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9230B1 - 리모델링 건축물의 내진성능 보강을 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강 유닛 - Google Patents

리모델링 건축물의 내진성능 보강을 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강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9230B1
KR101929230B1 KR1020180053574A KR20180053574A KR101929230B1 KR 101929230 B1 KR101929230 B1 KR 101929230B1 KR 1020180053574 A KR1020180053574 A KR 1020180053574A KR 20180053574 A KR20180053574 A KR 20180053574A KR 101929230 B1 KR101929230 B1 KR 101929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module
unit
magnetic means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청환
조창경
Original Assignee
조청환
조창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청환, 조창경 filed Critical 조청환
Priority to KR1020180053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92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9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9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7Preventive constructional measures against earthquake damage in existing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32Shielding elements, i.e. elements preventing overspray from reaching areas other than the object to be sprayed
    • B05B12/34Shielding elements, i.e. elements preventing overspray from reaching areas other than the object to be sprayed movable relative to the spray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0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개의 단위체를 상하 좌우로 연속 접합하여 3차원 격자형의 내진 보강 구조물을 이루기 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강 유닛으로서, 보강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1개층 또는 복수층에 해당하는 높이를 가지며 콘크리트 재질로 된 기둥부재; 및 상기 기둥부재의 일측 또는 좌우 양측에 수평으로 돌출 형성되는 캔틸레버 형태의 가로빔을 포함하며, 상기 기둥부재는 표면처리 가공수단을 통해 오염방지 가공처리된 콘크리트 보강유닛을 제공한다.
따라서, 내진보강 구조체를 구축함에 있어서는 가지에 해당하는 보와 줄기에 해당하는 기둥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로서 하나의 단위체로 구성된 유닛을 상하 좌우로 연속 결합함에 의함으로써 시공성, 경제성 및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각 구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표면처리 가공을 통해 오염방지 내성이 강화되어, 설치 전 유지 보수는 물론 설치 후의 유지 보수 관리가 용이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강 유닛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리모델링 건축물의 내진성능 보강을 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강 유닛 {Stalk-Branche type precast concrete reinforcing unitand aseismatic structure}
본 발명은 리모델링 건축물의 내진성능 보강을 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강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리모델링 건축물과 같이 내진 보강을 요하는 기존 구조물의 외부측에 3차원 입체 격자 형상의 내진보강 구조체를 추가로 증설하여 내진 보강을 하되, 이 내진보강 구조체를 구축함에 있어서는 가지에 해당하는 보와 줄기에 해당하는 기둥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로서 하나의 단위체로 구성된 유닛을 상하 좌우로 연속 결합함에 의함으로써 시공성, 경제성 및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각 구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표면처리 가공을 통해 오염방지 내성이 강화되어, 설치 전 유지 보수는 물론 설치 후의 유지 보수 관리가 용이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강 유닛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존 철근 콘크리트 건물의 철거 및 신축에 대한 대안으로서 리모델링(remodeling)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도시화의 급속한 진전에 따른 주택 수요의 급증, 노후화된 재고건물의 질적 수준 및 활용도 개선에 대한 요구수준의 향상, 환경 친화적 건물 관리정책에 대한 필요성 및 무분별한 건물 신축에 따른 국토 난개발의 방지 등과 같은 견지에서 리모델링이 권장되고 있음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리모델링 활동은 초기에는 주로 오피스, 상가 건물, 병원 등의 특수 건축물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최근에 들어서는 주택 분야, 특히, 아파트와 같은 고층 공동주택에 대한 리모델링이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향후로는 이러한 주택부문이 전체 리모델링 시장을 선도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더구나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경제적 측면에서의 효율성이라는 관점에서 정부 차원에서 환경 폐기물을 줄이고 기존의 아파트의 골조를 가능한 한 재활용 하려는 정책 기조를 가짐에 따라 신축이나 재건축 이외에 리모델링을 택하는 아파트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공동주택 분야의 리모델링과 관련, 우리나라에서 1988년 이전에 지어진 아파트의 경우 지진에 대비한 관계규정 자체가 마련되지 못하여 내진설계가 적용되지 않은채 설계 시공되었으며, 1989년 이후 건축물의 내진설계 기준이 마련되면서 비로소 지진에 대비한 내진 설계된 아파트가 지어지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내진설계 도입이전의 건축물들의 경우 리모델링을 함에 있어서 기존 골조에 대한 내진 보강 공사를 시행하여야 할 것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물론, 리모델링에 의해 증축되는 부분의 골조 역시 내진 보강설계가 되어야만 한다. 이에 상기와 같은 리모델링에 있어 기존에 이루어지고 있던 내진 보강 방법 중 가장 보편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던 방식을 보게 되면, 이는 기존 건물의 보 또는 기둥 부분에는 철판을 덧대거나 현장 타설 콘크리트를 증타함으로써 부재 내력을 보강하였고, 새로 증축되는 부분은 철근콘크리트 라멘 구조로 증설하거나 또는 모멘트 접합 방식에 의한 철골조(SteelStructere)의 방식으로 시공하여 왔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방법 중 기존 현장 타설 콘크리트에 의한 습식 방법은 거푸집과 동바리를 이용한 가설공사가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바 많은 폐자재를 발생시키고 아울러 공사기간 역시 상대적으로 많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강재(steel)에 의한 보강방법은 조립식이라는 장점이 있는 반면 상대적으로 공사 비용이 많아지고 내화피복 공정이 추가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내진보강을 위한 내진보강 구조의 구성물의 설치 전 유지 보수는 물론 설치 후의 유지 보수 관리가 용이하지 못하여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내진보강을 위한 보강 유닛의 제공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48975호
본 발명은, 리모델링 건축물과 같이 내진 보강을 요하는 기존 구조물의 외부측에 3차원 입체 격자 형상의 내진보강 구조체를 추가로 증설하여 내진 보강을 하되, 이 내진보강 구조체를 구축함에 있어서는 가지에 해당하는 보와 줄기에 해당하는 기둥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로서 하나의 단위체로 구성된 유닛을 상하 좌우로 연속 결합함에 의함으로써 시공성, 경제성 및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각 구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표면처리 가공을 통해 오염방지 내성이 강화되어, 설치 전 유지 보수는 물론 설치 후의 유지 보수 관리가 용이한 건축물의 보강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단위체를 상하 좌우로 연속 접합하여 3차원 격자형의 내진 보강 구조물을 이루기 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강 유닛으로서, 보강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1개층 또는 복수층에 해당하는 높이를 가지며 콘크리트 재질로 된 기둥부재; 및 상기 기둥부재의 일측 또는 좌우 양측에 수평으로 돌출 형성되는 캔틸레버 형태의 가로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아파트 건축물의 내진성능 보강을 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강 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파트 건축물의 내진성능 보강을 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강 유닛에 의하면, 내진보강 구조체를 구축함에 있어서는 가지에 해당하는 보와 줄기에 해당하는 기둥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로서 하나의 단위체로 구성된 유닛을 상하 좌우로 연속 결합함에 의함으로써 시공성, 경제성 및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각 구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표면처리 가공을 통해 오염방지 내성이 강화되어, 설치 전 유지 보수는 물론 설치 후의 유지 보수 관리가 용이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강 유닛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보강 유닛에 대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보강 유닛을 조립하여 이루어진 내진 보강 구조에 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보강 유닛의 수평 연결부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른 내진 보강 유닛의 수직 연결부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처리 가공수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면처리 가공수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방지 가공처리 하기 위한 제2 표면처리 가공수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염방지 가공처리 하기 위한 제2 표면처리 가공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제2 표면처리 가공수단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표면처리 가공수단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 내지 도 29은 본 발명의 표면처리 가공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0 내지 도 31은 본 발명의 표면처리 가공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단위체를 상하 좌우로 연속 접합하여 3차원 격자 형상의 내진 보강 구조물을 이루기 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강 유닛으로서, 보강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1개층 또는 복수층에 해당하는 높이를 가지며 콘크리트 재질로 된 기둥부재; 및, 상기 기둥부재의 일측 또는 좌우 양측에 수평으로 돌출 형성되는 캔틸레버 형태의 가로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리모델링 건축물의 내진성능 보강을 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강 유닛을 특징적인 구성으로서 제공한다. 이 때, 상기 기둥부재는 단일 또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기둥부재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추가로 수평 연결빔을 두어 이들 기둥부재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하고 상기 복수개의 기둥부재 중 최외곽측 기둥부재의 측면에 캔틸레버 형태의 가로빔을 외향하도록 연장 구성함으로써 인접 유닛과의 수평연결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기둥부재 내에는 수직으로 관통하는 수직 관통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수직 관통홀은 텐던을 통과시켜 포스트 텐션 방식에 의해 프리스트레스를 가함에 의해 상하 유닛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 역시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본 발명이 갖는 특징 중의 하나이다.
