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9991B1 -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비계용 파이프 연결방법 - Google Patents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비계용 파이프 연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9991B1
KR101929991B1 KR1020180062393A KR20180062393A KR101929991B1 KR 101929991 B1 KR101929991 B1 KR 101929991B1 KR 1020180062393 A KR1020180062393 A KR 1020180062393A KR 20180062393 A KR20180062393 A KR 20180062393A KR 101929991 B1 KR101929991 B1 KR 101929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member
setting plate
setting
pipe
plat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2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해길
정준근
Original Assignee
(주)고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고도이엔씨 filed Critical (주)고도이엔씨
Priority to KR1020180062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99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9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9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소 작업용 가설비계 설치 시 바닥에 지지되는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에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한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비계용 파이프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는 판 형상의 세팅판과,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의 결합을 위해 세팅판의 일측에 둘 이상 이격 구비되는 제1연결핀부재 및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의 결합을 위해 제1연결핀부재의 개수와 같거나 작은 개수로 세팅판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연결핀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비계용 파이프 연결방법{COUPLING DEVICE OF SCAFFOLDING PIPE AND COUPLING METHOD OF SCAFFOLDING PIPE USING THIS}
본 발명은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비계용 파이프 연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소 작업용 가설비계 설치 시 바닥에 지지되는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에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한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비계용 파이프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이나 조선등 산업현장에서 각종 장비와 자재를 고소로 운반하여, 작업하기 위한 수단 및 보호막 설치 시 임시구조물인 비계(飛階)용 파이프를 설치한 후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렇게 설치되는 비계에 있어서, 비계 자중(自重) 또는 작업으로 인한 인력의 하중(荷重), 양중물의 하중(荷重)으로 인해 비계의 하부에에서는 고(高) 하중을 받고 있는 현상이 발생되어진다.
비계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分散)시키는 방법으로 종래에는 수직 파이프와 수평 파이프를 사선(斜線)으로 연결하는 방식이어서, 비계용 파이프를 연결하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7932호(고안의 명칭 : 비계파이프의 연결장치, 2002. 06. 20.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계용 파이프 연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소 작업용 가설비계 설치 시 바닥에 지지되는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에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한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비계용 파이프 연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는 판 형상의 세팅판;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의 결합을 위해 상기 세팅판의 일측에 둘 이상 이격 구비되는 제1연결핀부재; 및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의 결합을 위해 상기 제1연결핀부재의 개수와 같거나 작은 개수로 상기 세팅판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연결핀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세팅판은, 상기 제1연결핀부재가 구비되는 제1세팅판부; 및 상기 제2연결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세팅판부에 적층 고정되는 제2세팅판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세팅판은, 상기 제1세팅판부와 상기 제2세팅판부 사이에 적층 고정되는 제3세팅판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핀부재는, 상기 제1세팅판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핀부재에는, 일측 단부의 가장자리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회전링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1세팅판부에는, 상기 제1연결핀부재에 대응하여 관통 형성되는 제1세팅홀부; 및 상기 제1회전링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상기 제1세팅홀부에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는 제1세팅링부;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핀부재는, 제1일체화부를 매개로 상기 세팅판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2연결핀부재는, 상기 제2세팅판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2연결핀부재에는, 일측 단부의 가장자리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회전링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2세팅판부에는, 상기 제2연결핀부재에 대응하여 관통 형성되는 제2세팅홀부; 및 상기 제2회전링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상기 제2세팅홀부에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는 제2세팅링부;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2연결핀부재는, 제2일체화부를 매개로 상기 세팅판의 상부에 일체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세팅판부와 상기 제2세팅판부 중 어느 하나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세팅판부와 상기 제2세팅판부 중 다른 하나의 가장자리가 지지되거나 상기 제1세팅판부와 상기 제2세팅판부 중 다른 하나의 가장자리가 끼움 결합되는 레일턱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는 상기 제1연결핀부재와 상기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를 상호 결합시키는 제1보조핀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는 상기 제2연결핀부재와 상기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를 상호 결합시키는 제2보조핀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 연결방법은 단위지지체(둘 이상의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가 이격 배치됨)가 둘 이상 기립된 상태에서 클램프를 이용하여 좌우 방향 비계용 파이프와 앞뒤 방향 비계용 파이프를 상하 방향으로 1단 이상 연결시키는 하부틀형성단계; 상기 단위지지체의 상단부마다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제1연결핀부재를 결합하는 장치연결단계; 및 상기 제2연결핀부재마다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를 기립된 상태로 결합하고, 상기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에 클램프를 이용하여 좌우 방향 비계용 파이프와 앞뒤 방향 비계용 파이프를 상하 방향으로 1단 이상 연결시키는 상부틀형성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비계용 파이프 연결방법에 따르면, 고소 작업용 가설비계 설치 시 바닥에 지지되는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에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계용 파이프의 수직 연결을 보강하는 것이어서, 비계 공사를 수행함에 있어서, 공간적인 활용이 용이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하며, 공사현장 안전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장치의 구조적 특징으로 연결장치와 비계용 파이프 사이의 간편한 끼움 결합을 통해 조립과 분해를 간소화하고, 비계 공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며, 고층에서의 작업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연결핀부재의 회전 구조를 통해 둘 이상의 제1연결핀부재가 각각 제1세팅판부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회전 자유도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세팅판부에 제1세팅홈부가 구비됨에 따라 둘 이상의 제1연결핀부재가 