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4812B1 -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4812B1
KR101534812B1 KR1020140113359A KR20140113359A KR101534812B1 KR 101534812 B1 KR101534812 B1 KR 101534812B1 KR 1020140113359 A KR1020140113359 A KR 1020140113359A KR 20140113359 A KR20140113359 A KR 20140113359A KR 101534812 B1 KR101534812 B1 KR 101534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ressing
staff
lateral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3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용
김완욱
Original Assignee
김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용 filed Critical 김지용
Priority to KR1020140113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8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01B3/04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6Surveyors' staffs; Movable mar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준지점에 세워진 스타프의 눈금을 읽어 표고를 측정한 후, 측량지점으로 스타프를 옮기지 않은 상태로 측량지점의 표고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측량지점으로 스타프를 옮길 필요 없이, 본체에 구비된 레이저발생부가 측량지점으로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측량지점에 레이저 광에 의한 포인트가 표시되도록 구성되므로, 스타프를 측량지점으로 옮기지 않아도 되며, 이에 따라 스타프를 옮기기 위한 별도의 인원이 필요하지 않아, 인건비가 절약되고, 측량 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Device for Generating Point}
본 발명은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준지점에 세워진 스타프의 눈금을 읽어 표고를 측정한 후, 측량지점으로 스타프를 옮기지 않은 상태로 측량지점의 표고를 측정 또는 다중 측량점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토목설계나 건축설계 등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측량이 이루어져야 한다. 측량이란 지표의 각 지점의 위치와 그 지점들 간의 거리를 구하고 지형의 높낮이, 면적 등을 구하고, 이를 도면이나 수치로 표시하는 제반 활동을 지칭한다. 이 중에서 수준측량(leveling)은 지상 여러 점의 고, 저의 차이나 표고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고저측량 또는 레벨측량이라고도 한다.
도 1은 종래 수준 측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수준 측량 방법은 스타프(10)와 레벨기(20)를 이용하여 두 지점간의 높이 차를 구하는 것으로, 먼저, 표고를 알고 있는 기준 지점에 스타프(10)를 수직으로 세우고, 레벨기(20)로 스타프(10)의 눈금을 읽은 후, 상기 스타프(10)를 일정 거리 떨어진 측량지점으로 옮겨, 레벨기(20)로 스타프(10)의 눈금을 다시 읽어, 그 표고 차를 구하여 측량을 진행한다.
이러한 종래의 수준 측량 방법은 스타프를 측량지점으로 옮겨 가면서 레벨기로 눈금을 읽어야 하므로, 레벨기로 눈금을 읽어야 할 사람과, 스타프를 옮겨서 세워야 할 사람이 필요하므로, 적어도 2인 이상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면이 평평하지 않으면, 스타프를 수직으로 세우기가 난해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스타프에는 별도의 조명이 없어, 어두운 주변이나 야간에 작업을 수행할 시 레벨기로 스타프의 눈금을 정확하게 확인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349397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준지점에 세워진 스타프의 눈금을 읽어 표고를 측정한 후, 측량지점으로 스타프를 옮기지 않은 상태로 측량지점의 표고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며, 스타프가 관통 위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를 상기 스타프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상기 본체 내부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 외부 방향으로 레이저 광을 발생하여 상기 본체 외부에 포인트가 발생되도록 하는 레이저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본체 내부 일측에 구비되되 내부에 상기 스타프가 관통 위치되는 고정하우징; 및 상기 고정하우징 내부에 지지된 상태로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스타프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하우징의 내부는, 그 중앙에 구비되는 중앙수용부와, 상기 중앙수용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1 측방수용부와, 상기 중앙수용부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 2 측방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수용부의 개방된 전측을 통하여 상기 스타프가 삽입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중앙수용부의 후측에 구비되되 상기 스타프와 대향되는 정면이 상기 스타프와 밀착되어 상기 스타프를 상기 중앙수용부의 전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중앙가압부; 상기 제 1 측방수용부에 지지된 제 1 가압탄성부의 탄성을 이용하여 상기 중앙가압부의 후면 일측을 상기 스타프 방향으로 가압시키는 제 1 가압유도부; 및 상기 제 2 측방수용부에 지지된 제 2 가압탄성부의 탄성을 이용하여 상기 중앙가압부의 후면 타측을 상기 스타프 방향으로 가압시키는 제 2 가압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중앙가압부의 후면 일측과 타측에는 상기 제 1 가압유도부와 상기 제 2 가압유도부 방향으로 제 1 경사부와 제 2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가압유도부의 상기 제 1 경사부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상기 제 1 경사부와 맞닿으면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제 1 가압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가압유도부의 상기 제 2 경사부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상기 제 2 경사부와 맞닿으면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제 2 가압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측방수용부에 구비되는 제 1 가압탄성부와, 상기 제 2 측방수용부에 구비되는 제 2 가압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제 1 가압유도부와 상기 제 2 가압유도부가 상기 중앙가압부 방향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중앙가압부가 상기 제 1 가압경사부와 상기 제 2 가압경사부에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스타프 방향으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되 일단부는 상기 중앙가압부의 후측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고정하우징과 상기 본체를 일체로 관통하여 상기 본체의 외측에 구비되고, 그 길이방향 일단부 또는 타단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압바; 및 상기 가압바에 삽입되며 상기 본체의 외측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가압바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하우징의 내부는, 그 중앙에 구비되는 중앙수용부와, 상기 중앙수용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1 측방수용부와, 상기 중앙수용부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 2 측방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수용부의 개방된 일측을 통하여 상기 스타프가 삽입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제 1 측방수용부와 상기 스타프 