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9183B1 - 회전기능을 갖춘 측지측량용 스타프 시스템 - Google Patents

회전기능을 갖춘 측지측량용 스타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9183B1
KR102549183B1 KR1020230006829A KR20230006829A KR102549183B1 KR 102549183 B1 KR102549183 B1 KR 102549183B1 KR 1020230006829 A KR1020230006829 A KR 1020230006829A KR 20230006829 A KR20230006829 A KR 20230006829A KR 102549183 B1 KR102549183 B1 KR 102549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ff
motor
unit
alignment
la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6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30006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91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6Surveyors' staffs; Movable mark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Bal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기능을 갖춘 측지측량용 스타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착지부와 틸팅부 및 전후방향 연직조정부와 좌우방향 연직조정부를 구비하여 측량이 진행되는 동안 표척수가 표척을 손으로 잡고 있지 않더라도 스타프를 지상기준점 또는 각 지점에 연직방향으로 정확히 거치할 수 있게 하고, 수직방향 진동이나 충격은 물론 전후좌우 수평방향의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지부와 틸팅부 및 전후방향 연직조정부와 좌우방향 연직조정부를 대차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하고 여러 대의 대차를 연결하여 지상기준점 또는 각 지점으로 이동하여 각 지상기준점 또는 각 지점에 스타프를 거치할 수 있게 하며, 표척정렬부를 구비하여 스타프와 측량기기의 방향을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게 하여 표척수 없이 기계수 1인만으로 측량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회전기능을 갖춘 측지측량용 스타프 시스템{Staff system for geodesic survey with rotational function}
본 발명은 측지측량 분야 기술 중에서, 회전기능을 갖춘 측지측량용 스타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측량이 진행되는 동안 표척수가 표척을 손으로 잡고 있지 않더라도 스타프를 지상기준점 또는 각 지점에 연직방향으로 정확히 거치할 수 있고, 수직방향 진동이나 충격은 물론 전후좌우 수평방향의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타프와 스타프를 지상기준점 또는 각 지점에 연직방향으로 정학하게 거치할 수 있게 하는 착지부와 틸팅부 및 전후방향 연직조정부와 좌우방향 연직조정부를 대차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하고 여러 대의 대차를 연결하여 지상기준점 또는 각 지점으로 이동하여 각 지상기준점 또는 각 지점에 스타프를 거치할 수 있게 하며, 표척정렬부를 구비하여 스타프와 측량기기의 방향을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게 하여 표척수 없이 기계수 1인만으로 측량이 가능하게 되도록 한 회전기능을 갖춘 측지측량용 스타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토목설계나 건축설계 등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측지측량이 이루어져야 한다.
측지측량이란 수평거리와 고저차 및 방향을 측정하여 각 측정점들 상호간의 위치를 결정하여 이를 도면이나 수치로 표시하고, 현장에서 측설하는 제반 활동을 말하는 것이다.
스타프와 레벨기를 이용하여 수준을 측량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이 이루어진다.
우선, 표척수가 스타프를 고도를 알고 있는 지상기준점에 스타프를 세우고, 기계수는 일정거리 떨어진 제1관측점에서 레벨기로 스타프의 눈금을 읽는다.
이후 표척수가 제1지점으로 이동하여 스타프를 세우고, 기계수가 제1지점 스타프의 눈금을 읽는다. 여기서 지상기준점과 제1지점에서 읽은 눈금의 차와 지상기준점의 고도로부터 제1지점의 고도가 구해진다.
다음으로 기계수는 제1지점 뒤의 제2관측점으로 이동한 후에 표척수가 스타프를 제자리에서 방향을 전환시켜 스타프가 레벨기를 바라보도록 하면 기계수는 레벨기로 스타프의 눈금을 읽는다.
이후 표척수가 제2지점으로 이동하여 스타프를 세우고, 기계수가 제2지점 스타프의 눈금을 읽는다. 여기서 제2관측점에서 읽은 제1지점과 제2지점의 눈금 차이로부터 제2지점의 고도가 구해진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스타프와 레벨기를 계속해서 이동시키고, 각 지점에서 스타프와 레벨기의 방향을 전환시켜 눈금을 읽어 목표지점까지 각 지점의 고도를 구한다.
그러나 종래의 스타프는 복수개의 눈금막대를 슬라이드 신축식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한 것으로, 측지측량 과정에서 표척수가 지면에 세우고 있는 스타프이 주변의 진동이나 충격을 받을 경우 일정 거리 떨어져 있는 레벨기에 의하여 스타프의 눈금을 읽는 과정에서 스타프가 흔들리게 되어 스타프 눈금을 정확하게 읽을 수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측량 오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스타프는 상기 제3 단계에서 표척수가 스타프의 방향을 전환하는 과정에서 스타프를 지면에서 들어 올려서 스타프의 방향을 전환한 다음 다시 스타프를 원래의 자리에 내려놓아야 하는데 이때 표척수가 스타프를 원래의 자리에 정확하게 내려놓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측량 오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1073942호(2011.10.10.) "수준 측량용 표척"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1549호(2014.01.07.) "측지측량용 표척의 충격 보호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들 기술은 측량이 진행되는 동안 표척을 연직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표척수가 표척을 손으로 잡고 있어야 하므로 표척수가 표척을 흔들림 없이 연직상태로 잡고 있는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어렵다고 할 것이며, 따라서 표척을 흔들림 없이 정확하게 연직상태로 유지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어 측량정밀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1549호 "측지측량용 표척의 충격 보호장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나, 수직방향의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는 것일 뿐 전후좌우방향의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게 되어 정확한 측량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측지측량용 표척을 사용하여 측지측량을 하는 경우, 기계수가 관측점에 측정장치를 거치하고, 기계수가 기준점 또는 여러 지점에 표척을 거치하여 측정장치가 표척을 향하게 하여 표척의 눈금을 읽는 등의 측지측량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최소한 1명과 표척수 1명의 최소한 2명의 작업인원이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표척수는 