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1656B1 - 정확도 향상 수준측량용 표척기구 - Google Patents

정확도 향상 수준측량용 표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1656B1
KR101941656B1 KR1020180126983A KR20180126983A KR101941656B1 KR 101941656 B1 KR101941656 B1 KR 101941656B1 KR 1020180126983 A KR1020180126983 A KR 1020180126983A KR 20180126983 A KR20180126983 A KR 20180126983A KR 101941656 B1 KR101941656 B1 KR 101941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vertical bar
leveling
point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상태
이승훈
유기석
원성준
Original Assignee
(주)신한항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한항업 filed Critical (주)신한항업
Priority to KR1020180126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6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6Surveyors' staffs; Movable mark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척수가 스타프 운반수단(100)을 이용해 인바스타프(200)를 쉽고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는 정확도 향상 수준측량용 표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수직부의 양측면 전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스토퍼가 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배치됨에 따라 스토퍼와 지지부의 상호 작용(지지부에 의해 스토퍼의 이동이 제한됨)에 의해 수직부의 전후이동을 제한할 수 있어 비교적 안정된 상태에서 인바스타프를 운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정확도 향상 수준측량용 표척기구{Staff Equipment For Leveling}
본 발명은 표척수의 작업 피로도를 줄일 수 있으면서 근골격계 부상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는 정확도 향상 수준측량용 표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토목설계나 건축설계 등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측지측량이 이루어져야 한다. 측지측량이란 수평거리와 고저차 및 방향을 측정하여 각 측정점들 상호 간의 위치를 결정하여 이를 도면이나 수치로 표시하고, 현장에서 측설하는 제반 활동을 말하며, 이러한 측지측량 가운데 수준(level) 측량은 인바스타프와 레벨기를 이용하여 두 지점 간의 높이 차를 구하는 측량을 말한다.
상기 인바스타프와 레벨기를 이용하여 수준을 측량하는 방법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13562호의 종래 기술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으며,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단계로, 표척수(標尺手)가 고도를 알고 있는 지상기준점에 인바스타프를 세우고, 기계수(機械手)는 일정 거리 떨어진 제1관측점에서 레벨기로 인바스타프의 눈금을 읽는다.
제2단계로, 표척수가 제1지점으로 이동하여 인바스타프를 세우고, 기계수가 제1지점의 표척 눈금을 읽는다. 여기서 지상기준점과 제1지점에서 읽은 눈금의 차와 지상기준점의 고도로부터 제1지점의 고도를 구한다.
제3단계로, 기계수는 제1지점 뒤의 제2관측점으로 이동하고, 표척수가 인바스타프를 제자리(제1지점)에서 방향 전환시켜 인바스타프가 레벨기를 바라보도록 하면 기계수가 제2관측점에서 레벨기로 제1지점의 표척 눈금을 읽는다.
제4단계로, 표척수가 제2지점으로 이동하여 인바스타프를 세우고, 기계수가 제2관측점에서 제2지점의 표척 눈금을 읽는다. 여기서 제2관측점에서 읽은 제1지점과 제2지점의 눈금 차이로부터 제2지점의 고도를 구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인바스타프와 레벨기를 계속하여 이동시키면서 각 지점의 표척과 각 관측점에서의 레벨기의 방향을 전환시켜 눈금을 읽어 목표지점까지 각 지점의 고도를 구한다.
