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1470B1 -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470B1
KR101931470B1 KR1020180011009A KR20180011009A KR101931470B1 KR 101931470 B1 KR101931470 B1 KR 101931470B1 KR 1020180011009 A KR1020180011009 A KR 1020180011009A KR 20180011009 A KR20180011009 A KR 20180011009A KR 101931470 B1 KR101931470 B1 KR 101931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vertical
plate
tube
fix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1999A (ko
Inventor
윤병예
Original Assignee
윤병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병예 filed Critical 윤병예
Priority to KR1020180011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470B1/ko
Publication of KR20180101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1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incompressible or rigid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후방에 배치되는 두 개의 파이프 지지골조에 파이프들을 적층하여 파이프들과 함께 두 개의 파이프 지지골조를 크레인으로 함께 인상함으로써, 파이프들의 인상 도중에 파이프들이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파이프들의 추락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후방에 사이 간격으로 두고 배치되고, 각각이 좌우 방향으로 긴 하부 받침관과 하부 받침관과 양측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양측 수직관을 포함하고, 각각에 구비된 양측 수직관에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와이어 관통홀이 형성되는 두 개의 파이프 지지골조와; 양단에 고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지지골조의 양측 수직관에 형성된 와이어 관통홀에 관통되어 양단의 고리부가 각 수직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파이프 고정와이어와; 각각의 상기 파이프 지지골조의 각 수직관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파이프 고정와이어의 단부에 형성된 고리부를 이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리부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Pipe carrying apparatus}
본 발명은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후방에 배치되는 두 개의 파이프 지지골조에 파이프들을 적층하여 파이프들과 함께 두 개의 파이프 지지골조를 크레인으로 함께 인상함으로써, 파이프들의 인상 도중에 파이프들이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파이프들의 추락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현장에서 가설 기둥이나 동바리 등의 파이프들을 고층으로 운반할 경우에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운반하였다.
그리고 종래에 크레인을 이용하여 파이프들을 고층으로 운반할 경우에는 크레인 벨트로 파이프들의 중간을 감아 묶은 상태에서, 크레인 벨트를 크레인으로 인상하여 고층으로 운반하였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크레인 벨트를 파이프들에 감아 인상하여 운반할 경우에는, 파이프의 묶은 크레인 벨트의 묶음이 느슨해져 파이프가 추락하는 대형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크레인을 이용하여 파이프들을 고층으로 운반할 경우에는 파이들을 파레트의 올려놓은 상태에서 파레트와 파이프를 크레인 벨트로 결속한 다음, 파이프와 파레트를 함께 묶은 크레인 벨트를 크레인으로 인상하여 고층으로 운반하였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파레트를 이용하여 파이프들을 고층으로 운반하는 과정에서도 크레인 벨트의 묶음이 느슨해져 파이프가 좌우로 유동됨으로써, 파이프가 추락하는 대형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09-0008350호 "파이프용 파렛트"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후방에 배치되고 양측 수직관을 포함하는 두 개의 파이프 지지골조에 파이프들을 적층하여 파이프들과 함께 두 개의 파이프 지지골조를 크레인으로 함께 인상함으로써, 파이프들의 인상 도중에 파이프들이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파이프들의 추락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후방에 배치되는 두 개의 파이프 지지골조의 하부에 적층되는 파이프들을 파이프 고정와이어를 통해 파이프 지지골조의 하부에 결속한 다음, 하부에 적층된 파이프들의 상부에 파이프들을 적층함으로써, 하부에 적층된 파이프들의 좌우 유동을 좀 더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이프 지지골조의 하부 받침관 양측에 고정되는 수직관을 좀 더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부에 적층된 파이프들을 결속하는 파이프 고정와이어의 양단부에 형성된 고리부를 용이하게 고정하고,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는 전,후방에 사이 간격으로 두고 배치되고, 각각이 좌우 방향으로 긴 하부 받침관과 하부 받침관과 양측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양측 수직관을 포함하고, 각각에 구비된 양측 수직관에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와이어 관통홀이 형성되는 두 개의 파이프 지지골조와; 양단에 고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지지골조의 양측 수직관에 형성된 와이어 관통홀에 관통되어 양단의 고리부가 각 수직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파이프 고정와이어와; 각각의 상기 파이프 지지골조의 각 수직관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파이프 고정와이어의 단부에 형성된 고리부를 이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리부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의 상기 하부 받침관은 양측이 개방된 사각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받침관의 양측에 구비되는 각각의 상기 수직관은 하부가 개방된 사각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관은 하부 받침관의 측부에 보강 연결수단을 통해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의 상기 보강 연결수단은 상기 하부 받침관에 측부에서 내부로 삽입되어 브래킷 고정수단으로 고정되는 수평 고정브래킷과, 상기 수직관의 하부에서 내부로 삽입되는 수직 고정브래킷과, 상기 수평 고정브래킷과 수직 고정브래킷을 일체로 연결 고정하는 연결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의 상기 고리부 고정수단은 상기 고리부에 상부에서 하부로 이탈 가능하게 관통되고 상부에는 머리부가 구비되는 고정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의 상기 고리부 고정수단은 상기 와이어 관통홀의 상부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고정축이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고정축의 머리부가 밀착되는 수평판과, 상기 고정축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고정축이 상기 관통홀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전,후방에 배치되고 양측 수직관을 포함하는 두 개의 파이프 지지골조에 파이프들을 적층하여 파이프들과 함께 두 개의 파이프 지지골조를 크레인으로 함께 인상함으로써, 파이프들의 인상 도중에 파이프들이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파이프들의 추락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안전성이 