표척을 수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측지측량이 종료될 때까지 표척을 잡고 있어야 하는데 표척수가 표척을 측지측량이 종료될 때까지 수직을 유지하먼서 잡고 있는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매우 어렵기 때문에 측지측량 정밀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85334호(2022.04.06.) "측량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측지측량용 충격 보호 시스템"은 표척수가 잡고 있지 않더라도 표척을 지상기준점 또는 각 지점에 연직방향으로 정확하게 세울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제자리에서 표척의 방향을 전환하는 경우 표척을 들어 올렸다가 다시 내려놓지 않고 제자리에서 360도 방향 전환이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수직방향 진동이나 충격은 물론 전후좌우 수평방향의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하여 측량 정밀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85334호는 표척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해서 표척의 위치에는 표척수가 반드시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측량기기와 표척의 방향을 정렬하기 위해서는 표척수가 표척의 방향을 측량기기를 향해 조정해야 하므로 표척수 없이 기계수 1인만으로 측량 작업을 진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1073942호(2011.10.10.) "수준 측량용 표척"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1549호(2014.01.07.) "측지측량용 표척의 충격 보호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85334호(2022.04.06.) "측량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측지측량용 충격 보호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지부와 틸팅부 및 전후방향 연직조정부와 좌우방향 연직조정부를 구비하여 측량이 진행되는 동안 표척수가 표척을 손으로 잡고 있지 않더라도 스타프를 지상기준점 또는 각 지점에 연직방향으로 정확히 거치할 수 있고, 수직방향 진동이나 충격은 물론 전후좌우 수평방향의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지부와 틸팅부 및 전후방향 연직조정부와 좌우방향 연직조정부를 대차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하고 여러 대의 대차를 연결하여 지상기준점 또는 각 지점으로 이동하여 각 지상기준점 또는 각 지점에 스타프를 거치할 수 있게 하며, 표척정렬부를 구비하여 스타프와 측량기기의 방향을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게 하여 표척수 없이 기계수 1인만으로 측량이 가능하게 되도록 한 회전기능을 갖춘 측지측량용 스타프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승강안내공이 구비되며 대차연결구에 의해 연결 및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는 대차와; 대차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착지판, 착지판의 중앙에 설치되며 지상기준점 또는 각 지점에 중심을 두는 반구체와, 반구체와 동심을 이루며 반구체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며 착지판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단 중앙에 회동여유공이 형성되는 돔형 이탈방지캡을 구비하는 착지부와; 착지부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와; 반구체보다 작은 돔형으로 형성되어 반구체의 외주면과 돔형 이탈방지캡의 내주면 사이에 삽입되는 돔형 회동체를 구비하는 틸팅부와; 착지판의 상면 전, 후방에 장착되며 전, 후방 전후수평조정모터축이 좌우방향으로 수평설치되는 전, 후방 전후수평조정모터와, 돔형 회동체의 상단 중앙에 고정되어 돔형 이탈방지캡의 회동여유공을 통하여 상부로 연장되는 연결봉과, 연결봉의 상단에 결합되는 접촉판과, 전, 후방 전후수평조정모터축에 하단이 고정되어 상단이 접촉판의 전, 후면에 접촉하는 전, 후방 레버를 구비하는 전후방향 연직조정부와; 착지판의 상면 좌, 우측에 장착되어 좌, 우측 좌우수평조정모터축이 전후방향으로 수평설치되는 좌, 우측 좌우수평조정모터와, 좌, 우측 좌우수평조정모터축에 하단이 고정되어 상단이 접촉판의 전, 후면에 접촉하는 좌, 우측 레버를 구비하는 좌우방향 연직조정부와; 접촉판의 상면에 장착되며 정렬모터축이 수직설치되는 정렬모터를 구비하는 스타프정렬부와; 정렬모터축의 상단에 결합되는 스타프결합판과, 스타프결합판에 형성되어 스타프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스타프삽입홈을 구비하는 스타프결합부와; 스타프결합판에 설치된 승강스위치와, 스타프결합판의 상면에 부착되어 전후방향 경사와 좌우방향 경사를 감지하는 경사감지센서와; 측량기기 측에 설치되는 발광부와, 스타프의 전면에 구비된 수광부를 가지는 정렬감지센서와; 승강모터와 정렬모터를 원격조종하는 원격조종장치와; 승강스위치와 경사감지센서 및 원격조정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승강모터, 전, 후방 전후수평조정모터와 좌, 우측 좌우수평조정모터, 정렬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회전기능을 갖춘 측지측량용 스타프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는 승강스위치로부터 상승요청신호가 전달되면 상승명령을 출력하여 승강모터가 상승방향으로 가동되게 제어하고, 승강스위치로부터 하강요청신호가 전달되면 하강명령을 출력하여 승강모터가 하강방향으로 가동되게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제어부는 상승명령 후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상승중지명령을 출력하여 승강모터가 정지하게 제어하며, 하강명령 후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하강중지명령과 수평조정명령을 출력하여 승강모터가 정지됨과 아울러 경사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전, 후방 전후수평조정모터와 좌, 우측 좌우수평조정모터가 수평조정방향으로 가동되게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제어부는 원격조종송신기에서 송신된 정렬조종신호가 원격조종수신기에서 수신되어 전달되면, 정렬모터가 가동되게 제어함과 아울러 발광부가 빛을 발광하고 수광부가 수광하게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제어부는 정렬동작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발광부에서 주사된 빛이 수광부에 수광되면, 정렬모터가 정지되게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회전기능을 갖춘 측지측량용 스타프 시스템에 의하면 측량이 진행되는 동안 표척수가 표척을 손으로 잡고 있지 않더라도 스타프를 지상기준점 또는 각 지점에 연직방향으로 정확히 거치할 수 있고, 수직방향 진동이나 충격은 물론 전후좌우 수평방향의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타프와 스타프를 지상기준점 또는 각 지점에 연직방향으로 정학하게 거치할 수 있게 하는 착지부와 틸팅부 및 전후방향 연직조정부와 좌우방향 연직조정부를 대차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하고 여러 대의 대차를 연결하여 지상기준점 또는 각 지점으로 이동하여 각 지상기준점 또는 각 지점에 스타프를 거치할 수 있게 하며, 표척정렬부를 구비하여 스타프와 측량기기의 방향을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게 하여 표척수 없이 기계수 1인만으로 측량이 가능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기능을 갖춘 측지측량용 스타프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사시도,
