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5972B1 -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 - Google Patents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5972B1
KR101795972B1 KR1020160162091A KR20160162091A KR101795972B1 KR 101795972 B1 KR101795972 B1 KR 101795972B1 KR 1020160162091 A KR1020160162091 A KR 1020160162091A KR 20160162091 A KR20160162091 A KR 20160162091A KR 101795972 B1 KR101795972 B1 KR 101795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hole
belt
plate
support squ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2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병예
Original Assignee
윤병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병예 filed Critical 윤병예
Priority to KR1020160162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59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6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minimising or preventing longitudinal or transverse swinging of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10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preventing cable sl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로폼들의 인상 도중에 유로폼이 유동되어 추락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후방에 간격으로 두고 배치되고, 상면에 유로폼들이 종방향으로 적층되며, 좌우 방향으로 긴 두 개의 받침 사각관과; 각각의 상기 받침 사각관의 측부 내부에 삽입 고정되고, 각각의 외측에는 상기 받침 사각관의 상부로 돌출되는 수직판이 구비되고, 각각의 수직판에는 유로폼 고정수단이 관통되는 고정수단 관통홀이 형성된 다수의 유로폼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Euro-form carrying apparatus}
본 발명은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로폼들의 인상 도중에 유로폼이 유동되어 추락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축조하는 경우 콘크리트가 경화되는 시간 동안 축조를 하고자 하는 형태로 콘크리트가 유지될 수 있도록 거푸집을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거푸집은 축조하여야할 건축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건축물을 축조하는 경우에는 거푸집 또한 규격화되어 있기 때문에 거푸집의 형성을 더욱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일정한 규격으로 제조되는 유로폼(Euro form)을 이용하고 있다.
통상적인 유로폼은 직사각형 형상의 판재와, 판재의 후면 둘레에 연결되게 구비되는 외곽틀과, 외관들의 내부에 판재를 지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내부틀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곽틀에는 유로폼들의 외곽틀을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다수의 핀 체결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건축 현장에서 유로폼들을 고층으로 운반할 경우에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유로폼들을 운반한다.
종래에 크레인을 통해 유로폼들을 고층으로 운반할 경우에는 목재 파레트를 이용한다. 그리고, 목재 파레트를 이용하여 유로폼들을 운반할 경우에는 목재 파레트의 목재상판의 상부에 유로폼들을 적재한 후, 목재 파레트의 목재상판과 유로폼들을 크레인 벨트로 결속한 다음, 크레인의 인상을 통해 목재 파레트에 적재된 유로폼들을 고층으로 운반하였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목재 파레트를 이용하여 유로폼들을 고층으로 운반할 경우에는, 목재 파레트의 목재상판의 강도가 약해 인상 도중에 목재 상판이 휘어지게 됨으로써, 인상 도중에 적재된 유로폼이 유동되어 유로폼이 하부로 추락하는 대형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0214호"유로폼 적재기"(2006.02.24.등록)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두 개의 받침 사각관에 적층되는 유로폼들 중 제일 하층의 양측에 위치된 유로폼을 받침 사각관에 고정함에 따라, 크레인을 통해 두 개의 받침 사각관의 상부에 적층된 유로폼들을 인상하는 과정에서 받침 사각판의 휘어짐을 방지함으로써, 인상 도중에 유로폼이 유동되어 추락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받침 사각관의 양측에 삽이 고정되는 유로폼 고정부재를 좀 더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받침 사각관의 양측에 유로폼을 벨트로 감싸는 유로폼 벨트 고정수단을 더 구비함으로써, 적층된 유로폼들을 별도의 벨트로 감싸는 작업을 필요 없도록 하는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받침 사각관의 양측에 구비된 유로폼 벨트 고정수단을 통해 적층된 유로폼들을 좀 더 견고하게 감싸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는 전,후방에 간격으로 두고 배치되고, 상면에 유로폼들이 종방향으로 적층되며, 좌우 방향으로 긴 두 개의 받침 사각관과; 각각의 상기 받침 사각관의 측부 내부에 삽입 고정되고, 각각의 외측에는 상기 받침 사각관의 상부로 돌출되는 수직판이 구비되고, 각각의 수직판에는 유로폼 고정수단이 관통되는 고정수단 관통홀이 형성된 다수의 유로폼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의 상기 유로폼 고정부재는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수단 관통홀이 형성되는 상기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내측에 연결수단을 통해 고정되어 상기 받침 사각관에 고정수단을 통해 삽입 고정되는 삽입 고정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의 상기 삽입 고정브래킷은 상기 받침 사각관 상판의 하면에 밀착되는 삽입 상판과, 상기 받침 사각관의 하판의 상면에 밀착되는 삽입 하판과, 상기 삽입 상판과 삽입 하판의 내측 단부에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수직 보강판,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삽입 상판과 삽입 하판의 외측 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돌출되게 형성된 연결 돌출부와, 상기 수직판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 돌출부가 관통되어 조립되는 연결 장홀과, 상기 연결 장홀과 연결 돌출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용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의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받침 사각관의 양측 상,하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과 삽입 고정브래킷의 상판의 삽입 상면 및 삽입 하판의 하면을 서로 연결하는 용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의 상기 고정수단 관통홀은 수직장홀이나 원형홀 또는 상,하부에 수직홈이 형성된 원형홀로 형성되고, 상기 유로폼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수단 관통홀에 관통되어 