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9887B1 - 재사용 가능한 풀림방지용 스프링 와셔 - Google Patents

재사용 가능한 풀림방지용 스프링 와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9887B1
KR101929887B1 KR1020180047854A KR20180047854A KR101929887B1 KR 101929887 B1 KR101929887 B1 KR 101929887B1 KR 1020180047854 A KR1020180047854 A KR 1020180047854A KR 20180047854 A KR20180047854 A KR 20180047854A KR 101929887 B1 KR101929887 B1 KR 101929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force
bolt
delete delete
fastening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7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방희
김인수
이용상
정희종
이용민
김동욱
Original Assignee
이방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방희 filed Critical 이방희
Priority to KR1020180047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98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9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9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4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means of washers, spring washers, or resilient plates that lock against the obj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3/00Washers or equivalent devices;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bolt-head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트 나사산과 동일한 나선형을 갖는 스프링 몸체부를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 몸체부의 볼트 체결되는 방향의 후방측 나선형 끝단을 나선형의 외주연 방향으로 연장시켜 체결에 필요한 외력을 가할 수 있는 체결 외력 작용부를 형성하며, 상기 스프링 몸체부의 볼트 체결되는 방향의 전방측 나선형 끝단을 나선형의 외주연 방향으로 연장시켜 해제에 필요한 외력을 가할 수 있는 체결해제 외력 작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 가능한 풀림방지용 스프링 와셔로서,
본 발명은 단순구조의 스프링 제조공정과 생산라인을 활용하여 쉽게 대량생산할 수 있고, 제조공정의 단순화와 인력절감이 가능하여 생산성 향상 및 제조원가 절감이 가능하며, 볼트 체결시 회전력을 가하는 작용점을 볼트 축으로부터 최대한 멀게 형성하면서도 제품 전체의 크기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슬림한 사이즈의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원가를 최소화 하면서도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품 하부에 체결해제 외력 작용부을 구비함으로써, 작업자가 체결해제 외력 작용부를 손으로 잡고 돌려서 손쉽게 스프링와셔를 볼트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고, 분리한 스프링와셔는 재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경제적 이득을 갖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재사용 가능한 풀림방지용 스프링 와셔{SPRING WASHER FOR PREVENTING RELEASING AND REUSABLE}
본 발명은 재사용 가능한 풀림방지용 스프링 와셔에 관한 것으로서, 제품 하부에 체결해제 외력 작용부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자가 체결해제 외력 작용부를 손으로 잡고 돌려서 손쉽게 스프링와셔를 볼트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 분리한 스프링와셔는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재사용 가능한 풀림방지용 스프링 와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셔는 볼트(bolt)나 너트(nut)로 물건을 죌 때, 고무나 쇠 따위로 만들어져 너트의 밑에 끼우는 둥글고 얇은 물품으로서, 볼트 머리가 닿는 부분을 상하지 않게 보호함과 더불어 볼트나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와셔는 종류도 많고, 종류에 따라 용도도 조금씩 다르긴 하나, 평와셔와 스프링와셔로 대별할 수 있는데, 평와셔는 주로 볼트와 너트의 표면을 증대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스프링와셔는 주로 볼트나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스프링와셔는 진정한 스프링의 구조라기보다는 원형 링과 같은 평와셔의 몸체에서 일부가 절개되어 탄성작용을 하도록 된 "C"자형 구조를 갖는 평와셔라 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와셔는 볼트 및 너트와 함께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2개 이상으로 분리된 상태의 물체나 부품을 체결에 의해 결합시켜 주는 용도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볼트의 체결력 증대 및 풀림방지를 위한 용도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 사용되고 있는 와셔에 있어 스프링와셔는 탄성복원력의 크기가 볼트나 너트의 지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탄성복원력의 크기도 감소되기 때문에 풀림방지 기능에 한계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볼트가 풀리게 되는 문제가 발생됨은 물론 시간 경과에 따라 구조가 뒤틀리거나 벌어져 느슨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특허로는 국내등록특허 제10-1628978호의 풀림방지 와셔가 공지되어 있다.
