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485B1 - 안식각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안식각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485B1
KR101930485B1 KR1020170030958A KR20170030958A KR101930485B1 KR 101930485 B1 KR101930485 B1 KR 101930485B1 KR 1020170030958 A KR1020170030958 A KR 1020170030958A KR 20170030958 A KR20170030958 A KR 20170030958A KR 101930485 B1 KR101930485 B1 KR 101930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ing
fixture
angle
repose
stac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4355A (ko
Inventor
윤희정
이태건
정원진
강인규
Original Assignee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30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0485B1/ko
Publication of KR20180104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2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식각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고정구 삽입공이 형성되는 승강판; 상기 승강판의 고정구 삽입공에 장착되고 상부에 조립질 물질이 적층되는 수평 적층부가 형성되는 고정구; 상기 승강판의 하부에 장착되고, 유·공압장치의 작동 여부에 따라 유압 또는 공압의 공급시 팽창되며, 유압 또는 공압의 배출시 수축되는 작동튜브; 상기 승강판과 간격을 두고 고정장착되는 수직 기둥; 및 상기 수직 기둥에 승·하강 작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상기 고정구의 수평 적층부에 적층되는 조립질 물질의 적층 높이를 측정하는 측정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치와 관계없이 고정구의 수평 적층부에 적층되는 조립질 물질을 레이저 포인트와 눈금자가 구비된 측정기를 이용하여 조립질 물질의 안식각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작업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식각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Equipment for angle of repose and measuring method}
본 발명은 안식각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위치와 관계없이 조립질 물질의 안식각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안식각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래(sand)나 가루(powder), 쌀알(grain)등의 조립질 물질을 자유낙하 시키면 흐르는 성질을 보여주다 일정한 각도를 이루며 안정화가 된다. 이때, 이루어지는 각도를 안식각(angle of repose)이라고 한다.
이러한 안식각은 조립질 물질의 강도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성질이 된다.
그리고 조립질 물질의 안식각은 자연상태에서 이루어진 물질의 경사면과 수평면과 이루는 각을 말하며, 물질의 입경이나 구성성분, 거칠기, 둥근정도 등에 따라 그 값이 변화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조립질 물질의 안식각을 측정하는 안식각 측정장치는 구조가 복잡하고, 장소에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안식각 측정값이 오차가 커서 여러 번 측정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377857호(2014.03.18.)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0419058호(2004.02.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위치와 관계없이 고정구의 수평 적층부에 적층되는 조립질 물질을 레이저 포인트와 눈금자가 구비된 측정기를 이용하여 조립질 물질의 안식각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안식각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안식각 측정장치는 내부에 고정구 삽입공이 형성되는 승강판; 상기 승강판의 고정구 삽입공에 장착되고 상부에 조립질 물질이 적층되는 수평 적층부가 형성되는 고정구; 상기 승강판의 하부에 장착되고, 유·공압장치의 작동 여부에 따라 유압 또는 공압의 공급시 팽창되며, 유압 또는 공압의 배출시 수축되는 작동튜브; 상기 승강판과 간격을 두고 고정장착되는 수직 기둥; 및 상기 수직 기둥에 승·하강 작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상기 고정구의 수평 적층부에 적층되는 조립질 물질의 적층 높이를 측정하는 측정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승강판을 구성하는 고정구 삽입공의 상·하부에 중공형상의 승강커버가 장착되고 내부에는 다수개의 롤러 또는 구 형상의 볼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구를 구성하는 수평 적층부의 가장자리 끝단 둘레를 따라 적층 돌기부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직 기둥의 외면에는 측정기를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작동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 홈이나 가이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정기는, 측정 케이스; 상기 측정 케이스에 장착되고 레이저 스위치의 작동 여부에 따라 조립질 물질을 측정하는 레이저 포인트; 상기 측정 케이스에 장착되고 레이저 포인트를 통해 측정된 측정값을 표시하는 눈금자; 상기 측정 케이스를 수직 기둥에 고정하는 케이스 고정구; 및 상기 측정 케이스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수직 