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9784B1 - 레벨기와 드론을 활용한 정확도 향상 측지측량장치 - Google Patents

레벨기와 드론을 활용한 정확도 향상 측지측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9784B1
KR101949784B1 KR1020180126237A KR20180126237A KR101949784B1 KR 101949784 B1 KR101949784 B1 KR 101949784B1 KR 1020180126237 A KR1020180126237 A KR 1020180126237A KR 20180126237 A KR20180126237 A KR 20180126237A KR 101949784 B1 KR101949784 B1 KR 101949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bar
image
point
bas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휘
이은영
조인수
Original Assignee
새한항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새한항업(주) filed Critical 새한항업(주)
Priority to KR1020180126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97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6Surveyors' staffs; Movable mar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1/00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e.g. stereogrammetry; Photographic surveying
    • G01C11/02Picture tak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mmetry or photographic surveying, e.g. controlling overlapping of pi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1/00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e.g. stereogrammetry; Photographic surveying
    • G01C11/36Videogrammetry, i.e. electronic processing of video signals from a single source or from different sources to give parallax or range inform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 G01C2011/3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벨기와 드론을 활용한 정확도 향상 측지측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영상을 촬영해 송출하는 드론(100)과; 드론(100)을 원격제어하는 원격조정장치(200)와; 드론(100)으로부터 영상을 전달받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영상확인장치(300)와; 연진방향으로 수직하게 세워지며 일면 길이방향을 따라 높이를 표시하는 바코드가 형성된 인바스타프(400)와; 인바스타프(400)의 바코드를 읽어들여 높이를 구하는 전자레벨기(500); 및 인바스타프(40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대차(6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드론과 원격조정장치 및 영상촬영확인장치를 통해 도로 유실, 산사태 등과 같은 예기치 못한 상황을 영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어 해당 지점을 회피하여 작업지점을 선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레벨기와 드론을 활용한 정확도 향상 측지측량장치{Geodetic surveying equipment for improvement accuracy}
본 발명은 측지측량작업을 실시하기 전 사전에 주변지역을 영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어 회피지역을 미리 알 수 있고, 표척수의 작업피로도를 낮춰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전시 후시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측량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레벨기와 드론을 활용한 정확도 향상 측지측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토목설계나 건축설계 등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측지측량이 이루어져야 한다. 측지측량이란 수평거리와 고저차 및 방향을 측정하여 각 측정점들 상호 간의 위치를 결정하여 이를 도면이나 수치로 표시하고, 현장에서 측설하는 제반 활동을 말하며, 이러한 측지측량 가운데 수준(level) 측량은 인바스타프(표척)와 전자레벨기를 이용하여 두 지점 간의 높이 차를 구하는 측량을 말한다.
상기 인바스타프(표척)와 전자레벨기를 이용하여 수준을 측량하는 방법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13562호의 종래 기술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으며,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단계로, 표척수(標尺手)가 인바스타프(표척)를 고도를 알고 있는 지상기준점에 세우고, 기계수(機械手)는 일정 거리 떨어진 제1관측점에서 전자레벨기로 인바스타프(표척)의 눈금을 읽는다.
제2단계로, 표척수가 제1지점으로 이동하여 인바스타프(표척)를 세우고, 기계수가 제1지점의 표척 눈금을 읽는다. 여기서 지상기준점과 제1지점에서 읽은 눈금의 차와 지상기준점의 고도로부터 제1지점의 고도를 구한다.
제3단계로, 기계수는 제1지점 뒤의 제2관측점으로 이동하고, 표척수가 인바스타프(표척)를 제자리(제1지점)에서 방향 전환시켜 인바스타프(표척)가 전자레벨기를 바라보도록 하면 기계수가 제2관측점에서 전자레벨기로 제1지점의 표척 눈금을 읽는다.
제4단계로, 표척수가 제2지점으로 이동하여 인바스타프(표척)를 세우고, 기계수가 제2관측점에서 제2지점의 표척 눈금을 읽는다. 여기서 제2관측점에서 읽은 제1지점과 제2지점의 눈금 차이로부터 제2지점의 고도를 구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인바스타프(표척)와 전자레벨기를 계속하여 이동시키면서 각 지점의 표척과 각 관측점에서의 레벨기의 방향을 전환시켜 눈금을 읽어 목표지점까지 각 지점의 고도를 구한다.