제2세팅판부와 제2연결핀부재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회전에 따른 제1연결핀부재의 마모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회전지지부를 통해 제1연결핀부재의 삽입 깊이를 한정하고, 제1걸림홈부에서 결합핀부와의 걸림 결합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연결핀부재의 회전 구조 및 제1보조핀부재를 통해 비계용 파이프와의 탈부착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연결핀부재의 일체화 구조를 통해 제1연결핀부재가 제2세팅판부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연결장치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연결핀부재의 일체화 구조 및 제2보조핀부재를 통해 비계용 파이프와의 탈부착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연결핀부재의 회전 구조를 통해 제2연결핀부재가 제2세팅판부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회전 자유도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세팅판부에 제2세팅홈부가 구비됨에 따라 제2연결핀부재가 제1세팅판부와 제1연결핀부재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회전에 따른 제2연결핀부재의 마모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회전지지부를 제2연결핀부재의 삽입 깊이를 한정하고, 제2걸림홈부에서 결합핀부와의 걸림 결합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연결핀부재의 회전 구조 및 제2보조핀부재를 통해 비계용 파이프와의 탈부착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3세팅판부를 통해 제1연결핀부재와 제2연결핀부재 사이에서 상호 간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연결장치의 결합 상태를 안정화시키며, 제1연결핀부재 또는 제2연결핀부재의 회전에 따른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를 도시한 분해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와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와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의 연결방법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비계용 파이프 연결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는 세팅판(10)과, 제1연결핀부재(30)와, 제2연결핀부재(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의 연결장치에서 제1연결핀부재(30)는 둘 이상이 이격 구비되어 세팅판(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에 삽입된다. 이때, 제1연결핀부재(30)의 회전 동작에 따라 제1연결핀부재(30)와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를 직접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의 연결장치에서 제2연결핀부재(40)는 제1연결핀부재(30)의 개수와 같거나 작은 개수로 세팅판(10)의 타측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에 삽입된다. 이때,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의 회전 동작에 따라 제2연결핀부재(40)와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를 직접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제1연결핀부재(30)가 세팅판(10)의 하부에 상호 이격 배치되고, 하나의 제2연결핀부재(40)가 두 개의 제1연결핀부재(30) 사이에서 세팅판(1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세팅판(10)은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핀이 결합되는 판 형상을 나타낸다. 세팅판(10)은 제1연결핀부재(30)가 구비되는 제1세팅판부(11)와, 제2연결핀부재(40)가 구비되고 제1세팅판부(11)에 적층 고정되는 제2세팅판부(12)를 포함하고, 제1세팅판부(11)와 제2세팅판부(12) 사이에 적층 고정되는 제3세팅판부(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세팅판부(11)와 제2세팅판부(12) 중 어느 하나의 가장자리에는 제1세팅판부(11)와 제2세팅판부(12) 중 다른 하나의 가장자리가 지지되거나 제1세팅판부(11)와 제2세팅판부(12) 중 다른 하나의 가장자리가 끼움 결합되는 레일턱부가 구비되어 제1세팅판부(11)와 제2세팅판부(12)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는 제1세팅판부(11)와 제2세팅판부(12)를 결합시키는 판연결부(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판연결부(20)가 리벳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판연결부(20)는 용접 방식, 볼트와 너트의 체결 방식, 리벳 이음 방식 등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통해 제1세팅판부(11)와 제2세팅판부(12)를 결합시킬 수 있다.
제1세팅판부(11)는 연결핀 중 제1연결핀부재(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판 형상을 나타낸다. 제1세팅판부(11)에는 제1연결핀부재(30)에 대응하여 관통 형성되는 제1세팅홀부(111)와, 제1연결핀부재(30)에 구비되는 제1회전링부(31)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제1세팅홀부(111)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는 제1세팅링부(113)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세팅판부(11)에는 제1세팅홀부(111)와 연통된 상태로 제1세팅링부(113)에 함몰 형성되는 제1세팅홈부(11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1세팅판부(11)에는 판연결부(20)의 삽입을 위한 제1체결홀부(112)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1세팅홈부(114)에는 제1회전링부(31)가 삽입되도록 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회전링부(31)와 마주보는 제2세팅판부(12) 또는 제3세팅판부(13)에는 제1세팅판부(11)로부터 돌출된 제1회전링부(31)가 삽입되는 제1보조세팅홈부(미도시)가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2세팅판부(12)는 제2일체화부(125)를 매개로 연결핀 중 제2연결핀부재(40)가 일체로 결합되는 판 형상을 나타낸다. 제2세팅판부(12)에는 제2연결핀부재(40)에 대응하여 관통 형성되는 제2세팅홀부(121)와, 제2세팅홀부(121)를 이용하여 제2세팅판부(12)와 제2연결핀부재(40)의 일측 단부를 일체화시키는 제2일체화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세팅판부(12)에는 제2일체화부(125)를 감싸는 제2세팅링부(12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2세팅판부(12)에는 제2세팅홀부(121)와 연통된 상태에서 제2세팅링부(123)에 함몰 형성되는 제2세팅홈부(12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2세팅판부(12)에는 판연결부(20)의 삽입을 위한 제2체결홀부(122)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2세팅홈부(124)에는 제2일체화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일체화부(125)와 마주보는 제1세팅판부(11) 또는 제3세팅판부(13)에는 제2세팅판부(12)로부터 돌출된 제2일체화부(125)가 삽입되는 제2보조세팅홈부(미도시)가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제2일체화부(125)는 용접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제2일체화부(125)는 제2세팅판부(12)와 제2연결핀부재(40)의 용접 방식, 제2세팅판부(12)를 통과하여 제2연결핀부재(40)에 나사 결합되는 볼팅 방식 등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통해 제2세팅판부(12)에 제2연결핀부재(40)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세팅판부(12)의 상면에는 제2일체화부(125)를 매개로 제2연결핀부재(40)의 일측 단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제2세팅홀부(121) 또는 제2세팅링부(123)가 생략될 수 있다.
제3세팅판부(13)는 제1세팅판부(11)와 제2세팅판부(12) 사이에 적층되는 판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제3세팅판부(13)에는 판연결부(20)의 삽입을 위한 제3체결홀부(132)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3세팅판부(13)에는 제1연결핀부재(30)에 구비되는 제1회전링부(31)가 삽입되는 제1보조세팅홈부(미도시)가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세팅판부(13)에는 제2일체화부(125)가 삽입되는 제2보조세팅홈부(미도시)가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핀부재(30)는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의 결합을 위해 세팅판(10)의 일측에 둘 이상 이격 구비된다. 제1연결핀부재(30)는 세팅판 중 제1세팅판부(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연결핀부재(30)는 중공의 관 형상 또는 봉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제1연결핀부재(30)에는 제1세팅링부(11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일측 단부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되는 제1회전링부(31)가 포함될 수 있다. 제1회전링부(31)는 상술한 세팅판(1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제2세팅판부(12)와 제2일체화부(125)와 제2연결핀부재(40)에 간섭되지 않는다. 제1회전링부(31)는 상술한 세팅판(1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제3세팅판부(13)에 간섭되지 않는다. 제1회전링부(31)는 제1세팅링부(113)에 지지된 상태에서 안정되게 회전될 수 있다.