사이에 구비되는 제 1 측방가압부; 상기 제 1 측방가압부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제 1 측방가압부를 상기 스타프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 1 측방탄성부; 상기 제 2 측방수용부와 상기 스타프 사이에 구비되는 제 2 측방가압부; 및 상기 제 2 측방가압부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제 2 측방가압부를 상기 스타프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 2 측방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타프와 마주보는 상기 본체의 정면부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스타프와 대향되도록 상기 본체에 배치되는 발광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재는: 상기 스타프와 대향되도록 상기 본체에 배치되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되는 빛을 상기 스타프 방향으로 집중시키는 프리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레이저발생부와 대향되는 상기 본체의 측부에는 상기 레이저발생부에서 상기 본체 외부 방향으로 발생되는 레이저 광이 특정 형상으로 포인트가 형성되도록 성형홀이 구비되는 포인트성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측부에는 상기 포인트성형부가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측면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평탄도를 교정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측에 장착되는 평탄도조절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평탄도조절부재는: 상기 본체의 상측에 형성되며 물이 수용되는 물수용부; 및 상기 물수용부의 개방된 상부를 덮되 투명하게 형성되고, 그 중앙에 중앙표시부가 형성되는 투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수용부에 구비되는 기포가 상기 중앙표시부에 오도록 상기 본체의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본체의 평탄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는 측량지점으로 스타프를 옮길 필요 없이, 본체에 구비된 레이저발생부가 측량지점으로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측량지점에 레이저 광에 의한 포인트가 표시되도록 구성되므로, 스타프를 측량지점으로 옮기지 않아도 되며, 이에 따라 스타프를 옮기기 위한 별도의 인원이 필요하지 않아, 인건비가 절약되고, 다중의 측량점을 측량하여, 측량 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레이저발생부에 의하여 본체의 외부로 조사되는 레이저 광의 포인트 형상을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으로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고정부재가 스타프를 가압하게 되어, 본체가 스타프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단한 구성으로 본체의 평탄도를 조절할 수 있어, 스타프를 중력과 수직 방향으로 용이하게 세울 수 있게 되므로, 측량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타프의 주변이 어두운 경우, 발광부를 발광시켜서 스타프의 눈금 식별이 용이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수준 측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를 전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를 후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A-A'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의 평탄도조절부재를 이용하여 평탄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B-B'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의 발광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의 발광부재에 의하여 스타프의 눈금이 용이하게 식별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의 포인트성형부재의 측면수용부에 포인트성형부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의 레이저발생부에서 발생되는 레이저 광이 포인트성형부재를 거치면서 특정 형상으로 조사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의 포인트성형부에 구비되는 성형홀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를 이용한 측량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100)는 종래 수준 측량 장치에 사용되는 스타프(10)에 결합되는 것으로, 종래 수준 측량 장치는 스타프(10), 지지부재(15) 및 레벨기(20)를 포함한다. 스타프(10)는 기준 지점에 세워지는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그 정면에는 높이를 표시하는 눈금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재(15)는 스타프(10)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지면에 지지된 상태로 삼각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레그부(16)와, 레그부(16)의 상단에 구비되며 스타프(10)를 고정시키는 집게 형상의 집게부(17)를 포함한다. 그리고 레그부(16)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스타프(10)의 높이 또는 평탄도를 조절한다. 레벨기(20)는 스타프(10)에서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서 스타프(10)의 눈금을 읽어 표고를 측정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100)는 기준지점에서 일정 거리 떨어진 측량지점으로 스타프(10)를 옮길 필요 없이, 측량지점으로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측량지점에 레이저 광에 의한 포인트가 표시되도록 한다. 이하, 하기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100)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를 전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를 후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3의 A-A'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100)는 본체(110), 레이저발생부(130, 135), 평탄도조절부재(120), 고정부재(140), 발광부재(160) 및 포인트성형부재(17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공간은 본체(110)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는 제 1 수용부(110a)와, 본체(110)의 내부 하측에 구비되는 제 2 수용부(110b)로 구분된다. 이러한 본체(110)는 예를 들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방과 후방에 구비되는 정면부(111)와 후면부(112), 정면부(111)와 후면부(112) 사이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는 상면부(115)와 하면부(116) 및 정면부(111)와 후면부(112)의 양 측방에 구비되는 제 1 측면부(113)와 제 2 측면부(11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면부(115)와 하면부(116)에는 각각 상면통공(115a)과 하면통공(116a)이 상호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면통공(115a)과 하면통공(116a)에 스타프(10)가 관통 위치된다. 이때, 스타프(10)의 눈금은 정면부(111) 방향으로 위치된다. 그리고 본체(110)는 정면부(111)가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본체(110) 내부로 삽입된 스타프(10)의 눈금이 본체(110) 외부에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체(110)의 상면부(115)는 오목하게 형성되어 후술하는 발광부재(160)가 스타프(10) 방향으로 빛을 발광할 때, 상기 빛이 스타프(10) 방향으로 집중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하면통공(116a)의 내주연을 따라 지지부(116b)가 돌출 형성되어, 본체(110)의 정면통공과 하면통공(116a)을 관통하여 본체(110) 내부에 구비되는 스타프(10)는 그 위치가 지지부(116b)에 가이드되도록 구성된다.
