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9386B1 -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9386B1
KR101929386B1 KR1020170149207A KR20170149207A KR101929386B1 KR 101929386 B1 KR101929386 B1 KR 101929386B1 KR 1020170149207 A KR1020170149207 A KR 1020170149207A KR 20170149207 A KR20170149207 A KR 20170149207A KR 101929386 B1 KR101929386 B1 KR 101929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queous solution
methanol
chloroform
eluate
methanol aque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9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기춘
이정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70149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93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9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9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9Complex extraction schemes, e.g. fractionation or repeated extraction ste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이탈리안라이그라스의 60 내지 80%(v/v) 메탄올 추출 건고물을 석유에테르로 추출 및 여과하여 잔사를 수득하고, 상기 잔사를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여 클로로포름 용해성 추출물을 수득하고, 상기 클로로포름 용해성 추출물을 세파덱스(sephadex) LH20 수지에 통과시키고 30 내지 50%(v/v) 메탄올 수용액으로 용출하여 수득한 용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TNF-α 및 IL-6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는 등의 생리활성을 통해 내독소에 의한 패혈성 사멸을 억제함으로써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를 효과적으로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on, treatment or improvement of sepsis or septic shock comprising italian ryegrass extraction fractions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이탈리안라이그라스의 60 내지 80%(v/v) 메탄올 추출 건고물을 석유에테르로 추출 및 여과하여 잔사를 수득하고, 상기 잔사를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여 클로로포름 용해성 추출물을 수득하고, 상기 클로로포름 용해성 추출물을 세파덱스(sephadex) LH20 수지에 통과시키고 30 내지 50%(v/v) 메탄올 수용액으로 용출하여 수득한 용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탈리안라이그라스는 겨울철 휴경 논을 이용하는 이점이 있고 우리나라와 같이 조사료 생산이 어려운 여건에서 아주 중요한 사료작물로 재배되고 있다. 특히 국가적 차원에서 맞춤형 조사료 신품종 개발 및 안정생산 기술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가운데 이탈리안라이그라스는 가장 중요한 품종으로 인식되고 있고, 농진청에서도 안정적 재배지역의 확대,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신품종 개발, 품질규격화 및 종자 보급률 확대에 중점을 두고 있다.
한편 조사료는 가축의 생리활성기능 향상 및 고급육 생산능력 향상에 중요한 생리활성물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이러한 생리활성물질들은 가축의 면역력 증강을 통한 생산성 향상과 더불어 인간에게도 유용한 효과를 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한 유럽에서는 조사료에 많이 함유된 섬유소 성분이 임신돈의 포만감을 형성하고, 포유돈에는 변비 방지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으며, 여러 축산 선진국에서는 조사료 유래 생리활성물질을 사람에게도 유용하게 이용해보고자 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예로서, 귀리 추출물은 당대사에 생리적 활성을 나타내어 당뇨치료제로서의 효용성이 기대되고 있으며, 항암 및 면역질환 억제에 대한 기능도 보고되었다. 청보리와 같은 조사료원에 대한 연구에서도 특정 활성분획물에 의한 면역세포 활성, 항산화, 고지혈증 억제, 지질대사 활성 및 당대사 촉진 등과 같은 생리활성 기능이 보고되는 등 조사료 유래 활성성분에 대한 다양한 이용성 증진 연구가 수행되었다.