유로폼의 외곽틀에 원형홀이나 수직장홀로 형성된 핀 체결공에 관통되고 중앙에는 수평장홀이 형성되는 수직판 형상이나 관통 단부가 원뿔봉 형상의 고정 쐐기핀과, 상기 수평장홀에 관통되는 판 형상의 이탈 방지 쐐기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의 상기 고정수단 관통홀은 수직장홀이나 원형홀 또는 상,하부에 수직홈이 형성된 원형홀로 형성되고, 상기 유로폼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 관통홀의 외측에 고정되고 내부가 비어 있으며 외측판에는 상기 고정 관통홀보다 작은 외측 관통홀에 형성되는 외측 고정브래킷과; 상기 외측 고정브래킷의 내부에 수평으로 장착되며, 내측에는 상기 고정 관통홀을 관통되어 유로폼의 외곽틀에 원형홀이나 수직장홀로 형성된 핀 체결공에 관통되는 고정핀이 구비되고, 외측에는 상기 외측 관통홀에 관통되는 손잡이봉에 구비되는 좌우 이동 고정핀과; 상기 손잡이봉에 외주연에 장착되고 상기 외측 고정브래킷의 외측판과 고정핀의 사이에 장착되는 압축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의 상기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는 각각의 상기 받침 사각관의 양측 유로폼 고정부재에 연결되게 구비되어 두 개의 상기 받침 사각관의 상부에 적재된 유로폼들을 벨트로 감싸 고정하는 유로폼 벨트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의 상기 유로폼 벨트 고정수단은 상기 받침 사각관의 일측에 고정된 유로폼 고정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벨트의 고리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리 연결부와, 상기 받침 사각관의 타측에 고정된 유로폼 고정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벨트의 타측을 당겨주거나 풀어주는 벨트 긴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두 개의 받침 사각관에 적층되는 유로폼들 중 제일 하층의 양측에 위치된 유로폼을 받침 사각관에 고정함에 따라, 크레인을 통해 두 개의 받침 사각관의 상부에 적층된 유로폼들을 인상하는 과정에서 받침 사각판의 휘어짐을 방지함으로써, 인상 도중에 유로폼이 유동되어 추락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안전성이 확보된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받침 사각관의 양측에 삽입 고정되는 유로폼 고정부재를 좀 더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적층된 유로폼들을 인상하는 과정에서 유로폼 고정부재가 이탈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받침 사각관의 양측에 유로폼을 벨트로 감싸는 유로폼 벨트 고정수단을 더 구비함에 따라, 적층된 유로폼들을 별도의 벨트로 감싸는 작업을 필요 없게 함으로써, 적층된 유로폼들을 벨트로 감싸는 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받침 사각관의 양측에 구비된 유로폼 벨트 고정수단을 통해 적층된 유로폼들을 좀 더 견고하게 감싸 고정함으로써, 유로폼들의 인상시 유로폼들의 추락 사고를 좀 더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1b는 하나의 받침 사각관과 유로폼 고정부재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1c는 하나의 받침 사각관의 양측에 유로홈 고정부재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c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유로폼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유로폼 적재 운반수단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로폼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7a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7b는 하나의 받침 사각관의 양측에 유로홈 고정부재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c는 사용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d는 도 7b의 B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벨트 긴장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8a는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C에서 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를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2는 도 1c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로폼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유로폼 적재 운반수단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는 전,후방에 간격으로 두고 배치되는 좌우 방향으로 긴 두 개의 받침 사각관(1)과, 각각의 상기 받침 사각관(1)의 측부에 삽입 고정되는 다수의 유로폼 고정부재(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 사각관(1)은 충분한 받침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내구성이 강한 금속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철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전,후방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두 개의 받침 사각관(1)의 상면에는 유로폼(10)을 안정적으로 적층할 수 있도록, 유로폼(10)들이 종방향으로 적층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후방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두 개의 받침 사각관(1)의 사이 공간은 지개차의 인상바가 삽입되어 유로폼(10)을 운반할 수 있는 인상바 삽입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일반적으로 알려진 유로폼(10)은 직사각형 형상의 판재와, 판재의 후면 둘레에 연결되게 구비되는 외곽틀과, 외관들의 내부에 판재를 지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내부틀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곽틀에는 유로폼(10)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수직 장홀이나 원형홀 형상의 핀 체결공(20)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로폼 고정부재(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상기 받침 사각관(1)의 측부 내부에 삽입 고정되어 제일 하부층에 적층되는 유로폼(10)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각각의 상기 유로폼 고정부재(2)는 외측에 상기 받침 사각관(1)의 상부로 돌출되는 수직판(21)이 구비되고, 각각의 수직판(21)에는 유로폼 고정수단(4)이 관통되는 고정수단 관통홀(211)이 형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유로폼 고정부재(2)는 상기 받침 사각관(1)의 측부 내부에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수단 관통홀(211)이 형성되는 상기 수직판(21)과, 상기 수직판(21)의 내측에 연결수단(23)을 통해 고정되어 상기 받침 사각관(1)에 고정수단(3)을 통해 삽입 고정되는 삽입 고정브래킷(22)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수단 관통홀(211)은 유로폼(10)의 외곽틀에 형성된 핀 체결공(20)의 형상과 상응되게 수직장홀이나 원형홀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상,하부에 수직홈이 형성된 원형홀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첨부된 도면에서는 상,하부에 수직홈이 형성된 원형홀을 도시하였다.
