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0218B1 - 풀림방지 너트 및 볼트 - Google Patents

풀림방지 너트 및 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0218B1
KR100220218B1 KR1019960035747A KR19960035747A KR100220218B1 KR 100220218 B1 KR100220218 B1 KR 100220218B1 KR 1019960035747 A KR1019960035747 A KR 1019960035747A KR 19960035747 A KR19960035747 A KR 19960035747A KR 100220218 B1 KR100220218 B1 KR 100220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spring
nut
fastened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5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0590A (ko
Inventor
정부강
Original Assignee
정부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부강 filed Critical 정부강
Priority to KR1019960035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0218B1/ko
Publication of KR970070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0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0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02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 F16B39/34Locking by deformable inserts or lik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 F16B39/32Locking by means of a pawl or pawl-like tong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 F16B39/3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with a second part of the screw-thread which may be resiliently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 수 나사산에 체결되는 체결용 너트와 볼트에 있어, 체결된 너트 또는 볼트가 임의로 풀리지 않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체결너트 또는 볼트의 풀림을 방지코자 한 기술로서 와셔를 볼 수 있으나 상기 와셔는 그 효과가 완전하지 못하여 왔다.
본 발명은 이를 시정코자 하여 체결너트내에 또는 볼트의 나사봉에 권선스프링을 내재시키되 일측은 연동 가능하도록 하고 타측은 고정시켜서 체결시에는 스프링의 원주가 축소 또는 확대되어 체결나사산에서 슬라이드 되면서 체결회전되고 역으로 풀 때에는 권선스프링이 체결나사산에 의한 밀림에 의하여 확장 또는 축소되고 더 이상의 확장, 축소가 불가능하게 될 때 회전을 방지하며 체결된 너트 또는 볼트가 역회전 (풀림)이 될 수 없도록 한 너트와, 볼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권선스프링을 권선하되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연동 됨으로서 체결나사산이 회전할 때에 상기 권선스프링이 나사산과 슬라이드 되는 밀림에 의해 연동부가 이동됨으로 원주가 축소 또는 확장되면서 체결나사산과 압압되어 역회전될 수 없게 하고 풀림방향으로의 회전에서는 체결나사산과 슬라이드되는 스프링이 연동부를 임의의 조작으로 밀어 스프링을 확장또는 축소하여 체결볼트 또는 너트가 회전할수 있게 함으로서 효과를 발휘하도록 한 것이다.
즉, 계속확장 또는 축소될 수 없는 스프링은 회전되는 풀림나사산의 회전체를 가압하여 회전을 막게되는 풀림방지 목적의 너트와 볼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풀림방지 너트 및 볼트
제1도는 본 발명 너트의 제1실시예의 요부 절결 사시도.
제2도는 제1실시예의 정단면도.
제3도는 제1실예의 측단면도.
제4도는 제1실시예의 요부 체결용 스프링사시도.
제5도는 제1실시예의 요부 확대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 너트의 제2실시예의 절결사시도.
제7도는 제6도의 정단면도.
제8도는 제6도의 측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 너트의 제3실시예의 분해사시도.
제10도는 제9도의 결합단면도.
제11도는 제9도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
제12도는 본 발명 너트의 제4실시예로 자동전환구조에 관한 분해사시도.
제13도는 제12도의 결합단면도.
제14도의 (a)도는 제12도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작동설명의 단면도.
(b)도는 제12도의 자동전환된 풀림상태 작동설명의 단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볼트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제16도는 제15도의 측단면도.
제17도는 제15도의 정단면도.
제18도는 본 발명 볼트의 제2실시예의 분해사시도.
제19도는 제18도의 결합 정단면도.
제20도는 제18도의 결합 평단면도로서 볼트의 연동구성을 보인 단면도.
제21도는 제18도의 권선스프링의 작동상태를 보인 작동설명도로.
(a)도는 볼트가 체결되는 상태의 평단면도.