도 2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복수개의 대차를 연결하여 이동시킬 수 있게 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제어수단의 블록도,
도 5는 수평 지면에 스타프를 거치하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후방으로 하향 경사진 지면에 스타프를 거치하는 과정을 보인 종단 우측면도,
도 7은 우방으로 하향 경사진 지면에 스타프를 거치하는 과정을 보인 종단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회전기능을 갖춘 측지측량용 스타프 시스템을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기능을 갖춘 측지측량용 스타프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기능을 갖춘 측지측량용 스타프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에서 이동 가능한 대차(100)와, 상기 대차(10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착지부(200)와, 상기 착지부(200)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300)와, 상기 착지부(200)에 틸팅 가능하게 설치되는 틸팅부(400)와, 상기 틸팅부(400)의 중심축이 연직방향으로 유지되게 조정하는 전후방향 연직조정부(500)와, 상기 틸팅부(400)의 중심축이 연직방향으로 유지되게 조정하는 좌우방향 연직조정부(600)와, 상기 틸팅부(400)의 상단에 설치되는 스타프정렬부(700)와, 상기 스타프정렬부(700)의 상단에 설치되는 스타프결합부(800)와, 상기 승강구동부(300)와 전후방향 연직조정부(500)와 좌우방향 연직조정부(600)와 스타프정렬부(700)를 제어하는 제어수단(9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대차(100)는 차대(110)와, 차대(110)의 하부에 설치된 4개의 바퀴(120)와, 차대(110)의 중앙에 형성된 승강안내공(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퀴(120)는 통상적인 의자나 캐리어 등에 사용되는 스토퍼가 구비된 캐스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주행과 스토퍼 가능을 가지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대차(100)는 여러 개를 이어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대차연결구(140)를 구비한다.
상기 대차연결구(140)는 차대(110)의 전방측 상면에 형성된 회동지지공(141)과 보관공(142)과, 차대(110)의 후방측 상면에 형성된 연결공(143)과, 회동지지공(14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동봉(145)과 보관공(142)과 연결공(143)에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연결봉(146)과 회동봉(145)과 연결봉(146)을 연결하는 연결편(147)을 가지는 연결구(144)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구(144)는 쉽게 휘어질 수 있는 고무재질로 구성되어 회동봉(145)은 회동지지공(141)에서 회동 가능하게 되고, 연결봉(146)은 보관공(142)과 연결공(143)에 쉽게 끼우고 뺄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연결구(144)는 평소에는 회동봉(145)은 회동지지공(141)에, 연결봉(146)은 보관공(142)에 끼워두고, 대차(100)를 연결하고자 할 경우에는 연결봉(146)을 보관공(142)에서 빼내어 다른 대차(100)의 연결공(143)에 끼움으로써 대차(100)를 연결하여 1인의 작업자(기계수)가 한 번에 여러 개의 스타프(10)를 이동시킬 수 있어 1인 측지측량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연결된 복수개의 대차(10)를 지상기준점 또는 각 지점(P)로 이동시킨 후에는 연결봉(146)을 연결공(143)에서 빼내어 대차(10)를 분리하고 다시 보관공(142)에 끼워 보관할 수 있다.
상기 착지부(200)는 승강안내공(130)을 통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착지판(210)과, 착지판(210)의 중앙에 설치되며 지상기준점 또는 각 지점에 중심을 두는 반구체(220)와, 반구체(220)와 동심을 이루며 반구체(22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며 착지판(210)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단 중앙에 회동여유공(231)이 형성되는 돔형 이탈방지캡(230)을 구비한다.
상기 착지판(210)과 반구체(220)는 일체로 형성하거나 착지판(210)에 결합공(211)을 형성하고 반구체(220)를 결합공(211)에 삽입하여 결합공(211)의 주위를 따라 용접하는 것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돔형 이탈방지캡(230)은 하단 외주부에 형성되는 플랜지(232)를 착지판(210)의 상면에 용접 또는 나사체결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착지판(210)의 상면과 외주면에는 지상기준점 또는 각 지점(P)에 반구체(220)의 중심을 위치시키기 위한 중심표시선(CL)을 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중심표시선(CL)은 실제 지상기준점 또는 각 지점(P)보다 착지판(210)의 두께만큼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도 2에서 중심표시선(CL)의 하부에 도시된 1점쇄선은 지상기준점 또는 각 지점(P)에 대응하는 중심선을 나타낸 것으로, 실제로 표시되는 선은 아니다.
상기 승강구동부(300)는 차대(110)의 상면 전후좌우 측에 고정되는 승강모터 마운트(310)와, 승강모터 마운트(310)에 장착되며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원통형 승강모터축(321)이 구비된 승강모터(320)와, 승강모터축(321)의 암나사부에 나사물림되며 하단이 착지판(210)에 고정되는 승강스크루(330)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모터 마운트(310)는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착지판(210)의 상한스토퍼의 역할을 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승강스크루(330)는 착지판(210)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하는 것에 의해 착지판(210)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틸팅부(400)는 반구체(220)보다 작은 돔형으로 형성되어 반구체(220)의 외주면과 돔형 이탈방지캡(230)의 내주면 사이에 삽입되는 돔형 회동체(410)를 구비한다.
상기 돔형 회동체(410)는 반구체(220)와 동심을 이루며 반구체(22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과 돔형 이탈방지캡(230)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게 구성되어 지나치게 뻑뻑하거나 느슨하지 않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틸팅부(400)는 돔형 회동체(410)에 법선방향으로 천공되는 복수개의 법선방향통공(420)과, 복수개의 법선방향통공(420)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법선방향 압축코일스프링(430)과, 복수개의 법선방향 압축코일스프링(430)의 내측단에 각각 결합되며 외주면이 반구체(220)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반구형 접촉구(440)를 구비하여 돔형 회동체(410)의 회동중심이 반구체(220)의 중심과 일치하게 구성된다.