본 발명은 리모델링 건축물의 내진성능 보강을 위해 기존 건축물에 추가의 보강 구조물을 증설하여 보강하는 리모델링 내진 보강 구조에 있어서, 보강을 요하는 기존 건축물과; 상기 기존 건축물의 적어도 일면 이상에 설치되는 3차원 격자형의 보강구조체;를 포함하되, 상기 보강구조체는 상기에 기재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강 유닛을 상하좌우로 연결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델링 건축물의 내진성능 보강을 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강 유닛을 이용한 내진보강 구조를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로서 제공하며, 이 때, 상기 보강구조체를 구성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강 유닛의 기둥부재는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 내에는 긴장된 상태의 텐던이 통과함으로써 프리스트레스가 가해져 있도록 하되 상기 텐던은 기초부로부터 보강구조체의 최상단에 걸쳐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강 유닛 및 이 보강 유닛을 이용하여 된 내진 보강 구조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강 유닛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강 유닛(1')는 전체적으로 콘크리트 재질의 기둥부재(10'); 및 상기 기둥부재(10')의 측면에 수평으로 돌출 형성되는 캔틸레버 형태의 가로빔(20');을 포함하도록 개략 구성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강 유닛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실시예 역시 단위 유닛을 상하 좌우로 연속결합하여 3차원 격자형의 보강 구조물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강 유닛으로서, 그 기본적인 구성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기둥부재(10') 및 가로빔(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점에 있어서는 동일하고 다만 상기 기둥부재(10')의 갯수를 다수개(도시된 예에서는 2개')로 하고 있음에서 다소 차이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와 같이 기둥부재(10')를 복수개로 함에 따라 이들 기둥부재(10')들을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수평 연결빔(30')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강 유닛을 사용하여 기존 구조물(200') 측면에 내진 보강 구조체(100')를 형성함으로써 내진 보강이 이루어진 상태의 골조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상기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3차원 입체 격자 형상의 내진 보강 구조체(100')를 구성하고 이를 리모델링을 하고자 하는 기존 건물의 일측면(또는 전후 양측면 모두')에 일체로 증설함에 의해 기존의 내진 보강 설계가 안된 일반 건축물의 내진 성능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입체 격자형의 내진 보강 구조체(100')를 형성함에 있어서 기존의 현장 타설 콘크리트와 같은 습식 공법이나 철골 구조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높이의 기둥부재(10')와 측면으로 돌출된 캔틸레버형의 가로빔(20')이 일체로 구성된 보강 유닛(1')를 미리 공장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로서 마련하고, 현장에서는 이 단위 보강 유닛을 상하 좌우로 연속 결합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3차원 격자 형상의 내진 보강체(100')를 이룰 수 있도록 함을 주요한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보강 유닛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재(10')는 전체적으로 줄기에 해당하고 이 기둥부재(10')에 수평 접합되는 가로빔(20') 및 전후빔(30') 등은 가지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단위 유닛(1')를 상하 좌우로 결합하게 되면 대략 평면 격자 형상의 구조체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평면 격자형 구조체를 별도의 전후 연결빔(50')들에 의해 기존 구조체(200')에 연결 구성함으로써 전체적으로 3차원 격자 형상의 내진 보강 구조체(100')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프리캐스트화 된 단위 유닛들을 단순히 접합 시공하는 것만으로 매우 간편하게 기존의 내진 보강이 되어 있지 않은 건축물에 대한 내진 보강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보강 유닛(1')들을 기존 건축물(200')에 연결함에 있어 사용되는 전후 연결빔(50')들의 경우 습식 콘크리트 타설 등에 의해서도 시공할 수 있지만, 이보다는 본 발명의 보강 유닛(1')에서와 같이 기성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을 사용하게 되면 보강 구조체의 시공에 있어 거의 대부분의 공정을 건식으로 진행할 수 있으므로 시공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보강 유닛(1')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기둥부재(1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보강을 요하는 기존 구조물의 골조 형태나 보강 유닛의 제작, 운반 및 보관 상의 편의 등 제반 여건을 고려하여 상기 기둥부재(10')의 갯수는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보강 유닛에 대한 가장 최소의 구성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도시와 같이 하나의 기둥부재(10')의 양측에 가로빔(20')이 일체로 연장된 형태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조립에 의해 3차원 격자 형상을 이루기 위한 최소의 단위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는 이러한 최소 형태보다는 기둥부재(10')를 복수로 구성함으로써 유닛간의 연결 개소를 가능한한 적게 함이 유리할 것이다.
이와 같은 기둥부재(10')의 갯수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을 것이나 전체 유닛의 무게 시공 용이성 등을 고려할 때 도 2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기둥부재(10')를 2개로 구성하고 이들 각 기둥부재(10')의 측면으로 가로빔(20')을 돌출 형성한 것이 가장 무난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 경우 상기 기둥부재(10')들 사이에는 수평 연결빔(30')을 더 형성하여 이들 기둥부재(10')들을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단위 유닛간의 접합부 처리와 관련하여 수평 접합 방식으로는 전단 연결기구를 사용한 연결 방식을, 수직 접합 방식으로는 기둥부재에 형성된 수직 관통홀(15')을 통한 연결 방식을 바람직한 접합 방식으로서 제안한다. 먼저, 수평 연결 방식으로서 전단 연결기구를 사용한 연결 방식을 설명하면, 이는 도 4의 도시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강 유닛을 이루는 가로빔(20')의 단부측에 연결철물(22')을 매립 설치하여 두되 이 연결철물(22')은 그 일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인접 유닛과의 연결에 있어서는 이 노출된 부위에 별도의 철판(25')을 용접과 같은 방식에 의하여 접합함으로써 유닛간의 수평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가로빔(20')의 끝단에 소정의 단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이 철판(25')을 용접 시공한 이후에는 이 단턱 부위에 무수축 몰탈 등을 채워 넣어 접합부의 시공을 마무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서의 수평 연결 방식을 따르게 되면 인접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을 상호 결합함에 있어서 결합부에 습식 콘크리트의 타설하는 것과 같은 통상적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결합 방법에 비하여 그 시공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보강 유닛을 수평으로 연결함에 있어서는 캔틸레버 형태의 가로빔(20')의 끝단이 서로 맞대어져 접합됨으써 그 접합 부위의 수평 위치가 내진 모멘트 발생시 휨모멘트가 '0'에 가까운 스팬 중앙부에 위치하는 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평 연결 방식을 취하여도 모멘트에 의한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아 구조적 안전성에 문제가 없을 뿐 아니라 접합에 사용된 철판의 연성 능력에 의해 지진 시 진동에 의한 에너지를 원활하게 소산시킬 수 있는 효과 역시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있어서 유닛간 수직 접합에 관해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의 접합 방식으로서 기존에 알려져 있는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특별한 제약이 있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접합 방식에 대한 일례로는 접합 슬리브 방식을 들 수 있으며(이 방식의 경우 당업계의 상식에 속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혹은 앞서 도 4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연결철물에 의한 수평 접합 방식을 수직 연결에 적용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구조적 성능에 대한 측면과 시공성 등의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유닛간 수직 접합에 관한 바람직한 방식으로서 다음과 같이 본 발명의 보강 유닛(1')를 이루는 기둥부재(10')를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수직 관통홀(15')을 형성하여 두고 이 수직 관통홀(15') 내를 통과하도록 설치된 프리스트레스 텐던(18')을 통하여 유닛간의 수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즉, 본 방식은 본 발명의 보강 유닛을 수직으로 적층 조립함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기둥부재(10')에 형성된 수직 관통홀(15') 내에 강선과 같은 텐던을 통과시키고 이 텐던(18')을 긴장시켜 프리스트레스를 가함으로써 상기 텐던(18')의 수축력에 의해 각 유닛(1')들이 서로 밀착되게 하고 이 밀착력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텐던(18')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단측이 기초부에 정착 되도록 하고 상단측은 보강 구조체(100')의 최상단을 이루는 보강 유닛에 고정함으로써 수직으로 적층된 전체 유닛들이 압축력을 받도록 구성한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처리 가공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표면처리 가공수단은, 가공대상물(즉, 전술한 구성들 중 적어도 콘크리트 보강 유닛(1), 기둥부재(10), 기둥빔(20) 등을 포함함.)에 인접하게 설치된 하나 이상의 분사유닛(110)과, 분사유닛(110)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유닛(121, 122)과, 상기 지지유닛(121, 122)을 가공대상물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닛(130)을 포함한다. 분사유닛(110)은 경사지게 설치된 가공대상물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분사유닛(110)에는 오염방지 코팅물질이 저장된 저장탱크(113)가 연결되며, 저장탱크(113)의 오염방지 코팅물질이 공급펌프(114)의 펌핑에 의해 분사유닛(110)으로 공급된다. 이에, 분사유닛(110)은 저장탱크(113)로부터 공급된 오염방지 코팅물질을 가공대상물의 표면에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분사유닛(110)의 일측에는 간격감지센서(115)가 설치되어 분사유닛(110)과 가공대상물 사이의 간격을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함으로써 분사유닛(110)과 가공대상물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지지유닛(121, 122)은 분사유닛(110)을 지지함과 더불어, 분사유닛(110)을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하도록 구성된다. 지지유닛(121, 122)은 가공대상물의 표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가이드부(125)와, 가이드부(125)의 하단에 형성된 피벗부(126)와, 이 피벗부(126)에서 외측방향으로 가이드부(125)에 대해 일정각도로 교차되게 연장된 연장부(127)를 가진다. 가이드부(125)의 일면(즉, 가공대상물의 표면과 마주보는 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125a)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레일(125a)에는 가이드블록(111)이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되도록 설치되며, 가이드블록(111)에는 분사유닛(110)이 장착됨에 따라 분사유닛(110)은 가이드부(125)를 따라 가공대상물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피벗부(126)는 후술하는 가이드유닛(130)의 수직폴대(131)의 상단에 피벗가능하게 설치되고, 이에 가이드부(125)는 가공대상물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그 경사각이 조절될 수 있다. 연장부(127)는 피벗부(126)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고, 연장부(127)는 가이드부(125)에 대해 일정각도로 교차하게 연장된다.