도 1,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공지기술의 풀림방지 와셔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공지기술의 풀림방지 와셔는 볼트(1)의 나사부(1a)가 끼워지도록 나사부(1a)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 환형 구조로 형성되고 다층을 이루도록 다수의 권수로 감아져 환형스프링몸체(111)로 구비되는 풀림방지기능부(110); 상기 풀림방지기능부(110)에 연장되어 일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풀림방지기능부(110)의 외측에 위치하여 간격 배치하되 풀림방지기능부(110)를 에워싸는 다각형 구조로 형성되며, 다층을 이루도록 다수의 권수로 감아져 다각형스프링몸체(121)로 구비되는 연결지지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풀림방지기능부(110)와 연결지지부(120)는 일정 길이를 갖는 하나의 금속 선형부재를 가공함에 의해 이루어지는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공지기술은 원형 스프링 형태의 풀림방지기능부(110)의 동심원 바깥쪽에 다각형 스프링 형태의 연결지지부(120)를 하나의 금속 선형부재를 연속해서 가공하는 것으로서, 구조가 까다롭기 때문에 복수의 가공공정을 거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복수의 가공공정을 거치는데 필요한 인력 및 시간으로 인해 생산수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가공설비의 증대가 불가피하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볼트 체결시 회전력을 가해야 하는 연결지지부(120)의 외면 직경을 볼트머리 직경에 비해 과대한 크기로 제작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예컨대 회전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연결지지부(120)의 외면 직경을 크게 할 경우, 제조원가가 비싸지는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차지하는 면적이 넓어져서 현장의 구조물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현실적으로 볼트머리 직경과 비슷한 정도의 사이즈로 제작하게 되는데, 이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돌려서 회전력을 가하고자 하여도 손힘보다 스프링 와셔의 탄성복원력과 볼트와의 마찰력이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수작업이 사실상 어려운 문제를 갖는다.
따라서, 공지된 기술의 풀림방지 와셔는 볼트 체결 작업시 작업자가 항상 스패너나 육각렌치 등의 무거운 체결작업 공구를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897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제조공정의 단순화와 생산성 향상 및 제조원가 절감이 가능하도록 기존 생산라인을 활용하여 제조가 가능한 단순구조의 재사용 가능한 풀림방지용 스프링 와셔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볼트 체결시 회전력을 가하는 작용점을 볼트 축으로부터 최대한 멀게 형성하면서도 제품 전체의 크기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슬림한 사이즈의 재사용 가능한 풀림방지용 스프링 와셔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장 적용 체결작업 시에도 주변 구조물과의 간섭을 최소화함으로써, 설치 현장의 범위를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는 재사용 가능한 풀림방지용 스프링 와셔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볼트 체결시 회전력을 가하는 작용점을 볼트 축으로부터 최대한 멀게 형성하여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돌려서 회전력을 가할 수 있고, 볼트 체결 작업시 작업자가 별도의 체결작업 공구를 휴대하지 않아도 쉽게 체결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재사용 가능한 풀림방지용 스프링 와셔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품 하부에 체결해제 외력 작용부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자가 체결해제 외력 작용부를 손으로 잡고 돌려서 손쉽게 스프링와셔를 볼트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 분리한 스프링와셔는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재사용 가능한 풀림방지용 스프링 와셔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볼트 나사산과 동일한 나선형을 갖는 스프링 몸체부를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 몸체부의 볼트 체결되는 방향의 후방측 나선형 끝단을 나선형의 외주연 방향으로 연장시켜 체결에 필요한 외력을 가할 수 있는 체결 외력 작용부를 형성하며, 상기 스프링 몸체부의 볼트 체결되는 방향의 전방측 나선형 끝단을 나선형의 외주연 방향으로 연장시켜 해제에 필요한 외력을 가할 수 있는 체결해제 외력 작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 가능한 풀림방지용 스프링 와셔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 외력 작용부는 나선형 끝단을 볼트 축 방향과 직교하도록 절곡한 직선형 단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 외력 작용부는 나선형 끝단을 볼트 축으로부터 점차 이격되도록 한 곡선형 단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 외력 작용부는 나선형 끝단을 볼트 축 방향과 평행하게 절곡한 직선형 단부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 외력 작용부의 끝단을 절곡하여 파지부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지부는 체결 외력 작용부 끝단을 링 형태로 절곡 형성하거나, 체결 외력 작용부 끝단을 "U"자 형태로 절곡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링 형태의 파지부는 링 형태가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의 전면을 향하도록 하거나, 링 형태가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의 평면을 향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자 형태의 파지부는 "U"자 형태가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의 전면을 향하도록 하거나, "U"자 형태가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의 평면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자 형태의 파지부는 체결 외력 작용부 끝단을 볼트 축과 일직선상이 되도록 "U"자 형태로 절곡하되, "U"자 형태 절곡부의 직경이 볼트 외경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해제 외력 작용부는 나선형 끝단을 볼트 축 방향과 직교하도록 절곡한 직선형 단부이거나, 나선형 끝단을 볼트 축으로부터 점차 이격되도록 한 곡선형 단부 또는, 나선형 끝단을 볼트 축 방향과 평행하게 절곡한 직선형 단부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해제 외력 작용부의 끝단을 절곡하여 파지부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지부는 체결 외력 작용부 끝단을 링 형태로 절곡 형성하거나, 체결 외력 작용부 끝단을 "U"자 형태로 절곡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 형태의 파지부는 링 형태가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의 전면을 향하도록 하거나, 링 형태가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의 평면을 향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자 형태의 파지부는 "U"자 형태가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의 전면을 향하도록 형성하거나, "U"자 형태가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의 평면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순구조의 스프링 제조공정과 생산라인을 활용하여 쉽게 대량생산할 수 있는 기술로서, 제조공정의 단순화와 인력절감이 가능하여 생산성 향상 및 제조원가 절감의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볼트 체결시 회전력을 가하는 작용점을 볼트 축으로부터 최대한 멀게 형성하면서도 제품 전체의 크기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슬림한 사이즈의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원가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 적용 체결작업 시에도 주변 구조물과의 간섭을 최소화함으로써, 설치 현장의 범위를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볼트 체결시 회전력을 가하는 작용점을 볼트 축으로부터 최대한 멀게 형성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돌려서 회전력을 가할 수 있고, 볼트 체결 작업시 작업자가 별도의 체결작업 공구를 휴대하지 않아도 쉽게 체결작업을 할 수 있는 편리함과 작업시간을 최대한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제품 하부에 체결해제 외력 작용부을 구비함으로써, 작업자가 체결해제 외력 작용부를 손으로 잡고 돌려서 손쉽게 스프링와셔를 볼트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고, 분리한 스프링와셔는 재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경제적 이득을 갖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풀림방지 와셔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풀림방지 와셔를 볼트 체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a,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와셔를 볼트 체결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제 1, 제 6 실시 예에 따른 외력 작용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제 2, 제 7 실시 예에 따른 외력작용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제 3, 제 8 실시 예에 따른 외력작용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7a, 도 7b는 본 발명 제 4, 제 9 실시 예에 따른 파지부를 도시한 정면도 및 평면도.
도 8a, 도 8b, 8c는 본 발명 제 5, 제 10 실시 예에 따른 파지부를 도시한 정면도 및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와셔를 볼트 체결한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스프링 와셔(100)는 전신주 작업 등에서 볼트(200)와 너트(300)를 이용해 구조물을 체결한 후 너트(300)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너트(300)의 전단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스프링 와셔(100)는 볼트 나사산과 동일한 규격의 나선형을 갖는 스프링 몸체부(110)를 형성하고 있어서 너트처럼 회전시켜 볼트와의 체결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볼트(200) 및 너트(300)은 나사산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체결되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 풀리도록 형성하는데, 본 발명의 스프링 와셔(100) 또한 이와 동일한 나사산의 형태와 규격으로 제작된다.
예컨대, 너트(300)처럼 스프링 와셔(100)를 볼트(200) 나사산에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체결하거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체결되도록 하거나 풀리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스프링 와셔(100)는 볼트(200)와의 체결시 스프링 몸체(110)가 나사산 외경과 타이트하게 압착된 상태로 체결되는데, 스프링 와셔(10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볼트 나사산과의 마찰력에 의해 스프링 몸체부(110)가 전체적으로 이완되어 늘어남으로써, 쉽게 체결작업이 수행된다.
스프링 와셔(100)는 너트(300)와 맞닿는 상태로 체결되며, 체결 후에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볼트 나사산과의 압착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진동에 의한 자체풀림 현상이 방지된다.