상기 삽입 고정브래킷(22)은 받침 사각판의 측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받침 사각관(1) 상판의 하면에 밀착되는 삽입 상판(221)과, 상기 받침 사각관(1)의 하판의 상면에 밀착되는 삽입 하판(222)과, 상기 삽입 상판(221)과 삽입 하판(222)의 내측 단부에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수직 보강판(223)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판(21)과 삽입 고정브래킷(22)을 연결하는 연결수단(23)은 수직판(21)과 삽입 고정브래킷(22)을 좀 더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상기 삽입 상판(221)과 삽입 하판(222)의 외측 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돌출되게 형성된 연결 돌출부(231)와, 상기 수직판(21)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 돌출부(231)가 관통되어 조립되는 연결 장홀(232)과, 상기 연결 장홀(232)과 연결 돌출부(231)를 일체로 연결하는 용접부(233)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용접부(233)는 수직판(21)의 외측은 물론, 내측에도 함께 구비되게 용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 고정브래킷(22)을 좀 더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삽입 상판(221)의 전,후방 단부에는 하부로 수직 절곡되어 받침 사각관(1)의 전,후판의 내면에 밀착되는 보강 절곡부(234)를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지하고, 상기 삽입 하판(222)의 전,후방 단부에는 상부로 수직 절곡되어 받침 사각관(1)의 전,후판의 내면에 밀착되는 보강 절곡부(234)를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직 보강판(223)의 전,후방 단부에는 외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받침 사각관(1)의 전,후판의 내면에 밀착되는 보강 절곡부(234)를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삽입 고정브래킷(22)에 형성된 다수의 보강 절곡부(234)가 상기 받침 사각관(1)의 전,후판 내면에 밀착됨으로써, 유로폼 고정부재(2)의 전후방 유동이 방지되는 것이다.
상기 받침 사각관(1)의 상판 양측에는 받침 사각관(1)의 상부 양측을 보강할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긴 보강 함몰홈(11)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받침 사각관(1)의 하판 양측에는 받침 사각관(1)의 하부 양측을 보강할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긴 보강 함몰홈(11)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삽입 고정브래킷(22)을 받침 사각관(1)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 사각관(1)의 양측 상,하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홀(31)과, 상기 관통홀(31)과 삽입 고정브래킷(22)의 상판의 상면 및 하판의 하면을 서로 연결하는 용접부(32)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관통홀(33)(31)과 삽입 고정브래킷(22)의 상,하판을 용접부(32)를 통해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적층된 유로폼(10)들을 인상하는 과정에서 유로폼 고정부재(2)가 이탈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삽입 고정브래킷(22)을 받침 사각관(1)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 사각관(1)의 양측 상,하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홀(33)과, 상기 삽입 고정브래킷(22)의 삽입 상,하판(221)(222)에 상기 관통홀(33)과 상응되게 형성된 다수의 고정홀(34)과, 상기 서로 일치되는 위치에 형성된 관통홀(33)과 고정홀(34)에 관통 고정되는 다수의 리벳(35)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받침 사각관(1)의 양측에 삽입 고정되는 유로폼 고정부재(2)를 리벳(35)으로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적층된 유로폼(10)들을 인상하는 과정에서 유로폼 고정부재(2)가 이탈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로폼 고정수단(4)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유로폼 고정부재(2)에 형성된 고정수단 관통홀(211)에 관통되어 유로폼(10)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유로폼 고정수단(4)은 상기 고정수단 관통홀(211)에 관통되어 유로폼(10)의 외곽틀에 수직장홀이나 원형홀(미도시됨)로 형성된 핀 체결공(20)에 관통되고 중앙에는 수평장홀(411)이 형성되는 수직판이나 원뿔봉 형상(미도시됨)의 고정 쐐기핀(41)과, 상기 수평장홀(411)에 관통되는 판 형상의 이탈 방지 쐐기핀(42)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 쐐기핀(41)과 이탈 방지 쐐기핀(42)은 유로폼(10)을 서로 연결할 때 사용하는 공지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고정 쐐기핀(41)은 상기 유로폼(10)의 외곽틀에 형성된 핀 체결공(20)의 형상에 따라, 수직판 형상의 고정 쐐기핀(41)이나 원뿔봉 형상의 고정 쐐기핀(미도시됨)을 사용할 수 있는데, 첨부된 도면에서는 수직판 형상의 고정 쐐기핀(41)을 사용한 상태를 도시하였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를 사용하여 유로폼(10)들을 적재 운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지면의 전,후방에 받침 사각관(1)을 서로 평행하게 배치한다.