레이저발생부(130, 135)는 본체(110)의 내부의 제 2 수용부(110b)에 구비되어, 레이저 광을 발생하는 것으로, 본체(110) 내부의 제 1 측면부(113)에 구비되는 제 1 레이저발생부(130)와, 본체(110) 내부의 제 2 측면부(114)에 구비되는 제 2 레이저발생부(135)를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 제 1 레이저발생부(130) 및 제 2 레이저발생부(135) 중 어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1, 2 레이저발생부(130, 135)에서 발생되는 레이저 광은 본체(110)의 외부 방향으로 조사되며, 후술하는 포인트성형부재(170)에 의하여 특정 형상으로 포인트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레이저 광은 유도방출에 의한 광증폭을 이용한 것으로, 단색성이 뛰어나며 위상이 고르고 에너지 밀도가 높으며, 퍼지지 않고 직진하는 집광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사용자가 제 1 레이저발생부(130)를 온 또는 오프하도록 본체(110)의 상면부(115) 외측의 일측에는 제 1 스위치(132)가 장착되고, 제 2 레이저발생부(135)를 온 또는 오프하도록 본체(110)의 상면부(115) 외측의 타측에는 제 2 스위치(137)가 장착된다. 또한, 제 1, 2 레이저발생부(130, 135)는 별도의 리모컨(미도시)에 의하여 무선으로 온 또는 오프될 수도 있다.
그리고 표고를 알고 있는 기준지점에 스타프(10)를 수직으로 세운 후, 일정 거리 떨어진 측량지점으로 스타프(10)를 옮겨야 할 때, 제 1 레이저발생부(130) 또는 제 2 레이저발생부(135)를 이용하여 측량지점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측량지점에 맺히는 포인트를 측정하면 되므로, 스타프(10)를 측량지점으로 옮기지 않아도 되며, 이에 따라 스타프(10)를 옮기기 위한 별도의 인원이 필요하지 않아, 인건비가 절약되고, 측량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평탄도조절부재(120)는 본체(110)의 평탄도를 조절하여 스타프(10)가 중력과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조절하는 것으로, 물수용부(122) 및 투명부(124)를 포함한다. 물수용부(122)는 본체(110)의 상면부(115) 후측에 장착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 물이 가득 담겨 있다. 투명부(124)는 물수용부(122)의 개방된 상측을 덮는 것으로,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투명부(124)의 중앙에는 원형의 중앙표시부(125)가 형성된다. 이러한 평탄도조절부재(120)를 이용하여 평탄도를 조절하는 과정은 하기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고정부재(140)는 본체(110)가 스타프(10)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고, 발광부재(160)는 스타프(10)의 눈금 방향으로 빛을 발광시키는 것이며, 포인트성형부재(170)는 제 1, 2 레이저발생부(130, 135)에서 발생시키는 포인트의 형상을 사용자의 요구에 맞도록 자유자재로 변경시키는 것으로, 이들은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의 평탄도조절부재를 이용하여 평탄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6의 (a)를 참조하면, 평탄도조절부재(120)의 물수용부(122)에는 물이 가득 차 있고, 상기 물의 수면 위에는 기포(126)가 구비되어 있다. 이 기포(126)가 투명부(124)의 중앙에 위치되면 물수용부(122)가 장착된 본체(110)가 중력과 수직 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이다. 따라서 도 6의 (b)와 같이, 본체(110)를 이동시켜서 기포(126)가 투명부(124)의 중앙에 오도록 조절한다. 그리고 기포(126)가 투명부(124)의 중앙에 오면, 스타프(10)를 고정시키는 지지부재(15)의 레그부(16)의 길이를 조절하여, 본체(11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이처럼 본 발명은 단순한 장비를 이용하여 본체(110)의 평탄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스타프(10)를 중력과 수직 방향으로 용이하게 세울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측량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도 3의 B-B'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100)는 본체(110)가 스타프(10)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고정부재(140)를 포함한다. 고정부재(140)는 고정하우징(142)을 구비하며, 고정하우징(142) 내부에 중앙가압부재(144) 또는 측방가압부재(150)가 구비된다.
고정하우징(142)은 본체(110) 내부의 제 1 수용부(110a)에 구비되는 것으로, 그 내부는 중앙에 구비되는 중앙수용부(142a)와, 상기 중앙수용부(142a)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1 측방수용부(142c)와, 상기 중앙수용부(142a)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 2 측방수용부(142d)로 구분된다. 그리고 본체(110)의 정면부(111)와 대향되는 중앙수용부(142a)의 전측은 개방되어 중앙개방부(142b)가 구비되며, 중앙개방부(142b)를 통하여 본체(110) 내부에 위치된 스타프(10)가 중앙수용부(142a) 방향으로 삽입된다.