한편, 넓은 지역을 측지측량하는 경우 표척수는 무거운 인바스타프(표척)를 들고 각 지점으로 이동해야 했기 때문에 표척수의 작업피로도가 극심하게 되고, 작업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표척수가 걸음걸이로 거리를 가늠해 각 지점까지 이동하였기 때문에 전시 후시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어렵고, 이에 따라 인바스타프(표척)를 세워야 할 지점에 정확하게 설치하지 못함에 따라 측정오차가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1. 등록특허 제10-1813562호(측지측량용 표척의 지면 고정장치/2017.12.22)
본 발명은 측지측량작업을 실시하기 전 사전에 주변지역을 영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어 회피지역을 미리 알 수 있고, 표척수의 작업피로도를 낮춰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시 후시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측량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며, 대차에 인바스타프를 견고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운반할 수 있는 레벨기와 드론을 활용한 정확도 향상 측지측량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영상을 촬영해 송출하는 영상촬영수단을 갖춘 드론과;
드론을 제어하는 원격조정장치와;
영상촬영수단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아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된 영상확인장치와;
일면 길이방향을 따라 높이를 표시하는 바코드가 형성되고, 타면 하단부에 걸림홈이 형성된 수직바와, 수직바의 하면에 고정되는 고무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며 관통홀이 형성된 어댑터와, 상면에 형성된 고정돌기를 매개로 관통홀에 끼워져 수직바를 지지하는 금속재질의 하부고정대와, 수직바에 설치되어 수직바가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수직바와 직교되게 수직바의 타면에 설치되어 수직바의 수직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기로 구성된 인바스타프;
인바스타프의 바코드를 읽어들여 높이를 구하는 전자레벨기;
인바스타프가 얹혀져 지지되되, 상면 일측에는 하부고정대를 들어올릴 수 있게 요홈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면 타측에는 지지대의 하단이 인입될 수 있게 지지대안착홈이 형성된 판상의 베이스와, 베이스의 하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바퀴와, 베이스의 상면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손잡이와,
요홈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어 하부고정대를 감싸는 호형상의 펜스부와, 손잡이에 인접배치되며 상대적으로 더 높게 형성된 펜스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수직바의 하단부를 감싸 지지하며 외면에 상호 대향되게 끼움돌기가 형성된 지지부와, 끼움돌기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움공이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며 수직바의 걸림홈으로 인입되어 수직바를 탄성가압하는 고무밴드로 이루어진 스타프 거치대와,
베이스의 하부에 배치되어 지면을 따라 구르는 원형의 휠과, 휠과 연결되어 휠의 회전을 카운터하는 숫자표시부로 이루어져 이동 거리를 확인할 수 있는 거리측정기로 구성된 대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드론과 원격조정장치 및 영상촬영확인장치를 통해 도로 유실, 산사태 등과 같은 예기치 못한 상황을 영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어 해당 지점을 회피하여 작업지점을 선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인바스타프를 대차에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표척수가 무거운 인바스타프를 짊어지고 이동해야 했던 불편함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성이 보다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스타프 거치대 및 지지대안착홈을 매개로 인바스타프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과정에 인바스타프가 무게중심을 잃고 쓰러지는 문제를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어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베이스에 마련되는 요홈을 통해 베이스의 상면에 밀착된 무거운 하부고정대를 펜스부로부터 손쉽게 꺼낼 수 있으므로 장갑을 낀 상태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고무밴드가 인바스타프의 걸림홈으로 인입되어 인바스타프를 감싸면서 탄성 가압해 줌에 따라 수직부의 상하이동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더욱더 견고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인바스타프를 운반해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대차에 설치된 거리측정기를 이용해 각 지점으로 정확하게 이동하여 인바스타프를 세울 수 있게 됨에 따라 전시 후시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측정오차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벨기와 드론을 활용한 정확도 향상 측지측량장치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벨기와 드론을 활용한 정확도 향상 측지측량장치에서 드론과 원격조정장치 및 영상확인장치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벨기와 드론을 활용한 정확도 향상 측지측량장치에서 인바스타프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정면사시도 및 배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레벨기와 드론을 활용한 정확도 향상 측지측량장치에서 대차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배면사시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벨기와 드론을 활용한 정확도 향상 측지측량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벨기와 드론을 활용한 정확도 향상 측지측량장치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벨기와 드론을 활용한 정확도 향상 측지측량장치에서 드론과 원격조정장치 및 영상확인장치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도면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벨기와 드론을 활용한 정확도 향상 측지측량장치에서 인바스타프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정면사시도 및 배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레벨기와 드론을 활용한 정확도 향상 측지측량장치에서 대차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배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측지측량장치는 드론(100)과 원격조정장치(200), 영상확인장치(300), 인바스타프(400)와 전자레벨기(500) 및 대차(600)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측지측량작업을 실시하기 전 사전에 주변지역을 영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어 회피지역을 미리 알 수 있으며, 무거운 인바스타프(400)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다음 표척지점으로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성의 극대화를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드론(100)은 원격조정장치(2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측지측량지역 상공을 비행하면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공지의 비행체로서, 영상을 촬영해 송출하는 영상촬영수단(110)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드론(100)은 진행방향 및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된 비행정보센서를 구비하며, 영상송출시 드론(100)의 진행방향 및 위치정보가 함께 송출된다.