(b)도는 볼트의 풀림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110,210,310 : 너트 20,120,220,320 : 너트몸체
30,130,230,330,430,530 : 스프링 11,111,211,311,411,511 : 나사산
12,112,212,312,412,512 : 수납공간부 13,113,213,313,413,513 : 고정부
14,114,214,314,414,514 : 고정용 통공 115 : 걸림턱
16,116,216,316,416,516 : 이동공 117,217,317,417,517 : 유동부
226 : 스톱돌기 227 : 작동홈
228 : 걸림홈 229 : 내주면턱
231 : 허브 232 : 압착스프링
233,333 : 고정환 300 : 작동캡
301 : 스플라인돌기 02 : 연동돌기
303 : 수장홈 410,510 : 볼트
412,512 : 수납부 440,540 : 나사봉
500 : 작동캡 501 : 스플라인돌기
502 : 연동돌기 503 : 조작봉
504 : 조작홈 505 : 체결환
420,520 : 볼트머리 541 : 볼트관
본 발명은 물체를 체결하는 통상의 너트와 볼트에 있어서, 볼트에 체결된 너트(nut)가 임의로 풀리지 않도록 한 풀림방지 너트(nut)와, 피결합물에 체결되는 볼트(bolt)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너트와 볼트에 일단부가 고정된 스프링을 구성하여 체결방향으로 회전시에는 상기 스프링이 슬라이드 되면서 원주가 확장되어 체결되고 역회전(풀림)에서는 스프링이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는 것에 의하여 스프링의 원주가 축소되면서 피체결물에 압압되어 너트 또는 볼트가 풀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풀림방지 너트 및 볼트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너트와 볼트는 물체를 결합체결하는 수단으로 대량 사용되고 있으며 그 목적은 물체를 견고하게 체결하여 쉽게 해제되지 아니하는 것을 생명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너트, 볼트는 물체 자체의 흔들림이나 떨림, 혹은 외부의 물리적 충격과 기온의 변화에 의한 신축성 등의 발생으로 체결력이 감소되고 이러한 외적인 현상으로 자연히 풀림현상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풀림 즉 체결된 상태에서의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여러 종류의 체결수단이 강구된 바 있다.
이러한 수단으로 와셔(washer)를 볼 수 있고 상기한 와셔에서도 스프링와셔 이붙이, 플레인, 와셔붙이너트 등이 있으며, 또 한편으로는 홈붙이리머(fluted reamer), 또는 너트에 홈이나 통공을 뚫어 분할핀(split pin)을 체결하거나 상기 홈붙이리머에 스냅링(snap ring)을 체결하여 감착 고정하는 구성 등을 불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구성들은 그 효과가 기대 이상이 되지 못하고 있음은 주지하는 바와 같다.
즉 상기 와셔는 풀림을 방지한다고 하나 그 효과가 크지 못하고 단순히 와셔가 가지고 있는 약간의 신축성으로 볼트 또는 피체결체의 떨림과 신축성을 와셔의 신축으로 감소시킴으로 급속한 풀림을 방지하는 정도에 지나지 않고 있다.
또한 분할핀에 의한 수단에서는 그 효과가 너트 볼트가 완전한 분리가 없을 뿐이지 너트 또는 볼트의 풀림을 원천적으로 방지 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새로운 구성으로서는 너트에 톱니를 일체로 구성한 와셔를 일체로 하여 물체와의 결합성을 증대하거나, 와셔와 같이 병행된 톱니로서 풀림을 억제하고 있으나 이들 역시 전술한 와셔에서 경미하게 진보된 정도이고 그 작용효과가 극히 미미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일본 공개 실용신안공보 소화 59-183525호와 일본 공개 실용신안공보 소화 52-163679호가 알려진바 있다.
상기 선발명에서는 단순히 볼트나사봉에 스프링을 권선하고 그 일단부는 고정되고 타단부는 유동가능하게 구성시켜 정역회전에 따른 스프링의 원주를 증폭하는 작용에 따라 일방향의 회전성만을 가지도록 함으로서 체결된 볼트가 역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종래에 비하여 많은 진보와 기술의 사용효과를 얻고 있다고 볼 수 있으나 그 구성이 단순하여 쉽게 고장을 일으키는 단점과 함께 사용중 고정으로 인한 해지가 쉽게 발생되는 폐단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유사구성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도 설명되고 있다.
너트, 볼트에서 체결상태가 풀리지 않는 것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기계류, 자동차, 항공기 등 진동이 많은 구성물에서 체결너트 또는 볼트가 해이해지면 각 구성 장치들의 체결물이 이완되고 이러한 비정상적인 결합에서의 운동은 작동불량이 발생되고 그 성능을 발휘하지 못함으로써 고장의 요인이 됨과 함께 사고의 위험성이 따르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체결너트가 볼트에 체결된 후 임의로 즉 내적, 외적인 요소에 의한 풀리려는 힘이 발생되어 풀리려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 너트 또는 볼트가 피체결체를 더욱 감착 고정함으로서 너트 또는 볼트의 역회전 즉, 풀림을 방지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좀더 상세하게는 너트내의 나사산과 동일방향으로 권선된 스프링을 내재하되, 일측은 너트의 몸체에 고정하고 타측은 일정한 거리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너트가 체결될 때는 스프링이 볼트 외주면과의 마찰에 의해 슬라이드 되면서 스프링의 원주를 확장함으로써 확장공간을 형성하여 쉽게 체결되고 풀림방향에서는 슬라이드 되면서 원주를 축소함으로써 볼트의 외주면을 스프링이 압착하여 너트가 풀림방향으로 회전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풀릴 수 없도록 한 것이다.
