세라도 수시로 바꿔 움직여주는 것이 가장 좋은 자세이고, 이를 위해서는 반복되는 동작 사이사이 스트레칭을 하는 것으로 근골격계질환을 예방하고 또한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구부정하거나 비뚤어진 자세를 반듯하게 바로잡아 올바른 자세로 만들어주는 교정의류는 물론이거니와 신체부위의 근육이나 건 인대 등을 늘려 긴장완화와 더불어 근력보강을 위한 자가 스트레칭을 위한 운동기구가 시판되고 있다.
일예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9759호를 통해, 가지고 다니면서 필요시 언제 어디서나 운동을 할 수 있는 가볍고 휴대성이 간편한 완력기가 개시된바 있으나, 양측 손잡이부분을 양손으로 부여잡고 완력(腕力)을 이용해서 길이측 양방향으로 늘리는 동작의 반복을 통해 팔의 근력을 보강하는데에만 도움되는 수준에 불과한 단순 탄력밴드의 형태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구조적 관계로, 스트레칭 및 운동효과가 미미할 수밖에 없다.
더욱이, 스트레칭 동작별 파지법을 최적화하는 가이드부재의 부재(不在)로 부정확하고 부적절한 수행동작이 유발될 수밖에 없고, 이 경우 신체 피로도의 증가는 물론 운동부위 과신전(過伸展, hyperextension)에 따른 근육파열 등의 역효과를 초래하는 폐단이 있어 왔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9759호(공개일자 : 2010.10.06.)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타올체의 길이방향 양선단에 파지구를 각각 구비하되, 해당 선단부의 폭범위 내에서 위치이동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스트레칭 동작별 상황에 적합한 파지구들 포지션을 선정 및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자가 스트레칭용 탄력수건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타올체를 구성함에 있어, 부위별로 소재를 특정하여 중간부와 양측부의 신축능력에 차등을 두는 한편 미사용시 본래형상으로 되돌아가는 형상복원력을 나타내도록 함으로써, 스트레칭 운동수행에 대응한 작용성 극대화 및 사용상 편의성이 달성될 수 있도록 하는 자가 스트레칭용 탄력수건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정 신체부위의 근력보강을 위한 압박밴드 등과 같은 다른 용도로도 겸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가 스트레칭용 탄력수건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력 부여에 따른 신장 및 신전 작용에 의거 발생한 대응탄력이 특정 신체부위를 압박토록 하여 해당 신체부위의 근육이나 건, 인대를 늘여주는 운동으로 관절의 가동범위 증가를 달성하는 스트레칭 도구의 주체이되, 부위별 소재의 차등적용을 통한 압박효율 증대와 더불어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횡폭의 면적확대를 통해 신체부위 압박시 안정감이 더해질 수 있도록 한 타올체; 및, 상기 타올체의 양측 선단부에 각각 구비결합됨에 따라 사용자가 자신의 양손으로 부여잡고 상호 대향하는 양방향으로 벌리거나 원하는 방향으로 늘리는 상기 타올체의 신장과 신전 유발 도구이되, 상기 타올체의 각 선단 횡폭 범위 내에서의 위치이동으로 스트레칭 동작별 상황에 적합한 포지션 선정 및 설정이 가능케 된 복수의 파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타올체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형성되고, 수분흡수가 원활한 섬유소재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신축성이 발휘되는 복수의 타올소재부와, 복수의 상기 타올소재부 중간에 배치형성됨으로써, 압박하고자 하는 신체부위에 주로 밀착되고, 신축성과 탄력성을 겸비한 탄성소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신장 및 신전 작용시 발생한 대응탄력에 의해 신체부위를 압박하게 되는 신축밴드부로 구성되며, 상기 타올소재부에는, 본래형상으로의 형상복원 및 형태적 강도향상을 위한 실리콘프레임이 테두리부위 전체를 둘러 형성되고, 상기 타올소재부 선단에 위치하는 상기 실리콘프레임의 중앙단부에는, 상기 파지구의 연계조립 및 조립상태로의 위치이동을 위한 가이드레일이 형성된다.
