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8410B1 - 야간에도 시준이 용이한 수치지도 제작 측량용 스태프 - Google Patents

야간에도 시준이 용이한 수치지도 제작 측량용 스태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8410B1
KR100648410B1 KR1020060036626A KR20060036626A KR100648410B1 KR 100648410 B1 KR100648410 B1 KR 100648410B1 KR 1020060036626 A KR1020060036626 A KR 1020060036626A KR 20060036626 A KR20060036626 A KR 20060036626A KR 100648410 B1 KR100648410 B1 KR 100648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ff
light emitting
convex lens
night
colli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6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주
Original Assignee
김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주 filed Critical 김은주
Priority to KR1020060036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84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8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8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Length-Measur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치지도 제작을 위하여 측량 시 사용하는 스태프(Staff)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측량기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도 스태프의 눈금 확인이 가능하여 시준이 용이한 스태프에 관한 발명이며, 전면에 일정간격으로 눈금과 치수가 인쇄된 측량용 스태프에 있어서, 상기 스태프의 전면 전체에는 소정 곡률로 만곡되는 볼록렌즈가 결합되며, 상기 스태프의 몸체에는 소정의 간격마다 발광등을 구비하고, 볼록렌즈의 배면(평면) 측에는 상기 발광등과 일치하는 위치에 삽입홈을 형성하여 발광등을 삽입 결합함으로써, 일몰 후에도 측량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태프는 먼 거리에서도 스태프의 눈금과 치수의 파악이 용이하며, 일몰 후의 어두운 시간에도 시준이 용이하다. 또한, 장기간 사용에도 스태프의 눈금과 치수가 손상되지 않아 측량작업이 양호하게 이루어진다.
스태프, 볼록렌즈, 음각, 발광등, 인쇄