즉 체결시킬 때에는 스프링이 유동부에서 고정부쪽으로 슬라이드 되나 그 고정부쪽은 고정되어 있으므로 일정한 크기의 권선스프링은 원주를 확장하게되고 이로 인하여 볼트는 회전이동 될 수 있게되는 것이며, 체결된 너트가 내적, 또는 외적요소들에 의해 풀려 지려고 할 때에는 상기 권선 스프링은 고정부에서 유동부쪽으로 슬라이드 되나 역시 고정부 쪽이 고정되어 있어서 상기 권선스프링은 당기는 힘에 의해 원주를 축소시키면서 볼트의 외주면을 압착하여 너트의 회전을 방지하고 이러한 힘이 가중될수록 더욱 견고히 압착고정되어 풀릴 수 없도록 되는 것이다.
이러한 너트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볼트에서도 전기한바와 같은 작용효과를 가지는 볼트를 제공하고 있다.
볼트에서도 나사봉에 나사선과 동일방향의 권선스프링을 권선하되 일단은 그 나사봉에 고정되고 타측은 유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너트와 같이 체결상태에서 풀리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너트 또는 볼트에 권선스프링을 구성시켜 체결된 너트 또는 볼트가 임의로 풀리지 않도록 함으로서 물체를 매우 견고하게 체결 고정하도록 한 유용한 발명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또 한편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서 풀림 위치와 잠금 위치의변환을 할 수 있도록 한 것도 제공하고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전환 작동이 자동 설정되어 사용자의 선택 없이 작업자가 종래와 같이 풀려고 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그 작동에 따라서 상기의 전환작업이 자동전환되어 질 수 있는 것도 함께 제공하고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그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절결사시도이고 제2도는 정단면도, 제3도는 측단면도, 제4도는 제1실시예의 요부 권선스프링(30)을 보인 사시도, 제5도는 제1실시예의 요부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몸체(20) 내주면에 나사산(11)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통상의 너트(10)에 있어서, 상기 몸체(20) 내주면 일측에 나사산(11) 높이와 같거나 깊은 수납공간부(12)를 구성하여 2회 이상 권선된 스프링(30)을 내재하되 상기 스프링(30) 양단을 외측으로 절곡구성하여 일측은 몸체(20)에 뚫린 고정용 통공(14)에 고정한 고정부(13)를 구성하고 타측은 몸체(20)에 형성된 이동공(16)을 관통시켜 유동부(17)를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너트(10)를 통상의 볼트(40)에 체결시키게 됨은 공지와 같으며, 너트(10)는 볼트(40)의 나사산과 결합되어 회전 체결된다.
이때에 권선스프링(30)은 볼트(40)의 나사산과 교합슬라이드 되면서 체결되나, 상기 권선스프링(30)은 너트(10)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 되기 때문에 스프링(30)은 그 원주를 넓히게 됨으로서 볼트(40)와는 자유로이 회전체결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선스프링(30)은 유동부(17)쪽은 유동적이나 고정부(13)쪽은 고정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권선스프링(30)은 너트(10)가 체결 방향으로 회전될 때 볼트(40)의 나사산과 마찰되면서 스프링(30)이 유동부(17)쪽에서 고정부(13)쪽으로 슬라이드 되나 상기 스프링(30)의 고정부(13)쪽이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결국 스프링(30)의 원주가 확장되어 볼트의 회전공간이 형성되어진다.
이로 인하여 너트(10)는 스프링(30)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회전될 수 있어서 체결조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체결된 너트(10)가 종래와 같이 내, 외적요소들에 의한 역회전 즉, 풀림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면 상기 너트(10)는 회전되려고 하나 너트(10) 몸체(20)에 고정된 스프링(30)은 볼트(40)의 나사산에서 마찰되어 스프링(30)을 고정부(13)에서 유동부(13)쪽으로 밀게 된다. 이러한 이동은 고정부(13)쪽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스프링(30)의 유동부(17)가 이동됨은 결과적으로 원주를 축소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스프링(30)은 원주를 좁혀 볼트를 압착하게 되고 풀리려는 힘이 클수록 스프링(30)전체가 더욱더 볼트(40)를 압착 고정하게 되어 풀림방향으로의 회전현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며 이것은 한번 체결하면 다시 풀 필요가 없는 곳에 주로 사용되는 것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인 절결사시도이며 제7도 및 제8도는 사용예시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1실시예에 비해 이동공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권선스프링의 유동부가 걸리고 해제되는 현상을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전환형 구성이다.