그리고, 연장부(127)의 단부에는 중심추(128, weight)가 설치되고, 이러한 중심추(128)에 의해 지지유닛(121, 122)은 그 무게 중심이 균형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125)에는 하나 이상의 처짐방지용 와이어(123)가 연결되고, 이러한 처짐방지용 와이어(123)에 의해 가이드부(125)가 가공대상물의 표면을 향해 처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처짐방지용 와이어(123)의 일단부는 가이드부(125)에 고정되고, 처짐방지용 와이어(123)의 타단부는 지지체(124)의 지지롤러(124a)에 조절가능
하게 설치된다. 지지체(124)는 연장부(127)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지지롤러(124a)는 지지체(124)의 도중에 설치된다.지지유닛(121, 122)은 가공대상물의 중심선(1CL)을 기준으로 상부공간(TA) 및 하부공간(LA)으로 구획하여 각 분사유닛(110)이 오염방지 코팅물질을 독립적으로 분사하도록 2개의 지지유닛(121, 122)으로 구성된다. 제1지지유닛(121)은 가공대상물의 상부공간(TA)에만 오염방지 코팅물질을 분사하도록 분사유닛(110)이 가이드부(125)의 상부 일정구간에서만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제2지지유닛(122)은 가공대상물의 하부공간(LA)에만 오염방지 코팅물질을 분사하도록 분사유닛(110)이 가이드부(125)의 하부 일정구간에서만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지지유닛(121, 122)이 가공대상물의 표면에 대해 상부공간(TA)과 하부공간(LA)으로 구획하여 독립적으로 오염방지 코팅물질을 분사함으로써 가공대상물의 표면에 대한 코팅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염방지 코팅물질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가이드유닛(130)은 지지유닛(121, 122)의 피벗부(126)가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수직폴대(131)와, 수직폴대(131)가 높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홀더(132)와, 홀더(132)를 가공대상물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133)를 포함한다. 수직폴대(131)의 상단에는 피벗연결부(134)가 형성되고, 이 피벗연결부(134)에는 지지유닛(120)의 피벗부(126)가 피벗축(135)을 매개로 피벗가능하게 설치되며, 수직폴대(131)는 홀더(132)에 높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된다. 지지유닛(121, 122)의 피벗부(126)와 수직폴대(131)의 피벗연결부(134)에는 복수의 통공(126a, 634a)들이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고, 피벗축(135)을 중심으로 피벗부(126)가 일정 각도로 피벗팅한 이후에 다울핀(136)이 피벗부(126) 및 피벗연결부(134)의 서로 맞춰진 통공(126a, 634a)들에 끼워짐으로써 지지유닛(121, 122)의 회전된 위치가 고정되고, 이에 지지유닛(121, 122)의 가이드부(125)는 가공대상물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그 경사각이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홀더(132)는 상단이 개방된 중공부를 가진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고, 홀더(132)의 중공부에는 수직폴대(131)가 높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며, 홀더(132)의 하단에는 가이드블럭(132b)이 마련된다. 수직폴대(131)와 홀더(132)에는 복수의 통공(131a, 632a)이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고, 수직폴대(131)가 홀더(132)의 중공부에 높이가 적절히 조절되어 삽입된 이후에 다월핀(1dowel pin, 38)이 수직폴대(131) 및 홀더(132)의 서로 맞춰진 통공(131a, 632a)들에 끼워짐으로써 수직폴대(131)는 홀더(132)에 높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이드레일(133)은 가공대상물이 설치된 바닥에 설치되고, 가공대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된다. 가이드레일(133)에는 홀더(132)의 가이드돌기(132b)가 가이드됨에 따라 수직폴대(131), 홀더(132) 및 지지유닛(121, 122)은 가공대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특히, 회전스크류(미도시)가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가이드블럭(132b)이 가이드레일(133)을 따라 이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홀더(132), 수직폴대(131), 지지유닛(121, 122)은 길이방향 이송속도가 매우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가이드유닛(130)의 수직폴대(131) 및 홀더(132)가 가이드레일(133)을 통해 가공대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됨에 따라 지지유닛(121, 122)들을 개별적으로 가공대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지지유닛(121, 122)에서 각 분사유닛(110)을 개별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각 분사유닛(110)은 가공대상물의 표면에 오염방지 코팅물질을 길이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매우 신속하고 균일하게 분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성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전술한 표면처리 가공수단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표면처리 가공수단은, 분사유닛(110)과, 상기 분사유닛(110)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유닛(121, 122)과, 상기 지지유닛(121, 122)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닛(13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121, 122)은 소정의 가이드부(125)와, 상기 가이드부(125)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유닛(130)에 대해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피벗부(126)와, 상기 피벗부(126)에서 외측방향으로 가이드부(125)에 대해 일정각도로 교차되게 연장된 연장부(127)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유닛(130)은 상기 지지유닛(121, 122)의 피벗부(126)가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수직폴대(131)와, 상기 수직폴대(131)가 높이조절가능 하게 설치되는 홀더(132)와, 상기 홀더(132)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133)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폴대(131)의 상단에는 피벗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피벗연결부에는 상기 지지유닛(121, 122)의 피벗부(126)가 피벗축을 매개로 피벗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홀더(132)의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33)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블럭(132b)이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부(125)는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가이드부(125a)와, 상기 하부가이드부(125a)으로 부터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의 동작 및 진퇴 동작을 수행하는 상부가이드부(125b)로 구비된다. 상기 분사유닛(110)은 상기 하부가이드부(125a) 상에 구비되는 하부분사유닛(110a)과, 상기 상부가이드부(125b) 상에 구비되는 상부분사유닛(110b)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가이드부(125)는 상호 간에 틸팅 가능한 복수의 마디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가이드부(125b) 상의 상기 상부분사유닛(110b) 둘레부 적어도 일부 상에는 분사제어모듈(140)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분사유닛(110b)의 코팅물질 분사범위 및 분사 용량을 제어한다.
상기 분사제어모듈은(140), 상기 하부가이드부(125a)의 길이방향 상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 분사제어모듈(141)과, 상기 하부가이드부(125a)의 길이방향 단부 상에서 틸트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 분사제어모듈(142) 구비되며, 상기 제1 분사제어모듈(141)은 내측면 상에 진퇴형 제1 실린더모듈(S1), 상기 제1 실린더모듈(S1)과 이웃하는 진퇴형 제2 실린더모듈(S2), 상기 제1 실린더모듈(S1)로부터 출몰되는 제1 피스톤모듈(1P1), 상기 제2 실린더모듈(S2)로부터 출몰되는 제2 피스톤모듈(1P2)이 구비된다. 상기 제2 분사제어모듈(142)은 내측면 상에 진퇴형 제3 실린더모듈(S3), 상기 제3 실린더모듈(S3)과 이웃하는 진퇴형 제4 실린더모듈(S4), 상기 제3 실린더모듈(S3)로부터 출몰되는 제3 피스톤모듈(1P3), 상기 제4 실린더모듈(S4)로부터 출몰되는 제4 피스톤모듈(1P4)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실린더모듈(S1)은 상기 제3 실린더모듈(S3)은 상호간에 대향하며, 상기 제2 실린더모듈(S2)과 상기 제4 실린더모듈(S4)은 상호간에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피스톤모듈(1P1) 내지 상기 제4 피스톤모듈(1P4)은 상호간에 출몰 거리 설정을 통해 상기 상부분사유닛(110b)의 코팅물질 분사범위 및 분사용량을 제어한다.
상기 제1, 2 실린더모듈(S1, S2)은 상기 제1 분사제어모듈(141)의 단부 길이방향 상에서 소정 범위로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 4 실린더모듈(S3, S4)은 상기 제2 분사제어모듈(142)의 단부 길이방향 상에서 소정 범위로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분사제어모듈(141)의 단부 상에는 제1 집게형 파지부(1CL1)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분사제어모듈(142)의 단부 상에는 제2 집게형 파지부(1CL2)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125)는 상기 제1 집게형 파지부(1CL1)와 상기 제2 집게형 파지부(1CL2)를 통해 오염방지 처리를 위한 상기 대상물을 파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표면처리 가공수단은 소정의 제1 유동모듈(150a) 상에 위치되고, 가공 대상물인 상기 대상물은 소정의 제2 유동모듈(150b)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1 유동모듈(150a)은 , 최하단 제1-1 유동부(150a1)와, 상기 제1-1 유동부(150a1)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1-2 유동부(150a2)와, 상기 제1-2 유동부(150a2)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1-3 유동부(150a3)가 구비되며, 상기 제1-1 유동부(150a1)는 하방에 소정의 제1 마감패널(150a11)이 구비되며, 상기 제1-3 유동부(150a3)는 상방에 상기 표면처리 가공수단이 거치되는 제1 거치패널(150a31)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유동모듈(150b)은, 최하단 제2-1 유동부(150b1)와, 상기 제2-1 유동부(150b1)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2-2 유동부(150b2)와, 상기 제2-2 유동부(150b2)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2-3 유동부(150b3)가 구비되며, 상기 제2-1 유동부(150b1)는 하방에 소정의 제2 마감패널(150b11)이 구비되며, 상기 제2-3 유동부(150b3)는 상방에 상기 가공 대상물이 거치되는 제2 거치패널(150b31)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유동모듈(150a)과 상기 제2 유동모듈(150b) 사이에는 완충모듈(160)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유동모듈(150a)과 상기 제2 유동모듈(150b)은 상호 간에 이격 방향 또는 충돌 방향을 향해 유동됨에 있어, 상기 완충모듈(160)과 의 접촉을 매개로 상호 가속유동되거나 완충 유동된다.
