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2725B1 - 대상체의 분할 영상 또는 의료 영상에 가상 자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의료 영상 획득 장치, 및 가상 자가 표시된 분할 영상 또는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대상체의 분할 영상 또는 의료 영상에 가상 자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의료 영상 획득 장치, 및 가상 자가 표시된 분할 영상 또는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2725B1
KR101932725B1 KR1020160036970A KR20160036970A KR101932725B1 KR 101932725 B1 KR101932725 B1 KR 101932725B1 KR 1020160036970 A KR1020160036970 A KR 1020160036970A KR 20160036970 A KR20160036970 A KR 20160036970A KR 101932725 B1 KR101932725 B1 KR 101932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tance
unit
medical image
virtual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6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0492A (ko
Inventor
문희연
신승훈
한우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40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0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05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the apparatus being movable or portable, e.g. handheld or mounted on a trol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1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003Reconstruction from projections, e.g. tomography
    • G06T11/005Specific pre-processing for tomographic reconstruction, e.g. calibration, source positioning, rebinning, scatter correction, retrospective ga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4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for obtaining an image which is composed of whole input images, e.g. split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대상체 옆에 물리적 자를 위치시키지 않고, 대상체에 대한 의료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의료 영상이 획득될 때의 영상 획득부의 위치에 기초하여 가상 자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의료 영상 상에 가상 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의료 영상 표시 장치 및 이를 통해 수행되는 의료 영상 표시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대상체의 분할 영상 또는 의료 영상에 가상 자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의료 영상 획득 장치, 및 가상 자가 표시된 분할 영상 또는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FOR INDICATING A VIRTUAL RULER ON SEPARATED IMAGE OR MEDICAL IMAGE OF OBJECT, MEDICAL IMAGE OBTAINING APPARATUS,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EPARATED IMAGE OR MEDICAL IMAGE WITH A VIRTUAL RULER}
본 발명은 대상체의 분할 영상 또는 의료 영상에 가상 자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의료 영상 획득 장치, 및 가상 자가 표시된 분할 영상 또는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체에 대한 의료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의료 영상 획득 장치로서,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장치, CT(computed tomography) 장치, X선(x-ray) 장치 등이 많이 사용된다. 영상의 해상도 또는 장치 자체의 크기 등의 문제로 이들 장치들은 신체 전체를 한 번에 촬영할 수는 없고, 신체의 일부분을 여러 번 촬영한 후, 촬영된 영상들을 합성하여 신체 전체에 대한 합성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의료 영상 획득 장치는 신체의 분할 영상들을 자동적으로 합성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지만, 분할 영상들의 합성을 정밀하게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수동적으로 분할 영상들을 합성할 수 있게 하기 위해 각 분할 영상들에 자(ruler)를 표시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대상체의 분할 영상 또는 의료 영상에 가상 자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의료 영상 획득 장치, 및 가상 자가 표시된 분할 영상 또는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제 1 측면에 따른 의료 영상 표시 장치는, 대상체 옆에 물리적 자를 위치시키지 않고, 대상체에 대한 의료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의료 영상이 획득될 때의 영상 획득부의 위치에 기초하여 가상 자를 생성하는, 제어부; 의료 영상 상에 가상 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측면에 따른 의료 영상 표시 방법은, 대상체 옆에 물리적 자를 위치시키지 않고, 대상체에 대한 의료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의료 영상이 획득될 때의 영상 획득부의 위치에 기초하여 가상 자를 생성하는 단계; 및 의료 영상 상에 가상 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측면에 따른 의료 영상 표시 장치는, 대상체의 복수 영역들에 대응하는 제 1 X선 영상 및 제 2 X선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제 1 X선 영상에 대응되는 제 1 가상자 및 제 2 X선 영상에 대응되는 제 2 가상자를 생성하고, 제 1 가상자 및 제 2 가상자에 기초하여 제 1 X선 영상 및 제 2 X선 영상을 결합함으로써 합성 영상을 획득하는, 제어부; 및 합성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4 측면에 따라, 대상체의 복수의 분할 영상들 상에 가상 자를 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촬영 영역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분할 영상들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복수의 분할 영상들 각각을 획득하기 위하여 영상 획득부가 배치되는 위치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획득부; 및 영상 획득부가 배치되는 위치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분할 영상들에 가상 자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 5 측면에 따라, 대상체의 의료 영상에 가상 자를 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대상체의 촬영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의료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의료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영상 획득부가 배치되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획득부; 및 영상 획득부가 배치되는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의료 영상에 가상자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 6 측면에 따라, 대상체의 복수의 분할 영상들을 