즉 몸체(120) 내주면에 형성된 수납공간부(112)에 스프링(130)을 권선시키되 스프링(130) 일단의 고정부(113)는 몸체(120)의 고정용 통공(114)에 고정하고 타단의 유동부(117)는 걸림턱(115)이 구비된 이동공(116)을 관통시킨 것으로서 유동부(117)를 걸림턱(115)에 걸고 해제하는 것에 의해 스프링(130)이 연동되도록 한 구성이다.
이와 같은 제2실시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먼저 스프링(130)의 유동부(117)를 걸림턱(115)에서 해제한 경우는 제1실시예의 경우와 같다. 즉 너트(110)를 체결할 때에는 스프링(130)의 원주를 확장하여 자유로이 체결되고 풀림시에는 스프링(130)의 원주가 축소되어 풀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체결된 너트(110)를 필요에 의해 풀려고 할 때에는 상기 너트(110)외측으로 돌출된 유동부(117)를 이동하여 이동공(116)의 걸림턱(115)에 걸게되면 상기 스프링(130)은 고정부(113)쪽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의 이동은 스프링(130)의 권선량을 축소하게 되는 것으로서 동일 길이의 스프링(130)은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원주를 확장시키게 된다.
따라서 스프링(130)의 원주가 볼트원주보다 크게 형성되어짐에 따라 너트가 풀림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전술한 바와 같이 방해받지 않고 회전될 수 있어서 상기 체결된 너트(110)를 쉽게 풀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9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제10도는 결합단면도, 제11도는 평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1실시예에 비해 몸체 외주면에 스톱돌기를 형성시키고 허브를 구성하되 허브의 이동에 의해 스프링의 유동부를 전환되게 한 구성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220)의 수납공간부(212)에 권선된 스프링(230)의 고정부(213)는 몸체(220)의 고정용 통공(214)에 고정하고 유동부(217)는 이동공(216)에 관통시키되, 상기 몸체(220)의 외주면에는 스톱돌기(226)를 구성하고 상기 스톱돌기(226)에 교합되는 걸림홈(228)과 유동부(217)를 수납하는 작동홈(227)을 구비한 허브(231)를 상기 몸체(220)의 외주면에 유착하는 것과 함께 상기 허브(231)의 내주면 돌턱(229)에 압착스프링(232)을 내재시켜 고정환(233)으로 체결 구성한 것으로 허브(231)의 이동에 의하여 체결된 너트(210)를 필요시에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작용, 효과를 보면 몸체(220)의 내주면에 구성된 수납공간부(212)에 권선스프링(230)의 고정부(213)가 고정되고 유동부(217)는 몸체(220)의 이동공(216)을 관통하여 몸체(220)에 유착된 허브(231)의 작동홈(227)에 내재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허브(231)의 좌우 회전에 따라 스프링(230)의 권선량을 조절함으로서 스프링(230)의 원주를 측소 혹은 확대하여 체결된 너트(210)를 풀리지 않게 하거나 필요시에 해제할 수도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허브(231)는 그 내주면에 구성된 걸림홈(228)이 몸체(220) 외주면에서 돌설된 스톱돌기(226)에 체결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허브(231)는 고정환(233)을 내삽시키되 허브(231)내주면에 형성된 내주면 턱(229)에 압착스프링(232)으로 탄력설치 함으로서 스톱돌기(226)에서 걸림홈(228)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즉 허브(231) 후단에 압착스프링(232)이 탄설되어 있고 이 압착스프링(232)은 허브(231)를 밀고 허브(231)의 걸림홈(228)은 밀림에 의해 스톱돌기(226)에 교합되어 있게 되며, 상기 허브(231)를 조절할 때에는 (너트의 조임 또는 해지시)상기 허브(231)를 일측으로 밀면 압착스프링(232)에 탄설된 허브(231)가 이동되어 스톱돌기(226)에서 걸림홈(228)이 해지되고 이때에 허브(231)를 회전하여 표시부(241)를 온 또는 오프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유동부(217)를 전환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온, 오프가 지정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너트(210)를 회전시켜 너트(210)를 체결하거나 또는 풀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의 스프링(230)작용은 전술한바와 같다.