확보된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후방에 배치되는 두 개의 파이프 지지골조의 하부에 적층되는 파이프들을 파이프 고정와이어를 통해 파이프 지지골조의 하부에 결속한 다음, 하부에 적층된 파이프들의 상부에 파이프들을 적층함으로써, 하부에 적층된 파이프들의 좌우 유동을 좀 더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이프 지지골조의 하부 받침관 양측에 고정되는 수직관을 좀 더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파이프의 인상 도중에 각각의 파이프 지지골조의 수직관이 이탈되어 파이프가 추락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에 적층된 파이프들을 결속하는 파이프 고정와이어의 양단부에 형성된 고리부를 용이하게 고정하고,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파이프의 적재 및 하역시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파이프 지지골조를 나타낸 분해시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고리부 고정수단을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고정축이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b는 고정축이 하강되어 고리부를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c는 도 5b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적재 운반수단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6a는 두 개의 파이프 지지골조 내부의 하부에 파이프들을 적층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b는 두 개의 파이프 고정와이어를 하부에 적층된 파이프들을 결속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6c는 하부에 적층된 파이프들의 상부에 파이프들을 적층하고 파이프들을 크레인 벨트로 결속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고리부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7a는 요부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파이프 밸트 고정수단을 나타낸 것으로,
도 8a는 요부 사시도이고,
도 8b는 사용 상태도를 나타내며,
도 8c는 도 8b의 D부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파이프 밸트 고정수단을 구성하는 벨트 긴장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9a는 사시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E에서 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적재 운반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10a는 사시도이며,
도 10b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c는 요부 확대 분해사시도이며,
도 10d는 도 10a의 F-F선 단면도이고,
도 10e는 양측의 수직대가 접힌 상태를 다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파이프 지지골조를 나타낸 분해시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고리부 고정수단을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적재 운반수단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는 건축 현장에서 사용되는 가설 기둥이나 동바리 등(이하, 총칭하여 "파이프"라 한다.)의 파이프(P)들을 크레인을 통해 2층 이상으로 안전하게 운반하는 장치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는 전,후방에 사이 간격으로 두고 배치되고 양측에는 수직관(12)이 구비되어 내부에 파이프(P)들이 종방향으로 적층되는 두 개의 파이프 지지골조(1)와, 양단에 고리부(21)가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 지지골조(1)의 양측 수직관(12)에 양단의 고리부(21)가 관통되는 파이프 고정와이어(2)와, 각각의 상기 파이프 지지골조(1)의 수직관(12)의 외측에 구비되는 고리부 고정수단(3)을 포함한다.
두 개의 상기 파이프 지지골조(1)는 전,후방에 사이 간격으로 두고 배치되는 것으로, 각각이 좌우 방향으로 긴 하부 받침관(11)과 하부 받침관(11)과 양측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양측 수직관(12)을 포함한다. 그리고, 각각에 구비된 양측 수직관(12)에는 상기 파이프 고정와이어(2)의 양측이 관통될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와이어 관통홀(14)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하부 받침관(11)은 양측이 개방된 사각관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받침관(11)은 충분한 받침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내구성이 강한 금속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철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받침관(11)의 양측에 구비되는 각각의 상기 수직관(12)은 하부가 개방된 사각관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지관(12)은 적층된 파이프(P)들의 양 측부를 충분한 강도로 지지할 수 있도록, 내구성이 강한 금속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철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관(12)은 하부 받침관(11)의 측부에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보강 연결수단(13)을 통해 일체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관통홀(14)은 하부에 적층되는 파이프(P)들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관의 상하 길이 방향의 중간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관통홀(14)은 상기 파이프 고정와이어(2)의 고리부(21)를 수평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수평 장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 연결수단(13)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관(12)을 하부 받침관(11)의 측부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부 받침관(11)에 측부에서 내부로 삽입되어 브래킷 고정수단(132)으로 고정되는 수평 고정브래킷(131)과, 상기 수직관(12)의 하부에서 내부로 삽입되는 수직 고정브래킷(133)과, 상기 수평 고정브래킷(131)과 수직 고정브래킷(133)을 일체로 연결 고정하는 연결 고정수단(134)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 고정브래킷(131)은 하부 받침관(11)의 내부 측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받침관(11)의 상판 하면에 밀착되는 상판(131a)과, 상기 받침 사각관의 하판의 상면에 밀착되는 하판(131b)과, 상기 상판(131a)과 하판(131b)의 내측 단부에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수직 보강판(131c)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 고정브래킷(133)은 수직관(12)의 내부 하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관(12)의 내측판의 내면에 밀착되는 수직판(133a)과, 수직판(133a)의 전,후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수직관(12)의 전,후판의 내면에 밀착되는 전,후판(133b)(133c)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 고정수단(134)은 수평 고정브래킷(131)과 수직 고정브래킷(132)을 더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평 고정브래킷(131)의 상판(131a)과 하판(131b)의 외측 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돌출되게 형성된 연결 돌출부(134a)와, 상기 수직관(12)의 내측판과 상기 수직판(133a)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 