다음, 전,후방으로 배치된 두 개의 받침 사각관(1)의 상면의 양측에 종방향으로 두 개의 유로폼(10)을 적층한다.
다음, 상기와 같이 두 개의 받침 사각관(1)의 상면 양측에 유로폼(10)을 적층한 상태에서, 상기 받침 사각관(1)의 측부에 고정된 각각의 유로폼 고정부재(2)의 고정수단 관통홀(211)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고정 쐐기핀(41)을 관통시켜 고정 쐐기핀(41)을 양측에 위치되는 유로폼(10)의 핀 체결공(20)에 관통시킨다.
그런 다음 각 핀 체결공(20)에 관통된 고정 쐐기핀(41)에 형성된 수평장홀(411)에 이탈 방지 쐐기핀(42)을 관통 장착한다.
다음, 두 개의 받침 사각관(1)의 상면 양측에 적층된 유로폼(10)의 사이로 유로폼(10)들을 좌우가 밀착되게 적층한다. 그런 다음, 제일 하층에 적층된 유로폼(10)들의 상부에 다수의 유로폼(10)들을 다층으로 적층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크레인 벨트(V)를 적층된 유로폼(10)에 감아 고정한 다음과, 크레인 벨트(V)를 크레인(미도시됨)으로 인상하여 적층된 유로폼(10)들을 인상하여 운반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두 개의 받침 사각관(1)에 적층되는 유로폼(10)들 중 제일 하층의 양측에 위치된 유로폼(10)을 받침 사각관(1)에 고정함에 따라, 크레인을 통해 두 개의 받침 사각관(1)의 상부에 적층된 유로폼(10)을 인상하는 과정에서 받침 사각관(1)의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두 개의 받침 사각관(1)의 상부에 적층된 유로폼(10)들을 크레인으로 인상하는 도중에 받침 사각관(1)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유로폼(10)들의 인상 과정에서 유로폼(10)이 유동되어 추락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안전성이 확보된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를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를 구성하는 유로폼 고정수단(4)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유로폼 고정수단(4)은 유로폼(10)을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좀 더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관통홀(211)의 외측에 고정되고 내부가 비어 있으며 외측판에는 상기 고정수단 관통홀(211)보다 작은 외측 관통홀에 형성되는 외측 고정브래킷(43)과, 상기 외측 고정브래킷(43)의 내부에 수평으로 관통되게 구비되는 좌우 이동 고정핀(44)과, 상기 좌우 이동 고정핀(44)을 항상 내측 방향으로 눌러주는 압축코일스프링(45)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우 이동 고정핀(44)은 상기 외측 고정브래킷(43)의 내부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것으로, 내측에는 상기 고정수단 관통홀(211)을 관통되어 유로폼(10)의 외곽틀에 원형홀이나 수직장홀로 형성된 핀 체결공(20)에 관통되는 고정핀(441)이 구비되고, 외측에는 상기 외측 관통홀에 관통되는 손잡이봉(442)에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압축코일스프링(45)은 상기 손잡이봉(442)에 외주연에 장착되고 상기 외측 고정브래킷(43)의 외측판과 고정핀(441)의 사에에 장착되어 상기 좌우 이동 고정핀(44)을 내측 방향으로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른 실시예의 유로폼 고정수단(4)을 이용하여 제일 하층의 측부에 적층된 유로폼(10)을 유로폼 고정부재(2)에 고정할 경우에는, 손잡이봉(442)을 외측으로 잡아당긴 상태에서 유로폼(10)을 유로폼 고정부재(2)의 수직판(21)의 내측면에 밀착시킨다.