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촬영 영역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분할 영상들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복수의 분할 영상들 각각을 획득하기 위하여 영상 획득부가 배치되는 위치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획득부; 영상 획득부가 배치되는 위치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분할 영상들에 가상 자를 표시하고, 가상 자가 표시된 복수의 분할 영상들을 디스플레이부의 소정 영역에 표시하는 제어부; 및 가상 자가 표시되는 동안, 거리 단위들을 포함하는 가상 자를 표시하는 것을 비활성화하는 명령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가상 자를 표시하는 것을 비활성화하고, 복수의 분할 영상들 각각에 표시된 가상 자를 제외한 복수의 분할 영상들만을 소정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대상체의 합성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대상체의 분할 영상을 촬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획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대상체의 촬영 영역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획득 장치에서, 영상 획득부의 일측 거리와 영상 획득부의 타측 거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분할 영상의 일측 거리와 분할 영상의 타측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다른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획득 장치에서, 가상 자가 각각 표시된 복수의 분할 영상들이 디스플레이된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제 1 분할 영상, 제 2 분할 영상 및 제 3 분할 영상이 합성된 합성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가상 자를 제외한 제 1 분할 영상, 제 2 분할 영상 및 제 3 분할 영상만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확대된 제 1 분할 영상과 제 1 가상 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축소된 제 1 분할 영상과 제 1 가상 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소정 영역보다 크게 확대된 제 1 분할 영상과 제 1 가상 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a는 수평 이동된 제 1 분할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2b는 수직 이동된 제 1 분할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체의 분할 영상에 가상 자를 표시하는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상체의 분할 영상에 가상 자를 표시하는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상체의 의료 영상에 가상 자를 표시하는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자가 표시된 분할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대상체"는 의료 영상의 촬영 대상을 의미하며, 사람 또는 동물, 또는 사람 또는 동물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대상체의 합성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대상체의 분할 영상을 촬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X선 장치를 이용하여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X선 튜브(20)가 대상체(10)를 향해 X선을 방출하면, 영상 획득부(30)는 대상체(10)를 투과한 X선을 감지하여 대상체(10)의 영상을 획득한다. 일반적으로, 영상 획득부(30)는 X선 장치의 X선 디텍터(detector)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영상 획득부(30)의 크기는 대상체(10)의 크기보다 작으므로, X선 튜브(20)를 회전 또는 이동시키고, 영상 획득부(30)를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대상체(10)의 일부분에 대한 영상들을 획득하고, 이들 영상들을 합성하여 합성 영상을 생성한다.
종래의 합성 영상 생성 방법에 따라 대상체(10)의 분할 영상들을 촬영하는 경우, 분할 영상들 각각에 분할 영상의 위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도록 대상체(10)의 옆에 납자(40)를 위치시키고, 대상체(10)와 납자(40)를 함께 촬영하였다. 그러나, 납자(40)를 대상체(10) 옆에 위치시킴으로써, 비용의 낭비가 발생하고, X선 촬영 공간의 활용면에서 불편한 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납자를 대상체 옆에 위치시키지 않고도, 분할 영상들의 위치 정보를 분할 영상들 각각에 정확히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획득 장치(2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획득 장치(200)는 영상 획득부(210), 위치 획득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의료 영상 획득 장치(200)는 X선 장치에 포함될 수 있으며, 위치 획득부(220) 또는 제어부(23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영상 획득부(210)는 소정 방향을 따라 대상체를 복수의 촬영 영역들로 구분하고, 대상체의 복수의 분할 영상들을 획득한다.
도 3은 대상체의 촬영 영역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영상 획득부(210)는 세로 방향(24)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대상체(10)를 세로 방향(24)을 따라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획득부(210)는 대상체(10)를 세로 방향(24)을 따라 복수의 촬영 영역(132, 134)으로 구분하고, 영상 획득부(210)는 구분된 촬영 영역(132, 134)으로 이동한 후, 대상체(10)를 투과하는 X선(22)을 감지하여 대상체(10)의 각 촬영 영역(132, 134)에 대응하는 분할 영상들을 획득할 수 있다. 분할 영상들은 서로 간에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획득될 수 있다. 도 3은 두 개의 촬영 영역(132, 134)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대상체(10)가 다양한 개수의 촬영 영역들로 구분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위치 획득부(220)는, 소정 기준점으로부터 분할 영상들 각각의 일측까지의 거리(이하, 분할 영상의 일측 거리) 및 소정 기준점으로부터 분할 영상들 각각의 타측까지의 거리(이하, 분할 영상의 타측 거리)를 획득할 수 있다. 소정 기준점은 영상 획득부(210)가 가장 높은 높이에 위치할 때 영상 획득부(210)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일측은 분할 영상의 일측 면 또는 일측 모서리를 포함하며, 타측은 분할 영상의 타측 면 또는 타측 모서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과 타측은 서로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제어부(230)는 획득된 일측 거리와 타측 거리 사이의 거리값들을 나타내는 가상 자를 복수의 분할 영상들 각각에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분할 영상들 중 제 1 분할 영상의 일측 거리가 10cm, 타측 거리가 30cm로 측정된 경우, 10cm에서 30cm까지의 가상 자를 제 1 분할 영상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복수의 분할 영상들에 표시된 가상 자를 이용하여 분할 영상들을 정확하게 합성할 수 있다.
복수의 분할 영상들 각각에 가상 자를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제어부(230)는 먼저 일측 거리와 타측 거리 사이의 차이값과 분할 영상의 소정 방향으로의 픽셀의 개수를 이용하여 분할 영상에서의 픽셀당 실제 거리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분할 영상의 일측 거리가 10cm, 타측 거리가 30cm, 소정 방향으로의 픽셀의 개수가 100개인 경우, 픽셀당 실제 거리는 2mm에 해당할 것이다((300mm-100mm)/100).