더하여, 상기 파지구는, 다수의 손가락을 걸어서 손으로 부여잡기에 용이한 링 형태인 한편, 인체와의 잦은 접촉을 고려하여 연질의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타올소재부를 향하는 일측부로부터는, 상기 가이드레일과의 조립결합을 위하는 넥부가 돌출연장되며, 상기 넥부의 끝단 양측 단부면으로부터는, 상기 가이드레일 내측의 장홈에 삽입상태로 위치이동하는 결속돌기가 돌출형성된다.
또한, 상기 신축밴드부는, 신축성과 탄력성이 동시에 발휘되는 탄성소재로써, 신장 및 신전 작용시 발생하는 대응탄력을 이용한 신체부위의 압박능력 증대를 목적하여 격자형 구조를 이루며, 비틀림식 형태변형시 신축 및 탄력 강도가 증강된다.
더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타올소재부의 폭을 가로지르는 범위의 길이를 가지며, 내측에는, 상기 결속돌기의 끼워 맞춤 조립 및 이동을 위한 장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장홈의 양측 내벽면 외측 끝단부로부터는, 상기 결속돌기의 이탈방지를 위한 걸림단턱이 돌출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자가 스트레칭용 탄력수건은, 기존의 탄력밴드, 탄력튜브, 탄력로프 등과 다르게 표면적이 넓은 타올의 형태를 이룸에 따라 스트레칭 운동시 인체에 닿는 접촉면이 커 안정감을 더할 수 있는바, 몸통(상체)이나 골반처럼 크고 넓은 신체부위에 적용할 때 편리하고 안전함은 물론이거니와 팔과 다리와 같이 상대적으로 작고 얇은 신체부위에 적용할 때에는 상대적으로 더 큰 안정감을 제공하여, 근육을 둘러싸고 있는 근막과 유사한 역할로 스트레칭 동작별 움직임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스트레칭 운동시 양손으로 부여잡는 복수의 파지구가 타올체의 길이방향 각 선단부에 구비되고 각 선단부의 횡폭 범위 내에서 위치이동이 가능하며 링(ring) 형태를 이루는바, 이에 따라 스트레칭 동작별 상황에 적합하도록 상기 파지구들의 포지션을 선정 및 설정 가능한 효과가 있고, 그 파지구들로 타올체의 양선단부를 걸어서 구속함이 가능하므로 상기 타올체로 특정 신체부위를 테이핑하여 근력을 보강함에 사용하는 압박붕대 용도로의 겸용성 발휘의 효과가 있다.
이와 함께, 미사용시 타올체를 두루마리식으로 둥글게 말아둔 상태에서 상기 파지구들로 타올체를 구속함을 통한 부피 축소상태의 유지로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효과가 있는 한편, 지금까지와 같은 각종 효과의 달성으로 건강과 원활한 사회생활의 영위를 위한 운동수단으로 충분한 도움이 되는 등 보다 다양한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스트레칭용 탄력수건의 전체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스트레칭용 탄력수건에 있어서, 타올체와 파지구의 구성관계 및 파지구의 위치변경관계를 나타낸 요부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스트레칭용 탄력수건에 있어서, 탄력증강을 목적한 타올체의 비틀림상태를 나타낸 작용예시도.