상기 돔형 회동체(410)는 구면의 1/4정도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반구체(220)의 외주면과 돔형 이탈방지캡(230)에 대하여 전후좌우로 20도씩 틸팅(tilting) 가능함과 아울러 360도 수평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동여유공(231)은 돔형 회동체(410)와 이에 결합된 연결봉(530)(후술함)이 반구체(220)와 돔형 이탈방지캡(230)에 대하여 틸팅할 때 연결봉(530)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지상기준점 또는 각 지점이 위치하는 지면이 경사진 경우에도 후술하는 연결봉(530)과 스타프(10)가 연직상태로 조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반구형 접촉구(440)에는 상단의 원형면에 원통부(441)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 원통부(441)를 법선방향 압축코일스프링(430)의 하단부에 억지끼움하는 것에 의해 법선방향 압축코일스프링(430)의 하단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법선방향 압축코일스프링(430)은 돔형 회동체(410)의 내주면이 항상 반구체(220)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반구체(220)에 대한 돔형 회동체(410)의 틸팅작동과 수평회전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전후방향 연직조정부(500)는 착지판(210)의 상면 전, 후방에 장착되며 전, 후방 전후수평조정모터축(511, 521)이 좌우방향으로 수평설치되는 전, 후방 전후수평조정모터(510, 520)와, 돔형 회동체(410)의 상단 중앙에 고정되어 돔형 이탈방지캡(230)의 회동여유공(231)을 통하여 상부로 연장되는 연결봉(530)과, 연결봉(530)의 상단에 결합되는 접촉판(540)과, 전, 후방 전후수평조정모터축(511, 521)에 하단이 고정되어 상단이 접촉판(540)의 전, 후면에 접촉하는 전, 후방 레버(550, 560)를 구비한다.
전, 후방 전후수평조정모터(510, 520)는 착지판(21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축받이편(512, 522)에 장착되고, 전, 후방 전후수평조정모터축(511, 521)은 축받이편(512, 522)에 형성된 축공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전, 후방 레버(550, 560)의 하단에는 전, 후방 전후수평조정모터(510, 520)의 전, 후방 전후수평조정모터축(511, 521)에 결합되는 전, 후방 전후수평조정모터축 결합부(551, 561)가 형성된다.
전, 후방 전후수평조정모터축 결합부(551, 561)는 결합공을 구비하여 이 결합공에 전, 후방 전후수평조정모터축(511, 521)을 관통시키고 나사식으로 고정하는 것에 의해 전, 후방 전후수평조정모터축(511, 5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봉(530)은 돔형 회동체(410)의 상단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하여 일체화할 수 있으며, 또는 돔형 회동체(410)를 관통하는 나사를 연결봉(530)의 하면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하는 것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연결봉(530)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531)가 형성된 나사봉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접촉판(540)은 상면에 요홈(541)이 형성되고 요홈(541)의 바닥 중앙에는 관통공(542)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봉(530)과 접촉판(540)은 연결봉(530)을 관통공(542)에 관통시키고, 수나사부(531)에 너트(532)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접촉판(540)의 상면에는 요홈(541)이 형성되어 있어 연결봉(530)의 상단과 너트(532)가 접촉판(540)의 상면보다 위로 돌출되지 않게 되어, 추후 스타프결합부(800)를 설치하는 데에 지장이 없게 구성된다.
또한 연결봉(530)에는 하단이 돔형 회동체(410)의 상면에 지지되고 상단이 접촉판(540)의 하면에 지지되는 수직방향 압축코일스프링(570)이 씌워진다.
상기 좌우방향 연직조정부(600)는 착지판(210)의 상면 좌, 우측에 장착되어 좌, 우측 좌우수평조정모터축(611, 621)이 전후방향으로 수평설치되는 좌, 우측 좌우수평조정모터(610, 620)와, 좌, 우측 좌우수평조정모터축(611, 621)에 하단이 고정되어 상단이 접촉판(540)의 전, 후면에 접촉하는 좌, 우측 레버(650, 660)를 구비한다.
좌, 우측 좌우수평조정모터(610, 620)는 착지판(21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축받이편(612, 622)에 장착되고, 좌, 우측 좌우수평조정모터축(611, 621)은 축받이편(612, 622)에 형성된 축공(613, 62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연결봉(530)과 접촉판(540) 및 수직방향 압축코일스프링(570)은 전후방향 연직조정부(500)와 좌우방향 연직조정부(600)가 공유하게 구성된다.
상기 접촉판(540)의 전후좌우 가장자리는 전, 후방 레버(550, 560)와 좌, 우측 레버(650, 660)와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기 위하여 라운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타프정렬부(700)는 접촉판(540)의 상면에 장착되며 정렬모터축(711)이 수직설치되는 정렬모터(710)를 구비한다.
상기 정렬모터(710)는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712)에 나사를 관통시켜 접촉판(540)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하는 것에 의해 접촉판(540)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스타프결합부(800)는 정렬모터축(711)의 상단에 결합되는 스타프결합판(810)과, 스타프결합판(810)에 형성되어 스타프(10)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스타프삽입홈(820)을 구비한다.
상기 스타프결합판(810)은 스타프삽입홈(820)의 바닥부를 관통하는 나사를 정렬모터축(711)의 상단에 형성되는 나사홀에 체결하는 것에 의해 정렬모터축(711)에 결합할 수 있다. 이때 나사는 나사머리가 스타프삽입홈(820)의 바닥면에서 돌출되지 않게 접시머리나사를 사용하고 나사홀은 카운터싱킹보어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스타프삽입홈(820)에 스타프(10)의 하단을 삽입하였을 때 스타프결합판(810)의 하면이 스타프(10)의 전후면과 좌우면에 대하여 직각을 이룰 수 있게 구성된다.
도시예와 같이 스타프(10)가 하부척대(11)와 상부척대(12)로 구성되는 경우 하부척대(11)의 하단부를 스타프결합판(810)의 스타프삽입홈(820)에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으며, 스타프(10)가 단일 척대로 구성되는 경우 단일 척대의 하단부를 스타프삽입홈(820)에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스타프결합판(810)에 나사홀(831)을 형성하고 이 나사홀(831)에 체결되는 나사(832)를 스타프(10)의 전후좌우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밀착시킴으로써 스타프삽입홈(820)에 삽입된 스타프(10)가 쉽게 이탈되지 않고 결합되게 할 수 있다.