제1연결핀부재(30)에는 제1연결핀부재(30)가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에 삽입됨에 따라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에 구비된 결합핀부(PP)와 결합되는 제1핀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핀결합부는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에 구비된 결합핀부(PP)가 삽입되도록 제1연결핀부재(30)의 타측 단부에서 제1연결핀부재(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제1연결홈부(32)와, 제1연결핀부재(30)의 회전에 따라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에 구비된 결합핀부(PP)가 걸림 지지되도록 제1연결홈부(32)와 연통된 상태에서 제1연결핀부재(30)의 둘레 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제1걸림홈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핀부재(30)에는 제1회전링부(31)에서 이격되어 제1지지결합부(34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제1회전링부(31)와 제1지지결합부(341) 사이에는 제1세팅링부(113)가 배치되도록 한다. 이때, 제1연결핀부재(30)에는 제1지지결합부(341)에서 돌출되는 제1회전지지부(3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1회전지지부(34)는 링 형상으로 제1지지결합부(341)를 감싸 지지할 수 있다. 제1회전지지부(34)에는 공구가 결합되거나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제1파지부(35)가 구비될 수 있다. 제1회전지지부(34)를 통해 제1연결핀부재(30)가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에 삽입되는 양을 제한하고, 공구 또는 사용자에 의해 간편하게 제1연결핀부재(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2연결핀부재(40)는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의 결합을 위해 제1연결핀부재(30)의 개수와 같거나 작은 개수로 세팅판(10)의 타측에 구비된다. 제2연결핀부재(40)는 세팅판(10) 중 제2세팅판부(12)에 일체로 결합된다. 제2연결핀부재(40)는 중공의 관 형상 또는 봉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제2연결핀부재(40)의 일측 단부는 제2일체화부(125)를 매개로 제2세팅판부(12)에 일체로 결합된다.
제2연결핀부재(40)에는 제2연결핀부재(40)가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에 삽입됨에 따라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에 구비된 결합핀부(PP)와 결합되는 제2핀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핀결합부는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에 구비된 결합핀부(PP)가 삽입되도록 제2연결핀부재(40)의 타측 단부에서 제2연결핀부재(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제2연결홈부(42)와, 제2연결핀부재(40)의 회전에 따라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에 구비된 결합핀부(PP)가 걸림 지지되도록 제2연결홈부(42)와 연통된 상태에서 제2연결핀부재(40)의 둘레 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제2걸림홈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연결핀부재(40)에는 제2일체화부(125)에 인접하거나 제2일체화부(125)에 접촉되는 제2지지결합부(44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연결핀부재(40)에는 제2지지결합부(441)에서 돌출되는 제2회전지지부(4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2회전지지부(44)는 링 형상으로 제2지지결합부(441)를 감싸 지지할 수 있다. 제2회전지지부(44)에는 공구가 결합되거나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제2파지부(45)가 구비될 수 있다. 제2회전지지부(44)를 통해 제2연결핀부재(40)가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에 삽입되는 양을 제한하고, 제2핀결합부와 결합핀부(PP)의 결합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결합핀부(PP)는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의 단부에서 이격되어 지름을 횡단한다. 결합핀부(PP)는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에는 결합핀부(PP)의 위치에 대응하여 지름을 횡단하는 부분에 결합공이 관통 형성됨에 따라 결합핀부(PP)는 결합공에서 삽입 또는 분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P1은 제1연결핀부재(30)에 결합되는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 중 어느 하나이다.
또한, 미설명 부호 P2는 제1연결핀부재(30)에 결합되는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 중 다른 하나이다.
또한, 미설명 부호 P3는 제2연결핀부재(40)에 결합되는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는 세팅판(10)과, 제1연결핀부재(30)와, 제2연결핀부재(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의 연결장치에서 제1연결핀부재(30)는 둘 이상이 이격 구비되어 세팅판(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에 삽입된다. 이때, 제1연결핀부재(30)의 회전 동작에 따라 제1연결핀부재(30)와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를 직접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의 연결장치에서 제2연결핀부재(40)는 제1연결핀부재(30)의 개수와 같거나 작은 개수로 세팅판(10)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에 삽입된다. 이때,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의 회전 동작 또는 제2연결핀부재(40)의 회전 동작에 따라 제2연결핀부재(40)와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를 직접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제1연결핀부재(30)가 세팅판(10)의 하부에 상호 이격 배치되고, 하나의 제2연결핀부재(40)가 두 개의 제1연결핀부재(30) 사이에서 세팅판(1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세팅판(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같이 제1세팅판부(11)와 제2세팅판부(12)를 포함하고, 제3세팅판부(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제2연결핀부재(40)는 제2세팅판부(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제2세팅판부(12)에는 제2연결핀부재(40)에 대응하여 관통 형성되는 제2세팅홀부(121)와, 제2연결핀부재(40)에 구비되는 제2회전링부(41)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제2세팅홀부(121)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는 제2세팅링부(123)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2세팅판부(12)에는 제2세팅홀부(121)와 연통된 상태로 제2세팅링부(123)에 함몰 형성되는 제2세팅홈부(12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2세팅판부(12)에는 판연결부(20)의 삽입을 위한 제2체결홀부(122)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2세팅홈부(124)에는 제2회전링부(41)가 삽입되도록 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보조세팅홈부(미도시)에는 제2회전링부(41)와 마주보는 제1세팅판부(11) 또는 제3세팅판부(13)에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되어 제2세팅판부(12)로부터 돌출된 제2회전링부(41)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제2연결핀부재(40)는 제2세팅판부(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제2연결핀부재(40)에는 제2세팅링부(12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일측 단부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되는 제2회전링부(41)가 포함될 수 있다. 제2회전링부(41)는 상술한 세팅판(1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제1세팅판부(11)와 제1회전링부(31)와 제1연결핀부재(30)에 간섭되지 않는다. 제2회전링부(41)는 상술한 세팅판(1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제3세팅판부(13)에 간섭되지 않는다. 제2회전링부(41)는 제2세팅링부(123)에 지지된 상태에서 안정되게 회전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는 세팅판(10)과, 제1연결핀부재(30)와, 제2연결핀부재(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의 연결장치에서 제1연결핀부재(30)는 둘 이상이 이격 구비되어 세팅판(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에 삽입된다. 이때, 제1연결핀부재(30)의 회전 동작에 따라 제1연결핀부재(30)와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를 직접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의 연결장치에서 제2연결핀부재(40)는 제1연결핀부재(30)의 개수와 같거나 작은 개수로 세팅판(10)의 타측에 일체로 결합되고, 제2보조핀부재(50)를 매개로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에 결합된다. 