상기 제1-1 유동부(1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150a3)의 상기 완충모듈(160)을 향하는 내측 단부 상에는 제1 자성수단(M1)이 구비되고, 상기 제2-1 유동부(1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150b3)의 상기 완충모듈(160)을 향하는 내측 단부 상에는 제2 자성수단(M2)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자성수단(M1)과 대향하는 상기 완충모듈(160)의 일측에는 제3 자성수단(M3)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자성수단(M2)과 대향하는 상기 완충모듈(160)의 타측에는 제4 자성수단(M4)이 구비되며, 상기 제1-1 유동부(1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150a3)가 상기 완충모듈(160)을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제1 자성수단(M1)과 상기 제3 자성수단(M3)은 상호 간에 상이한 극성을 띠도록 설정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시키고, 상기 제1-1 유동부(1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150a3)가 상기 완충모듈(160)의 반대측을 향하는 제2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제1 자성수단(M1)과 상기 제3 자성수단(M3)은 상호 간에 동일한 극성을 띠도록 설정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시킨다.
상기 제2-1 유동부(1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150b3)가 상기 완충모듈(160)을 향하는 제3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제2 자성수단(M2)과 상기 제4 자성수단(M4)은 상호 간에 상이한 극성을 띠도록 설정되어,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시키고, 상기 제2-1 유동부(1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150b3)가 상기 완충모듈(160)의 반대측을 향하는 제4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제2 자성수단(M2)과 상기 제4 자성수단(M4)은 상호 간에 동일한 극성을 띠도록 설정되어, 상기 제4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시킨다. 상기 완충모듈(160)은 상기 제3 자성수단(M3)과 상기 제4 자성수단(M4) 사이에 탄성수단(1C)이 구비되어, 상기 제3 자성수단(M3)과 상기 제4 자성수단(M4)을 통해 가해지는 외력에 대응하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며, 상기 완충모듈(160)은, 상기 제1-1 유동부(1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150a3)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3 자성수단(M3)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과, 상기 제2-1 유동부(1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150b3)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4 자성수단(M4)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며, 상기 제1-1 유동부(1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150a3)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화시키며,에 기반하여 상기 제3 자성수단(M3)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과, 상기 제2-1 유동부(1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150b3)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4 자성수단(M4)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킨다. 상기 제1-1 유동부(1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150a3)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3 자성수단(M3)에 대하여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제2-1 유동부(1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150b3)의 상기 제4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4 자성수단(M4)에 대하여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완충모듈(160)을 향하는 상기 제1 거치패널(150a31)의 단부에는 제1-1 돌기부(150a31T)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모듈(160)을 향하는 상기 제1 마감패널(150a11)의 단부에는 제1-2 돌기부(150a11T)가 구비되며, 상기 완충모듈(160)을 향하는 상기 제2 거치패널(150b31)의 단부에는 제2-1 돌기부(150b31T)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모듈(160)을 향하는 상기 제2 마감패널(150b11)의 단부에는 제2-2 돌기부(150b11T)가 구비되며, 상기 완충모듈(160)은, 상기 제3 자성수단(M3) 및 상기 제4 자성수단(M4)의 상방에는 일측으로 상기 제1-1 돌기부(150a31T)를 가고정 시키고, 타측으로 상기 제1-2 돌기부(150a11T)를 가고정 시키기 위한 제1 고정수단(161)이 구비되고, 상기 제3 자성수단(M3) 및 상기 제4 자성수단(M4)의 하방에는 일측으로 상기 제2-1 돌기부(150b31T)를 가고정 시키고, 타측으로 상기 제2-2 돌기부(150b11T)를 가고정 시키기 위한 제2 고정수단(162)이 구비된다.
상기 제1 고정수단(161)은 상기 제1-3 유동부(150a3)가 상기 제1 방향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1-1 돌기부(150a31T)를 가고정하고, 상기 제1 고정수단(161)은 상기 제2-3 유동부(150b3)가 상기 제3 방향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2-1 돌기부(150b31T)를 가고정하며, 상기 제2 고정수단(162)은 상기 제1-1 유동부(150a1)가 상기 제1 방향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1-2 돌기부(150a11T)를 가고정하고, 상기 제2 고정수단(162)은 상기 제2-1 유동부(150b1)가 상기 제3 방향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2-2 돌기부(150b11T)를 가고정하며, 상기 제1 고정수단(161)은 상기 제1-1 유동부(150a1)를 상기 제2 방향 유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1 돌기부(150a31T)의 가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제1 고정수단(161)은 상기 제2-1 유동부(150b1)의 상기 제4 방향 유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1 돌기부(150b31T)의 가고정을 해제하며, 상기 제2 고정수단(162)은 상기 제1-2 유동부(150a2)의 상기 제2 방향 유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2 돌기부(150a11T)의 가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제2 고정수단(162)은 상기 제2-2 유동부(150b2)의 상기 제4 방향 유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2 돌기부(150b11T)의 가고정을 해제하면, 상기 제1-3 유동부(150a3) 및 상기 제1-1 유동부(150a1)는 상기 완충모듈(160)의 탄성복원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 가속화되어 유동된다. 상기 제2-3 유동부(150b3) 및 상기 제2-1 유동부(150b1)는 상기 완충모듈(160)의 탄성복원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4 방향으로 가속화되어 유동되며, 상기 가고정은 강제끼움, 자성결합, 공압식 가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에 기반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유동모듈(150a)의 하부에는 제1 운송모듈(170)이 구비되어, 상기 제1 유동모듈(150a)을 일정범위 내에서 유동시키고, 상기 제2 유동모듈(150b)의 하부에는 제2 운송모듈(180)이 구비되어, 상기 제1 유동모듈(150a)을 일정범위 내에서 유동시키며, 상기 제1 운송모듈(170)은, 제1-1 베이스부(171)와, 상기 제1-1 베이스부(171)상에서 일정하게 유동되는 제1-2 베이스부(172)와, 상기 제1-2 베이스부(172)와 상기 제1 유동모듈(150a)의 상기 제1-1 유동부(150a1)를 결속시켜 상기 제1 유동모듈(150a)과 상기 제1 운송모듈(170)을 상호 연동시키기 위한 제1 연동부(173)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운송모듈(180)은, 제2-1 베이스부(181)와, 상기 제2-1 베이스부(181)상에서 일정하게 유동되는 제2-2 베이스부(182)와, 상기 제2-2 베이스부(182)와 상기 제2 유동모듈(150b)의 상기 제2-1 유동부(150b1)를 결속시켜 상기 제2 유동모듈(150b)과 상기 제2 운송모듈(180)을 상호 연동시키기 위한 제2 연동부(183)가 구비된다.
상기 제1-1 베이스부(171)는 상기 제2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을 향할수록 점차 저감되는 경사각을 가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2 베이스부(172)는 상기 제1-1 베이스부(171)와 대응하여 형합되는 형상으로서, 상기 제1-1 베이스부(171)로부터 상기 제2 방향 과 상기 제1 방향 간에 진퇴 유동되며, 상기 제2-1 베이스부(181)는 상기 제4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3 방향을 향할수록 점차 저감되는 경사각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2 베이스부(182)는 상기 제2-1 베이스부(181)와 대응하여 형합되는 형상으로서, 상기 제2-1 베이스부(181)로부터 상기 제4 방향 과 상기 제3 방향 간에 진퇴 유동된다. 상기 제2 거치패널(150b31) 상에는 상기 가공 대상물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모듈(190)이 구비되며 상기 가공 대상물은 상기 거치모듈(190) 상에 거치되며, 상기 거치모듈(190)은, 상기 제2 거치패널(150b31) 상에 구비되는 패널부(191)와, 상기 패널부(191) 상에 연직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 거치패널(150b31)의 길이방향 및 높이 방항으로 각기 유동 가능한 적어도 한 쌍의 기둥부(192)가 구비되며, 상기 기둥부(192)의 내측면 높이방향 상에는 고정돌기(192a)가 다수로 형성되어 상기 가공 대상물을 가고정 시킨다.
도 13 내지 도 1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방지 가공처리 하기 위한 제2 표면처리 가공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오염방지 가공처리 하기 위한표면처리 가공수단는 컨베이어(200)상에서 이송되는 전술한 대상물피코팅물의 일정높이에 고정된 고정부(215)에 축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215)에배치되는 회전수단(220)에 의해 회전되는 센터 사프트(225)와, 상기 센터 사프트(225)의 상부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상방 수평보(230)와, 상기 상방 수평보(230)의 양측에 교차하게 수직으로 배치되는 사이드 수직바(240)와, 상기 상방 수평보(230)에 미끄럼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240)가 수직으로 미끄럼 결합되며, 상기 상방 수평보(230)에 고정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240)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고정수단(242)을 구비한 이동블럭(245)과, 상기 상방 수평보(230)의 양측하부에서상기 사이드 수직바(240)에 미끄럼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240)에 고정되기 위한 제2 고정수단(247)을 구비하며, 상기 대상물에 도포되는 도포액를 공급받아 분사부(252)에 의해 대상물에 분사하는 스프레이건(250) 및 상기 스프레이건(250)에 가압된 공기를 제공하여 도포액를 상기 대상물에 분사시키는 공압펌프(2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센터 사프트(225)가 회전수단(220)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센터 사프트(225)에 고정된 상방 수평보(230)가 회전되고, 상방 수평보(230)의 양측에서 사이드 수직바(240)의 하부에 결합된 스프레이건(250)도 회전되는데, 스프레이건(250)의 회전에 의해 스프레이건(250)의 하방에서 연속적으로 이동되는 상기 대상물의 모든 면에 코팅재가 분사부(252)에서 미세하게 분사되어 고른 두께로 도포되고, 코팅재의 도포시간도 단축된다.