돌출부(134a)가 관통되어 조립되는 연결장홀(134b)과, 상기 연결장홀(134b)과 연결 돌출부(134a)를 일체로 연결하는 용접부(134c)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용접부(134c)는 수직판(133a)의 외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관(12)에 형성된 연결장홀(134b)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수직관(12)과 수직 고정브래킷(133)을 좀 더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수직홈(135)이 더 형성되고, 상기 수직홈(135)과 수직판(133a)의 사이에는 수직홈(135)의 둘레와 수직판(133a)의 내면을 서로 연결하는 용접부(136)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 고정브래킷(131)의 상판(131a)의 전,후방 단부에는 하부로 수직 절곡되어 하부 받침관(11)의 전,후판의 내면에 밀착되는 보강 절곡부(131d)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수평 고정브래킷(131)의 하판(131b)의 전,후방 단부에는 상부로 수직 절곡되어 하부 받침관(11)의 전,후판의 내면에 밀착되는 보강 절곡부(131d)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평 고정브래킷(131)의 수직 보강판(131c)의 전,후방 단부에는 외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하부 받침관(11)의 전,후판의 내면에 밀착되는 보강 절곡부(131d)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수평 고정브래킷(131)에 형성된 다수의 보강 절곡부(131d)가 상기 하부 받침관(11)의 전,후판 내면에 밀착됨으로써 수직관(12)의 전후방 유동이 방지되는 것이다.
상기 하부 받침관(11)의 상판 양측에는 하부 받침관(11)의 상부 양측을 보강할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긴 보강 함몰홈(G)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 받침관(11)의 하판 양측에는 하부 받침관(11)의 하부 양측을 보강할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긴 보강 함몰홈(G)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수평 고정브래킷(131)을 하부 받침관(11)의 측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13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받침관(11)의 양측 상,하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홀(132a)과, 상기 관통홀(132a)과 수평 고정브래킷(131)의 상판(131a)의 상면 및 하판(131b)의 하면을 서로 연결하는 용접부(132b)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관통홀(132a)들과 상기 수평 고정브래킷(131)의 상,하판(131a)(131b)을 용접부(132b)를 통해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적층된 파이프(P)를 인상하는 과정에서 수직관(12)이 이탈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평 고정브래킷(131)을 하부 받침관(11)의 측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13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받침관(11)의 양측 상,하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홀(132c)과, 상기 수평 고정브래킷(131)의 상,하판(131a)(131b)에 상기 관통홀(132c)과 상응되게 형성된 다수의 고정홀(132d)과, 상기 서로 일치되는 위치에 형성된 관통홀(132c)과 고정홀(132d)에 관통 고정되는 다수의 리벳(132e)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부 받침관(11)과 수평 고정브래킷(131)을 리벳(132e)으로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적층된 파이프(P)들을 인상하는 과정에서 수직관(12)이 이탈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기 하부 받침관(11) 양측에 고정되는 수직관(12)을 용접이나 리벳(132e)으로 견고하게 연결 고정함으로써, 파이프(P)의 인상 도중에 각각의 파이프 지지골조(1)의 수직관(12)이 이탈되어 파이프(P)가 추락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파이프 고정와이어(2)는 도 1,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고리부(21)가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지지골조(1)의 양측 수직관(12)에 형성된 와이어 관통홀(14)에 관통되어 양단의 고리부(21)가 각 수직관(12)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장착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파이프 고정와이어(2)는 두 개의 파이프 지지골조(1) 내부의 하부에 적층되는 파이프(P)들의 상부를 수평으로 결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리부(21)는 중앙이 수직으로 관통되게 링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양단에 고리부(21)가 형성된 파이프 고정와이어(2)는 하부에 적층되는 파이프(P)들의 상부를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도록 내구성이 강한 철재 와이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리부 고정수단(3)은 도 1,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상기 파이프 지지골조(1)의 각 수직관(12)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파이프 고정와이어(2)의 단부에 형성된 고리부(21)를 이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고리부 고정수단(3)은 상기 고리부(21)에 상부에서 하부로 이탈이 가능하게 관통되고 상부에는 머리부(311)가 구비되는 고정축(31)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축(31)의 외주연에는 고리부(21)에 관통 삽입된 고정축(31)의 상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나사부(132)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리부 고정수단(3)은 상기 와이어 관통홀(14)의 상부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고정축(31)이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는 관통홀(321)이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고정축(31)의 머리부(311)가 밀착되는 수평판(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축(31)의 외주연에는 고정축(31)이 상기 관통홀(321)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탈 방지돌출부(133)가 더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수평판(32)의 내측 단부의 하부에는 수평판(32)과 수직관(12)의 외측을 보강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 관통홀(14)과 상응되는 위치에 와이어 관통홀(331)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받침관(11)의 외측면에 용접되어 고정되는 외측 보강판(33)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고리부 고정수단(3)을 구성하는 고정축(31)의 통해, 하부에 적층된 파이프(P)들을 결속하는 파이프 고정와이어(2)의 양단부에 형성된 고리부(21)를 용이하게 고정하고,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파이프(P)의 적재 및 하역시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장점도 가지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를 사용하여 파이프(P)들을 적재 운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지면의 전,후방에 파이프 지지골조(1)을 횡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한다.