천연자원으로부터 생리활성소재의 탐색은 대부분 약용식물을 주요 소재로 연구해왔으나 이탈리안라이그라스와 같은 사료 작물을 대상으로 하는 활성성분의 분리·정제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탈리안라이그라스의 생리활성에 관해 연구한 결과, 특정한 방법으로 추출 및 분획하여 수득한 추출분획물이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에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이탈리안라이그라스로부터 추출 및 분획하여 수득한 추출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이탈리안라이그라스의 60 내지 80%(v/v) 메탄올 추출 건고물을 석유에테르로 추출 및 여과하여 잔사를 수득하고, 상기 잔사를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여 클로로포름 용해성 추출물을 수득하고, 상기 클로로포름 용해성 추출물을 세파덱스(sephadex) LH20 수지에 통과시키고 30 내지 50%(v/v) 메탄올 수용액으로 용출하여 수득한 용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이탈리안라이그라스의 60 내지 80%(v/v) 메탄올 추출 건고물을 석유에테르로 추출 및 여과하여 잔사를 수득하고, 상기 잔사를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여 클로로포름 용해성 추출물을 수득하고, 상기 클로로포름 용해성 추출물을 세파덱스(sephadex) LH20 수지에 통과시키고 30 내지 50%(v/v) 메탄올 수용액으로 용출하여 수득한 용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이탈리안라이그라스의 60 내지 80%(v/v) 메탄올 추출 건고물을 석유에테르로 추출 및 여과하여 잔사를 수득하고, 상기 잔사를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여 클로로포름 용해성 추출물을 수득하고, 상기 클로로포름 용해성 추출물을 세파덱스(sephadex) LH20 수지에 통과시키고 30 내지 50%(v/v) 메탄올 수용액으로 용출하여 수득한 용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이탈리안라이그라스의 60 내지 80%(v/v) 메탄올 추출 건고물을 석유에테르로 추출 및 여과하여 잔사를 수득하고, 상기 잔사를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여 클로로포름 용해성 추출물을 수득하고, 상기 클로로포름 용해성 추출물을 세파덱스(sephadex) LH20 수지에 통과시키고 30 내지 50%(v/v) 메탄올 수용액으로 용출하여 수득한 용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사료 조성물 또는 사료 첨가제에 있어서, 상기 용출물은 상기 클로로포름 용해성 추출물을 세파덱스(sephadex) LH20 수지에 통과시키고, 물, 10%(v/v) 메탄올 수용액, 30%(v/v) 메탄올 수용액으로 순서대로 용출하여 분획하되, 30%(v/v) 메탄올 수용액을 사용하여 세 개의 영역으로 분획하여 얻은 용출물 중 세 번째로 용출된 용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사료 조성물 또는 사료 첨가제에 있어서, 상기 용출물은 상기 클로로포름 용해성 추출물을 세파덱스(sephadex) LH20 수지에 통과시키고, 물, 10%(v/v) 메탄올 수용액, 30%(v/v) 메탄올 수용액, 50%(v/v) 메탄올 수용액으로 순서대로 용출하여 분획하되, 50%(v/v) 메탄올 수용액을 사용하여 세 개의 영역으로 분획하여 얻은 용출물 중 첫 번째로 용출된 용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사료 조성물 또는 사료 첨가제는 TNF-α 및 IL-6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는 등의 생리활성을 통해 내독소에 의한 패혈성 사멸을 억제함으로써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를 효과적으로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추출분획물을 수득하는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추출분획물의 패혈증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사료 조성물 또는 사료 첨가제는 이탈리안라이그라스의 특정한 방법으로 추출 및 분획하여 얻은 추출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추출분획물은 이탈리안라이그라스의 60 내지 80%(v/v) 메탄올 추출 건고물을 석유에테르로 추출 및 여과하여 잔사를 수득하고, 상기 잔사를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여 클로로포름 용해성 추출물을 수득하고, 상기 클로로포름 용해성 추출물을 세파덱스(sephadex) LH20 수지에 통과시키고 30 내지 50%(v/v) 메탄올 수용액으로 용출하여 수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로로포름 용해성 추출물을 세파덱스(sephadex) LH20 수지에 통과시키고, 물, 10%(v/v) 메탄올 수용액, 30%(v/v) 메탄올 수용액으로 순서대로 용출하여 분획하되, 30%(v/v) 메탄올 수용액을 사용하여 세 개의 영역으로 분획하여 세 번째로 용출되는 것을 수득하는 것이 좋다.
