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761B1 - 인몰드 사출용 라벨 - Google Patents

인몰드 사출용 라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761B1
KR101930761B1 KR1020180066549A KR20180066549A KR101930761B1 KR 101930761 B1 KR101930761 B1 KR 101930761B1 KR 1020180066549 A KR1020180066549 A KR 1020180066549A KR 20180066549 A KR20180066549 A KR 20180066549A KR 101930761 B1 KR101930761 B1 KR 101930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dhesive
printing
film layer
lab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6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한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한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한팩
Priority to KR1020180066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07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688Coating articles provided with a dec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4Printing or colouring
    • B32B38/145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0Intaglio printing ; Gravure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18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inorganic additives, e.g. pigments, c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63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B41M5/5281Polyurethanes or polyure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688Coating articles provided with a decoration
    • B29C2045/14713Coating articles provided with a decoration decorations in contact with injec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19/00Labels, badg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몰드 사출용 라벨에 관한 것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인몰드 사출용 라벨은 제1 기재필름층; 상기 제1 기재필름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 인쇄층; 및 상기 제1 기재필름층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1 접착인쇄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인쇄층은 우레탄계 수지 및 안료를 포함하는 제1 조성물을 그라비어(gravure) 인쇄하여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제1 기재필름층은 연신된 폴리프로필렌 필름(Oriented Polypropylene Film)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착인쇄층은 염소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인쇄 조성물을 그라비어 인쇄하여 형성된다.

Description

인몰드 사출용 라벨 {A LABEL FOR IN MOLD INJEC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몰드 사출용 라벨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그라비아 인쇄 필름층을 포함하며, 라벨과 사출물 사이의 부착력이 우수한 인몰드 사출용 라벨에 관한 것이다.
가전 및 전자 제품에는 제품 정보 및 사용시 주의사항 등을 표시한 라벨이 접착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점착 라벨은 제품의 장기간 사용시 마찰, 진동 및 충격에 의해 라벨이 쉽게 손상되며, 점착 라벨을 첩착하는 경우, 피착체의 성형 후 라벨을 점착하는 공정이 추가로 필요하여 생산시간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피착체에 라벨을 일체형으로 성형하는 인몰드 사출 성형법이 이용되고 있다. 인몰드 사출이란 사출용 몰드의 고정틀과 이동틀 사이에 소정의 문양이 인쇄된 라벨을 장착한 상태에서 용융 수지를 사출함으로써, 기존의 방법으로는 달성하기 어려운 360°방향 전사 및 요철부분 전사를 가능케 하며, 상기 전사 필름에 인쇄된 문양이 사출과 동시에 성형물 표면에 전사되도록 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러한 인몰드 사출 성형을 적용하게 되면, 종래의 사출, 진공증착, 접착 및 알루미늄 명판 부착으로 이어지는 4단계 공정을 사출 및 전사라는 단 1단계 공정만으로 대폭 단축할 수 있어서, 사출 성형물의 제조 원가를 절감함은 물론, 불량률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136609호(2015.12.07. 공개, 발명의 명칭: 인몰드 성형용 라벨 및 이것을 사용한 라벨이 부착된 플라스틱 용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라벨과 사출물 사이의 부착력이 우수한 인몰드 사출용 라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라벨에 인쇄된 문양 및 정보의 입체성과 시인성 등 외관성이 우수한 인몰드 사출용 라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생산성 및 작업성이 우수한 인몰드 사출용 라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몰드 사출시 라벨의 치수안정성, 내구성, 내수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인몰드 사출용 라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인몰드 사출용 라벨에 관한 것이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인몰드 사출용 라벨은 제1 기재필름층; 상기 제1 기재필름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 인쇄층; 및 상기 제1 기재필름층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1 접착인쇄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인쇄층은 우레탄계 수지 및 안료를 포함하는 제1 조성물을 그라비어(gravure) 