다음, 전,후방으로 배치된 두 개의 파이프 지지골조(1)의 내부의 하부에 다수의 파이프(P)들을 종방향으로 적층한다.
다음, 상기와 같이 두 개의 파이프 지지골조(1)의 내부의 하부에 다수의 파이프(P)들을 적층한 상태에서, 각각의 상기 파이프 지지골조(1)의 양측에 구비된 수직관(12)의 와이어 관통홀(14)에 파이프 고정와이어(2)의 양측 고리부(21)를 관통시킴으로써, 하부에 적층된 파이프(P)들의 상부에 좌우 방향의 수평으로 파이프 고정와이어(2)를 배치한다.
다음, 각각의 상기 수직관(12)의 외측에 구비된 고리부 고정수단(3)의 고정축(31)을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통해 각 파이프 고정와이어(2)의 양단에 구비된 고리부(21)를 각 수직관(12)의 외측에 고정하는 과정을 통해, 하부에 적층된 파이프(P)들의 상부를 먼저 결속한다.
다음, 상기와 같이 결속된 하부에 적층된 파이프(P)들의 상부에 파이프(P)들을 적층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두 개의 상기 파이프 지지골조(1)에 상,하부에 적층된 파이들의 둘레를 결속벨트(V)를 통해 결속한 다음, 결속벨트(V)를 크레인에 후크에 연결하여 크레인을 통해 파이프(P)들과 전,후방 두 개의 파이프 지지골조(1)를 함께 인상하여 운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두 개의 파이프 고정와이어(2)를 통해 하부에 적층되는 파이프(P)들과 전,후방 두 개의 파이프 지지골조(1)의 함께 연결함으로써, 파이프(P)들과 함께 두 개의 파이프 지지골조(1)를 크레인으로 함께 인상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적층된 파이프(P)들의 하부와 양측 및 중간을 지지하는 두 개의 파이프 지지골조(1)를 크레인으로 함께 인상함으로써, 파이프(P)들의 인상 도중에 파이프(P)들이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파이프(P)들의 추락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후방에 배치되는 두 개의 파이프 지지골조(1)의 하부에 적층되는 파이프(P)들을 파이프 고정와이어(2)를 통해 파이프 지지골조(1)의 하부에 결속한 다음, 하부에 적층된 파이프(P)들의 상부에 파이프(P)들을 적층함에 따라, 하부에 적층된 파이프(P)들의 좌우 유동을 좀 더 방지함으로써 파이프(P)들의 인상시 파이프(P)들의 추락 사고를 좀 더 예방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고리부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7a는 요부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한 고리부 고정수단(3)의 다른 실시예(이하, "다른 실시에의 고리부 고정수단"이라 한다.)는 각각의 상기 수직관(12)에 형성된 와이어 관통홀(14)의 상부에 수평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중앙에는 수직 관통홀(411)이 형성되는 수평판(41)과, 상기 수평판(41)의 상부에 고정되고 내부가 비어 있으며 상판에는 상기 수직 관통홀(211)보다 작은 상부 관통홀(431)이 형성되는 상부 고정브래킷(43)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다른 실시예의 고리부 고정수단(3)은 상기 상부 고정브래킷(43)의 내부에 수직으로 장착되며, 하부에는 상기 수직 관통홀(411)에 관통되어 파이프 고정와이어(2)의 고리부(21)에 이탈이 가능하게 관통되고 외주면의 하부에 용접 돌출부(441a)가 형성되는 고정핀(441)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상부 관통홀(431)에 관통되는 손잡이봉(442)이 구비되는 승강 이동 고정핀(441)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용접 돌출부(441a)는 고정핀(441)이 고리부(21)에서 상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상기 다른 실시예의 고리부 고정수단(3)은 상기 손잡이봉(442)에 외주연에 장착되고 상기 상부 고정브래킷(43)의 상판과 고정핀(441)의 상단 사이에 장착되는 압축코일스프링(45)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다른 실시예의 고리부 고정수단(3)을 구성하는 승강 이동 고정핀(44)을 작업자가 상승시켜다가 하강시키는 간단한 과정만을 통해, 상기 파이프 고정와이어(2)의 고리부(21)을 이탈되지 않게 고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다른 실시예의 고리부 고정수단(3)을 통해 간단하게 파이프 고정와이어(2)의 고리부(21)를 수직관(12)의 외측에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파이프 밸트 