또는 상기 클로로포름 용해성 추출물을 세파덱스(sephadex) LH20 수지에 통과시키고, 물, 10%(v/v) 메탄올 수용액, 30%(v/v) 메탄올 수용액, 50%(v/v) 메탄올 수용액으로 순서대로 용출하여 분획하되, 50%(v/v) 메탄올 수용액을 사용하여 세 개의 영역으로 분획하여 첫 번째로 용출되는 것을 수득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추출분획물이 TNF-α 및 IL-6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는 등의 생리활성을 통해 내독소에 의한 패혈성 사멸을 억제한다는 새로운 발견을 통해 안출되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추출분획물을 0.1 내지 90중량%로 함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비경구 투여시 복강내주사, 직장내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주사, 자궁내 경막주사, 뇌혈관내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고,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 약학적 조성물의 일일 투여량은 조성물에 함유된 본 발명의 추출분획물을 기준으로 하루에 약 0.1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일 수 있으며, 하루 1회 내지 수회 나누어 투여될 수 있으나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할 것이다.
실제 임상 투여 시에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을 것이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추출분획물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유효량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추출분획물 그 자체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된 담체와 혼합한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 묵, 죽, 라면이나 국수 등의 면류,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의 조미식품, 소스, 과자, 발효유나 치즈 등의 유가공품, 김치나 장아찌 등의 절임식품, 과실, 채소, 두유, 발효음료 등의 음료수의 식품 형태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식품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는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는 상기 유효량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추출분획물 그 자체 또는 사료학적으로 허용된 담체와 혼합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추출분획물 또는 사료 첨가제를 사료와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배합사료, 펠렛형태 및 사일레지 등의 형태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 배합사료는 여러 종류의 일반사료와 상기 본 발명의 추출분획물 또는 사료 첨가제와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펠렛 형태의 사료는 상기 배합사료를 펠렛기로 제형화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사일레지는 청예사료를 발효한 다음 상기 본 발명의 추출분획물 또는 사료 첨가제를 첨가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추출분획물 제조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사료작물인 이탈리인라이그라스는 천안 국립축산과학원 축산기술개발원에서 직접 재배 및 수확(출수일 5월 5일부터 이를 기준으로 5일째되는 날 사이에 수확)하여 사일리지로 만들고 60일간 발효시킨 뒤 건조시켜 분말형태로 만든 것을 사용하였다.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사일리지 건조물 771g에 70%(v/v) 메탄올 5ℓ를 첨가하고 12 ~ 24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여과지(Whatman No. 1)로 여과하여 추출액을 수득하고, 다시 추출박에 5ℓ의 70%(v/v) 메탄올을 첨가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액을 얻었다. 여과된 추출액을 합한 다음 35℃의 수욕상에서 감압 농축 건고하였다.
이 건고물에 1ℓ 석유에테르(petroleum ether)를 첨가하고 12 ~ 24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여과하여 잔사를 수득하고, 이 잔사에 1ℓ의 클로로포름을 첨가하고 12 ~ 24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여과하여 클로로포름 추출액을 수득하였다.
이후 이 클로로포름 추출액을 35℃의 수욕상에서 감압 농축 건고하여 3.936g의 클로로포름 용해성 조추출물(chloroform-soluble crude extract)을 확보하였다.
상기 클로로포름 용해성 조추출물을 소량의 70%(v/v) 메탄올에 용해하고 Sephadex LH-20 수지(Sigma)가 충진된 open column(수지 50g이 담긴 직경 2.8cm, 길이 45cm의 유리컬럼)을 이용하여 분획하였다. 이때 전개용매로 물(수지 충진부피의 1/3배 부피), 10%(v/v) 메탄올 수용액(수지 충진부피의 2배 부피), 30%(v/v) 메탄올 수용액(수지 충진부피의 2배 부피), 50%(v/v) 메탄올 수용액(수지 충진부피의 2배 부피), 70%(v/v) 메탄올 수용액(수지 충진부피의 2배 부피), 100%(v/v) 메탄올(수지 충진부피의 2배 부피)를 사용하였으며, 전개용매가 물일 때는 1개의 분획물(fraction)을 얻어내었고, 메탄올 수용액과 100% 메탄올을 전개용매로 사용했을 때는 각각 동일한 양의 3개의 분획물로 나누어 총 16개의 분획물을 얻었다. 이때 각 분획물은 물 분획물부터 먼저 얻은 순서대로 분획물 1부터 16번으로 정했다.