다음, 상기와 같이 유로폼(10)이 유로폼 고정부재(2)의 수직판(21)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손잡이봉(442)의 잡아당김을 해제하면, 상기 압축코일스프링(45)의 탄발력에 의해 좌우 이동 고정핀(44)의 고정핀(441)이 내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유로폼(10)의 핀 체결공(20)에 관통 삽입됨으로써, 유로폼(10)을 유로폼 고정부재(2)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유로폼 고정수단(4)은 유로폼(10)을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좀 더 간단하게 고정함으로써, 제일 하층의 양측에 적층되는 유로폼(10)의 고정시간을 좀 더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는 상술한 제1 실시예에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전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는 각각의 상기 받침 사각관(1)의 양측 유로폼 고정부재(2)에 연결되게 구비되어 두 개의 상기 받침 사각관(1)의 상부에 적재된 유로폼(10)들을 벨트(51)로 감싸 고정하는 유로폼 벨트 고정수단(5)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유로폼 벨트 고정수단(5)은 두 개의 받침 사각관(1)의 상면에 적층된 유로폼(10)들을 좀 더 견고하게 감싸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 사각관(1)의 일측에 고정된 유로폼 고정부재(2)에 구비되어 상기 벨트(51)의 벨트 고리(511)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리 연결부(52)와, 상기 받침 사각관(1)의 타측에 고정된 유로폼 고정부재(2)에 구비되어 수동조작에 의해 상기 벨트(51)의 타측을 당겨주거나 풀어주는 벨트 긴장수단(53)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리 연결부(52)는 벨트(51)의 벨트 고리(511)를 좀 더 신속하게 분리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 사각관(1)의 일측에 고정된 유로폼 고정부재(2)의 수직판(21)의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521)와, 상기 돌출부(521)에 형성되어 상기 벨트(51)의 벨트 고리(511)가 분리 가능하게 걸려 연결되는 수평 연결장홀(522)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521)는 수평 연결장홀(522)에 벨트(51)의 고리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용이하게 관통시켜 걸 수 있도록 수직판(21)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벨트 긴장수단(53)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 사각관(1)의 타측에 고정된 유로폼 고정부재(2)의 수직판(21) 외측에 고정되는 레버 회전식 벨트 텐셔너(531)로 구성된다.
상기 레버 회전식 벨트 텐션너(531)는 상기 수직판(21)의 외측에 고정되는 프레임(531a)과, 상기 프레임(531a)의 상부에 회전되게 전후 방향으로 구비되고 외주연에는 라체트 기어(531c : RACHET GEAR)가 고정되며 상기 벨트(51)의 타측 단부가 관통되어 끼워지는 회전보빈(531b)과, 상기 회전 보빈(531b)의 전,후방에 회전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 레버(531d)와, 상기 회전 레버(531d)에 구비되어 회전 레버(531d)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벨트(51)를 감기게 하는 제1 스톱퍼(S1)와, 상기 프레임(521a)에 구비되어 벨트(51)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스톱퍼(S2)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스톱퍼(S1)는 스프링에 의해 전,후진되게 구비되어 회전 레버(531d)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라체트 기어(531c)와 맞물려 상기 회전보빈(531b)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벨트(51)를 감기게 하고, 회전 레버(531d)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는 라체트 기어(531c)에서 공회전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스톱퍼(S2)는 스프링에 의해 전,후진되게 구비되어 상기 라체트 기어(531c)에 맞물려 상기 회전보빈(531b)에서 벨트(51)를 감은 상태에서 라쳇트 기어(531c)가 시계 방향으로 헛도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상기 회전 레버(531d)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벨트(51)를 감는 상기 회전보빈(531b), 라쳇트 기어(531c), 제1,2 스톱퍼(S1)(S2)의 구성은 이미 공지된 것으로, 그 구체적인 작동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유로폼 적층 운반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전술한 바와 같이, 전,후방에 위치된 받침 사각관(1)의 상부에 유로폼(10)들을 견고하게 적층한 상태에서, 각 받침 사각관(1)의 일측에 구비된 돌출부(521)의 수평 연결장홀(522)에 벨트(51)의 벨트 고리(511)를 건 다음, 상기 받침 사각관(1)의 타측에 고정 구비된 레버 회전식 벨트 텐션너(531)의 회전레버(531d)를 회전시켜 벨트(51)를 긴장시킴으로써, 적층된 유로폼(10)들을 벨트(51)를 통해 견고하게 감싸 고정한다.