한편, 넓은 지역을 측지측량하는 경우 표척수는 무거운 인바스타프를 들고 각 지점으로 이동해야 했기 때문에 표척수의 작업 피로도가 극심하게 되고, 작업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1. 등록특허 제10-1813562호(측지측량용 표척의 지면 고정장치/2017.12.2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표척수의 작업 피로도를 줄일 수 있으면서 근골격계 부상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는 정확도 향상 수준측량용 표척기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표척수가 입을 수 있도록 된 조끼와, 조끼에 설치되어 표척수의 어깨로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해주며 어깨와 밀착되는 하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호 형상의 완충패드와, 완충패드의 상면에 설치되어 완충패드에 의해 지지되는 호 형상의 받침판과, 받침판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부, 바닥부의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부로 구성된 거치대로 이루어진 스타프 운반수단;
거치대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며 전면 길이방향을 따라 높이를 표시하는 눈금이 형성된 수직바와, 수직바의 측면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수직바의 전후이동을 제한하는 고정핀, 고정핀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부시로 구성된 스토퍼와, 수직바의 하면에 고정되는 고무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며 관통홀이 형성된 어댑터와, 상면에 형성된 고정돌기를 매개로 관통홀에 끼워져 수직바를 지지하는 금속재질의 하부고정대와, 수직바에 설치되어 수직바가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수직바와 직교되게 수직바의 후면에 설치되어 수직바의 수직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기로 구성된 인바스타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의하면, 표척수가 스타프 운반수단을 이용해 인바스타프를 쉽고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수직부의 양측면 전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스토퍼가 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배치됨에 따라 스토퍼와 지지부의 상호 작용(지지부에 의해 스토퍼의 이동이 제한됨)에 의해 수직부의 전후이동을 제한할 수 있어 비교적 안정된 상태에서 인바스타프를 운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스토퍼와 지지부의 상호 작용(지지부에 의해 스토퍼의 이동이 제한됨)에 의해 인바스타프의 시소운동이 제한됨에 따라 완충패드로 균일한 하중이 전달되므로 운반시의 피로도를 비교적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확도 향상 수준측량용 표척기구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확도 향상 수준측량용 표척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확도 향상 수준측량용 표척기구의 평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정확도 향상 수준측량용 표척기구에서 인바스타프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결합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정확도 향상 수준측량용 표척기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확도 향상 수준측량용 표척기구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확도 향상 수준측량용 표척기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확도 향상 수준측량용 표척기구의 평면도이며,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정확도 향상 수준측량용 표척기구에서 인바스타프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결합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수준측량용 표척기구는 스타프 운반수단(100)과 인바스타프(200)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표척수가 스타프 운반수단(100)을 이용해 인바스타프(200)를 쉽고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스타프 운반수단(100)은 인바스타프(200)를 어깨에 이고 운반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조끼(110)와 완충패드(120), 받침판(130) 및 거치대(140)로 구성된다.
상기 조끼(110)는 표척수가 입고 벗을 수 있는 상의로서, 조끼(110)의 어깨선 부위에는 내피와 외피 사이로 완충패드(120)와 받침대(130) 및 거치대(140)가 순차적으로 인입되고, 조끼(110)의 내피와 외피 및 완충패드(120)와 받침대(130)는 접착제 및 박음질에 의해 상호 고정되며, 거치대(140)는 조끼(110)의 외피를 관통해 상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완충패드(120)는 거치대(140) 및 받침판(130)을 통해 표척수의 어깨로 전달되는 인바스타프(200)의 하중을 완충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완충패드(120)는 두툼한 섬유로 구성될 수도 있고, 고무나 실리콘과 같이 압축과 복원력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일반적인 사람의 어깨는 경사져 있기 때문에 완충패드(120)를 어깨에 배치하게 되면 어깨의 경사를 따라 기울어지게 되며, 이로 인해 인바스타프(200) 역시 경사지게 배치됨에 따라 정확하게 받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신체적인 특성을 고려해 완충패드(120)의 제작시 표척수의 어깨를 감싸도록 제작하되, 상면은 수평되게 형성하면서 어깨가 밀착되는 하면은 경사지게 형성해 주었다.
즉, 표척수의 목쪽에서 팔쪽으로 갈수록 더 두꺼워지게 완충패드(120)를 제작하였으며, 이에 따라 인바스타프(200)를 수평한 상태에서 받칠 수 있기 때문에 하중을 비교적 고르게 완충할 수 있어 표척수의 작업 피로도를 크게 경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받침판(130)은 합성수지와 같은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한 부재로서, 완충패드(120)의 만곡된 상면에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인바스타프(200)의 하중을 완충패드(12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받침판(130)과 완충패드(120)는 면 접촉한다.
상기 거치대(140)는 받침판(130)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인바스타프(200)를 감싸 지지해주는 부재로서, 바닥부(141)와 지지부(142)로 구성된다.
상기 바닥부(141)는 받침판(13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인바스타프(200)를 구성하는 수직부(210)를 지지한다.