예컨대, 너트(300)가 진동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풀리는 힘이 작용되더라도 후단에 설치된 스프링 와셔(100)가 너트(300)의 회전을 억제 시켜 자체 풀림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구조물의 뒤틀림 등에 의해 진동보다 강한 외력이 너트(300)와 스프링 와셔(100)에 작용될 수 있는데, 스프링 와셔(100)는 특성 상 반시계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질 경우 수축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가해지는 외력이 클수록 수축 및 압착력이 비례적으로 커지게 되어 너트(300)의 풀림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스프링의 작용원리는 스프링 양단을 손으로 잡고 시계방향으로 비틀 경우 스프링의 나선형태가 늘어나면서 이격되는 현상과, 반시계방향으로 비틀었을 때, 스프링의 나선형태가 수축되면서 압착되는 현상을 통해 쉽게 이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스프링 몸체부(110)의 볼트 체결되는 방향의 후방측 나선형 끝단을 나선형의 외주연 방향으로 연장시켜 체결에 필요한 외력을 가할 수 있는 체결 외력 작용부(120)을 형성함으로써, 작업성이 개선되도록 하였다.
이때, 외력은 체결작업을 위해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돌리거나 막대 등을 이용해 시계 회전방향으로 가하는 힘으로서 체결 외력 작용부(120)은 이러한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바, 나선형 끝단을 나선형의 외주연 방향으로 연장시켜 형성한다.
도 3a, 도 3b는 2가지 타입의 스프링 와셔(100)가 너트(300) 전단에 체결된 예를 개시하고 있다. 동 도면을 통해서 체결 외력 작용부(120)의 개념적 형태가 개시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체결 외력 작용부(120)의 자세한 실시 예에 대해서는 다른 첨부도면을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스프링 몸체부(110)의 볼트 체결되는 방향의 전방측 나선형 끝단을 나선형의 외주연 방향으로 연장시켜 해제에 필요한 외력을 가할 수 있는 체결해제 외력 작용부(130)을 형성함으로써, 작업성이 개선되도록 하였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프링 와셔(100)는 반시계 방향의 회전시 수축과 압착력에 의해 풀림이 억제되는 것인 바, 구조물의 해체 시에는 스프링 와셔(100)와 너트(300)를 해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스프링 와셔(100)를 훼손하거나 볼트(200)를 절단하여 해체작업을 수행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체결해제 외력 작용부(130)을 형성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스프링 와셔(100)의 재사용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때, 외력은 체결작업을 위해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돌리거나 막대 등을 이용해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가하는 힘으로서 체결해제 외력 작용부(130)은 이러한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바, 나선형 끝단을 나선형의 외주연 방향으로 연장시켜 형성한다.
상기 체결해제 외력 작용부(130)은 외력 작용점을 스프링 몸체부(110)의 동심원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적은 힘의 외력으로 큰 해제력이 작용되도록 한 것이다.
예컨대, 체결해제 외력 작용부(13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스프링 몸체부(110)에 반시계 방향 회전력이 가해지게 된다.
이때, 일정한 외력 범위에서는 회전력만이 가해지게 되어 수축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나, 체결해제 외력 작용부(130)에 보다 강한 힘을 작용시키게 되면, 체결해제 외력 작용부(130)가 스프링 몸체부(110)의 동심원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되는 강제 이완 작용을 일으키게 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체결해제 외력 작용부(130)은 스프링 몸체부(110)의 수축력보다 큰 강제 이완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체결해제 외력 작용부(130)에 가해지는 힘이 클수록 이완범위가 확장되어 스프링 몸체부(110) 전체를 이완시키게 되고, 작업자는 이러한 작용을 통해 쉽게 스프링 와셔(100)를 볼트(200)로부터 해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체결해제 외력 작용부(130)에 가해지는 작업 외력은 스프링 몸체부(110)의 영구변형이 이루어지지 않는 범위로서, 해체한 스프링 와셔(100)는 재사용이 가능한 큰 이점을 갖게 된다.
제 1 실시 예
도 4는 본 발명 제 1, 제6 실시 예에 따른 외력 작용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체결 외력 작용부(120)은 나선형 끝단을 볼트 축 방향과 직교하도록 절곡한 직선형 단부(121)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직선형 단부(121)는 본 발명의 체결 외력 작용부(120)의 가장 기본적 개념의 형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설치 구조물이 크지 않고, 작업 대상물이 큰 외력을 받지 않는, 소형 구조물 또는 작은 규격의 볼트 너트 체결에 유용할 것이다.
또한, 이와는 반대적으로 작업자가 손 힘 만으로 작업하기 어려운 대형구조물이나 대형 볼트 체결시에도 직선형 단부(121)에 파이프 등을 끼워서 작용점을 보다 크게 작용시켜 체결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제 2 실시 예
도 5는 본 발명 제 2, 제 7 실시 예에 따른 외력작용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체결 외력 작용부(120)은 나선형 끝단을 볼트 축으로부터 점차 이격되도록 한 곡선형 단부(123)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한 곡선형 단부(123)는 체결 외력 작용부(120)의 확장 길이를 가장 길게 형성하면서도 축 중심으로부터 원주방향 이격거리는 최소화하는 형태를 제공한다.