다음으로, 제어부(230)는 일측 거리 또는 타측 거리와, 픽셀당 실제 거리를 이용하여 일측 거리와 타측 거리 사이의 거리값들에 대응하는 가상 자를 상기 복수의 분할 영상들 각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분할 영상의 일측 거리가 10cm, 타측 거리가 30cm, 소정 방향으로의 픽셀의 개수가 100개인 경우, 일측으로부터 10번째에 위치한 픽셀의 거리값은 120mm가 될 것이다(100 + 10 * 2mm). 제어부(230)는 분할 영상의 각 픽셀에 거리값을 표시할 수 있고, 소정 개수의 픽셀마다 거리값을 표시할 수도 있다.
복수의 분할 영상들 각각에 가상 자를 표시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서, 제어부(230)는 분할 영상을 소정 방향을 따라 복수의 영역들로 구분하고, 복수의 영역들의 개수로 일측 거리와 타측 거리 사이의 차이값을 나눈값과, 일측 거리 또는 타측 거리를 이용하여 복수의 영역들이 구분된 지점에 대응하는 거리값을 복수의 영역들이 구분된 지점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분할 영상을 10개의 영역들로 구분한 경우, 일측 거리와 타측 거리 사이의 차이값, 즉 20cm를 10으로 나누면, 하나의 영역의 실제 거리는 2cm일 것이다. 이에 의해, 일측으로부터 5 번째에 위치한 영역과 6 번째에 위치한 영역을 구분하는 지점은 20cm의 거리값를 가질 것이다(10cm + 5 * 2cm).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획득 장치(200)에서, 영상 획득부(210)의 일측 거리와 영상 획득부(210)의 타측 거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위치 획득부(220)는 영상 획득부(2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제어부(230)는 영상 획득부(210)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분할 영상들 각각에 가상 자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 획득부(220)는 영상 획득부(210)의 일측 거리와 영상 획득부(210)의 타측 거리 각각을 획득하고, 영상 획득부(210)의 일측 거리와 영상 획득부(210)의 타측 거리 각각을 분할 영상의 일측 거리와 분할 영상의 타측 거리로 설정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영상 획득부(210)의 일측 거리(y1)는 기준점(R)로부터 영상 획득부(210)의 상단(212)까지의 거리로 획득되고, 타측 거리(y1')는 기준점(R)로부터 영상 획득부(210)의 하단(214)까지의 거리로 획득된다. 본 명세서에서, 상단은 상단 모서리 또는 상단 면을 포함하고, 하단은 하단 모서리 또는 하단 면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X선 장치는 대상체의 어느 부분을 촬영하는지를 정확히 인지하기 위해 영상 획득부(210)의 일측 거리와 타측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영상 획득부(210)가 가장 높은 높이에 위치할 때 소정 기준점이 영상 획득부(210)의 상단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정한 경우, 기준점(R)로부터 영상 획득부(210)의 일측 거리는 0이 될 것이다.
도 5는 분할 영상의 일측 거리와 분할 영상의 타측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다른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대상체(10)가 X-ray 촬영을 하는 경우, 대상체(10)는 영상 획득부(210)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위치 획득부(220)가, 영상 획득부(210)의 일측 거리와 영상 획득부(210)의 타측 거리를 분할 영상의 일측 거리와 분할 영상의 타측 거리로 각각 설정하는 경우, 사용자가 대상체(10) 또는 대상체(10)에 포함된 장기, 기관 등의 실제 길이를 정확히 측정할 수 없게 된다.
위치 획득부(220)는, 대상체(10)로 X 선을 조사하는 X 선 조사부(20)의 위치 정보, 영상 획득부(210)의 위치 정보, 및 대상체(10)와 영상 획득부(210)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분할 영상의 일측 거리 및 분할 영상의 타측 거리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X 선 조사부(20)와 영상 획득부(210)의 사이의 거리를 x1, 대상체(10)와 영상 획득부(210) 사이의 거리를 x2, 영상 획득부(210)의 일측 거리를 y1, 영상 획득부(210)의 타측 거리를 y1', 소정 기준점으로부터 X 선 조사부(20)까지의 거리를 y2라 할 때,
비례식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z1은 하기의 수학식 1에 의해 획득되고, 도 5에 도시된 z1'는 하기의 수학식 2에 의해 획득된다.