기둥에 장착되는 고정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고정구는 위치 고정나사 또는 전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안식각 측정방법은 안식각 측정장치를 지면에 설치하는 안식각 측정장치의 설치단계; 상기 작동튜브에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하여 승강판의 상부까지 상승시킨 후 상기 승강판과 고정구의 상부에 조립질 물질을 적층하는 조립질 물질 적층단계; 상기 작동튜브에 공급된 유압 또는 공압을 제거하여 승강판을 하강작동시키고 상기 고정구의 수평 적층부에만 조립질 물질이 적층되도록 하는 조립질 물질 수정단계; 수직 기둥에 장착되는 측정기의 위치를 조절하여 수평 적층부에 적층된 조립질 물질의 높이를 측정하여 조립질 물질의 안식각을 측정하는 조립질 물질 측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조립질 물질 측정단계는 상기 고정구의 수평 적층부에 기준점(O)을 설정하는 기준점 설정과정; 상기 수평 적층부에 적층된 조립질 물질의 끝단을 측정하여 기준점(O)과 끝단의 사이의 높이(h)를 측정하는 높이 측정과정; 및 상기 기준점 설정과정과 높이 측정과정을 통해 얻어진 값을
Figure 112018082887871-pat00016
에 대입하여, 안식각을 계산하는 안식각 계산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치와 관계없이 고정구의 수평 적층부에 적층되는 조립질 물질을 레이저 포인트와 눈금자가 구비된 측정기를 이용하여 조립질 물질의 안식각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작업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식각 측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식각 측정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a) 및 3(b)은 본 발명에 따른 안식각 측정장치를 구성하는 승강판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식각 측정장치를 구성하는 고정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식각 측정장치를 수직 기둥과 측정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식각 측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식각 측정방법을 나타낸 순차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안식각 측정방법을 구성하는 조립질 물질 측정단계를 나타낸 순차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식각 측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식각 측정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a) 및 3(b)은 본 발명에 따른 안식각 측정장치를 구성하는 승강판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식각 측정장치를 구성하는 고정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식각 측정장치를 수직 기둥과 측정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인 안식각 측정장치(100)는 승강판(200), 고정구(300), 작동튜브(400), 수직 기둥(500), 측정기(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판(200)은 판재 형상으로 내부에 고정구 삽입공(2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판(200)은 하부에 위치하는 작동튜브(400)의 작동에 따라 승강 또는 하강작동하게 된다.
즉, 상기 승강판(200)은 판재 형상으로 고정구(300)의 상부에 조립질 물질의 적층시 승강한 후, 상기 승강판(200)과 고정구(300)의 상부에 조립질 물질의 적층된 다음, 하강작동하여 고정구(300)의 상부에만 조립질 물질이 적층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승강판(200)은 고정구 삽입공(220)의 상·하부에 중공형상의 승강커버(240)가 장착되고 내부에는 다수개의 롤러(260) 또는 구 형상의 볼이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승강판(200)은 고정구 삽입공(220)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승강커버(240)를 이용하여 작동튜브(400)의 작동에 따른 승·하강 작동시 내부에 조립질 물질이 방지하고, 상기 작동튜브(400)의 작동시 롤러(260)를 고정구(300)의 외면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고정구(300)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상부에는 조립질 물질이 적층되는 수평 적층부(32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300)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원발명에서 상기 고정구(30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즉, 상기 고정구(300)는 승강판(200)의 고정구 삽입공(220)에 삽입장착되고, 상부에는 조립질 물질의 적층을 위하여 수평 적층부(320)를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수평 적층부(320)의 가장자리 끝단 둘레에는 수평 적층부(320)에 위치한 조립질 물질이 승강판(200)의 하강시 지면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조립질 물질을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적층 돌기부(340)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작동튜브(400)는 자바라 등과 같은 팽창 또는, 수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승강판(200)의 하부에 장착되고, 유·공압장치(420)에서 공급되는 유압 또는 공압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하여 승강판(200)을 승·하강 작동시키게 된다.