그리고, 상방 수평보(230)와 상기 사이드 수직바(240)에는 상기 스프레이건(250)의 수평위치 및 수직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눈금이 형성되는데, 작업자가 각 도포물에 따라 얻어진 도포액의 분사거리를 테이블화 하고, 이에 맞게 스프레이건(250)의 수평위치를 상방 수평보(230)에서 조절하고, 사이드 수직바(240)에서 수직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도포물에 맞게 미세하게 도포액을 분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고정수단(242)은 이동블럭(245)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방 수평부에 이동블럭(245)을 고정시키는 수직나사 및 이동블럭(245)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사이드 수직바(240)를 이동블럭(245)에 고정시키는 수평나사이 다. 또한, 제2 고정수단(247)은 스프레이건(250)을 사이드 수직바(240)의 하부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스프레이건(250)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회전을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어야 하는데, 사이드 수직바(240)에 스프레이건(250)을 축 결합하여 연결하는 축바가 형성되고 외주부에 원주방향으로 홀이 형성된 연결판과 연결판의 홀을 통해 스프레이건(250)에 끼워짐으로써, 스프레이건(250)의 분사각을 고정하는 핀 등으로 구성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215)의 일측에는 도포액를 공급하는 도포액 공급부(265) 및 상기 공압탱크(260)가 고정되고, 상기 센터 사프트(225)의 하부에는 상기 도포액 공급부(265)와 관(267)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스프레이건(250)에 관(267)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프레이건(250)으로 도포액의 공급을 차단하는 도포액 개폐밸브(270)를 구비한 도포액 연결부(275)가 구비되고, 상기 도포액 연결부(275)의 하부에는 상기 공압탱크(260)와 상기 스프레이건(250)에 관(267)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스프레이건으로 가압공기의 공급을 차단하는 가압공기 차단밸브(276)를 구비한 공압 연결부(277)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센터 사프트(225)에는 모터(286)나 실린더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블럭(245)을 수평으로 이동시킬 수있는 수평이동수단(280)이 구비되는데, 모터(286)에 의해 이동블럭(245)을 이동시키는경우, 모터(286)는 센터 사프트(225)에 상방 수평보(230)를 고정시키는 센터블럭(226)의 일면에 한 쌍이 고정되고, 모터(286)에는 스크류 환봉(287)에 연결되며, 스크류 환봉(287)은 이동블럭(245)의 저면부에 결합되는 암스크류(288)에 연결되고, 모터(286)의 구동에 의해 이동블럭(245)은 상방 수평보(230)에서 미끄럼이동된다. 이때, 이동블럭(245)의 이동거리는 모터(286)에 결합된 엔코더에 의해 모터(286)의 축 회전수와 모터(286)의 일회전에 의해 스크류 환봉(287)에서 이동되는 암스크류(288)의 이동거리에 의해 계산할 수 있다. 한편, 모터(286)는 제어부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 일정각도로 회전되고, 모터(286) 축의 브레이크 기능이 있는 스텝모터(286)를 사용함으로써, 제어부의 의한 모터제어가 간단해질 수 있으며, 브레이크 기능에 모터(286)축을 홀딩하여 이동블럭(245)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블럭(245)은 모터(286)를 제어하는 제어부에 이동블럭(245)의 이동거리를 설정하고, 제어부에 의해 이동거리에 맞는 회전수로 모터(286)가 회전됨으로써 상방 수평보(230)에서 이동되는데, 이동블럭(245)의 이동 거리는 대상물에 대응하스프레이건(250)의 위치에 맞게 제어부에서 미리 설정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이동블럭(245)에는 사이드 수직바(240)를 수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290)이 구비되는데, 높이조절수단(290)도 수평이동수단(280)과 마찬가지로 모터(286)와 스크류 조합, 또는 공압 실린더의 사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는, 높이조절수단(290)은 모터(296)가 이동블럭(245)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스크류 환봉(297)이 이동블럭(245)에 축 결합되며, 모터(286)와 스크류 환봉(297)이 피니언 기어(299)로 연결되고, 스크류 환봉(297)이 스프레이건(250)에 고정된 암스크류(298)로 연결되며, 이동블럭(245)에 미끄럼 결합된 사이드 수직바(240)가 모터(296)의 구동에 의해 이동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는데, 이동블럭(245)의 이동방식과 같은 방식으로 이동거리가 계산되고, 제어부에 의해 모터(296)의 회전수가 제어됨으로써 사이드 수직바(240)는 대상물에 맞는 스프레이건(250)의 위치에 맞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레이건(250)의 분사부(252)은 스프레이건(250)의 단부에서 상기 대상물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센터사프트(225)의 회전에 의해 스프레이건(250)이 회전되는 경우, 코팅재가 상기 대상물을 향해 하방으로 고르게 분사된다.
도 1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염방지 가공처리 하기 위한 제2 표면처리 가공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컨베이어(200)는 하부에 소정의 지지대(210a)가 다수 구비되며, 상기 지지대(210a)는 하단부가 소정의 체결모듈(1000)에 수용되어 결합된다. 상기 지지대(210a)는, 하방을 향하는 기둥부(210a1)와, 상기 기둥부(210a1)의 상방 제1 영역(L1)과 하방 제2 영역(L2) 사이의 측면부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연장부(210a2)가 구비된다. 도 18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제2 표면처리 가공수단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스프레이건(250)의 전단부 상에는 소정의 분사부(252)와, 상기 분사부(252)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며 일정범위로 틸트 유동되는 벽체 또는 바 형상인 하나 이상의 가변부(291)가 구비되어 상기 분사부(252)로부터 분사되는 도포액의 분사범위를 조절한다. 상기 가변부(291)의 내측면 상에는 다수의 석션부(SH)구비되어 상기 분사부(252)로부터 분사되는 도포액적어도 일부를 흡입하며, 상기 가변부(291)의 외측면 상에는 에어 분사를 위한 다수의 에어 분사부(252)가 구비된다. 상기 스프레이건(250)의 상기 가변부(291)는 전체적 또는 개별적으로 정회전 동작 하거나 역회전 동작된다. 상기 스프레이건(250)의 후단부 상에는 상기 분사부(252)의 토출에 기반하는 반동을 상쇄시키기 위한 에어를 분사하는 역분사부(292)가 구비되며, 상기 스프레이건(250)의 하단부 상에는 상기 분사부(252) 및 상기 역분사부(292)의 동작에 기반하는 반동을 상쇄시키기 위한 제2 역분사부(293)가 구비된다. 상기 역분사부(292)는 틸팅구조부(PT1)를 통해 틸팅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 역분사부(293)은 좌우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코팅장치는 일정 범위로 유동 가능한 소정의 가이드 수단(GM)과, 상기 가이드 수단(GM)에 의하여 가이드되는 차단부(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차단부는, 소정 면적을 가지는 차단몸체(294)와, 상기 차단몸체(294)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 출몰부(295)와, 상기 차단몸체(294)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 출몰부(296)와, 상기 차단몸체(294)로부터 좌측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3 출몰부(297)와, 상기 차단몸체(294)로부터 우측방향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4 출몰부(미도시)가 구비된다.
도 20 내지 도 21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차단부는 상기 차단몸체(294)로부터 돌출된 상기 제2 출몰부(296)를 통해 상기 컨베이어(200) 상의 가공 대상물들을 상호 일정하게 이격 시킨다. 상기 스프레이건(250)은 상기 스프레이건(250)의 전단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소정의 암모듈(RB)이 구비되며, 상기 암모듈 둘레부 적어도 일부영역 상에 소정의 제1 함입홈(RH1)이 형성된다. 상기 암모듈(RB)은 소정의 관절형 가이드부(GM1)와 상기 가이드부(GM1)로부터 연장되는 본체모듈(BM)이 구비된다. 상기 암모듈(RB)은 상기 제1 함입홈(RH1) 상에 삽입되어 거치된다. 상기 제1 함입홈(RH1)의 내부에는 상기 제1 함입홈 깊이 이상으로 소정의 제2 함입홈(RH2)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암모듈(RB)의 상기 가이드부(GM)는 상기 제2 함입홈(RH2) 상에 삽입되어 거치되며, 상기 암모듈(RB)의 상기 본체모듈(BM)은 상기 제1 함입홈(RH1) 상에 삽입되어 거치된다.
상기 본체모듈(BM)은 상기 가이드부(GM)의 단부에 위치되는 히팅부(HM)와 상기 히팅부(HM)의 상방을 개폐시키는 계폐형 촬영부로 구비되며, 상기 촬영부는 제1 촬영부(CM1) 및 제2 촬영부(CM2)로 구비되어 회동을 통해 상기 히팅부(HM)의 상면을 폐쇄 또는 노출시키며, 상기 히팅부(HM)과 마주하는 상기 제1 촬영부(CM1)의 저면부 상에는 제1 단열패널(CH1)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촬영부(CM2)의 저면부 상에는 제2 단열패널(CH2)이 구비된다. 상기 히팅부(HM)의 둘레부 제1 영역에는 제5 단열패널(CH5)이 구비되며, 회동 시 상기 히팅부(HM)의 상기 제5 단열패널(CH5)과 마주접하게 되는 상기 제1 촬영부(CM1)의 둘레부 상에는 제3 단열패널(CH3)이 구비된다. 상기 히팅부(HM)의 둘레부 제2 영역에는 제6 단열패널(CH6)이 구비되며회동 시 상기 히팅부(HM)의 상기 제6 단열패널(CH6)과 마주접하게 되는 상기 제2 촬영부(CM2)의 둘레부 상에는 제3 단열패널(CH3)이 구비된다.
