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559B1 - 낚싯대 보유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낚싯대 보유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559B1
KR101930559B1 KR1020130024317A KR20130024317A KR101930559B1 KR 101930559 B1 KR101930559 B1 KR 101930559B1 KR 1020130024317 A KR1020130024317 A KR 1020130024317A KR 20130024317 A KR20130024317 A KR 20130024317A KR 101930559 B1 KR101930559 B1 KR 101930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haft
holding
contact surface
fishing rod
movab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0019A (ko
Inventor
겐이치 마츠이
마사토시 가타야마
Original Assignee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10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0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9/00Work holders
    • Y10S269/907Work holder for fishing fl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1/00Tools
    • Y10S81/01Tool-support adjun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사용 편의성이 좋은 낚싯대 보유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싯대 보유 지지 장치(100)는, 낚싯대(R)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220)를 구비하고, 제1 접촉면(232)을 갖는 기체(200)와, 기체(200)에 장착되고, 제1 접촉면(232)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외면에 나선 형상의 제1 나사부(301)가 형성된 둥근 막대 형상의 안내축(300)과, 형성된 관통 구멍(402, 517a, 517b)에 안내축(300)을 통과시켜, 제1 접촉면(232)에 대향하는 제2 접촉면(404)을 갖는 가동체(400, 500)이며, 안내축(300)의 제1 나사부(301)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 결합 위치와, 제1 나사부(301)로부터 이격된 해제 위치와의 사이를 변위하는 제2 나사부(528)를 구비하는 가동체(400, 50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낚싯대 보유 지지 장치{FISHING ROD HOLDING APPARATUS}
본 발명은, 낚싯대를 보유 지지하는 낚싯대 보유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낚싯대를 보유 지지하는 낚싯대 보유 지지 장치로서는,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0-136855호 공보(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문헌에 기재된 낚싯대 보유 지지 장치는, ㄷ자 형상의 기체(基體)와, 기체의 하변부에 장착된 걸림 부재와, 걸림 부재에 나사 결합되고, 기체의 상변부를 향해 연장되는 나사 레버와, 나사 레버의 상단부에 장착된 클램프 부품과, 나사 레버의 하단부에 장착된 조작 레버를 포함하는 것이다. 나사 레버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는 걸림 부재에 형성된 나사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 레버를 사용하여 나사 레버를 회전시킴으로써, 나사 레버의 상단부에 있는 클램프 부품을 연직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뱃전 등의 피고정물을 기체의 상변부와 하변부 사이에 끼워 넣어, 조작 레버를 조작하여 클램프 부품을 피고정물에 압착시킴으로써, 피고정물에 낚싯대 보유 지지 장치를 고정할 수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0-136855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낚싯대 보유 지지 장치는, 피고정물을 기체의 상변부와 하변부 사이에 끼워 넣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으므로, 상변부와 하변부 사이의 거리보다도 큰 두께를 갖는 피고정물에는 장착되지 않는다. 나아가서는, 나사 레버의 클램프 부품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조작 레버를 조작할 필요가 있는 바, 특히 좁은 장소나 어두운 장소에서는, 조작 레버의 조작이 용이하지 않다. 이와 같이, 상기 특허문헌에 기재된 낚싯대 보유 지지 장치는, 사용 편의성이 좋은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해, 사용 편의성이 좋은 낚싯대 보유 지지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싯대 보유 지지 장치는, 낚싯대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를 구비하고, 제1 접촉면을 갖는 기체와, 상기 기체에 장착되고, 상기 제1 접촉면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외면에 나선 형상의 제1 나사부가 형성된 둥근 막대 형상의 안내축과, 형성된 관통 구멍에 상기 안내축을 통과시켜, 상기 제1 접촉면에 대향하는 제2 접촉면을 갖는 가동체이며, 상기 안내축의 상기 제1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 결합 위치와, 상기 제1 나사부로부터 이격된 해제 위치와의 사이를 변위하는 제2 나사부를 구비하는 가동체를 구비한다.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물품 보유 지지 장치는, 물품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를 구비하고, 제1 접촉면을 갖는 기체와, 상기 기체에 장착되고, 상기 제1 접촉면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외면에 나선 형상의 제1 나사부가 형성된 둥근 막대 형상의 안내축과, 형성된 관통 구멍에 상기 안내축을 통과시켜, 상기 제1 접촉면에 대향하는 제2 접촉면을 갖는 가동체이며, 상기 안내축의 상기 제1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 결합 위치와, 상기 제1 나사부로부터 이격된 해제 위치와의 사이를 변위하는 제2 나사부를 구비하는 가동체를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해, 사용 편의성이 좋은 낚싯대 보유 지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싯대 보유 지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낚싯대 보유 지지 장치를 방향 V로부터 보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낚싯대 보유 지지 장치에 사용되는 제2 가동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제2 가동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저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낚싯대 보유 지지 장치의 구성(수납 상태)을 도시하는 측면도.