고정수단을 나타낸 것으로, 도 8a는 요부 사시도이고, 도 8b는 사용 상태도를 나타내며, 도 8c는 도 8b의 D부 확대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는 각각의 상기 파이프 지지골조(1)의 양측 수직관(12)에 연결되게 구비되어 두 개의 상기 파이프 지지골조(1)에 적재된 파이프(P)들을 벨트(51)로 감싸 고정하는 파이프 벨트 고정수단(5)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 벨트 고정수단(5)은 두 개의 파이프 지지골조(1)의 내부에 적층된 파이프(P)들을 좀 더 견고하게 감싸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 지지골조(1)의 일측에 구비된 수직관(12)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벨트(51)의 벨트 고리(511)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리 연결부(52)와, 상기 파이프 지지골조(1)의 타측에 구비된 수직관(12)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벨트(51)의 타측을 당겨주거나 풀어주는 벨트 긴장수단(53)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리 연결부(52)는 벨트(51)의 벨트 고리(511)를 좀 더 신속하게 분리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 지지골조(1)의 일측 수직관(12)의 외측에 고정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521)와, 상기 돌출부(521)에 형성되어 상기 벨트(51)의 벨트 고리(511)가 분리 가능하게 걸려 연결되는 수평 연결장홀(522)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벨트 긴장수단(53)은 상기 파이프 지지골조(1)의 타측에 위치된 수직관(12)의 외측에 고정되는 레버 회전식 벨트 텐셔너(531)로 구성된다.
상기 레버 회전식 벨트 텐션너(531)는 상기 수직관(12)의 외측에 고정되는 프레임(531a)과, 상기 프레임(531a)의 상부에 회전되게 전후 방향으로 구비되고 외주연에는 라체트 기어(531c : RACHET GEAR)가 고정되며 상기 벨트(51)의 타측 단부가 관통되어 끼워지는 회전보빈(531b)과, 상기 회전 보빈(531b)의 전,후방에 회전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 레버(531d)와, 상기 회전 레버(531d)에 구비되어 회전 레버(531d)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벨트(51)를 감기게 하는 제1 스톱퍼(S1)와, 상기 프레임(521a)에 구비되어 벨트(51)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스톱퍼(S2)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스톱퍼(S1)는 스프링에 의해 전,후진되게 구비되어 회전 레버(531d)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라체트 기어(531c)와 맞물려 상기 회전보빈(531b)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벨트(51)를 감기게 하고, 회전 레버(531d)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는 라체트 기어(531c)에서 공회전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스톱퍼(S2)는 스프링에 의해 전,후진되게 구비되어 상기 라체트 기어(531c)에 맞물려 상기 회전보빈(531b)에서 벨트(51)를 감은 상태에서 라쳇트 기어(531c)가 시계 방향으로 헛도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상기 회전 레버(531d)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벨트(51)를 감는 상기 회전보빈(531b), 라쳇트 기어(531c), 제1,2 스톱퍼(S1)(S2)의 구성은 이미 공지된 것으로, 그 구체적인 작동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적층 운반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전술한 바와 같이, 양측에 위치된 파이프 지지골조(1)의 내부에 파이프(P)들을 견고하게 적층한 상태에서, 각 파이프 지지골조(1)의 일측의 수직관(12)에 구비된 수평 연결장홀(522)에 벨트(51)의 벨트 고리(511)를 건 다음, 각 파이프 지지골조(1)의 타측의 수직관(12)에 고정 구비된 레버 회전식 벨트 텐션너(531)의 회전레버(531d)를 회전시켜 벨트(51)를 긴장시킴으로써, 적층된 파이프(P)들을 벨트(51)를 통해 견고하게 감싸 고정한다.