도 22 내지 도 24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표면처리 가공수단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스프레이건(250)은 상기 스프레이건(250)의 전단부를 향하여 유동되는 소정의 제2 암모듈(RB2)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암모듈(RB2) 둘레부 적어도 일부영역 상에 소정의 제3 함입홈(RH3)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암모듈(RB2)은 소정의 관절형 제2 가이드부(GM2)와 상기 제2 가이드부(GM2)로부터 연장되는 제2 본체모듈(BM2)이 구비된다. 상기 제2 암모듈(RB2)은 상기 제3 함입홈(RH3) 상에 삽입되어 거치된다. 상기 제3 함입홈(RH3)의 내부에는 상기 제3 함입홈(RH3) 깊이 이상으로 소정의 제4 함입홈(RH4)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2 암모듈(RB2)의 상기 제2 가이드부(GM2)는 상기 제4 함입홈(RH4) 상에 삽입되며, 상기 제2 암모듈(RB2)의 상기 제2 본체모듈(BM2)은 상기 제3 함입홈(RH3) 상에 삽입되어 거치된다. 상기 본체모듈(BM)은 상기 제1 함입홈(RH1)에 대응하여 커브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암모듈(RB2)은 상기 제3 함입홈(RH3)에 대응하여 커브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암모듈(RB2)은, 상기 제2 가이드부(GM2) 단부상에 구비되는 제2-1 암모듈(UM)과, 상기 제2-1 암모듈(UM)로부터 왕복 유동되는 제2-2 암모듈(DM)이 구비되며, 상기 제2-1 암모듈(UM)의 저면부 상에는 출몰식 제1브러쉬(BR1)가 구비되고, 상기 제2-2 암모듈(DM)의 상면부 상에는 출몰식 제2 브러쉬(BR2)가 구비된다. 상기 제2-1 암모듈(UM)과 상기 제2-2 암모듈(DM)이 이격된상태에서, 상기 제1 브러쉬(BR1)는 상기 제2-1 암모듈(UM)로부터 돌출되어 회전하며 상기 제2 브러쉬(BR2)는 상기 제2-2 암모듈(DM)로부터 돌출되어 회전하는 브러시 회전모드로 동작되며, 상기 제2 암모듈(RB2)은 상기 브러시 회전모드 동작 상태에서 상기 제1 브러쉬(BR1)와 상기 제2 브러쉬(BR2) 사이로 상기 가변부(291) 및 상기 분사부(252) 각각을 위치되도록 하여 세척한다. 상기 제1 브러쉬(BR1) 및 상기 제2 브러쉬(BR2)는 수평방향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1 회전모드 및 수직방향 수직 방향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모드로 동작한다. 한편, 본체모듈(BM)의 상기 촬영부는 상기 가변부(291) 및 상기 분사부(252) 주변 상태를 모니터링한 이후 상기 본체모듈(BM)의 상기 히팅부(HM)는 상기 가변부(291) 및 상기 분사부(252) 주변에 열을 가하며, 상기 가변부(291) 및 상기 분사부(252) 주변에 열을 가한 이후 상기 제2 본체모듈(BM2)이 상기 가변부(291) 및 상기 분사부(252)를 세척하며, 상기 세척 이후에 상기 본체모듈(BM)의 상기 촬영부가 세척 상태를 모니터링 한다.
도 25 내지 도 29은 본 발명의 표면처리 가공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5 내지 도 29을 참조하면, 전술한 상기 제1 운송모듈(170) 및 상기 제2 운송모듈(180)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결속되어, 상기 표면처리 가공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시키고 진동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멀티 범퍼모듈을 개시한다. 상기 멀티 범퍼모듈은 상기 지지대를 거치하기 위한 제1 범퍼모듈(10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범퍼모듈(100')은, 상기 지지대의 단부 일영역이 안착되는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1 안착부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1 가압부(1112')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1 가압부(1112')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1 회전부(1113')가 구비되는 제1-1 범퍼모듈(1110')과, 상기 지지대의 단부 타영역이 안착되는 제2 안착부(2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2 가압부(2112')와, 상기 제2 안착부(2111')와, 상기 제2 가압부(2112')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2 회전부(2113')가 구비되는 제1-2 범퍼모듈(211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압부(1112')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1 안착부(1111')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1 가압부(1112')의 상기 제1 안착부(1111') 대향면 상에는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S11')와,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S2')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가압부(2112')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2 가압부(2112')의 상기 제2 안착부(2111') 대향면 상에는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S21')와,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S22')가 구비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S11')의 제1-1 정보값 및 상기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S2')의 제1-2 정보값을, 상기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S21')의 제2-1 정보값과 상기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S22')의 제2-2 정보값과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S11')의 제1-1 정보값과 상기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S2')의 제1-2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S21')의 제2-1 정보값과 상기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S22')의 제2-2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상기 지지대는 바(bar) 형상체이며,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에는 각각 상방에서 하방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며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유동 가능한 제1테이퍼 구조물(T1)과,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구비되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호 간에 탄성수단(CM)으로 연동되어 수평방향 간에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정합을 이루며,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기 제2 안착부(2111')와 정합을 이루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 사이에서 내부로 가압되어 안착되며,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는 각각 내부로부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을 향하는 경사면의 외부로 출몰되는 돌기(O)가 구비된다. 상기 돌기(O)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다수로 구비되고,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O)에 의하여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 상에 고정되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적어도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 접하는 접촉부가 엘라스토머 재질로이루어지며, 상기 돌기(O)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O)가 삽입된다.
상기 지지대의 양측면 상에는 각각 높이방향 상으로 유동되는 승하강 수단(UP)이 구비되며, 상기 제1-1 범퍼모듈(1110')의 상기 제1 회전부(1113')와 상기 제1-2 범퍼모듈(2110')의 상기 제2 회전부(2113')의 상면부 제1 수평영역 상에는 상기 지지대를 향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 유동 가능한 고정수단(HM)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고정수단(HM)은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상기 제1 안착부(1111 및 상기 제2 안착부(2111') 상에 안착된 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의 상방 노출면인 제2 수평영역 적어도 일부 가압하도록 유동되며, 상기 승하강 수단(UP)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수평영역 상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수단(HM)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하방으로 가압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수단(HM)은 상기 제2 수평영역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빗변이 상기 지지대 반대편을 향하도록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직삼각형상체이며, 상기 승하강 수단(UP)은 바) 또는 플레이트 형상체로서, 챔퍼가 형성된 하단부로 둘레방향으로 회전된 상기 고정수단(HM)의 상방을 가압하되, 상기 승하강 수단(UP)은 하단부가 상기 고정수단(HM)의 빗변 적어도 일부와 형합하도록 접촉하여 가압한다. 상기 멀티 범퍼모듈은 상기 제1 범퍼모듈(110')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2 범퍼모듈(2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범퍼모듈(200')은, 상기 제1-1 범퍼모듈(1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3 안착부(3111')와, 상기 제3 안착부(3111')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3 회전부(3113')가 구비되는 제2-1 범퍼모듈(3110')과, 상기 제1-2 범퍼모듈(2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4 안착부(4111')와, 상기 제4 안착부(4111')를 수평방향 상에서 일정영역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4 회전부(4113')가 구비되는 제2-2 범퍼모듈(4110')을 포함한다.
상기 제3 안착부(3111')는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4 안착부(4111')는 상기 제2 안착부(21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3 안착부(3111')와 상기 제4 안착부(4111')는 적어도 경사면 일부가 엘라스토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안착부(3111'),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기 제3 회전부(3113') 및 상기 제4 회전부(4113')의 하방에는 상방과 하방간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펌핑모듈(PM)이 구비되며, 상기 펌핑모듈(PM)은, 하판부(BL')와, 상기 제3 안착부(3111'),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기 제3 회전부(3113') 및 상기 제4 회전부(4113')가 거치되며, 상기 하판부(BL')로부터 탄성수단 및 폄핑수단을 매개로 상방과 하방 간에 유동 가능한 상판부(UL')를 포함한다.
상기 펌핑수단은 유체의 내장 및 토출을 위하여 유체가 내장되는 내장체(I')와, 외부 가압힘 또는 진동에 기반하여 상기 내장체(I') 상에서 일정하게 유동되어, 상기 내장체(I')의 상기 유체가 분사되도록 하기 위한 가압체(P)가 구비된다. 상기 상판부(UL')와 상기 하판부(BL')는 상호간에 인력 또는 척력을 발생시키도도록 각각 자성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내장체(I')는 수평방향 단부 상으로 분사노즐(N')이 형성되어 상기 상판부(UL')와 상기 하판부(BL')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유체를 분사하되, 상기 유체는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및 폴리스티렌 중 어느 하나인 열가소성 수지이거나, 유색을 띠는 기체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는, 외부 하중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을 매개로 상기 제1 범퍼모듈(110') 상에 1차 안착되되, 상기 제1 회전부(1113') 및 상기 제2 회전부(2113')의 선택적인 회전동작 제어에 기반하여 상기 지지대의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상기 제2 범퍼모듈(200') 상에 2차 안착되거나, 기 설정값 이상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강제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제2 범퍼모듈(200') 상에 2차 안착된다.
도 30 내지 도 31는 본 발명의 표면처리 가공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차이점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0 내지 도 31을 참조하면, 상기 멀티 범퍼모듈은, 상기 제1 범퍼모듈(110)과 상기 제2 범퍼모듈 사이에 구비되는 서브 범퍼모듈(3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서브 범퍼모듈(300)은, 상기 제1-1 범퍼모듈(1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1 서브 안착부(1111)S)와,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1 서브 가압부(1112S)와,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와 상기 제1 서브 가압부(1112S)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1 서브 회전부(1113S)가 구비되는 제1 서브 범퍼모듈(3110)과, 상기 제1-2 범퍼모듈(2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2 서브 안착부(2111S)와,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2 서브 가압부(2112S)와,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와 상기 제2 서브 가압부(2112S)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2 서브 회전부(2113S가 구비되는 제2 서브 범퍼모듈(4110)을 개시한다.
