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3562B1 - 측지측량용 표척의 지면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측지측량용 표척의 지면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3562B1
KR101813562B1 KR1020170087177A KR20170087177A KR101813562B1 KR 101813562 B1 KR101813562 B1 KR 101813562B1 KR 1020170087177 A KR1020170087177 A KR 1020170087177A KR 20170087177 A KR20170087177 A KR 20170087177A KR 101813562 B1 KR101813562 B1 KR 101813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plate
point
horizontal rotary
plate
rack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7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숙희
Original Assignee
태양정보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양정보시스템(주) filed Critical 태양정보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170087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35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6Surveyors' staffs; Movable mark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지측량용 표척의 지면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대차를 이용하여 표척을 각 지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표척수의 작업피로도를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표척의 방향 전환시 표척이 원래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측정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측정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측지측량용 표척의 지면 고정 장치{Apparatus for fixing staff on ground in geodetic surveying}
본 발명은 측지측량 분야 기술 중에서, 측지측량용 표척의 지면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표척의 방향 전환시 표척이 원래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측정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표척수가 힘들이지 않고 표척을 각 지점으로 이동할 수 있어 작업피로도를 경감시켜주고, 측정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측지측량용 표척의 지면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토목설계나 건축설계 등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측지측량이 이루어져야 한다. 측지측량이란 수평거리와 고저차 및 방향을 측정하여 각 측정점들 상호간의 위치를 결정하여 이를 도면이나 수치로 표시하고, 현장에서 측설하는 제반 활동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측지측량 가운데 수준(level) 측량은 표척과 레벨기를 이용하여 두 지점 간의 높이차를 구하는 측량으로 그 정확도는 2급 수준 측량의 경우 5mm × S/2 (여기서, S는 편도거리로서 단위는 km 이다.)이내로 규정하고 있을 정도로 세밀한 측량이 요구된다.
도 6은 표척(1)과 레벨기(3)를 이용하여 수준을 측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1 단계로, 표척수(標尺手)가 표척을 고도를 알고 있는 지상기준점(a0)에 세우고, 기계수(機械手)는 일정 거리 떨어진 제1관측점(b1)에서 레벨기로 표척의 눈금을 읽는다.
제2 단계로, 표척수가 제1지점(a1)으로 이동하여 표척을 세우고, 기계수가 제1지점의 표척 눈금을 읽는다. 여기서 지상기준점(a0)과 제1지점(a1)에서 읽은 눈금의 차와 지상기준점의 고도로부터 제1지점의 고도를 구한다.
제3 단계로, 기계수는 제1지점(a1) 뒤의 제2관측점(b2)으로 이동하고, 표척수가 표척을 제자리(제1지점)에서 방향 전환시켜 표척이 레벨기를 바라보도록 하면 기계수가 제2관측점(b2)에서 레벨기로 제1지점(a1)의 표척 눈금을 읽는다.
제4 단계로, 표척수가 제2지점(a2)으로 이동하여 표척을 세우고, 기계수가 제2관측점(b2)에서 제2지점(a2)의 표척 눈금을 읽는다. 여기서 제2관측점(b2)에서 읽은 제1지점(a1)과 제2지점(a2)의 눈금 차이로부터 제2지점의 고도를 구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표척(1)과 레벨기(3)를 계속하여 이동시키면서 각 지점의 표척과 각 관측점에서의 레벨기의 방향을 전환시켜 눈금을 읽어 목표지점까지 각 지점의 고도를 구한다.
