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8583B1 - 식별용이한 지형 측량용 스태프 - Google Patents

식별용이한 지형 측량용 스태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8583B1
KR100828583B1 KR1020070103396A KR20070103396A KR100828583B1 KR 100828583 B1 KR100828583 B1 KR 100828583B1 KR 1020070103396 A KR1020070103396 A KR 1020070103396A KR 20070103396 A KR20070103396 A KR 20070103396A KR 100828583 B1 KR100828583 B1 KR 100828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ff
pinhole
staff member
penetrates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3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희평
Original Assignee
(주) 일신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일신하이텍 filed Critical (주) 일신하이텍
Priority to KR1020070103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85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8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8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6Surveyors' staffs; Movable mark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01B3/04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 G01B3/08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extensib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량용 스태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의 스태프 부재를 조립식으로 조립제작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이동이 용이하고 스태프 부재의 외주연에 야광봉이 삽입되어 있어 시준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는 식별용이한 지형 측량용 스태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일 하단의 핀홀에 결합핀이 관통되어 체결되되, 사각함부와 돌출핀이 일체로 형성된 지지 부재가 접착제가 도포되어 고정되고, 상측에 결합핀이 핀홀을 관통하여 다단으로 결합되며, 외주면에 반원홈이 디귿자 형태로 형성되고 전방 상면에 사각홈이 형성되어 GPS 단자가 부착되며, 길이 전체에 15, 25,...95 CM에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 야광체가 삽입홈에 삽입돌출되고, 길이의 양측에 각각 관통되는 핀홀이 형성된 다수개의 스태프 부재;
각각의 스태프 부재를 결합핀이 사용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시키되, 2개의 디귿형 몸체가 마주보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중간판부가 디귿형 몸체의 중간위치에 일체결합되어 형성된 결합 부재; 및
각각의 스태프 부재의 반원홈과 삽입홈에 접착제로 접착고정되는 야광봉과 야광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용이한 지형 측량용 스태프;가 제시된다.
지형측량, 스태프, 야광봉, 야광체

Description

식별용이한 지형 측량용 스태프{staff of surveying instrument}
본 발명은 측량용 스태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의 스태프 부재를 조립식으로 조립제작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이동이 용이하고 스태프 부재의 외주연에 야광봉이 삽입되어 있어 시준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는 식별용이한 지형 측량용 스태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토목설계나 건축설계 등을 위해서는 측량이 먼저 이루어지게 되되, 측량이란 수평거리와 고저차 및 방향을 측정하여 점들의 상호간의 위치를 결정하여 이를 도면이나 수치로 표시하며, 또한 현장에서 측설하는 제반 활동을 지칭한다.
레벨 측량시 레벨 미터와 스태프를 사용하여 레벨을 측량하게 되고, 현장의 지형 조건이 수목이 우거져 있는 경우에는 레벨 미터를 높은 곳에 세워서 레벨 미터와 동일 높이의 측량용 스태프의 눈금을 읽게 된다.
이때, 시준선의 시야가 수목에 가려져서 수목의 나뭇가지 사이사이로 재빨리 읽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됨은 물론, 레벨을 조금씩 높이 세우거나 또는 낮게 세우기도 하며, 스태프를 좌,우측으로 소폭 이동하면서 눈금을 읽게 된다.
도 1은 종래 측량용 스태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스태프(10)는 소정길이로 이루어지되, 하단의 스태프는 상단 스태프가 삽입가능하도록 공간이 확보된 박스형태로 형성된다.
스태프(10)는 몸체(13)에 칫수(11)와 눈금(12)이 표시되되, 칫수(11)는 소정 깊이로 음각 형성되고, 눈금(12)은 몸체(13)의 전면에 표시된다.
도 2는 종래 다른 측량용 스태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른 스태프(10')는 1M 길이의 스태프 부재(14,15,16,17,18)들이 차례로 수납 또는 다단 인출되는 구조로 제작되되, 1단 스태프 부재(14)에서 부터 차례대로 1M, 2M, 3M, 4M, 5M로 표기되어 있어 각각의 스태프 부재를 순서대로 인출해야 된다.