[수학식 1]
z1 = (y2 - y1) × (x1 - x2) / x1
[수학식 2]
z1' = (y1' - y2) × (x1 - x2) / x1
z1 으로부터 분할 영상의 일측 거리는 하기의 수학식 3에 의해 획득되고, z1'으로부터 분할 영상의 타측 거리는 하기의 수학식 4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수학식 3]
분할 영상의 일측 거리 = y2 - {(y2 - y1) × (x1 - x2) / x1}
[수학식 4]
분할 영상의 타측 거리 = y2 + {(y1' - y2) × (x1 - x2) / x1}
제어부(230)는 상기 수학식 3 및 수학식 4에 의해 획득된 분할 영상의 일측 거리와 분할 영상의 타측 거리 사이의 거리값들을 나타내는 가상 자를 복수의 분할 영상 각각에 표시할 수 있다. 수학식 3 및 수학식 4를 이용하여 획득된 가상 자는 소정 기준점에 대한 실제 거리를 나타내므로, 사용자는 각 분할 영상의 대상체 또는 대상체에 포함된 장기, 기관 등의 실제 길이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지금까지는 가상 자가 대상체의 복수의 분할 영상들에 표시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가상 자는 대상체의 하나의 의료 영상에도 표시될 수 있다. 즉, 대상체의 합성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분할 영상들이 아닌, 폐 영상, 유방 영상 등의 의료 영상에도 가상 자가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획득부(210)는 대상체의 촬영 영역에 대응하는 의료 영상을 획득한다. 대상체의 촬영 영역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머리 영역, 가슴 영역 또는 복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 획득부(220)는 영상 획득부(2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위치 획득부(220)는 영상 획득부(210)의 일측 거리 및 영상 획득부(210)의 타측 거리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영상 획득부(21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의료 영상에 가상 자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영상 획득부(210)의 일측 거리 및 영상 획득부(210)의 타측 거리 사이의 거리값들을 나타내는 가상 자를 의료 영상에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수학식 3 및 4를 이용하여 획득한 의료 영상의 일측 거리와 의료 영상의 타측 거리 사이의 거리값들을 나타내는 가상 자를 의료 영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획득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4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의료 영상 획득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40)는 가상 자(260a, 260b, 260c)가 각각 표시된 복수의 분할 영상들(250a, 250b, 250c)을 디스플레이부(240)의 소정 영역(242)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240)는 소정 영역(242)에 제 1 가상 자(260a)가 표시된 제 1 분할 영상(250a), 제 2 가상 자(260b)가 표시된 제 2 분할 영상(250b) 및 제 3 가상 자(260c)가 표시된 제 3 분할 영상(250c)을 소정 영역(242)에 디스플레이하고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40)는 제 1 분할 영상(250a), 제 2 분할 영상(250b) 및 제 3 분할 영상(250c)을 제어하기 위한 툴 바(270)를 상기 소정 영역(242)과 상이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있다. 툴 바(270)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로서,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를 이용하여 툴 바(270)에 소정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는 마우스, 키보드, 트랙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부(240)가 터치 스크린일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240) 자체가 사용자 입력부가 될 수 있다.
도 7은 제 1 분할 영상(250a), 제 2 분할 영상(250b) 및 제 3 분할 영상(250c)이 합성된 합성 영상(280)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24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사용자는 제 1 분할 영상(250a), 제 2 분할 영상(250b) 및 제 3 분할 영상(250c)에 각각 표시된 제 1 가상 자(260a), 제 2 가상 자(260b) 및 제 3 가상 자(260c)의 눈금에 표시된 거리값을 참조하여 수동적으로 제 1 분할 영상(250a)과 제 2 분할 영상(250b) 및 제 3 분할 영상(250c)을 합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사용자에게 오토(auto) 합성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사용자로부터 오토 합성 입력(272)을 수신하면, 제 1 분할 영상(250a), 제 2 분할 영상(250b) 및 제 3 분할 영상(250c) 각각에 표시된 가상 자의 거리값들을 기초로 제 1 분할 영상(250a), 제 2 분할 영상(250b) 및 제 3 분할 영상(250c)을 자동적으로 합성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제 1 분할 영상(250a)에 표시된 가상 자(260a)의 거리값들과 제 2 분할 영상(250b)에 표시된 가상 자(260b)의 거리값들 중 서로 동일한 거리값이 표시된 지점에서 제 1 분할 영상(250a)과 제 2 분할 영상(250b)을 중첩함으로써, 제 1 분할 영상(250a)과 제 2 분할 영상(250b)을 합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분할 영상(250a)과 제 2 분할 영상(250b)에 각각 표시된 가상 자(260a, 260b)의 눈금이 20cm인 지점이 있는 경우, 제어부(230)는 가상 자(260a, 260b)의 20cm 지점에서 제 1 분할 영상(250a)과 제 2 분할 영상(250b)을 중첩할 수 있다.