그러나 종래의 표척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눈금막대(1a, 1b)를 슬라이드 신축식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한 것으로, 상기 제3 단계에서 표척수가 표척의 방향을 전환하는 과정에서 표척을 지면에서 들어 올려서 표척의 방향을 전환한 다음 다시 표척을 원래의 자리에 내려놓아야 하는데 이때 표척수가 표척을 원래의 자리에 정확하게 내려놓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측정 오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넓은 지역을 측지측량하는 경우 표척수는 무거운 표척을 들고 지상기준점(a0), 제1지점(a1), 제2지점(a2), 제3지점(a3).... 등 많은 지점으로 이동하여 그 때마다 정확한 지점에 표척을 세워야 하므로 표척수의 작업피로도가 극심하게 되고, 작업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표척의 방향 전환시 표척이 원래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측정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표척수가 힘들이지 않고 표척을 각 지점으로 이동할 수 있어 작업피로도를 경감시켜주고,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73942호(2011.10.10. 등록) "수준 측량용 스타프"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7188호(2013.01.22. 등록) "측지측량데이터의 오차발생을 최소화하는 수준측량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3719호(2013.02.08. 등록) "측지측량에서 영상정보 취득을 이용한 국가수준기준점 측량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08592(2012.11.29. 등록) "수준 측량용 스타프 하부고정장치"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척의 방향 전환시 표척이 원래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측정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표척수가 힘들이지 않고 표척을 각 지점으로 이동할 수 있어 작업피로도를 경감시켜주고, 측정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측지측량용 표척의 지면 고정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대차와; 상기 대차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회전판과; 상기 수평회전판을 수평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평회전지지수단과; 상기 수평회전판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착지부재와; 상기 착지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며 표척의 하단부가 삽입고정되는 표척지지홈이 구비된 표척지지부재와; 상기 착지부재와 표척지지부재를 승강구동하는 승강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대차는 사각프레임과, 상기 사각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며 통공이 형성된 바닥판과, 상기 사각프레임에 결합되는 운반손잡이와, 상기 수평회전판의 상방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복개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평회전판은 원판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승강안내공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회전지지수단은 상기 대차의 바닥판 상면에 설치되며 서로 직경을 달리하는 한 쌍의 안내링부재와, 상기 한 쌍의 안내링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안내홈과, 상기 수평회전판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안내링부재와 안내홈에 의하여 안내되는 복수개의 안내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착지부재는 상기 승강안내공을 통해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하단이 첨예한 복수개의 착지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승강구동수단은 상기 수평회전판의 상면에 장착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결합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표척지지부재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랙기어와, 상기 수평회전판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구동기어와 랙기어에 맞물리는 전동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기어와 전동기어은 평기어로 구성되며, 상기 랙기어는 각 치부가 원주를 따라 형성되어 랙기어의 역할을 함과 아울러 랙기어와 전동기어가 맞물린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수평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평회전판의 상면에는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설치되고, 상기 운반손잡이의 상단 일측에는 상기 배터리와 상기 구동모터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전원을 온오프함과 아울러 구동모터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모터스위치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측지측량용 표척의 지면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측지측량용 표척의 지면 고정 장치에 의하면 대차를 이용하여 표척을 각 지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표척수의 작업피로도를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표척의 방향 전환시 표척이 원래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측정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측정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측지측량용 표척의 지면 고정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분해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표척의 방향전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착지부재가 상승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착지부재가 하강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종래 표척과 레벨기를 이용하여 수준을 측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종래 표척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측지측량용 표척의 지면 고정 장치를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측지측량용 표척의 지면 고정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측지측량용 표척의 지면 고정 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차(100)와; 상기 대차(100)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회전판(200)과; 상기 수평회전판(200)을 수평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평회전지지수단(300)과; 상기 수평회전판(20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착지부재(400)와; 상기 착지부재(400)의 상부에 결합되며 표척(10)의 하단부가 삽입고정되는 표척지지홈(510)이 구비된 표척지지부재(500)와; 상기 착지부재(400)와 표척지지부재(500)를 승강구동하는 승강구동수단(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표척(10)은 하부표척(11)과 상부표척(12)에 의하여 높이조절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하부표척(11)의 전면과 배면에는 각각 눈금(13, 14)이 새겨져 있다.
상기 대차(100)는 사각프레임(110)과, 상기 사각프레임(110)의 하단에 결합되며 통공(121)이 형성된 바닥판(120)과, 상기 사각프레임(110)의 하면에 설치되는 4개의 차륜(130)과, 상기 사각프레임(110)에 결합되는 운반손잡이(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차륜(130)은 사각프레임(110)의 하면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차륜지지대(131)와, 상기 차륜지지대(13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바퀴(132)로 구성되어 주행 가능함과 아울러 제자리에서 수평 회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대차(100)는 상기 수평회전판(200)의 상방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복개판(1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복개판(150)은 상기 수평회전판(200)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의 통공(151)이 형성된다. 상기 복개판(150)은 사각프레임(110)의 상면에 스크루에 의하여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수평회전판(200)은 원판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승강안내공(210)이 형성된다.