상기 나사(832)는 나비나사를 사용함으로써 작업자가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조이고 풀 수 있다.
상기 제어수단(900)은 스타프결합판(810)에 설치된 승강스위치(SW)와, 스타프결합판(810)의 상면에 부착되어 전후방향 경사와 좌우방향 경사를 감지하는 경사감지센서(910)와; 측량기기 측에 설치되는 발광부(921)와, 스타프(10)의 전면에 구비된 수광부(922)를 가지는 정렬감지센서(920)와; 승강모터(320)와 정렬모터(710)를 원격조종하는 원격조종장치(930)와; 승강스위치(SW)와 경사감지센서(910) 및 원격조정장치(93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승강모터(320), 전, 후방 전후수평조정모터(510, 520)와 좌, 우측 좌우수평조정모터(610, 620), 정렬모터(710)를 제어하는 제어부(940)를 구비한다.
상기 승강스위치(SW)는 온오프 스위치로서 「온」으로 되면 상승요청신호를 제어부(940)에 전달하고, 승강스위치(SW)가 「오프」로 되면 하강요청신호를 제어부(940)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경사감지센서(910)는 스타프(10)의 전후좌우 면과 직각을 이루는 스타프결합판(810)의 상면의 경사를 감지함으로써 스타프(10)의 기울기를 판단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정렬감지센서(920)는 발광부(921)에서 발광한 빛이 수광부(922)에 수광될 때 수광되는 빛의 수광량에 따라 측량기기와 스타프(10)의 정렬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921)는 삼각대에 거치되는 측량기기의 조준방향과 일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삼각대에 설치하거나 측량기기에 착탈 가능한 마운트를 통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원격조정장치(930)는 측량기기 측에 구비되는 원격조종송신기(931)와, 스타프(10) 측에 구비되는 원격조종수신기(93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원격조종송신기(931)는 정렬모터(710)에 대한 정렬조종신호를 빛을 통해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원격조종수신기(932)는 원격조종송신기(931)에서 송신된 정렬조종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940)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940)는 승강스위치(SW)로부터 상승요청신호가 전달되면 상승명령을 출력하여 승강모터(320)가 상승방향으로 가동되게 제어하고, 승강스위치(SW)로부터 하강요청신호가 전달되면 하강명령을 출력하여 승강모터(320)가 하강방향으로 가동되게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940)는 상승명령 후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상승중지명령을 출력하여 승강모터(320)가 정지하게 제어하며, 하강명령 후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하강중지명령과 수평조정명령을 출력하여 승강모터(320)가 정지됨과 아울러 경사감지센서(910)의 감지신호에 따라 전, 후방 전후수평조정모터(510, 520)와 좌, 우측 좌우수평조정모터(610, 620)가 수평조정방향으로 가동되게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시간은 착지판(210)이 차대(110) 상으로 상승한 위치에서 하강을 시작하여 접지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이자, 접지된 상태에서 차대(110) 상으로 상승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으로, 착지판(210)의 상승과 하강시 오버런이 발생하지 않게 하기 위해 설정되는 시간이다.
이 미리 설정된 시간은 승강모터축(321)의 암나사부와 승강스크루(330)의 수나사부의 1회전 당 승강거리와 승강모터축(321)의 회전수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940)는 원격조종송신기(931)에서 송신된 정렬조종신호가 원격조종수신기(932)에서 수신되어 전달되면, 정렬모터(710)가 가동되게 제어함과 아울러 발광부(921)가 빛을 발광하고 수광부(922)가 수광하게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940)는 정렬동작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발광부(921)에서 주사된 빛이 수광부(922)에 수광되면, 정렬모터(710)가 정지되게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 후방 전후수평조정모터(510, 520), 좌, 우측 좌우수평조정모터(610, 620), 정렬모터(710), 경사감지센서(910), 수광부(922), 원격조종수신부(932)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차대(110)의 상면 또는 하부에 배터리를 구비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배터리에는 전원스위치를 연결하여 측지측량이 진행되는 동안에만 전원이 연결되고, 보관 및 이동시에는 전원이 연결되지 않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전선을 통해 수광부(922)에 연결되는 접촉단자를 스타프(10)의 하단에 구비하고, 전선을 통해 배터리에 연결되는 접촉단자를 스타프삽입홈(820)에 구비하여 스타프(10)를 스타프삽입홈(820)에 삽입하였을 때 접촉단자들이 접촉되면서 수광부(922)에 배터리의 전원이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원격조종송신기(931)는 자체 내에 수납되는 배터리를 전원으로 하여 작동되게 구성되며, 발광부(921)는 배터리가 내장됨과 아울러 발광스위치(923)가 구비된 패키지 형태로 제작하여 삼각대 또는 삼각대에 탑재되는 측량기기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측량기기의 조준선과 발광부(921)의 빛의 주사선이 동일한 방향을 향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회전기능을 갖춘 측지측량용 스타프 시스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최초, 배터리에 연결된 전원스위치를 켜고, 승강스위치(SW)를 「오프」로 하여 상승요청신호가 제어부(940)에 전달되게 하여, 제어부(940)가 상승명령을 출력하고, 승강모터(320)가 상승방향으로 가동되어 승강모터축(321)의 암나사부와 승강스크루(330)의 수나사부의 나사작용으로 착지판(210)이 상승하게 한다(도 1 참조).
또한 제어부(940)는 상승명령을 출력한 후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상승중지명령을 출력하여 승강모터(320)가 정지되고, 착지판(210)이 상승된 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이와 같이 착지판(210)이 상승된 상태로 유지되면 지상기준점 또는 각 지점(P)으로의 이동과정에서 착지판(210)이 지면에 접촉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스타프결합부(300)에 스타프(10)를 결합하고, 차체(110)와 바퀴(120)가 구비된 대차(100)를 이용하여 지상기준점 또는 각 지점(P)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대차연결부(140)를 이용하여 여러 대의 대차(100)를 연결하여 한 번에 여러 개의 대차(100) 그리고 그 위에 설치되는 각종 장치와 스타프(10)를 이동시킬 수 있다(도 3 참조).