이하, 여러 실시 형태를 적절하게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의 공통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각 도면은, 편의상, 반드시 동일한 축척에 의해 나타내어져 있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싯대 보유 지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낚싯대 보유 지지 장치를 방향 V로부터 보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싯대 보유 지지 장치(100)는, 기부(200)와, 기부(200)에 장착된 안내축(300)과, 안내축(300)에 장착되고 안내축(3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제1 가동체(400) 및 제2 가동체(500)를 포함한다. 또한, 도 2에 있어서는, 편의상, 가동체(500)의 표현이 생략되어 있다.
[기부(200)의 구성]
기부(200)는, 본체(210)와, 낚싯대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유닛(220)을 포함한다.
본체(210)는, 예를 들어 대략 T자 형상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다. 즉, 본체(210)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부재(230)와, 수평 부재(230)에 연속적으로 이어져,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직 부재(240)를 포함한다.
수평 부재(230)의 하면(232)은, 뱃전 등의 피고정물에 접촉하는 접촉면(232)(제1 접촉면)으로 된다. 접촉면(232)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해 고무나 수지 등이 부여되어도 된다. 수평 부재(230)의 일단부에는, 이 수평 부재(230)의 내부에 설치되고, 이 수평 부재(230)의 상면(234)으로부터 돌출된 고정축(236)이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고정축(236)을 사용하여, 보유 지지 유닛(220)이 본체(210)에 장착된다. 이 고정축(236)은, 축(237)을 중심축으로 하여, 도 1에 도시한 위치와 이 위치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위치와의 사이에 있어서 변위 가능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연직 부재(24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연결 부재(242)와, 이 연결 부재(242)의 양 측면을 끼워 넣도록 이 연결 부재(242)에 장착된 상부 부재(244)를 포함한다. 연결 부재(242)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안내축(300)이 고정되어 있다. 상부 부재(244)는, 연결 부재(242)를 관통하는 축(246)에 접속됨으로써, 연결 부재(24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보유 지지 유닛(220)은, 본체(210)의 수평 부재(230)의 상면(234)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다. 보유 지지 유닛(220)의 중앙 부분에는, 이 보유 지지 유닛(220)을 관통하는 결합 구멍(22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 구멍(222)에 수평 부재(230)의 고정축(236)을 통과시켜, 고정축(236)의 상단부에 캡(238)을 체결함으로써, 보유 지지 유닛(220)은 본체(210)에 고정된다.
보유 지지 유닛(220)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는, 각각 클램프 부재(250) 및 낚싯대 받침 부재(260)가 장착되어 있다. 클램프 부재(250)는, 원기둥 형상의 수용 영역(252a)을 갖는 수용 부재(252)와, 이 수용 부재(252)에 수용되는 착탈 유닛(253)을 포함한다. 착탈 유닛(253)은, 대략 원통 형상의 형상을 갖는 하부 부재(254)와, 이 하부 부재(254)에 결합된 지지 부재(256)와, 이 지지 부재(256)에 지지된 링 형상의 베어링(258)을 포함한다. 베어링(258)에 낚싯대(R)를 통과시킴으로써, 낚싯대(R)에 착탈 유닛(253)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하부 부재(254)의 외면에는, 그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잘록부(254a)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 부재(254)는, 수용 부재(252)의 수용 영역(252a)에 수용된다. 수용 부재(252)에 설치된 레버(252b)의 볼록부(252c)가 하부 부재(254)의 잘록부(254a)에 결합됨으로써, 착탈 유닛(253)은, 하부 부재(254)가 수용 영역(252a)에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도, 축 A1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레버(252b)를 조작하여 볼록부(252c)와 하부 부재(254)의 잘록부(254a)의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착탈 유닛(253)은 수용 부재(252)로부터 제거된다.