상기 고정환(233)은 몸체(220)에 리벳팅, 용접 등의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육각 너트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하는 체결용 너트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고, 이러한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의 단순 이용에 속한다 할 것이다.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제13도 및 제14도(a)(b)도는 제12도의 단면도로서 작동상태를 표현한 것으로서 제1실시예에 비해 몸체 외주면에 스플라인돌기를 형성시키고 작동캡을 유착시킨 것으로서 너트의 체결과 풀림시에 유동부의 전환을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즉 몸체(320) 내주면에는 나사산(311)과 수납공간부(312)가 구성되고 상기 수납 공간부(312)에는 스프링(330)이 권선되며 이 스프링(330)의 고정부(313)는 몸체(320)의 고정용 통공(314)에 고정되고 유동부(317)는 이동공(316)을 관통시키되, 상기 몸체(320) 외주면에 스플라인(spline) 돌기(301)를 돌출구성하고 이와 교합되는 연동돌기(302)를 내주면에 구성한 작동캡(300)을 상기 몸체(320)외측으로 유착시키고 고정환(333)을 체결하며 상기 스플라인돌기(301)중 이동공(316)일단의 스플라인돌기(301)에는 유동부(317)의 수장홈(303)을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너트(310)를 볼트에 체결할 때는 공구로 작동캡(300)을 회전시킴으로써 제14도 (a)도에서와 같이 상기 작동캡(300)의 연동돌기(302)는 몸체(320)의 스플라인돌기(301)를 밀게 된다.
따라서 몸체(320)는 회전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볼트의 나사산에 의해 체결되는 것이다.
제14도 (a)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는 작동캡(300)에 일체로 형성된 연동돌기(302)는 이와 교합된 스플라인돌기(301)를 밀어 몸체(320)를 회전시키게 됨으로써 너트(310)가 볼트에 체결되는 것이다.
이상에 의해 체결된 너트(310)를 풀고자 할 때는 제14도의 (b)도에서와 같이 상기 작동캡(300)을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 연동돌기(302)는 후측의 스플라인 돌기(301)에 닿기 전에 먼저 유동부(317)를 역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상에 의해 상기 스프링(3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원주가 확장되어지고 너트(320)는 볼트에서 역회전(풀림방향)이 가능하도록 해주며, 계속 이동되는 상기 연동돌기(302)는 몸체(320)의 후측 스플라인돌기(301)에 닿으면서 이 스플라인돌기(301)를 밀게 됨으로써 너트(310)가 회전되어 볼트에서 너트가 풀리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실시에서는 사용자가 전,역 선택없이 회전방향에 따라 유동부(317)의 자동전환이 이루어져 사용이 매우 편리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체결용 너트와 스크류봉등 암수의 나사체결 내지 일방향성의 이동장치부에서 이용 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또한 상기 스프링봉재를 판재나 삼각재등 그 형상의 변형과 스프링의 권선회수 및 권선방향은 실시에 따라서 변화될 수 있으나 이러한 것은 본 발명의 단순 실시에 속하는 것이다.
제15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하나인 볼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권선스프링의 구성과 작동을 볼트에 적용함으로서 전술한 풀림방지의 효과를 발휘하도록 한 것이다.
볼트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너트와 같이 체결 사용되거나 이와 별도로 볼트만으로 피체결물을 체결하고 있다. 따라서 너트뿐만이 아니라 볼트에서도 풀림방지의 작용이 요청되고 그 필요성은 너트와 같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목적의 본 발명의 볼트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제15도는 본 발명의 볼트의 제1실시예 사시도이며 제16도는 제15도의 측단면도, 제17도는 정단면도를 표현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머리(420)와 나사봉(440)으로 구성되는 공지의 볼트(410)에 있어서 상기 볼트(410)의 나사봉(440)의 나사산(411) 일부를 생략하여 스프링(430)이 수용되고 연동될 수 있는 수납부(412)를 구성하고 이 수납부(412)에 는 이 동공(416)과 스프링 고정 용통공(414)을 구성하여 권선스프링(430)의 고정부(413)는 상기 고정용통공(414)에 고정되며 유동부(417)는 이동공(416)에 관통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볼트의 제1실시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본 발명의 볼트는 공지와 같이 피체결물을 관통시켜 고정물체의 나사공에 체결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지와 같이 나사봉(440)의 나사산(411)은 상기 고정물체의나사공의 나사산에 체결되면서 볼트의 권선스프링(430)은 나사공의 내주면과 마찰하면서 슬라이드 하게 되나 체결되는 선단, 즉 고정부(413)쪽이 고정되고 후단, 즉 유동부(417)쪽이 연동됨으로서 상기 슬라이드 되는 스프링(430)은 유동부(417)쪽으로 이동됨으로써 원주가 축소되어 체결나사공에 지장을 받지 아니하면서 체결된다.