중앙가압부재(144)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스타프(10)의 후방을 가압하는 것으로, 중앙가압부(145), 제 1 가압유도부(147), 제 2 가압유도부(148), 가압바(146)를 포함한다.
중앙가압부(145)는 중앙수용부(142a)의 후측에 구비되되 스타프(10)와 대향되는 전측이 스타프(10)와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중앙가압부(145)는 후술하는 제 1, 2 가압유도부(147, 148) 또는 가압바(146)에 의하여 스타프(10)를 중앙수용부(142a)의 전측 방향으로 가압시켜서 본체(110)가 스타프(10)에 고정되도록 한다.
제 1 가압유도부(147)는 제 1 측방수용부(142c)에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가압탄성부(147b)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중앙가압부(145)의 후면 일측을 상기 스타프(10) 방향으로 가압시킨다. 제 2 가압유도부(148)는 제 2 측방수용부(142d)에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제 2 가압탄성부(148b)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중앙가압부(145)의 후면 타측을 상기 스타프(10) 방향으로 가압시킨다. 그리고 제 1, 2 가압유도부(147, 148)가 중앙가압부(145)를 스타프(10)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중앙가압부(145)의 후면 일측과 타측에는 제 1 가압유도부(147)와 제 2 가압유도부(148) 방향으로 제 1 경사부(145a)와 제 2 경사부(145b)가 형성되고, 제 1 가압유도부(147)의 제 1 경사부(145a)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제 1 경사부(145a)와 맞닿으면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제 1 가압경사부(147a)가 형성되고, 제 2 가압유도부(148)의 제 2 경사부(145b)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제 2 경사부(145b)와 맞닿으면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제 2 가압경사부(148a)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측방수용부(142c)에 구비되는 스프링 형상의 제 1 가압탄성부(147b)와, 제 2 측방수용부(142d)에 구비되는 스프링 형상의 제 2 가압탄성부(148b)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 1 가압유도부(147)와 제 2 가압유도부(148)가 중앙가압부(145) 방향으로 가압되며, 이때, 제 1, 2 가압유도부(147, 148)의 제 1, 2 가압경사부(147a, 148a)가 중앙가압부(145)의 제 1, 2 경사부(145a, 145b)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제 1, 2 가압경사부(147a, 148a) 간의 간격이 좁혀지게 되고, 제 1, 2 가압경사부(147a, 148a) 간의 간격이 좁혀지는 만큼, 중앙가압부(145)가 스타프(10) 방향으로 이동되어, 중앙가압부(145)가 스타프(10)를 가압하게 된다. 한편, 스타프(10)는 본체(110)의 상면통공(115a)과 하면통공(116a)을 통하여 본체(110)에 관통된 상태이므로, 본체(110) 내부의 중앙가압부(145)가 본체(110)에 관통된 스타프(10)를 가압하게 되면, 스타프(10)의 전측은 본체(110)의 상면통공(115a) 및 하면통공(116a)과 밀착되고, 스타프(10)의 후측은 중앙가압부(145)와 밀착되므로, 본체(110)가 스타프(10)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가압바(146)는 길이방향을 따라 바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며 그 길이방향 일단부는 중앙가압부(145)의 후측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고정하우징(142)과 본체(110)의 후면부(112)를 일체로 관통하여 본체(110)의 후면부(112)의 외측에 구비된다. 이러한 가압바(146)의 타단부에는 손잡이부(146a)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부(146a)를 잡고 가압바(146)를 그 길이방향 일단부 또는 타단부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중앙가압부(145)를 전진 또는 후진시킨다. 그리고 고정너트(146b)가 가압바(146)에 삽입되며, 고정너트(146b)가 본체(110)의 후면부(112)에 걸리는 순간 중앙가압부(145)의 전진이 제한된다. 이에 따라, 스타프(10)에서 본체(110)를 제거하고자 할 때, 또는 본체(110)를 스타프(10)에 끼우기 직전에, 중앙가압부(145)를 본체(110)의 후면부(112)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고정너트(146b)를 이용하여 중앙가압부(145)의 전진을 제한시키면, 중앙가압부(145)가 스타프(10)를 가압하지 않게 되므로, 스타프(10)에서 본체(110)를 용이하게 제거하거나 또는 본체(110)를 스타프(10)에 용이하게 관통 삽입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측방가압부재(150)는 제 1 측방가압부(152)와, 제 2 측방가압부(154)를 포함한다. 제 1 측방가압부(152)는 제 1 측방수용부(142c)와 스타프(10)의 일측 사이에 구비된다. 그리고 제 1 측방수용부(142c)에는 스프링 형상의 제 1 측방탄성부(152a)가 구비되어, 제 1 측방가압부(152)에 지지된 상태로 제 1 측방가압부(152)를 스타프(10)의 일측 방향으로 가압한다. 제 2 측방가압부(154)는 제 2 측방수용부(142d)와 스타프(10)의 타측 사이에 구비된다. 