인쇄하여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제1 기재필름층은 연신된 폴리프로필렌 필름(Oriented Polypropylene Film)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착인쇄층은 염소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인쇄 조성물을 그라비어 인쇄하여 형성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제1 기재필름의 하면과 제1 접착인쇄층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인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제1 인쇄층은 그라비아 판의 선 수: 150~200 선/인치 조건으로 그라비어 인쇄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 인쇄층의 두께는 3~10㎛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인몰드 사출용 라벨은 제1 기재필름층; 상기 제1 기재필름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 인쇄층; 상기 제1 기재필름층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2 인쇄층; 상기 제2 인쇄층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리어층; 및 상기 배리어층 하부에 형성되는 접착필름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인쇄층 및 제2 인쇄층은, 각각 우레탄계 수지 및 안료를 포함하는 제1 조성물을 그라비어 인쇄하여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제1 기재필름층은 연신된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배리어층은, 상기 제2 인쇄층의 하면에 접하는 제1 프라이머층, 상기 제1 프라이머층 하면에 형성되는 배리어필름층 및 상기 배리어필름층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접착필름층의 상면에 접하는 제2 프라이머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필름층은 접착성 폴리올레핀계 필름을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배리어필름층은 두께가 7~20㎛이며, 알루미늄(Al)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몰드 사출용 라벨은 라벨과 사출물 사이의 부착력이 우수하며, 라벨에 인쇄된 문양 및 정보의 입체성과 시인성 등 외관성이 우수하며, 별도의 라벨 부착 공정 삭제로 인해 생산성 및 작업성이 우수하며, 인몰드 사출시 라벨의 치수안정성, 내구성, 내수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인몰드 사출용 라벨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인몰드 사출용 라벨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른 인몰드 사출용 라벨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상면”과 “하면”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으로서, 시 관점에 따라 “상면”이 “하면”으로, “하면”이 “상면”으로 변경될 수 있고, “위” 또는 “상”으로 지칭되는 것은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조를 개재한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직접 위(directly on)”, “바로 위” 또는 “직접적으로 형성”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조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인몰드 사출용 라벨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인몰드 사출용 라벨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인몰드 사출용 라벨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인몰드 사출용 라벨(1000)은 제1 기재필름층(100); 제1 기재필름층(10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 인쇄층(110); 및 제1 기재필름층(100)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1 접착인쇄층(120);을 포함한다.
제1 기재필름층
본 발명의 제1 기재필름층(100)은 연신된 폴리프로필렌 필름(Oriented Polypropylene Film)을 포함한다. 상기 연신된 필름을 사용시, 라벨의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며,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인쇄층 제조시, 무늬 어긋남 방지 등을 방지하여 고세밀 인쇄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비하여, 인쇄시의 장력에 의한 치수변화가 적은 인몰드 사출용 라벨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신은 공지된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롤러의 주속 차이를 이용한 세로 연신, 텐터 오븐(tenter oven)을 사용한 가로 연신, 압연, 튜브상 필름에 맨드릴을 사용한 인플레이션 연신, 텐터 오븐과 리니어 모터의 조합에 의한 동시 2 축 연신 등의 방법으로 연신시킬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연신 배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인몰드 사출용 라벨의 사용 목적을 고려하여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연신 배율은 일 방향으로 연신되는 경우에는 1.1~20 배로 연신될 수 있다. 2 축 연신의 경우에는 길이 및 폭 방향으로 1.3~30 배 연신될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연신된 필름을 사용시, 라벨의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며,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인쇄층 제조시, 무늬 어긋남 방지 등을 방지하여 고세밀 인쇄가 가능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제1 기재필름층(100)의 두께는 30~80㎛일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본 발명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0~50㎛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제1 기재필름층(100)의 표면은 코로나 처리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코로나 처리시 표면 장력 및 젖음성이 증가하여 인쇄층의 부착성이 우수할 수 있다.