도 8은 가상 자(260a, 260b, 260c)를 제외한 제 1 분할 영상(250a), 제 2 분할 영상(250b) 및 제 3 분할 영상(250c)만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24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종래 납자와 대상체를 함께 촬영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분할 영상으로부터 납자를 삭제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였다. 이에 의해, 납자가 대상체를 가리는 경우, 사용자가 대상체를 정확히 식별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자는 대상체와 함께 촬영된 것이 아니므로, 분할 영상으로부터 용이하게 삭제될 수 있다. 즉, 제어부(230)는, 사용자로부터 오프(OFF) 입력(274)을 수신하면, 제 1 분할 영상(250a), 제 2 분할 영상(250b) 및 제 3 분할 영상(250c) 각각에 표시된 제 1 가상 자(260a), 제 2 가상 자(260b) 및 제 3 가상 자(260c)를 삭제하고, 제 1 분할 영상(250a), 제 2 분할 영상(250b) 및 제 3 분할 영상(250c)만을 디스플레이부(24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사용자로부터 오프 기능의 비활성화 입력 또는 온 기능을 수신하면, 삭제된 제 1 가상 자(260a) ,제 2 가상 자(260b) 및 제 3 가상 자(260c) 각각을 다시 제 1 분할 영상(250a), 제 2 분할 영상(250b) 및 제 3 분할 영상(250c)에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확대된 제 1 분할 영상(250a)과 제 1 가상 자(260a)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240)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0은 축소된 제 1 분할 영상(250a)과 제 1 가상 자(260a)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24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30)는, 사용자로부터 제 1 분할 영상(250a)에 대한 줌인(zoom-in) 입력(276)을 수신하면, 제 1 분할 영상(250a)과 제 1 분할 영상(250a)에 표시된 제 1 가상 자(260a)를 소정 배율로 함께 확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30)는, 사용자로부터 제 1 분할 영상(250a)에 대한 줌아웃(zoom-out) 입력(278)을 수신하면, 제 1 분할 영상(250a)과 제 1 분할 영상(250a)에 표시된 제 1 가상 자(260a)를 소정 배율로 함께 축소시킬 수 있다.
도 11은 소정 영역보다 크게 확대된 제 1 분할 영상(250a)과 제 1 가상 자(260a)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24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종래 납자와 대상체를 함께 촬영하는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분할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40)의 소정 영역보다 크게 확대하는 경우, 분할 영상에 표시되어 있는 납자가 디스플레이부(240)의 소정 영역을 벗어나게 되어 사용자가 납자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30)는, 사용자의 줌인 입력(276)에 의해 제 1 분할 영상(250a)과 제 1 가상 자(260a)가 확대되는 경우, 제 1 가상 자(260a)가 디스플레이부(240)의 소정 영역을 벗어나지 않도록 제 1 가상 자(260a)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제 1 분할 영상(250a)의 바깥쪽에 표시되어 있었던 제 1 가상 자(260a)가, 제 1 가상 자(260a)의 확대와 함께, 도 11에서는 분할 영상의 안쪽으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부(240)의 소정 영역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2a는 수평 이동된 제 1 분할 영상(250a)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240)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2b는 수직 이동된 제 1 분할 영상(250a)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24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사용자가 제 1 분할 영상(250a), 제 2 분할 영상(250b) 및 제 3 분할 영상(250c)들을 쉽게 합성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사용자가 분할 영상들(250a, 250b, 250c)을 수평 이동 또는 수직 이동을 시키는 경우, 분할 영상들(250a, 250b, 250c) 각각에 표시된 가상 자(260a, 260b, 260c)를 분할 영상들(250a, 250b, 250c)의 수평 이동 또는 수직 이동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도 12a를 참조하면, 제어부(230)는 제 1 분할 영상(250a)을 수평 이동시키는 경우, 제 1 분할 영상(250a)에 표시된 제 1 가상 자(260a)는 이동시키지 않고, 제 1 가상 자(260a)를 다른 가상 자들(260b, 260c)과 동일한 축을 유지하게 할 수 있다. 제 1 가상 자(260a)가 제 1 분할 영상(250a)의 수평 이동에 따라 함께 수평 이동을 한다면, 제 1 가상 자(260a)는 다른 가상 자들(260b, 260c)과 동일 축 상에 위치하지 않게 되고, 이는 사용자가 가상 자의 눈금을 읽는데 불편함을 줄 수 있다. 또는, 제어부(230)는, 가상 자들(260a, 260b, 260c)이 동일 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 1 분할 영상(250a)의 수평 이동에 따라 모든 분할 영상들(250a, 250b, 250c)에 표시된 가상 자들(260a, 260b, 260c)을 함께 수평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2b를 참조하면, 제어부(230)는, 제 1 분할 영상(250a)을 수직 이동시키는 경우, 제 1 분할 영상(250a)에 표시된 제 1 가상 자(260a)를 제 1 분할 영상(250a)의 수직 이동에 따라 수직 이동시킬 수 있다. 제 1 분할 영상(250a)의 수직 이동에 따라 제 1 가상 자(260a)가 수직 이동하지 않는다면, 제 1 분할 영상(250a)에 표시된 제 1 가상 자(260a)의 눈금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상체의 분할 영상에 가상 자를 표시하는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상체의 분할 영상에 가상 자를 표시하는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의료 영상 획득 장치(2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2에 도시된 의료 영상 획득 장치(2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13의 대상체의 분할 영상에 가상 자를 표시하는 방법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먼저, S1310 단계에서, 의료 영상 획득 장치(200)는 대상체를 소정 방향을 따라 복수의 촬영 영역들로 구분한다. 의료 영상 획득 장치(200)는 X선 영상 획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 방향은 대상체의 세로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S1320 단계에서, 의료 영상 획득 장치(200)는 복수의 촬영 영역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분할 영상들을 획득한다. 의료 영상 획득 장치(200)의 영상 획득부(210)는 복수의 촬영 영역들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복수의 촬영 영역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분할 영상들을 획득할 수 있다.