그리고 제 2 측방수용부(142d)에는 스프링 형상의 제 2 측방탄성부(154a)가 구비되어, 제 2 측방가압부(154)에 지지된 상태로 제 2 측방가압부(154)를 스타프(10)의 타측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처럼 본체(110) 내부에 위치된 스타프(10)의 일측과 타측을 제 1, 2 측방가압부(152, 154)가 밀착되면서 가압하므로, 본체(110)가 스타프(10)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여기에 더하여 본 발명은 제 1 가압안내부(155)와 제 2 가압안내부(1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가압안내부(155)는 제 1 가압경사부(147a)와 제 1 경사부(145a) 사이에 구비되는 제 1 경사가압안내부(155a)와, 제 1 측방가압부(152)와 스타프(10)의 일측 사이에 구비되는 제 1 측방가압안내부(155b)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경사가압안내부(155a)와 제 1 측방가압안내부(155b)는 상호 일체로 연결되어, 제 1 가압경사부(147a)와 제 1 측방가압부(152)의 가압력이 다르다 하더라도, 제 1 가압안내부(155)가 제 1 경사부(145a) 및 스타프(10)의 일측을 동일한 압력으로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중앙가압부(145) 및 제 1 측방가압부(152)가 스타프(10)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본체(110)가 스타프(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제 2 가압안내부(156)는 제 2 가압경사부(148a)와 제 2 경사부(145b) 사이에 구비되는 제 2 경사가압안내부(156a)와, 제 2 측방가압부(154)와 스타프(10)의 타측 사이에 구비되는 제 2 측방가압안내부(156b)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2 경사가압안내부(156a)와 제 2 측방가압안내부(156b)는 상호 일체로 연결되어, 제 2 가압경사부(148a)와 제 2 측방가압부(154)의 가압력이 다르다 하더라도, 제 2 가압안내부(156)가 제 2 경사부(145b) 및 스타프(10)의 타측을 동일한 압력으로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중앙가압부(145) 및 제 2 측방가압부(154)가 스타프(10)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본체(110)가 스타프(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의 발광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의 발광부재에 의하여 스타프의 눈금이 용이하게 식별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발광부재(160)는 빛을 발광시켜서 야간에 스타프(10)의 눈금이 용이하게 식별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반사판(162), 발광부(164) 및 프리즘(166)을 포함한다.
반사판(162)은 본체(110)의 내부의 제 2 수용부(110b)에 배치되는 것으로, 본체(110)의 정면부(111)와 스타프(10)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반사판(162)은 수직 단면이 'L' 형상으로 형성되어, 저면부(162a)와, 저면부(162a)의 후측에 돌출 형성되는 반사면부(162b)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체(110) 내부의 스타프(10)와 정면부(111) 사이 구비되는 지지부(116b)에 반사판(162)의 저면부(162a)가 지지되며, 반사판(162)의 저면부(162a)의 전측이 본체(110)의 정면부(111)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본체(110)의 정면부(111) 하측에는 발광개방부(111a)가 형성된다. 한편, 본체(110) 내부의 스타프(10)와 정면부(111) 사이 구비되는 지지부(116b)의 선단부에는 기준선(116c)이 구비되는데, 상기 기준선(116c)과 일치하는 스타프(10)의 눈금이 사용자가 읽고자 하는 눈금이 된다. 그리고 상술한 제 1, 2 레이저발생부(130, 135)는 기준선(116c)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어, 제 1, 2 레이저발생부(130, 135)에서 외부로 조사되는 레이저 광 즉, 포인트의 위치는 사용자가 읽은 스타프(10)의 눈금과 동일하게 된다.
발광부(164)는 빛을 발광하는 LED 등으로 구성되고, 하나 또는 다수 개로 구성되며, 반사판(162)의 저면부(162a)에 장착된다. 이때, 발광부(164)는 스타프(10)의 눈금과 마주보도록 스타프(10)와 본체(110)의 정면부(111) 사이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어두운 밤에 발광부(164)에서 발광되는 불빛에 의하여 스타프(10)의 눈금 식별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프리즘(166)은 발광부(164)의 상부에 구비되어, 발광부(164)에서 발광되는 빛을 스타프(10)의 눈금 방향으로 집중시키는 것으로, 일반적인 프리즘(166)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프리즘(166)은 각각의 발광부(164)를 덮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복수의 발광부(164) 전체를 덮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리즘(166)에 의하여 발광부(164)의 빛이 여러 갈래로 집중되므로, 스타프(10)의 눈금을 보다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의 포인트성형부재의 측면수용부에 포인트성형부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의 레이저발생부에서 발생되는 레이저 광이 포인트성형부재를 거치면서 특정 형상으로 조사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포인트성형부재(170)는 제 1, 2 레이저발생부(130, 135)에서 본체(110)의 외부 방향으로 조사되는 레이저 광을 특정 형상으로 포인트를 형성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측면수용부(172) 및 포인트성형부(174)를 포함한다.
측면수용부(172)는 본체(110)의 제 1 측면부(113) 및 제 2 측면부(114)의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본체(110)의 제 1 측면부(113)에 구비되는 제 1 레이저발생부(130) 및 본체(110)의 제 2 측면부(114)에 구비되는 제 2 레이저발생부(135)와 대향 위치된다. 이러한 측면수용부(172)는 포인트성형부(174)가 수용되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그 일측에 포인트성형부(174)가 인입되도록 인입부(172a)가 형성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포인트성형부(174)가 인입부(172a)를 통하여 측면수용부(172) 내부로 슬라이딩 결합된다.