Description

야간에도 시준이 용이한 수치지도 제작 측량용 스태프{staff of surveying instru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태프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태프의 상단 스태프의 일부를 하단 스태프에서 인출한 상태의 일부 절결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태프의 볼록렌즈를 분해한 일부 절결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스태프 11 : 칫수
12 : 눈금 20 : 볼록렌즈
30 : 발광등 31: 삽입홈
본 발명은 수치지도 제작을 위하여 측량 시 사용하는 스태프(Staff)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측량기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는 물론 야간에도 스태프의 눈금 확인이 가능하여 시준이 용이한 스태프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토목설계나 건축설계 등을 위해서는 측량이 먼저 이루어지는 바, 측량이란 수평거리와 고저차 및 방향을 측정하여 점들의 상호간의 위치를 결정하여 이를 도면이나 수치로 표시하고, 또한 현장에서 측설하는 제반 활동을 지칭한다.
이중에서 고저차를 직접 측량 방식으로 하기 위해 레벨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보통 두명이 1조가 되어 한 명은 측량기를 통해 측량을 수행하며, 다른 한 명은 다단으로 신장 및 중첩되는 막대형상의 스태프를 들고 다니며, 측량하고자 하는 측점에 스태프를 수직으로 세움으로써, 기준점과 측점 상호간의 고저차를 원활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사용하는 스태프는 보통 가벼운 알루미늄 등의 재질의 박스(BOX) 형태로 여러단이 중첩되어 이루어짐으로써 휴대가 편리하도록 이루어지며, 높이에 따라 차례로 인출시켜 사용이 가능하고, 최 내측은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외주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눈금과 수치가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로 현장에서 측량작업을 하게 되면, 시준거리가 멀어서 스태프의 눈금이 측량기 망원경 속의 십자선에 덮여 판독이 어렵게 되고, 특히, 스태프의 높이를 높이기 위해 다단의 스태프를 인출시키는 경우에는 내측 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기 때문에 더욱더 확인이 어렵게 되고, 시준이 용이하지 못하게 된다. 더 군다나 일몰 후의 시간에는 더욱 더 시준이 어려워 작업공기가 길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숙련자의 경험과 감각에 의해 부정확하게나마 읽을 수밖에 없으며, 또한, 스태프의 외주면에 페인트 등으로 인쇄를 함으로 인해 장기간 사용을 하게 되면, 눈금과 수치가 벗겨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먼 거리는 물론 야간에도 눈금과 수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서 시준이 용이한 스태프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기간 사용에도 칫수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변형이 없도록 하며, 일몰후의 시간에도 측량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면에 일정간격으로 눈금과 치수가 인쇄된 측량용 스태프에 있어서, 상기 스태프의 전면 전체에는 소정 곡률로 만곡되는 볼록렌즈가 결합되며, 상기 스태프의 몸체에는 소정의 간격마다 발광등을 구비하고, 볼록렌즈의 배면(평면) 측에는 상기 발광등과 일치하는 위치에 삽입홈을 형성하여 발광등을 삽입 결합함으로써, 일몰 후에도 측량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주목적을 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볼록렌즈의 배면(평면) 측에는 눈금과 칫수를 인쇄하되, 상기 칫수는 음각으로 형성하여 소정 색상의 페인트로 도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태프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본 발명에 따른 스태프의 상단 스태프의 일부를 하단 스태프에서 인출한 상태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태프의 볼록렌즈를 분해한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스태프(10)는 일반적인 스태프와 마찬가지로 소정 길이로 이루어지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의 스태프는 상단 스태프가 삽입가능하도록 공간이 확보된 박스형태로 형성하여 다단으로 중첩 및 신장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태프(10)의 몸체(13) 전면에는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는 볼록렌즈(20)를 결합하는 바, 상기 볼록렌즈(20)의 배면(평면) 측에는 눈금(12)과 칫수(11)를 표시하되, 상기 칫수(11)는 소정의 깊이로 음각 형성하며, 전면측에서 볼 때 뒤집어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좌우를 뒤집어 음각한다. 그리고, 음각 형성된 칫수(11)에는 먼 거리에서도 식별이 용이하도록 소정 색상의 페인트를 사용하여 도색한다.
볼록렌즈(20)는 장기간의 사용에도 파손이 되지 않는 아크릴, 합성수지제 등의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스태프(10)의 박스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록렌즈(20)의 돌출부분이 삽입 가능한 공간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태프(10)의 몸체(13)에는 소정의 간격마다 휴대용 전원(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연결되는 발광등(30)을 더 결합함으로써, 일몰 후의 야간에도 측량이 가능하도록 하며, 볼록렌즈(20)의 배면(평면) 측에는 상기 발광등(30)과 일치하는 위치에, 발광등(30)이 삽입 가능하도록 삽입홈(31)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스태프(10)를 이용하여 측량을 수행하고자 하면, 측량 보조원이 측점으로 스태프(10)를 들고 가서 수직으로 세운다. 이때, 높이를 더 높혀 측량하고자 하면, 공지와 마찬가지로 안테나 형태의 스태프(10)를 다단으로 인출시킨다.
기준점에 설치한 측량기에서는 상기 스태프(10)를 시준하여 망원경 내의 십자선에 일치하는 눈금(12)과 칫수(11)를 읽게 되는 바, 본 발명의 스태프(10)에 의한 볼록렌즈(20)로 인해 눈금(12)과 칫수(11)가 확대되어 나타난다.
그러므로, 측량자는 쉽게 스태프(10)의 눈금(12)과 칫수(11)를 확인할 수 있 으므로 눈금을 읽기 위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음각 형성된 눈금(12)은 장시간이 지나도 쉽게 변형이 되지 않고 탈색이 되지 않으므로, 스태프(10)의 수명을 연장시켜 준다.
또한, 측량을 하는 도중 일몰시간이 됨으로 인해 측점에 설치한 스태프(10)의 시준이 용이하지 못한 경우에는 발광등(30)을 점등함으로써, 볼록렌즈(20) 내측으로 불빛이 발광하여 측량기 측에서 스태프(10)의 눈금(12)과 칫수(11)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스태프는 먼 거리에서도 스태프의 눈금과 치수의 파악이 용이하며, 일몰 후의 어두운 시간에도 시준이 용이하다. 또한, 장기간 사용에도 스태프의 눈금과 치수가 손상되지 않아 측량작업이 양호하게 이루어진다.