이후 각 분획물을 35℃의 수욕상에서 감압 농축 건고하였다. 각 분획물의 제조과정 및 수득한 최종 건고물의 양을 도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이탈라안라이그라스 추출분획물의 패혈성 사멸과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에 대한 억제효과 검증
본 실험예에서는 생쥐에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추출분획물을 투여한 후 치사량의 내독소를 주입하여 각 분획물의 생존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암컷 생쥐인 ICR과 BALB/c 품종을 구입하여 각 그룹별 동일한 체중으로 그룹당 총 15수로 하여 세 그룹으로 구분하였다. 각 생쥐 그룹은 200㎕ 인산완충용액(Phosphate-buffered saline; PBS), 또는 분획물 7(Fraction 7; F7) 또는 분획물 8(Fraction 8; F8)이 체중당 40mg/kg(body weight)의 함량이 들어있는 동일한 양의 PBS로 2일마다 1회 경구 투여하였으며, 총 5회 경구 투여하였다. 마지막 경구투여 24시간 후 내독소(LPS)를 체중 당 30mg/kg(body weight)씩 각 생쥐에 복강주사 하였다. 본 생존실험에서는 각 그룹 당 10수의 생쥐가 사용되었으며, 내독소 주사 후 매 6시간 마다 총 4일 동안 생쥐의 생존율을 관찰하였다.
한편, 상기와 같이 분획물 및 내독소가 투여된 생쥐 내 혈청으로부터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와 IL-6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BALB/c 생쥐의 눈 주위 정맥에서 retroorbital bleeding을 통해 혈액을 채취하였으며, 각 그룹 당 5수에서 샘플을 확보하였다. 혈액샘플 채취는 내독소 주입 후 2시간과 8시간 뒤에 실시하였으며, 혈액 내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함량은 생쥐 특이적 QuantikineVR ELISA kits(R&D Systems)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도 2의 A와 B는 각각 ICR과 BALB/c 생쥐에 대한 이탈리안라이그라스 분획물 F7과 F8의 보호효과를 보여주는 결과이다. 내독소만 투여된 ICR에서는 내독소 투여 후 72시간에 80%의 생쥐가 사멸된 반면 내독소 처리 전 F7과 F8이 투여된 생쥐에서는 각각 90%와 80%의 생존율을 보였다. 반면 BALB/c 생쥐에서는 내독소 단독 처리군에서는 투여 후 42시간째에 모든 생쥐가 사멸됨을 확인하였고, F7과 F8 투여군에서는 투여 후 92시간에도 각각 70%와 60%의 생쥐가 생존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본 발명의 이탈리안라이그라스 분획물의 패혈성 사멸에 대한 억제효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한편 도 2의 C와 D는 상기와 같이 분획물 또는 내독소 또는 혼용 처리된 BALB/c 생쥐의 혈액 내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래프에서 보는 봐와 같이 내독소 단독 처리군에서는 두 사이토카인의 함량이 증가하나 분획물과 혼용 처리군에서는 유의적인 억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분획물에 의한 내독소 유도성 패혈성 사멸(septic death)의 억제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억제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Claims (12)