도 4a 내지 도 4g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스트레칭용 탄력수건을 이용한 스트레칭방법을 다양하게 나타낸 사용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스트레칭용 탄력수건을 압박붕대의 용도로 달리 활용한 상태를 나타낸 다른 사용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스트레칭용 탄력수건을 두루마리형태로 부피를 최소화한 상태를 나타낸 작용예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스트레칭용 탄력수건의 전체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스트레칭용 탄력수건에 있어서 타올체와 파지구의 구성관계 및 파지구의 위치변경관계를 나타낸 요부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스트레칭용 탄력수건에 있어서 탄력증강을 목적한 타올체의 비틀림상태를 나타낸 작용예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g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스트레칭용 탄력수건을 이용한 스트레칭방법을 다양하게 나타낸 사용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스트레칭용 탄력수건을 압박붕대의 용도로 달리 활용한 상태를 나타낸 다른 사용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스트레칭용 탄력수건을 두루마리형태로 부피를 최소화한 상태를 나타낸 작용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스트레칭용 탄력수건(A)은, 외력 부여에 따른 신장(伸張 / 길게 늘어남) 및 신전(伸展 / 늘여서 펼침) 작용에 의거 발생한 대응탄력이 특정 신체부위를 압박토록 하여 해당 신체부위의 근육이나 건, 인대를 늘여주는 운동으로 관절의 가동범위 증가를 달성하는 스트레칭 도구의 주체(主體)이되, 부위별 소재의 차등적용을 통한 압박효율 증대와 더불어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횡폭의 면적확대를 통해 신체부위 압박시 안정감이 더해질 수 있도록 한 타올체(1)와, 상기 타올체(1)의 양측 선단부에 각각 구비결합됨에 따라 사용자가 자신의 양손으로 부여잡고 상호 대향하는 양방향으로 벌리거나 원하는 방향으로 늘리는 타올체(1)의 신장과 신전 유발 도구이되, 상기 타올체(1)의 각 선단 횡폭 범위 내에서의 위치이동으로 스트레칭(및 근력운동) 동작별 상황에 적합한 포지션 선정 및 설정이 가능케 된 복수의 파지구(2)를 포함한다.
타올체(1)는, 스트레칭 및 근력운동 동작수행에 적합한 길이와 폭을 가지며 신축성과 탄력성이 발휘되는 것으로, 압박효율의 증대를 위해 각부위의 소재를 달리하는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형성되고 통상의 수건과 마찬가지로 수분흡수가 원활한 섬유소재로 이루어지되 소정의 신축성이 발휘되는 복수의 타올소재부(11)와, 복수의 상기 타올소재부(11) 중간에 배치형성됨으로써 압박하고자 하는 신체부위에 주로 밀착되고 신축성과 탄력성을 겸비한 탄성소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신장 및 신전 작용시 발생한 대응탄력에 의해 신체부위를 압박하게 되는 신축밴드부(12)로 구성된다.
상기 타올소재부(11)는, 미사용시 본래형상으로의 형상복원 및 형태적 강도향상을 위한 실리콘프레임(111)이 테두리부위 전체를 두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타올소재부(11)의 선단이 위치하는 상기 실리콘프레임(111)의 중앙단부에는, 파지구(2)의 연계조립 및 그 조립상태로의 위치이동을 위한 가이드레일(1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11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올소재부(11)의 폭을 가로지르는 범위의 길이를 가지며, 내측에는 차후 후술할 상기 파지구(2)의 넥부로부터 돌출된 결속돌기의 끼워 맞춤 조립 및 이동을 위한 장홈(112-1)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장홈(112-1)의 양측 내벽면 외측 끝단부로부터는 상기 결속돌기의 이탈방지를 위한 걸림단턱(112-2)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신축밴드부(12)는, 신축성과 탄력성이 동시에 발휘되는 탄성소재로써, 신장 및 신전 작용시 발생하는 대응탄력을 이용한 신체부위의 압박능력 증대를 목적하여 격자형 구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외력에 대응할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틀림식 형태변형시 신축 및 탄력 강도(intensity)가 증강될 수 있다.