제1 인쇄층
제1 인쇄층(110)은 우레탄계 수지 및 안료를 포함하는 제1 조성물을 그라비어(gravure) 인쇄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1 조성물을 적용시, 제1 인쇄층의 부착성과 기계적 강도가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계 수지는,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우레탄계 수지는 폴리올 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반응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 화합물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및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 사이클로 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 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2,6-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우레탄계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8,000~50,000g/mol일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안료의 분산성과 그라비어 인쇄시 작업성이 우수하면서, 제1 인쇄층과 제1 기재필름층 사이의 접착력과 기계적 강도가 우수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우레탄계 수지의 산가는 10~200 mgKOH/g일 수 있다. 상기 조건의 산가 범위에서, 인쇄층의 내열성과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여 사출 성형시 인쇄층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그라비어 인쇄 분야에 사용되는 안료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본블랙, 카드늄 레드, 몰리브덴 레드, 크롬 옐로, 카드뮴 옐로, 티탄 옐로, 산화 크로늄, 티탄 코발트 그린, 시안 블루, 코발트 블루, 아조계 안료, 프탈로시아닌 안료, 퀴나크리돈계 안료, 이소인돌리논계 안료, 페릴렌계 안료, 티오 인디고계 안료 및 금속 착체 안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조성물은 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톨루엔, 벤젠, 크실렌,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이소부틸 케톤, 사이클로헥사논,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메틸렌 클로라이드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조성물은 우레탄계 수지 100 중량부, 안료 40~100 중량부 및 용제 20~2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작업성 및 인쇄층의 부착성과 기계적 강도가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성물은 아크릴 변성 에폭시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변성 에폭시 수지는 본 발명의 내열성을 확보하기 위해 포함된다. 상기 아크릴 변성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계 에폭시 수지 및 아크릴계 모노머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폭시 당량이 200~2,000인 비스페놀계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아크릴계 모노머 100~300 중량부를 그라프트 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함량범위로 반응시, 내열성이 우수한 아크릴 변성 에폭시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비스페놀계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 A 및 비스페놀 F 에폭시 수지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모노머로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노르말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터셔리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노르말-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노르말-스테알릴 메타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아크릴 변성 에폭시 수지는 산가가 20~150 mgKOH/g 이며, 수산기가가 50~200 mgKOH/g일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안료의 분산성과 그라비어 인쇄시 작업성이 우수하면서, 제1 인쇄층과 제1 기재필름층 사이의 접착력과 내열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우레탄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 변성 에폭시 수지 30~8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성물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상기 우레탄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3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경화촉진제, 습윤제, 광안정제, 슬립제 및 소포제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제1 인쇄층(110)은 그라비아 판의 선 수: 150~200 선/인치 조건으로 그라비어 인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그라비아 인쇄시 제1 조성물의 인쇄 농도와 건조성 및 작업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인쇄층 형성시, 그라비아 셀의 심도는 인쇄 농도 및 건조성의 관점에서 3~10㎛일 수 있다.
제1 인쇄층(110)의 두께는 3~10㎛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시인성과 인쇄층의 기계적 강도가 우수할 수 있다.
제3 인쇄층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인몰드 사출용 라벨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인몰드 사출용 라벨(2000)은 제1 기재필름(100)의 하면과 제1 접착인쇄층(120)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인쇄층(1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인쇄층(111)은, 전술한 제1 인쇄층과 동일한 제1 조성물을 이용하여, 동일한 조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3 인쇄층(111)을 더 포함시 본 발명 라벨에 인쇄된 패턴 및 정보의 입체성이 우수하여, 외관이 더욱 우수할 수 있다. 제3 인쇄층(111)의 두께는 3~10㎛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시인성과 인쇄층의 기계적 강도가 우수할 수 있다.
제1 접착인쇄층
제1 접착인쇄층(120)은 염소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인쇄 조성물을 그라비어 인쇄하여 형성된다. 상기 염소화 폴리프로필렌(chlorinated polypropylene) 수지는 제1 접착인쇄층(120)과 사출물과의 부착성을 확보하는 목적으로 포함된다. 상기 염소화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모노클로로벤젠, 오르소-디클로로벤젠 및 메타-디클로로벤젠 등에 투입하고 가열하여 혼합 용액을 제조한 다음, 염소 기체를 통과시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예에서 상기 염소화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염소 함량이 10~6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접착성과 분산성 및 작업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접착인쇄 조성물은 염소화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 및 안료 40~1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제1 접착인쇄층 성분의 분산성과 부착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인쇄 조성물은 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톨루엔, 벤젠, 크실렌,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이소부틸 케톤, 사이클로헥사논,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메틸렌 클로라이드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염소화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15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작업성 및 분산성이 우수할 수 있다.
제1 접착인쇄층(120)의 두께는 3~30㎛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사출물과의 부착성 및 인쇄층의 내구성과 기계적 강도가 우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른 인몰드 사출용 라벨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인몰드 사출용 라벨(3000)은 제1 기재필름층(100); 제1 기재필름층(10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 인쇄층(110); 제1 기재필름층(100)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2 인쇄층(112); 제2 인쇄층(112)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리어층(200); 및 배리어층 하부에 형성되는 접착필름층(300);을 포함한다.
제1 기재필름층(100)은, 전술한 바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2 인쇄층
제2 인쇄층(112)은, 전술한 제1 인쇄층과 동일한 제1 조성물을 이용하여, 동일한 조건으로 그라비어 인쇄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2 인쇄층(112)을 형성시 본 발명 라벨에 인쇄된 패턴 및 정보의 입체성이 우수하여, 외관이 더욱 우수할 수 있다. 제2 인쇄층(112)의 두께는 3~10㎛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시인성과 인쇄층의 기계적 강도가 우수할 수 있다.