S1330 단계에서, 의료 영상 획득 장치(200)는 소정 기준점으로부터 복수의 분할 영상들 각각의 일측까지의 거리 (이하, 분할 영상의 일측 거리) 및 소정 기준점으로부터 복수의 분할 영상들 각각의 타측까지의 거리 (이하, 분할 영상의 타측 거리)를 획득한다. 복수의 분할 영상들 각각의 일측과 복수의 분할 영상들 각각의 타측은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S1340 단계에서, 의료 영상 획득 장치(200)는 분할 영상의 일측 거리와 분할 영상의 타측 거리 사이의 거리값들을 나타내는 가상 자를 복수의 분할 영상들 각각에 표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상체의 분할 영상에 가상 자를 표시하는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S1410 단계에서, 의료 영상 획득 장치(200)의 영상 획득부(210)는 대상체를 소정 방향을 따라 복수의 촬영 영역들로 구분한다.
S1420 단계에서, 영상 획득부(210)는 복수의 촬영 영역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분할 영상들을 획득한다.
S1430 단계에서, 의료 영상 획득 장치(200)는 영상 획득부(2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S1440 단계에서, 의료 영상 획득 장치(200)는, 영상 획득부(210)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분할 영상들 각각에 가상 자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의료 영상 획득 장치(200)는 영상 획득부(210)의 일측 거리 및 영상 획득부(210)의 타측 거리를 획득하고, 영상 획득부(210)의 일측 거리와 영상 획득부(210)의 타측 거리 사이의 거리값들을 나타내는 가상 자를 복수의 분할 영상들 각각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의료 영상 획득 장치(200)는 영상 획득부(210)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분할 영상의 일측 거리와 분할 영상의 타측 거리를 획득하고, 분할 영상의 일측 거리와 분할 영상의 타측 거리 사이의 거리값들을 나타내는 가상 자를 복수의 분할 영상들 각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상체의 의료 영상에 가상 자를 표시하는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S1510 단계에서, 의료 영상 획득 장치(200)의 영상 획득부(210)는 대상체의 촬영 영역에 대응하는 의료 영상을 획득한다. 대상체의 촬영 영역은 사용자로부터 설정될 수 있다.
S1520 단계에서, 의료 영상 획득 장치(200)는 영상 획득부(2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S1530 단계에서, 의료 영상 획득 장치(200)는, 영상 획득부(210)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의료 영상에 가상 자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의료 영상 획득 장치(200)는 영상 획득부(210)의 일측 거리 및 영상 획득부(210)의 타측 거리를 획득하고, 영상 획득부(210)의 일측 거리와 영상 획득부(210)의 타측 거리 사이의 거리값들을 나타내는 가상 자를 의료 영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의료 영상 획득 장치(200)는 영상 획득부(210)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의료 영상의 일측 거리와 의료 영상의 타측 거리를 획득하고, 의료 영상의 일측 거리와 의료 영상의 타측 거리 사이의 거리값들을 나타내는 가상 자를 의료 영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6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600)는, 디스플레이부(1610) 및 사용자 입력부(162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10)는 사용자에게 소정의 정보를 보여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10)는 모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620)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620)는 마우스 키보드, 또는 트랙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610)가 터치 스크린일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610) 자체가 사용자 입력부(1620)가 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620)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입력을 수신한다.
디스플레이부(1610)는 가상 자가 각각 표시된 복수의 분할 영상들을 디스플레이부(1610)의 소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10)는 사용자 입력부(1620)를 통한 사용자의 오프(off) 입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분할 영상들 각각에 표시된 가상 자를 제외한 상기 복수의 분할 영상들만을 소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10)는 사용자로부터 오프 비활성화 입력 또는 온 입력을 수신한 경우, 복수의 분할 영상들 각각에서 삭제한 가상 자를 다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610)는 사용자로부터 오토 합성 입력, 확대 입력, 축소 입력, 수평 이동 입력 또는 수직 이동 입력 등을 수신한 경우, 해당 입력에 대응하도록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복수의 분할 영상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도 16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대상체의 분할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도 6 및 도 8 내지 도 11에서 설명한 내용은 가상 자가 표시된 하나의 의료 영상에도 표시될 수 있다. 즉, 대상체의 합성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분할 영상들이 아닌, 폐 영상, 유방 영상 등의 의료 영상도 도 16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상체의 분할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S171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600)는, 가상 자가 각각 표시된 복수의 분할 영상들을 디스플레이부(1610)의 소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
S172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600)는, 사용자의 오프 (off) 입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분할 영상들 각각에 표시된 가상 자를 제외한 복수의 분할 영상들만을 상기 소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600)는, 사용자의 온 입력 또는 오프 비활성화 입력에 따라, 복수의 분할 영상들에서 삭제된 가상 자들을 다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22)