파지구(2)는, 상기 타올체(1)의 신장과 신전을 목적하여 손으로 부여잡은 상태에서의 스트레칭 및 근력운동 동작수행을 가능케 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손가락을 걸어서 손으로 부여잡기에 용이한 링(ring) 형태를 이루는 한편, 인체와의 잦은 접촉을 고려하여 연질(軟質, soft)의 합성수지 소재로 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타올소재부(11)를 향하는 일측부로부터는 상기 가이드레일(112)과의 조립결합을 위하는 넥부(21)가 돌출연장되어 있으며, 그 넥부(21)의 끝단 양측 단부면으로부터는 상기 가이드레일(112)의 장홈(112-1)에 삽입된 상태로 길이방향을 따라서 위치이동을 하는 결속돌기(211)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스트레칭용 탄력수건(A)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트레칭을 위한 신체부위에 본 발명의 자가 스트레칭용 탄력수건(A)을 위치시키되, 상기 타올체(1) 중간부에 형성된 탄성밴드부(12)가 압박하고자 하는 신체부위에 밀착되도록 한 다음, 양손으로 복수의 상기 파지구(2)를 사용자가 직접 양손으로 부여잡고 양방향으로 벌리거나 또는 원하는 방향으로 늘리는 동작의 수행을 통해, 타올체(1)가 신장 및 신전되도록 하고 그 과정에서 발생한 대응탄력에 의해 해당 신체부위가 압박되도록 함으로써 스트레칭 및 근력운동을 할 수 있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축밴드부(12)를 뒷목에 위치시킨 상태로 양팔을 전후좌우로 뻗는 뒷목지지 팔 뻗기 동작의 수행을 통해, 등근육과 허리근육을 신전시키면서 뒷목의 안정성을 강화하는 스트레칭 및 근력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밴드부(12)를 뒷목에 위치시킨 상태로 양팔을 뻗는 동작에 더해 옆구리를 일측으로 숙이는 동작의 동시 수행을 통해, 옆구리를 늘리는 효과와 앉은자세 골반부위 좌우 체중이동의 스트레칭 및 근력운동이 가능하다.
또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건으로 머리부위를 감싸면서 팔을 뻗는 동작의 수행을 통해, 목의 측면 뿐만아니라 뒷목부위까지 압박하는 스트레칭 및 근력운동이 가능하다. 이때, 수건을 더 넓게 적용하여 안전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우등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상기 신축밴드부(12)로 뒷목을 들어올리고 그 자세를 일정시간 유지하는 동작의 수행을 통해, 복압상승과 호흡조절시의 안정감 향상을 도모하는 스트레칭 및 근력운동이 가능하다.
또한, 도 4e 및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반을 수건으로 감싸면서 엉덩이를 들어 올리는 높이와 좌우 균형을 맞추는 동작의 수행을 통해, 골반의 좌우 불균형을 바르게 교정하는 스트레칭 및 근력운동이 가능하고, 엉덩이를 내릴 때 속도의 완급조절로 자세유지와 연관된 각 신체부위(다리, 허리, 복부, 팔 등)의 스트레칭 및 근력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를 양옆으로 벌린 상태의 다리 뻗기 자세에서 상기 신축밴드부(12)를 뒷목에 위치시킨 상태로 양팔을 뻗는 동작의 수행을 통해, 몸통(상체)의 회전과 다리 안쪽 근육의 스트레칭 및 근력운동이 가능하다.
다른 한편으로, 지금까지 설명한 동작별 스트레칭 및 근력운동과 달리 신체부위 근력보강의 용도로도 사용 가능한바, 통증이 있는 허리부위나 기능이 저하된 다리부위와 같은 특정 신체부위를 상기 타올체(1)로 둘러 감싸 테이핑하는 압박붕대의 용도로 달리 사용이 가능하다. 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올체(1)로 압박하고자 하는 신체부위를 테이핑하되 길이방향 양측 선단부를 상기 파지구(2)들로 걸어서 풀리지 않게 고정하는 방법으로 간단히 이룰 수 있다.
참고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사용시에는 상기 타올체(1)를 두루마리형태(roll type)로 말아 부피를 최소화한 상태로 수납보관 및 휴대이동이 용이토록 하는바,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두루마리형태로 둥글게 권취된 타올체(1)의 위아래 부분을 상기 파지구(2)들로 각각 구속하는 구조의 달성을 통해 간단히 이룰 수 있다.