상기 원격조정장치(200)는 드론(100)을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는 공지의 컨트롤러로서 작업자가 휴대한다.
상기 영상확인장치(300)는 드론(100)으로부터 전송된 영상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공지의 노트북으로서, 통신중계장치(LTE휴대전화)를 통해 드론(100)으로부터의 정보를 전달받으며, 전달받은 영상정보는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되어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작업자는 영상확인을 통해 측지측량지역의 도로 유실, 산사태 등과 같이 예기치 못한 상황이 발견한 경우 해당지역을 회피하여 측량계획을 세울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영상을 통해 사전에 해당지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과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인바스타프(400)는 표척지점에 세워져 높이정보를 제공하는 기구로서, 수직바(410)와 어댑터(420), 하부고정대(430), 한 쌍의 지지대(440) 및 수평기(450)로 구성된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수직바(410)는 길이가 길고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가진 금속재질의 사각형상의 바(bar)로서, 일면(전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높이를 표시하는 바코드(숫자, 눈금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음)가 형성되어 있고, 타면(후면)에는 일정한 폭과 깊이를 갖는 걸림홈(4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홈(411)에는 이후에 설명되는 고무밴드(643)가 인입되어 탄성적으로 수직부(111)를 가압하게 되며, 고무밴드(643)에 걸림홈(411)이 걸림에 따라 수직부(111)의 상하이동을 크게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어댑터(420)는 고무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해 제작한 것으로서, 수직바(410)의 하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고정대(430)의 고정돌기(431)가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관통홀(421)을 구비한다.
상기 하부고정대(430)는 금속재질을 이용하여 제작한 반구형상의 부재로서, 상면에는 어댑터(420)의 관통홀(421)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고정돌기(431)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하부고정대(430)는 어댑터(420)의 하부에 끼워져 수직바(410)를 지지한다. 특히, 상기 고정돌기(431)의 상단부는 반구형으로 되어 있어 수직바(410)의 하면과 점 접촉하며, 이에 따라 수직바(410)는 위치설정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지지대(440)는 수직바(410)에 설치되어 수직바(410)가 연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대(440)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로서, 수직바(410)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바(151)와, 제1바(151)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바(152) 및 제1바(151)와 제2바(152) 사이에 형성되어 제2바(152)의 이동을 단속하는 고정구(153)로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지지대(440)는 수직바(410)와 함께 삼각형태로 배치됨에 따라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상기 수평기(450)는 수직바(410)의 타면(후면)에 설치되어 수직바(410)와 직교를 이룬다. 상기 수평기(450)는 내부에 있는 수포를 이용해 수직바(410)를 연직으로 맞춰주기 위한 정밀보조기구로서, 수포를 중앙에 위치한 원에 넣은 상태에서 한 쌍의 지지대(440)로 수직바(410)를 지지해 주게 되면 수직바(410)를 연직상태로 만들어줄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레벨기(500)는 인바스타프(400)의 바코드(숫자, 눈금 등이 있는 경우에는 렌즈를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음)를 읽어들여 높이를 구할 수 있는 공지의 장치로서, 이미 해당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대차(600)는 인바스타프(400)를 표척지점까지 이동시켜주기 위한 이동수단으로서, 베이스(610)와 복수의 바퀴(620), 손잡이(630) 및 스타프 거치대(640)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610)는 얹혀진 인바스타프(400)를 지지해주는 판으로서, 상면 일측에는 요홈(611)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면 타측에는 지지대안착홈(61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요홈(611)은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게 반구형으로 오목하게 형성한 것으로, 베이스(610)의 상면에 밀착된 무거운 하부고정대(430)를 펜스부(641)로부터 손쉽게 꺼내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안착홈(612)은 지지대(150)의 하단부를 끼울 수 있게 만든 것으로, 스타프 거치대(640)와 함께 인바스타프(400)를 안정적으로 고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바퀴(620)는 베이스(610)의 하면에 4개가 설치되어 이동의 효율성을 향상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바퀴(620)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어 주행 중 자유롭게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손잡이(630)는 표척자가 끌고 다닐 수 있게 베이스(61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스타프 거치대(640)는 베이스(610)에 안착된 인바스타프(400)가 쓰러지지 않게 지지해주는 것으로서, 펜스부(641)와 지지부(642)로 구성된다.