스태프 부재(14,15,16,17,18)들에는 상부단을 접어 넣기 위한 인출조절 스위치(14-1, 15-1, 16-1, 17-1)가 바로 아랫단의 상부에 위치된다.
상술한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현장에서 측량작업시 시준거리가 멀어서 스태프의 눈금이 측량기 망원경 속의 십자선에 덮여 판독이 어렵고 스태프의 높이를 높이기 위해 다단의 스태프를 인출시키는 경우에는 내측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 확인이 더욱 어려운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길이조절 후 다시 올린다고 해도 레벨의 시준선을 확보할 수 있는지의 여부는 불확실하고, 수직으로 세우면 수목의 뒷쪽으로 시야를 벗어나는 경우가 있어 재차 위치를 이동시켜야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술한 내용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다단의 스태프 부재를 인출하는 경우에도 제일 하단의 스태프 부재와 동일한 크기로 제작되어 확인이 용이함은 물론, 각 스태프 부재에 야광체가 일정 위치마다 설치되어 시준거리가 먼 경우에도 판독이 용이하며, FRP(강화섬유플라스틱; FIBERGLASS REINFORCED PLASTICS) 재질로 제작됨은 물론 조립식 형태로 스태프 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어 운반이 용이하도록 제작된 식별용이한 지형 측량용 스태프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제일 하단의 핀홀에 결합핀이 관통되어 체결되되, 사각함부와 돌출핀이 일체로 형성된 지지 부재가 접착제가 도포되어 고정되고, 상측에 결합핀이 핀홀을 관통하여 다단으로 결합되며, 외주면에 반원홈이 디귿자 형태로 형성되고 전방 상면에 사각홈이 형성되어 GPS 단자가 부착되며, 길이 전체에 15, 25,...95 CM에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 야광체가 삽입홈에 삽입돌출되고, 길이의 양측에 각각 관통되는 핀홀이 형성된 다수개의 스태프 부재;
각각의 스태프 부재를 결합핀이 사용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시키되, 2개의 디귿형 몸체가 마주보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중간판부가 디귿형 몸체의 중간위치에 일체결합되어 형성된 결합 부재; 및
각각의 스태프 부재의 반원홈과 삽입홈에 접착제로 접착고정되는 야광봉과 야광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용이한 지형 측량용 스태프;가 제시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식별용이한 지형 측량용 스태프에서 나타나는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식별용이한 지형 측량용 스태프는, 다단의 스태프 부재를 인출하는 경우에도 제일 하단의 스태프 부재와 동일한 크기로 제작되어 확인이 용이함은 물론, 각 스태프 부재에 야광체가 일정 위치마다 설치되어 시준거리가 먼 경우에도 판독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별용이한 지형 측량용 스태프는, FRP(강화섬유플라스틱; FIBERGLASS REINFORCED PLASTICS) 재질로 제작됨은 물론 조립식 형태로 스태프 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어 운반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3는 본 발명 측량용 스태프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측량용 스태프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측량용 스태프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측량용 스태프의 정면도이다.
스태프(100)는, 각각의 스태프 부재가 다단으로 결합시킬 때 사용되는 다수개의 결합 부재(70)와, 결합 부재(70)에 삽입되어 결합핀(77)으로 고정되는 다수개 의 스태프 부재(30-1,40-1,50-1,60-1)와, 스태프 부재(30-1)의 외주면에 디귿자(ㄷ) 형태로 삽입되는 야광봉(90)과, 제일 하단의 스태프 부재(30-1)에 결합되는 지지 부재(80)로 구성된다.(단 스태프 부재를 설명함에 있어 제일 하단의 스태프 부재(30-1)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스태프 부재(30-1)는, 반원홈(31)이 외주면을 따라 디귿자 형태로 형성되고 전방 상면에 사각홈(32)이 형성되며, 길이 전체에 15, 25,...95 CM에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 야광체(37)가 삽입홈에 삽입되어 접착제로 부착되어 돌출된다.