  1. 이탈리안라이그라스의 60 내지 80%(v/v) 메탄올 추출 건고물을 석유에테르로 추출 및 여과하여 잔사를 수득하고, 상기 잔사를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여 클로로포름 용해성 추출물을 수득하고, 상기 클로로포름 용해성 추출물을 세파덱스(sephadex) LH20 수지에 통과시키고 30 내지 50%(v/v) 메탄올 수용액으로 용출하여 수득한 용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출물은 상기 클로로포름 용해성 추출물을 세파덱스(sephadex) LH20 수지에 통과시키고, 물, 10%(v/v) 메탄올 수용액, 30%(v/v) 메탄올 수용액으로 순서대로 용출하여 분획하되, 30%(v/v) 메탄올 수용액을 사용하여 세 개의 영역으로 분획하여 얻은 용출물 중 세 번째로 용출된 용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출물은 상기 클로로포름 용해성 추출물을 세파덱스(sephadex) LH20 수지에 통과시키고, 물, 10%(v/v) 메탄올 수용액, 30%(v/v) 메탄올 수용액, 50%(v/v) 메탄올 수용액으로 순서대로 용출하여 분획하되, 50%(v/v) 메탄올 수용액을 사용하여 세 개의 영역으로 분획하여 얻은 용출물 중 첫 번째로 용출된 용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4. 이탈리안라이그라스의 60 내지 80%(v/v) 메탄올 추출 건고물을 석유에테르로 추출 및 여과하여 잔사를 수득하고, 상기 잔사를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여 클로로포름 용해성 추출물을 수득하고, 상기 클로로포름 용해성 추출물을 세파덱스(sephadex) LH20 수지에 통과시키고 30 내지 50%(v/v) 메탄올 수용액으로 용출하여 수득한 용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용출물은 상기 클로로포름 용해성 추출물을 세파덱스(sephadex) LH20 수지에 통과시키고, 물, 10%(v/v) 메탄올 수용액, 30%(v/v) 메탄올 수용액으로 순서대로 용출하여 분획하되, 30%(v/v) 메탄올 수용액을 사용하여 세 개의 영역으로 분획하여 얻은 용출물 중 세 번째로 용출된 용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용출물은 상기 클로로포름 용해성 추출물을 세파덱스(sephadex) LH20 수지에 통과시키고, 물, 10%(v/v) 메탄올 수용액, 30%(v/v) 메탄올 수용액, 50%(v/v) 메탄올 수용액으로 순서대로 용출하여 분획하되, 50%(v/v) 메탄올 수용액을 사용하여 세 개의 영역으로 분획하여 얻은 용출물 중 첫 번째로 용출된 용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7. 이탈리안라이그라스의 60 내지 80%(v/v) 메탄올 추출 건고물을 석유에테르로 추출 및 여과하여 잔사를 수득하고, 상기 잔사를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여 클로로포름 용해성 추출물을 수득하고, 상기 클로로포름 용해성 추출물을 세파덱스(sephadex) LH20 수지에 통과시키고 30 내지 50%(v/v) 메탄올 수용액으로 용출하여 수득한 용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용출물은 상기 클로로포름 용해성 추출물을 세파덱스(sephadex) LH20 수지에 통과시키고, 물, 10%(v/v) 메탄올 수용액, 30%(v/v) 메탄올 수용액으로 순서대로 용출하여 분획하되, 30%(v/v) 메탄올 수용액을 사용하여 세 개의 영역으로 분획하여 얻은 용출물 중 세 번째로 용출된 용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조성물.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용출물은 상기 클로로포름 용해성 추출물을 세파덱스(sephadex) LH20 수지에 통과시키고, 물, 10%(v/v) 메탄올 수용액, 30%(v/v) 메탄올 수용액, 50%(v/v) 메탄올 수용액으로 순서대로 용출하여 분획하되, 50%(v/v) 메탄올 수용액을 사용하여 세 개의 영역으로 분획하여 얻은 용출물 중 첫 번째로 용출된 용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조성물.