즉, 차체(110)에 형성된 보관공(142)에서 연결구(144)의 연결봉(146)을 빼내고 회동지지공(141)과 이에 끼워진 회동봉(145)을 중심으로 하여 연결구(144)를 회동시켜 연결봉(146)을 다른 차체(110)의 연결공(143)에 끼움으로써 2개의 대차(100)가 연결구(144)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여러 대의 대차(100)를 연결할 수 있다.
지상기준점 또는 각 지점(P)에 이르면, 맨 앞에 위치하는 대차(100)의 연결공(143)에서 연결구(144)의 연결봉(146)을 빼내어 해당 대차(100)를 분리한다.
분리된 대차(100)에 대응하는 승강스위치(SW)를 「온」으로 하면, 제어부(940)에 하강신호가 전달되고, 제어부(940)는 하강명령을 출력하여 승강모터(320)가 하강방향으로 가동되며, 승강모터축(321)의 암나사부와 승강스크루(330)의 나사작용으로 승강스크루(330)가 하강하게 되고, 승강스크루(330)의 하단에 결합된 착지판(210)이 하강하여 지면에 착지하게 된다.
착지판(210)이 하강하면, 이에 직, 간접적으로 결합된 반구체(220), 돔형 이탈방지캡(230)을 포함하는 착지부(200), 승강구동부(300), 틸팅부(400), 전후방향 연직조정부(500), 좌우방향 연직조정부(600), 스타프정렬부(700), 스타프결합부(800), 스타프(10), 정렬감지센서(920)를 구성하는 수광부(922)가 하강하게 된다.
하강명령이 출력된 후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940)는 하강중지명명을 출력하고, 승강모터(320)가 정지하여 착지판(210)이 착지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지상기준점 또는 각 지점(P)이 위치하는 지면에 십자선으로 되는 가이드라인(GL)을 미리 그어 두고, 대차(100)를 이동시켜 착지판(210)에 인쇄된 중심표시선(CL)이 가이드라인(GL)에 일치되게 함으로써 반구체(220)의 중심을 지상기준점 또는 각 지점(P)에 일치되게 할 수 있다(도 5 참조). 도 5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대차(100)를 가상선으로 표시하였다.
이 상태에서, 지상기준점 또는 각 지점(P)이 위치하는 지면이 수평인 경우에는 경사감지센서(910)에 의해 감지되는 경사가 "0"이 되고 제어부(940)는 수평조정명령을 출력하지 않게 되므로 착지부(100)를 지면에 착지하는 것만으로 스타프(10)가 지상기준점 또는 각 지점(P)에 대하여 연직상태로 유지되어 곧바로 측량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지상기준점 또는 각 지점(P)이 위치하는 지면이 후방으로 하향 경사진 경우에는 착지부(200)를 지면에 착지하였을 때, 착지판(210)과 반구체(220)와 돔형 이탈방지캡(230), 돔형 회동체(410), 연결봉(530), 스타프결합판(810), 스타프(10)가 지상기준점 또는 각 지점(P)에 대하여 연직상태를 이루지 못하고 기울어지게 된다(도 6의 실선 표시 참조).
이때, 경사감지센서(910)가 스타프(10)의 전후면과 좌우면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스타프결합판(810)의 경사각도를 감지하게 되고, 제어부(940)는 하강명령을 출력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착지판(210)이 착지될 때까지의 시간)이 경과하면, 하강중지명령과 함께 수평조정명령을 출력하게 된다.
제어부(940)의 하강중지명령에 따라 승강모터(320)가 정지되어 착지판(210)이 착지된 상태로 유지된다.
아울러 제어부(940)의 수평조정명령과 경사감지센서(910)의 감지신호에 따라 전, 후방 전후수평조정모터(510, 520)와 좌, 우측 좌우수평조정모터(610, 620)가 수평조정방향으로 가동된다.
즉, 전방 전후수평조정모터(510)의 전방 전후수평조정모터축(511)과 후방 전후수평조정모터(520)의 후방 전후수평조정모터축(521)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전방 레버(550)와 후방 레버(56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전방 레버(550)는 접촉판(540)을 전면으로부터 멀어지게 되고, 후방 레버(560)는 접촉판(540)의 후면을 전방으로 밀게 된다.
이에 따라 접촉판(540)에 결합된 연결봉(530)과 이에 결합된 돔형 회동체(410)가 반구체(220)의 중심과 일치하고 있는 지상기준점 또는 각 지점(P)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게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연결봉(530)과 정렬모터(710), 정렬모터축(711)에 결합된 스타프결합판(810), 스타프결합판(810)에 결합된 스타프(10)가 지상기준점 또는 각 지점(P)의 직상방에 연직상태로 조정된다(도 6의 가상선 표시 참조).
한편, 지면이 전방으로 하향 경사진 경우에는 위와 반대방향으로 작동하게 된다.
또한 지상기준점 또는 각 지점(P)이 위치하는 지면이 우방으로 하향 경사진 경우에는 착지부(200)를 지면에 착지하였을 때, 착지판(210)과 반구체(220)와 돔형 이탈방지캡(230), 돔형 회동체(410), 연결봉(530), 스타프결합판(810), 스타프(10)가 지상기준점 또는 각 지점(P)에 대하여 연직상태를 이루지 못하고 기울어지게 된다(도 7의 실선 표시 참조).
이때, 경사감지센서(910)가 스타프(10)의 전후면과 좌우면에 직각을 이루는 스타프결합판(810)의 경사각도를 감지하게 되고, 제어부(940)는 하강명령을 출력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착지판(210)이 착지될 때까지의 시간)이 경과하면, 하강중지명령과 함께 수평조정명령을 출력하게 된다.
제어부(940)의 하장중지명령에 따라 승강모터(320)가 정지되어 착지판(210)이 착지된 상태로 유지된다.