좀더 자세하게, 제2보조핀부재(50)의 일측은 제2연결핀부재(40)에 삽입되고, 제2보조핀부재(50)의 타측은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에 삽입된다. 이때,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의 회전 동작 또는 제2보조핀부재(50)의 회전 동작에 따라 제2연결핀부재(40)와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는 제2보조핀부재(50)를 매개로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제1연결핀부재(30)가 세팅판(10)의 하부에 상호 이격 배치되고, 하나의 제2연결핀부재(40)가 두 개의 제1연결핀부재(30) 사이에서 세팅판(1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세팅판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같이 제1세팅판부(11)와 제2세팅판부(12)를 포함하고, 제3세팅판부(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제2연결핀부재(40)의 일측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연결핀부재(40)의 일측과 같이 세팅판(10)의 타측(제2세팅판부(12))에 일체로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제2보조핀부재(50)의 일측이 제2연결핀부재(40)에 삽입됨에 따라 제2연결핀부재(40)의 제2핀결합부는 제2연결핀부재(40)의 단부에서 이격되어 지름을 횡단하는 연결핀부(46)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핀부(46)는 결합핀부(PP)와 같이 제2연결핀부재(4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2연결핀부재(40)에는 연결핀부(46)의 위치에 대응하여 지름을 횡단하는 부분에 연결공이 관통 형성됨에 따라 연결핀부(46)는 연결공에서 삽입 또는 분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제2보조핀부재(50)의 일측이 제2연결핀부재(40)에 삽입되고, 제2보조핀부재(50)의 타측이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에 삽입됨에 따라 제2연결핀부재(40)와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는 제2보조핀부재(50)를 매개로 상호 결합되므로, 제2보조핀부재(50)의 양단부에는 제2보조핀결합부가 포함될 수 있다. 제2보조핀결합부는 연결핀부(46) 또는 결합핀부(PP)가 삽입되도록 제2보조핀부재(50)의 단부에서 각각 제2보조핀부재(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제2보조연결홈부(52)와, 연결핀부(46) 또는 결합핀부(PP)가 걸림 지지되도록 제2보조연결홈부(52)와 연통된 상태에서 제2보조핀부재(50)의 둘레 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제2보조걸림홈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보조핀부재(50)의 중간 부분에는 둘레를 따라 돌출되는 제2보조회전지지부(5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2보조회전지지부(54)에는 공구가 결합되거나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제2보조파지부(55)가 구비될 수 있다. 제2보조회전지지부(54)를 통해 제2보조핀부재(50)의 일측이 제2연결핀부재(40)에 삽입되는 양을 제한하는 한편, 제2보조핀부재(50)의 타측이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에 삽입되는 양을 제한하고, 제2보조핀부재(50)를 매개로 제2연결핀부재(40)와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의 결합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는 세팅판(10)과, 제1연결핀부재(30)와, 제2연결핀부재(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의 연결장치에서 제1연결핀부재(30)는 둘 이상이 이격 구비되어 세팅판(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에 삽입된다. 이때, 제1연결핀부재(30)의 회전 동작에 따라 제1연결핀부재와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를 직접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의 연결장치에서 제2연결핀부재(40)는 제1연결핀부재(30)의 개수와 같거나 작은 개수로 세팅판(10)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보조핀부재(50)를 매개로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에 결합된다. 좀더 자세하게, 제2보조핀부재(50)의 일측은 제2연결핀부재(40)에 삽입되고, 제2보조핀부재(50)의 타측은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에 삽입된다. 이때,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의 회전 동작 또는 제2보조핀부재(50)의 회전 동작에 따라 제2연결핀부재(40)와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는 제2보조핀부재(50)를 매개로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제1연결핀부재(30)가 세팅판(10)의 하부에 상호 이격 배치되고, 하나의 제2연결핀부재(40)가 두 개의 제1연결핀부재(30) 사이에서 세팅판(1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에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세팅판(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와 같이 제1세팅판부(11)와 제2세팅판부(12)를 포함하고, 제3세팅판부(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제2연결핀부재(40)는 제2세팅판부(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제2세팅판부(12)에는 제2연결핀부재(40)에 대응하여 관통 형성되는 제2세팅홀부(121)와, 제2연결핀부재(40)에 구비되는 제2회전링부(41)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제2세팅홀부(121)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는 제2세팅링부(123)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2세팅판부(12)에는 제2세팅홀부(121)와 연통된 상태로 제2세팅링부(123)에 함몰 형성되는 제2세팅홈부(12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2세팅판부(12)에는 판연결부(20)의 삽입을 위한 제2체결홀부(122)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2세팅홈부(124)에는 제2회전링부(41)가 삽입되도록 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보조세팅홈부(미도시)에는 제2회전링부(41)와 마주보는 제1세팅판부(11) 또는 제3세팅판부(13)에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되어 제2세팅판부(12)로부터 돌출된 제2회전링부(41)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제2연결핀부재(40)는 제2세팅판부(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제2연결핀부재(40)에는 제2세팅링부(12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일측 단부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되는 제2회전링부(41)가 포함될 수 있다. 제2회전링부(41)는 상술한 세팅판(1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제1세팅판부(11)와 제1회전링부(31)와 제1연결핀부재(30)에 간섭되지 않는다. 제2회전링부(41)는 상술한 세팅판(1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제3세팅판부(13)에 간섭되지 않는다. 제2회전링부(41)는 제2세팅링부(123)에 지지된 상태에서 안정되게 회전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는 세팅판(10)과, 제1연결핀부재(30)와, 제2연결핀부재(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의 연결장치에서 제1연결핀부재(30)는 둘 이상이 이격 구비되어 세팅판(10)의 일측에 일체로 결합되고, 제1보조핀부재(미도시, 제2보조핀부재(50) 참조)를 매개로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에 결합된다. 좀더 자세하게, 제1보조핀부재(미도시, 제2보조핀부재(50) 참조)의 일측은 제1연결핀부재(30)에 삽입되고, 제1보조핀부재(미도시, 제2보조핀부재(50) 참조)의 타측은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에 삽입된다. 이때,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의 회전 동작 또는 제1보조핀부재(미도시, 제2보조핀부재(50) 참조)의 회전 동작에 따라 제1연결핀부재(30)와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는 제1보조핀부재(미도시, 제2보조핀부재(50) 참조)를 매개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의 연결장치에서 제2연결핀부재(40)는 제1연결핀부재(30)의 개수와 같거나 작은 개수로 세팅판(10)의 타측에 일체로 결합되고,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2연결핀부재(40)와 같이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제1연결핀부재(30)가 세팅판(10)의 하부에 상호 이격 배치되고, 하나의 제2연결핀부재(40)가 두 개의 제1연결핀부재(30) 사이에서 세팅판(1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 세팅판(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같이 제1세팅판부(11)와 제2세팅판부(12)를 포함하고, 제3세팅판부(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 제1연결핀부재(30)의 일측은 세팅판(10)의 일측(제1세팅판부(11))에 일체로 형성된다. 제1연결핀부재(30)의 일측 단부는 제1일체화부(미도시, 제2일체화부(125) 참조)를 매개로 제1세팅판부(11)에 일체로 결합된다.