상기 수평회전지지수단(300)은 상기 대차(100)의 바닥판(120) 상면에 설치되며 서로 직경을 달리하는 한 쌍의 안내링부재(310, 320)와, 상기 한 쌍의 안내링부재(310, 320) 사이에 형성되는 안내홈(330)과, 상기 수평회전판(200)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안내링부재(310, 320)와 안내홈(330)에 의하여 안내되는 복수개(도면에서는 4개)의 안내롤러(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안내롤러(340)는 상기 수평회전판(200)의 하면에 고정되는 지지편(350)에 롤러축(360)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복수개의 안내롤러(340)은 주행방향이 한 쌍의 안내링부재(310, 320)과 안내홈(330)의 법선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안내롤러(340)가 한 쌍의 안내링부재(310, 320)과 안내홈(330)에 의하여 원활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지부재(400)는 상기 승강안내공(210)을 통해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본체부(410)와, 상기 본체부(41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하단이 첨예한 복수개의 착지편(4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착지편(420)은 표척이 설치되어야 하는 지상기준점, 제1지점, 제2지점, 제3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착지된다.
상기 표척지지부재(500)는 상기 착지부재(400)의 본체부(410) 상단에 결합되는 환봉부재로 형성된다.
상기 표척지지부재(500)는 착지부재(40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하거나 별로도 제작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표척지지부재(500)의 표척지지홈(510)에는 하부표척(11)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지지된다.
또한 상기 표척지지부재(500)의 표척지지홈(510)에 삽입된 표척(10)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표척지지부재(500)의 상단부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는 나사홀(미도시)과, 상기 나사홀(미도시)에 체결되어 표척지지홈(510)에 삽입된 표척(10)을 조이는 스크루(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구동수단(600)은 상기 수평회전판(200)의 상면에 장착된 구동모터(610)와, 상기 구동모터(610)의 모터축(620)에 결합되는 구동기어(630)와, 상기 표척지지부재(50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랙기어(640)와, 상기 수평회전판(200)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구동기어(630)와 랙기어(640)에 맞물리는 전동기어(6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기어(630)와 전동기어(650)은 평기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랙기어(640)는 각 치부(tooth)가 원주를 따라 형성되어 랙기어의 역할을 함과 아울러 랙기어(640)와 전동기어(650)가 맞물린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수평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랙기어(640)는 상기 표척지지부재(500)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하거나 별도로 제작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모터축(620)은 지지편(621)에 의하여 수평회전판(20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전동기어(650)은 수평회전판(200)의 상에 지지편(652)에 의하여 지지되는 회전축(651)에 결합된다.
상기 수평회전판(200)의 상면에는 상기 구동모터(6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660)가 설치되고, 상기 운반손잡이(140)의 상단 일측에는 상기 배터리(660)와 상기 구동모터(610)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구동모터(610)의 전원을 온오프함과 아울러 구동모터(610)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모터스위치(670)가 구비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측지측량용 표척의 지면 고정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측지측량용 표척의 지면 고정 장치는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표척수가 표척(10)을 지상기준점(a0), 제1지점(a1), 제2지점(a2), 제3지점(a3) 등으로 이동시켜 착지부재(400)를 지면에 착지한 상태에서 기계수가 레벨기를 이용하여 표척(10)의 눈금을 읽어 측지측량하는 데에 사용하게 된다.
이때, 대차(100)를 이용하여 표척(10)을 각 지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표척수의 작업피로도를 경감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측지측량용 표척의 지면 고정 장치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착지부재(400)와 이에 지지된 표척(10)을 상승시켜 착지부재(400)의 착지편(420)이 지면에 닿지 않도록 하고, 표척수가 대차(100)를 운반손잡이(140)를 이용하여 이동시킬 수 있으며, 지상기준점(a0), 제1지점(a1), 제2지점(a2), 제3지점(a3) 등으로 이동한 후에는 착지부재(400)와 이에 지지된 표척(10)을 하강시켜 착지부재(400)의 착지편(420)이 지면에 닿거나 박히게 하여 측지측량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측지측량용 표척의 지면 고정 장치를 이동하는 경우에는, 표척수가 운반손잡이(140)에 설치된 모터스위치(670)를 조작하여 구동모터(610)가 정면에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면, 구동모터(610)의 모터축(620)에 결합된 구동기어(6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전동기어(6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전동기어(650)에 맞물려 있는 랙기어(640)가 상승하게 되며, 랙기어(640)와 결합된 표척지지부재(500)가 상승하게 되고, 표척지지부재(500)의 하단에 결합된 착지부재(400)와 표척지지부재(500)에 지지된 표척(10)이 상승하게 되어 착지부재(400)의 착지편(420)이 지면에 닿지 않게 된다(도 4 참조).