아울러 제어부(940)의 수평조정명령과 경사감지센서(910)의 감지신호에 따라 좌측 좌우수평조정모터(610)의 좌측 좌우수평조정모터축(611)과 우측 좌우수평조정모터(620)의 우측 좌우수평조정모터축(621)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좌측 레버(650)와 우측 레버(66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전방 레버(550)는 접촉판(540)의 좌면으로부터 멀어지게 되고, 우측 레버(660)는 스타프결합판(810)의 우면을 좌방으로 밀게 된다.
이에 따라 접촉판(540)에 결합된 연결봉(530)과 이에 결합된 돔형 회동체(410)가 반구체(220)의 중심과 일치하고 있는 지상기준점 또는 각 지점(P)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연결봉(530)과 정렬모터(710), 정렬모터축(711)에 결합된 스타프결합판(810), 스타프결합판(810)에 결합된 스타프(10)가 지상기준점 또는 각 지점(P)의 직상방에 연직상태로 조정된다(도 7의 가상선 표시 참조).
한편, 지면이 전방으로 하향 경사진 경우에는 위와 반대방향으로 작동하게 된다.
또한 지면이 전후방향으로 경사짐과 아울러 좌우방향으로 경사진 경우에는 상술한 두 동작이 병행되어 스타프(10)를 지상기준점 또는 각 지점(P)의 직상방에 연직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돔형 회동체(410)가 회동동작에 있어서, 돔형 회동체(410)는 반구체(220)와 돔형 이탈방지캡(230)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법선방향 압축코일스프링(430)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반구형 접촉구(440)가 반구체(220)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있으므로 돔형 회동체(410)의 회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기계수는 이러한 과정을 거쳐 여러 개의 스타프(10)를 지상기준점 또는 각 지점(P)에 거치하고, 기계수는 측량기기가 거치되어 있는 관측점으로 돌아가서 관측하고자 하는 스타프(10)를 향하여 원격조종송신기(931)에 정렬버튼을 누르면, 원격조종송신기(931)가 정렬조종신호를 송신하고, 스타프(10) 측에 설치된 원격조종수신기(932)가 정렬조종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940)에 전달하게 되며, 정렬조종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940)는 정렬명령을 출력하게 된다.
제어부(940)의 정렬명령에 따라 정렬모터(710)가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정렬모터축(711)에 결합된 스타프결합판(810)과 이에 결합된 스타프(10)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발광스위치(923)를 「온」으로 하면 발광부(921)가 발광하게 되고, 수광부(922)가 발광부(921)에서 발광된 빛을 수광하게 된다.
수광부(922)는 수광된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수광신호를 제어부(940)에 전달하게 되는데, 발광부(921)에서 발광하여 주사되는 빛에 대하여 수광부(922)가 경사진 경우에는 수광신호가 작게 나타나고 직각인 경우에는 수광신호가 크게 나타나게 되므로 제어부(940)는 미리 정해진 크기의 수광신호가 전달될 때, 측량기기와 스타프(10)가 정렬된 것으로 판단하여, 정렬중지명령을 출력하고, 정렬중지명령에 따라 정렬모터(710)가 정지하여 스타프(10)가 정렬된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착지판(210)과 반구체(220)에 지면으로부터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돔형 회동체(410)는 돔형 이탈방지캡(230)에 의해 일단이 지지되는 법선방향 압축코일스프링(430)에 의해 탄성지지된 반구형 접촉구(440)가 반구체(220)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있으므로 법선방향 압축코일스프링(430)에 의해 진동이나 충격이 흡수되어 연결봉(530)과 스타프결합판(810)을 통해 스타프(10)에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법선방향 압축코일스프링(430)은 돔형 회동체(410)에 대해 법선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수직방향으로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은 물론 전후방향 등 수평방향과 경사방향으로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도 감쇠시킬 수 있게 되어 스타프(10)를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되고 측량 오차를 감소시켜 측량 정밀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지면으로부터 착지판(210)과 반구체(220)에 가해진 진동이나 충격이 돔형 회동체(410)와 연결봉(530)에 전달되더라도 돔형 회동체(410)의 상면과 접촉판(540)의 하면 사이에 삽입된 수직방향 압축코일스프링(570)이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게 되어 스타프결합판(810)과 스타프(10)에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법선방향 압축코일스프링(430)과 수직방향 압축코일스프링(570)이 진동이나 충격을 저감시키는 만큼 스타프(10)의 흔들림이 최소화되어 측량정밀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지상기준점 또는 각 지점(P)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거치된 스타프(10) 중 어느 하나에 대한 관측으로 측량이 완료되면, 다음 위치에 거치된 스타프(10)에 대하여 위와 같은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표척수 없이 기계수 1인만으로 측량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예시된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고유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대차 200 : 착지부
300 : 승강구동부 400 : 틸팅부
500 : 전후방향 연직조정부 600 : 좌우방향 연직조정부
700 : 스타프정렬부 800 : 스타프결합부
900 : 제어수단

Claims (2)

  1. 삭제
  2. 승강안내공이 구비되며 대차연결구에 의해 연결 및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는 대차와;
    대차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착지판, 착지판의 중앙에 설치되며 지상기준점 또는 각 지점에 중심을 두는 반구체와, 반구체와 동심을 이루며 반구체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며 착지판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단 중앙에 회동여유공이 형성되는 돔형 이탈방지캡을 구비하는 착지부와;
    착지부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와;
    반구체보다 작은 돔형으로 형성되어 반구체의 외주면과 돔형 이탈방지캡의 내주면 사이에 삽입되는 돔형 회동체를 구비하는 틸팅부와;
    착지판의 상면 전, 후방에 장착되며 전, 후방 전후수평조정모터축이 좌우방향으로 수평설치되는 전, 후방 전후수평조정모터와, 돔형 회동체의 상단 중앙에 고정되어 돔형 이탈방지캡의 회동여유공을 통하여 상부로 연장되는 연결봉과, 연결봉의 상단에 결합되는 접촉판과, 전, 후방 전후수평조정모터축에 하단이 고정되어 상단이 접촉판의 전, 후면에 접촉하는 전, 후방 레버를 구비하는 전후방향 연직조정부와;
