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9252B1 - 레이저를 이용한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레이저를 이용한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9252B1
KR102129252B1 KR1020180030790A KR20180030790A KR102129252B1 KR 102129252 B1 KR102129252 B1 KR 102129252B1 KR 1020180030790 A KR1020180030790 A KR 1020180030790A KR 20180030790 A KR20180030790 A KR 20180030790A KR 102129252 B1 KR102129252 B1 KR 102129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height measurement
measurement device
laser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9001A (ko
Inventor
이상대
김의중
정재훈
양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엠헬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엠헬스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엠헬스케어
Priority to KR1020180030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252B1/ko
Publication of KR20190109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9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using optical or photograph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2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measuring distances on the body, e.g. measuring length, height or thick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519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 일측으로 레이저를 조사하고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광을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레이저 거리 센서; 상기 측정된 거리를 바탕으로 신장 데이터를 산출하는 신장 산출부;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조사된 레이저의 진행 경로를 하방으로 변경하고, 하방으로부터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광의 진행 경로를 상기 레이저 거리 센서 측으로 변경하는 반사경; 상기 반사경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반사경에 의해 진행 경로가 변경된 레이저를 통과시키고, 상기 되돌아오는 반사광을 통과시키는 윈도우; 및 상기 신장 산출부에서 산출된 신장 데이터를 스마트폰이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레이저를 이용한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 및 그 방법{Portable height measuring device using lase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람의 신장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이저를 이용한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신장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장 측정기는 발판에 높이를 잴 수 있는 측정 눈금이 표시된 직각 기둥이 있고, 평행 바가 부착되어 상하로 이동하여 머리 위의 위치값을 얻어 이를 신장값으로 사용하여 왔으나, 최근에는 가정이나 원하는 장소에서 간편하게 신장을 측정하기 위하여, 초음파를 이용한 거리 측정 기술을 응용한 휴대용 제품이 상용화된 바 있다. 그러나 초음파는 온도나 습도에 영향을 받을 뿐만 아니라 주변의 구조물에도 영향을 받으므로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거리 측정 기술에는 초음파를 이용하는 것 외에도, 표적을 향해 레이저를 발사한 뒤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거리를 검출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레이저 거리 측정 기술이 측량용이나 군사용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레이저는 초음파보다 직진성이 우수하고 주변 구조물의 영향이 거의 없어 보다 정확하게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레이저 거리 측정 기술을 신장 측정에 활용하면 보다 정확하게 신장을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구조적, 광학적 문제 등으로 인해 아직까지 실제 제품으로 구현되어 상용화되지는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레이저 거리 측정 기술을 이용하여 신장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장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 일측으로 레이저를 조사하고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광을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레이저 거리 센서; 상기 측정된 거리를 바탕으로 신장 데이터를 산출하는 신장 산출부;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조사된 레이저의 진행 경로를 하방으로 변경하고, 하방으로부터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광의 진행 경로를 상기 레이저 거리 센서 측으로 변경하는 반사경; 상기 반사경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반사경에 의해 진행 경로가 변경된 레이저를 통과시키고, 상기 되돌아오는 반사광을 통과시키는 윈도우; 및 상기 신장 산출부에서 산출된 신장 데이터를 스마트폰이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이저 거리 센서는 상기 레이저를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 옆에 배치되어 상기 반사광을 감지하는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는 상기 반사경과 상기 윈도우 사이 및 상기 반사경과 상기 레이저 거리 센서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발광부와 상기 반사경 사이의 공간과 상기 수광부와 상기 반사경 사이의 공간이 서로 격리되도록 하는 수직 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수평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져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 각도는 1° 내지 5°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 타측에는 상기 스마트폰을 수평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 거치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는, 상기 스마트폰의 제1 측면을 지지하는 제1 측면 지지부; 상기 스마트폰의 배면을 지지하는 배면 지지부; 상기 배면 지지부 하부에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슬롯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 및 인출되는 슬라이드부; 상기 슬라이드부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제1 측면 반대편의 제2 측면을 지지하는 제2 측면 지지부; 및 상기 슬라이드부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부가 상기 슬롯 안쪽으로 당겨지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는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상기 측정된 기울기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기울기 데이터에 따라 상기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의 수평 상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신장 측정 방법은, 상기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를 이용한 신장 측정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가 