이와 같이 체결된 상기 볼트(410)가 내적 또는 외적인 요소들에 의해 풀림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면 상기 스프링(430)은 나사공내주면과의 마찰에 의하여 유동부(417)가 이동공(416)에서 이동되어 스프링(430)은 유동부(417)에서 고정부(417)쪽으로 슬라이드 되는 현상이 발생되어지며 결국 고정부(413)쪽이 고정된 스프링(430)의 원주를 확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스프링(430)의 원주 확장은 결합물체의 나사공내에서 이루어지는바 이 확장된 스프링(430)은 나사공의 내주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볼트(410)는 회전을 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체결된 볼트(410)는 이를 풀 수가 없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본 발명의 볼트는 교각과 같은 구축물이나 기계장치 등에서 사용효과를 높일수 있 다 할 것이다.
제18도는 본 발명의 볼트의 제2실시예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며 제19도는 상기 18도의 결합단면도, 제20도는 스프링 작동설명을 위한 단면도로서 제1실시예에 비해 나사봉 내부에 볼트관 및 볼트머리 상면에 스플라인돌기를 형성하고 볼트관내에 작동캡을 유착시켜 작동캡의 좌우회전에 의해 권선스프링(530)의 유동부(517)가 이동되면서 스프링(530)의 원주를 조절함으로서 볼트가 체결되고 풀리는 것이 자동전환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볼트(510) 나사봉(540)의 나사산(511) 일부를 생략하여 권선스프링이 수용되고 연동될 수 있는 수납부(512)를 구성하고, 이 수납부(512)에는 이동공(516)과 고정용 통공(514)을 형성하여 권선스프링(530)의 고정부(513)는 고정용 통공(514)에 고정되고 타측의 유동부(517)는 이동공(516)을 관통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볼트머리(520)의 상면에는 스플라인돌기(501)를 구성하고 상기 나사봉(540)내부에는 볼트관(541)을 형성하며, 상기 스플라인돌기(501)와 교합되는 연동돌기(502)를 내주면에 형성하는 것과 함께 권선스프링(530)의 유동부(517)를 수용하여 작동시키는 유동부 조작홈(504)을 형성시킨 조작봉(503)을 구비한 전환부재인 작동캡(500)을 상기 볼트관(541)내에 유착, 결합함으로서 작동캡(500)의 회전에 따라서 권선스프링(530)의 유동부(517)가 이동되어 스프링(530)의 원주를 조절함으로 볼트(510)가 체결되고 풀림이 자동 전환 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505는 볼트관(541)에 체결되는 조작봉(503)의 체결수단인 절곡편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제2실시예의 볼트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볼트(510)를 제21도 (a)(b)와 같이 체결 나공에 삽입하고 작동캡(500)을 공구를 이용하여 체결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이 회전은 작동캡(500)의 연동돌기(502)를 회전시키면서 이와 교합된 스플라인돌기(501)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플라인돌기(501)를 일체로 구비한 볼트머리(520) 및 나사봉(540)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볼트(510)는 체결물의 나공에 체결되는 것이다.
이때에 상기 나사봉(540)에 권선된 스프링(530)은 나공과의 마찰에 의해 체결방향의 선단쪽에서 후단 쪽으로 슬라이드 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선단, 즉 고정부(513)가 고정되고 후단, 즉 유동부(517)가 이동공(516)에서 연동 됨으로서 결국 스프링(530)은 권선량을 늘리게 되며 스프링(530)은 그 늘어난 만큼 원주가 축소되어 볼트(510)의 체결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게 되어 원활하게 체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체결된 볼트(510)가 역회전 즉, 풀림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스프링(530)이 나공과 마찰되면서 풀림방향의 선단쪽에서 후단쪽으로 슬라이드 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그러나 상기 스프링(530)의 풀림방향에서의 후단, 즉 고정부(513)쪽은 고정되어서 이동될 수가 없기 때문에 상기 스프링(530)은 결국 원주를 확장하게 되고 이러한 원주의 확장은 상기 스프링(530)을 나공내주면과 압압되어지게 하여 더이상 볼트(510)는 회전될 수가 없다. 따라서 상기 볼트는 풀림이 될 수 없는 것이다.