  1. 대상체 옆에 물리적 자를 위치시키지 않고, 상기 대상체에 대한 의료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의료 영상이 획득될 때의 상기 영상 획득부의 위치에 기초하여 가상 자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의료 영상 상에 상기 가상 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의료 영상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영상이 획득될 때의 상기 영상 획득부의 위치를 획득하는, 위치 획득부를 더 포함하는, 의료 영상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영상 획득부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의료 영상의 일측에 대한 제 1 값, 및 상기 의료 영상의 타측에 대한 제 2 값을 획득하는 위치 획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상 자는 상기 제 1 값 및 상기 제 2 값 사이의 거리 값들을 나타내는, 의료 영상 표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값은 상기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영상 획득부의 일측까지의 거리에 대응하고, 상기 제 2 값은 상기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영상 획득부의 타측까지의 거리에 대응하는, 의료 영상 표시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값 및 상기 제 2 값의 차이 값과, 상기 의료 영상의 픽셀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의료 영상의 픽셀당 실제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의료 영상의 픽셀당 실제 거리 및 상기 제 1 값, 또는 상기 의료 영상의 픽셀당 실제 거리 및 상기 제 2 값을 이용하여, 상기 의료 영상에 상기 가상 자를 디스플레이하는, 의료 영상 표시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의료 영상을 소정 방향을 따라 복수의 영역들로 구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복수의 영역들의 개수로 상기 제 1 값 및 상기 제 2 값 간의 차이값을 나눔으로써 획득된 값과, 상기 제 1 값 또는 상기 제 2 값을 이용하여, 상기 의료 영상에 상기 가상 자를 표시하는, 의료 영상 표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획득부는, X 선을 상기 대상체에 조사하는 X 선 조사부; 및 상기 조사된 X 선을 검출하는 X 선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X 선 조사부와 상기 상기 X 선 검출부 간의 거리, 상기 대상체와 상기 X 선 검출부 간의 거리, 기준점과 상기 X 선 검출부의 일측까지의 거리, 및 상기 기준점과 상기 X 선 검출부의 타측까지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의료 영상의 일측에 대한 제 1 값 및 상기 의료 영상의 타측에 대한 제 2 값을 획득하는, 위치 획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 1 값 및 상기 제 2 값 사이의 값들을 나타내는 상기 가상 자를 표시하는, 의료 영상 표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줌인(zoom-in)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의료 영상이 확대되는 경우, 상기 가상 자가 소정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가상 자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의료 영상 표시 장치.
  9. 대상체 옆에 물리적 자를 위치시키지 않고, 상기 대상체에 대한 의료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의료 영상이 획득될 때의 영상 획득부의 위치에 기초하여 가상 자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 영상 상에 상기 가상 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 영상 표시 방법.
  10. 대상체의 복수 영역들에 대응하는 제 1 X선 영상 및 제 2 X선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제1 X선 영상이 획득될 때의 상기 영상 획득부의 제1 위치에 대응되는 제1 거리와 관련되는 제 1 가상자 및 상기 제 2 X선 영상이 획득될 때의 상기 영상 획득부의 제2 위치에 대응되는 제2 거리와 관련되는 제 2 가상자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가상자 및 상기 제 2 가상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X선 영상 및 상기 제 2 X선 영상을 결합함으로써 합성 영상을 획득하는, 제어부; 및
    상기 합성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의료 영상 표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영상이 획득될 때의 상기 영상 획득부의 위치를 획득하는, 위치 획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 획득부는,
    X선을 상기 대상체에 조사하는 X선 조사부; 및 상기 조사된 X선을 검출하는 X선 검출부;를 포함하는, 의료 영상 표시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X선 영상이 획득될 때,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영상 획득부까지의 상기 제 1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제 2 X선 영상이 획득될 때, 상기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영상 획득부까지의 상기 제 2 거리를 획득하는 위치 획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가상자는 상기 제 1 거리와 관련되고, 상기 제 2 가상자는 상기 제 2 거리와 관련되는, 의료 영상 표시 장치.
  13. 삭제
  14. 대상체의 복수의 분할 영상들 상에 가상 자를 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촬영 영역들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분할 영상들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복수의 분할 영상들 각각을 획득하기 위하여 상기 영상 획득부가 배치되는 위치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획득부; 및
    상기 영상 획득부가 배치되는 위치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 영상들에 가상 자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체의 분할 영상에 가상 자를 표시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자가 표시된 복수의 분할 영상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 획득부는,
    상기 복수의 촬영 영역들에 대응하는 위치들에서 상기 복수의 분할 영상들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체의 분할 영상에 가상 자를 표시하는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영상 획득부의 일측까지의 거리로서 상기 영상 획득부에 대한 제1 거리값을 획득하고, 상기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영상 획득부의 타측까지의 거리로서 상기 영상 획득부에 대한 제2 거리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1 거리값 및 상기 제2 거리값 사이의 거리 값들을 나타내는 상기 가상 자를 생성하고,
    상기 가상 자를 상기 복수의 분할 영상들 각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체의 분할 영상에 가상 자를 표시하는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분할 영상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가상 자 상에 표시된 거리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 영상들을 자동으로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체의 분할 영상에 가상 자를 표시하는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의 소정 영역 상에, 상기 가상 자가 표시된 복수의 분할 영상들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체의 분할 영상에 가상 자를 표시하는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오프(off)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 영상들 각각에 표시된 가상 자를 제외한 상기 복수의 분할 영상들만을 상기 소정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체의 분할 영상에 가상 자를 표시하는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줌인(zoom-in) 입력 또는 줌아웃(zoom-out)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 영상들과 상기 복수의 분할 영상들 각각에 표시된 가상 자를 함께 확대 또는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체의 분할 영상에 가상 자를 표시하는 장치.