상기 스마트폰으로 상기 산출된 신장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신장 측정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로부터 수신한 신장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는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장 측정 방법은, 상기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가 상기 측정되는 기울기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신장 측정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기울기 데이터에 따라 상기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의 수평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가 수평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신장 측정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로 신장 측정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신장 측정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가 상기 레이저 거리 센서에서 측정된 거리를 바탕으로 신장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장 측정 방법은, 상기 신장 측정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기울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의 기울기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의 기울기 상태는 수평 수포계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된 본 발명에 의하면, 레이저 거리 센서가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레이저를 조사하고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광을 수광하도록 배치되고, 조사된 레이저의 진행 경로를 하방으로 변경하고 하방으로부터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광의 진행 경로를 레이저 거리 센서 측으로 변경하는 반사경을 마련함으로써, 신장 측정 장치를 사용자의 머리 위에 수평으로 올려놓은 상태에서 레이저가 하방으로 조사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신장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신장 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신장 데이터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스마트폰이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장 측정 장치에 별도의 디스플레이가 요구되지 않아 소형화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반사경과 윈도우 사이에 수직 격벽을 마련함으로써, 윈도우에서 반사되어 산란되는 레이저가 레이저 거리 센서의 수광부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정확한 측정값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윈도우를 수평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져 있도록 함으로써, 윈도우에서 반사된 레이저가 레이저 거리 센서의 발광부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레이저 다이오드의 출력 변동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에 스마트폰을 수평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 거치부를 마련함으로써, 신장 측정 장치를 소형화하더라도 거치된 스마트폰의 자세를 통해 사용자가 장치의 수평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의 상부측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의 하부측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의 상부측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세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대응하는 하부측 세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윈도우(50)가 기울어져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도 8은 슬라이드부(73)가 하부 하우징(12)으로부터 인출된 모습를 보여준다.
도 9는 슬라이드부(73)가 하부 하우징(12)으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거치부(70)에 스마트폰(M)이 거치된 모습을 보여준다.
도 10은 스마트폰(M)이 거치된 신장 측정 장치(100)로 제1 사용자(U1)가 제2 사용자(U2)의 신장을 측정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신장 측정 애플리케이션이 신장 측정 장치(100)의 기울기 상태를 표시하는 화면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13은 신장 측정 애플리케이션이 측정된 신장 값을 표시하는 화면의 예를 보여준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각각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이하, '신장 측정 장치'라 함)(1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들로서, 도 1은 상부측 사시도를, 도 2는 하부측 사시도를, 도 3은 상부측 분해 사시도를, 도 4는 도 3의 세부 분해 사시도를, 도 5는 도 4에 대응하는 하부측 세부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장치(100)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장치(100)는, 하우징(10), 레이저 거리 센서(20), 반사경(40), 윈도우(50), 프레임(6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0)은 신장 측정 장치(100)의 각종 구성요소를 수용하며, 신장을 측정할 사용자의 머리 상단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일측이 머리 바깥쪽으로 튀어나올 수 있게(도 10 참조) 길이 방향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하우징(10)은 상부 하우징(11)과 하부 하우징(12)으로 구성되어, 상부 하우징(11)과 하부 하우징(12)이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상부에는 전원 램프(13)가 구비되고, 하우징(10)의 측면에는 전원 버튼(P)이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전원 램프(13)와 전원 버튼(P)은 하우징(10)의 다른 부분에 구비될 수도 있다.
하우징(10) 내에는 레이저 거리 센서(20), 반사경(40), 배터리(B) 등이 실장되는 프레임(60)이 구비될 수 있다. 레이저 거리 센서(20)는 프레임(60)의 수용공간(60a)에 실장될 수 있다.
레이저 거리 센서(20)는 레이저를 조사하고,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광을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로, 하우징(10)의 길이 방향 일측(도 3~5를 기준으로 좌측)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도록 하우징(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레이저 거리 센서(20)는, 레이저를 조사하는 발광부(21)와, 반사광을 감지하는 수광부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발광부(21)는 레이저 다이오드로 구성되고, 수광부는 반사광을 감지하는 포토다이오드(22) 및 포토다이오드(22) 앞에서 반사광을 집광하기 위한 볼록렌즈(23)와 경통(24)으로 구성된다. 레이저 거리 센서(20)는 발광부(21)에 의해 조사된 레이저와, 표적에서 반사된 후 되돌아와 포토다이오드(22)에 의해 감지된 반사광 간의 시간차, 위상차 또는 간섭 등에 의해 표적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본 발명에서 레이저 거리 센서(20)의 '표적'은 신장 측정 장치(100)를 사용자의 머리 상단에 올려놓았을 때 사용자가 서 있는 바닥면에 해당한다(도 10 참조). 레이저 거리 센서(20)는, 발광부와(21)는 하우징(10)의 폭 방향 일측에 위치되도록, 그리고 수광부(23, 24, 22)는 하우징(10)의 폭 방향 타측에 위치되도록 하우징(10) 내에 배치된다.