배리어층
배리어층(200)은 본 발명의 라벨이 사출 형성되는 제품이 용기형태로 사용되는 경우, 내부에 보관되는 내용물의 유통기간 내 변질을 방지하기 위한, 배리어성(산소 및 기체 투과도 저하) 확보 목적으로 포함된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배리어층(200)은 제2 인쇄층(112)의 하면에 접하는 제1 프라이머층(210), 제1 프라이머층(210)의 하면에 형성되는 배리어필름층(220) 및 배리어필름층(220) 하면에 형성되며, 접착필름층(300)의 상면에 접하는 제2 프라이머층(230)을 포함한다.
배리어필름층(220)은 알루미늄(Al)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필름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루미늄이 증착된 PET 필름(Al vapor metaliz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VMPET)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배리어필름층(220)은 두께가 7~20㎛일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배리어성이 우수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제1 프라이머층(210) 및 제2 프라이머층(220)은 제2 인쇄층(112)의 하면과, 접착필름층(300)의 상면 사이에 배리어필름층(220)을 배치한 다음, 배리어필름층(22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제2 조성물을 도포하고, 합지 및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화는 40~60℃에서 15~80 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제2 조성물이 경화되어 제1 프라이머층 및 제2 프라이머층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경화는 40~50℃에서 24~72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조성물은 폴리올 화합물을 포함하는 주제;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 화합물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및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 사이클로 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 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2,6-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제1 프라이머층(210) 및 제2 프라이머층(230)은 각각 3~1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내열성 및 부착성이 우수할 수 있다.
접착필름층
접착필름층(300)은 접착성 폴리올레핀계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접착성 폴리올레핀계 필름은 무광효과를 발현하며, 열접착성을 가져 사출 성형시 사출물과의 부착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접착성 폴리올레핀계 필름은 무광택(matte)의 접착성 폴리올레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광택 접착성 폴리올레핀 필름은, 폴리올레핀계 필름의 표면에 무광층(매트층)을 형성한 것이다. 예를 들면, 무광택의 연신된 접착성 폴리프로필렌(MAT-OPP)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무광택 접착성 폴리올레핀 필름은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된 무광층 및 상기 기재층의 타면에 형성되는 접착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무광층은 상기 제2 프라이머층과 접하며, 상기 접착수지층은 사출물 표면과 접할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은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광층은 통상적인 무광타입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무광층은 폴리올레핀 수지 및 퍼옥사이드를 포함하는 무광택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여 무광택층을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접착수지층은 용융점이 130℃ 이하인 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 및 접착용 수지 1~45 중량부를 포함하는 접착수지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융점이 130℃ 이하인 폴리올레핀 수지는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 또는 옥텐의 단독중합체 수지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용 수지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및 핫멜트 수지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접착수지층은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첨가제 0.1~20 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 블로킹 방지제, 정전기 방지제 및 슬립제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블로킹 방지제로 실리카계, 아크릴계 및 실리콘계 블로킹 방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전기 방지제로 암모늄염계, 알킬 아민계 및 글리세롤계 정전기 방지제 등이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찰계수를 감소시켜 표면 윤활 효과를 위해 사용되는 슬립제는 지방산 아마이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로는 에루카마이드(Erucamide), 올레아미드(Oleamide), 스테아미드(Steamid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접착필름층(300)의 두께는 30~80㎛일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부착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인몰드 사출용 라벨은 사출용 몰드의 고정틀과 이동틀 사이에 장착되어, 용융 수지를 사출하여 사출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용융 수지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올레핀 및 폴리스티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실시예 비교예
실시예 1
(1) 제1 기재필름층 준비: 두께: 30~50㎛이며, 길이 및 폭 방향으로 2~4배 연신된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사용하였다.
(2) 제1 인쇄층 형성: 폴리올 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반응하여 중량평균분자량: 10000~20000g/mol인 우레탄계 수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우레탄계 수지 100 중량부, 안료 60 중량부 및 용제 15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상기 제1 조성물을 그라비아판의 선 수: 150~200 선/인치 조건으로 상기 제1 기재필름층의 상면에 그라비어 인쇄하여 3~5㎛ 두께로 제1 인쇄층을 형성하였다.