또한, 제1세팅판부(11)에는 제1연결핀부재(30)에 대응하여 관통 형성되는 제1세팅홀부(111)와, 제1세팅홀부(111)를 이용하여 제1세팅판부(11)와 제1연결핀부재(30)의 일측 단부를 일체화시키는 제1일체화부(미도시, 제2일체화부(125)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세팅판부(11)에는 제1일체화부(미도시, 제2일체화부(125) 참조)를 감싸는 제1세팅링부(11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1세팅판부(11)에는 제1세팅홀부(111)와 연통된 상태에서 제1세팅링부(113)에 함몰 형성되는 제1세팅홈부(11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1세팅판부(11)에는 판연결부(20)의 삽입을 위한 제1체결홀부(112)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1세팅홈부(114)에는 제1일체화부(미도시, 제2일체화부(125)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일체화부(미도시, 제2일체화부(125) 참조)와 마주보는 제2세팅판부(12) 또는 제3세팅판부(13)에는 제1세팅판부(11)로부터 돌출된 제1일체화부(미도시, 제2일체화부(125) 참조)가 삽입되는 제1보조세팅홈부(미도시)가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 제1일체화부(미도시, 제2일체화부(125) 참조)는 용접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제1일체화부(미도시, 제2일체화부(125) 참조)는 제1세팅판부(11)와 제1연결핀부재(30)의 용접 방식, 제1세팅판부(11)를 통과하여 제1연결핀부재(30)에 나사 결합되는 볼팅 방식 등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통해 제1세팅판부(11)에 제1연결핀부재(30)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세팅판부(11)의 상면에는 제1일체화부(미도시, 제2일체화부(125) 참조)를 매개로 제1연결핀부재(30)의 일측 단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제1세팅홀부(111) 또는 제1세팅링부(113)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세팅판(10)을 분리하지 않고서도 하나의 세팅판(10)의 하부에는 제1일체화부(미도시, 제2일체화부(125) 참조)를 매개로 제1연결핀부재(30)의 일측 단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하나의 세팅판(10)의 상부에는 제2일체화부(125)를 매개로 제2연결핀부재(40)의 일측 단부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 제1보조핀부재(미도시, 제2보조핀부재(50) 참조)의 일측이 제1연결핀부재(30)에 삽입됨에 따라 제1연결핀부재(30)의 제1핀결합부는 제1연결핀부재(30)의 단부에서 이격되어 지름을 횡단하는 걸림핀부(미도시, 연결핀부(46)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핀부(미도시, 연결핀부(46) 참조)는 결합핀부(PP)와 같이 제1연결핀부재(3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1연결핀부재(30)에는 걸림핀부(미도시, 연결핀부(46) 참조)의 위치에 대응하여 지름을 횡단하는 부분에 걸림공이 관통 형성됨에 따라 걸림핀부(미도시, 연결핀부(46) 참조)는 걸림공에서 삽입 또는 분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 제1보조핀부재(미도시, 제2보조핀부재(50) 참조)의 일측이 제1연결핀부재(30)에 삽입되고, 제1보조핀부재(미도시, 제2보조핀부재(50) 참조)의 타측이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에 삽입됨에 따라 제1연결핀부재(30)와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는 제1보조핀부재(미도시, 제2보조핀부재(50) 참조)를 매개로 상호 결합되므로, 제1보조핀부재(미도시, 제2보조핀부재(50) 참조)의 양단부에는 제1보조핀결합부가 포함될 수 있다. 제1보조핀결합부는 걸림핀부(미도시, 연결핀부(46) 참조) 또는 결합핀부(PP)가 삽입되도록 제1보조핀부재(미도시, 제2보조핀부재(50) 참조)의 단부에서 각각 제1보조핀부재(미도시, 제2보조핀부재(50) 참조)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제1보조연결홈부(미도시, 제2보조연결홈부(52) 참조)와, 연결핀부(46) 또는 결합핀부(PP)가 걸림 지지되도록 제1보조연결홈부(미도시, 제2보조연결홈부(52) 참조)와 연통된 상태에서 제1보조핀부재(미도시, 제2보조핀부재(50) 참조)의 둘레 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제1보조걸림홈부(미도시, 제2보조걸림홈부(53)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보조핀부재(미도시, 제2보조핀부재(50) 참조)의 중간 부분에는 둘레를 따라 돌출되는 제1보조회전지지부(미도시, 제2보조회전지지부(54) 참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1보조회전지지부(미도시, 제2보조회전지지부(54) 참조)에는 공구가 결합되거나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제1보조파지부(미도시, 제2보조파지부(55)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제1보조회전지지부(미도시, 제2보조회전지지부(54) 참조)를 통해 제1보조핀부재(미도시, 제2보조핀부재(50) 참조)의 일측이 제1연결핀부재(30)에 삽입되는 양을 제한하는 한편, 제1보조핀부재(미도시, 제2보조핀부재(50) 참조)의 타측이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에 삽입되는 양을 제한하고, 제1보조핀부재(미도시, 제2보조핀부재(50) 참조)를 매개로 제1연결핀부재(30)와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의 결합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는 세팅판(10)과, 제1연결핀부재(30)와, 제2연결핀부재(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의 연결장치에서 제1연결핀부재(30)는 둘 이상이 이격 구비되어 세팅판(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보조핀부재(미도시, 제2보조핀부재(50) 참조)를 매개로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에 결합된다. 좀더 자세하게, 제1보조핀부재(미도시, 제2보조핀부재(50) 참조)의 일측은 제1연결핀부재(30)에 삽입되고, 제1보조핀부재(미도시, 제2보조핀부재(50) 참조)의 타측은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에 삽입된다. 이때,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의 회전 동작 또는 제1보조핀부재(미도시, 제2보조핀부재(50) 참조)의 회전 동작에 따라 제1연결핀부재(30)와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는 제1보조핀부재(미도시, 제2보조핀부재(50) 참조)를 매개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의 연결장치에서 제2연결핀부재(40)는 제1연결핀부재(30)의 개수와 같거나 작은 개수로 세팅판(10)의 타측에 일체로 결합되고,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2연결핀부재(40)와 같이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제1연결핀부재(30)가 세팅판(10)의 하부에 상호 이격 배치되고, 하나의 제2연결핀부재(40)가 두 개의 제1연결핀부재(30) 사이에서 세팅판(1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서 세팅판(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같이 제1세팅판부(11)와 제2세팅판부(12)를 포함하고, 제3세팅판부(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서 