반사경(40)은 하우징(10)의 길이 방향 일측(즉, 레이저 거리 센서(20) 앞)에 마련되어, 레이저 거리 센서(20)에 의해 조사된 레이저의 진행 경로를 하방으로 변경하는 한편, 하방으로부터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광의 진행 경로를 레이저 거리 센서(20) 측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수평을 기준으로 45도 각도로 배치된다.
하부 하우징(12)에 설치되는 윈도우(50)는 반사경(40)의 하부에 배치되어, 반사경(40)에 진행 경로가 변경된 레이저를 하방으로 통과시키고 하방으로부터 되돌아오는 반사광을 통과시키는 역할을 하는 한편, 반사경(40)과 레이저 거리 센서(20)가 위치하는 내부 공간으로 먼지나 이물질 등이 침투하지 않도록 상기 내부 공간을 외부로부터 격리하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발광부(21)는 하우징(10)의 폭 방향 일측을 따라 반사경(40)을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게 되고, 조사된 레이저는 반사경(40)에 의해 하방으로 진행 경로가 변경되어 윈도우(50)를 통해 나가게 된다. 그리고 하방으로부터 들어오는 반사광은 윈도우(50)를 통과한 다음 반사경(40)에 의해 레이저 거리 센서(20) 측으로 진행 경로가 변경되고, 수광부(23, 24, 22)는 하우징(20)의 폭 방향 타측을 따라 되돌아오는 반사광을 감지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신장 측정 장치(100)는 상기 레이저 거리 센서(20)와 더불어 신장 산출부(31), 블루투스 모듈(32), 기울기 센서(33) 등을 포함한다. 신장 산출부(31), 블루투스 모듈(32), 기울기 센서(33) 등은 레이저 거리 센서(20)와 결합되는 회로기판(30)에 실장될 수 있다.
신장 산출부(31)는 레이저 거리 센서(20)에서 측정된 거리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신장을 산출한다. 신장은 신장 측정 장치(100)가 사용자의 머리와 닿는 면(즉, 하부 하우징(12)의 저면)으로부터 사용자가 서 있는 바닥면까지의 거리에 해당하므로, 레이저 거리 센서(20)에서 측정된 거리에서 레이저 거리 센서(20)로부터 하부 하우징(12)의 저면의 연장면까지의 광경로 거리(장치의 구조에 따라 미리 정해져 있을 것임)를 빼는 것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신장 산출부(31)는 예컨대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32)은 신장 산출부(31)에서 산출된 신장 데이터를 신장 측정 장치(100)와 블루투스 연결된 스마트폰(M)으로 전송한다. 스마트폰(M)에는 신장 측정 장치(100)와 연동되는 신장 측정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신장 측정 애플리케이션이 신장 측정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신장 데이터를 화면을 통해 출력한다.