상기 펜스부(641)는 호 형상의 플레이트로서 요홈(611)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인바스타프(400)를 구성하는 하부고정대(430)를 감싸 하부고정대(43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펜스부(641) 중 손잡이(630)에 인접배치된 펜스부(641)는 맞은편의 펜스부(641)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형성되어 있어 있는데, 이는 하부고정체(130)를 펜스부(641)의 내측으로 수납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지지부(642)는 평면에서 본 모양이‘ㄷ’자 형상을 갖는 부재로서, 손잡이(630)에 인접배치된 펜스부(641)로부터 내측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인바스타프(400)를 구성하는 수직바(410)의 하단부를 감싸 수직바(410)가 손잡이(630) 쪽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642)의 외면에는 상호 대향되게 원추형상의 끼움돌기(642a)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 끼움돌기(642a)에는 고무밴드(643)가 끼움공(643a)을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고무밴드(643)는 탄성 및 마찰력을 갖는 부재로서, 양단부에 마련된 끼움공(643a)을 매개로 끼움돌기(642a)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고, 수직바(410)의 결함홈(111)으로 인입되어 수직바(410)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수직바(410)가 상하로 이동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거리측정기(650)는 공지의 워킹메타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651)과 숫자표시부(652)로 구성된 것으로, 휠(651)의 회전수를 거리로 환산하여 정확한 이동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휠(651)은 원형을 이루며 베이스(6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지면을 따라 구르며, 숫자표시부(652)와 상호 연결된다.
상기 숫자표시부(652)는 휠(651)과 연결되어 휠(651)의 회전을 카운터하는 역할을 하며, 카운터된 숫자는 베이스(110)의 상면을 통해 노출된다.
상기와 같은 거리측정기(650)는 이미 해당 분야(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14789호에 개시)에서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인바스타프(400)를 대차(600)에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표척수가 무거운 인바스타프(400)를 짊어지고 이동해야 했던 불편함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성이 보다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타프 거치대(640) 및 지지대안착홈(612)을 매개로 인바스타프(4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과정에 인바스타프(400)가 무게중심을 잃고 쓰러지는 문제를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어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610)에 마련되는 요홈(611)을 통해 베이스(610)의 상면에 밀착된 무거운 하부고정대(430)를 펜스부(641)로부터 손쉽게 꺼낼 수 있으므로 장갑을 낀 상태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고무밴드(643)가 인바스타프(400)의 걸림홈(411)으로 인입되어 인바스타프(400)를 감싸면서 탄성 가압해 줌에 따라 수직바(410)의 상하이동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더욱더 견고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인바스타프(400)를 운반해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대차(600)에 설치된 거리측정기(650)를 이용해 각 지점으로 정확하게 이동하여 인바스타프(400)를 세울 수 있게 됨에 따라 전시 후시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측정오차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벨기와 드론을 활용한 정확도 향상 측지측량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측지측량작업을 실시하기 전에 작업자는 드론(100)을 통해 해당지역의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영상을 통해 해당지역에 문제가 없는지를 먼저 확인한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작업자는 원격조정장치(200)를 이용해 드론(100)을 상공으로 날려 해당지역을 비행하면서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은 영상확인장치(300)로 송출된다.