또한, 스태프 부재(30-1)에는 길이의 일측 상단에 관통되는 핀홀(33)이 형성되어 결합핀(77)이 삽입되어 스태프 부재(40-1), 결합 부재(70)가 결합되며, 스태프 부재(30-1)에는 하단에 지지 부재(80)가 길이방향으로 결합된다.
스태프 부재(30-1)는 다수개가 사용되는 바, 최하단의 스태프 부재(30-1)에서 부터 상부로 결합되는 스태프 부재(40-1)(50-1)(60-1)에 순차적으로 번호를 부여하였다.
부연하자면, 스태프 부재(40-1)는 제일 하단의 핀홀(33)에 결합핀(77)이 관통체결되고 상측에 결합핀(77)이 핀홀을 관통하여 상부에 스태프 부재(50-1)가 결합되며, 외주면에 반원홈(31)이 디귿자 형태로 형성되고 전방 상면에 사각홈(32)이 형성되어 GPS 단자(P)가 부착되며, 길이 전체에 15, 25,...95 CM에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 야광체(37)가 삽입홈에 삽입돌출되고, 길이의 양측에 각각 관통되는 핀홀(33)이 형성된다.
또한, 스태프 부재(50-1)는 제일 하단의 핀홀(33)에 결합핀(77)이 관통되어 스태프 부재(40-1)와 결합부재(70)가 체결되고 상측에 결합핀(77)이 핀홀을 관통하여 상부에 스태프 부재(60-1)가 결합되며, 외주면에 반원홈(31)이 디귿자 형태로 형성되고 전방 상면에 사각홈(32)이 형성되어 GPS 단자(P)가 부착되며, 길이 전체에 15, 25,...95 CM에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 야광체(37)가 삽입홈에 삽입돌출되고, 길이의 양측에 각각 관통되는 핀홀(33)이 형성된다.
또한, 스태프 부재(60-1)는 제일 하단의 핀홀(33)에 결합핀(77)이 관통되어 스태프 부재(50-1)와 체결되고 외주면에 반원홈(31)이 디귿자 형태로 형성되며, 전방 상면에 사각홈(32)이 형성되어 GPS 단자(P)가 부착되고 길이 전체에 15, 25,...95 CM에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 야광체(37)가 삽입홈에 삽입돌출되며, 길이의 양측에 각각 관통되는 핀홀(33)이 형성된다.
결합 부재(70)는 2개의 디귿형 몸체(71)가 상호 마주보도록 형성된 상태에서 디귿형 몸체(71)의 길이 중간에 중간판부(72)가 일체로 형성된 부재로, 디귿형 몸체(71)에 중간판부(72)를 기점으로 양측에 각각 결합핀홀(73)이 수평하게 관통된다.
즉, 결합 부재(70)의 형태를 살펴보면, 2개의 디귿형 몸체(71)가 마주보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중간판부(72)가 디귿형 몸체(71)의 중간위치에 일체결합된 형태로 형성된다.
스태프(100)를 구성하는 제일 하단의 스태프 부재(30-1)에는 지지 부재(80)의 내주면에 접착제가 부착된 상태에서 결합핀(77)으로 고정되되, 지지 부재(80)는 사각함부(81)와 돌출핀(82)이 일체로 형성된다.
스태프(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스태프 부재(30-1)에는 사각홈(32)에 GPS 단자(P)가 삽입되어 위성을 사용하여 위치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측량용 스태프(100)의 설치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측량하고자 하는 점에 다단으로 스태프(100)를 조립하게 된다.
스태프 부재(30-1)에는 길이 말단에 결합 부재(70)를 결합핀(77)으로 결합하여 다수개의 스태프 부재들(40-1)(50-1)(60-1)을 다단으로 결합하게 된다.
이때,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스태프 부재(30-1,40-1,50-1,60-1)들에는 반원홈(31)에 야광봉(90)이 접착제로 부착되고, 다수개의 삽입홈에 야광체(37)가 접착제로 부착되며, 및 사각홈(32)에 GPS 단자(P)가 접착제로 부착된다.
한편, 각각의 스태프 부재(30-1)와 결합 부재(70)는 결합시 결합 부재(70)의 전방 삽입홈에 다른 상단의 스태프 부재(40-1)(50-1)(60-1)가 위치되어 고정된다.