이와 같이 체결된 볼트(510)를 수리시등 필요에 의하여 풀고자 할 때에는 상기 체결된 볼트(510)에 공지의 공구를 이용하여서 풀림방향으로 작동캡(500)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에 상기 회전되는 작동캡(500)의 연동돌기(502)가 회전이동을 하게 되나 상기 연동돌기(502)와 교합되는 스플라인돌기(501)는 스프링(530)의 탄력으로 항상 상기 연동돌기(502)들과 일정한 거리를 가지도록 탄력 구성되어있어 상기 작동캡(500)은 스플라인돌기(501)와 교합되기 전에 일정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일정 거리를 상기 작동캡(500)이 이동하고 이 이동으로 작동캡(500)의 조작봉(503)은 볼트관 (541)내에서 회전 할 수 있게 되며, 이때에 상기 조작봉(503)의 유동부 조작홈(504)에 수용된 스프링(530)의 유동부(517)는 상기 조작봉(503)의 회전에 의하여 풀림방향으로 이동된다.
유동부(517)의 풀림방향으로의 이동은 상기 스프링(530)의 권선량을 증가시키게 되며 따라서 일정길이의 스프링(530)은 원주를 축소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체결물체의 나공에 압압되어 있는 스프링(530)이 원주를 측소하여 볼트(510)의 회전공간이 형성되며 계속되는 작동캡(500)의 회전에 의해 연동돌기(502)가 스플라인돌기(501)와 교합되면서 스플라인돌기(501)를 풀림방향으로 회전시켜 스플라인돌기(501)를 일체로 구비한 볼트머리(520) 및 나사봉(540)이 연동하여 결국 체결된 볼트(510)를 회전시켜 풀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제2실시예의 볼트는 체결된 볼트(510)가 풀리지 않도록 함과 또는 필요에 의하여 풀 때에는 작동캡(500)을 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체결수단의 해지에 의해 체결볼트를 풀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체결된 너트 또는 볼트의 풀림방지의 목적으로 안출된 것으로서 그 효과가 지대하여 정밀기계등의 산업발전에 크게 기여함은 물론이며 특히 안전사고 방지에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2)

  1. 몸체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한 공지의 너트에 수납공간부를 형성하여 스프링을 권선시켜 나사산에 체결되는 볼트의 나사산을 압착할 때에 볼트가 역회전을 방지하게 되는 풀림방지 너트 및 볼트에 있어서, 상기 몸체 외주면에 스플라인돌기를 돌설하고 이와 교합되는 연동돌기를 내주면에 돌설한 작동캡을 상기 몸체 외측으로 유착하여 고정환으로 체결하며, 스플라인 돌기중 이동공 일단의 스플라인 돌기에는 유동부의 수장홈을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 너트.
  2. 볼트머리와 나사봉으로 구성되는 나사봉의 나사산일부를 생략한 스프링수납부를 구성하여 스프링을 권선시켜서 되는 풀림방지 볼트에 있어서, 상기 볼트 머리의 상면에 스플라인돌기를 구성하고 나사봉내부에는 볼트관을 형성하며, 상기 스플라인돌기와 교합되는 연동돌기를 내주면에 형성하는 것과 함께 권선스프링의 유동부를 수용하여 작동시키는 유동부 조작홈을 형성시킨 조작봉을 구비한작동캡을 상기 볼트관에 유착, 결합시기고 체결환으로 체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풀림방지 볼트.