즉, 상기 작동튜브(400)는 유·공압장치(420)의 작동에 따른 유압 또는 공압의 공급되면 팽창하여 승강판(200)를 상승시키고, 상기 작동튜브(400)에 수용된 유압 또는 공압이 유·공압장치(420)에 배출되면 수축하여 승강판(200)을 하강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작동튜브(400)에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하는 유·공압장치(420)는 공지된 유압장치 또는 공압장치를 택일하여 구성되고,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튜브(400)의 상부와 승강판(200)의 하부는 유압 또는 공압의 공급시 연동작동할 수 있도록 접착제 또는 고정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수직 기둥(500)은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단면이 원형, 사각형, 다각형 등 여러 가지 형상으로 형성되며, 승강판(200)과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된다.
본원발명에서 상기 수직 기둥(500)은 단면이 원형인 원기둥 형상으로 승강판(200)의 일 측에만 장착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 기둥(500)의 외면에는 측정기(600)를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작동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 홈(520)이나 가이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직 기둥(500)의 외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520)이나 가이드 돌기를 이용하여 측정기(600)를 수직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측정기(600)는 수직 기둥(500)에 승·하강 작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고, 고정구(300)의 수평 적층부(320)에 적층되는 조립질 물질의 적층 높이를 측정하여 조립질 물질의 안식각을 측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측정기(600)는 측정 케이스(610), 상기 측정 케이스(610)에 장착되고 레이저 스위치(622)의 작동 여부에 따라 조립질 물질을 측정하는 레이저 포인트(620), 상기 측정 케이스(610)에 장착되고 레이저 포인트(620)를 통해 측정된 측정값을 표시하는 눈금자(630), 상기 측정 케이스(630)를 수직 기둥(500)에 고정하는 케이스 고정구(640), 상기 측정 케이스(610)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수직 기둥(500)에 장착되는 고정판(650)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측정기(600)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측정 케이스(610)의 일 측으로 레이저 스위치(622)의 작동 여부에 따라 작동되는 레이저 포인트(620)를 장착하고, 또 다른 일 측에는 레이저 포인트(620)의 위치에 따른 측정값을 눈금으로 표시하는 눈금자(630)를 장착하며, 상부 또는 하부에는 측정 케이스(610)를 수직 기둥(500)에 고정할 수 있도록 케이스 고정구(640)를 장착하고, 측정 케이스(610)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고정판(650)을 장착한 것이다.
이를 좀 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측정기(600)는 측정 케이스(610)의 내측으로 고정구(300)의 수평 적층부(320)에 적층된 조립질 물질을 측정할 수 있도록 레이저 포인트(620)를 장착하고, 상기 레이저 포인트(620)의 상부에는 눈금자(630)를 장착하여, 측정 케이스(610)의 하부에 위치하는 고정판(650)을 기준으로 조립질 물질의 안식각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측정기(600)를 수직 기둥(500)에 고정하는 케이스 고정구(640)는 고정나사 또는 전자석 이외에도 공지된 고정구를 통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레이저 포인트(620)는 케이스 고정구(640)의 고정 후 수평 적층부(320)에 위치하는 적층된 물질에 따라 높낮이 조절될 수 있도록 공지된 승강 구조가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안식각 측정방법을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식각 측정방법을 나타낸 순차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안식각 측정방법을 구성하는 조립질 물질 측정단계를 나타낸 순차도이다.
상기 안식각 측정방법(10)은 안식각 측정장치 설치단계(S20), 조립질 물질 적층단계(S30), 조립질 물질 측정준비단계(S40), 조립질 물질 측정단계(S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식각 측정장치 설치단계(S20)는 상기에서 설명한 안식각 측정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을 지정된 위치에 설치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안식각 측정장치 설치단계(S20)는 승강판(200), 고정구((300), 작동튜브(400), 수직 기둥(500), 측정기(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안식각 측정장치(100)를 조립질 물질을 측정하고자 하는 위치에 설치한 것이다.