(3) 제1 접착인쇄층 형성: 염소 함량이 30 중량%인 염소화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 및 용제 8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접착인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1 기재필름층의 하면에 접착인쇄 조성물을 그라비아판의 선 수: 150~200 선/인치 조건으로 상기 제1 기재필름층의 상면에 그라비어 인쇄하여 3~5㎛ 두께의 제1 접착인쇄층을 형성하여, 상기 도 1과 같은 인몰드 사출용 라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도 2와 같이, 상기 제조된 제1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기재필름의 하면과 제1 접착인쇄층 사이에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그라비어 인쇄하여 두께 3~5㎛의 제3 인쇄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몰드 사출용 라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비스페놀 A 에폭시 수지 및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를 이용하여, 산가 8mg KOH/g 및 수산기가 100mg KOH/g인 아크릴 변성 에폭시 수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의 우레탄계 수지 100 중량부와, 상기 제조된 아크릴 변성 에폭시 수지 50 중량부, 안료 60 중량부 및 용제 15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제조된 제1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그라비어 인쇄하여 두께 3~5㎛의 제1 인쇄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몰드 사출용 라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1) 제1 기재필름층 준비: 두께: 40㎛이며, 길이 방향으로 3배 연신된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사용하였다.
(2) 제1 인쇄층 및 제2 인쇄층 형성: 폴리올 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반응하여 우레탄계 수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3의 우레탄계 수지 100 중량부, 아크릴 변성 에폭시 수지 50 중량부, 안료 60 중량부 및 용제 15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상기 제1 조성물을 그라비아판의 선 수: 150~200 선/인치 조건으로 상기 제1 기재필름층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그라비어 인쇄하여 3~5㎛ 두께를 갖는 제1 인쇄층 및 제2 인쇄층을 형성하였다.
(3) 접착필름층 준비: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하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된 무광층(폴리프로필렌 및 퍼옥사이드를 포함하는 무광택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여 형성) 및 상기 기재층의 타면에 형성되는 접착수지층(용융점이 130℃ 이하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30 중량부 및 첨가제(올레아미드) 0.1~2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접착수지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여 형성)을 포함하는 필름을 이용하여, 무광택의 연신된(길이 및 폭 방향 2~4배 연신) 접착성 폴리프로필렌 필름(두께: 30㎛)을 준비하였다.
(4) 배리어층 합지 및 경화: 두께 15㎛의 배리어필름(알루미늄이 증착된 PET 필름)을 준비하였다. 또한 폴리올 화합물을 포함하는 주제와,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제를 포함하는 제2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제2 인쇄층의 하면과, 상기 접착필름층의 상면 사이에 배리어필름층을 배치한 다음, 상기 배리어필름층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제2 조성물을 도포하고, 합지한 다음, 50℃에서 24 시간 동안 경화하여 상기 제2 인쇄층의 하면에 접하는 제1 프라이머층과, 상기 접착필름층에 형성된 무광층의 상면에 접하는 제2 프라이머층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도 3과 같은 인몰드 사출용 라벨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Ethlene-vinylacetate) 수지를 이용하여 제1 접착인쇄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몰드 사출용 라벨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의 인몰드 사출용 라벨을, 가로 100mm x 세로 100mm의 크기로 제조하였다. 그 다음에, 사출용 몰드의 고정틀과 이동틀 사이에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의 라벨을 장착한 상태에서 용융 수지(폴리에틸렌 수지)를 사출하여 용기 형태의 사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에 대하여, 하기와 같이 외관과 물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접착강도 평가(g/15mm)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의 사출물을 23 ℃, 상대습도 50RH%의 환경 하에서 1 주일 동안 보관한 후, 15mm 폭으로 절단하여 라벨과 용기 사이의 접착 강도를,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300mm/분의 인장 속도로 T자 박리함으로써 측정하였다.