정리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스트레칭용 탄력수건(A)은, 기존의 탄력밴드, 탄력튜브, 탄력로프 등과 다르게 표면적이 넓은 타올의 형태를 이룸에 따라 스트레칭 운동시 인체에 닿는 접촉면이 커 안정감을 더할 수 있는바, 몸통(상체)이나 골반처럼 크고 넓은 신체부위에 적용할 때 편리하고 안전함은 물론이거니와 팔과 다리와 같이 상대적으로 작고 얇은 신체부위에 적용할 때에는 상대적으로 더 큰 안정감을 제공하여, 근육을 둘러싸고 있는 근막과 유사한 역할로 스트레칭 및 운동수행 동작별 움직임에 효율적으로 활용 가능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타올체(1)의 길이방향 양선단에 각각 구비되는 링 형태로 된 복수의 상기 파지구(2)가, 해당 선단부의 폭범위 내에서 위치이동이 가능케 됨에 따라, 스트레칭 동작별 상황에 적합하도록 상기 파지구들의 포지션을 선정 및 설정이 가능한 효과를 거둘 수 있고, 또한 그 파지구(2)들로 상기 타올체(1)의 양선단부를 걸어서 구속함이 가능하므로 타올체(1)로 특정 신체부위를 테이핑하여 근력을 보강함에 사용하는 압박붕대 용도로도 겸용이 가능케 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타올체(1)를 구성함에 있어, 부위별로 소재를 특정하여 중간부와 양측부의 신축능력이 차등한 타올소재부(21)와 신축밴드부(22)로 구분하는 한편 상기 타올소재부(21) 테두리부위에는 미사용시 본래형상으로 되돌아가는 형상복원력을 위한 실리콘프레임(111)의 형성으로 스트레칭 및 근력운동 동작수행시의 작용성 극대화는 물론이거니와 사용상 편의성 모두의 달성이 가능케 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고, 미사용시 상기 타올체(1)를 두루마리식으로 둥글게 말아둔 상태에서 파지구(2)를 이용하여 권취상태가 풀어지지 않고 유지되도록 하는 타올체(1) 구속을 통한 부피 축소로 수납보관 및 휴대이동이 용이케 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과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 : 탄력수건, 1 : 타올체
2 : 파지구, 11 : 타올소재부
12 : 신축밴드부, 21 : 넥부
111 : 실리콘프레임, 112 : 가이드레일
112-1 : 장홈, 112-2 : 걸림단턱
211 : 결속돌기

Claims (5)

  1. 외력 부여에 따른 신장 및 신전 작용에 의거 발생한 대응탄력이 특정 신체부위를 압박토록 하여 해당 신체부위의 근육이나 건, 인대를 늘여주는 운동으로 관절의 가동범위 증가를 달성하는 스트레칭 도구의 주체이되, 부위별 소재의 차등적용을 통한 압박효율 증대와 더불어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횡폭의 면적확대를 통해 신체부위 압박시 안정감이 더해질 수 있도록 한 타올체; 및,
    상기 타올체의 양측 선단부에 각각 구비결합됨에 따라 사용자가 자신의 양손으로 부여잡고 상호 대향하는 양방향으로 벌리거나 원하는 방향으로 늘리는 상기 타올체의 신장과 신전 유발 도구이되, 상기 타올체의 각 선단 횡폭 범위 내에서의 위치이동으로 스트레칭 동작별 상황에 적합한 포지션 선정 및 설정이 가능케 된 복수의 파지구;를 포함하고,
    상기 타올체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형성되고, 수분흡수가 원활한 섬유소재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신축성이 발휘되는 복수의 타올소재부와,
    복수의 상기 타올소재부 중간에 배치형성됨으로써, 압박하고자 하는 신체부위에 주로 밀착되고, 신축성과 탄력성을 겸비한 탄성소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신장 및 신전 작용시 발생한 대응탄력에 의해 신체부위를 압박하게 되는 신축밴드부로 구성되며,
    상기 타올소재부에는, 본래형상으로의 형상복원 및 형태적 강도향상을 위한 실리콘프레임이 테두리부위 전체를 둘러 형성되고,
    상기 타올소재부 선단에 위치하는 상기 실리콘프레임의 중앙단부에는, 상기 파지구의 연계조립 및 조립상태로의 위치이동을 위한 가이드레일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스트레칭용 탄력수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구는, 다수의 손가락을 걸어서 손으로 부여잡기에 용이한 링 형태인 한편, 인체와의 잦은 접촉을 고려하여 연질의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타올소재부를 향하는 일측부로부터는, 상기 가이드레일과의 조립결합을 위하는 넥부가 돌출연장되며,
    상기 넥부의 끝단 양측 단부면으로부터는, 상기 가이드레일 내측의 장홈에 삽입상태로 위치이동하는 결속돌기가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스트레칭용 탄력수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밴드부는, 신축성과 탄력성이 동시에 발휘되는 탄성소재로써,
    신장 및 신전 작용시 발생하는 대응탄력을 이용한 신체부위의 압박능력 증대를 목적하여 격자형 구조를 이루며,
    비틀림식 형태변형시 신축 및 탄력 강도가 증강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스트레칭용 탄력수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타올소재부의 폭을 가로지르는 범위의 길이를 가지며,
    내측에는, 상기 결속돌기의 끼워 맞춤 조립 및 이동을 위한 장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장홈의 양측 내벽면 외측 끝단부로부터는, 상기 결속돌기의 이탈방지를 위한 걸림단턱이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스트레칭용 탄력수건.