상기 지지부(142)는 바닥부(141)의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바닥부(141)에 얹혀진 수직부(210)의 양측면에 맞대어지며, 수직부(210)의 인·입출을 가이드하면서 횡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수직부(210)의 양측면 전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스토퍼(220)가 지지부(142)를 사이에 두고 배치됨에 따라 스토퍼(220)와 지지부(142)의 상호 작용(지지부에 의해 스토퍼의 이동이 제한됨)에 의해 수직부(210)의 전후이동을 제한할 수 있어 비교적 안정된 상태에서 인바스타프(200)를 운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220)와 지지부(142)의 상호 작용(지지부에 의해 스토퍼의 이동이 제한됨)에 의해 인바스타프(200)의 시소운동이 제한됨에 따라 완충패드(120)로 균일한 하중이 전달되므로 운반시의 피로도를 비교적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인바스타프(200)는 표척지점에 세워져 높이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수직바(210)와 스토퍼(220), 어댑터(230), 하부고정대(240), 한 쌍의 지지대(250) 및 수평기(260)로 구성된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수직바(210)는 길이가 길고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가진 금속재질의 사각형상의 바(bar)로서, 전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높이를 표시하는 눈금(숫자 및 바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음)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220)는 수직바(210)의 양측면 전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수직바(210)와 거치대(140)의 상호 결합시 수직바(210)의 전후이동 및 시소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토퍼(220)는 고정핀(221)과 부시(222)로 구성되는데, 고정핀(221)은 수직바(210)의 양측면 전후방에 각각 돌출되게 설치되어 거치대(140)에 삽입된 수직바(210)의 전후이동을 제한하고, 부시(222)는 고정핀(221)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거치대(140)의 내측으로 수직부(210)가 인·입출될 때 마찰을 감소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220)의 역할에 대해 좀 더 살펴보면, 수직부(210)의 양측면 전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스토퍼(220)가 지지부(142)를 사이에 두고 배치됨에 따라 스토퍼(220)와 지지부(142)의 상호 작용(지지부에 의해 스토퍼의 이동이 제한됨)에 의해 수직부(210)의 전후이동을 제한할 수 있어 비교적 안정된 상태에서 표척수는 인바스타프(200)를 운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220)와 지지부(142)의 상호 작용(지지부에 의해 스토퍼의 이동이 제한됨)에 의해 인바스타프(200)의 시소운동이 제한됨에 따라 완충패드(120)로 균일하게 하중이 전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운반시의 피로도를 비교적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어댑터(230)는 고무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해 제작한 것으로서, 수직바(210)의 하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고정대(240)의 고정돌기(241)가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관통홀(231)을 구비한다.
상기 하부고정대(240)는 금속재질을 이용하여 제작한 반구형상의 부재로서, 상면에는 어댑터(230)의 관통홀(231)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고정돌기(241)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하부고정대(240)는 어댑터(230)의 하부에 끼워져 수직바(210)를 지지한다. 특히, 상기 고정돌기(241)의 상단부는 반구형으로 되어 있어 수직바(210)의 하면과 점 접촉하며, 이에 따라 수직바(210)는 위치설정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지지대(250)는 수직바(210)에 설치되어 수직바(210)가 연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대(250)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로서, 수직바(210)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바(151)와, 제1바(151)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바(152) 및 제1바(151)와 제2바(152) 사이에 형성되어 제2바(152)의 이동을 단속하는 고정구(153)로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지지대(250)는 수직바(210)와 함께 삼각형태로 배치됨에 따라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상기 수평기(260)는 수직바(210)의 타면(후면)에 설치되어 수직바(210)와 직교를 이룬다. 상기 수평기(260)는 내부에 있는 수포를 이용해 수직바(210)를 연직으로 맞춰주기 위한 정밀보조기구로서, 수포를 중앙에 위치한 원에 넣은 상태에서 한 쌍의 지지대(250)로 수직바(210)를 지지해 주게 되면 수직바(210)를 연직상태로 만들어줄 수 있기 때문에 수준측량작업의 정밀도를 보다 향상시켜 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정확도 향상 수준측량용 표척기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표척수는 고도를 알고 있는 지상기준점(a0)에 인바스타프(200)를 세워주면 되는데,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인바스타프(200)를 구성하는 하부고정대(240)를 지상기준점(a0)에 배치한 다음, 하단에 결합된 어댑터(230)를 매개로 하부고정대(240)에 수직바(210)를 세워주고, 수직바(210)에 설치된 수평기(260:도 4b 참조)를 이용하여 수직바(210)의 연직상태를 확인하면서 지지대(250)를 고정해 인바스타프(200)의 설치를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인바스타프(200)의 설치가 완료되면, 기계수는 일정 거리 떨어진 제1관측점(b1)에서 레벨기(Lv)로 인바스타프(200)의 높이를 확인한다.