낚싯대 받침 부재(260)는, 이 낚싯대 받침 부재(260)에 형성된 관통 구멍(262)에, 보유 지지 유닛(220)의 타단부에 형성된 축(264)을 통과시킴으로써, 이 축(264)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 유닛(220)에 장착된다. 낚싯대 받침 부재(260)의 상단부(266)에는, 대략 U자 형상으로 연장되는 오목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에 낚싯대(R)가 수용된다.
또한, 보유 지지 유닛(22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낚싯대(R)를 안내축(300)의 연장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보유 지지하는 상태(제1 상태) 및 낚싯대(R)를 안내축(300)의 연장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보유 지지하는 상태(제2 상태)의 양쪽의 상태를 취할 수 있다. 보유 지지 유닛(220)을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이행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조작자는, 캡(238)을 느슨하게 한 후, 고정축(236)이 축(237)을 중심축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도록, 보유 지지 유닛(220)을 이동시킨다. 이것에 맞추어, 조작자는, 보유 지지 유닛(220)을 고정축(236)을 중심축으로 하여 180도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낚싯대 받침 부재(260)가 클램프 부재(250)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보유 지지 유닛의 저면이 연직 부재(240)의 측면 상에 적재된다. 마지막으로, 조작자에 의해, 캡(238)이 체결됨으로써 보유 지지 유닛(220)이 연직 부재(240)에 고정된다.
또한, 보유 지지 유닛(220)으로서는, 상술한 구성을 갖는 유닛 외에, 임의의 구성을 갖는 유닛을 사용할 수 있다.
[안내축(300)의 구성]
안내축(300)은, 둥근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안내축(300)은, 그 상단부가 본체(210)의 연결 부재(242)의 내부에 매립되어 고정됨으로써, 연결 부재(242)에 장착된다. 안내축(300)은, 본체(210)의 접촉면(232)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안내축(300)의 외면에는, 나선 형상의 수나사(제1 나사부)(301)가 안내축(3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안내축(300)의 하단부에는, 이 하단부를 덮는 캡(302)이 장착되어 있다.
[제1 가동체(400)의 구성]
도 1 및 도 2에는, 제1 가동체(400)의 측면 및 배면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제1 가동체(400)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해 감소하는 두께를 갖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1 가동체(400)의 일단부에는, 관통 구멍(40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402)의 직경은, 안내축(300)의 외경보다 약간 큰 것으로 되어 있다. 제1 가동체(400)는, 이와 같이 형성된 관통 구멍(402)에 안내축(300)을 통과시키도록 하여, 안내축(300)에 대해 미끄럼 이동 가능해지도록 장착되어 있다. 제1 가동체(400)의 상면 중 타단부측에 있는 면(404)이, 뱃전 등의 피고정물에 접촉하는 접촉면(404)(제2 접촉면)으로 된다. 접촉면(404)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해 고무나 수지 등이 부여되어도 된다. 이 접촉면(404)은, 본체(210)의 접촉면(232)과 대향하고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 가동체(400)의 형상은, 단순한 일례에 불과한 것이며, 제1 가동체(400)는, 안내축(300)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기 위한 관통 구멍(402) 및 피고정물에 접촉하기 위한 접촉면(404)을 갖는 한에 있어서 임의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제2 가동체(500)의 구성]
제2 가동체(500)의 구체적인 구성예에 대해, 도 1에 더하여 도 3 및 도 4를 더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낚싯대 보유 지지 장치에 사용되는 제2 가동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제2 가동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가동체(500)는, 중공 형상의 프레임(510)과, 이 프레임(510)에 장착된 제1 조작부(520) 및 제2 조작부(530)를 포함한다.