상기 영상확인장치(300)에서는 해당지역을 촬영한 영상을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측지측량지역의 경로 상에 문제가 없는지를 확인하며, 만약 경로 상에 도로 유실, 산사태 등과 같은 예기치 못한 상황을 영상을 통해 발견한 경우 해당 지점을 회피하여 작업지점을 선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측지측량지역의 영상확인이 완료되면,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척수는 인바스타프(400)를 고도를 알고 있는 지상기준점(a0)에 세워준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인바스타프(400)를 구성하는 하부고정대(430)를 지상기준점(a0)에 배치한 다음 하단에 결합된 어댑터(420)를 매개로 하부고정대(430)에 수직바(410)를 세워주고, 수직바(410)에 설치된 수평기(150:도 2b 참조)를 이용하여 수직바(410)의 연직상태를 확인하면서 지지대(440)를 고정해 인바스타프(400)의 설치를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인바스타프(400)의 설치가 완료되면, 기계수는 일정 거리 떨어진 제1관측점(b1)에서 전자레벨기(500)로 인바스타프(400)의 높이를 확인한다.
상기 지상기준점(a0)에서의 높이 확인이 완료되면, 표척수는 인바스타프(400)를 대차(600)에 싣고 제1지점(a1)으로 이동한다.
도 5c 및 도 5d를 참조하여 상기 대차(600)에 인바스타프(400)를 싣고 내리는 과정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대차(600)의 스타프 거치대(640) 내측으로 하부고정체(130)와 어댑터(420) 및 수직바(410)를 순차적으로 삽입하고, 지지대(440)의 하단부는 베이스(610)의 지지대 안착홈(312)에 삽입한다.
그리고 고무밴드(643)의 일단부를 끼움공(643a)을 매개로 일측 끼움돌기(642a)에 끼워 고정한 상태에서 고무밴드(643)를 늘려 수직바(410)의 결합홈(111)이 고무밴드(643)가 인입되도록 하면서 고무밴드(643)의 타단부를 끼움공(643a)을 매개로 타측 끼움돌기(642a)에 끼워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고무밴드(643)가 탄성적으로 수직바(410)를 가압하면서 수직바(410)의 결합홈(111)이 고무밴드(643)에 걸리게 됨에 따라 대차로 이동하는 과정에 충격으로 인한 수직바(410)의 상하로의 이동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더욱더 견고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인바스타프(400)를 운반해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스타프 거치대(640) 내측으로 삽입된 하부고정체(130)는 펜스부(641)에 의해 감싸져 움직임이 제한되고, 수직바(410)의 하단부는 지지부(642)에 의해 감싸져 움직임이 제한되며, 지지대(440)는 지지대 안착홈(312)에 삽입되어 움직임이 제한됨에 따라 안정적인 상태에서 대차(60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대차(600)를 제1지점(a1)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 거리측정기(650)에 의해 이동거리가 표시됨에 따라 표척수는 제1지점(a1)까지 정확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지점(a1)에 도착하면 표척수는 고무밴드(643)의 일측을 끼움돌기(642a)로부터 이탈시켜 준 다음 하부고정체(130)를 제외한 수직바(410)와 지지대(440)를 수직으로 들어올려 스타프 거치대(640)로부터 분리한다.
그 다음 대차(600)의 요홈(611)으로 손가락을 삽입하여 하부고정체(130)를 들어올려 스타프 거치대(640)로부터 분리해주고, 하부고정체(130)에 어댑터(420)가 결합된 수직바(410)를 설치한 다음 수평기(450)와 지지대(440)를 이용해 수직바(410)를 연직상태로 맞춰준다.
상기와 같이 인바스타프(400)의 설치가 완료되면 기계수는 전자레벨기(500)를 이용해 제1지점(a1)의 높이를 확인하며, 지상기준점(a0)과 제1지점(a1)에서 읽은 높이 차로부터 제1지점(a1)의 고도를 구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점(a1)의 고도를 구한 이후에는 기계수는 제1지점(a1) 뒤의 제2관측점(b2)으로 이동하고, 표척수가 인바스타프(400)를 제자리(제1지점)에서 방향 전환시켜 인바스타프(400)가 전자레벨기(500)를 바라보도록 하며, 기계수는 제2관측점(b2)에서 전자레벨기(500)로 제1지점(a1)의 높이를 확인한다.