상기 제1 서브 가압부(1112S)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1 서브 가압부(1112S)의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 대향면 상에는 제1-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1S)와, 제1-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2S)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서브 가압부(2112S)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2 가압부(2112)의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 대향면 상에는 제2-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1S)와, 제2-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2S)가 구비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1S)의 제1-1 서브 정보값 및 상기 제1-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2S)의 제1-2 서브 정보값을, 상기 제2-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1S)의 제2-1 서브 정보값과 상기 제2-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2S)의 제2-2 서브 정보값과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또한,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1S)의 제1-1 서브 정보값과 상기 제1-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2S)의 제1-2 서브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2-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1S)의 제2-1 서브 정보값과 상기 제2-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2S)의 제2-2 서브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는, 상기 제2서브 안착부(2111S)를 향하는 대각선 상방 측면부에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챔퍼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는,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를 향하는 대각선 상방 측면부에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챔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L)(즉, (L’)과 동일) 는, 외부 하중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을 매개로 상기 제1 범퍼모듈(110)을 경유하여, 상기 제1 서브 범퍼모듈(3110) 상에 안착되되, 상기 제1 서브 회전부(1113S) 및 상기 제2 서브 회전부(2113S의 선택적인 회전동작 제어에 기반하여 상기 지지부(L)의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상기 제1 서브 범퍼모듈(3110) 상에 안착되거나, 기 설정값 이상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강제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제1 서브 범퍼모듈(3110) 상에 안착된다.
상기 제3 안착부(3111) 및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에는 각각 다수의 완충구(EC가 구비되어, 상기 제1 범퍼모듈(100을 경유하는 상기 지지부(L)의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과 접하며, 상기 완충구(EC)는 상기 제3 안착부(3111) 및 상기 제4 안착부(4111)의 표면을 덮는 커버형 구조물로서 상호 이웃하여 복수로 배치된다.
상기 완충구(EC)는 내부에 유체 저장을 위한 포켓이 형성되며, 상기 제3 안착부(3111) 및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에서 내부로부터 외부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완충구(EC)는 내부에 유체 저장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3 안착부(3111) 및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에서 내부로부터 외부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외측 대각선 하부면이 챔퍼가 형성되며 상기 제3 회전부(3113)의 외곽을 가압하여 상기 제3 회전부(3113)의 유동을 제한하는 제1 외곽 가압부(5100)와, 상기 제1 외곽 가압부(5100)에 상방 대각선 방향으로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1 구동부(5200)와, 상기 제1 구동부(5200)의 하방을 지지하는 제1 상단 패널부(5300)와, 상기 제1 상단 패널부(5300)의 하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1 하단 패널부(5400)와, 상기 제1 상단 패널부(5300)와 상기 제1 하단 패널부(5400) 사이에 구비되며 내부에 시각적 식별 및 후각적 식별을 위한 기체가 내장되는 제1 캡슐층이 다수 구비되어, 일정 수치의 가압힘이 가해지면 상기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구비되는 제1 캡슐패널(CP1)이 구비되는 제1 외곽 가압모듈(500)과, 상기 제1 외곽 가압모듈(500)의 외측에서 상방과 하방간에 일정 높이로 유동되어, 상기 제1 캡슐층의 기체를 외부로 가속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제1 배출수단(BM1)이 내장되는 제1 배출모듈(550)과, 외측 대각선 하부면이 챔퍼가 형성되며 상기 제4 회전부(4113)의 외곽을 가압하여 상기 제4 회전부(4113)의 유동을 제한하는 제2 외곽 가압부(6100)와, 상기 제2 외곽 가압부(6100)에 상방 대각선 방향으로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2 구동부(6200)와, 상기 제2 구동부(6200)의 하방을 지지하는 제2 상단 패널부(6300)와, 상기 제2 상단 패널부(6300)의 하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2 하단 패널부(6400)와, 상기 제2 상단 패널부(6300)와, 상기 제2 하단 패널부(6400) 사이에 구비되며 내부에 시각적 식별 및 후각적 식별을 위한 기체가 내장되는 제2 캡슐층이 다수 구비되어, 일정 수치의 가압힘이 가해지면 상기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구비되도록 하는 제2 캡슐패널(CP2)가 구비되는 제2 외곽 가압모듈(600)과, 상기 제2 외곽 가압모듈(600)의 외측에서 상방과 하방간에 일정 높이로 유동되어, 상기 제2 캡슐층의 기체를 외부로 가속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제2 배출수단(BM2)이 내장되는 제2 배출모듈(650)을 개시한다.
상기 제1 캡슐패널(CP1)은 제1-1 캡슐패널(CP11)과, 상기 제1-1 캡슐패널(CP1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2 캡슐패널(CP12)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캡슐패널(CP2)은 제2-1 캡슐패널(CP21)과, 상기 제2-1 캡슐패널(CP2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2 캡슐패널(CP2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출모듈(550)의 상기 제1 배출수단(BM1)은 제1 배출수단(BM11)과, 상기 제1 배출수단(BM1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2 배출수단(BM12)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배출모듈(650)의 상기 제2 배출수단(BM2)은 제2-1 배출모듈(BM21)과, 상기 제2-1 배출모듈(BM2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2 배출모듈(BM2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출모듈(550)은 상기 기체의 배출을 위하여, 상기 제1 배출수단(BM11) 및 상기 제1-2 배출수단(BM12)이 상기 제1-1 캡슐패널(CP11) 및 상기 제1-2 캡슐패널(CP12)에 대응하도록 유동되며, 상기 제2 배출모듈(650)은 상기 기체의 배출을 위하여, 상기 제2-1 배출모듈(BM21) 및 상기 제2-2 배출모듈(BM22)은 상기 제2-1 캡슐패널(CP21) 및 상기 제2-2 캡슐패널(CP22)에 대응하도록 유동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기둥부재 15’ : 관통홀
18’ : 텐던 20’ : 가로빔

Claims (5)

  1. 다수개의 단위체를 상하 좌우로 연속 접합하여 3차원 격자형의 내진 보강 구조물을 이루기 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강 유닛으로서,
    보강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1개층 또는 복수층에 해당하는 높이를 가지며 콘크리트 재질로 된 기둥부재; 및 상기 기둥부재의 일측 또는 좌우 양측에 수평으로 돌출 형성되는 캔틸레버 형태의 가로빔을 포함하며, 상기 기둥부재는 표면처리 가공수단을 통해 오염방지 가공처리되며,
    상기 표면처리 가공수단은,
    분사유닛과, 상기 분사유닛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유닛과, 상기 지지
    유닛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은 소정의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유닛에 대해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피벗부와, 상기 피벗부에서 외측방향으로 가이드부에 대해 일정각도로 교차되게 연장된 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지지유닛의 피벗부가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수직폴대와, 상기 수직폴대가 높이 조절가능 하게 설치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폴대의 상단에는 피벗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피벗연결부에는 상기 지지유닛의 피벗부가 피벗축을 매개로 피벗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홀더의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블럭이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가이드부와, 상기 하부가이드부로부터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의 동작 및 진퇴 동작을 수행하는 상부가이드부로 구비되며,
    상기 분사유닛은 상기 하부가이드부 상에 구비되는 하부분사유닛과, 상기 상부가이드부 상에 구비되는 상부분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가이드부는 상호 간에 틸팅 가능한 복수의 마디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가이드부 상의 상기 상부분사유닛 둘레부 적어도 일부 상에는 분사제어모듈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분사유닛의 코팅물질 분사범위 및 분사 용량을 제어하며,
    상기 분사제어모듈은,
    상기 하부가이드부의 길이방향 상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 분사제어모듈과, 상기 하부가이드부의 길이방향 단부 상에서 틸트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 분사제어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분사제어모듈은 내측면 상에 진퇴형 제1 실린더모듈, 상기 제1 실린더모듈과 이웃하는 진퇴형 제2 실린더모듈, 상기 제1 실린더모듈로부터 출몰되는 제1 피스톤모듈, 상기 제2 실린더모듈로부터 출몰되는 제2 피스톤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2 분사제어모듈은 내측면 상에 진퇴형 제3 실린더모듈, 상기 제3 실린더모듈과 이웃하는 진퇴형 제4 실린더모듈, 상기 제3 실린더모듈로부터 출몰되는 제3 피스톤모듈, 상기 제4 실린더모듈로부터 출몰되는 제4 피스톤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실린더모듈과 상기 제3 실린더모듈은 상호간에 대향하며, 상기 제2실린더모듈과 상기 제4 실린더모듈은 상호간에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피스톤모듈 내지 상기 제4 피스톤모듈은 상호간에 출몰 거리 설정을 통해 상기 상부분사유닛의 코팅물질 분사범위 및 분사용량을 제어하며,
    상기 제1, 2 실린더모듈은 상기 제1 분사제어모듈의 단부 길이방향 상에서 소정 범위로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 4 실린더모듈은 상기 제2 분사제어모듈의 단부 길이방향 상에서 소정 범위로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분사제어모듈의 단부 상에는 제1 집게형 파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분사제어모듈의 단부 상에는 제2 집게형 파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집게형 파지부와 상기 제2 집게형 파지부를 통해 오염방지 처리를 위한 파지를 위한 것이며,
    상기 표면처리 가공수단은 소정의 제1 유동모듈 상에 위치되고, 가공 대상물은 소정의 제2 유동모듈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1 유동모듈은,
    최하단 제1-1 유동부와, 상기 제1-1 유동부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1-2 유동부와, 상기 제1-2 유동부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1-3 유동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1 유동부는 하방에 소정의 제1 마감패널이 구비되며,
    상기 제1-3 유동부는 상방에 상기 표면처리 가공수단이 거치되는 제1 거치패널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유동모듈은,