Claims (2)

  1. 전면에 일정간격으로 눈금과 치수가 인쇄된 측량용 스태프에 있어서,
    상기 스태프의 전면 전체에는 소정 곡률로 만곡되는 볼록렌즈가 결합되며,
    상기 스태프의 몸체에는 소정의 간격마다 발광등을 구비하고, 볼록렌즈의 배면(평면) 측에는 상기 발광등과 일치하는 위치에 삽입홈을 형성하여 발광등을 삽입 결합함으로써, 일몰 후에도 측량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볼록렌즈의 배면(평면) 측에는 눈금과 칫수를 인쇄하되, 상기 칫수는 음각으로 형성하여 소정 색상의 페인트로 도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간에도 시준이 용이한 수치지도 제작 측량용 스태프.
  2. 삭제
KR1020060036626A 2006-04-24 2006-04-24 야간에도 시준이 용이한 수치지도 제작 측량용 스태프 KR100648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626A KR100648410B1 (ko) 2006-04-24 2006-04-24 야간에도 시준이 용이한 수치지도 제작 측량용 스태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626A KR100648410B1 (ko) 2006-04-24 2006-04-24 야간에도 시준이 용이한 수치지도 제작 측량용 스태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0235A Division KR100644107B1 (ko) 2006-02-02 2006-02-02 시준이 용이한 수치지도 제작 측량용 스태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8410B1 true KR100648410B1 (ko) 2006-11-24

Family

ID=37713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6626A KR100648410B1 (ko) 2006-04-24 2006-04-24 야간에도 시준이 용이한 수치지도 제작 측량용 스태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841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583B1 (ko) 2007-10-15 2008-05-09 (주) 일신하이텍 식별용이한 지형 측량용 스태프
KR101172441B1 (ko) 2012-03-28 2012-08-08 (주)삼경이엔씨 지하공간측량용 무선발광위치조절형 레벨표척장치
KR101238272B1 (ko) 2012-11-30 2013-03-11 동방지적 주식회사 지형공간정보 측량용 스태프 위치 고정장치
CN105021164A (zh) * 2015-08-10 2015-11-04 中建八局第一建设有限公司 一种背光源塔尺
KR101585659B1 (ko) * 2015-11-12 2016-01-15 (주)그린공간정보 정확한 지하시설물 도면 작성을 위한 측량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583B1 (ko) 2007-10-15 2008-05-09 (주) 일신하이텍 식별용이한 지형 측량용 스태프
KR101172441B1 (ko) 2012-03-28 2012-08-08 (주)삼경이엔씨 지하공간측량용 무선발광위치조절형 레벨표척장치
KR101238272B1 (ko) 2012-11-30 2013-03-11 동방지적 주식회사 지형공간정보 측량용 스태프 위치 고정장치
CN105021164A (zh) * 2015-08-10 2015-11-04 中建八局第一建设有限公司 一种背光源塔尺
KR101585659B1 (ko) * 2015-11-12 2016-01-15 (주)그린공간정보 정확한 지하시설물 도면 작성을 위한 측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17111A1 (en) Light reflective and light enhancing tape measure
KR100648410B1 (ko) 야간에도 시준이 용이한 수치지도 제작 측량용 스태프
CN101600933B (zh) 卷尺
CN108592744A (zh) 园林绿化测量工具
KR101395845B1 (ko) 수준 측량용 디지털 스타프의 지면 고정 장치
US20200011647A1 (en) Smart scale ruler
CN204421787U (zh) 一种多功能激光辅助测量卷尺
KR100644107B1 (ko) 시준이 용이한 수치지도 제작 측량용 스태프
KR100828583B1 (ko) 식별용이한 지형 측량용 스태프
CN205506050U (zh) 一种激光水平尺
KR101208591B1 (ko) 야간 시준을 위한 시설물측량용 반사체
CN109631946B (zh) 激光倾斜仪精度的测试方法、测试系统
CN201344797Y (zh) 多功能垂平测量仪
CN207675086U (zh) 一种测量测绘用测量尺
CN205507080U (zh) 多用途激光测距仪
CN211121147U (zh) 一种树木测高器
CN202747951U (zh) 一种多功能尺子
CN202432940U (zh) 一种小间隙测量尺
KR101349957B1 (ko) 지형 사이 거리를 측량하는 지표면 수준측량용 디지털 스타프 높낮이 조절장치
CN209557008U (zh) 管片真圆测量仪
CN110823206A (zh) 一种用于房地产评估的墙体垂直度检测器
CN217032462U (zh) 一种用于快速等距测量的水准仪装置
CN217766836U (zh) 带标记功能的测距仪
Sweden Increment Borer
CN208536845U (zh) 一种多功能建筑检测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