그 다음 표척수는 인바스타프(400)를 대차(600)에 싣고 제2지점(a2)으로 이동하 다음 인바스타프(400)를 내려 다시 설치하고, 기계수는 제2관측점(b2)에서 제2지점(a2)의 인바스타프(400)의 높이를 확인하며, 제2관측점(b2)에서 읽은 제1지점(a1)과 제2지점(a2)의 높이 차로부터 제2지점(a2)의 고도를 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각 지점의 고도를 구하면 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드론(100)과 원격조정장치(200) 및 영상촬영확인장치(300)를 통해 도로 유실, 산사태 등과 같은 예기치 못한 상황을 영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어 해당 지점을 회피하여 작업지점을 선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인바스타프(400)를 대차(600)에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표척수가 무거운 인바스타프(400)를 짊어지고 이동해야 했던 불편함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성이 보다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상기 스타프 거치대(640) 및 지지대안착홈(612)을 매개로 인바스타프(4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과정에 인바스타프(400)가 무게중심을 잃고 쓰러지는 문제를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어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610)에 마련되는 요홈(611)을 통해 베이스(610)의 상면에 밀착된 무거운 하부고정대(430)를 펜스부(641)로부터 손쉽게 꺼낼 수 있으므로 장갑을 낀 상태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고무밴드(643)가 인바스타프(400)의 걸림홈(411)으로 인입되어 인바스타프(400)를 감싸면서 탄성 가압해 줌에 따라 수직바(410)의 상하이동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더욱더 견고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인바스타프(400)를 운반해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 대차(600)에 설치된 거리측정기(650)를 이용해 각 지점으로 정확하게 이동하여 인바스타프(400)를 세울 수 있게 됨에 따라 전시 후시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측정오차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드론 200: 원격조정장치 300: 영상확인장치
400: 인바스타프 410: 수직바 420: 어댑터
430: 하부고정체 440: 지지대 450: 수평기
500: 전자레벨기 600: 대차 610: 베이스
620: 바퀴 630: 손잡이 640: 스타프 거치대
650: 거리측정기

Claims (1)

  1. 영상을 촬영해 송출하는 영상촬영수단(110)을 갖춘 드론(100)과;
    드론(100)을 제어하는 원격조정장치(200)와;
    영상촬영수단(110)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아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된 영상확인장치(300)와;
    일면 길이방향을 따라 높이를 표시하는 바코드가 형성되고, 타면 하단부에 걸림홈(411)이 형성된 수직바(410)와, 수직바(410)의 하면에 고정되는 고무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며 관통홀(421)이 형성된 어댑터(420)와, 상면에 형성된 고정돌기(431)를 매개로 관통홀(421)에 끼워져 수직바(410)를 지지하는 금속재질의 하부고정대(430)와, 수직바(410)에 설치되어 수직바(410)가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440)와, 수직바(410)와 직교되게 수직바(410)의 타면에 설치되어 수직바(410)의 수직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기(450)로 구성된 인바스타프(400);
    인바스타프(400)의 바코드를 읽어들여 높이를 구하는 전자레벨기(500);
    인바스타프(400)가 얹혀져 지지되되, 상면 일측에는 하부고정대(430)를 들어올릴 수 있게 요홈(611)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면 타측에는 지지대(440)의 하단이 인입될 수 있게 지지대안착홈(612)이 형성된 판상의 베이스(610)와, 베이스(610)의 하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바퀴(620)와, 베이스(610)의 상면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손잡이(630)와,
    요홈(611)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어 하부고정대(430)를 감싸는 호형상의 펜스부(641)와, 손잡이(630)에 인접배치되며 상대적으로 더 높게 형성된 펜스부(641)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수직바(410)의 하단부를 감싸 지지하며 외면에 상호 대향되게 끼움돌기(642a)가 형성된 지지부(642)와, 끼움돌기(642a)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움공(643a)이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며 수직바(410)의 걸림홈(411)으로 인입되어 수직바(410)를 탄성가압하는 고무밴드(643)로 이루어진 스타프 거치대(640)와,
    베이스(6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지면을 따라 구르는 원형의 휠(651)과, 휠(651)과 연결되어 휠(651)의 회전을 카운터하는 숫자표시부(652)로 이루어져 이동 거리를 확인할 수 있는 거리측정기(650)로 구성된 대차(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기와 드론을 활용한 정확도 향상 측지측량장치.