KR1020170118690A 2017-09-15 2017-09-15 자가 스트레칭용 탄력수건 KR101933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690A KR101933518B1 (ko) 2017-09-15 2017-09-15 자가 스트레칭용 탄력수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690A KR101933518B1 (ko) 2017-09-15 2017-09-15 자가 스트레칭용 탄력수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3518B1 true KR101933518B1 (ko) 2018-12-28

Family

ID=65008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8690A KR101933518B1 (ko) 2017-09-15 2017-09-15 자가 스트레칭용 탄력수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35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0971A (ko) 2019-12-23 2021-07-01 주식회사 다온웰니스 지지식 목 및 상흉부 스트레칭기
KR20210080979A (ko) 2019-12-23 2021-07-01 주식회사 다온웰니스 목 및 상흉부 스트레칭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9428Y1 (ko) * 2004-12-27 2005-03-18 이성문 운동도구와 기능성을 갖는 타올 및 수건
US20150024907A1 (en) * 2010-11-08 2015-01-22 Exemplar Design, Llc Pull-Up Bar
US9737178B1 (en) 2016-07-25 2017-08-22 Lorraine Crawford Towel assembl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9428Y1 (ko) * 2004-12-27 2005-03-18 이성문 운동도구와 기능성을 갖는 타올 및 수건
US20150024907A1 (en) * 2010-11-08 2015-01-22 Exemplar Design, Llc Pull-Up Bar
US9737178B1 (en) 2016-07-25 2017-08-22 Lorraine Crawford Towel assembl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0971A (ko) 2019-12-23 2021-07-01 주식회사 다온웰니스 지지식 목 및 상흉부 스트레칭기
KR20210080979A (ko) 2019-12-23 2021-07-01 주식회사 다온웰니스 목 및 상흉부 스트레칭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63840B1 (ja) トレーニング器具
US20080081746A1 (en) Elastic exercise device
Lee et al. A review of physical exercises recommended for VDT operators
KR101933518B1 (ko) 자가 스트레칭용 탄력수건
JP4908653B1 (ja) うつ伏せエクササイズ支援器具
US5662554A (en) Neck exercise device
CN212016619U (zh) 一种桡神经损伤手功能锻炼器
US20140228178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strengthening the thenar muscles
US20220409944A1 (en) Flexible exercise and rehabilitation bar
CN208339986U (zh) 一种手部训练装置
CN104941144A (zh) 多功能可视化手部训练器
CN110652699B (zh) 一种手部运动理疗握具
CN204745535U (zh) 多功能可视化手部训练器
JP6892723B1 (ja) 運動器具
Brill Instant relief: Tell me where it hurts and I'll tell you what to do
CN218739483U (zh) 一种可锻炼手指功能的软质手部装置
CN215535362U (zh) 一种用于臀肌挛缩症的护理用具
CN207506927U (zh) 一种便捷式膝关节康复训练器
JP3222270U (ja) 運動補助具
RU225355U1 (ru) Тренажер для отжиманий
JP3106110U (ja) 体操用具
JP2520964Y2 (ja) 手動式指圧兼肩叩き器
CN101143258A (zh) 指关节灵活训练器
JPS6330411Y2 (ko)
JP5883186B1 (ja) 健康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