기울기 센서(33)는 신장 측정 장치(100)의 기울기, 즉 신장 측정 장치(100)가 전후좌우로 얼만큼 기울어져 있는지를 측정한다. 블루투스 모듈(32)은 측정된 기울기 데이터를 스마트폰(M)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스마트폰(M)의 신장 측정 애플리케이션은 이 기울기 데이터에 따라 신장 측정 장치(100)의 수평 상태 여부를 판단하거나, 신장 측정 장치(100)가 어느 쪽으로 기울어져 있는지 화면을 통해 보여줄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5(특히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프레임(60)에는, 반사경(40)과 윈도우(50) 사이 및 반사경(40)과 레이저 거리 센서(20) 사이에 위치하여, 발광부(21)와 반사경(40) 사이의 공간과 수광부(23, 24, 22)와 반사경(40) 사이의 공간이 서로 격리되도록 하는 수직 격벽(61)이 마련될 수 있다. 발광부(21)에서 조사되어 반사경(40)에 의해 하방(도 5에서는 상방)으로 진행하는 레이저는 대부분 윈도우(50)를 통과하지만, 레이저의 일부(예컨대 약 5% 내외)는 윈도우(50)에서 반사되어(또는 반사된 후 반사경(40)에 의해) 레이저 거리 센서(20) 측으로 산란될 수 있다. 이렇게 산란된 레이저가 수광부(23, 24, 22)로 입사하게 되면 본래 의도된 반사광과 혼합되어 측정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수직 격벽(61)은 이와 같이 윈도우(50)에서 반사되어 산란되는 레이저가 수광부(23, 24, 22)로 입사되지 않도록 하여 측정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5에서는 분명히 드러나지 않지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50)는 수평을 기준으로(즉, 하부 하우징(12)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져 있을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윈도우(50)에서 반사된 일부 레이저는, 반사경(40)에 의해 진행 경로가 변경되어 다시 발광부(21) 측으로 향하게 된다. 윈도우(50)가 정확히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면 윈도우(50)에서 반사되어 반사경(40)에 의해 진행 경로가 변경된 일부 레이저는 레이저 조사 경로를 그대로 거슬러 발광부(21)의 레이저 다이오드에 직접 입사될 텐데, 이 경우 레이저 다이오드의 출력 변동이 일어나 측정이 불가능해지거나 측정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50)를 수평을 기준으로 하우징(10)의 길이 방향으로 약간 기울어져 있게 하면, 윈도우(50)에서 반사된 레이저는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이저 조사 경로를 벗어나게 되므로, 발광부(21)의 레이저 다이오드에 직접 입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윈도우(50)의 기울어진 각도는 반사된 레이저가 레이저 다이오드에 직접 입사되지 않도록 하는 적절한 값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약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윈도우(50)가 기울어져 있는 것이 분명히 드러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미관상 좋은 것을 감안하면, 상기 각도는 약 1° 내지 약 5° 사이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하우징(10)의 길이 방향 타측(즉, 윈도우(50)가 설치된 일측의 반대측)에는 신장 측정 장치(100)와 연동되어 신장 데이터를 출력할 스마트폰(M)을 수평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부(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70)는, 상부 하우징(11) 끝단에 마련되어 스마트폰(M)의 제1 측면을 지지하는 제1 측면 지지부(71)와, 제1 측면 지지부(71)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스마트폰(M)의 배면을 지지하는 배면 지지부(72)와, 하부 하우징(12)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배면 지지부(72) 하부에 위치하는 슬롯(12a)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 및 인출되는 슬라이드부(73)와, 슬라이드부(73)의 끝단에서 위치하여 슬라이드부(73)가 인출된 상태에서 스마트폰(M)의 상기 제1 측면 반대편의 제2 측면을 지지하는 제2 측면 지지부(7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 지지부(71)와 상기 제2 측면 지지부(74)에는, 거치된 스마트폰(M)이 미끄러져 이탈하지 않도록 스마트폰(M)의 측면을 압박하는 러버(75, 76)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치부(70)는, 거치된 스마트폰(M)의 제1 측면과 제2 측면이 상기 제1 측면 지지부(71)와 상기 제2 측면 지지부(74)에 의해 압박 고정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부(73)가 인출된 상태에서 슬라이드부(73)가 슬롯(12a) 안쪽으로 당겨지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76)(예컨대, 스프링)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76)는 양 끝단이 각각 하부 하우징(12)에 형성된 단턱(77)과 슬라이드부(73)에 형성된 단턱(78)에 밀착되도록, 하부 하우징(12)에 형성된 길이 방향의 홈(12b)과 슬라이드부(73)에 형성된 길이 방향의 홈(73a) 사이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슬라이드부(73)가 인출됨에 따라 단턱(78)과 단턱(77)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져 탄성부재(76)가 압축되므로, 이때 탄성부재(76)의 신장력이 슬라이드부(73)가 슬롯(12a) 안쪽으로 당겨지도록 하는 복원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도 8은 슬라이드부(73)가 하부 하우징(12)으로부터 인출된 모습를 보여주고, 도 9는 슬라이드부(73)가 하부 하우징(12)으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거치부(70)에 스마트폰(M)이 거치된 모습을 보여준다.