  10. 이탈리안라이그라스의 60 내지 80%(v/v) 메탄올 추출 건고물을 석유에테르로 추출 및 여과하여 잔사를 수득하고, 상기 잔사를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여 클로로포름 용해성 추출물을 수득하고, 상기 클로로포름 용해성 추출물을 세파덱스(sephadex) LH20 수지에 통과시키고 30 내지 50%(v/v) 메탄올 수용액으로 용출하여 수득한 용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용출물은 상기 클로로포름 용해성 추출물을 세파덱스(sephadex) LH20 수지에 통과시키고, 물, 10%(v/v) 메탄올 수용액, 30%(v/v) 메탄올 수용액으로 순서대로 용출하여 분획하되, 30%(v/v) 메탄올 수용액을 사용하여 세 개의 영역으로 분획하여 얻은 용출물 중 세 번째로 용출된 용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용출물은 상기 클로로포름 용해성 추출물을 세파덱스(sephadex) LH20 수지에 통과시키고, 물, 10%(v/v) 메탄올 수용액, 30%(v/v) 메탄올 수용액, 50%(v/v) 메탄올 수용액으로 순서대로 용출하여 분획하되, 50%(v/v) 메탄올 수용액을 사용하여 세 개의 영역으로 분획하여 얻은 용출물 중 첫 번째로 용출된 용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
KR1020170149207A 2017-11-10 2017-11-10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929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207A KR101929386B1 (ko) 2017-11-10 2017-11-10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207A KR101929386B1 (ko) 2017-11-10 2017-11-10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9386B1 true KR101929386B1 (ko) 2018-12-17

Family

ID=65007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207A KR101929386B1 (ko) 2017-11-10 2017-11-10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93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2186A (ko) 2019-01-24 2020-08-03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옻나무에서 추출한 당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증 쇼크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00568A (ko) * 2020-06-26 2022-01-04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홍삼의 비수용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3916A (ja) 2007-02-09 2008-08-28 Hokkaido イタリアンライグラスを用いた雑草防除方法
JP2008237180A (ja) 2007-03-28 2008-10-09 Japan Grassland Farming Forage Seed Association イタリアンライグラスの品種識別に有用なssrプライマー対及びその利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3916A (ja) 2007-02-09 2008-08-28 Hokkaido イタリアンライグラスを用いた雑草防除方法
JP2008237180A (ja) 2007-03-28 2008-10-09 Japan Grassland Farming Forage Seed Association イタリアンライグラスの品種識別に有用なssrプライマー対及びその利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2186A (ko) 2019-01-24 2020-08-03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옻나무에서 추출한 당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증 쇼크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00568A (ko) * 2020-06-26 2022-01-04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홍삼의 비수용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384358B1 (ko) 2020-06-26 2022-04-08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홍삼의 비수용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2670B1 (ko) 2,5-비스-아릴-3,4-디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리그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에이엠피케이의 활성화에 의해 매개되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4087364A (ja) 食用アピオス花、食品素材、血糖値上昇抑制効果具有物、血糖値上昇抑制物質およびアピオス花の使用方法
KR20160005162A (ko) 감국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29386B1 (ko)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2007161632A (ja) 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
KR101496834B1 (ko) 울금 유래 생리활성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WO2004100969A1 (ja) 治療剤
KR20110110054A (ko)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콩 추출물 포함 조성물
KR100704006B1 (ko) 항암 활성을 갖는 봄맞이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테르펜 사포닌 화합물
KR101491493B1 (ko) 감귤 과피 및 구아바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약학 조성물
KR20200020404A (ko) 식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그랜자임 b 억제용 조성물
KR101790654B1 (ko) 잣박 추출물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17057B1 (ko) 폐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60163B1 (ko)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636608B1 (ko)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514284B1 (ko) 땃두릅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837477B1 (ko) 뽕나무 잎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91830B1 (ko) 밀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암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38901B1 (ko) 육두구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리그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83916B1 (ko)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이상지질혈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83915B1 (ko)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조성물
KR20210147247A (ko) 좁은잎천선과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KR20100061212A (ko) 측백엽, 백자인, 노간주나무 및/또는 참취의 추출 혼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관련 대사성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29388B1 (ko)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50085215A (ko) 흑마늘 및 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