상기 조립질 물질 적층단계(S30)는 작동튜브(400)에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하여 승강판(200)의 상부까지 상승시킨 후 상기 승강판(200)과 고정구(300)의 상부에 조립질 물질을 적층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조립질 물질 적층단계(S30)는 작동튜브(400)의 내부에 유·공압장치(420)의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하여, 상기 작동튜브(400)를 팽창시켜 승강판(200)의 상면이 고정구(300)의 수평 적층부(320)와 동일선상까지 상승시킨 후, 상기 고정구(300)와 고정구(300)의 상부에 조립질 물질을 적층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수평 적층부(320)의 가장자리 둘레 끝단에는 조립질 물질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적층 돌기부(340)를 형성한다.
상기 조립질 물질 수정단계(S40)는 작동튜브(400)에 공급된 유압 또는 공압을 제거하여 승강판(200)을 하강작동시키고 상기 고정구(300)의 수평 적층부(320)에만 조립질 물질이 적층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조립질 물질 수정단계(S400)는 작동튜브(400)에 수용된 공압이나 유압을 유·공압장치(320)에 배출하여, 상기 작동튜브(400)를 수축시키면서 승강판(200)을 하강작동시켜, 상기 고정구(300)의 수평 적층부(320)에만 조립질 물질이 적층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조립질 물질 측정단계(S50)는 수직 기둥에 장착되는 측정기(600)의 위치를 조절하여 수평 적층부(320)에 적층된 조립질 물질의 높이를 측정하여 조립질 물질의 안식각을 측정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조립질 물질 측정단계(S50)는 수평 적층부(320)에 적층된 조립질 물질의 높이를 측정하여 안식각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조립질 물질 측정단계(S50)는 고정구(300)의 지름(D)을 측정하고, 상기 고정구(300)의 수평 적층부(320)에 기준점(O)을 설정하는 기준점 설정과정(S51), 상기 수평 적층부(320)에 적층된 조립질 물질의 끝단을 측정하여 기준점(O)과 끝단의 사이 높이(h)를 측정하는 높이 측정과정(S52) 및 상기 기준점 설정과정(S51)과 높이 측정과정(S52)을 통해 얻어진 값을 식
Figure 112018082887871-pat00017
에 대입하여, 조립질 물질의 안식각을 계산하는 안식각 계산과정(S53)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조립질 물질 측정단계(S50)는 수직 기둥(500)에 장착되는 측정기(600)를 위치 조절하여 고정판(650)을 수평 적층부(320)에 일치시키고 적층 돌기부(340)의 끝단을 기준점(0)으로 설정한 후, 상기 측정 케이스(610)의 레이저 포인트(620)를 위치 조절하여 조립질 물질의 끝단을 측정하여 기준점(0)과 끝단의 사이 높이(h)를 측정한 다음, 상기 측정값을
Figure 112018082887871-pat00018
에 대하여 조립질 물질의 안식각을 계산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안식각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판재 형상으로 내부에 원형 형상의 고정구 삽입공(220)이 형성되는 승강판(20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판(200)의 고정구 삽입공(220)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상부에는 조립질 물질이 적층되는 수평 적층부(320)가 형성되고, 가장자리 끝단 둘레에는 적층 돌기구(340)가 돌출형성되는 고정구(300)를 삽입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승강판(200)의 하부에는 유·공압장치(420)에서 공급되는 유압 또는 공압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하여 승강판(200)을 승·하강 작동시키는 작동튜브(40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판(200)의 일 측으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직 기둥(500)을 장착한 후, 상기 수직 기둥(500)에 상기 측정 케이스(610)에 장착되고 레이저 스위치(622)의 작동 여부에 따라 조립질 물질을 측정하는 레이저 포인트(620), 상기 측정 케이스(610)에 장착되고 레이저 포인트(620)를 통해 측정된 측정값을 표시하는 눈금자(630), 상기 측정 케이스(630)를 수직 기둥(500)에 고정하는 케이스 고정구(640), 상기 측정 케이스(610)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수직 기둥(500)에 장착되는 고정판(650)으로 구성되는 측정기(600)를 장착하면, 안식각 측정장치(10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안식각 측정장치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안식각 측정장치를 이용한 안식각 측정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승강판(200), 고정구((300), 작동튜브(400), 수직 기둥(500), 측정기(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안식각 측정장치(100)를 조립질 물질을 측정하고자 하는 위치에 설치한다.