KR1019960035747A 1996-04-09 1996-08-27 풀림방지 너트 및 볼트 KR100220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5747A KR100220218B1 (ko) 1996-04-09 1996-08-27 풀림방지 너트 및 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10666 1996-04-09
KR96-10666 1996-04-09
KR19960010666 1996-04-09
KR1019960035747A KR100220218B1 (ko) 1996-04-09 1996-08-27 풀림방지 너트 및 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0590A KR970070590A (ko) 1997-11-07
KR100220218B1 true KR100220218B1 (ko) 1999-09-01

Family

ID=66251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5747A KR100220218B1 (ko) 1996-04-09 1996-08-27 풀림방지 너트 및 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0218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409A (ko) * 2001-06-25 2003-01-06 대원강업주식회사 풀림방지용 볼트장치
KR100701643B1 (ko) * 2005-12-30 2007-04-06 (주)성실기계 풀림방지너트
WO2008069399A1 (en) * 2006-12-07 2008-06-12 Powerrex Corporation Co., Ltd. Anti-loose lock nut
KR100988489B1 (ko) * 2008-07-21 2010-10-18 (주)파워렉스코퍼레이션 풀림방지용 너트캡
KR101069314B1 (ko) 2009-10-19 2011-10-05 전명수 풀림방지 너트
KR101195453B1 (ko) 2011-08-23 2012-11-06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나사 풀림 알림장치
KR101669549B1 (ko) * 2015-07-31 2016-11-04 구정언 결합해제가 가능한 볼트형 풀림방지 체결구
KR20170128875A (ko) * 2016-05-16 2017-11-24 구정언 플렉시블 풀림방지 볼트
KR101928696B1 (ko) * 2018-03-15 2018-12-12 박홍욱 풀림방지 볼트
KR101929887B1 (ko) 2018-04-25 2018-12-17 이방희 재사용 가능한 풀림방지용 스프링 와셔
KR20210023581A (ko) 2019-08-23 2021-03-04 (주)엘 테크 이단풀림방지 볼트 및 너트 구조
KR102301433B1 (ko) * 2020-08-16 2021-09-23 (주)평우로지스 풀림 방지 너트
US20230331036A1 (en) * 2022-04-13 2023-10-19 Superior Crown Material Co., Ltd. Car Wheel Rim Decoration Cover Fastening Stru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208B1 (ko) * 2008-10-22 2010-08-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드라이브 샤프트와 허브의 결합구조물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409A (ko) * 2001-06-25 2003-01-06 대원강업주식회사 풀림방지용 볼트장치
KR100701643B1 (ko) * 2005-12-30 2007-04-06 (주)성실기계 풀림방지너트
WO2008069399A1 (en) * 2006-12-07 2008-06-12 Powerrex Corporation Co., Ltd. Anti-loose lock nut
KR100988489B1 (ko) * 2008-07-21 2010-10-18 (주)파워렉스코퍼레이션 풀림방지용 너트캡
KR101069314B1 (ko) 2009-10-19 2011-10-05 전명수 풀림방지 너트
KR101195453B1 (ko) 2011-08-23 2012-11-06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나사 풀림 알림장치
KR101669549B1 (ko) * 2015-07-31 2016-11-04 구정언 결합해제가 가능한 볼트형 풀림방지 체결구
KR20170128875A (ko) * 2016-05-16 2017-11-24 구정언 플렉시블 풀림방지 볼트
KR101928696B1 (ko) * 2018-03-15 2018-12-12 박홍욱 풀림방지 볼트
KR101929887B1 (ko) 2018-04-25 2018-12-17 이방희 재사용 가능한 풀림방지용 스프링 와셔
KR20210023581A (ko) 2019-08-23 2021-03-04 (주)엘 테크 이단풀림방지 볼트 및 너트 구조
KR102301433B1 (ko) * 2020-08-16 2021-09-23 (주)평우로지스 풀림 방지 너트
US20230331036A1 (en) * 2022-04-13 2023-10-19 Superior Crown Material Co., Ltd. Car Wheel Rim Decoration Cover Fastening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0590A (ko) 199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0218B1 (ko) 풀림방지 너트 및 볼트
US4936161A (en) Cable length adjuster with push and lock attachment
US4872795A (en) Nut assembly with rotatable sleeve for taking up backlash
US6601476B2 (en) Adaptor device for a wrench
US20030223840A1 (en) Panel fastener
TW201823062A (zh) 周向鎖止機構、包括此周向鎖止機構的電池鎖定裝置、動力電池包及車輛
JPH06507466A (ja) 伸縮自在なスプライン付き管状組立体
US3390898A (en) Quick release threaded coupling
US4294560A (en) Locking means
US5143286A (en) Thermostatic valve
JPH06221316A (ja) 固定装置
JP2015042440A (ja) ラチェット工具
JP2000502434A (ja) ねじ付き連結部材の急速連結及び解除装置
GB2272951A (en) Preventing loosening of screwthreaded fasteners
CA1058385A (en) Adjustable door lock rod connector
JPS5917285B2 (ja) ねじ連結用回転止ロツク装置
JPS5865152A (ja) 歯科用のハンドピ−ス
JP4594595B2 (ja) 伸縮ロッド、および清掃用具
US4712928A (en) Ring fastener for machine parts
JPS61252926A (ja) 自動調整装置
JP3138311B2 (ja) 管継手構造
KR100634720B1 (ko) 로드 안테나 고정 장치
JPH09291924A (ja) ロック付き締結機構
JPH0738726Y2 (ja) 連結固定装置及びその関連技術
JPH052336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