다음, 전,후방 두 개의 벨트(51)의 상부에 크레인 벨트(V)를 걸은 후, 크레인의 작동을 통해, 크레인 벨트(51)를 크레인으로 인상하여 적층된 파이프(P)들을 인상 운반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는 상기 파이프 지지골조(1)의 양측에 파이프(P)들을 벨트(51)로 감싸는 파이프 벨트 고정수단(5)을 더 구비함에 따라, 적층된 파이프(P)들을 벨트(51)로 감싸는 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고, 파이프(P)들의 인상시 파이프(P)들의 추락 사고를 좀 더 예방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파이프 밸트 고정수단을 구성하는 벨트 긴장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9a는 사시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E에서 본 도면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벨트 긴장수단(53)은 상기 파이프 지지골조(1)의 타측에 구비된 수직관(12) 외측에 고정되는 보빈 회전식 벨트 텐셔너(532)로 구성된다.
상기 보빈 회전식 벨트 텐션너(532)는 상기 수직판(21)의 외측에 고정되는 프레임(532a)과, 상기 프레임(532a)의 상부에 회전되게 전후 방향으로 구비되고 외주연에는 라체트 기어(532c : RACHET GEAR)가 고정되며 전방에는 공구 삽입회전부(532d)가 구비되고 상기 벨트(51)의 타측 단부가 관통되어 끼워지는 회전보빈(532b)과, 상기 프레임(532a)의 전방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회전보빈(532b)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벨트(51)를 감기게 하고 회전보빈(532b)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S3)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회전보빈(532b)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벨트(51)를 감는 상기 회전보빈(532b), 라쳇트기어(532c), 스톱퍼(S3)의 구성은 이미 공지된 것으로, 그 구체적인 작동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 다른 실시예의 보빈 회전식 벨트 텐션너(532)를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전술한 바와 같이, 양측에 위치된 파이프 지지골조(1)의 내부에 파이프(P)들을 견고하게 적층한 상태에서, 각 파이프 지지골조(1)의 일측의 수직관(12)에 구비된 수평 연결장홀(522)에 벨트(51)의 벨트 고리(511)를 건 다음, 각 파이프 지지골조(1)의 타측의 수직관(12)에 고정 구비된 보빈 회전식 벨트 텐션너(532)의 회전보빈(532b)을 스페너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켜 벨트(51)를 긴장시킴으로써, 적층된 파이프(P)들을 벨트(51)를 통해 견고하게 감싸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벨트 긴장수단(53)을 구조가 간단한 보빈 회전식 벨트 텐션너(532)로 구성함으로서,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의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보빈 회전식 벨트 텐션너(532)의 프레임(532a)을 상기 파이프 지지골조(1)의 타측에 구비된 수직관(12)의 외측에 직접적으로 고정함으로써, 보다 신속하면서 간편하게 적층된 파이프(P)들을 감싸 고정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적재 운반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리 연결부(52)가 수직관(12)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수직관(12)의 전방이나 후방에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벨트 긴장수간(53)이 수직관(12)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수직관(12)의 전방이나 후방에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 기지골조를 구성하는 일측에 구비된 상기 수직관(12)의 하부가 분리되어 하부 사각관(12a)과 하부 사각관(12a)의 상부에 위치되는 주 사각관(12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 사각관(12b)의 하부는 상기 하부 사각관(12a)의 상부에 일측 힌지 연결부(121a)를 통해 연결되어 일측의 주 사각관(12b)이 내측으로 접혀지게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일측 힌지 연결부(121a)는 일측에 구비된 주 사각관(12b)을 내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상기 주 사각관(12b)의 하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브래킷(122)과, 상기 고정브래킷(122)의 하부 전,후방에 형성되고 각각에는 힌지홀(122c)이 형성되며 각각의 외측의 하부 모서리부에는 상기 힌지홀(122c)을 중심으로 하는 외측 원호형 단부(122d)가 형성되는 전,후방 회전판(122a)(122b)과, 상기 하부 사각관(12a)의 상부에 상기 전,후방 회전판(122a)(122b)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사각관(12a)의 전,후방에 상기 힌지홀(122c)과 상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사각관 힌지홀(123)과, 상기 하부 사각관(12a)의 내측 상부에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는 함몰 사각홈(124)과, 상기 하부 사각관(12a)의 전,후판의 내측 상부의 모서리부에 상기 사각관 힌지홀(126)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내측 원호형 단부(125)와, 상기 사각관 힌지홀(123)과 힌지홀(122c)에 관통 조립되고 너트로 체결되어 상기 주 사각관(12b)을 회전 가능하게 조립하는 힌지축 볼트(126)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파이프 기지골조를 구성하는 타측에 구비된 상기 수직관(12)의 하부가 분리되어 하부 사각관(12a)과 하부 사각관(12a)의 상부에 위치되는 주 사각관(12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 사각관(12b)의 하부는 상기 하부 사각관(12a)의 상부에 타측 힌지 연결부(121b)를 통해 연결되어 타측의 주 사각관(12b)이 일측에서 접혀진 상기 주 사각관(12b)에 포개지도록 접혀지게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타측 