측지측량용 표척의 지면 고정 장치가 지상기준점(a0), 제1지점(a1), 제2지점(a2), 제3지점(a3) 등으로 이동한 후에는 표척수가 운반손잡이(140)에 설치된 모터스위치(670)를 조작하여 구동모터(610)가 정면에서 볼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면, 구동모터(610)의 모터축(620)에 결합된 구동기어(6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전동기어(65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전동기어(650)에 맞물려 있는 랙기어(640)가 하강하게 되며, 랙기어(640)와 결합된 표척지지부재(500)가 상승하게 되고, 표척지지부재(500)의 하단에 결합된 착지부재(400)와 표척지지부재(500)에 지지된 표척(10)이 하강하게 되어 착지부재(400)의 착지편(420)이 지면에 닿게 되거나 지면에 박히게 된다(도 5 참조).
예컨대 표척(10)이 제1지점(a1)에 위치한 경우, 표척(10)의 전면은 제1지점(a1)의 좌측인 제1관측점(b1)에 위치한 레벨기를 향하게 되고, 표척(10)의 후면은 제1지점(a1)의 우측인 제2관측점(b2)에 위치한 레벨기를 향하게 된다.
이때, 운반손잡이(140)는 레벨기가 위치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운반손잡이(140)에 의하여 표척(10)의 눈금(13, 14)이 가리지 않도록 한다.
즉, 표척(10)이 제1지점(a1)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관측점(b1)에 위치한 레벨기에 의하여 측정하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척(10)의 전면이 좌측, 즉 제1관측점(b1)의 레벨기를 향하도록 하고, 운반손잡이(140)는 표척(10)의 전면을 가리지 않도록 우측에 위치하도록 하며, 제2관측점(b2)에 위치한 레벨기에 의하여 측정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척(10)의 후면이 우측, 즉 제2관측점(b2)의 레벨기를 향하도록 하고, 운반손잡이(140)는 표척(10)의 후면을 가리지 않도록 좌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착지부재(400)의 착지편(420)이 제1지점(a1)에 착지되고 표척(10)의 전면이 제1관측점(b1)의 레벨기를 향하며 운반손잡이(140)가 우측을 향하는 상태에서 제1관측점(b1)의 레벨기에 의한 측정이 종료되고, 기계수가 레벨기를 제2관측점(b2)로 이동시켜 거치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 착지부재(400)와 표척지지부재(500) 및 표척(10)은 제1지점(a1)에 고정된 상태에서 대차(100)를 180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운반손잡이(140)이 좌측을 향하도록 하여 운반손잡이(140)가 표척(10)의 후면을 가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착지부재(400)의 착지편(420)이 지면에 닿거나 박혀 있는 상태에서 착지부재(400)에 결합된 표척지지부재(500)와 표척지지부재(500)에 지지된 표척(10)은 제자리에 고정된 상태로 되고, 표척수가 운반손잡이(140)를 잡고 대차(100)를 제자리에서 180도 회전시키면, 수평회전판(200)과 대차(100)는 대차(100)의 바닥판(120) 상면에 설치되며 서로 직경을 달리하는 한 쌍의 안내링부재(310, 320)와, 한 쌍의 안내링부재(310, 320) 사이에 형성되는 안내홈(330)과, 수평회전판(200)의 하면에 설치되어 한 쌍의 안내링부재(310, 320)와 안내홈(330)에 의하여 안내되는 복수개의 안내롤러(340)를 포함하는 수평회전지지수단(300)에 의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착지부재(400), 표척지지부재(500), 수평회전판(200) 및 표척(10)은 제자리에 고정되고 대차(100)만 180도 회전하여 표척(10)의 좌측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수평회전판(200)이 대차(100)와 함께 회전하게 되는 경우, 수평회전지지수단(300)을 구성하는 안내홈(330)과 안내롤러(340)에 흙이나 모래가 끼어들어가서 제기능을 하지 못하게 된 경우, 대차(100)와 수평회전판(200)이 함께 회전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는바, 이 경우 상기 랙기어(640)는 각 치부가 원주를 따라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동기어(650)이 랙기어(640)에 맞물린 상태에서 수평회전판(200)과 구동모터(610)와 구동기어(630) 및 전동기어(650)가 회전할 수 있게 되므로 대차(100)의 회전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표척의 방향 전환시 표척이 원래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측정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측정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표척 100 : 대차
110 : 사각프레임 120 : 바닥판
130 : 운반손잡이 140 : 복개판
200 : 수평회전판 210 : 승강안내공
300 : 수평회전지지수단 310, 320 : 안내링부재
330 : 안내홈 340 : 안내롤러
400 : 착지부재 410 : 본체부
420 : 착지편 500 : 표척지지부재
510 : 표척지지홈 600 : 승강구동수단