그리고 작동튜브(400)의 내부에 유·공압장치(420)의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하여, 상기 작동튜브(400)를 팽창시켜 승강판(200)의 상면이 고정구(300)의 수평 적층부(320)와 동일선상까지 상승시킨 후, 상기 고정구(300)와 고정구(300)의 상부에 조립질 물질을 적층시키도록 한다.
다음으로 작동튜브(400)에 수용된 공압이나 유압을 유·공압장치(320)에 배출하여, 상기 작동튜브(400)를 수축시키면서 승강판(200)을 하강작동시켜, 상기 고정구(300)의 수평 적층부(320)에만 조립질 물질이 적층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수직 기둥(500)에 장착되는 측정기(600)를 위치조절하여 고정판(650)을 수평 적층부(320)에 일치시키고, 고정구(300)의 지름(D)을 측정하며, 적층 돌기부(340)의 끝단을 기준점(0)으로 설정한 후, 상기 측정 케이스(610)의 레이저 포인트(620)를 위치 조절하여 조립질 물질의 끝단을 측정하여 기준점(0)과 끝단의 사이 높이(h)를 측정한 다음, 상기 측정값을
Figure 112018082887871-pat00019
에 대하여 조립질 물질의 안식각을 계산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안식각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안식각 측정장치, 200 : 승강판,
220 : 고정구 삽입공, 240 : 승강커버,
260 : 롤러, 300 : 고정구,
320 : 수평 적층부, 340 : 적층 돌기부,
400 : 작동튜브, 420 : 유·공압장치,
500 : 수직 기둥, 520 : 가이드 홈, 가이드 돌기,
600 : 측정기, 610 : 측정 케이스,
620 : 레이저 포인트, 630 : 눈금자,
640 : 케이스 고정구, 650 : 고정판,
S20 : 안식각 측정장치 설치단계,
S30 : 조립질 물질 적층단계,
S40 : 조립질 물질 측정준비단계,
S50 : 조립질 물질 측정단계.

Claims (8)

  1. 내부에 고정구 삽입공이 형성되는 승강판;
    상기 승강판의 고정구 삽입공에 장착되고 상부에 조립질 물질이 적층되는 수평 적층부가 형성되는 고정구;
    상기 승강판의 하부에 장착되고, 유·공압장치의 작동 여부에 따라 유압 또는 공압의 공급시 팽창되며, 유압 또는 공압의 배출시 수축되는 작동튜브;
    상기 승강판과 간격을 두고 고정장착되는 수직 기둥; 및
    상기 수직 기둥에 승·하강 작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상기 고정구의 수평 적층부에 적층되는 조립질 물질의 적층 높이를 측정하는 측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판을 구성하는 고정구 삽입공의 상·하부에 중공형상의 승강커버가 장착되고 내부에는 다수개의 롤러 또는 구 형상의 볼이 장착되며,
    상기 고정구를 구성하는 수평 적층부의 가장자리 끝단 둘레를 따라 적층 돌기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수직 기둥의 외면에는 측정기를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작동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 홈이나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측정기는 측정 케이스; 상기 측정 케이스에 장착되고 레이저 스위치의 작동 여부에 따라 조립질 물질을 측정하는 레이저 포인트; 상기 측정 케이스에 장착되고 레이저 포인트를 통해 측정된 측정값을 표시하는 눈금자; 상기 측정 케이스를 수직 기둥에 고정하고 위치 고정나사 또는 전자석으로 구성되는 케이스 고정구; 및 상기 측정 케이스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수직 기둥에 장착되는 고정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식각 측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항의 안식각 측정장치를 지면에 설치하는 안식각 측정장치의 설치단계;
    상기 작동튜브에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하여 승강판의 상부까지 상승시킨 후 상기 승강판과 고정구의 상부에 조립질 물질을 적층하는 조립질 물질 적층단계;
    상기 작동튜브에 공급된 유압 또는 공압을 제거하여 승강판을 하강작동시키고 상기 고정구의 수평 적층부에만 조립질 물질이 적층되도록 하는 조립질 물질 수정단계;
    수직 기둥에 장착되는 측정기의 위치를 조절하여 수평 적층부에 적층된 조립질 물질의 높이를 측정하여 조립질 물질의 안식각을 측정하는 조립질 물질 측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식각 측정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질 물질 측정단계는,
    상기 고정구의 지름을 측정하고 상기 고정구의 수평 적층부에 기준점(O)을 설정하는 기준점 설정과정;
    상기 수평 적층부에 적층된 조립질 물질의 끝단을 측정하여 기준점(O)과 끝단의 사이의 높이(h)를 측정하는 높이 측정과정; 및
    상기 기준점 설정과정과 높이 측정과정을 통해 얻어진 값을
    Figure 112018082887871-pat00020
    에 대입하여,
    안식각을 계산하는 안식각 계산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식각 측정방법.