힌지 연결부(121b)는 타측에 구비된 주 사각관(12b)을 내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상기 일측 힌지 연결부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타측 힌지 연결부(121b)는 상기 주 사각관(12b)의 하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브래킷(122)과, 상기 고정브래킷(122)의 하부 전,후방에 형성되고 각각에는 힌지홀(122c)이 형성되며 각각의 외측의 하부 모서리부에는 상기 힌지홀(122c)을 중심으로 하는 외측 원호형 단부(122d)가 형성되는 전,후방 회전판(122a)(122b)과, 상기 하부 사각관(12a)의 상부에 상기 전,후방 회전판(122a)(122b)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사각관(12a)의 전,후방에 상기 힌지홀(122c)과 상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사각관 힌지홀(123)과, 상기 하부 사각관(12a)의 내측 상부에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는 함몰 사각홈(124)과, 상기 하부 사각관(12a)의 전,후판의 내측 상부의 모서리부에 상기 사각관 힌지홀(126)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내측 원호형 단부(125)와, 상기 사각관 힌지홀(123)과 힌지홀(122c)에 관통 조립되고 너트로 체결되어 상기 주 사각관(12b)을 회전 가능하게 조립하는 힌지축 볼트(126)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일,타측에 위치된 수직관의 두 개의 주 사각관을 서로 포개어 접음에 따라,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를 트럭등을 이용하여 이동 운반할 경우에 부피를 최로 줄임으로써 이동 운반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파이프 지지골조
11 : 하부 받침관, 12 : 수직관,
12a : 하부 사각관, 12b : 주 사각관,
121a : 일측 힌지 연결부, 121b : 타측 힌지 연결부,
122 : 고정브래킷, 122a : 전방 회전판,
122b : 후방 회전판, 122c : 힌지홀,
122d : 외측 원호형 단부, 123 : 사각관 힌지홀,
124 : 함몰 사각홈, 125 : 내측 원호형 단부
126 : 힌지축 볼트, 13 : 보강 연결수단,
131 : 수평 고정브래킷, 132 : 고정수단,
133 : 수직 고정브래킷, 134 : 연결 고정수단,
135 : 수직홈, 136 : 용접부,
14 : 와이어 관통홀
2 : 파이프 고정와이어
21 : 고리부
3 : 고리부 고정수단
31 : 고정축, 311 : 머리부,
132 : 나사부, 133 : 이탈 방지돌출부
32 : 수평판, 321 : 관통홀
33 : 외측 보강판, 331 : 와이어 관통홀
41 : 수평판, 411 : 수직 관통홀
43 : 상부 고정브래킷, 431 : 상부 관통홀
44 : 승강 이동 고정핀, 441 : 고정핀,
441a : 용접 돌출부, 442 : 손잡이봉,
45 : 압축코일스프링
5 : 파이프 벨트 고정수단
51 : 벨트, 511 : 벨트 고리
52 : 고리 연결부, 521 : 돌출부,
522 : 수평 연결장홀, 53 : 벨트 긴장수단
531 : 레버 회전식 벨트 텐션너
532 : 보빈 회전식 벨트 텐션너

Claims (7)

  1. 전,후방에 사이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각각이 좌우 방향으로 긴 하부 받침관(11)과 하부 받침관(11)과 양측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양측 수직관(12)으로 된 두 개의 파이프 지지골조(1)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받침관(11)은 양측이 개방된 사각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받침관(11)의 양측에 구비되는 각각의 상기 수직관(12)은 하부가 개방된 사각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관(12)은 하부 받침관(11)의 측부에 보강 연결수단(13)을 통해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보강 연결수단(13)은
    상기 하부 받침관(11)에 측부에서 내부로 삽입되어 브래킷 고정수단(132)으로 고정되는 수평 고정브래킷(131)과,
    상기 수직관(12)의 하부에서 내부로 삽입되는 수직 고정브래킷(133)과,
    상기 수평 고정브래킷(131)과 수직 고정브래킷(133)을 일체로 연결 고정하는 연결 고정수단(1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고정브래킷(131)은 상기 하부 받침관(11) 상판의 하면에 밀착되는 상판(131a)과, 상기 하부 받침관의 하판의 상면에 밀착되는 하판(131b)과, 상기 상판(131a)과 하판(131b)의 내측 단부에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수직 보강판(131c),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 고정브래킷(133)은 상기 수직관(12)의 내측판의 내면에 밀착되는 수직판(133a)과, 수직판(133a)의 전,후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수직관(12)의 전,후판의 내면에 밀착되는 전,후판(133b)(133c),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고정수단(134)은 수평 고정브래킷(131)의 상판(131a)과 하판(131b)의 외측 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돌출되게 형성된 연결 돌출부(134a)와, 상기 수직관(12)의 내측판과 상기 수직판(133a)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 돌출부(134a)가 관통되어 조립되는 연결장홀(134b)과, 상기 연결장홀(134b)과 연결돌출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용접부(134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관(12)에 형성된 연결장홀(134b)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수직홈(135)이 더 형성되고,
    상기 수직홈(135)과 수직판(133a)의 사이에는 서로 연결하는 용접부(136)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고정브래킷(131)의 상판(131a)의 전,후방 단부에는 하부로 수직 절곡되어 하부 받침관(11)의 전,후판의 내면에 밀착되는 보강 절곡부(131d)가 더 형성되고,
    상기 수평 고정브래킷(131)의 하판(131b)의 전,후방 단부에는 상부로 수직 절곡되어 하부 받침관(11)의 전,후판의 내면에 밀착되는 보강 절곡부(131d)가 더 형성되며,