도 10은 스마트폰(M)이 거치된 신장 측정 장치(100)로 제1 사용자(U1)(가령, 부모)가 제2 사용자(U2)(가령, 자녀)의 신장을 측정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제1 사용자(U1)가 신장 측정 장치(100)의 윈도우(50) 측이 제2 사용자(U2)의 앞쪽에 위치하도록 신장 측정 장치(100)를 제2 사용자(U2)의 머리 상단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신장 측정 장치(100)는 윈도우(50)를 통해 하방으로 레이저를 조사하고 바닥면으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을 수광하는 것에 의해 제1 사용자(U1)의 신장을 측정하여 신장 데이터를 스마트폰(M)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스마트폰(M)의 신장 측정 애플리케이션은 신장 데이터를 스마트폰(M)의 화면을 통해 출력함으로써 제1 사용자(U1)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1 사용자(U1)가 제2 사용자(U2)의 신장을 측정할 때, 제1 사용자(U1)는 신장 측정 장치(100)의 길이 방향 기울기로 전후 방향(제2 사용자(U2)를 기준으로)의 수평을 맞춤과 동시에, 신장 측정 장치(100)의 길이 방향과 직각인 스마트폰(M)의 길이 방향 기울기를 통해 좌우 방향의 수평을 맞출 수가 있다. 만일 스마트폰(M)이 거치되어 있지 않다면 좌우 방향의 수평을 정확히 맞추는 것은 어려울 것이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신장 측정 장치(100)는 기울기 센서(33)를 통해 기울기 데이터를 스마트폰(M)으로 전송하고 스마트폰(M)은 그에 따라 신장 측정 장치(100)의 기울어진 상태를 화면을 통해 보여줄 경우, 제1 사용자(U1)는 스마트폰(M)에 표시된 기울기 상태를 보면서 신장 측정 장치(100)의 수평을 보다 정확하게 맞출 수 있다.
도 11은 신장 측정 장치(100)를 이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100)와 스마트폰(M)은 블루투스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사용자가 스마트폰(M)의 신장 측정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신장 측정 시작 명령을 입력하면(1110단계), 스마트폰(M)의 신장 측정 애플리케이션은 신장 측정 장치(100)로 신장 측정 시작 명령을 전송한다(1120단계).
신장 측정 시작 명령을 수신한 신장 측정 장치(100)는 레이저 거리 센서(20)로 윈도우(50)를 통해 사용자가 서 있는 바닥면으로 레이저를 조사하기 시작하고(1130단계), 기울기 센서(33)로 기울기를 측정하기 시작한다(1140단계).
신장 측정 장치(100)는 측정되는 기울기 데이터를 스마트폰(M)으로 계속적으로 전송한다(1150단계).
기울기 데이터를 수신한 스마트폰(M)의 신장 측정 애플리케이션은, 기울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신장 측정 장치(100)의 기울기 상태를 사용자가 확이할 수 있도록 화면을 통해 표시하고(1160단계), 신장 측정 장치(100)가 수평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165단계).
도 12는 신장 측정 애플리케이션이 신장 측정 장치(100)의 기울기 상태를 표시하는 화면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기 상태는 수평 수포계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신장 측정 애플리케이션은 수평 기준 원(C1)과 수평 맞춤 원(C2)을 표시하여, 기울기 데이터에 따른 기울어진 방향과 정도에 따라 수평 맞춤 원(C2)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수평 맞춤 원(C2)의 적어도 일부가 수평 기준 원(C1) 밖에 위치하면 수평으로부터 벗어난 상태이고, 수평 맞춤 원(C2)이 수평 기준 원(C1) 내에 들어오면 수평이 맞춰진 것으로 볼 수 있다. 예컨대 도 10에서 제1 사용자(U1)는 스마트폰(M)의 화면에 표시된 수평 수포계를 보면서 신장 측정 장치(100)의 수평을 맞출 수 있다.
다시 도 11을 참조하면, 1165단계에서 신장 측정 장치(100)가 수평 상태가 된 것으로 판단되면 스마트폰(M)의 신장 측정 애플리케이션은 신장 측정 장치(100)로 신장 측정 명령을 전송한다(1170단계).
신장 측정 명령을 수신한 신장 측정 장치(100)는 레이저 거리 센서(20)에서 측정되는 거리를 바탕으로 신장 데이터를 산출하고(1180단계), 산출된 신장 데이터를 스마트폰(M)으로 전송한다(1185단계).