610 : 구동모터 630 : 구동기어
640 : 랙기어 650 : 전동기어
660 : 배터리 670 : 모터스위치

Claims (1)

  1. 대차(100)와; 상기 대차(100)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회전판(200)과; 상기 수평회전판(200)을 수평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평회전지지수단(300)과; 상기 수평회전판(20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착지부재(400)와; 상기 착지부재(400)의 상부에 결합되며 표척(10)의 하단부가 삽입고정되는 표척지지홈(510)이 구비된 표척지지부재(500)와; 상기 착지부재(400)와 표척지지부재(500)를 승강구동하는 승강구동수단(6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대차(100)는 사각프레임(110)과, 상기 사각프레임(110)의 하단에 결합되며 통공(121)이 형성된 바닥판(120)과, 상기 사각프레임(110)의 하면에 설치되는 4개의 차륜(130)과, 상기 사각프레임(110)에 결합되는 운반손잡이(140)와, 상기 수평회전판(200)의 상방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복개판(15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평회전판(200)은 원판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승강안내공(210)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회전지지수단(300)은 상기 대차(100)의 바닥판(120) 상면에 설치되며 서로 직경을 달리하는 한 쌍의 안내링부재(310, 320)와, 상기 한 쌍의 안내링부재(310, 320) 사이에 형성되는 안내홈(330)과, 상기 수평회전판(200)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안내링부재(310, 320)와 안내홈(330)에 의하여 안내되는 복수개의 안내롤러(3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착지부재(400)는 상기 승강안내공(210)을 통해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본체부(410)와, 상기 본체부(41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하단이 첨예한 복수개의 착지편(420)으로 구성되며,
    상기 승강구동수단(600)은 상기 수평회전판(200)의 상면에 장착된 구동모터(610)와, 상기 구동모터(610)의 모터축(620)에 결합되는 구동기어(630)와, 상기 표척지지부재(50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랙기어(640)와, 상기 수평회전판(200)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구동기어(630)와 랙기어(640)에 맞물리는 전동기어(6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기어(630)와 전동기어(650)은 평기어로 구성되며, 상기 랙기어(640)는 각 치부가 원주를 따라 형성되어 랙기어의 역할을 함과 아울러 랙기어(640)와 전동기어(650)가 맞물린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수평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평회전판(200)의 상면에는 상기 구동모터(6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660)가 설치되고, 상기 운반손잡이(140)의 상단 일측에는 상기 배터리(660)와 상기 구동모터(610)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구동모터(610)의 전원을 온오프함과 아울러 구동모터(610)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모터스위치(67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측지측량용 표척의 지면 고정 장치.
KR1020170087177A 2017-07-10 2017-07-10 측지측량용 표척의 지면 고정 장치 KR101813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177A KR101813562B1 (ko) 2017-07-10 2017-07-10 측지측량용 표척의 지면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177A KR101813562B1 (ko) 2017-07-10 2017-07-10 측지측량용 표척의 지면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3562B1 true KR101813562B1 (ko) 2018-01-02

Family

ID=61004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7177A KR101813562B1 (ko) 2017-07-10 2017-07-10 측지측량용 표척의 지면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3562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803B1 (ko) 2018-11-07 2019-01-22 주식회사 한국에스지티 다지점 표고측량과 동시에 지형분석이 가능한 지형측량시스템
KR101940801B1 (ko) 2018-11-07 2019-01-22 주식회사 한국에스지티 도해수준측량을 위한 원거리 표고측량 기능의 수준측량장치