    최하단 제2-1 유동부와,
    상기 제2-1 유동부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2-2 유동부와,
    상기 제2-2 유동부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2-3 유동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1 유동부는 하방에 소정의 제2 마감패널이 구비되며,
    상기 제2-3 유동부는 상방에 상기 가공 대상물이 거치되는 제2 거치패널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유동모듈과 상기 제2 유동모듈 사이에는 완충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유동모듈과 상기 제2 유동모듈은 상호 간에 이격 방향 또는 충돌방향을 향해 유동됨에 있어,
    상기 완충모듈과 의 접촉을 매개로 상호 가속유동되거나 완충유동되는 콘크리트 보강유닛.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1 유동부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의 상기 완충모듈을 향하는 내측단부 상에는 제1 자성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2-1 유동부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의 상기 완충모듈을 향하는 내측단부 상에는 제2 자성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자성수단과 대향하는 상기 완충모듈의 일측에는 제3 자성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자성수단과 대향하는 상기 완충모듈의 타측에는 제4 자성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제1-1 유동부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가 상기 완충모듈을 향하는 제1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제1 자성수단과 상기 제3 자성수단은 상호 간에 상이한 극성을 띠도록 설정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시키고,
    상기 제1-1 유동부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가 상기 완충모듈의 반대측을 향하는 제2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제1 자성수단과 상기 제3 자성수단은 상호간에 동일한 극성을 띠도록 설정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시키며,
    상기 제2-1 유동부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가 상기 완충모듈을 향하는 제3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제2 자성수단과 상기 제4 자성수단은 상호 간에 상이한 극성을 띠도록 설정되어,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시키고,
    상기 제2-1 유동부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가 상기 완충모듈의 반대측을 향하는 제4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제2 자성수단과 상기 제4 자성수단은 상호간에 동일한 극성을 띠도록 설정되어, 상기 제4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시키며,
    상기 완충모듈은 상기 제3 자성수단과 상기 제4 자성수단 사이에 탄성수단이구비되어,
    상기 제3 자성수단과 상기 제4 자성수단을 통해 가해지는 외력에 대응하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며,
    상기 완충모듈은,
    상기 제1-1 유동부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유동에기반하여 상기 제3 자성수단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과, 상기 제2-1 유동부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4 자성수단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며,
    상기 제1-1 유동부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화시키며, 상기 제3 자성수단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과, 상기 제2-1 유동부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4 자성수단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며,
    상기 제1-1 유동부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유동을가속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3 자성수단에 대하여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제2-1 유동부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의 상기 제4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4 자성수단에 대하여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콘크리트 보강유닛.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완충모듈을 향하는 상기 제1 거치패널의 단부에는 제1-1 돌기부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모듈을 향하는 상기 제1 마감패널의 단부에는 제1-2 돌기부가 구비되며,
    상기 완충모듈을 향하는 상기 제2 거치패널의 단부에는 제2-1 돌기부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모듈을 향하는 상기 제2 마감패널의 단부에는 제2-2 돌기부가 구비되며,
    상기 완충모듈은,
    상기 제3 자성수단 및 상기 제4 자성수단의 상방에는 일측으로 상기 제1-1돌기부를 가고정 시키고, 타측으로 상기 제1-2 돌기부를 가고정 시키기 위한 제1고정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3 자성수단 및 상기 제4 자성수단의 하방에는 일측으로 상기 제2-1 돌기부를 가고정 시키고, 타측으로 상기 제2-2 돌기부를 가고정 시키기 위한 제2고정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제1 고정수단은 상기 제1-3 유동부가 상기 제1 방향 유동에 기반하여상기 제1-1 돌기부를 가고정하고,
    상기 제1 고정수단은 상기 제2-3 유동부가 상기 제3 방향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2-1 돌기부를 가고정하며,
    상기 제2 고정수단은 상기 제1-1 유동부가 상기 제1 방향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1-2 돌기부를 가고정하고,
    상기 제2 고정수단은 상기 제2-1 유동부가 상기 제3 방향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2-2 돌기부를 가고정하며,
    상기 제1 고정수단은 상기 제1-1 유동부를 상기 제2 방향 유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1 돌기부의 가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제1 고정수단은 상기 제2-1 유동부의 상기 제4 방향 유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1 돌기부의 가고정을 해제하며,
    상기 제2 고정수단은 상기 제1-2 유동부의 상기 제2 방향 유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2 돌기부의 가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제2 고정수단은 상기 제2-2 유동부의 상기 제4 방향 유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2 돌기부의 가고정을 해제하면,
    상기 제1-3 유동부 및 상기 제1-1 유동부는 상기 완충모듈의 탄성복원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 가속화되어 유동되고,
    상기 제2-3 유동부 및 상기 제2-1 유동부는 상기 완충모듈의 탄성복원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4 방향으로 가속화되어 유동되며,
    상기 가고정은 강제끼움, 자성결합, 공압식 가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에 기반하는 것인 콘크리트 보강유닛.
KR1020180053574A 2018-05-10 2018-05-10 리모델링 건축물의 내진성능 보강을 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강 유닛 KR101929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574A KR101929230B1 (ko) 2018-05-10 2018-05-10 리모델링 건축물의 내진성능 보강을 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강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574A KR101929230B1 (ko) 2018-05-10 2018-05-10 리모델링 건축물의 내진성능 보강을 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강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9230B1 true KR101929230B1 (ko) 2018-12-14

Family

ID=64743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574A KR101929230B1 (ko) 2018-05-10 2018-05-10 리모델링 건축물의 내진성능 보강을 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강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923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146Y1 (ko) * 2003-06-02 2003-09-06 동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지에이치피의 실외기의 풍량유도장치
KR100421090B1 (ko) 2001-07-03 2004-03-04 주식회사 두우종합기술단 Ghp를 이용한 공기조화기
KR200345413Y1 (ko) 2003-12-30 2004-03-22 주식회사 두우종합기술단 Ghp 실외기
KR100609187B1 (ko) * 2004-06-29 2006-08-02 우림건설 주식회사 리모델링 건축물의 내진성능 보강을 위한 나뭇가지형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강 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내진보강구조
KR100769639B1 (ko) 2006-11-30 2007-10-23 (주)혜창 미세한 코팅막을 균일하게 성형하기 위한 스프레이 장치
KR101505322B1 (ko) * 2013-10-29 2015-03-23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태양전지용 초친수 오염방지 코팅물질 뿜칠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090B1 (ko) 2001-07-03 2004-03-04 주식회사 두우종합기술단 Ghp를 이용한 공기조화기
KR200326146Y1 (ko) * 2003-06-02 2003-09-06 동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지에이치피의 실외기의 풍량유도장치
KR200345413Y1 (ko) 2003-12-30 2004-03-22 주식회사 두우종합기술단 Ghp 실외기
KR100609187B1 (ko) * 2004-06-29 2006-08-02 우림건설 주식회사 리모델링 건축물의 내진성능 보강을 위한 나뭇가지형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강 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내진보강구조
KR100769639B1 (ko) 2006-11-30 2007-10-23 (주)혜창 미세한 코팅막을 균일하게 성형하기 위한 스프레이 장치
KR101505322B1 (ko) * 2013-10-29 2015-03-23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태양전지용 초친수 오염방지 코팅물질 뿜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5082B2 (en) Automated system for robotised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KR101933871B1 (ko) 아파트 벽체의 내진 성능 개선 방법
KR101922832B1 (ko) 내진 보강용 철골 구조물 및 그의 코팅 가공방법
KR101929230B1 (ko) 리모델링 건축물의 내진성능 보강을 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강 유닛
KR101908292B1 (ko) 건물 내진 보강 공법
KR101928743B1 (ko)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
JP2017186882A (ja) トンネル覆工コンクリート成形用の型枠支持装置の組み立て方法及びネット支持具
KR101928742B1 (ko) 내진보강장치를 이용한 아파트 건물의 내진보강공법
KR101908895B1 (ko) 아파트 천장슬라브 시공방법
KR101928702B1 (ko) 모듈러 주택의 조립용 지그
KR101947958B1 (ko) 아파트 단열 외벽 패널 시공방법
KR101945195B1 (ko)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보수공법
KR101913073B1 (ko) 아파트의 천장패널 시공방법
KR101931055B1 (ko) 아파트 지하주차장 시공 방법
US20210230928A1 (en) Tripod leg
CN106437261B (zh) 一种应用钢板网的混凝土框架抗震加固结构
KR101908896B1 (ko) 아파트 배란다 배수처리 시스템 시공방법
CN109208891A (zh) 一种变电站墙体组合钢模及其施工方法
KR101922837B1 (ko) 어스 앵커
JP2004360214A (ja) 足場/養生ユニット及びその使用方法
CN212224273U (zh) 一种带粘滞阻尼器的装配式消能减震支撑装置
CN213087173U (zh) 一种可拆卸钢结构屋顶
KR101915934B1 (ko) 공기단축이 가능한 pc-sf공법
CN202148533U (zh) 移动式基站的钢结构底座
KR101922836B1 (ko) 지지버팀보용 강관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