다음으로, 레벨 미터(도면상 미도시됨)를 통해 스태프(100)의 눈금을 읽어 측량을 완료하게 된다.
이때, 스태프(100)에는 식별이 용이하도록 스태프 부재에 야광봉(90)과 야광체(37)가 있어 측량하는 사람은 손쉽게 측량을 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측량용 스태프(100)는 레벨 미터로 측량시 각 10CM 사이인 5, 15, 25...94CM 위치에 야광체(37)가 돌출되어 있어 측량시 높이를 손쉽게 측정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동일한 형태로 제작된 스태프 부재가 상단으로 올라갈 수록 전방으 로 위치되게 되어 시준거리 측량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도면상 미도시되었지만 결합부재(70)에는 눈금을 주어 결합부재의 높이를 미리 알 수 있어 레벨 측정시 참고할 수 있도록 사용가능하다.
도 1은 종래 측량용 스태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 다른 측량용 스태프를 나타내는 도면,
도 3는 본 발명 측량용 스태프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측량용 스태프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측량용 스태프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측량용 스태프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1; 스태프 부재 31; 반원홈
32; 사각홈 33; 핀홀
37; 야광체 70; 결합부재
71; 디귿형 몸체 72; 중간판부
73; 결합핀홀 80; 지지부재
81; 사각함부 82; 돌출핀
100; 스태프

Claims (1)

  1. 상측에 결합핀(77)이 핀홀을 관통하여 상부에 스태프 부재(40-1)가 결합되고 외주면에 반원홈(31)이 디귿자 형태로 형성되며, 전방 상면에 사각홈(32)이 형성되어 GPS 단자(P)가 부착되고 사각함부(81)와 돌출핀(82)이 일체로 형성된 지지 부재(80)가 접착제가 도포되어 고정되며, 길이의 15, 25,...95 CM에 삽입홈이 형성된 스태프 부재(30-1)와,
    제일 하단의 핀홀(33)에 결합핀(77)이 관통되어 체결되고 상측에 결합핀(77)이 핀홀을 관통하여 상부에 스태프 부재(50-1)가 결합되며, 외주면에 반원홈(31)이 디귿자 형태로 형성되고 전방 상면에 사각홈(32)이 형성되어 GPS 단자(P)가 부착되며, 길이의 15, 25,...95 CM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길이의 양측에 각각 관통되는 핀홀(33)이 형성된 스태프 부재(40-1)와,
    제일 하단의 핀홀(33)에 결합핀(77)이 관통되어 체결되고 상측에 결합핀(77)이 핀홀을 관통하여 상부에 스태프 부재(60-1)가 결합되며, 외주면에 반원홈(31)이 디귿자 형태로 형성되고 전방 상면에 사각홈(32)이 형성되어 GPS 단자(P)가 부착되며, 길이의 15, 25,...95 CM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길이의 양측에 각각 관통되는 핀홀(33)이 형성된 스태프 부재(50-1)와,
    제일 하단의 핀홀(33)에 결합핀(77)이 관통되어 체결되고 외주면에 반원홈(31)이 디귿자 형태로 형성되며, 전방 상면에 사각홈(32)이 형성되어 GPS 단자(P)가 부착되고 길이의 15, 25,...95 CM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길이의 양측에 각각 관통되는 핀홀(33)이 형성된 스태프 부재(60-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수개의 스태프 부재;
    각각의 스태프 부재를 결합핀(77)이 사용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시키되, 2개의 디귿형 몸체(71)가 마주보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중간판부(72)가 디귿형 몸체(71)의 중간위치에 일체결합되어 형성된 결합 부재(70); 및
    각각의 스태프 부재의 반원홈(31)과 삽입홈에 접착제로 접착고정되는 야광봉(90)과 야광체(37);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용이한 지형 측량용 스태프.