제1연결핀부재(30)의 일측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핀부재(30)의 일측과 같이 세팅판(10)의 일측(제1세팅판부(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서 제1보조핀부재(미도시, 제2보조핀부재(50) 참조)의 일측이 제1연결핀부재(30)에 삽입됨에 따라 제1연결핀부재(30)의 제1핀결합부는 제1연결핀부재(30)의 단부에서 이격되어 지름을 횡단하는 걸림핀부(미도시, 연결핀부(46)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걸림핀부(미도시, 연결핀부(46) 참조)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와 같은 걸림핀부(미도시, 연결핀부(46) 참조)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서 제1보조핀부재(미도시, 제2보조핀부재(50) 참조)의 일측이 제1연결핀부재(30)에 삽입되고, 제1보조핀부재(미도시, 제2보조핀부재(50) 참조)의 타측이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에 삽입됨에 따라 제1연결핀부재(30)와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는 제1보조핀부재(미도시, 제2보조핀부재(50) 참조)를 매개로 상호 결합되므로,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제1보조핀부재(미도시, 제2보조핀부재(50) 참조)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제1보조핀부재(미도시, 제2보조핀부재(50) 참조)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는 세팅판(10)과, 제1연결핀부재(30)와, 제2연결핀부재(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의 연결장치에서 제1연결핀부재(30)는 둘 이상이 이격 구비되어 세팅판(10)의 일측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에 삽입된다. 이때,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의 회전 동작에 따라 제1연결핀부재(30)와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를 직접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의 연결장치에서 제2연결핀부재(40)는 제1연결핀부재(30)의 개수와 같거나 작은 개수로 세팅판(10)의 타측에 일체로 결합되고,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2연결핀부재(40)와 같이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제1연결핀부재(30)가 세팅판(10)의 하부에 상호 이격 배치되고, 하나의 제2연결핀부재(40)가 두 개의 제1연결핀부재(30) 사이에서 세팅판(1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서 세팅판(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같이 제1세팅판부(11)와 제2세팅판부(12)를 포함하고, 제3세팅판부(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서 제1연결핀부재(30)의 일측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핀부재(30)의 일측과 동일한 결합 구조를 나타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에서 결합핀부(PP)가 탈부착 가능하고,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에 제1연결핀부재(30)와 제2연결핀부재(40)와 제1보조핀부재(미도시, 제2보조핀부재(50) 참조)와 제2보조핀부재(50) 중 어느 하나가 삽입되는 경우, 제1핀결합부와 제2핀결합부와 제1보조핀결합부와 제2보조핀결합부는 각각 결합공과 연통되어 결합핀부(PP)가 삽입되는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연결핀부재(30)에서 제1핀결합부의 걸림핀부(미도시, 연결핀부(46) 참조)가 탈부착 가능한 경우, 제2연결핀부재(40)에서 제2핀결합부의 연결핀부(46)가 탈부착 가능한 경우에서 각각의 핀결합부는 해당 핀부가 삽입되는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 연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단위지지체는 제1연결핀부재(30)에 대응하여 둘 이상의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가 이격 배치된 묶음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 연결방법은 단위지지체가 둘 이상 기립된 상태에서 클램프를 이용하여 좌우 방향 비계용 파이프와 앞뒤 방향 비계용 파이프를 상하 방향으로 1단 이상 연결시키는 하부틀형성단계(S1)와, 단위지지체의 상단부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연결장치의 제1연결핀부재(30) 중 어느 하나를 결합하는 장치연결단계(S2)와, 제2연결핀부재(40)마다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를 기립된 상태로 결합하고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에 클램프(미도시)를 이용하여 좌우 방향 비계용 파이프와 앞뒤 방향 비계용 파이프를 상하 방향으로 1단 이상 연결시키는 상부틀형성단계(S3)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틀형성단계(S1)는 단위지지체를 상호 이격된 상태로 배치하는 파이프배치단계(S11)와, 파이프배치단계(S11)를 거친 단위지지체에 클램프(미도시)를 이용하여 좌우 방향 비계용 파이프와 앞뒤 방향 비계용 파이프 중 어느 하나를 1단 이상 연결시키는 제1클램핑단계(S12)와, 제1클램핑단계(S12)를 거친 단위지지체에 클램프를 이용하여 좌우 방향 비계용 파이프와 앞뒤 방향 비계용 파이프 중 다른 하나를 1단 이상 연결시키는 제2클램핑단계(S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의 기립 상태 유지를 위해 하부틀형성단계(S1)는 파이프배치단계(S11) 또는 제1클램핑단계(S12)를 거친 단위지지체를 기립시키는 파이프기립단계(S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클램핑단계(S14)는 제1클램핑단계(S12) 또는 파이프기립단계(S13)를 거친 다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단위지지체의 연장 적층을 위해 하부틀형성단계(S1)는 단위지지체의 상단부마다 별도의 보조핀부재 또는 상술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연결장치의 제1연결핀부재 중 어느 하나를 결합시키는 제1보조핀연결단계(S15)와, 제1보조핀연결단계(S15)를 거친 다음 별도의 보조핀부재 또는 상술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연결장치의 제2연결핀부재(40) 중 어느 하나에 단위지지체 또는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를 결합시키는 제1보조적층단계(S16)와, 제1보조적층단계(S16)를 거친 단위지지체 또는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에 클램프(미도시)를 이용하여 좌우 방향 비계용 파이프와 앞뒤 방향 비계용 파이프를 1단 이상 연결시키는 제1보조클램핑단계(S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틀형성단계(S1)에서 파이프배치단계(S11)는 클램프(미도시)를 이용하여 둘 이상의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를 상호 연결시켜 단위지지체를 제작할 수 있다. 그러면, 한 쌍의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의 중심 사이 거리는 한 쌍의 제1연결핀부재(30)의 중심 사이 거리와 실질적으로 일치될 수 있다. 파이프배치단계(S11) 또는 제1클램핑단계(S12)에서는 좌우 방향 비계용 파이프 또는 앞뒤 방향 비계용 파이프를 기설정된 간격에 맞추어 배열할 수 있다.