상기 지상기준점(a0)에서의 높이 확인이 완료되면, 표척수는 인바스타프(200)를 기울인 다음 인바스타프(200)의 수직부(210)가 스타프 운반수단(100)을 구성하는 거치대(140)에 인입될 수 있게 끼워준다.
상기와 같이 인바스타프(200)의 수직부(210)가 거치대(140)에 끼워진 상태에서 표척수는 허리를 곧추세워 인바스타프(200)가 평행하게 눕혀지도록 만들어준다.
이때 거치대(140)와, 거치대(140)를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된 스토퍼(220)의 상호 작용에 의해 인바스타프(200)의 전후이동 및 시소운동 그리고 횡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제한됨에 따라 작업자는 보다 안정된 상태에서 인바스타프(200)를 다음 제1지점(a1)으로 운반할 수 있다.
특히, 인바스타프(200)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은 어깨를 감싸고 있는 완충패드(120)가 이를 완충해 줌에 따라 표척수의 작업 피로도를 줄일 수 있으면서 근골격계 부상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지점(a1)에 도착하면 표척수는 우선 들고 있던 하부고정체(130)를 제1지점(a1)에 배치하고, 거치대(140)에 인입되어 있던 인바스타프(200)를 바닥에 내려준 다음 인바스타프(200)를 거치대(140)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인바스타프(200)를 구성하는 어댑터(230)와 하부고정대(240)를 상호 결합하고, 지지대(250)와 수평기(260)를 이용해 수직부(210)를 연직하게 세워준다.
상기와 같이 인바스타프(200)의 설치가 완료되면 기계수는 레벨기(Lv)를 이용해 제1지점(a1)의 높이를 확인하며, 지상기준점(a0)과 제1지점(a1)에서 읽은 높이 차로부터 제1지점(a1)의 고도를 구한다.
상기 제1지점(a1)의 고도를 구한 이후에는 기계수는 제1지점(a1) 뒤의 제2관측점(b2)으로 이동하고, 표척수가 인바스타프(200)를 제자리(제1지점)에서 방향 전환시켜 인바스타프(200)가 레벨기(Lv)를 바라보도록 하며, 기계수는 제2관측점(b2)에서 레벨기(Lv)로 제1지점(a1)의 높이를 확인한다.
그 다음 표척수는 인바스타프(200)를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2지점(a2)으로 이동한 다음 인바스타프(200)를 내려 다시 설치하고, 기계수는 제2관측점(b2)에서 제2지점(a2)의 인바스타프(200)의 높이를 확인하며, 제2관측점(b2)에서 읽은 제1지점(a1)과 제2지점(a2)의 높이 차로부터 제2지점(a2)의 고도를 구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각 지점의 고도를 구하면 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표척수가 스타프 운반수단(100)을 이용해 인바스타프(200)를 쉽고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수직부(210)의 양측면 전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스토퍼(220)가 지지부(142)를 사이에 두고 배치됨에 따라 스토퍼(220)와 지지부(142)의 상호 작용(지지부에 의해 스토퍼의 이동이 제한됨)에 의해 수직부(210)의 전후이동을 제한할 수 있어 비교적 안정된 상태에서 인바스타프(200)를 운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220)와 지지부(142)의 상호 작용(지지부에 의해 스토퍼의 이동이 제한됨)에 의해 인바스타프(200)의 시소운동이 제한됨에 따라 완충패드(120)로 균일한 하중이 전달되므로 운반시의 피로도를 비교적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스타프 운반수단 110: 조끼 120: 완충패드
130: 받침판 140: 거치대 141: 바닥부
142: 지지부 200: 인바스타프 210: 수직부
220: 스토퍼 221: 고정핀 222: 부시
230: 어댑터 231: 관통홀 240: 하부고정대
241: 고정돌기 250: 지지대 251: 제1바
252: 제2바 253: 고정구 260: 수평기
Lv: 레벨기

Claims (1)

  1. 표척수가 입을 수 있도록 된 조끼(110)와, 조끼(110)에 설치되어 표척수의 어깨로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해주며 어깨와 밀착되는 하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호 형상의 완충패드(120)와, 완충패드(120)의 상면에 설치되어 완충패드(120)에 의해 지지되는 호 형상의 받침판(130)과, 받침판(130)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부(141), 바닥부(141)의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부(142)로 구성된 거치대(140)로 이루어진 스타프 운반수단(100);
    거치대(140)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며 전면 길이방향을 따라 높이를 표시하는 눈금이 형성된 수직바(210)와, 수직바(210)의 측면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수직바(210)의 전후이동을 제한하는 고정핀(221), 고정핀(221)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부시(222)로 구성된 스토퍼(220)와, 수직바(210)의 하면에 고정되는 고무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며 관통홀(231)이 형성된 어댑터(230)와, 상면에 형성된 고정돌기(241)를 매개로 관통홀(231)에 끼워져 수직바(210)를 지지하는 금속재질의 하부고정대(240)와, 수직바(210)에 설치되어 수직바(210)가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250)와, 수직바(210)와 직교되게 수직바(210)의 후면에 설치되어 수직바(210)의 수직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기(260)로 구성된 인바스타프(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확도 향상 수준측량용 표척기구.