KR101941656B1 (ko) 2018-10-23 2019-01-24 (주)신한항업 정확도 향상 수준측량용 표척기구
KR101949784B1 (ko) 2018-10-22 2019-02-19 새한항업(주) 레벨기와 드론을 활용한 정확도 향상 측지측량장치
KR101949785B1 (ko) 2018-10-22 2019-02-19 새한항업(주) 전시 후시 이동이 편리한 측지측량시스템
KR101949787B1 (ko) 2018-10-22 2019-02-19 새한항업(주) 현장에서의 원거리 표고측량을 위한 수준측량장치
KR101950967B1 (ko) 2018-11-08 2019-02-22 주식회사 동신지티아이 수준측량의 정밀측정 및 수집이 가능한 표척기구
KR101951718B1 (ko) 2018-11-08 2019-02-25 주식회사 동신지티아이 야간수준측량 기능의 정밀측량장치
KR101960297B1 (ko) 2018-10-25 2019-03-20 (주)동광지엔티 측정데이터의 오류확인이 가능한 정밀수준측량장치
KR101960296B1 (ko) 2018-10-25 2019-03-20 (주)동광지엔티 수준점과 기준점 측량용 휴대형 측지측량장치
CN113028953A (zh) * 2020-12-16 2021-06-25 佛山市顺德区赢辉市政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新型基坑检测仪
KR102549183B1 (ko) * 2023-01-17 2023-06-29 주식회사 이화엔지니어링 회전기능을 갖춘 측지측량용 스타프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942B1 (ko) 2010-01-28 2011-10-18 (주)해양정보기술 수준 측량용 표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942B1 (ko) 2010-01-28 2011-10-18 (주)해양정보기술 수준 측량용 표척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9785B1 (ko) 2018-10-22 2019-02-19 새한항업(주) 전시 후시 이동이 편리한 측지측량시스템
KR101949787B1 (ko) 2018-10-22 2019-02-19 새한항업(주) 현장에서의 원거리 표고측량을 위한 수준측량장치
KR101949784B1 (ko) 2018-10-22 2019-02-19 새한항업(주) 레벨기와 드론을 활용한 정확도 향상 측지측량장치
KR101941656B1 (ko) 2018-10-23 2019-01-24 (주)신한항업 정확도 향상 수준측량용 표척기구
KR101960296B1 (ko) 2018-10-25 2019-03-20 (주)동광지엔티 수준점과 기준점 측량용 휴대형 측지측량장치
KR101960297B1 (ko) 2018-10-25 2019-03-20 (주)동광지엔티 측정데이터의 오류확인이 가능한 정밀수준측량장치
KR101940801B1 (ko) 2018-11-07 2019-01-22 주식회사 한국에스지티 도해수준측량을 위한 원거리 표고측량 기능의 수준측량장치
KR101940803B1 (ko) 2018-11-07 2019-01-22 주식회사 한국에스지티 다지점 표고측량과 동시에 지형분석이 가능한 지형측량시스템
KR101950967B1 (ko) 2018-11-08 2019-02-22 주식회사 동신지티아이 수준측량의 정밀측정 및 수집이 가능한 표척기구
KR101951718B1 (ko) 2018-11-08 2019-02-25 주식회사 동신지티아이 야간수준측량 기능의 정밀측량장치
CN113028953A (zh) * 2020-12-16 2021-06-25 佛山市顺德区赢辉市政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新型基坑检测仪
CN113028953B (zh) * 2020-12-16 2023-12-08 佛山市顺德区赢辉市政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新型基坑检测仪
KR102549183B1 (ko) * 2023-01-17 2023-06-29 주식회사 이화엔지니어링 회전기능을 갖춘 측지측량용 스타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3562B1 (ko) 측지측량용 표척의 지면 고정 장치
KR102130436B1 (ko) 측량용 표척 충격 보호 시스템
KR101349377B1 (ko) 측지측량용 표척의 정밀계측을 위한 안정적인 설치장치
KR101809648B1 (ko) 측지측량을 위한 타겟의 자동 수직 유지장치
KR101464168B1 (ko) 수준측량용 스타프 표시 장치
CN211118547U (zh) 一种室外环境检测仪器的支撑装置
CN211346581U (zh) 一种建筑施工用测绘尺
CN213041222U (zh) 一种用于建筑装饰装修的水平仪
CN214747923U (zh) 一种建筑施工用倾斜度测量装置
CN112611358A (zh) 一种带有数显功能的测量用水平仪及其使用方法
CN210719172U (zh) 地理信息数据采集用全站仪支架调节装置
CN209991908U (zh) 一种便于携带的长度测量装置
CN221006353U (zh) 一种建筑施工垂直检测装置
CN210626424U (zh) 一种空气检测装置
CN211262234U (zh) 一种测绘仪用测距结构
CN220706954U (zh) 一种工程测量仪器用支架
CN112556648B (zh) 一种地形测绘辅助设备
CN216447745U (zh) 一种建筑工程造价用测绘装置
CN213932490U (zh) 一种建筑工程垂直度检测装置
CN220433598U (zh) 一种用于水利工程的地基检测装置
CN210374967U (zh) 一种工件变形量测量装置
CN210862672U (zh) 一种便于调节激光指向方向的全站仪
CN219301619U (zh) 一种建筑现场用测绘装置
CN117889828B (zh) 一种国土规划用坡度测量工具
CN214096017U (zh) 一种带有数显功能的测量用水平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