프레임(510)은, 예를 들어 6각 형상의 2매의 판 부재(512, 514)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시킨, 상자형의 형상을 갖는다. 프레임(510)의 양 측면에는, 각각 제1 조작부(520) 및 제2 조작부(530)의 일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516)가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51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원형 형상의 구멍(517a, 517b)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510)의 내부에는, 프레임(510)의 상면에 형성된 구멍(517a)에 연통되는 환 형상의 베어링 부재(518a) 및 프레임(510)의 하면에 형성된 구멍(517b)에 연통되는 환 형상의 베어링 부재(518b)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베어링 부재(518a, 518b)의 내경은, 안내축(300)의 외경보다도 약간 큰 것으로 되어 있다. 제2 가동체(500)는, 베어링 부재(518a, 518b) 중에 안내축(300)을 통과시키도록 하여, 안내축(300)에 대해 미끄럼 이동 가능해지도록 장착된다.
제1 조작부(520)는, 중공 형상의 상자형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조작부(520)의 상면에는, 후술하는 스프링(540)의 일단부를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521)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조작부(520)는, 그 측벽(522)의 일부가 프레임(510)의 개구(516)로부터 노출되도록 프레임(5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제1 조작부(520)에는 관통 구멍(52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524) 중에, 프레임(510)의 2매의 판 부재(512, 514) 사이에 배치된 축(513)을 통과시킴으로써, 제1 조작부(520)는 축(513)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조작부(520)의 저면에는, 안내축(300)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301)에 결합되는 암나사(제2 나사부)(528)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528)는, 나사(301)의 형상을 따르도록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528)는, 연직 방향(도 3중의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조작부(520)의 측벽(522)[의 내벽(522a)]과, 프레임(510) 내에 배치된 베어링 부재(518)의 외면 사이에는, 축(513)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대략 일본어 へ자 형상으로 형성된 스프링(540)이 배치되어 있다. 스프링(540)의 일부가 제1 조작부(520)의 내부에 수용되고, 스프링(540)의 나머지 부분이 제1 조작부(520)의 개구(521)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스프링(540)은, 제1 조작부(520)를 반시계 방향(도 3 중)으로 회전하도록 가압한다. 이에 의해, 통상의 상태에서는, 제1 조작부(520)의 나사(528)는, 안내축(300)의 나사(301)에 나사 결합되는 위치(나사 결합 위치)에 있다. 조작자가 제1 조작부(520)의 측벽(522)을 압박하여 제1 조작부(520)를 시계 방향(도 3 중)으로 회전시키면, 제1 조작부(520)의 나사(528)는, 안내축(300)의 나사(301)로부터 이격된 위치(해제 위치)에 위치하지만, 조작자가 측벽(522)에 대한 압박을 멈추면, 제1 조작부(520)의 나사(528)는 나사 결합 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나사(528)가 나사 결합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조작자가 제1 조작부(520)의 측벽(522)을 압박하여 제1 조작부(520)를 시계 방향(도 3 중)으로 회전시키려고 할 때에는, 나사(528)는,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방으로 이동해야 한다. 나사(528)는 안내축(300)의 나사(301)에 나사 결합되어 있으므로, 나사(528)가 하방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제2 가동체(500) 전체가 안내축(300)에 대해 상방으로 이동해야 한다. 따라서, 조작자가 제1 조작부(520)의 측벽(522)을 압박하면, 제2 가동체(500) 전체가 약간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나사(528)는 나사 결합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 점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내축(300)의 축 중심 A2로부터 축(513)까지의 거리를 「A」로 하고, 축 중심 A2로부터 나사(528)까지의 거리를 「B」로 한다. 도 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A>B라고 하는 관계가 성립되어 있으므로, 제1 조작부(520)가 축(513)을 중심축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나사(528)와 안내축(300)의 나사(301)의 끼워 맞춤이 빠지기 위해서는, 제2 가동체(500) 전체가 상방으로 이동해야 한다. 따라서, 나사(528)가 나사 결합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제2 가동체(500) 전체가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가동체(500)와 제1 가동체(400)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있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제2 가동체(500)가 제1 가동체(400)를 압박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제2 가동체(500)가 상방으로 이동할 수 없으므로, 조작자가 제1 조작부(520)의 측벽(522)을 압박해도, 제1 조작부(520)는 회전할 수 없고, 따라서 나사(528)는 나사 결합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할 수는 없다.