상부틀형성단계(S3)는 제2연결핀부재(40)마다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를 연결시키는 파이프적층단계(S31)와, 파이프적층단계(S31)를 거친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에 클램프(미도시)를 이용하여 좌우 방향 비계용 파이프와 앞뒤 방향 비계용 파이프를 1단 이상 연결시키는 제3클램핑단계(S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의 연장 적층을 위해 상부틀형성단계(S3)는 제3클램핑단계(S32)를 거친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의 상단부마다 별도의 보조핀부재를 결합시키는 제2보조핀연결단계(S33)와, 제2보조핀연결단계(S33)를 거친 다음 별도의 보조핀부재에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를 결합시키는 제2보조적층단계(S34)와, 제2보조적층단계(S34)를 거친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에 클램프(미도시)를 이용하여 좌우 방향 비계용 파이프와 앞뒤 방향 비계용 파이프를 1단 이상 연결시키는 제2보조클램핑단계(S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후에는 설치 높이에 대응하여 제2보조핀연결단계(S33)와, 제2보조적층단계(S34)와, 제2보조클램핑단계(S35)를 순차적으로 반복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비계용 파이프 연결방법에 따르면, 고소 작업용 가설비계 설치 시 바닥에 지지되는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에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비계용 파이프의 수직 연결을 보강하는 것이어서, 비계 공사를 수행함에 있어서, 공간적인 활용이 용이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하며, 공사현장 안전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연결장치의 구조적 특징으로 연결장치와 비계용 파이프 사이의 간편한 끼움 결합을 통해 조립과 분해를 간소화하고, 비계 공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며, 고층에서의 작업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연결핀부재(30)의 회전 구조를 통해 둘 이상의 제1연결핀부재(30)가 각각 제1세팅판부(1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회전 자유도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세팅판부(11)에 제1세팅홈부(114)가 구비됨에 따라 제1연결핀부재(30)가 제2세팅판부(12)와 제2연결핀부재(40)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회전에 따른 제1연결핀부재(30)의 마모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회전지지부(34)를 통해 제1연결핀부재(30)의 삽입 깊이를 한정하고, 제1걸림홈부(33)에서 결합핀부(PP)와의 걸림 결합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연결핀부재(30)의 회전 구조 및 제1보조핀부재(미도시, 제2보조핀부재(50) 참조)를 통해 비계용 파이프와의 탈부착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연결핀부재(40)의 일체화 구조를 통해 제1연결핀부재(30)가 제2세팅판부(12)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연결장치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연결핀부재(40)의 일체화 구조 및 제2보조핀부재를 통해 비계용 파이프와의 탈부착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연결핀부재(40)의 회전 구조를 통해 제2연결핀부재(40)가 제2세팅판부(12)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회전 자유도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세팅판부(12)에 제2세팅홈부(124)가 구비됨에 따라 제2연결핀부재(40)가 제1세팅판부(11)와 제1연결핀부재(30)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회전에 따른 제2연결핀부재(40)의 마모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회전지지부(44)를 제2연결핀부재(40)의 삽입 깊이를 한정하고, 제2걸림홈부(43)에서 결합핀부(PP)와의 걸림 결합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2연결핀부재(40)의 회전 구조 및 제2보조핀부재를 통해 비계용 파이프와의 탈부착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3세팅판부(13)를 통해 제1연결핀부재(30)와 제2연결핀부재(40) 사이에서 상호 간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연결장치의 결합 상태를 안정화시키며, 제1연결핀부재(30) 또는 제2연결핀부재(40)의 회전에 따른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 세팅판 11: 제1세팅판부 111: 제1세팅홀부
112: 제1체결홀부 113: 제1세팅링부 114: 제1세팅홈부
12: 제2세팅판부 121: 제2세팅홀부 122: 제2체결홀부
123: 제2세팅링부 124: 제2세팅홈부 125: 제2일체화부
13: 제3세팅판부 132: 제3체결홀부 20: 판연결부
30: 제1연결핀부재 31: 제1회전링부 32: 제1연결홈부
33: 제1걸림홈부 34: 제1회전지지부 341: 제1지지결합부
35: 제1파지부 40: 제2연결핀부재 41: 제2회전링부
42: 제2연결홈부 43: 제2걸림홈부 44: 제2회전지지부
441: 제2지지결합부 45: 제2파지부 46: 연결핀부
50: 제2보조핀부재 52: 제2보조연결홈부 53: 제2보조걸림홈부
54: 제2보조회전지지부 55: 제2보조파지부 P1: 제1파이프
P2: 제2파이프 P3: 제3파이프 PP: 결합핀부
S1: 하부틀형성단계 S11: 파이프배치단계 S12: 제1클램핑단계
S13: 파이프기립단계 S14: 제2클램핑단계 S15: 제1보조핀연결단계
S16: 제1보조적층단계 S17: 제1보조클램핑단계 S2: 장치연결단계
S3: 상부틀형성단계 S31: 파이프적층단계 S32: 제3클램핑단계
S33: 제2보조핀연결단계 S34: 제2보조적층단계 S35: 제2보조클램핑단계

Claims (13)

  1. 판 형상의 세팅판;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의 결합을 위해 상기 세팅판의 일측에 둘 이상 이격 구비되는 제1연결핀부재; 및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의 결합을 위해 상기 제1연결핀부재의 개수와 같거나 작은 개수로 상기 세팅판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연결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세팅판은,
    상기 제1연결핀부재가 구비되는 제1세팅판부;
    상기 제2연결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세팅판부에 적층 고정되는 제2세팅판부; 및
    상기 제1세팅판부와 상기 제2세팅판부 사이에 적층 고정되는 제3세팅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핀부재는, 상기 제1세팅판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핀부재에는, 일측 단부의 가장자리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회전링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1세팅판부에는,
    상기 제1연결핀부재에 대응하여 관통 형성되는 제1세팅홀부; 및
    상기 제1회전링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상기 제1세팅홀부에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는 제1세팅링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핀부재는, 제1일체화부를 매개로 상기 세팅판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핀부재는, 상기 제2세팅판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핀부재에는, 일측 단부의 가장자리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회전링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2세팅판부에는,