예컨대, 도 5에서와 같은 곡선형 단부(123)는 외력이 가해 질 경우, 스프링 몸체부(110)의 동심원 바깥쪽으로 크게 벌어져 작용점의 위치를 최대화 할 수 있어, 작업자의 힘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스프링 몸체부(110)의 외면쪽으로 복원되어 부피를 최소화하기 때문에 부품의 보관 및 관리,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설치 후에는 전선 등과 같은 주변 구조물과의 간섭을 최소화하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제 3 실시 예
도 6은 본 발명 제 3, 제 8 실시 예에 따른 외력 작용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체결 외력 작용부(120)은 나선형 끝단을 볼트 축 방향과 평행하게 절곡한 직선형 단부(125)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 6에서와 같은 형태의 직선형 단부(125)는 좁은 공간에서의 작업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예컨대, 볼트 체결부위가 주변 구조물과 간섭이 심한 경우로서, 작업자의 손가락이 들어가 작업이 어렵거나, 체결도구를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에 유용한 구조를 제공하게 되는데, 작업자는 파이프 류의 도구를 이용해 직선형 단부(125)를 수직방향으로 끼워서 외력을 가해 체결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체결 외력 작용부(120)의 끝단을 절곡하여 파지부(126)를 더 형성할 수 있는데, 후술하게 되는 파지부(126)의 실시 예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직선형 단부를 기준으로 도시한 것이지만, 제 2, 제 3 실시 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제 5 실시 예에 따른 파지부(126)의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
제 4 실시 예
도 7a, 도 7b는 본 발명 제 4 실시 예에 따른 파지부를 도시한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파지부(126)는 체결 외력 작용부(120) 끝단을 링 형태로 절곡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링 형태의 파지부(127)는 도 7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자의 손으로 잡고 파지할 수 있는 접촉면적을 확장하는 것과, 링 형상의 중공부에 갈고리 또는 드라이버 등과 같은 휴대가 편리한 막대형상의 도구를 끼워서 작업하기 위한 2가지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은 링 형태의 파지부(127)는 도 7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링 형태가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의 전면을 향하도록 형성되거나,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링 형태가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의 평면을 향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2가지 형태는 유사성이 있으나, 구체적으로는 도 7a와 같은 형태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작업하기 쉬운 구조에 적합하며, 도 7b와 같은 형태는 작업자가 갈고리나 막대형상의 도구를 이용해 작업하기 쉬운 구조에 적합한 점에서 차별성을 갖는다.
이는 작업자의 작업취향 및 작업환경에 따라 취사선택이 가능한 부분이다.
제 5 실시 예
도 8a, 도 8b, 8c는 본 발명 제 5, 제 10 실시 예에 따른 파지부를 도시한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파지부(126)는 체결 외력 작용부(120) 끝단을 "U"자 형태로 절곡 형성할 수 있다.
상기 "U"자 형태의 파지부(128)는 제 4 실시 예에 개시된 링 형태 파지부(127)과 유사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지만,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측이 개구된 형태로서, 갈고리 등의 도구를 쉽게 걸 수 있는 형태를 제공하기 때문에 주로 갈고리 등을 이용해서 작업하는 경우에 적합한 구조라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 "U"자 형태의 파지부(128)는 도 8a에서 보는 바와 같이 "U"자 형태가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의 전면을 향하도록 형성하거나, 도 8b에서 보는 바와 같이 "U"자 형태가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의 평면을 향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 8a, 도 8b를 통해 개시된 2가지 형태는 상호 유사성이 있으나, 구체적으로는 도 8a와 같은 형태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작업하기 쉬운 구조에 적합하며, 도 8b와 같은 형태는 작업자가 갈고리나 막대형상의 도구를 이용해 작업하기 쉬운 구조에 보다 적합한 점에서 차별성을 갖는다.
이는 작업자의 작업취향 및 작업환경에 따라 취사선택이 가능한 부분이다.