다음 전,후방 두 개의 벨트(51)의 상부에 크레인 벨트(V)를 걸은 후, 크레인의 작동을 통해, 크레인 벨트(51)를 크레인으로 인상하여 적층된 유로폼(10)들을 인상 운반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는 상기 받침 사각관(1)의 양측에 유로폼(10)을 벨트(51)로 감싸는 유로폼 벨트 고정수단(5)을 더 구비함에 따라, 적층된 유로폼(10)들을 별도의 벨트(51)로 감싸는 작업을 필요 없게 함으로써, 적층된 유로폼(10)들을 벨트(51)로 감싸는 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는 상기 받침 사각관(1)의 양측에 구비된 유로폼 벨트 고정수단(5)을 통해 적층된 유로폼(10)들을 좀 더 견고하게 감싸 고정함으로써, 유로폼(10)들의 인상시 유로폼(10)들의 추락 사고를 좀 더 예방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는 레버 회전식 벨트 텐션너(531)의 프레임(531a)을 상기 받침 사각관(1)의 타측에 고정된 유로폼 고정부재(2)의 수직판(21) 외측에 직접적으로 고정함으로써, 보다 신속하면서 간편하게 적층된 유로폼(10)들을 감싸 고정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를 구성하는 벨트 긴장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벨트 긴장수단(53)은 상기 받침 사각관(1)의 타측에 고정된 유로폼 고정부재(2)의 수직판(21) 외측에 고정되는 보빈 회전식 벨트 텐셔너(532)로 구성된다.
상기 보빈 회전식 벨트 텐션너(532)는 상기 수직판(21)의 외측에 고정되는 프레임(532a)과, 상기 프레임(532a)의 상부에 회전되게 전후 방향으로 구비되고 외주연에는 라체트 기어(532c : RACHET GEAR)가 고정되며 전방에는 공구 삽입회전부(532d)가 구비되고 상기 벨트(51)의 타측 단부가 관통되어 끼워지는 회전보빈(532b)과, 상기 프레임(532a)의 전방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회전보빈(532b)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벨트(51)를 감기게 하고 회전보빈(532b)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S3)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회전보빈(532b)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벨트(51)를 감는 상기 회전보빈(532b), 라쳇트기어(532c), 스톱퍼(S3)의 구성은 이미 공지된 것으로, 그 구체적인 작동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 다른 실시예의 보빈 회전식 벨트 텐션너(532)를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전술한 바와 같이, 전,후방에 위치된 받침 사각관(1)의 상부에 유로폼(10)들을 견고하게 적층한 상태에서, 각 받침 사각관(1)의 일측에 구비된 돌출부(521)의 수평 연결장홀(522)에 벨트(51)의 일측 고리를 건 다음, 상기 받침 사각관(1)의 타측에 고정 구비된 보빈 회전식 벨트 텐션너(532)의 회전보빈(532b)을 스페너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켜 벨트(51)를 긴장시킴으로써, 적층된 유로폼(10)들을 벨트(51)를 통해 견고하게 감싸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벨트 긴장수단(53)을 구조가 간단한 보빈 회전식 벨트 텐션너(532)로 구성함으로서,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의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보빈 회전식 벨트 텐션너(532)의 프레임(532a)을 상기 받침 사각관(1)의 타측에 고정된 유로폼 고정부재(2)의 수직판(21) 외측에 직접적으로 고정함으로써, 보다 신속하면서 간편하게 적층된 유로폼(10)들을 감싸 고정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받침 사각관
11 : 보강 함몰홈
2 : 유로폼 고정부재
21 : 수직판, 211 : 고정수단 관통홀
22 : 삽입 고정브래킷, 221 : 삽입 상판,
222 : 삽입 하판, 223 : 수직 보강판
23 : 연결수단, 231 : 연결 돌출부,
232 : 연결 장홀, 233 : 용접부.