제2 조작부(530)는, 프레임(510)을 관통하는 안내축(300)을 중심으로 하여 제1 조작부(520)와 좌우 대칭인 형상을 갖는다. 제2 조작부(530)도 또한, 제2 조작부(530)에 형성된 관통 구멍(534) 중에, 프레임(510)의 2매의 판 부재(512, 514) 사이에 배치된 축(513)을 통과시킴으로써, 축(513)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해진다. 제2 조작부(530)와 프레임(510) 내의 베어링 부재(518) 사이에도, 마찬가지로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이 배치된다. 또한, 도 4에 있어서는, 제2 조작부(530)의 표현이 생략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조작부(520) 및 제2 조작부(530)의 양쪽이 사용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이들 중 한쪽만을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낚싯대 보유 지지 장치(100)의 동작]
우선, 도 1에 도시한 상태에 있는 낚싯대 보유 지지 장치(100)는, 기부(200)의 접촉면(232)과 제1 가동체(400)의 접촉면(404) 사이에 피고정물을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피고정물에 접촉면(232)을 접촉시킨 상태에 있어서, 제1 가동체(400)가 기부(20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안내축(300)을 따라 미끄럼 이동되어, 제1 가동체(400)의 접촉면(404)이 피고정물에 접촉한다.
다음에, 조작자에 의해, 제2 가동체(500)의 제1 조작부(520) 및 제2 조작부(530)가 압박됨으로써, 제1 조작부(520)의 나사(528) 및 제2 조작부(530)의 나사(도시하지 않음)가 나사 결합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행된다. 이에 의해, 제2 가동체(500)는 안내축(300)을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 상태를 유지한 채, 조작자에 의해, 제2 가동체(500)가 제1 가동체(400), 즉, 기부(20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안내축(300)을 따라 미끄럼 이동된다. 제2 가동체(500)가 제1 가동체(400)에 접촉하였을 때에, 조작자에 의해 제1 조작부(520) 및 제2 조작부(530)에 대한 압박이 해제된다. 이에 의해, 제1 조작부(520)의 나사(528) 및 제2 조작부(530)의 나사(도시하지 않음)가 해제 위치로부터 나사 결합 위치로 이행된다. 이에 의해, 제2 가동체(500)는, 안내축(300)을 따라 미끄럼 이동 불가능한 상태로 된다.
다음에, 조작자에 의해, 제2 가동체(500)는, 안내축(300)을 중심축으로 하여 정회전되면, 제2 가동체(500)의 나사(528)와 안내축(300)의 나사(301)가 결합되어 있음으로써, 제2 가동체(500)는, 제1 가동체(400)에 더욱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계속해서, 제2 가동체(500)가, 안내축(300)을 중심축으로 하여 정회전됨으로써, 제1 가동체(400)를 피고정물을 향해 압박하게 된다. 이에 의해, 피고정물에 낚싯대 보유 지지 장치(100)가 강고하게 고정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가동체(500)가 제1 가동체(400)에 밀착되어 있음으로써 상방으로 이동할 수 없으므로, 조작자가 제2 가동체(500)의 제1 조작부(520)의 측벽(522)을 압박하려고 해도, 제1 조작부(520)는 축(513)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없다[마찬가지로, 제2 조작부(530)도 축(513)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없다]. 따라서, 예를 들어 조작자 등이 실수로 제1 조작부(520) 또는 제2 조작부(530)에 접촉해 버렸다고 해도, 나사(528)는 여전히 나사 결합 위치에 계속 위치하게 되므로, 낚싯대 보유 지지 장치(100)가 피고정물에 강고하게 고정된 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된다.