포인트성형부(174)는 제 1 레이저발생부(130) 및 제 2 레이저발생부(135)와 대향되도록 측면수용부(172)에 슬라이딩 결합된다. 이러한 포인트성형부(174)는 제 1, 2 레이저발생부(130, 135)와 대향되는 중앙에 제 1, 2 레이저발생부(130, 135)에서 발생되는 레이저 광이 본체(110)의 외부 방향으로 조사되도록 성형홀(176a)이 형성된다. 이때, 성형홀(176a)은 제 1, 2 레이저발생부(130, 135)에서 본체(110)의 외부 방향으로 조사되는 레이저 광을 특정 형상으로 포인트를 형성하도록 다양한 형상, 예를 들면, '+' 형상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제 1, 2 레이저발생부(130, 135)에서 본체(110)의 외부 방향으로 조사되는 레이저 광이 성형홀(176a)에 의하여 '+' 형상으로 변경된 후, 외부로 조사되어 '+' 형상의 포인트(P1)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의 포인트성형부에 구비되는 성형홀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의 (a)를 참조하면, 포인트성형부(174)에 구비되는 성형홀(176a)은 '+' 형상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제 1, 2 레이저발생부(130, 135)에서 본체(110)의 외부 방향으로 조사되는 레이저 광이 성형홀(176a)에 의하여 '+' 형상으로 변경 후, 외부로 조사되어 '+' 형상의 포인트(P1)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도 13의 (b)를 참조하면, 포인트성형부(174)에 구비되는 성형홀(176b)은 '●' 형상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제 1, 2 레이저발생부(130, 135)에서 본체(110)의 외부 방향으로 조사되는 레이저 광이 성형홀(176b)에 의하여 '●' 형상으로 변경 후, 외부로 조사되어 '●' 형상의 포인트(P2: 도 15 도시)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도 13의 (c)를 참조하면, 포인트성형부(174)에 구비되는 성형홀(176c)은 '-' 형상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제 1, 2 레이저발생부(130, 135)에서 본체(110)의 외부 방향으로 조사되는 레이저 광이 성형홀(176c)에 의하여 '-' 형상으로 변경 후, 외부로 조사되어 '-' 형상의 포인트(P3: 도 15 도시)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도 13의 (d)를 참조하면, 포인트성형부(174)에 구비되는 성형홀(176d)은 'l' 형상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제 1, 2 레이저발생부(130, 135)에서 본체(110)의 외부 방향으로 조사되는 레이저 광이 성형홀(176d)에 의하여 'l' 형상으로 변경 후, 외부로 조사되어 'l' 형상의 포인트(P4: 도 15 도시)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측면수용부(172)에 슬라이딩 결합 가능한 포인트성형부(174)를 여러 개 구비하고, 각각의 포인트성형부(174)에 각각의 서로 다른 형상의 성형홀(176a, 176b, 176c, 176d)을 구비하여, 본체(110)의 외부로 조사되는 레이저 광의 포인트 형상을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으로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를 이용한 측량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100)를 이용한 측량방법은 먼저, 기준지점에 스타프(10)가 세워지며, 본체(110)가 스타프(10)에 삽입된다. 이때, 본체(110) 내부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40)가 스타프(10)를 가압하게 되어, 본체(110)가 스타프(10)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평탄도조절부재(120)를 이용하여 본체(110)의 평탄도를 조절하여, 스타프(10)가 중력과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조절한다. 이처럼 평탄도조절부재(120)를 이용하여 스타프(10)를 중력과 수직 방향으로 용이하게 세울 수 있게 되므로, 측량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 후, 레벨기(20)를 이용하여 스타프(10)의 눈금을 읽어 기준지점의 표고를 측정한다. 이때, 본체(110)의 정면부(111)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본체(110) 내부로 삽입된 스타프(10)의 눈금을 본체(110) 외부에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변이 어두운 경우, 발광부(164)를 발광시켜서 스타프(10)의 눈금 식별이 용이해지도록 한다.