  21. 대상체의 의료 영상에 가상 자를 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대상체의 촬영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의료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의료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상기 영상 획득부가 배치되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획득부; 및
    상기 영상 획득부가 배치되는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의료 영상에 가상자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체의 의료 영상에 가상 자를 표시하는 장치.
  22. 대상체의 복수의 분할 영상들을 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촬영 영역들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분할 영상들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복수의 분할 영상들 각각을 획득하기 위하여 상기 영상 획득부가 배치되는 위치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획득부;
    상기 영상 획득부가 배치되는 위치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 영상들에 가상 자를 표시하고, 상기 가상 자가 표시된 복수의 분할 영상들을 디스플레이부의 소정 영역에 표시하는 제어부; 및
    상기 가상 자가 표시되는 동안, 거리 단위들을 포함하는 상기 가상 자를 표시하는 것을 비활성화하는 명령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자를 표시하는 것을 비활성화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 영상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가상 자를 제외한 상기 복수의 분할 영상들만을 상기 소정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체의 분할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
KR1020160036970A 2012-09-07 2016-03-28 대상체의 분할 영상 또는 의료 영상에 가상 자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의료 영상 획득 장치, 및 가상 자가 표시된 분할 영상 또는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327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99547 2012-09-07
KR1020120099547 2012-09-07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6812A Division KR101608869B1 (ko) 2012-09-07 2013-03-13 대상체의 분할 영상 또는 의료 영상에 가상 자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의료 영상 획득 장치, 및 가상 자가 표시된 분할 영상 또는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0492A KR20160040492A (ko) 2016-04-14
KR101932725B1 true KR101932725B1 (ko) 2018-12-26

Family

ID=55801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6970A KR101932725B1 (ko) 2012-09-07 2016-03-28 대상체의 분할 영상 또는 의료 영상에 가상 자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의료 영상 획득 장치, 및 가상 자가 표시된 분할 영상 또는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27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169B1 (ko) * 2016-11-22 2018-07-17 오주영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방사선 촬영 가이드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89247A (ko) * 2017-01-31 2018-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공명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자기 공명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38073A1 (en) 2005-07-08 2007-02-15 Mistretta Charles A Backprojection reconstruction method for undersampled MR imaging
US20110109650A1 (en) 2009-10-07 2011-05-12 Hologic, Inc. Displaying Computer-Aided Detection Information With Associated Breast Tomosynthesis Image Information
US20110243402A1 (en) * 2009-11-30 2011-10-06 Mirada Medical Measurement system for medical imag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38073A1 (en) 2005-07-08 2007-02-15 Mistretta Charles A Backprojection reconstruction method for undersampled MR imaging
US20110109650A1 (en) 2009-10-07 2011-05-12 Hologic, Inc. Displaying Computer-Aided Detection Information With Associated Breast Tomosynthesis Image Information
US20110243402A1 (en) * 2009-11-30 2011-10-06 Mirada Medical Measurement system for medical imag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 Stitching Algorithm for Automatic Registration of Digital Radiographs, ICIAR 2008, LNCS 5112, pp. 854-86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0492A (ko) 2016-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8869B1 (ko) 대상체의 분할 영상 또는 의료 영상에 가상 자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의료 영상 획득 장치, 및 가상 자가 표시된 분할 영상 또는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
US10122915B2 (en) Method and device for panoramic image processing
CN107016717B (zh) 用于患者的透视视图的系统和方法
US9671925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dical image capturing device
JP2019107397A (ja) 医用装置、医用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903039B2 (en) Tomographic image generation device and method
JP2014121364A (ja) 放射線断層撮影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345468B2 (ja) 医用画像診断装置
JP6502509B2 (ja) 画像処理装置、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101932725B1 (ko) 대상체의 분할 영상 또는 의료 영상에 가상 자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의료 영상 획득 장치, 및 가상 자가 표시된 분할 영상 또는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09125B1 (ko) 컴퓨터 기반 진단 방법 및 그에 따른 컴퓨터 기반 진단 장치
JP2010057731A (ja) X線ct装置およびx線ct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2012075862A (ja) 体動検出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869199B2 (ja) 放射線撮影装置
JP4794993B2 (ja) 画像診断支援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7485137B2 (ja) 放射線撮影装置
JP5985970B2 (ja) 放射線断層撮影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894175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for generating a combined image
JP2011072381A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6096441B2 (ja) 医用画像処理装置、医用画像処理方法及び医用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6548713B2 (ja) 医用画像診断装置
US11259761B2 (en) Computed tomography and positioning of a volume to be imaged
JP2006081854A (ja) ユーザー・インタフェース表示方法、ユーザー・インタフェース表示装置、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9261541A (ja) 画像処理装置
JP2007143952A (ja) X線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