    상기 수평 고정브래킷(131)의 수직 보강판(131c)의 전,후방 단부에는 외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하부 받침관(11)의 전,후판의 내면에 밀착되는 보강 절곡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받침관(11)의 상판 양측에는 긴 보강 함몰홈(G)이 좌우 방향으로 더 형성되고,
    상기 하부 받침관(11)의 하판 양측에는 긴 보강 함몰홈(G)이 좌우 방향으로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고정수단(132)은 상기 하부 받침관(11)의 양측 상,하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홀(132a)과, 상기 관통홀(132a)과 수평 고정브래킷(131)의 상판(131a)의 상면 및 하판(131b)의 하면을 서로 연결하는 용접부(132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고정수단(132)은 상기 하부 받침관(11)의 양측 상,하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홀(132c)과, 상기 수평 고정브래킷(131)의 상,하판(131a)(131b)에 상기 관통홀(132c)과 상응되게 형성된 다수의 고정홀(132d)과, 상기 서로 일치되는 위치에 형성된 관통홀(132c)과 고정홀(132d)에 관통 고정되는 다수의 리벳(132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
KR1020180011009A 2018-01-29 2018-01-29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 KR101931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009A KR101931470B1 (ko) 2018-01-29 2018-01-29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009A KR101931470B1 (ko) 2018-01-29 2018-01-29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559A Division KR20180101958A (ko) 2017-03-06 2017-03-06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999A KR20180101999A (ko) 2018-09-14
KR101931470B1 true KR101931470B1 (ko) 2018-12-20

Family

ID=63599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009A KR101931470B1 (ko) 2018-01-29 2018-01-29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147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33673A1 (de) * 1992-10-07 1994-05-05 Stewing Kunststoff Transportgestell für Langgut wie Balken, Rohre oder dergleichen, insbesondere Kabelkanalrohre
WO2011048427A2 (en) * 2009-10-22 2011-04-28 Martin Clive-Smith Containerisation module for elongate load
KR101795972B1 (ko) * 2016-11-30 2017-12-01 윤병예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71942B2 (en) 2006-05-18 2008-12-30 Motorola, Inc.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ed battery saving during idle mod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33673A1 (de) * 1992-10-07 1994-05-05 Stewing Kunststoff Transportgestell für Langgut wie Balken, Rohre oder dergleichen, insbesondere Kabelkanalrohre
WO2011048427A2 (en) * 2009-10-22 2011-04-28 Martin Clive-Smith Containerisation module for elongate load
KR101795972B1 (ko) * 2016-11-30 2017-12-01 윤병예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999A (ko) 2018-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65979C (en) Foldable transport rack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140027395A1 (en) Modular pipe basket
KR101878631B1 (ko)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
US7993083B1 (en) Strap links stabilizing system for flatbed trucks and associated use therefor
KR101931470B1 (ko)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
US6065916A (en) Portable base for anchoring and transporting unstrable articles
KR20180101958A (ko)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
KR101795972B1 (ko)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
JP4981558B2 (ja) ガラス板輸送用パレット
WO2014047055A1 (en) Modular pipe basket
CA260188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porting and dispensing a strap
KR20020072351A (ko) 판유리 운반용 적재대
EP285529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cylindrical objects
JP4067540B2 (ja) 土のう袋保持具
US743485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planar sheets of material
JP5934474B2 (ja) ドラム缶搬送用のパレット
JP6064428B2 (ja) ロール製品用ラック
KR102064071B1 (ko) 화물고정용 벨트일체형 자동바
CN105151377B (zh) 成件货物集装装置
KR100500598B1 (ko) 운반용 랙
CN109789964B (zh) 用于在板条箱上固定多个玻璃基板的设备和方法
JP4307276B2 (ja) 放射性物質収納容器の輸送用固縛装置
EP1080022B1 (en) Open-sided cargo freight container
TWI751946B (zh) 農作物裝載器具改良
JP2002347829A (ja) 積載架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