다음에, 낚싯대 보유 지지 장치(100)를 피고정물로부터 제거할 때에는, 조작자에 의해, 우선, 제2 가동체(500)가 안내축(300)을 중심축으로 하여 역회전되어, 제2 가동체(500)가 제1 가동체(400)로부터 어느 정도의 거리만큼 이격된다. 이 후, 조작자에 의해, 제2 가동체(500)의 제1 조작부(520) 및 제2 조작부(530)가 압박됨으로써, 제1 조작부(520)의 나사(528) 및 제2 조작부(530)의 나사(도시하지 않음)가 나사 결합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행된다. 이 상태 그대로, 조작자에 의해, 제2 가동체(500)가 안내축(300)을 따라 기부(20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된다. 조작자에 의해, 적당한 거리만큼 제2 가동체(500)가 미끄럼 이동되면, 제1 조작부(520) 및 제2 조작부(530)에 대한 압박이 해제된다. 이에 의해, 제1 조작부(520)의 나사(528) 및 제2 조작부(530)의 나사(도시하지 않음)가 해제 위치로부터 나사 결합 위치로 이행된다. 다음에, 조작자에 의해, 제1 가동체(400)가 기부(20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된다. 이에 의해, 낚싯대 보유 지지 장치(100)는, 피고정물로부터 제거된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대 보유 지지 장치(100)는, 사용을 종료하였을 때에는, 기부(200)의 상부 부재(244)를, 축(246)을 중심축으로 하여 연결 부재(242)에 대해, 예를 들어 약 90도 회전시킴으로써, 장치 전체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에 의해, 낚싯대 보유 지지 장치(100)는 좁은 장소에도 수납하기 쉬워진다.
이와 같이, 제1 가동체(400) 및 제2 가동체(500)는, 안내축(300)의 대략 전체에 걸쳐 미끄럼 이동할 수 있으므로, 종래 기술에 관한 낚싯대 보유 지지 장치에 의해서는 장착되지 않는 큰 두께를 갖는 피고정물에도,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싯대 보유 지지 장치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제1 가동체(400)는, 안내축(300)을 따라 간단하게 미끄럼 이동 가능한 것이며, 또한 제2 가동체(500)는, 예를 들어 긴 거리를 이동할 때에는, 나사(528)를 해제 위치로 이행시켜, 안내축(300)을 따라 간단히 미끄럼 이동 가능해지는 한편, 짧은 거리를 이동할 때에는, 나사(528)를 나사 결합 위치로 이행시켜, 안내축(300)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안내축(3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제1 가동체(400) 및 제2 가동체(500)는 모두, 간단한 조작에 의해 안내축(300)을 따라 미끄럼 이동 또는 이동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에 의해, 조작자는, 이들 가동체를 눈으로 보지 않고도 간단히 조작할 수 있으므로, 특히 좁은 장소나 어두운 장소에 있어서도,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싯대 보유 지지 장치를 원하는 피고정물에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사용 편의성이 좋은 낚싯대 보유 지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가동체(400)와 제2 가동체(500)가 각각 별도의 부재로서 설치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들 가동체를 1개의 가동체로서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이 가동체에 설치된 나사가 나사 결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이 가동체 전체를 안내축(300)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시키면, 안내축(300)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2 가동체(500)에 관하여, 제1 조작부(520)에 형성된 나사(528)는, 베어링 부재(518a, 518b) 사이에 있어서, 안내축(300)의 나사(301)에 결합되는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베어링 부재(518a, 518b) 대신에, 프레임(510)을 관통하는 1개의 연속된 베어링 부재를 사용하여, 이 베어링 부재의 중간부에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안내축(300)을 노출시키는 개구를 통과시켜, 제1 조작부(520)의 나사(528)가 안내축(300)의 나사(301)에 나사 결합된다고 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2 가동체(500)에 관하여, 나사(528)가 스프링(540)에 의해 해제 위치로부터 나사 결합 위치로 복귀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은 필수 요건은 아니며, 나사(528)를 해제 위치와 나사 결합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시키는 것이 가능한 임의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물품의 일례로서 낚싯대를 보유 지지하는 낚싯대 보유 지지 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은, 낚싯대 이외의 임의의 물품을 보유 지지하는 물품 보유 지지 장치에도 적용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낚싯대(R)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유닛(220) 대신에 임의의 물품(선풍기, 조명 기기, 음향 기기, 냉난방 기기, 통신 기기나 계산 기기 등)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유닛을 본체(210)에 장착함으로써 형성되는 물품 보유 지지 유닛에 대해서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명백하다.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의 「정회전」이라 함은, 시계 방향의 회전 및 반시계 방향의 회전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하는 것이어도 된다.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의 「역회전」이라 함은, 「정회전」과는 역방향의 회전을 의미하는 것이다.