KR1020180126237A 2018-10-22 2018-10-22 레벨기와 드론을 활용한 정확도 향상 측지측량장치 KR101949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237A KR101949784B1 (ko) 2018-10-22 2018-10-22 레벨기와 드론을 활용한 정확도 향상 측지측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237A KR101949784B1 (ko) 2018-10-22 2018-10-22 레벨기와 드론을 활용한 정확도 향상 측지측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9784B1 true KR101949784B1 (ko) 2019-02-19

Family

ID=65528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237A KR101949784B1 (ko) 2018-10-22 2018-10-22 레벨기와 드론을 활용한 정확도 향상 측지측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97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8712B1 (ko) * 2020-09-25 2021-04-09 서광항업 주식회사 레벨기 및 드론을 활용하여 정확도를 향상시킨 측지측량시스템
KR20230080193A (ko) 2021-11-29 2023-06-07 정판수 드론 레이저 거리 측정 및 시각화 시스템
KR102573109B1 (ko) * 2023-03-27 2023-09-04 (주)일신이앤씨 도로대장 및 도로기반 지하시설물 측정을 위한 회전형 스타프 설치용 측량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3562B1 (ko) 2017-07-10 2018-01-02 태양정보시스템(주) 측지측량용 표척의 지면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3562B1 (ko) 2017-07-10 2018-01-02 태양정보시스템(주) 측지측량용 표척의 지면 고정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8712B1 (ko) * 2020-09-25 2021-04-09 서광항업 주식회사 레벨기 및 드론을 활용하여 정확도를 향상시킨 측지측량시스템
KR20230080193A (ko) 2021-11-29 2023-06-07 정판수 드론 레이저 거리 측정 및 시각화 시스템
KR102573109B1 (ko) * 2023-03-27 2023-09-04 (주)일신이앤씨 도로대장 및 도로기반 지하시설물 측정을 위한 회전형 스타프 설치용 측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9784B1 (ko) 레벨기와 드론을 활용한 정확도 향상 측지측량장치
CN111238453B (zh) 智能定位模块
KR101351070B1 (ko) 국가수준점을 기초로 한 지표면의 표고 측량 전용 수준 측량 시스템
CN101946156B (zh) 确定觇标相对于具有摄影机的勘测仪器的坐标
KR101073942B1 (ko) 수준 측량용 표척
CN101932906B (zh) 相对于地面标志来定位勘测仪器
KR101833057B1 (ko) 기준점과 수준점 적용을 통한 3차원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JP6630515B2 (ja) 位置誘導装置、位置誘導方法、プログラム
KR101915288B1 (ko) 측정된 오차값을 최소화하는 측지측량장치
KR100888716B1 (ko) 지피에스 수신기와 항공촬영 정보를 이용한 지아이에스수치지도 보정시스템
EP2788715B1 (en) Robotic leveling
KR101494855B1 (ko) 레벨기를 활용한 정밀 수준점측량시스템
KR101940803B1 (ko) 다지점 표고측량과 동시에 지형분석이 가능한 지형측량시스템
CN110617757A (zh) 一种大板梁挠度测量装置及挠度测量方法
KR101949785B1 (ko) 전시 후시 이동이 편리한 측지측량시스템
EP3742115B1 (en) Surveying instrument
KR101940801B1 (ko) 도해수준측량을 위한 원거리 표고측량 기능의 수준측량장치
JP6431995B2 (ja) 改良型ポータブルプリズム受信装置及び改良型ポータブルgps受信装置、並びに、これを用いた測量方法
EP2240741B1 (en) Localizing a surveying instrument in relation to a ground mark
KR102238712B1 (ko) 레벨기 및 드론을 활용하여 정확도를 향상시킨 측지측량시스템
KR101854174B1 (ko) 측량지점의 실시간 오류 확인이 가능한 정확도 향상 측량장치
KR101949787B1 (ko) 현장에서의 원거리 표고측량을 위한 수준측량장치
KR102203452B1 (ko) 수준 측량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측지측량장치
EP3719445B1 (en) Surveying instrument
KR101687251B1 (ko) 스마트 기기와 오토레벨 장비의 결합을 통한 측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