    착지판의 상면 좌, 우측에 장착되어 좌, 우측 좌우수평조정모터축이 전후방향으로 수평설치되는 좌, 우측 좌우수평조정모터와, 좌, 우측 좌우수평조정모터축에 하단이 고정되어 상단이 접촉판의 전, 후면에 접촉하는 좌, 우측 레버를 구비하는 좌우방향 연직조정부와;
    접촉판의 상면에 장착되며 정렬모터축이 수직설치되는 정렬모터를 구비하는 스타프정렬부와;
    정렬모터축의 상단에 결합되는 스타프결합판과, 스타프결합판에 형성되어 스타프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스타프삽입홈을 구비하는 스타프결합부와;
    스타프결합판에 설치된 승강스위치와, 스타프결합판의 상면에 부착되어 전후방향 경사와 좌우방향 경사를 감지하는 경사감지센서와; 측량기기 측에 설치되는 발광부와, 스타프의 전면에 구비된 수광부를 가지는 정렬감지센서와; 승강모터와 정렬모터를 원격조종하는 원격조종장치와; 승강스위치와 경사감지센서 및 원격조정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승강모터, 전, 후방 전후수평조정모터와 좌, 우측 좌우수평조정모터, 정렬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회전기능을 갖춘 측지측량용 스타프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부는 승강스위치로부터 상승요청신호가 전달되면 상승명령을 출력하여 승강모터가 상승방향으로 가동되게 제어하고, 승강스위치로부터 하강요청신호가 전달되면 하강명령을 출력하여 승강모터가 하강방향으로 가동되게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제어부는 상승명령 후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상승중지명령을 출력하여 승강모터가 정지하게 제어하며, 하강명령 후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하강중지명령과 수평조정명령을 출력하여 승강모터가 정지됨과 아울러 경사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전, 후방 전후수평조정모터와 좌, 우측 좌우수평조정모터가 수평조정방향으로 가동되게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제어부는 원격조종송신기에서 송신된 정렬조종신호가 원격조종수신기에서 수신되어 전달되면, 정렬모터가 가동되게 제어함과 아울러 발광부가 빛을 발광하고 수광부가 수광하게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제어부는 정렬동작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발광부에서 주사된 빛이 수광부에 수광되면, 정렬모터가 정지되게 제어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기능을 갖춘 측지측량용 스타프 시스템.
KR1020230006829A 2023-01-17 2023-01-17 회전기능을 갖춘 측지측량용 스타프 시스템 KR102549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6829A KR102549183B1 (ko) 2023-01-17 2023-01-17 회전기능을 갖춘 측지측량용 스타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6829A KR102549183B1 (ko) 2023-01-17 2023-01-17 회전기능을 갖춘 측지측량용 스타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9183B1 true KR102549183B1 (ko) 2023-06-29

Family

ID=86945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6829A KR102549183B1 (ko) 2023-01-17 2023-01-17 회전기능을 갖춘 측지측량용 스타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918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942B1 (ko) 2010-01-28 2011-10-18 (주)해양정보기술 수준 측량용 표척
KR101351549B1 (ko) 2013-07-04 2014-01-14 (주)인화엔지니어링 측지측량용 표척의 충격 보호장치
KR101470917B1 (ko) * 2014-09-05 2014-12-10 동아항업주식회사 수준 측량용 이중 고정장치
KR101813562B1 (ko) * 2017-07-10 2018-01-02 태양정보시스템(주) 측지측량용 표척의 지면 고정 장치
KR102385334B1 (ko) 2021-12-14 2022-04-12 (주)미도지리정보 측량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측지측량용 충격 보호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942B1 (ko) 2010-01-28 2011-10-18 (주)해양정보기술 수준 측량용 표척
KR101351549B1 (ko) 2013-07-04 2014-01-14 (주)인화엔지니어링 측지측량용 표척의 충격 보호장치
KR101470917B1 (ko) * 2014-09-05 2014-12-10 동아항업주식회사 수준 측량용 이중 고정장치
KR101813562B1 (ko) * 2017-07-10 2018-01-02 태양정보시스템(주) 측지측량용 표척의 지면 고정 장치
KR102385334B1 (ko) 2021-12-14 2022-04-12 (주)미도지리정보 측량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측지측량용 충격 보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38453B (zh) 智能定位模块
EP3171130B1 (en) Surveying instrument
KR102171730B1 (ko) 측량정보의 오차 발생 여부를 확인하여 정확한 측량이 가능한 수준 측지측량장치
US9441963B2 (en) Multifunction laser leveling tool
US6449856B1 (en) Laser plumbing device, long member plumbing device and long member plumbing method
US6762830B1 (en) Laser level assembly
CN1955637B (zh) 激光测量机
EP3136049B1 (en) Total station
US5572796A (en) Laser beam pendular level
JPH09189551A (ja) レーザー光線水準器、その操作方法および関連装置
JP2012233769A (ja) 測設点指示装置
US20070044333A1 (en) Laser level with improved leveling adjustability
KR101791955B1 (ko) 측량정보의 오차발생 범위를 최소화하는 수준 측지측량 장치
KR102549183B1 (ko) 회전기능을 갖춘 측지측량용 스타프 시스템
KR20190092964A (ko) 수평조절 간이 착륙장
US20150062568A1 (en) Reference systems for indicating slope and alignment and relat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KR102385334B1 (ko) 측량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측지측량용 충격 보호 시스템
WO1996001978A1 (en) Remotely operated levelling device
KR102203453B1 (ko) 지표면의 고저 측량에 따른 지피에스 기반으로 측지측량값을 갱신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CN111350491A (zh) 地下钻机及其角度测量系统
JP4281907B2 (ja) レーザ照射装置
KR101235312B1 (ko) 지피에스 정보를 기준으로 한 지형의 수위정보와 변위정보 변동여부 확인용 측지데이터 처리 시스템
KR101854174B1 (ko) 측량지점의 실시간 오류 확인이 가능한 정확도 향상 측량장치
JP2606627B2 (ja) 光波距離計用プリズム支持装置
JP4290520B2 (ja) レーザ照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