(2) 외관 평가
실시예 1~4 및 비교예 1 사출물의 외관을 관찰하여 라벨의 주름, 떨어짐, 라벨이 부착된 주변의 기포(블리스터) 발생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하기 4가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매우 양호 ○: 양호 △: 보통 X: 불량)
Figure 112018056678364-pat00001
상기 표 1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4는 비교예 1보다 라벨과 사출물 사이의 접착성과 외관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00: 제1 기재필름층 110: 제1 인쇄층
111: 제3 인쇄층 112: 제2 인쇄층
120: 제1 접착인쇄층 200: 배리어층
210: 제1 프라이머층 220: 배리어필름층
230: 제1 프라이머층 300: 접착필름층
1000, 2000, 3000: 인몰드 사출용 라벨

Claims (5)

  1. 제1 기재필름층;
    상기 제1 기재필름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 인쇄층;
    상기 제1 기재필름층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2 인쇄층;
    상기 제2 인쇄층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리어층; 및
    상기 배리어층 하부에 형성되는 접착필름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인쇄층 및 제2 인쇄층은, 각각 우레탄계 수지 및 안료를 포함하는 제1 조성물을 그라비어 인쇄하여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제1 기재필름층은 연신된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배리어층은, 상기 제2 인쇄층의 하면에 접하는 제1 프라이머층, 상기 제1 프라이머층 하면에 형성되는 배리어필름층 및 상기 배리어필름층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접착필름층의 상면에 접하는 제2 프라이머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필름층은 접착성 폴리올레핀계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사출용 라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필름층은 두께가 7~20㎛이며, 알루미늄(A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사출용 라벨.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66549A 2018-06-11 2018-06-11 인몰드 사출용 라벨 KR101930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549A KR101930761B1 (ko) 2018-06-11 2018-06-11 인몰드 사출용 라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549A KR101930761B1 (ko) 2018-06-11 2018-06-11 인몰드 사출용 라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0761B1 true KR101930761B1 (ko) 2018-12-19

Family

ID=65009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6549A KR101930761B1 (ko) 2018-06-11 2018-06-11 인몰드 사출용 라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07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406B1 (ko) * 2019-03-05 2019-09-06 주식회사 유한팩 사출용 인몰드 다층 필름 라벨
KR102233756B1 (ko) 2020-06-29 2021-03-31 율촌화학 주식회사 산소 배리어층을 포함하는 인몰드 라벨,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CN113511415A (zh) * 2020-04-10 2021-10-19 東遠Systems株式會社 环保容器标签及环保容器的制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6796A (ja) * 2000-07-27 2002-02-06 Nissha Printing Co Ltd 成形同時加飾シートとこれを用いた成形同時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6796A (ja) * 2000-07-27 2002-02-06 Nissha Printing Co Ltd 成形同時加飾シートとこれを用いた成形同時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406B1 (ko) * 2019-03-05 2019-09-06 주식회사 유한팩 사출용 인몰드 다층 필름 라벨
CN113511415A (zh) * 2020-04-10 2021-10-19 東遠Systems株式會社 环保容器标签及环保容器的制造方法
KR102233756B1 (ko) 2020-06-29 2021-03-31 율촌화학 주식회사 산소 배리어층을 포함하는 인몰드 라벨,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0761B1 (ko) 인몰드 사출용 라벨
AU2003247735B2 (en) Oriented films comprising polypropylene / olefin elastomer blends
JP6917689B2 (ja) 加飾用シートおよび加飾用積層シート
EP1839849B1 (en) Heat-shrinkable layered film, molded article comprising the film, and heat-shrinkable label and container
US20150321452A1 (en) Decorative laminated sheet, structure including the decorative laminated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143550B2 (ja) 接着シート
CN102134456A (zh) 表面保护片及其利用
CN101909887A (zh) 表面保护薄膜
TW201520286A (zh) 接著性組成物及使用其之熱融接性複合構件
JP6506556B2 (ja) 自己粘着性表面保護フィルム
TW201538322A (zh) 加熱步驟用表面保護膜
CN104145298B (zh) 金属化膜、压敏标签结构及制备它们的方法
CN100419964C (zh) 切片用粘着片、切片方法和半导体元件的制造方法
CN102470652A (zh) 表面保护膜
JP2020073317A (ja) 静電吸着積層シート及び表示物
WO2024062693A1 (ja) 立体造形装置用樹脂組成物、立体造形装置用フィラメント、造形物、及び立体造形装置用ペレット
EP4013910B1 (en) Core-sheath filament with a silicone-containing block copolymer core
US20220410439A1 (en) Transfer film for transferring coating materials to components
CN110178203A (zh) 切割膜基材及切割膜
CN103228713A (zh) 聚乳酸系薄膜或片
KR101924552B1 (ko) 분리가 용이한 열수축 필름
CN103254811A (zh) 粘合带
JP2018039915A (ja) 加飾用シートおよび加飾用積層シート
JP5277951B2 (ja) ラミネート用樹脂組成物およびラミネートフィルム
JP5502231B1 (ja) インキ組成物及び転写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