또한, 상기 "U"자 형태의 파지부(128)는 도 8c에 개시된 바와 같이 체결 외력 작용부(120) 끝단을 볼트 축과 일직선상이 되도록 "U"자 형태로 절곡하되, "U"자 형태 절곡부의 직경이 볼트 외경보다 큰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 8c에 개시된 바와 같은 "U"자 형태 파지부(128)은 볼트 끝단을 캡 형태로 씌우는 구조를 제공하게 되는데, 이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돌리기 쉬운 구조를 제공하는 동시에 체결 후에는 볼트 끝단이 라운드 마감되도록 함으로써, 전선 등의 주변 구조물과의 간섭 영향을 최소화 하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6, 제 7, 제 8 실시 예에 따른 체결해제 외력 작용부(130)의 구조에 대해 살펴본다.
제 6 실시 예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체결해제 외력 작용부(130)은 나선형 끝단을 볼트 축 방향과 직교하도록 절곡한 직선형 단부(131)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직선형 단부(131)는 본 발명의 체결해제 외력 작용부(130)의 가장 기본적 개념의 형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설치 구조물이 크지 않고, 작업 대상물이 큰 외력을 받지 않는, 소형 구조물 또는 작은 규격의 볼트 너트 체결에 유용할 것이다.
또한, 이와는 반대적으로 작업자가 손 힘 만으로 작업하기 어려운 대형구조물이나 대형 볼트 체결시에도 직선형 단부(131)에 파이프 등을 끼워서 작용점을 보다 크게 작용시켜 체결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제 7 실시 예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체결해제 외력 작용부(130)은 나선형 끝단을 볼트 축으로부터 점차 이격되도록 한 곡선형 단부(133)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곡선형 단부(133)는 체결해제 외력 작용부(130)의 확장 길이를 가장 길게 형성하면서도 축 중심으로부터 원주방향 이격거리는 최소화하는 형태를 제공한다.
예컨대, 도 5에서와 같은 곡선형 단부(133)는 외력이 가해 질 경우, 스프링 몸체부(110)의 동심원 바깥쪽으로 크게 벌어져 작용점의 위치를 최대화 할 수 있어, 작업자의 힘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스프림 몸체부(110)의 외면쪽으로 복원되어 부피를 최소화하기 때문에 부품의 보관 및 관리,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설치 후에는 전선 등과 같은 주변 구조물과의 간섭을 최소화하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제 8실시 예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체결해제 외력 작용부(130)은 나선형 끝단을 볼트 축 방향과 평행하게 절곡한 직선형 단부(135)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 6에서와 같은 형태의 직선형 단부(135)는 좁은 공간에서의 작업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예컨대, 볼트 체결부위가 주변 구조물과 간섭이 심한 경우로서, 작업자의 손가락이 들어가 작업이 어렵거나, 체결도구를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에 유용한 구조를 제공하게 되는데, 작업자는 파이프 류의 도구를 이용해 직선형 단부(135)를 수직방향으로 끼워서 외력을 가해 체결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체결해제 외력 작용부(130)의 끝단을 절곡하여 파지부(136)를 더 형성할 수 있는데, 후술하게 되는 파지부(136)의 실시 예는 제 6 실시 예에 따른 직선형 단부를 기준으로 도시한 것이지만, 제 7, 제 8 실시 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9, 제 10 실시 예에 따른 파지부(136)의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
제 9 실시 예
도 7a,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파지부(136)는 체결 외력 작용부(120) 끝단을 링 형태로 절곡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링 형태의 파지부(137)는 도 7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자의 손으로 잡고 파지할 수 있는 접촉면적을 확장하는 것과, 링 형상의 중공부에 갈고리 또는 드라이버 등과 같은 휴대가 편리한 막대형상의 도구를 끼워서 작업하기 위한 2가지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은 링 형태의 파지부(137)는 도 7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링 형태가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의 전면을 향하도록 형성되거나,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링 형태가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의 평면을 향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2가지 형태는 유사성이 있으나, 구체적으로는 도 7a와 같은 형태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작업하기 쉬운 구조에 적합하며, 도 7b와 같은 형태는 작업자가 갈고리나 막대형상의 도구를 이용해 작업하기 쉬운 구조에 적합한 점에서 차별성을 갖는다.
이는 작업자의 작업취향 및 작업환경에 따라 취사선택이 가능한 부분이다.
제 10 실시 예
도 8a,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파지부(136)는 체결해제 외력 작용부(130) 끝단을 "U"자 형태의 파지부(138)를 절곡 형성할 수 있다.