신장 데이터를 수신한 스마트폰(M)의 신장 측정 애플리케이션은 화면을 통하여 신장 데이터를 표시한다. 도 13은 신장 측정 애플리케이션이 측정된 신장 값을 표시하는 화면의 예를 보여준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 M : 스마트폰
10 : 하우징 11 : 상부 하우징
12 : 하부 하우징 20 : 레이저 거리 센서
21 : 발광부 22, 23, 24 : 수광부
30 : 회로기판 40 : 반사경
50 : 윈도우 60 : 프레임
70 : 거치부 71 : 제1 측면 지지부
72 : 배면 지지부 73 : 슬라이드부
74 : 제2 측면 지지부 76 : 탄성 부재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를 이용한 신장 측정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 일측으로 레이저를 조사하고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광을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레이저 거리 센서;
    상기 측정된 거리를 바탕으로 신장 데이터를 산출하는 신장 산출부;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조사된 레이저의 진행 경로를 하방으로 변경하고, 하방으로부터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광의 진행 경로를 상기 레이저 거리 센서 측으로 변경하는 반사경;
    상기 반사경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반사경에 의해 진행 경로가 변경된 레이저를 통과시키고, 상기 되돌아오는 반사광을 통과시키는 윈도우;
    상기 신장 산출부에서 산출된 신장 데이터를 스마트폰이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블루투스 모듈; 및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가 상기 측정되는 기울기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신장 측정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기울기 데이터에 따라 상기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의 수평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가 수평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신장 측정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로 신장 측정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신장 측정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가 상기 레이저 거리 센서에서 측정된 거리를 바탕으로 신장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가 상기 스마트폰으로 상기 산출된 신장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신장 측정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로부터 수신한 신장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 측정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 측정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기울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의 기울기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 측정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의 기울기 상태는 수평 수포계 형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 측정 방법.
KR1020180030790A 2018-03-16 2018-03-16 레이저를 이용한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2129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790A KR102129252B1 (ko) 2018-03-16 2018-03-16 레이저를 이용한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790A KR102129252B1 (ko) 2018-03-16 2018-03-16 레이저를 이용한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001A KR20190109001A (ko) 2019-09-25
KR102129252B1 true KR102129252B1 (ko) 2020-07-03

Family

ID=68068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790A KR102129252B1 (ko) 2018-03-16 2018-03-16 레이저를 이용한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2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0125B1 (ko) * 2021-05-28 2022-04-25 주식회사 원포인트듀오 스마트폰을 이용한 물체 길이 측정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93995A (ko) * 2021-12-20 2023-06-27 주식회사 맥파이테크 신장 측정 장치 및 신장 측정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216B1 (ko) * 2016-03-11 2017-08-2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정밀 신장계, 고정밀 신장계를 이용한 신장 측정 방법 및 신장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0655A (ja) * 1996-12-09 1998-06-26 Calsonic Corp 距離計測装置
KR20120055389A (ko) * 2010-11-23 2012-05-31 김민한 휴대용 거리 측정 장치
KR20140005297U (ko) * 2013-04-02 2014-10-13 송해성 휴대폰 홀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216B1 (ko) * 2016-03-11 2017-08-2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정밀 신장계, 고정밀 신장계를 이용한 신장 측정 방법 및 신장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001A (ko) 2019-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76481A (en) Passive optical position measurement system
US6847435B2 (en) Laser distance measuring apparatus
KR102129252B1 (ko) 레이저를 이용한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US11037315B2 (en) Dual laser measuring device and online ordering system using the same
GB2424533A (en) Optical rangefinder having a shorter minimum measuring distance
BR102016002355A2 (pt) aparelho e método para determinação de desvio de posição alvo de dois corpos
TW201525416A (zh) 雷射檢測裝置
US20210124021A1 (en) Laser scanner
JP4979775B2 (ja) 光学身長測定器
JP2008089593A (ja) 測距装置および測距方法
JP2005529323A5 (ko)
KR102115580B1 (ko) 휴대형 각도 측정기
TWI472712B (zh) Vertical and parallelism detection system and its detection method
KR20160047826A (ko)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장 측정 방법
JP5645311B2 (ja) 光波距離計
AU602142B2 (en) Distance measuring method and means
US10768095B2 (en) Optical sensor
JP2001027527A (ja) 傾斜測定装置
KR101383913B1 (ko) 물질의 비중과 광원을 이용한 디지털 수평계
JP2003148955A (ja) 床面の水平度測定方法及び測定装置
JPH0642967A (ja) 水準測量装置
JPS61161479A (ja) 液面高さ計測装置
JP2001021323A (ja) トロリ線の高さ、偏位測定装置
KR20190002391U (ko) 양 방향 레이저 거리 측정기
KR101250007B1 (ko) 피반사체 수평측정장치 및 수평측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