    상기 제2연결핀부재에 대응하여 관통 형성되는 제2세팅홀부; 및
    상기 제2회전링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상기 제2세팅홀부에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는 제2세팅링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핀부재는, 제2일체화부를 매개로 상기 세팅판의 상부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세팅판부와 상기 제2세팅판부 중 어느 하나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세팅판부와 상기 제2세팅판부 중 다른 하나의 가장자리가 지지되거나 상기 제1세팅판부와 상기 제2세팅판부 중 다른 하나의 가장자리가 끼움 결합되는 레일턱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
  11.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핀부재와 상기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를 상호 결합시키는 제1보조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
  12.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핀부재와 상기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를 상호 결합시키는 제2보조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
  13. 단위지지체(둘 이상의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가 이격 배치됨)가 둘 이상 기립된 상태에서 클램프를 이용하여 좌우 방향 비계용 파이프와 앞뒤 방향 비계용 파이프를 상하 방향으로 1단 이상 연결시키는 하부틀형성단계;
    판 형상의 세팅판;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의 결합을 위해 상기 세팅판의 일측에 둘 이상 이격 구비되는 제1연결핀부재; 및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의 결합을 위해 상기 제1연결핀부재의 개수와 같거나 작은 개수로 상기 세팅판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연결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세팅판은,
    상기 제1연결핀부재가 구비되는 제1세팅판부;
    상기 제2연결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세팅판부에 적층 고정되는 제2세팅판부; 및
    상기 제1세팅판부와 상기 제2세팅판부 사이에 적층 고정되는 제3세팅판부;를 포함하는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위지지체의 상단부마다 상기 제1연결핀부재를 결합하는 장치연결단계; 및
    상기 제2연결핀부재마다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를 기립된 상태로 결합하고, 상기 상하 방향 비계용 파이프에 클램프를 이용하여 좌우 방향 비계용 파이프와 앞뒤 방향 비계용 파이프를 상하 방향으로 1단 이상 연결시키는 상부틀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용 파이프 연결방법.
KR1020180062393A 2018-05-31 2018-05-31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비계용 파이프 연결방법 KR101929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393A KR101929991B1 (ko) 2018-05-31 2018-05-31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비계용 파이프 연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393A KR101929991B1 (ko) 2018-05-31 2018-05-31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비계용 파이프 연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9991B1 true KR101929991B1 (ko) 2018-12-17

Family

ID=65007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393A KR101929991B1 (ko) 2018-05-31 2018-05-31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비계용 파이프 연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99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6175A (ko) 2022-10-21 2024-04-30 안명화 대형 굴뚝의 철거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식 비계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8921B2 (ja) * 1994-10-11 2000-03-13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土留工法および土留支保装置
KR200400391Y1 (ko) * 2005-08-23 2005-11-03 김종영 추락방지대가 설치되는 비계틀 설치구조
KR101823021B1 (ko) * 2017-06-19 2018-01-31 백종균 건축용 비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8921B2 (ja) * 1994-10-11 2000-03-13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土留工法および土留支保装置
KR200400391Y1 (ko) * 2005-08-23 2005-11-03 김종영 추락방지대가 설치되는 비계틀 설치구조
KR101823021B1 (ko) * 2017-06-19 2018-01-31 백종균 건축용 비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6175A (ko) 2022-10-21 2024-04-30 안명화 대형 굴뚝의 철거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식 비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3706B2 (en) Nodes for frame structures
KR101929991B1 (ko) 비계용 파이프 연결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비계용 파이프 연결방법
JP6573479B2 (ja) 高架構造物の構築方法
JP2009108611A (ja) 鉄筋建込み用治具及び鉄筋の建込み方法
US103781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installation of caissons
JP5356981B2 (ja) 足場用パネル連結具
CN205822471U (zh) 木桁架节点‑檩条组合连接件
JPH0647585A (ja) 鉄筋類の開先合わせ治具
CN210396207U (zh) 外悬挑网与建筑钢结构的连接部件
JP5399865B2 (ja) 補充パネル付き吊り足場
KR101018006B1 (ko) 파일 연결방법
CN212420270U (zh) 安装支架总拼焊接工装
JP5207005B2 (ja) 鉛直度調整治具及び鉛直度調整工法
JP7016830B2 (ja) 幅木固定用補助具および幅木の固定方法
KR101849909B1 (ko) 철근연결방법 및 그 장치
CN112025182A (zh) 安装支架总拼焊接工装及其使用方法
EP2466016A1 (en) Frame assembl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US9719242B2 (en) Node for a space frame
KR20150104008A (ko) 조립식 시스템 비계와 그 설치 방법
JP7092340B2 (ja) 開孔補強具
CN213563421U (zh) 预制构件埋件固定工装
JP3225550U (ja) 接続治具
JP6016863B2 (ja) 杭頭連結ユニット
KR200450480Y1 (ko) 앵글 취부장치
CN214114125U (zh) 增设有外部定位块的包装箱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