상기 "U"자 형태의 파지부(138)는 제 9 실시 예에 개시된 링 형태 파지부(137)과 유사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지만,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측이 개구된 형태로서, 갈고리 등의 도구를 쉽게 걸 수 있는 형태를 제공하기 때문에 주로 갈고리 등을 이용해서 작업하는 경우에 적합한 구조라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 "U"자 형태의 파지부(138)는 도 8a에서 보는 바와 같이 "U"자 형태가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의 전면을 향하도록 형성하거나, 도 8b에서 보는 바와 같이 "U"자 형태가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의 평면을 향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 8a, 도 8b를 통해 개시된 2가지 형태는 상호 유사성이 있으나, 구체적으로는 도 8a와 같은 형태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작업하기 쉬운 구조에 적합하며, 도 8b와 같은 형태는 작업자가 갈고리나 막대형상의 도구를 이용해 작업하기 쉬운 구조에 보다 적합한 점에서 차별성을 갖는다.
이는 작업자의 작업취향 및 작업환경에 따라 취사선택이 가능한 부분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단순구조의 스프링 제조공정과 생산라인을 활용하여 쉽게 대량생산할 수 있는 기술로서, 제조공정의 단순화와 인력절감이 가능하여 생산성 향상 및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되고, 볼트 체결시 회전력을 가하는 작용점을 볼트 축으로부터 최대한 멀게 형성하면서도 제품 전체의 크기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슬림한 사이즈의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원가를 최소화할 수 있고, 현장 적용 체결작업 시에도 주변 구조물과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설치 현장의 범위를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고, 볼트 체결시 회전력을 가하는 작용점을 볼트 축으로부터 최대한 멀게 형성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돌려서 회전력을 가할 수 있고, 볼트 체결 작업시 작업자가 별도의 체결작업 공구를 휴대하지 않아도 쉽게 체결작업을 할 수 있는 편리함과 작업시간을 최대한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품 하부에 체결해제 외력부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자가 체결해제 외력 작용부를 손으로 잡고 돌려서 손쉽게 스프링와셔를 볼트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고, 분리한 스프링와셔는 재사용이 가능한 경제적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스프링 와셔 110: 몸체부
120: 체결 외력 작용부 121: 직선형 단부
123: 곡선형 단부 125: 직선형 단부
126: 파지부 127: 링형태 파지부
128: U자형태 파지부
130: 체결해제 외력 작용부 131: 직선형 단부
133: 곡선형 단부 135: 직선형 단부
136: 파지부 137: 링형태 파지부
138: U자형태 파지부
200: 볼트 300: 너트

Claims (22)

  1. 볼트 나사산과 동일한 나선형을 갖는 스프링 몸체부(110)를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 몸체부(110)의 볼트 체결되는 방향의 후방측 나선형 끝단을 나선형의 외주연 방향으로 연장하되, 그 나선형 끝단을 볼트 축으로부터 점차 이격되도록 한 곡선형 단부(123)를 형성하고, 그 끝단을 절곡시켜 체결에 필요한 외력이 가해지도록 볼트의 축 방향과 수직으로 파지부(126)를 형성하여 체결에 필요한 외력을 가할 수 있는 체결 외력 작용부(120)를 형성하며,
    상기 스프링 몸체부(110)의 볼트 체결되는 방향의 전방측 나선형 끝단을 나선형의 외주연 방향으로 연장하되, 그 나선형 끝단을 볼트 축으로부터 점차 이격되도록 한 곡선형 단부(133)를 형성하고, 그 끝단을 절곡시켜 해제에 필요한 외력이 가해지도록 볼트의 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파지부(136)를 형성하여 해제에 필요한 외력을 가할 수 있는 체결해제 외력 작용부(13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 가능한 풀림방지용 스프링 와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80047854A 2018-04-25 2018-04-25 재사용 가능한 풀림방지용 스프링 와셔 KR101929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854A KR101929887B1 (ko) 2018-04-25 2018-04-25 재사용 가능한 풀림방지용 스프링 와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854A KR101929887B1 (ko) 2018-04-25 2018-04-25 재사용 가능한 풀림방지용 스프링 와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9887B1 true KR101929887B1 (ko) 2018-12-17