R : 낚싯대
100 : 낚싯대 보유 지지 장치
200 : 기부
210 : 본체
220 : 보유 지지 유닛
230 : 수평 부재
232 : 접촉면(제1 접촉면)
240 : 연직 부재
300 : 안내축
301 : 나사(제1 나사부)
400 : 제1 가동체
404 : 접촉면(제2 접촉면)
500 : 제2 가동체
520 : 제1 조작부
528 : 나사(제2 나사부)
530 : 제2 조작부

Claims (6)

  1. 낚싯대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를 구비하고, 제1 접촉면을 갖는 기체와,
    상기 기체에 장착되고, 상기 제1 접촉면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외면에 나선 형상의 제1 나사부가 형성된 둥근 막대 형상의 안내축과,
    형성된 관통 구멍에 상기 안내축을 통과시켜, 상기 제1 접촉면에 대향하는 제2 접촉면을 갖는 가동체이며, 상기 안내축의 상기 제1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 결합 위치와, 상기 제1 나사부로부터 이격된 해제 위치와의 사이를 변위하는 제2 나사부를 구비하는 가동체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체는 평상시에는 나사 결합 위치에 있고,
    상기 가동체는 상기 나사 결합 위치에서 상기 해제 위치로 변위 될 때 소정 폭 상승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낚싯대 보유 지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나사부가 상기 나사 결합 위치에 있는 상기 가동체는, 상기 안내축을 중심축으로 하여 정회전함으로써 상기 기체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안내축을 중심축으로 하여 역회전함으로써 상기 기체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낚싯대 보유 지지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나사부가 상기 해제 위치에 있는 상기 가동체는, 상기 안내축을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낚싯대 보유 지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는, 상기 안내축을 통과시키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접촉면을 갖는 제1 가동체와, 상기 제1 가동체와는 별개의 부재로서 형성되고, 상기 안내축을 통과시키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나사부를 구비하는 제2 가동체를 포함하는, 낚싯대 보유 지지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나사부는, 상기 나사 결합 위치에 위치하도록 가압되어 있는, 낚싯대 보유 지지 장치.
  6. 물품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를 구비하고, 제1 접촉면을 갖는 기체와,
    상기 기체에 장착되고, 상기 제1 접촉면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외면에 나선 형상의 제1 나사부가 형성된 둥근 막대 형상의 안내축과,
    형성된 관통 구멍에 상기 안내축을 통과시켜, 상기 제1 접촉면에 대향하는 제2 접촉면을 갖는 가동체이며, 상기 안내축의 상기 제1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 결합 위치와, 상기 제1 나사부로부터 이격된 해제 위치와의 사이를 변위하는 제2 나사부를 구비하는 가동체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체는 평상시에는 나사 결합 위치에 있고,
    상기 가동체는 상기 나사 결합 위치에서 상기 해제 위치로 변위 될 때 소정 폭 상승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물품 보유 지지 장치.