KR1020180126983A 2018-10-23 2018-10-23 정확도 향상 수준측량용 표척기구 KR101941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983A KR101941656B1 (ko) 2018-10-23 2018-10-23 정확도 향상 수준측량용 표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983A KR101941656B1 (ko) 2018-10-23 2018-10-23 정확도 향상 수준측량용 표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1656B1 true KR101941656B1 (ko) 2019-01-24

Family

ID=65277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983A KR101941656B1 (ko) 2018-10-23 2018-10-23 정확도 향상 수준측량용 표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165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97952A1 (en) * 2009-10-27 2011-04-28 Pirie Anthony M Water-Activated Life Jacket Safety Device
KR101494857B1 (ko) * 2014-11-04 2015-02-23 김은경 수준측량이 용이한 수준점 측량시스템
KR101813562B1 (ko) 2017-07-10 2018-01-02 태양정보시스템(주) 측지측량용 표척의 지면 고정 장치
KR101889261B1 (ko) * 2018-06-08 2018-08-16 주식회사 대신측량기술 경사지의 지점별 정밀 수준측량이 가능한 수준측량용 표척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97952A1 (en) * 2009-10-27 2011-04-28 Pirie Anthony M Water-Activated Life Jacket Safety Device
KR101494857B1 (ko) * 2014-11-04 2015-02-23 김은경 수준측량이 용이한 수준점 측량시스템
KR101813562B1 (ko) 2017-07-10 2018-01-02 태양정보시스템(주) 측지측량용 표척의 지면 고정 장치
KR101889261B1 (ko) * 2018-06-08 2018-08-16 주식회사 대신측량기술 경사지의 지점별 정밀 수준측량이 가능한 수준측량용 표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97843B (zh) 用于位置确定设备的表面检测装置
ES2642050T3 (es) Dispositivo de medición con cordón extensible y procedimiento
US20080282564A1 (en) Measurement Probe for Use in Coordinate Measuring Machines
CN103776415B (zh) 表面粗糙度测量单元和坐标测量设备
JP6168344B2 (ja) 測定機、及び、測定機の移動ガイド機構
CN1989390A (zh) 补偿摆动吊杆刚性的自动调平的激光调准工具和方法
KR101941656B1 (ko) 정확도 향상 수준측량용 표척기구
JPH05248840A (ja) 機械スタンドを構成する方法および機械スタンド
KR101960296B1 (ko) 수준점과 기준점 측량용 휴대형 측지측량장치
KR101949785B1 (ko) 전시 후시 이동이 편리한 측지측량시스템
KR101960297B1 (ko) 측정데이터의 오류확인이 가능한 정밀수준측량장치
JP2009281768A (ja) 測定装置
US7316075B2 (en) Coordinate measuring machine for metrological determination of a coordinate on a test object
SE500234C2 (sv) Maskinstativ innefattande en portal jämte sätt att bestämma geometrin hos portalen vid maskinstativets deformation
CN102331246B (zh) 坐标测量机的机床身
CN106123738A (zh) 一种基于并联柔顺机构的精密测头
JP5227548B2 (ja) 重心位置算出方法、重量取得方法、及び重心位置算出装置
CN206556592U (zh) 一种机械手臂末端执行器定位精度测量装置
CN207231489U (zh) 一种测绘用工具
KR102149842B1 (ko) 복합 수평대
JP5420504B2 (ja) 重心位置算出方法
JP2018004335A (ja) 水平器付三角定規
KR20190030819A (ko) 이동형 가공기의 기하학적 에러 보상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형 가공기
JP5665927B2 (ja) 持上計量装置
KR101949787B1 (ko) 현장에서의 원거리 표고측량을 위한 수준측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