Family

ID=65007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7854A KR101929887B1 (ko) 2018-04-25 2018-04-25 재사용 가능한 풀림방지용 스프링 와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9887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0218B1 (ko) 1996-04-09 1999-09-01 정부강 풀림방지 너트 및 볼트
JP2001059514A (ja) * 1999-08-23 2001-03-06 Chuo Hatsujo Kogyo Kk ボルト・ナットの緩み止め構造
KR200303222Y1 (ko) 2002-11-06 2003-02-06 진광 이 앤 씨 주식회사 볼트ㆍ너트의 풀림방지구
JP4024796B2 (ja) * 2002-05-09 2007-12-19 中央発条工業株式会社 ボルト・ナットの緩み止め具
JP2010121708A (ja) * 2008-11-19 2010-06-03 Bc Seisakusho:Kk ナット脱落防止用クリップ
JP2011052767A (ja) 2009-09-02 2011-03-17 Iifas Co Ltd 回転戻り止めナ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51334B1 (ko) 2013-09-30 2015-09-08 (주)지오피케이 체결용 볼트와 너트 조립체
KR101628981B1 (ko) 2015-12-14 2016-06-09 이영일 풀림방지 너트
JP2016180506A (ja) * 2015-03-23 2016-10-13 鈴木 康之 プレス蝶ナットの緩み止め装置
JP2016205609A (ja) 2015-04-27 2016-12-08 鈴木 康之 蝶ナットの緩み止め装置
JP2017115939A (ja) 2015-12-22 2017-06-29 有限会社Sit 脱落防止具
KR101817948B1 (ko) 2017-08-10 2018-01-12 조정현 풀림방지너트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0218B1 (ko) 1996-04-09 1999-09-01 정부강 풀림방지 너트 및 볼트
JP2001059514A (ja) * 1999-08-23 2001-03-06 Chuo Hatsujo Kogyo Kk ボルト・ナットの緩み止め構造
JP4024796B2 (ja) * 2002-05-09 2007-12-19 中央発条工業株式会社 ボルト・ナットの緩み止め具
KR200303222Y1 (ko) 2002-11-06 2003-02-06 진광 이 앤 씨 주식회사 볼트ㆍ너트의 풀림방지구
JP2010121708A (ja) * 2008-11-19 2010-06-03 Bc Seisakusho:Kk ナット脱落防止用クリップ
JP2011052767A (ja) 2009-09-02 2011-03-17 Iifas Co Ltd 回転戻り止めナ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51334B1 (ko) 2013-09-30 2015-09-08 (주)지오피케이 체결용 볼트와 너트 조립체
JP2016180506A (ja) * 2015-03-23 2016-10-13 鈴木 康之 プレス蝶ナットの緩み止め装置
JP2016205609A (ja) 2015-04-27 2016-12-08 鈴木 康之 蝶ナットの緩み止め装置
KR101628981B1 (ko) 2015-12-14 2016-06-09 이영일 풀림방지 너트
JP2017115939A (ja) 2015-12-22 2017-06-29 有限会社Sit 脱落防止具
KR101817948B1 (ko) 2017-08-10 2018-01-12 조정현 풀림방지너트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4024796 BC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30756C2 (ru) Крепежный элемент и узел крепления, обладающие улучшенными характеристиками затяжки и устойчивостью к вибрации
CN106662139B (zh) 防松动螺栓
US9132531B2 (en) Nut removal tool
US20140224084A1 (en) Dutchman fastener removal tool
WO2014127239A1 (en) Socket fastener removal tool
US20140224076A1 (en) Stud removal tool
CN102642206A (zh) 关节型机械手指
US10138918B2 (en) Fastening device
US9097275B2 (en) System of fastening elements defined by a nut and a draw bar; drawbar and nut
KR101929887B1 (ko) 재사용 가능한 풀림방지용 스프링 와셔
JP7045065B2 (ja) 脱落防止具
EP1982078A1 (en) Friction clamp
KR101363499B1 (ko) 이물질 제거용 공구
KR101628978B1 (ko) 풀림방지 와셔
CN203809470U (zh) 防拆螺母及其配套使用的拆卸钳
CN216478337U (zh) 不会松动的螺栓组件
CN211967352U (zh) 一种主减轴承拆卸器
CN219317398U (zh) 一种防松动紧固装置
CN201087753Y (zh) 防盗螺栓
CN111207145A (zh) 一种抗震防脱自锁螺杆组合
US20160121468A9 (en) Electrical Conduit Locknut Socket
JPH01150011A (ja) ボルト用締付具
CN217292125U (zh) 一种可拆卸连接的多功能工具
CN216707315U (zh) 一种用于更换滑丝螺钉的工具
CN214578247U (zh) 一种用于制药设备的可重复使用的止退紧固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