234 : 보강 절곡부
3 : 고정수단
31 : 관통홀, 32 : 용접부
33 : 관통홀, 34 : 고정홀
35 : 리벳
4 : 유로폼 고정수단
41 : 고정 쐐기핀, 411 : 수평장홀
42 : 이탈 방지 쐐기핀, 43 : 외측 고정브래킷
44 : 좌우 이동 고정핀, 441 : 고정핀,
442 : 손잡이봉, 45 : 압축코일스프링
5 : 유로폼 벨트 고정수단
51 : 벨트, 511 : 벨트 고리
52 : 고리 연결부, 521 : 돌출부,
522 : 수평 연결장홀, 53 : 벨트 긴장수단
531 : 레버 회전식 벨트 텐션너
532 : 보빈 회전식 벨트 텐션너
10 : 유로폼
20 : 핀 체결공

Claims (14)

  1. 전,후방에 간격으로 두고 배치되고, 상면에 유로폼(10)들이 종방향으로 적층되며, 좌우 방향으로 긴 두 개의 받침 사각관(1)과;
    각각의 상기 받침 사각관(1)의 측부 내부에 삽입 고정되고, 각각의 외측에는 상기 받침 사각관(1)의 상부로 돌출되는 수직판(21)이 구비되고, 각각의 수직판(21)에는 유로폼 고정수단(4)이 관통되는 고정수단 관통홀(211)이 형성된 다수의 유로폼 고정부재(2);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폼 고정부재(2)는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수단 관통홀(211)이 형성되는 상기 수직판(21)과, 상기 수직판(21)의 내측에 연결수단(23)을 통해 고정되어 상기 받침 사각관(1)에 고정수단(3)을 통해 삽입 고정되는 삽입 고정브래킷(22),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 고정브래킷(22)은 상기 받침 사각관(1) 상판의 하면에 밀착되는 삽입 상판(221)과, 상기 받침 사각관(1)의 하판의 상면에 밀착되는 삽입 하판(222)과, 상기 삽입 상판(221)과 삽입 하판(222)의 내측 단부에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수직 보강판(223),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23)은 상기 삽입 상판(221)과 삽입 하판(222)의 외측 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돌출되게 형성된 연결 돌출부(231)와, 상기 수직판(21)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 돌출부(231)가 관통되어 조립되는 연결 장홀(232)과, 상기 연결 장홀(232)과 연결 돌출부(231)를 일체로 연결하는 용접부(2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상판(221)의 전,후방 단부에는 하부로 수직 절곡되어 받침 사각관(1)의 전,후판의 내면에 밀착되는 보강 절곡부(234)가 더 형성되고,
    상기 삽입 하판(222)의 전,후방 단부에는 상부로 수직 절곡되어 받침 사각관(1)의 전,후판의 내면에 밀착되는 보강 절곡부(234)가 더 형성되며,
    상기 수직 보강판(223)의 전,후방 단부에는 외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받침 사각관(1)의 전,후판의 내면에 밀착되는 보강 절곡부(234)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사각관(1)의 상판 양측에는 긴 보강 함몰홈(11)이 좌우 방향으로 더 형성되고,
    상기 받침 사각관(1)의 하판 양측에는 긴 보강 함몰홈(11)이 좌우 방향으로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3)은
    상기 받침 사각관(1)의 양측 상,하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홀(31)과,
    상기 관통홀(31)과 삽입 고정브래킷(22)의 삽입 상판의 상면 및 삽입 하판의 하면을 서로 연결하는 용접부(3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3)은
    상기 받침 사각관(1)의 양측 상,하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홀(33)과,
    상기 삽입 고정브래킷(22)의 삽입 상,하판(221)(222)에 상기 관통홀(33)과 상응되게 형성된 다수의 고정홀(34)과,
    상기 서로 일치되는 위치에 형성된 관통홀(33)과 고정홀(34)에 관통 고정되는 다수의 리벳(35),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 관통홀(211)은 수직장홀이나 원형홀 또는 상,하부에 수직홈이 형성된 원형홀로 형성되고,
    상기 유로폼 고정수단(4)은
    상기 고정수단 관통홀(211)에 관통되어 유로폼(10)의 외곽틀에 원형홀이나 수직장홀로 형성된 핀 체결공(20)에 관통되고 중앙에는 수평장홀(411)이 형성되는 수직판 형상이나 원뿔봉 형상의 고정 쐐기핀(41)과,
    상기 수평장홀(411)에 관통되는 판 형상의 이탈 방지 쐐기핀(4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 관통홀(211)은 수직장홀이나 원형홀 또는 상,하부에 수직홈이 형성된 원형홀로 형성되고,
    상기 유로폼 고정수단(4)은,
    상기 고정수단 관통홀(211)의 외측에 고정되고 내부가 비어 있으며 외측판에는 상기 고정수단 관통홀(211)보다 작은 외측 관통홀이 형성되는 외측 고정브래킷(43)과;
    상기 외측 고정브래킷(43)의 내부에 수평으로 장착되며, 내측에는 상기 고정수단 관통홀(211)에 관통되어 유로폼(10)의 외곽틀에 원형홀이나 수직장홀로 형성된 핀 체결공(20)에 관통되는 고정핀(441)이 구비되고, 외측에는 상기 외측 관통홀에 관통되는 손잡이봉(442)이 구비되는 좌우 이동 고정핀(44)과;
    상기 손잡이봉(442)에 외주연에 장착되고 상기 외측 고정브래킷(43)의 외측판과 고정핀(441)의 사이에 장착되는 압축코일스프링(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
  10. 제1항,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는
    각각의 상기 받침 사각관(1)의 양측 유로폼 고정부재(2)에 연결되게 구비되어 두 개의 상기 받침 사각관(1)의 상부에 적재된 유로폼(10)들을 벨트(51)로 감싸 고정하는 유로폼 벨트 고정수단(5);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폼 벨트 고정수단(5)은
    상기 받침 사각관(1)의 일측에 고정된 유로폼 고정부재(2)에 구비되어 상기 벨트(51)의 벨트 고리(511)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리 연결부(52)와,
    상기 받침 사각관(1)의 타측에 고정된 유로폼 고정부재(2)에 구비되어 상기 벨트(51)의 타측을 당겨주거나 풀어주는 벨트 긴장수단(5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 연결부(52)는
    상기 받침 사각관(1)의 일측에 고정된 유로폼 고정부재(2)의 수직판(21)의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521)와,