KR1020070103396A 2007-10-15 2007-10-15 식별용이한 지형 측량용 스태프 KR100828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396A KR100828583B1 (ko) 2007-10-15 2007-10-15 식별용이한 지형 측량용 스태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396A KR100828583B1 (ko) 2007-10-15 2007-10-15 식별용이한 지형 측량용 스태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8583B1 true KR100828583B1 (ko) 2008-05-09

Family

ID=39650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3396A KR100828583B1 (ko) 2007-10-15 2007-10-15 식별용이한 지형 측량용 스태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858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2439B1 (ko) 2012-02-29 2012-08-08 (주)삼경이엔씨 자동 측량타겟위치조절형 레벨표척용 스타프
KR101238272B1 (ko) 2012-11-30 2013-03-11 동방지적 주식회사 지형공간정보 측량용 스태프 위치 고정장치
KR101585659B1 (ko) * 2015-11-12 2016-01-15 (주)그린공간정보 정확한 지하시설물 도면 작성을 위한 측량 장치
KR20170127886A (ko) * 2016-05-13 2017-11-22 서영대 다용도 수평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0248U (ko) * 1989-07-04 1991-02-27
JPH1089959A (ja) 1996-09-17 1998-04-10 Unyusho Kowan Gijutsu Kenkyusho Gps利用の計測装置
KR100648410B1 (ko) 2006-04-24 2006-11-24 김은주 야간에도 시준이 용이한 수치지도 제작 측량용 스태프
KR100678644B1 (ko) 2006-05-04 2007-02-02 김은주 지형 측량용 스태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0248U (ko) * 1989-07-04 1991-02-27
JPH1089959A (ja) 1996-09-17 1998-04-10 Unyusho Kowan Gijutsu Kenkyusho Gps利用の計測装置
KR100648410B1 (ko) 2006-04-24 2006-11-24 김은주 야간에도 시준이 용이한 수치지도 제작 측량용 스태프
KR100678644B1 (ko) 2006-05-04 2007-02-02 김은주 지형 측량용 스태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2439B1 (ko) 2012-02-29 2012-08-08 (주)삼경이엔씨 자동 측량타겟위치조절형 레벨표척용 스타프
KR101238272B1 (ko) 2012-11-30 2013-03-11 동방지적 주식회사 지형공간정보 측량용 스태프 위치 고정장치
KR101585659B1 (ko) * 2015-11-12 2016-01-15 (주)그린공간정보 정확한 지하시설물 도면 작성을 위한 측량 장치
KR20170127886A (ko) * 2016-05-13 2017-11-22 서영대 다용도 수평대
KR101972019B1 (ko) * 2016-05-13 2019-04-24 서영대 다용도 수평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3942B1 (ko) 수준 측량용 표척
KR100828583B1 (ko) 식별용이한 지형 측량용 스태프
CN101008565A (zh) 工程地质裂缝三维变形测量仪
CN103308033B (zh) 测量趋向和倾伏的仪器
CN102829728A (zh) 边坡、滑坡综合监测系统
US20110161008A1 (en) Land settlement measuring apparatus and system
KR100928662B1 (ko) 다용도 측량기
CN103090851A (zh) 一种管桩测斜装置及使用方法
KR100648410B1 (ko) 야간에도 시준이 용이한 수치지도 제작 측량용 스태프
US8230609B1 (en) Survey pole positioning system
CN103063168B (zh) 地表粗糙度参数测量装置及方法
CN114152239A (zh) 一种表层沉降的测量方法及其观测装置
KR101010333B1 (ko) 수준측량에 사용되는 조립식 수준점 설치장치
KR20110106727A (ko) 경사 규준틀
CN202719341U (zh) 一种用于煤矿测量的三角架
CN110030986B (zh) 一种经纬仪测钎装置及其使用方法
CN212515013U (zh) 适用于升降轨数据的水准InSAR一体化测量装置
CN204944480U (zh) 一种用于土地资源测绘的塔尺
CN201852588U (zh) 用于测量专用的点位标志工具
CN209589067U (zh) 一种经纬仪测钎装置
CN214939552U (zh) 一种工程测量标志警示装置
CN202300373U (zh) 激光方位仪
CN214149318U (zh) 一种管道工程勘察用定位测量装置
CN211477143U (zh) 一种工程测绘标识定位装置
CN218349465U (zh) 一种沟槽测量辅助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