그 후, 제 1 레이저발생부(130) 또는 제 2 레이저발생부(135)를 온 시켜서 기준지점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측량지점 방향으로 레이저 광이 조사되도록 한다. 그러면 측량지점에 위치한 벽체, 구조물 등에 상기 레이저 광에 의한 포인트(P)가 조사된다. 또한 스타프(10)에 고정된 본체(110)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포인트성형부(174)를 변경하여 포인트(P1, P2, P3, P4)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경함으로써, 다수의 측량점 즉, 다중 측량점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측량지점으로 스타프(10)를 옮길 필요 없이, 측량지점으로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측량지점에 레이저 광에 의한 포인트(P1, P2, P3, P4)가 표시되도록 구성되므로, 스타프(10)를 측량지점으로 옮기지 않아도 되며, 다중 측량점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인건비가 절약되고, 측량 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스타프 15: 지지부재
16: 레그부 17: 집게부
20: 레벨기 100: 포인트 발생장치
110: 본체 110a: 제 1 수용부
110b: 제 2 수용부 111: 정면부
111a: 발광개방부 112: 후면부
113: 제 1 측면부 114: 제 2 측면부
115: 상면부 115a: 상면통공
116: 하면부 116a: 하면통공
116b: 지지부 116c: 기준선
120: 평탄도조절부재 122: 물수용부
124: 투명부 125: 중앙표시부
126: 기포 130: 제 1 레이저발생부
132: 제 1 스위치 135: 제 2 레이저발생부
137: 제 2 스위치 140: 고정부재
142: 고정하우징 142a: 중앙수용부
142b: 중앙개방부 142c: 제 1 측방수용부
142d: 제 2 측방수용부 144: 중앙가압부재
145: 중앙가압부 145a: 제 1 경사부
145b: 제 2 경사부 146: 가압바
146a: 손잡이부 146b: 고정너트
147: 제 1 가압유도부 147a: 제 1 가압경사부
147b: 제 1 가압탄성부 148: 제 2 가압유도부
148a: 제 2 가압경사부 148b: 제 2 가압탄성부
150: 측방가압부재 152: 제 1 측방가압부
152a: 제 1 측방탄성부 154: 제 2 측방가압부
154a: 제 2 측방탄성부 155: 제 1 가압안내부
155a: 제 1 경사가압안내부 155b: 제 1 측방가압안내부
156: 제 2 가압안내부 156a: 제 2 경사가압안내부
156b: 제 2 측방가압안내부 160: 발광부재
162: 반사판 162a: 저면부
162b: 반사면부 164: 발광부
166: 프리즘 170: 포인트성형부재
172: 측면수용부 172a: 인입부
174: 포인트성형부 176a, 176b, 176c, 176d: 성형홀

Claims (9)

  1.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며, 스타프가 관통 위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를 상기 스타프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상기 본체 내부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 외부 방향으로 레이저 광을 발생하여 상기 본체 외부에 포인트가 발생되도록 하는 레이저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본체 내부 일측에 구비되되 내부에 상기 스타프가 관통 위치되는 고정하우징; 및
    상기 고정하우징 내부에 지지된 상태로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스타프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하우징의 내부는, 그 중앙에 구비되는 중앙수용부와, 상기 중앙수용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1 측방수용부와, 상기 중앙수용부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 2 측방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수용부의 개방된 전측을 통하여 상기 스타프가 삽입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중앙수용부의 후측에 구비되되 상기 스타프와 대향되는 정면이 상기 스타프와 밀착되어 상기 스타프를 상기 중앙수용부의 전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중앙가압부;
    상기 제 1 측방수용부에 지지된 제 1 가압탄성부의 탄성을 이용하여 상기 중앙가압부의 후면 일측을 상기 스타프 방향으로 가압시키는 제 1 가압유도부; 및
    상기 제 2 측방수용부에 지지된 제 2 가압탄성부의 탄성을 이용하여 상기 중앙가압부의 후면 타측을 상기 스타프 방향으로 가압시키는 제 2 가압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
  2.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며, 스타프가 관통 위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를 상기 스타프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상기 본체 내부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 외부 방향으로 레이저 광을 발생하여 상기 본체 외부에 포인트가 발생되도록 하는 레이저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본체 내부 일측에 구비되되 내부에 상기 스타프가 관통 위치되는 고정하우징; 및
    상기 고정하우징 내부에 지지된 상태로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스타프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하우징의 내부는, 그 중앙에 구비되는 중앙수용부와, 상기 중앙수용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1 측방수용부와, 상기 중앙수용부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 2 측방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수용부의 개방된 일측을 통하여 상기 스타프가 삽입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제 1 측방수용부와 상기 스타프 사이에 구비되는 제 1 측방가압부;
    상기 제 1 측방가압부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제 1 측방가압부를 상기 스타프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 1 측방탄성부;
    상기 제 2 측방수용부와 상기 스타프 사이에 구비되는 제 2 측방가압부; 및
    상기 제 2 측방가압부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제 2 측방가압부를 상기 스타프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 2 측방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
  3.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며, 스타프가 관통 위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를 상기 스타프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상기 본체 내부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 외부 방향으로 레이저 광을 발생하여 상기 본체 외부에 포인트가 발생되도록 하는 레이저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타프와 마주보는 상기 본체의 정면부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스타프와 대향되도록 상기 본체의 정면부 내측에 배치되는 발광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재는:
    상기 스타프와 대향되도록 상기 본체에 배치되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되는 빛을 상기 스타프 방향으로 집중시키는 프리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