    상기 돌출부(521)에 형성되어 상기 벨트(51)의 벨트 고리(511)가 분리 가능하게 걸려 연결되는 수평 연결장홀(52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긴장수단(53)은
    상기 수직판(21)의 외측에 고정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회전되게 전후 방향으로 구비되고 외주연에는 라체트 기어(RACHET GEAR)가 고정되며 상기 벨트(51)의 타측 단부가 관통되어 끼워지는 회전보빈과, 상기 회전 보빈의 전,후방에 회전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 레버와, 상기 회전 레버에 구비되어 회전 레버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벨트(51)를 감기게 하는 제1 스톱퍼와,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벨트(51)가 풀리를 것을 방지하는 제2 스톱퍼를 포함하는 레버 회전식 벨트 텐션너(53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긴장수단(53)은
    상기 수직판(21)의 외측에 고정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되게 전후 방향으로 구비되고 외주연에는 라체트 기어(RACHET GEAR)가 고정되며 전방에는 공구 삽입회전부가 구비되고 상기 벨트(51)의 타측 단부가 관통되어 끼워지는 회전보빈과, 상기 프레임의 후방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회전보빈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벨트(51)를 감기게 하고 회전보빈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로 구성되는 보빈 회전식 벨트 텐션너(5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
KR1020160162091A 2016-11-30 2016-11-30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 KR101795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091A KR101795972B1 (ko) 2016-11-30 2016-11-30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091A KR101795972B1 (ko) 2016-11-30 2016-11-30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5972B1 true KR101795972B1 (ko) 2017-12-01

Family

ID=60921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2091A KR101795972B1 (ko) 2016-11-30 2016-11-30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59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631B1 (ko) * 2018-01-29 2018-08-17 윤병예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
KR101931470B1 (ko) * 2018-01-29 2018-12-20 윤병예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227Y1 (ko) * 2007-05-22 2008-03-27 김무광 텐셔너를 구비한 파렛트 슬링
JP2009155035A (ja) * 2007-12-26 2009-07-16 Nippon Crane Works Ltd 焼結機用拡幅パレット台車の吊り具
JP2016132566A (ja) * 2015-01-22 2016-07-25 大成建設株式会社 吊り荷台の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227Y1 (ko) * 2007-05-22 2008-03-27 김무광 텐셔너를 구비한 파렛트 슬링
JP2009155035A (ja) * 2007-12-26 2009-07-16 Nippon Crane Works Ltd 焼結機用拡幅パレット台車の吊り具
JP2016132566A (ja) * 2015-01-22 2016-07-25 大成建設株式会社 吊り荷台の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631B1 (ko) * 2018-01-29 2018-08-17 윤병예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
KR101931470B1 (ko) * 2018-01-29 2018-12-20 윤병예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5972B1 (ko)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
US2933339A (en) Pallets and similar constructions for carrying heavy goods
US7758023B2 (en) Cargo bracing device
WO2020162283A1 (ja) コンテナによる輸送方法、コンテナによる海上輸送方法、及び、その荷役用具
US3128106A (en) Load tie-down assembly
JP4981558B2 (ja) ガラス板輸送用パレット
US2006024589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porting and dispensing a strap
KR20020072351A (ko) 판유리 운반용 적재대
KR101878631B1 (ko)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
KR101931470B1 (ko)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
KR20180101958A (ko)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
KR102064071B1 (ko) 화물고정용 벨트일체형 자동바
US20170073995A1 (en) Clamp for temporary structure sheeting and related methods
TWI289526B (en) Packing device for plate-like article
KR200323636Y1 (ko) 판유리 운반용 적재대
US3337044A (en) Coiled sheet package
JP4314441B1 (ja) 床付き布わく
JP6652945B2 (ja) 荷役用パレットの支持装置
KR101870717B1 (ko) 연성와이어 결박형 거푸집 상부관통 철근고정구
JP3966672B2 (ja) 床付き布枠
JP2002206338A (ja) プラスチック製パネル
JP2982798B1 (ja) フープの先組み用治具及び固定吊込み用治具
FI117299B (fi) Menetelmä rakennuksen valmistamiseksi runkoelementtiä käyttäen, runkoelementti ja runkoelementtien kiristys- ja lukituskappaleet
CN110921047B (zh) 可叠层模壳运输堆放架及其使用方法
JP2008297710A (ja) 鉄筋の自動結束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