KR1020170030958A 2017-03-13 2017-03-13 안식각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101930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958A KR101930485B1 (ko) 2017-03-13 2017-03-13 안식각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958A KR101930485B1 (ko) 2017-03-13 2017-03-13 안식각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355A KR20180104355A (ko) 2018-09-21
KR101930485B1 true KR101930485B1 (ko) 2018-12-18

Family

ID=63720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958A KR101930485B1 (ko) 2017-03-13 2017-03-13 안식각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04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81585B (zh) * 2019-03-22 2023-11-24 安徽省引江济淮集团有限公司 一种无黏性土休止角测定仪
CN114440795A (zh) * 2022-01-22 2022-05-06 安徽农业大学 散粒体物料休止角自动测试装置及其测试方法
CN114608411B (zh) * 2022-05-11 2022-07-19 烟台大自然园林绿化有限公司 林业测量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8320A (ja) * 2011-10-19 2013-05-13 Medica Tekku Kk 粉体特性測定装置
KR101534812B1 (ko) * 2014-08-28 2015-07-09 김지용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8320A (ja) * 2011-10-19 2013-05-13 Medica Tekku Kk 粉体特性測定装置
KR101534812B1 (ko) * 2014-08-28 2015-07-09 김지용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355A (ko) 2018-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0485B1 (ko) 안식각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US10184257B2 (en) Jacking pole
EP2354321B1 (en) Method of providing a foundation for an elevated mass, and assembly of a jack-up platform and a framed templat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KR101739075B1 (ko) 구조물의 동강성 계측을 위한 모터 제어 가진장치
CN103698210B (zh) 燃料组件综合力学性能试验装置及其实验方法
EP2766528B1 (en) Template
CN108802450B (zh) 电表箱安装定位装置及操作平台
KR20060100532A (ko) 지하 기둥의 수직도 조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 기둥의시공방법
US104801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concrete reinforcement
KR101642095B1 (ko) 비행장치 날개 전개력 측정장치
KR101949784B1 (ko) 레벨기와 드론을 활용한 정확도 향상 측지측량장치
US20240110660A1 (en) Mechanical apparatus levelling mechanism and levelling method therefor
JP2010181387A (ja) ケーソン作業室における不動梁付き地耐力試験装置及び地耐力試験方法
KR101564937B1 (ko) 중량체 설치장치 및 중량체 설치방법
CN104428083B (zh) 用于为在锭模的基座处的滚筒定中心的模板
KR101854174B1 (ko) 측량지점의 실시간 오류 확인이 가능한 정확도 향상 측량장치
KR20150024032A (ko) 받침용 정반 레벨 조절장치
JP2007261739A (ja) 長尺重量物の位置調整支援装置、位置調整装置および位置調整方法
CN112918663A (zh) 一种基于无人机的工程用测绘装置
KR101831255B1 (ko) 상하 양방향 잠금 구조를 가지는 인상 잭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동시인상 방법
JP2015003794A (ja) 支持治具
JP2017090397A (ja) 測定装置
CN114277802B (zh) 逆作法钢管结构柱后插法定位施工结构
KR102635221B1 (ko) 지면에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측지측량용 삼각대구조
KR102431609B1 (ko) 메쉬펜스 시공용 간격 조절기 및 이를 포함하는 메쉬펜스 시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