  4.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며, 스타프가 관통 위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를 상기 스타프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상기 본체 내부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 외부 방향으로 레이저 광을 발생하여 상기 본체 외부에 포인트가 발생되도록 하는 레이저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발생부와 대향되는 상기 본체의 측부에는 상기 레이저발생부에서 상기 본체 외부 방향으로 발생되는 레이저 광이 특정 형상으로 포인트가 형성되도록 성형홀이 구비되는 포인트성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측부에는 상기 포인트성형부가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측면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가압부의 후면 일측과 타측에는 상기 제 1 가압유도부와 상기 제 2 가압유도부 방향으로 제 1 경사부와 제 2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가압유도부의 상기 제 1 경사부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상기 제 1 경사부와 맞닿으면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제 1 가압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가압유도부의 상기 제 2 경사부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상기 제 2 경사부와 맞닿으면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제 2 가압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측방수용부에 구비되는 제 1 가압탄성부와, 상기 제 2 측방수용부에 구비되는 제 2 가압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제 1 가압유도부와 상기 제 2 가압유도부가 상기 중앙가압부 방향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중앙가압부가 상기 제 1 가압경사부와 상기 제 2 가압경사부에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스타프 방향으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되 일단부는 상기 중앙가압부의 후측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고정하우징과 상기 본체를 일체로 관통하여 상기 본체의 외측에 구비되고, 그 길이방향 일단부 또는 타단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압바; 및
    상기 가압바에 삽입되며 상기 본체의 외측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가압바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평탄도를 교정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측에 장착되는 평탄도조절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평탄도조절부재는:
    상기 본체의 상측에 형성되며 물이 수용되는 물수용부; 및
    상기 물수용부의 개방된 상부를 덮되 투명하게 형성되고, 그 중앙에 중앙표시부가 형성되는 투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수용부에 구비되는 기포가 상기 중앙표시부에 오도록 상기 본체의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본체의 평탄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
KR1020140113359A 2014-08-28 2014-08-28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 KR101534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359A KR101534812B1 (ko) 2014-08-28 2014-08-28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359A KR101534812B1 (ko) 2014-08-28 2014-08-28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4812B1 true KR101534812B1 (ko) 2015-07-09

Family

ID=53792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3359A KR101534812B1 (ko) 2014-08-28 2014-08-28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48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0485B1 (ko) * 2017-03-13 2018-12-18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식각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102130474B1 (ko) * 2019-10-17 2020-07-07 주식회사 팔콘 스타프의 프리즘 엘이디 조명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4458A (ja) * 1991-10-11 1994-04-05 Kayaba Ind Co Ltd 構造物レベル計測装置
JP2003185435A (ja) * 2001-12-20 2003-07-03 Mitsui Constr Co Ltd 矩体内面の測定装置
KR200371678Y1 (ko) * 2004-10-18 2005-01-03 삼성프라스틱 공업(주) 레이저수평조절장치를 위한 수평계
JP2007064779A (ja) * 2005-08-31 2007-03-15 Masahiro Matsunaga 水平測定補助器具及びその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4458A (ja) * 1991-10-11 1994-04-05 Kayaba Ind Co Ltd 構造物レベル計測装置
JP2003185435A (ja) * 2001-12-20 2003-07-03 Mitsui Constr Co Ltd 矩体内面の測定装置
KR200371678Y1 (ko) * 2004-10-18 2005-01-03 삼성프라스틱 공업(주) 레이저수평조절장치를 위한 수평계
JP2007064779A (ja) * 2005-08-31 2007-03-15 Masahiro Matsunaga 水平測定補助器具及びその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0485B1 (ko) * 2017-03-13 2018-12-18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식각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102130474B1 (ko) * 2019-10-17 2020-07-07 주식회사 팔콘 스타프의 프리즘 엘이디 조명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80802A1 (en) Distance measuring device with laser indicating device
EP2639549A1 (en) Laser receiver
US10996047B2 (en) Measuring appartus
RU2017115215A (ru) Оптический датчик жизненных показателей
DE60327576D1 (de) Lasernivelliervorrichtung mit Gegenstandsdetektor
KR101534812B1 (ko) 레이저 광을 이용한 포인트 발생장치
DE602006012705D1 (de) Vermessungsinstrument und Verfahren zur Bereitstellung von Vermessungsdaten mithilfe des Vermessungsinstruments
KR101347859B1 (ko) 지면의 표고와 곡률오차의 동시 측량이 가능한 수준측량시스템
KR101233719B1 (ko) 측지측량에서 영상정보 취득을 이용한 국가수준기준점 측량장치
CN101819040A (zh) 用于光线产生器的基座
CN107110972B (zh) 激光反射靶
EP1674937A3 (en) Lithographic apparatus with two-dimensional alignment measurement arrangement and two-dimensional alignment measurement method
KR101494857B1 (ko) 수준측량이 용이한 수준점 측량시스템
JP2010078407A (ja) レーザーレベル用スタッフ
CN102445122A (zh) 一种卷尺及高度测量方法
TW200514960A (en) Wire loop height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US11320264B2 (en) Laser plumb bob and level aid
KR100648410B1 (ko) 야간에도 시준이 용이한 수치지도 제작 측량용 스태프
KR101494852B1 (ko) 오차요인 확인을 통한 정밀성 향상 수준측량시스템
KR20110009323U (ko) 길이 측정 장치
KR102129252B1 (ko) 레이저를 이용한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1358983B1 (ko) 수준측량에서 수준노선 형성을 위한 수준점 정밀 측량시스템
JP2004317406A (ja) 光波測定器用受光治具
WO2019052618A3 (en) Laser range finder
KR20170067253A (ko) 골프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