KR1020130024317A 2012-03-27 2013-03-07 낚싯대 보유 지지 장치 KR1019305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72486 2012-03-27
JP2012072486A JP5882807B2 (ja) 2012-03-27 2012-03-27 釣竿保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019A KR20130110019A (ko) 2013-10-08
KR101930559B1 true KR101930559B1 (ko) 2018-12-18

Family

ID=49358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317A KR101930559B1 (ko) 2012-03-27 2013-03-07 낚싯대 보유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882807B2 (ko)
KR (1) KR101930559B1 (ko)
CN (1) CN1033552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13542A4 (en) 2017-04-21 2020-05-06 Nagaki Seiki Co., Ltd. THIN TOOL SUPPORT DEVICE AND THIN TOOL SUPPORT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1443B2 (ja) * 1997-11-17 2003-12-22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竿保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47300U (ko) * 1972-07-27 1974-04-25
JPS5222297U (ko) * 1975-06-26 1977-02-17
JPS5444793U (ko) * 1977-09-02 1979-03-28
JPH053019Y2 (ko) * 1987-04-16 1993-01-25
JPS649574U (ko) * 1987-07-06 1989-01-19
JPH0260576U (ko) * 1988-10-25 1990-05-02
JP3400314B2 (ja) * 1996-09-13 2003-04-28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竿保持装置
JP3023477B2 (ja) * 1997-08-07 2000-03-21 株式会社スノーピーク 竿受装置
CN2311938Y (zh) * 1997-09-30 1999-03-31 刘敬芳 多功能手杆钓鱼架
JP2004073036A (ja) * 2002-08-12 2004-03-11 Masanori Narita 釣竿支持台
US6898893B1 (en) * 2004-09-09 2005-05-31 Lisa Mukdaprakorn Portable fishing pole holder
CN201286295Y (zh) * 2008-10-08 2009-08-12 李华良 折叠鱼杆支架装置
JP2010133447A (ja) * 2008-12-02 2010-06-17 Nichiei Intec Co Ltd 締着部位ナット仮止め保持自在の配管バンド
JP2011092127A (ja) * 2009-10-30 2011-05-12 Globeride Inc 釣竿支持装置
JP2012038844A (ja) * 2010-08-05 2012-02-23 Sumitomo Electric Ind Ltd 通信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1443B2 (ja) * 1997-11-17 2003-12-22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竿保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55275A (zh) 2013-10-23
JP5882807B2 (ja) 2016-03-09
CN103355275B (zh) 2015-07-01
KR20130110019A (ko) 2013-10-08
JP2013201932A (ja) 2013-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82079B1 (en) Spring loaded clamping mechanism
EP3462075B1 (en) A connecting device and a gimbal apparatus
US20200340615A1 (en) Quick release connection structures, support structures, and remote controllers
FR3029703B1 (fr) Dispositif de prise electrique comprenant au moins un element de verrouillage et deverrouillage
US20100252702A1 (en) Rapid attach and release clamps
JP2013097381A (ja) 外付けレンズの装着構造及び携帯式電子装置
JP6712148B2 (ja) フレキシブルロックユニット
JP2012024592A (ja) 浴槽用手摺り
US10072685B2 (en) Clip holding and release device
CN103119670A (zh) 用于可分离地将电流导体固定至电流互感器壳体的装置
KR101930559B1 (ko) 낚싯대 보유 지지 장치
SG189193A1 (en) Apparatus for detachable attachment of an electrical conductor to a current transformer housing
US7882755B2 (en) Sensor attachment device, a sensor and a light emitting device for a photo-electrical sensor
JP5992253B2 (ja) 長さ測定システムの取付け装置
KR10251991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130052885A1 (en) Adapter for a clamping device
US20150331227A1 (en) Adjusting device for an illumination component of a microscope, a microscope illumination device and a microscope
JP5939490B2 (ja) 浴槽用手摺り
JP2018140473A (ja) 止め輪ホルダー
JP6929131B2 (ja) 照明器具
KR101655755B1 (ko) 거치장치
EP3241710A1 (en) Load carrier foot
JP7334387B2 (ja) クランプ装置
US10908385B2 (en) Mechanism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ripod seat
JP6945352B2 (ja) 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